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5028A -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5028A
KR19980025028A KR1019970049031A KR19970049031A KR19980025028A KR 19980025028 A KR19980025028 A KR 19980025028A KR 1019970049031 A KR1019970049031 A KR 1019970049031A KR 19970049031 A KR19970049031 A KR 19970049031A KR 19980025028 A KR19980025028 A KR 19980025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 cartridge
photosensitive drum
protrusion
main assembly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9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0671B1 (ko
Inventor
가즈시 와따나베
다다유끼 쯔다
신이찌 사사끼
이사오 이께모또
Original Assignee
미따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655243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998002502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미따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따라이 후지오
Publication of KR19980025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5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0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06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5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 G03G21/186Axial coup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10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 F16D1/101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without axial retaining means rotating with the coupl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5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 G03G15/757Drive mechanisms for photosensitive medium, e.g. gea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using doors or cov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7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ischarging, Photosensitive Material Shape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분리식으로 장착가능하고, 상기 주 조립체가 모터와, 상기 모터로부터의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한 주 조립체측 기어와, 비틀림 표면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기어와 실질적으로 동축인 구멍을 포함하는 구성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 상에서 작동가능한 프로세스 수단과, 상기 비틀림 표면과 결합가능하고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 단부에 제공되는 돌기로 구성되고, 상기 돌기는 비틀림이 없고, 상기 구멍 및 돌기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를 회전시키면 상기 구멍과 상기 돌기 사이의 결합을 통해 상기 기어로부터 상기 감광 드럼으로 회전 구동력이 전달된다.

Description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 발명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공정을 사용하여 기록 재료 상에 화상을 형성시킨다.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실예는 전자사진 복사기, 전자사진 프린터(레이저 비임 프린터, LED 프린터 등), 팩시밀리 장치 및 워드 프로세서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사진 감광 부재 및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또는 세척 수단을 일체로 포함하고,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해 분리식으로 장착된다. 전자사진 감광 부재와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및 세척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일체적으로 포함한다. 다른 예시로서, 전자사진 감광 부재 및 적어도 현상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사진 화상 형성 공정을 사용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전자사진 감광 부재 및 상기 전자사진 감광 부재 상에 작동 가능한 프로세스 수단을 포함하고, 화상 형성 장치(프로세스 카트리지식)의 주 조립체에 하나의 유닛으로서 분리식으로 장착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사용된다.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식에 의해, 수리공의 조력 없이도 사용자가 효과적으로 장치의 유지 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프로세스 카트리지식은 현재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널리 사용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더 나은 개선에 관한 것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식의 감광 부재용 구동 시스템은 미국 특허 제4,829,335호 및 제5,023,660호에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전자사진 감광 드럼의 회전 정확성이 개선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돌기와 구멍의 모서리 사이의 접촉에 의해 구동력이 전달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돌기와 구멍 사이의 결합이 견고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틀림 없는 돌기와 비틀림 구멍 사이의 결합에 의해 전자사진 감광 드럼에 구동력이 전달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돌기가 비틀림 표면과 결합가능하고 감광 드럼의 종방향 단부에 제공되며 비틀림되지 않고, 구멍과 돌기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주 조립체측 기어를 회전시키면 구멍과 돌기 사이의 결합을 통해 기어로부터 감광 드럼으로 회전 구동력이 전달되는 구성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돌기가 비틀림 표면과 결합가능하고 감광 드럼의 종방향 단부에 제공되며 비틀림되지 않고, 구멍과 돌기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주 조립체측 기어를 회전시키면 구멍과 돌기 사이의 결합을 통해 기어로부터 감광 드럼으로 회전 구동력이 전달되고, 돌기가 구멍에 의해 당겨지지 않는 구성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이하 첨부 도면과 관련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하면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1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수직 단면도.
도2는 도1의 장치의 외부 사시도.
도3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4는 도3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상부 우측 방향에서 본 외부 사시도.
도5는 도3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우측면도.
도6은 도3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좌측면도.
도7은 도3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상부 좌측 방향에서 본 외부 사시도.
도8은 도3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저부 좌측을 도시한 외부 사시도.
도9는 도1의 장치의 주 조립체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수용부를 도시한 외부 사시도.
도10은 도1의 장치의 주 조립체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수용부를 도시한 외부 사시도.
도11은 감광 드럼과 이 감광 드럼을 구동하는 구동 기구를 도시한 수직 단면도.
도12는 세척 유닛의 사시도.
도13은 화상 현상 유닛의 사시도.
도1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럼 플랜지(구동력 전달부)의 사시도.
도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감광 드럼의 사시도.
도1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측면 축 커플링부의 사시도.
도1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사용된 축 커플링의 사시도.
도1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제공된 구동 시스템의 단면도.
도1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제공된 축 커플링 부재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제공된 축 커플링 부재의 사시도.
도2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제공된 커플링과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제공된 축 커플링 부재의 사시도.
도2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주 조립체의 커플링부와 커버의 종단면도.
도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형 커플링 축의 구조의 측면도.
도23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거나 또는 이로부터 분리될 때 암형 커플링 축 주위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24(a) 및 도2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형 커플링 돌기 및 리세스의 축에 수직인 평면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형 커플링 돌기의 사시도.
도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형 커플링 돌기의 사시도.
도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형 커플링 돌기의 사시도.
도28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장치의 주 조립체 사이에서 축 커플링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형 커플링 돌기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학 시스템
2 : 기록 매체
3 : 운반 수단
4 : 화상 전사 롤러
5 : 정착 수단
6 : 분배 트레이
7 : 감광 드럼
8 : 대전 롤러
9 : 현상 수단
10 : 세척 수단
11 : 토너 챔버 프레임
12 :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
13 : 세척 챔버 프레임
14 : 주 조립체
16 : 안내 부재
17, 21 : 리세스부
18 : 드럼 셔터 조립체
19 : 아암부
20 : 둥근 구멍
22 : 결합 부재
A :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B : 프로세스 카트리지
C : 세척 유닛
D : 화상 현상 유닛
이 후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다음,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들이 설명될 것이다. 이후의 설명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폭 방향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거나 그로부터 제거되는 방향을 의미하고 이는 기록 매체가 운반되는 방향과 일치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길이 방향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주 조립체(14)에 장착되거나 이로부터 제거되는 방향에 교차(실질적으로는 수직)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방향은 기록 매체의 표면에 평행하고, 기록 매체가 운반되는 방향에 교차(실질적으로는 수직)하는 방향을 취한다. 또한, 좌측 또는 우측은 상기된 바와 같이 기록 매체가 운반되는 방향에 대하여 좌측 또는 우측인 것을 의미한다.
도1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레이저 비임 프린터)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수직 단면도이고, 도2는 그 외부 사시도이고, 도3 내지 도8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도면이다. 특히, 도3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이고, 도4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외부 사시도이고, 도5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우측면도이고, 도6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좌측면도이고, 도7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상부 좌측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8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저부 좌측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다음의 설명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상부 표면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4)에 있을 때 상방으로 대면하는 표면을 의미하고, 저부 표면은 하방으로 대면하는 표면을 의미한다.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A)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B)
먼저,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현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레이저 비임 프린터(A)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3은 또한 본 발명을 구현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레이저 비임 프린터(A)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공정을 통해 기록 매체(예를 들어, 기록 용지, OHP 용지 및 직물)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이 장치는 드럼 형태인 전자사진 감광 드럼(이후에는 감광 드럼이라 칭함) 상에 토너 화상을 형성한다. 특히, 감광 드럼은 대전 수단의 사용으로 대전되고, 목표 화상의 화상 데이타로 변조된 레이저 비임은 광학 수단으로부터 감광 드럼의 대전된 주연 표면 상에 투사되어 화상 데이타에 따른 잠상을 상기 표면 상에 형성하게 된다. 이 잠상은 현상 수단에 의해 토너 화상으로 현상된다. 한편, 급지 카세트(3a)에 배치한 기록 매체(2)는 토너 화상 형성과 동시에 픽업 롤러(3b), 운반 롤러 쌍(3c, 3d) 및 레지스터 롤러 쌍(3e)에 의해 반전되어 운반된다. 그 다음에, 전압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감광 드럼(7)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전사하는 수단으로서의 화상 전사 롤러(4)에 인가되어 토너 화상이 기록 매체(2) 상에 전사된다. 그 후에, 토너 화상이 전사되어 있는 기록 매체(2)는 안내 운반 장치(3f)에 의해 정착 수단(5)에 운반된다. 정착 수단(5)은 구동 롤러(5c)와, 히터(5a)를 포함하는 정착 롤러(5b)를 가지며, 기록 매체(2)가 정착 수단(5)을 통과할 때 이 기록 매체(2)에 열 및 압력을 인가하여 기록 매체(2) 상에 전사된 화상을 기록 매체(2)에 정착시키게 된다. 그 다음에, 기록 매체(2)는 계속 운반되고, 토출 롤러 쌍(3g, 3h, 3i)에 의해 반전 통로(3j)를 통해서 분배 트레이(6)에 토출된다. 분배 트레이(6)는 화상 형성 장치(A)의 주 조립체(14)의 상부에 위치한다. 피봇식 플래퍼(3k)는 기록 매체(2)를 반전 통로(3j)를 통과시키지 않고 토출하도록 토출 롤러 쌍(3m)과 협동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픽업 롤러(3b), 운반 롤러 쌍(3c, 3d), 레지스터 롤러 쌍(3e), 안내 운반 장치(3f), 토출 롤러 쌍(3g, 3h, 3i) 및 토출 롤러 쌍(3m)은 운반 수단(3)을 구성한다.
한편 도3 내지 도8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서, 감광층(7e, 도11)을 갖춘 감광 드럼(7)은 감광 드럼 대전 수단으로서의 대전 롤러(8)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자체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키도록 회전된다. 그러면, 화상 데이타로 변조된 레이저 비임이 광학 시스템(1)으로부터 노광 개구(1e)를 통해 감광 드럼(7) 상으로 투사되어 감광 드럼(7) 상에 잠상을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잠상은 토너 및 현상 수단(9)을 사용함으로써 현상된다. 특히, 대전 롤러(8)는 감광 드럼(7)을 대전시키도록 감광 드럼(7)에 접촉 관계로 배치되어 있다. 대전 롤러는 감광 드럼(7)의 회전에 의해 회전된다. 현상 수단(9)은 감광 드럼(7) 상에 형성된 잠상이 현상되도록 감광 드럼(7)의 주연 표면 영역(현상될 영역)에 토너를 공급한다. 광학 시스템(1)은 레이저 다이오드(1a), 다각형 미러(1b), 렌즈(1c), 및 편향 미러(1d)를 포함한다.
현상 수단(9)에서, 토너 용기(11A)에 내장된 토너는 토너 공급 부재(9b)의 회전에 의해 현상 롤러(9c)에 분배된다. 현상 롤러(9c)는 고정 자석을 포함한다. 또한, 현상 롤러는 마찰 전기 전하를 갖는 토너층이 현상 롤러(9c)의 주연 표면 상에 형성되도록 회전된다. 감광 드럼(7)의 화상 현상 영역에는 상기 토너층으로부터의 토너가 공급되고, 토너는 잠상을 반사하는 방식으로 감광 드럼(7)의 주연 표면 상으로 전사되어 잠상을 토너 화상으로서 가시화시킨다. 현상 블레이드(9d)는 현상 롤러(9c)의 주연 표면에 부착된 토너의 양을 조정하고 토너를 마찰 전기 대전시키는 블레이드이다. 현상 롤러(9c)에 인접한 위치에는 화상 현상 챔버 내에서 토너를 순환 교반시키도록 토너 교반 부재(9c)가 회전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감광 드럼(7)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이 토너 화상의 극성과 반대인 극성을 갖는 전압을 화상 전사 롤러(4)에 인가함으로써 기록 매체(2) 상에 전사된 후에, 감광 드럼(7) 상의 잔류 토너는 세척 수단(10)에 의해 제거된다. 세척 수단(10)은 감광 드럼(7)에 접촉 상태로 배치된 세척 블레이드(10a)를 포함하며, 감광 드럼(7) 상에 잔류하는 토너는 탄성 세척 블레이드(10a)에 의해 제거되어 폐 토너 수집기(10b)에 수집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다음 방식으로 형성된다. 먼저, 토너를 저장하는 토너 용기(토너 저장부, 11A)를 포함하는 토너 챔버 프레임(11)은 화상 현상 롤러(9c) 등의 화상 현상 수단(9)을 수납하는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에 결합되며, 그 후에 감광 드럼(7) 및 세척 블레이드(10a) 등의 세척 수단(10) 및 대전 롤러(8)가 장착되어 있는 세척 챔버 프레임(13)이 상기 두 개의 프레임(11, 12)에 결합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완성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화상 형성 장치(A)의 주 조립체(14)에 착탈식으로 장착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화상 데이타로 변조된 광 비임이 감광 드럼(7) 상에 투사되게 되는 노광 개구와, 감광 드럼(7)이 기록 매체(2)에 대향하게 되는 전사 개구(13n)를 갖추고 있다. 노광 개구(1e)는 세척 챔버 프레임(11)의 일부분이고, 전사 개구(13n)는 화상 형성 챔버 프레임(12) 및 세척 챔버 프레임(13) 사이에 위치하여 있다.
다음에는, 상기 실시예에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하우징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다음 방식으로 형성된다. 먼저, 토너 챔버 프레임(11)과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을 결합한 후에, 세척 챔버 프레임(13)을 상기 두 개의 프레임(11, 12)에 회전식으로 결합하여 하우징을 완성한다. 이 하우징에서, 상기 감광 드럼(7), 대전 롤러(8), 현상 수단(9) 및 세척 수단(10) 등이 장착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완성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4)에 마련된 카트리지 수용 수단 안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하우징 구조
상기에 설명한 것처럼 이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하우징은 토너 챔버 프레임(11),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 및 세척 챔버 프레임(13)을 결합함으로써 형성된다. 다음에는, 이렇게 형성된 하우징이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3 및 도20에서, 토너 공급 부재(9b)는 토너 챔버 프레임(11) 내에 회전식으로 장착되어 있다.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 내에 화상 현상 롤러(9c) 및 현상 블레이드(9d)가 장착되고, 현상 롤러(9c)에 인접한 위치에서는 교반 부재(9c)가 화상 현상 챔버 내의 토너를 순환 교반시키도록 회전식으로 장착되어 있다. 도3 및 도19에서,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 내에는 로드 안테나(9h)가 장착되어 현상 롤러(9c)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현상 롤러(9c)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에 설명한 방식으로 구성된 토너 챔버 프레임(11) 및 현상 챔버 프레임(12)은 함께 용접(이 실시예에서는 초음파 용접)되어, 화상 현상 유닛(D)(도13)을 구성하는 제2 프레임을 형성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화상 현상 유닛은 감광 드럼(7)이 장시간 동안 광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4)로부터 제거될 때 또는 제거된 후에 이물질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감광 드럼(7)을 덮는 드럼 셔터 조립체(18)를 갖추고 있다.
도6에서, 드럼 셔터 조립체(18)는 도3에 도시된 전사 개구(13n)를 덮거나 노출시키는 셔터 커버(18a)와, 이 셔터 커버(18a)를 지지하는 링크 부재(18b, 18c)를 갖고 있다. 기록 매체(2)가 운반되는 방향에 대한 상류측 상에는 우측 링크 부재(18c)의 일단이 도4 및 도5에 도시된 것처럼 현상 수단 기어 구멍더(40)의 구멍(40g)에 끼워지고 좌측 링크 부재(18c)의 일단은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저부(11b)의 구멍(11h)에 끼워진다. 좌측 및 우측 링크 부재(18c)의 타단들은 기록 매체 운반 방향에 대한 상류측 상에서 셔터 커버(18a)의 대응 길이 방향 단부들에 부착되어 있다. 링크 부재(18c)는 금속 로드로 되어 있다. 실제로, 좌측 및 우측 링크 부재(18c)는 셔터 커버(18a)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는데, 다시 말해서 좌측 및 우측 링크 부재(18c)는 단일편 링크 부재(18c)의 좌측 및 우측 단부들로 된다. 링크 부재(18b)는 셔터 커버(18a)의 길이 방향 일단부 상에만 마련되어 있다. 링크 부재(18b)의 일단은 링크 부재(18b)가 셔터 커버(18a)에 부착된 위치에서 기록 매체 운반 방향에 대한 하류측 상에서 셔터 커버(18a)에 부착되어 있고, 링크 부재(18b)의 타단은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의 은못(12d; dowel) 주위에 끼워진다. 링크 부재(18b)는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길이가 상이한 링크 부재(18b, 18c)들은 셔터 커버(18a) 및 토너 챔버 프레임(11)과 함께 4편의 링크 구조를 형성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 장치 안에 삽입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로부터 멀리 돌출하는 링크 부재(18c)의 부분(18c1)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4)의 카트리지 수용 공간(S)의 측벽 상에 마련된 고정 접촉 부재(도시 생략)에 접촉하게 되어 드럼 셔터 조립체(18)를 작동시켜 셔터 커버(18a)를 개방하게 된다.
셔터 커버(18a) 및 링크 부재(18b, 18c)로 구성된 드럼 셔터 조립체(18)는 은못(12d) 주위에 끼워진 도시되지 않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부터의 압력으로 장착된다. 스프링의 일단은 링크 부재(18b)에 고정되고 타단은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에 고정되어 셔터 커버(18a)가 전사 개구(13n)를 덮도록 하는 방향으로 압력이 발생된다.
도3 및 도12를 다시 참조하면, 세척 수단 프레임(13)은 세척 유닛(C)(도12)으로서의 제1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감광 드럼(7), 대전 롤러(8) 및 세척 수단(10)의 여러 부품에 끼워진다.
그 다음에, 상기 화상 현상 유닛(D) 및 세척 유닛(C)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완성하도록 결합 부재(22)를 사용하여 상호 피봇 방식으로 결합된다. 특히, 도13에서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의 양 길이 방향[현상 롤러(9c)의 축방향] 단부들은 아암부(19)를 갖추고 있는데, 이 아암부는 현상 롤러(9c)에 평행한 둥근 구멍(20)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아암부(19)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부(21)는 세척 챔버 프레임(도12)의 각각의 길이 방향 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이 아암부(19)는 리세스부(21) 내에 삽입되며, 결합 부재(22)는 세척 챔버 프레임(13)의 장착 구멍(13e) 안으로 가압되어 아암부(19)의 단부 부분의 구멍(20)을 통해서 격벽(13t)의 구멍(13e) 안으로 더욱 가압되며, 이로써 화상 현상 유닛(D) 및 세척 유닛(C)이 결합 부재(22)를 중심으로 서로 피봇될 수 있게 된다. 화상 현상 유닛(D) 및 세척 유닛(C)의 결합시에, 압축형 코일 스프링(22a)은 코일 스프링의 일단이 아암부(19)의 기부로부터 직립한 도시되지 않은 은못 주위에 끼워지고 타단이 세척 챔버 프레임(13)의 리세스부(21)의 상부벽에 대하여 가압된 상태로 두 개의 유닛들 사이에 위치한다. 그 결과,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은 현상 롤러(9c)를 감광 드럼(7) 쪽으로 하향 가압된 상태로 신뢰성 있게 유지하도록 하향 가압된다. 특히, 도13에서 현상 롤러(9c)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롤러(9i)는 현상 롤러(9c)의 각 길이 방향 단부에 부착되며, 이 롤러(9i)는 감광 드럼(7)과 현상 롤러(9c) 사이에 소정 간극(약 300 ㎛)을 유지하도록 감광 드럼(7) 상에 가압된다. 세척 챔버 프레임(13)의 리세스부(21)의 상부 표면은 화상 현상 유닛(D) 및 세척 유닛(C)이 일체로 되었을 때 압축형 코일 스프링(22a)이 점진적으로 가압되도록 경사져 있다. 즉, 화상 현상 유닛(D) 및 세척 유닛(C)은 감광 드럼(7)의 주연 표면과 현상 롤러(9c)의 주연 표면 사이의 위치 관계(간극)가 압축형 코일 스프링(22a)의 탄성력에 의해 정확하게 유지된 상태로 결합 부재(22)를 중심으로 서로를 향하여 피봇 가능하다.
압축형 코일 스프링(22a)이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의 아암부(19)의 기부에 부착되기 때문에 압축형 코일 스프링(22a)의 탄성력은 아암부(19)의 기부 이외에는 어느 위치에도 작용하지 않게 된다.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에 압축형 코일 스프링(22a)용으로 스프링 장착부가 제공되는 경우에, 스프링 시트의 인접부는 감광 드럼(7)과 현상 롤러(9c) 사이에 소정 간극을 정확하게 유지하도록 보강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에 설명한 방식으로 압축형 코일 스프링(22a)을 위치시키게 되면, 아암부(19)의 기부가 고유의 큰 강도 및 강성을 갖기 때문에 스프링 시트의 인접부, 즉 이 실시예에서는 아암부(19)의 기부 인접부를 보강할 필요가 없다.
세척 챔버 프레임(13)과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을 함께 보유하는 상기에 설명한 구조에 대하여는 나중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 안내 수단의 구조
다음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4)에 장착되거나 이로부터 제거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안내하는 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안내 수단은 도9 및 도10에 도시되어 있다. 도9는 안내 수단을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 장치(A)의 주 조립체(14)에 장착된 측면[즉, 화상 현상 유닛(D)측]으로부터 화살표(X) 방향으로 취한 좌측 사시도이다. 도10은 도9에서와 동일한 측면에서 취한 안내 수단의 우측 사시도이다.
도4, 도5, 도6 및 도7에서, 세척 프레임부(13)의 각 길이 방향 단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14)에 장착 또는 이로부터 제거될 때 안내부로서 작용하는 수단을 갖추고 있다. 이 안내 수단은 카트리지 위치 설정 안내 부재로서의 원통형 안내부(13aR, 13aL)와,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착 또는 제거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자세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회전 제어 안내부(13bR, 13bL)로 이루어져 있다.
도5에 도시된 것처럼 원통형 안내부(13aR)는 중공 원통형 부재이다. 회전 제어 안내부(13bR)는 원통형 안내부(13aR)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원통형 안내부(13aR)의 주연 표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한다. 원통형 안내부(13aR)는 원통형 안내부(13aR)에 일체로 된 장착 플랜지(13aR1)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원통형 안내부(13aR)와 회전 제어 안내부(13bR) 및 장착 플랜지(13aR1)는 장착 플랜지(13aRa)의 스크류 구멍을 관통하는 작은 나사로 세척 챔버 프레임(13)에 고정되는 우측 안내 부재(13)를 구성한다. 우측 안내 부재(13R)가 세척 챔버 프레임(13)에 고정되기 때문에 회전 제어 안내부(13bR)는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에 고정된 현상 수단 기어 구멍더(40)의 측벽에 걸쳐 연장된다.
도11에서, 드럼 축 부재는 대경부(7a2)를 포함하는 드럼 축부(7a)와 디스크형 플랜지부(29) 및 원통형 안내부(13aL)로 이루어져 있다. 대경부(7a2)는 세척 프레임부(13)의 구멍(13k1)에 끼워진다. 플랜지부(29)는 회전이 방지된 세척 프레임부(13)의 길이 방향 단부벽의 측벽으로부터 돌출하는 위치 설정 핀(13c)에 결합되며, 작은 나사(13d)를 사용하여 세척 프레임부(13)에 고정된다. 원통형 안내부(13aL)는 외향(전방 방향, 즉 도6의 용지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한다. 감광 드럼(7) 주위에 끼워진 스퍼어 기어(7n)를 회전식으로 지지하는 상기에 설명한 고정 드럼 축(7a)은 플랜지(29, 도11)로부터 내향 돌출한다. 원통형 안내부(13aL) 및 드럼 축(7a)은 동축으로 되어 있다. 플랜지(29), 원통형 안내부(13aL) 및 드럼 축(7a)은 강 등의 금속 재료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6에서, 회전 제어 안내부(13bL)는 원통형 안내부(13aL)로부터 약간 이격되어 있다. 상기 회전 제어 안내부는 원통형 안내부(13aL)의 반경 방향으로 길고 좁게 연장되며 세척 챔버 프레임(13)으로부터 길고 좁게 외향 돌출한다. 상기 회전 제어 안내부는 세척 챔버 프레임(13)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 제어 안내부(13bL)를 수용하기 위하여 플랜지(29)는 절결부를 갖추고 있다. 회전 제어 안내부(13bL)가 외향 돌출하는 거리는 그 단부 표면이 원통형 안내부(13aL)의 단부 표면과 실질적으로 같아지는 거리를 취한다. 회전 제어 안내부(13bL)는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에 고정된 현상 롤러 베어링 박스(9v)의 측벽에 걸쳐 연장된다. 상기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한 것처럼 좌측 안내 부재(13L)는 별도로 된 두 개의 조각, 즉 금속 원통형 안내부(13aL) 및 합성 수지로 된 회전 제어 안내부(13bL)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에 세척 챔버 프레임(13)의 상부면의 일부분인 조절 접촉부(13j)가 설명된다. 조절 접촉부(13j)의 이하의 설명에서 상부면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4)에 있을 때 상향으로 대면하는 표면을 의미한다.
도4 내지 도7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삽입되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대해 우측 및 좌측 전방 모서리(13p, 13q)의 바로 다음 부분들인 세척 유닛(C)의 상부면(13i)의 2개의 부분(13j)은 조절 접촉부(13j)를 구성하고, 이는 카트리지(B)가 주 조립체(14) 내로 장착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위치 및 자세를 조절한다. 달리 말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주 조립체(14)내에 장착될 때 조절 접촉부(13j)는 화상 형성 장치(도9, 도10)의 주 조립체(14)에 제공된 고정 접촉 부재(25)와 접촉하게 되고 원통형 안내부(13aR, 13aL)에 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회전을 조절한다.
다음에 주 조립체(14) 측 상의 안내 수단이 설명된다. 도1에서,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4)의 뚜껑(35)이 반시계 방향으로 지지점(35a)에 대해 피봇식으로 개방됨에 따라 주 조립체(14)의 상부가 노출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 수용부가 도9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타난다.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4)의 좌측 및 우측 내벽들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해, 지지점(35a)에 대향인 측면으로부터 경사지게 하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부재(16L, 도9)와 안내 부재(16R, 도10)가 각각 제공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부재(16L, 16R)는 안내부(16a, 16c)와, 안내부(16a, 16c)에 연결된 위치 설정 홈(16b, 16d)을 각각 포함한다. 안내부(16a, 16c)는 화살표(X)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 즉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삽입되는 방향에서 보아 경사지게 하향으로 연장된다. 위치 설정 홈(16b, 16d)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원통형 안내부(13aL 또는 13aR)의 단면과 완벽하게 상응하는 반원형 단면을 갖는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14)에 완전히 장착된 후, 위치 설정 홈(16b, 16d)의 반원형 단면의 중심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각각의 원통형 안내부(13aL, 13aR)의 축선과, 그러므로 감광 드럼(7)의 축선과 일치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착 또는 제거되는 방향에서 본 안내부(16a, 16c)의 폭은 원통형 안내부(13aL, 13aR)가 적절한 양의 간격을 갖고 그 위에서 주행할 수 있기에 충분히 넓다. 그러므로, 원통형 안내부(13aL, 13aR)의 직경보다 좁은 회전 제어 안내부(13bL, 13bR)는 원통형 안내부(13aL, 13aR)보다 안내부(16a, 16c)에서 당연히 더 느슨하게 조립되나 그 회전은 안내부(16a, 16c)에 의해 제어된다. 달리 말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착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각은 소정 범위내에 유지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4)에 장착된 후,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원통형 안내부(13aL, 13aR)는 안내 부재(13L, 13R)의 위치 설정 홈(16b, 16d)과 결합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세척 챔버 프레임(13)의, 카트리지 삽입 방향에 대한, 전방부에 위치된 좌측 및 우측 조절 접촉부(13j)는 고정 위치 설정 부재(25)와 접촉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중량 분포는 원통형 안내부(13aL, 13aR)의 축선과 일치하는 선이 수평일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화상 현상 유닛(D) 측면이 세척 유닛(C) 측면보다 더 큰 모멘트를 발생시키게 되어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4)에 이하와 같이 장착된다. 먼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원통형 안내부(13aL, 13aR)가 한 손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리세스부(17) 및 리브부(11c)를 잡는 것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4)의 카트리지 수용부의 안내부(16a, 16c)에 삽입되고, 회전 제어 안내부(13bL, 13bR)가 또한 안내부(16a, 16c)에 삽입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전방부를 삽입 방향에 대해 하향으로 기울인다. 그 후,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원통형 안내부(13aL, 13aR)와 안내부(16a, 16c)를 추종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회전 제어 안내부(13bL, 13bR)와 함께 원통형 안내부(13aL, 13aR)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4)의 위치 설정 홈(16b, 16d)에 도달할 때까지 더 깊이 삽입된다. 그 후, 원통형 안내부(13aL, 13aR)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 자체의 무게 때문에 위치 설정 홈(16b, 16d)에 안착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원통형 안내부(13aL, 13aR)는 위치 설정 홈(16b, 16d)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원통형 안내부(13aL, 13aR)의 축선과 일치하는 선은 또한 감광 드럼(7)의 축선과 일치하고, 그러므로 감광 드럼(7)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4)에 대해 적절히 정확하게 위치된다.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4)에 대한 감광 드럼(7)의 최종 위치는 2개 사이의 결합이 완료되는 동시에 일어나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 상태에서,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4)의 고정 위치 설정 부재(25)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조절 접촉부(13j)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있다. 이때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손에서 놓여진다. 그 후,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조절 접촉부(13j)가 대응 고정 위치 설정 부재(25)와 접촉할 때까지 화상 현상 유닛(D) 측면을 낮추고 세척 유닛(C) 측면을 높이는 방향으로 원통형 안내부(13aL, 13aR)에 대해 회전한다. 그 결과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4)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된다. 그 후, 뚜껑(35)이 이를 지지점(35a)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의해 닫혀진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4)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전술한 단계들이 역으로 수행된다. 더 자세하게는 먼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4)의 뚜껑(35)이 개방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전술한 상부 및 바닥 리브부(11c), 즉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손잡이 부분을 쥐고 상향으로 잡아 당겨진다. 그 후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원통형 안내부(13aL, 13aR)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4)의 위치 설정 홈(16b, 16d)에서 회전한다. 그 결과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조절 접촉부(13j)는 대응 고정 위치 설정 부재(25)로부터 분리된다. 다음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더 잡아 당겨진다. 그 후 원통형 안내부(13aL, 13aR)는 위치 설정 홈(16b, 16d)으로부터 나와서 장치의 주 조립체(14)에 고정된 안내 부재(16L, 16R)의 안내부(16a, 16c) 내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더 잡아 당겨진다. 그 후 원통형 안내부(13aL, 13aR)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회전 제어 안내부(13bL, 13bR)는 장치의 주 조립체(14)의 안내부(16a, 16c)를 통해 상향 경사지게 활주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각은 안내부(16a, 16c)가 아닌 부분과 접촉하지 않고 장치의 주 조립체(14)로부터 외측으로 완전히 이동할 수 있도록 제어된다.
도12에서, 스퍼어 기어(7n)는 감광 드럼 기어(7b)가 끼워지는 곳의 반대측 단부인 감광 드럼(7)의 길이 방향 단부 중 하나의 주위에 끼워진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14)에 끼워짐에 따라 스퍼어 기어(7n)는 장치의 주 조립체에 위치된 화상 전사 롤러(4)와 동축인 기어(도시되지 않음)와 맞물리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로부터 전사 롤러(4)로 전사 롤러(4)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전달한다.
커플링 및 구동 구조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프로세스 카트리지로의 구동 전달 기구인 축 커플링 장치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14는 수형 커플링 축(17)과 일체인 구동력 전달부로서의 드럼 플랜지(16)의 사시도이고, 도15는 드럼 플랜지(16)에 장착된 감광 드럼(7)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16은 도11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수형 커플링 축(17) 주위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17은 축 커플링 부재로서의 수형 커플링 축[17;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 제공됨]과 암형 커플링 축[18; 주 조립체(14)에 제공됨] 사이의 관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11, 도15 내지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 축 커플링 수단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 장착된 감광 드럼(7)의 하나의 종방향 단부에 제공된다. 축 커플링 수단은 감광 드럼(7)의 일단부에 고정된 드럼 플랜지(16) 상에서 수형 커플링 축(17)의 형태(원형 컬럼 형상)이고, 수형 커플링 축(17)의 자유 단부에 형성된 돌기(17a)를 갖는다. 수형 커플링 축(17)은 베어링(24)과 드럼 축으로서의 축 수용부(24s)에 결합된다. 이 예에서, 드럼 플랜지(16), 수형 커플링 축(17) 및 돌기(17a)는 일체식으로 형성된다. 드럼 플랜지(16)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 내의 현상 롤러(10d)에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나선형 드럼 기어(16a)가 일체식으로 제공된다. 그러므로,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플랜지(16)는 나선형 기어(16a), 수형 커플링 축(17), 및 돌기(17a)와 이 후에 설명되는 결합 부재(16b)를 갖고 플라스틱 수지 재료로 제작된 일체형 주조품이며,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 구동력 전달부를 구성한다.
돌기(17a)는 비틀림 없는 프리즘의 형상을 갖고, 특히 실질적인 정삼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돌기(17a)와 결합가능한 리세스(18a)는 실질적인 정삼각형의 단면을 갖는 비틀림 구멍이다. 리세스(18a)는 장치의 주 조립체(14)에 제공된 큰 기어(34)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이 실시예의 구조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주 조립체(14)에 장착되고, 주 조립체(14)의 돌기(17a) 및 리세스(18a)는 서로 결합하게 된다. 회전력이 리세스(18a)로부터 돌기(17a)에 전달될 때, 돌기(17a)의 정삼각형 프리즘의 모서리 라인들은 유입부에서 리세스(18a)의 정삼각형의 모서리(18al)와 접촉하게 된다. 그러므로, 축들은 실질적으로 정렬된다(도24, 도28 참조). 상술된 바와 같이, 주 조립체(14)의 장치 안내 부재(15) 상에 제공된 겹판 스프링(41)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감광 드럼(7)의 축 방향으로 구동 측면을 향해 가압된다. 따라서, 돌기(17a)와 일체인 감광 드럼(7)은 주 조립체(14)에서 종방향 및 방사상 방향으로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배치된다. 겹판 스프링(41)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삼차원 부재의 단면의 위치는 이론상으로 그의 축에 수직인 평면 내의 세개의 접촉점에 의해 안정적으로 결정된다. 돌기(17a)의 접촉 위치(17al)가 평면에서 실질적인 정삼각형의 정점에 있을 때, 그리고 리세스(18a)의 단면 형상이 실질적인 정삼각형일 때, 돌기(17)의 접촉부(17al)는 동일 조건하에서 리세스(18a)의 정삼각형의 유입 모서리(18al)에 접촉된다. 그러므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회전 동안 부하 변동에 기인하는 접촉점의 변경과 커플링 구동의 일정하지 않은 회전은 최소화되고, 따라서 감광 드럼(7)의 회전 정확성을 개선시킨다.
도28은 돌기(17a)와 리세스(18a) 사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다. 도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력이 리세스(18a)로부터 돌기(17a)로 전달될 때, 돌기(17a)의 기부의 인접부[17a3; 자유 단부(17a2)보다 축부(17)에 더 밀접한 부분]는 리세스(18a)의 유입구(18a3)의 코너부(모서리; 18a4)에 접촉된다. 돌기(17a)는 리세스(18a)의 경사 표면(18al)에 접촉되지 않는다. 이 방식에서, 삼각형 프리즘(17a)은 리세스(구멍; 18a)와 결합되고, 구멍(18a)은 회전된다. 따라서, 삼각형 프리즘(17a)의 기부(17a3)는 구멍에 대한 그의 위치가 결정되도록 구멍(18a)의 유입구(18a3)에서 코너부(18a4)까지 접촉된다. 기부는 다른 부분보다 큰 강도를 가지므로, 삼각형 프리즘(돌기)은 변형되지 않는다. 삼각형 프리즘의 코너부 및/또는 구멍에 대한 유입구의 코너부는 코너부가 구멍의 내부 표면에 맞물리도록 국부적으로 변형된다. 그러므로, 리세스와 구멍 사이의 커플링은 견고하다. 유익한 효과는 커플링부가 플라스틱 수지 재료로 제작될 때 탁월하다.
수형 커플링 축(17)과 돌기(17a)는 드럼 플랜지(16)가 감광 드럼(7)의 일단부에 장착될 때 이들이 감광 드럼(7)과 동축으로 되도록 드럼 플랜지(16) 상에 제공된다. 지적된 결합부는 드럼 실린더(7a)의 내부 표면과 결합가능하다. 감광 드럼(107)에 대한 드럼 플랜지(16)의 고정은 클림핑(crimping) 또는 본딩에 의할 수 있다. 드럼 실린더(7a)의 주연은 감광층(7b)으로 피복된다(도11 및 도15 참조).
드럼 플랜지(25)는 감광 드럼(7)의 다른 측면에 고정된다. 스퍼어 기어(25b)는 드럼 플랜지(25)와 일체식으로 주조된다. 드럼 플랜지(25)는 세척 프레임(12c)에 고정된 플랜지(29)와 일체형인 드럼 축(7d)과 회전식으로 결합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주 조립체(14)에 장착될 때, 드럼 축(7d)과 동축인 원통형 안내부(9al)는 주 조립체(14)의 U형 홈(15b; 도9)과 결합되고, 드럼 플랜지(25)와 일체식으로 주조된 스퍼어 기어(25b)는 전사 롤러(4)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도시되지 않음)과 결합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암형 커플링 축(17)의 돌기(17a) 주위에는, 세척 프레임(12c) 내의 수형 축(17)과 동심인 중공형 원통 보스(24a)가 제공된다(도4, 도11 및 도16 참조).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주 조립체에 장착 또는 제거될 때, 수형 커플링 돌기(17a)는 보스(24a)에 의해 보호되고, 그러므로 그에 대한 손상 또는 변형 가능성은 감소된다. 따라서, 커플링 구동 작동 동안 돌기(17a)의 손상에 기인된 진동 또는 요동은 피할 수 있다.
드럼 플랜지(16, 25), 축(17) 및 돌기(17a)의 재료의 예는 폴리아세탈,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다른 수지 재료를 포함한다. 다른 재료도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보스(24a)는 또한 주 조립체(14)에 장착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 적합한 원통형 안내부(9aR)로서 기능을 나타낸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보스(24a) 및 주 조립체측 안내부(15c)는 이웃하고, 보스(24a)는 장착 위치에 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장착에 적합한 안내 부재로서도 기능을 나타내어, 장치의 주 조립체(14)에 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착탈을 용이하게 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착 위치에 장착될 때, 상기 보스(24a)는 안내부(15c)에 제공된 리세스인 U 홈(15d)에 의해 지지된다. 수형 커플링 축(17)과 암형 축(18)이 화상 형성 작업 시 적용된 구동력에 의해 축 방향으로 정렬될 때, 보스(24a)는 홈(15d)으로부터 약간 상승(약 0.3 내지 1.0)되고, 여기에서 보스(24a)와 주 조립체 안내부[15c; U 홈(15d)] 사이의 간극은 수형 커플링 돌기(17a)와 리세스(18a) 사이의 간극보다 작다. 그러므로, 수형 커플링 돌기(17a)와 리세스(18a) 사이의 결합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 장착되는 상태로 가능할 수 있다. 리세스(18a)는 홈(15d)의 후방부에 제공된다. 보스(24a)의 형상은 이 실시예의 원통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안내부(15c)에 의해서 안내될 수 있고 홈(15d)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면 필수적으로 완전한 원통형이 아니고 부분 원통형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원통형 보스(24a)와 수형 커플링 축(17)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24)은 일체식으로 주조되고,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세척 프레임(12c)에 나사 체결(도시되지 않음)되고, 베어링(24)과 보스(24a)는 분리형 부재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드럼 플랜지(25)는 세척 프레임(12c; 도11)에 제공된 드럼 축(7d)과 결합되고, 수형 커플링 축(17)은 세척 프레임(12c)에 제공된 베어링(24)의 내부 표면과 결합되고, 이 상태에서 감광 드럼(7)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세척 프레임(12c)에 장착된다. 따라서, 감광 드럼(7)은 드럼 축(7d)과 수형 커플링 축(17) 주위에서 회전된다. 이 실시예에서, 감광 드럼(7)은 축 방향 이동용으로 세척 프레임(12c)에 장착된다. 이것은 장착 여유를 고려하여 수행된다. 이것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감광 드럼(7)은 축방향(예를 들어, 이 후에 유용하게 설명될 축 방향에서 감광 드럼의 배치)으로 이동할 수 없다.
다른 한편으로,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4)에는 주 조립체측 커플링 장치가 제공된다. 주 조립체측 커플링 장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측 축 커플링 부재와 결합하여 회전할 때 감광 드럼의 축과 회전축이 동축인 위치에서 암형 커플링 축(18; 원형 컬럼 형상)을 갖는다. 암형 커플링 축(18)은, 도11 및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30)로부터 감광 드럼(7)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큰 기어(34)와 일체로 된다. 암형 커플링 축(18)은 큰 기어(34)의 회전 중심에서 큰 기어(34)의 측 단부로부터 돌출된다. 이 실시예에서, 큰 기어(34) 및 암형 커플링 축(18)은 주형에 의해 일체식으로 제작된다.
주 조립체(13)에 제공된 큰 기어(34)는 나선형 기어이다. 나선형 기어가 도11 및 도18에 도시된 모터(30)의 축(30a)에 고정된 나선 형태인 작은 기어(20)로부터의 구동력을 수용할 때, 수형 축(17)을 향해 암형 커플링 축(18)을 이동시키도록 작용하는 추력(thrust force)은 나사 이의 경사 방향과 각도에 기인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모터(30)가 화상 형성에 적합하게 구동될 때, 암형 커플링 축(18)은 리세스(18a)와 돌기(17a) 사이의 결합을 보조하도록 추력에 의해 수형 축(17)을 향해 이동된다. 리세스(18a)는 암형 커플링 축(18)의 자유 단부와 암형 커플링 축(18)의 회전 중심에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구동력은 모터 축(30a)에 고정된 작은 기어(20)로부터 큰 기어(34)로 직접 전달되지만, 이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감속 구동 전달을 효과적으로 나타내도록 기어열, 한 쌍의 마찰 롤러, 타이밍 벨트 및 풀리의 조합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개방가능 커버와 축 커플링 사이의 상호 연관 장치
도21 내지 도23을 참조하면, 개방가능 커버(14)의 밀폐 작동과 상호 관련된 리세스(18a)와 돌기(17a) 사이의 결합에 적합한 구조가 도시된다.
도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판(40)은 주 조립체(14) 내에서 큰 기어(34)와 측면판(39) 사이에 고정되고, 큰 기어(34)와 동축 방향으로 일체형인 암형 커플링 축(18)은 측면판(39, 4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외부 캠(35)과 내부 캠(36)은 큰 기어(34)와 측면판(40) 사이에 밀접하게 삽입된다. 내부 캠(36)은 측면판(40)에 고정되고, 외부 캠(35)은 암형 커플링 축(18)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축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이고 서로 대면하는 외부 캠(35)과 내부 캠(36)의 표면들은 캠 표면들이고, 암형 커플링 축(18)과 동축인 스크류 표면들이며, 서로 접촉된다. 큰 기어(34)와 측면판(39) 사이에서 압축 코일 스프링(38)은 암형 커플링 축(18) 주위에서 압축되고 끼워 맞춤된다.
도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35a)은 외부 캠(35)의 외주연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되고, 아암(35a)의 단부는 개방가능 커버(14)가 밀폐될 때 개방측으로부터 대향하는 위치에서의 핀(37a, 37b)에 의해 링크(37)의 단부와 체결된다.
도22는 도21의 우측에서 본 도면이다. 개방가능 커버(14)가 밀폐될 때, 링크(37), 외부 캠(35) 등은 수형 커플링 돌기(17)와 리세스(18a)가 큰 기어(34)로부터 감광 드럼(7)으로 구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도면에 도시된 위치에 있다. 개방가능 커버(14)가 개방될 때, 핀(37a)이 축(14a) 주위를 상방으로 회전되어 아암(35a)은 링크(37)를 통해 상부로 당겨지고, 외부 캠(35)은 회전되며, 따라서 상대적인 활주 구동이 감광 드럼(7)으로부터 멀리 큰 기어(34)를 이동시키도록 외부 캠(35)과 외부 캠(36) 사이에서 야기된다. 이때, 큰 기어(34)는 외부 캠(35)에 의해서 당겨지고, 측면판(39)과 큰 기어(34) 사이에 장착된 압축 코일 스프링(38)에 대항하여 이동되고, 이에 의해 암형 커플링 리세스(18a)는 도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을 해제하도록 수형 커플링 돌기(17a)로부터 결합 해제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분리가능한 상태로 가져온다.
이와 반대로, 개방가능 커버(14)가 밀폐될 때, 링크(37)를 개방가능 커버(14)와 연결시키는 핀(37a)은 축(34a) 주위를 하향으로 회전된다. 링크(37)가 아암(35)을 아래로 밀도록 하향으로 이동되어, 외부 캠(35)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고 압축 코일 스프링(38)에 의해 밀려진다. 이에 의해서, 큰 기어(34)는 도23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22에 도시된 위치로 스프링(38)에 의하여 좌측으로 이동되어, 큰 기어(43)는 도22의 위치에 다시 설정되고, 암형 커플링 리세스(18a)는 구동 전달 상태를 다시 설정하도록 수형 커플링 돌기(17a)와 결합된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탈착가능한 상태 및 구동 전달 상태는 개방가능 커버(14)의 개방 및 밀폐에 응답하여 설정된다. 외부 캠(35)이 큰 기어(34)를 도23의 위치로부터 좌측으로 이동시키도록 개방가능 커버(14)의 밀폐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때, 암형 커플링 축(18)과 수형 커플링 축(17)의 단부 표면은 수형 커플링 돌기(17a)와 암형 커플링 리세스(18a)가 서로 결합되지 않도록 서로 이웃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이 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A)의 작동 개시와 함께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14)에 장착 및 탈착될 때, 개방가능 커버(14)는 개방된다. 개방가능 커버(14)의 개방 및 밀폐의 상호 관련하여, 암형 커플링 리세스(18a)는 수평 방향[화살표(j) 방향]으로 이동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주 조립체(14)에 장착 또는 제거될 때, 주 조립체(14)의 커플링(17a, 18a)과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결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주 조립체(14)에 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착탈은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암형 커플링 리세스(18a)는 압축 코일 스프링(38)에 의해 가압되는 큰 기어(34)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향해 가압된다. 수형 커플링 돌기(17a)와 리세스(18a)는 결합하게 되고, 이들은 서로 이웃하며, 그러므로 이들은 적절하게 결합되지 않는다. 그러나,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주 조립체(14)에 장착된 후에 모터(30)가 먼저 회전될 때, 암형 커플링 리세스(18a)는 회전되고, 이에 의해 이들은 순간적으로 결합된다.
수형 커플링 축 및 암형 축
축 커플링 기구에서 돌기(17a)와 리세스(18a)의 기능이 설명될 것이다.
주 조립체(14)에 제공된 암형 커플링 축(18)은 방사상 방향이 아니라 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도록 지지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감광 드럼(7)의 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주 조립체(14)에 장착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14)에 장착될 때, 감광 드럼(7)의 다른 종방향 단부에 장착된 드럼 플랜지(25)를 지지하는 드럼 축(7d; 도11)과 동축인 원통형 안내부(9al)는 간극없이 주 조립체(14)의 수용부 내의 U 홈(15b; 도9)으로 유입하고 정확하게 위치 설정되며, 드럼 플랜지(25)와 일체식으로 주조된 스퍼어 기어(25b)는 전사 롤러(4)에 구동력을 전달하기에 적합한 기어(도시되지 않음)와 맞물림 결합하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감광 드럼(7)의 일 종방향 단부(구동측)에서, 세척 프레임(13) 상에 형성된 보스(24a)는 주 조립체(14)에 제공된 U 홈(15d)에 의해 지지된다.
개방가능 커버(14)를 밀폐시킴으로써, 암형 커플링 축(18)은 수형 커플링 축(17)을 향해 이동되고, 돌기(17a)와 리세스(18a) 사이의 위상이 정렬되면, 리세스(18a)는 축 방향에서 돌기(17a)와 결합된다. 이때, 위상이 정렬되지 않으면, 수형 커플링 축(17)의 단부 표면(17a2)은 암형 커플링 축(18)의 단부 표면과 이웃하고 압축 코일 스프링(38)의 복원력에 의해 밀려진다.
따라서, 구동측 축 커플링 부재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구동 모터(30)가 회전되면, 암형 커플링 축(18)은 돌기(17a)와 리세스(18a) 사이의 위상이 정렬(위상 정렬은 이 실시예에서 각각 120°회전에 도달됨)될 때 압축 코일 스프링(38)의 복원력에 의해 진행되고, 이들은 서로 결합하게 되며, 회전력은 주 조립체(14)로부터 프로세스 카트리지(B)로 전달된다.
돌기(17a)는, 도2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18a)의 구역(실질적인 정삼각형)이 돌기(17a)보다 크기 때문에, 축 커플링이 간극과 결합할 때 리세스(18a)로 완만하게 유입한다. 따라서, 수형 커플링 축(17)과 암형 커플링 축(18) 사이의 정적 위치 설정 정확성은 엄격하게 요구되지 않고 대략적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술된 원통 보스(24a)의 돌출 길이는 돌기(17a)의 돌출 길이보다 크다(도11). 돌기(17a)와 리세스(18a)가 결합될 때, 원통 보스(24a)의 내부 표면은 그들 사이의 결합에 적합한 안내부로서 기능을 나타내도록 암형 커플링 축(18)의 외주연 표면과 결합된다.
돌기(17a)가 리세스(18a)에 유입한 후 암형 커플링 축(18)이 회전될 때, 리세스(18a)의 유입부에서의 모서리(18al)와 돌기(17a)의 접촉부(17al)는 구돌력 전달을 허용하도록 이웃된다. 이때, 수형 커플링 축(17)은 리세스(18a)의 유입부에서 모서리(18al)와 돌기(17a)의 접촉부(17al)가 균일하게 접촉하도록 순간적으로 이동(도24a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도24b에 도시된 상태까지)한다. 접촉부(17al)는 실질적인 정삼각형 형상의 각각의 정점 포인트에 존재하므로, 수형 커플링 축(17)과 암형 축(18)은 접촉력이 실질적으로 균일할 때 동축으로 된다. 특히, 돌기(17a)가 리세스(18a)에 유입하자 마자, 돌기(17a)의 중심(X1)과 리세스(18a)의 중심(X2)은 정렬되지 않는다(도24a). 리세스(18a)가 회전을 시작할 때, 그의 내부 측면은 돌기(17a)의 세개의 접촉부(17al)에 접촉되고, 따라서 중심(X1, X2)은 실질적으로 정렬된다(도24b).
이 구조체에 있어서, 자동 축 정렬은 모터(30)의 작동시에 수형 커플링 축(18)과 암형 축(18) 사이에서 수행된다. 감광 드럼(7)으로 구동력의 전달에 의해, 회전력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 적용된다. 이에 의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세척 프레임(12c)의 상부 표면에 제공된 접촉부[9j; 도4 및 도7]는 주 조립체(14)에 고정식으로 제공된 접촉부(26)에 이웃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주 조립체(14)에 대해 정확하게 배치된다.
구동력이 전달되지 않을 때(화상 형성 작업이 수행되지 않을 때), 간극은 화상 형성 장치와 리세스(18a) 사이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형성되고, 축 커플링의 결합 및 결합 해제와 주 조립체(14)에 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착탈은 용이해진다. 구동이 수행될 때, 가압력은 안정적으로 되고 여유 또는 진동은 억제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수형 커플링 돌기와 리세스는 실질적으로 정삼각형 형상을 갖지만, 동일한 효과는 이들이 실질적으로 정다각형 형상이고 돌기가 암형 커플링 리세스의 형상에 상응하는 접촉점을 가질 때 제공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정다각형 형상은 위치 설정이 높은 정확성으로 효과적일 수 있으므로 바람직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다른 다각형 형상도 축 정렬이 축력으로 설정되도록 형상이 존재한다면 유용하다.
수형 커플링 돌기와 리세스가 비교될 때, 돌기는 자연적으로 용이하게 손상을 받고 돌기의 강도는 리세스보다 약하다. 이런 관점에서, 이 실시예는 수형 커플링 돌기가 호환성 프로세스 카트리지(B)로 제공되고 암형 커플링 리세스가 프로세스 카트리지보다 더 양호한 내구성을 구비하도록 요구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4)에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다.
일예로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취하면, 이 실시예는 다음으로 요약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기록 재료(2)의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A)의 주 조립체(14)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장착가능하고, 상기 장치는 모터(30)와, 모터(30)로부터의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한 큰 기어(34)와, 큰 기어(34)와 일체식으로 회전가능한 프리즘 형상의 구멍의 형태인 리세스(18a)로 구성되고, 상기 구멍은 상기 큰 기어(34)의 중심부에 있다.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전자사진 감광 드럼(7)과, 전자사진 감광 드럼(7) 상에서 작동가능한 프로세스 수단[대전 롤러(8), 현상 롤러(10d), 세척 블레이드(11a)]와, 리세스(18a)와 결합가능하고 리세스의 내부 표면과 접촉가능한 돌기(17a)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14)에 장착되고, 큰 기어(34)가 리세스(18a)와 결합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B)와 함께 회전될 때, 수형 커플링 축(17)과 암형 축(18)이 사실상 축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에서 회전력은 큰 기어(34)로부터 전자사진 감광 드럼(7)으로 전달된다.
돌기(17a)는 감광 드럼(7)의 종방향으로 감광 드럼(7)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수형 커플링 축(17)의 자유 단부로부터 돌출된다. 여기에서, 수형 커플링 축(17)은 세척 프레임(12c) 상에 감광 드럼(7)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수형 커플링 축(17)은 기어의 일측면 상의 나선형 기어(16a)의 중심에 제공되고, 나선형 기어(16a)의 대향 측면에는 전자사진 감광 드럼(7)의 내부 표면과 결합하기에 적합한 결합부(16b)가 제공된다. 돌기(17a)와, 수형 커플링 돌기(17)와, 나선형 기어(16a)와, 결합부(16b)는 수지 재료로 일체식으로 주조된다.
돌기(17a)를 둘러싸는 원통형 보스(24a) 또는 돌기(17a)의 일부를 따라 연장된 아치 형상 보스가 제공된다. 보스(24a)는 리세스(18a)와 돌기(17a) 사이의 상대적 구동을 부여하여 이들 사이의 결합에 적합한 원통형 안내부(9aR)로서 작용한다.
특정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장치의 주 조립체(14)의 큰 기어(34)의 모듈은 0.4 내지 0.7이다. 큰 기어(34)의 이뿌리(dedendum) 직경은 약 30 mm 내지 150 mm이고, 큰 기어(34)의 치수는 약 40 내지 400개이다. 형체는 주 조립체(14)의 공간, 화상의 요구된 품질을 고려하여 본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형체는 제한적이지 않다. 이 실시예에서, 큰 기어(34)의 모듈은 0.5이고, 이뿌리 직경은 약 100이고, 치수는 200개이다.
화상 형성(구동 전달) 동안 주 조립체(14)에 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위치 설정은 다음으로 요약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주 조립체(14)에 장착될 때 주 조립체(14)의 카트리지 장착부에 대한 카트리지 프레임의 결합에 의해 종방향으로 배치된다. 수직 방향에서, 원통형 안내부(9aL)는 그 방향에서 정확하게 배치되도록 U 홈(15b)에 끼워 맞춤된다. 다른 한편으로, 보스(24a)는 수용부 내의 U 홈(15b)에 간단히 지지된다. 화상 형성 작업(구동 전달) 동안,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돌기(17a)와 리세스(18a)가 서로 결합되고 축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보스(24a)는 홈(15d)으로부터 멀어진다. 주 조립체의 개방가능 커버(14)가 밀폐될 때, 암형 커플링 축(18)은 수형 축(17)을 향해 이동된다. 주 조립체 모터(30)가 회전될 때, 돌기(17a)와 리세스(18a)는 그들 사이에 축 방향으로 정렬되어 결합되고, 축 방향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감광 드럼(7)의 일단부에서의 U 홈(15d)에 의해서 그리고 타단부에서의 회전 리세스(18a)에 의해서 배치된다. 감광 드럼(7)은 조립 여유를 고려하여 그의 종방향으로 (약 0.1 mm 내지 1 mm 정도) 이동가능하다. 감광 드럼(7)이 종방향 이동에 적합하게 지지될 때, 그의 축방향은 상술된 바와 같이 세척 프레임(12c)에 상대적으로 결정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조립 여유의 관점에서 주 조립체의 판[장착 안내부(15a)]에 대해 (약 0.1 mm 내지 3 mm 정도) 이동하기에 적합하게 주 조립체에 장착되고, 감광 드럼(7)의 방사상 방향으로 이동된다.
화상 형성 작업 동안,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감광 드럼(7)의 회전 방향의 회전력을 수용하고, 이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인접부(9j)는 주 조립체(14) 내의 인접부로서 작용하는 고정 부재(26)에 이웃된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화상 형성 작업 동안 종방향 및 방사상 방향으로 장치의 주 조립체(14)에 대해 정확하게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수형 커플링 축(17)의 돌기(17a)와 암형 커플링 축(18)의 리세스(18a)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실질적으로 정삼각형 프리즘이다. 예를 들어, 대안으로 리세스(18a)는 구멍수의 측면을 갖는 다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고, 돌기(17a)는 동일 수의 등변 측면을 갖는 변형된 원형(둥근 정점을 갖는 삼각형과 같음)을 가질 수 있고, 돌기(17a)는 프리즘 모서리 라인을 가질 수 있고, 모서리 라인들 사이의 일부는 예를 들어 단면이 홈형 원형인 중심을 향한 오목형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수형 커플링 축(17)의 돌기(17a)와 암형 커플링 축(18)의 리세스(18a)의 형상은 이들 중 하나만이 완전한 비틀림 프리즘 형상이 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드럼 플랜지(16)와 수형 커플링 축(17)은 서로 일체형이지만, 수형 커플링 축(17)은 분리식으로 제작된 후, 드럼 플랜지(16) 상에 장착될 수도 있다.
돌기(17a)의 예가 설명될 것이다.
도25에서, 실질적으로 삼각형 피라미드 돌기(17a)가 수형 축(17)의 단부에 제공된다. 이 경우에, 구동력이 전달될 때, 돌기(17a)의 기부는 리세스(18A)의 유입부가 실질적으로 삼각형이므로 구멍의 유입구의 코너부에 이웃될 수 있다. 돌기(17A)는 리세스(18a)의 경사 표면에 접촉되지 않는다.
도26에서, 수형 축(17)의 단부에는 실질적으로 삼각형 프리즘(17a8)인 돌기(17a)가 제공된다. 이 예에서, 삼각형 프리즘(17a8)의 일부는 리세스(18a)의 유입부의 코너에 접촉된다. 삼각형 피라미드 일부는 리세스(18a)의 경사 표면에 접촉되지 않는다.
도27에서, 돌기(17a)는 실질적으로 삼각형 프리즘이고, 모서리 라인은 둥글다. 도28을 참조하면, 수형 커플링 축(17)의 돌기(17a)와 암형 커플링 축(18)의 리세스(18a)의 다른 예가 설명될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돌기(17a)의 형상은 비틀림 없는 직사각형 프리즘이고, 돌기(17a)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리세스(18a)는 비틀림 직사각형 프리즘으로 이루어진 구멍이다(도28). 리세스(18a)의 비틀림 방향은 감광 드럼(7) 측면으로부터 주 조립체(14)의 외부면을 향한 회전 방향과 반대이다. 주 조립체(14)에 제공된 돌기(17a) 및 리세스(18a)가 결합된 후 리세스(18a)의 회전력이 돌기(17a)로 전달될 때, 돌기(17a)의 기부와 리세스(18a)의 유입부의 코너는 구동력 전달이 안정되도록 접촉된다.
이 실시예에서, 돌기(17a)는 직사각형 프리즘이고, 리세스(18a)는 비틀림 구멍이지만, 이것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다른 프리즘 형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리세스(18a)의 비틀림 방향은 구멍의 유입부로부터 깊이를 향한 기어의 회전 방향과 반대이다.
구멍(돌기)의 비틀림 정도는 1 mm 축 길이당 1°내지 15°회전 방향이다.
이 실시예에서, 구멍의 깊이는 약 4 mm이고, 비틀림 정도는 약 30°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돌기(17a)는 비틀림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돌기(17a)는 구동력이 암형 축(18)으로부터 전달될 때 구멍(18a)의 유입부에 접촉된다. 돌기(17a)는 구멍(18)의 경사 표면에 이웃되지 않는다. 비틀림 없는 돌기(17a)와 비틀림 구멍(18a) 사이의 결합에 의해 구멍(18a)은 회전된다. 따라서, 돌기(17a)의 기부는 구멍(18)에 대한 그의 위치가 결정되는 구멍의 유입부(18a)에 접촉된다. 기부는 다른 부분보다 큰 강도를 갖고 그러므로 돌기(17a)는 변형되지 않는다. 돌기(17a)의 코너부 및/또는 구멍(18a)의 유입부의 코너부의 인접부는 국부적으로 약간 변형되고, 구멍의 내부 표면과 맞물린다. 그러므로, 리세스와 구멍 사이의 체결은 견고해진다. 이 장점은 이들이 플라스틱 수지 재료로 제작될 때 탁월하다.
상술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돌기는 주 조립체 내에 제공될 수 있고, 구멍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상술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력은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단색 화상을 형성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로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필요한 효과를 갖고 다수 색상(예를 들어, 두개의 토너 화상, 세개의 토너 화상, 총 칼라 화상 등)으로 구성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현상 수단으로 이루어진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적용될 수 있다.
전자사진 감광 부재는 감광 드럼(7)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다음 형태가 포함될 수 있다. 먼저, 감광 재료에 관하여는, 비정질 실리콘, 비정질 셀레늄, 아연 산화물, 티타늄 산화물, 유기성 광전도체(photoconductor) 등과 같은 광전도 재료가 포함될 수 있다. 감광 재료가 배치되는 베이스 부재의 형상에 관하여는, 드럼 또는 벨트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럼 형태의 감광 부재는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형성된 실린더와, 실린더 상에 증착되거나 피복된 광전도층으로 구성된다.
화상 현상 방법에 관하여, 다양한 공지된 방법들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성분의 자기 브러시식 현상 방법, 캐스케이드식 현상 방법, 터치 다운식 현상 방법, 클라우드식 현상 방법 등.
또한, 이 실시예에서, 소위 접촉식 대전 방법이 사용되지만, 분명하게는 이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상이한 구조를 갖는 대전 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종래 구조체들 중 하나에서, 텅스텐 와이어는 알루미늄 등으로 제작된 금속성 차폐부에 의해 삼면이 둘러싸이고, 텅스텐 와이어에 고전압을 적용시킴으로써 발생된 양 또는 음이온이 감광 드럼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키도록 감광 드럼의 표면으로 전달된다.
대전 수단은 롤러의 형태로 되는 것에 부가하여, 블레이드(대전 블레이드), 패드, 블록, 로드, 와이어 등의 형태로 될 수 있다.
감광 드럼 상의 잔존 토너를 세척하기 위한 방법에 관하여, 블레이드, 모피 브러시, 자석 브러시 등이 세척 수단용 구조 부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력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전자사진 감광 드럼으로 확실하게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조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개시된 상세부에 한정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개선 목적 또는 범주 내에 포함되는 바와 같은 수정 또는 변형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수형 커플링 축의 돌기와 암형 커플링 축의 리세스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전자사진 감광 드럼으로 구동력을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Claims (71)

  1.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분리식으로 장착가능하고, 상기 주 조립체가 모터와, 상기 모터로부터의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한 주 조립체측 기어와, 비틀림 표면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기어와 실질적으로 동축인 구멍을 포함하는 구성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 상에서 작동가능한 프로세스 수단과,
    상기 비틀림 표면과 결합가능한 돌기로 구성되고,
    상기 돌기는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 단부에 제공되고, 비틀림이 없으며, 상기 구멍 및 돌기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를 회전시키면, 상기 구멍과 돌기 사이의 결합을 통해 상기 기어로부터 상기 감광 드럼으로 회전 구동력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멍의 유입부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구멍의 경사 표면에 접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실질적으로 프리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은 실질적으로 삼각형 프리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6.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실질적으로 피라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라미드는 삼각형 피라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8.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그의 단부에 실질적으로 피라미드 형상을 갖는 실질적인 프리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은 실질적으로 삼각형 프리즘이고, 상기 피라미드는 삼각형 피라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은 모서리가 둥근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1.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플랜지 부재 상에 제공되고, 상기 플랜지 부재는 상기 감광 드럼의 내부 표면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와, 카트리지 프레임 상에 드럼을 지지하기 위한 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축부의 한 단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부재에는 상기 프로세스 수단으로서의 현상 롤러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축부, 돌기 및 기어는 플라스틱 수지 재료로부터 일체식으로 주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수단은 상기 감광 드럼을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 부재와, 상기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와, 상기 감광 드럼 상에 잔류하는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5. 기록 재료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분리식으로 장착가능하고, 상기 주 조립체가 모터와, 상기 모터로부터의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한 구동 회전 부재와, 비원형 단면을 갖고 상기 구동 회전 부재의 회전축과 실질적으로 동축인 비틀림 리세스를 포함하는 구성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회전가능한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 상에서 작동가능한 프로세스 수단과,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 단부에 제공되고 비원형 단면을 구비하며 상기 감광 드럼의 회전축과 실질적으로 동축인 돌기로 구성되고,
    상기 돌기는 비틀림이 없고, 상기 감광 드럼의 상기 돌기는 상기 구동 회전 부재의 회전축과 상기 감광 드럼의 회전축이 실질적으로 정렬되어 있는 동안에 그들 사이에서 상대적인 회전 이동이 허용되는 상기 구동 회전 부재의 리세스에 대한 제1 상대 회전 위치와 하나의 회전 방향으로의 상대적 회전 이동이 방지되는 상기 구동 회전 부재의 리세스에 대한 제2 상대 회전 위치를 취할 수 있는 치수 및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멍의 유입부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구멍의 경사 표면에 접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8. 제15항,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실질적으로 프리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은 실질적으로 삼각형 프리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0. 제15항,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실질적으로 피라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피라미드는 삼각형 피라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2. 제15항,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그의 단부에 실질적으로 피라미드 형상을 갖는 실질적인 프리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은 실질적으로 삼각형 프리즘이고, 상기 피라미드는 삼각형 피라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은 모서리가 둥근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5. 제15항,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플랜지 부재 상에 제공되고, 상기 플랜지 부재는 상기 감광 드럼의 내부 표면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와, 카트리지 프레임 상에 드럼을 지지하기 위한 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축부의 한 단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부재에는 상기 프로세스 수단으로서의 현상 롤러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축부, 돌기 및 기어는 플라스틱 수지 재료로부터 일체식으로 주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8. 제15항,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수단은 상기 감광 드럼을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 부재와, 상기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와, 상기 감광 드럼 상에 잔류하는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9. 기록 재료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분리식으로 장착가능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a) 모터와,
    (b) 상기 모터로부터의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한 주 조립체측 기어와,
    (c) 비틀림 표면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기어와 실질적으로 동축인 구멍과,
    (d)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분리식으로 장착하기 위한 장착 부재와,
    (e) 기록 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급지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감광 드럼 상에서 작동가능한 프로세스 수단과, 상기 비틀림 표면과 결합가능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 단부에 제공되며, 비틀림이 없고, 상기 구멍 및 돌기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를 회전시키면 상기 구멍과 상기 돌기 사이의 결합을 통해 상기 기어로부터 상기 감광 드럼으로 회전 구동력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30. 기록 재료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분리식으로 장착가능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a) 모터와,
    (b) 상기 모터로부터의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한 구동 회전 부재와,
    (c) 비원형 단면을 갖고 상기 구동 회전 부재의 회전축과 실질적으로 동축인 비틀림 리세스와,
    (d)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분리식으로 장착하기 위한 장착 부재와,
    (e) 기록 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급지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회전가능한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 상에서 작동가능한 프로세스 수단과,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 단부에 제공되고 비원형 단면을 구비하며 상기 감광 드럼의 회전축과 실질적으로 동축인 돌기로 구성되고,
    상기 돌기는 비틀림이 없고, 상기 감광 드럼의 상기 돌기는 상기 구동 회전 부재의 회전축과 상기 감광 드럼의 회전축이 실질적으로 정렬되어 있는 동안에 그들 사이에서 상대적인 회전 이동이 허용되는 상기 구동 회전 부재의 리세스에 대한 제1 상대 회전 위치와 하나의 회전 방향으로의 상대적 회전 이동이 방지되는 상기 구동 회전 부재의 리세스에 대한 제2 상대 회전 위치를 취할 수 있는 치수 및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31.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분리식으로 장착가능하고, 상기 주 조립체가 모터와, 상기 모터로부터의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한 주 조립체측 기어와, 상기 기어와 실질적으로 동축인 비틀림 없는 돌기를 포함하는 구성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감광 드럼 상에서 작동가능한 프로세스 수단과,
    비틀림 표면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 단부에 제공되는 구멍으로 구성되고,
    상기 구멍 및 돌기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를 회전시키면 상기 구멍과 상기 돌기 사이의 결합을 통해 상기 기어로부터 상기 감광 드럼으로 회전 구동력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멍의 유입부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구멍의 경사 표면에 접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4. 제31항,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실질적으로 프리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은 실질적으로 삼각형 프리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6. 제31항,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실질적으로 피라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피라미드는 삼각형 피라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8. 제31항,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그의 단부에 실질적으로 피라미드 형상을 갖는 실질적인 프리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은 실질적으로 삼각형 프리즘이고, 상기 피라미드는 삼각형 피라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0.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은 모서리가 둥근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1. 제31항,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플랜지 부재 상에 제공되고, 상기 플랜지 부재는 상기 감광 드럼의 내부 표면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와, 카트리지 프레임 상에 드럼을 지지하기 위한 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멍은 상기 축부의 한 단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부재에는 상기 프로세스 수단으로서의 현상 롤러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축부, 돌기 및 기어는 플라스틱 수지 재료로부터 일체식으로 주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4. 제31항,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수단은 상기 감광 드럼을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 부재와, 상기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와, 상기 감광 드럼 상에 잔류하는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 부재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5. 기록 재료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분리식으로 장착가능하고, 상기 주 조립체가 모터와, 상기 모터로부터의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한 구동 회전 부재와, 상기 구동 회전 부재의 회전축과 실질적으로 동축인 비틀림 없는 돌기를 포함하는 구성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회전가능한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감광 드럼 상에서 작동가능한 프로세스 수단과,
    비틀림 표면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 단부에 제공되며, 상기 감광 드럼의 회전축과 실질적으로 동축인 리세스로 구성되고,
    상기 감광 드럼의 상기 리세스는 상기 구동 회전 부재의 회전축과 상기 감광 드럼의 회전축이 실질적으로 정렬되어 있는 동안에, 그들 사이에서 상대적인 회전 이동이 허용되는 상기 구동 회전 부재의 돌기에 대한 제1 상대 회전 위치와 하나의 회전 방향으로의 상대적 회전 이동이 방지되는 상기 구동 회전 부재의 돌기에 대한 제2 상대 회전 위치를 취할 수 있는 치수 및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멍의 유입부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구멍의 경사 표면에 접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8. 제45항, 제46항 또는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실질적으로 프리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은 실질적으로 삼각형 프리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50. 제45항, 제46항 또는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실질적으로 피라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피라미드는 삼각형 피라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52. 제45항, 제46항 또는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그의 단부에 실질적으로 피라미드 형상을 갖는 실질적인 프리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은 실질적으로 삼각형 프리즘이고, 상기 피라미드는 삼각형 피라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54.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은 모서리가 둥근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55. 제45항, 제46항 또는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플랜지 부재 상에 제공되고, 상기 플랜지 부재는 상기 감광 드럼의 내부 표면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와, 카트리지 프레임 상에 드럼을 지지하기 위한 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축부의 한 단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부재에는 상기 프로세스 수단으로서의 현상 롤러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축부, 돌기 및 기어는 플라스틱 수지 재료로부터 일체식으로 주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58. 제45항, 제46항 또는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수단은 상기 감광 드럼을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 부재와, 상기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와, 상기 감광 드럼 상에 잔류하는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 부재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59. 기록 재료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분리식으로 장착가능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a) 모터와,
    (b) 상기 모터로부터의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한 주 조립체측 기어와,
    (c) 상기 기어와 실질적으로 동축인 돌기와,
    (d)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분리식으로 장착하기 위한 장착 부재와,
    (e) 기록 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급지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감광 드럼 상에서 작동가능한 프로세스 수단과, 상기 비틀림 표면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 단부에 제공되는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 및 구멍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를 회전시키면 상기 구멍과 상기 돌기 사이의 결합을 통해 상기 기어로부터 상기 감광 드럼으로 회전 구동력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60. 기록 재료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분리식으로 장착가능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a) 모터와,
    (b) 상기 모터로부터의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한 구동 회전 부재와,
    (c) 상기 구동 회전 부재와 실질적으로 동축인 비틀림 없는 돌기와,
    (d)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분리식으로 장착하기 위한 장착 부재와,
    (e) 기록 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급지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회전가능한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감광 드럼 상에서 작동가능한 프로세스 수단과, 비틀림 표면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 단부에 제공되며 상기 감광 드럼의 회전축과 실질적으로 동축인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감광 드럼의 상기 리세스는 상기 구동 회전 부재의 회전축과 상기 감광 드럼의 회전축이 실질적으로 정렬되어 있는 동안에, 그들 사이에서 상대적인 회전 이동이 허용되는 상기 구동 회전 부재의 돌기에 대한 제1 상대 회전 위치와 하나의 회전 방향으로의 상대적 회전 이동이 방지되는 상기 구동 회전 부재의 돌기에 대한 제2 상대 회전 위치를 취할 수 있는 치수 및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61.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분리식으로 장착가능하고, 상기 주 조립체가 모터와, 상기 모터로부터의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한 주 조립체측 기어와, 비틀림 표면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기어와 실질상 동축인 비틀림 없는 구멍을 포함하는 구성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감광 드럼 상에서 작동가능한 프로세스 수단과,
    상기 구멍과 결합가능하고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 단부에 제공되는 비틀림 돌기로 구성되고,
    상기 구멍 및 돌기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를 회전시키면 상기 구멍과 돌기 사이의 결합을 통해 상기 기어로부터 상기 감광 드럼으로 회전 구동력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실질적으로 프리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은 실질적으로 삼각형 프리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64.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실질적으로 피라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65.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피라미드는 삼각형 피라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66.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은 모서리가 둥근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67.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플랜지 부재 상에 제공되고, 상기 플랜지 부재는 상기 감광 드럼의 내부 표면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와, 카트리지 프레임 상에 드럼을 지지하기 위한 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축부의 한 단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부재에는 상기 프로세스 수단으로서의 현상 롤러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69.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축부, 돌기 및 기어는 플라스틱 수지 재료로부터 일체식으로 주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70.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수단은 상기 감광 드럼을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 부재와, 상기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와, 상기 감광 드럼 상에 잔류하는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 부재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71. 기록 재료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분리식으로 장착가능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a) 모터와,
    (b) 상기 모터로부터의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한 주 조립체측 기어와,
    (c) 상기 기어와 실질적으로 동축인 비틀림 없는 돌기와,
    (d)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분리식으로 장착하기 위한 장착 부재와,
    (e) 기록 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급지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감광 드럼 상에서 작동가능한 프로세스 수단과, 상기 구멍과 결합가능하고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 단부에 제공되는 비틀림 돌기로 구성되고,
    상기 구멍 돌기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주 조립체측 기어를 회전시키면 상기 구멍과 돌기 사이의 결합을 통해 상기 기어로부터 상기 감광 드럼으로 회전 구동력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19970049031A 1996-09-26 1997-09-26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02706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753396 1996-09-26
JP96-277533 1996-09-26
JP27961597A JP4026895B2 (ja) 1996-09-26 1997-09-25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97-279615 1997-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028A true KR19980025028A (ko) 1998-07-06
KR100270671B1 KR100270671B1 (ko) 2000-12-01

Family

ID=26552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9031A KR100270671B1 (ko) 1996-09-26 1997-09-26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324363B1 (ko)
EP (1) EP0833213B1 (ko)
JP (1) JP4026895B2 (ko)
KR (1) KR100270671B1 (ko)
CN (1) CN1155859C (ko)
DE (1) DE69720901T2 (ko)
HK (1) HK10095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39932B2 (ja) 1996-09-26 2006-11-0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及びカップリング
US5987287A (en) * 1999-01-29 1999-11-16 General Plastic Industrial Co., Ltd. Developer cylinder and drive gear arrangement
JP2002196647A (ja) 2000-12-22 2002-07-12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2258720A (ja) 2001-03-05 2002-09-11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819232B2 (ja) 2001-03-09 2011-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3657530B2 (ja) 2001-05-15 2005-06-08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907496B2 (ja) 2002-02-27 2007-04-1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ならびに現像剤収納容器とその組立て方法
JP2003307993A (ja) * 2002-04-17 2003-10-31 Canon Inc 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548564B2 (ja) * 2002-11-08 2004-07-2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ローラー組立方法
US7783225B2 (en) * 2003-01-21 2010-08-24 Kyocera Mita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hotosensitive drum unit equipped with mounting mechanism of exposure means
US7228090B2 (en) 2004-02-26 2007-06-05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removable process unit capable of securing rotation transmission accuracy without stressing a holding portion despite shaft misalignment
US7043180B2 (en) * 2004-03-26 2006-05-09 Lexmark International, Inc. Gear and shaft arrangement for an image forming device
US7433631B2 (en) * 2005-12-20 2008-10-07 Xerox Corporation Material supply module drive shaft
US7813676B2 (en) 2007-07-05 2010-10-12 Static Control Component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manufacturing imaging components
JP2009031647A (ja) * 2007-07-30 2009-02-12 Seiko Epson Corp 回転体駆動伝達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5159507B2 (ja) 2008-06-20 2013-03-06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ップリング部材の取り外し方法、カップリング部材の取り付け方法、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ユニット
JP5077301B2 (ja) * 2009-06-30 2012-11-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EP2634636A4 (en) * 2010-10-29 2018-05-02 Ninestar Corporation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and processing box containing same
USD667049S1 (en) 2011-02-25 2012-09-11 Baiksan Opc Co., Ltd. Rotary torque transfer unit for photo-sensitive drum of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432480B1 (ko) 2011-04-15 2014-08-21 (주)백산오피씨 감광 드럼용 구동 결합체, 감광 드럼 조립체,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미지 생성장치
US8628269B2 (en) 2011-09-02 2014-01-14 Roy Fan Rotating drive shaft coupling
WO2013140467A1 (ja) 2012-03-19 2013-09-26 富士電機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
JP3183618U (ja) 2012-03-22 2013-05-30 三菱化学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用の回転部材、画像形成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DE202013103593U1 (de) 2012-08-10 2013-10-09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Endabschnittelement, fotosensitive Trommeleinheit und Prozesspatrone
US9058007B2 (en) 2012-09-07 2015-06-16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Torque transmitting member disposed at an end of a photosensitive drum, photosensitive drum unit, and process cartridge
US9182731B2 (en) 2013-05-14 2015-11-10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End-side member, photoreceptor drum unit and process cartridge
JP6207254B2 (ja) * 2013-06-25 2017-10-04 キヤノン株式会社 回転伝達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2250501B1 (ko) 2016-08-26 2021-05-10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드럼 유닛, 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및 커플링 부재
US10631733B2 (en) 2017-03-13 2020-04-28 Go!Foton Holdings, Inc. Lens combination for an optical probe and assembly thereof
JP7262983B2 (ja) 2018-11-30 2023-04-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7305417B2 (ja) 2019-04-25 2023-07-1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13719A (en) 1962-11-01 1965-10-26 Robert C Kloack Rotary driving tool with universal action
CA849811A (en) * 1969-01-07 1970-08-25 L. Lagasse Joseph Spiral head adjusting screw
US3542178A (en) * 1969-03-25 1970-11-24 Hoover Co Flexible coupling for separable shafts
US3865500A (en) * 1973-07-09 1975-02-11 E Strohm Newell Locking handle
US4454922A (en) * 1982-05-27 1984-06-19 Consolidation Coal Company Drill rod and drilling apparatus
JPS59116951U (ja) 1983-01-25 1984-08-07 京セラミタ株式会社 複写機の動力伝達装置
FR2587510B1 (fr) 1985-09-17 1991-01-11 Canon Kk Element de support d'image, cartouche de traitement contenant un tel element et appareil de formation d'images
JPS634252A (ja) 1986-06-24 1988-01-09 Canon Inc プロセスカ−トリツジ及びこのカ−トリツジを使用する画像形成装置
GB2214609B (en) 1988-01-20 1991-12-11 Xerox Corp Drive coupling
US4975743A (en) 1989-08-21 1990-12-04 Surti Tyrone N Process cartridge having removable drive means
JPH03101751A (ja) 1989-09-16 1991-04-26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5095335A (en) 1989-09-19 1992-03-10 Canon Kabushiki Kaisha Copier with retractable charging unit to prevent damage to drum when removing process cartridge
US5019861A (en) 1989-10-11 1991-05-28 Surti Tyrone N Drive apparatus for a process cartridge of an image-forming apparatus
US5223893A (en) 1989-12-15 1993-06-29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detachably mountable to image forming apparatus
US5404198A (en) 1989-12-15 1995-04-04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R2664713B1 (fr) 1990-07-13 1994-07-29 Canon Kk Cartouche de traitement et appareil de formation d'images l'utilisant.
JP2995272B2 (ja) 1991-03-12 1999-12-27 三田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感光体ドラムおよびそのアース構造並びにアース方法
JPH05119551A (ja) 1991-05-14 1993-05-1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ツジ駆動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JPH0667508A (ja) 1991-11-22 1994-03-1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KR950007530B1 (ko) * 1991-11-26 1995-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기기의 현상기 마그로울러 구동장치
JP2774735B2 (ja) 1992-05-27 1998-07-09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DE69317607T2 (de) 1992-06-30 1998-08-20 Canon Kk Photoempfindliche Trommel, Prozesskassette und Bilderzeugungsgerät
JPH0619230A (ja) 1992-06-30 1994-01-2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157610B2 (ja) 1992-06-30 2001-04-1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675439A (ja) 1992-06-30 1994-03-1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683251A (ja) 1992-08-31 1994-03-25 Toshiba Corp 電子写真装置
MX9303563A (es) 1992-09-04 1994-03-31 Canon Kk Cartucho de proceso, metodo para ensamblar un cartucho de proceso y aparato formador de imagen.
JP2832788B2 (ja) 1993-01-11 1998-12-09 三田工業株式会社 感光体ドラムのアース機構
JPH06273987A (ja) 1993-03-23 1994-09-30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285414B2 (ja) 1993-04-28 2002-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DE69321944T2 (de) 1993-05-20 1999-04-29 Canon Kk Eine Prozesskassette
US5331378A (en) * 1993-07-29 1994-07-19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with independent driven systems
JPH07304233A (ja) * 1994-05-16 1995-11-21 Minolta Co Ltd プリンタ装置
US5533825A (en) * 1994-11-14 1996-07-09 General Electric Company Parabolically helical spline shaft coupling
JP2875203B2 (ja) 1995-03-27 1999-03-3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駆動力伝達部品、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
US5752136A (en) * 1995-09-29 1998-05-12 Xerox Corporation Imaging member end flange and end flang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8258A (zh) 1998-07-22
DE69720901T2 (de) 2003-12-04
KR100270671B1 (ko) 2000-12-01
CN1155859C (zh) 2004-06-30
JPH10153941A (ja) 1998-06-09
EP0833213B1 (en) 2003-04-16
EP0833213A3 (en) 1998-04-29
JP4026895B2 (ja) 2007-12-26
EP0833213A2 (en) 1998-04-01
DE69720901D1 (de) 2003-05-22
US6324363B1 (en) 2001-11-27
HK1009512A1 (en) 1999-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0671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0338349B1 (ko) 프로세스카트리지및전자사진화상형성장치
KR100288971B1 (ko) 프로세스카트리지및전자사진화상형성장치
KR100290583B1 (ko) 프로세스카트리지및전자사진화상형성장치
KR100290584B1 (ko) 프로세스카트리지및전자사진화상형성장치
KR100270223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US6240266B1 (en) Process cartridge and drum mount for photosensitive drum
US6349188B1 (en)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driving force transmission part and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drum
US6226478B1 (en) Process cartridge having drive mount for photosensitive drum
KR980010647A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9980025029A (ko) 커플링부, 감광 드럼,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JP2001324909A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回転伝達部材
JP4208933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EP0833227B1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U726711B2 (en)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driving force transmission part and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drum
JP3826154B2 (ja) 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20723

Effective date: 20130122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21012

Effective date: 20130122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30221

Effective date: 2013082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