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4498A - 프리본드직물 바느질장치 - Google Patents
프리본드직물 바느질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80024498A KR19980024498A KR1019970046555A KR19970046555A KR19980024498A KR 19980024498 A KR19980024498 A KR 19980024498A KR 1019970046555 A KR1019970046555 A KR 1019970046555A KR 19970046555 A KR19970046555 A KR 19970046555A KR 19980024498 A KR19980024498 A KR 1998002449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bric
- needle
- blade
- bottom plate
- blade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8/00—Needling machines
- D04H18/02—Needling machines with needles
-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1/00—Sewing machines with device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movement of work-carrier relative to stitch-forming mechanism in order to obtain particular configuration of seam, e.g. programme-controlled for sewing collars, for attaching pocket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8/00—Needling machines
-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00—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 D05B1/08—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multi-thread seams
-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5/00—Needle holders; Needle bars
- D05B55/10—Needle bars for multiple-needle sew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프리본드직물(1)을 바느질하는 장치가 설명된다. 상기 장치는 박음질방향으로 왕복적으로 이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바늘판(3)과, 공급롤러(6)와 배출룰러(7) 사이에서 바늘판(3)에 직접 대향하여 위치하여 직물이동방향으로 볼록한 직물가이드를 형성하는 박음질바닥판(2)을 구비한다. 유리한 구성조건을 만들기위해, 박음질바닥판(2)은 직물이동방향에 횡단하는 블레이드(9)를 포함해야 하고, 상기 블레이드(9)는 직물지지를 구성하는 그 단면(10)으로 연속적인 곡선의 덮개면에 닿는다. 상기 블레이드 사이에서 직물이동 방향에 횡단하여 연장하는 적어도 2개의 바늘열이 결합한다.
Description
제 1도는 본 직물바느질장치의 일부의 개략측면도.
제 2도는 본 발명의 박음질바닥판 부근의 직물이동방향 확대단면도.
제 3도는 제 1도의 III-III 선 화개단면도.
제 4도는 본 발명의 변형례의 일부의 개략측면도.
제 5도는 제 4도에 비교하여 지지부재로서 브러쉬를 갖는 다른 실시예의 일부의 직물이동방향 확대단면도.
본 발명은 박음질방향으로 왕복적으로 이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이상의 바늘판과, 공급롤러 및 배출룰러 사이에서 바늘판에 직접 대향하여 위치하여 직물이동방향으로 볼록한 직물가이드를 형성하는 박음질바닥판을 구비하는 프리본드직물 바느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바느질장치에 있어서, 직물은 바늘판에 대향하는 박음질바닥판과, 바늘판과 박음질바닥판 사이의 스트립퍼의 사이에서 가이드되고, 바늘판의 바늘은 스트립퍼의 구멍을 통해 직물로 박음질한다. 대부분 박음질바닥판과 같이 구멍난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스트립퍼는 직물로부터 빠져나오는 바늘에 대해 직물을 유지하고, 직물이 바늘의 가시에 의해 동반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러나, 바늘의 후퇴저항에 대해 직물이 지지될 때만, 박음질바닥판과 바늘판 사이의 종래의 스트립퍼는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박음질바닥판에는 직물이동방향으로 볼록한 곡률이 제공될 수 있고, 직물에는 볼록면지지와 협력하여 박음질바닥판에 직물을 지지하여 직물이 박음질바닥판으로부터 들릴 위험 없이 직물로부터 바늘이 후퇴할 수 있도록 하는 대응 인장응력이 가해질 수 있다. 직물에 작용하는 인장응력은 공급롤러와 배출룰러의 운반속도의 대응 차이에 의해 쉽게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의 결과 가능해진 스트립퍼의 생략으로 인해 스트립퍼내 구멍의 거리에 의한 상호 바늘거리의 제한이 생략되기 때문에, 이러한 제한이 박음질바닥판에 의해 강제되지 않을 경우, 증가된 바늘본포밀도를 제공하므로, 종래 구멍난 플레이트처럼 고안되지 않아도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토대가 되는 목적은 상술된 바와 같이 스트립퍼를 생략한 결과 높은 바늘분포에도 불구하고 직물을 통과하는 바늘의 충분한 관통이 보장되는 프리본드직물 바느질장치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박음질바닥판이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직물이동방향에 회단하여 연장하는 상기 블레이드는 직물지지를 구성하는 그 단면으로 연속적인 곡선의 덮개면에 닿으며, 상기 블레이드 사이에서 직물이동방향에 횡단하여 연장하는 적어도 2개의 바늘열이 상기 블레이드 사이에서 결합하는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대응 인장응력하에서 박음질바닥판 위로 끌어당겨진 직물은 연속적인 곡선의 덮개면에 적응된 횡단을 형성하고 상기 덮개면의 부근에서 직물이 팽팽하게 유지되므로, 바늘은 직물을 동반하지 않고 직물로부터 후퇴할 수 있다. 직물을 지지하는 블레이드 사이에서 직물인장은 추가로 바늘의 박힘을 용이하게 하고, 바늘은 블레이드 사이에서 단지 바늘판의 부근의 강도조건에 따른 분포밀도를 갖고 배열될 수 있다. 직물이동방향에 횡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바늘의 적어도 2개의 열이 박음질바닥판의 2개의 연속되는 블레이드 사이에서 결합하므로, 바늘 구역위에 충분한 바늘 밀도가 쉽게 보장 될 수 있어서 바느질동안 직물의 공급률과 상관없이 높은 펠팅 정도와 함께 일정한 박음질패턴이 얻어진다. 박음질바닥판의 블레이드는 플레이트로부터 제조될 수 있으나, 대응하여 볼록한 플레이드가 요구된다. 블레이드가 점진적인 높이의 개별 웨브로 이루어질 때 이러한 점진적인 높이가 연속적인 곡선의 덮개면에 닿기 때문에 단순한 제조조건이 얻어진다. 웨브의 중앙으로부터 단부를 향해 점진적으로 하강하는 웨브높이에 의해, 바늘질로 인한 폭수축에 대해 작용하는 직물의 가이드가 추가로 얻어질 수 있다.
인입구 및 인출구측의 에지블레이드는 중간 블레이드보다 넓은 폭을 가질 수 있고, 인입 및 인출하는 직물을 위한 편향가이드를 구성할 수 있다. 에지블레이드의 넓은 폭은 박음질바닥판의 높은 강도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직물이동방향으로 직물의 향상된 가이드를 제공한다. 에지블레이드에서 인입 및 인출하는 직물의 편향은 추가로 이러한 에지블레이드에서 직물의 적합한 접합점을 보장하고, 이는 일정한 바늘질을 위한 필수조건이다.
직물을 볼록한 박음질바닥판위로 끌어당기는 인장은 직물을 블레이드에 지지되게 하는 대응 압력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적용가능한 인장하중의 제한때문에, 직물로부터 바늘후퇴에 대한 저항은 특히 박음질바닥판의 중심부분에서 지역적으로 직물을 블레이드로부터 들리게 한다. 그러므로, 스트립퍼블레이드는 적어도 하나의 중앙블레이드에 연결될 수 있고, 이 스트립퍼 블레이드는 바늘의 분포밀도를 방해하지 않으며, 바느질을 손상시킬 수도 있는 직물의 박음질바닥판으로부터의 들림을 방지한다. 대부분의 바느질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만일의 경우를 대비하여 스트립퍼블레이드는 중앙블레이드 뿐만아니라 2개의 에지블레이드의 적오도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스트립퍼블레이드에 연결된 박음질바닥판의 블레이드가 박음질바닥판의 나머지 블레이드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질 때 특히 유리한 직물가이드조건이 얻어질 수 있고, 이는 스트립퍼블레이드의 대응 디자인을 제공한다.
스트립퍼블레이드의 구성 배열은 상이하게 선택될 수 있다. 최소구성작력으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박음질바닥판은 스트립퍼블레이드의 지지를 위한 치크를 가질 수 있고, 이 치크는 박음질방향으로 수직조절이 가능한다. 그러므로, 스트립퍼를 위한 별도의 지지는 생략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트립퍼블레이드는 가이드갭의 조절을 위해 치크에 의해 박음질바닥판에 대해 수직적으로 저절될 수 있다.
상호 오프셋하는 바늘을 사용하거나 또는 바늘판의 전체 바늘구역위에 대응 분포로 점진적인 작업부를 사용하는 방법은, 그룹으로 점진적인 이러한 작업부의 상호 위치로 인해 바늘이 직물내에서 상이한 수의 가시와 결합하기 때문에 직물로부터의 개별 바늘의 후퇴에 대한 저항이 가시가 제공된 작업부의 위치때문에 바늘판의 들림위치에 따라 상이하다는 점을 이용한다. 이러한 이유로 직물내 모든 바늘결합의 후퇴저항이 감소될 수 있고, 이는 직물이 박음질바닥판으로부터 들링메 작용한다. 바늘판에 가깝게 위치한 1개의 바늘그룹의 작업부는 타 바늘그룹의 작업부 이전에 직물로부터 후퇴하므로, 직물내에 동시에 위치한 가시의 수가 감소된다. 바늘판의 전체 바늘 구역위에 상호 오프셋 작업부를 갖는 넓게 균일한 바늘본포는 균일한 작업부의 바늘의 지역적 집괴와 그에 따라 직물의 잘못된 이동을 야기할 수 있는 지역적으로 증가된 바늘의 후퇴저항을 방지한다.
작업부의 관통깊이에 대한 개별바늘의 상이한 후퇴저항을 이용하기 위해, 바늘판의 작업부를 적어도 바느질될 직물의 두께로 상호 그룹단위로 오프셋함으로써, 바늘판에 가깝게 위치한 바늘그룹의 작업부가 이미 직물로부터 나왔을 때 바늘의 저(低)회귀점에 이어 후퇴이동하는 동안 바늘판에서 먼 바늘그룹의 작업부가 직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권고된다.
작업부의 상호 오프셋은, 예를 들면 바늘팁에 대한 가시의 점진적인 위치로 인해 바늘이 동일한 길이일 경우 얻어질 수 있다. 특히 유리한 구성조건은 작업부의 상호오프셋을 갖는 바늘이 각 그룹마다 상이한 길이를 가질 경우 얻어질 수 있다. 상이한 길이의 바늘은 작업부 외부의 바늘저항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블레이드 사이에 추가 지지부재의 배열로 인해, 이러한 지지부재가 탄성적으로 바늘팁을 피하거나 물체의 탄성변위로써 바늘팁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면 바늘 박힘 부근에서 직접 직물지지가 보장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이러한 지지부재는 바늘박힘시 인장응력이 증가하는 동안 직물이 블레이드 사이의 공간으로 끌어당겨질 수 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직물이 바늘에 의한 동반에 대해 바늘팁 이외에 지지부재상에서 직접 지지되므로 직물에 작용하는 인장응력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특히 유리한 박음질 조건이 창출된다. 지지부재에도 불구하고 블레이드가 여전히 직물이동방향으로 직물의 경로를 결정하기 때문에 블레이드로 이루어진 박음질바닥판의 이점은 손상되지 않는 것이다.
지지부재는 적어도 대체적으로 박음질방향으로 연장한 강모를 갖는 브러쉬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유리한 바느질조건은 지지부재가 물체의 탄성변위로써 바늘팁에 의해 관통되는 지지부재로 구성될 때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옴이나 일래스토머가 지지부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지지부재에 의해 바늘박힘의 부근에서 직물의 직접지지가 얻어질 수 있으므로, 바늘박힘시 물체의 탄성변위를 갖는 지지부재를 관통하는 바늘의 분포밀도에 상관없이 직물의 추가 인장응력이 피해진다. 반복되는 지역적으로 제한된 박힘으로 형성된 바느질채널은 각각의 바늘분포를 나타내고, 박음 질바다판의 부근에서 바늘의 가이드에 유리한 길을 제공한다.
제 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본드직물(1) 바느질 장치는 대체로 박음질바닥판(2)과, 상기 박음질바닥판(2)의 위에 배치되어 화살표(4)로 표시된 바와 같이 박음질바닥판(2)을 횡단하여 왕복적으로 이동가능한 바늘판(3)을 구비한다. 바늘판(3)의 바늘은 부호 5로 표시된다. 박음질바닥판(2)은 직물이동방향으로 볼록한 곡선부를 가지며, 여기서 인장응력이 공급롤러(6)와 배출룰러(7)사이의 직물(1)에 작용한다. 배출룰러(7)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공급롤러(6)보다 큰 외경속도로 구동된다.
제 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음질바닥판(2)은 직물이동방향에 횡단하여 연장되고 그 단면(10)으로 곡선덮개면에 닿아 직물지지를 구성하는 블레이드(9)를 갖는 베이스퓰레이트(8)를 구비한다. 그러므로 직물(1)은 횡단형태로 블레이드(9)위에 끌어당겨지고, 넓은쪽 에지블레이드(9a)는 편향가이드를 구성하고, 이러한 편향에 의해 직물(1)이 인입구역 및 인출구역에서 박음질 바닥판(2)에 대해 편평하게 놓이도록 작용한다. 공급롤러(6)와 배출룰러(7)사이의 직물(1)에 작용하는 인장응력의 결과, 볼록한 박음질바닥판(2)과 연결하여 블레이드(9)에 대해 직물(1)에 가해지는 압력이 생기므로, 발생하는 수직력이 저항에 대항하여 바늘(5)의 직물(1)로부터의 후퇴에 작용한다. 이러한 수직력에도 불구하고, 특히 바늘(5)의 분포밀도가 높은 경우 바늘은 몇개의 바늘열 사이의 개별 블레이드(9)에 박히고 직물(1)은 무엇보다도 박음질바닥판(2)의 중앙부의 블레이드(9)로부터 들릴 것이다. 이는 바느질결과를 손상시키며, 특히 비교적 적은 인장응력이 직물(1)에 작용될 경우 그러하다. 이러한 이유로, 스트립퍼블레이드(11)가 중앙블레이드(9b)와 연결되고, 상기 스트립퍼블레이드는 직물(1)이 박음질바닥판(2)의 중간블레이드(9),(9b)로부터 각각 들려 바느질결과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스트립퍼블레이드(11)는 에지블레이드(9a)와 연결되어 바느질구역에서 우수한 직물가이드를 보장한다. 그러나 이러한 스트립퍼블레이드(11)는 개별 블레이드(9)사이의 바늘열의 바늘경로로 돌출하지 않으므로 소망하는 고바느질분포밀도를 방지하지 못한다. 박음질바닥판(2)의 중앙블레이드(9b)는 에지블레이드(9a)와 같이 넓은 폭을 가지므로, 연결된 스트립퍼블레이드(11)는 충분히 큰 면적을 갖는다. 또한, 스트립퍼블레이드(11)와 박음질바닥판(2)의 연결블레이드(9a),(9b)사이의 가이드갭의 연장은 직물이동방향으로 특히 뛰어난 직물가이드를 보장한다.
스트립퍼블레이드(11)의 부착은 박음질바닥판(2)의 베이스플레이트(8)의 측단면에 수직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된 치크(12)에 의해 쉽게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잠금나사(13)가 치크(12)의 장방형구멍(14)을 통해 연장되고, 이는 특히 제 3도에 도시된다. 수직조절 자체는 베이스플레이트(8)에 연결된 브라켓(16)에서 지지되는 조절나사(15)에 의해 실행된다. 스트립퍼블레이드(11) 자체는 2개의 가로치크(12)사이에서 나사(17)에 의해 단면에 고정된다. 스트립퍼블레이드(11)의 고정은 잠굼핀(18)에 의해 실행된다.
바늘(5)이 직물(1)로 직접 박히는 구역에서 직물지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제 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9)사이에 지지부재(19)가 제공된다. 지지부재는 블레이드(9),(9a),(9b) 사이의 공간을 메우며, 직물(1)을 위한 추가지지를 구성한다. 예를 들면 일래스토머로 이루어진 이러한 지지부재(19)는 물체의 탄성변위로써 바늘(5)의 팁에 의해 관통될 수 있고 매우 빽빽한 바늘분포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그만큼 직물(1)을 관통하는 바늘(5)이 직물(1)에 작용하는 추가 인장응력을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특히 유리한 바느질조건이 얻어진다. 또한, 지지부재(19)는 두드러진 노이즈의 머플링을 초래하는 진동의 흡수에 기여한다.
또한 직물(1)의 이동시 바늘(5)이 직물(1)로부터 후퇴하는 동안 직물(1)에 발휘되는 인장력의 영향을 감소하기 위해, 박음질방향으로 상호 오프셋된 작업부를 갖는 2개의 바늘(5a),(5b)그룹이 제공되며, 이는 바늘(5)의 직물(1)로부터의 후퇴에 대한 비교적 높은 총저항때문에 바늘(5)의 높은 분포밀도일 경우 특히 중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각 작업부를 형성하는 가시는 상호에 대해 동일한 바늘길이로 점진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라 상이한 길이를 갖는 2개의 바늘(5a),(5b)그룹이 제공되고, 가시를 갖는 작업부가 바늘팁으로부터 직접 연장된다. 바늘(5b)은 짧은 바늘(5a)보다 바느질될 직물(1)의 두께만큼 길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먼저 짧은 그리고나서 긴 바늘(5a),(5b)이 직물(1)로부터 후퇴한다. 박힘에 따른 섬유의 동반을 위해 제공된 상기 모든 가시는 개별바늘(5a),(5b)의 후퇴저항을 형성하므로, 직물(1)을 통해 지지부재(19)로 깊게 관통된 긴 바늘은 짧은 바늘(5a)의 가시가 이미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물(1)로부터 나왔을 대 직물(1)에 작용할 수 있다. 이는 직물(1)에 작용하는 가시의 감소때문에 짧고 긴 바늘(5a),(5b)의 가시가 직물(1)로부터 차례차례 후퇴하고 동시에 필연적으로 박음질바닥판(2)으로부터 들리는 점에서 직물(1)에 작용하는 인장응력의 감소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일정한 길이의 바늘(5a),(5b)의 지역적인 집괴를 피할 필요가 있으므로, 바늘판(3)의 전체 바늘구역위에 짧은 바늘(5a) 및 긴 바늘(5b)의 넓은 균일분포가 필요하다.
예를 들면 일래스토머 또는 폼과 같이 물체의 탄성변위로써 바늘팁에 의해 관통되는 물체로 이루어진 지지부재(19) 대신, 제 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지지부재(19)는 브러쉬부재(20)로 형성될 수 있다. 브러쉬부재에서 박음질 방향으로 정렬된 개별 강모는 바늘(5)의 팁을 옆으로 피할 수 있기 때문에, 브러쉬캐리어(21)내에 삽입된 강모집단(22)은 블레이드(9) 사이의 바늘박힘을 방해하지 않고 지지부재를 형성한다.
Claims (10)
- 박음질 방향으로 왕복적으로 이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바늘판과,공급롤러와 배출롤러 사이에서 바늘판에 직접 대향하여 위치하여 직물이동방향으로 볼록한 직물가이드를 형성하는 박음질바닥판을 구비하는 프리본드직물 바느질장치로서,박음질바닥판(2)은 블레이드(9)를 포함하고, 직물이동방향에 횡단하여 연장하는 블레이드(9)는 직물지지를 형성하는 그 단면(10)으로 연속적인 곡선 덮개면에 닿으며, 상기 블레이드는 직물이동방향에 횡단하여 연장하는 적어도 2개의 바늘열 사이에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본드직물 바느질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블레이드(9)는 점진적인 높이의 개별 웨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프리본드직물 바느질장치.
- 제 1 또는 2항에 있어서, 인입구측과 인출구측의 에지블레이드(9a)는 중간블레이드(9)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며 인입 및 인출되는 직물(1)을 위한 편향가이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프리본드직물 바느질장치.
- 제 1 내지 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박음질바닥판(2)의 적어도 하나의 중앙블레이드(9b)에 스트립퍼블레이드(11)가 박음질바닥판(2)과 바늘판(3)의 사이에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프리본드직물 바느질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스트립퍼블레이드(11)는 중앙블레이드(9b)에 연결될 뿐 아니라 박음질바닥판(2)의 2개의 에지블레이드(9a)의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프리본드직물 바느질장치.
- 제 4 또는 5항에 있어서 박음질바닥판(2)은 스트립퍼블레이드(11)를 지지하기 위한 치크(12)를 가지며, 상기 치크는 박음질방향으로 수직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프리본드직물 바느질장치.
- 제 1 내지 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늘판(3)의 바늘(5)이 섬유를 동반하기 위한 가시가 제공된 작업부를 구성하는 바늘판(3)은 박음질방향으로 상호 오프셋하는 작업부를 갖는 적어도 2개의 바늘(5a),(5b)그룹을 가지며, 동일한 작업부를 갖는 바늘(5a),(5b)의 각 그룹은 바늘판(3)의 전체 바늘구역 위에 넓게 균일하게 분포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프리본드직물 바느질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바늘(5a),(5b)의 작업부의 그룹단위의 오프셋은 바느질 되는 직물(1)의 두께에 적어도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프리본드직물 바느질장치.
- 제 7 또는 8항에 있어서, 작업부를 오프셋하는 바늘(5a),(5b)그룹은 상이한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프리본드직물 바느질장치.
- 제 1 또는 9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블레이드(9) 사이의 공간은 바느질되는 직물(1)을 위한 지지부재(19)에 의해 메워지고, 상기 지지부재는 물체의 탄성변위로써 탄성적으로 바늘(5)의 팁을 피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프리본드직물 바느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ATA1598/96 | 1996-09-10 | ||
AT159896A AT404146B (de) | 1996-09-10 | 1996-09-10 | Vorrichtung zur vernadelung eines vorverfestigten vlieses |
ATA1969/96 | 1996-11-11 | ||
AT196996A AT406275B (de) | 1996-11-11 | 1996-11-11 | Vorrichtung zur vernadelung eines vorverfestigten vlieses |
ATA1177/97 | 1997-07-09 | ||
AT117797A AT405846B (de) | 1997-07-09 | 1997-07-09 | Vorrichtung zum vernadeln eines vorverfestigten vlieses |
ATA1350/97 | 1997-08-13 | ||
AT135097A AT406781B (de) | 1997-08-13 | 1997-08-13 | Vorrichtung zum vernadeln eines vorverfestigten vlies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24498A true KR19980024498A (ko) | 1998-07-06 |
Family
ID=27421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46555A KR19980024498A (ko) | 1996-09-10 | 1997-09-10 | 프리본드직물 바느질장치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US (1) | US5893200A (ko) |
JP (1) | JPH10131026A (ko) |
KR (1) | KR19980024498A (ko) |
CZ (1) | CZ285497A3 (ko) |
DE (1) | DE19738884A1 (ko) |
FR (1) | FR2753208B1 (ko) |
GB (1) | GB2316957A (ko) |
IT (1) | IT1294677B1 (ko) |
TW (1) | TW358131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011231A1 (de) * | 2000-03-08 | 2001-09-13 | Dilo Kg Maschf Oskar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rukturieren einer Faservliesbahn |
US6196146B1 (en) * | 2000-03-23 | 2001-03-06 | Pulse Microsystems Ltd. | Web based embroidery system and method |
AT411175B (de) * | 2001-07-02 | 2003-10-27 | Fehrer Monika Mag | Verfahren zum behandeln eines garnes durch ein nadeln |
AT411601B (de) * | 2002-09-12 | 2004-03-25 | Fehrer Monika Mag | Vorrichtung zum nadeln wenigstens eines garnes |
IT1390812B1 (it) * | 2008-08-27 | 2011-10-19 | Texapel Spa | Macchina e procedimento per realizzare manufatti tessili |
CA2961225C (en) * | 2014-09-18 | 2019-11-26 | Humacyte, Inc. |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orming fibrous tubes |
US10590580B2 (en) | 2018-06-12 | 2020-03-17 | Pulse Microsystems Ltd. | Vector defined embroidery |
US12091797B2 (en) | 2020-10-19 | 2024-09-17 | Tajima Software Solutions Inc. | Embroidery color transition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896303A (en) * | 1958-04-16 | 1959-07-28 | Hunter James Machine Co | Needle loom |
DE1460019A1 (de) * | 1965-07-21 | 1969-01-02 | Helmut Sandler & Co | Fertigwattierung un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 ihrer Herstellung |
BE793651A (fr) * | 1972-01-18 | 1973-05-02 | Dilo Kg Oskar | Procede et dispositif pour la fabrication d'articles a face textile non tisses, sans matiere de support, avec structure de surface de genre feutre et faconnee |
US3909891A (en) * | 1972-01-18 | 1975-10-07 | Dilo Kg Oskar | Needling Apparatus |
DE2900935C2 (de) * | 1979-01-11 | 1986-10-16 | Oskar Dilo Maschinenfabrik Kg, 6930 Eberbach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Velour-Nadelvliesstoffbahnen |
DE3207907C2 (de) * | 1982-03-05 | 1985-06-27 | Johann Borgers Gmbh & Co Kg, 4290 Bocholt |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Polvliesbelags durch Strukturvernadelung |
DE3215113A1 (de) * | 1982-04-23 | 1983-11-03 | Elektrochemische Fabrik Kempen Gmbh, 4152 Kempen | Polvlies un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 seiner herstellung |
AT377797B (de) * | 1983-08-04 | 1985-04-25 | Fehrer Textilmasch | Vorrichtung zum nadeln eines filzes |
AT392657B (de) * | 1989-02-15 | 1991-05-27 | Fehrer Textilmasch | Vorrichtung zum nadeln einer warenbahn |
AT392658B (de) * | 1990-01-18 | 1991-05-27 | Fehrer Textilmasch | Vorrichtung zum nadeln eines vlieses |
DE4114873A1 (de) * | 1990-05-16 | 1991-11-21 | Fehrer Ernst | Vorrichtung zum nadeln eines vlieses |
AT398088B (de) * | 1992-11-09 | 1994-09-26 | Fehrer Textilmasch | Lochplatte für eine vorrichtung zum nadeln eines faservlieses |
DE19640752A1 (de) * | 1995-10-16 | 1997-04-17 | Fehrer Ernst | Vorrichtung zum Nadeln eines Vlieses |
DE19640750B4 (de) * | 1995-10-16 | 2004-01-15 | Fehrer, Ernst, Dr. | Vorrichtung zum Nadeln eines Vlieses |
DE19702692A1 (de) * | 1996-02-19 | 1997-11-06 | Fehrer Ernst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nadeln einer Vliesbahn |
-
1997
- 1997-09-05 GB GB9718918A patent/GB2316957A/en not_active Withdrawn
- 1997-09-05 US US08/924,240 patent/US5893200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09-05 DE DE19738884A patent/DE19738884A1/de not_active Withdrawn
- 1997-09-09 TW TW086112995A patent/TW358131B/zh active
- 1997-09-09 FR FR9711158A patent/FR2753208B1/fr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09-10 CZ CZ972854A patent/CZ285497A3/cs unknown
- 1997-09-10 JP JP9284192A patent/JPH10131026A/ja active Pending
- 1997-09-10 KR KR1019970046555A patent/KR1998002449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7-09-10 IT IT97GE000076A patent/IT1294677B1/it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19738884A1 (de) | 1998-03-12 |
FR2753208A1 (fr) | 1998-03-13 |
ITGE970076A1 (it) | 1999-03-10 |
IT1294677B1 (it) | 1999-04-12 |
TW358131B (en) | 1999-05-11 |
JPH10131026A (ja) | 1998-05-19 |
GB9718918D0 (en) | 1997-11-12 |
FR2753208B1 (fr) | 2000-03-10 |
GB2316957A (en) | 1998-03-11 |
US5893200A (en) | 1999-04-13 |
CZ285497A3 (cs) | 1998-03-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9980024498A (ko) | 프리본드직물 바느질장치 | |
US11384460B2 (en) | Needlepunching machine | |
US5894643A (en) | Device for needling a web | |
US4937924A (en) | Apparatus for needling a felt from one side | |
US5813101A (en) | Device for needling a prebonded web | |
GB2074614A (en) | Stamped knitting needle or implement for a knitting or hosiery machine | |
US11208746B2 (en) | Stripper plate and stitching plate for a needling machine | |
US6779236B2 (en) | Apparatus for needling at least one yarn | |
CZ284817B6 (cs) | Zařízení pro vpichování rouna | |
US4840133A (en) | Needle plate for hook bar of cut pile tifting machine | |
DE102005034144B3 (de) | Nadelmaschine mit Einrichtungen zur Luftführung | |
EP0018766B1 (en) | Stitch-bonding machine and a decorative stitch-bonded fabric produced by said machine | |
US4774820A (en) | Flat knitting machine | |
US20020059707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trengthening a textile web | |
AT406275B (de) | Vorrichtung zur vernadelung eines vorverfestigten vlieses | |
AT406781B (de) | Vorrichtung zum vernadeln eines vorverfestigten vlieses | |
DE4343888C2 (de)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Zuführen und Unterlegen von vorgelegt zugeführten Schußfäden | |
EP0882831A1 (en) | Tufting needle | |
AT406058B (de) | Vorrichtung zum vernadeln eines vlieses | |
KR980009586A (ko) | 섬유직물 예비바느질 장치 | |
KR100476470B1 (ko) | 부직포 제조용 니들 펀칭기. | |
SU341252A1 (ru) | Вязально-прошивная машин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