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7027B1 - 공기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7027B1
KR102587027B1 KR1020210065989A KR20210065989A KR102587027B1 KR 102587027 B1 KR102587027 B1 KR 102587027B1 KR 1020210065989 A KR1020210065989 A KR 1020210065989A KR 20210065989 A KR20210065989 A KR 20210065989A KR 102587027 B1 KR102587027 B1 KR 102587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uver
disposed
cover
air
v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5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8348A (ko
Inventor
현진수
배세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5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7027B1/ko
Priority to US17/742,785 priority patent/US20220373220A1/en
Priority to EP22173409.8A priority patent/EP4095456B1/en
Priority to JP2022081386A priority patent/JP2022180317A/ja
Priority to CN202210555856.XA priority patent/CN115388540A/zh
Publication of KR20220158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8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7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70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1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using more than one tilting member, e.g. with several pivoting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78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63Means for active heating or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8Ventilating systems
    • F21V33/0092Ventilating systems with heating or coo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9/0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 B01D2279/5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air conditio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4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g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0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처리장치는,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로 유동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루버와, 램프, 상기 램프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램프에서 출력된 광이 통과하는 투명패널을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루버는, 루버회전축을 기준으로 반경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패널은 상기 복수의 베인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처리장치{Air Processing Aparatus}
본 발명은 공기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루버를 포함하는 공기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처리장치는, 공기조화기 또는 공기청정기를 포함하여, 실내의 온도를 조절하거나, 실내의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경우, 스탠드형 실내기, 벽걸이형 실내기, 및 천장형 실내기 등의 실내기가 실내공간에 배치되어, 실내공간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는, 주로 실내공간의 바닥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고, 실내공간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천장에 설치되거나, 벽의 상측에 배치되는 공기처리장치는, 좌우방향으로 긴 토출구를 형성한다. 또한, 천장이나 벽의 상측에 배치되는 공기처리장치는,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도록 루버와 루버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루버구동장치를 포함한다.
선행문헌1(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8-0066546호, 공개일자 2018년6월19일)은, 베인의 배치를 변경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공기처리장치를 개시한다. 다만, 베인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구동모터가 베인의 좌우방향의 일측에 배치되므로, 구동모터가 배치되는 부분에서는, 토출구가 형성되지 못할 수 있다. 이는, 토출구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문제가 발생한다.
선행문헌2(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80102호, 공개일자 2017년7월10일)는 천장형 에어컨에서, 베인의 일측에만 모터가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베인이 공기토출구를 닫았을 때, 상기 베인은 모터가 설치된 일측에서 모터가 설치되지 않은 타측까지 공기토출구를 균일하게 닫지 못하게되는 문제점에 대한 개선 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한편, 천장형 공기처리장치는 본체의 고정된 위치에 동작상태를 알리는 램프가 배치된다. 예를 들어, 선행문헌2에서는 베이스패널 중 제4에지부의 상측면에 램프가 위치한다. 하지만, 램프 및 사용자 위치에 따라, 램프의 발광이 잘 안보이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램프의 점등, 점멸로 제공하는 정보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동작상태를 알리는 램프의 시인성을 향상할 수 있는 광출력 구조의 공기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램프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광출력장치를 가지는 구조의 공기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좌우방향으로 토출구를 형성하는 공기처리장치에서 토출구를 최대한으로 확장할 수 있는 루버를 가지는 구조의 공기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처리장치는, 배치형태가 가변되는 루버를 통하여 광을 출력하여 더 많은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처리장치는,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로 유동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루버와, 램프, 상기 램프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램프에서 출력된 광이 통과하는 투명패널을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루버는, 루버회전축을 기준으로 반경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패널은 상기 복수의 베인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루버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는 배선이 관통하는 배선홀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램프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루버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베인 중 최외각에 배치된 베인에 접촉하게 배치되어 상기 루버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루버구동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루버는, 상기 루버회전축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격배치되는 아우터베인, 상기 루버회전축과 상기 아우터베인 사이에 배치되고, 반경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이너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패널은, 상기 복수의 이너베인 중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베인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베인기어가 형성되고, 루버구동장치는, 상기 베인기어와 맞물려 상기 루버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아우터베인은, 상기 루버회전축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호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이너베인은, 상기 아우터베인보다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이너베인 각각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이너베인은, 상기 루버회전축에 가깝게 배치될수록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베인과 상기 복수의 이너베인 각각이 서로 이격된 간격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멀어질 수 있다.
복수의 이너베인 각각은,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루버회전축에 인접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이너베인하부와, 상기 이너베인하부의 상단에서 밴딩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는 이너베인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루버는, 상기 상기 루버회전축에서 연장되는 축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축베인은 상기 이너베인하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출력장치는, 상기 투명패널에 외측면에 배치되는 반사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램프는, 상기 발광다이오드(LED)일 수 있다.
상기 출력장치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가 일렬로 배치된 발광다이오드 어레이(LED array)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패널은 상기 루버회전축이 형성되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토출구가 개구된 하측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개구된 흡입구를 형성하고, 어퍼커버, 상기 어퍼커버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로어커버와, 상기 흡입구를 형성하는 리어커버와 상기 리어커버로부터 전방으로 이격 배치되는 프론트커버와, 상기 로어커버의 하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바텀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루버는, 상기 프론트커버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처리장치는, 상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또는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공기처리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배치형태가 고정되지 않은 루버를 통하여 광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램프의 출력광을 더 잘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기류를 형성하는 루버에 배치된 램프를 이용하여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루버를 구동시키는 루버구동장치가 루버의 회전축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루버와 연결되어, 루버가 좌우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이는, 토출구의 좌우방향 크기를 최대한을 확보할 수 있다. 이는, 공기처리장치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을 최대한을 증가시킬 수 있어, 실내공간의 공기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공기처리장치와, 제2공기처리장치와 필터청소기가 실내에 배치된 상태의 일측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공기처리장치, 또는 제2공기처리장치의 후방에 배치되는 필터청소기를 설명하기 위한 일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공기처리장치와, 제2공기처리장치와, 이들의 후방에 배치되는 가이드레일을 설명하기 위한 일측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후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공기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후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X1-X1'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X2-X2'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7의 X3-X3'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커버와 루버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후면도이다.
도 14a는 도 13의 Y1-Y1'을 자른 단면도이다.
도 14b는 도 13의 Y2-Y2'을 자른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버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후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Y3-Y3'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8a는 제1위치에서의 제1루버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8b는 제2위치에서의 제1루버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8c는 제3위치에서의 제1루버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공기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분해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저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Z1-Z1'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A의 확대도이다.
도 24는 도 21의 Z2-Z2'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커버의 일측사시도이다.
도 25b는 도 25a의 타측 사시도이다.
도 2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어퍼하우징의 일측사시도이다.
도 26b는 도 26a의 측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로어하우징의 일측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착부와 필터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착부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21의 Z3-Z3'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2은 도 21의 Z4-Z4'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3a는 제2바텀커버가 후방에 배치되는 상태에서, 제2바텀커버, 필터장착부, 및 필터장치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3b는 도 33a의 일측 단면도이다.
도 34a는 제2바텀커버가 전방에 배치되는 상태에서, 제2바텀커버, 필터장착부, 및 필터장치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4b는 도 34a의 일측 단면도이다.
도 35a는 제2바텀커버가 전방에 배치되고 필터장착부가 하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제2바텀커버, 필터장착부, 및 필터장치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5b는 도 35a의 일측 단면도이다.
도 35c는 도 35a의 또 다른 일측의 단면도이다.
도 36은 도 11의 확대도로 제1공기처리장치의 광출력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7은 도 36의 사시도이다.
도 38은 제2위치에서의 제1루버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9는 제3위치에서의 제1루버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0과 도 41은 램프와 인쇄회로기판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2 내지 도 44는 램프의 다양한 배치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5는 제2공기처리장치의 광출력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제1, 제2 등의 용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요소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한 요소를 다른 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된다.
도면들에서 표시된 상(U), 하(D), 좌(Le), 우(Ri), 전(F) 및 후(R)의 방향표시는,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따라서, 기준이 변경되면, 상기의 방향도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공조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공조시스템은,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하여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1공기처리장치(100)와 제1공기처리장치(100)의 일측에 배치되고,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제2공기처리장치(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공조시스템은, 복수의 공기처리장치(100a, 100b, 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공조시스템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제1공기처리장치(100a, 100b)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제2공기처리장치(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공조시스템은, 복수의 공기처리장치(100a, 100b, 200) 각각의 흡입구(102a, 202a)가 형성된 면을 따라 이동하며, 각각의 흡입구(102a, 202a)에 배치되는 프리필터(188, 288)를 청소하는 필터청소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조시스템은, 하나의 제2공기처리장치(200)와, 제2공기처리장치(200) 양측에 배치되는 2개의 제1공기처리장치(100)를 포함한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제1공기처리장치(100)와 제2공기처리장치(200)의 개수 및 배치가 다르게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면, 공조시스템은, 제1공기처리장치(100)와 제2공기처리장치(200) 각각의 후방에 배치되고, 필터청소기(3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10)을 포함한다.
제1공기처리장치(100)와 제2공기처리장치(200) 각각의 후방면 상단에는, 필터청소기(300)의 이동을 지지하는 지지레일(116, 244)이 배치될 수 있다.
지지레일은, 제1공기처리장치(100)에 배치되는 제1지지레일(116)과 제2공기처리장치(200)에 배치되는 제2지지레일(244)로 구분될 수 있다.
제1지지레일(116)은, 이하에서 설명할 제1공기처리장치(100)의 제1리어커버(114, 도 8 참조)와 일체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지지레일(244)는 이하에서 설명할 제2공기처리장치(200)의 제2리어커버(242, 도 23 참조)와 일체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10)은, 제1리어커버(114)와 제2리어커버(242)의 후방에 배치된다. 가이드레일(10)은 제1흡입구(102a)와 제2흡입구(202a)의 상측에 배치된다. 가이드레일(10)은, 제1리어커버(114)와 제2리어커버(242)의 후방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진다. 가이드레일(10)은, 제1리어커버(114)의 제1레일체결돌기(117)와, 제2리어커버(242)의 제2레일체결돌기(245)의 하측에 고정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10)은, 필터청소기(300)의 이동기어(미도시)와 맞물리도록 나사산을 형성하는 기어레일(20)과 필터청소기(300)의 가이드롤러(미도시)와 접촉하는 롤러레일(22)을 포함한다.
롤러레일(22)은, 기어레일(20)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롤러레일(22)은, 상하방향 양측에 배치된다. 기어레일(20)은, 롤러레일(22)의 전방에 배치된다. 기어레일(20)은, 가이드레일(10)의 하측면에서 형성되고, 랙기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레일(10)을 후방에서 바라볼 때, 롤러레일(22)에 의해 기어레일(20)이 가려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가이드레일(10)의 후방면에는, 레일홈(24)이 형성된다. 레일홈(24)은, 전방으로 오목하게 패인 형상을 가지고, 좌우방향으로 연장된다. 레일홈(24)에는, 감지대상물(26)가 배치된다. 감지대상물(26)는, 좌우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감지대상물(26)는, 필터청소기(300)에 배치되는 센서(미도시)에 의해 필터청소기(3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감지대상물(26)는, 센서(322)에 대응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가 스위치 센서인경우, 감지대상물(26)는, 후방으로 돌출된 돌기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센서가 홀센서인 경우, 감지대상물(26)는 자석이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10)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에는, 필터청소기(300)의 일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단부플레이트(28)가 배치된다. 단부플레이트(28)는, 가이드레일(10)이 연장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단부플레이트(28)는, 리어커버(114)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단부플레이트(28)에는, 필터청소기(300)의 연결단자(320)와 접촉되는 충전단자(30)가 배치된다. 단자는, 단부플레이트(28)에서 가이드레일(10)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필터청소기(300)가 단부플레이트(28)에 밀착될 때, 필터청소기(300)의 연결단자(320)와 충전단자(30)가 서로 접촉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제1공기처리장치>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17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공기처리장치를 설명한다.
제1공기처리장치(100)는, 유동하는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제1공기처리장치(100)는, 일측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제1흡입구(102a)가 형성되고, 제1흡입구(102a)에 수직한 타측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제1토출구(102b)가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흡입구(102a)는, 지면 또는 천장면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제1토출구(102b)는, 하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제1흡입구(102a)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공기처리장치(100)는, 내부에 공기유동을 형성시키는 제1팬(182)과, 제1팬(182)을 회전시키는 제1팬모터(184)와, 공기와 열교환하는 냉매가 유동하는 열교환기(186)을 포함한다. 제1공기처리장치(100)는, 외형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102)와, 제1케이스(102) 내부에 배치되고,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1하우징(132)을 포함한다. 제1공기처리장치(100)는, 제1케이스(102)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제1토출구(102b)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제1루버(150)와 제1루버(150)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제1루버구동장치(174)를 포함한다.
제1공기처리장치(100)는, 제1팬모터(184)의 작동을 조절하거나, 제1루버구동장치(174)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1컨트롤박스(1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케이스>
도 6을 참조하면, 제1케이스(102)는, 천장에 고정되는 제1어퍼커버(104), 제1어퍼커버(104)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로어커버(106), 제1흡입구(102a)를 형성하고, 제1프리필터(188)가 장착되는 제1리어커버(114), 제1리어커버(114)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배치되는 제1프론트커버(118), 제1로어커버(106)의 양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사이드커버(128)를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케이스(102)는, 제1로어커버(106)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바텀커버(130)를 더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리어커버(114)에는, 제1흡입구(102a)가 형성된다. 제1리어커버(114)의 외측면에는 가이드레일(10)이 장착될 수 있다. 제1리어커버(114)의 하부에는, 제1흡입구(102a)가 형성된다. 제1리어커버(114)에 형성된 제1흡입구(102a)에는 제1프리필터(188)가 장착된다. 제1리어커버(114)에는, 필터청소장치(3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10)과 제1지지레일(116)이 장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이드레일(10)은, 제1흡입구(102a)의 상측에 배치된다. 제1지지레일(116)은, 제1리어커버(114)의 상단에 배치된다. 가이드레일(10)은, 제1리어커버(114)와 별개의 구성일 수 있다. 제1지지레일(116)은, 제1리어커버(114)와 일체로 형성된 구성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지지레일(116)은, 제1리어커버(114)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1탑플레이트(116a)와, 제1탑플레이트(116a)의 후방단부에서 하측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밴딩부(116b)를 포함한다.
제1밴딩부(116b)에는, 필터청소기(300)의 탑롤러(326, 도 2 참조)가 접촉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리어커버(114)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1로어커버(106)의 제1수직플레이트(110)의 후방에 배치된다. 제1리어커버(114)는, 제1수직플레이트(110)의 후방에 고정배치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어퍼커버(104) 상측에 제1케이스(102)를 천장에 고정하는 고정부재(12)가 삽입되는 제1고정홈(104a)이 형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어퍼커버(104)의 상측에는 복수의 제1고정홈(104a)이 형성된다. 고정부재(12)는, 제1고정홈(104a)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고정부재(12)는, 측면에서 볼 때, 대략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부재(12)는, 천장에 고정되는 장착부재(14)에 연결되어 제1케이스(102)를 천장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1어퍼커버(104)는, 양측단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사이드플레이트(105)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플레이트(266d)는, 한 쌍의 제1사이드커버(128)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로어커버(106)는, 제1하우징(132)의 하측에 배치된다. 제1로어커버(106)에는, 제1루버구동장치(174)가 배치된다. 제1로어커버(106)는, 제1바텀커버(13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수평플레이트(108)와, 제1수평플레이트(108) 후방에서 수직하게 배치되고 제1이너흡입구(110a)가 형성되는 제1수직플레이트(110)와, 제1수평플레이트(108)의 양단에서 상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제1측벽(112)을 포함한다.
제1수평플레이트(108)에는, 제1루버구동장치(174)가 배치된다. 제1수평플레이트(108)에는, 제1바텀커버(130)의 수직돌기(131)가 삽입되는 연결홈(108a)이 형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한 쌍의 제1사이드커버(128) 각각은, 하부에서 제1로어커버(106)와 연결되고, 상부에서 제1어퍼커버(104)와 연결된다. 한 쌍의 제1사이드커버(128) 각각에는, 제1루버(150)의 회전을 지지하는 제1회전지지대(168)가 배치된다. 제1회전지지대(168)는, 제1루버(150)의 양단에 연결되어, 제1루버(150)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프론트커버(118)는 제1하우징(132)의 전방에 배치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프론트커버(118)의 하단은, 제1로어커버(106)의 전방단부(106a)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배치된다. 제1프론트커버(118)와 제1로어커버(106) 사이에는, 제1토출구(102b)가 형성된다. 제1프론트커버(118)에는, 제1루버(150)의 회전범위를 조절하고, 루버회전축(160)이 배치되는 제1루버홈(122)이 형성된 제1루버돌기(120)가 배치된다.
제1루버돌기(120)는, 제1프론트커버(118)가 형성되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도 14b를 참조하면, 제1루버돌기(120)에는, 제1루버(150)의 루버회전축(160)이 배치되는 제1루버홈(122)이 형성된다. 제1루버홈(122)도 제1루버돌기(120)가 연장되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도 14a를 참조하면, 제1루버돌기(120)의 좌우양단 사이에는, 제1보조지지대(170)가 배치되는 제1지지대홈(124)이 형성된다. 제1보조지지대(170)는, 제1프론트커버(118)에 고정배치되고, 제1루버(150)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다. 제1보조지지대(170)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한 쌍의 제1회전지지대(168) 사이에 배치된다. 제1보조지지대(170)는, 제1보조회전축(172)을 통해 제1루버(15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4b를 참조하면, 제1루버돌기(120)는, 제1루버홈(122)의 상측에서 후방 상측으로 경사진 면을 형성하는 돌기상부(120a)와, 제1루버홈(122) 하측에서 전방하측으로 경사진 면을 형성하는 돌기하부(120b)를 포함한다.
돌기상부(120a)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1루버(150)의 루버회전축(160)의 상단면과 접촉하여 제1루버(150)의 일방향 회전을 제한한다. 돌기하부(120b)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1루버(150)의 축베인(158)과 접촉하여 제1루버(150)의 타방향 회전을 제한한다.
도 14b를 참조하면, 제1프론트커버(118)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제1어퍼하우징(134)의 단부가 걸리는 제1단턱(126)이 형성된다.
제1하우징>
도 9를 참조하면, 제1하우징(132)은, 제1케이스(102) 내측에 배치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제1하우징(132)의 내측에는, 제1팬(182)과, 열교환기(186)가 배치된다. 도 9을 참조하면, 제1흡입구(102a)에 인접한 영역에서 열교환기(186)가 배치된다. 열교환기(186)는, 제1팬(182)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열교환면적을 늘리고, 공기의 유동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1하우징(132)의 내측에는, 제1팬(182)을 회전시키는 제1팬모터(184)가 배치된다. 제1팬모터(184)는, 제1팬(182)의 회전축 상에 배치되어, 제1팬(182)을 회전시킨다. 제1팬(182)은, 반경방향 일측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반경방향 타측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횡류팬을 사용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하우징(132)의 내측에는, 제1팬(182)의 회전을 지지하거나, 제1팬모터(184)의 배치를 지지하는 팬지지대(146)가 배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하우징(132)은, 제1팬(182)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어퍼하우징(134)과, 제1팬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로어하우징(138)을 포함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어퍼하우징(134)과 제1로어하우징(138)은, 제1팬(182)에서 제1토출구(102b)로 유동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토출가이더(136, 144)를 형성한다.
제1어퍼하우징(134)은, 제1어퍼커버(104)에 장착될 수 있다. 제1어퍼하우징(134)의 하단은, 제1프론트커버(118)의 제1단턱(126)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어퍼하우징(134)은, 제1팬(182)으로부터 유동하는 공기를 제1토출구(102b)로 가이드하는 어퍼가이드(136)를 포함한다. 어퍼가이드(136)는, 제1팬(182)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를 하측으로 유동시킨다. 어퍼가이드(136)는, 제1팬(182)으로부터 유동하는 공기를 제1프론트커버(118)로 가이드한다.
제1로어하우징(138)은, 제1로어커버(106)의 상측에 배치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로어하우징(138)은, 열교환기(186) 하측에 배치되어, 열교환기(186)로부터 낙하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드레인팬(140)을 포함한다. 드레인팬(140)은, 열교환기(186)가 배치되는 영역에서, 열교환기(186) 하측에 배치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로어하우징(138)은, 드레인팬(140)의 전방에 배치되고, 제1로어커버(106)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구동장치커버(142)을 포함한다. 구동장치커버(142)은, 하측에 제1루버구동장치(174)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구동장치커버(142)은, 드레인팬(140)으로부터 제1팬(182)이 배치되는 공간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돌출된다. 구동장치커버(142)는, 열교환기(186)를 통과한 공기가 제1팬(182)이 배치된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구동장치커버(142)은, 제1팬(182)을 통과한 공기를 제1토출구(102b)로 안내하는 로어가이드(144)를 포함한다. 로어가이드(144)는, 어퍼가이드(136)와 이격배치되어 토출유로(132a)를 형성한다. 로어가이드(144)는, 제1루버구동장치(174)의 제1루버기어(176)가 배치되는 영역에서, 제1기어홀(142a)이 형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루버기어(176)의 일부는, 제1기어홀(142a) 외부로 돌출되어 제1루버(150)와 접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루버와 구동장치>
도 6을 참조하면, 제1공기처리장치(100)는, 제1토출구(102b)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제1토출구(102b)를 유동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제1루버(150)와, 제1루버(150)의 배치를 조절하는 제1루버구동장치(174)를 포함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1루버(150)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반경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베인(154, 156, 158)을 포함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1루버(150)는, 제1루버(150)의 회전중심을 따라 연장되는 루버회전축(160), 루버회전축(160)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아우터베인(154), 루버회전축(160)과 아우터베인(154) 사이에서 반경 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복수의 이너베인(156), 및 아우터베인(154)의 외측면에서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베인기어(166)를 포함한다.
복수의 베인(154, 156, 158)은, 아우터베인(154), 복수의 이너베인(15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b를 참조하면, 루버회전축(160)은, 제1프론트커버(118)에 접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루버회전축(160)은, 제1프론트커버(118)의 제1루버홈(122)에 배치된다. 루버회전축(160)이 회전할 때, 루버회전축(160)을 기준으로 반경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복수의 베인(154, 156, 158)의 배치가 변경될 수 있다.
루버회전축(160)은, 루버회전축(160)에서 복수의 이너베인(156)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베인(158)을 포함할 수 있다. 축베인(158)은, 이너베인(156)의 하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17을 참조하면, 아우터베인(154)은, 이너베인(156)보다 루버회전축(160)으로부터 원거리에 배치된다. 아우터베인(154)은, 이너베인(156)보다 원주방향으로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아우터베인(154)은, 루버회전축(160)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17을 참조하면, 복수의 이너베인(156)은, 루버회전축(160)과 아우터베인(154) 사이에서 서로 이격배치된다. 복수의 이너베인(156)은, 아우터베인(154)보다 짧은 길이를 가진다. 복수의 이너베인(156)은, 축베인(158)보다 긴 길이를 가진다.
도 17을 참조하면, 복수의 이너베인(156)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진다. 복수의 이너베인(156)은, 루버회전축(160)에 가깝게 배치될수록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복수의 이너베인(156)은, 아우터베인(154)에 가깝게 배치될수록 짧은 길이를 가진다.
도 17을 참조하면, 복수의 이너베인(156) 각각은, 하측으로 갈수록 루버회전축(160)에 인접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이너베인하부(156a1, 156b1, 156c1)와, 이너베인하부(156a1, 156b1, 156c1)의 상단에서 밴딩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는 이너베인상부(156a2, 156b2, 156c2)를 포함한다. 축베인(158)은, 이너베인하부(156a1, 156b1, 156c1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복수의 이너베인(156)은, 루버회전축(160)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이너베인(156a), 제1이너베인(156a)보다 루버회전축(160)으로부터 원거리에 배치되는 제2이너베인(156b), 및 제2이너베인(156b)보다 루버회전축(160)으로부터 원거리에 배치되는 제3이너베인(156c)을 포함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루버(150)는, 복수의 베인(154, 156, 158)의 양단에는 베인(154, 156, 158)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단부패널(162)과, 단부패널(162) 사이에 배치되고, 일측으로 베인기어(166)가 배치되는 지지패널(164)이 배치된다. 단부패널(162)은, 복수의 베인(154, 156, 158)의 양단에 배치되어, 제1루버(150)를 유동하는 공기가 좌우방향으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패널(164)은, 단부패널(162)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의 베인(154, 156, 158)을 지지할 수 잇다. 복수의 베인(154, 156, 158)은, 루버회전축(160)이 형성되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패널(164)이 복수의 베인(154, 156, 158)의 배치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4a를 참조하면, 지지패널(164)은, 부채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지지패널(164)의 외주단에는 베인기어(166)가 배치된다. 베인기어(166)는, 지지패널(164)의 외주단에 원주방향으로 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4a를 참조하면, 지지패널(164)은, 제1보조지지대(170)와 연결될수 있다. 지지패널(164)은, 루버회전축(160)이 형성되는 부분에서 제1보조지지대(170)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제1보조지지대(170)의 내측에는 제1보조회전축(172)이 배치되고, 제1보조지지대(170)는, 제1보조회전축(172)을 통해 루버회전축(160)과 연결된다.
복수의 베인(154, 156, 158)은, 단부패널(162)과 지지패널(164)보다 하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제1루버(150)에는, 제1공기처리장치(10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출력장치(19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장치(191)는 시각적 또는 청각적 요소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1공기처리장치(100)의 작동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출력장치(191)는 시각적으로 제1공기처리장치(100)의 작동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출력장치(191)는 제1공기처리장치(100)의 오류등에 대한 정보도 출력할 수 있다.
출력장치(191)는, 램프(196), 램프(196)의 작동을 조절하는 인쇄회로기판(194), 램프(196)에서 조사된 빛을 외부로 전달하는 투명패널(192)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패널(192)은, 복수의 베인(154, 156, 158) 중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투명패널(192)은, 이너베인(156)에 설치될 수 있다.
제1루버(150)에는, 램프(196)와 인쇄회로기판(194)이 배치되는 공간(191a)을 형성한다. 공간(191a)은, 투명패널(192)의 상측에 배치된다. 공간(191a)의 상측으로는, 인쇄회로기판(194)과 연결되는 배선이 관통하는 배선홀(198)이 형성된다.
제1루버구동장치(174)는, 제1루버(150)의 루버회전축(160)으로부터 원심방향으로 이격배치된다. 제1루버구동장치(174)는, 루버회전축(160)에서 이격배치되고, 제1루버(150)의 외주면에 접촉하게 배치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루버구동장치(174)는, 제1루버(150)와 접촉하여 제1루버(150)를 회전시키는 제1루버기어(176)와, 제1루버기어(176)를 회전시키는 제1루버모터(178)를 포함한다. 제1루버구동장치(174)는, 서로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제1루버기어(176)와, 한 쌍의 제1루버기어(176) 사이를 연결하는 제1기어회전축(180)을 포함한다. 제1기어회전축(180)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1루버기어(176)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루버의 작동>
도 18a 내지 도 18c를 참조하면, 제1루버(150)는, 전방으로 경사풍을 형성하는 제1위치(P1)와, 전방으로 수평풍을 형성하는 제2위치(P2)와, 지면으로 수직풍을 형성하는 제3위치(P3)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8a를 참조하면, 제1루버(150)는, 제1위치(P1)에서 제1바텀커버(130) 상측으로 배치된다. 제1위치(P1)에서, 제1루버(150)의 복수의 베인(154, 156, 158) 각각의 하단은, 제1바텀커버(130)보다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위치(P1)에서 아우터베인(154)의 하단은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위치(P1)에서 복수의 이너베인(156a, 156b, 156c) 각각의 하단은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8b를 참조하면, 제1루버(150)는, 제2위치(P2)에서, 일부가 제1바텀커버(130) 하측으로 배치된다. 제2위치(P2)에서 아우터베인(154)과 복수의 이너베인(156a, 156b, 156c) 각각의 하단은 제1바텀커버(130)보다 수직방향으로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위치(P2)에서, 복수의 이너베인(156a, 156b, 156c) 각각의 이너베인하부(157a)가 지면과 형성하는 경사각(θ2)은, 30도 이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위치(P2)에서 제1루버(150)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는,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도 18c를 참조하면, 제1루버(150)는, 제3위치(P3)에서, 제1바텀커버(130) 상측으로 배치된다. 제3위치(P3)에서 아우터베인(154)과 복수의 이너베인(156a, 156b, 156c) 각각의 하단은 제1바텀커버(130)보다 수직방향으로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위치(P3)에서, 복수의 이너베인(156a, 156b, 156c) 각각의 이너베인하부(157a)가 지면과 형성하는 경사각(θ3)은, 60도 내지 90도 이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3위치(P3)에서 제1루버(150)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제2공기처리장치>
이하에서는, 도 19 내지 도 35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공기처리장치를 설명한다.
제2공기처리장치(200)는, 유동하는 공기를 필터장치(284)에 통과시키고, 외부로 배출시킨다. 제2공기처리장치(200)는, 일측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제2흡입구(202a)가 형성되고, 제2흡입구(202a)에 수직한 타측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제2토출구(202b)가 형성된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2흡입구(202a)는, 지면 또는 천장면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제2토출구(202b)는, 하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제2흡입구(202a)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2공기처리장치(200)는, 내부에 공기유동을 형성시키는 제2팬(280)과, 제2팬(280)을 회전시키는 제2팬모터(280a)를 포함한다. 제2공기처리장치(200)에는, 복수의 제2팬(280)과 복수의 제2팬(280)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2팬모터(280a)를 포함한다.
제2공기처리장치(200)는, 외형을 형성하는 제2케이스(202)와, 제2케이스(202) 내부에 배치되고,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2하우징(268)을 포함한다. 제2공기처리장치(200)는, 제2케이스(202)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제2토출구(202b)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제2루버(290)와 제2루버(290)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제2루버구동장치(294)를 포함한다.
제2공기처리장치(200)에 배치되는 제2루버(290)와 제2루버구동장치(294)는, 도 12 내지 도 17에서 설명한 제1공기처리장치(100)의 제1루버(150) 및 제1루버구동장치(174)와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공기처리장치(200)에 배치되는 제2루버(290)와 제2루버구동장치(294)는, 제1공기처리장치(100)의 제1루버(150) 및 제1루버구동장치(174)의 설명으로 대체될 수 있다.
제2공기처리장치(200)는, 제2팬모터(280a)의 작동을 조절하거나, 제2루버구동장치(294)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2컨트롤박스(2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케이스>
도 20을 참조하면, 제2케이스(202)는, 천장에 고정되는 제2어퍼커버(204), 제2어퍼커버(204)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로어커버(206), 제2흡입구(202a)를 형성하고, 필터장치(284)가 장착되는 제2리어커버(242), 제2리어커버(242)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배치되는 제2프론트커버(246), 제2로어커버(206)의 양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사이드커버(256)를 포함한다. 제2케이스(202)는, 제2로어커버(206) 하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바텀커버(258)를 더 포함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2리어커버(242)에는, 제2흡입구(202a)가 형성된다. 제2리어커버(242)의 외측면에는 가이드레일(10, 도 3참조)이 장착될 수 있다. 제2리어커버(242)의 하부에는, 필터장치(284)가 장착되는 제2흡입구(202a)가 형성된다. 제2리어커버(242)에는, 필터청소장치(3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10)과 제2지지레일(244)이 장착된다.
가이드레일(10)은, 제2흡입구(202a)의 상측에 배치된다. 도 24를 참조하면, 제2지지레일(244)은, 제2리어커버(242)의 상단에 배치된다.
제2지지레일(244)은, 제2리어커버(242)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2탑플레이트(244a)와, 제2탑플레이트(244a)의 후방단부에서 하측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밴딩부(116b)를 포함한다. 제2밴딩부(244b)에는, 필터청소기(300)의 탑롤러(326)가 접촉할 수 있다.
제2리어커버(242)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2로어커버(206)의 제2수직플레이트(214)의 후방에 배치된다. 제2리어커버(242)는, 제2수직플레이트(214)의 후방에 고정배치된다.
제2리어커버(242)의 제2흡입구(202a)에는, 필터장치(284)의 배치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필터장착부(234, 도 31 참조)가 배치된다. 필터장착부(234)는, 이하에서 설명할 필터구동장치(228)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2어퍼커버(204) 상측에 제2케이스(202)를 천장에 고정하는 고정부재(12)가 삽입되는 제2고정홈(204a)이 형성된다. 제2어퍼커버(204)에 형성되는 제2고정홈(204a)은, 제1어퍼커버(104)에 형성되는 제1고정홈(104a)과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어퍼커버(204)는, 제1어퍼커버(104)의 상측에 배치되는 고정부재(12)로 천장에 장착되는 장착부재(14)와 고정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2어퍼커버(204)는, 양측단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사이드플레이트(266d)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플레이트(266d)는, 한 쌍의 제2사이드커버(256)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제2로어커버(206)는, 제2하우징(268)의 하측에 배치된다. 제2로어커버(206)에는, 제2루버구동장치(294)가 배치된다. 제2로어커버(206)에는, 제2바텀커버(258)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커버구동장치(220)가 배치된다. 제2로어커버(206)에는, 필터장치(284)와 필터장착부(234)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필터구동장치(228)가 배치된다.
제2로어커버(206)는, 제2바텀커버(258) 상측에 배치되는 제2수평플레이트(208)와, 제2수평플레이트(208) 후방에서 수직하게 배치되고 제2이너흡입구(214a)가 형성되는 제2수직플레이트(214)와, 제2수평플레이트(208)의 양단에서 상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제2측벽(216)을 포함한다.
도 33a을 참조하면, 제2수평플레이트(208)에는, 제2루버구동장치(294)가 배치된다. 제2수평플레이트(208)의 상측에는, 커버구동장치(220)가 배치된다. 제2수평플레이트(208)에는, 제2바텀커버(258)의 커버가이더(262, 264)가 삽입되는 가이드홈(208a)이 형성된다.
도 31, 도 33a을 참조하면, 커버구동장치(220)는, 이하에서 설명할 제1커버가이더(262)의 가이드기어(262c)와 맞물려 회전하는 커버구동기어(222)와, 커버구동기어(222)를 회전시키는 커버구동모터(224)를 포함한다.
커버구동기어(222)는, 좌우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커버구동장치(220)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커버구동기어(222)를 연결하는 커버구동축(226)을 포함한다. 따라서, 커버구동축(226)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커버구동기어(222)는 서로 동일하게 회전할 수 있다.
도 33a을 참조하면, 제2수평플레이트(208)에는, 제2바텀커버(258)의 커버가이더(262, 264)와 연결되어 제2바텀커버(258)의 상하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고정가이더(210)를 포함한다. 고정가이더(210)는, 제2수평플레이트(208)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된다.
도 33a를 참조하면, 고정가이더(210)는, 이하에서 설명할 제1커버가이더(262) 또는 제2커버가이더(264)와 접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고정가이더(210)는, 제2바텀커버(258)의 전후방향이동을 지지한다. 고정가이더(210)는, 제2바텀커버(258)의 상하방향 이동을 방지한다.
도 23을 참조하면, 고정가이더(210)는, 커버가이더(262, 264)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고정돌기(212)가 돌출될 수 있다. 고정돌기(212)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다. 고정돌기(212)는, 제1커버가이더(262)의 제1가이드돌기(262b) 또는 제2커버가이더(264)의 제2가이드돌기(264b)와 접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고정돌기(212)는, 제1커버가이더(262)의 제1가이드돌기(262b) 또는 제2커버가이더(264)의 제2가이드돌기(264b)와 대응하는 구조를 가져, 제2바텀커버(258)의 상하방향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2수직플레이트(214)에는, 제2이너흡입구(214a)가 형성된다. 제2이너흡입구(214a)는, 제2흡입구(202a)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수직플레이트(214)에는, 필터구동장치(228)가 배치된다.
한 쌍의 제2사이드커버(256) 각각은, 하부에서 제2로어커버(206)와 연결되고, 상부에서 제2어퍼커버(204)와 연결된다. 한 쌍의 제2사이드커버(256) 각각에는, 제2루버(290)의 회전을 지지하는 제2회전지지대(292)가 배치된다. 제2사이드커버(256)에 연결되는 제2회전지지대(292)는, 제1사이드커버(128)에 연결되는 제1회전지지대(168)와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프론트커버(246)는 제2하우징(268)의 전방에 배치된다. 제2프론트커버(246)는, 제1프론트커버(118)와 동일한 형태와 배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프론트커버(246)의 하단은, 제2로어커버(206)의 전방단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배치되어, 제2토출구(202b)를 형성한다.
또한, 제2프론트커버(246)에는, 제2루버(290)의 회전범위를 조절하고, 제2루버(290)의 제2루버회전축(270a)이 배치되는 제2루버홈(250)이 형성된 제2루버돌기(248)가 배치된다. 제2루버돌기(248)의 좌우양단 사이에는, 제2보조지지대(293)가 배치되는 제2지지대홈(252)이 형성된다.
도 24를 참조하면, 제2프론트커버(246)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제1어퍼하우징(134)의 단부가 걸리는 제2단턱(254)이 형성된다.
제2바텀커버(258)는, 제2로어커버(206)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도 33b를 참조하면, 제2바텀커버(258)는, 제2리어커버(242)와 인접한 후방에 배치될 때, 필터장치(284)의 하측을 커버할 수 있다. 도 34b를 참조하면, 제2바텀커버(258)는, 제2프론트커버(246)와 인접한 전방에 배치될 때, 제2토출구(202b)를 폐쇄할 수 있다. 도 34b를 참조하면, 제2바텀커버(258)는, 제2프론트커버(246)와 인접한 전방에 배치될 때, 필터장치(284)의 하측을 개방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2바텀커버(258)는, 제2로어커버(206) 하측에 배치되는 바텀플레이트(260)와, 바텀플레이트(260)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바텀플레이트(26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커버가이더(262, 264)를 포함한다.
도 23을 참조하면, 커버가이더(262, 264)는, 커버구동장치(220)와 연결되어 바텀플레이트(260)를 이동시키는 제1커버가이더(262)와, 바텀플레이트(260)의 상하방향 진동을 방지하는 제2커버가이더(264)를 포함한다.
도 23을 참조하면, 제1커버가이더(262)는, 바텀플레이트(260)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가이드벽(262a)과, 제1가이드벽(262a)의 일측에 배치되고 커버구동장치(220)와 나사결합되는 가이드기어(262c)와, 제1가이드벽(262a)의 타측에 배치되고 제2바텀커버(258)의 전후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돌기(262b)를 포함한다. 제1가이드돌기(262b)에는, 고정돌기(212)가 삽입되는 홈(262b1)이 형성된다.
도 23을 참조하면, 제2커버가이더(264)는, 바텀플레이트(260)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가이드벽(264a)과, 제2가이드벽(264a)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2바텀커버(258)의 전후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돌기(264b)를 포함한다. 제2가이드돌기(264b)에는 고정돌기(212)가 삽입되는 홈(264b1)이 형성된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2공기처리장치(200)는, 제2로어커버(206) 상측에 배치되고, 제2루버구동장치(294)와 커버구동장치(220)의 상측을 커버하는 이너커버(266)를 포함한다. 도 24를 참조하면, 이너커버(266)는, 제2케이스(202) 내부에서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고, 공기가 제2루버구동장치(294)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너커버(266)는 제2로어커버(206)와 결합하여, 제2루버구동장치(294)와 커버구동장치(220)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도 25a 내지 도 25b를 참조하면, 이너커버(266)는, 제2루버구동장치(294)의 상측에 배치되는 어퍼플레이트(266a), 제2루버구동장치(294)의 전방을 커버하는 전방플레이트(266b), 제2루버구동장치(294)의 후방을 커버하는 후방플레이트(266c), 제2루버구동장치(294)의 측방을 커버하는 사이드플레이트(266d)를 포함한다.
후방플레이트(266c)는, 필터장치(284)를 통과하여 유동하는 공기가 이너커버(266) 하측의 공간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어퍼플레이트(266a)는, 필터장치(284)를 통과하여 유동하는 공기를 제2팬(280)이 배치되는 공간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전방플레이트(266b)는, 제2팬(280)을 통해 유동하는 공기를 제2토출구(202b)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전방플레이트(266b)에는, 제2루버구동장치(294)의 제2루버기어(294a)가 배치되는 영역에서, 제2기어홀(266b1)이 형성된다. 제2루버기어(294a)의 일부는, 제2기어홀(266b1, 도 25a 참조) 외부로 돌출되어 제2루버(290)와 접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25b를 참조하면, 이너커버(266)는, 어퍼플레이트(266a) 하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격벽(266e)을 포함한다. 복수의 격벽(266e)은 좌우방향으로 이격배치되고, 이너커버(266)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제2하우징>
도 24를 참조하면, 제2하우징(268)은, 제2케이스(202) 내측에 배치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제2하우징(268)의 내측에는, 제2팬(280)과, 제2팬(280)을 회전시키는 제2팬모터(280a)가 배치된다.
제2팬(280)은, 회전축에 나란한 방향으로 공기가 흡입되고, 회전축에 원심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원심팬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4를 참조하면, 제2팬모터(280a)는, 제2팬(280)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2팬(28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제2팬모터(280a)는, 이하에서 설명할 제2어퍼하우징(27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제2하우징(268)은, 제2팬(28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어퍼하우징(270)과, 제2팬(28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로어하우징(274)을 포함한다.
도 26a 내지 도 26b를 참조하면, 제2어퍼하우징(270)은, 제2어퍼커버(204)에 장착될 수 있다. 제2어퍼하우징(270)의 하단은, 제2프론트커버(246)의 제2단턱(254)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어퍼하우징(270)은, 제2팬(280)으로부터 유동하는 공기를 제2토출구(202b)로 가이드하는 프론트가이드(272)를 포함한다. 프론트가이드(272)는, 제2어퍼하우징(270)의 전방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된다.
도 24를 참조하면, 프론트가이드(272)는, 제2팬(280)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를 하측으로 유동시킨다. 프론트가이드(272)는, 제2팬(280)으로부터 유동하는 공기를 제2토출구(202b)로 가이드한다.
프론트가이드(272)는, 제2프론트커버(246)와 자연스럽게 이어지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프론트가이드(272)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제2프론트커버(246)를 거쳐 제2토출구(202b)로 유동한다.
도 24를 참조하면, 제2어퍼하우징(270)에는, 제2팬모터(280a)가 장착된다.
도 24를 참조하면, 제2로어하우징(274)은, 이너커버(266)의 상측에 배치된다. 도 27을 참조하면, 제2로어하우징(274)은, 복수의 제2팬(280)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는 복수의 팬하우징(276)을 포함한다. 복수의 팬하우징(276) 각각은, 제2팬(280)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배치된다. 복수의 팬하우징(276) 각각은, 전방이 개구된다. 따라서, 제2팬(280)의 반경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팬하우징(276)의 개구된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복수의 팬하우징(276) 각각의 하측에는, 제2팬(280)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팬유입구(276a)가 형성된다.
제2로어하우징(274)은, 이너커버(266)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배치된다. 따라서, 제2로어하우징(274)과 이너커버(266) 사이에는, 필터장치(284)를 통과한 공기가 유동하는 흡입유로(268a)가 형성된다.
제2로어하우징(274)은, 제2어퍼하우징(270)의 프론트가이드(272)로부터 후방으로 이격 배치된다. 제2로어하우징(274)은, 프론트가이드(272)로부터 이격배치되고, 하측으로 연장되는 리어가이드(278)를 포함한다. 리어가이드(278)는, 제2로어하우징(274)을 이너커버(266)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배치시킨다. 리어가이드(278)는, 프론트가이드(272)와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제2토출유로(268b)를 형성한다.
프론트가이드(272)와 리어가이드(278)는, 제2팬(180)에서 제2토출구(202b)로 유동하는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다.
필터장치와 필터구동장치>
필터장치(284)는, 필터장착부(234)에 장착된다. 필터장치(284)와 필터장착부(234)는, 필터장치(284)에 배치되는 제1마그넷(287)과 필터장착부(234)에 배치되는 제2마그넷(238)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장치(284)는, 필터장착부(234)의 이동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배치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필터장치(284)를 필터장착부(234)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28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 필터장착부(234)는, 필터장치(284)가 장착되는 장착바디(236), 장착바디(236)의 배치를 조절하는 바디기어(240)를 포함한다.
도 28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 장착바디(236)는, 필터장치(284) 상측에 배치되는 어퍼바디(236a), 어퍼바디(236a)의 양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사이드바디(236b), 어퍼바디(236a)의 전방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프론트바디(236c), 어퍼바디(236a)의 후방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리어바디(236d)를 포함한다. 사이드바디(236b)는, 프론트바디(236c)나 리어바디(236d)보다 하측으로 길게 연장된다. 사이드바디(236b)는 어퍼바디(236a)의 양단에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바디(236b) 사이에는, 복수의 필터장치(284)의 배치를 구획하는 구획바디(236e)가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바디(236c)가 어퍼바디(236a)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길이는, 리어바디(236d)가 어퍼바디(236a)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바디(236c), 리어바디(236d), 및 사이드바디(236b)는, 필터장치(284)가 필터장착부(234)에 장착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다.
사이드바디(236b)의 외측에는, 바디기어(240)가 배치된다. 바디기어(240)는, 전방으로 돌출된 나사산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랙기어일 수 있다.
어퍼바디(236a)의 상측에는, 복수의 제2마그넷(238)이 배치된다.
도 30을 참조하면, 필터장치(284)는, 일측에 제2프리필터(288)가 배치되고, 타측이 개구된 필터케이스(286)와, 필터케이스(286)에 인입 또는 입출가능하게 배치되고 미세먼지를 걸러내는 헤파필터(289)를 포함한다.
필터케이스(286)는, 헤파필터(289)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필터케이스(286)의 일측에는, 제2흡입구(202a)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1차적으로 걸러내는 제2프리필터(288)가 배치된다. 필터케이스(286)에는, 제2프리필터(288)에 마주하는 면에서 개구부(286a)를 형성한다. 개구부(286a)를 통해 헤파필터(289)가 필터케이스(286)로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필터케이스(286)의 상측벽에는, 제1마그넷(287)이 배치된다. 제1마그넷(287)은, 필터장치(284)가 필터장착부(234)에 장착된 상태에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도 33a를 참조하면, 필터구동장치(228)는, 제2로어커버(206)에 배치되어, 필터장착부(234)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필터구동장치(228)는, 제2수직플레이트(214)에 배치된다. 필터구동장치(228)는, 제2수직플레이트(214)의 양측단에 하나씩 배치된다.
도 32와 도 33a를 참조하면, 필터구동장치(228)는, 바디기어(240)와 맞물려 회전하는 필터구동기어(230), 필터구동기어(230)를 회전시키는 필터구동모터(232)를 포함한다. 필터구동기어(230)는, 평기어를 사용할 수 있다. 필터구동기어(230)와 필터구동모터(232)는, 제2수직플레이트(214)에 고정배치된다.
루버와 구동장치>
제2공기처리장치(200)는, 제2토출구(202b)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제2토출구(202b)를 유동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제2루버(290)와, 제2루버(290)의 배치를 조절하는 제2루버구동장치(294)를 포함한다.
제2루버(290)와 제2루버구동장치(294)는, 제1공기처리장치(100)에서 설명한 제1루버(150)와 제1루버구동장치(174)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된 제1루버(150)와 제1루버구동장치(174)와 동일하게 파악될 수 있다.
바텀커버와, 필터장착부의 작동>
이하에서는 도 33a 내지 도 35c를 참조하여, 제2바텀커버(258)와 필터장착부(234) 및 필터장치(284)의 이동을 설명한다.
도 33a 내지 도 33b를 참조하면, 제2바텀커버(258)는 필터장치(284)의 하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2루버(270)의 하측은 개방되어, 제2루버(270)의 배치가 변경될 수 있다. 필터장치(284)와 필터장치(284)를 이동시키는 필터장착부(234)는 제2바텀커버(258)의 상측에 배치된다.
도 34a 내지 도 34b를 참조하면, 제2바텀커버(258)는,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2토출구(202b)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바텀커버(258)는, 커버구동장치(220)의 작동으로,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4b를 참조하면, 제2바텀커버(258)가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이므로, 필터장치(284)의 하측이 개방된다. 도 33b를 참조하면, 제2바텀커버(258)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제2토출구(202b)의 하측이 폐쇄된다. 따라서, 제2루버(270)의 회전이 제한된다.
도 35a 내지 도 35c를 참조하면, 제2바텀커버(258)가 전방으로 배치될 때, 필터장치(284)와 필터장착부(234)가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필터구동장치(228)에 의해 필터장착부(234)가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필터장착부(234)와 필터장치(284)는, 제1마그넷(287)과 제2마그넷(238)에 의해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장착부(234)가 하측으로 이동할 때, 필터장치(284)도 함께 하측으로 이동한다.
필터장착부(234)에 의해 필터장치(284)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사용자가 용이하게 필터장치(284)를 필터장착부(234)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광출력구조>
도 11, 도 36 내지 도 4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공기처리장치(100)는, 제1토출구(102b)가 형성된 제1케이스(102), 상기 제1케이스(102)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토출구(102b)로 유동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제1루버(15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루버(150)에는, 제1공기처리장치(10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출력장치(191)가 배치된다.
상기 출력장치(191)는 광을 출력하는 램프(196), 상기 램프(196)가 실장(mount)되는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194), 상기 램프(196)에서 출력된 광이 통과하는 투명패널(192)을 포함한다.
출력장치(191)는 램프(196)를 점등, 점멸시켜 시각적으로 제1공기처리장치(100)의 작동상태, 오류 등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램프(196)는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램프(196)는 하나 이상의 색상의 광을 생성할 수 있고, 사용자는 램프(196)가 출력한 광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제1공기처리장치(100)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투명패널(191)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투명 재질의 유리 또는 플라스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투명패널(191)은 아크릴계 투명수지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투명패널(191)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루버(150)의 전면으로 출력되는 광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광학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루버(150)는, 루버회전축(160)을 기준으로 반경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베인(154, 156, 158)을 포함한다. 상기 투명패널(192)은 상기 복수의 베인(154, 156, 158) 중 적어도 하나(156)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루버(150)는, 상기 루버회전축(160)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격배치되는 아우터베인(154), 상기 루버회전축(160)과 상기 아우터베인(154) 사이에 배치되고, 반경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이너베인(154, 156, 158)을 포함할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명패널(192)은, 설치공간 확보가 용이한 상기 복수의 이너베인(154, 156, 158) 중 하나(156)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이너베인(156)은, 상기 루버회전축(160)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이너베인(156a), 제1이너베인(156a)보다 루버회전축(160)으로부터 원거리에 배치되는 제2이너베인(156b), 및 제2이너베인(156b)보다 루버회전축(160)으로부터 원거리에 배치되는 제3이너베인(156c)을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명패널(192)은, 설치공간 확보가 용이한 상기 복수의 이너베인(154, 156, 158) 중 하나(156b)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루버(150)는, 상기 램프(196)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194)을 내부에 수용하고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제1루버(150)에는, 상기 램프(196)와 상기 인쇄회로기판(194)이 배치되는 공간(191a)을 형성한다. 공간(191a)은, 투명패널(192)의 상측에 배치된다. 공간(191a)의 상측으로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94)과 연결되는 배선이 관통하는 배선홀(198)이 형성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94)에 전원, 제어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배선이 상기 배선홀(198)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선홀(198)은 배치가 변경되는 루버구조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194)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상기 제1루버(150)의 움직임에 간섭받지 않도록 가이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램프(196)는 상기 배선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으로 구동되어 점등, 점멸될 수 있다.
공기처리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램프의 경우, 위치가 변경되지 않는 본체에 배치되는 구조가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루버(150)의 일측에 상기 램프(192) 및 상기 투명패널(192)를 배치해, 상기 램프(192)의 광을 제1루버(150)의 전면으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램프(192)가 출력하는 광의 색상, 점멸 상태에 기초하여 제1공기처리장치(100)의 동작상태를 알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램프(192)가 출력하는 광에 기초하여, 제1루버(150)의 배치형태,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 등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특히, 루버(150) 전면의 투명패널(192)을 통하여 출력되는 광의 각도를 통하여 풍향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도 38을 참조하면, 제1루버(150)는, 제2위치(P2)에서, 일부가 제1바텀커버(130) 하측으로 배치된다. 제2위치(P2)에서 아우터베인(154)과 복수의 이너베인(156a, 156b, 156c) 각각의 하단은 제1바텀커버(130)보다 수직방향으로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위치(P2)에서, 복수의 이너베인(156a, 156b, 156c) 각각의 이너베인하부(157a)가 지면과 형성하는 경사각(θ2)은, 30도 이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위치(P2)에서 제1루버(150)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는,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램프(196)에서 생성된 광은, 제2이너베인(156b)에 배치된 투명패널(192)을 통하여,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출력될 수 있다.
도 39를 참조하면, 제1루버(150)는, 제3위치(P3)에서, 제1바텀커버(130) 상측으로 배치된다. 제3위치(P3)에서 아우터베인(154)과 복수의 이너베인(156a, 156b, 156c) 각각의 하단은 제1바텀커버(130)보다 수직방향으로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위치(P3)에서, 복수의 이너베인(156a, 156b, 156c) 각각의 이너베인하부(157a)가 지면과 형성하는 경사각(θ3)은, 60도 내지 90도 이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3위치(P3)에서 제1루버(150)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램프(196)에서 생성된 광은, 제2이너베인(156b)에 배치된 투명패널(192)을 통하여,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루버(150)의 배치된 광출력구조는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의 외관의 조화 및 디자인의 단순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루버(150)는, 복수의 베인(154, 156, 158)의 양단에는 베인(154, 156, 158)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단부패널(162)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패널(12)은 상기 한 쌍의 단부패널(162) 중 어느 하나에 소정간격을 가지고 이격배치될 수 있다.
도 40과 도 41을 참조하면, 상기 출력장치(191)는, 상기 투명패널(191)에 외측면에 배치되는 반사판(reflector, 192a, 192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반사판(192a, 192b)은 입사광을 전반사시켜 상기 제1루버(150)의 전면으로 출력되는 것을 돕는다. 경우에 따라, 상기 반사판(192a, 192b)에는 상기 제1루버(150)의 전면으로 출력되는 광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광학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0을 참조하면, 상기 램프(196)는 상기 제2이너베인(156b)의 중심선(과 소정 경사각(θ4)을 가지는 광을 출력한다. 상기 램프(196)에서 출력된 광은 상기 반사판(192a, 192b)에서 반사되고, 상기 반사판(192a, 192b)에서 반사된 광(4000)은 상기 투명패널(192)을 통하여 상기 제1루버(150)의 전면으로 출력된다.
도 41을 참조하면, 상기 램프(196)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194)는 상기 제2이너베인(156b)의 중심선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41과 도 40을 비교하면, 상기 램프(196)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194)는 소정 경사각(θ5)으로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램프(196)이 출력되는 광 중에 일부(4100)는 반사없이 상기 제1루버(150)의 전면으로 출력된다. 또한, 상기 반사판(192a, 192b)에서도 입사각과 반사각이 작아져, 더 적은 횟수와 손실로 광이 상기 투명패널(192)을 통과할 수 있다.
도 42를 참조하면, 상기 투명패널(192)는 상기 이너베인(156b)의 단부 끝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 43을 참조하면, 상기 투명패널(192)는 상기 이너베인(156b)의 단부 끝에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44를 참조하면, 상기 출력장치(191)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196a, 196b, 196c, 196d)가 일렬로 배치된 발광다이오드 어레이(LED array)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패널(192)은 상기 루버회전축(160)이 형성되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발광다이오드(196a, 196b, 196c, 196d)는 하나의 인쇄회로기판(194)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발광다이오드(196a, 196b, 196c, 196d)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94) 상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에 배치되는 상기 제2루버(290)와 상기 제2루버구동장치(294)는,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의 상기 제1루버(150) 및 상기 제1루버구동장치(174)와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출력장치(191)는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45는 상기 광출력장치(191)의 투명패널(192), 램프(196), 인쇄회로기판(194)가 상기 제2루버(290)에 배치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치형태가 고정되지 않은 루버(150, 290)를 통하여 광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램프(196)의 출력광을 더 잘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류를 형성하는 루버(150, 290)에 배치된 램프(196)를 이용하여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제1공기처리장치 102 : 제1케이스
102a : 제1흡입구 102b : 제1토출구
104 : 제1어퍼커버 106 : 제1로어커버
114 : 제1리어커버 118 : 제1프론트커버
150 : 제1루버 154 : 아우터베인
156 : 이너베인 158 : 축베인
160 : 루버회전축 174 : 제1루버구동장치
182 : 제1팬 186 : 열교환기
200 : 제2공기처리장치 202 : 제2케이스
202a : 제2흡입구 202b : 제2토출구
204 : 제2어퍼커버 206 : 제2로어커버
220 : 커버구동장치 228 : 필터구동장치
242 : 제2리어커버 246 : 제2프론트커버
290 : 제2루버 294 : 제2루버구동장치
280 : 제2팬 284 : 필터장치
196 : 램프 194 : 인쇄회로기판
192 : 투명패널

Claims (18)

  1.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로 유동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루버; 및,
    램프, 상기 램프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램프에서 출력된 광이 통과하는 투명패널을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루버는, 루버회전축을 기준으로 반경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패널은 상기 복수의 베인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며,
    상기 루버의 회전에 따른 배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램프에서 출력된 광은 상기 투명패널을 통하여 다른 방향으로 외부에 출력되는 공기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는 배선이 관통하는 배선홀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측에 형성되는 공기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루버 내부에 수용되는 공기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베인 중 최외각에 배치된 베인에 접촉하게 배치되어 상기 루버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루버구동장치;를 더 포함하는 공기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는,
    상기 루버회전축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격배치되는 아우터베인,
    상기 루버회전축과 상기 아우터베인 사이에 배치되고, 반경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이너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패널은, 상기 복수의 이너베인 중 하나에 배치되는 공기처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베인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베인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베인기어와 맞물려 상기 루버를 회전시키는 루버구동장치;를 더 포함하는 공기처리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베인은, 상기 루버회전축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호형상을 가지는 공기처리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너베인은, 상기 아우터베인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공기처리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너베인 각각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공기처리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너베인은, 상기 루버회전축에 가깝게 배치될수록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공기처리장치.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베인과 상기 복수의 이너베인 각각이 서로 이격된 간격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멀어지는 공기처리장치.
  12. 제 5 항에 있어서,
    복수의 이너베인 각각은,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루버회전축에 인접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이너베인하부와, 상기 이너베인하부의 상단에서 밴딩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는 이너베인상부를 포함하는 공기처리장치.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는, 상기 상기 루버회전축에서 연장되는 축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축베인은 상기 이너베인하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기처리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장치는,
    상기 투명패널에 외측면에 배치되는 반사판을 더 포함하는 공기처리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발광다이오드(LED)인 공기처리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장치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가 일렬로 배치된 발광다이오드 어레이(LED array)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패널은 상기 루버회전축이 형성되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기처리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토출구가 개구된 하측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개구된 흡입구를 형성하고,
    어퍼커버, 상기 어퍼커버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로어커버와, 상기 흡입구를 형성하는 리어커버와 상기 리어커버로부터 전방으로 이격 배치되는 프론트커버와, 상기 로어커버의 하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바텀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루버는, 상기 프론트커버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공기처리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또는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처리장치.
KR1020210065989A 2021-05-24 2021-05-24 공기처리장치 KR102587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989A KR102587027B1 (ko) 2021-05-24 2021-05-24 공기처리장치
US17/742,785 US20220373220A1 (en) 2021-05-24 2022-05-12 Air processing apparatus
EP22173409.8A EP4095456B1 (en) 2021-05-24 2022-05-16 Air-processing apparatus
JP2022081386A JP2022180317A (ja) 2021-05-24 2022-05-18 空気処理装置
CN202210555856.XA CN115388540A (zh) 2021-05-24 2022-05-19 空气处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989A KR102587027B1 (ko) 2021-05-24 2021-05-24 공기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8348A KR20220158348A (ko) 2022-12-01
KR102587027B1 true KR102587027B1 (ko) 2023-10-06

Family

ID=81654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5989A KR102587027B1 (ko) 2021-05-24 2021-05-24 공기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373220A1 (ko)
EP (1) EP4095456B1 (ko)
JP (1) JP2022180317A (ko)
KR (1) KR102587027B1 (ko)
CN (1) CN11538854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5211A1 (en) * 2020-01-31 2021-08-05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rporation Fault annunciation for a fan coi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4654Y1 (ko) * 1999-09-01 2000-02-15 대우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JP2007024345A (ja) * 2005-07-12 2007-02-01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KR100787501B1 (ko) * 2006-11-24 2007-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JP2008241054A (ja) * 2007-03-26 2008-10-09 Hitachi Appliances Inc 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6967A (ja) * 1992-09-29 1994-04-19 Nippon Plast Co Ltd 車両用空調吹出装置
JP2965120B2 (ja) * 1994-02-10 1999-10-18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KR100267549B1 (ko) * 1998-02-03 2000-10-16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공기 토출장치
JP4145106B2 (ja) * 2002-09-10 2008-09-03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
KR200380530Y1 (ko) * 2005-01-11 2005-03-30 한국 창호 자동화 주식회사 공압실린더 개폐식 투명루버
KR101085903B1 (ko) * 2006-11-09 2011-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TWM349665U (en) * 2008-08-15 2009-01-21 Enermax Technology Corp Fan device with light emitting
KR101331246B1 (ko) * 2012-03-26 2013-11-19 전영길 시스템 루버 장치
KR20140056465A (ko) * 2012-10-26 2014-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403337B1 (ko) 2015-12-31 2022-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613507B1 (ko) 2016-12-09 2023-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206682042U (zh) * 2017-04-01 2017-11-28 东莞动利电子有限公司 一种扇叶模块及其透光扇叶
JP6816737B2 (ja) * 2018-03-29 2021-01-20 三菱電機株式会社 除湿機
DE102018219702A1 (de) * 2018-11-16 2020-05-20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Luftausströmer mit einem Leuchtmitte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4654Y1 (ko) * 1999-09-01 2000-02-15 대우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JP2007024345A (ja) * 2005-07-12 2007-02-01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KR100787501B1 (ko) * 2006-11-24 2007-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JP2008241054A (ja) * 2007-03-26 2008-10-09 Hitachi Appliances Inc 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73220A1 (en) 2022-11-24
EP4095456B1 (en) 2024-05-15
EP4095456A1 (en) 2022-11-30
CN115388540A (zh) 2022-11-25
JP2022180317A (ja) 2022-12-06
KR20220158348A (ko) 202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0501B1 (ko) 공기조화기
EP3040627B1 (en) Air conditioner
EP2602563B1 (en) Air conditioner
KR102165467B1 (ko)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CN105546690B (zh) 空调室内机
KR20150043573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587027B1 (ko) 공기처리장치
KR20090043232A (ko) 공기조화기
KR101902886B1 (ko) 공기조화기
KR101444361B1 (ko) 공기조화기
KR20170076446A (ko) 공기조화기
KR102587028B1 (ko) 공기처리장치
JP2022180328A (ja) 空調システム
KR102550361B1 (ko) 공기처리장치
KR10183347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175297B1 (ko)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20220158349A (ko) 공기처리장치
JP2005188814A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KR20230058602A (ko) 공조시스템
KR102104436B1 (ko) 공기조화기
KR100420315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4878163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0909243B1 (ko) 공기조화기
KR101181552B1 (ko) 환기시스템
KR20070019280A (ko) 환기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