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6182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6182B1
KR101316182B1 KR1020060109174A KR20060109174A KR101316182B1 KR 101316182 B1 KR101316182 B1 KR 101316182B1 KR 1020060109174 A KR1020060109174 A KR 1020060109174A KR 20060109174 A KR20060109174 A KR 20060109174A KR 101316182 B1 KR101316182 B1 KR 101316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main drain
brace
fa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9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1076A (ko
Inventor
이종호
김문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9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6182B1/ko
Priority to US11/710,539 priority patent/US7614248B2/en
Priority to EP07250861.7A priority patent/EP1918657B1/en
Priority to CN2007101081260A priority patent/CN101178224B/zh
Publication of KR20080041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1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6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6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9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the layout or mutual arrangement of components, e.g. of compressors or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4Arrangements for portabil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도 팬의 상면 일측에 브레이스와 지지앵글이 구비되어 실내송풍유닛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메인드레인팬(700)과,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하측에 구비되어 메인드레인팬(700)을 지지하며, 냉매와 열교환된 공기를 실외로 토출하는 실외송풍유닛과,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팬(50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팬(500)과 메인드레인팬(700) 사이에는, 상면이 상기 베이스팬(500)의 하면과 접촉하여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을 지지하는 브레이스(57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팬(500)과 메인드레인팬(700) 사이에는,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일측에 상부가 삽입 고정되어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을 지지하는 지지앵글(580)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내구성이 향상되어 파손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이동형, 공기조화기, 브레이스, 지지앵글, 강도보강

Description

공기조화기 {Air conditioner}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관 구성을 보인 전방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관 구성을 보인 후방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 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 와 도 5 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후방프레임 상세구성을 보인 전방 및 후방 사시도.
도 6 과 도 7 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흡입그릴의 상세구성을 보인 전방 및 후방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코드고정구가 베이스팬에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코드고정구의 상면 및 저면 사시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코드고정구가 베이스팬에 결합되는 과정을 보인 종단면도.
도 11a 및 도 11b 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실외송풍유닛이 베이스팬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전방 및 후방 사시도.
도 12a 및 도 12b 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부에어가이드와 하부오리피스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전방 및 후방 사시도.
도 13a 및 도 13b 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실외송풍유닛에 제1열교환기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좌/우측면도.
도 14a 및 도 14b 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방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 사시도.
도 15a 및 도 15b 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메인드레인팬의 상면 및 하면 사시도.
도 16a 및 도 16b 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상부에어가이드와 상부오리피스가 분리된 상태의 전방 및 후방 사시도.
도 17 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실내송풍유닛이 전방프레임에 결합된 모습을 보인 후방 사시도.
도 18 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브레이스와 지지앵글이 장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19 는 본 발명 실시예 내부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상태를 보인 공기의 흐름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전방프레임 110. 토출루버
200. 전면판넬 210. 토출구
300. 후방프레임 302. 외기유입구
304. 필터프레임 310. 흡입그릴
313. 턱트수용홈 315. 탈거리브
316. 그릴체결후크 317. 그릴체결돌기
320. 프리필터 330. 하부그릴
340. 손잡이 360. 그릴장착부
362. 필터고정후크 370. 프레임체결돌기
372. 탈거홈 400. 배기안내수단
500. 베이스팬 502. 이동바퀴
503. 유닛안착부 504. 코드안착부
505. 고정구체결홈 506. 고정구걸림홀
508. 코드안내부 508'.코드노출홈
509. 지지대안착부 509'. 지지대체결홈
510. 제1열교환기 520. 압축기
530. 어큐뮬레이터 540. 응축수감지장치
550. 응축수펌프 560. 응축수배관
570. 브레이스 572. 강도보강홈
574. 드레인팬지지부 575. 브레이스지지부
576. 절제부 577. 안착가이드
577'.브레이스접촉부 577".브레이스고정부
578. 베이스끼움부 579. 브레이스체결부
580. 지지앵글 584. 베이스결합부
586. 앵글안착홈 588. 앵글고정홀
590. 코드고정구 592. 체결편
593. 체결공 594. 수용부
594'.가압돌기 596. 수용공간
596'.제1수용공간 596".제2수용공간
598. 고정구보강리브 600. 실외송풍유닛
602. 삽입부 610. 하부오리피스
612. 하오리피스공 614. 드레인안착홈
615. 결합플랜지 616. 후크공
617. 낙수가이드 618. 체결부
619. 이격돌기 620. 하부에어가이드
622. 하모터공 624. 보강용리브
624'.지지대결합홈 630. 하부팬
640. 하우징홈 650. 배기가이드
652. 배기그릴 653. 그릴돌기
654. 그릴고정홈 660. 하부모터
670. 하모터지지대 700. 메인드레인팬
703. 상오리피스체결부 715. 상에어가이드체결부
740. 앵글홀 742. 브레이스지지부
745. 앵글체결부 746. 브레이스체결부
750. 보조드레인팬 752. 결합후크
754. 후크돌기 800. 실내송풍유닛
810. 상부에어가이드 812. 도피홈
814. 이슬안내부 815. 낙수방지리브
816. 이슬안내홈 817. 낙수안내편
818. 에어가이드체결블럭 820. 상부팬하우징
822. 상모터공 824. 토출안내구
826. 상지지대체결홈 828. 에어가이드보강리브
830. 상부모터 840. 상모터지지대
850. 상부팬 860. 상부오리피스
861. 안착플랜지 862. 상오리피스공
864. 오리피스체결블럭 865. 오리피스체결후크
866. 안착결합홈 866'.에어가이드체결홈
867. 삽입체결돌기 867'.삽입돌기홀
868. 밀착리브 869. 체결리브
869'.후크삽입홀 870. 제2열교환기
C . 파워코드 S . 체결부재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팬의 상면 일측에 브레이스와 지지앵글이 구비되어 실내송풍유닛의 하중이 지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실외열교환기, 팽창밸브, 실내열교환기 등의 구성부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주로, 실내 공간의 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유지하여 실내 공간을 쾌적한 환경으로 만들기 위해 사용된다.
즉, 공기조화기는 차량이나 사무실 또는 가정 등과 같은 실내의 한 공간 또는 벽면에 설치되어 실내를 냉방하거나 난방하는 냉/난방기기이며, 압축기-실외열교환기-팽창밸브(모세관)-실내열교환기로 이루어진 일련의 냉동사이클 또는 냉매의 역방향 순환에 의한 난방사이클을 구성하는 기기이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공기조화기는 그 규모가 크고, 건물의 벽면에 설치하여 사용하므로, 한번 설치한 후에는 이동이 어려웠다. 이와 같이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이동이 불가능하여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바닥에 이동바퀴가 부착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이동식 공기조화기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이동식 공기조화기는 대한민국 특허청에 등록된 등록실용신안 제0252478호에도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이동식 공기조화기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에 의 해 다수 부품이 결합되어 하중이 지지되므로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내구성 저하로 인하여 외부 충격이 가해질 때 쉽게 파손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팬의 상면 일측에 브레이스와 지지앵글이 구비되어 실내송풍유닛의 하중이 지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인드레인팬과 베이스팬의 일측에 지지앵글과 브레이스의 장착 위치를 안내하는 앵글홀과 안착가이드를 구비함으로서 지지앵글과 브레이스의 조립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메인드레인팬과, 상기 메인드레인팬의 하측에 구비되어 메인드레인팬을 지지하며, 냉매와 열교환된 공기를 실외로 토출하는 실외송풍유닛과,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팬;을 포함하여 구성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팬과 메인드레인팬 사이에는, 상단이 상기 메인드레인팬에 고정되고, 하단이 상기 베이스펜에 고정되어 상기 메인드레인팬을 지지하는 브레이스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팬과 메인드레인팬 사이에는, 상기 메인드레인팬의 일측에 상부가 삽입 고정되어 상기 메인드레인팬을 지지하는 지지앵글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드레인팬의 일측에는, 상/하로 천공되어 상기 지지앵글이 삽입 가능하며, 상기 지지앵글의 상부를 구속하는 앵글홀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앵글홀은 지지앵글의 횡단면과 대응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레이스의 상단부에는, 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메인드레인팬의 하면과 결합되는 드레인팬지지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드레인팬의 하면 일측에는, 상기 드레인팬지지부의 일측을 간섭하여 상기 브레이스의 일방향 유동을 제한하는 브레이스체결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팬의 상면 일측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브레이스의 하단부가 수용되며, 상기 브레이스의 전/후 방향 유동을 제한하는 브레이스지지부와; 상기 브레이스지지부의 일면에서 우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팬의 하단부의 안착 위치를 안내하는 안착가이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가이드는 하단부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좁은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외송풍유닛의 일측에는, 냉매가 공기와 열교환되도록 하는 열교환기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돌출 형성된 결합플랜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플랜지의 일측에는, 상기 실외송풍유닛의 외면과 접촉하여 상기 열교환기가 실외송풍유닛과 이격되도록 하는 이격돌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 유동시 소음이 저감되며, 전체적으로 내구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전방과 후방 외관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전반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전방프레임(100)과 전면판넬(200) 그리고, 후반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후방프레임(300)에 의해 전체적인 외관이 개략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방프레임(100)은 전반부의 골격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면 및 좌우 측면의 외관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며, 상면에는 사용자가 공기조화기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작판넬(120)이 구비된다.
상기 후방프레임(300)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후면 외관은 물론, 상면 및 좌우 측면의 외관을 동시에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후방프레임(300)에는 열교환 된 공기를 외부(특히,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안내수단(400)이 연결 설치된다. 이러한 배기안내수단(400)의 구성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에서 설명한 전방프레임(100)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프레임(100)은 중앙부가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방프레임(100)은 측방에서 볼 때, 전체적으로 라 운드진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상단 부근에는 그릴설치구(102)가 형성된다. 상기 그릴설치구(102)는 아래에서 설명할 토출루버(110)가 장착되는 부분으로,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직사각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상면은 전방으로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전방프레임(100)의 상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조작판넬(120) 등이 설치되는 판넬구(104)가 관통 형성된다. 상기 판넬구(104)는 아래에서 설명할 조작판넬(120)의 형상과 대응되는 직사각 형상을 가진다.
상기에서 설명한 전면판넬(200)은 사각 평판으로 이루어져,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전면판넬(200)은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전방에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전면판넬(200)은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전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즉, 상기 전면판넬(200)은 상기 전방프레임(100)과 같이 중앙부가 상단 및 하단보다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더 돌출되어 라운드진 형상(원호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그릴설치구(102)에는 공기조화(냉방 또는 난방)가 이루어진 공기의 외부 토출을 안내하는 토출루버(110)가 설치된다. 상기 토출루버(110)는 공기의 토출 방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다수의 토출루버 등이 구비되어 공기가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상기 판넬구(104)에는 조작판넬(120)이 설치된다. 상기 조작판넬(120)은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것으로, 여기에는 다수의 버튼 등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다. 즉, 상기 조작판넬(120)의 하측에는 한 쌍의 버튼조립체(122)가 구비되며, 이러한 버튼조립체(122)에 구비되는 다수의 버튼이 상기 조작판넬(120)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노출된다.
상기 버튼조립체(122)의 하측에는 조작피시비(PCB)(124)가 설치된다. 상기 조작피시비(124)는 상기 버튼조립체(122)의 버튼 동작을 신호로 변경하여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 전달하는 것으로, 이러한 조작피시비(124)는 조작프레임(126)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이러한 조작피시비(124)의 외측은 직사각 박스 형상의 피시비케이스(128)가 감싸게 된다.
상기 전면판넬(200)의 상단 부근에는 토출구(210)가 관통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210)는 공기조화(냉방 또는 난방)가 이루어진 공기가 전방으로 토출되는 부분으로, 상기 토출루버(110)과 대응되는 직사각 형상을 가진다.
상기 후방프레임(300)은 상기 전방프레임(100)과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선단은 상기 전방프레임(10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된다. 즉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좌우 측면 선단부는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좌우 측면 후단부와 대응되게 라운드진 곡률을 가지도록 중앙부가 상대적으로 라운드지게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상반부에는 전후로 관통되는 외기유입구(302)가 형성된다. 상기 외기유입구(302)는 외부(실내)의 공기가 공기조화기 내부로 흡입되는 통로가 되는 것이며,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기유입구(302)의 중앙부에는 상기 외기유입구(302)와 대응되는 사각 형상의 필터프레임(304)이 더 형성된다. 상기 필터프레임(304)은 상기 외기유입구(302)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아래에서 설명할 탈취필터(322)와 같은 특수필터가 설치되도록 지지하게 된다.
상기 외기유입구(302)는 흡입그릴(310)에 의해 차폐된다. 외기(실내의 공기)는 상기 흡입그릴(310)을 통과하여 공기조화기 내부로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그릴(310)에는 다수의 홀(hole)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흡입그릴(310)은, 상기 외기유입구(302)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방으로 약간 기울어진 상태로 형성된다.
상기 외기유입구(302)의 테두리에는 프리필터(320)가 설치된다. 상기 프리필터(320)는 상기 흡입그릴(310)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것으로, 상기 외기유입구(302)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프리필터(320)의 전방에는 탈취필터(322)가 더 구비된다. 상기 탈취필터(322)는 상기 흡입그릴(310)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공기 중의 냄새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필터프레임(304)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필터프레임(304)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하반부에는 하부그릴(330)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그릴(330)은 공기조화기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후방프레임(300)에는 손잡이(340)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좌우 측면 상단부 근처에는 손잡이공(342)이 관통 형성되고, 이러한 손 잡이공(342)에 손잡이(340)가 삽입 설치된다. 상기 손잡이(340)는 사용자가 공기조화기를 쉽게 들어올려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후방프레임(300)에는 배기안내수단(400)이 연결 설치된다.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은 공기조화기 내부에서 열교환이 일어난 공기를 외부(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은 상기 후방프레임(300)에 연결되고, 타단은 건물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은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하반부 내측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배기덕트(410)와, 배기노즐(420) 그리고 프레임커넥터(430)와 노즐커넥터(44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배기덕트(410)는 원통 형상의 긴 관으로 이루어져 배기의 유동을 안내하며, 상기 배기노즐(420)은 상기 배기덕트(410)를 통해 유동되는 배기가 최종적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끝단부이다. 상기 배기덕트(410)는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 또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벤딩(bending)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커넥터(430)는 상기 후방프레임(300)과 상기 배기덕트(41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배기덕트(410) 하단이 상기 후방프레임(300)에 장착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상기 노즐커넥터(440)는 상기 배기덕트(410)와 배기노즐(4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배기덕트(410) 상단에 상기 배기노즐(420)이 체결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 하부 외관은 베이스팬(50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팬(500)은 상기 전방프레임(100)과 후방프레임(300) 하단과 결합하고, 아래에 서 설명할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팬(500)의 저면에는 다수의 이동바퀴(502)가 설치된다. 상기 이동바퀴(502)는 공기조화기의 이동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사각 형상의 상기 베이스팬(500) 각 모서리에 각각 하나씩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팬(500)의 상면 중앙부에는 제1열교환기(510)가 설치된다. 즉, 상기 베이스팬(500)의 중앙부분에 제1열교환기(510)가 전후로 설치된다. 상기 제1열교환기(510)는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냉매를 냉각(또는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하반부에 형성되는 상기 하부그릴(33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1열교환기(510)를 통과하면서 제1열교환기(51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을 하게 되고, 상기 제1열교환기(51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을 통해 외부(실외)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제1열교환기(510)의 우측에는 압축기(520)가 설치된다. 상기 압축기(520)는 상기 베이스팬(500)의 우측 부분 후단부에 설치되며, 삼각 형상의 압축프레임(522)에 의해 지지되고, 이러한 압축프레임(522)이 상기 베이스팬(500)에 장착된다.
상기 압축기(520)의 옆에는 어큐뮬레이터(530)가 설치된다. 상기 어큐뮬레이터(530)는 액 냉매를 걸러내어 기체상태의 냉매만이 상기 압축기(520)로 유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압축기(520)의 전방에는 응축수감지장치(540)가 설치된다. 상기 응축수감지장치(540)는 상기 베이스팬(500)의 상면에 고이는 응축수의 양이 일정량 이상이 되면, 이를 감지하여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이다.
상기 베이스팬(500)의 우측 선단부에는 응축수펌프(550)가 더 설치된다. 상기 응축수펌프(550)는 상기 베이스팬(500)에 고인 응축수를 펌핑(pumping)하여 아래에서 설명할 보조드레인팬(750)으로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응축수펌프(550)에는 응축수배관(560)이 연결 설치된다. 상기 응축수배관(560)은 상기 응축수펌프(550)에 의해 강제 유동되는 응축수를 아래에서 설명할 보조드레인팬(750)으로 안내하는 통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응축수배관(560)의 하단은 상기 응축수펌프(550)에 연결되고, 상단은 아래에서 설명할 보조드레인팬(750)에 연결된다.
상기 베이스팬(500)의 우측단에는 브레이스(570)가 더 설치된다. 상기 브레이스(570)는 아래에서 설명할 메인드레인팬(700)의 우측단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사각 형상의 평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브레이스(570)는, 하단이 상기 베이스팬(500)의 상면 우측단에 고정되고, 상단은 아래에서 설명할 메인드레인팬(700)의 우측단에 고정된다.
상기 브레이스(570)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브레이스(570)의 우측면 중앙부에는 대략 사각형상을 가지고 좌측으로 함몰된 강도보강홈(572)이 구비된다. 상기 강도보강홈(572)은 브레이스(57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브레이스(570)의 상단부에는 좌측으로 절곡 형성된 드레인팬지지 부(574)가 구비된다. 상기 드레인팬지지부(574)는 아래에서 설명할 메인드레인팬(700)의 하면과 접촉한 상태로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곳이다.
이를 위해 상기 드레인팬지지부(574)의 전/후반부 및 중앙부에는 각각 1개씩 지지부결합홀(574')이 천공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결합홀(574')은 아래에서 설명할 브레이스체결부(도 15b의 도면부호 )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체결됨으로써 상기 브레이스(570)의 상단부가 메인드레인팬(70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드레인팬지지부(574)의 전반부에는 좌측단에서 우측으로 사각 형상을 가지도록 절제(切除)된 절제부(576)가 구비된다. 상기 절제부(576)는 응축수배관(560)이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구성된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배관통과홈(도 15a의 도면부호 726)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브레이스(570)의 하단부에는 전방에서 볼 때 대략 "
Figure 112006081211867-pat00001
"형상으로 절곡된 베이스끼움부(578)가 연장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끼움부(578)는 상기 베이스팬(500) 상면에 브레이스(570)를 결합시키고자 할 때 아래에서 설명할 브레이스지지부(도 11a의 도면부호 )에 삽입되는 것으로, 하단부는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를 가진다.
즉, 상기 베이스팬(500)의 상면은 응축수펌프(550)가 설치되는 전방 우측이 가장 낮은 위치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상기 베이스끼움부(578)가 베이스팬(500)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세워지게 되면 상기 드레인팬지지부(574)는 전방으로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기울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팬지지부(574)가 메인드레인팬(700)을 지면에 대하여 수 평하게 지지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끼움부(578)의 하단부는 전방으로 갈수록 하형 경사를 가지게 된다.
상기 베이스끼움부(578)에는 다수개의 브레이스체결부(579)가 천공 형성된다. 상기 브레이스체결부(579)는 브레이스(570)의 하단부가 베이스팬(500)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베이스팬(500) 일측에 체결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브레이스체결부(579)과 베이스팬(500)의 측면 일측에 체결되면 상기 브레이스(570)는 베이스팬(500)에 구속되어 분리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팬(500)의 선단에는 지지앵글(58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지지앵글(580)은 브레이스(570)와 같이 상기 공기조화기의 우측 상부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베이스팬(500)의 선단 우측 부분에서 상/하 방향으로 직립되게 설치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메인드레앤팬(700)의 선단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지지앵글(580)은 사각판을 직각되게 절곡하여 상방에서 볼 때 대략 "∨" 형상을 가지며, 하단부는 상기 베이스팬(500)의 우측 선단 결합되고, 상단부는 메인드레인팬(700)의 우측 선단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앵글(580)의 상부에는 드레인결합부(582)가 구비된다. 상기 드레인결합부(582)는 지지앵글(580)의 전면과 우측면에 각각 하나 씩 천공 형성되며, 전면에 형성된 드레인결합부(582)가 우측면에 천공된 드레인결합부(582)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앵글(580)의 하부에는 베이스결합부(584)가 구비된다. 상 기 베이스결합부(584) 역시 상기 지지앵글(580)의 전면과 우측면에 각각 하나씩 천공 형성되며, 전면에 형성된 베이스결합부(584)는 우측면에 천공된 베이스결합부(584)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결합부(582)와 베이스결합부(584)가 아래에서 설명할 앵글홀(도 15a의 도면부호 740)과, 앵글고정홀(588)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면 상기 지지앵글(580)은 메인드레인팬(700)의 우측 선단의 하중을 상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베이스팬(500)의 상면 좌측부에는 유닛안착부(503)가 구비된다. 상기 유닛안착부(503)는 아래에서 설명할 실외송풍유닛(600)의 하단부가 끼움 결합되는 곳으로, 내측이 함몰된 상태로 실외송풍유닛(600)의 하단부 횡단면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상방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유닛안착부(503)에 실외송풍유닛(600)의 하단부가 삽입되면, 실외송풍유닛(600)은 상기 베이스팬(500)의 상면에서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 11a 참조)
상기 베이스팬(500)의 상면 후반부에는 코드고정구(590)가 구비된다. 상기 코드고정구(590)는 다수 부품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파워코드(도 10b의 도면부호 C)가 공기조화기 내부에서 유동하지 않도록 구속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코드고정구(590)는 내부에 상기 파워코드(C)의 일부를 수용하며, 상기 베이스팬(50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 돌출된 코드안착부(504)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코드고정구(590)는 내부에 수용된 파워코드(C)의 외면을 가압하여 구 속함으로써 유동을 제한하게 된다.
따라서, 공기조화기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어 있는 파워코드(C)는 외부로부터 인장력이 가해지더라도 공기조화기 내부에서 더 이상 인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코드고정구(590)와 코드안착부(504)에 대한 구성 설명은 아래에서 상세히 하기로 한다.
상기 제1열교환기(510)의 좌측에는 실외송풍유닛(600)이 구비된다. 상기 실외송풍유닛(600)은 풍력을 발생하여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좌측방향으로는 흡입력을 발생하여 상기 제1열교환기(510)를 경유한 공기를 흡입하고, 이렇게 흡입된 공기를 우측 상방향으로 토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실외송풍유닛(600)은 공기 유동 경로가 되는 하우징홈(640)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결합되는 하부오리피스(610) 및 하부에어가이드(620)와, 상기 하우징홈(640) 내측에서 회전하여 풍력을 발생하는 하부팬(630)과, 상기 하부팬(630)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하부모터(6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오리피스(610)는 아래에서 설명할 실내송풍유닛(800)과 같은 다수의 부품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1열교환기(510)을 통과한 공기를 좌측으로 안내한다. 따라서, 상기 하부오리피스(610)의 중앙 부분에는 원형의 하오리피스공(612)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하부오리피스(610)의 좌측에는 하부에어가이드(620)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에어가이드(620)는 상기 하부오리피스(610)와 더불어 공기의 유동을 안내한다.
상기 하부오리피스(610)와 상기 하부에어가이드(620) 사이에는 공기의 유동 을 강제하는 하부팬(630)이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오리피스(610)와 하부에어가이드(620)에는 상기 하부팬(63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하우징홈(640)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하부오리피스(610)의 좌측면과 상기 하부에어가이드(620)의 우측면에 각각 서로 대칭되는 하우징홈(640)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팬(630)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홈(640)은 상기 하부팬(630)의 외경 크기보다 더 큰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부팬(630)을 감싼다.
상기 하부오리피스(610)와 하부에어가이드(620)의 후단부에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의 배기가이드(650)가 더 형성된다. 상기 배기가이드(650)는 상기 하우징홈(640)에 의해 안내되는 공기를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으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단은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의 하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배기가이드(650) 내측 상단부에는 원형의 배기그릴(652)이 삽입 장착된다. 상기 배기그릴(652)은 상기 배기가이드(650)의 하측으로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투입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부에어가이드(620)의 중앙부분에는 하모터공(622)이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하모터공(622)에 하부모터(660)가 관통 삽입되어 고정 설치된다. 상기 하부모터(66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 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하부팬(630)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하부팬(630)이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하부에어가이드(620)의 좌측에는 하모터지지대(670)가 더 설치된다. 상기 하모터지지대(670)는 상기 하부에어가이드(620)에 장착되는 상기 하부모터(660) 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하단은 상기 베이스팬(500)에 접한다.
상기 실외송풍유닛(60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들의 결합 관계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중앙 후측에는 메인드레인팬(700)이 설치된다.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은 아래에서 설명할 제2열교환기(87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며, 공기조화기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역할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실외측과 실내측으로 구획되는데,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이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 내부를 실외측과 실내측으로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을 중심으로 하측에는 실외기(분리형 공기조화기에서)에 해당하는 실외측(방열측)이 형성되고, 상측에는 실내기(분리형 공기조화기에서)에 해당하는 실내측(흡열측)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하측에는 보조드레인팬(750)이 설치된다.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은 상기 메인드레인팬(700) 및 상기 응축수펌프(550)에 의해 공급되는 응축수가 집수되어 분배되는 부분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은 전후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열교환기(510)의 상측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에 고이는 응축수가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으로 내려와 집수되며, 상기 베이스팬(500)에 고 이는 응축수도 상기 응축수배관(560)을 통해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으로 공급된 응축수는 상기 제1열교환기(510) 상단에 골고루 뿌려져 증발된다.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상측에는 실내송풍유닛(800)이 설치된다. 상기 실내송풍유닛(800)은 외기유입구(302)를 통해 공기조화기 내부로 유입된 실내 공기를 토출구(210)로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상면 중앙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직립되게 설치된다.
상기 실내송풍유닛(800)의 전면 외관은 상부에어가이드(810)가 형성한다.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10)는 아래에서 설명할 상부팬(85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상측에 좌우로 가로질러 설치된다.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10)에는 상부팬하우징(820)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팬하우징(820)은 아래에서 설명할 상부팬(850)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아래에서 설명할 상부팬(850)에 의해 강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상부팬하우징(820)에 의해 안내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토출안내구(824)로 유동한다.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10)의 중앙 부분에는 상모터공(822)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모터공(822)에는 상부모터(830)가 삽입 설치된다. 상기 상부모터(830)는 아래에서 설명할 상부팬(850)에 회전 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10)의 상단부에는 토출안내구(824)가 관통 설치된다. 상기 토출안내구(824)는 상기 토출루버(110)과 대응되는 직사각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상부팬하우징(820)에 의해 안내되는 공기가 상기 토출안내구(824)를 통 해 전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토출루버(110)를 통과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모터(830)의 하측에는 상모터지지대(84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상모터지지대(840)는 상기에서 설명한 하모터지지대(670)와 같은 기능을 한다. 즉, 상기 상부모터(830)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상모터지지대(840)의 하단은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선단 상면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상부팬하우징(820) 내측에는 상부팬(850)이 수용 설치된다. 상기 상부팬(850)은 상기 흡입그릴(310)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강제하는 것으로, 상기 상부모터(830)의 후단에 체결되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10)의 후측에는 상부오리피스(860)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오리피스(860)는 사각형상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중앙부에는 공기가 유동 가능한 원형의 상오리피스공(862)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상부오리피스(860)의 후측에는 제2열교환기(870)가 설치된다. 상기 제2열교환기(870)은 상기 흡입그릴(310)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후반부에 좌우로 길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우측 선단부에는 컨트롤박스(880)가 설치된다. 상기 컨트롤박스(880)는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다수의 전장부품이 내장되는 곳으로,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즉, 상기 컨트롤박스(880)의 상반부는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하반부는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하측으로 돌출된다.
도 4와 도 5에는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전방 및 후방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후면은 단차지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전후 길이는 상반부와 후반부가 서로 상이하다. 즉,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하반부 전후길이는 상반부의 전후길이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중앙부분에는 단차면(350)이 형성된다. 즉,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상반부에 관통 형성되는 외기유입구(302) 하측에는 수평으로 이루어지는 단차면(35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차면(350)에는 덕트연결구(352)가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덕트연결구(352)는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의 하단이 체결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을 구성하는 프레임커넥터(430)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덕트연결구(352)는 상기 프레임커넥터(430)의 하단과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차면(350)의 좌우 측단부에는 그릴돌기삽입홀(354)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그릴돌기삽입홀(354)은 아래에서 설명할 흡입그릴(310)의 그릴체결돌기(317)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단차면(350)의 상측에는 그릴장착부(360)가 형성된다. 상기 그릴장착부(360)는 상기 흡입그릴(310)이 장착되는 부분으로, 상기 외기유입구(302)의 후측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기유입구(302)의 테두리에는 상기 프리필터(320)가 장착되는 다수의 필터고정후크(362)가 형성된다. 즉, 상기 외기유입구(302)의 테두리 후면의 네 모서리 부분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갈고리 형상의 필터고정후크(362)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프리필터(320)의 네 모서리를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하부그릴(330)은 상기 단차면(350)의 하측에 형성되는데, 이러한 하부그릴(330)은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하반부 우측부분에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5 도에서는 상기 흡입그릴(310)이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하반부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호환을 위해 형성한 것으로, 실제로는 우측부분(도 5에서는 좌측부분)만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고, 좌측부분(도 5에서는 우측부분)은 내부가 차폐되어 있어서 공기의 유동이 불가능하다.
이처럼 상기 하부그릴(330)을 후방프레임(300)의 우측 부분에만 형성하는 이유는, 상기 하부그릴(330)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1열교환기(510)를 통과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 하부그릴(330)를 통해 후방으로부터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1열교환기(510)의 우측으로 유입되어 제1열교환기(510)를 통과하여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하단에는 배관공(364)이 전후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배관공(364)은 응축수의 배출을 안내하는 배출관(도시되지 않음)이 관통 설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선단에는 상기 전방프레임(100)과의 체결을 위한 다수의 프레임체결돌기(370)가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체결돌기(370)는 스크류(screw) 와 같은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부분으로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좌우 및 선단부 및 상단 선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좌우 선단부의 중앙과 상단 및 하단 그리고,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상단 전면 좌우에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프레임체결돌기(370)에 스크류(screw)가 삽입되어 상기 전방프레임(100)에 체결되면 상기 후방프레임(300)과 전방프레임(100)의 체결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측면 상단의 후단에는 탈거홈(372)이 형성된다. 상기 탈거홈(372)은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양쪽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 부분 함몰되도록 형성되며, 상하의 길이는 사람의 손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탈거홈(372)은 사용자가 아래에서 설명할 흡입그릴(310)의 탈거리브(315)를 전방으로 당기기 위해 탈거리브(315)를 손으로 잡는 경우에 손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후면 상단부에는 그릴후크체결홀(374)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그릴후크체결홀(374)은 아래에서 설명할 그릴체결후크(316)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부분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그릴체결후크(316)의 선단부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그릴장착부(360)의 상단부 좌우에는 전후로 관통되는 그릴후크체결홀(374)이 형성되며, 이러한 그릴후크체결홀(374)은 아래에서 설명할 그릴체결후크(316)의 걸림부(316')가 관통 가능한 크기를 가진다.
도 6과 도 7에는 상기 흡입그릴(310)의 전방 및 후방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그릴(310)에는 다수의 그릴리브(312)가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다수의 그릴리브(312) 사이를 통해 공기의 흡입이 일어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그릴리브(312) 사이의 틈새는 그물망이나 망사 등에 의해 차폐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상기 그릴리브(312)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흡입그릴(310)의 중앙부에는 리브지지대(312')가 상하로 형성된다. 상기 리브지지대(312')는 상기 다수의 흡입그릴(31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흡입그릴(310)에는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의 일부가 수용되는 덕트수용홈(313)이 형성된다. 즉, 상기 흡입그릴(310)의 좌측부분에는 전방(도 6에서)으로 함몰된 덕트수용홈(313)이 형성되며, 이러한 덕트수용홈(313)의 하단은 상기 배기덕트(410)의 전면과 대응되는 반원홈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덕트수용홈(313)에 상기 배기덕트(410) 및 프레임커넥터(430)의 선단부가 수용된다.
상기 흡입그릴(310)은 전방으로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흡입그릴(310)의 양단은 전방으로 벤딩(bending)된 다음 연장되어, 하측으로 갈수록 그 넓이가 넓어지는 삼각형상의 그릴측면부(314)를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그릴측면부(314)의 내측에는 다수의 그릴보강리브(314')가 형성되어 지지강도를 보강하고 있다.
상기 흡입그릴(310)의 상단부에는 사용자의 탈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탈거리브(315)가 더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그릴측면부(314)의 상단에는 측방으로 소정 크기로 돌출된 탈거리브(315)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탈거리브(315)를 잡고 후방으로 당기면 상기 흡입그릴(310) 상단이 상기 후방프레임(300)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흡입그릴(310)의 상단에는 한 쌍의 그릴체결후크(316)가 형성된다. 상기 그릴체결후크(316)는 상기 흡입그릴(310) 상단부가 상기 후방프레임(300)에 체결되도록 하는 부분으로, 상기 흡입그릴(310)의 상단 좌우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그릴체결후크(316)는 자체의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선단부가 상하 좌우로 일정 거리 유동 및 복귀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선단부에는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후측 부분보다 더 크게 형성된 걸림부(316')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그릴체결후크(316)가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그릴후크체결홀(374)에 삽입된 다음, 일정 크기의 힘을 가하기 전에는 상기 그릴체결후크(316)의 걸림부(316') 때문에 상기 그릴체결후크(316)는 상기 그릴후크체결홀(374)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 흡입그릴(310)의 하단에는 그릴체결돌기(317)가 더 형성된다. 상기 그릴체결돌기(317)는 상기 그릴돌기삽입홀(354)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흡입그릴(310)의 하단 좌우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크기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그릴돌기삽입홀(354)의 폭과 대응되는 좌우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하 앞서 전술한 코드고정구(590)의 구성을 첨부된 도 8 내지 도 10c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상기 코드고정구(59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팬(500)의 상면 좌측 모서리부에 체결부재(S)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팬(500)의 상면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상면에 상기 코드고정구(590)의 하면이 안착되는 코드안착부(504)가 구비된다.
즉, 상기 코드고정구(590)는 코드안착부(504) 상면에 안착된 상태로 체결부재(S)에 의해 체결되어 유동이 제한되며, 이때 상기 코드고정구(590)는 파워코드(C)의 외면을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코드안착부(504)의 상면에는 하방향으로 함몰되어 상기 체결부재(S)가 체결되는 고정구체결홀(505)과, 상기 코드고정구(590)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걸림 구속되도록 천공된 고정구걸림홀(506)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구체결홀(505)은 코드고정구(590)가 체결부재(S)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부재(S)가 체결되는 곳으로, 상기 코드안착부(504)의 상면에서 일직선상에 다수개가 이격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코드고정구(590)는 상기 다수의 고정구체결홀(505)에 선택적으로 체결됨으로써 상기 파워코드(C)의 고정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된다.
상기 고정구체결홀(505)로부터 이격된 우측 즉, 상기 코드안착부(504)의 우측 상면에는 좌우로 길게 상방 돌출된 안착부보강리브(504') 구비된다. 상기 안착부보강리브(504')는 아래에서 설명할 고정구걸림돌기(도 9a의 도면부호 599)가 상 기 고정구걸림홀(506)에 삽입되어 걸림 구속되었을 때, 상기 코드안착부(504)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좌/우방향으로 길게 한 쌍이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안착부보강리브(504')는 서로 평행하게 이격 형성된다.
상기 코드안착부(504)의 후측에는 코드안내부(508)가 구비된다. 상기 코드안내부(508)는 베이스팬(500)의 상면에서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팬(500)의 상부 공간을 구획하며, 상기 코드고정구(590)에 의해 일부가 고정된 파워코드(C)가 공기조화기 외부로 인출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코드안내부(508)의 선단부는 코드고정구(590)가 위치한 방향으로 개구되며, 상기 코드안내부(508)의 후단부에는 인출방향이 안내된 파워코드(C)가 공기조화기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함몰된 코드노출홈(508')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코드고정구(590)의 후방에 위치한 파워코드(C)는 상기 코드안내부(508)에 의해 코드노출홈(508')으로 안내되어 공기조화기 외부로 노출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코드고정구(590)는, 상기 코드안착부(504)에 안착되며 고정구체결홀(505)에 체결되는 체결편(592)과, 상기 체결편(592)의 우측단부에서 라운드지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파워코드(C)를 수용하는 수용부(59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체결편(592)은 대략 사각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코드고정구(590)가 코드안착부(504)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체결부재(S)가 체결되는 것으로, 하면이 상기 코드안착부(504)의 상면과 접촉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체결편(592)의 중앙부에는 상/하로 천공된 체결공(도 9a의 도면부호 593)이 구비된다. 상기 체결공(593)은 전술한 다수 고정구체결홀(505)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체결됨으로써 상기 코드고정구(590)의 체결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용부(594)는 체결편(592)과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파워코드(C)가 수용되는 다수의 수용공간(596)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수용공간(596)은 다양한 굵기의 파워코드(C)를 선택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성된 것이다.
즉, 상기 수용공간(596)은 수용부(594)의 좌측에 형성된 제1수용공간(596')과, 상기 제1수용공간(596')의 우측에서 제1수용공간(596')보다 큰 곡률로 형성된 제2수용공간(59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코드고정구(590)에 의해 고정되어질 파워코드(C)의 굵기에 따라 상기 파워코드(C)는 제1수용공간(596')과 제2수용공간(596") 중에서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며, 상기 체결공(593)은 다수의 고정구체결홀(505)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체결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코드고정구(590)는 공기조화기에 적용되는 파워코드(C)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되어 질 수 있으며, 예컨대 대략 직사각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파워코드(C)가 적용시에는 상기 수용공간(596)의 형상 역시 사각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수용공간(596')과 제2수용공간(596")에 모두 파워코드(C)를 삽 입시켜 하나의 코드고정구(590)에 다수의 파워코드(C)가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제1수용공간(596')과 제2수용공간(596")의 내부 천장에는 가압돌기(594')가 구비된다(도 9b참조). 상기 가압돌기(594')는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수용되는 파워코드(C)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상기 수용공간(596)의 전/후 방향으로 파워코드(C)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코드고정구(59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한 쌍이 형성되며, 한 쌍의 가압돌기(594')는 서로 평행하게 이격 형성된다.
상기 코드고정구(590)의 상면에는 전/후단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코드고정구(590)의 강도를 보강하는 고정구보강리브(598)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구보강리브(598)는 코드고정구(590)의 형상이 변형되었을 때 이를 지지하여 코드고정구(590)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코드고정구(590)는 하면이 상기 코드안착부(504)에 접촉한 상태로 수용공간(596) 내부에 파워코드(C)가 삽입되며, 이때 상기 가압돌기(594')에 의해 파워코드(C)에는 압력이 가해진다.
이로 인하여 상기 코드고정구(590)는 체결공(593)을 기준으로 상방향(보다 정확하게는 반시계방향)의 힘이 가해지는데 이러한 굽힘 변형에 대하여 파손 가능성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구보강리브(598)는 코드고정구(590)의 상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드고정구(590)는 체결공(593)을 기준으로 우측부분이 전/후로 회전하 지 않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수용부(594)의 우측단부,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우측공간의 우측 하단에는 도 9a의 전방에서 볼 때 대략 "ㄴ" 모양의 고정구걸림돌기(599)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고정구걸림돌기(599)는 코드고정구(590)의 우측단부가 코드안착부(504)에 천공 형성된 고정구걸림홀(506)에 끼워져 걸림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구걸림돌기(599)의 전/후 길이는 상기 고정구걸림홀(506)의 길이와 대응되며, 상기 고정구걸림돌기(599)의 두께는 상기 고정구걸림홀(506)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코드고정구(590)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구걸림돌기(599)가 고정구걸림홀(506)에 삽입된 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도 10c와 같이 걸림 구속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외송풍유닛(600)에서 구성 요소간의 결합 관계를 첨부된 도 11a 내지 도 13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외송풍유닛(600)은 하부오리피스(610)와 하부에어가이드(620)가 결합되어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실외송풍유닛(600) 내부에는 상기 하부오리피스(610)와 하부에어가이드(620)에 대칭되게 함몰 형성된 하우징홈(640)이 맞닿아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공간에 상기 하부팬(630)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실외송풍유닛(6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유닛안착부(503)에 안착되어 상기 베이스팬(500)의 상면으로부터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다수개의 체결부재에 의해 하단 모서리부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실외송풍유닛(600)은 베 이스팬(50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외송풍유닛(600)의 하단부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유닛안착부(503)에 삽입되는 삽입부(도 12a의 도면부호 602)가 구비된다. 즉, 상기 삽입부(602)는 하부오리피스(610)와 하부에어가이드(620)가 형합시에 상기 유닛안착부(503)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닛안착부(503)에 삽입부(602)가 삽입되면 상기 삽입부(602)의 전/후 좌/우면은 유닛안착부(503)의 내측벽면에 접촉하게 되며, 상기 실외송풍유닛(600)은 베이스팬(500)의 상면에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실외송풍유닛(600)은 상기 메인드레인팬(700)과 보조드레인팬(750)의 하중을 동시에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실외송풍유닛(600)의 상면에는 하방향으로 함몰되어 메인드레인팬(700)의 하면 일부가 안착되는 드레인안착홈(614)이 구비되고, 상기 실외송풍유닛(600)의 전면(도 11a 참조)에는 "
Figure 112006081211867-pat00002
"형상을 가지도록 전방으로 돌출된 결합플랜지(615)가 구비된다.
즉. 상기 드레인안착홈(614)은 메인드레인팬(700)의 하면에서 하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부위(도 3 참조)와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함몰 형성되어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하중을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플랜지(615)는 상면에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의 하면 단부가 결합되어 보조드레인팬(750)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결합플랜지(615)의 상면에는 후크공(616)이 천공되며,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의 하면 선단(도 11b 참조)에는 결합후크(752)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후크(752)는 한 쌍의 사각판이 이격된 형상을 가지며, 전면과 후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후크공(616)의 폭과 대응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후크(752)의 후면 하단에는 후방으로 후크돌기(754)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후크(752)가 후크공(616)에 삽입되면 상기 후크돌기(754)는 후크공(616)을 관통하여 구속됨으로써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은 결합플랜지(615)의 상면에 의해 하중이 지지된다.
상기 결합플랜지(615)의 상면은 후방(도 11a 참조)으로 갈수록 하향 기울기를 가진다. 이것은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의 하면을 따라 흐르는 응축수가 상기 후크공(616)을 통해 하측으로 낙수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이 결합플랜지(615)에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이 제1열교환기(510)로 응축수를 낙수하게 되면, 낙수되는 응축수 중 일부는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의 하면을 따라 후방으로 흘러 상기 결합플랜지(615) 상면으로 유입되는데 이러한 응축수를 후방으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결합플랜지(615)의 상면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후크공(616)은 상기 결합플랜지(615)의 상면에서 후단부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플랜지(615)의 상면 좌측단부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된 낙수가이드(617)가 구비된다. 상기 낙수가이드(617)는 경사진 결합플랜지(615)의 상면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는 응축수가 좌측으로 낙수되지 않도록 유동을 제한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결합플랜지(615)의 상면에 고여있는 응축수는 상기 후크공(616)을 통해서만 하측으로 낙수되며, 상기 결합플랜지(615) 상면에 고인 응축수의 양이 많아져 후크공(616)으로 배수되지 않게 되면, 이러한 응축수는 상기 낙수가이드(617)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510)로 낙수된다.
한편, 상기 결합플랜지(615)는 제1열교환기(510)의 일면을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결합되어 제1열교환기(510)의 유동을 제한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즉, 상기 결합플랜지(615)는 제1열교환기(510) 면적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결합플랜지(615)의 좌우측면에는 체결부(618)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618)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1열교환기(510)의 측면과 체결되는 곳으로, 상기 결합플랜지(615)의 좌/우측면 상/하부에 다수 형성되며, 상기 제1열교환기(510)의 측면에도 상기 체결부(618)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멍(도시되지 않음)이 다수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부(618)와 구멍이 체결부재(도 13a의 도면부호 S)로 체결되면 상기 실외송풍유닛(600)은 제1열교환기(510)와 결합되어 분리되지 않게 된다.
상기 결합플랜지(615)의 내측에는 상기 하부오리피스(610)의 전면과 연접하도록 돌출된 이격돌기(도 12a의 도면부호 619)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이격돌기(619)는 제1열교환기(510)가 하부오리피스(610)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이격돌기(619)의 선단은 제1열교환기(510)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열교환기(510)가 결합플랜지(615) 내측에 삽입되면 상기 제 1열교환기(510)는 이격돌기(619)와 접촉하게 되어 상기 하부오리피스(610)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체결부(618)와 구멍에 체결부재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1열교환기(510)는 실외송풍유닛(600)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고정된다.
한편, 상기 배기가이드(650)의 내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배기그릴(652)이 구비되며, 상기 배기그릴(652)을 고정하기 위한 그릴고정홈(654)이 형성된다. 상기 그릴고정홈(654)은 배기그릴(652)의 외주면 일측을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배기그릴(652)의 상/하방향 유동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그릴고정홈(654)에 배기그릴(652)이 고정될 수 있기 위해 상기 배기그릴(652)의 외주면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그릴돌기(도 8의 도면부호 653)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그릴돌기(653)는 그릴고정홈(654)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하부오리피스(610)와 하부에어가이드(620)를 형합시에 도 8과 같은 상태로 먼저 끼워져 고정된다.
도 11b 를 참조하여 상기 하부에어가이드(620)의 외관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하부에어가이드(620)의 전면에는 격자 모양의 보강용리브(624)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보강용리브(624)는 하부에어가이드(620)의 전면 두께를 보강하여 하부에어가이드(62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에어가이드(620)의 전면에는 상기 하부모터(660) 및 하모터지지대(670)가 결합된다. 상기 하모터지지대(670)는 상부에 하부모터(660)를 수용하며, 상기 하모터지지대(670)의 하단부는 상기 베이스팬(500)의 상면 일측에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하모터지지대(670)의 하면과 접촉하는 베이스팬(500)의 상면은 비교적 큰 무게를 가지는 하부모터(660)의 하중을 지지하게 되므로 이를 보강하기 위한 구성이 더 구비된다.
즉, 상기 베이스팬(500)의 상면 전반부에는 격자 형상으로 상방 돌출된 지지대안착부(509)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대안착부(509)는 하모터지지대(670)의 하면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부모터(66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안착부(509)에는 다수개의 지지대체결홈(도 8의 도면부호 509')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대체결홈(509')은 상기 하모터지지대(670)의 하단부를 관통한 체결부재가 체결되어지는 곳으로, 상기 하모터지지대(670)와 베이스팬(500)이 결합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하부에어가이드(620)의 전면 중앙부, 즉 상기 하모터공(622)의 주위에는 지지대결합홈(624')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대결합홈(624')은 하모터지지대(670)와 하부에어가이드(620)가 결합되는 곳으로, 상기 하모터공(622)과 동심원을 이루는 원주상에 다수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대결합홈(624')과 지지대체결홈(509')이 상기 하모터지지대(670)의 상부와 하단부에 각각 체결되면 상기 실외송풍유닛(600)의 전면(도 11b 참조)은 베이스팬(500)에 완젼히 고정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팬(500)의 상면에는 전술한 지지앵글(580)과 브레이스(570)의 하부가 베이스팬(500)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 더 구비된다.
즉, 도 11a에서 볼 때 우측 선단 모서리에는 내측면에서 전방으로 함몰된 앵글안착홈(586)이 구비된다. 상기 앵글안착홈(586)은 상기 지지앵글(580)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곳으로, 상기 지지앵글(580)의 횡단면 형상과 대응되게 함몰 형성된다.
상기 앵글안착홈(586)의 전방 및 우측방으로는 앵글고정홀(588)이 천공 형성된다. 상기 앵글고정홀(588)은 전술한 베이스결합부(584)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상기 한 쌍의 앵글고정홀(588)은 베이스결합부(584)와 같이, 전방으로 천공된 앵글고정홀(588)의 위치가 우측방으로 천공된 앵글고정홀(588)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앵글(580)의 하단부가 앵글안착홈(586) 내부에 삽입되어 안착되면 상기 베이스결합부(584)와 앵글고정홀(588)은 동일한 직선상에 동심원을 이루게 되어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 가능하게 된다.
상기 앵글고정홈(588)에서 후측에는 브레이스지지부(575)가 상방 돌출된다. 상기 브레이스지지부(575)는 베이스팬(500)의 우측 상면에서 전/후에 각각 한 개씩 형성되어, 상기 브레이스(57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브레이스지지부(575)는 브레이스(570)의 선단 하측을 고정하기 위한 브레이스선단지지부(575')와, 후단 하측을 고정하기 위한 브레이스후단지지부(57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브레이스선단지지부(575')와 브래이스후단지지부(575")는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브레이스선단지지부(575')는 상방에서 볼 때 대략 "
Figure 112006081211867-pat00003
" 형상을 가지며, 상기 브레이스후단지지부(575")는 상방에서 볼 대 대략 "
Figure 112006081211867-pat00004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브레이스선단지지부(575')와 브레이스후단지지부(575")가 형성된 길이방향과 평행하도록 이격된 우측에는 상기 브레이스(570)의 하단부 즉, 베이스끼움부(578)가 삽입된다.
상기 브레이스지지부(575)의 우측면에는 안착가이드(577)가 구비된다. 상기 안착가이드(577)는 상기 브레이스(570)가 브레이스지지부(575)의 우측으로 삽입될 때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브레이스(570)의 안착위치를 안내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즉, 상기 안착가이드(577)는 브레이스지지부(575)의 우측면에서 우측방향으로 돌출되며, 전/후방향으로 다수개가 이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가이드(577)는 브레이스지지부(575)의 상단부에서 하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안착가이드(577)의 우측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안착가이드(577)의 우측단에서 베이스팬(500)의 우측면까지 거리는, 상기 베이스팬(500)의 바닥면에서 상방향으로 갈수록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브레이스(580)의 베이스끼움부(578)가 안착가이드(577)의 우측에 삽입되면 간섭이 최소화되며, 삽입되는 동안 상기 베이스끼움부(578)의 하단부는 안착가이드(577)의 경사진 우측단을 따라 안내되어 상기 베이스팬(500)의 상면에 안착 가능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팬(500)의 우측면에는 사각 형상을 가지고 좌측방향으로 함몰된 브레이스접촉부(577')가 구비된다. 상기 브레이스접촉부(577')는 상단부가 상기 브레이스체결부(579)의 상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브레이스(570)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팬(500)의 우측면에서 다수개 형성된다.
즉, 상기 브레이스접촉부(577')는 상기 한 쌍의 브레이스지지부(575')로부터 이격된 우측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고, 이들 사이에 하나 더 형성되어 모두 3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스접촉부(577')는 그 높이가 상기 브레이스체결부(579)의 높이와 대응된다. 따라서, 상기 브레이스체결부(579)가 베이스팬(500)의 상면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브레이스접촉부(577')는 브레이스체결부(579)의 하면과 접촉하여 상기 브레이스(570)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브레이스접촉부(577')에는 상기 브레이스지지부(575)와 브레이스접촉부(577) 사이에 끼워진 브레이스끼움부(578)를 구속하기 위한 구성이 더 구비된다. 즉, 상기 브레이스접촉부(577')의 우측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천공된 브레이스고정부(577")가 구비된다.
상기 브레이스고정부(577")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가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렇게 삽입된 체결부재의 좌측 단부는 상기 브레이스(570)의 브레이스체결부(579)와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스(570)가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브레이스접촉부(577')의 좌측면에 접촉시에 브레이스(570)의 좌측면이 안착가이드(577)로부터 이격되지 않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브레이스접촉부(577')의 좌측면은 안착가이드(577)의 하단부 우측면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상기 브레이스체결부(579)의 두께와 대응됨이 바람직하다.
도 14a와 도 14b에는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전방 및 후방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프레임(100)은 격자 모양으로 성형되어 사각 형상의 개구부가 다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다수의 개구부가 형성된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후면에는 보강판넬이 더 설치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보강판넬은 공기조화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수하거나 차단하는 방음 및 흡음 역할 그리고, 공기조화기 내부에서 생성되는 수분(응축수 등)을 흡수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전방프레임(100)에는 다수의 판넬후크공(130)이 형성된다. 상기 판넬후크공(130)은 상기 전면판넬(200)의 후면 테두리에 형성된 판넬후크(도시되지 않음)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판넬후크공(130)은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전면 테두리를 따라 다수 형성된다.
상기 전방프레임(100)에는 다수의 판넬체결부(132)가 형성된다. 상기 판넬체결부(132)는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상측과 하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판넬체결부(132)는 상기 루버설치구(102)의 상단에 3개 그리고, 상기 루버설치구(102)의 하단에 3개가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방프레임(100) 의 하단에도 소정 간격을 두고 좌우로 3개가 형성된다.
상기 판넬체결부(132)는 스크류(screw)와 같은 체결부재(도시되지 않음)가 관통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이러한 판넬체결부(132)의 중앙에는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관통되는 판넬체결공(132')이 전후로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프레임(100)에는 부가체결부(134)가 더 형성된다. 상기 부가체결부(134)는 상기 판넬체결부(132)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나, 그 형성위치가 상이하다. 즉 상기 부가체결부(134)는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중앙 부분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부가체결부(134)는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하반부 좌우에 각각 2개씩 형성된다.
상기 부가체결부(134)는 전면판넬(200)의 무게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즉, 상기 전면판넬(200)의 전면에 글라스(glass) 등과 같은 무거운 부품이 더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전면판넬(200)이 상기 전방프레임(10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부가체결부(134)에는 상기 판넬체결부(132)와 같이 체결부재가 관통하게 된다.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측면과 상면 후단에는 프레임체결부(140)가 다수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체결부(140)는 스크류(screw)와 같은 체결부재(도시되지 않음)가 체결되는 부분으로,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프레임체결돌기(370)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체결부재가 상기 프레임체결돌기(370)를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체결부(140)에 체결되면, 상기 후방프레임(300)과 전방프레임(100)이 서로 결합되는 것 이다. 상기 다수의 프레임체결부(140)의 중앙부에는 스크류(screw)와 같은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나사홈이 형성된다.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측면 후단부에는 다수의 체결가이드리브(142)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체결가이드리브(142)는 상기 전방프레임(100)과 후방프레임(300)의 조립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 또는 'ㄱ' 형상(상방에서 볼 때)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체결가이드리브(142)와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틈새로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선단 테두리가 삽입된다.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측면에는 한 쌍의 드레인체결구(144)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드레인체결구(144)는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양쪽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서로 대칭을 이루며, '┌' 또는 'ㄱ' 형상(상방에서 볼 때)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드레인체결구(144)에는 상기 전방프레임(100)과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이 체결부재에 의해 서로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체결구(144)의 후단에는 스크류(screw)와 같은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드레인체결공(144')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체결구(144)의 내부에는 도시(도 14b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에서 설명한 프레임체결부(140)도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측면 하단부에는 한 쌍의 베이스체결구(146)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체결구(146)는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양쪽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서로 대칭을 이루며, 상기 드레인체결구(144)와 같이 '┌' 또는 'ㄱ' 형상(상방에서 볼 때)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체결구(146)에는 상기 전방프레임(100)과 상기 베이스팬(500)이 스크류(screw)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서로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체결구(146)의 후단에는 스크류(screw)와 같은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베이스체결공(146')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체결구(146)의 내부에도 상기 드레인체결구(144)의 내부와 같이, 상기에서 설명한 프레임체결부(14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상면 후단에는 에어가이드체결구(148)가 다수 형성된다. 상기 에어가이드체결구(148)는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10)가 상기 전방프레임(100)에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부분으로,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상면 후단 하측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3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가이드체결구(148)에 의해 상부에어가이드(810)가 체결될 때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10)의 상단부는 에어가이드체결구(148)와 판넬구(104)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체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에어가이드체결구(148)에는 스크류(screw)와 같은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에어가이드체결공(148')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루버설치구(102)의 양측단에는 루버설치부(106)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루버설치부(106)는 상기 토출루버(110)의 양단이 설치되어 지지되는 부분으로, 전방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된 반원 형상으로 성형된다.
그리고, 이러한 루버설치부(106)의 내측면에는 토출루버(110)의 루버회전축(도시되지 않음)이 삽입되는 루버설치홈(108)이 측방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루 버설치홈(108)은 상기 한 쌍의 루버설치부(106) 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이러한 2개의 루버설치홈(108)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방은 개구되어, 루버회전축(도시되지 않음)의 설치를 용이하게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루버설치구(102)의 양단에 형성되는 한 쌍의 루버설치부(106)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는 상기 토출루버(110)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루버모터(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
상기 루버설치구(102)의 중앙 부분에는 루버지지대(15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루버지지대(150)는 상기 토출루버(110)의 중앙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하로 형성된다.
상기 루버지지대(150)는 상기 루버설치구(102)의 상하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연결부(152)와, 상기 연결부(152)의 중앙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스토퍼부(15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부(154)의 상단과 하단은 상기 토출루버(110)가 왕복 회전시에 이를 간섭하여 회전 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도 15a 와 도 15b에는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상부 및 하부 구성이 사시도로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은 대략 사각형상의 외형을 가지며, 상기 전방프레임(100)과 후방프레임(300) 사이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전방프레임(100)과 후방프레임(3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게 된다.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상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바닥구획리 브(702)가 형성된다. 상기 바닥구획리브(702)는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상면에 다수의 실(室)이 형성되도록 하여 응축수가 유동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상면에는 다수의 바닥구획리브(702)가 등 간격으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바닥구획리브(702)는 상기 메인드레인팬(700)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바닥구획리브(702)는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2열교환기(870)와 같은 다수의 부품이 메인드레인팬(700)의 상면에 밀착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제2열교환기(870)에서 생성되어 낙하한 응축수가 메인드레인팬(700)의 상면에서 용이하게 유동 가능하도록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바닥구획리브(702)로부터 이격된 좌/우측에는 상오리피스체결부(703)가 구비된다. 상기 상오리피스체결부(703)는 아래에서 설명할 오리피스체결블럭(도 16a의 도면부호 864)과 체결됨으로써 상기 상부오리피스(860)가 메인드레인팬(700) 상면에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바닥구획리브(702)는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전면 및 측면과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좌측으로 기울어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응축수의 유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에는, 다수의 바닥응축수홀(704)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바닥응축수홀(704)은 상기 제2열교환기(870)에서 발생하여 낙하하는 응축수가 메인드레인팬(700)의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전반부에는 하측으로 함몰된 하우징안착홈(710)이 더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안착홈(710)은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10)에 형성되는 상부팬하우징(820)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안착홈(710)은 상기 상부팬하우징(820)의 하단과 대응되는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하우징안착홈(710)의 상측에 상기 상부팬하우징(820) 하단이 수용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안착홈(710)에는 다수의 홈구획리브(712)가 일체로 등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홈구획리브(712)는 상기 바닥구획리브(70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홈구획리브(712)도 좌측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안착홈(71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안착홈(710)에는 홈응축수홀(714)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홈응축수홀(714)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닥응축수홀(704)과 같은 형상을 가지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홈응축수홀(714)은, 상기 하우징안착홈(710)의 최하단에 형성된다. 즉 하방으로 라운드지게 함몰되어 원호(전방에서 볼 때)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상기 하우징안착홈(710)의 제일 낮은 부위에 상기 홈응축수홀(714)이 형성된다. 이는 상기 하우징안착홈(710)에 고이는 응축수가 하측으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하우징안착홈(710)에서 이격된 전방에는 상에어가이드체결부(715)가 구비된다. 상기 상에어가이드체결부(715)는 아래에서 설명할 에어가이드체결블럭(도 16b의 도면부호 818)과 체결됨으로써 상기 상부오리피스(860)가 메인드레인팬(70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저면에는 응축수낙하가이드(716)가 더 형성된다. 상기 응축수낙하가이드(716)는 상기 응축수홀(704,714)을 통해 메인드레인팬(700)의 하측(저면)으로 이동하는 응축수가 원활하게 바로 낙하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저면으로 이동된 응축수가 타 부위로 흘러가지 않고, 바로 낙하되도록 유인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응축수낙하가이드(716)는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원통 형상을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응축수낙하가이드(716)는 상기 각각의 응축수홀(704,714)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상기 바닥응축수홀(704) 및 홈응축수홀(714)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응축수홀(704,714)과 대응되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에는 주변 부품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다수의 홈들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선단 우측 부분에는 컨트롤박스설치구(720)가 전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컨트롤박스설치구(720)는 상기 컨트롤박스(880)의 단면과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성형된다. 따라서, 이러한 컨트롤박스설치구(720)를 상하로 가로질러 상기 컨트롤박스(880)가 설치된다.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후단 좌측부분에는 덕트회피홈(722)이 후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덕트회피홈(722)은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의 하단부와 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덕트회피홈(722)은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의 선단부와 대응되는 반원 형상을 가진다.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후단 우측부분에는 작업구(724)가 형성된다. 상기 작업구(724)는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후단 우측모서리가 'ㄴ'자 형상으로 절개된 부분으로, 이러한 작업구(724)는 작업자의 작업(애프터서비스 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형성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우측단 하측에는 상기 압축기(520)가 설치되고, 이러한 압축기(520)에는 보호캡(도시되지 않음)이 씌워지는데, 이러한 보호캡의 장착을 상방에서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작업구(724)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우측단에는 냉매배관(도시되지 않음)이 통과하는 배관통과홈(726)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열교환기(510)와 압축기(520) 및 제2열교환기(870) 사이를 유동하는 냉매는 파이프(pipe)로 이루어지는 냉매배관에 의해 유동되는데, 이러한 냉매배관이 상기 배관통과홈(726)을 통해 상하로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배관통과홈(726)은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상방에서 볼 때)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좌측단 선단부에는 코드관통홈(730)이 형성된다. 상기 코드관통홈(730)은,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파워코드(도시되지 않음)와 상기 상부모터(8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 등이 통과하기 위한 홈이다. 상기 코드관통홈(730)은 '⊃'형상(상방에서 볼 때)을 가진다.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선단부에는 전원선통과홈(73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컨트롤박스설치구(720)의 좌측에 상기 전원선통과홈(732)이 형성된다. 상기 전원선통과홈(732)은 상기 압축기(520) 및 응축수펌프(550) 등으로 공급되는 각종 전원선이 통과하는 곳이다.
상기 전원선통과홈(73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상방에서 볼 때)으로 이루어지며, 선단에는 상기 전원선통과홈(732)으로 삽입된 전원선(도시되지 않음)이 다시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리브(732')가 더 형성된다.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우측면 선단 부근에는 보조홈(734)이 더 형성된다. 상기 보조홈(734)도 상기 전원선통과홈(732)가 같이 다수의 전원선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전원선통과홈(732) 크기보다는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주로 직류(DC)전원선 등이 통과된다.
상기 보조홈(734)은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상방에서 볼 때)으로 이루어지며, 우측단에는 삽입된 전원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직류선이탈방지리브(734')가 형성된다.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에는 상기 보조드레인팬(750)과의 결합을 위한 드레인체결부(736,737,739)가 형성된다. 상기 드레인체결부(736,737,739)는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전방드레인체결부(736)와,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후방드레인체결부(737), 그리고 우측드레인체결부(739)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방드레인체결부(736)는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선단 중앙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후방드레인체결부(737)는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후단 중앙부분 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전방드레인체결부(736)와 후방드레인체결부(737)의 중앙에는 스크류(screw)와 같은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드레인체결공(738)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우측드레인체결부(739)는,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우측 부분에는 3개가 형성된다. 즉,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후단과 상기 하우징안착홈(710)의 우측 선단 및 후단에 각각 형성되며, 이러한 상기 우측드레인체결부(739)에도 상기 드레인체결공(738)과 같은 우측드레인체결공(739')이 관통 형성된다.
한편,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우측에는 전술한 지지앵글(580)과 브레이스(570)의 상부가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먼저 상기 지지앵글(580)의 상부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을 먼저 살펴보면,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선단 우측모서리에는 앵글홀(740)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앵글홀(740)은 상기 지지앵글(580)이 관통하여 설치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앵글홀(740)의 상단부는 상기 지지앵글(580)의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상방에서 볼 때)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앵글(580)은 상기 앵글홀(740)의 상측으로부터 삽입된다.
상기 앵글홀(740)의 전방 및 우측에는 앵글체결부(745)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앵글체결부(745)의 하부에는 앵글체결구멍(745')이 각각 한 개씩 천공 형성된다. 상기 앵글체결구멍(745')은 체결부재가 삽입되어지는 곳으로, 상기 드레인결합부(582)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앵글체결부(745)는 상기 앵글체결구멍(745')에 체결된 체결부 재의 일부(예컨대, 스크류의 머리부)가 메인드레인팬(700)의 우측면으로부터 우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스크류의 머리부 두께보다 조금 깊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저면 우측단 부근에는 브레이스지지부(742)가 형성된다. 상기 브레이스지지부(742)는 상기 브레이스(570)의 상단, 즉 드레인팬지지부(574)가 지지되는 부분으로,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저면으로부터 하측(도 15에서는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쌍으로 구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브레이스지지부(742)는 서로 대칭되는 '└'과 '┘' 형상(도 15의 상방에서 볼 때)을 가지며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된다. 그리고, 한 쌍의 브레이스지지부(742)가 이격된 거리는 상기 드레인팬지지부(574)의 전/후(도 3 참조) 길이와 대응된다.
따라서, 상기 브레이스(570)는 드레인팬지지부(574)의 상면이 상기 브레이스지지부(742) 내측에 위치하게 되면 전방 및 좌/우측 방향(도 15b에서 볼 때)의 유동이 제한된다.
상기 브레이스지지부(742) 사이에는 다수개의 브레이스체결부(746)가 구비된다. 상기 브레이스체결부(746)는 드레인팬지지부(574)에 이격되게 천공된 지지부결합홀(574')과 체결부재로 체결되어지는 곳이다.
이를 위해, 상기 브레이스체결부(746)는 그 형성위치가 지지부결합홀(574')과 대응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좌우 측면 선단 부근에는 프레임체결 홈(744)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체결홈(744)은 스크류(screw)와 같은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나사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이 상기 전방프레임(100)에 고정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상기 프레임체결홈(744)은 상기 전방프레임(100)에 형성되는 드레인체결구(144)의 드레인체결공(144')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스크류(screw)가 상기 드레인체결공(144')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체결홈(744)에 체결되면,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선단부가 상기 전방프레임(100)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 실내송풍유닛(800)의 요부 구성인 상부에어가이드(810)와 상부오리피스(960)의 상세한 구성을 첨부된 도 16a 및 16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10)의 상단부에는 전방체결부(811)가 구비된다. 상기 전방체결부(811)는 상부에어가이드(810)가 전방프레임(100)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에어가이드체결구(148)와 체결부재 등으로 체결되며,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10)의 후면 상단부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3개가 형성된다.
상기 전방체결부(811) 사이에는 하방향으로 함몰된 도피홈(812)이 구비된다. 상기 도피홈(812)은 상기 전방프레임과 후방프레임이 체결되는 부위가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방프레임과 후방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체결부(140)와 프레임체결돌기(370)의 체결에 의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도피홈(812)이 형성되 어 있지 않으면, 상기 프레임체결돌기(370)는 상부에어가이드(810)의 상부에 의해 간섭되어 프레임체결부(140)와 체결되지 않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전방체결부(811) 사이에는 한 쌍의 도피홈(812)이 형성되며, 상기 도피홈(812)은 프레임체결돌기(370)가 내부에 삽입되어 질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체결돌기(370)의 외경보다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10)의 상면 전반부에는 이슬안내부(814)가 구비된다. 상기 이슬안내부(814)는 좌/우로 긴 직사각 모양을 가지며, 상면에 형성되는 응축수를 후방 좌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이슬안내부(814)의 하측에는 차가운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토출안내구(824)가 형성되며, 이러한 차가운 공기와 따뜻한 공기가 만나게 되면 상기 이슬안내부(814)에는 이슬이 맺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슬안내부(814)는 이러한 이슬이 전방으로 낙수되지 않도록 후방 좌측으로 안내하게 된다. 상기 이슬안내부(814)가 이슬을 좌측방향으로 안내하는 이유는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10)의 우측에는 컨트롤박스(880)가 구비되기 때문이다. 즉, 상기 컨트롤박스(880)는 내부에 많은 전장부품이 내장되어 있으므로 물과 접촉시에 누전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상기 이슬안내부(814)는 후단이 선단부보다 낮고 좌측단이 우측단보다 낮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슬안내부(814)의 좌/우측단과 선단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된 낙수방지리브(815)가 구비된다. 상기 낙수방지리브(815)는 이슬안내부(814) 상면에 갑자기 많은 이슬이 발생되었을 때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10) 전방으로 낙수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낙수방지리브(815)의 좌측 후단에는 이슬안내홈(816)이 구비된다. 상기 이슬안내홈(816)은 이슬안내부(814)를 따라 좌측 후방으로 안내된 이슬이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10)의 좌측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해 개구 형성된 것이다.
상기 이슬안내홈(816)의 선단에는 좌측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고 하방향으로 돌출된 대략 직사각판 모양의 낙수안내편(817)이 구비된다. 상기 낙수안내편(817)은 상기 이슬안내홈(816)을 통해 낙수되는 이슬이 전방 즉, 토출안내구(824) 방향으로 유동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10)의 전면 중앙부에는 상모터공(822)이 천공 형성되며, 상기 상모터공(822)의 주위에는 상지지대체결홈(826)이 함몰 형성된다. 상기 상지지대체결홈(826)은 상모터지지대(840)를 관통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곳으로, 상기 상모터공(822)과 동심원을 이루는 원주상에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10)의 전면 하부에는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1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에어가이드보강리브(828)가 구비된다. 상기 에어가이드보강리브(828)는 대략 격자 모양으로 전방 돌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에어가이드보강리브(828)는 상기 상부팬하우징(820)의 전면에 걸쳐 형성된다.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10)의 전/후면 하부에는 상기 실내송풍유닛(800)의 전/후반부가 메인드레인팬(700) 상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에어가이드체결블럭(818)과 오리피스체결블럭(864)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에어가이드체결블럭(818)은 상부에어가이드(810)의 하부 좌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한 상에어가이드체결부(715)에 체결부재 등으로 체결되며, 상기 오리피스체결블럭(864)은 상부오리피스(860)의 전면(도 16b 참조) 하부 좌/우측에 각각 돌출되어 상기한 상오리피스체결부(703)에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체결되면 상기 실내송풍유닛(800)은 메인드레인팬(700)의 상면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10)의 좌우측면 후반부에는 오리피스체결후크(865)가 구비된다. 상기 오리피스체결후크(865)는 아래에서 설명할 후크삽입홀(869')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10)가 상부오리피스(860)와 후크 체결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10)의 좌/우측면에서 상/하부에 각각 한개씩 형성된다.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10)의 후면에는 안착결합홈(도 16b의 도면부호 866)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안착결합홈(866)은 상부오리피스(860)와 상부에어가이드(810)를 결합시에 결합되는 위치를 안내함과 동시에 체결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안착결합홈(866)은 아래에서 설명할 삽입체결돌기(도 16a의 도면부호 867)를 내부에 수용하여 상부에어가이드(810)와 상부오리피스(860)의 결합 위치를 안내하며, 상기 안착결합홈(866)의 중앙에는 후방으로 함몰된 에어가이드체결홈(866')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가이드체결홈(866')이 아래에서 설명할 삽입돌기홀(867') 과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면,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10)와 상부오리피스(860)는 완전히 결합된다.
한편, 상기 상부오리피스(860)는 중앙부에 상오리피스공(862)이 천공되며, 사각판 모양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상부오리피스(860)의 전면에는 상기 상부팬하우징(820)의 후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밀착리브(868)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밀착리브(868)는 상부팬하우징(820)과 접촉하여 공기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상부팬하우징(820)의 후단부 크기보다 약간 크거나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오리피스(860)와 상부에어가이드(810)가 서로 결합되면 상기 밀착리브(868)는 상부팬하우징(820)의 개구부를 차폐하게 된다.
상기 밀착리브(868)의 외측에는 삽입체결돌기(867)가 구비된다. 상기 삽입체결돌기(867)는 상기 안착결합홈(866)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되어 안착결합홈(866)과 형합되는 곳으로, 형성되는 위치 역시 상기 안착결합홈(866)의 형성위치와 대응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체결돌기(867)의 중앙에는 전/후로 천공된 삽입돌기홀(867')이 구비된다. 상기 삽입돌기홀(867')은 상기 에어가이드체결홈(866')과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곳으로, 도 16a와 같은 상태로 상기 상부오리피스(860)의 후측에서 전방으로 체결부재를 상기 삽입돌기홀(867')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에어가이드체결홈(866')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오리피스(860)의 전면 좌/우측단에는 소정의 폭을 가지고 전방으로 돌출된 체결리브(869)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리브(869)의 상/하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천공된 후크삽입홀(869')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후크삽입홀(869')에 전술한 오리피스체결후크(865)가 삽입되면 상기 체결리브(869)의 외측면은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10)의 내부 좌/우측면과 접촉하여 공기 누설이 차단된다.
상기 상부오리피스(860)의 후면 테두리부에는 안착플랜지(861)가 구비된다. 상기 안착플랜지(861)는 내부에 제2열교환기(870)가 안착 및 결합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안착플랜지(861)는 도 16b와 같이 대략 "
Figure 112006081211867-pat00005
"형상을 가지고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열교환기(870)의 횡단면보다 조금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플랜지(861)의 좌/우측에는 다수개의 고정구멍(861')이 천공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안착플랜지(861) 내부에 제2열교환기(870)가 안착된 후에 상기 고정구멍(861')에 삽입된 체결부재가 제2열교환기(870) 일측에 체결되면 상기 제2열교환기(870)는 상부오리피스(86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작용을 첨부된 도 19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서 냉매와 공기의 유동을 살펴본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냉방 또는 난방을 위해 사용 가능하나, 여기서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가 냉방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때에는 상기 제1열교환기(510)는 응축기 역할을 하게 되고, 상기 제2열교 환기(870)는 증발기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520)와 제1열교환기(510) 및 제2열교환기(870) 사이에는 냉매배관(도시되지 않음)이 연결되어 냉매의 유동을 안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520)로부터 기체 냉매가 압축되어 고온고압의 상태로 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510)로 유입되면, 상기 제1열교환기(510)에서는 외측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냉매는 응축된다.
그런 다음 응축된 냉매는 팽창밸브(도시되지 않음)을 통과하면서 팽창되어, 상기 제2열교환기(870)로 유입된다. 상기 제2열교환기(870)로 유입된 냉매는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을 하여 증발한다. 따라서, 냉매는 기체상태가 되는데, 이때 액체상태의 냉매도 잔류하게 되어 실제로는 2상의 냉매가 혼재한다.
이러한 냉매는 상기 어큐뮬레이터(530)를 통과한 후에 다시 상기 압축기(520)에 보내져 냉매의 순환사이클(cycle)을 완성하게 된다.
한편, 공기는 상기 제1열교환기(510) 및 제2열교환기(87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을 도 1과 도 2 그리고, 도 19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우선 방열측(메인드레인팬(700)의 하측 부분)에서의 공기 유동(도면에서는 '
Figure 112006081211867-pat00006
'로 표시됨)을 살펴본다. 이때의 공기 유동은 기본적으로 상기 하부팬(630)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즉,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하부모터(660)가 구동하게 되면, 이러한 하부모터(660)의 축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하부팬(630)이 회전하면서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하반부에 형성되는 상기 하부그릴(330)을 통해 후방의 공기가 유입된다. 상기 하부그릴(330)을 통해 전방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방향을 전환하여 좌측으로 유동하게 되며, 상기 제1열교환기(510)를 통과한다.
상기 제2열교환기(870)를 통과하는 공기는 온도가 상승한다. 즉, 상기 제2열교환기(870)는 응축기 역할을 하게 되므로, 이러한 제2열교환기(87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공기는 고온 상태가 된다.
상기 제2열교환기(870)를 통과한 고온의 공기는 상기 하오리피스공(612)을 통과하여 상기 하부팬(630) 중앙부로 유입된다. 상기 하부팬(630) 중앙부로 유입된 공기는 하부팬(630)의 회전에 의해 방사상으로 유동되어 상기 배기가이드(650)에 의해 안내되어 상방으로 토출된다.
상기 배기가이드(650)에 의해 상방으로 안내되는 고온의 공기는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을 통해 건물의 외부로 완전히 배출된다.
다음으로, 흡열측(메인드레인팬(700)의 상측 부분)에서 일어나는 공기의 유동(도면에서는 '
Figure 112006081211867-pat00007
'로 표시됨)을 살펴본다. 이때의 공기 유동은 기본적으로 상기 상부팬(850)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즉,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상부모터(830)가 구동하게 되면, 이러한 상부모터(830)의 축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상부팬(850)이 회전하면서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외측(실내공간)의 공기가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상반부에 형성된 흡입그릴(310)을 통해 내부(전방)로 유입된다. 상기 흡입그릴(31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프리필터(320)와 탈취필터(322)를 차례로 통과하게 되고, 이 과정 에서 공기 중의 이물질이나 악취가 제거된다.
상기 프리필터(320)와 탈취필터(322)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2열교환기(870)를 통과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열교환이 일어난다. 즉, 상기 제2열교환기(870)는 증발기로 작용하므로, 상기 제2열교환기(870)를 통과하는 공기는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해 냉각된다.
상기 제2열교환기(870)를 통과한 저온의 공기는 상기 상오리피스공(862)을 통해 전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상부팬(850) 중앙으로 유입된다. 상기 상부팬(850) 중앙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부팬(850)의 회전에 의해 방사상으로 토출되며, 이러한 공기는 상기 상부팬하우징(820)에 의해 안내되어 상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상부팬하우징(820)에 의해 상측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10)의 토출안내구(824)를 통해 전방으로 나와 상기 토출루버(110)를 통과한다. 상기 토출루버(110)를 통과하는 저온의 공기는 상기 토출구(210)이 전방으로 배출되어 실내공간을 냉방하게 된다. 한편, 상기 토출루버(110)를 통과하는 공기는 토출루버(110)에 형성된 다수의 리브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기도 한다.
이때, 상기 토출구(210)를 통해 토출되는 차가운 공기와 이슬안내부(814) 상측의 따뜻한 공기가 만나 이슬안내부(814)에 이슬이 발생되면, 이러한 이슬은 상기 이슬안내부(814)의 좌측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도 16a 참조)
이후 이슬은 상기 이슬안내홈(816)를 통해 실내송풍유닛(800)의 좌측으로 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슬안내홈(816)을 따라 낙수되는 이슬은 상기 낙수안내편(817)에 의해 전방향 유동이 제한되어 하측으로 낙수된다.
그리고, 이슬안내부(814) 상면에 많은 이슬이 급격하게 발생하게 되더라도 상기 이슬안내부(814)의 선단 및 좌/우측단에는 낙수방지리브(815)에 의해 실내송풍유닛(800)의 전방으로 낙수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코드고정구(590)를 이용하여 베이스팬(500) 상면에 파워코드(C)를 고정하는 과정을 도 8 내지 도 10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코드고정구(590)가 코드안착부(504)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고정하고자 하는 파워코드(C)의 굵기에 따라 상기 다수개 수용공간(596)을 선택하여 삽입하게 된다. 즉, 상기 파워코드(C)가 굵은 경우 상기 제2수용공간(596")에 삽입하며, 가늘 경우에는 제1수용공간(596')에 삽입하게 된다.
이후 상기 코드고정구(590)를 도 10b와 같이 우측으로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기울인 상태에서 상기 고정구걸림돌기(599)를 고정구걸림홀(506)에 삽입한 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구걸림돌기(599)의 상면은 코드안착부(504)의 하면과 접촉하여 구속되며, 상기 코드안착부(504)는 안착부보강리브(504')에 의해 보강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돌기(597)의 하단부는 상기 파워코드(C)의 외주면 상부를 하방향으로 가압하는 상태이다.
이후 상기 체결공(593)에 체결부재(S)를 삽입하고 상기 체결부재(S)의 하단부를 상기 다수개 고정구체결홀(505)에 체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상기 코드고정구(590)를 이용한 파워코드(C)의 고정은 완료된다. 이후 상기 코드고정구(590)의 후방으로 인출된 파워코드(C)는 상기 코드안내부(508)로 안내한 뒤 상기 코드노출홈(508')을 통해 공기조화기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고정된 파워코드(C)는 상기 체결부재(S)를 풀어 코드고정구(590)가 코드안착부(504)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되면 구속이 해지된다.
이하 상기 실외송풍유닛(600)을 베이스팬(500)에 고정하는 과정을 첨부된 도 11a 내지 도 1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2a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하부에어가이드(620)의 전방에 하부팬(630)을 위치시킨 후, 상기 하부모터(660)를 하부에어가이드(62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하모터공(622) 내부에 삽입하게 된다.
이후 상기 하부모터(660)와 하부팬(630)을 축결합하게 되며, 상기 배기가이드 내부에 상기 배기그릴(652)을 위치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배기그릴(652)의 외주면에 형성된 그릴돌기(653)는 그릴고정홈(654)에 삽입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하부팬(630), 하부모터(660), 배기그릴(652)이 상기 하부에어가이드(620)에 가고정되면, 상기 하부에어가이드(620)의 전방에 하부오리피스(610)를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외송풍유닛(600)을 도 11a와 같이 세운 후 상기 유닛안착부(503)에 삽입부(602)를 삽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유닛안착부(503)는 삽입부(602)를 내부에 수용하여 구속함으로써 상기 실외송풍유닛(600)은 베이스팬(500) 상면에서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하모터지지대(670)의 상부에는 도 11b와 같이 상기 하부모터(660)가 끼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하모터지지대(670)의 하단부는 상기 지지대안착부(509)의 상면과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다수개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하모터지지대(670)의 상부와 하단부를 관통한 후, 관통된 다수개의 체결부재를 상기 지지대결합홈(624')과 지지대체결홈(509')에 체결하게 된다.
상기한 과정으로 상기 실외송풍유닛(600)은 베이스팬(500)에 지지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하부모터(660) 역시 상기 하모터지지대(670)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베이스팬(500)으로부터 지지 가능하게 된다.
이하 상기 실내송풍유닛(800)과 전방프레임 및 후방프레임의 결합 과정을 첨부된 도 13a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6a와 같이 완전히 분해된 실내송풍유닛(800)을 조립한다. 즉, 상기 상부팬하우징(820) 내부에 상기 상부팬(850)을 삽입한 후 상기 상부모터(830)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넣어 상기 상부팬(850)과 상부모터(830)를 축결합한다.
이후 상기 상모터지지대(840)의 천공된 상부에 상기 상부모터(830)의 후반부를 삽입하고,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상모터지지대(840)를 관통한 후 체결부재의 후단부를 상기 상지지대체결홈(826)에 체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모터지지대(840)는 상부에어가이드(810)의 전면에 결합된다.
이후 상기 상부오리피스(860)와 상부에어가이드(810)를 결합하게 된다. 즉, 상기 상부팬하우징(820)의 후단부에 상기 밀착리브(868)를 밀착시키게 되면, 상기 오리피스체결후크(865)는 후크삽입홀(869')에 삽입되어 걸림 고정된다. 이때, 상기 삽입체결돌기(867)는 안착결합홈(866)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돌기홀(867')과 에어가이드체결홈(866')에 체결볼트를 삽입하여 체결하게 되면, 상기 실내송풍유닛(800)의 결합은 완료된다.
상기한 과정으로 결합이 완료된 실내송풍유닛(800)은 하우징안착홈에 안착되며, 이때, 상기 실내송풍유닛(800)의 상단부는 에어가이드체결구와 프레임체결부(140)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전방체결부(811)와 에어가이드체결공을 체결하여 상기 실내송풍유닛(800)의 상단부를 전방프레임에 고정시키고, 이어서 상기 에어가이드체결블럭(818)과 상에어가이드체결부(715), 그리고 상기 오리피스체결블럭(864)과 상오리피스체결부(703)를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함으로써 상기 실내송풍유닛(800)의 하부를 메인드레인팬(700) 상면에 고정하게 된다.
상기한 조립 과정이 완료되면 공기조화기는 도 17과 같은 상태가 되며 이후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선단과 전방프레임(100)의 후단을 서로 접촉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체결돌기(370) 내부에 체결부재를 삽입한 후 상기 프레임체결부(140)에 체결하게 되면, 공기조화기의 조립은 완료된다.
이하 상기 지지앵글(580)과 브레이스(570)를 이용하여 공기조화기의 강도를 보강하는 과정을 첨부된 도 3, 도 11a, 도 15a 및 도 15b 그리고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8과 같이 상기 베이스팬(500) 상면 좌측에 실외송풍유닛(600)이 설치되고, 상기 실외송풍유닛(600) 상측에 메인드레인팬(700) 및 실내송풍유닛(800)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팬(500)과 메인드레인팬(700) 사이의 우측단에 상기 브레이스(570)를 직립되게 세우게 된다.
이때, 상기 브레이스(570)는 상단부가 하단보다 우측에 위치하도록 비스듬히 눕힌다음, 상기 브레이스체결부(579)를 상기 한 쌍의 브레이스지지부(575) 우측에 삽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안착가이드(577)는 하단부의 폭이 상단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부가 넓게 개구되어 있으므로 상기 브레이스체결부(579)의 삽입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스체결부(579)가 삽입될 때 상기 안내가이드(577)는 브레이스체결부(579)의 하단부를 우측방향으로 간섭하여 상기 브레이스체결부(579)의 우측면이 브레이스접촉부(577')의 좌측면과 접촉하도록 안내하게 된다.
상기한 과정으로 상기 브레이스체결부(579)가 브레이스지지부(575) 내측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브레이스(570)의 상부를 좌측으로 밀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브레이스(57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드레인팬지지부(574)는 브레이스지지부(742)에 의해 간섭되어 지지됨으로써 더 이상 회동되지 않게 된다.
이후 상기 브레이스체결부(746)와 지지부결합홀(574')를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체결하게 되면 상기 브레이스(570)는 메인드레인팬(700)의 우측단을 상방향으로 지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앵글(580)을 이용하여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선단 우측을 지지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지지앵글(580)을 세로로 세운 상태에서 지지앵글(58)의 하단부를 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앵글홀(740)에 삽입하게 된다.
상기 앵글홀(740)을 관통한 지지앵글(580)의 하단부는 상기 앵글안착홈(586) 내부에 삽입되면서 안착된다.
상기 지지앵글(580)이 앵글안착홈(586)에 안착되면 상기 지지앵글(580)의 하단부는 상기 베이스팬(500)의 상면과 접촉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드레인결합부(582)와 앵글체결구멍(745') 그리고, 상기 베이스결합부(584)와 앵글고정홀(588)은 대응되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때,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체결하게 되면, 상기 지지앵글(580)의 상/하부는 메인드레인팬(700)과 베이스팬(500)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우측 선단의 하중을 상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 지지앵글(580)이 베이스팬(500)의 우측 선단에만 설치되어 메인드레인팬(700)의 우측 선단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성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베이스팬(500)의 모서리부에 다수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서는, 베이스팬의 상면 일측에 브레이스와 지지앵글이 구비되어 실내송풍유닛의 하중이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공기조화기 내부의 다수 부품의 하중이 고르게 분산되므로 안정적이며, 내구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메인드레인팬과 베이스팬의 일측에 지지앵글과 브레이스의 장착 위치를 안내하는 앵글홀과 안착가이드를 구비된다.
따라서, 지지앵글과 브레이스의 조립이 용이해지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메인드레인팬과,
    상기 메인드레인팬의 하측에 구비되어 메인드레인팬을 지지하며, 냉매와 열교환된 공기를 실외로 토출하는 실외송풍유닛과,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팬;을 포함하여 구성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팬과 메인드레인팬 사이에는,
    상단이 상기 메인드레인팬에 고정되고, 하단이 상기 베이스펜에 고정되어 상기 메인드레인팬을 지지하는 브레이스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팬과 메인드레인팬 사이에는,
    상기 메인드레인팬의 일측에 상부가 삽입 고정되어 상기 메인드레인팬을 지지하는 지지앵글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드레인팬의 일측에는,
    상/하로 천공되어 상기 지지앵글이 삽입 가능하며, 상기 지지앵글의 상부를 구속하는 앵글홀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앵글홀은 지지앵글의 횡단면과 대응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스의 상단부에는,
    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메인드레인팬의 하면과 결합되는 드레인팬지지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드레인팬의 하면 일측에는,
    상기 드레인팬지지부의 일측을 간섭하여 상기 브레이스의 일방향 유동을 제한하는 브레이스체결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팬의 상면 일측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브레이스의 하단부가 수용되며, 상기 브레이스의 전/후 방향 유동을 제한하는 브레이스지지부와;
    상기 브레이스지지부의 일면에서 우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팬의 하단부의 안착 위치를 안내하는 안착가이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가이드는 하단부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좁은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송풍유닛의 일측에는,
    냉매가 공기와 열교환되도록 하는 열교환기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돌출 형성 된 결합플랜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플랜지의 일측에는,
    상기 실외송풍유닛의 외면과 접촉하여 상기 열교환기가 실외송풍유닛과 이격되도록 하는 이격돌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60109174A 2006-11-06 2006-11-06 공기조화기 KR101316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174A KR101316182B1 (ko) 2006-11-06 2006-11-06 공기조화기
US11/710,539 US7614248B2 (en) 2006-11-06 2007-02-26 Air conditioner
EP07250861.7A EP1918657B1 (en) 2006-11-06 2007-03-01 Air conditioner
CN2007101081260A CN101178224B (zh) 2006-11-06 2007-05-30 空调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174A KR101316182B1 (ko) 2006-11-06 2006-11-06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076A KR20080041076A (ko) 2008-05-09
KR101316182B1 true KR101316182B1 (ko) 2013-10-08

Family

ID=38804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9174A KR101316182B1 (ko) 2006-11-06 2006-11-06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14248B2 (ko)
EP (1) EP1918657B1 (ko)
KR (1) KR101316182B1 (ko)
CN (1) CN1011782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02087B2 (en) * 2008-11-19 2013-12-10 Tai-Her Yang Double flow-circuit heat exchange device for periodic positive and reverse directional pumping
US9303882B2 (en) 2009-06-26 2016-04-05 Trane International Inc. Blow through air handler
US20140216458A1 (en) * 2011-11-23 2014-08-07 Michael Dean Asbra Air Conditioned and Ambient Fresh Air Supply System for Respirator Users
US20120125037A1 (en) * 2010-11-23 2012-05-24 Michael Dean Asbra Air Conditioned and Heated Ambient Fresh Air Supply System
US10238898B2 (en) * 2010-11-23 2019-03-26 Michael Dean Asbra Air conditioned and ambient fresh air supply system for respirator users
CN103544773A (zh) * 2012-07-16 2014-01-29 鸿富锦精密工业(武汉)有限公司 自动售货机中的温度调节装置
US9724438B2 (en) 2014-01-29 2017-08-08 Turbett Surgical LLC Sterilizing method and apparatus
US10391435B2 (en) 2014-01-29 2019-08-27 Turbett Surgical LLC Sterilizing method and apparatus
US9616368B2 (en) 2014-01-29 2017-04-11 Turbett Surgical LLC Sterilizing method and apparatus
US10881997B2 (en) 2014-01-29 2021-01-05 Turbett Surgical, Inc. Method of sterilization verification
US10245335B2 (en) 2014-01-29 2019-04-02 Turbett Surgical LLC Sterilizing method and apparatus
EP3153782A4 (en) 2014-06-05 2018-0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grated air conditioner
CA2956904C (en) 2014-07-31 2020-07-14 Turbett Surgical,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ing
ES2946904T3 (es) * 2015-03-31 2023-07-28 Turbett Surgical Inc Procedimiento y aparato de esterilización
US20170045241A1 (en) * 2015-08-10 2017-02-16 New Widetech Industries Co., Ltd. Mobile air conditioner
JP6667289B2 (ja) * 2015-12-25 2020-03-18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06958875A (zh) * 2017-04-10 2017-07-1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移动空调
WO2019239585A1 (ja) * 2018-06-15 2019-12-19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6615Y1 (ko) * 1988-07-05 1991-08-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식 에어컨디셔너의 응축수 처리장치
KR100441104B1 (ko) 2002-09-03 2004-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의 열교환기 고정구조
KR20050047859A (ko) * 2003-11-18 2005-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의 팬하우징 체결구조
JP2006234282A (ja) 2005-02-25 2006-09-07 Sharp Corp 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34324A (en) 1957-02-07 1960-04-26 Gen Motors Corp Heat exchange and control therefor
US2887854A (en) * 1957-07-01 1959-05-26 Gen Electric Room air conditioner condensate disposal means
US3771321A (en) * 1972-10-04 1973-11-13 Climate Control Systems Inc Modular air conditioning equipment
US4367635A (en) * 1981-06-15 1983-01-11 Carrier Corporation Combination control box and service cord strain relief for an air conditioning unit
US4410033A (en) * 1981-07-02 1983-10-18 Carrier Corporation Combination coupling retainer and support for a heat exchange unit
JPS5835343A (ja) * 1981-08-25 1983-03-02 Matsushita Seiko Co Ltd スポツトク−ラ
US4723419A (en) * 1986-08-07 1988-02-09 American Standard Inc. Outdoor heat exchanger section
US5284027A (en) * 1990-10-31 1994-02-08 Martin Sr Lendell Air conditioning systems
KR100252478B1 (ko) 1997-05-09 2000-04-15 윤종용 아날로그디지털컨버터의앰프오프셋평가방법
US5901566A (en) * 1997-11-20 1999-05-11 Consolidated Technology Corp. Heat pump
AU7900698A (en) * 1998-06-22 2000-01-10 Correa, Juan Carlos Carne Three-way mounting of an air conditioner
US6098416A (en) * 1998-12-10 2000-08-08 Friedrich Air Conditioning Co. Heat pump, housing and method
US6804975B2 (en) * 2001-11-30 2004-10-19 Choon-Kyoung Park Air conditioning apparatus
CN2641503Y (zh) * 2003-08-14 2004-09-15 广东科龙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空调器底座
KR20050019591A (ko) 2003-08-20 2005-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응축기 케이싱을 구비한 일체형 공기조화기
MXPA06004583A (es) * 2003-10-24 2007-04-17 Lg Electronics Ltd Unidad interior en un aire acondicionado.
CN1273777C (zh) 2003-11-26 2006-09-06 广东科龙电器股份有限公司 室内外进风的可移动式空调器
CN1287115C (zh) * 2004-03-08 2006-11-29 广东科龙电器股份有限公司 移动式空调器及其排除冷凝水的控制方法
US7172452B1 (en) * 2004-06-01 2007-02-06 Jason Jay Laws Modular cable guid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6615Y1 (ko) * 1988-07-05 1991-08-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식 에어컨디셔너의 응축수 처리장치
KR100441104B1 (ko) 2002-09-03 2004-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의 열교환기 고정구조
KR20050047859A (ko) * 2003-11-18 2005-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의 팬하우징 체결구조
JP2006234282A (ja) 2005-02-25 2006-09-07 Sharp Corp 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18657A3 (en) 2012-06-13
EP1918657A2 (en) 2008-05-07
KR20080041076A (ko) 2008-05-09
EP1918657B1 (en) 2018-05-02
CN101178224B (zh) 2012-06-27
US7614248B2 (en) 2009-11-10
US20080104990A1 (en) 2008-05-08
CN101178224A (zh) 2008-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6182B1 (ko) 공기조화기
KR101335748B1 (ko) 공기조화기
KR101304064B1 (ko) 공기조화기
EP1876399B1 (en) Air conditioner
KR101416988B1 (ko) 공기조화기
KR101314915B1 (ko) 공기조화기
KR101308339B1 (ko) 공기조화기
KR20080075259A (ko) 이동식 공기조화기
KR101235930B1 (ko) 공기조화기
KR102613507B1 (ko) 공기조화기
KR20090010420A (ko) 공기조화기의 배기안내수단
KR20080041062A (ko) 공기조화기
KR101384924B1 (ko) 공기조화기
KR101316427B1 (ko) 공기조화기
KR20080041071A (ko) 공기조화기
KR101384890B1 (ko) 공기조화기
KR101315602B1 (ko) 공기조화기
KR101280689B1 (ko) 공기조화기
KR20080041060A (ko) 공기조화기
KR101304158B1 (ko) 공기조화기
KR20080041074A (ko) 공기조화기
KR20080038729A (ko) 공기조화기
KR20080041077A (ko) 공기조화기
KR20080041064A (ko) 공기조화기
KR10134504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