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4814B1 - 천장에 설치되는 실내기 - Google Patents

천장에 설치되는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4814B1
KR102654814B1 KR1020220178336A KR20220178336A KR102654814B1 KR 102654814 B1 KR102654814 B1 KR 102654814B1 KR 1020220178336 A KR1020220178336 A KR 1020220178336A KR 20220178336 A KR20220178336 A KR 20220178336A KR 102654814 B1 KR102654814 B1 KR 102654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grill
corner
filter
lamp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8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4388A (ko
Inventor
양세연
반영환
서명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Priority to KR1020220178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4814B1/ko
Publication of KR20230004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4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8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외선램프가 설치된 천장형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장에 설치되는 실내기 {Indoor unit installed on the ceiling}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외선램프가 설치된 천장형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팽창기로 구성되고, 공기조화 사이클을 이용하여 건물 또는 방에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한다.
공기조화기는 구조적으로 압축기가 실외에 배치된 분리형과, 압축기가 일체로 제작된 일체형으로 구분된다.
분리형은 실내기에 실내 열교환기를 설치하고, 실외기에 실외 열교환기와 압축기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두 장치를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다.
일체형은 실내 열교환기, 실외 열교환기 및 압축기를 하나의 케이스 안에 설치한 것이다. 일체형 공기조화기로는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와, 흡입덕트와 토출덕트를 연결하여 실내 외측에 설치하는 덕트형 공기조화기 등이 있다.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의 설치 형태에 따라 구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실내기가 실내 공간에 수직하게 세워져 설치되는 것을 스탠드형 공기조화기라 하고, 실내기가 실내의 벽에 설치되는 것을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라 하고, 실내기가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것을 천장형 실내기라 한다.
천장형 실내기의 경우, 흡입그릴이 바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흡입그릴에는 실내공기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가 배치되고, 상기 필터는 청소를 위해 분리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필터 청소를 위해 주기적으로 상기 흡입그릴을 케이스에서 분리할 필요가 있다.
특히 흡입그릴은 실내의 천장에 배치되기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청소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79838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21-0026523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0089002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211993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69187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43661
본 발명은 자외선램프가 설치된 천장형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흡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어셈블리에 자외선램프가 설치된 천장형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실내의 천장에 배치되고, 하측을 향해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분리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흡입구를 커버하는 흡입그릴; 상기 흡입그릴 상측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흡입공기를 여과하는 필터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인가된 전원을 통해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자외선램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외선램프의 작동에 의해 발생된 자외선을 통해 상기 흡입공기를 살균할 수 있다.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상측개구면 및 하측개구면이 형성된 필터케이스; 상기 필터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메인필터; 상기 필터케이스에 배치되고, 인가된 전원에 의해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상기 자외선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필터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하측개구면을 통해 노출되는 프리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필터는 상기 상측개구면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램프가 상기 필터케이스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자외선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및 상기 케이스에 배치된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그릴의 분리 시 상기 커넥터 및 전극이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본 발명은 필터어셈블리 내부에 자외선램프가 배치되기 때문에, 자외선램프에서 발생된 자외선을 통해 흡입공기를 살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자외선램프가 메인필터의 측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흡입공기 뿐만 아니라 메인필터의 곰팡이 및 세균을 살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필터케이스에 배치된 자외선반사부재를 통해 자외선이 닿지 않는 음영지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필터어셈블리가 흡입그릴 상측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되기 때문에, 흡입그릴의 분리 시 필터어셈블리도 함께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흡입그릴의 분리 시 전극 및 커넥터의 연결이 자동으로 해제되기 때문에,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작동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프론트패널이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프론트패널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프론트패널이 도시된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흡입그릴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필터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정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일부 확대 평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일부 확대 정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8에 도시된 램프소자 및 메인필터의 배치가 도시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반사부재의 배치가 도시된 필터어셈블리의 일부 정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반사부재의 배치가 도시된 필터어셈블리의 일부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작동예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프론트패널이 도시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프론트패널이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프론트패널이 도시된 저면도이고,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흡입그릴의 평면도이다.
<실내기의 구성>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가 형성된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되는 실내열교환기(130)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실내송풍팬(14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0)는 실내의 바닥을 향하게 배치된 흡입그릴(3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그릴(320)은 상기 케이스(100)에서 하측으로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그릴(320)에는 케이스(320)와 선택적으로 상호 결합될 수 있는 커플러(400)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입그릴(320)이 상기 프론트바디(31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영구자석(318) 및 자기력고정부(328)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그릴(320)의 상측에 필터어셈블리(500)가 배치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500)는 흡입되는 공기를 여과할 수 있다. 상기 필터어셈블리(500)는 인가된 전원을 통해 UV를 발생시켜 흡입공기를 살균할 수 있다.
<케이스의 구성>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100)는 케이스하우징(110)과, 프론트패널(30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하우징(100)은 행거(미도시)를 통해 실내의 천장에 매달려 설치되고, 하측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패널(300)은 상기 케이스하우징(110)의 개구된 면을 커버하고, 실내의 바닥을 향해 배치되고, 실내에 노출되며,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00)는 제작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케이스(100)의 구성이 본 발명의 사상을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흡입구(101)가 프론트패널(300)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102)는 상기 흡입구(101)의 바깥쪽에 배치된다. 상기 흡입구(101)의 개수 또는 토출구(102)의 개수는 본 발명의 사상과 무관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구(101)는 1개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102)는 복수개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구(101)는 저면에서 보았을 때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102)는 상기 흡입구(101)의 각 가장자리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4개가 배치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500)는 상기 흡입구(101)를 커버하고, 상기 흡입구(101)를 통과한 공기를 여과 및 살균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500)는 상기 흡입구(101)의 상측에 배치된다.
<실내열교환기의 구성>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상기 케이스(100) 내부를 내측 및 외측으로 구획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본 실시예에서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30)의 내측에 실내송풍팬(140)이 위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는 탑뷰 또는 바텀뷰로 볼 때, 전체적인 형상이 "□"로 형성되고, 일부구간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상기 실내송풍팬(140)에서 토출된 공기가 수직하게 진입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드레인팬(132)이 설치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드레인팬(132)에 거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30)에서 생성된 응축수는 상기 드레인팬(132)으로 유동된 후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팬(132)에는 모인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펌프(미도시)가 배치된다.
상기 드레인팬(132)은 실내열교환기(130)에서 흘러내린 응축수를 한쪽으로 모아 저장하기 위해 방향성을 갖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실내송풍팬의 구성>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실내송풍팬(140)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흡입구(101)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실내송풍팬(140)은 중앙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원심송풍기가 사용된다.
상기 실내송풍팬(140)은 벨마우스(142), 팬(144) 및 팬모터(146)를 포함한다.
상기 벨마우스(142)는 흡입그릴(320) 상측에 배치되고, 팬(144)의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벨마우스(142)는 상기 흡입그릴(320)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팬(144)으로 안내한다.
상기 벨마우스(142)는 상하방향으로 개구되고, 흡입구(101)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상기 팬(144)으로 안내한다. 상기 벨마우스(142)는 오리피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벨마우스(142)는 흡입유로(103)의 일부를 제공한다. 상기 벨마우스(142)는 팬(144)의 하측에 배치되어 팬(144)의 축중심으로 공기를 안내한다.
흡입그릴(320)이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벨마우스(142)의 개구부를 통해 팬(144)의 중심이 노출되고, 팬(144)이 외측 가장자리는 노출되지 않는다.
상기 팬(144) 및 팬모터(146)를 교체 또는 수리하기 위해서는 벨마우스(142)를 분리해야만 한다. 상기 벨마우스(142)는 케이스(100)에 고정된다.
상기 팬모터(146)는 상기 팬(144)을 회전시킨다. 상기 팬모터(146)는 케이스하우징(110)에 고정된다. 상기 팬모터(146)는 상기 팬(144)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팬모터(146)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팬(144)보다 높게 위치된다.
상기 팬모터(146)의 모터축은 하측을 향해 배치되고, 상기 모터축에 상기 팬(144)이 결합된다.
상기 팬(144)의 가장자리 외측에 실내열교환기(130)가 위치된다. 상기 팬(144)과 실내열교환기(130)의 적어도 일부분은 동일 수평선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벨마우스(142)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팬(144)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상하방향에 대해 상기 벨마우스(142)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팬(144)과 오버랩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500)은 상기 벨마우스(142) 및 흡입그릴(32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500)은 상기 벨마우스(142) 및 흡입그릴(320) 사이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유로의 구성>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케이스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하우징(110) 내부 공간을 내측 및 외측으로 구획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로 둘러싸인 내측 공간을 흡입유로(103)로 정의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130)의 외측 공간을 토출유로(104)로 정의한다.
상기 흡입유로(103)에 상기 실내송풍팬(140)이 배치된다. 상기 토출유로(104)는 실내열교환기(130)의 바깥쪽 및 케이스하우징(110)의 측벽 사이다.
탑뷰 또는 바텀뷰로 볼때, 상기 흡입유로(103)는 실내열교환기의 "□"로 둘러싸인 내측이고, 토출유로(104)는 실내열교환기의 "□"로 둘러싸인 바깥쪽이다.
상기 흡입유로(103)는 흡입구(101)과 연통되고, 상기 토출유로(104)는 토출구(103)와 연통된다.
공기는 상기 흡입유로(103)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되고, 토출유로(104)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유동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를 기준으로 공기의 유동방향이 180도 전환된다.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는 프론트패널(300)의 같은 면에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는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는 실내의 바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프론트패널(300)에 굴곡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토출구(102)가 약간의 측면경사를 갖게 형성될 수 있지만, 토출유로(104)와 연결된 토출구(102)는 하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10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베인모듈(200)이 배치된다.
<프론트패널의 구성>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프론트패널(300)은 케이스하우징(110)에 결합되고,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가 형성된 프론트바디(310)와, 다수개의 그릴홀(321)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101)를 커버하는 흡입그릴(320)과, 상기 흡입그릴(320)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필터어셈블리(500)와, 상기 프론트바디(310)에 설치되고, 상기 토출구(102)의 공기유동방향을 제어하는 베인모듈(20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그릴(320)는 격자형태를 통해 다수개의 그릴홀(321)이 형성된다. 상기 그릴홀(321)과 상기 흡입구(101)는 연통된다.
상기 흡입그릴(320)의 상측에 필터어셈블리(500)가 배치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500)는 상기 케이스(100)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여과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500)는 상기 그릴홀(321)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흡입그릴(320)을 통과한 공기를 여과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500)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UV램프를 포함한다.
상기 토출구(102)는 상기 흡입구(101)의 가장자리를 따라 긴 슬릿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베인모듈(200)은 상기 토출구(102) 상에 위치되고, 상기 프론트바디(31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인모듈(200)은 상기 프론트바디(310)의 하측으로 분리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인모듈(200)은 상기 프론트바디(310)의 결합구조와 무관하게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바디(310)에서 독립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에 관한 구조는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겠다.
<프론트바디의 구성>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프론트바디(310)는 케이스하우징(110)의 하측에 결합되고, 실내의 방향을 향해 배치된다. 상기 프론트바디(310)는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고, 실내에 노출된다.
상기 프론트바디(310)는 케이스하우징(110)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하우징(110)은 상기 프론트바디(310)의 하중을 지지한다. 상기 프론트바디(310)는 흡입그릴(320) 및 필터어셈블리(500)의 하중을 지지한다.
상기 프론트바디(310)는 탑뷰로 볼 때,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바디(310)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바디(310)의 상측면은 천장에 밀착될 수 있도록 수평하게 형성되고, 하측면은 가장자리가 약간의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바디(310)의 중앙에 흡입구(101)가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101) 가장자리 바깥쪽에 복수개의 토출구(102)가 배치된다.
탑뷰로 볼 때, 상기 흡입구(101)는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토출구(102)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102)는 폭보다 길이가 긴 슬릿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바디(310)는 프론트프레임(312), 사이드커버(314), 코너커버(316)를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은 프론트패널(300)의 하중 및 강성을 제공하고, 상기 케이스하우징(110)에 체결고정된다.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에 상기 흡입구(101) 및 4개의 토출구(102)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은 사이드프레임(311) 및 코너프레임(313)을 포함한다.
상기 코너프레임(313)은 프론트패널(300)의 각 모서리에 배치된다. 상기 사이드프레임(311)은 2개의 코너프레임(313)과 결합된다. 상기 사이드프레임(311)은 이너 사이드프레임(311a) 및 아우터 사이드프레임(311b)를 포함한다.
상기 이너 사이드프레임(311a)은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 사이에 배치되고, 2개의 코너프레임(313)을 결합시킨다. 아우터 사이드프레임(311b)은 토출구(102)의 바깥쪽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이너 사이드프레임(311a) 및 4개의 아우터 사이드프레임(311b)이 구비된다.
상기 흡입구(101)는 4개의 이너 사이드프레임(311a) 내측에 위치된다. 상기 토출구(102)는 2개의 코너프레임(313), 이너 사이드프레임(311a) 및 아우터 사이드프레임(311b)에 둘러싸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저면에 상기 사이드커버(314) 및 코너커버(316)가 결합된다. 상기 사이드커버(314) 및 코너커버(316)는 사용자에게 노출되고,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은 사용자에게는 보이지 않는다.
상기 사이드커버(314)는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코너커버(316)는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모서리에 배치된다.
상기 사이드커버(314)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에 체결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이드커버(314)는 상기 사이드프레임(311)에 결합되고, 코너커버(316)는 코너프레임(313)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사이드커버(314) 및 코너커버(316)는 각각 4개가 구비된다. 상기 사이드커버(314) 및 코너커버(316)는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에 결합되어 하나의 구조물로 연결된다. 상기 프론트패널(300)에서 4개의 사이드커버(314) 및 4개의 코너커버(316)는 하나의 가장자리를 형성한다.
상기 사이드프레임(311) 하측에 상기 사이드커버(314)가 배치되고, 코너프레임(313) 하측에 상기 코너커버(316)가 배치된다.
4개의 사이드커버(314) 및 4개의 코너커버(316)는 조립되어 4각형의 테두리를 형성한다. 연결된 4개의 사이드커버(314) 및 4개의 코너커버(316)를 프론트데코(350)라고 정의한다.
상기 프론트데코(350)는 데코 아우터보더(351, outer border)와 데코 이너보더(352, inner border)를 형성한다.
탑뷰 또는 바텀뷰로 볼 때, 상기 데코 아우터보더(351)는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데코 이너보더(352)도 전체적인 형상은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다만 상기 데코 이너보더의 모서리는 소정의 곡률을 형성한다.
상기 데코 이너보더(352) 내측에 상기 흡입그릴(320) 및 4개의 베인모듈(200)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데코 이너보더(352)에 흡입그릴(320) 및 4개의 베인모듈(200) 접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사이드커버(314)는 4개가 배치되고, 각 사이드커버(314)는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에 결합된다. 상기 사이드커버(314)의 바깥쪽 가장자리는 상기 데코 아우터보더(351)의 일부를 형성하고, 안쪽 가장자리는 상기 데코 이너보더(352)의 일부를 형성한다.
특히, 상기 사이드커버(314)의 안쪽 가장자리는 상기 토출구(102)의 바깥쪽 경계를 형성한다. 상기 사이드커버(314)의 안쪽 가장자리를 사이드데코 이너보더(315)로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코너커버(316)는 4개가 배치되고, 각 코너커버(316)는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에 결합된다. 상기 코너커버(316)의 바깥쪽 가장자리는 상기 데코 아우터보더(351)의 일부를 형성하고, 안쪽 가장자리는 상기 데코 이너보더(352)의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코너커버(316)의 안쪽 가장자리를 코너데코 이너보더(317)로 정의한다.
상기 코너데코 이너보더(317)는 상기 흡입그릴(320)과 맞닿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너커버(316)의 안쪽 가장자리는 상기 흡입그릴(320)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소정간격 이격되어 갭(317a)을 형성한다.
상기 사이드데코 이너보더(315) 역시 상기 베인모듈(200)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갭(315a)을 형성하고, 상기 베인모듈(200)의 바깥쪽 가장자리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그래서 상기 데코 이너보더(352)는 4개의 베인모듈(200) 및 흡입그릴(320)의 바깥쪽 가장자리와 소정간격 이격되고 연속된 갭을 형성한다.
4개의 사이드데코 이너보더 갭(315a) 및 4개의 코너데코 이너보더 갭(317a)에 의해 형성된 연속된 갭을 프론트데코 갭(350a)으로 정의한다.
상기 프론트데코 갭(350a)은 상기 프론트데코(350)의 안쪽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론트데코 갭(350a)은 베인모듈(200) 및 흡입그릴(320)의 바깥쪽 가장자리와 프론트데코(350)의 안쪽 가장자리가 이격되어 형성된다.
<흡입그릴의 구성>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흡입그릴(320)은 프론트바디(310)의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흡입그릴(320)은 상기 프론트바디(310)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하측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필터어셈블리(500)는 상기 흡입그릴(320)의 상측면에 거치되고, 상기 흡입그릴(320)에 탈착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흡입그릴(320)이 프론트바디(310)에서 분리될 경우, 상기 필터어셈블리(500)도 흡입그릴(320)과 함께 하측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필터어셈블리(500)는 상기 프론트바디(310) 측으로부터 전원을 제공받는다.
그래서 상기 필터어셈블리(500)는 상기 프론트바디(310)에 밀착된 상태에서만 UV램프가 작동될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320)이 프론트바디(310)에서 분리될 때, 상기 필터어셈블리(500)가 프론트바디(310)와 이격되면서 상기 필터어셈블리(500)에 제공되던 전원이 차단된다.
상기 흡입그릴(320)은 그릴바디(322)와, 상기 그릴바디(322)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된 다수개의 그릴홀(321)과, 상기 필터어셈블리(500)가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필터결합부(331)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그릴(320)은, 상기 흡입구(101)의 하측에 배치되고, 다수개의 그릴홀(321)에 의해 상기 흡입구(101)와 연통되고,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그릴바디(322)과, 상기 그릴바디(322)의 모서리에서 대각선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그릴코너부(327)를 포함한다.
상기 그릴바디(322)의 저면과 베인(210)의 저면은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릴바디(322)의 저면과 코너커버(316)의 저면은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그릴바디(322)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그릴(323)이 격자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격자형태의 그릴(323)은 사각형 형태의 그릴홀(321)을 형성시킨다. 상기 그릴(323) 및 그릴홀(321)이 형성된 부분을 흡입부로 정의한다.
상기 그릴바디(322)는 다수개의 그릴홀(321)이 형성된 그릴(323)과, 상기 그릴(323)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그릴(323)을 둘러싸게 배치되는 그릴바디부(324)를 포함한다. 탑뷰 또는 바텀뷰로 볼때, 상기 흡입부는 전체적인 형상이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필터어셈블리(500)는 상기 흡입부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흡입부를 커버한다.
상기 흡입부의 각 모서리는 프론트패널(300)의 각 모서리를 향하게 배치되고,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코너커버(316)를 향하게 배치된다.
바텀뷰로 볼 때, 상기 그릴바디(322)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그릴바디부(324)의 외측 가장자리는 상기 토출구(102) 또는 프론트데코(350)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그릴바디부(324)의 외측 가장자리는 코너커버(316)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그릴 코너보더(326)와, 상기 토출구(102)를 형성하고, 상기 사이드커버(314)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그릴 사이드보더(325)를 포함한다.
상기 그릴 코너보더(326)는 흡입그릴(320)의 내측을 중심으로 하는 곡률로 형성되고, 그릴 사이드보더(325)는 상기 흡입그릴(320)의 외측을 중심으로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바디부(324)는 상기 그릴 코너보더(326) 및 2개의 그릴 사이드보더(325)에 의해 감싸지는 그릴코너부(327)를 더 포함한다. 상기 그릴코너부(327)는 그릴바디부(324)에서 코너커버(316)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그릴코너부(327)는 상기 그릴바디(322)의 각 모서리에 배치된다. 상기 그릴코너부(327)는 상기 프론트패널(300)의 각 모서리를 향해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그릴코너부(327)는 4개가 배치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4개의 그릴코너부(327)를 제 1 그릴코너부(327-1), 제 2 그릴코너부(327-2), 제 3 그릴코너부(327-3) 및 제 4 그릴코너부(327-4)라 정의한다.
상기 그릴 사이드보더(325)는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사이드커버(314) 및 흡입그릴(320) 사이에 토출구(102)가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사이드커버(314)의 사이드데코 이너보더(315) 및 그릴바디(322)의 그릴사이드보더(325) 사이에 1개의 토출구(102)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그릴(320)의 4방향에 배치된 사이드데코 이너보더(315) 및 그릴사이드보더(325) 사이에 각각의 토출구(102)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그릴 코너보더(326)의 길이와 코너데코 이너보더(317)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그리고 그릴 코너보더(326)의 길이와 코너데코 이너보더(317)의 길이는 같다. 즉, 상기 코너커버(316)의 폭과 상기 그릴코너부(327)의 폭이 같게 형성된다. 또한, 사이드커버(314)의 내측 폭과 그릴 사이드보더(325)의 폭이 같게 형성된다.
상기 그릴 사이드보더(325)를 보다 상세하게 구분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그릴 사이드보더(325)는 상기 토출구(102)의 안쪽 경계를 형성한다. 상기 사이드데코 이너보더(315) 및 코너데코 이너보더(317)는 상기 토출구(102)의 바깐쪽 경계를 형성한다.
상기 그릴 사이드보더(325)는 토출구(102)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직선으로 형성된 긴직선구간(325a)과, 상기 긴직선구간(325a)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흡입그릴(320)의 바깥쪽에 곡률중심이 형성되는 제 1 곡선구간(325b)과, 상기 긴직선구간(325a)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흡입그릴(320)의 바깥쪽에 곡률중심이 형성되는 제 2 곡선구간(325c)과, 상기 제 1 곡선구간(325b)과 연결되는 제 1 짧은직선구간(325d)과, 상기 제 2 곡선구간(325c)과 연결되는 제 2 짧은직선구간(325e)을 포함한다.
상기 그릴 사이드보더(325) 및 사이드데코 이너보더(315) 사이에 토출구(102)가 형성되고, 상기 각 토출구(102)에는 베인모듈(200)이 배치된다.
상기 베인모듈(200)의 베인(210)의 내측 가장자리(210a)는 그릴 사이드보더(325)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베인(210)의 외측 가장자리(210b)는 사이드데코 이너보더(315)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그릴 사이드보더(325) 및 사이드데코 이너보더(315) 사이에 토출구(102)가 형성되고, 상기 각 토출구(102)에는 베인모듈(200)이 배치된다.
상기 베인모듈(200)의 베인(210)의 내측 가장자리(210a)는 그릴 사이드보더(325)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베인(210)의 외측 가장자리(210b)는 사이드데코 이너보더(315)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필터결합부(331)는 필터어셈블리(500)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필터어셈블리(500)는 주기적으로 세척되어야하기 때문에, 필터어셈블리(500)는 필터결합부(331)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된다.
본 실시에에서 필터결합부(331)는 필터어셈블리(500)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구조이다. 필터결합부(331)는 그릴(323) 바깥쪽에 배치되고, 흡입구(101) 또는 흡입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필터결합부(331)는 그릴바디부(324)의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그릴바디부(324) 상측면과의 사이에 상기 필터어셈블리(500)가 수납될 수 있는 간격을 형성시킨다.
<필터어셈블리의 구성>
필터어셈블리(500)는 흡입그릴(320)의 상측에 배치된다. 필터어셈블리(500)는 흡입구(101)를 통해 흡입된 공기에서 이물질을 여과하고, 살균할 수 있다.
필터어셈블리(500)는 그릴(323) 상측에 배치되고, 흡입부 전체를 커버한다.
필터어셈블리(500)는 흡입그릴(320)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고, 흡입그릴(320)이 분리될 때, 함께 분리된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어셈블리(500)는 상기 흡입그릴(320) 상측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500)는 상측개구면(502) 및 하측개구면(501)이 형성된 필터케이스(510)와, 상기 필터케이스(510) 내부에 배치되고, 하측개구면(501)으로 노출된 프리필터(520)와, 상기 필터케이스(510) 내부에 배치되고, 상측개구면(502)으로 노출되는 메인필터(530)와, 상기 필터케이스(510)에 배치되고, 인가된 전원에 의해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자외선램프(550)와, 상기 필터케이스(510)에 배치되고, 상기 자외선램프(5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540)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케이스(510)는 상기 흡입구(101) 전체를 커버할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필터케이스(510)는 상기 그릴홀(321) 전체를 커버할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측개구면(501)이 상기 그릴홀(321)들의 면적과 같거나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케이스(510)는 하측개구면(501)이 형성된 로어케이스(512)와, 상측개구면(502)이 형성된 어퍼케이스(514)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540)는 상기 어퍼케이스(514)에 배치된다.
상기 로어케이스(512) 및 어퍼케이스(514) 사이에 프리필터(520) 및 메인필터(5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어케이스(512) 및 어퍼케이스(514)는 분리가능한 구조로 조립된다.
상기 프리필터(520) 또는 메인필터(530)의 세척 또는 교체가 필요할 경우, 필터어셈블리(500)를 흡입그릴(320)에서 분리할 수 있다.
탑뷰로 볼 때, 상기 필터케이스(510)는 전체적인 형상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필터케이스(510)의 형상은 원형 또는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필터케이스(510)의 외측 가장자리는 상기 흡입그릴(320)의 상측면에 배치된 가이드블럭(800)들의 안쪽에 배치된다.
상기 필터케이스(510)의 외측면이 상기 가이드블럭(800)에 밀착되어 지지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블럭(800)과 분리가능하게 끼움결합 또는 조립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블럭(800)들은 자기력고정부(328)들 보다 안쪽(313a)에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블럭(800)들은 각 코너프레임(313) 안쪽(313a)에 삽입되어 상기 흡입그릴(320)의 수평방향 유격을 최소화시킨다.
상기 가이드블럭(800)들이 상기 코너프레임(313)들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케이스의 상하 방향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측단면으로 볼 때, 필터케이스(510)의 외측에, 가이드블럭(800)이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블럭(800)의 외측에 코너프레임(313)이 배치된다.
상기 필터케이스(510)가 상기 가이드블럭(800) 및 코너프레임(313)을 통해 지지되기 때문에, 실내송풍팬(140)의 작동 시 필터케이스(510)의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필터케이스(510)의 상측면 중 대부분에 상기 상측개구면(502)이 형성되고, 하측면 중 대부분에 상기 하측개구면(501)이 형성된다.
상기 하측개구면(501) 가장자리에 하측테두리(513)가 형성되고, 상기 상측개구면(502) 가장자리에 상측테두리(511)가 형성된다.
상기 상측테두리(511)에 상기 커넥터(540)가 배치된다. 상기 커넥터(540)는 상기 상측테두리(511)에서 상측으로 더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540)는 탄성지지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벨마우스(142)에 배치된 전극(560)과 접촉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극(560)은 제 1 전극(561) 및 제 2 전극(562)을 포함하는 복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커넥터(540)도 제 1 커넥터전극(541) 및 제 2 커넥터전극(542)을 포함하는 복수개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커넥터전극(541) 및 제 2 커넥터전극(542)의 구조는 동일하다.
상기 커넥터(540)는, 상기 상측테두리(51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게 배치되는 전극바디(543)와, 상기 전극바디(543)를 하측에서 탄성지지하는 전극탄성부재(544)를 포함한다.
상기 전극탄성부재(544)의 하단이 상기 필터케이스(510)에 지지되고, 상단이 상기 전극바디(543)을 지지한다.
상기 전극바디(543)가 전극탄성부재(544)에 의해 탄성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흡입그릴(320)이 상기 프론트바디(310)에 조립되는 과정에서 상기 벨마우스(142)에 배치된 전극(560)과 효과적으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흡입그릴(320)의 조립과정에서 상기 프론트바디(310)에 대해 약간 이격되더라도 상기 전극탄성부재(544)에 의해 상기 전극바디(543)가 전극(560)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극탄성부재(544)는 코일스프링이 사용되고, 상기 코일스프링(544)의 중심에 삽입되는 탄성고정부(545)가 상기 필터케이스(510)의 내부에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극바디(543)는 상기 테두리(511)의 상측면을 관통하여 전극(560)과 접촉되는 전극바디부(543a)와, 상기 전극바디부(543a)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케이스(510)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전극걸림부(543b)를 포함한다.
상기 전극걸림부(543b)가 상기 테두리(511)의 하측면과 상호 걸림을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전극탄성부재(544)의 탄성력이 제공되더라도 상기 필터케이스(510)에서 분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테두리(511)에는 상기 전극바디부(543a)가 관통되는 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전극바디부(543a)는 상기 테두리(511)의 상측면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홀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 커넥터전극(541) 및 제 2 커넥터전극(542)가 상기 제 1 전극(561) 및 제 2 전극(562)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자외선램프(550)에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프리필터(520)는 공기 중에서 입자가 큰 이물질을 여과한다.
상기 프리필터(520)는 메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필터(530)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프리필터(520)는 하측테두리(513)에 거치되는 프리필터프레임(522)과, 상기 프리필터프레임(522)의 내측에 배치되는 메쉬망(524)를 포함한다.
상기 프리필터프레임(522)은 하측테두리(513) 상측면에 거치되는 거치부(525)와, 상기 거치부(525)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측개구면(501)에 삽입되는 삽입부(526)를 포함한다.
상기 거치부(525) 및 삽입부(526)는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 거치부(525) 및 삽입부(526)는 측단면으로 볼 때, "ㄱ"자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거치부(525)의 상측에 메인필터(530)가 배치되고, 상기 메인필터(530)에 의해 상기 거치부(525)가 하측테두리(513)로 가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프리필터(520)의 상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로어케이스(512) 및 어퍼케이스(514)의 조립 시, 상기 메인필터(530)가 상기 프리필터프레임(522)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프리필터(52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526)는 상기 하측테두리(513)의 내측단(513a)에 지지되고, 이를 통해 상기 프리필터(520)의 수평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메인필터(530)는 상기 프리필터(520) 보다 공극이 더 작은 재질로 혀엉된다. 상기 메인필터(530)는 상기 프리필터(520)에서 여과된 공기를 다시 여과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필터(530)는 헤파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메인필터(530)가 부직포 등으로 형성된 필터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메인필터(530)는 수평방향으로 골(531) 및 산(532)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필터(530)의 골(531) 및 산(532)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자외선램프(550)는 상기 메인필터(530)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좌우 방향으로 자외선을 방출한다.
상기 자외선램프(550)는 자외선을 발생시키고, 상기 자외선을 통해 상기 메인필터(530)의 곰팡이, 균, 박테리아 등을 살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자외선램프(550)는 좌측에 배치된 제 1 램프모듈(551)과, 우측에 배치된 제 2 램프모듈(552)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램프모듈(551) 및 제 2 램프모듈(552)은 상기 필터케이스(5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램프모듈(551)은 필터케이스(510)의 내부 좌측면(510a)에 설치되고, 우측을 향해 자외선을 방출한다. 상기 제 2 램프모듈(552)은 필터케이스(510)의 내부 우측면에 설치되고, 좌측을 향해 자외선을 방출한다.
상기 제 1 램프모듈(551) 및 제 2 램프모듈(552)의 구성은 동일하다.
상기 제 1 램프모듈(551)은 후방 좌측에 배치된 제 1 커넥터(540a)를 통해 전원을 제공받고, 상기 제 2 램프모듈(552)은 전방 우측에 배치된 제 2 커넥터(540b)를 통해 전원을 제공받는다.
상기 제 1 램프모듈(551) 및 제 2 램프모듈(552)은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즉, 제 1 램프모듈(551) 및 제 2 램프모듈(552) 중 어느 하나에 고장이 발생되더라도 다른 하나가 작동되어 자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램프모듈(551)(552)은, 띠 형태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553)과, 상기 인쇄회로기판(55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개 램프소자(554)를 포함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553)은 상기 필터케이스(510)의 좌측면(510a) 또는 우측면(미도시)에 배치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553)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553)은 제 1 커넥터(540a) 또는 제 2 커넥터(540b)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분이 필요할 경우, 제 1 램프모듈(511)에 배치된 인쇄회로기판을 제 1 인쇄회로기판이라 하고, 제 2 램프모듈(512)에 배치된 인쇄회로기판을 제 2 인쇄회로기판이라 한다.
또한, 구분이 필요할 경우, 제 1 램프모듈(511)에 배치된 램프소자(554)를 제 1 램프소자(556)라 하고, 제 2 램프모듈(512)에 배치된 램프소자를 제 2 램프소자(557)라 한다.
상기 제 1 램프소자(556)는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 1 램프소자(556)들은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 2 램프소자(557)는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 2 램프소자(557)들은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램프소자(556)들 및 제 2 램프소자(557)들은 지그재그 형태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즉, 상기 제 1 램프소자(556)들 및 제 2 램프소자(557)들은 서로 마주하지 않게 배치된다.
이와 같은 제 1 램프소자(556)들 및 제 2 램프소자(557)들의 배치를 통해 상기 메인필터(530)에 자외선이 닿지 않는 음영구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베인모듈 및 흡입그릴의 배치>
상기 흡입그릴(320)이 분리되면, 4개의 베인모듈(200) 및 실내송풍팬(140)이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그릴(320)이 프론트바디(310)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베인모듈(200)의 베인(210)만 노출된다.
상기 흡입그릴(320)은, 다수개의 그릴홀(321)에 의해 상기 흡입구(101)와 연통되고,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그릴바디(322)와, 상기 그릴바디(322)의 각 모서리에서 대각선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1 그릴코너부(327-1), 제 2 그릴코너부(327-2), 제 3 그릴코너부(327-3), 제 4 그릴코너부(327-4)를 포함한다.
상기 베인모듈(200)은, 상기 흡입그릴(320)의 각 가장자리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그릴코너부(327-1) 및 제 2 그릴코너부(327-2) 사이에 배치된 제 1 베인모듈(201)과, 상기 흡입그릴(320)의 각 가장자리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그릴코너부(327-2) 및 제 3 그릴코너부(327-3) 사이에 배치된 제 2 베인모듈(202)과, 상기 흡입그릴(320)의 각 가장자리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3 그릴코너부(327-3) 및 제 4 그릴코너부(327-4) 사이에 배치된 제 3 베인모듈(203) 및 상기 흡입그릴(320)의 각 가장자리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4 그릴코너부(327-4) 및 제 1 그릴코너부(327-1) 사이에 배치된 제 4 베인모듈(204)을 포함한다.
12시 방향에 배치된 베인모듈(200)을 제 1 베인모듈(201)로 정의하고, 3시 방향에 배치된 베인모듈(200)을 제 2 베인모듈(202)로 정의하고, 6시 방향에 배치된 베인모듈(200)을 제 3 베인모듈(203)로 정의하고, 9시 방향에 배치된 베인모듈(200)을 제 4 베인모듈(204)로 정의한다.
상기 제 1 베인모듈(201), 제 2 베인모듈(202), 제 3 베인모듈(203) 및 제 4 베인모듈(204)은 프론트패널(300)의 중심(C)을 기준으로 90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베인모듈(201) 및 제 3 베인모듈(203)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베인모듈(202) 및 제 4 베인모듈(204)은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프론트바디(310)에는 4개의 사이드커버(314)가 배치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 1 베인모듈(201) 외측에 배치된 사이드커버(314)를 제 1 사이드커버(314-1)로 정의하고, 상기 제 2 베인모듈(202) 외측에 배치된 사이드커버(314)를 제 2 사이드커버(314-2)로 정의하고, 상기 제 3 베인모듈(203) 외측에 배치된 사이드커버(314)를 제 3 사이드커버(314-3)로 정의하고, 상기 제 4 베인모듈(204) 외측에 배치된 사이드커버(314)를 제 4 사이드커버(314-4)로 정의한다.
각 사이드커버(314)는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가장자리에 조립되고,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하측에 위치되고, 외부에 노출되고, 각 베인모듈(202) 외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 1 베인모듈(201) 및 제 2 베인모듈(202) 사이에 배치된 코너커버(316)를 제 1 코너커버(316-1)로 정의한다. 제 2 베인모듈(202) 및 제 3 베인모듈(203) 사이에 배치된 코너커버(316)를 제 2 코너커버(316-2)로 정의한다. 제 3 베인모듈(203) 및 제 4 베인모듈(204) 사이에 배치된 코너커버(316)를 제 3 코너커버(316-3)로 정의한다. 제 4 베인모듈(204) 및 제 1 베인모듈(201) 사이에 배치된 코너커버(316)를 제 4 코너커버(316-4)로 정의한다.
상기 제 1 코너커버(316-1)는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모서리에 조립되고,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사이드커버(314-1) 및 제 2 사이드커버(314-2) 사이에 위치되고, 외부에 노출된다.
상기 제 2 코너커버(316-2)는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모서리에 조립되고,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사이드커버(314-2) 및 제 3 사이드커버(314-3) 사이에 위치되고, 외부에 노출된다.
상기 제 3 코너커버(316-3)는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모서리에 조립되고,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3 사이드커버(314-1) 및 제 4 사이드커버(314-4) 사이에 위치되고, 외부에 노출된다.
상기 제 4 코너커버(316-4)는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모서리에 조립되고,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4 사이드커버(314-1) 및 제 1 사이드커버(314-1) 사이에 위치되고, 외부에 노출된다.
제 1 코너커버(316-1) 및 제 3 코너커버(316-3)는 프론트패널(300)의 중심(O)을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제 2 코너커버(316-2) 및 제 4 코너커버(316-4)는 프론트패널(300)의 중심(O)을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프론트패널(300)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대각선을 P1 및 P2로 정의한다. 상기 P1은 제 1 코너커버(316-1) 및 제 3 코너커버(316-3)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이고, 상기 P2는 제 2 코너커버(316-2) 및 제 4 코너커버(316-4)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이다.
상기 흡입패널(320)에는 모서리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1 그릴코너부(327-1), 제 2 그릴코너부(327-2), 제 3 그릴코너부(327-3) 및 제 4 그릴코너부(327-4)가 배치된다.
상기 그릴코너부들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베인모듈(201)은 상기 흡입그릴(320)의 각 가장자리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그릴코너부(327-1) 및 제 2 그릴코너부(327-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베인모듈(202)은 상기 흡입그릴의 각 가장자리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그릴코너부(327-2) 및 제 3 그릴코너부(327-3)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 3 베인모듈(203)은 상기 흡입그릴의 각 가장자리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3 그릴코너부(327-3) 및 제 4 그릴코너부(327-4)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 4 베인모듈(204)은 및 상기 흡입그릴의 각 가장자리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4 그릴코너부(327-4) 및 제 1 그릴코너부(327-1)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그릴코너부(327-1)는 상기 제 1 코너커버(316-1)를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코너커버(316-1)의 외측면과 연속된 면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그릴코너부(327-1)의 그릴 코너보더(326)는 상기 제 1 코너커버(316-1)의 코너데코 이너보더(317)와 대향되고, 코너데코 이너보더 갭(317a)을 형성한다.
나머지 그릴코너부(327)의 그릴 코너보더(326)와 상기 코너커버(316)의 코너데코 이너보더(317)도 각각 대향되고, 각각 코너데코 이너보더 갭(317a)을 형성한다.
상기 흡입그릴(320)은 각 코너커버(316)들과 마주하게 배치되는 4개의 그릴코너부(327)가 형성된다. 상기 각 그릴코너부(327)는 상기 각 코너커버(316)와 대향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코너커버(316-1)와 대향되게 배치된 그릴코너부(327)를 제 1 그릴코너부(327-1)로 정의하고, 상기 제 2 코너커버(316-2)와 대향되게 배치된 그릴코너부(327)를 제 1 그릴코너부(327-2)로 정의하고, 상기 제 3 코너커버(316-3)와 대향되게 배치된 그릴코너부(327)를 제 3 그릴코너부(327-3)로 정의하고, 상기 제 4 코너커버(316-4)와 대향되게 배치된 그릴코너부(327)를 제 4 그릴코너부(327-4)로 정의한다.
상기 그릴코너부(327)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그릴 사이드보더(325)는 코너커버(316)의 안쪽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코너데코 이너보더(317)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곡선의 형태도 서로 대응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그릴코너부(327)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그릴 코너보더(326)는 베인(210)의 내측 가장자리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곡선의 형태도 서로 대응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입그릴(320)이 상기 프론트바디(31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영구자석(318) 및 자기력고정부(328)가 배치된다.
상기 프론트바디(310)에 영구자석(318) 또는 자기력고정부(328) 중 어느 하나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각 그릴코너부(327) 상측면에 상기 자기력고정부(328) 또는 영구자석(318) 중 다른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318) 및 자기력고정부(328)는 각 그릴코너부(327)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각 그릴코너부(327)에 의해 숨겨진다. 상기 영구자석(318) 및 자기력고정부(328)가 흡입그릴(320)의 각 모서리 바깥쪽에 위치되기 때문에 흡입그릴(320)과 프론트바디(310)의 이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320) 및 프론트바디(310)가 이격될 경우, 상기 흡입유로(103) 내부 압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영구자석(318)은 상기 프론트바디(310)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영구자석은 코너프레임(313)에 배치된다.
상기 자기력고정부(328)는 상기 영구자석(318)와 상호작용되어 인력을 형성하는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자기력고정부(328)는 상기 흡입그릴(320)의 상측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기력고정부(328)는 그릴코너부(327) 상측면에 배치된다.
탑뷰 또는 바텀뷰로 볼 때, 상기 영구자석(318)은 상기 가상의 대각선 P1 및 P2 선상에 배치된다. 상기 영구자석(318)은 코너커버(316) 내측에 위치된다.
상기 영구자석(318) 및 자기력고정부(328)는 각 그릴코너부(327)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각 그릴코너부(327)에 의해 숨겨진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반사부재의 배치가 도시된 필터어셈블리의 일부 정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어셈블리(500)는 램프소자(554)에서 발생된 자외선보다 넓은 영역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자외선반사부재(570)가 더 배치된다.
상기 자외선반사부재(570)는 상기 필터케이스(5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자외선반사부재(570)는 자외선을 반사할 수 있는 재질이 코팅될 수 있다.
자외선반사부재(570)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어케이스(512)에 배치된 로어 자외선반사부재(572)와, 어퍼케이스(514)에 배치된 어퍼 자외선반사부재(574)를 포함한다.
상기 로어 자외선반사부재(572)는 램프소자(554)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측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어퍼 자외선반사부재(574)는 램프소자(554)의 상측에 배치되고,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로어 자외선반사부재(572)는 로어케이스(512)의 하측 모서리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 자외선반사부재(574)는 어퍼케이스(514)의 상측 모서리에 배치된다.
상기 로어 자외선반사부재(572)는 상측개구면(502)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어퍼 자외선반사부재(574)는 하측개구면(501)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미도시되었으나, 상기 로어케이스(512)의 내측면 또는 어퍼케이스(514)의 내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자외선을 반사할 수 있는 재질이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반사부재(570)가 상기 램프소자(544) 주변에 배치될 경우, 램프소자(544)의 출력을 낮추더라도 더 멀리까지 자외선이 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자외선반사부재(570)는 램프소자(544)가 직접적으로 비출수 없는 영역에도 자외선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램프소자(544)의 개수를 축소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반사부재의 배치가 도시된 필터어셈블리의 일부 정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어셈블리(500)는 램프소자(554)에서 발생된 자외선보다 넓은 영역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자외선반사부재(580)가 프리필터(520)에 더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자외선반사부재(580)는 프리필터프레임(522)의 거치부(525)에 배치된다.
상기 거치부(525)의 상측면에 상기 자외선반사부재(580)가 배치되고, 상측으로 자외선을 반사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반사부재(580)는 상기 거치부(525)의 상측면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측에 배치된 상기 램프소자(554)에서 발생된 자외선이 상기 자외선반사부재(580)를 통해 다시 상측으로 반사될 수 있고, 상기 메인필터(530)의 하측면에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쉬망(524)에 자외선을 반사할 수 있는 재질이 코팅될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케이스
101 : 흡입구
102 : 토출구 103 : 흡입유로
104 : 토출유로 110 : 케이스하우징
140 : 실내송풍팬 200 : 베인모듈
300 : 프론트패널 310 : 프론트바디
320 : 흡입그릴 321 : 그릴홀
322 : 그릴바디 323 : 그릴
324 : 그릴바디부 330 : 프리필터
500 : 필터어셈블리 510 : 필터케이스
520 : 프리필터 540 : 커넥터
550 : 자외선램프 551 : 제 1 램프모듈
552 : 제 2 램프모듈 553 : 인쇄회로기판
554 : 램프소자

Claims (1)

  1. 실내의 천장에 배치되고, 하측을 향해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분리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흡입구를 커버하는 흡입그릴;
    상기 흡입그릴 상측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흡입공기를 여과하며, 자외선을 발생시킬 수 있는 필터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상측개구면(502) 및 하측개구면(501)이 형성된 필터케이스(510);
    상기 필터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메인필터(530);
    상기 필터케이스의 내부 좌측면(510a)에 배치되고, 인가된 전원에 의해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제 1 램프모듈(551);
    상기 필터케이스의 내부 우측면에 배치되고, 인가된 전원에 의해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제 2 램프모듈(552);
    상기 필터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램프모듈에 전원을 제공하는 제 1 커넥터(540a); 및
    상기 필터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램프모듈에 전원을 제공하는 제 2 커넥터(540b);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케이스(510)는,
    상기 하측개구면(501) 가장자리에 형성된 하측테두리(513); 및 상기 상측개구면(502) 가장자리에 형성된 상측테두리(511);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램프모듈(551) 및 제 2 램프모듈(552)은 상기 상측테두리 및 하측테두리 사이에 배치되고, 탑뷰로 볼 때, 상기 제 1 램프모듈(551) 및 제 2 램프모듈(552)이 상기 상측테두리(511)에 가려져 은닉되고,
    상기 제 1 커넥터(540a)는 상기 상측테두리의 후방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상측테두리(511)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 1 램프모듈(551)에 전원을 제공하고,
    상기 제 2 커넥터(540b)는 상기 상측테두리의 전방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상측테두리(511)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 2 램프모듈(552)에 전원을 제공하며,
    상기 제 1 램프모듈(551) 및 제 2 램프모듈(552)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램프모듈(551)은 상기 제 2 램프모듈(552)을 향해 자외선을 방출하고, 상기 제 2 램프모듈(552)은 상기 제 1 램프모듈(551)을 향해 자외선을 방출하는, 천장에 설치되는 실내기.
KR1020220178336A 2021-06-30 2022-12-19 천장에 설치되는 실내기 KR102654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8336A KR102654814B1 (ko) 2021-06-30 2022-12-19 천장에 설치되는 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655A KR102480369B1 (ko) 2021-06-30 2021-06-30 자외선램프가 설치된 천장형 실내기
KR1020220178336A KR102654814B1 (ko) 2021-06-30 2022-12-19 천장에 설치되는 실내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655A Division KR102480369B1 (ko) 2021-06-30 2021-06-30 자외선램프가 설치된 천장형 실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4388A KR20230004388A (ko) 2023-01-06
KR102654814B1 true KR102654814B1 (ko) 2024-04-16

Family

ID=8454782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655A KR102480369B1 (ko) 2021-06-30 2021-06-30 자외선램프가 설치된 천장형 실내기
KR1020220178336A KR102654814B1 (ko) 2021-06-30 2022-12-19 천장에 설치되는 실내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655A KR102480369B1 (ko) 2021-06-30 2021-06-30 자외선램프가 설치된 천장형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80369B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0455B2 (ja) * 1997-03-31 2001-11-1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清浄装置
KR100679838B1 (ko) 2005-10-05 2007-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070089002A (ko) 2006-02-27 2007-08-3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공기조화기의 자외선 램프 가시화 장치
KR101352527B1 (ko) * 2012-06-20 2014-01-17 기민전자주식회사 엘이디 조명장치가 장착된 천정형 에어컨
KR101569187B1 (ko) 2015-01-30 2015-11-27 전해룡 살균과 항균 및 흡착 성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KR102043661B1 (ko) 2018-03-13 2019-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210026523A (ko) 2019-08-30 2021-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Uv led 조사모듈을 가지는 팬하우징이 있는 공기조화기
KR102211993B1 (ko) 2020-05-04 2021-02-08 한국공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헤파필터 장착용 살균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또는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0369B1 (ko) 2022-12-26
KR20230004388A (ko) 202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8058B1 (ko) 전열교환기 및 이를 이용한 환기시스템
KR102080512B1 (ko)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KR10120357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852800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2584609B1 (ko) 공기조화기
KR102654814B1 (ko) 천장에 설치되는 실내기
KR102613507B1 (ko) 공기조화기
KR20100061114A (ko) 공기조화기
KR100819632B1 (ko) 공기조화기용 케이스 구조
WO2012140861A1 (ja) 熱交換形換気装置
KR20070073163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80044650A (ko) 공기조화기
KR100628059B1 (ko) 전열교환기 및 이를 이용한 환기시스템
KR102203437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688939B1 (ko) 환기장치의 실내기
KR20210073016A (ko) 공기관리기의 필터장치
KR20070078254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200102855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2548326B1 (ko) 전열교환기
KR20210157135A (ko)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KR102505742B1 (ko) 전열교환기
KR102541475B1 (ko) 전열교환기
KR20130043431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의 조립방법
KR20190026293A (ko) 창문설치형 공기청정기
CN218672579U (zh) 空调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