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3507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3507B1
KR102613507B1 KR1020160167502A KR20160167502A KR102613507B1 KR 102613507 B1 KR102613507 B1 KR 102613507B1 KR 1020160167502 A KR1020160167502 A KR 1020160167502A KR 20160167502 A KR20160167502 A KR 20160167502A KR 102613507 B1 KR102613507 B1 KR 102613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space
ionizer
motor cov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7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6546A (ko
Inventor
권보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7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3507B1/ko
Publication of KR20180066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6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3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3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6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by electric means, e.g. ionisers or electrostatic sepa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상기 케이스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 유동을 형성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의 일측에 연결되는 모터; 상기 모터를 지지하며,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모터 커버; 및 상기 모터 커버에 장착되는 이오나이저;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 커버에는 상기 모터가 수용되는 제 1 공간; 및 상기 이오나이저가 고정되는 제 2 공간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는 소정공간의 공기를 용도,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공기 조화기에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 장치, 및 증발기가 포함되며,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 과정을 수행하는 냉동 사이클이 구동되어, 상기 소정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 할 수 있다.
상기 소정공간은, 상기 공기 조화기가 사용되는 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제안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공기조화기가 가정이나 사무실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소정공간은 집 또는 건물의 실내 공간일 수 있다.
공기 조화기가 냉방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실외기에 구비되는 실외 열교환기가 응축기 기능을 하며 실내기에 구비되는 실내 열교환기가 증발기 기능을 수행한다. 반면에, 공기 조화기가 난방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실내 열교환기가 응축기 기능을 하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가 증발기 기능을 수행한다.
공기 조화기는 설치 위치에 따라, 직립형, 벽걸이형, 또는 천장형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직립형 공기 조화기는 실내 공간에 세워 지도록 설치되는 타입의 공기 조화기이며, 상기 벽걸이형 공기 조화기는 벽면에 부착되도록 설치되는 타입의 공기 조화기로 이해된다. 그리고, 상기 천장형 타입의 공기 조화기는 천장에 설치되는 타입의 공기조화기로서 이해된다.
공기 조화기에는, 이오나이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오나이저는 이온을 방출시켜 공기 중의 산소나 질소 등의 분자를 이온화 시켜 공기 중의 먼지 및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본 출원인은 이오나이저가 구비된 공기 조화기에 관련하여 출원(이하, 선행기술)을 실시하여 공개한 바 있다. 선행문헌의 정보는 아래와 같다.
1. 공개 번호 (공개일): 공개특허공보 10-2014-0042974 (2014년 04월 08일)
2. 발명의 명칭: 이동식 이온 발생 장치
상기 선행 기술에 개시되는 이온 발생 장치는 이온 발생 장치에서 방출되는 이온을 실내로 방사시키기 위하여 이온 발생 장치를 공기 조화기의 토출구에 배치한다.
이러한 선행 기술에 의하면, 공기가 토출되는 유로에 이온 발생 장치가 배치되어 공기의 유동에 영향을 주며, 토출구 면적이 상대적으로 감소한다.
따라서, 공기조화기의 풍량 및 소음 성능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토출구에 배치되되 공기 유동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이오나이저를 설치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오나이저의 설치, 분리 및 교체가 용이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공기 조화기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 유동을 형성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의 일측에 연결되는 모터; 상기 모터를 지지하며,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모터 커버; 및 상기 모터 커버에 장착되는 이오나이저;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 커버에는 상기 모터가 수용되는 제 1 공간; 및 상기 이오나이저가 고정되는 제 2 공간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모터 커버는 상기 케이스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공간은 상기 모터 커버의 연장된 부분에 상하 관통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모터 커버에는 상기 제 2 공간의 일측을 차폐하는 제 1 면이 포함되고, 상기 제 1 면에는 상기 이오나이저에서 방출되는 이온이 통과하는 관통부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제 1 면은 상기 모터 커버에서 상기 송풍팬이 연결되는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터 커버에는 상기 제 2 공간의 타측을 차폐하는 제 2 면이 더 포함되고, 상기 제 2 면에는 상기 이오나이저를 구속하는 후크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후크부는, 상기 모터 커버의 상기 제 2 면에서 절단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장부는, 양측이 절단되되, 상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터 커버에는 상기 제 2 공간의 타측을 차폐하는 제 2 면이 더 포함되고, 상기 제 2 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구속돌기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모터 커버에는 상기 제 2 공간의 타측을 차폐하는 제 2 면이 더 포함되고, 상기 모터 커버에는 상기 제 2 공간의 일부가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차부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의 토출을 유도하는 유로가이드; 및 상기 케이스의 개구된 일면을 차폐는 판넬을 더 포함하며, 상기 판넬을 상기 케이스에서 제거하면 상기 제 2 공간이 노출된다.
상기한 실시예에 의하면, 공기 조화기의 토출구에 이오나이저가 장착됨으로써 실내공간의 공기 청정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판넬 분리 시 이오나이저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공간이 노출되므로 이오나이저의 교체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이오나이저가 삽입되는 제 2 공간에 후크부를 포함하여 이오나이저의 장착, 해제 또는 교체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이오나이저가 모터 커버 내측으로 삽입됨으로써 공기에 유동에 영향을 주지 않아, 이오나이저의 장착에 따른 성능 저하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넬이 제거된 공기조화기의 평면도
도 3은 모터 커버가 결합된 사시도
도 4는 모터 및 이오나이저가 장착된 사시도
도 5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
도 6은 도 2의 B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오나이저가 고정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넬이 제거된 공기조화기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공기 조화기의 부품이 설치되는 케이스(1)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는 일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케이스(1)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케이스(1)에는 상기 케이스(1)내부로 흡입된 공기의 토출을 유도하는 유로가이드(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가이드(15)는 상기 케이스(1)의 일측면에서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가이드(15)에는 상기 케이스(1)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고, 토출하는 유동을 형성하는 송풍팬(2)이 배치된다. 상기 송풍팬(2)은 상기 유로가이드(15)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가이드(15)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송풍팬(2)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송풍팬(2)의 일측에 연결되는 모터(5)와, 상기 모터(5)를 지지하며 상기 케이스(1)에 결합되는 모터 커버(4)로 상기 송풍팬(2)의 일측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에는 상기 모터 커버(4)와 결합되는 제 1,2 모터고정부(11, 12)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팬(2)의 타측을 고정하는 팬고정부(3)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팬고정부(3)는 상기 케이스(1)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케이스(1)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팬고정부(3)에는 결합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송풍팬(2)의 팬축(21)이 상기 결합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커버(4)에는 상기 모터가 수용되는 제 1 공간(4A)이 포함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공간(4A)은 상기 모터 커버(4) 일부와 상기 케이스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 커버(4)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모터 커버(4)에는 상기 이오나이저(8)가 고정되는 제 2 공간(4B)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모터 커버(4)는 상기 케이스(1)의 일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모터커버(4)는 상기 송풍팬(2)이 고정되는 일측에서 상기 유로가이드(15)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공간(4B)은 상기 모터 커버(4)의 연장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공간(4B)은 상기 송풍팬(2)과 상기 유로가이드(1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송풍팬(2)의 일측에는 상기 케이스(1)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열교환하는 열교환기(6)가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열교환기(6)는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 소정각도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6)의 경사각도는 열교환을 위해 상기 열교환기(6)로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저항을 최소화시키면서 가장 효율적으로 열교환될 수 있는 각도일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6)의 일측에는 상기 열교환기(6)에 의한 공기의 열교환시 발생하는 물방울을 집수하는 드레인부(7)가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드레인부(7)는 메인 드레인(71)과 서브 드레인(72)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 드레인(71)은 상기 열교환기(6)의 경사진 일측에 길게 설치된다. 상기 메인 드레인(71)이 설치되는 일측은 상기 케이스(1)의 개구가 아래쪽을 향하도록 배치될 때, 상기 열교환기(6)에서 발생되는 물방울이 자중에 의하여 떨어지는 방향이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기(6)에서 발생되는 물방울은 상기 열교환기(6)의 경사면을 따라 유동하여 상기 메인 드레인(71)에 모이게 된다.
상기 메인 드레인(71)에 집수된 물을 외부로 배출 시키기 위한 배수펌프(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교환기(6)로부터 생성된 물방울이 상기 메인 드레인(71)으로 유동하지 못하고 중간부분에서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낙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기(6)와 상기 메인 드레인(71)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 드레인(71)의 집수를 보조하는 서브 드레인(72)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드레인(72)은 상기 열교환기(6)와 이격되게 배치되되, 상기 열교환기(6)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프 드레인(72)의 일측이 상기 메인드레인(71)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드레인(72)은 상기 메인 드레인(71)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서브 드레인(72)에 집수된 물방울은 상기 메인 드레인(71)을 향하여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2), 상기 팬고정부(3), 상기 모터 커버(4), 상기 열교환기(6) 및 상기 드레인부(7)는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의 개구된 일면을 차폐하도록 판넬(9)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판넬(9)에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그릴(91)과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92)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토출구(92)는 상기 판넬(1)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토출구(9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베인(93)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상기 토출구(92)는 상기 케이스(1)의 상기 유로가이드(15)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유로가이드(15)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91)의 상기 토출구(92)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흡입그릴(91)의 후방에는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필터링 하는 필터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는 프리필터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터링 되는 이물질을 집진하기 위한 집진 필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판넬(9)이 제거되었을 때, 상기 제 2 공간(4B)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열교환기(6), 상기 드레인부(7)는 상기 흡입그릴(91)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유로가이드(15)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모터 커버(4)에 상기 제 2 공간(4B)가 형성되므로, 상기 제 2 공간(4B)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모터 커버(4), 상기 모터 커버(4)가 결합되는 상기 케이스(1) 및 상기 이오나이저(8)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3은 모터 커버가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모터 및 이오나이저가 장착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모터 커버(4)는 상기 제 1,2 모터고정부(11, 12)와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모터 커버(4)와 상기 제 1,2 모터고정부(11, 12)는 서로 형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커버(4)가 안착되는 상기 제 1,2 모터고정부(11, 12)의 일부에는 안착면(121, 122, 114, 115)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면(121, 122, 114, 115)과 상기 모터 커버(4)는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커버(4)의 상기 제 1 공간(4A)에는 상기 모터(5)가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공간(4A)에 수용된 상기 모터(5)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모터(5)는 상기 제 1,2 모터고정부(11, 12)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 커버(4)와 상기 제 1,2 모터고정부(11, 12)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케이스(1)에 고정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상기 제 1,2 모터고정부(11, 12)에는 상기 모터(5)의 상기 모터 돌기(52, 53)가 안착되는 모터 안착부(118)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커버(4)에는 상기 모터 안착부(118)에 안착된 상기 모터(5)를 지지하는 모터 지지부(4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안착부(118)는 상기 모터 돌기(52, 53)가 안착되며, 상기 모터 돌기(52, 53)에 따라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안착부(118)는 상기 모터 돌기(52, 53)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지지부(44) 또한 상기 모터 돌기(52, 53) 에 따라 형상이 달라질 수 있으며, 상기 모터 안착부(118)가 감싸지 않는 상기 모터 돌기(52, 53)의 나머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 안착부(118) 및 상기 모터 지지부(44)는 상기 모터 돌기(52, 53)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모터 돌기(52, 53)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모터 안착부(118) 및 상기 모터 지지부(44)는 상기 모터 돌기(52, 53)의 외주면 형상에 따라,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안착부(118) 및 상기 모터 지지부(44) 각각은 원의 절반인 반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안착부(118) 및 상기 모터 지지부(44)는 상기 모터 돌기(52, 53)가 형성되는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5)가 상기 케이스(1)에서 고정되어 회전할 때 이물이 상기 모터에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모터(5)의 상하측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상단커버(47)와 하단커버(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상단커버(47)는 상기 모터 커버(4)에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5)의 상단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단커버(13)는 상기 제 1,2 모터고정부(11, 12)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1)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단커버(13)는 상기 모터(5)의 하단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단커버(47) 및 상기 하단커버(13)에는 상기 모터(5)가 회전시 발생하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부(131, 471)가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개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모터고정부(11)와 상기 모터 커버(4)에는 상기 모터(5)와 연결되는 상기 송풍팬(2)이 소정간격 삽입되는 팬삽입부(111, 4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삽입부(111, 46)는 상기 모터 커버(4)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삽입부(111, 46)는 상기 모터 커버(4)와 상기 제 1 모터고정부(11)의 일부가 결합되어 형성될 것이다.
상기 제 1 모터고정부(11) 및 상기 모터 커버(4) 결합체의 외측으로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보조가이드(116, 4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가이드(116, 49)는 상기 유로가이드(15)가 형성된 상기 케이스(1)를 따라 상기 제 1 모터고정부(11) 및 상기 모터 커버(4)에 형성되되, 상기 팬삽입부(111, 46)에서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는 원형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가이드(116, 49)에는 일부가 관통되는 가이드홀(117)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B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오나이저가 고정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모터 커버(4)에는 상기 제 2 공간(4B)의 일측을 차폐하는 제 1 면, 상기 제 2 공간(4B)의 타측을 차폐하는 제 2 면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면은 상기 모터 커버(4)에서 상기 송풍팬(2)이 연결되는 면이다.
상기 제 1 면에는 상기 이오나이저(8)에서 방출되는 이온이 통과하는 관통부(45)가 포함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관통부(45)는 상기 제 2 공간(4B)의 내측 공간에서 상기 모터 커버(4)의 제 1 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통부(45)는 상기 이오나이저(8)에서 방출되는 이온이 통과하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 2 면에는 상기 이오나이저(8)를 구속하는 후크부(41)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후크부(41)는 상기 모터 커버의 제 2 면에 형성된 연장부(412)와 상기 연장부(412)의 끝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411)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절곡부(411)는 상기 제 2 공간(4B)과 간섭되므로, 상기 이오나이저(8)를 상기 제 2 공간(4B)에 삽입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연장부(412)를 양측이 절단하여 상기 연장부(412)의 일부를 구부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412)를 상측으로 연장하여, 보다 쉽게 구부릴 수 있게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연장부(412)를 구부려, 상기 절곡부(411)가 상기 제 2 공간(4B)에 간섭되지 않도록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후크부(41)에는 상기 연장부(412)와 상기 절곡부(411)를 연결하는 일부에 형성되는 관통홀(413)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413)은 상기 이오나이저(8)에 연결되는 전선의 배열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부(411)를 좀 더 쉽게 구부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2 면에는 상기 제 2 공간(4B)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이오나이저(8)의 측면을 구속하는 구속돌기(4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구속돌기(42)는 상기 제 2 공간(4B)의 관통된 부분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그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면에는 상기 제 2 공간(4B)에서 일부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이오나이저(8)의 측면을 구속하는 단차부(4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구속돌기(42) 및 상기 단차부(43)의 구성은 상기 이오나이저(8)의 측단을 구속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 1 모터고정부(11)에는 상기 제 2 공간(4B)에 대응하는 위치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함몰부(112)와 상기 함몰부(112)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이오나이저(8)를 지지하는 지지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12)는 상기 이오나이저(8)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113)가 상기 이오나이저(8)의 하단을 지지하고, 상기 후크부(41)가 상기 이오나이저(8)의 상기 돌출부(82)를 지지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속돌기(42) 및 상기 단차부(43)가 상기 이오나이저(8)의 측단을 지지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이오나이저(8)의 길이가 짧을 경우, 상기 함몰부(112) 및 지지부(113)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에는, 상기 제 2 공간(4B)의 하단에 상기 지지부(113)와 같이 상기 이오나이저(8)의 하단을 지지하는 구성이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4 : 모터 커버 8 : 이오나이저
41 : 후크부 42 : 구속돌기
43 : 단차부
411 : 절곡부 412 : 연장부

Claims (10)

  1.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 유동을 형성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의 일측에 연결되는 모터;
    상기 모터를 지지하며,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모터 커버; 및
    상기 모터 커버에 장착되는 이오나이저;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 커버에는 상기 모터가 수용되는 제 1 공간; 및
    상기 이오나이저가 고정되는 제 2 공간이 포함되고,
    상기 모터 커버와 결합하여 상기 송풍팬이 삽입되는 팬삽입부가 형성되는 제 1 모터고정부; 및
    상기 모터 커버와 결합하여 상기 모터가 수용되는 상기 제 1 공간이 형성되는 제 2 모터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 커버에는 상기 이오나이저의 상단을 지지하는 후크부와,
    상기 제 2 공간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이오나이저의 일측면을 구속하는 구속돌기와, 상기 제 2 공간의 일부가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이오나이저의 타측면을 구속하는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모터고정부에는 상기 제 2 공간에 대응하는 위치에 함몰되어 상기 이오나이저의 하단을 지지하는 함몰부와, 상기 함몰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이오나이저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
    는 공기 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커버는 상기 케이스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공간은 상기 모터 커버의 연장된 부분에 상하 관통되어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커버에는 상기 제 2 공간의 일측을 차폐하는 제1 면과, 상기 제 2 공간의 타측을 차폐하는 제 2 면이 포함되고,
    상기 제 1 면에는 상기 이오나이저에서 방출되는 이온이 통과하는 관통부가 더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면은 상기 모터 커버에서 상기 송풍팬이 연결되는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5. 삭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모터 커버의 상기 제 2 면에서 절단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양측이 절단되되, 상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8. 삭제
  9. 삭제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의 토출을 유도하는 유로가이드; 및
    상기 케이스의 개구된 일면을 차폐는 판넬을 더 포함하며,
    상기 판넬을 상기 케이스에서 제거하면 상기 제 2 공간이 노출되는 공기 조화기.
KR1020160167502A 2016-12-09 2016-12-09 공기조화기 KR102613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502A KR102613507B1 (ko) 2016-12-09 2016-12-09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502A KR102613507B1 (ko) 2016-12-09 2016-12-09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546A KR20180066546A (ko) 2018-06-19
KR102613507B1 true KR102613507B1 (ko) 2023-12-14

Family

ID=62790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502A KR102613507B1 (ko) 2016-12-09 2016-12-09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35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73223A1 (en) 2021-05-24 2022-11-24 Lg Electronics Inc Air-processing apparatus
KR102587027B1 (ko) 2021-05-24 2023-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6102Y1 (ko) * 1996-10-19 1999-06-15 윤종용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집진기고정장치
KR20020023533A (ko) * 2000-09-22 2002-03-29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모터 체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546A (ko) 201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6182B1 (ko) 공기조화기
CN105992917B (zh) 空调的室外单元
KR101298404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N106196332B (zh) 空调机的室外机
KR10239694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90053491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2613507B1 (ko) 공기조화기
KR101335748B1 (ko) 공기조화기
KR20080075259A (ko) 이동식 공기조화기
KR10131968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073163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60117832A (ko) 공기조화기의 드레인팬
KR101314915B1 (ko) 공기조화기
KR20090044504A (ko)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베이스어셈블리
KR20060119068A (ko) 독립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
KR102654814B1 (ko) 천장에 설치되는 실내기
KR102454035B1 (ko) 이동형 공기조화기
KR101010454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90022102A (ko) 공기조화기
KR101024178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622013B1 (ko) 공기조화기용 하우징조립체
KR101072114B1 (ko) 공기조화기의 패널형 실내유니트
KR20070053547A (ko) 공기조화기
KR20070030404A (ko) 공기조화기 실외기
KR200334459Y1 (ko) 천장카세트형 에어컨용 펜더 플레이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