KR19980053717U - 차간거리 및 상대속도를 이용한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차간거리 및 상대속도를 이용한 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3717U
KR19980053717U KR2019960066906U KR19960066906U KR19980053717U KR 19980053717 U KR19980053717 U KR 19980053717U KR 2019960066906 U KR2019960066906 U KR 2019960066906U KR 19960066906 U KR19960066906 U KR 19960066906U KR 19980053717 U KR19980053717 U KR 1998005371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warning
speed
state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69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장섭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669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3717U/ko
Publication of KR199800537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3717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8Radar; Laser, e.g. lid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Optical Radar Systems And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이 고안은 차간거리 및 상대속도를 이용한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장착되고, 레이저 광을 이용해 선행차나 장애물을 맞고 돌아오는 레이저를 입력받는 레이저 센서수단과,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의 운행속도를 알아내는 속도 센서수단과, 사용자가 스위치를 온/오프하여 기능을 선택하는 선택수단, 상기 레이저 센서수단과, 속도 센서수단과, 선택수단으로부터 각각의 해당 출력신호를 받아 분석하여 현재의 운행상태와 스위치의 선택상태를 인지하여 경고 상태인지 아닌지 판별하여 경고 상태이면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장치수단과, 상기 제어장치수단에서 출력된 해당 신호에 의해 사용자에게 운행상태에 따른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경고장치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운전자가 졸음운전이나 부주의한 운전을 하고 있을 경우 경고장치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켜 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간거리 및 상대속도를 이용한 경보장치
이 고안은 차간거리 및 상대속도를 이용한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속도로나 국도같은 곳에서 장거리 운전이나 야간운전시 운전자의 부주의나 졸음으로 인하여 선행차나 장애물을 피하지 못하여 추돌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데, 레이저를 이용하여 선행차나 장애물이 안전거리 이내로 포착되면 운전자에게 위험신호를 보내어 안전운전할 수 있게 하는 차간거리 및 상대속도를 이용한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장거리 운전시나 야간운전시 선행차나 장애물을 확인하기 위해서 운전자 자신이 직접 확인하고 주의를 하여야 했다.
하지만, 운전자가 졸음 운전을 하거나 부주의한 상태로 운전을 하고 있는 경우에 선행차나 장애물을 미쳐 인지하지 못하면 운전자의 과실로 대형사고나 접촉사고가 발생하여 인적, 물적 손해가 발생하게 된다.
그렇지만, 현재 차량에 적용되어 장착되어지는 전자장치들은 운전자의 안전과 편리성을 도모하고 있지만, 운전자의 졸음운전이나 부주의에 의한 위험요인을 제거할 수 있는 전자장치가 적용되지 않아 운전자 스스로가 인지하여 대처해야 하고, 차량의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이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운전자가 운전하고 있는 차량과 앞서가고 있는 선행차와 장애물을 경고장치에 설정된 거리이내로 도달하게 되면 운전자에게 경고하여 졸음중이나 부주의한 운전상태였다면 운전자는 경고장치에 의해 안전운전에 임할 수 있게 하여 사고를 방지하는 차간거리 및 상대속도를 이용한 경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간거리 및 상대속도를 이용한 경보장치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경보장치를 차량에 장착한 도시도이고,
도 3은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경보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고안의 구성은;
차량에 장착되고, 레이저 광을 이용해 선행차나 장애물을 맞고 돌아오는 레이저를 입력받는 레이저 센서수단과;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의 운행속도를 알아내는 속도 센서수단과;
사용자가 스위치를 온/오프하여 기능을 선택하는 선택수단;
상기 레이저 센서수단과, 속도 센서수단과, 선택수단으로부터 각각의 해당 출력신호를 받아 분석하여 현재의 운행상태와 스위치의 선택상태를 인지하여 경고 상태인지 아닌지 판별하여 경고 상태이면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장치수단과;
상기 제어장치수단에서 출력된 해당 신호에 의해 사용자에게 운행상태에 따른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경고장치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간거리 및 상대속도를 이용한 경보장치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경보장치를 차량에 장착한 도시도이고,
도 3은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경보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시도이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간거리 및 상대속도를 이용한 경보장치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차량에 장착되고, 레이저 광을 이용해 선행차나 장애물을 맞고 돌아오는 레이저를 입력받는 레이저 센서부(10)와;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의 운행속도를 알아내는 속도 센서부(60)와;
사용자가 스위치를 온/오프하여 기능을 선택하는 선택부(22)와;
상기 레이저 센서부(10)와, 속도 센서부(60)와, 선택부(22)로부터 각각의 해당 출력신호를 받아 분석하여 현재의 운행상태와 스위치의 선택상태를 인지하여 경고 상태인지 아닌지 판별하여 경고 상태이면 경고 신호를 출력하고, 설정된 속도에 따라 경고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부(70)와;
상기 제어장치부(70)에서 출력된 해당 신호에 의해 사용자에게 운행상태에 따른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경고장치부(82)로 이루어진다.
상기 선택부(22)는
경고장치부(82)의 작동을 사용자가 스위치로 온/오프시킬 수 있는 경보모드 선택스위치(20)와;
차량의 미등이 온되면 차량이 야간에 운행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차폭등 스위치(30)와;
1차, 2차 경고가 되는 동안 사용자가 경고를 인지하여 브레이크를 동작하는지 판단하는 브레이크 스위치(40)와;
경고장치부(82)에서 출력되는 경고음의 높고 낮음을 조절하는 볼륨 스위치(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장치부(70)는
주행속도 35KPH이상에서 경고 장치를 동작하게 하고, 운전자가 차량의 속도를 감속하여 30KPH이하가 되면 경보 장치를 중지하게 하고, 차간거리가 20KPH이하이면 경고장치를 오프시켜 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 경고장치부(82)는
운전자가 운행하고 있는 차량과 선행차와 장애물과의 차간거리를 나타내는 거리표시부(80)와;
1차, 2차 경고에도 운전자의 반응이 없으면, 자동으로 브레이크가 작동되는데 이를 나타내는 배기 브레이크 작동부(90)와;
운전자가 운행하고 있는 차량의 운행 상태가 위험 할 때 작동되는 비상등 점멸부(100)와;
운전자가 듣고, 볼 수 있게 작동하는 경보 부저/램프 출력부(110)와;
상기 경고장치 조작수단(22)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판단하여 고장이 발생하면 이를 알려주는 고장 표시부(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의한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간거리 및 상대속도를 이용한 경보장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레이저 센서부(10)에서 선행차의 반사면(D)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레이저(E)를 통해 제어장치부(70)는 전압적분에 의해 거리를 알아내고, 속도 센서부(60)를 통해 차량의 속도를 알아내어 제어장치부(70)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장치부(70)는 앞차와의 초당거리변화를 통하여 상대속도를 계산해 내고, 미리 설정된 차간거리와 상대속도에 도달하면 1차 경보, 더 위험한 경우 2차 경보를 경보장치부(82)를 통해 운전자에게 알리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차량에 장착된 경고장치부(82)는 운전자가 선택하는 스위치로 운전자가 앞차와의 거리를 근거리나 원거리로 선택할 수 있는 경보모드 선택 스위치(20)와 경보음을 조절하는 볼륨 스위치(50)를 통해 조절된다.
그리고, 야간에는 레이저광의 세기가 달라지기 때문에 이를 인지하기 위해 차폭등 스위치(30)가 온되고, 경고가 1차, 2차 나가는 동안 운전자가 이를 인지하면 브레이크를 동작시킬 것으로 알고 이를 감지하는 브레이크 스위치(40)가 동작하여 출력되는 신호를 제어장치부(70)는 입력받는다.
상기 제어장치부(70)는 앞차와의 거리가 설정된 거리와 속도에 적합한지 위험한지 판단하여 경고장치부(82)에 위험한 상태이면 경고장치를 동작하게 하여 경고음을 1차 2차로 나누어 경고 부저/램프 출력부(110)를 통해 출력한다.
1차, 2차 경고에도 운전자가 반응이 없으면 제어장치부(70)는 강제로 배기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브레이크를 작동하고, 이를 배기 브레이크 작동부(90)를 통해 알리고, 함께 비상등을 점멸하여 현 상태를 뒤에 따라 오는 차량에 알려 안전을 도모한다.
거리 표시부(80)는 앞차와의 거리를 수치로 알려주는 역할을 하며, 고장 표시부(120)는 레이저 센서부(10)가 먼지 등의 오염에 의해 더러워져 레이저 광이 발사되는 문제가 발생하거나 고장이 난 경우 이를 알려주는 역할을 하고, 속도센서부(60) 경고장치 조작부(22)의 고장도 함께 표시한다.
그리고, 경고장치는 제어장치부(70)에서 설정된 속도에 따라 주행속도 35KPH이상에서 경고 장치를 동작하게 하고, 운전자가 차량의 속도를 감속하여 30KPH이하가 되면 경보 장치를 중지하게 하고, 차간거리가 20KPH이하이면 경고장치를 오프시켜 동작이 이루어지게 하여 동작이 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이 고안의 효과는 운전자가 졸음운전이나 부주의한 운전을 하고 있을 경우 경고 장치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켜 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차량에 장착되고, 레이저 광을 이용해 선행차나 장애물을 맞고 돌아오는 레이저를 입력받는 레이저 센서부(10)와,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의 운행속도를 알아내는 속도 센서부(60)와,
    사용자가 스위치를 온/오프하여 기능을 선택하는 선택부(22)와,
    상기 레이저 센서부(10)와, 속도 센서부(60)와, 선택부(22)로부터 각각의 해당 출력신호를 받아 분석하여 현재의 운행상태와 스위치의 선택상태를 인지하여 경고 상태인지 아닌지 판별하여 경고 상태이면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장치부(70)와,
    상기 제어장치부(70)에서 출력된 해당 신호에 의해 사용자에게 운행상태에 따른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경고장치부(82)로 이루어지는 차간거리 및 상대속도를 이용한 경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어장치부(70)는
    주행속도 35KPH이상에서 경고 장치를 동작하게 하고, 운전자가 차량의 속도를 감속하여 30KPH이하가 되면 경보 장치를 중지하게 하고, 차간거리가 20KPH이하이면 경고장치를 오프시켜 동작이 이루어지게 설정된 차간거리 및 상대속도를 이용한 경보장치.
KR2019960066906U 1996-12-31 1996-12-31 차간거리 및 상대속도를 이용한 경보장치 KR1998005371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6906U KR19980053717U (ko) 1996-12-31 1996-12-31 차간거리 및 상대속도를 이용한 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6906U KR19980053717U (ko) 1996-12-31 1996-12-31 차간거리 및 상대속도를 이용한 경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3717U true KR19980053717U (ko) 1998-10-07

Family

ID=54004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6906U KR19980053717U (ko) 1996-12-31 1996-12-31 차간거리 및 상대속도를 이용한 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371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576B1 (ko) * 2007-02-28 2008-07-16 (주)한비젼 열적외선 카메라를 장착한 자동차 사이드 미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576B1 (ko) * 2007-02-28 2008-07-16 (주)한비젼 열적외선 카메라를 장착한 자동차 사이드 미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53717U (ko) 차간거리 및 상대속도를 이용한 경보장치
KR20040013758A (ko) 자동차의 제한속도 주행 알림장치
KR200164558Y1 (ko) 도로작업차량의후방감시/경보장치
KR200170183Y1 (ko) 차량의 중앙선 침범 경고장치
JPH04244439A (ja) 車両用ランプ装置
JP3590687B2 (ja) 警報装置
KR100579920B1 (ko) 야간 커브길 안전 운행방법
KR19980068847A (ko) 자동차의 안전거리 경보장치
KR910003822Y1 (ko) 차량용 안전거리감지 장치
KR20000002504U (ko) 차선변경에 의한 차량충돌 방지장치
KR200262478Y1 (ko) 차량의 사각지대 안전경보장치
KR19980083116A (ko) 신호등에 의한 차량 제동방법 및 장치
KR200377647Y1 (ko) 졸음운전 방지 및 무단차선 이탈 방지장치
KR0146579B1 (ko) 차속감응형 경고장치
KR19980083117A (ko) 차량의 추돌/충돌 방지장치
KR0131407B1 (ko) 방향 지시등 경보 장치
KR0134240Y1 (ko) 자동차의 비상등 자동 점등 장치
KR200166635Y1 (ko) 자동차의 급회전 경고장치
KR20020047400A (ko) 차량간 및 장애물과의 추돌 방지장치
KR19980020708A (ko) 후방 차량 근접 감지 장치
KR19980046911A (ko) 급커브 야간운행시 현차량의 알림장치
KR19980049569A (ko) 차량의 충돌방지경보장치 및 방법
KR19990001185A (ko) 차량 운전시 사고 다발 지역 진입 경고 장치
KR19980078769A (ko) 차량의 차로변경 가이드장치
KR19980046030A (ko) 자동차의 제동등 점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