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6465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6465A
KR20140056465A KR1020120119416A KR20120119416A KR20140056465A KR 20140056465 A KR20140056465 A KR 20140056465A KR 1020120119416 A KR1020120119416 A KR 1020120119416A KR 20120119416 A KR20120119416 A KR 20120119416A KR 20140056465 A KR20140056465 A KR 20140056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disposed
heat
discharge por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9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길용현
김중호
윤준호
최선묵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9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6465A/ko
Priority to EP13185052.1A priority patent/EP2725306A3/en
Priority to CN201310512773.3A priority patent/CN103791558A/zh
Publication of KR20140056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64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5Cross-flow or tangent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shape of the heat exchangers or of parts thereof, e.g. of their f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Abstract

본 발명은 슬림화를 위해 구조를 개선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와 내부의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본체,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흡입구로 들어오는 외부공기와 열교환 하는 복수의 열교환기, 열교환기와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고, 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크로스플로우팬;을 포함하고, 복수의 열교환기는 크로스플로우팬의 전면에 접하는 가상의 연장면인 제1면의 후방에 배치되며, 복수의 열교환기의 전후방향의 중심은 각각 제1면과 크로스플로우팬의 후면에 접하는 가상의 연장면인 제2면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열교환기의 성능을 극대화 할 수 있고, 공기조화기내부의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공기조화기의 슬림화를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조화기의 슬림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인간이 활동하기 알맞은 온도, 습도, 기류, 분포 등을 조절함과 동시에 공기 속에 있는 먼지 등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주요 구성요소로써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송풍팬 등이 구비된다.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되어 설치되는 경우를 분리형 공기조화기라고 하고, 실내기와 실외기가 하나의 캐비닛에 함께 설치되는 경우를 일체형 공기조화기라고 한다.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패널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실내의 공기를 패널 내부로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송풍시키는 송풍팬을 구비한다.
이러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지면에 지지되고, 세워서 작동하는 스탠드형 실내기와, 벽면에 붙여서 공간활용을 높이는 벽걸이형 실내기가 있다.
종래의 벽걸이형 실내기는 흡입구가 전면, 상면에 구비된 본체에 대하여, 본체 내부에 크로스플로우팬이 구비되고, 열교환기가 크로스플로우팬의 전면,상면,후면을 덮는 형상을 하고 있어서, 본체의 크기는 열교환기의 크기와 크로스플로우팬의 직경의 영향을 받아 큰 것이 일반적이였다. 그러나, 이처럼 벽걸이형 실내기에 있어서 본체의 크기가 큰 경우, 벽에 지지하는 벽걸이 부분에도 무리를 주게 될 뿐만 아니라, 공간활용도를 높이는 목적에 부합하지 못하는 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슬림해진 공기조화기로 인해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판넬 블레이드의 다단 구조로 기류의 특성이 개선되며, 냉난방 운전시 기류 방향 제어가 용이해지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와 내부의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로 들어오는 외부공기와 열교환 하는 복수의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크로스플로우팬;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열교환기는 상기 크로스플로우팬의 전면에 접하는 가상의 연장면인 제1면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열교환기의 전후방향의 중심은 각각 상기 제1면과 상기 크로스플로우팬의 후면에 접하는 가상의 연장면인 제2면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교환기는 복수의 열교환기가 상하방향으로 적층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열교환기 중 최하단에 배치되는 열교환기는 일측이 타측보다 낮게 형성이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열교환기의 하단에는 드레인패널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패널의 일측에는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드레인 호스가 수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에는 패널의 일부로서 개폐가능하도록 마련된 판넬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판넬블레이드의 내측에는 토출공기의 외부로의 안내를 위해 보조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크로스플로우팬의 하부에는 토출공기가 안내되는 유로가 형성되는 덕트가 배치되고,
상기 덕트는, 크로스플로우팬의 하부를 감싸는 형상의 유로형성관과 상기 유로형성관의 하부에 배치되고, 토출구와 연결되는 유로토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와 내부의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로 들어오는 외부공기와 열교환 하는 복수의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크로스플로우팬;을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크로스플로우팬의 전면에 접하는 가상의 연장면인 제1면과 상기 팬의 후면에 접하는 가상의 연장면인 제2면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교환기는 복수의 열교환기가 상하방향으로 적층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는 상단에 배치되는 제1열교환기와 하단에 배치되는 제2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2열교환기의 하단에는 응축수를 담는 드레인패널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패널의 일측에는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드레인 호스가 수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와 내부의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로 들어오는 외부공기와 열교환 하는 복수의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크로스플로우팬;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열교환기는 상하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열교환기는 상기 크로스플로우팬의 전면에 접하는 가상의 연장면인 제1면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열교환기의 전후방향의 중심은 각각 상기 제1면과 상기 크로스플로우팬의 후면에 접하는 가상의 연장면인 제2면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와 내부의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로 들어오는 외부공기와 열교환 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크로스플로우팬;을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의 전후 너비는 상기 크로스플로우팬의 전후 너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를 중첩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열교환기의 성능을 극대화하고, 공기조화기를 슬림하게 하며, 이로써 공기조화기의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판넬 블레이드의 다단 구동 구조로 인해 기류 특성이 개선되며, 냉/난방 운전시 기류 방향 제어가 용이해 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전면패널과 상부패널을 분리한 실내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전면패널과 상면패널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의 단면도.
도 5는 도 2의 B-B`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후면패널의 내부를 나타내는 후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전면패널과 상부패널, 열교환기를 분리한 실내기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드레인패널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판넬블레이드 개방에 따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42)와 내부의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42)로 들어오는 외부공기와 열교환 하는 복수의 열교환기(110), 상기 열교환기(110)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기(110)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크로스플로우팬(100)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열교환기(110)는 상기 크로스플로우팬(100)의 전면에 접하는 가상의 연장면인 제1면(200)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열교환기(110)의 전후방향의 중심은 각각 상기 제1면(200)과 상기 크로스플로우팬(100)의 후면에 접하는 가상의 연장면인 제2면(202)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체(10)는 본체(10)의 전면을 이루며 전방토출구(22)가 구비되어 있는 전면패널(20)과 본체(10)의 하면을 이루며 하부토출구(32)가 구비되어 있는 하면패널(30),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흡입구(42)가 구비되는 상면패널(40), 전면패널(20)의 후방에 배치되며 본체(10)를 벽에 걸수 있도록 외측 후방에 벽걸이(미도시)가 구비된 측후면패널(50)로 구성된다.
토출구는 본체(10)의 전면패널(20)의 하부의 하부토출구(32)와 하면패널(30)의 전면의 전방토출구(22)를 포함하며, 각각 전면패널(20)과 하면패널(30)에 배치되어 열교환기(110)와 크로스플로우팬(100)을 거친 열교환된 외부공기가 토출되는 공간이다.
도 3과 같이 흡입구(42)는 상면패널(40)에 배치되는 데, 상면패널(40)에 한정되지 않고, 전면,측후면패널(5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흡입구(42)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공간으로서, 미관상 흡입구(42)의 형상이 보이지 않도록 상면패널(40)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구(42)는 많은 양의 외부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상면패널(40)의 상부 전 영역에 걸쳐 형성된다.
크로스플로우팬(100)은 열교환기(110)와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고, 열교환기(110)에 의해 열교환된 외부공기를 토출구로 토출시킨다. 크로스플로우팬(100)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팬으로서, 횡류팬이라고도 하며, 좌우방향의 양 끝단에는 크로스플로우팬(100)을 지지하는 지지대(102)가 구비된다.
크로스플로우팬(100)의 일측에는 크로스플로우팬(100)의 축과 결합된 모터(130)가 구비되며, 모터(130)의 작동을 통해 크로스플로우팬(100)이 구동하게 된다.
열교환기(110)는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되며 흡입구(42)로부터 유입된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거나 흡입구(42)를 통해 유입된 공기로 열을 전달한다. 열교환기(110)는 복수개가 구비되며, 상하로 적층되도록 배치된다.
크로스플로우팬(100)의 전면에 접하고, 전면패널(20)과 평행한 가상의 연장면을 제1면(200)이라 하고, 크로스플로우팬(100)의 후면에 접하고 전면패널(20)과 평행한 가상의 연장면을 제2면(202)이라고 할 때, 복수의 열교환기(110)는 제1면(200)의 후방에 배치되고, 복수의 열교환기(110)의 전후방향의 중심은 제1면(200)과 제2면(202)사이에 형성되도록 배치된다. 즉, 열교환기(110)가 크로스플로우팬(100)의 상단에 배치되어, 공기조화기의 전후방향의 길이는 크로스플로우팬(100)의 직경에만 영향을 받도록 하여, 공기조화기의 슬림화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도 10과 같이 복수의 열교환기(110)가 제1면(200)과 제2면(202)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여 목적에 부합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열교환기(110)는 크로스플로우팬(100)의 너비보다 동일하거나 작도록 전후방향길이가 형성되고, 크로스플로우팬(100)의 상단에 배치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 공기조화기의 전후방향의 길이는 크로스플로우팬(100)의 지름의 크기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그러므로 공기조화기를 더욱 슬림하게 제작할 수 있어서, 공간활용도가 향상되게 된다.
열교환기(110)는 여러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흡입구(42) 내측에 흡입구(42)와 평행하게, 바람직하게는 전면이나 후면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진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열교환기(112)와, 제1열교환기(112) 하부에 제2열교환기(114)가 배치된다. 제2열교환기(114)는 전면이나 후면으로 기울어진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제1열교환기(112)에 비해 기울어진 정도가 크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열교환기(112)는 후면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진방향으로 배치되고, 제2열교환기(114)는 후면으로 기울어진 형상으로 되어있다.
제2열교환기(114)는 제1열교환기(112)의 하부에 배치되는 데, 제2열교환기(114)의 전후너비는 제1열교환기(112)의 전후너비보다 동일하거나 크도록 형성되어 제1열교환기(112)로부터 발생하는 응축수가 제2열교환기(114)를 거쳐 드레인패널(120)에 배출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열교환기(11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는 모두 드레인패널(120)로 배출되게 된다.
열교환기(110)의 종류에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열교환기(110)는 냉매관과 핀으로 구성이 된다. 냉매관이 U자 형상으로 여러겹으로 겹쳐있고, 핀은 냉매관의 단면적, 발열면적을 넓히기 위해 냉매관의 진행방향과 수직된 방향으로 촘촘하게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열교환기(110)가 상하로 적층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핀의 밀집상태가 동일한 경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흡입공기의 흡입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상단에 배치되어 있는 열교환기(110) 일 수록 핀의 밀집도가 적게 배치하여, 외부공기에 대한 흡입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제1열교환기(112)의 핀의 밀집도가 제2열교환기(114)의 핀의 밀집도보다 작도록 배치하여, 흡입되는 흡입공기의 양을, 팬과 흡입구(42) 사이에 열교환기(110)를 하나만 구비한경우와 동등하도록 구비한다.
이러한 복수의 열교환기(110)의 배치와 형상을 통하는 경우, 본체(10) 상면판넬에 배치되는 흡입구(42)로부터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복수의 열교환기(110)를 차례로 거치며, 열교환이 되고, 크로스플로우팬(100)과 덕트(140)를 통해 토출구의 외부로 토출되게 된다.
복수의 열교환기(110)의 양 단부에는, 열교환기(110)의 하부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열교환기거치대(24)가 구비된다. 열교환기거치대(24)는 열교환기(110)가 공기조화기내에서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열교환기(110)의 하부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열교환기거치대(24)는 열교환기거치대(24)는 전면패널(20)에 형성이 된다.
드레인패널(120)은 응축수를 집수하는 구성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1드레인패널(122)과 제2드레인패널(124)이 구비된다. 도 4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복수의 열교환기(110)에 있어서, 최하단에 있는 열교환기(110)의 하부에는 열교환기(110)의 좌우방향으로 길게 제1드레인패널(122)이 배치된다. 드레인패널(120)은 열교환기(110)가 외부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할 때 발생하는 응축수가 고이는 곳으로 바람직하게는 일측이 소정각도 기울어져 있어서 집수가 되도록한다.
제2드레인패널(124)은 팬을 감싸는 유로형성관(142)의 후면에 배치되며 제1드레인패널(122)과 일측에 구비된 통로를 통해 연결이 된다. 제2드레인패널(124)은 크로스플로우팬(100)보다 하부에 배치되게 되어 찬공기가 지나감에 따라 공기조화기 내부에 맺히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구성이다. 제1드레인패널(122)에 집수되는 응축수는 일측에 통로를 따라 제2드레인패널(124)로 안내되고, 제2드레인패널(124)의 단부에는 드레인호스(128)가 배치되어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제1드레인패널(122)의 일측에는 응축수통로(126)가 구비되는 데, 이는 크로스플로우팬(100)과 모터(130)사이의 지지대(102)와 모터(130)의 상부의 모터덮개가 그 역할을 한다. 자세하게는 크로스플로우팬(100)과 모터(130) 사이의 회전축과, 모터(130)의 상단을 덮는 덮개를 응축수통로(126)로 이용함으로서, 제1드레인패널(122)에서 집수되는 응축수와, 찬공기가 지나감에 따라 모터 덮개와 크로스플로우팬(100)의 지지대(102) 측면에 생기는 응축수가 함께 응축수통로(126)로 안내된다.
응축수통로(126)는 제2드레인패널(124)로 안내되게 되고, 제2드레인패널(124)의 일측에는 드레인호스(128)가 배치되어, 집수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여기서 드레인호스(128)는 수직으로, 즉 전면패널(20)이나, 측후면패널(50)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됨에 따라 드레인호스(128)의 장착으로 인한 공기조화기의 전후너비의 증가가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면패널(20)과 하면패널(30)에는 토출구가 구비되는 데, 이는 판넬블레이드(150)를 통해 개폐된다. 판넬블레이드(150)는 전면패널(2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전면판넬블레이드(152)와, 하면패널(20)의 전면에 배치되는 하면판넬블레이드(154)를 포함한다.
도 4, 도 5, 도 9와 같이 판넬블레이드(150)는 공기조화기가 작동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전면패널(20)과 하면판넬(30)의 일부로서 배치된다. 공기조화기가 작동하게되면 전면판넬블레이드(152)와 하면판넬블레이드(154)는 단부의 회전축을 따라 각각 전면과 하부로 회전하게 되고, 토출구가 개방된다.
전면판넬블레이드(152)의 내측에는 보조블레이드(156)가 배치되는 데 이는 전면판넬블레이드(152)와 동시에 작동하게 되며, 공기조화기가 작동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내측에 전면패널(20)과 평행하도록 배치되고, 공기조화기가 작동하는 경우 전면판넬블레이드(152)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전면판넬블레이드(152)의 개방시에 보조블레이드(156)는 전면판넬블레이드(152)와 함께 회전하여 외부에 노출이 되도록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고 회전을 하게 된다. 전면판넬블레이드(152)가 폐쇄되어 전면패널(20)과 동일한 면상에 배치되는 경우 보조블레이드(156)는 전면판넬블레이드(152)에 내측에 배치되어 외부에 노출이 되지 않는 구조를 가진다.
크로스플로우팬(100)의 하부에는 토출공기가 안내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140)가 배치된다. 덕트(140)는 열교환기(110)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가 크로스플로우팬(100)에 의해 외부로 토출될 시에, 열교환된 공기를 안내하는 유로 역할을 하며, 이는 크로스플로우팬(100)의 하부를 감싸는 유로형성관(142)과, 유로형성관(142)의 하부에 배치되며, 토출구와 연결되는 유로토출관(1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로형성관(142)은 크로스플로우팬(100)의 하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배치된다. 크로스플로우팬(100)과 유로형성관(142) 사이의 갭은 차이가 작을 수록 송풍효율이 높아지게 되므로, 갭의 차이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유로토출관(144)은 유로형성관(142)의 하부에 배치되며, 유로형성관(142)에 비해 유로가 좁게 배치된다. 유로가 좁게 배치됨에 따라 크로스플로우팬(100)으로부터 불어나오는 열교환된 공기의 유속이 빨라지게 되어, 송풍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제어부(160)는 모터(130)의 상단, 열교환기(110) 측면에 배치되어 원거리 조작에 의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공기조화기의 기능을 실행하게 된다.
이하는 상기 구성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 및 공기의 유동에 관해 기술한다.
본체(10)의 상면패널(40)에 구비된 흡입구(42)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게 된다.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제1열교환기(112), 제2열교환기(114)를 지나면서 열교환을 하게 되고 이어서 크로스플로우팬(100)에 의해 송풍된다. 이어서 덕트(140)를 이루는 유로형성관(142)과 유로토출관(144)을 차례로 지나 판넬블레이드(150)에 의해 외부로 토출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열교환기(110)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는 제1드레인패널(122), 응축수통로(126) 제2드레인패널(124)에 의해 집수가 되며, 드레인호스(128)에 의해 외부로 배출이 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본체 20 : 전면패널
22 : 전방토출구 24 : 열교환기거치대
30 : 하면패널 32 : 하부토출구
40 : 상면패널 42 : 흡입구
50 : 측후면패널
100 : 크로스플로우팬 102 : 지지대
110 : 열교환기 112 : 제1열교환기
114 : 제2열교환기
120 : 드레인패널 122 : 제1드레인패널
124 : 제2드레인패널 126 : 응축수통로
128 : 드레인호스
130 : 모터 140 : 덕트
142 : 유로형성관 144 : 유로토출관
150 : 판넬블레이드 152 : 전면판넬블레이드
154 : 하면판넬블레이드 156 : 보조블레이드
160 : 제어부
200 : 제1면 202 : 제2면

Claims (16)

  1.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와 내부의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로 들어오는 외부공기와 열교환 하는 복수의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크로스플로우팬;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열교환기는 상기 크로스플로우팬의 전면에 접하는 가상의 연장면인 제1면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열교환기의 전후방향의 중심은 각각 상기 제1면과 상기 크로스플로우팬의 후면에 접하는 가상의 연장면인 제2면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복수의 열교환기가 상하방향으로 적층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열교환기 중 최하단에 배치되는 열교환기는 일측이 타측보다 낮게 형성이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열교환기의 하단에는 드레인패널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공기조화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패널의 일측에는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드레인 호스가 수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에는 패널의 일부로서 개폐가능하도록 마련된 판넬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블레이드의 내측에는 토출공기의 외부로의 안내를 위해 보조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플로우팬의 하부에는 토출공기가 안내되는 유로가 형성되는 덕트가 배치되고,
    상기 덕트는,
    크로스플로우팬의 하부를 감싸는 형상의 유로형성관과
    상기 유로형성관의 하부에 배치되고, 토출구와 연결되는 유로토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와 내부의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로 들어오는 외부공기와 열교환 하는 복수의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크로스플로우팬;을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크로스플로우팬의 전면에 접하는 가상의 연장면인 제1면과 상기 팬의 후면에 접하는 가상의 연장면인 제2면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복수의 열교환기가 상하방향으로 적층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상단에 배치되는 제1열교환기와 하단에 배치되는 제2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열교환기의 하단에는 응축수를 담는 드레인패널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패널의 일측에는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드레인 호스가 수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4.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와 내부의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로 들어오는 외부공기와 열교환 하는 복수의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크로스플로우팬;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열교환기는 상하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열교환기는 상기 크로스플로우팬의 전면에 접하는 가상의 연장면인 제1면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열교환기의 전후방향의 중심은 각각 상기 제1면과 상기 크로스플로우팬의 후면에 접하는 가상의 연장면인 제2면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6.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와 내부의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로 들어오는 외부공기와 열교환 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크로스플로우팬;을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의 전후 너비는 상기 크로스플로우팬의 전후 너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20119416A 2012-10-26 2012-10-26 공기조화기 KR2014005646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416A KR20140056465A (ko) 2012-10-26 2012-10-26 공기조화기
EP13185052.1A EP2725306A3 (en) 2012-10-26 2013-09-18 Air conditioner
CN201310512773.3A CN103791558A (zh) 2012-10-26 2013-10-25 空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416A KR20140056465A (ko) 2012-10-26 2012-10-26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6465A true KR20140056465A (ko) 2014-05-12

Family

ID=49230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9416A KR20140056465A (ko) 2012-10-26 2012-10-26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2725306A3 (ko)
KR (1) KR20140056465A (ko)
CN (1) CN10379155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34232A (zh) * 2018-05-09 2018-09-14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送风组件及具有该送风组件的柜式空调室内机
CN108954794A (zh) * 2018-08-31 2018-12-07 四川长虹空调有限公司 一种空调贯流风扇换热组件
KR20220158347A (ko) * 2021-05-24 2022-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처리장치
KR20220158348A (ko) * 2021-05-24 2022-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3096A1 (ja) * 2015-10-28 2017-05-04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機および室内機
KR20180033634A (ko) 2016-09-26 2018-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JP6925420B2 (ja) * 2017-06-19 2021-08-25 三菱電機株式会社 ユニット、及び空気調和機
JP7433754B2 (ja) * 2018-09-27 2024-02-20 株式会社大林組 空調機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7231B1 (ko) * 1995-12-30 1999-05-01 김광호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00965B1 (ko) * 2000-07-07 2007-03-28 댄포스 아/에스 통기 장치, 이러한 통기 장치 및 통기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시스템을 포함하는 건물, 통기 장치의 작동 방법, 설치 부재, 온도 변화 시스템, 및 열 전달률의 제어 방법
CN2497216Y (zh) * 2001-08-16 2002-06-26 山东哈帕尔空调有限公司 超薄型风机盘管机组
US7028506B2 (en) * 2001-10-15 2006-04-18 Lg Electronics Inc. Indoor unit of packaged air conditioner
JP2006105416A (ja) * 2004-09-30 2006-04-20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の壁掛け型室内ユニット
KR100826028B1 (ko) * 2006-05-20 2008-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20090124562A (ko) * 2008-05-30 2009-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2721116B (zh) * 2012-06-27 2016-04-27 广州芬尼克兹空调有限公司 一种超薄风机盘管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34232A (zh) * 2018-05-09 2018-09-14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送风组件及具有该送风组件的柜式空调室内机
CN108534232B (zh) * 2018-05-09 2023-04-18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送风组件及具有该送风组件的柜式空调室内机
CN108954794A (zh) * 2018-08-31 2018-12-07 四川长虹空调有限公司 一种空调贯流风扇换热组件
CN108954794B (zh) * 2018-08-31 2023-11-10 四川长虹空调有限公司 一种空调贯流风扇换热组件
KR20220158347A (ko) * 2021-05-24 2022-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처리장치
KR20220158348A (ko) * 2021-05-24 2022-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25306A2 (en) 2014-04-30
CN103791558A (zh) 2014-05-14
EP2725306A3 (en) 2017-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56465A (ko) 공기조화기
KR101717344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US11022325B2 (en) Air conditioner
KR20130105190A (ko) 공기 조화기
WO2023065680A1 (zh) 空调室内机
JP2003207152A (ja) 空気調和機
WO2006035927A1 (ja) 空気調和機の壁掛け型室内ユニット
JP2011208847A (ja) ダクト型空気調和機
CN201203215Y (zh) 除湿机
CN207570023U (zh) 一种新型多功能空气处理装置
JP2003207154A (ja) 空気調和機
KR10087364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73204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216143923U (zh) 空气净化装置、空调内机及空调器
CN220355532U (zh) 风管式空调机
CN220506994U (zh) 立式空调室内机
KR20040085965A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응축기 냉각구조
CN217817102U (zh) 空调烟机
CN218001662U (zh) 空调室内机
JPS6119397Y2 (ko)
KR100483918B1 (ko) 공기조화기
KR100794352B1 (ko) 공기조화기
KR100484936B1 (ko) 공기조화기
KR20030043465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865089B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