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3437B1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3437B1
KR102203437B1 KR1020180141657A KR20180141657A KR102203437B1 KR 102203437 B1 KR102203437 B1 KR 102203437B1 KR 1020180141657 A KR1020180141657 A KR 1020180141657A KR 20180141657 A KR20180141657 A KR 20180141657A KR 102203437 B1 KR102203437 B1 KR 102203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reduction
heat exchanger
cabinet
indoor uni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1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7365A (ko
Inventor
조흠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1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437B1/ko
Publication of KR20200057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7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둘레면부를 포함하고, 저면이 개구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개구된 저면을 커버하고, 상기 캐비닛 내측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상기 캐비닛 내측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프론트 패널; 상기 캐비닛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 내부의 공기를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토출구로 유동시키는 송풍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팬모터; 상기 송풍팬의 외측 둘레에 배치되고, 하측 또는 상측에서 바라볼 때 일측 모서리가 제거된 4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송풍팬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의 내측면에서 상기 송풍팬 방향으로 돌출된 소음저감구조를 형성하는 소음저감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소음저감브라켓은 상기 열교환기의 일측이 제거된 모서리를 기준으로 상기 송풍팬의 회전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면에 적어도 3개가 배치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기{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유동하며 냉방, 난방, 청정 또는 가습하여 실내를 쾌적한 환경으로 변화시키는 장치이다. 공기조화기는 계절에 따른 기후 조건과 실내 환경 등에 따라 최적의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기 위한 냉방 기능이나 난방 기능을 주로 수행하는 것으로서, 스탠드형과 벽걸이형 그리고 액자형과 천장 카세트형 등과 같이 실내기와 실외기가 서로 분리되도록 설치되는 분리형과, 실내기와 실외기가 일체화된 창문형과 같은 일체형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군이 출시되고 있다.
천장 카세트형의 경우, 실내기가 실내공간의 천장면에 캐비닛이 장착되고, 캐비닛 내부에 공기유동을 형성하는 송풍팬이 배치되고, 송풍팬 주위로 열교환기가 배치된다.
천장 카세트형 실내기의 경우, 송풍팬의 둘레로 열교환기가 배치되어, 유동하는 공기와 열교환기의 마찰에 의한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4방향의 토출구를 가지는 천장 카세트형 실내기의 경우, 열교환기가 4개의 직선면의 형태로 서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수직한 면은 각 면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에 마찰로 작용할 수 있어, 소음발생이 증가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천장 카세트형 실내기의 경우, 열교환기 및 복수의 구성이 캐비닛에 매달리는 구조를 가지므로, 복수의 구성의 체결력에 문제가 있을 때, 소음이 증가될 수 있는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송풍팬으로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구성간의 체결력을 강화함과 동시에 내부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둘레면부를 포함하고, 저면이 개구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개구된 저면을 커버하고, 상기 캐비닛 내측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상기 캐비닛 내측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프론트 패널; 상기 캐비닛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 내부의 공기를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토출구로 유동시키는 송풍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팬모터; 상기 송풍팬의 외측 둘레에 배치되고, 하측 또는 상측에서 바라볼 때 일측 모서리가 제거된 4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송풍팬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의 내측면에서 상기 송풍팬 방향으로 돌출된 소음저감구조를 형성하는 소음저감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소음저감브라켓은, 상기 송풍팬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열교환기의 상기 3개의 모서리의 상류에 각각 배치되어, 모서리부분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량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소음저감구조는, 상기 열교환기의 내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소음저감구조가 상기 소음저감브라켓의 상단부에서 하측으로 형성되는 높이는 상기 소음저감브라켓 전체높이의 절반이상을 형성하여, 상측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량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소음저감구조는, 상기 소음저감브라켓의 상단부에서 동일한 면적으로 가지고, 하측으로 연장되는 면적유지부와, 상기 면적유지부에서 면적이 감소되돌록 하측으로 연장되는 면적감소부를 포함하여, 상측부분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량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소음저감브라켓은, 상기 열교환기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로 연장되는 지지바; 상기 지지바의 하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열교환기의 하단부를 고정하는 하부고정부; 상기 지지바의 측방향 양단부에서 상기 지지바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절곡부를 형성하는 강성보강구조; 및 상기 지지바의 상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송풍팬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상기 열교환기의 내측면에 수직하게 돌출형성되는 소음저감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열교환기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소음저감브라켓은, 상기 열교환기를 상기 캐비닛에 고정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체결되어, 소음저감하는 기능 이외에, 열교환기를 캐비닛에 안정적으로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소음저감브라켓은, 상기 열교환기 내측으로 소음저감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열교환기를 상기 캐비닛에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타입 소음저감브라켓과, 상기 열교환기에 고정되고, 상기 열교환기 내측으로 소음저감구조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타입소음저감브라켓을 포함하여, 최소한의 소음저감브라켓을 이용하여 캐비닛과의 체결력을 강화하고, 실내기 내부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열교환기 사이에 배치되거, 유동하는 공기의 단열을확보하는 단열부재를 더 포함하고, 제1타입 소음저감브라켓은, 상기 열교환기의 상측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면을 형성하는 상부고정부; 상기 상부고정부의 측방향 단부에서 ‘ㄱ’자 형태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단열부재를 고정하는 단열부재고정부를 포함하여, 단열부재와 열교환기를 캐비닛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는, 일측이 제거된 모서리를 기준으로 상기 송풍팬의 회전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직선부, 제2직선부, 제3직선부 및 제4직선부와, 상기 제1직선부, 상기 제2직선부, 제3직선부 및 제4직선부 각각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곡선부, 제2곡선부 및 제3곡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음저감브라켓은, 상기 제1직선부에 장착되는 제1소음저감브라켓, 상기 제2직선부에 장착되는 제2소음저감브라켓, 상기 제3직선부에 장착되는 제3소음저감브라켓을 포함한다.
상기 제1소음저감브라켓은, 상기 송풍팬의 중심에서 상기 제1직선부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이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곡선부 방향으로 이격배치되어, 곡선부와 인접한 부분에서 제1곡선부 및 제2직선부로 유동하는 공기의 량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제1곡선부가 형성하는 곡면의 반경은, 상기 제2곡선부 및 상기 제3곡선부가 형성하는 곡면의 반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소음저감브라켓은, 상기 제1직선부와 상기 제1곡선부가 만나는 지점에 배치되어, 곡선부와 인접한 부분에서 제1곡선부 및 제2직선부로 유동하는 공기의 량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제2소음저감브라켓은, 상기 송풍팬의 중심에서 상기 제2직선부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이 만나는 지점에 배치된다.
상기 제1곡선부가 형성하는 곡면의 반경은 상기 제2곡선부가 형성하는 곡면의 반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소음저감브라켓은, 상기 제1곡선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곡면의 반경이 크게 형성되는 제1곡선부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의 량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제3소음저감브라켓은, 상기 송풍팬의 중심으로 상기 제3직선부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이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3곡선부 방향으로 이격배치되어, 곡선부와 인접한 부분에서 제3곡선부 및 제4직선부로 유동하는 공기의 량을 줄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소음저감브라켓의 열교환기에 배치되는 구조에 의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소음저감브라켓의 구성에 의해 열교환기 및 단열부재가 캐비닛에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러한 체결은 구성 간의 체결부분에서의 마찰에 따른 소음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캐비닛, 열교환기, 소음저감브라켓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캐비닛, 열교환기, 소음저감브라켓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타입 소음저감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타입 소음저감브라켓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타입 소음저감브라켓이 베이스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타입 소음저감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타입 소음저감브라켓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전체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내부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는, 외형을 형성하고, 저면이 개구된 캐비닛(10), 캐비닛(10)의 개구된 저면을 커버하고, 하측으로 흡입구(23a) 및 토출구(24a, 24b, 24c, 24d)를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20), 캐비닛(10) 내부의 공기를 흡입구(23a)에서 토출구(24a, 24b, 24c, 24d)로 유동시키도록 캐비닛(10) 내부에 배치되는 송풍팬(30), 송풍팬(30)을 회전시키는 팬모터(32), 흡입구(23a)에서 토출구(24a, 24b, 24c, 24d)로 유동하는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36), 흡입구(23a)를 커버하는 흡입그릴(23), 흡입그릴(23)의 상측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어, 흡입구(23a)를 통해 캐비닛(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흡입필터(23b)를 포함한다.
캐비닛(10)은 내부에 송풍팬(30), 열교환기(36), 팬모터(32) 등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저면이 개구된다. 캐비닛(10)은 행거(미도시)를 통해 실내공간의 천장에 매달리게 설치될 수 있다.
캐비닛(10)은 상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50)와, 베이스 플레이트(50)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둘레면부(1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10)은 베이스 플레이트(50)의 외둘레에서 하측으로 둘레면부(14)가 수직하게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둘레면부(14)는 베이스 플레이트(50)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캐비닛(10)의 내측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50)는 팬모터(32)에 의한 진동이나 처짐을 개선하기 위한 복수의 패턴이 형성된다. 베이스 플레이트(50)는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복수의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50)는 대략 사각형의 판형상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50)의 외둘레는 서로 수직한 4개의 주된 변(52a, 52b, 52c, 52d)이 형성된다. 각각의 주된 변(52a, 52b, 52c, 52d)은 베이스 플레이트(50)의 중심에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각각의 주된 변(52a, 52b, 52c, 52d)은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되거나, 인접한 부분에서 또 다른 변이 형성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50)는 4각형 또는 8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도 5와 같이 9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50)는 서로 수직한 4개의 주된 변(52a, 52b, 52c, 52d)과, 인접한 주된 변(52a, 52b, 52c, 52d) 사이에서 경사면을 형성하며, 주된 변(52a, 52b, 52c, 52d)을 서로 연결하는 3개의 보조변(54a, 54b, 54c)및 인접한 주된 변(52a, 52b, 52c, 52d) 사이에 절곡된 2개의 변을 형성하는 절곡변(56)으로 구성될 수 있다.
4개의 주된 변(52a, 52b, 52c, 52d)의 길이는 각각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50)는 양단에 보조변(54a, 54b, 54c)이 위치하는 2개의 주된 변(52a, 52b, 52c, 52d)의 길이는 서로 같게 형성하고, 일단에만 보조변(54a, 54b, 54c)이 위치하는 2개의 주된 변(52a, 52b, 52c, 52d)의 길이는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주된 변(52a, 52b, 52c, 52d)은 절곡변(56)을 기준으로 송풍팬(30)에 의해 공기가 유동하는 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제1주된 변(52a), 제2주된 변(52b), 제3주된 변(52c) 및 제4주된 변(52d)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주된 변(52a)은 나머지 주된 변(52b, 52c, 52d)에 비해 길이가 짧게 형성되고, 제4주된 변(52d)은 제2주된 변(52b) 및 제3주된 변(52c)에 비해 길이가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변(54a, 54b, 54c)은 절곡변(56)을 기준으로 송풍팬에 의해 공기가 유동하는 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제1보조변(54a), 제2보조변(54b) 및 제3보조변(54c)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패널(20)은 캐비닛(10)의 개구된 저면을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프론트 패널(20)은 실내의 바닥을 향해 배치된다. 프론트 패널(20)에는 캐비닛(1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23a)와, 캐비닛(10) 내부의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빠져나가는 토출구(24a, 24b, 24c, 24d)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흡입구(23a)는 프론트 패널(20)의 중앙에 배치되고, 토출구(24a, 24b, 24c, 24d)는 흡입구(23a)의 둘레측에 흡입구(23a)로부터 이격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패널(20)에는 1개의 흡입구(23a)가 형성되고, 4개의 토출구(24a, 24b, 24c, 24d)가 형성된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써, 1개의 흡입구(23a)가 형성되고, 1개 또는 2개이상의 토출구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패널(20)은 캐비닛(10)에 결합되고, 토출구(24a, 24b, 24c, 24d)를 형성하는 프론트바디(22)와, 다수개의 그릴홀이 형성되고, 흡입구(23a)를 커버하는 흡입그릴(23)을 포함한다. 토출구(24a, 24b, 24c, 24d)는 흡입구(23a)의 가장자리를 따라 긴 슬릿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패널(20)의 흡입구(23a)에는 복수의 그릴홀이 형성된 흡입그릴(23)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흡입그릴(23)의 상측에는 흡입구(23a)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흡입필터(23b)가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30)은 캐비닛(10) 내측에 배치되어, 캐비닛(10) 내측의 공기유동을 형성한다. 송풍팬(30)은 흡입구(23a)의 상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송풍팬(30)은 중앙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원심송풍기를 사용할 수 있다.
팬모터(32)는 베이스 플레이트(50)에 고정되어, 하측으로 연결되는 송풍팬(30)을 회전시킨다. 팬모터(32)는 베이스 플레이트(50)의 중심에 형성되는 팬모터 고정부(6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는 흡입구(23a)에서 유입된 공기를 송풍팬(30)으로 안내하는 벨마우스(34)를 포함한다. 벨마우스(34)는 흡입그릴(23)과 송풍팬(30) 사이에 배치된다.
열교환기(36)는 송풍팬(30)의 둘레로 배치된다. 열교환기(36)는 흡입구(23a)에서 토출구(24a, 24b, 24c, 24d)로 유동하는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36)는 캐비닛(10) 내부를 내측과 외측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열교환기(36)의 내측에는 송풍팬(30)이 배치된다.
열교환기(36)의 외측에는 토출구(24a, 24b, 24c, 24d)로 공기가 유동하는 토출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기(36)는 상측 또는 하측에서 바라볼 때, 대략적으로 사각형의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36)는 상측 또는 하측에서 바라볼 때, 하나의 모서리가 제거되고, 3개의 모서리를 가진 4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36)의 3개의 모서리부분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할 때, 열교환기(36)의 3개의 모서리부분은 3개의 곡선부(40a, 40b, 40c)로 설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36)는 절곡변(56)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주된 변(52a, 52b, 52c, 52d)과 보조변(54a, 54b, 54c)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36)는 주된 변(52a, 52b, 52c, 52d)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직선형태로 연장되는 직선부(38a, 38b, 38c, 38d)와, 보조변(54a, 54b, 54c)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곡선형태로 연장되는 곡선부(40a, 40b, 40c)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직선부(38a, 38b, 38c, 38d)는 제1주된 변(52a)에 인접한 부분에 배치된 제1직선부(38a), 제2주된 변(52b)에 인접한 부분에 배치된 제2직선부(38b), 제3주된 변(52c)에 인접한 부분에 배치된 제3직선부(38c), 및 제4주된 변(52d)에 인접한 부분에 배치된 제4직선부(38d)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곡선부(40a, 40b, 40c)는 제1보조변(54a)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곡선부(40a), 제2보조변(54b)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곡선부(40b) 및 제3보조변(54c)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3곡선부(40c)를 포함한다.
제1직선부(38a)는 나머지 직선부(38b, 38c, 38d)에 비해 짧은 길이를 가진다. 제1곡선부(40a)는 제2곡선부(40b) 및 제3곡선부(40c)에 비해 큰 반경을 가지고, 길게 형성된다. 제3직선부(38c)는 나머지 직선부(38a, 38b, 38d)에 비해 긴 길이로 형성된다.
캐비닛(10) 내부에는 열교환기(36)에서 생성되는 응축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드레인팬(16)과, 드레인팬(16)에 모인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펌프(18)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팬(16)은 열교환기(36)에 거치될 수 있다. 드레인팬(16)은 실내열교환기(36)에서 흘러내린 응축수를 한쪽으로 모아 저장하기 위해 방향성을 갖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펌프(18)는 캐비닛(10)의 내측에 고정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는 베이스 플레이트(12)와 열교환기(36) 사이에 배치되어, 유동하는 공기의 단열을 확보하는 단열부재(4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열부재(42)는 EPS(Expanded Polystyren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소음저감브라켓>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캐비닛, 열교환기, 소음저감브라켓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타입 소음저감브라켓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타입 소음저감브라켓이 베이스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타입 소음저감브라켓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브라켓의 배치 및 구조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는 열교환기(36)에 장착되어, 송풍팬(30)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하는 소음저감브라켓(60, 62, 64)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브라켓(60, 62, 64)은 열교환기(36)를 캐비닛(10)에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브라켓(60, 62, 64)은 열교환기(36)의 직선부(38a, 38b, 38c, 38d)를 따라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브라켓(60, 62, 64)은 적어도 3개의 직선부(38a, 38b, 38c)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브라켓(60, 62, 64)은 열교환기(36)의 일측이 제거된 모서리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송풍팬의 회전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면(38a, 38b, 38c)에 적어도 3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브라켓(60, 62, 64)은, 송풍팬(30)의 회전방향으로, 열교환기(36)의 3개의 모서리(40a, 40b, 40c)의 상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브라켓(60, 62, 64)은 송풍팬(30)에 의한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하류에 곡선부(40a, 40b, 40c)이 배치되는 직선부(38a, 38b, 38c)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브라켓(60, 62, 64)은 절곡변(56)에서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배치되는 열교환기(36)의 제1직선부(38a), 제2직선부(38b) 및 제3직선부(38c)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브라켓(60, 62, 64)은 제1직선부(38a)에 배치되는 제1소음저감브라켓(60), 제2직선부에 배치되는 제2소음저감브라켓(62), 제3직선부(38c)에 배치되는 제3소음저감브라켓(64)을 포함한다.
제1소음저감브라켓(60)은 제1곡선부(40a)에 인접한 제1직선부(38a)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소음저감브라켓(60)은 제1직선부(38a)와 제1곡선부(40a)가 만나는 부분에서 배치될 수 있다.
제2소음저감브라켓(62)은 제2직선부(38b)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직선부(38b)의 중심부은 베이스 플레이트(12)의 중심에서 연장되는 가상의 선이 제2직선부(38b)와 수직하게 만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2소음저감브라켓(62)은 제2곡선부(40b)보다 제1곡선부(40a)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소음저감브라켓(64)은 제3곡선부(40c)에 인접한 제3직선부(38c)에 배치된다. 제3소음저감브라켓(64)은 베이스 플레이트(12)의 중심에서 연장되는 가상의 선이 제3직선부와 수직하게 만나는 제3직선부(38c)의 중심부에서 일측방향으로 치우쳐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브라켓(60, 62, 64)은 열교환기(36)로 유동하는 공기의 소음을 저감하고, 동시에 열교환기(36)를 캐비닛(10)에 체결하는 제1타입 소음저감브라켓(70) 또는 열교환기(36)를 베이스 플레이트(12)에 열교환기(36)로 유동하는 공기의 소음을 저감하는 제2타입 소음저감브라켓(80)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는 적어도 2개의 제1타입 소음저감브라켓(7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는 2개의 제1타입 소음저감브라켓(70)과, 1개의 제2타입 소음저감브라켓(8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제1타입 소음저감브라켓(70)을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타입 소음저감브라켓(70)은 상측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2)에 체결되는 제1상부고정부(72), 하부에서 열교환기(36)를 고정하는 제1하부고정부(79), 제1상부고정부(72)와 제1하부고정부(79)를 연결하는 제1지지바(74), 제1지지바(74)의 측방향 양단부에서 제1지지바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절곡부를 형성하는 제1강성보강구조(76) 및 제1지지바(74)의 상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강성보강구조(76)보다 연장형성되는 제1소음저감구조(78)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상부고정부(72)에는 별도의 체결부재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12)와 체결하도록 체결홀(72a)이 형성된다. 도 //를 참조하면, 제1타입 소음저감브라켓(70)이 배치되는 부분에서는 단열부재(42)가 배치되지 않는다. 즉, 제1상부고정부(72)의 양측으로 단열부재(42)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타입 소음저감브라켓(70)은 제1상부고정부(72)의 측방향 단부에서 절곡되어 단열부재(42)를 따라 절곡면을 형성하는 단열부재고정부(73)를 더 포함한다. 단열부재고정부(73)는 제1상부고정부(72)의 측방향 일단부에서 ‘ㄱ’자 형태로 돌출형성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2)의 하측에 배치되는 단열부재(42)를 베이스 플레이트(12)에 고정할 수 있다.
제1지지바(74)는 열교환기(36)를 따라 상하로 형성된다. 제1지지바(74)의 상측단부에는 제1상부고정부(72)가 형성되고, 하측단부에는 제1하부고정부(79)가 형성된다. 제1지지바(74)는 열교환기(36)의 제1하부고정부(79)가 받는 하중을 제1상부고정부(72)로 전달할 수 있다.
제1지지바(74)의 측방향 양단부에는 제1강성보강구조(76)가 형성된다. 제1강성보강구조(76)는 제1지지바(74)의 측방향 양단부에서 절곡형성되어 제1지지바(74)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제1강성보강구조(76)는 제1지지바(74)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소음저감구조(78)는 제1지지바(74)의 측방향 일단부에서 형성될 수 있다. 제1소음저감구조(78)는 제1지지바(74)의 상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소음저감구조(78)는 제1지지바(74)의 상단부에서 동일한 면적을 가지고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면적유지부(78a)와, 제1면적유지부(78a)에서 면적이 감소되도록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면적감소부(78b)를 포함한다.
제1면적유지부(78a)가 제1지지바(74)의 상단부에서부터 연장되는 높이(H3)는 제1지지바(74)의 전체높이(H1) 중 1/3 이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제1소음저감구조(78)가 제1지지바(74)의 하단부에서부터 연장되는 높이(H2)는 제1지지바(74)의 전체높이(H1) 중 절반이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제1하부고정부(79)는 열교환기(36)의 하측단부를 감싸는 형태를 가진다. 제1하부고정부(79)는 제1지지바(74)의 하측단부에서 ‘ㄱ’자형태로 돌출형성된다. 따라서, 제1지지바(74)의 하단부와 제1하부고정부(79)가 열교환기(36)의 하단부를 감싸는 구조가 된다. 제1하부고정부(79)는 열교환기(36)의 하부면과, 내측면 하부에 맞닿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하부고정부(79)는 열교환기(36)의 내측면에 맞닿는 단부에서, 열교환기(36)의 내측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꺾여지는 밴딩구조(79a)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제1타입 소음저감브라켓(70)이 열교환기(36)에서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타입 소음저감브라켓(70)은 전체구조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상부고정부(72), 제1지지바(74), 제1하부고정부(79)에서 높이차를 형성하며 강성을 보강하는 높이변형부(7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제2타입 소음저감브라켓(80)을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2타입 소음저감브라켓(80)은 상측에서 열교환기 상부면에 고정되는 제2상부고정부(82), 하부에서 열교환기(36)를 고정하는 제2하부고정부(89), 제2상부고정부(82)와 제2하부고정부(89)를 연결하는 제2지지바(84), 제2지지바(84)의 측방향 양단부에서 지지바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절곡부를 형성하는 제2강성보강구조(86) 및 제2지지바(84)의 상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강성보강구조(86)보다 연장형성되는 제2소음저감구조(88)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상부고정부(82)는 열교환기(36)의 상부면과 맞닿게 배치된다. 제2상부고정부(82)는 제2지지바(84)에서 열교환기(36) 방향으로 절곡된다.
제2지지바(84)는 열교환기(36)를 따라 상하로 형성된다. 제2지지바(84)의 상측단부에는 제2상부고정부(82)가 형성되고, 하측단부에는 제2하부고정부(89)가 형성된다.
제2지지바(84)의 측방향 제2양단부에는 제2강성보강구조(86)가 형성된다. 제2강성보강구조(86)는 제2지지바(84)의 측방향 양단부에서 절곡형성되어 제2지지바(84)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제2강성보강구조(86)는 제2지지바(84)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소음저감구조(88)는 제2지지바(84)의 측방향 일단부에서 형성될 수 있다. 제2소음저감구조(88)는 제2지지바(84)의 상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소음저감구조(88)는 제2지지바(84)의 상단부에서 동일한 면적을 가지고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면적유지부(88a)와, 제2면적유지부(88a)에서 면적이 감소되도록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면적감소부(88b)를 포함한다.
제2면적유지부(88a)는 제2지지바(84)의 상단부에서부터 연장되는 높이(H3’)는 제2지지바(84)의 전체높이(H1’) 중 1/3 이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제2소음저감구조(88)가 제2지지바(84)의 하단부에서부터 연장되는 높이(H2’)는 제2지지바(84)의 전체높이(H1’) 중 절반이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제2하부고정부(89)는 열교환기(36)의 하측단부를 감싸는 형태를 가진다. 제2지지바(84)의 하측단부()에서 ‘ㄱ’자형태로 돌출형성된다. 따라서, 제2지지바(84)의 하단부와 제2하부고정부(89)가 열교환기(36)의 하단부를 감싸는 구조가 된다. 제2하부고정부(89)는 열교환기(36)의 하부면과, 내측면 하부에 맞닿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타입 소음저감브라켓(80)은 제2상부고정부(82), 제2하부고정부(89) 및 제2지지바(84)를 통해 열교환기(36)와 4면에서 맞닿게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 캐비닛 12 : 베이스플레이트
20 : 프론트패널 30 : 송풍팬
32 : 팬모터 36 : 열교환기
60 : 제1소음저감브라켓 62 : 제2소음저감브라켓
64 : 제3소음저감브라켓 70 : 제1타입 소음저감브라켓
72 : 제2타입소음저감브라켓

Claims (13)

  1. 상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둘레면부를 포함하고, 저면이 개구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개구된 저면을 커버하고, 상기 캐비닛 내측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상기 캐비닛 내측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프론트 패널;
    상기 캐비닛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 내부의 공기를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토출구로 유동시키는 송풍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팬모터;
    상기 송풍팬의 외측 둘레에 배치되고, 하측 또는 상측에서 바라볼 때 하나의 모서리가 제거되고 3개의 모서리를 가진 4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송풍팬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의 내측면에서 상기 송풍팬 방향으로 돌출된 소음저감구조를 형성하는 소음저감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소음저감브라켓은, 상기 송풍팬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열교환기의 상기 3개의 모서리의 상류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기는,
    일측이 제거된 모서리를 기준으로 상기 송풍팬의 회전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직선부, 제2직선부, 제3직선부 및 제4직선부와,
    상기 제1직선부, 상기 제2직선부, 제3직선부 및 제4직선부 각각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곡선부, 제2곡선부 및 제3곡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음저감브라켓은,
    상기 제1직선부에 장착되는 제1소음저감브라켓, 상기 제2직선부에 장착되는 제2소음저감브라켓, 상기 제3직선부에 장착되는 제3소음저감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곡선부가 형성하는 곡면의 반경은, 상기 제2곡선부 및 상기 제3곡선부가 형성하는 곡면의 반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소음저감브라켓은, 상기 제1직선부와 상기 제1곡선부가 만나는 지점에 배치되고,
    상기 제2소음저감브라켓은, 상기 제1곡선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저감구조는, 상기 열교환기의 내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소음저감구조가 상기 소음저감브라켓의 상단부에서 하측으로 형성되는 높이는 상기 소음저감브라켓 전체높이의 절반이상을 형성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저감구조는,
    상기 소음저감브라켓의 상단부에서 동일한 면적으로 가지고, 하측으로 연장되는 면적유지부와, 상기 면적유지부에서 면적이 감소되도록 하측으로 연장되는 면적감소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저감브라켓은,
    상기 열교환기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로 연장되는 지지바;
    상기 지지바의 하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열교환기의 하단부를 고정하는 하부고정부;
    상기 지지바의 측방향 양단부에서 상기 지지바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절곡부를 형성하는 강성보강구조; 및
    상기 지지바의 상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송풍팬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상기 열교환기의 내측면에 수직하게 돌출형성되는 소음저감구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소음저감브라켓은, 상기 열교환기를 상기 캐비닛에 고정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저감브라켓은,
    상기 열교환기 내측으로 소음저감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열교환기를 상기 캐비닛에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타입 소음저감브라켓과, 상기 열교환기에 고정되고, 상기 열교환기 내측으로 소음저감구조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타입소음저감브라켓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열교환기 사이에 배치되거, 유동하는 공기의 단열을확보하는 단열부재를 더 포함하고,
    제1타입 소음저감브라켓은,
    상기 열교환기의 상측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면을 형성하는 상부고정부;
    상기 상부고정부의 측방향 단부에서 ‘ㄱ’자 형태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단열부재를 고정하는 단열부재고정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소음저감브라켓은,
    상기 송풍팬의 중심에서 상기 제1직선부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이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곡선부 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소음저감브라켓은,
    상기 송풍팬의 중심에서 상기 제2직선부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이 만나는 지점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소음저감브라켓은,
    상기 송풍팬의 중심으로 상기 제3직선부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이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3곡선부 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180141657A 2018-11-16 2018-11-16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203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657A KR102203437B1 (ko) 2018-11-16 2018-11-16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657A KR102203437B1 (ko) 2018-11-16 2018-11-16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7365A KR20200057365A (ko) 2020-05-26
KR102203437B1 true KR102203437B1 (ko) 2021-01-14

Family

ID=70915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1657A KR102203437B1 (ko) 2018-11-16 2018-11-16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4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8121A (ko) * 2022-01-10 2023-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7018A (ja) * 2006-07-25 2006-12-14 Sanyo Electric Co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及び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2017096587A (ja) * 2015-11-27 2017-06-01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6941B1 (ko) * 2015-08-13 2022-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7018A (ja) * 2006-07-25 2006-12-14 Sanyo Electric Co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及び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2017096587A (ja) * 2015-11-27 2017-06-01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7365A (ko) 202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330131B2 (en) Ceiling-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5823064B2 (ja) 空気調和機
KR10239694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02313318A (zh) 嵌入式空调装置
JP3651417B2 (ja) 空気調和機
JP5720600B2 (ja) 室内機
KR102203437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2018084232A (ja) 送風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用室外機
KR20090115278A (ko) 덕트형 공기조화기
JP2016080209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3669315B2 (ja) 空気調和機
JP5860752B2 (ja) 空気調和機
JP5849795B2 (ja) 空気調和機
JP2017172935A (ja) 空気調和機
JP2017053559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2165466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4821515B2 (ja) 空気調和機
JPH07158902A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及びその組立方法
KR20060117832A (ko) 공기조화기의 드레인팬
KR10220128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629027B1 (ko) 공기조화기
KR100393587B1 (ko)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지지구조
JP5583496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4382904B2 (ja) ビルトイン型空気調和装置
KR102205166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