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8121A - 천장형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천장형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8121A
KR20230108121A KR1020220003520A KR20220003520A KR20230108121A KR 20230108121 A KR20230108121 A KR 20230108121A KR 1020220003520 A KR1020220003520 A KR 1020220003520A KR 20220003520 A KR20220003520 A KR 20220003520A KR 20230108121 A KR20230108121 A KR 20230108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centrifugal fan
cover
hold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3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원
김병건
박형근
신문선
이원희
이장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3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8121A/ko
Priority to PCT/KR2022/017988 priority patent/WO2023132464A1/ko
Publication of KR20230108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81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2Centrifugal or rad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1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for guiding air around a cur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천장에 설치될 수 있는 캐비닛과 캐비닛 내에 배치되는 원심팬과 원심팬에서 토출된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원심팬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및 열교환기의 내측에 설치되는 홀더로서, 캐비닛과 결합되도록 형성된 캐비닛 결합부와, 캐비닛 결합부로부터 열교환기의 내측을 따라 연장되는 바디와, 바디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열교환기의 하측을 지지하는 서포트와 원심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기류를 가이드하도록 바디로부터 원심팬 측을 향해 돌출되는 에어 가이드와, 원심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기류를 에어 가이드로 가이드하도록 열교환기와 바디 사이를 커버하도록 바디로부터 열교환기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천장형 공기조화기{CEILING TYPE AIR CONDITIONER}
본 개시는 실내 천장에 설치될 수 있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 밸브, 증발기, 송풍팬 등을 구비하고,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의 온도, 습도, 기류 등을 조절하는 장치이다. 공기조화기는 실내에 배치되는 실내기와 실외에 배치되는 실외기를 갖는 분리형, 하나의 하우징 안에 실내기와 실외기가 모두 배치되는 일체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가 실내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기와 열교환시킨 후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냉매와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과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모터를 구비하여,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킨다.
일 측면은 천장에 설치되는 실내기로서 열교환기를 지지하면서 원심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기류를 가이드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다른 측면은 원심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기류를 가이드하여 열교환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는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일례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천장에 설치 가능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마련되는 원심팬과 상기 원심팬에서 토출된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상기 원심팬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를 지지하도록 상기 열교환기와 인접하여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원심팬 사이에서 설치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열교환기의 내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디와, 상기 원심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기류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바디로부터 상기 원심팬 측으로 돌출되는 에어 가이드와, 상기 바디와 상기 열교환기 사이를 커버하도록 상기 바디로부터 상기 열교환기를 향해 돌출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상기 원심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기류 방향으로 상류에 배치되는 제1 측과 상기 기류 방향으로 하류에 배치되는 제2 측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기류를 상기 에어 가이드 측으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바디의 제1 측에서 상기 열교환기의 내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열교환기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바디로부터 연장되는 서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가 상기 서포트의 연장 방향과 이루는 각도는 20도 내지 75도일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바디의 두께에 대하여 1/4 내지 2/3배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원심팬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냉매관과, 상기 냉매관을 따라 배열되는 열교환 핀들을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의 내측은 상기 열교환기 핀들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열교환기의 내측과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열교환기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바디로부터 연장되는 서포트와, 상기 서포트의 반대측의 상기 캐비닛과 결합되는 캐비닛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캐비닛 결합부로부터 상기 서포트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결합부와 인접한 측에서의 상기 커버의 돌출 길이는 상기 서포트와 인접한 측에서의 상기 커버의 돌출 길이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서포트와 인접한 상기 커버의 일단부와 상기 서포트 사이의 거리는 상기 서포트와 인접한 에어 가이드의 일단부와 상기 서포트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열교환기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바디로부터 연장되는 서포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원심팬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냉매관과, 상기 냉매관을 따라 배열되는 열교환 핀들을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는, 상기 열교환기의 하측 일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바디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열교환기의 외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바디와 나란하도록 절곡되는 걸림 플레이트 및 상기 열교환 핀들 중 인접한 열교환 핀들 사이에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걸림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열교환기 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 플레이트는 상기 열교환기를 상기 지지 플레이트 측으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바디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 가이드는 상기 바디의 제1 측으로부터 상기 기류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원심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도록 상기 바디로부터 돌출된 말단에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은 상기 홀더와 결합되도록 상기 홀더를 향해 돌출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홀과, 상기 가이드홀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체결부재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체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캐비닛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복수 개로 마련되고, 상기 열교환기는 배관부와 인접한 제1 사이드 및 제2 사이드와, 상기 제1 사이드 및 제2 사이드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3 사이드 및 제4 사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제3 사이드 및 상기 제4 사이드에 설치되며, 각각의 상기 제3 사이드 및 상기 제4 사이드의 양측에 마련되는 모서리부 중 상기 원심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기류 방향으로 하류 측에 배치되는 모서리부에 더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은 베이스와, 베이스의 외측에서부터 하측을 향해 연장되는 외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의 외측을 고정하도록 상기 베이스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는 외측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합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례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천장에 설치될 수 있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에 배치되는 원심팬과 상기 원심팬에서 토출된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상기 원심팬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의 내측에 설치되는 홀더로서, 상기 캐비닛과 결합되도록 형성된 캐비닛 결합부와, 상기 캐비닛 결합부로부터 상기 열교환기의 내측을 따라 연장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열교환기의 하측을 지지하는 서포트를 포함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원심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기류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바디로부터 상기 원심팬 측을 향해 돌출되는 에어 가이드와, 상기 원심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기류를 상기 에어 가이드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바디 사이를 커버하도록 상기 바디로부터 상기 열교환기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상기 원심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기류 방향으로 상류에 배치되는 제1 측과 상기 기류 방향으로 하류에 배치되는 제2 측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바디의 제1 측에서 상기 열교환기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열교환기의 내측과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커버가 상기 바디의 측 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15 도 내지 70 도이고, 상기 커버는 상기 바디의 두께에 대하여 1/4 내지 2/3 배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캐비닛 결합부로부터 상기 서포트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캐비닛 결합부와 인접한 측에서의 상기 커버의 돌출 길이는 상기 서포트와 인접한 측에서의 상기 커버의 돌출 길이보다 클 수 있다.
또 다른 일례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천장에 설치가능하며,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외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연장되는 외측벽을 포함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에 마련되어 하측에서 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캐비닛의 외측벽을향해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되는 원심팬과 상기 원심팬에서 토출된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상기 캐비닛의 외측벽과 상기 원심팬 사이에 마련되고, 배관부가 위치하는 제1 사이드 및 제2 사이드와, 상기 제1 사이드 및 상기 제2 사이드와 마주보는 제3 사이드 및 제4 사이드를 포함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의 하측에 마련되는 드레인 판 및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며 상기 열교환기를 지지하는 홀더로서, 상기 베이스와 체결되는 캐비닛 결합부와, 상기 캐비닛 결합부로부터 상기 열교환기의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바디와, 상기 열교환기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바디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드레인 판 사이로 연장되는 서포트를 포함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원심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기류 방향으로 상류에 배치되는 제1 측과 상기 기류 방향으로 하류에 배치되는 제2측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기 제3 사이드 및 상기 제4 사이드에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제3 사이드 및 상기 제4 사이드에서 상기 원심팬으로부터 토출되는 방향으로 하류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홀더는 상기 원심팬으로부터 토출된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바디의 제1측에서부터 상기 제2 측을 향해 돌출되는 에어 가이드와, 상기 바디와 상기 열교환기 사이를 커버하도록 상기 바디로부터 상기 열교환기 측으로 돌출되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열교환기를 지지함과 동시에 원심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기류를 제어할 수 있는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원심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여 열 교환 핀으로 삽입되는 기류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열교환기와 홀더 사이의 공간을 커버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례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일례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일례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분해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캐비닛과 열교환기가 결합된 모습을 상하 반전시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례에 따른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홀더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홀더의 서포트 측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홀더를 하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Ⅰ-Ⅰ'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홀더와 열교환기의 단면을 하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2는 원심팬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따른 홀더의 설치되는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원심팬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따른 홀더의 설치되는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커버의 유무에 따른 홀더에 따른 소음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다른 일례에 따른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또 다른 일례에 따른 원형 형상을 포함하는 열교환기에 설치되는 홀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상방" 및 "하방"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일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상세히 설명하며 다만, 천장에 설치되는 것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도 1를 참조하면, 천장형 공기조화기(1)는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1)의 적어도 일부분이 천장에 매립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1)는 실내기(1)일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1)는 대략 사각 형상의 캐비닛(10)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은 천장에 매립되어 하측으로 개방되게끔 배치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하측(-Z방향)에는 하측 패널(50)이 배치될 수 있다. 하측 패널(50)은 캐비닛(10)의 내측의 공기를 하측으로 토출시키도록 마련되는 개구(52)를 형성하는 하측 플레이트(51)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52)는 4개로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사이드에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이 X방향 또는 Y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개구(52)는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4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내기(1)는 하방(-Z방향)에 별도의 커버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는 천장에 설치되는 형태에 따라 사각 형상일 수 있고 원형 형상일 수 있다.
하측 패널(50)과 캐비닛(10)의 사이에는 드레인 플레이트(40)가 마련될 수 있다. 드레인 플레이트(40)의 중심부에는 캐비닛(10)의 내측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홀(44)을 형성하는 그릴(43)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릴(43)은 대략 원형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홀(44)에 인접하게 제어부(54)가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54)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실내기(1)를 on/off 시킬 수도 있도록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캐비닛(10)은 천장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베이스(10a)와, 베이스(10a)의 외측으로부터 하방(-Z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벽(10b)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의 내측에는 공기를 유동시키는 원심팬(20)이 배치될 수 있다. 원심팬(20)의 상측(Z방향)에는 원심팬(20)을 구동시키도록 마련되는 구동모터(21)가 배치될 수 있다.
원심팬(20)의 하측(-Z방향)에는 홀(44)을 형성하는 원형 형상의 그릴(43)이 배치될 수 있다. 홀(44)은 원심팬(20)의 중심축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는 원심팬(20)의 반경 방향 외측(X방향)에 배치되어 원심팬(20)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열교환시키도록 마련되는 열교환기(30)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30)는 드레인 트레이(41)의 상측(Z방향)에 놓여져서 열교환기(3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드레인 트레이(41)에 집수될 수 있다. 열교환기(30)는 대략 사각 형상을 포함할 수 있고, 원심팬(20)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30)의 원심팬(20) 측을 향하는 일측은 열교환기(30)의 내측(30a)일 수 있고, 캐비닛(10)의 외측벽(10b)을 바라보는 타측은 외측(30b)일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30)의 드레인 트레이(41)와 인접한 부분은 하측(30c)일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는 열교환기(30)의 내측(30a)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홀더(7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70)는 열교환기(30)와 원심팬(20)의 사이에 마련되어 캐비닛(10)의 베이스(10a)와 결합되어 하방(-Z방향)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홀더(70)는 드레인 트레이(41)와 열교환기(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원심팬(2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측(-Z방향)에 형성된 홀(44)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원심팬(20)의 반경 방향 외측(X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원심팬(20)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열교환기(30)에 의해 열교환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1, 도 1 참조)가 냉방 모드일때는 원심팬(20)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열교환기(30)에 의해 온도가 하강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가 난방 모드일때는 원심팬(20)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X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열교환기(30)와 열교환되어 온도가 상승될 수 있다.
열교환기(30)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는 열교환기(30)와 캐비닛(10)의 외측벽(10b) 사이의 공간을 유동하여 하방(-Z방향)에 배치된 개구(52)를 통해 캐비닛(10)의 하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별도의 흡입구를 포함하는 패널이 하측 패널(50)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캐비닛(10)은 베이스(10a)와, 외측벽(10b)으로 인해 형성된 개구(11)의 구성으로 하방이 개방되게끔 형성될 수 있다. 개구(11)를 통해 열교환기(30)와, 원심팬(20)과 구동모터(21) 그리고 홀더(70)가 캐비닛(10)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열교환기(30)는 대략 사각 형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 모서리부에는 배관부(60)가 형성될 수 있다. 배관부(60)를 통해 열교환기(30)의 냉매가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30)는 일 모서리부를 통해 외측벽(11)에 결합될 수 있다.
열교환기(30)는 홀더(7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홀더(70)는 열교환기(30)의 내측(30a) 및 하측(30c)을 지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홀더(70)의 일부는 열교환기(30)와 드레인 팬(41) 사이에 배치되어 열교환기(30)의 하측(30c)을 지지할 수 있다.
드레인 플레이트(40)는 드레인 트레이(41)와, 드레인 트레이(41)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대략 원형 형상의 결합구(42)를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 플레이트(40)는 대략 사각 형상을 포함하며, 캐비닛(1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구(42)를 통해 드레인 플레이트(40)는 그릴(43)과 결합될 수 있다. 결합구(42)의 외측에는 4개의 모서리부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통과구(45)가 배치될 수 있다.
드레인 플레이트(40)의 하측에는 하측 패널(50)이 결합될 수 있다. 하측 패널(50)은 대략 사각 형상일 수 있고, 각 모서리부에 통과구(45)와 연통되어 캐비닛(10) 내부의 공기가 토출하도록 마련되는 개구(52)가 배치될 수 있다. 하측 패널(50)의 내측부에는 결합구(42)의 하방에 배치되는 하측구(55)가 배치될 수 있어 하측구(55)와 연통되는 홀(44)을 통해 캐비닛(10)의 내측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도 4는 캐비닛(10)과, 열교환기(30) 그리고 홀더(70)가 결합된 모습을 상하 반전된 모습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열교환기(30)는 사각 형상의 캐비닛(10)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외측벽(10b)와 열교환기(30)는 이격되도록 마련되고, 캐비닛(10)의 베이스(10a)와 외측벽(10b)의 내측 부분은 단열재로 마련될 수 있다.
단열재는 발포되어 형성될 수 있고, 보다 상세하게는 EPS 단열재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캐비닛(10)의 내측은 외부와 단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0a)에서 열교환기(30)의 외측(30b, 도 3 참조)과 인접하도록 외측벽(10b)이 연장되는 방향과 대응되도록 하방(-Z방향)으로 돌출되는 외측돌기(13)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돌기(13)는 열교환기(30)의 각 사이드의 중심부를 지지하도록 위치할 수 있고,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4개로 형성될 수 있다.
홀더(70)는 상측(Z방향)에서 베이스(10a)와 결합되어 하측(-Z방향)에서 열교환기(30)의 하측(30c)을 지지할 수 있다. 즉, 홀더(70)는 드레인 트레이(41)가 열교환기(30)로부터 해체되더라도 열교환기(30)의 하측(30c)을 지지하여 열교환기(30)가 캐비닛(10)으로부터 해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홀더(70)는 바디(80)와, 바디(80)의 일측에 마련되는 서포트(100)와, 바디(80)의 타측에 마련되는 캐비닛 결합부(9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80)는 상하 방향(Z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열교환기(30)의 원심팬(20, 도 2 참조)측을 향하는 내측(30a)을 지지할 수 있다. 홀더(7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디(80)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마련되는 내측 리브(81)가 복수 개로 형성되며 서로 상하 방향(Z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캐비닛 결합부(90)는 캐비닛(10)과 결합되기 위한 구성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캐비닛(10)의 베이스(10a)와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 결합부(90)는 바디(80)의 상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캐비닛 결합부(90)는 X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홀(92)과, 가이드홀(92)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별도의 체결부재(S, 도 11 참조)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체결홀(91)을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100)는 바디(80)의 하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고, 'L'자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100)와 캐비닛 결합부(90)는 바디(80)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이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서포트(100)는 바디(80)로부터 절곡되는 지지 플레이트(110)와, 지지 플레이트(110)으로부터 절곡되는 걸림 플레이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10)는 바디(80)의 하단으로부터 드레인 트레이(41)과 열교환기(30) 사이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10)는 열교환기(30)의 하측(30c)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걸림 플레이트(120)는 열교환기(30)의 외측(30b, 도 3 참조)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걸림 플레이트(120)는 바디(80)로부터 이격될 수 있고, 그 이격된 공간으로 열교환기(3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홀더(70)는 상하 방향(Z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디(80)로부터 돌출되는 에어 가이드(130)와, 커버(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가이드(130)는 바디(80)의 일측으로부터 원심팬(20)측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고, 커버(140)는 바디(80)의 일측으로부터 열교환기(30) 측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바디(80)의 일측이라 함은 원심팬(20)으로부터 토출되는 기류의 방향을 기준으로 상류 측인 제1 측(82)일 수 있다. 제2 측(83)이라 함은 원심팬(20)으로부터 토출되는 기류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류 측일 수 있다.
즉, 에어 가이드(130)와 커버(140)는 원심팬(20)으로부터 토출되는 기류를 기준으로 상류 측인 바디(80)의 제1 측(82)에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에어 가이드(130)는 바디(80)의 제1 측(82)에서부터 제2 측(83)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에어 가이드(130)가 곡면을 이루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커버(140)는 바디(80)의 제1 측(82)으로부터 열교환기(30)의 내측(30a)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에어 가이드(130)와 커버(140)는 모두 상하방향(Z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원심팬(20)으로부터 토출되는 기류와 대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에어 가이드(130)는 바디(80)의 제1 측(82)으로부터 전방(-X방향)을 향해 돌출될 수 있고, 에어 가이드(130)의 말단(132)에는 가이드홈(131)이 형성하도록 디바이더(133)가 형성할 수 있다. 디바이더(133)는 에어 가이드(130)의 바디의 제 1 측(82)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에 대응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바이더(133)는 복수 개로 마련되어 상하 방향(Z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고, 인접하는 디바이더(133) 사이에는 복수의 가이드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원심팬(20)으로부터 토출되는 기류가 에어 가이드 (130)와 만나게 되어, 디바이더(133)로 인해 분산되어 각각의 가이드홈(131)을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에어 가이드(130) 측으로 유동하는 기류는 디바이더(133)에 의하여 홀더(70)를 우회할 수 있다. 즉, 에어 가이드(130)로 인해 우회하는 토출 기류는 열교환 핀들(31)과 나란하게 유입되어 난류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열교환기(30)를 통과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다.
에어 가이드(130)는 하단(134)와 상단(135) 사이에 상하 방향(Z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하단(134)과 인접한 에어 가이드(130) 측과 상단(135)과 인접한 에어 가이드(130) 측은 서로 곡률이 상이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에어 가이드(130)의 상단(135)은 하단(134)보다 원심팬(20)으로부터 거리가 가까울 수 있어 더 강한 토출되는 기류를 가이드하도록 하단(134)의 곡률보다 상단(135)의 곡률이 더 클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140)는 에어 가이드(130)가 바디(80)로부터 연장되는 제1 측(82)에 형성될 수 있고, 바디(80)와 열교환기(30) 사이의 공간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기(30)는 사각 형상을 포함할 수 있는데, 사각 형상으로 절곡된 부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본래의 형상보다 외측을 향해 볼록하게 벤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홀더(70)와 열교환기(30) 사이의 틈새가 벌어질 수 있는데, 커버(140)는 그 틈새를 통하여 공기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커버(140)는 홀더(70)와 열교환기(30) 사이를 향하는 공기를 에어 가이드(130) 측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커버(140)는 지지 플레이트(110)의 연장되는 방향(X방향)에 대하여 각도(θ1)가 20도 내지 75도 사이일 수 있다. 커버(140)와 지지 플레이트(110)의 연장되는 방향 사이의 각도(θ1)가 20도보다 작게 되면 커버(140)가 열교환기(30)와 접촉하더라도 지지 플레이트(110) 측으로 지나치게 벤딩될 수 있다. 또한 커버(140)와 지지 플레이트(110)의 연장되는 방향 사이의 각도(θ1)가 75도 보다 크게 되면 커버(140)가 열교환기(30)와 접촉하더라도 열교환기(30)와 커버(140) 사이가 이격될 수 있다.
커버(140)는 열교환 핀들(31)에 대하여 각도(θ1)만큼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홀더(70)가 열교환기(30)와 결합되면서 커버(140)는 변형될 수 있고, 이로써 열교환기(30)와 바디(80) 사이의 공간을 커버할 수 있다.
즉 커버(140)가 바디(80)로부터 경사지도록 돌출됨에 따라 열교환기(30)와 커버(140)에서 공기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140)는 바디(80)의 측 방향(Y방향)에 대하여 15도 내지 70도의 각도(θ2)로 바디(80)의 제1 측(82)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바디의 측 방향(Y방향)이라 함은 열교환기의 내측(30a)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커버(140)는 바디(80)의 제1 측(82)으로부터 열교환기(30) 측을 향해 연장되어 원심팬(20)으로부터 토출되는 기류를 안내할 수 있다. 커버(140)는 캐비닛 결합부(90)로부터 서포트(100)를 향해 하방(-Z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커버(140)의 상단(142)은 캐비닛 결합부(90)와 인접할 수 있고, 하단(141)은 서포트(100)와 인접할 수 있다. 커버(140)의 상단(142)에서의 돌출 길이(L2)은 하단(141)의 돌출 길이(L1)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커버(140)의 하단(141)은 바디(80)로부터 절개될 수 있다.
홀더(70)의 상측(Z방향)은 열교환기(30)와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캐비닛(10)과 결합하는 구조이므로, 홀더(70)의 상측부에서는 홀더(70)가 열교환기(3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반면에 홀더(70)의 하측(-Z방향)에는 열교환기(30)를 고정하도록 서포트(100)가 열교환기(30)의 하측을 둘러싸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홀더(70)가 열교환기(30)와 이격된 거리가 상측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커버(140)는 서포트(100)와 인접한 하단(141)에서의 폭(L1)보다 캐비닛 결합부(90)와 인접한 상단(142)에서의 폭(L2)이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보다 효율적으로 열교환기(30)와 홀더(70) 사이에 공간을 커버할 수 있고, 원심팬(20)으로부터 토출되는 기류를 에어 가이드(130) 쪽으로 효과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홀더(70)는 바디(80)의 제2 측(83)보다 제1 측(82) 부분이 상대적으로 약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보강하도록 하기 위하여 홀더(70)의 제1 측(82)에 외측 리브(150)가 형성될 수 있다. 외측 리브(150)는 바디(80)에 대응되도록 캐비닛 결합부(90)로부터 하방(-Z방향)으로 연장되어 서포트(100)의 절곡되는 방향(X방향)과 대응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에어 가이드(130)의 하단(134)과 바디(80)의 하단까지의 거리는 d2로 정의될 수 있고, 커버(140)의 하단(141)과 바디(80)의 하단까지의 거리는 d1으로 정의될 수 있다. 커버(140)의 하단(141)은 에어 가이드(130)의 하단(134)보다 하측(-Z방향)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즉, 커버(140)와 바디(80)의 하단까지의 최소 거리(d1)은 에어 가이드(130)과 바디(80)의 하단까지의 최소 거리(d2)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원심팬(20)으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운 커버(140)의 상단(142)과 인접한 측에서의 기류를 에어 가이드(130)쪽으로 향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커버(140)의 하단(141)과 인접한 측에서의 기류는 상대적으로 상단(142) 측에 비하여 약할 수 있으므로 에어 가이드(130)가 커버(140)의 하단(141)까지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보다 효율적으로 홀더(70)와 열교환기(30) 사이의 공간을 커버하면서 원심팬(20)으로부터 토출되는 기류를 가이드시킬 수 있다.
서포트(100)는 지지 플레이트(110)과, 걸림 플레이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 플레이트(120)의 길이는 지지 플레이트(110)의 길이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홀더(70)는 바디(80)의 하측(-Z방향) 일부와 서포트(100)의 내측에서부터 열교환기(30) 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고정돌기(160)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 플레이트(120)의 상단부(121)는 X방향을 향하도록 벤딩될 수 있다.
걸림 플레이트(120)의 상단부(121)의 바디(80) 측을 바라보는 내면(122)은 하측(-Z방향)으로 갈수록 바디(80)와 가까워지도록 경사지는 경사면(122)일 수 있다. 경사면(122)은 열교환기(30)를 지지 플레이트(110) 측으로 가이드하도록 바디(80)와 지지 플레이트(110)를 향해 하향 경사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열교환기(30)를 홀더(70)와 결합시킬 때 열교환기(30)를 걸림 플레이트(120)와 바디(80) 사이의 공간으로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열교환기(30)는 원심팬(20)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냉매관(32)과, 냉매관(32)을 따라 배열되는 열교환 핀들(31)을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 핀들(31)은 서로 이격되어 사이의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냉매관(32)과 열교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열교환기(30)의 내측(30a)과 외측(30b)은 열교환 핀들(31)에 의해 정의될 수 있고, 보다 상세하게는 열교환기(30)의 내측(30a)은 원심팬(20) 측일 수 있고, 외측(30b)은 캐비닛(10)의 외측벽(10b) 측일 수 있다. 열교환 핀들(31)은 촘촘히 배치될 수 있으나 일부는 변형될 수 있어 인접한 열교환 핀들(31)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거나 가까워질 수 있다.
서포트(100)는 바디(80)의 하단으로부터 열교환기(30)의 외측(30b)으로 연장되는 지지 플레이트(110)와, 지지 플레이트(110)의 외측단으로부터 상측(Z방향)으로 절곡되는 걸림 플레이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100)의 고정돌기(160)는 인접한 열교환 핀들(31) 사이의 거리를 넓히도록 열교환 핀들(31)을 변형시키면서 열교환 핀들(31) 사이에 삽입되어 열교환기(30)와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열교환기(30) 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고정돌기(160)는 인접한 열교환 핀들(31)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인접한 열교환 핀들(31) 사이에 삽입된 고정돌기(160)는 열교환 핀들(31)에 의해 가압되면서 홀더(70)가 열교환기(30)의 하측(30c)과 상대적으로 강하게 결합될 수 있다.
캐비닛(10)은 홀더(70) 측을 향해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1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2)는 베이스(10a)로부터 하방(-Z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홀더(70)의 캐비닛 결합부(90)는 중심부에 배치되는 체결부재(S)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체결홀(91, 도 8 참조)과, 체결홀(91)에 인접하게 열교환기(30)측을 향해 연장되는 가이드홀(9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가이드홀(92)은 X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캐비닛 결합부(90)를 캐비닛(10)에 결합시킬 때에는 사용자는 가이드돌기(12)를 가이드홀(92)에 삽입하고, 체결홀(91)과 캐비닛(10)에 체결부재(S)를 삽입시키면서 캐비닛 결합부(90)를 캐비닛(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가이드돌기(12)를 가이드홀(92)에 먼저 삽입시킴으로써, 캐비닛 결합부(90)는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캐비닛(10)에 가고정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가이드돌기(12)가 가이드홀(92)에 삽입되면 캐비닛 결합부(90)는 회전하기 어렵게 마련되어 체결부재(S)를 회전시키면서 체결홀(91)에 삽입시킬 때 자주 발생하는 캐비닛 결합부(9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140)는 바디(80)의 두께(t1)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커버(140)의 두께(t2)는 바디(80)의 두께(t1)에 대하여 1/4 내지 2/3 배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범위의 두께를 가진 커버(140)라면 열교환기(30)와 접촉하여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범위보다 작게 마련된다면 커버(140)가 변형되면서 파손이 발생할만큼 두께가 얇을 수 있다. 또한 커버(140)의 두께가 지나치게 크게 마련되면 열교환기(30)와 접촉되더라도 변형되지 않아 열교환 핀들(31) 또는 냉매관(32)를 파손시킬 위험이 있다.
한편, 홀더(70)는 합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30)를 지지하는 홀더(70)는 금속을 포함하는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30)를 지지하는 부재와 공기를 가이드하는 부재가 별도로 구비되는 경우보다 하나의 부재인 홀더(70)로 인해 부품의 개수가 줄어들어 생산비용과 및 설치시간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커버(140)의 특징으로 인해 커버(140)가 열교환기(30)과 접촉하여 변형될 수 있어 열교환기(30)와 홀더(70) 사이의 공간을 커버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홀더(70)가 복수 개로 마련되어 설치되는 위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열교환기(30)는 대략 사각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교환기(30)의 일 모서리부에는 배관부(60)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30)의 일 모서리부에는 조립부(61)가 배치되어 열교환기(30)의 일 모서리부가 캐비닛(10)과 고정될 수 있다.
열교환기(30)는 배관부(60)와 인접한 제1 사이드(L1) 및 제2 사이드(L2)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30)는 각각 제1 사이드(L1) 및 제2 사이드(L2)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3 사이드(L3) 및 제4 사이드(L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사이드(L1)와 제4 사이드(L4)는 도면에서처럼 배관부(60)와 인접하지 않는 모서리부가 벤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2와 같이 원심팬(20)이 반시계 방향으로 기류를 토출시키는 경우에 홀더(70)는 제1 사이드(L1), 제4 사이드(L4) 및 제3 사이드(L3)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사이드(L1)에 배치되는 홀더(70)는 양 모서리부 중 제2 사이드(L2)과 인접한 모서리부가 아닌 제4 사이드(L4)와 인접한 모서리부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4 사이드(L4)에 배치되는 홀더(70)는 양 모서리부 중 제3 사이드(L3)와 상대적으로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고, 제3 사이드(L3)에 배치되는 홀더(70)는 제2 사이드(L2)에 인접한 모서리부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원심팬(20)으로부터 토출되는 기류가 상류측에서 보다 하류측에서 열교환기(30)를 향해 유입되는 기류가 열교환 핀들(31)과 더 교차될 수 있어 소음이 크게 발생할 수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경우에 각각의 홀더(70)와 조립부(61)를 연결한 영역 안에 열교환기(30)의 무게 중심이 배치되도록 홀더(70)를 설치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열교환기(30)를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홀더(70)에 의해 원심팬(20)으로부터 토출되는 기류가 가이드되어 원심팬(20)을 둘러싸는 냉매관(32, 도 11 참조)을 따라 배열되는 열교환 핀들(31)과 나란하게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홀더(70)의 적절한 배치로 인해 열교환기(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열교환 핀들(31)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유입될 수 있는 공기의 방향을 바꾸면서 열교환기(30)에서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홀더(70)는 제2 사이드(L2)에 추가적으로 배치되어 양 모서리부 중 배관부(60) 및 조립부(61)에 인접한 모서리부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3과 같이 원심팬(20)이 시계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킬 때 복수의 홀더(70)는 제2 사이드(L2), 제3 사이드(L3) 및 제4 사이드(L4)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사이드(L2), 제3 사이드(L3) 및 제4 사이드(L4)에 배치되는 홀더(70)는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사이드(L2)에서의 홀더(70)는 배관부(60)와 인접하지 않은 모서리부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고, 제3 사이드(L3)에서의 홀더(70)는 제4 사이드(L4)에 인접한 모서리부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4 사이드(L4)에 설치되는 홀더(70)는 제1 사이드(L1)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조립부(61)와 홀더(70)를 연결한 영역 내에 열교환기(30)의 무게중심이 배치되게끔 복수의 홀더(70)를 열교환기(30)에 설치시킬 수 있다.
도 14는 소비전력이 10 KW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기준으로 에어 가이드(130)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인 Y1과, 에어 가이드(130)와 커버(140)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인 Y2의 열교환 핀들(31, 도 11 참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에어 가이드(130)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Y1)에 비해서 에어 가이드(130)와 커버(140)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Y2)에서는 4000 Hz 주파수 영역 부근에서 최대 7 dBA까지의 소음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에어 가이드(130)와 커버(140)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1)는 커버(140)가 없는 천장형 공기조화기보다 열교환 핀들(31)과 원심팬(20)으로부터 토출되는 기류가 접촉하여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5 및 도 15를 참조하여 다른 일례에 따른 홀더(17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홀더(170)는 일례에 따른 홀더(70)와 달리 서프트(100)의 구조가 아닌 걸림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200)는 일례에 따른 홀더(70)의 서프트(100)가 연장되는 방향(X방향)으로 바디(180)의 외측면으로부터 열교환기(30, 도 11 참조) 측을 향해 돌출되는 걸림돌기(201)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돌기(201)는 복수 개로 상하 방향(Z방향)으로 연장되어 걸림돌기(201) 사이에 걸림홈(202)을 형성할 수 있다.
걸림홈(202)은 열교환기(30)의 복수의 냉매관(31)의 외측부에 대응될 수 있고, 복수의 냉매관(31)을 고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홀더(170)는 복수의 냉매관(31)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걸림홈(202)에 복수의 냉매관(31)이 삽입되며 복수의 걸림돌기(201) 각각이 복수의 냉매관(31)을 가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캐비닛(10, 도 2 참조)에 결합되면서 별도의 서포트(100) 구조 없이도 열교환기(30)에 결합될 수 있는 홀더(17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여 또 다른 일례에 따른 열교환기(330)와 홀더(70)의 배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일례에 따른 열교환기(30)와 달리 원형 형상을 포함하는 열교환기(330)에 대하여 일 측이 조립부(361) 및 배선부가 배치될 수 있다. 원심팬(320)이 도면에서와 마찬가지로 반시계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킬 때 홀더(70)는 열교환기(330)의 무게중심이 홀더(70)와 조립부(361)를 연결한 영역 내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로써 홀더(70)는 열교환기(3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원형 형상의 열교환기(330)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다.
다만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70)는 2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열교환기(330)의 소음을 줄이는데 효율적인 위치와 열교환기(330)의 무게중심이 홀더(70)와 조립부(361)의 내측에 배치되면 족하다. 또한 원심팬(320)이 반대로 회전하여 공기를 시계 방향으로 토출시키는 경우에는 각각의 홀더(70)는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반대를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천장형 공기조화기
10: 캐비닛
20: 원심팬
30, 330: 열교환기
70, 170: 홀더
80, 180: 바디
90, 190: 캐비닛 결합부
100: 서포트
110: 지지 플레이트
120: 걸림 플레이트
130, 230: 에어 가이드
140: 커버

Claims (20)

  1. 천장에 설치 가능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마련되는 원심팬;
    상기 원심팬에서 토출된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상기 원심팬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를 지지하도록 상기 열교환기와 인접하여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원심팬 사이에서 설치되는 홀더; 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열교환기의 내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디와, 상기 원심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기류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바디로부터 상기 원심팬 측으로 돌출되는 에어 가이드와, 상기 바디와 상기 열교환기 사이를 커버하도록 상기 바디로부터 상기 열교환기를 향해 돌출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원심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기류 방향으로 상류에 배치되는 제1 측과 상기 기류 방향으로 하류에 배치되는 제2 측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기류를 상기 에어 가이드 측으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바디의 제1 측에서 상기 열교환기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열교환기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바디로부터 연장되는 서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가 상기 서포트의 연장 방향과 이루는 각도는 20도 내지 75도인 천장형 공기조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바디의 두께에 대하여 1/4 내지 2/3배의 두께를 가지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원심팬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냉매관과, 상기 냉매관을 따라 배열되는 열교환 핀들을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의 내측은 상기 열교환기 핀들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열교환기의 내측과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열교환기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바디로부터 연장되는 서포트와, 상기 서포트의 반대측의 상기 캐비닛과 결합되는 캐비닛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캐비닛 결합부로부터 상기 서포트를 향해 연장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결합부와 인접한 측에서의 상기 커버의 돌출 길이는 상기 서포트와 인접한 측에서의 상기 커버의 돌출 길이보다 큰 천장형 공기조화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와 인접한 상기 커버의 일단부와 상기 서포트 사이의 거리는 상기 서포트와 인접한 에어 가이드의 일단부와 상기 서포트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천장형 공기조화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열교환기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바디로부터 연장되는 서포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원심팬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냉매관과, 상기 냉매관을 따라 배열되는 열교환 핀들을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는,
    상기 열교환기의 하측 일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바디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열교환기의 외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바디와 나란하도록 절곡되는 걸림 플레이트; 및
    상기 열교환 핀들 중 인접한 열교환 핀들 사이에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걸림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열교환기 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돌기; 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플레이트는 상기 열교환기를 상기 지지 플레이트 측으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바디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가이드는 상기 바디의 제1 측으로부터 상기 기류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원심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도록 상기 바디로부터 돌출된 말단에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홀더와 결합되도록 상기 홀더를 향해 돌출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홀과, 상기 가이드홀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체결부재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체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캐비닛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복수 개로 마련되고,
    상기 열교환기는 배관부와 인접한 제1 사이드 및 제2 사이드와, 상기 제1 사이드 및 제2 사이드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3 사이드 및 제4 사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제3 사이드 및 상기 제4 사이드에 설치되며, 각각의 상기 제3 사이드 및 상기 제4 사이드의 양측에 마련되는 모서리부 중 상기 원심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기류 방향으로 하류 측에 배치되는 모서리부에 더 인접하게 배치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베이스와, 베이스의 외측에서부터 하측을 향해 연장되는 외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의 외측을 고정하도록 상기 베이스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는 외측돌기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합성 수지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6. 천장에 설치될 수 있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에 배치되는 원심팬;
    상기 원심팬에서 토출된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상기 원심팬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의 내측에 설치되는 홀더로서, 상기 캐비닛과 결합되도록 형성된 캐비닛 결합부와, 상기 캐비닛 결합부로부터 상기 열교환기의 내측을 따라 연장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열교환기의 하측을 지지하는 서포트를 포함하는 홀더; 를 포함하고,
    상기 원심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기류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바디로부터 상기 원심팬 측을 향해 돌출되는 에어 가이드와, 상기 원심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기류를 상기 에어 가이드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바디 사이를 커버하도록 상기 바디로부터 상기 열교환기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원심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기류 방향으로 상류에 배치되는 제1 측과 상기 기류 방향으로 하류에 배치되는 제2 측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바디의 제1 측에서 상기 열교환기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열교환기의 내측과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상기 바디의 측 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15 도 내지 70 도이고,
    상기 커버는 상기 바디의 두께에 대하여 1/4 내지 2/3 배의 두께를 가지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캐비닛 결합부로부터 상기 서포트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캐비닛 결합부와 인접한 측에서의 상기 커버의 돌출 길이는 상기 서포트와 인접한 측에서의 상기 커버의 돌출 길이보다 큰 천장형 공기조화기.
  20. 천장에 설치가능하며,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외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연장되는 외측벽을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에 마련되어 하측에서 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캐비닛의 외측벽을향해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되는 원심팬;
    상기 원심팬에서 토출된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상기 캐비닛의 외측벽과 상기 원심팬 사이에 마련되고, 배관부가 위치하는 제1 사이드 및 제2 사이드와, 상기 제1 사이드 및 상기 제2 사이드와 마주보는 제3 사이드 및 제4 사이드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의 하측에 마련되는 드레인 판; 및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며 상기 열교환기를 지지하는 홀더로서, 상기 베이스와 체결되는 캐비닛 결합부와, 상기 캐비닛 결합부로부터 상기 열교환기의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바디와, 상기 열교환기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바디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드레인 판 사이로 연장되는 서포트를 포함하는 홀더; 를 포함하고,
    상기 원심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기류 방향으로 상류에 배치되는 제1 측과 상기 기류 방향으로 하류에 배치되는 제2측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기 제3 사이드 및 상기 제4 사이드에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제3 사이드 및 상기 제4 사이드에서 상기 원심팬으로부터 토출되는 방향으로 하류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홀더는 상기 원심팬으로부터 토출된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바디의 제1측에서부터 상기 제2 측을 향해 돌출되는 에어 가이드와, 상기 바디와 상기 열교환기 사이를 커버하도록 상기 바디로부터 상기 열교환기 측으로 돌출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0220003520A 2022-01-10 2022-01-10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23010812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520A KR20230108121A (ko) 2022-01-10 2022-01-10 천장형 공기조화기
PCT/KR2022/017988 WO2023132464A1 (ko) 2022-01-10 2022-11-15 천장형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520A KR20230108121A (ko) 2022-01-10 2022-01-10 천장형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8121A true KR20230108121A (ko) 2023-07-18

Family

ID=87073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3520A KR20230108121A (ko) 2022-01-10 2022-01-10 천장형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08121A (ko)
WO (1) WO2023132464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6319A (ko) * 2001-06-19 2002-12-3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천정형 공기조화기
KR100782195B1 (ko) * 2006-08-10 2007-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102396941B1 (ko) * 2015-08-13 2022-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6578907B2 (ja) * 2015-11-27 2019-09-25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102203437B1 (ko) * 2018-11-16 2021-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32464A1 (ko) 2023-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24888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US10429089B2 (en)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US9746231B2 (en) Indoor unit of ceiling type air-conditioner
KR101298404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239694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US10816225B2 (en) Movable air conditioner
EP2180266A2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2480314B1 (ko) 드레인호스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US10935257B2 (en) Control box and window type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US7340911B2 (en) Monolithic air conditioner
KR20230108121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US10132554B2 (en) Air conditioner with cover
KR10232629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5860752B2 (ja) 空気調和機
KR20050019444A (ko) 공기조화기
KR102522048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74287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690885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291777B1 (ko) 분리형공기조화기의실내기
CN212274107U (zh) 天花板悬吊型空调装置室内机
KR20050057906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575305B1 (ko) 공기조화기의 드레인팬
KR20230118466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676965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659315B1 (ko) 공기조화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