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2345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2345B1
KR102372345B1 KR1020150043153A KR20150043153A KR102372345B1 KR 102372345 B1 KR102372345 B1 KR 102372345B1 KR 1020150043153 A KR1020150043153 A KR 1020150043153A KR 20150043153 A KR20150043153 A KR 20150043153A KR 102372345 B1 KR102372345 B1 KR 102372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unit
housing
blowing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3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5446A (ko
Inventor
김경훈
김성구
김교승
김태일
백지호
장연상
최승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3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2345B1/ko
Publication of KR20160115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5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14Heat exchang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16Arrangement or mount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38Fan details of outdoor units, e.g. bell-mouth shaped inlets or fan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48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 F24F1/50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with outlet air in upward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56Casing or covers of separate outdoor units, e.g. fan 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하우징의 일측장변과 대응되게 마련되는 제 1열교환기부, 하우징의 일측단변과 대응되게 마련되는 제 2열교환기부, 하우징의 타측장변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되게 마련되는 제 3열교환기부를 포함하는 열교환기와 제 1열교환기부, 제 2열교환기부 및 제 3열교환기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나란하게 삽입되는 복수의 송풍유닛을 포함하고, 하우징의 장변은 복수의 송풍유닛이 나란하게 배치되는 영역의 길이 및 상기 제2열교환기부의 두께의 길이의 합과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마련되어 일정 길이의 장변을 가지는 하우징 내측으로 송풍유닛의 지름이 최대한으로 확보되는 상태에서 열교환기와 배치되어 실외기의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외기의 구조개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인간이 활동하기 알맞은 온도, 습도, 기류, 분포 등을 조절함과 동시에 공기 속에 있는 먼지 등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주요 구성요소로써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송풍팬 등이 구비된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와 실내기가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경우, 일반적으로 압축기와 실외열교환기(이하, 열교환기) 및 송풍팬은 실외기에 구비된다.
공기조화기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열교환기에서 충분한 냉각효과을 통해 많은 양의 냉매를 응축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공기와 열교환기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해 열교환기의 크기를 확대되거나, 교류되는 공기의 양의 늘리기 위해 송풍팬의 크기가 확대되는 대형의 실외기를 사용했다.
다만, 실외기의 용량을 확보하기 위해 실외기 자체의 크기가 커지면서 실외기의 설치에 대한 제약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실외기가 일정 크기를 유지하면서, 실외기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확보하기 위한 최대한의 크기의 송풍팬을 구비하면서 실내기 내측에서 송풍팬과 면적이 넓은 열교환기를 효율적으로 배치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가 일정 크기를 유지할 때, 송풍유닛의 지름이 설치가능한 최대 길이를 유지하면서 열교환기가 설치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실외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는, 하우징과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마련되는 열교환기로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장변과 대응되게 마련되는 제 1열교환기부, 상기 하우징의 일측단변과 대응되게 마련되는 제 2열교환기부, 상기 하우징의 타측장변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되게 마련되는 제 3열교환기부를 포함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하우징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제 1열교환기부와 제 2열교환기부 및 제 3열교환기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나란하게 삽입되는 복수의 송풍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장변은 상기 복수의 송풍유닛이 나란하게 배치되는 영역의 길이 및 상기 제 2열교환기부의 두께의 길이의 합과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송풍유닛은 각각 상기 하우징 내측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의 외측으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벨마우스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송풍유닛이 나란하게 배치되는 영역은 상기 복수의 송풍팬의 외주면측과 가장 인접하게 마련되는 상기 복수의 벨마우스 내주면측의 지름의 합이다.
또한 상기 복수의 벨마우스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측은 상기 열교환기의 일부와 마주한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하우징의 상하방향의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로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 1열교환기부와 상기 제 3열교환기부는 길이가 다르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송풍유닛 중 제 1송풍유닛은 상기 제 1열교환기부의 일측과 상기 제 2열교환기부 및 상기 제 3열교환기부와 대응되게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송풍유닛 중 제 2송풍유닛은 상기 제 1열교환기부의 타측과 대응되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 1송풍유닛과 상기 제 2송풍유닛은 각각의 지름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 1송풍유닛의 지름의 길이는 상기 제 2송풍유닛의 지름의 길이보다 짧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타측단변에는 상기 열교환기가 연장되어 마련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타측단변에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의 단변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되게 마련되는 제 2열교환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장변은 상기 제 2열교환기의 두께의 길이만큼 확장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실외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는, 하우징과,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마주하고 비대칭한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1송풍유닛과 제 2송풍유닛을 포함하는 송풍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의 일부는 상기 제 1송풍유닛의 외측면 중 3개의 측면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기의 다른 일부는 상기 제 2송풍유닛의 외측면 중 한 개의 측면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장변과 대응되게 마련되는 제 1열교환기부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단변과 대응되게 마련되는 제 2열교환기부와, 상기 제 1열교환기부와 이격을 두고 마주하고 상기 제 1열교환기부와 다른 길이로 마련되는 제 3열교환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송풍유닛은 상기 제 1열교환기부의 일부와 상기 제 2열교환기부 및 상기 제 3열교환기부에 의해 마련되는 공간에 삽입되게 마련되고, 상기 제 2송풍유닛은 상기 제 1열교환기부의 다른 일부와 대응되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 1송풍유닛와 제 2송풍유닛은 상기 하우징 내측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의 외측으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벨마우스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장변의 길이는 제 1송풍유닛 및 제 2송풍유닛에 각각 마련되는 상기 송풍팬의 외주면측과 가장 인접하게 마련되는 상기 복수의 벨마우스 내주면측의 지름의 합 및 상기 제 2열교환기부의 두께의 길이를 합한 길이로 마련된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하우징의 상하방향의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로 마련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타측단변에는 상기 열교환기가 연장되어 마련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단변의 타측에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의 단변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되게 마련되는 제 2열교환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장변은 상기 제 2열교환기의 두께의 길이만큼 확장된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실외기가 일정한 크기로 유지될 때, 송풍유닛의 지름이 설치 가능한 최대 길이를 유지하면서 일정한 크기의 실외기 내측으로 송풍유닛과 열교환기의 효율적인 배치를 통해 공기조화기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냉매사이클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하우징이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하우징이 제거된 상태의 다른 측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일부 구성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일부 구성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도 7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일부 구성의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냉매사이클을 도시한 도면이다.
공기조화기를 이루는 냉동사이클은 압축기(20), 응축기(이하, 열교환기((100)), 팽창밸브(30), 증발기(40)로 이루어져 있다. 냉동사이클은 압축-응축-팽창-증발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순환하고, 냉매와 열교환 후 조화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할 수 있다.
압축기(20)는 냉매가스를 고온고압의 상태로 압축하여 배출하며, 배출된 냉매가스는 열교환기(100)로 유입된다. 응축기는 압축된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하고, 응축과정을 통해 주위로 열을 방출하게 된다.
팽창밸브(30)는 열교환기(100)에서 응축된 고온고압 상태의 액상 냉매를 저압상태의 액상냉매로 팽창시킨다. 증발기(40)는 팽창밸브(30)에서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킨다. 증발기(40)는 냉매의 증발 잠열을 이용하여 피 냉각 물체와 열교환에 의하여 냉동효과를 달성하고, 저온저압상의 냉매가스를 압축기(20)로 복귀시킨다.
공기조화기는 증발기(40)를 거친 기액 혼합냉매에서 액체를 분리하여 기체 냉매만 압축기(20)로 유입되게 하는 어큐뮬레이터(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들이 하나의 폐회로를 형성하도록 연결하는 냉매관(70)을 통해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간의 공기를 조화시킬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1)는 냉각사이클 중 압축기(20)와 열교환기(100)로 이루어진 부분을 말한다. 팽창밸브(30)는 실내기나 실외기(1) 중 어느 한 곳에 있을 수 있고, 실내기에는 증발기(실내 열교환기)(40)가 위치한다.
열교환기(100)와 실내 열교환기(40)는 공기조화의 목적에 따라 응축기나 증발기로서 작동할 수 있다. 즉 냉방의 목적일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100)는 응축기로 기능하여 압축기(20)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고 실내 열교환기(40)는 증발기로 기능하며 실내공기와 열교환하여 냉방효과를 달성시킨다.
난방의 목적일 경우는, 열교환기(100)가 증발기가 되고 실내 열교환기(40)가 응축기가 되어 실내에서 냉매가 응축되는 것을 통해 난방효과를 달성시킨다.
이하에서는 열교환기(100)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실외기(1)에 대하여 자세하게 서술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기(1)는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1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대략 박스형태의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사각면은 한 쌍의 장변과 각각의 장변을 연결하는 단변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할 때, 일측장변을 제 1장변(11)으로 할 때, 타측장변을 제 2장변(13)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제 1장변(11)과 제 2장변(13)을 연결하는 단변을 각각 제 1단변(12)과 제 2단변(14)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측면부에는 외부공기가 하우징(10)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흡입구(11)가 마련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이 흡입구(11)가 측면부의 면적의 일부와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작은 개구가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흡입구(15)의 전면부에는 철망형태의 가드가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내측으로는 열교환기(100)와 압축기(20)와 어큐물레이터(60)와 다수의 냉매관(70) 및 실외기(10)를 제어하는 전장부재가 마련되는 콘트롤박스(80)가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하측에는 압축기(20)가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압축기(20)는 냉매를 압축하여 배출하고 냉매관(70)에 연결되어 열교환기(100)로 냉매를 전달된다. 실내기측으로 순환된 냉매는 어큐물레이터(60)를 경유하여 다시 냉매관(70)을 통해 압축기(20)로 순환될 수 있다.
냉매의 규모 또는 공기조화기의 용량에 따라 압축기(20)는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압축기(20)에서 열교환기(100)로 전달된 냉매는 흡입구(15)로 유입된 외부 공기와 열교환되어 응측되기 때문에 열교환기(100)와 공기가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질수록 실외기(1)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기(100)는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해 하우징(10)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특히 흡입구(15)와 대응되는 내측면에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열교환기(100)의 배치는 하기될 송풍유닛(200)과 함께 자세하게 후술한다.
실외기(1)는 열교환기(100)가 외부 공기와 열교환할 수 있도록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열교환된 공기를 실외기(1)의 외부로 토출시키는 송풍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유닛(200)은 하우징(20)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하우징(10)의 상측에는 흡입구(15)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열교환된 후 토출구(16) 측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토출구(16)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송풍유닛(200)은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하우징(10)의 장변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다.
송풍유닛(200)은 송풍팬(210)과 송풍팬(210)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220)와 벨마우스(230)와 디퓨저(240) 및 송풍유닛 커버(250)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210)은 하우징(10) 내측으로 공기를 유입시키고 토출구(16)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해 토출구(16)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송풍팬(210)의 상측에는 송풍팬(210)을 구동시키는 모터(220)가 마련될 수 있다. 모터(220)의 샤프트가 하측으로 연장되어 송풍팬(210)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모터(220)는 모터하우징(221)에 삽입될 수 있다. 모터하우징(221)은 모터(220) 및 모터(220)와 결합된 송풍팬(210)을 하우징(10)의 상부측에서 지지하기 위해 지지리브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벨마우스(230)는 송풍팬(210)에 의해 토출구(16)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벨마우스(230)는 송풍팬(210)의 외주면 측과 대응되고 송풍팬(210)의 외주면과 이격되게 마련되는 내주면을 포함하는 환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벨마우스(230)는 송풍팬(210)의 회전축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내주면을 포함한다. 송풍팬(210)의 회전축으로부터 가장 근접한 근접부(231)는 송풍팬(210)의 최외측면과 바람직하게는 10mm의 이격이 마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디퓨저(240)는 벨마우스(230)의 상단부에서 하우징(10)의 상측을 향해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디퓨저(240)는 벨마우스(230)의 상단부에서 일정 각도의 경사를 형성하고 상측으로 향할수록 평면상의 지름이 커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디퓨저(240)는 토출구(16)를 통과하는 공기가 하우징(10) 외측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디퓨저(240)의 하단부는 벨마우스(230)의 상단부에서 연장되는 바 원형으로 마련되며 일정 각도의 경사에 의해 상단부로 갈수록 타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송풍유닛 커버(250)는 디퓨저(240)의 상단부에서 하우징(10) 상단부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송풍유닛 커버(250)는 하우징(10)의 상측에 지지될 수 있도록 제 1장변(11) 및 제 2장변(13)이 위차한 측까지 연장되게 마련될 수 있다.
송풍유닛 커버(250)는 토출구(16)와 벨마우스(230) 및 디퓨저(240)를 제외한 다른 하우징(10)의 상측으로 공기가 유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게 하우징(10)의 상측을 덮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외기(1)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열교환기(100)와 송풍유닛(200)의 구조적 배치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실외기(1)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량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지름이 긴 송풍팬(210)과 대량의 공기가 냉매와 열교환을 할 수 있도록 공기와의 접촉면적이 넓은 열교환기(100)가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실외기(1)가 설치되는 장소 등에 제약에 의해 일정한 크기로 마련되는 하우징(10)에 있어서 실외기(1)의 효율을 높이는 방법은 하우징(1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는 한 최대 길이의 지름을 가지는 송풍팬(210)을 구비하고, 공기와 접촉면적을 최대한으로 확보한 상태에서 하우징(10) 내측으로 송풍팬(210)과 적합하게 배치되는 열교환기(100)를 구비하는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우징 장변의 길이(b)가 일정 길이로 정해져 있을 경우, 송풍유닛의 지름(R)의 길이를 최대화하기 위해 하우징 장변의 길이(b)는 복수의 송풍유닛의 지름(R)의 합에서 열교환기의 두께(a)를 더한 값으로 정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송풍유닛(200)이 2개로 구성되어 제 1송풍유닛(211)과 제 2송풍유닛(212)이 나란하게 하우징(10)에 배치될 경우 하우징 장변의 길이(b)는 두 송풍유닛의 지름(R+R)과 열교환기의 두께(a)를 더한 값이 된다(b= R+R+a).
다만 실질적으로 송풍유닛의 지름(R)과 열교환기의 두께(a)사이에는 이격이 존재할 수 있다. 이 이격은 열교환기(100)와 송풍유닛(2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최소한의 이격인 바 하우징 장변의 길이(b)에서 제외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와 달리 송풍유닛(200)이 복수개 이상의 n개로 마련되는 경우 장변의 길이(b)는 (R*n) +a의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일정 길이로 정해진 하우징 장변의 길이(b) 내에서 송풍유닛의 지름(R)이 최대 길이로 유지되는 상태로 하우징(10) 내측에 마련되게 하여 하우징(10) 내측으로 공기의 흡입량을 최대한으로 높여 실외기(1)의 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송풍유닛의 지름(R)은 송풍팬(210)의 최외주변에서 가장 인접한 벨마우스(230)의 내주면인 근접부(231)의 지름의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송풍유닛의 지름(R)이 클수록 송풍팬(210)의 지름이 비례하여 증가함에 따라 하우징(10)으로 유동되는 공기의 양이 증가할 수 있다.
근접부(231)와 송풍팬(210) 최외주면과의 이격거리는 바람직하게 10mm 내외로 마련될 수 있다.
열교환기(100)는 높이가 하우징(10)의 상하 높이와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열교환기(100)와 공기가 접하는 면적을 최대화시키기 위함이다.
따라서 열교환기(100)는 송풍유닛(200)과 대응되는 높이까지 마련되어 송풍유닛(200)이 열교환기(100)에 의해 내측으로 마련되는 공간에 삽입되는 형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외측에서부터 하우징(10), 열교환기(100) 및 송풍유닛(200) 순으로 레이어드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열교환기(100)에서 제 1장변(11)의 길이와 대응되게 마련되는 부분에는 제 1열교환기부(101), 제 1단변(12)의 길이와 대응되게 마련되는 부분에는 제 2열교환기부(102), 제 2장변(13)이 마련되는 측에는 제 3열교환기부(103)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1열교환기부(101)와 제 2열교환기부(102) 및 제 2열교환기부(102)와 제 3열교환기부(103)를 연결하도록 절곡 되게 마련되는 절곡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달리 열교환기(100)는 절곡부(104)가 없이 제 1열교환기부(101), 제 2열교환기부(102), 제 3열교환기부(103)가 독립된 열교환기(100)로 3개 이상의 복수의 열교환기(100)로 마련될 수 있다.
제 1열교환기부(101)와 제 3열교환기부(103)는 서로 이격을 두고 마주하는 형태로 마련되나 서로의 길이는 비대칭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설치부(c)가 마련되는 길이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제 2장변(13)의 길이에서 제 3열교환기부(103)의 길이를 제외한 길이부에는 설치부(c)가 마련될 수 있다.
설치부(c)는 제 2단변(14)과 함께 송풍유닛(200)이 열교환기(100)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공간으로 삽입되도록 송풍유닛(200)이 출입되는 공간이다.
하우징(10)의 내측으로는 열교환기(100)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송풍유닛(200) 외측으로 열교환기(100)가 감싸는 형식으로 대응되게 마련되었기 때문에 송풍유닛(200)의 설치를 위해 열교환기(100) 내측으로 출입어야 할 공간이 필요하게 되었다.
제 1열교환기부(101)와 제 3열교환기부(103)가 대칭으로 마련될 경우 송풍유닛(200)이 출입되는 공간은 제 2단변(14)측으로만 마련되게 된다.
송풍유닛(200)의 효율을 최대화하기 위해 송풍유닛의 지름(R)의 크기는 하우징 장변의 길이(b)에서 최대한의 길이로 마련되기 때문에 이와 비례하는 송풍유닛(200)은 제 2단변(14)측으로 출입이 불가할 수 있다.
따라서 송풍유닛(200)의 출입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제 3열교환기부(103)가 제 2장변(13)의 길이보다 짧게 마련됨으로써 제 2장변(13) 측에는 송풍유닛(200)이 열교환기(100)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는 출입공간인 설치부(c)가 형성될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설치부(c)는 송풍유닛(200)이 출입될 수 있는 최소한의 공간만큼의 길이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 2장변(13)의 길이에서 설치부(c)의 길이를 뺀 길이가 제 3열교환기부의 길이가 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3열교환기부(103)는 제 1열교환기부(101)보다 길이방향이 짧게 마련될 수 있다.
제 1송풍유닛(211)과 제 2송풍유닛(212)은 제 2단변(14) 및 설치부(c)에 의해 열교환기(100) 내측으로 나란하게 삽입될 수 있다.
제 1송풍유닛(211)은 제 1열교환기부(101)의 일부와 제 2열교환기부(102) 및 제 3열교환기부(103)와 대응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 2송풍유닛(212)는 제 1열교환기부(101)의 다른 일부와 대응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제 1송풍유닛(211)은 제 1열교환기부(101)의 일부와 제 2열교환기부(102) 및 제 3열교환기부(103)에 둘러 싸여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제 2송풍유닛(212)는 제 1열교환기부(101)의 다른 일부와 제 2단변측 및 설치부(c)에 둘러 싸이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제 2송풍유닛(212)의 일측으로는 제1송풍유닛(211)과 달리 열교환기(100)가 위치하지 않아 상대적으로 더 많은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달리 제 2송풍유닛(212)의 지름은 제 1송풍유닛(211)의 지름보다 더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제 2송풍유닛(212)의 지름이 늘어남에 따라 송풍기(210) 지름이 연장되에 그 만큼의 공기를 더 유입시킬 수 있어 실외기(1)의 효율이 증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달리 송풍유닛(200)이 2개 이상의 복수개로 존재할 경우 적어도 하나의 송풍유닛(200)은 제 1송풍유닛(211)고 같이 제 1열교환기부(101)의 일부와 제 2열교환기부(102) 및 제 3열교환기부(103)와 대응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송풍유닛(200)은 제 1열교환기부(101)의 다른 일부와 대응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송풍유닛(200)이 복수개로 마련될 경우 제 3열교환기부(103)는 송풍유닛(200)이 출입 가능한 최소한의 설치부(c)의 길이를 제외한 제 2장변(13)의 길이만큼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본 실시예에서 개시된 구성과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이 중복되는 경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실외기(1)에서 제 2열교환기(110)가 더 포함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 2열교환기(110)는 제 2단변(14')측에 제 2단변(14')의 길이와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제 2단변(14')측에 마련되는 하우징(10)에는 복수개의 흡입구(15)가 마련될 수 있다. 흡입구(15)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열교환기(100)와 제 2열교환기(110)와 열교환작용을 한 뒤 하우징(10)의 상측으로 토출 될 수 있다.
하우징의 장변의 길이(b')는 상술한 일 실시예에 도시된 하우징 장변의 길이(b)에서 제 2열교환기의 두께(a)의 길이만큼 연장되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일 실시예와 대비하여 제 1,2단변(12',14')의 길이는 동일하나 제 1,2장변(11',13')의 길이는 열교환기의 두께(a)만큼 연장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제 2열교환기(110)는 제 2단변(14) 및 설치부(c)를 통해 송풍유닛(200)이 열교환기(100)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된 후 제 2단변(14)측에 마련될 수 있다. 송풍유닛(200)이 삽입 되기 전에 하우징(10) 내측으로 마련될 경우 송풍유닛(200)이 열교환기(100) 내측으로의 출입 공간이 폐쇄되기 때문이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실외기 10 : 하우징
11: 제 1장변 12: 제 1단변
13: 제 2장변 14: 제 2단변
15: 흡입구 16: 토출구
20 : 압축기 30 : 팽창밸브
40 : 증발기 60 : 어큐물레이터
70 : 냉매관 80 : 콘트롤박스
100 : 열교환기 101: 제 1열교환기부
102 : 제 2열교환기부 103 : 제 3열교환기부
104: 절곡부 110 : 제 2열교환기
200 : 송풍장치 210 : 송풍팬
211: 제 1송풍장치 212: 제 2송풍장치
220 : 모터 230 : 벨마우스
240 : 디퓨저 250 : 송풍유닛 커버
a: 열교환기의 두께 b: 하우징 장변의 길이
c: 설치부 R: 송풍유닛의 지름

Claims (16)

  1. 실외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는,
    하우징;과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대응되게 마련되는 열교환기로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장변과 대응되게 마련되는 제 1열교환기부, 상기 하우징의 일측단변과 대응되게 마련되는 제 2열교환기부, 상기 하우징의 타측장변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되게 마련되는 제 3열교환기부를 포함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하우징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제 1열교환기부, 제 2열교환기부 및 제 3열교환기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나란하게 삽입되는 복수의 송풍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장변은 상기 복수의 송풍유닛이 나란하게 배치되는 영역의 길이 및 상기 제 2열교환기부의 두께의 길이의 합과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의 타측단변은 상기 열교환기가 연장되어 마련되지 않고,
    상기 제 3열교환기부의 길이는 상기 제 1열교환기부의 길이 보다 짧게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의 타측장변에서 상기 제 3열교환기부의 길이를 제외한 길이부에는 설치부가 마련되고,
    상기 설치부는 상기 하우징의 타측단변과 함께 상기 송풍유닛이 상기 열교환기의 내측으로 출입되도록 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하우징의 상하방향의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로 마련되고,
    상기 제 3열교환기부가 상기 제 2열교환기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하우징의 타측장변의 길이 방향에 따라 연장되며,
    상기 설치부는 상기 송풍유닛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타측장변의 길이는, 상기 설치부의 길이와 상기 제 3열교환기부의 길이의 합과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송풍유닛은 각각 상기 하우징 내측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의 외측으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벨마우스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송풍유닛이 나란하게 배치되는 영역은 상기 복수의 송풍팬의 외주면측과 가장 인접하게 마련되는 상기 복수의 벨마우스 내주면측의 지름의 합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벨마우스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측은 상기 열교환기의 일부와 마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송풍유닛 중 제 1송풍유닛은 상기 제 1열교환기부의 일측과 상기 제 2열교환기부 및 상기 제 3열교환기부와 대응되게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송풍유닛 중 제 2송풍유닛은 상기 제 1열교환기부의 타측과 대응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송풍유닛과 상기 제 2송풍유닛은 각각의 지름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송풍유닛의 지름의 길이는 상기 제 2송풍유닛의 지름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50043153A 2015-03-27 2015-03-27 공기조화기 KR102372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153A KR102372345B1 (ko) 2015-03-27 2015-03-27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153A KR102372345B1 (ko) 2015-03-27 2015-03-27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446A KR20160115446A (ko) 2016-10-06
KR102372345B1 true KR102372345B1 (ko) 2022-03-08

Family

ID=57164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3153A KR102372345B1 (ko) 2015-03-27 2015-03-27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234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4565A (ja) * 2002-02-28 2003-09-10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用室外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8198A (ja) * 1997-10-14 1999-04-30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の室外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4565A (ja) * 2002-02-28 2003-09-10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用室外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446A (ko)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40162B2 (en) Integrated air conditioner
US10684024B2 (en) Air conditioner
CN109891155B (zh) 室内机及空调装置
US9568221B2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ing device
EP3350518B1 (en) Portable air conditioner
US11708979B2 (en) Air conditioner
KR102171872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2014466B1 (ko) 칠러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칠러시스템
TW201825838A (zh) 除濕裝置
US10677476B2 (en) Air conditioner
US11578877B2 (en) Air conditioner having fan module with installation space and stabilizer modifier spaced apart from the fan module
US20170159949A1 (en) Air guide for air conditioner
CN104296239A (zh) 室内机及制冷循环装置
JP5807668B2 (ja) 空気調和機
JP2019027614A (ja) 熱交換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KR102372345B1 (ko) 공기조화기
KR102407655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1899824B1 (ko) 실외기 및 그것을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CN111448423B (zh) 空气调节机
JP6758280B2 (ja) 電算機室用空調室内機
KR100615786B1 (ko)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대용량 실외기
JP3203017U (ja) 空調機
KR20220080065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