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8467A - 승강 패널의 승강 운동용 제어기가 구비된 천정 매립식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승강 패널의 승강 운동용 제어기가 구비된 천정 매립식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8467A
KR19980018467A KR1019970037739A KR19970037739A KR19980018467A KR 19980018467 A KR19980018467 A KR 19980018467A KR 1019970037739 A KR1019970037739 A KR 1019970037739A KR 19970037739 A KR19970037739 A KR 19970037739A KR 19980018467 A KR19980018467 A KR 19980018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motor
panel
ceiling
air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7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8541B1 (ko
Inventor
게이지 와다
노부히로 이데이
신이찌 오오스
Original Assignee
다까노 야스아끼
상요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까노 야스아끼, 상요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까노 야스아끼
Publication of KR19980018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8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85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4Grilles, registers or guards with mounting arrangements, e.g. snap fasteners for mounting to the wall or 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60Energy consump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천정 매립식 공기 조화기는 열 교환기와 공기 송풍기가 수용되고 천정에 매립된 유니트 본체와, 천정면 상에 구비되는 장식 패널, 승강 모터에 의해 승강 이동하는 공기 필터가 구비된 승강 패널, 승강 모터에 작동 전류를 공급하여 승강 모터를 정회전 및 역회전시키는 드라이버 회로, 드라이버 회로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이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드라이버 회로를 제어하는 제어기, 항상 승강 모터의 소비 전류를 검출하여 검출 결과를 제어기로 출력하는 소비 전류 검출기 및, 소정 시간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제어기로 출력하는 타이머를 포함한다. 소비 전류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소비 전류가 승강 패널의 승강 운동 중에 소정의 값을 초과하면, 제어기는 드라이버 회로로 작동 정지 지시를 출력하여 승강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이에 승강 패널을 정지시킨다.

Description

승강 패널의 승강 운동용 제어기가 구비된 천정 매립식 공기 조화기
본 발명은 상방과 하방으로 이동가능한 패널(이하 승강 패널)의 승강 운동을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이 구비되고, 천정식 공기 조화기 내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 필터가 구비된 천정 매립식 공기 조화기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승강 패널이 구비된 공기 흡입 그릴이 승강 모터에 의해 장식 패널의 하부면에 대하여 자유로이 승강할 수 있도록 지지된 천정 매립식 공기 조화기가 일반적으로 공지되었다. 이와 같은 타입의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공기 필터가 구비된 공기 흡입 그릴이 하강 위치로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조절 가능하므로 공기 필터를 새 필터로 교체하는 작업은 하강 위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의 천정 매립식 공기 조화기에는 승강 패널의 각 상한 위치와 하한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상하한 스위치가 구비되었다. 공기 흡입 그릴이 하방으로 이동되어 하한 위치에서 정지되면, 승강 모터는 하한 위치를 검출하도록 된 하한 스위치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정치하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공기 흡입 그릴이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한 위치에서 정지하게 되면, 승강 모터는 상한 위치를 검출하도록 된 상한 스위치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정지하게 된다.
특히 공기 흡입 그릴이 상한 위치에서 정지하게 되면, 공기 흡입 그릴은 공기 흡입 그릴의 4개의 코너가 장식 패널의 하부면과 고르게 접촉하여 공기 흡입 그릴이 경사지지 않고 수평한 위치를 유지하면서 그 위치로 정지할 때까지 상방으로 움직인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 이상에서 전술된 바와 같이 상한 위치 또는 하한 위치에서 공기 흡입 그릴을 정지시키기 위해 상하한 스위치가 구비되어야 하는 바, 이는 부품의 개수와 전기 배선의 수를 증가시킬 뿐 아니라, 비용 절감을 저해한다. 더불어, 고장율도 증가시킨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부품의 개수와 전기 배선의 수가 감소되었으면서, 공기 흡입 그릴이 상한 위치 또는 하한 위치에서 낮은 고장율과 적은 비용으로 정지될 수 있고, 또한 공기 흡입 그릴이 상한 위치에서 정지하였을 때 공기 흡입 그릴의 경사가 교정될 수 있는 천정 매립식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열 교환기와 공기 송풍기를 수용하고 천정에 매립된 유니트 본체와, 천정면 상에 구비된 장식 패널 및, 현가 로프의 일 선단이 부착되고 현가 로프의 다른 선단이 승강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풀리에 고정된 공기 필터가 구비된 승강 패널을 구비하고, 승강 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현가 로프를 조출/되감기하여 승강 패널을 승강 이동시키는 천정 매립식 공기 조화기는 승강 모터의 소비 전류를 검출하는 소비 전류 검출 수단과, 소비 전류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가 승강 패널의 승강 운동 중에 소정의 설정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작동 정지 지시를 출력하는 정지 지시 수단 및, 정지 지시 수단으로부터의 작동 정지 지시에 반응하여 승강 모터를 정시시키는 모터 정지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 패널이 상방으로 이동하면, 승강 모터의 소비 전류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러나, 승강 패널이 상한 위치에 이르면, 승강 모터 상에 가해지는 부하는 증가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소정 값을 초과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소비 전류 검출 수단은 이와 같은 상황을 검출하고, 작동 정지 지시가 모터 정지 제어 수단으로 전달되며, 모터 정지 제어 수단은 승강 모터를 정지시킴으로써, 승강 패널은 상한 위치에서 멈추게 된다. 한편, 승강 패널이 하한 위치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승강 모터의 회전은 계속된다. 그러므로, 풀리의 회전은 로프가 모두 조출된 후에 로프를 되감기 시작한다. 로프가 조출되면 승강 모터의 부하는 상대적으로 작게 되어, 이에 상대적으로 작은 소비 전류가 소비 전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다. 그러나, 로프가 조출된 후에 로프가 되감기게 되면 승강 모터상의 부하는 승강 패널의 순수 무게 보다 상대적으로 커지게 되어, 소비 전류는 증가하게 된다. 그러므로, 소비 전류 검출 수단은 상대적으로 큰 소비 전류를 검출하게 된다. 소비 전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소비 전류가 소정의 설정치를 초과하게 되면, 작동 정지 신호가 정지 지시 수단으로부터 출력되고, 모터 정지 제어 수단은 승강 모터를 정지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전술된 바와 같은 천정 매립식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승강 패널의 상승 중에 소비 전류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가 제1 설정치를 초과하거나, 혹은 승강 패널의 강하 중에 소비 전류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가 제2 설정치를 초과하게 되면 정지 지시 수단은 작동 정지 지시를 출력하게 된다.
이상에서 전술된 상기 천정 매립식 공기 조화기에 따르면, 예를 들어 승강 모터상의 부하가 승강 패널의 상한 위치로의 상승이 진행함에 따라 증가하여, 결과적으로 소비 전류가 제1 설정치를 초과하게 되면, 타이머의 작동이 시작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승강 모터는 정지하게 된다. 제1 설정치는 승강 그릴이 상방으로 이동되었을 때 승강 모터에 의해 소모된 소비 전류보다 큰 값으로 설정되며, 이는 승강 패널이 상한 위치에 이르렀을 때 증가되는 승강 모터의 부하에 따라 설정된다. 또한, 승강 모터상의 부하가 승강 패널이 하한 위치로 진행함에 따라 증가되고 결과적으로 소비 전류가 제2 설정치를 초과하게 되면, 승강 모터는 바로 멈춘다. 제2 설정치는 제1 설정치 보다 작게 설정되며, 승강 위치가 상방으로 이동하였을 때 승강 모터에 의해 소모되는 소비 전류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이상에서 전술된 바와 같은 천정 매립식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모터 정지 제어 수단은 정지 지시 수단으로부터의 작동 정지 지시를 수용한 후에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승강 모터를 정지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전술된 바와 같은 상기 천정 매립식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승강 모터는 작동 정지 지시가 정지 지시 수단으로부터 출력되었을 때의 시간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멈춘다. 그러므로, 승강 패널이 상한 위치에 이른 후에, 승강 모터는 소정 시간 동안 회전하여 승강 패널의 경사를 교정하게 된다.
이상에서 전술된 바와 같은 천정 매립식 공기 조화기는 작동 정지 지시가 출력된 후에 소정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를 추가로 구비하는 바, 모터 정지 제어 수단은 타이머의 출력 결과에 반응하여 승강 모터를 정지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천정 매립식 공기 조화기의 승강 패널의 승강 운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는 승강 패널을 승강 이동하는 승강 모터와, 승강 모터에 작동 전류를 공급하여 승강 모터를 정회전 및 역회전시키는 드라이버 회로, 이 드라이버 회로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드라이버 회로를 제어하는 제어기, 항상 승강 모터의 소비 전류를 검출하여 검출 결과를 제어기로 출력하는 소비 전류 제어기 및, 소정 시간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제어기로 출력하는 타이머를 구비하는 바, 소비 전류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소비 전류가 승강 패널의 승강 운동 중에 소정의 값을 초과하게 되면, 제어기는 드라이버 회로로 작동 정지 지시를 출력하여 승강 모터의 회전을 멈추게 되어, 승강 패널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전술된 바와 같은 제어 장치가 천정 매립식 공기 조화기 속에 설치되면, 이상에 전술된 바와 같은 동일한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된 바와 같은 제어 장치에 따르면, 소정 시간은 상기 승강 패널의 전체 외주가 상승의 상한 위치 또는 강하의 하한 위치로 완전히 다다를 수 있는 충분한 시간으로 설정된다. 그러므로, 승강 패널은 승강 패널이 상한 위치 또는 하한 위치에 이르렀을 때 승강 패널이 확실하게 수평 위치로 유지되면서 상한 위치 또는 하한 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천정 매립식 공기 조화기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공기 흡입 그릴의 평면도.
도3은 공기 흡입 그릴이 현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천정 매립식 공기 조화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6은 본 발명의 전단계 진행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도7은 본 발명의 후단계 진행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도8은 본 발명의 천정 매립식 공기 조화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9는 도8에 도시된 천정 매립식 공기 조화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10은 중앙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 : 공기 흡입 그릴
10 : 공기 송풍기
24 : 공기 정화 필터
31 : 현가 로프
50 : 공기 조화기
51 : 당김 스위치
90 : 공기 흡입 그릴 보강 부재
100 : 메인 풀리
110 : 샤프트
120 : 고정 부재
130 : 코일 스프링
140 : 승강 모터
150 : 승강 시스템
160 : 제어기
200 : 로프 가이드
210 : 롤러
240 : 공기 필터
305 : 드라이버 회로
307 : 소비 전류 검출 수단
309 : 타이머
700 : 장식 패널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도4는 천정 매립식 공기 조화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4에 있어서, 참조 번호 50은 공기 조화기를 나타낸다.
공기 조화기(50)에는 천정(1)에 장착되고 금속판으로 이뤄진 유니트 본체(1)와, 그 중앙에 공기 흡입 포트(3)가 구비되고 그 외주부의 4개의 측면 상에 공기 송풍 포트(4)가 구비되었으면서 천정 평면 내에 구비되어 천정 구멍(5)을 폐쇄하도록 된 장식 패널(7) 및, 그 중앙에 공기 흡입 포트(8)가 구비된 공기 흡입 그릴(9)(승강 패널)이 구비된다.
참조 번호 10은 터보 팬(11)과 천정판(12) 상에 고정된 모터(13)로 구성된 공기 송풍기를 나타내며, 참조 번호 14는 공기 흡입 포트(8)로부터 터보 팬(11)으로의 유입 공기를 안내하는 노즐 포트를 나타내며, 참조 번호 15는 내향 돌출부(15a)와 외향 돌출부(15b)를 구비하며 각이진 원형으로 스티로폼으로 형성된 배기 팬을 나타내며, 참조 번호 16은 터보 팬(11)의 배출측에 설치되어 팬을 원형으로 둘러싸는 플레이트 핀형 열 교환기를 나타낸다. 참조 번호 17은 유니트 본체(2)의 외주면 둘레로 감겨진 열 절연체를 나타내고 있으며, 참조 번호 21은 열 교환기(16)에 의해 열 교환된 공기를 공기 송풍 포트(4)로 안내하는 공기 안내 유니트를 나타내며, 참조 번호 22는 이를 통해 후크 부재에 의해 천정 대들보로부터 유니트 본체(2)가 현가된 현가 볼트를 나타내며, 참조 번호 24는 공기 흡입 그릴(9)의 하류측에 고정되었으면서 흡입 공기를 정화하도록 된 공기 필터를 나타낸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로 하여, 공기 흡입 그릴(9)은 상하방으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현가 로프(31)에 의해 유니트 본체(2)에 지지된다. 4개의 현가 로프(31) 각각은 그 외주 상에 비닐 코팅이 코팅된 수지 와이어 또는 금속 와이어로 형성되었으며, 다이얼 코드(dial cord)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현가 로프(31)의 일 선단(31a)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기 흡입 그릴 보강 부재(90)의 후크(90a)에 연결되었으며, 4개의 현가 로프(31)중에 2개의 현가 로프의 다른 선단(31b)은 메인 풀리(100A) 주위에 감겨진 한편, 나머지 2개의 현가 로프(31)의 다른 선단(31c)은 로프 가이드(200) 또는 보조 풀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각각 메인 풀리(100B) 주위에 권취되어 있다.
공기 흡입 보강 부재(90)는 나사 등에 의해 공기 흡입 그릴(9)의 2개의 측면에 고정되며 4개의 현가 로프(31)의 후크로 기능한다. 더불어, 공기 흡입 그릴 보강 부재(90)는 공기 흡입 그릴(9)을 보강하도록 기능하고 공기 흡입 그릴(9)의 흡입면 상에 장착된 공기 필터(24)(도4)의 횡방향 변위를 방지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메인 풀리(100A, 100B)는 완전히 샤프트(110)의 양단부와 연결되었으며, 각 풀리(100A)와 각 풀리(100B)는 쌍을 이룬다. 각 메인 풀리(100A, 100B)들은 그 속에 홀이 형성되었으며, 샤프트(110)가 이들 메인 풀리(100A, 100B)의 홀 속에 삽입되어 풀리가 홀을 통해 샤프트(110) 둘레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다. 고정 부재(120)는 다수개의 나사 등을 통해 샤프트(11)의 샤프트부에 고정되고, 겹판 스프링(leaf spring), 전자석 등과 같은 회전력 전달 수단(130)(이하 코일 스프링)은 고정 부재(120)와 메인 풀리(100A, 100B)의 사이에 삽입된다.
참조 번호 125는 자유 회전 링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공기 흡입 그릴(9)의 순수 무게만이 4개의 현가 로프(31)에 가해지고, 고정 부재(120)와, 메인 풀리(100A, 100B) 및, 링들은 코일 스프링(130)의 탄성력에 의해 상호 마찰적으로 연결되고, 4개의 현가 로프(31)는 샤프트(110)의 회전과 맞물려 조출/되감기된다. 그러나, 4개의 현가 로프(31) 상에 과부하가 가해지면, 메인 풀리(100A, 100B)는 코팅 스프링(130)의 탄성력에 반하여 자유 회전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흡입 그릴(9)을 승강 이동시키는 메커니즘(150), 즉 승강 시스템(150)에는 메인 풀리(100A, 100B)와, 샤프트(110), 회전력 전달 수단으로서의 코일 스프링(130)이 수용된 클러치 및, 후술하는 바와 같은 공기 흡입 그릴 승강 모터(DC 모터)(140) 등이 구비되며, 이는 유니트 본체(2)의 개방 부분 내로 연장되도록 된 지지판(151) 상에 공동으로 배치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151)은 장식 패널(7)에 고정되며, 이상에서 전술된 승강 시스템(150)은 장식 패널측에 고정된다. 또한,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는 제어기(160)는 유니트 본체(20)의 개방부 내에 구비되어 지지판(151)과 대면하게 된다. 제어기(160)와 지지판(151)은 유니트 본체(2)의 소위 공기 흡입 개방부 내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즉, 지지판(151)은 지역(190A) 내에서 연장되도록 배치된 반면, 제어기(160)는 지역(190B) 내에서는 연장되지만, 공기가 나머지 공간(170)을 통해 충분히 흡입되어지므로 지지판(151)과 제어기(160)의 존재가 공기 흡입 기능을 방해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전술된 승강 시스템(150)은 장식 패널(7)에 고정되었으나, 제어기(160)는 유니트 본체(2)에 고정된다.
이하 승강 시스템(15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샤프트(110)는 2개의 베어링(152)을 통해 지지판(151) 상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기어(153)는 샤프트(110)의 대체로 중앙 부분에 고정된다. 기어(153)는 기어(154)와 결합되고, 기어(154)는 모터(140)의 출력 샤프트에 고정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 흡입 그릴을 승강(상방 그리고 하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참조 번호 141은 모터용 축전기를 나타내며, 참조 번호 143은 교정용 타이머를 나타낸다.
당김 스위치(작동 스위치)가 지시 유니트로서 구비되어 공기 흡입 그릴(9)을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당김 스위치(51)로 회전식 당김 스위치가 사용되는 바, 스위치의 반복적인 당김 동작에 대하여, 공기 흡입 그릴 승강 모터(140)는 정회전, 정지, 역회전의 순서로 반복적으로 동작을 수행하여, 이에 공기 흡입 그릴(9)은 강하, 정지, 상승, 정지의 순으로 반복적으로 동작을 수행한다. 이상에서 전술된 바와 같이, 공기 흡입 그릴은 회전 스위치를 작동함으로써 강하, 정지, 상승, 정지의 순으로 동작을 반복하여, 공기 흡입 그릴은 간단한 동작에 의해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공기 흡입 그릴(9)이 상한 위치 또는 하한 위치에 다다랐을 때에 승강 모터(140)를 정지시키는 수단은 도5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당김 스위치(51)로부터의 지시에 반응하여, 제어기(160)는 제어 신호를 드라이버 회로(305)로 출력하여 승강 모터(140)의 정회전과 역회전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제어기(16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반응하여, 드라이버 회로(305)는 소정의 속도로 승강 모터(140)를 구동하게 된다.
승강 모터(140)가 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공기 흡입 그릴(9)을 상방으로 움직이게 되면, 드라이버 회로로부터 모터로의 소비 전류(IC)는 약 170 ㎃인 한편, 공기 흡입 그릴은 상한 위치에 다다르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공기 흡입 그릴(9)이 상한 위치(공기 흡입 그릴(9)의 적어도 한 코너(또는 측면)가 장식 패널(7)에 대하여 접하게 되는)에 이르면, 승강 모터(140)는 그 회전 속도가 감소하거나 정지하게 되는 메인 풀리(100A, 100B)들과 계속 회전하는 샤프트(11)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대항하여 회전하게 되어, 이에 승강 모터(140) 상에 가해지는 부하는 마찰력에 해당하는 양만큼 증가하게 된다. 그러므로, 승강 모터(140)의 드라이버(305)로부터의 소비 전류(IC) 출력도 증가하게 된다. 이 때에, 모터(140)의 소비 전류(IC)는 예컨대 약 300 ㎃ 내지 약 300 ㎃ 내이다.
한편 승강 모터(140)가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여 공기 흡입 그릴(9)을 하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승강 모터(140)의 소비 전류(IC)는 약 60 ㎃인 반면, 공기 흡입 그릴(9)은 하한 위치에 도달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승강 모터(140)는 공기 흡입 그릴(9)이 하한 위치에 이르는 경우에 조차도 드라이버 회로(305)에 의해 계속 회전하게 되어, 이에 소비 전류(IC)는 약 100 ㎃ 내지 170 ㎃의 범위로 증가하게 된다. 즉, 승강 모터(140)가 이상에서 전술된 바와 같이 공기 흡입 그릴(9)이 하한 위치에 도달한 후에 조차도 계속 회전한다면, 전체 현가 로프가 조출된 후에 풀리(100A, 100B)는 회전하여 현가 로프(31)를 되감는다. 풀리(100A, 100B)가 회전하여 현가 로프(31)를 되감았을 때, 공기 흡입 그릴(9)이 상방으로 이동하였을 때와 대체로 동일한 부하가 승강 모터(140) 상에 가해지게 되어, 승강 모터(140)의 소비 전류(IC)는 100 ㎃ 내지 170 ㎃의 범위 내로 증가하게 된다.
드라이버 회로(305)는 증폭기(303)를 통해 소비 전류 검출 수단(307)에 연결된다. 소비 전류 검출 수단(307)은 항상 승강 모터(140)의 소비 전류(IC)를 검출하여, 검출한 소비 전류(IC)를 제어기(160)로 입력하게 된다.
공기 흡입 그릴(9)이 상승 중에 있고 소비 전류(IC)가 170 ㎃ 내지 300 ㎃(제1 설정치(x)) 또는 그 이상으로 증가하게 되면, 제어기(160)는 승강 모터(140)의 작동 정지 명령을 출력하며, 또한 공기 흡입 그릴(9)이 강하 중에 있고 소비 전류(IC)가 60 ㎃ 내지 100 ㎃(제2 설정치(Y)) 또는 그 이상으로 증가하게 되면, 제어기(160)는 승강 모터(140)의 작동 정지 명령을 출력하게 된다.
승강 모터(140)의 작동 정지 명령이 출력되면, 드라이버 회로(305)로 보내지는 제어 신호의 출력이 차단되어 승강 모터(140)의 구동을 멈추게 된다. 그러나, 공기 흡입 그릴이 상방으로 움직이고 소비 전류(IC)가 170 ㎃ 내지 300 ㎃(제1 설정치(X)) 또는 그 이상으로 증가하였을 때 승강 모터(140)의 작동 정지 명령이 출력되더라도, 소정 시간(예를 들어, 4초)이 타이머(309)에 의해 측정되지 않는다면 드라이버 회로(305)로 보내지는 제어 신호 출력은 차단되지 않으며, 소정 시간(예를 들어, 4초)이 측정된 시점에서, 드라이버 회로(305)로의 제어 신호 출력이 차단됨으로써 승강 모터(140)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공기 흡입 그릴(9)이 상승하는 경우에, 몇몇 경우에는 공기 흡입 그릴(9)에 고정된 2개의 현가 로프 사이에는 되감는 시간 상에 시간 차이가 발생할 수 있는 바, 따라서 공기 흡입 그릴(9)이 하나의 현가 로프 측면에서 상한 위치에 다다를지라도, 다른 현가 로프 측면에서는 상한 위치로 완전히 다다르지 않게 됨으로써, 공기 흡입 그릴(9)이 상한 위치로 완전하게 상향 이동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전술된 바와 같은 소정 시간이라 함은 하나의 현가 로프가 완전히 감겨진 후에 다른 현가 로프도 완전히 감겨지는데 필요한 충분한 시간으로 설정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작동이 도6과 도7을 참조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단계 S1에서, 우선 당김 스위치(51)가 조작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당김 스위치(51)는 풀-다운(pull-down) 로드 등을 사용하여 당김 스위치(51)를 당김으로써 조작된다. 당김 스위치(51)의 조작 여부가 판단되었다면, 단계 S2에서 승강 모터(140)를 정회전시키는 제어 신호가 제어기(301)로부터 출력되어, 드라이버 회로(305)로 입력되어 승강 모터(140)를 정회전시키고, 공기 흡입 그릴(9)을 하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단계 S3에서, 드라이버 회로(305)로부터 출력된 승강 모터(140)의 소비 전류(305)는 소비 전류 검출 수단(307)에 의해 검출된다. 이 경우에, 공기 흡입 그릴(9)은 하한 위치로 강하 진행 중이며, 따라서 검출값으로 약 60 ㎃의 소비 전류(IC)를 검출하게 된다.
단계 S4에서, 다시 당김 스위치(51)가 조작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당김 스위치(51)가 조작된 것으로 판단된다면, 공정은 단계 S8로 이어져 승강 모터(140)로의 전류 흐름을 차단하고 공기 흡입 그릴(9)을 정지시키게 된다. 그러나, 당김 스위치(51)가 조작되지 않았다면, 공정은 단계 S5로 이어지고 제어기(160)는 소비 전류(IC)가 제2 설정치(Y)인 100 ㎃ 또는 그 이상으로 증가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소비 전류(IC)가 제2 설정치(Y)까지 증가하지 않았다면, 공정은 단계 S3로 복귀한다. 이와는 달리, 소비 전류(IC)가 제2 설정치(Y)까지 증가하였다면, 공정은 단계 S6으로 진행하여 제어기(160)에서 작동 정지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단계 S7에서, 제어기(301)는 드라이버 회로(305)로 출력될 제어 신호를 차단함으로써, 승강 모터(140)로 공급될 전류는 차단되고 공기 흡입 그릴(9)은 멈추게 된다. 이후에, 공정은 단계 S9로 이어지게 된다.
단계 S9에서, 당김 스위치(51)가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당김 스위치(51)가 조작되지 않았다면, 공정은 단계 S8로 복귀하게 된다. 그러나, 당김 스위치(51)가 조작되었다면, 공정은 단계 S10로 이어져 승강 모터(140)를 역회전시키는 제어 신호를 제어기(310)로부터 출력하게 되고, 이 제어 신호는 드라이버 회로(305)로 입력되어 승강 모터(140)를 역회전시키며 공기 흡입 그릴(9)을 상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단계 S11에서, 승강 모터(140)의 소비 전류(IC)는 소비 전류 검출 수단(307)에 의해 검출된다. 이 경우에, 공기 흡입 그릴(9)은 상한 위치로의 상승 중에 있게 되고, 이에 소비 전류(IC)의 측정값은 예를 들어, 약 170 ㎃가 된다.
단계 S12에서, 다시 당김 스위치(51)가 조작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당김 스위치(51)가 조작되었다면, 제어기(301)가 승강 모터(140)로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고 공기 흡입 그릴(9)이 멈추게 되는 단계 S13로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당김 스위치(51)가 조작되지 않았다면, 제어기(160)가 소비 전류(IC)가 제1 설정치, 예를 들어 300 ㎃ 또는 그 이상으로 증가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S14로 이어지게 된다. 소비 전류(IC)가 제1 설정치(X)에 다다르지 않는다면, 공정은 단계 S10으로 되돌아간다. 그러나, 소비 전류(IC)가 제1 설정치(X)에 이르면, 단계 S15에서 제어기(309)로부터 타이머(309)로 작동 명령을 출력하고, 이후에 공정은 단계 S16으로 진행한다.
단계 S16에서, 상기한 작동 명령에 대하여, 타이머(309)가 작동하기 시작한다. 타이머(309)의 설정 시간은 예를 들어, 4 초로 설정되었다. 단계 S17에서, 타이머(309)에 의해 측정된 시간이 상기 설정 시간(예를 들어, 4 초)에 이르렀는지를 판단한다. 타이머(309)의 측정 시간이 4 초를 초과하였다면, 공정은 단계 S18로 진행하여 제어기(301)로부터 작동 정지 신호를 출력한 후에, 공정은 단계 S19로 이어지게 된다. 단계 S19에서, 작동 정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301)는 드라이버 회로(305)로 출력될 제어 신호를 차단하여, 이로써 승강 모터(140)는 멈추고, 이에 공기 흡입 그릴(9)은 정지하게 된다. 이후에, 공정은 S1 단계로 되돌아가게 된다.
즉, 공기 흡입 그릴(9)이 상한 위치에 이르면, 타이머(309)는 설정 시간(4 초)을 측정하고, 이후에 승강 모터(140)는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승강 모터(140)는 4초 동안 회전을 계속하게 된다. 이 시간(4 초) 동안에, 메인 풀리(100A, 100B)는 회전되고 샤프트의 회전으로 이어지며, 현가 로프(31)는 단단하게 되감기게 되어, 이로써 공기 흡입 그릴(9)의 4개의 코너는 대체로 확실하게 장식 패널(7)과 가깝게 접촉하도록 이동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흡입 그릴(9)의 강하의 진행 중에, 공기 흡입 그릴(9)의 강하는 이상에서 전술된 바와 같이 당김 스위치(51)를 당김으로써 정지(S8)되어, 공기 흡입 그릴(9)이 임의의 위치에서 잠정적으로 멈출 수 있게 된다. 도1에는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공기 흡입 그릴(9)의 상부 상에는 공기 정화 필터(24)(도4)가 장착된다. 그러므로, 공기 흡입 그릴(9)이 천정(6)으로부터 아래로 당겨져, 일시적으로 멈춰지면, 이와 같은 하강 위치에서 필터(24)를 교체하고 필터(24)를 세척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이 상승 위치에서 수행되는 것과 비교하였을 때에,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의 안정성도 증진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흡입 그릴을 상승시키기 위한 모터(140)를 구동하는 당김 스위치(51)를 작동함으로써, 샤프트(110)는 클러치를 통해 샤프트(110)와 이어진 메인 풀리(100A, 100B)를 회전 구동하게 되고, 메인 풀리(100A, 100B)의 둘레에 감겨진 현가 로프(31)는 조출/되감기되어 공기 흡입 그릴(9)을 상하방으로 자동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공기 정화 필터(24) 상에 보수 작업을 수행한다면, 공기 정화 필터(24)를 하강 위치(또는 임의의 위치)로 당긴 후에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공기 흡입 그릴을 상승시키는데는 단 하나의 모터(140)만이 구비되는 것으로 충분하므로, 비용 상승을 억제할 수 있으며, 구조는 보다 단순해지며, 문제 발생률도 공기 흡입 그릴을 상승시키는데 다수개의 모터(140)가 구비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낮은 수준으로 감소할 수 있다. 또한 과부하가 부과되는 경우에, 클러치는 샤프트를 자유 회전하도록 작동하여, 모터(140)가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공기 흡입 그릴(9)이 하방으로 이동되면, 승강 모터(140)로 공급되는 소비 전류(IC)가 검출되고, 공기 흡입 그릴(9)은 소비 전류(IC)가 600 ㎃ 내지 100 ㎃로 증가하였을 때 상한 위치에 도달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 시점에서, 승강 모터(140)로 공급되는 전류는 차단되어 승강 모터(140)를 정지시킴으로서, 공기 흡입 그릴(9)은 정지한다. 그러므로, 상하한 스위치 등과 같은 기계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공기 흡입 그릴(9)이 하한 위치에 멈추게 되는 경우와 비교하였을 때, 부품의 개수는 보다 작은 수로 감소되며, 구조는 단순화될 수 있으며, 비용은 훨씬 많이 절감되며, 문제 발생율도 보다 저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공기 흡입 그릴(9)이 상방으로 이동하면, 승강 모터(140)로 공급되는 소비 전류(IC)가 검출되고, 공기 흡입 그릴(9)은 소비 전류(IC)가 170 ㎃ 내지 300 ㎃로 증가하였을 때 상한 위치에 이른 것으로 간주된다. 이 시점에서, 승강 모터(140)로 공급되는 전류는 차단되어 승강 모터(140)를 정지시키고, 이로써 공기 흡입 그릴(9)은 멈추게 된다. 그러므로, 공기 흡입 그릴(9)이 상하한 스위치 등과 같은 기계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하한 위치에서 정지하는 경우와 비교하였을 때, 부품의 개수는 보다 감소되고, 구조는 보다 단순화되며, 비용은 훨씬 많이 절감되고, 문제 발생율도 보다 저하된다.
또한, 공기 흡입 그릴(9)이 현가 로프(31)에 의해 현가되면, 4개의 현가 로프는 공기 흡입 그릴(9)이 수평한 위치로 유지되도록 동일한 길이로 유지될 필요는 없다. 즉, 공기 흡입 그릴(9)은 경사지면서 상승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흡입 그릴(9)이 경사진 상태로 상승된 경우에도, 타이머(309)는 공기 흡입 그릴(9)이 상한 위치에 이른 후에 소정 시간을 측정하고, 이후에 승강 모터(140)의 회전은 4초가 경과된 후에 멈추게 된다. 이와 같은 소정 시간 중에, 메인 풀리(100A, 100B)의 회전은 모든 현가 로프(31)가 완전히 되감겨질 때까지 계속되어, 공기 흡입 그릴(9)이 수평한 상태로 유지되고 장식 패널(7)과 가깝게 접촉하도록 되기까지 완전히 상승된다. 이 경우에, 그 둘레로 4개의 현가 로프(31)중의 하나가 완전히 되감겨진 메인 풀리(100A, 100B)는 이상에서 전술된 바와 같이 샤프트(110)의 샤프트부상의 회전에 대항하여 멈추게 된다.
또한, 현가 로프(31)의 되감기 동작의 진행 중에 4개의 현가 로프(31)들 사이에서 길이상의 어떠한 불균형이 발생할지라도, 공기 흡입 그릴(9)이 완전히 되감기면, 현가 로프(31)들 사이의 길이의 불균형은 메인 풀리(100A, 100B)의 정지에 의해 흡수되어, 공기 흡입 그릴(9)은 장식 패널(7)과 완전히 접촉하게 되어 그 사이에 틈새가 없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흡입 그릴(9)이 상방으로 이동한 후에 공기 흡입 그릴(9)을 상한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구조로 제어기(160)와, 소비 전류 검출 수단(307) 및, 타이머(309), 즉 적은 개수의 부품들이 사용되어, 감소된 부품의 개수의 해당 양만큼 비용은 절감되고, 고장율도 감소될 수 있게 된다.
상방으로 이동된 공기 흡입 그릴(9)은 공기 흡입 그릴 잠금 수단(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장식 패널에 고정된다. 그러나, 잠금 수단은 필수적이 아니며, 본 실시예에서는 생략되었다. 단순한 공기 흡입 그릴 잠금 수단으로, 자석(43)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 패널(7)에 구비되어 공기 흡입 그릴(9)이 자석(43)에 의해 잠겨지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수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공기 흡입 그릴(9)이 상한 위치에 이른 후에 공기 흡입 그릴(9)의 우측과 좌측에 고정된 현가 로프들 사이의 길이상의 차이를 흡수하는 수단은 메인 풀리(100A, 100B)와 상호 마찰 결합된 샤프트(11) 및, 타이머(309)의 조합으로만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탄성력으로 현가 로프(31)를 당겨 올리는 레버가 메인 풀리(100A, 100B)와 로프 가이드(20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공기 흡입 그릴(9)이 경사지면서 상한 위치에 다다르면, 상한 위치에 먼저 도달하는 공기 흡입 그릴(9)의 좌우측중의 하나의 현가 로프(31)의 장력은 증가되고, 이는 탄성력에 대항하여 레버를 아래로 당긴다. 그러므로, 현가 로프(31)는 레버의 하방 당김 동작에 해당하는 양으로 되감기게 된다. 따라서, 상한 위치에 도달하지 못한 공기 흡입 그릴(9)의 다른 측면은 상한 위치로 상방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 밖에도, 로프 가이드(200)는 탄성력에 의해 상방 추진하도록 디자인되었다. 이 경우에, 공기 흡입 그릴(9)이 경사진 상태로 상한 위치에 도달하면, 상한 위치에 먼저 도달하는 공기 흡입 그릴(9)의 좌우측중의 하나의 현가 로프(31)의 장력은 증가하고, 이는 탄성력에 대항하여 로프 가이드(200)를 하방으로 부세하게 된다. 그러므로, 현가 로프(31)는 로프 가이드(200)의 하방 부세 동작에 해당하는 양으로 되감기게 된다. 따라서, 상한 위치에 도달하지 않은 공기 흡입 그릴(9)의 다른 측면은 상한 위치로 상방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8과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패널 내에 공기 흡입 포트가 구비되지 않은 공기 조화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8에 있어서, 참조 번호 2000은 천정 속에 내재된 박스형 유니트 본체를 나타낸다. 열 교환기(1600)와 공기 송풍기(1000) 등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니트 본체(2000) 내에 수용된다. 또한, 그 양 선단에 공기 송풍 포트(400)가 구비된 장식 패널(700)은 유니트 본체(2000)의 하부 선단에 고정되고, 금속판으로 이뤄진 필터 수용 부재(501)는 장식 패널(700)의 중앙 개구부의 내부에 결합되어 보유된다. 또한 공기 필터(240)는 필터 수용 부재(501)의 수용부(501a)와 접촉하게 수용되고, 금속판의 중앙 패널(승강 패널)(900)은 장식 패널(700)의 중앙 개구부의 전방부에 구비되어, 공기 흡입 포트(300)로 기능하는 공간은 각 양 측면에 남게 된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필터(240)는 레그부(100)에 의해 중앙 패널(900) 상에 장착되어지며, 이들 공기 필터(240)들은 4개의 로프(410)에 의해 장식 패널(700)에 현가되어, 장식 패널(700)에 대하여 상하방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현가 로프(310)의 각 선단(310a)들은 적절한 4개의 위치에서 중앙 패널(900)에 고정된다. 4개의 현가 로프(310)의 다른 선단들은 상방으로 연장되어, 롤러(210) 둘레로 감기고, 대체로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된 후,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승강 시스템(1500)에 연결된다. 승강 시스템(1500)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 패널(700)의 개구부의 대체로 중앙에 다리를 놓는 금속판(1510) 상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 필터(240)는 레그부(100)를 통해 금속판의 중앙 패널(900) 상에 수용된다. 그러므로, 중앙 패널(900)의 승강 운동 중에 흔들림이 발생할지라도, 공기 필터(240)에 부착된 먼지들은 중앙 패널의 상부면으로 떨어지며 여기에 수집된다. 따라서, 공기 필터(240) 등을 교체하는 작업 중에, 필터(240)에 부착된 먼지는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게 되므로, 실내를 매우 위생적으로 만든다. 그러므로, 본 발명이 음식물을 다루는 공장, 가게 등의 공기 조화기에 적용된 경우에도, 먼지가 떨어지는 것에 기인한 문제는 완전히 피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비 전류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가 승강 패널의 상승의 진행 중에 소정의 설정치를 초과한다면, 작동 정지 명령이 출력되어 승강 모터를 정지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승강 패널이 상한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승강 패널은 정지한다. 이 경우에, 부품의 개수는 줄어, 비용은 절감되고 고장율도 감소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 패널의 강하의 진행 중에, 승강 패널이 하한 위치에 도달하고 소비 전류가 설정치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이라면, 승강 모터는 바로 멈추게 된다. 이 경우에, 부품의 개수는 줄어, 비용은 절감되고 고장율도 감소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 패널의 운동은 상승과 강하 사이에서 자유로이 전환될 수 있으며, 상기 효과는 승강 패널의 상승과 강하 모두에서 달성될 수 있다. 소비 전류가 승강 패널의 상승의 진행 중에 설정치를 초과하면, 승강 모터는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멈추도록 설정되었다. 그러므로, 승강 패널이 상한 위치에 도달한 후에, 승강 패널은 4개의 코너가 천정 매립식 공기 조화기의 하부면과 밀접하게 접촉하여, 승강 패널의 경사를 교정한 후에 멈출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에, 부품의 개수는 감소되어, 비용도 절감되고 고장율도 감소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비 전류가 승강 패널의 상승 진행 중에 설정치를 초과하면, 승강 모터는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정지하도록 설정되었다. 그러므로, 승강 패널이 상한 위치에 도달한 후에, 승강 패널은 4개의 코너가 천정 매립식 공기 조화기의 하부면과 밀접하게 접촉하여 승강 패널의 경사를 교정한 후에 멈출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에, 부품의 개수는 감소될 수 있으므로, 비용은 절감되고 고장율도 감소하게 된다.

Claims (6)

  1. 열 교환기와 공기 송풍기가 수용되고 천정에 장착된 유니트 본체와, 천정면 상에 구비되는 장식 패널, 현가 로프의 일 선단이 고정되고 현가 로프의 다른 선단들은 승강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풀리에 고정된, 공기 필터가 구비된 승강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현가 로프는 상기 승강 모터를 구동함으로써 조출/되감기되어 상기 승강 패널을 승강 이동시키게 되는 천정 매립식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승강 모터의 소비 전류를 검출하는 소비 전류 검출 수단과,
    상기 승강 패널의 승강 운동 중에 상기 소비 전류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가 소정의 설정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작동 정지 지시를 출력하는 정지 지시 수단 및,
    상기 정지 지시 수단으로부터의 작동 정지 지시에 반응하여 상기 승강 모터를 정지시키는 모터 정지 제어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매립식 공기 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지시 수단이 상기 승강 패널의 상승 중에 상기 소비 전류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가 제1 설정치를 초과할 때, 또는 상기 승강 패널의 강하 중에 상기 소비 전류 검출 수단이 제2 설정치를 초과할 때 작동 정지 지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매립식 공기 조화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정지 제어 수단이 상기 정지 지시 수단으로부터의 작동 정지 지시를 수신한 후에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승강 모터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매립식 공기 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작동 정지 지시가 출력된 후에 소정의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가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모터 정지 제어 수단이 상기 타이머의 출력 결과에 반응하여 승강 모터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매립식 공기 조화기.
  5. 승강 패널을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 모터와,
    상기 승강 모터에 작동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승강 모터를 정회전 및 역회전시키는 드라이버 회로와,
    상기 드라이버 회로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이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드라이버 회로를 제어하는 제어기와,
    항상 상기 승강 모터의 소비 전류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기로 검출 결과를 출력하는 소비 전류 검출기와,
    소정 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제어기로 측정 결과를 출력하는 타이머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 패널의 승강 운동 중에 상기 소비 전류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소비 전류가 소정의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기가 상기 드라이버 회로로 작동 정지 지시를 출력하여 상기 승강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켜 상기 승강 패널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매립식 공기 조화기의 승강 패널의 승강 운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은 상기 승강 패널의 전체 외주가 상승 상한 위치 또는 강하 하한 위치에 완전히 도달하는데 걸리는 충분한 시간으로 설정되어, 이로써 상기 승강 패널이 상한 위치 또는 하한 위치에 도달했을 때 수평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매립식 공기 조화기의 승강 패널의 승강 운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KR1019970037739A 1996-08-08 1997-08-07 승강패널의승강운동용제어장치및이를구비한천정매립식공기조화기 KR1004585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25962 1996-08-08
JP22596296A JP3552851B2 (ja) 1996-08-08 1996-08-08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467A true KR19980018467A (ko) 1998-06-05
KR100458541B1 KR100458541B1 (ko) 2005-06-13

Family

ID=16837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7739A KR100458541B1 (ko) 1996-08-08 1997-08-07 승강패널의승강운동용제어장치및이를구비한천정매립식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823598B1 (ko)
JP (1) JP3552851B2 (ko)
KR (1) KR100458541B1 (ko)
CN (1) CN1100237C (ko)
DE (1) DE69726228T2 (ko)
ES (1) ES2212017T3 (ko)
PT (1) PT823598E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816B1 (ko) * 2006-07-10 2007-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87502B1 (ko) * 2006-12-05 2007-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0949293B1 (ko) * 2006-04-18 2010-03-24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KR101662828B1 (ko) * 2015-04-14 2016-10-06 (주)신한전기 천장형 공기조화기용 승강패널승하강장치
KR102351602B1 (ko) 2021-09-09 2022-01-14 장현실 천장형 공기조화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24276B2 (ja) * 2002-10-15 2009-02-12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CN100432548C (zh) * 2004-09-24 2008-11-12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吸顶式空调机的室内机
CN1888691B (zh) * 2005-06-30 2010-08-25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调器升降格栅的控制装置及控制方法
KR101111728B1 (ko) * 2006-11-20 2012-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090093B1 (ko) 2009-02-25 2011-12-09 주식회사 엠.에스.라이팅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
KR101035010B1 (ko) 2009-02-25 2011-05-17 주식회사 엠.에스.라이팅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
JP5493495B2 (ja) * 2009-06-23 2014-05-1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CN103851697A (zh) * 2012-12-04 2014-06-11 海尔集团公司 一种隐式空调
CN106091262B (zh) * 2016-06-17 2019-11-0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面板控制装置及方法
CN106931616A (zh) * 2017-04-14 2017-07-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面板组件及具有其的空调器
CN107687657B (zh) * 2017-08-04 2019-02-19 深圳市万佳安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厨房的具有清洁功能的空气净化设备
KR102235273B1 (ko) * 2017-12-21 2021-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CN108332287A (zh) * 2018-01-04 2018-07-2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室内机及其控制方法、空调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15575A (ja) * 1988-06-15 1989-12-20 Aichi Emerson Electric Co Ltd 電動ブラインド
JP2532897Y2 (ja) * 1991-10-29 1997-04-1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H0626667A (ja) * 1992-07-08 1994-02-04 Mitsubishi Heavy Ind Ltd 空気調和機
JP2923150B2 (ja) * 1992-11-20 1999-07-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528252B2 (ja) * 1993-05-10 1996-08-28 弘治 高林 天井取付型空調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293B1 (ko) * 2006-04-18 2010-03-24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KR100725816B1 (ko) * 2006-07-10 2007-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87502B1 (ko) * 2006-12-05 2007-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662828B1 (ko) * 2015-04-14 2016-10-06 (주)신한전기 천장형 공기조화기용 승강패널승하강장치
KR102351602B1 (ko) 2021-09-09 2022-01-14 장현실 천장형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23598B1 (en) 2003-11-19
DE69726228T2 (de) 2004-09-02
EP0823598A2 (en) 1998-02-11
CN1100237C (zh) 2003-01-29
ES2212017T3 (es) 2004-07-16
CN1177707A (zh) 1998-04-01
PT823598E (pt) 2004-04-30
JP3552851B2 (ja) 2004-08-11
JPH1054578A (ja) 1998-02-24
EP0823598A3 (en) 2001-04-11
KR100458541B1 (ko) 2005-06-13
DE69726228D1 (de) 2003-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8541B1 (ko) 승강패널의승강운동용제어장치및이를구비한천정매립식공기조화기
KR100430874B1 (ko) 천장 매립형 공기조화기
KR100780165B1 (ko)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그릴 승강기
KR100612464B1 (ko) 승강식 배기후드 장치
JP2000161767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3760449B2 (ja) 空気調和機
WO2003093156A1 (fr) Mecanisme elevateur/abaisseur pour ascenseur et procede afferent
JPH0972569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H10122592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H102578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H0921545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200184385Y1 (ko) 세탁물 건조대
JP3168940B2 (ja) 空気調和機
JPH077700U (ja) 舞台吊物の昇降装置
JP3625593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3637608B2 (ja) 空気調和装置の昇降ユニット昇降装置
JP2000130797A (ja) 天井設置型送風装置のグリル装置
JPH1038309A (ja) 空気調和機
JPH06239566A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張力平衡装置
JP2005016767A (ja) 空気調和装置
JPH06129705A (ja) 昇降式空調用グリル
JP2001153395A (ja) 空気調和装置
JPH10205805A (ja) 空気調和機
JP3231939B2 (ja) ワインダのワイヤ抜け止め装置
JP2010216774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