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0314B1 - 드레인호스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드레인호스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0314B1
KR102480314B1 KR1020150089041A KR20150089041A KR102480314B1 KR 102480314 B1 KR102480314 B1 KR 102480314B1 KR 1020150089041 A KR1020150089041 A KR 1020150089041A KR 20150089041 A KR20150089041 A KR 20150089041A KR 102480314 B1 KR102480314 B1 KR 102480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hose
drain
connectio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9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0177A (ko
Inventor
양재혁
안재민
구승민
소병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9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0314B1/ko
Priority to EP16174655.7A priority patent/EP3109563B1/en
Priority to US15/191,483 priority patent/US10107519B2/en
Publication of KR20170000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177A/ko
Priority to US16/059,516 priority patent/US1111880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only by friction of the parts being joined
    • F16L37/0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only by friction of the parts being joined with an elastic outer part pressing against an inner part by reason of its elasti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2Centrifugal or rad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shape of the heat exchangers or of parts thereof, e.g. of their f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7Condensate pipe for drainage of condensate from the evapo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사출 성형이 가능한 드레인 호스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개시한다.
공기조화기는 실내기 본체와, 실내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와, 열교환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드레인 호스를 포함하고, 드레인 호스는 실내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며, 사출 성형된다.

Description

드레인호스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A DRAIN HOSE AND AIR CONDITIONE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드레인 호스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16896A(2006.02.23.)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와 응축기, 그리고 팽창밸브와 증발기 등이 냉매관으로 연결되어 폐회로를 이루는 냉동 사이클에서 그 내부를 순환하는 냉매가 기화 또는 액화됨으로써 이루어지는 흡열 및 발열 작용을 이용하여 주위를 냉방 또는 난방 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설치 장소에 따라 실내기가 바닥에 배치되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와, 실내기가 벽에 설치되는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와, 실내기가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가 천장에 매립되거나 또는 천장에 매달리게 마련된다.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천장에 설치되므로 실내 공기를 흡입 또는 토출하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각각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고, 본체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며 냉각 또는 가열되게 하는 열교환기와, 실내의 공기가 본체를 통과하며 순환되도록 마련되는 송풍장치 등은 본체 내부에 마련된다.
또한, 본체 내부에는 열교환기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받는 드레인 트레이가 설치되고, 드레인 트레이에 집수되는 응축수는 드레인 펌프에 의해 펌핑되어 드레인 호스를 통해 본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드레인 호스는 드레인 펌프에 연결 후, 마찰력을 증가시켜 인장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케이블 타이(Cable Tie), 클립 링(Clip Ring) 등 별도의 고정 부재를 사용하여 추가 조립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사출 성형이 가능한 드레인 호스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드레인 호스의 고정 구조를 개선하여 상대물과의 밀착성을 향상시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복합 재질을 적용하여 사출 성형함으로써, 원가절감 및 제조 생산 공정을 단축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기 본체; 상기 실내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드레인 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 호스는, 상기 실내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며, 사출 성형된다.
또한, 상기 드레인 호스는, 중공의 관부와, 상기 관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부와 상기 연결부는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또한, 상기 드레인 호스는, EPDM(고무)과 PP(플라스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내기 본체는 상기 드레인 호스가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상대물을 포함하고, 상기 상대물은, 상기 실내기 본체의 배수홀에 설치되도록 마련되는 연결부재와 응축수의 배수를 위해 상기 실내기 본체 내에 마련되는 드레인 펌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드레임 펌프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는 서로 수직한 방향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관부는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또한, 상기 제2연결부와 상기 관부는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상대물에 억지 끼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그 외측 단부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접촉증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의 내면은 상기 상대물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의 두께는 상기 관부의 두께 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관부는 수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드레인 호스는, 상기 실내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드레인 펌프와 상기 연결부재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제1드레인 호스와, 상기 실내기 본체 외부에서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어 응축수를 배수시키도록 마련되는 제2드레인 호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기 본체; 상기 실내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에서 발생한 응축수가 모여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드레인 트레이; 상기 드레인 트레이에 설치되는 드레인 펌프; 상기 드레인 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드레인 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 호스는, 중공으로 형성되는 관부와, 상기 관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드레인 펌프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부와 상기 연결부는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또한, 상기 관부는 수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드레인 호스는, EPDM(고무)와 PP(플라스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상대물에 억지 끼움으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의 내면은 상기 상대물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드레인 펌프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접촉증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의 내면은 상기 상대물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기 본체; 상기 실내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드레인 펌프; 상기 실내기 본체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드레인 펌프에 연결되어 응축수를 배수하도록 마련되는 제1드레인 호스; 상기 실내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제1드레인 호스와 연결되는 연결부재; 상기 실내기 본체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제1드레인 호스를 통해 전달되는 응축수를 상기 실내기 본체 외측으로 배수하도록 마련되는 제2드레인 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드레인 호스는 사출 성형된다.
또한, 상기 제1드레인 호스는, 중공으로 형성되는 관부와, 상기 관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부와 상기 연결부는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또한, 상기 관부는 수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드레인 호스는, EPDM(고무)와 PP(플라스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드레인 펌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억지 끼움으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의 내면은 상기 상대물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합 재질을 적용한 드레인 호스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치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드레인 호스의 고정 구조를 개선하여 상대물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누수를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출 성형에 따른 원가 절감 및 제조 생산 공정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 은 도 2 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펌프와 드레인 호스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펌프와 드레인 호스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호스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호스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 은 도 4 의 B-B’ 부분의 확대도,
도 9 는 도 4 의 C-C’ 부분의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대물에 고정하기 위한 모든 드레인 호스에 적용이 가능하다. 상대물은 물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 본 실시예에서 드레인 펌프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 드레인 호스는 응축수 또는 물을 배수 또는 공급하기 위한 모든 호스에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형 공기조화기(1)는 상부는 천장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하부는 천장의 적어도 일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천장형 공기조화기(1)는 천장에 매달리거나 매립되도록 상측에 마련되는 실내기 본체(20)와, 실내기 본체(20)의 하부에 결합되는 전면패널(10)을 포함한다.
실내기 본체(20)는 대략 일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실내기 본체(20) 내부에는 흡입된 실내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 시키도록 마련되는 열교환기(40)와,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송풍장치(30)가 마련될 수 있다.
송풍장치(30)는 실내기 본체(20)의 내부 중앙에 배치되며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31)와, 팬모터(31)에 의해 회전하며 흡입력 및 송풍력을 발생시켜 실내 공기가 실내기 본체(20)의 내부를 순환하게 하는 송풍팬(32)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32)의 외측에는 송풍팬(32)의 반경 방향 외측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송풍팬(32)에서 토출된 공기와 열교환하며 실내 공기를 냉각하는 열교환기(40)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열교환기(40)는 실내기 본체(2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대략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송풍팬(32)의 외측에 배치되며, 송풍팬(32)은 축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 방향 외측으로 배출하는 원심팬으로 구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실내기 본체(20)에는 천장형 공기조화기(1)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장치 등이 마련될 수도 있다.
실내기 본체(20)의 하부에는 전면패널(10)이 설치된다. 전면패널(10)은 실내기 본체(20)에 대응되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면패널(10)의 중심에는 실내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관통되는 흡입부(11)가 형성된다.
흡입부(11)에는 실내기 본체(20) 내부로 흡입되는 실내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격자형상으로 관통 형성되는 흡입그릴(11a)이 마련될 수 있다. 흡입그릴(11a)의 후방에는 흡입되는 실내 공기의 이물질 제거를 위한 필터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 흡입부(11)를 통해 유입되는 실내 공기가 송풍팬(32)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덕트(33)가 설치될 수 있다.
전면패널(10)의 외측 테두리에는 실내기 본체(20) 내부의 열교환기(40)를 통해 냉각된 공기가 다시 실내 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토출부(12)가 형성된다. 토출부(12)에는 토출되는 토출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블레이드(13)가 설치될 수 있다.
토출부(12)는 전면패널(10)의 외곽에 대응되도록 각각의 테두리에 형성될 수 있다. 토출부(12)는 4 개가 형성된다. 4 개의 토출부(12)는 공기를 실내의 사방으로 각각 토출하도록 배치된다.
한편, 실내기 본체(20)에는 실내 공기를 냉각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드레인 트레이(50)가 설치된다. 드레인 트레이(50)는 열교환기(40)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개방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드레인 트레이(50)는 열교환기(40)의 하측에 배치되어 열교환기(40)의 표면을 통해 하측으로 흐르는 응축수를 담아 모으도록 마련된다.
드레인 트레이(50)에 모인 응축수는 드레인 펌프(51)와 드레인 호스(100)를 통해 실내기 본체(20)의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 트레이(50)에 모인 응축수를 배수하도록 마련되는 드레인 펌프(51)는 실내기 본체(20)의 내부에 배치된다.
드레인 펌프(51)는 드레인 트레이(50)의 일측에 설치되며, 드레인 트레이(50)에 수용된 응축수를 드레인 트레이(50)의 흡입구(51a)를 통해 흡입하여 외부로 배수하도록 마련된다.
드레인 펌프(51)의 흡입구(51a)는 드레인 펌프(51)의 하단에 형성되며, 드레인 트레이(50)와 최대한 근접하게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드레인 펌프(51)로부터 강제 흡입된 응축수는 드레인 호스(100)를 통해 실내기 본체(20) 외부로 배수된다.
드레인 호스(100)는 실내기 본체(20) 내부에서 드레인 펌프(51)에 연결되는 제1드레인호스(110)와, 실내기 본체(20) 외부에서 제1드레인호스(110)에 연결되어 응축수를 실내기 본체(20) 외부로 배수하도록 마련되는 제2드레인호스(120)를 포함한다.
제1드레인호스(110)는 실내기 본체(20) 내부에서 상대물과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대물은 드레인 펌프와 연결부재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드레인호스는 응축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체크밸브에 연결될 수도 있다. 제1드레인호스의 내부에는 체크밸브가 설치될 수도 있다.
실내기 본체(20) 내부에 마련되는 제1드레인호스(110)는 드레인 펌프(51)와 연결부재(60)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연결부재(60)는 제1드레인호스(110)와 제2드레인호스(120)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된다. 연결부재(60)는 실내기 본체(20)에 설치되어 실내기 본체(20)의 내측과 외측 사이를 연통하게 하여, 응축수가 실내기 본체(2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실내기 본체(20)의 적어도 일 측면에는 연결부재(60)가 관통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홀(21)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치홀(21)은 제2드레인호스(120)의 직경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실내기 본체(20)에 형성되는 설치홀(21)은 연결부재(60)가 관통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연결부재(60)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드레인호스(110)는 실내기 본체(20)의 내측에서 드레인 펌프(51)와 연결부재(60)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된다.
드레인 펌프(51)는 제1드레인호스(110)와 연결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드레인호스 연결부(52)를 포함한다. 드레인호스 연결부(52)는 흡입구(51a)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드레인호스 연결부(52)는 소정 직경을 갖는 관 형상으로 내부에 드레인 펌프(51)의 흡입구(51a)를 통해 강제 펌핑된 응축수가 유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연결부재(60)는 중심에 마련되는 지지 브라켓(63)과, 지지 브라켓(63)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1연결관(61)와, 지지 브라켓(63)의 타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2연결관(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관(61)과 제2연결관(62), 그리고 지지 브라켓(63)은 서로 연통되게 형성된다.
연결부재(60)의 제1연결관(61)에는 제1드레인호스(110)가 연결된다.
연결부재(60)의 제2연결관(62)은 실내기 본체(20)의 설치홀(21)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따라서, 제2연결관(62)은 실내기 본체(2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된다. 제2연결관(62)에는 제2드레인호스(120)가 연결될 수 있다.
제2드레인호스(120)는 실내기 본체(20)의 외측에서 연결부재(60)의 제2연결관(62)과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제2드레인호스(120)는 그 내부로 응축수가 흐르도록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응축수를 외부로 배수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한편, 연결부재(60)의 지지 브라켓(63)은 실내기 본체(20)의 설치홀(21)의 주변 측면부에 지지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판 형상의 지지 브라켓(63)에 의해 연결부재(60)는 실내기 본체(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실내기 본체(20)에 설치되는 연결부재(60)를 통해 실내기 본체(20)의 내측에는 제1드레인호스(110)가 마련되고, 실내기 본체(20)의 외측에는 제2드레인호스(120)가 마련되게 된다.
도 6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드레인호스(110)는 중공의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드레인호스(110)는 중공의 관부(111)와, 관부(111)의 단부에 형성되는 연결부(112)를 포함한다. 제1드레인호스(110)는 사출 성형된다. 제1드레인호스(110)는 EPDM(고무)과 PP(플라스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제1드레인호스(110)는 EPDM(고무)과 PP(플라스틱)을 혼합한 복합 재질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제1드레인호스(110)의 관부(111)와 연결부(112)는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제1드레인호스(110)의 관부(111)는 수직으로 절곡되는 절곡부(113)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드레인호스(110)는 수직으로 절곡되어 대략 ‘ㄱ’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드레인호스(110)의 절곡부(113)는 수직(90도)으로 절곡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절곡부는 소정의 제1각도(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드레인호스(110)의 절곡부(113)를 중심으로 제1연결부(112a)와 제2연결부(112b)는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드레인호스(110)는 사출 성형을 통해 형성되므로, 복잡한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제1드레인호스(110)의 관부(111)의 제1직경(d1)은 연결부(112)의 제2직경(d2)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연결부(112)의 제2직경(d2)은 관부(111)의 제1직경(d1) 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연결부(112)를 통해 삽입되는 상대물이 관부(111)의 제1직경(d1)에 접촉하게 되어, 제1드레인호스(110)와 상대물 사이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드레인호스(110)의 연결부(112)는 그 내주면에 연결부내면(112’)을 포함하고, 관부(111)의 내주면에는 관부내면(111’)을 포함한다.
연결부(112)의 연결부내면(112’)은 제1연결부(112a)의 제1연결부내면(112a’)과 제2연결부(112b)의 제2연결부내면(112b’)을 포함할 수 있다.
관부(111)의 제1직경(d1)과 연결부(112)의 제2직경(d2) 사이에는 제1직경(d1)과 제2직경(d2) 차이에 의한 단턱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단턱부(115)는 연결부내면(112’)과 관부내면(111’)의 연결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상대물은 제1드레인호스(110)의 내부 단턱부(115)에 접촉되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드레인호스(110)와 결합되는 상대물과 보다 안정적인 결합을 할 수 있고, 그에 따른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드레인호스(110)의 관부(111)의 제1두께(t1)는 연결부(112)의 제2두께(t2)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관부(111)의 제1두께(t1)와 연결부(112)의 제2두께(t2)는 제1드레인호스(110)와 결합되는 상대물의 형상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제1드레인호스(110)의 연결부(112)는 상대물에 억지 끼움 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112)의 연결부내면(112’)은 상대물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연결부(112)의 단부에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접촉증가부(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촉증가부(114)는 연결부(112)의 일측 및 타측 끝에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부(112)의 제2두께(t2) 보다 두꺼운 제3두께(t3)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접촉증가부(114)는 연결부(112)의 양 단부 둘레에 일정한 두께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접촉증가부는 연결부의 단부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 내지 도 9 는 제1드레인호스와 드레인펌프 및 연결부재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드레인호스(110)는 드레인 펌프(51)의 제1연결부(112a)는 드레인호스 연결부(52)에 연결될 수 있다.
드레인 펌프(51)는 제1드레인호스(110)와 연결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드레인호스 연결부(52)를 포함한다. 드레인호스 연결부(52)는 드레인 펌프(51)의 일측으로 돌출연결되는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드레인호스 연결부(52)는 제1직경(d’1)을 갖는 제1관(52a)과, 제2직경(d’2)을 갖는 제3관(52c)과, 제1관(52a)과 제2관(52b) 사이를 연결하는 제2관(5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직경(d’1)은 제2직경(d’2)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2관(52b)은 제1관(52a)과 제3관(52c) 사이를 연결하며, 그 직경은 제1직경(d1)에서 제2직경(d2)으로 점진적으로 그 크기가 증가되는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제1드레인호스(110)는 사출 성형으로 드레인호스 연결부(52)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1연결부(112a)를 성형한다. 드레인호스 연결부(52)에 제1드레인호스(110)의 제1연결부(112a)가 삽입되어 제1연결부내면(112a’)이 드레인호스 연결부(52)의 제2관(52b)과 제3관(52c)과 밀착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1연결부(112a)의 접촉증가부(114)는 제2관(52b)의 경사면과 밀착하여 제1드레인호스(110)와 드레인호스 연결부(52) 사이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드레인호스 연결부(52)의 단부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5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53)는 제1드레인호스(110)의 단턱부(115)에 접촉되어 연결부내면(112’) 및 관부내면(111’) 그리고 단턱부(115) 중 어느 일부의 형상을 변형하여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드레인호스(110)의 제2연결부(112b)는 연결부재(60)에 연결된다.
연결부재(60)는 지지 브라켓(63)을 중심으로 일측의 제1연결관(61)과, 타측의 제2연결관(62)을 포함한다. 제1연결관(61)과 제2연결관(62), 그리고 지지 브라켓(63)은 서로 연통되게 형성된다.
제1연결관(61)의 외주면에는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함몰 형성되는 결합홈(61a)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60)의 제1연결관(61)에는 제1드레인호스(110)의 제2연결부(112b)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제1드레인호스(110)의 제2연결부(112b)는 제1연결관(61)에 억지끼움된다.
이때, 제1드레인호스(110)의 제2연결부(112b)의 제2연결부내면(112b’)은 제1연결관(61)의 결합홈(61a)에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돌기가 형성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드레인호스(110)의 제2연결부(112b)와 연결부재(60)의 제1연결관(61) 사이가 완전 밀착될 수 있어, 마찰력과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1드레인호스(110)와 드레인 펌프(51) 및 연결부재(60)를 포함하는 상대물들의 결합력의 향상은 제1드레인호스(110)의 누수를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공기조화기 10 : 전면패널
20 : 실내기 본체 30 : 송풍장치
40 : 열교환기 50 : 드레인 트레이
51 : 드레인 펌프 52 : 드레인호스 연결부
60 : 연결부재 61 : 제1연결관
62 : 제2연결관 63 : 지지 브라켓
100 : 드레인 호스 110 : 제1드레인호스
120 : 제2드레인호스 111 : 관부
112 : 연결부 114 : 접촉증가부

Claims (26)

  1. 실내기 본체;
    상기 실내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배출하도록 마련되며, 관 형상의 드레인호스 연결부를 포함하는 드레인 펌프; 및
    상기 열교환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드레인 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 호스는,
    상기 실내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며, 중공의 관부와, 상기 관부의 양 단부에 각각 마련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호스 연결부의 형상에 따라 상기 연결부가 대응되게 변형 가능하도록 상기 관부와 상기 연결부는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공기조화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호스는,
    EPDM(고무)과 PP(플라스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 본체는 상기 드레인 호스가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배수홀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홀에 설치되도록 마련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드레인 펌프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는 서로 수직한 방향에 위치되는 공기조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관부는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공기조화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와 상기 관부는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공기조화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부재에 억지끼움되는 공기조화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그 외측 단부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접촉증가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내면은 상기 연결부재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두께는 상기 관부의 두께 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부는 수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호스는,
    상기 실내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드레인 펌프와 상기 연결부재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제1드레인 호스와,
    상기 실내기 본체 외부에서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어 응축수를 배수시키도록 마련되는 제2드레인 호스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4. 실내기 본체;
    상기 실내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에서 발생한 응축수가 모여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드레인 트레이;
    상기 드레인 트레이에 설치되며 관 형상의 드레인호스 연결부가 마련되는 드레인 펌프와,
    상기 드레인 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드레인 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 호스는,
    중공으로 형성되는 관부와,
    상기 관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드레인 펌프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제1각도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드레인호스 연결부의 형상에 따라 상기 연결부가 대응되게 변형 가능하도록 상기 관부와 상기 연결부는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공기조화기.
  15. 삭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호스는,
    EPDM(고무)와 PP(플라스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드레인호스 연결부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는 공기조화기.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내면은 상기 드레인호스 연결부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드레인호스 연결부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접촉증가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0. 삭제
  21. 실내기 본체;
    상기 실내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배출하도록 마련되고 관 형상의 드레인호스 연결부를 포함하는 드레인 펌프;
    상기 실내기 본체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드레인호스 연결부에 연결되어 응축수를 배수하도록 마련되는 제1드레인 호스;
    상기 실내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제1드레인 호스와 연결되는 연결부재;
    상기 실내기 본체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제1드레인 호스를 통해 전달되는 응축수를 상기 실내기 본체 외측으로 배수하도록 마련되는 제2드레인 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드레인 호스는 중공으로 형성되는 관부와, 상기 관부의 양 단부에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드레인호스 연결부의 형상에 따라 대응되도록 변형 가능하도록 상기 관부와 상기 연결부는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공기조화기.
  22. 삭제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부는 수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드레인 호스는,
    EPDM(고무)와 PP(플라스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5. ◈청구항 2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드레인 펌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억지 끼움으로 결합되는 공기조화기.
  26. ◈청구항 2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내면은 상기 드레인호스 연결부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50089041A 2015-06-23 2015-06-23 드레인호스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480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041A KR102480314B1 (ko) 2015-06-23 2015-06-23 드레인호스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EP16174655.7A EP3109563B1 (en) 2015-06-23 2016-06-15 Air conditioner
US15/191,483 US10107519B2 (en) 2015-06-23 2016-06-23 Drain hose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US16/059,516 US11118809B2 (en) 2015-06-23 2018-08-09 Drain hose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041A KR102480314B1 (ko) 2015-06-23 2015-06-23 드레인호스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177A KR20170000177A (ko) 2017-01-02
KR102480314B1 true KR102480314B1 (ko) 2022-12-23

Family

ID=56132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9041A KR102480314B1 (ko) 2015-06-23 2015-06-23 드레인호스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107519B2 (ko)
EP (1) EP3109563B1 (ko)
KR (1) KR1024803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0314B1 (ko) * 2015-06-23 2022-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레인호스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JP6917257B2 (ja) * 2016-09-30 2021-08-11 有限会社アキヤマ 継手
DE102017217628A1 (de) * 2017-10-04 2019-04-04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kältegerät mit einem endseitig flexiblen Ablaufrohr
US11175068B1 (en) * 2018-01-30 2021-11-16 Brian Desilets Air conditioning drain line system
US20190376699A1 (en) * 2018-06-07 2019-12-12 Tadiran Consumer And Technology Products Ltd. Building structure for garage mounted apparatus
CN111219783B (zh) * 2018-11-27 2021-06-04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壳体连接装置及空调器
KR102565984B1 (ko) * 2023-03-15 2023-08-11 주식회사 대우컴프레셔 천장형 공기처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4756A (ja) * 1999-02-15 2000-08-29 Kana Flex Corporation Kk ドレンホースの接続部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7488A (ja) * 1997-02-14 1998-08-25 Mitsubishi Heavy Ind Ltd セパレート形空気調和機のドレンホース
KR20000020938A (ko) 1998-09-24 2000-04-15 구자홍 세탁기의 배수호스 제작방법
JP2001090979A (ja) * 1999-09-22 2001-04-03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用ドレンホース
JP2002243197A (ja) * 2001-02-20 2002-08-28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JP2004211937A (ja) * 2002-12-27 2004-07-29 Totaku Industries Inc ドレンホース
JP2006207648A (ja) * 2005-01-26 2006-08-10 Meiji Flow Systems Co Ltd 液体用ホース
ES2525218T3 (es) * 2005-10-31 2014-12-1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quipo interior para acondicionador de aire
JP2007240112A (ja) * 2006-03-10 2007-09-20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
JP2008095993A (ja) * 2006-10-06 2008-04-24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90064698A1 (en) * 2007-09-12 2009-03-12 Spanger Gerald S Condensate liquid pumping system
KR100975618B1 (ko) * 2008-07-07 2010-08-17 김인수 에어컨용 드레인 호스 및 이의 제작방법
US8181939B2 (en) * 2009-07-21 2012-05-22 Winix Inc. Continuous drain-type dehumidifier
JP5453982B2 (ja) * 2009-07-27 2014-03-2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ガイド部材
NZ589005A (en) * 2009-11-16 2011-02-25 Moffat Pty Ltd Separator apparatus and method which gravity separates liquids of different densities
KR20110092718A (ko) * 2010-02-10 2011-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레인 호스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20120129004A (ko) * 2011-05-18 2012-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배수호스와 이를 가지는 세탁기
US20140130533A1 (en) * 2012-11-13 2014-05-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ir conditioning condensate drain line assembly
US20150084335A1 (en) * 2013-09-23 2015-03-26 Brian Farrell Pipe Coupling System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2480314B1 (ko) * 2015-06-23 2022-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레인호스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4756A (ja) * 1999-02-15 2000-08-29 Kana Flex Corporation Kk ドレンホースの接続部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47851A1 (en) 2018-12-06
EP3109563A1 (en) 2016-12-28
KR20170000177A (ko) 2017-01-02
US11118809B2 (en) 2021-09-14
US10107519B2 (en) 2018-10-23
US20160377317A1 (en) 2016-12-29
EP3109563B1 (en) 2019-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0314B1 (ko) 드레인호스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EP3124888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US9746231B2 (en) Indoor unit of ceiling type air-conditioner
US9322561B2 (en) Air-conditioning apparatus and configuration of installation of same
US10302314B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EP3070410B1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108626798B (zh) 空气调节器
KR102391356B1 (ko) 공기조화기
JP2017133715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20180111270A (ko) 천장 매입형 공기조화기
KR100947549B1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KR10232629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5860752B2 (ja) 空気調和機
KR102361294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US11112142B2 (en) Cover assembly for an opening in a bulkhead of an air conditioner unit
KR101911954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의 조립방법
KR100716251B1 (ko) 공기조화기
JP3998030B2 (ja) 天井設置型空気調和装置
KR20150105105A (ko) 송풍장치 및 이를 적용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2133254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2013164185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KR102149109B1 (ko) 수평계가 구비된 팬코일 유니트
KR20170014447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396503Y1 (ko) 천정용 에어컨
KR102372345B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