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5273B1 -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5273B1
KR102235273B1 KR1020180164264A KR20180164264A KR102235273B1 KR 102235273 B1 KR102235273 B1 KR 102235273B1 KR 1020180164264 A KR1020180164264 A KR 1020180164264A KR 20180164264 A KR20180164264 A KR 20180164264A KR 102235273 B1 KR102235273 B1 KR 102235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disposed
roller
drum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4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5818A (ko
Inventor
김형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880089987.5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1801529B/zh
Priority to AU2018388754A priority patent/AU2018388754B2/en
Priority to PCT/KR2018/016449 priority patent/WO2019125042A1/ko
Priority to EP18890162.3A priority patent/EP3730845A4/en
Publication of KR20190075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5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5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5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4Grilles, registers or guards with mounting arrangements, e.g. snap fasteners for mounting to the wall or 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5Grilles, registers or guards including an air fil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5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cables, e.g. bowden c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의 천장에 매달려 설치되고, 하측을 향해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분리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흡입구를 커버하고, 상기 케이스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흡입그릴; 상기 흡입그릴에 대해 일측에 배치되고, 하단이 상기 흡입그릴에 고정된 제 1-1 와이어; 상기 흡입그릴에 대해 일측에 배치되고, 하단이 상기 흡입그릴에 고정된 제 1-2 와이어;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1 와이어 및 제 1-2 와이어의 각 상단과 결합되고, 상기 제 1-1 와이어 및 제 1-2 와이어를 동시에 감거나 풀어서 상기 흡입그릴의 일측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제 1 유닛; 상기 제 1 유닛은, 상기 제 1-1 와이어의 상단 및 제 1-2 와이어의 상단이 각각 고정되는 제 1 드럼; 및 상기 제 1 드럼을 회전시키는 제 1 드럼모터;을 포함하고, 상기 제 1-1 와이어는, 상기 제 1 드럼의 외주면에 감기고, 상기 제 1 드럼에서 제 1-1 방향을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2 와이어는, 상기 제 1 드럼의 외주면에 감기고, 상기 제 1 드럼의 외주면에서 제 1-2 방향을 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 1-1 방향 및 제 1-2 방향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1 방향 및 제 1-2 방향은 서로 교차되게 배치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Ceiling 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흡입그릴을 자동으로 하강 또는 상승시킬 수 있는 천장형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팽창기로 구성되고, 공기조화 사이클을 이용하여 건물 또는 방에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한다.
공기조화기는 구조적으로 압축기가 실외에 배치된 분리형과, 압축기가 일체로 제작된 일체형으로 구분된다.
분리형은 실내기에 실내 열교환기를 설치하고, 실외기에 실외 열교환기와 압축기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두 장치를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다.
일체형은 실내 열교환기, 실외 열교환기 및 압축기를 하나의 케이스 안에 설치한 것이다. 일체형 공기조화기로는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와, 흡입덕트와 토출덕트를 연결하여 실내 외측에 설치하는 덕트형 공기조화기 등이 있다.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의 설치 형태에 따라 구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실내기가 실내 공간에 수직하게 세워져 설치되는 것을 스탠드형 공기조화기라 하고, 실내기가 실내의 벽에 설치되는 것을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라 하고, 실내기가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것을 천장형 실내기라 한다.
천장형 실내기의 경우, 흡입그릴이 바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흡입그릴에는 실내공기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가 배치되고, 상기 필터는 청소를 위해 분리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필터 청소를 위해 주기적으로 상기 흡입그릴을 케이스에서 분리할 필요가 있다.
종래 천장형 실내기에 배치되는 흡입그릴은 일측으로 회전되면서 개방되는 구조이다. 종래 천장형 실내기의 경우, 흡입그릴이 실내의 천장에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흡입그릴을 분리하기 위해 의자와 같은 구조물 위로 올라가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8-0110109 A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79838 B1
본 발명은 2쌍의 와이어들을 동시에 감거나 풀어서 흡입그릴 전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2개의 모터를 사용하여 4개의 와이어를 동시에 풀거나 감을 수 있는 구조의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흡입그릴의 상승 또는 하강 시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천장형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흡입그릴의 상승 또는 하강 시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흡입그릴의 상승 또는 하강 시, 필터에 부착된 이물질이 분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4개의 와이어를 통해 흡입그릴을 4점 지지한 상태에서 2개의 모터를 이용하여 흡입그릴을 동시에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드럼에 배치된 2개의 와이어가 대칭되게 배치되기 때문에, 흡입그릴의 승강 또는 하강 시 흡입그릴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4개의 와이어가 흡입그릴의 모서리 부근 4곳을 지지하기 때문에, 흡입그릴의 상승 또는 하강과정에서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1개의 모터가 흡입그릴의 한쪽에 배치된 한 쌍의 와이어를 제어하기 때문에, 흡입그릴의 한쪽에 대한 높낮이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4개의 와이어가 케이스에 배치된 각각의 가이더에 지지되기 때문에, 흡입그릴의 상승 또는 하강과정에서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4개의 와이어가 흡입그릴의 모서리 부근 4곳을 지지하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와이어가 손상되어도 나머지 3개가 흡입그릴을 지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흡입그릴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4개의 와이어가 케이스에 배치된 각각의 가이더에 지지되기 때문에, 흡입그릴의 흔들림을 억제하고, 흡입그릴의 하강과정에서 필터에 부착된 이물질이 분리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본 발명은 실내의 천장에 매달려 설치되고, 하측을 향해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분리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흡입구를 커버하고, 상기 케이스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흡입그릴; 상기 흡입그릴에 대해 일측에 배치되고, 하단이 상기 흡입그릴에 고정된 제 1-1 와이어; 상기 흡입그릴에 대해 일측에 배치되고, 하단이 상기 흡입그릴에 고정된 제 1-2 와이어;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1 와이어 및 제 1-2 와이어의 각 상단과 결합되고, 상기 제 1-1 와이어 및 제 1-2 와이어를 동시에 감거나 풀어서 상기 흡입그릴의 일측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제 1 유닛; 상기 제 1 유닛은, 상기 제 1-1 와이어의 상단 및 제 1-2 와이어의 상단이 각각 고정되는 제 1 드럼; 및 상기 제 1 드럼을 회전시키는 제 1 드럼모터;을 포함하고, 상기 제 1-1 와이어는, 상기 제 1 드럼의 외주면에 감기고, 상기 제 1 드럼에서 제 1-1 방향을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2 와이어는, 상기 제 1 드럼의 외주면에 감기고, 상기 제 1 드럼의 외주면에서 제 1-2 방향을 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 1-1 방향 및 제 1-2 방향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1 방향 및 제 1-2 방향은 서로 교차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드럼은, 상기 제 1 드럼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1 와이어의 상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 1-1 와이어가 감겨지는 제 1 구역; 상기 제 1 드럼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2 와이어의 상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 1-2 와이어가 감겨지는 제 2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1 방향은 상기 제 1 구역의 외주면과 접선을 형성하고, 상기 제 1-2 방향은 상기 제 2 구역의 외주면과 접선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드럼은 상기 제 1 구역 및 제 2 구역을 구획하는 제 1 파티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파티션은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파티션은 상기 제 1 드럼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1 드럼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 1 드럼모터의 모터축과 직교될 수 있다.
상기 제 1 드럼의 제 1 구역 및 제 2 구역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드럼의 축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 1-1 와이어가 상기 제 1 구역의 상측면에 지지되고, 상기 제 1-2 와이어가 상기 제 2 구역의 하측면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드럼의 축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 1-1 와이어가 상기 제 1 구역의 하측면에 지지되고, 상기 제 1-2 와이어가 상기 제 2 구역의 상측면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 유닛은, 상기 제 1 드럼 및 제 1 드럼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 1 유닛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유닛케이스는 상기 제 1-1 와이어가 관통되는 제 1 홀; 및 상기 제 1-2 와이어가 관통되는 제 2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유닛케이스의 상기 제 1 홀 및 제 2 홀은 하측을 향해 개구될 수 있다.
상기 제 1 유닛케이스의 제 1 홀 및 제 2 홀은 상기 제 1 유닛케이스의 측벽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유닛케이스의 제 1 홀 및 제 2 홀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제 1-1 와이어를 지지하고, 상기 흡입그릴의 상측에 위치되는 제 1 와이어가이더;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제 1-2 와이어를 지지하고, 상기 흡입그릴의 상측에 위치되는 제 2 와이어가이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유닛케이스의 제 1 홀은 상기 제 1 와이어가이더를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유닛케이스의 제 2 홀은 상기 제 2 와이어가이더를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유닛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드럼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 1 회전감지장치, 상기 제 2 유닛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드럼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 2 회전감지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회전감지장치는, 상기 제 1 드럼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드럼의 회전 시 함께 회전되는 회전감지인자; 상기 회전감지인자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회전감지인자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가 배치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센서는 적외선센서이고, 상기 회전감지인자는 상기 드럼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된 톱니이고, 상기 센서는 상기 톱니에 의해 단속되는 적외선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발광부 및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감지장치는, 상기 발광부 및 수광부가 설치되는 센서설치부; 상기 센서설치부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감지인자가 통과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슬롯;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롯을 기준으로 상기 발광부 및 수광부는 서로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유닛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유닛케이스; 상기 유닛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드럼에 대해 상기 제 1-1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제 1-1 와이어가 관통되고, 상기 제 1-1 와이어가 감겨지거나 풀릴 때, 상기 제 1-1 와이어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제 1-1 롤러박스; 상기 유닛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드럼에 대해 상기 제 1-2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제 1-2 와이어가 관통되고, 상기 제 1-2 와이어가 감겨지거나 풀릴 때, 상기 제 1-2 와이어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제 1-2 롤러박스;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1 롤러박스는, 상기 1-1 와이어와 접촉되고, 상기 제 1-1 와이어의 이동 시 마찰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드럼과 가장 멀리 배치되는 스타트롤러; 상기 1-1 와이어와 접촉되고, 상기 제 1-1 와이어의 이동 시 마찰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드럼과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엔드롤러; 상기 제 1-1 와이어와 접촉되고, 상기 1-1 와이어의 이동 시 마찰에 의해 회전되고, 스타트롤러 및 엔드롤러 사이에 배치된 전달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1 와이어는 상기 엔드롤러의 상측면과 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1 와이어는 상기 스타트롤러의 하측면과 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달롤러는, 상기 제 1-1 와이어와 접촉되고, 상기 제 1-1 와이어의 이동 시 마찰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스타트롤러 및 엔드롤러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롤러; 상기 제 1-1 와이어와 접촉되고, 상기 제 1-1 와이어의 이동 시 마찰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제 2 롤러 및 엔드롤러 사이에 배치된 제 3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타트롤러는 제 1 롤러축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전달롤러는 전달롤러축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엔드롤러는 제 4 롤러축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스타트롤러는 상기 제 1 롤러축에서 제자리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1-1 방향은 상기 엔드롤러 및 제 1 드럼의 접선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 1-2 롤러박스는, 상기 1-2 와이어와 접촉되고, 상기 제 1-2 와이어의 이동 시 마찰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드럼과 가장 멀리 배치되는 스타트롤러; 상기 1-2 와이어와 접촉되고, 상기 제 1-2 와이어의 이동 시 마찰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드럼과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엔드롤러; 상기 제 1-2 와이어와 접촉되고, 상기 1-2 와이어의 이동 시 마찰에 의해 회전되고, 스타트롤러 및 엔드롤러 사이에 배치된 전달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2 방향은 상기 엔드롤러 및 제 1 드럼의 접선방향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일측에 배치된 2개의 와이어가 제 1 드럼에 고정되고, 타측에 배치된 2개의 와이어가 제 2 드럼에 고정되기 때문에, 제 1 드럼 및 제 2 드럼을 각각 작동시키는 2개의 드럼모터를 통해 2쌍의 와이어들을 동시에 감거나 풀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4개의 와이어를 통해 흡입그릴을 4점 지지하기 때문에, 상기 흡입그릴을 안정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가 4개의 와이어를 동시에 감거나 풀도록 구성되되, 2개의 모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제작에 필요한 재료비를 절감하고 제어를 단순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2개의 와이어가 하나의 드럼에 고정되기 때문에, 2개의 와이어를 동시에 감거나 풀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흡입그릴이 4개의 와이어에 지지된 상태에서 프론트바디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작동 즉시 흡입그릴이 하강되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2개의 와이어가 하나의 드럼에 고정되지만, 각 와이어가 드럼의 각 구역에서 감기거나 풀리기 때문에, 와이어의 길이 및 속도를 균일하게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곱째, 본 발명은 드럼의 회전량 및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회전량감지장치가 제 1 유닛 및 제 2 유닛에 각각 배치되기 때문에, 2개의 드럼모터를 동일하게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덟째, 본 발명은 각 드럼에 2개의 와이어가 대칭되게 배치되기 때문에, 흡입그릴의 승강 또는 하강 시 흡입그릴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작동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프론트패널이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프론트패널 및 엘리베이터의 배치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프론트패널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엘리베이터가 도시된 하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의 프론트패널 및 엘리베이터가 도시된 저면도이다.
도 9는 도 2의 엘리베이터 내부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작동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의 설치구조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13은 도 4에 도시된 흡입그릴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2에 도시된 와이어가이더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실내기의 작동예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엘리베이터가 도시된 하부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엘리베이터 내부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작동예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들의 배치상태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작동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프론트패널이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프론트패널 및 엘리베이터의 배치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프론트바디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엘리베이터가 도시된 하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의 프론트패널 및 엘리베이터가 도시된 저면도이다. 도 9는 도 2의 엘리베이터 내부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작동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의 설치구조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13은 도 4에 도시된 흡입그릴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2에 도시된 와이어가이더의 분해사시도이다.
<실내기의 구성>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가 형성된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되는 실내열교환기(130)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실내송풍팬(140)을 포함한다.
상기 실내기는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가 모두 저면에 형성된다. 상기 실내기는 저면에서 공기를 흡입한 후, 다시 저면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실내기는 상기 케이스(100)의 일부만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케이스(100)의 대부분은 천장에 매립되어 숨겨진다.
상기 케이스(100)는 실내의 바닥을 향하게 배치된 흡입그릴(3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는 상기 흡입그릴(320)은 수직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엘리베이터(500)가 배치된다.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을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500)가 작동되고, 상기 엘리베이터(500)의 작동에 의해 4개의 와이어(511)(512)(521)(522)가 동시에 풀리거나 감기고, 상기 와이어(511)(512)(521)(522)에 결합된 흡입그릴(320)이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320)의 상승 및 하강을 위한 엘리베이터(500)의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겠다.
<케이스의 구성>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100)는 케이스하우징(110)과, 프론트패널(30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하우징(100)은 행거(미도시)를 통해 실내의 천장에 매달려 설치되고, 하측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패널(300)은 상기 케이스하우징(110)의 개구된 면을 커버하고, 실내의 바닥을 향해 배치되고, 실내에 노출되며,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00)는 제작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케이스(100)의 구성이 본 발명의 사상을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는 모두 상기 프론트패널(300)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론트패널(300)만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케이스하우징(110) 은 천장에 매립되어 숨겨진다. 상기 프론트패널(300)은 상기 케이스하우징(110)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흡입그릴(320)은 상기 프론트패널(300) 내측에 위치된다. 상기 흡입그릴(320)은 상기 프론트패널(300)과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고, 상기 케이스하우징(110) 보다는 낮게 위치된다.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는 모두 하측을 향해 개구된다.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는 상기 실내열교환기(130) 및 실내송풍팬(140)보다 낮게 위치된다.
상기 흡입구(101)가 프론트패널(300)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102)는 상기 흡입구(101)의 바깥쪽에 배치된다. 상기 흡입구(101)의 개수 또는 토출구(102)의 개수는 본 발명의 사상과 무관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구(101)는 1개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102)는 복수개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구(101)는 저면에서 보았을 때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102)는 상기 흡입구(101)의 각 가장자리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4개가 배치된다.
<실내열교환기의 구성>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상기 케이스(100) 내부를 내측 및 외측으로 구획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본 실시예에서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30)의 내측에 실내송풍팬(140)이 위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는 탑뷰 또는 바텀뷰로 볼 때, 전체적인 형상이 "□"로 형성되고, 일부구간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상기 실내송풍팬(140)에서 토출된 공기가 수직하게 진입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드레인팬(132)이 설치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드레인팬(132)에 거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30)에서 생성된 응축수는 상기 드레인팬(132)으로 유동된 후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팬(132)에는 모인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펌프(미도시)가 배치된다.
상기 드레인팬(132)은 실내열교환기(130)에서 흘러내린 응축수를 한쪽으로 모아 저장하기 위해 방향성을 갖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실내송풍팬의 구성>
상기 실내송풍팬(140)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흡입구(101)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실내송풍팬(140)은 중앙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원심송풍기가 사용된다.
상기 실내송풍팬(140)은 벨마우스(142), 팬(144) 및 팬모터(146)를 포함한다.
상기 벨마우스(142)는 흡입그릴(320) 상측에 배치되고, 팬(144)의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벨마우스(142)는 상기 흡입그릴(320)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팬(144)으로 안내한다.
상기 팬모터(146)는 상기 팬(144)을 회전시킨다. 상기 팬모터(146)는 케이스하우징(110)에 고정된다. 상기 팬모터(146)는 상기 팬(144)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팬모터(146)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팬(144)보다 높게 위치된다.
상기 팬모터(146)의 모터축은 하측을 향해 배치되고, 상기 모터축에 상기 팬(144)이 결합된다.
상기 팬(144)의 가장자리 외측에 실내열교환기(130)가 위치된다. 상기 팬(144)과 실내열교환기(130)의 적어도 일부분은 동일 수평선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벨마우스(142)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팬(144)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상하방향에 대해 상기 벨마우스(142)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팬(144)과 오버랩된다.
<유로의 구성>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케이스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하우징(110) 내부 공간을 내측 및 외측으로 구획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로 둘러싸인 내측 공간을 흡입유로(103)로 정의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130)의 외측 공간을 토출유로(104)로 정의한다.
상기 흡입유로(103)에 상기 실내송풍팬(140)이 배치된다. 상기 토출유로(104)는 실내열교환기(130)의 바깥쪽 및 케이스하우징(110)의 측벽 사이다.
탑뷰 또는 바텀뷰로 볼때, 상기 흡입유로(103)는 실내열교환기의 "□"로 둘러싸인 내측이고, 토출유로(104)는 실내열교환기의 "□"로 둘러싸인 바깥쪽이다.
상기 흡입유로(103)는 흡입구(101)과 연통되고, 상기 토출유로(104)는 토출구(103)와 연통된다.
공기는 상기 흡입유로(103)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되고, 토출유로(104)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유동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를 기준으로 공기의 유동방향이 180도 전환된다.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는 프론트패널(300)의 같은 면에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는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는 실내의 바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프론트패널(300)에 굴곡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토출구(102)가 약간의 측면경사를 갖게 형성될 수 있지만, 토출유로(104)와 연결된 토출구(102)는 하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10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베인모듈(200)이 배치된다.
상기 흡입유로(103)에서 토출유로(104)로 공기가 유동될 때, 상기 공기는 수평방향으로 유동된다. 상기 공기는 팬(144)이 중심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유동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를 통과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를 기준으로 상기 흡입유로(103) 및 토출유로(104)의 공기유동은 반대로 배치된다. 즉, 상기 흡입유로(103)에서 공기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되고, 상기 토출유로(104)에서 공기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유동된다.
<프론트패널의 구성>
상기 프론트패널(300)은 케이스하우징(110)에 결합되고,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가 형성된 프론트바디(310)와, 다수개의 그릴홀(321)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101)를 커버하는 흡입그릴(320)과, 상기 흡입그릴(320)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프리필터(330)와, 상기 프론트바디(310)에 설치되고, 상기 토출구(102)의 공기유동방향을 제어하는 베인모듈(200)을 포함한다.
상기 흡입그릴(320)은 상기 프론트바디(310)와 분리되어 배치된다. 상기 흡입그릴(320)은 상기 프론트바디(310)에 밀착되지만, 상기 프론트바디(310) 및 흡입그릴(320)를 조립 또는 결합시키는 구성이 배치되지 않는다.
상기 흡입그릴(320)은 와이어에 의해 당겨져 상기 프론트바디(31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엘리베이터(500)의 작동에 따라 하강 또는 승강될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320)은 상기 엘리베이터(500)에 의해 상기 프론트바디(310)에서 상하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320)은 상기 흡입구(101) 전체를 커버한다.
상기 엘리베이터(500) 및 흡입그릴(320)은 4개의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엘리베이터(500)는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서 상기 흡입그릴(32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그릴(320)는 격자형태를 통해 다수개의 그릴홀(321)이 형성된다. 상기 그릴홀(321)과 상기 흡입구(101)는 연통된다.
상기 흡입그릴(320)의 상측에 프리필터(330)가 배치된다. 상기 프리필터(330)는 상기 케이스(100)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여과한다. 상기 프리필터(330)는 상기 그릴홀(321)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흡입그릴(320)을 통과한 공기를 여과한다.
상기 토출구(102)는 상기 흡입구(101)의 가장자리를 따라 긴 슬릿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베인모듈(200)은 상기 토출구(102) 상에 위치되고, 상기 프론트바디(31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인모듈(200)은 상기 프론트바디(310)의 하측으로 분리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인모듈(200)은 상기 프론트바디(310)의 결합구조와 무관하게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바디(310)에서 독립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에 관한 구조는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겠다.
<프론트바디의 구성>
상기 프론트바디(310)는 케이스하우징(110)의 하측에 결합되고, 실내의 방향을 향해 배치된다. 상기 프론트바디(310)는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고, 실내에 노출된다.
상기 프론트바디(310)는 케이스하우징(110)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하우징(110)은 상기 프론트바디(310)의 하중을 지지한다. 상기 프론트바디(310)는 흡입그릴(320) 및 프리필터(330)의 하중을 지지한다.
상기 프론트바디(310)는 탑뷰로 볼 때,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바디(310)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바디(310)의 상측면은 천장에 밀착될 수 있도록 수평하게 형성되고, 하측면은 가장자리가 약간의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바디(310)의 중앙에 흡입구(101)가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101) 가장자리 바깥쪽에 복수개의 토출구(102)가 배치된다.
탑뷰로 볼 때, 상기 흡입구(101)는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토출구(102)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102)는 폭보다 길이가 긴 슬릿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바디(310)는 프론트프레임(312), 사이드커버(314), 코너커버(316)를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은 프론트패널(300)의 하중 및 강성을 제공하고, 상기 케이스하우징(110)에 체결고정된다.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에 상기 흡입구(101) 및 4개의 토출구(102)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은 사이드프레임(311) 및 코너프레임(313)을 포함한다.
상기 코너프레임(313)은 프론트패널(300)의 각 모서리에 배치된다. 상기 사이드프레임(311)은 2개의 코너프레임(313)과 결합된다. 상기 사이드프레임(311)은 이너 사이드프레임(311a) 및 아우터 사이드프레임(311b)를 포함한다.
상기 이너 사이드프레임(311a)은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 사이에 배치되고, 2개의 코너프레임(313)을 결합시킨다. 아우터 사이드프레임(311b)은 토출구(102)의 바깥쪽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이너 사이드프레임(311a) 및 4개의 아우터 사이드프레임(311b)이 구비된다.
상기 흡입구(101)는 4개의 이너 사이드프레임(311a) 내측에 위치된다. 상기 토출구(102)는 2개의 코너프레임(313), 이너 사이드프레임(311a) 및 아우터 사이드프레임(311b)에 둘러싸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저면에 상기 사이드커버(314) 및 코너커버(316)가 결합된다. 상기 사이드커버(314) 및 코너커버(316)는 사용자에게 노출되고,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은 사용자에게는 보이지 않는다.
상기 사이드커버(314)는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코너커버(316)는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모서리에 배치된다.
상기 사이드커버(314)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에 체결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이드커버(314)는 상기 사이드프레임(311)에 결합되고, 코너커버(316)는 코너프레임(313)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사이드커버(314) 및 코너커버(316)는 각각 4개가 구비된다. 상기 사이드커버(314) 및 코너커버(316)는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에 결합되어 하나의 구조물로 연결된다. 상기 프론트패널(300)에서 4개의 사이드커버(314) 및 4개의 코너커버(316)는 하나의 가장자리를 형성한다.
상기 사이드프레임(311) 하측에 상기 사이드커버(314)가 배치되고, 코너프레임(313) 하측에 상기 코너커버(316)가 배치된다.
4개의 사이드커버(314) 및 4개의 코너커버(316)는 조립되어 4각형의 테두리를 형성한다. 연결된 4개의 사이드커버(314) 및 4개의 코너커버(316)를 프론트데코(350)라고 정의한다.
상기 프론트데코(350)는 데코 아우터보더(351, outer border)와 데코 이너보더(352, inner border)를 형성한다.
탑뷰 또는 바텀뷰로 볼 때, 상기 데코 아우터보더(351)는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데코 이너보더(352)도 전체적인 형상은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다만 상기 데코 이너보더의 모서리는 소정의 곡률을 형성한다.
상기 데코 이너보더(352) 내측에 상기 흡입그릴(320) 및 4개의 베인모듈(200)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데코 이너보더(352)에 흡입그릴(320) 및 4개의 베인모듈(200) 접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사이드커버(314)는 4개가 배치되고, 각 사이드커버(314)는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에 결합된다. 상기 사이드커버(314)의 바깥쪽 가장자리는 상기 데코 아우터보더(351)의 일부를 형성하고, 안쪽 가장자리는 상기 데코 이너보더(352)의 일부를 형성한다.
특히, 상기 사이드커버(314)의 안쪽 가장자리는 상기 토출구(102)의 바깥쪽 경계를 형성한다. 상기 사이드커버(314)의 안쪽 가장자리를 사이드데코 이너보더(315)로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코너커버(316)는 4개가 배치되고, 각 코너커버(316)는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에 결합된다. 상기 코너커버(316)의 바깥쪽 가장자리는 상기 데코 아우터보더(351)의 일부를 형성하고, 안쪽 가장자리는 상기 데코 이너보더(352)의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코너커버(316)의 안쪽 가장자리를 코너데코 이너보더(317)로 정의한다.
상기 코너데코 이너보더(317)는 상기 흡입그릴(320)과 맞닿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너커버(316)의 안쪽 가장자리는 상기 흡입그릴(320)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소정간격 이격되어 갭(317a)을 형성한다.
상기 사이드데코 이너보더(315) 역시 상기 베인모듈(200)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갭(315a)을 형성하고, 상기 베인모듈(200)의 바깥쪽 가장자리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그래서 상기 데코 이너보더(352)는 4개의 베인모듈(200) 및 흡입그릴(320)의 바깥쪽 가장자리와 소정간격 이격되고 연속된 갭을 형성한다.
4개의 사이드데코 이너보더 갭(315a) 및 4개의 코너데코 이너보더 갭(317a)에 의해 형성된 연속된 갭을 프론트데코 갭(350a)으로 정의한다.
상기 프론트데코 갭(350a)은 상기 프론트데코(350)의 안쪽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론트데코 갭(350a)은 베인모듈(200) 및 흡입그릴(320)의 바깥쪽 가장자리와 프론트데코(350)의 안쪽 가장자리가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베인모듈(200)이 작동되지 않을 때(실내기 정지 시), 상기 프론트데코 갭(350a)은 흡입그릴(320) 및 베인모듈(200)을 하나의 구조물로 보이게 한다.
<흡입그릴의 구성>
상기 흡입그릴(320)은 프론트바디(310)의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흡입그릴(320)은 상기 프론트바디(310)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하측으로 승강될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320)은 그릴바디(322)와, 상기 그릴바디(322)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된 다수개의 그릴홀(321)과, 상기 그릴바디(322)에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의 타단이 고정되는 와이어고정부(329)와, 상기 프리필터(330)가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필터결합부(331)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그릴(320)은, 상기 흡입구(101)의 하측에 배치되고, 다수개의 그릴홀(321)에 의해 상기 흡입구(101)와 연통되고,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그릴바디(322)과, 상기 그릴바디(322)의 모서리에서 대각선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그릴코너부(327)를 포함한다.
상기 그릴바디(322)의 저면과 베인(210)의 저면은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릴바디(322)의 저면과 코너커버(316)의 저면은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그릴바디(322)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그릴(323)이 격자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격자형태의 그릴(323)은 사각형 형태의 그릴홀(321)을 형성시킨다. 상기 그릴(323) 및 그릴홀(321)이 형성된 부분을 흡입부로 정의한다.
상기 그릴바디(322)는 다수개의 그릴홀(321)이 형성된 그릴(323)과, 상기 그릴(323)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그릴(323)을 둘러싸게 배치되는 그릴바디부(324)를 포함한다. 탑뷰 또는 바텀뷰로 볼때, 상기 흡입부는 전체적인 형상이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프리필터(330)는 상기 흡입부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흡입부를 커버한다.
상기 흡입부의 각 모서리는 프론트패널(300)의 각 모서리를 향하게 배치되고,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코너커버(316)를 향하게 배치된다.
바텀뷰로 볼 때, 상기 그릴바디(322)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그릴바디부(324)의 외측 가장자리는 상기 토출구(102) 또는 프론트데코(350)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그릴바디부(324)의 외측 가장자리는 코너커버(316)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그릴 코너보더(326)와, 상기 토출구(102)를 형성하고, 상기 사이드커버(314)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그릴 사이드보더(325)를 포함한다.
상기 그릴 코너보더(326)는 흡입그릴(320)의 내측을 중심으로 하는 곡률로 형성되고, 그릴 사이드보더(325)는 상기 흡입그릴(320)의 외측을 중심으로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바디부(324)는 상기 그릴 코너보더(326) 및 2개의 그릴 사이드보더(325)에 의해 감싸지는 그릴코너부(327)를 더 포함한다. 상기 그릴코너부(327)는 그릴바디부(324)에서 코너커버(316)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그릴코너부(327)는 상기 그릴바디(322)의 각 모서리에 배치된다. 상기 그릴코너부(327)는 상기 프론트패널(300)의 각 모서리를 향해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그릴코너부(327)는 4개가 배치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4개의 그릴코너부(327)를 제 1 그릴코너부(327-1), 제 2 그릴코너부(327-2), 제 3 그릴코너부(327-3) 및 제 4 그릴코너부(327-4)라 정의한다.
상기 그릴 사이드보더(325)는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사이드커버(314) 및 흡입그릴(320) 사이에 토출구(102)가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사이드커버(314)의 사이드데코 이너보더(315) 및 그릴바디(322)의 그릴사이드보더(325) 사이에 1개의 토출구(102)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그릴(320)의 4방향에 배치된 사이드데코 이너보더(315) 및 그릴사이드보더(325) 사이에 각각의 토출구(102)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그릴 코너보더(326)의 길이와 코너데코 이너보더(317)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그리고 그릴 코너보더(326)의 길이와 코너데코 이너보더(317)의 길이는 같다. 즉, 상기 코너커버(316)의 폭과 상기 그릴코너부(327)의 폭이 같게 형성된다. 또한, 사이드커버(314)의 내측 폭과 그릴 사이드보더(325)의 폭이 같게 형성된다.
상기 그릴 사이드보더(325)를 보다 상세하게 구분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그릴 사이드보더(325)는 상기 토출구(102)의 안쪽 경계를 형성한다. 상기 사이드데코 이너보더(315) 및 코너데코 이너보더(317)는 상기 토출구(102)의 바깐쪽 경계를 형성한다.
상기 그릴 사이드보더(325)는 토출구(102)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직선으로 형성된 긴직선구간(325a)과, 상기 긴직선구간(325a)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흡입그릴(320)의 바깥쪽에 곡률중심이 형성되는 제 1 곡선구간(325b)과, 상기 긴직선구간(325a)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흡입그릴(320)의 바깥쪽에 곡률중심이 형성되는 제 2 곡선구간(325c)과, 상기 제 1 곡선구간(325b)과 연결되는 제 1 짧은직선구간(325d)과, 상기 제 2 곡선구간(325c)과 연결되는 제 2 짧은직선구간(325e)을 포함한다.
상기 그릴 사이드보더(325) 및 사이드데코 이너보더(315) 사이에 토출구(102)가 형성되고, 상기 각 토출구(102)에는 베인모듈(200)이 배치된다.
상기 베인모듈(200)의 베인(210)의 내측 가장자리(210a)는 그릴 사이드보더(325)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베인(210)의 외측 가장자리(210b)는 사이드데코 이너보더(315)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그릴 사이드보더(325) 및 사이드데코 이너보더(315) 사이에 토출구(102)가 형성되고, 상기 각 토출구(102)에는 베인모듈(200)이 배치된다.
상기 베인모듈(200)의 베인(210)의 내측 가장자리(210a)는 그릴 사이드보더(325)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베인(210)의 외측 가장자리(210b)는 사이드데코 이너보더(315)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한편, 와이어의 타단이 고정되는 와이어고정부(329)는 그릴바디부(324)에서 상측으로 돌출된다. 와이어고정부(329)는 4개가 배치되고, 각각의 와이어(511)(512)(521)(522)에 대응된다.
제 1-1 와이어(511)의 타단이 고정되는 와이어고정부를 제 1 와이어고정부(329-1)로 정의하고, 제 1-2 와이어(512)의 타단이 고정되는 와이어고정부를 제 2 와이어고정부(329-2)로 정의하고, 제 2-1 와이어(521)의 타단이 고정되는 와이어고정부를 제 3 와이어고정부(329-3)로 정의하고, 제 2-2 와이어(522)의 타단이 고정되는 와이어고정부를 제 4 와이어고정부(329-4)로 정의한다.
탑뷰 또는 바텀뷰로 볼 때, 제 1 와이어고정부 및 제 2 와이어고정부는 제 1 유닛의 모터축(541) 방향을 기준으로 대칭된다. 탑뷰 또는 바텀뷰로 볼 때, 제 3 와이어고정부 및 제 4 와이어고정부는 제 2 유닛의 모터축(541) 방향을 기준으로 대칭된다.
제 1 와이어고정부 및 제 2 와이어고정부의 배치방향과 제 3 와이어고정부 및 제 4 와이어고정부의 배치방향은 평행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와이어고정부는 제 1 그릴코너부(327-1) 측에 위치되고, 제 2 와이어고정부는 제 2 그릴코너부(327-2) 측에 위치되고, 제 3 와이어고정부는 제 3 그릴코너부(327-3) 측에 위치되고, 제 4 와이어고정부는 제 4 그릴코너부(327-4) 측에 위치된다.
상기 와이어고정부(329)는 프리필터(330) 외측에 배치되고, 그릴바디(322) 에 배치된다. 각 와이어고정부는 그릴바디(322)의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다.
필터결합부(331)는 프리필터(330)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프리필터(330)는 주기적으로 세척되어야하기 때문에, 프리필터(330)는 필터결합부(331)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된다.
본 실시에에서 필터결합부(331)는 프리필터(330)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구조이다. 필터결합부(331)는 그릴(323) 바깥쪽에 배치되고, 흡입구(101) 또는 흡입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필터결합부(331)는 그릴바디부(324)의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그릴바디부(324) 상측면과의 사이에 상기 프리필터(330)가 수납될 수 있는 간격을 형성시킨다.
<프리필터의 구성>
프리필터(330)는 흡입그릴(320)의 상측에 배치된다. 프리필터(330)는 흡입구(101)를 통해 흡입된 공기에서 체적이 큰 이물질을 여과한다.
프리필터(330)는 그릴(323) 상측에 배치되고, 흡입부 전체를 커버한다.
프리필터(330)는 흡입그릴(320)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고, 흡입그릴(320)이 하강될 때, 함께 하강된다.
<엘리베이터의 구성>
상기 엘리베이터(500)는 4개의 와이어(511)(512)(521)(522)를 동시에 감거나 풀어서 상기 흡입그릴(32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제어부에 조작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엘리베이터(5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엘리베이터(500)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엘리베이터(500)는 상기 흡입그릴(320)을 4점 지지한다. 상기 엘리베이터(500)는 4개의 와이어(511)(512)(521)(522)를 통해 상기 흡입그릴(320)을 지지하고, 상기 와이어들을 감거나 풀어서 상기 흡입그릴(32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상기 엘리베이터(500)는 4개의 와이어(511)(512)(521)(522)를 동시에 감거나 풀도록 작동되고, 이를 통해 상기 흡입그릴(320)을 수평상태로 상승 또는 하강시킬수 있다.
상기 엘리베이터(500)는 제 1 유닛(510) 및 제 2 유닛(520)으로 구성된다.
제 1 유닛(510)은 한 쌍의 와이어를 동시에 감거나 풀수 있고, 제 2 유닛(520)도 한 쌍의 와이어를 동시에 감거나 풀 수 있다.
제 1 유닛(510)에 연결된 한 쌍의 와이어를 제 1-1 와이어(511) 및 제 1-2 와이어(512)로 정의하고, 제 2 유닛(520)에 연결된 한 쌍의 와이어를 제 2-1 와이어(521) 및 제 2-2 와이어(522)로 정의한다.
상기 제 1 유닛(510)은 제 1-1 와이어(511) 및 제 1-2 와이어(512)를 동시에 감거나 풀 수 있다. 상기 제 2 유닛(520)은 제 2-1 와이어(521) 및 제 2-2 와이어(522)를 동시에 감거나 풀 수 있다.
상기 제 1-1 와이어(511)의 일단(상단) 및 제 1-2 와이어(512)의 일단(상단)은 상기 제 1 유닛(510)에 결합되고, 상기 제 1-1 와이어(511)의 타단(하단) 및 제 1-2 와이어(512)의 타단(하단)은 상기 흡입그릴(320)의 일측에 배치된 각 와이어고정부(329)에 고정된다.
상기 제 2-1 와이어(521)의 일단(상단) 및 제 2-2 와이어(522)의 일단(상단)은 상기 제 2 유닛(520)에 결합되고, 상기 제 2-1 와이어(521)의 타단(하단) 및 제 2-2 와이어(522)의 타단(하단)은 상기 흡입그릴의 타측에 배치된 각 와이어고정부(329)에 고정된다.
상기 제 1-1 와이어(511) 및 제 1-2 와이어(512)가 좌측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 2-1 와이어(521) 및 제 2-2 와이어(522)는 우측에 배치된다. 이와 달리 상기 제 1-1 와이어(511) 및 제 1-2 와이어(512)가 전방측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 2-1 와이어(521) 및 제 2-2 와이어(522)는 후방측에 배치된다.
도 5를 참고하면, 제 1-1 와이어(511) 및 제 1-2 와이어(512)는 좌측에 위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며, 제 2-1 와이어(521) 및 제 2-2 와이어(522)는 우측에 위치되고, 전후방향으로 배치된다.
바텀뷰 또는 탑뷰로 볼 때, 제 1-1 와이어(511) 및 제 1-2 와이어(512)는 일렬로 배치되고, 제 2-1 와이어(521) 및 제 2-2 와이어(522)도 일렬로 배치된다.
제 1-1 와이어(511) 및 제 2-1 와이어(521)는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 1-2 와이어(512) 및 제 2-2 와이어(522)가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유닛(510) 및 제 2 유닛(520)은 서로 대칭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유닛(510)이 케이스(100)의 좌측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 2 유닛(520)은 케ㅇ이(100)의 우측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1 유닛(510)이 케이스(100)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 2 유닛(520)은 케이스(100)의 후방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유닛(510)은 케이스(100)의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유닛(520)은 케이스(100)의 우측에 배치된다.
상기 엘리베이터(500)는 4개의 와이어를 동시에 감거나 동시에 풀어서 상기 흡입그릴(320)가 수평한 상태로 상승 또는 하강되게 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제 1 유닛(510) 및 제 2 유닛(520)의 구성이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제 1 유닛(510)을 예로 들어 그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유닛의 구성>
상기 제 1 유닛(510)은 1-1 와이어(511) 일단 및 제 1-2 와이어(512)의 일단이 각각 고정되는 드럼(530)과, 상기 드럼(530)을 회전시키는 드럼모터(540)와, 상기 제 1-1 와이어(511)가 관통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1-1 와이어(511)가 감겨지거나 풀릴 때, 상기 제 1-1 와이어(511)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제 1 롤러박스(550)와, 상기 제 1-2 와이어(512)가 관통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1-2 와이어(512)가 감겨지거나 풀릴 때, 상기 제 1-2 와이어(512)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제 2 롤러박스(560)와, 상기 드럼(530)의 회전량을 감지하는 회전량감지장치(60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유닛의 구성과 상기 제 2 유닛의 구성이 동일하기 때문에 같은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다만 상기 제 1 유닛의 구성과 제 2 유닛의 구성을 구분할 필요가 있을 때, 상기 제 1 유닛의 구성에 대해 "제 1", 상기 제 2 유닛의 구성에 대해 "제 2"라고 구분하여 지칭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유닛의 드럼모터와 상기 제 2 유닛의 드럼모터를 구분할 필요가 있을 때, 상기 제 1 유닛의 드럼모터를 "제 1 드럼모터"라 하고, 상기 제 2 유닛의 드럼모터를 "제 2 드럼모터"라 하겠다. 이는 나머지 구성들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제 1 유닛(510)은 상기 프론트바디(310), 캐비닛하우징(110), 벨마우스(142)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유닛(510)을 구성하는 드럼(530), 드럼모터(540), 제 1 롤러박스(550) 및 제 2 롤러박스(560)는 상기 프론트바디(310), 캐비닛하우징(110), 벨마우스(142)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하도록, 상기 제 1 유닛(510)의 외관을 형성하는 유닛케이스(590)가 배치된다. 유닛케이스(590) 내부에 드럼(530), 드럼모터(540), 제 1 롤러박스(550), 제 2 롤러박스(560), 회전량감지장치(600)가 배치된다.
유닛케이스(590)는 상기 프론트바디(310), 캐비닛하우징(110), 벨마우스(142)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닛케이스(590)는 벨마우스(142)에 설치된다. 상기 유닛케이스(590)는 흡입그릴(320) 상측에 배치된다.
유닛케이스를 구분할 필요가 있을 때, 상기 제 1 유닛에 배치된 유닛케이스를 제 1 유닛케이스로 정의하고, 제 2 유닛에 배치된 유닛케이스를 제 2 유닛케이스로 정의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유닛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복수개의 롤러박스를 제 1-1 롤러박스 및 1-2 롤러박스로 정의하고, 상기 제 2 유닛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복수개의 롤러박스를 제 2-1 롤러박스 및 2-2 롤러박스로 정의한다.
상기 제 1-1 롤러박스는 제 1 드럼을 기준으로 제 1-1 방향(511a)에 위치되고, 제 1-2 롤러박스는 제 1 드럼을 기준으로 제 1-2 방향(512a)에 위치된다.
제 1 드럼 및 제 1-1 롤러박스 사이에 배치된 제 1-1 와이어(511)의 방향을 제 1-1 방향(511a)으로 정의하고, 제 1 드럼 및 제 1-2 롤러박스 사이에 배치된 제 1-2 와이어(512)의 방향을 제 1-2 방향(512a)으로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1 방향은 후술하는 제 1 와이어가이더(701)를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2 방향은 제 2 와이어가이더(702)를 향하게 배치된다.
드럼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 1-1 방향이 상측에 위치되는 경우, 제 1-2 방향은 하측에 위치된다. 반대로 제 1-1 방향이 드럼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되는 경우, 제 1-2 방향은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 1-1 방향 및 제 1-2 방향은 드럼의 외측면과 각각 접선을 형성한다.
즉, 상기 제 1-1 방향은 드럼에 대해 접선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2 방향 역시 드럼의 외측면에 대해 접선방향으로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제 2 드럼 및 제 2-1 롤러박스 사이에 배치된 제 2-1 와이어(521)의 방향을 제 2-1 방향으로 정의하고, 제 2 드럼 및 제 2-2 롤러박스 사이에 배치된 제 2-2 와이어(522)의 방향을 제 2-2 방향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 2-1 롤러박스는 제 2 드럼을 기준으로 제 2-1 방향에 위치되고, 제 2-2 롤러박스는 제 2 드럼을 기준으로 제 2-2 방향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1 방향은 후술하는 제 3 와이어가이더(703)를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2 방향은 제 4 와이어가이더(704)를 향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1 방향 및 제 1-2 방향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게 배치되고, 제 1 유닛의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 1-1 방향 및 제 1-2 방향은 서로 교차된다.
제 1 유닛을 탑뷰로 볼 때, 제 1-1 와이어(511) 및 제 1-2 와이어(512)가 감기는 위치에 따라, 상기 제 1-1 방향 및 제 1-2 방향은 서로 교차되거나 평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1 방향 및 제 2-2 방향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1 방향 및 제 2-2 방향은 서로 교차된다.
상기 제 2-1 방향 및 제 2-2 방향은 드럼의 외측면과 각각 접선을 형성한다.
즉, 상기 제 2-1 방향은 드럼에 대해 접선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2-2 방향 역시 드럼의 외측면에 대해 접선방향으로 배치된다.
<드럼의 구성>
제 1 유닛(510)의 드럼(53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제 1-1 와이어(511) 및 제 1-2 와이어(512)의 일단이 각각 고정되는 드럼바디(535)와, 상기 드럼바디(535)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1-1 와이어(511)가 감기는 제 1 구역(531) 및 상기 제 1-2 와이어(512)가 감기는 2 구역(532)을 구획하는 제 1 파티션(533)과, 상기 드럼바디(535)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구역(531)에서 감기는 제 1-1 와이어(511)가 상기 드럼바디(535)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1 배리어(534)와, 상기 드럼바디(535)에 배치되고, 상기 2 구역(532)에서 감기는 제 1-2 와이어(512)가 상기 드럼바디(535)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2 배리어(536)를 포함한다.
상기 제 1-1 와이어(511)는 제 1 구역(531)에 감기고, 상기 제 1 구역(531)의 외측면과 접선을 형성한다. 상기 제 1-2 와이어(512)는 제 2 구역(532)에 감기고, 상기 제 2 구역(532)의 외측면과 접선을 형성한다.
상기 제 1-1 방향은 상기 제 1 구역(531)의 외측면과 접선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1-2 방향은 상기 제 2 구역(532)의 외측면과 접선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1-1 방향은 후술하는 제 1-1 롤러박스(550)의 엔드롤러(554)를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2 방향은 제 1-2 롤러박스(560)의 엔드롤러(564)를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1 방향은 상기 제 1 구역(531) 및 엔드롤러(554)의 접선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 1-2 방향은 상기 제 2 구역(532) 및 엔드롤러(564)의 접선방향일 수 있다.
제 2 유닛(520)의 드럼(53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제 2-1 와이어(521) 및 제 2-2 와이어(522)의 일단이 각각 고정되는 드럼바디(535)와, 상기 드럼바디(535)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2-1 와이어(521)가 감기는 제 1 구역(531) 및 상기 제 2-2 와이어(522)가 감기는 2 구역(532)을 구획하는 제 2 파티션(533)과, 상기 드럼바디(535)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구역(531)에서 감기는 제 2-1 와이어(521)가 상기 드럼바디(535)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1 배리어(미도시)와, 상기 드럼바디(535)에 배치되고, 상기 2 구역(532)에서 감기는 제 2-2 와이어(512)가 상기 드럼바디(535)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2 배리어(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제 2-1 와이어(521)는 제 1 구역(531)에 감기고, 상기 제 1 구역(531)의 외측면과 접선을 형성한다. 상기 제 2-2 와이어(522)는 제 2 구역(532)에 감기고, 상기 제 2 구역(532)의 외측면과 접선을 형성한다.
상기 제 2-1 방향은 상기 제 1 구역(531)의 외측면과 접선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2-2 방향은 상기 제 2 구역(532)의 외측면과 접선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2-1 방향은 후술하는 제 2-1 롤러박스(550)의 엔드롤러(554)를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2 방향은 제 2-2 롤러박스(560)의 엔드롤러(564)를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2-1 방향은 상기 제 1 구역(531) 및 엔드롤러(554)의 접선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 2-2 방향은 상기 제 2 구역(532) 및 엔드롤러(564)의 접선방향일 수 있다.
상기 2-1 배리어는 상기 1-1 배리어(534)와 동일한 구성이고, 2-2 배리어는 상기 1-2 배리어(536)와 동일한 구성이고, 제 2 파티션은 제 1 파티션과 동일한 구성이다.
상기 드럼바디(535)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드럼바디(535)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럼바디(535)의 외주면에는 상기 와이어의 권선 시 정렬이 용이하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은 드럼바디(535)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티션(533)은 상기 드럼바디(535)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중간에 배치된다. 상기 파티션(533)은 드럼바디(535)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파티션(533)은 링형상로 형성되고, 상기 파티션(533)의 중심은 상기 드럼바디(535)이 축중심(C)과 동일축 선상에 배치된다. 상기 링형상은 상기 드럼바디(535)의 외주면을 따라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파티션(533)은 호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티션(533)은 드럼바디(535)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로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드럼바디(535)의 축중심(C)과 상기 제 1-1 와이어(511) 또는 제 1-2 와이어(512)는 교차된다. 상기 제 1-1 와이어(511) 또는 제 1-2 와이어(512)는 상기 축중심(C)을 기준으로 스파이럴 형태로 감긴다.
상기 파티션(533)은 상기 드럼바디(535)의 외주면을 제 1 구역(531) 및 제 2 구역(532)으로 구획한다. 상기 제 1 구역(531) 및 제 2 구역(532)은 드럼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구역(531)이 드럼모터(540)과 가깝게 위치되고, 상기 제 1 구역(531)을 형성하는 제 1-1 배리어(534)가 상기 드럼모터(540)와 가깝게 위치된다.
상기 제 1-1 와이어(511)는 상기 제 1 구역(531)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구역(531)에서 감기거나 풀린다. 상기 1-2 와이어(512)는 상기 제 2 구역(532)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구역(532)에서 감기거나 풀린다.
상기 파티션(533)은 와이어가 해당 구역 밖으로 넘어가서 감기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 1-1 배리어(534)는 제 1-1 와이어(511)가 제 1 구역(531)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 1-2 배리어(536)는 제 1-2 와이어(512)가 제 2 구역(532)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 1-1 배리어(534)는 상기 드럼바디(535)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 1-2 배리어(536)는 상기 드럼바디(535)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1 배리어(534) 및 제 1-2 배리어(536)는 상기 드럼바디(535)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1 배리어(534) 및 제 1-2 배리어(536)의 링형상은 상기 드럼바디(535)의 외주면을 따라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 1-1 와이어(511)의 일단은 상기 제 1 구역(531)에 고정되고, 상기 1-2 와이어(512)의 일단은 상기 제 2 구역(532)에 고정된다.
상기 제 1-1 와이어(511)의 일단은 제 1 구역(531)을 형성하는 드럼바디(535), 파티션(533) 또는 제 1-1 배리어(534)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1 와이어(511)의 일단은 제 1 구역(531)의 상기 드럼바디(535) 외주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2 와이어(512)의 일단은 제 2 구역(532)의 상기 드럼바디(535) 외주면에 고정된다.
상기 제 1-1 와이어(511) 및 제 1-2 와이어(512)는 상기 드럼바디(535)의 외주면을 따라 감긴다. 여기서 상기 제 1-1 와이어(511) 및 제 1-2 와이어(512)는 같은 방향으로 감기거나 풀린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드럼바디(535)의 축중심(C)에 대하여, 드럼(53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제 1-1 와이어(511) 및 제 1-2 와이어(512)가 감긴다. 상기 드럼바디(535)의 축중심(C)에 대하여, 드럼(53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제 1-1 와이어(511) 및 제 1-2 와이어(512)가 풀린다.
상기 드럼(530)의 회전량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회전량감지장치(600)의 일부 구성이 상기 드럼(53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드럼(530)의 회전량을 감지하기 위해 회전감지인자(601)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감지인자(601)는 드럼(530)의 축중심(C)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에 대해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회전감지인자(601)는 상기 제 1-1 배리어(534) 또는 제 1-2 배리어(53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드럼모터의 구성>
상기 드럼모터(540)는 모터축(541)이 상기 드럼(530)에 조립된다. 상기 모터축(541)과 드럼(530)의 축중심(C)은 일렬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드럼모터(540)는 스텝모터가 사용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드럼모터(540)의 회전력을 상기 드럼(530)에 제공하기 위해 기어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어들의 조합을 통해 상기 드럼(530)의 회전량 및 회전속도를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축중심(C)과 제 1-1 와이어(511) 및 제 1-2 와이어(512)의 배치방향은 교차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축중심(C)과 제 1-1 와이어(511) 및 제 1-2 와이어(512)의 배치방향은 직교된다.
그리고 제 1-1 와이어(511)의 일단 및 제 1-2 와이어(512)의 일단은 상기 축중심(C)을 기준으로 대칭된다.
제 1-1 와이어(511) 및 제 1-2 와이어(512)를 동시에 감거나 풀기 위해, 상기 제 1-1 와이어(511)가 드럼바디(535)의 상측면으로 감기고, 제 1-2 와이어(512)는 드럼바디(535)의 하측면으로 감긴다.
<롤러박스의 구성>
제 1 유닛(510)의 유닛케이스(590) 내부에는 제 1 롤러박스(550) 및 제 2 롤러박스(560)가 배치된다. 제 2 유닛(520)의 유닛케이스(590) 내부에도 제 1 롤러박스(550) 및 제 2 롤러박스(560)가 배치된다.
제 1 롤러박스(550)는 상기 제 1-1 와이어(511)가 상기 드럼(530)의 제 1 구역(531)에 감기거나 풀릴 때, 제 1-1 와이어(511)를 드럼바디(535)에 순서대로 정렬시킨다.
상기 드럼(530)의 외주면에 상기 제 1-1 와이어(511)가 균일한 층을 형성하면서 감기지 않을 경우, 와이어의 두께만큼 상기 제 1-2 와이어(512)와 길이차를 형성하게 된다.
제 1 구역(531)에 감긴 제 1-1 와이어(511)와 제 2 구역(532)에 감긴 제 1-2 과이어(512)가 불균일한 층을 형성할 경우, 흡입그릴(320)이 수평방향에 대해 기울어진다.
상기 제 2 롤러박스(560)는 상기 제 1-2 와이어(512)가 상기 드럼(530)의 제 2 구역(532)에 감기거나 풀릴 때, 제 1-2 와이어(512)를 드럼바디(535)에 순서대로 정렬시킨다.
탑뷰로 볼 때, 상기 제 1 롤러박스(550) 및 제 2 롤러박스(560)는 상기 파티션(533) 및 중심충(C)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롤러박스(550) 및 제 2 롤러박스(560)는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상기 제 1 롤러박스(55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 1 롤러박스(550)는 상기 유닛케이스(590)에 고정되는 박스(555)와, 상기 박스(555)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1-1 와이어(511)와 접촉되고, 상기 제 1-1 와이어(511)의 이동 시 마찰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드럼(530)과 가장 멀리 배치되는 스타트롤러(551)와, 상기 박스(555)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1-1 와이어(511)와 접촉되고, 상기 제 1-1 와이어(511)의 이동 시 마찰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드럼(530)과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엔드롤러(554)와, 상기 박스(555)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1 와이어(511)와 접촉되고, 상기 1-1 와이어(511)의 이동 시 마찰에 의해 회전되고, 스타트롤러(551) 및 엔드롤러(554)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1-1 와이어(511)의 장력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제 2 롤러(552)와, 상기 박스(555)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1 와이어(511)와 접촉되고, 상기 1-1 와이어(511)의 이동 시 마찰에 의해 회전되고, 제 2 롤러(552) 및 엔드롤러(554)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1-1 와이어(511)의 장력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제 3 롤러(55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롤러(552) 및 제 3 롤러(553)를 전달롤러로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달롤러로 제 2 롤러(552) 및 제 3 롤러(553)가 사용되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하나의 전달롤러만 사용될수도 있다.
상기 드럼(530)에 대하여 가장 먼 위치에 스타트롤러(551)가 배치되고, 그 다음 먼 위치에 제 2 롤러(552)가 배치되고, 그 다음 먼 위치에 제 3 롤러(553)가 배치되고, 엔드롤러(554)는 드럼과 가장 가깝게 위치된다.
상기 스타트롤러(551), 제 2 롤러(552), 제 3 롤러(553) 및 엔드롤러(554)는 각각의 롤러축(551a)(552a)(553a)(554a)에 조립되고, 각 롤러축(551a)(552a)(553a)(554a)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각 롤러축(551a)(552a)(553a)(554a)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스타트롤러(551)는 제 1 롤러축(551a)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 2 롤러(552)는 제 2 롤러축(552a)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 3 롤러(553)는 제 3 롤러축(553a)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엔드롤러(554)는 제 4 롤러축(554a)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롤러축(552a) 및 제 3 롤러축(553a)은 전달롤러축이다.
상기 스타트롤러(551), 제 2 롤러(552), 제 3 롤러(553) 및 엔드롤러(55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자리에서 회전되고, 나머지는 롤러축을 따라 이동되면서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타트롤러(551)는 롤러축을 따라 이동되지 않는 고정롤러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타트롤러(551)는 롤러축(551a)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롤러축(551a)을 중심으로 제자리 회전된다.
상기 제 2 롤러(552), 제 3 롤러(553) 및 엔드롤러(554)는 각 롤러축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이동롤러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롤러(552), 제 3 롤러(553) 및 엔드롤러(554)는 각 롤러축(552a)(553a)(554a)에 조립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 2 롤러(552), 제 3 롤러(553) 및 엔드롤러(554)에 힘이 가해질 경우(예를 들어 와이어의 장력), 각 롤러축(552a)(553a)(554a)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각 롤러(552)(553)(554)는 서로 상대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1 와이어(511)는 스타트롤러(551)의 하측면과 접하고, 엔드롤러(554)의 상측면과 접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제 1-1 와이어(511)와 각 롤러들의 접촉하는 면은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1 와이어(511)가 가이더(750)의 상측면을 감싸고, 제 1-1 와이어가 가이더(750)에서 수직방향 하측으로 방향전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제 1-1 와이어(511)가 상기 스타트롤러(551)의 하측면을 감싸는 구조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와 같은 구조는 제 1-1 와이어(511)가 가이더(750)를 하측으로 가압하고, 스타트롤러(551)를 상측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제 1-1 와이어(750)의 장력을 유지하는데 효과적이다.
본 실시예에서 각 와이어는 가이더 및 스타트롤러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가압한다. 각 와이어는 가이더 및 스타트롤러에 엇갈려 지지된다. 각 와이어는 가이더 및 스타트롤러에 대해 대각선으로 배치된다.
상기 스타트롤러(551)의 일부는 박스(555) 외측으로 돌출된다. 제 1-1 와이어(511)는 가이더(750)를 향해 수평 또는 수평보다 상측을 향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를 참조하면, 케이스의 측면에서 볼 때, 스타트롤러(551)에서 제 1 와이어가이더(701)를 향하는 제 1-1 와이어(511)와, 스타트롤러(561)에서 제 2 와이어가이더(702)를 향하는 제 1-2 와이어(512)는 드럼(530)의 축중심(C)을 기준으로 대칭된다. 탑뷰로 볼 때, 스타트롤러(551)에서 제 1 와이어가이더(701)를 향하는 제 1-1 와이어(511)와, 스타트롤러(561)에서 제 2 와이어가이더(702)를 향하는 제 1-2 와이어(512)는 일렬로 배치된다. 이는 스타트롤러(551)(561)이 고정롤러이기 때문에 가능하다.
상기 제 2-1 와이어(521) 및 제 2-2 와이어(522)의 배치도 제 1-1 와이어(511) 및 제 1-2 와이어(512)와 동일하기 때문에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 2 롤러(552), 제 3 롤러(553) 및 엔드롤러(554)의 상대이동에 의해 상기 1-1 와이어(511)가 상기 드럼(530)에 일렬로 정렬된다.
상기 스타트롤러(551)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와이어가드(551b)가 배치된다. 상기 와이어가드(551b) 및 스타트롤러(551) 사이에 제 1-1 와이어(511)가 배치된다. 상기 와이어가드(551b)는 상기 롤러에 감겨진 와이어가 롤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 2 롤러(552), 제 3 롤러(553) 및 엔드롤러(554)에도 각각 와이어가드(552b)(553b)(554b)가 배치된다.
가장 바깥쪽에 위치된 스타트롤러(551)는 축방향을 이동을 배제하고, 이를 통해 와이어의 축방향 이동을 방지한다. 바깥쪽에 위치된 스타트롤러(551)가 롤러축(551a)을 따라 이동될 경우, 흡입그릴(320)의 높낮이에 편차가 발생될 수 있고, 흡입그릴(320)이 흔들릴수 있다.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릴 때, 상기 스타트롤러(551)는 박스(555)에서 제자리 회전되고, 상기 제 2 롤러(552), 제 3 롤러(553) 및 엔드롤러(554)는 각 롤러축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스타트롤러(551), 제 2 롤러(552), 제 3 롤러(553) 및 엔드롤러(554)는 상하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된다.
스타트롤러(551)를 기준으로, 제 2 롤러(552)는 스타트롤러(551) 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제 3 롤러(553)는 스타트롤러(551)보다 하측에 배치된다. 엔드롤러(554)는 스타트롤러(551) 및 제 2 롤러(552) 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제 3 롤러(553)보다 하측에 위치된다.
특히, 제 2 롤러축(552a)이 가장 높게 위치되고, 제 3 롤러축(553a)이 가장 낮게 위치되며, 스타트롤러축(551a)이 제 3 롤러축(553a) 보다 높게 위치되고, 엔드롤러축(554a)이 스타트롤러축(551)보다 높게 위치된다.
4 롤러축(554a)은 중심축(C)보다 상측에 위치되고, 드럼바디(535)를 연결하는 와이어는 상측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4 롤러축(554a) 및 중심축(C)의 상대적 배치를 통해 와이어에 장력을 형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롤러박스(550)의 좌우 폭을 줄이기 위해, 상기 스타트롤러(551), 제 2 롤러(552), 제 3 롤러(553) 및 엔드롤러(554)는 상하 방향으로 겹치게 위치된다.
즉, 제 2 롤러(552)의 직경보다 스타트롤러(551) 및 제 3 롤러(553) 사이의 간격이 더 작게 형성된다. 더불어 제 3 롤러(553)의 직경보다 제 2 롤러(552) 및 엔드롤러(554) 사이의 간격이 더 작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1 와이어(511)는 스타트롤러(551)의 하측 외주면을 감싸고, 엔드롤러(554)의 상측 외주면을 감싸게된다.
상기 제 1-1 방향은 상기 제 1 구역(531)의 외측면 및 엔드롤러(554)의 외측면에 대해 접선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롤러박스(560)는 상기 유닛케이스(590)에 고정되는 박스(565)와, 상기 박스(565)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1-2 와이어(512)와 접촉되고, 상기 제 1-2 와이어(512)의 이동 시 마찰에 의해 회전되는 스타트롤러(561) 및 엔드롤러(564)와, 상기 박스(565)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2 와이어(512)와 접촉되고, 상기 1-2 와이어(512)의 이동 시 마찰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1-2 와이어(512)의 장력에 의해 축방향으로 상대이동가능한 제 2 롤러(562) 및 제 3 롤러(563)를 포함한다.
상기 스타트롤러(561), 제 2 롤러(562), 제 3 롤러(563) 및 엔드롤러(564)는 각각의 롤러축(561a)(562a)(563a)(564a)에 조립되고, 각 롤러축(561a)(562a)(563a)(564a)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2 롤러박스(560)는 상기 스타트롤러(561), 제 2 롤러(562), 제 3 롤러(563) 및 엔드롤러(564)와 소정간격 이격되는 각각의 와이어가드(561b)(562b)(563b)(564b)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롤러박스(550) 및 제 2 롤러박스(560)는 상기 드럼(530)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배치된다. 특히 상기 축중심(C)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롤러박스(550) 및 제 2 롤러박스(560)는 좌우 대칭되게 배치된다.
상기 축중심(C)을 기준으로 가장 먼쪽에 스타트롤러(551)(561)가 배치되고, 가장 가까운 쪽에 엔드롤러(554)(564)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2 방향은 상기 제 2 구역(532)의 외측면과 엔드롤러(564)의 외측면에 대해 접선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1 와이어(511)의 일단 및 제 1-2 와이어(512)의 일단은 상기 드럼(530)의 축중심을 기준으로 반대편에 위치된다. 상기 드럼(530)의 회전에 의해 제 1-1 와이어(511) 및 제 1-2 와이어(512)은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드럼바디(535)에 감기거나 풀린다.
상기 유닛케이스(590)는 박스형태로 형성되고, 측면에 제 1 홀(591), 제 2 홀(592)이 형성된다.
제 1 홀(591)은 유닛케이스(590)의 일측면에 배치되고, 제 2 홀(592)은 유닛케이스(590)의 타측면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 1 홀(591)이 유닛케이스(590)의 좌측면에 형성되는 경우, 제 2 홀(592)은 유닛케이스(590)의 우측면에 형성된다.
제 1-1 와이어(511) 및 제 1-2 와이어(512)는 유닛케이스(590)를 수평방향으로 관통한다.
제 1 유닛케이스(590)의 제 1 홀(591)은 제 1-1 와이어(511)가 관통된다. 제 1 유닛케이스(590)의 제 1 홀(591)은 후술하는 제 1 와이어가이더(701)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제 1 유닛케이스(590)의 제 2 홀(592)은 제 1-2 와이어(512)가 관통된다. 제 1 유닛케이스(590)의 제 2 홀(592)은 후술하는 제 2 와이어가이더(702)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제 2 유닛케이스(590)의 제 1 홀(591)은 제 2-1 와이어(521)가 관통된다. 제 1 유닛케이스(590)의 제 1 홀(591)은 후술하는 제 3 와이어가이더(701)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제 2 유닛케이스(590)의 제 2 홀(592)은 제 2-2 와이어(522)가 관통된다. 제 2 유닛케이스(590)의 제 2 홀(592)은 후술하는 제 4 와이어가이더(702)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와이어가이더의 구성>
상기 프론트바디(310)에는 엘리베이터(500)에 의해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릴 때, 와이어를 지지하는 와이어가이더(700)가 배치된다. 와이어가이더(700)는 4개가 배치되고, 각 와이어(511)(512)(521)(522)에 대응된다.
제 1-1 와이어(511)에 대응되는 와이어가이더를 제 1 와이어가이더(701)로 정의하고, 제 1-2 와이어(512)에 대응되는 와이어가이더를 제 2 와이어가이더(702)로 정의하고, 제 2-1 와이어(521)에 대응되는 와이어가이더를 제 3 와이어가이더(703)로 정의하고, 제 2-2 와이어(522)에 대응되는 와이어가이더를 제 4 와이어가이더(704)로 정의한다.
제 1 와이어가이더(701) 및 제 2 와이어가이더(702)는 제 1 드럼모터의 모터축(541)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제 3 와이어가이더(703) 및 제 4 와이어가이더(704)는 제 2 드럼모터의 모터축(541)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제 1 와이어가이더(701), 제 2 와이어가이더(702), 제 3 와이어가이더(703) 및 제 4 와이어가이더(704)는 모두 같은 높이에 위치된다.
탑뷰 또는 바텀뷰로 볼 때, 제 1 와이어가이더(701) 및 제 2 와이어가이더(702)는 제 1 유닛의 모터축(541) 방향을 기준으로 대칭된다. 탑뷰 또는 바텀뷰로 볼 때, 제 3 와이어가이더(703) 및 제 4 와이어가이더(704)는 제 2 유닛의 모터축(541) 방향을 기준으로 대칭된다.
제 1 와이어가이더(701) 및 제 2 와이어가이더(702)의 배치방향과 제 3 와이어가이더(703) 및 제 4 와이어가이더(704)의 배치방향은 평행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와이어가이더(701)는 제 1 코너커버(316-1) 측에 위치되고, 제 2 와이어가이더(702)는 제 2 코너커버(316-2) 측에 위치되고, 제 3 와이어가이더(703)는 제 3 코너커버(316-3) 측에 위치되고, 제 4 와이어가이더(704)는 제 4 코너커버(316-4) 측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와이어가이더(700)는 프론트바디(310)에 배치된다. 상기 와이어가이더(700)는 프론트바디(310)에서 엘리베이터(500) 측으로 돌출된다. 각 와이어가이더(700)는 프론트바디(310)의 내측면(310a)에 배치된다. 와이어가이더(700)는 롤러박스(550) 및 프론트바디(310) 사이에 위치된다. 와이어가이더(700)는 프론트바디(310)에서 롤러박스(550)를 향해 수평방향으로 돌출된다.
와이어가이더(700)는 흡입그릴(320)보다 상측에 위치되고, 벨마우스(142)보다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와이어가이더(700)는, 프론트바디(310)의 내측면(310a)에 배치되고, 롤러박스(550)를 향해 돌출된 고정블럭(710)과, 상기 고정블럭(710)과 조립되는 조립블럭(720)과, 상기 조립블럭(720)에 배치되고, 상기 조립블럭(720)에서 회전가능하고, 와이어를 지지하는 가이더(7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와이어가이더(700)는 고정블럭(710) 및 조립블럭(720)으로 구성되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하나로 일체화된 블럭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하나로 구성된 블럭은 프론트바디(310)와 일체로 제작되거나 별도로 제작된 후 프론트바디(310)에 조립될 수 있다. 다만, 블록이 하나로 제작되고, 프론트바디(310)와 일체되는 경우, 본 실시예와 같은 조립블럭의 형상으로 사출성형을 통해 제작하기는 어렵다.
<가이더의 구성>
상기 가이더(750)는 와이어를 지지하고, 와이어를 지지한다. 가이더(750)는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릴 때, 상기 와이어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더(750)는 상기 와이어를 수납하고, 상기 와이어의 이동을 돕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가이더(75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크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더(750)는 수평방향으로 회전중심이 형성된 가이더바디(752)와, 상기 가이더바디(752)의 외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중심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와이어홈(754)와, 상기 가이더바디(752)의 회전중심을 관통하고, 상기 조립블럭(72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가이더축(755)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더바디(752)는 디스크형태로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세워져 배치된다. 상기 가이더바디(752)는 수직방향으로 회전되고, 회전중심은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측면에서 볼 때, 가이더바디(752)의 외측면(752a)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더홈(754)은 가이더바디(752)의 외측면에서 상기 회전중심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더홈(754)은 상기 가이더바디(752)의 외측면을 따라 링형태로 형성된다.
와이어는 상기 가이더홈(754)에 삽입되고, 마찰에 의해 상기 가이더바디(752)와 마찰력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와이어 및 가이더바디(752)의 마찰에 의해 상기 가이더바디(752)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더바디(752)의 회전중심에는 상기 가이더축(755)가 관통되는 가이더축홀(753)이 형성된다. 가이더축홀(753)의 형성방향 및 가이더홈(754)의 형성방향은 교차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더축(755) 및 가이더바디(752)는 각각 제작된 후 조립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가이더축(755) 및 가이더바디(752)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고정블럭의 구성>
본 실시예에서 고정블럭(710)은 2개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고정블럭(710)은 1개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블럭(710)은 프론트바디(310)와 일체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고정블럭(710)은 별도로 제작된 후 프론트바디(310)에 조립될 수 있다.
고정블럭(710)은 제 1 고정블럭(711) 및 제 2 고정블럭(712)으로 구성된다.
제 1 고정블럭(711) 및 제 2 고정블럭(712)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좌우 대칭된다. 제 1 고정블럭(711) 및 제 2 고정블럭(712)는 서로 이격되어 삽입간격(713)을 형성시키고, 상기 삽입간격(713)에 가이더(750)가 위치된다.
상기 가이더(750)에 가해지는 하중은 제 1 고정블럭(711) 및 제 2 고정블럭(712)을 통해 지지된다. 제 1 고정블럭(711) 및 제 2 고정블럭(712)은 동일한 형태이기 때문에 제 1 고정블럭(711)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 1 고정블럭(711)은 고정블럭바디(730)와, 상기 고정블럭바디(730)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체결홀(735)와, 상기 고정블럭바디(730)를 구성하고, 상기 엘리베이터(500)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조립블럭(720)에 삽입되고, 상기 조립블럭(720)과 상하 방향으로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제 1 삽입부(731)와, 상기 고정블럭바디(730)를 구성하고, 상기 엘리베이터(500)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조립블럭(720)에 삽입되고, 상기 조립블럭(720)과 상하 방향으로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제 2 삽입부(732)를 포함한다.
제 1 삽입부(731) 및 제 2 삽입부(732)는 일체로 형성된다. 제 1 삽입부(731) 및 제 2 삽입부(732)의 상측면은 연속된 평면을 형성한다. 제 1 삽입부(731) 및 제 2 삽입부(732)의 하측면도 연속된 평면을 형성한다. 즉, 제 1 고정블럭(711)의 상측면(711a) 및 하측면(711b)은 평면으로 형성되고, 서로 평행하며,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제 1 삽입부(731)는 삽입간격(713)과 가깝게 배치되고, 제 2 삽입부(732)는 삽입간격(713)과 가깝게 배치된다.
제 1 삽입부(731) 및 제 2 삽입부(732)는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고, 서로 다른 돌출길이를 형성한다. 제 1 삽입부(731)는 제 2 삽입부(732)보다 엘리베이터(500) 측으로 더 돌출된다. 즉, 상기 제 1 삽입부(731)의 돌출길이가 제 2 삽입부(732)의 돌출길이보가 길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삽입부(731)의 부피가 제 2 삽입부(732)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체결홀(735)은 제 1 삽입부(731)에 형성된다.
제 1 삽입부(731)에서 상기 조립블럭(720) 측으로 돌출된 면은 곡면(731a)으로 형성된다. 상기 곡면(731a)은 제 1 삽입부(731) 및 제 2 삽입부(732)의 배치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 1 고정블럭(711)에서 삽입간격(713)을 형성하는 내측면(711c)과, 상기 삽입간격(713)과 멀리 떨어진 외측면(711d)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내측면(711c) 및 외측면(711d)은 상측면(711a)과 직교된다.
제 1 고정블럭(711) 및 제 2 고정블럭(712)의 각 상측면(711a)(712a)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고, 각 하측면(711b)(712b)도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다.
제 1 고정블럭(711) 및 제 2 고정블럭(712)의 각 내측면(711c)(712c) 사이에 상기 삽입간격(713)이 형성된다. 제 1 고정블럭(711) 및 제 2 고정블럭(712)의 각 내측면(711c)(712c)은 상하 방향에 대하여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 1 고정블럭(711) 및 제 2 고정블럭(712)의 각 외측면(711d)(712d)은 상하 방향에 대하여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 1 고정블럭(711) 및 제 2 고정블럭(712)의 각 체결홀(735)은 상하 방향에 대하여 서로 평행하다.
제 1 고정블럭(711) 및 프론트바디(310)의 내측면(310a) 사이에는 공간(739)이 형성된다. 제 2 고정블럭(712) 및 프론트바디(310)의 내측면(310a) 사이에도 공간(739)이 형성된다. 상기 각 공간(739)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제 1 고정블럭(711) 및 제 2 고정블럭(712)을 관통한다. 상기 공간을 통해 상기 고정블럭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공간(739)을 통해 고정블럭의 생성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공간(739)으로 인해 상기 제 1 삽입부(731) 및 내측면(310a)을 연결하는 제 1 삽입부레그(736)가 형성된다. 상기 공간(739)으로 인해 상기 제 2 삽입부(732) 및 내측면(310a)을 연결하는 제 2 삽입부레그(737)가 형성된다.
<조립블럭의 구성>
상기 조립블럭(720)은 고정블럭(710)의 외측면을 감싸는 구조이다. 조립블럭(720)의 내부로 고정블럭(710)이 삽입된다. 고정블럭(710) 및 조립블럭(720)은 수평방향으로 조립되고, 고정블럭(710) 및 조립블럭(720)은 상하 방향으로 상호 걸림을 형성한다.
상기 조립블럭(720)은, 상기 가이더(750)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일측에 제 1 블럭개구면(721a) 및 제 2 블럭개구면(722a) 형성된 조립블럭바디(740)와, 상기 조립블럭바디(740)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블럭개구면(721a)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고정블럭(711)이 삽입되는 제 1 삽입공간(721)과, 상기 조립블럭바디(740)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블럭개구면(721a)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고정블럭(712)이 삽입되는 제 2 삽입공간(722)과, 상기 조립블럭바디(740) 외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삽입공간(721) 및 제 2 삽입공간(722)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가이더(750)가 삽입되는 가이더설치공간(742)과, 상기 조립블럭바디(740) 외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더(750)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가이더축홈(744)(746)과, 상기 조립블럭바디(740)의 내측 및 외측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체결홀(745)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고정블럭(711)은 제 1 삽입공간(721a)에 삽입되고, 제 2 고정블럭(712)는 제 2 삽입공간(722a)에 삽입된다. 제 1 삽입공간(721a) 및 제 2 삽입공간(722a)은 프론트바디(310)의 내측면(310a)을 향해 개구되고, 엘리베이터(500)를 향해 돌출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제 1 삽입공간(721a) 및 제 2 삽입공간(722a) 대시 하나의 삽입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삽입공간이 형성될 경우, 제 1 고정블럭 및 제 2 고정블럭이 하나의 삽입공간 내에 삽입되고, 이로 인해 유격이 발생될 수 있다.
와이어가이더(700)는 와이어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이기 때문에, 유격이나 흔들림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와이어를 지지할 때, 가이더(750)가 흔들리면, 작동소음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와이어에 의해 지지되는 흡입그릴(320)에는 더 큰 흔들림이 발생된다.
제 1 삽입공간(721a) 및 제 2 삽입공간(722a)은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조립블럭바디(740)는 한쪽면만 개구되고, 나머지 면은 폐쇄된다.
조립블럭바디(740)의 외측면에 가이더설치공간(742) 및 가이드축홈(744)(746)이 형성된다.
가이더설치공간(742)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상하 두께보다 전후 폭이 좁게 형성된다. 가이더설치공간(742)은 제 1 가이더설치벽(742a), 제 2 가이더설치벽(742b) 및 제 3 가이더설치벽(742c)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가이더설치벽(742a) 및 제 3 가이더설치벽(742c)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제 2 가이더설치벽(742b)은 제 1 가이더설치벽(742a) 및 제 3 가이더설치벽(742c)을 연결한다. 제 2 가이더설치벽(742b)은 제 1 가이더설치벽(742a) 및 제 3 가이더설치벽(742c)과 교차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직교한다.
제 1 가이더설치벽(742a) 및 제 3 가이더설치벽(742c)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제 1 가이더설치벽(742a) 및 제 3 가이더설치벽(742c) 사이에 상기 가이더(750)가 삽입된다. 상기 제 1 가이더설치벽(742a) 및 제 3 가이더설치벽(742c) 사이의 간격은 상기 가이더(750)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된다.
제 1 가이더설치벽(742a) 및 제 3 가이더설치벽(742c) 사이의 간격은 제 1 고정블럭(711) 및 제 2 고정블럭(712) 사이의 삽입간격(713) 보다 좁게 형성된다.
가이더설치공간(742)의 상하 길이는 가이더(75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가이더(750)는 가이더설치공간(742)의 상측 및 하측으로 돌출된다.
제 1 가이더설치벽(742a) 및 제 3 가이더설치벽(742c)은 상하 방향으로 평평하게 형성되지만, 제 2 가이더설치벽(742b)은 그렇지 않다.
제 2 가이더설치벽(742b)의 상측은 상기 가이더(750)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가이더설치벽(742b)의 상측은 상기 가이더(750) 측으로 완만하게 돌출된 분리방지돌출부(743)가 형성된다.
분리방지돌출부(743)는 가이더바디(752)가 조립블럭(720)에서 의도치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분하여 지칭할 필요가 있을 때, 상기 분리방지돌출부(743)를 제 1 분리방지돌출부로 정의한다.
제 1 분리방지돌출부(743)는 제 2 가이더설치벽(742b)에서 가이더(750) 측으로 돌출된다. 제 1 분리방지돌출부(743)는 소정의 곡률을 형성하고, 가이더(750)의 외측면(752a)과 소정간격 이격된다.
제 1 분리방지돌출부(743) 및 가이더(750)의 외측면(752a)과의 간격은 와이어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이를 통해 와이어가 와이어홈(754)이 이탈되어 가이더(750) 밖으로 분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가이더홈(754)에 설치된 와이어는 제 2 가이더설치벽(742b) 및 와이어홈(754) 사이에 위치된다.
제 1 분리방지돌출부(743)의 적어도 일부는 가이더축(755)의 회전중심에 곡률중심이 배치될 수 있다. 제 1 분리방지돌출부(743)는 가이더축(755)의 회전중심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가이더축(755)이 가이드축홈(744)(746)에 삽입될 때, 상기 가이더바디(752)의 외측면(752a)은 제 1 분리방지돌출부(743)과 간섭될 수 있다. 가이더축(755)이 가이드축홈(744)(746)에 삽입될 때, 가이더바디(752)는 분리방지돌출부(743)과 억지끼움 형태로 조립된다. 가이더축(755)이 조립된 후에는 가이더바디(752)의 외측면(752a)과 분리방지돌출부(743)는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작업자가 가이더(750)를 의도적으로 분리하지 않을 경우, 가이더축(755)은 분리방지돌출부(743)에 걸려 분리되지 않는다.
한편, 가이드축홈(744)(746)은 가이더설치공간(742)의 양쪽에 각각 배치된다. 제 1 가이드축홈(744)은 제 1 가이더설치벽(742a) 측에 배치되고, 제 2 가이드축홈(746)은 제 3 가이더설치벽(742c) 측에 배치된다.
제 1 가이드축홈(744) 및 제 2 가이드축홈(746)의 형성방향은 가이더설치공간(742)의 형성방향과 직교된다. 제 1 가이드축홈(744) 및 제 2 가이드축홈(746)은 가이더설치공간(742)에 대해 대칭이다.
제 1 가이드축홈(744) 및 제 2 가이드축홈(746)은 조립블럭바디(740)의 상측면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 2 가이드축홈(746)의 형태를 제 1 가이드축홈(744)와 대칭되기 때문에, 제 1 가이드축홈(744)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가이드축홈(744)(746)은 제 1 축벽(744a), 제 2 축벽(744b) 및 제 3 축벽(744c)을 포함한다.
제 1 축벽(744a) 및 제 3 축벽(744c)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제 1 축벽(744a) 및 제 3 축벽(744c) 사이에 상기 가이더(750)의 가이더축(755)이 삽입된다. 제 1 축벽(744a) 및 제 3 축벽(744c)의 간격은 상기 가이더축(755)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더축(755)은 상기 제 1 축벽(744a) 및 제 3 축벽(744c)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축(755)의 분리방지를 위한 분리방지돌출부(747)가 배치된다. 가이드축(755)이 가이드축홈(744)(746)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제 2 분리방지돌출부로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분리방지돌출부(747)는 2개소에 배치된다. 제 2 분리방지돌출부(747)는 제 1 축벽(744a)에서 제 3 축벽(744c)을 향해 돌출된 제 2-1 분리방지돌출부(747a)와, 제 3 축벽(744c)에서 제 1 축벽(744a)을 향해 돌출된 제 2-2 분리방지돌출부(747c)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제 2-1 분리방지돌출부(747a) 또는 제 2-2 분리방지돌출부(747c) 중 어느 하나만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제 2-1 분리방지돌출부(747a) 또는 제 2-2 분리방지돌출부(747c) 사이의 간격은 가이더축(755)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 2-1 분리방지돌출부(747a) 및 제 2-2 분리방지돌출부(747c)는 가이더축(755)의 회전중심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제 2-1 분리방지돌출부(747a) 및 제 2-2 분리방지돌출부(747c)는 가이더축(755)의 외측 일부를 감싸는 형태이다. 제 2-1 분리방지돌출부(747a) 및 제 2-2 분리방지돌출부(747c)의 배치방향은 가이더축(755)의 길이방향과 교차된다.
제 1 분리방지돌출부(743) 및 제 2 분리방지돌출부(747)는 가이더가 조립블럭(72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가이더(750)의 상하이동을 억제한다.
엘리베이터(500)의 작동 중, 제 1 분리방지돌출부(743) 및 제 2 분리방지돌출부(747)는 상기 가이더(750)의 흔들림 및 움직임을 제한하고, 이를 통해 가이더(750)의 회전과정에서 발생되는 작동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 1 분리방지돌출부(743) 및 제 2 분리방지돌출부(747)가 상기 가이더(750)의 흔들림 및 움직임을 제한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500)의 작동과정에서의 흡입그릴(320)의 흔들림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와이어는 가이더(750)을 상측을 감싸고, 하측으로 방향전환된다. 그래서 상기 와이어에는 흡입그릴(320)의 하중이 로드되기 때문에, 상기 가이더(750)는 하측으로 눌려진다. 즉, 설치상태 또는 작동 중에 가이더(750)는 하측으로 눌려지기 때문에, 작업자의 의도적인 조작이 없을 경우, 가이더는 가이더설치공간(742) 및 가이더축홈(744)(746)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더를 용이하게 설치하고자 고정블럭 및 조립블럭으로 구분하여 제작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고정블럭에 가이더의 설치구조를 형성시키고, 상기 가이더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고정블럭에 가이더설치공간 및 가이더축홈을 형성시킬수 있다.
다만, 고정블럭에 가이더설치공간 및 가이더축홈을 형성시킬 경우, 사출금형의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에 어려움이 있다.
<와이어고정부의 배치>
상기 와이어는 가이더(750)를 감싸며 하측으로 방향전환되고, 흡입그릴(320)에 고정된다.
와이어의 일단은 엘리베이터(500)의 드럼바디(535)에 고정되고, 타단은 흡입그릴(320)의 상측면에 고정된다.
상기 흡입그릴(320)에는 상기 와이어의 타단이 고정되는 와이어고정부(329)가 형성된다. 와이어고정부(329)는 흡입그릴(320)의 그릴바디(322)에 배치된다. 특히, 와이어고정부(329)는 그릴바디(322) 중에서 그릴홀(321)이 형성되지 않는 그릴바디부(324)에 배치되고, 상측으로 돌출된다.
제 1 와이어가이더(701) 하측에 배치된 와이어고정부를 제 1 와이어고정부로 정의하고, 제 2 와이어가이더(702) 하측에 배치된 와이어고정부를 제 2 와이어고정부로 정의하고, 제 3 와이어가이더(703) 하측에 배치된 와이어고정부를 제 3 와이어고정부로 정의하고, 제 4 와이어가이더(701) 하측에 배치된 와이어고정부를 제 4 와이어고정부로 정의한다.
상기 와이어는 가이더(750)를 통해 수직방향 하측으로 연장되고, 와이어고정부(329)에 고정된다. 상기 가이더(750)는 그릴바디부(324) 상측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가이더(700)는 흡입그릴(320) 상측에 위치되고, 흡입그릴(320)에 의해 가려진다. 특히 와이어가이더(700)는 그릴바디부(324) 상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는다.
와이어가이더(700)는 베인모듈(200) 보다 더 흡입구(101) 측에 가깝게 위치된다. 상기 베인모듈(200)은 프론트바디(310)에서 분리가능한 구조이고, 상기 베인모듈(200)의 분리과정에서 와이어와의 간섭을 방지한다.
즉, 베인모듈(200)은 4개의 와이어(511)(512)(521)(522) 보다 바깥쪽에 위치되고, 작업자는 4개의 와이어(511)(512)(521)(522)가 설치된 상태에서 베인모듈(200)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500)를 수리하거나 교체할 경우, 작업자는 흡입그릴(320)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베인모듈(200)과 무관하게 4개의 와이어(511)(512)(521)(522)를 분리할 수 있다.
<회전량감지장치의 구성>
상기 회전감지장치(600)는 상기 드럼(530)의 회전량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회전감지장치(600)는 상기 드럼(530)의 회전횟수보다 정밀한 회전량을 감지해야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유닛(510)의 제 1-1 와이어(511) 및 제 1-2 와이어(512)와, 제 2 유닛(520)의 제 2-1 와이어(521) 및 제 2-2 와이어(522)를 동시에 감거나 풀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드럼(530)의 회전량을 정밀하기 감지해야한다.
제 1 유닛(510) 및 제 2 유닛(520)의 회전감지장치(600)는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제 1 유닛(510)에 배치된 회전감지장치(60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회전감지장치(600)는 상기 드럼(530)에 배치되고, 상기 드럼(530)의 회전 시 함께 회전되는 회전감지인자(601)와, 상기 회전감지인자(601)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회전감지인자(601)의 회전량을 감지하는 센서(602)와, 상기 센서(602)가 배치된 인쇄회로기판(603)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감지인자(601)는 상기 드럼(530)이 회전될 때, 함께 회전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회전감지인자(601)는 상기 제 1-1 배리어(534) 또는 제 1-2 배리어(53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감지인자(601)는 복수개가 배치되고, 복수개의 회전감지인자(601)는 상기 드럼(530)의 축중심(C)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에 대해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감지인자(601)는 제 1-1 배리어(534)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감지인자(601)는 톱니 형상이다. 상기 회전감지인자(601)는 상기 드럼(530)의 축중심(C)을 기준으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된다.
상기 센서(602)는 상기 회전감지인자(601)를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602)는 적외선센서 또는 포토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센서(602)는 상기 드럼(530)의 회전 시, 상기 회전감지인자(601)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602)는 적외선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적외선을 수광한다. 상기 센서(602)는 상기 드럼(530)의 회전 시, 상기 회전감지인자(601)에 의해 차단되는 적외선의 변화를 통해 제어부는 상기 드럼(530)의 회전각, 회전횟수, 회전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감지인자(601)를 효과적으로 감지하기 위해 상기 인쇄회로기판(603)에서 센서설치부(604)가 돌출되어 배치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603)은 축중심(C)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603)은 상기 드럼모터(540), 유닛케이스(590) 또는 롤러박스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603)은 드럼모터(540)에 설치되고, 상기 드럼모터(540)의 모터축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센서설치부(604)는 상기 인쇄회로기판(603)에서 드럼(530)을 향해 돌출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시 센서설치부(604)는 인쇄회로기판(603)과 직교되어 배치된다.
상기 센서설치부(604)에는 상기 센서(602)가 설치된다. 센서(602)는 적외선 신호를 발생시키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에서 발생된 적외선신호를 수광하는 수광부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602)의 작동매커니즘은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상기 회전감지인자(601)를 효과적으로 인식하기 위한 상기 센서설치부(604) 및 인쇄회로기판(603)의 구조는 특징이 있다.
상기 센서설치부(604)는 탑뷰로 볼 때, "ㄷ"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센서설치부(604)는 상기 회전감지인자(601)가 통과될 수 있도록 슬롯(605)가 형성된다. 상기 드럼(530)의 회전 시, 상기 회전감지인자(601)는 상기 슬롯(605)을 통과하고, 상기 센서(602)는 상기 슬롯(605)을 통과하는 회전감지인자(601)를 감지한다.
상기 슬롯(605)은 드럼(530)의 축중심과 직교된다. 상기 슬롯(605)은 상기 회전감지인자(601)의 회전 평면상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감지인자(601)는 상기 제 1-1 배리어(534)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슬롯(605)과 상기 제 1-1 배리어(534)는 적어도 일부가 동일편면 상에 위치된다.
상기 슬롯(605)은 제 1-2 배리어(536) 및 파티션(533)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센서설치부(604)는 단순히 센서(602)만 설치되는 구조물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센서설치부(604)는 상기 센서(602)에 전원을 제공할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인쇄회로기판(603)과 상기 센서설치부(604)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회전감지인자로 영구자석을 사용하고, 상기 센서는 영구자석을 감지하는 홀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회전감지인자로 영구자석을 사용할 경우, 상기 제 1-1 배리어(534)의 가장자리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영구사적을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회전감지인자(601)는 제 1-2 배리어(536) 또는 파티션(533)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 2 유닛(520)은 상기 제 1 유닛(510)과 동일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베인모듈 및 흡입그릴의 배치>
상기 흡입그릴(320)이 하강되면, 4개의 베인모듈(200) 및 엘리베이터(500)가 노출된다. 상기 각 와이어가 상측으로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흡입그릴(320)은 프론트바디(31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흡입그릴(320)이 하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흡입그릴(320)의해 가려져 있던 4개의 베인모듈(200) 및 엘리베이터(500)가 노출된다.
상기 흡입그릴(320)이 프론트바디(310)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베인모듈(200)의 베인(210)만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그릴(320)을 구성하는 상기 그릴코너부(327) 상측에 각 와이어가이더가 위치된다.
상기 흡입그릴(320)은, 다수개의 그릴홀(321)에 의해 상기 흡입구(101)와 연통되고,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그릴바디(322)와, 상기 그릴바디(322)의 각 모서리에서 대각선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1 그릴코너부(327-1), 제 2 그릴코너부(327-2), 제 3 그릴코너부(327-3), 제 4 그릴코너부(327-4)를 포함한다.
상기 베인모듈(200)은, 상기 흡입그릴(320)의 각 가장자리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그릴코너부(327-1) 및 제 2 그릴코너부(327-2) 사이에 배치된 제 1 베인모듈(201)과, 상기 흡입그릴(320)의 각 가장자리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그릴코너부(327-2) 및 제 3 그릴코너부(327-3) 사이에 배치된 제 2 베인모듈(202)과, 상기 흡입그릴(320)의 각 가장자리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3 그릴코너부(327-3) 및 제 4 그릴코너부(327-4) 사이에 배치된 제 3 베인모듈(203) 및 상기 흡입그릴(320)의 각 가장자리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4 그릴코너부(327-4) 및 제 1 그릴코너부(327-1) 사이에 배치된 제 4 베인모듈(204)을 포함한다.
12시 방향에 배치된 베인모듈(200)을 제 1 베인모듈(201)로 정의하고, 3시 방향에 배치된 베인모듈(200)을 제 2 베인모듈(202)로 정의하고, 6시 방향에 배치된 베인모듈(200)을 제 3 베인모듈(203)로 정의하고, 9시 방향에 배치된 베인모듈(200)을 제 4 베인모듈(204)로 정의한다.
상기 제 1 베인모듈(201), 제 2 베인모듈(202), 제 3 베인모듈(203) 및 제 4 베인모듈(204)은 프론트패널(300)의 중심(C)을 기준으로 90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베인모듈(201) 및 제 3 베인모듈(203)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베인모듈(202) 및 제 4 베인모듈(204)은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프론트바디(310)에는 4개의 사이드커버(314)가 배치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 1 베인모듈(201) 외측에 배치된 사이드커버(314)를 제 1 사이드커버(314-1)로 정의하고, 상기 제 2 베인모듈(202) 외측에 배치된 사이드커버(314)를 제 2 사이드커버(314-2)로 정의하고, 상기 제 3 베인모듈(203) 외측에 배치된 사이드커버(314)를 제 3 사이드커버(314-3)로 정의하고, 상기 제 4 베인모듈(204) 외측에 배치된 사이드커버(314)를 제 4 사이드커버(314-4)로 정의한다.
각 사이드커버(314)는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가장자리에 조립되고,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하측에 위치되고, 외부에 노출되고, 각 베인모듈(202) 외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 1 베인모듈(201) 및 제 2 베인모듈(202) 사이에 배치된 코너커버(316)를 제 1 코너커버(316-1)로 정의한다. 제 2 베인모듈(202) 및 제 3 베인모듈(203) 사이에 배치된 코너커버(316)를 제 2 코너커버(316-2)로 정의한다. 제 3 베인모듈(203) 및 제 4 베인모듈(204) 사이에 배치된 코너커버(316)를 제 3 코너커버(316-3)로 정의한다. 제 4 베인모듈(204) 및 제 1 베인모듈(201) 사이에 배치된 코너커버(316)를 제 4 코너커버(316-4)로 정의한다.
상기 제 1 코너커버(316-1)는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모서리에 조립되고,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사이드커버(314-1) 및 제 2 사이드커버(314-2) 사이에 위치되고, 외부에 노출된다.
상기 제 2 코너커버(316-2)는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모서리에 조립되고,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사이드커버(314-2) 및 제 3 사이드커버(314-3) 사이에 위치되고, 외부에 노출된다.
상기 제 3 코너커버(316-3)는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모서리에 조립되고,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3 사이드커버(314-1) 및 제 4 사이드커버(314-4) 사이에 위치되고, 외부에 노출된다.
상기 제 4 코너커버(316-4)는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모서리에 조립되고,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4 사이드커버(314-1) 및 제 1 사이드커버(314-1) 사이에 위치되고, 외부에 노출된다.
제 1 코너커버(316-1) 및 제 3 코너커버(316-3)는 프론트패널(300)의 중심(O)을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제 2 코너커버(316-2) 및 제 4 코너커버(316-4)는 프론트패널(300)의 중심(O)을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프론트패널(300)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대각선을 P1 및 P2로 정의한다. 상기 P1은 제 1 코너커버(316-1) 및 제 3 코너커버(316-3)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이고, 상기 P2는 제 2 코너커버(316-2) 및 제 4 코너커버(316-4)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이다.
상기 흡입패널(320)에는 모서리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1 그릴코너부(327-1), 제 2 그릴코너부(327-2), 제 3 그릴코너부(327-3) 및 제 4 그릴코너부(327-4)가 배치된다.
상기 그릴코너부들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베인모듈(201)은 상기 흡입그릴(320)의 각 가장자리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그릴코너부(327-1) 및 제 2 그릴코너부(327-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베인모듈(202)은 상기 흡입그릴의 각 가장자리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그릴코너부(327-2) 및 제 3 그릴코너부(327-3)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 3 베인모듈(203)은 상기 흡입그릴의 각 가장자리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3 그릴코너부(327-3) 및 제 4 그릴코너부(327-4)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 4 베인모듈(204)은 및 상기 흡입그릴의 각 가장자리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4 그릴코너부(327-4) 및 제 1 그릴코너부(327-1)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그릴코너부(327-1)는 상기 제 1 코너커버(316-1)를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코너커버(316-1)의 외측면과 연속된 면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그릴코너부(327-1)의 그릴 코너보더(326)는 상기 제 1 코너커버(316-1)의 코너데코 이너보더(317)와 대향되고, 코너데코 이너보더 갭(317a)을 형성한다.
나머지 그릴코너부(327)의 그릴 코너보더(326)와 상기 코너커버(316)의 코너데코 이너보더(317)도 각각 대향되고, 각각 코너데코 이너보더 갭(317a)을 형성한다.
상기 흡입그릴(320)은 각 코너커버(316)들과 마주하게 배치되는 4개의 그릴코너부(327)가 형성된다. 상기 각 그릴코너부(327)는 상기 각 코너커버(316)와 대향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코너커버(316-1)와 대향되게 배치된 그릴코너부(327)를 제 1 그릴코너부(327-1)로 정의하고, 상기 제 2 코너커버(316-2)와 대향되게 배치된 그릴코너부(327)를 제 1 그릴코너부(327-2)로 정의하고, 상기 제 3 코너커버(316-3)와 대향되게 배치된 그릴코너부(327)를 제 3 그릴코너부(327-3)로 정의하고, 상기 제 4 코너커버(316-4)와 대향되게 배치된 그릴코너부(327)를 제 4 그릴코너부(327-4)로 정의한다.
상기 그릴코너부(327)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그릴 사이드보더(325)는 코너커버(316)의 안쪽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코너데코 이너보더(317)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곡선의 형태도 서로 대응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그릴코너부(327)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그릴 코너보더(326)는 베인(210)의 내측 가장자리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곡선의 형태도 서로 대응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입그릴(320)이 상기 프론트바디(31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영구자석(318) 및 자기력고정부(328)가 배치된다.
상기 프론트바디(310)에 영구자석(318) 또는 자기력고정부(328) 중 어느 하나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각 그릴코너부(327) 상측면에 상기 자기력고정부(328) 또는 영구자석(318) 중 다른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318) 및 자기력고정부(328)는 각 그릴코너부(327)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각 그릴코너부(327)에 의해 숨겨진다. 상기 영구자석(318) 및 자기력고정부(328)가 흡입그릴(320)의 각 모서리 바깥쪽에 위치되기 때문에 흡입그릴(320)과 프론트바디(310)의 이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320) 및 프론트바디(310)가 이격될 경우, 상기 흡입유로(103) 내부 압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영구자석(318)은 상기 프론트바디(310)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영구자석은 코너프레임(313)에 배치된다.
상기 자기력고정부(328)는 상기 영구자석(318)와 상호작용되어 인력을 형성하는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자기력고정부(328)는 상기 흡입그릴(320)의 상측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기력고정부(328)는 그릴코너부(327) 상측면에 배치된다.
상기 흡입그릴(320)이 상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영구자석(318)에 근접될 경우, 상기 영구자석(318)이 상기 자기력고정부(328)을 끌어당겨 상기 흡입그릴(320)를 고정한다. 상기 영구자석(318)의 자기력은 상기 흡입그릴(320)의 자중 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엘리베이터(500)에 의해 흡입그릴(320)이 당겨지지 않을 경우, 상기 영구자석(318) 및 자기력고정부(328)의 결합은 해제된다.
탑뷰 또는 바텀뷰로 볼 때, 상기 영구자석(318)은 상기 가상의 대각선 P1 및 P2 선상에 배치된다. 상기 영구자석(318)은 코너커버(316) 내측에 위치된다.
탑뷰 또는 바텀뷰로 볼 때, 4개의 영구자석(318) 중 하나는 제 1 베인모듈(201)의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4 베인모듈(204)의 제 2 모듈바디(420) 사이에 배치된다. 나머지 3개의 영구자석도 각 베인모듈들의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영구자석(318) 및 자기력고정부(328)는 각 그릴코너부(327)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각 그릴코너부(327)에 의해 숨겨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그릴의 상승 또는 하강 시 작동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흡입그릴의 설치상태>
상기 흡입그릴(320)은 필터청소 또는 실내기 내부 수리 등을 위해 하강될 수 있다. 흡입그릴(320)은 4개의 와이어(511)(512)(521)(522)에 지지되고, 흡입그릴(320)의 하중은 모두 4개의 와이어(511)(512)(521)(522)에 의해 가해진다.
흡입그릴(320)은 4개의 와이어(511)(512)(521)(522)에 의해 프론트바디931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흡입그릴(320) 및 프론트바디(310)는 지지를 위한 별도의 결합구조가 배치되지 않는다.
그래서 사용자가 흡입그릴(320)를 분리하기 위해, 의자와 같은 구조물 위로 올라서서 흡입그릴(320) 및 프론트바디(310)의 조립을 해제할 필요가 없다. 즉, 엘리베이터(500)의 작동에 의해 4개의 와이어(511)(512)(521)(522)가 풀리는 즉시 흡입패널(320)이 하측으로 하강된다.
또한 흡입그릴(320)은 각 와이어(511)(512)(521)(522)에 의해서만 지지되기 때문에, 각 와이어(511)(512)(521)(522)는 항상 팽팽한 장력을 형성시킨다. 흡입그릴(320)이 다른 구조물에 지지될 경우, 각 와이어(511)(512)(521)(522) 중 일부는 느슨한 상태를 형성시킬 수 있고, 엘리베이터(500)가 각 와이어(511)(512)(521)(522)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없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각 와이어(511)(512)(521)(522)는 항상 흡입그릴(320)의 하중을 지지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500) 외부로 풀린 전체 길이가 항상 팽팽한 상태를 유지한다.
제 1 와이어고정부(329-1), 제 2 와이어고정부(329-2), 제 3 와이어고정부(329-3), 제 4 와이어고정부(329-4)는 흡입패널(320)의 각 모서리 측에 위치된다.
4개의 각 와이어고정부가 각 와이어에 의해 상측으로 당겨서 프론트바디(310)에 밀착되기 때문에, 흡입그릴(320)의 가장자리를 프론트바디(310)에 밀착시킬 수 있고, 흡입그릴(320)의 처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
4개의 와이어(511)(512)(521)(522)에 대해 각 와이어가이더(701)(702)(703)(704)가 배치되기 때문에, 각 와이어(511)(512)(521)(522)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각 와이어(511)(512)(521)(522)에 가해진 하중은 각 와이어가이더(701)(702)(703)(704)로 일부 분산될 수 있다. 또한, 각 와이어(511)(512)(521)(522)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와이어홈(754)을 따라서만 이동되기 때문에, 각 와이어(511)(512)(521)(522)의 수평이동을 억제하고, 이를 통해 흡입그릴(320)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흡입그릴의 하강과정>
상기 흡입그릴(320)이 커버패널(3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무선리모콘 또는 유선리모콘을 통해 조작신호를 입력하면, 제어부는 입력된 조작신호를 판단하여 상기 흡입그릴(320)을 하강시킨다.
상기 흡입그릴(320)을 하강될 때, 사용자는 상기 흡입그릴(320)의 하강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그릴(320)은 1m, 2m, 3m, 4.5m로 차등하강될 수 있다.
제어부는 입력된 조작신호를 판단하여 상기 제 1 유닛(510) 및 제 2 유닛(520)을 동시에 작동시키고, 상기 제 1 유닛(510) 및 제 2 유닛(520)에 배치된 드럼모터(540)의 회전량을 결정한다.
상기 제 1 유닛(510) 및 제 2 유닛(520)의 각 드럼모터(540)를 동시에 작동시킬 때, 각 드럼모터(540)의 회전수 및 회전속도를 일치시켜야만 상기 흡입그릴(320)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 유닛(510) 및 제 2 유닛(520)의 각 드럼모터(540)를 동기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드럼모터(540)가 각 드럼(530)을 제 1 회전방향(예를 들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흡입그릴(320)이 하강된다. 반대로 상기 각 드럼모터(540)가 각 드럼(530)을 상기 제 1 회전방향과 반대인 제 2 회전방향(예를 들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흡입그릴(320)이 상승된다.
그리고 상기 각 드럼모터(540)가 각 드럼(530)을 회전시킬 때, 제 1 유닛(510) 및 제 2 유닛(520)에 배치된 회전량감지장치(600)는 회전감지인자(601)를 감지하여 상기 드럼(530)의 회전량 또는 회전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한다.
제어부는 상기 회전량감지장치(600)에서 센싱되는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각 드럼(530)이 동일한 속도로 회전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제 1 유닛(510) 및 제 2 유닛(520)에 의한 양측의 단차가 어긋나는 경우, 단차보정을 위해 정지상태에서 상기 회전감지인자(601)의 카운팅 개수 보정을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최대 3회까지 회전감지인자(601)의 카운팅 개수 보정을 실시하고, 상기 엘리베이터(500)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엘리베이터(500)에 의한 흡입그릴(320)의 하강 또는 승강과정을 상기 회전량감지장치(600)를 통해 모니터링한다.
상승 또는 하강과정에서 어느 하나의 드럼(530)의 회전이 정지되는 경우, 그 즉시 각 드럼모터(540)를 정지시켜 상기 흡입그릴(320)의 기울어짐 또는 추락가능성을 차단한다.
각 드럼모터(540)의 작동에 의해 4개의 와이어(511)(512)(521)(522)는 각 드럼(530)에서 동시에 풀린다. 각 와이어(511)(512)(521)(522)는 엔드롤러(554), 제 3 롤러(553), 제 2 롤러(552) 및 스타트롤러(551)를 통과한다. 각 유닛케이스(590)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각 와이어(511)(512)(521)(522)는 각 유닛케이스(590)의 수평방향에 위치된 가이더(750)에서 지면을 향해 방향전환된다.
각 와이어(511)(512)(521)(522)는 각 가이더(750)의 상측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가이더(750)의 수직방향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흡입그릴(320)의 와이어고정부(329)에 고정된 각 와이어(511)(512)(521)(522)의 타단이 동시에 하측으로 하강된다.
각 와이어고정부(329)는 각 가이더(750)의 하측에 위치되고, 각 와이어(511)(512)(521)(52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와이어를 지지하는 가이더(750) 하측에 와이어고정부(329)가 배치되기 때문에, 각 와이어(511)(512)(521)(522)가 상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흔들림이 최소화된다. 또한, 각 와이어(511)(512)(521)(522)는 4개의 각 가이더(750)에 지지되기 때문에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고, 각 롤러박스의 롤러에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가이더(750) 및 롤러박스(550)는 고정된 구조물이기 때문에, 와이어는 가이더(750) 및 스타트롤러(551)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는다.
흡입그릴(320)의 상승 또는 하강과정에서 와이어고정부(329)만 흔들림이 발생될 수 있는 구조물이고, 가이더(750) 하측에 와이어고정부(329)가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가이더(750) 및 와이어고정부(329) 사이의 와이어 길이는 최소화된다.
즉, 가이더(750) 및 와이어고정부(329)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흡입그릴(320)의 하강과정에서 풀리는 와이어의 길이는 최소화된다. 흡입그릴이 하강될 때, 와이어가 대각선으로 배치되는 경우, 상하방향보다 더 많은 길이의 와이어를 풀어야한다.
<흡입그릴의 상승과정>
흡입그릴(320)이 하강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는 상기 흡입그릴(320)를 원위치로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초기위치로 상기 흡입그릴(320)를 복귀시키기 위해, 제 1 유닛(510) 및 제 2 유닛(520)의 각 드럼(53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제어부는 각 드럼(530)의 회전량 및 회전속도를 동일하게 유지시키켜 상기 흡입그릴(320)을 수평한 상태로 상승시킨다.
상기 흡입그릴(320)이 승강될 때, 와이어고정부(329)는 수직방향 상측으로 이동되고, 각 와이어의 끝단도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드럼(530)의 회전에 의해 제 1 유닛(510)의 제 1-1 와이어(511) 및 제 1-2 와이어(512)와 제 2 유닛(520)의 제 2-1 와이어(521) 및 제 2-2 와이어(522)는 동시에 각각의 드럼(530)에 감겨진다.
상기 제 1 유닛(510)의 드럼(530) 회전 시, 상기 제 1-1 와이어(511) 및 제 1-2 와이어(512)는 드럼(530)의 제 1 구역(531) 및 제 2 구역(532)에 수평방향으로 정렬되면서 감긴다.
상기 제 1-1 와이어(511)는 가이더(750)를 수직방향으로 통과한 후 수평방향으로 방향전환되고, 스타트롤러(551), 제 2 롤러(552), 제 3 롤러(553) 및 엔드롤러(554)를 통과한 후, 제 1 구역(531)의 드럼바디(535) 외주면에 감겨진다. 상기 제 1-1 와이어(511)가 상기 드럼바디(535) 외주면에 1렬로 감긴 후에는 1렬로 감긴 1-1 와이어(511) 위로 다시 층을 형성하며 감기게 된다.
상기 제 1-2 와이어(512)는 가이더(750)를 수직방향으로 통과한 후 수평방향으로 방향전환되고, 스타트롤러(561), 제 2 롤러(562), 제 3 롤러(563) 및 엔드롤러(564)를 통과한 후 제 2 구역(532)의 드럼바디(535) 외주면에 감긴다.
한편, 상기 제 1 유닛(510)과 동시에 회전되는 제 2 유닛(520)에서도 제 1 유닛(510)과 같은 속도로 제 2-1 와이어(521) 및 제 2-2 와이어(522)가 권선된다.
상기 제 1 유닛(510)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유닛(520)의 드럼(530) 회전 시, 상기 제 2-1 와이어(521)의 일단 및 제 2-2 와이어(522)의 일단은 드럼(530)의 제 1 구역(531) 및 제 2 구역(532)에 정렬되면서 감겨진다.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흡입그릴(320)은 상기 제 1-1 와이어(511), 제 1-2 와이어(512), 제 2-1 와이어(521) 및 제 2-2 와이어(522)에 의해 4점 지지된다.
상기 흡입그릴(320)이 4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유닛(510) 및 제 2 유닛(520)에 배치된 각 드럼(530)의 회전량 및 회전속도를 동기화시켜 상기 흡입그릴(320)의 양측을 동시에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는 상기 제 1 유닛(510) 및 제 2 유닛(520)에 각각 드럼모터(540)가 배치되지만, 제어부가 상기 회전량감지장치(600)를 통해 4개 와이어를 균일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는 1개의 드럼(530)을 구동시켜 상기 제 1-1 와이어(511) 및 제 1-2 와이어(512)를 동시에 감거나 풀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기 때문에, 흡입그릴(320)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실내기의 작동예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엘리베이터가 도시된 하부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엘리베이터 내부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작동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와이어가이더를 포함하지 않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유닛(1510)의 제 1-1 와이어(511) 및 제 1-2 와이어(512)는 흡입그릴(320)에 직접 고정되고, 제 2 유닛(1520)의 제 2-1 와이어(521) 및 제 2-2 와이어(522)는 역시 흡입그릴(320)에 직접 고정된다.
그래서 상기 제 1 유닛케이스(590)의 하측면에 제 1 홀(1591) 및 제 2 홀(1592)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유닛케이스(590)의 하측면에 제 1 홀(1591) 및 제 2 홀(1592)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홀(1591) 및 제 2 홀(1592)은 상기 드럼(530)의 축중심(C)에 대해 대칭된다. 상기 축중심(C)과 상기 제 1 홀(1591)의 거리는 상기 축중심(C)과 상기 제 2 홀(1592)의 거리와 같다. 상기 제 1 홀(1591)은 상기 제 1 롤러박스(550)보다 낮게 위치되고, 상기 제 2 홀(1592)은 상기 제 2 롤러박스(560)보다 낮게 위치된다.
상기 1-1 와이어(511)는 상기 1 홀(1591)을 관통하여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흡입그릴(320)의 제 1 와이어고정부(329-1)에 고정된다. 상기 1-2 와이어(512)는 상기 2 홀(1592)을 관통하여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흡입그릴(320)의 제 2 와이어고정부(329-2)에 고정된다.
상기 2-1 와이어(521)는 상기 1 홀(1591)을 관통하여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흡입그릴(320)의 제 3 와이어고정부(329-3)에 고정된다. 상기 2-2 와이어(522)의 상기 2 홀(1592)을 관통하여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흡입그릴(320)의 제 4 와이어고정부(329-4)에 고정된다.
상기 제 1 실시예에서는 와이어가 와이어가이더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롤러박스(550)에 전가되는 하중이 적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와이어가이더가 없을 경우, 흡입그릴(320)의 전체 하중이 롤러박스(550)에 부가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롤러박스(1550)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한 구조이지만, 흡입그릴(320)의 하중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제 1 롤러박스(1550)는 상기 유닛케이스(590)에 고정되는 박스(1555)와, 상기 박스(1555)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1 와이어(511)와 접촉되고, 상기 제 1-1 와이어(511)의 이동 시 마찰에 의해 회전되는 스타트롤러(1551) 및 엔드롤러(1554)와, 상기 박스(1555)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1 와이어(511)와 접촉되고, 상기 제 1-1 와이어(511)의 이동 시 마찰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제 1-1 와이어(511)의 장력에 의해 축방향으로 상대이동가능한 제 2 롤러(1552) 및 제 3 롤러(1553)와, 상기 제 2 롤러(1552) 및 제 3 롤러(155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탄성지지하는 롤러탄성부재(1556)를 포함한다.
상기 스타트롤러(1551) 및 엔드롤러(1554) 사이에 상기 제 2 롤러(1552) 및 제 3 롤러(1553)가 배치된다. 상기 제 1-1 와이어(511)가 풀릴 때, 상기 제 1-1 와이어(511)는 엔드롤러(1554), 제 3 롤러(1553), 제 2 롤러(1552) 및 스타트롤러(1551) 순으로 접촉된다. 반대로 상기 제 1-1 와이어(511)가 감길 때, 상기 제 1-1 와이어(511)는 스타트롤러(1551), 제 2 롤러(1552), 제 3 롤러(1553) 및 엔드롤러(1554) 순으로 접촉된다. 상기 스타트롤러(1551)는 상기 드럼(530)에 대해 가장 멀리 배치되고, 상기 엔드롤러(1554)는 상기 드럼(530)과 가장 가깝게 위치된다.
상기 스타트롤러(1551), 제 2 롤러(1552), 제 3 롤러(1553) 및 엔드롤러(1554)는 각각의 롤러축(1551a)(1552a)(1553a)(1554a)에 조립되고, 각 롤러축(1551a)(1552a)(1553a)(1554a)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스타트롤러(1551), 제 2 롤러(1552), 제 3 롤러(1553) 및 엔드롤러(155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되고, 나머지는 롤러축을 따라 이동되면서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타트롤러(1551)는 롤러축을 따라 이동되지 않는 고정롤러이고, 상기 제 2 롤러(1552), 제 3 롤러(1553) 및 엔드롤러(1554)는 롤러축을 따라 이동가능한 이동롤러이다.
상기 스타트롤러(1551)를 통과한 와이어가 상기 흡입그릴(320)에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스타트롤러(1551)를 고정하여 상기 흡입그릴(320)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타트롤러(1551)는 롤러축(1551a)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롤러축(1551a)을 중심으로 제자리 회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롤러(1552), 제 3 롤러(1553) 및 엔드롤러(1554)는 각 롤러축(1552a)(1553a)(1554a)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가능할 뿐만 아니라 롤러축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경우, 롤러축을 따라 상대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2 롤러(1552), 제 3 롤러(1553) 및 엔드롤러(1554)의 상대이동에 의해 상기 1-1 와이어(511)가 상기 드럼(530)에 일렬로 정렬되어 권선된다.
상기 스타트롤러(1551)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와이어가드(1551b)가 배치된다. 상기 와이어가드(1551b) 및 스타트롤러(1551) 사이에 제 1-1 와이어(511)가 배치된다. 상기 와이어가드(1551b)는 상기 스타트롤러(1551)에 감겨진 와이어가 롤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 2 롤러(1552), 제 3 롤러(1553) 및 엔드롤러(1554)에도 각각 와이어가드(1552b)(1553b)(1554b)가 배치된다.
상기 흡입그릴(320)에 제 1-1 와이어(511)를 직접 제공하는 롤러가 박스(1555)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입그릴(320)에 와이어를 제공하는 롤러가 축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상승 또는 하강과정에서 흔들릴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타트롤러(1551)는 고정롤러이고, 박스(1555)에서 제자리 회전되고, 상기 제 2 롤러(1552), 제 3 롤러(1553) 및 엔드롤러(1554)는 이동롤러이고, 롤러축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롤러탄성부재(1556)는 코일스프링이 사용된다. 상기 롤러탄성부재(1556)는 상하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롤러탄성부재(1556)는 상기 제 3 롤러(1553)의 롤러축(1553b)을 탄성지지한다.
상기 롤러탄성부재(1556)는 복수개의 롤러들 중 내측에 배치된 롤러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러탄성부재(1556)는 제 2 롤러(1552) 또는 제 3 롤러(1553)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3 롤러(1553)에 배치된다.
상기 롤러탄성부재(1556)는 상기 롤러를 와이어가드 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롤러탄성부재(1556)는 탄성력을 통해 상기 제 3 롤러(1553)를 상측으로 가압한다. 상기 롤러탄성부재(1556)는 상기 제 1-1 와이어(511)에 장력을 형성시키고, 상기 제 1-1 와이어(511)를 팽팽한 상태로 유지시킨다.
상기 제 1-1 와이어(511)가 드럼바디(535)의 외주면에 1열로 감긴 후, 2열째 감기는 경우, 상기 롤러탄성부재(1556)가 와이어의 두께만큼 압축되고, 제 3 롤러(533)는 와이어의 적층된 단차만큼 하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 3 롤러(1553)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박스(1555)에는 상기 제 3 롤러(1553)의 롤러축(1553a)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안내하는 레일(1557)이 형성된다. 상기 제 3 롤러(1553)는 레일(1557)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롤러가 사용되기 때문에, 제 3 롤러에 롤러탄성부재(1556)가 설치되지만, 3개의 롤러가 사용되는 경우 제 2 롤러에 롤러탄성부재(155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타트롤러(1551), 제 2 롤러(1552), 제 3 롤러(1553) 및 엔드롤러(1554)는 상하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된다.
상기 제 1-1 와이어(1551)의 일단은 상기 드럼(53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흡입그릴(32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1 와이어(1551)는 상기 스타트롤러(1551)의 상측 외주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흡입그릴(320)에 결합된다. 상기 제 1-1 와이어(1551)의 일단은 상기 엔드롤러(443)의 하측 외주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드럼(530)에 고정된다. 상기 제 2 롤러박스(1560)는 상기 제 2 롤러박스(560)과 동일한 구성이다.
상기 제 2 롤러박스(1560)는 상기 유닛케이스(1590)에 고정되는 박스(1565)와, 상기 박스(1565)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1-2 와이어(512)와 접촉되고, 상기 제 1-2 와이어(512)의 이동 시 마찰에 의해 회전되는 스타트롤러(1561) 및 엔드롤러(1564)와, 상기 박스(1565)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2 와이어(512)와 접촉되고, 상기 1-2 와이어(512)의 이동 시 마찰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1-2 와이어(512)의 장력에 의해 축방향으로 상대이동가능한 제 2 롤러(1562) 및 제 3 롤러(1563)와, 상기 제 2 롤러(1562) 및 제 3 롤러(156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탄성지지하는 롤러탄성부재(1566)를 포함한다. 상기 제 3 롤러(1563)는 레일(1567)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스타트롤러(1561), 제 2 롤러(1562), 제 3 롤러(1563) 및 엔드롤러(1564)는 각각의 롤러축(1561a)(1562a)(1563a)(1564a)에 조립되고, 각 롤러축(1561a)(1562a)(1563a)(1564a)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2 롤러박스(1560)는 상기 스타트롤러(1561), 제 2 롤러(1562), 제 3 롤러(1563) 및 엔드롤러(1564)와 소정간격 이격되는 각각의 와이어가드(1561b)(1562b)(1563b)(1564b)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롤러박스(1550) 및 제 2 롤러박스(1560)는 상기 드럼(530)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된다. 특히 상기 축중심(C)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롤러박스(1550) 및 제 2 롤러박스(1560)는 횡방향으로 대칭된다.
상기 축중심(C)을 기준으로 가장 먼쪽에 스타트롤러(1551)(1561)이 배치되고, 가장 가까운 쪽에 엔드롤러(1554)(1564)가 배치된다.
제 1-1 와이어(511) 및 제 1-2 와이어(512)는 모두 스타트롤러(1551)(1561)의 상측 외주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1 와이어(511)의 일단(515) 및 제 1-2 와이어(512)의 일단(516)은 상기 드럼(530)의 축중심을 기준으로 반대편에 위치된다. 상기 드럼(530)의 회전에 의해 제 1-1 와이어(511) 및 제 1-2 와이어(512)은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드럼바디(535)에 감기거나 풀린다.
상기 유닛케이스(590)는 박스형태로 형성되고, 하측면에 제 1 홀(1591), 제 2 홀(1592)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홀(1591) 및 제 2 홀(1592)은 상기 드럼(530)의 축중심(C)에 대해 대칭된다. 상기 축중심(C)과 상기 제 1 홀(1591)의 거리는 상기 축중심(C)과 상기 제 2 홀(1592)의 거리와 같다. 상기 제 1 홀(1591)은 상기 제 1 롤러박스(1550)보다 낮게 위치되고, 상기 제 2 홀(1592)은 상기 제 2 롤러박스(1560)보다 낮게 위치된다.
상기 스타트롤러(1551)(1561)의 일부는 상기 박스(1555)(1565)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노출된 스타트롤러(1551)의 하측에 상기 제 1 홀(1591)이 배치된다. 상기 노출된 상기 스타트롤러(1561)의 하측에 상기 제 2 홀(1592)이 배치된다. 탑뷰로 볼 때, 상기 노출된 스타트롤러(1551)와 상기 제 1 홀(1591)이 오버랩된다. 마찬가지로 탑뷰로 볼 때, 상기 노출된 스타트롤러(1561)와 상기 제 2 홀(1592)이 오버랩된다.
상기 1-1 와이어(511)의 타단(하단)은 상기 1 홀(1591)을 관통하여 상기 흡입그릴(320)에 결합된다. 상기 제 1-2 와이어(512)의 타단(하단)은 상기 2 홀(1592)을 관통하여 상기 흡입그릴(320)에 결합된다.
상기 제 1 홀(1591)의 상측에 제 1 롤러박스(1550)의 스타트롤러(1551)가 배치된다. 상기 제 2 홀(1592)의 상측에 상기 2 롤러박스(1560)의 스타트롤러(1561)가 배치된다. 상기 스타트롤러(1551)(1561)은 이동되지 않고, 제자리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와이어(511)(512)의 움직임을 억제하고, 이를 통해 상기 흡입그릴(320)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1 와이어(511) 및 제 1-2 와이어(512)는 수직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제 2-1 와이어(521) 및 제 2-2 와이어(512) 역시 수직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제 1-1 와이어(511)는 수직방향에 대해 전방 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 1-2 와이어(512)는 수직방향에 대해 후방 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제 2-1 와이어(521)는 수직방향에 대해 전방 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 2-2 와이어(522)는 수직방향에 해 후방 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그래서 제 1 롤러박스(1550)의 제 1 홀(1591) 및 제 2 홀(1592) 사이의 간격보다 제 1 와이어고정부(329-1) 및 제 2 와이어고정부(329-2) 사이의 간격이 더 넓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롤러박스(1560)의 제 1 홀(1591) 및 제 2 홀(1592) 사이의 간격보다 제 3 와이어고정부(329-3) 및 제 4 와이어고정부(329-4) 사이의 간격이 더 넓게 형성된다.
상술한 홀 및 와이어 타단의 배치를 통해 상기 제 1-1 와이어(511)는 전방 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 1-2 와이어(512)는 후방 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제 2-1 와이어(521)는 전방 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 2-2 와이어(522)는 후방 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와이어들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유닛케이스의 길이를 짧게 제작할 수 있고, 상기 유닛케이스의 설치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들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흡입그릴(320)까지 연장되는 와이들의 길이를 짧게 제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1 방향(511a')은 제 1-1 롤러박스(1550)의 엔드롤러(1554)를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2 방향(512a')은 제 1-2 롤러박스(1560)의 엔드롤러(1564)를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1 방향(511a')은 상기 제 1 구역(531) 및 엔드롤러(1554)의 접선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 1-2 방향(512a')은 상기 제 2 구역(532) 및 엔드롤러(1564)의 접선방향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1 와이어는 제 1 구역(531)의 상측면 및 엔드롤러(1554)의 하측면을 감싸게 배치된다. 상기 제 1-2 와이어는 상기 제 2 구역(532)의 하측면 및 엔드롤러(1564)의 하측면을 감싸게 배치된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들의 배치상태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는 상기 제 2 실시예와 같이 와이어가이더를 포함하지 않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유닛(1510)의 제 1-1 와이어(511) 및 제 1-2 와이어(512)는 흡입그릴(320)에 직접 고정되고, 제 2 유닛(1520)의 제 2-1 와이어(521) 및 제 2-2 와이어(522)는 역시 흡입그릴(320)에 직접 고정된다.
상기 제 2 실시예와 달리 상기 와이어들은 경사지게 배치되지 않고,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롤러박스(1550)의 제 1 홀(1591) 및 제 2 홀(1592) 사이의 간격과, 제 1 와이어고정부(329-1) 및 제 2 와이어고정부(329-2) 사이의 간격이 같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롤러박스(1560)의 제 1 홀(1591) 및 제 2 홀(1592) 사이의 간격과, 제 3 와이어고정부(329-3) 및 제 4 와이어고정부(329-4) 사이의 간격이 같게 형성된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2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케이스 101 : 흡입구
102 : 토출구 103 : 흡입유로
104 : 토출유로 110 : 케이스하우징
120 : 프론트패널 130 : 실내열교환기
140 : 실내송풍팬 200 : 베인모듈
300 : 프론트패널 310 : 프론트바디
320 : 흡입그릴 321 : 그릴홀
322 : 그릴바디 323 : 그릴
324 : 그릴바디부 329 : 와이어고정부
330 : 프리필터 500 : 엘리베이터
600 : 회전량감지장치 700 : 와이어가이더
701 : 제 1 와이어가이더 702 : 제 2 와이어가이더
703 : 제 3 와이어가이더 704 : 제 4 와이어가이더
710 : 고정블럭 720 : 조립블럭
730 : 고정블럭바디 740 : 조립블럭바디
750 : 가이더

Claims (21)

  1. 실내의 천장에 매달려 설치되고, 하측을 향해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분리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흡입구를 커버하고, 상기 케이스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흡입그릴;
    상기 흡입그릴에 대해 일측에 배치되고, 하단이 상기 흡입그릴에 고정된 제 1-1 와이어;
    상기 흡입그릴에 대해 일측에 배치되고, 하단이 상기 흡입그릴에 고정된 제 1-2 와이어;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1 와이어 및 제 1-2 와이어의 각 상단과 결합되고, 상기 제 1-1 와이어 및 제 1-2 와이어를 동시에 감거나 풀어서 상기 흡입그릴의 일측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제 1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유닛은,
    상기 제 1-1 와이어의 상단 및 제 1-2 와이어의 상단이 각각 고정되는 제 1 드럼; 및 상기 제 1 드럼을 회전시키는 제 1 드럼모터;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유닛케이스;
    상기 유닛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제 1-1 와이어가 관통되고, 상기 제 1-1 와이어가 감겨지거나 풀릴 때, 상기 제 1-1 와이어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제 1-1 롤러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 1-1 롤러박스는,
    상기 1-1 와이어와 접촉되고, 상기 제 1-1 와이어의 이동 시 마찰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드럼과 가장 멀리 배치되는 스타트롤러; 상기 1-1 와이어와 접촉되고, 상기 제 1-1 와이어의 이동 시 마찰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드럼과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엔드롤러; 상기 제 1-1 와이어와 접촉되고, 상기 1-1 와이어의 이동 시 마찰에 의해 회전되고, 스타트롤러 및 엔드롤러 사이에 배치된 전달롤러; 및 상기 전달롤러를 탄성지지하는 롤러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드럼은,
    상기 제 1 드럼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1 와이어의 상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 1-1 와이어가 감겨지는 제 1 구역; 상기 제 1 드럼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2 와이어의 상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 1-2 와이어가 감겨지는 제 2 구역;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드럼은 상기 제 1 구역 및 제 2 구역을 구획하는 제 1 파티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파티션은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티션은 상기 제 1 드럼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1 드럼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 1 드럼모터의 모터축과 직교되는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드럼의 제 1 구역 및 제 2 구역이 평행하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축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 1-1 와이어가 상기 제 1 구역의 상측면에 지지되고, 상기 제 1-2 와이어가 상기 제 2 구역의 하측면에 지지되는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축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 1-1 와이어가 상기 제 1 구역의 하측면에 지지되고, 상기 제 1-2 와이어가 상기 제 2 구역의 상측면에 지지되는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닛은,
    상기 제 1 드럼 및 제 1 드럼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 1 유닛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유닛케이스는 상기 제 1-1 와이어가 관통되는 제 1 홀; 및 상기 제 1-2 와이어가 관통되는 제 2 홀;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닛케이스의 상기 제 1 홀 및 제 2 홀은 하측을 향해 개구된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닛케이스의 제 1 홀 및 제 2 홀은 상기 제 1 유닛케이스의 측벽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유닛케이스의 제 1 홀 및 제 2 홀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게 배치된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제 1-1 와이어를 지지하고, 상기 흡입그릴의 상측에 위치되는 제 1 와이어가이더;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제 1-2 와이어를 지지하고, 상기 흡입그릴의 상측에 위치되는 제 2 와이어가이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유닛케이스의 제 1 홀은 상기 제 1 와이어가이더를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유닛케이스의 제 2 홀은 상기 제 2 와이어가이더를 향하게 배치된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닛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드럼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 1 회전감지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회전감지장치는,
    상기 제 1 드럼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드럼의 회전 시 함께 회전되는 회전감지인자; 상기 회전감지인자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회전감지인자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가 배치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적외선센서이고,
    상기 회전감지인자는 상기 드럼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된 톱니이고,
    상기 센서는 상기 톱니에 의해 단속되는 적외선신호를 감지하는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발광부 및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회전감지장치는, 상기 발광부 및 수광부가 설치되는 센서설치부; 상기 센서설치부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감지인자가 통과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슬롯;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롯을 기준으로 상기 발광부 및 수광부는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15. 삭제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1 와이어는 상기 엔드롤러의 상측면과 접하게 배치된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1 와이어는 상기 스타트롤러의 하측면과 접하게 배치된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달롤러는,
    상기 제 1-1 와이어와 접촉되고, 상기 제 1-1 와이어의 이동 시 마찰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스타트롤러 및 엔드롤러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롤러;
    상기 제 1-1 와이어와 접촉되고, 상기 제 1-1 와이어의 이동 시 마찰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제 2 롤러 및 엔드롤러 사이에 배치된 제 3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탄성부재는 상기 제 2 롤러 또는 제 3 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탄성지지하는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달롤러는 롤러축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롤러탄성부재는 상기 롤러축을 탄성지지하는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스타트롤러, 전달롤러 및 엔드롤러가 설치되는 박스;
    상기 박스에 배치되고, 상기 롤러축이 이동가능한 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롤러축은 상기 롤러탄성부재에 의해 탄성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한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21. 삭제
KR1020180164264A 2017-12-21 2018-12-18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KR102235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80089987.5A CN111801529B (zh) 2017-12-21 2018-12-21 空调的天花板式室内机
AU2018388754A AU2018388754B2 (en) 2017-12-21 2018-12-21 Ceiling-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PCT/KR2018/016449 WO2019125042A1 (ko) 2017-12-21 2018-12-21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EP18890162.3A EP3730845A4 (en) 2017-12-21 2018-12-21 INDOOR CEILING UNIT FOR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77353 2017-12-21
KR1020170177353 2017-1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818A KR20190075818A (ko) 2019-07-01
KR102235273B1 true KR102235273B1 (ko) 2021-04-02

Family

ID=67255372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266A KR102187748B1 (ko) 2017-12-21 2018-12-18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KR1020180164264A KR102235273B1 (ko) 2017-12-21 2018-12-18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KR1020180164267A KR102278184B1 (ko) 2017-12-21 2018-12-18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KR1020200179957A KR102454127B1 (ko) 2017-12-21 2020-12-21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266A KR102187748B1 (ko) 2017-12-21 2018-12-18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267A KR102278184B1 (ko) 2017-12-21 2018-12-18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KR1020200179957A KR102454127B1 (ko) 2017-12-21 2020-12-21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3) EP3730847A4 (ko)
KR (4) KR102187748B1 (ko)
CN (3) CN111742178B (ko)
AU (3) AU2018388754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6313B1 (ko) * 2020-09-18 2021-02-17 주식회사 테크엔 미세먼지 정화기능을 구비한 엣지커버형 led 조명등
KR102216318B1 (ko) * 2020-09-18 2021-02-17 영남엘이디 주식회사 미세먼지 정화기능을 구비한 엣지커버형 led 조명등 제조방법
KR102290718B1 (ko) * 2021-02-08 2021-08-18 주식회사 테크엔 필터 승강장치가 내장된 led 조명등 제조방법
KR102280570B1 (ko) * 2021-02-08 2021-07-21 이영섭 필터 승강장치가 내장된 led 조명등
US20220373196A1 (en) 2021-05-24 2022-11-24 Lg Electronics Inc. Air-conditioning system
CN117847765A (zh) * 2022-10-07 2024-04-09 Lg电子株式会社 空调机
CN117847762A (zh) * 2022-10-07 2024-04-09 Lg电子株式会社 空调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584B1 (ko) * 2006-06-29 2007-06-11 신정훈 천정형 공기조화기용 승강릴의 드럼 회전수 감지장치
JP4109771B2 (ja) * 1998-09-25 2008-07-02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7422B2 (ja) * 1996-07-26 2002-07-0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3552851B2 (ja) * 1996-08-08 2004-08-11 小波株式会社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3294123B2 (ja) * 1996-11-07 2002-06-2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H10160192A (ja) * 1996-11-26 1998-06-19 Nikko Ind Corp 空調機のグリル昇降装置
JP3139415B2 (ja) * 1997-06-11 2001-02-2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3760449B2 (ja) * 1998-07-16 2006-03-29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3087736B2 (ja) * 1998-10-16 2000-09-1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2351692Y (zh) * 1998-12-21 1999-12-01 海尔集团公司 嵌入式空调器室内机进风栅升降机构
CN2365555Y (zh) * 1999-01-07 2000-02-23 江苏春兰除湿设备有限公司 进风栅可升降的嵌入式空调器
JP3950268B2 (ja) * 1999-08-30 2007-07-2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KR100436142B1 (ko) * 2001-09-25 2004-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2004218988A (ja) * 2003-01-17 2004-08-05 Sanyo Electric Co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JP4359124B2 (ja) * 2003-11-20 2009-11-04 三洋電機株式会社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JP4417102B2 (ja) * 2003-11-30 2010-02-17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空気調和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101116210B1 (ko) * 2004-07-14 2012-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CN100432548C (zh) * 2004-09-24 2008-11-12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吸顶式空调机的室内机
CN1888691B (zh) * 2005-06-30 2010-08-25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调器升降格栅的控制装置及控制方法
KR100679838B1 (ko) 2005-10-05 2007-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CN1955563B (zh) * 2005-10-27 2010-06-16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调器室内机的吸入格栅
KR100780165B1 (ko) * 2006-04-17 2007-11-27 신정훈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그릴 승강기
JP3998032B1 (ja) * 2006-04-18 2007-10-2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JP2007303770A (ja) * 2006-05-15 2007-11-22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
CN101078540A (zh) * 2006-05-25 2007-11-28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调器的室内机
KR100725816B1 (ko) * 2006-07-10 2007-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140714B1 (ko) * 2006-11-16 2012-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CN101606028B (zh) * 2007-02-09 2011-04-13 大金工业株式会社 空调装置的室内机组
KR20080110109A (ko) 2007-06-14 2008-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902927B1 (ko) * 2007-10-29 2009-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0912301B1 (ko) * 2007-12-21 2009-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필터가이드
JP4433059B2 (ja) * 2008-02-05 2010-03-1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KR200450078Y1 (ko) * 2008-02-20 2010-09-02 (주)신한전기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그릴 승강기
CN101598367A (zh) * 2008-06-05 2009-12-09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一种空调室内机
KR20100013472A (ko) * 2008-07-31 2010-02-10 신정훈 드럼 좌우측에 안내롤러를 갖는 그릴 승하강장치
WO2010013957A2 (ko) * 2008-07-31 2010-02-04 Shin Jeong-Hun 드럼 좌우측에 안내롤러를 구비한 그릴 승하강장치
JP2010043781A (ja) * 2008-08-12 2010-02-25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
JP5305800B2 (ja) * 2008-09-17 2013-10-02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010112588A (ja) * 2008-11-04 2010-05-20 Hitachi Appliances Inc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1082557B1 (ko) * 2008-12-22 2011-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045380B1 (ko) * 2008-12-23 2011-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632884B1 (ko) * 2008-12-23 2016-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0460957Y1 (ko) * 2009-12-04 2012-06-21 비오티스아시아 주식회사 천정용 공조기의 흡입그릴 설치구조
US9599251B2 (en) * 2012-02-13 2017-03-21 Hyundai Heavy Industries Co., Ltd. Check valve driving device for injecting gas
KR101702169B1 (ko) * 2013-10-02 201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04891363A (zh) * 2014-03-05 2015-09-0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升降轮、升降装置以及吸顶式空调器
CN203810555U (zh) * 2014-04-04 2014-09-0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嵌入式空调
JP6430855B2 (ja) * 2015-02-20 2018-11-28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天井設置型空気調和機
CN106468459B (zh) * 2015-08-11 2019-07-05 Lg电子株式会社 空调机的室内机
CN105066399B (zh) * 2015-09-02 2018-07-1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升降式面板格栅安装结构及空调器
KR101881907B1 (ko) * 2015-10-23 2018-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6871235B (zh) * 2017-01-10 2020-09-18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吊顶空调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09771B2 (ja) * 1998-09-25 2008-07-02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100726584B1 (ko) * 2006-06-29 2007-06-11 신정훈 천정형 공기조화기용 승강릴의 드럼 회전수 감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8388754B2 (en) 2022-06-16
KR20190075819A (ko) 2019-07-01
KR102278184B1 (ko) 2021-07-16
KR102187748B1 (ko) 2020-12-07
EP3730846A4 (en) 2021-10-27
AU2018388381A1 (en) 2020-08-06
EP3730847A4 (en) 2021-11-03
KR20200144534A (ko) 2020-12-29
EP3730847A1 (en) 2020-10-28
CN111801529B (zh) 2022-04-22
AU2018388754A1 (en) 2020-08-06
EP3730845A4 (en) 2021-10-20
CN111742179A (zh) 2020-10-02
CN111742179B (zh) 2022-05-24
KR20190075820A (ko) 2019-07-01
EP3730845A1 (en) 2020-10-28
KR102454127B1 (ko) 2022-10-14
EP3730846A1 (en) 2020-10-28
AU2018388327B2 (en) 2022-05-19
KR20190075818A (ko) 2019-07-01
AU2018388327A1 (en) 2020-08-06
CN111742178B (zh) 2022-04-26
AU2018388381B2 (en) 2022-06-16
CN111801529A (zh) 2020-10-20
CN111742178A (zh) 2020-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5273B1 (ko)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KR102078277B1 (ko)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KR20190033033A (ko)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KR102262739B1 (ko)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KR102521296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210012241A (ko) 공기조화기
KR20190106026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262738B1 (ko)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KR20210111108A (ko)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KR102654814B1 (ko) 천장에 설치되는 실내기
KR20210157135A (ko)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KR20230004388A (ko) 천장에 설치되는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