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4436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04436B1 KR102104436B1 KR1020190049086A KR20190049086A KR102104436B1 KR 102104436 B1 KR102104436 B1 KR 102104436B1 KR 1020190049086 A KR1020190049086 A KR 1020190049086A KR 20190049086 A KR20190049086 A KR 20190049086A KR 102104436 B1 KR102104436 B1 KR 1021044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 exchanger
- air
- disposed
- fan
- air condition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2—Centrifugal or radial f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패널과, 상기 공기 흡입구의 전방에 배치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의 전방에 배치되고 공기를 상기 공기 흡입구로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시킨 후 토출시키는 송풍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흡입패널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송풍유닛은 상기 열교환기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복수의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송풍팬은 상기 열교환기와 나란한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차지하는 부피가 적은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론트 커버를 통해 공기를 토출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난방기, 냉방기, 청정기 등으로 실내를 냉난방 시키거나 공기를 정화할 목적으로 설치되어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게 된다.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와 공기조화기의 내부에서 공조된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KR 10-20090043234A(이하, '특허문헌1' 이라고도 한다.)는 본체의 좌, 우 양 측면에 형성된 토출구와, 상기 토출구 하측에 형성된 흡입구와,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송풍기와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1의 공기조화기는 흡입구가 하측에 형성되고, 열교환기가 본체와 일정각도를 이루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공기조화기의 전후방향의 폭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기조화기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을 효율적으로 배치하여 전후방향으로 차지하는 부피가 작은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패널과, 상기 공기 흡입구의 전방에 수용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의 전방에 배치되는 송풍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흡입패널은 상기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후판과, 상기 후판의 좌측에 형성된 좌측판과, 상기 후판의 우측에 형성된 우측판과, 상기 좌측판과 우측판 사이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판을 포함한다.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공기 흡입구의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좌측판과 우측판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하판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흡입패널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열교환기는 좌우 방향의 길이보다 상하 방향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송풍유닛은 공기를 상기 공기 흡입구로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시킨 후 토출시킨다. 상기 송풍유닛은 상기 열교환기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복수의 송풍팬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송풍팬은 상기 열교환기와 나란한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송풍팬은 상기 열교환기의 상부 전방에 배치된 상부 송풍팬과, 상기 열교환기의 하부 전방에 배치된 하부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은 후방의 공기를 흡입하여 둘레 방향으로 송풍시키는 원심팬일 수 있다. 상기 상부 송풍팬은 상부 원심팬일 수 있고, 상기 하부 송풍팬은 하부 원심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 흡입구가 흡입패널의 후판에 형성되고, 열교환기가 상기 공기 흡입구의 전방에 상기 흡입패널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송풍유닛이 상기 상기 열교환기의 전방에 배치되어, 열교환기를 공기조화기의 외관과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경우에 비하여, 전후방향의 폭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정지시 종단면도,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토출 패널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6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토출 패널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정지시 종단면도,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토출 패널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6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토출 패널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정지시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토출 패널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토출 패널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케이싱(2)을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케이싱(2)에 설치되어 케이싱(2) 내부에서 공조된 공기를 전방으로 토출하는 토출 패널 어셈블리(4)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2)은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고, 실내의 공기가 케이싱(2)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는 공기 흡입구(12)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싱(2)은 공기조화기가 토출 패널 어셈블리(4)와 다른 위치에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공기 토출구(14)가 형성될 수 있고, 공기 토출구(14)는 토출 패널 어셈블리(4)와 다른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게 형성될 수 있다.
케이싱(2)은 베이스(32)와, 공기 흡입구(12)가 형성된 흡입패널(34)을 포함한다. 흡입패널(34)은 베이스(32)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흡입패널(34)은 공기 흡입구(12)가 형성된 후판(34a)과, 후판(34a)의 좌측에 형성된 좌측판과 후판의 우측에 형성된 우측판을 포함할 수 있고, 좌측판과 우측판의 사이에는 열교환기(18)가 수용되는 열교환기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흡입패널(34)은 상기 좌측판과 우측판의 사이 하측에 배치되는 하판(34b)을 포함할 수 있다. 하판(34b)에 열교환기가 올려져 지지될 수 있다.
케이싱(2)에는 케이싱(2)에는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18)와, 공기 흡입구(12)로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기(18)를 통과시킨 후 공기 토출구(14)로 토출시키는 송풍유닛(20)이 설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18)는 공기 흡입구(12)의 전방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18)는 흡입패널(34)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열교환기(18)는 좌우 방향의 길이보다 상하 방향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송풍유닛(20)은 후방의 공기를 흡입하여 둘레 방향으로 송풍시키는 원심식 송풍유닛이 설치될 수 있다. 송풍유닛(20)은 열교환기(18)의 전방에 배치된다. 송풍유닛(20)은 공기를 공기 흡입구(12)로 흡입하여 열교환기(18)를 통과시킨후 토출시킨다.
송풍유닛(20)은 열교환기(18)의 전방에 배치되고 열교환기(18)를 통과한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24)와, 오리피스(24)의 전방에 배치된 팬 하우징(26)과, 팬 하우징(26)에 설치된 모터(28)와, 모터(28)에 설치된 송풍팬(30)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30)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송풍팬(301, 302)은 열교환기(18)와 나란한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송풍팬(301, 302)은, 열교환기(18)의 상부 전방에 배치되는 상부 송풍팬(301)과 열교환기(18)의 하부 전방에 배치되는 하부 송풍팬(302)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30)은 후방의 공기를 흡입하여 둘레 방향으로 송풍시키는 원심팬(30)일 수 있다. 상기 상부 송풍팬(301)은 상부 원심팬(301)일 수 있고, 상기 하부 송풍팬(302)은 하부 원심팬(302)일 수 있다.
원심팬(30)은, 열교환기(18)의 상부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상부 원심팬(301)과, 열교환기(18)의 하부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하부 원심팬(302)을 포함한다. 상부 원심팬(301)과 하부 원심팬(302)은 열교환기(18)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원심팬(301)과 하부 원심팬(302)은 열교환기(18)와 나란한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모터(28)는 복수의 송풍팬(301, 302) 각각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모터(28)는 상부 원심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상부 모터(281)와 하부 원심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하부 모터(2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모터(281)와 하부 모터(282)의 구동축(28a)에 각각 상부 원심팬(301)과 하부 원심팬(302)이 배치된다. 상부 모터(281)와 하부 모터(282)의 구동축(28a)은 열교환기(18)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오리피스(24)는 송풍팬(30)과 열교환기(18)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오리피스(24)는 복수의 송풍팬(301, 302)과 각각 대향하는 위치에 복수의 홀(24a, 24b)을 형성하는 복수의 테두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테두리부 내측에 각각 상기 홀(24a, 24b)이 형성될 수 있다. 오리피스(24)는 상부 원심팬(301)과 열교환기(18) 사이에 상부홀(24a)이 형성될 수 있고, 하부 원심팬(302)과 열교환기(18) 사이에 하부홀(24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는 오리피스(24)의 전방면으로부터 송풍팬(30)측(전방을 향하여)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의 송풍팬(30)측 단부(즉, 전단부)의 내측 폭은 상기 열교환기측(18) 단부(즉, 오리피스(24)의 전방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의 내측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오리피스(24)의 전방면으로부터 상기 송풍팬(30)측 단부로 갈수록 내측 폭이 좁아질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의 송풍팬(30)측 단부는 송풍팬(30)의 후단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의 송풍팬(30)측 단부는 상기 송풍팬(30)의 후단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송풍유닛(20)을 측면에서 바라볼 시, 상기 테두리부의 전단부와 송풍팬(30)의 후단을 포함하는 일부는 중첩될 수 있다.
오리피스(24)는 송풍팬(30)과 열교환기(18) 사이에 배치되는 전방면과 상기 전방면의 상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상측면(24u)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방면의 상단은 열교환기(18)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방면의 하단은 열교환기(18)의 하단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다. 오리피스(24)의 상측면(24u)은 열교환기의 상측에 배치된다. 오리피스(24)의 하단부는 흡입패널(34)의 하판(34b) 전단부와 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오리피스(24)는 열교환 효율 및 송풍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팬 하우징(26)은 흡입패널(34)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팬 하우징(26)은 후면이 개방되어, 팬 하우징(26)과 흡입패널(34) 사이에 모터(28), 원심팬(30), 오리피스(24) 및 열교환기(18)가 설치될 수 있다.
팬 하우징(26)은 팬 하우징의 전방을 형성하는 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구획판(27)을 포함할 수 있다. 구획판(27)은 상부 원심팬(301)과 하부 원심팬(30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획판(27)은 상부 원심팬(301)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 유로와 하부 원심팬(302)에 의해 형성되는 하부 유로를 구획할 수 있다.
팬 하우징(26)은 하측면이 개방될 수 있다. 후술하는 토출 패널 어셈블리(4)의 공기 토출 공간(S)은 팬 하우징(26)의 개방된 하측면과 연통되어 열교환기(18)를 통과한 공기가 원심팬(30)에 의해 공기 토출 공간(S)으로 토출될 수 있다.
케이싱(2)은 전방부의 상단과 하단 사이 일부에 개구부(39)가 형성될 수 있고, 토출 패널 어셈블리(4)는 선단이 개구부(39)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케이싱(2)은 송풍유닛(20)의 전방에 배치되는 상부 커버(36)와, 베이스(32)의 전방에 배치되는 하부 커버(38)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상부 커버(36)와 하부 커버(38)가 토출 패널 어셈블리(4)의 높이만큼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고, 토출 패널 어셈블리(4)가 상부 커버(36)와 하부 커버(38)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공기조화기는 상부 커버(36)와 하부 커버(38)의 사이에 개구부(39)가 형성될 수 있고, 토출 패널 어셈블리(4)는 그 선단이 개구부(39)에 위치되어, 상부 커버(36)와 하부 커버(38)의 사이 전방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송풍유닛(20)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가능하고, 케이싱(2)이 송풍유닛(20)의 측면을 보호하는 사이드 패널(42)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이드 패널(42)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송풍유닛(20)의 측면과 베이스(32)의 측면을 함께 보호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송풍유닛(20)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될 경우 송풍유닛(20) 특히 팬 하우징(26)의 좌측부와 우측부 중 적어도 하나에 공기 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팬 하우징(26)은 좌측에 좌측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고 우측에 우측 공기 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싱(2)이 사이드 패널(42)을 포함할 경우 송풍유닛(20) 특히 팬 하우징(26)의 좌측부와 우측부 중 적어도 하나에 공기 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고 사이드 패널(42)에 팬 하우징(26)의 공기 토출구가 연통되는 공기 토출구(14)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기 토출구(14)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베인(44)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기 토출구(14)와 풍향조절베인(44)을 함께 차폐하거나 함께 노출시키는 도어(45)를 포함한다. 도어(45)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토출 패널 어셈블리(4)를 통해 전방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는 프론트 토출 가이드(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토출 가이드(46)는 토출 패널 어셈블리(4) 내측으로 돌출되어 토출패널 어셈블리(4)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부재(47)와, 풍향조절부재(47)를 토출 패널 어셈블리(4)의 내측과 토출 패널 어셈블리의 상측으로 회전시키는 풍향조절모터(48)를 포함할 수 있다.
풍향조절부재(47)는 풍향조절모터(48)에 의해 수평하게 회전되었을 때, 토출 패널 어셈블리(4)를 통한 이물질의 침투를 막을 수 있고, 풍향조절모터(48)에 의해 하향 경사지게 회전되었을 때, 토출 패널 어셈블리(4)를 통한 공기의 토출을 안내할 수 있다.
토출 패널 어셈블리(4)는 공기조화기의 외관 일부를 형성하면서 케이싱(2)의 내부에서 공조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토출 패널 어셈블리(4)는 프론트 커버(50)와 프론트 패널(50)에 설치된 가시화 모듈(7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50)는 전면(51)과 배면(52)이 개방되고 내측에 공기 토출 공간(S)이 형성되며 둘레부의 일부에 공기 토출 공간(S)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홀(53)이 형성된다. 공기 토출 공간(S)은 공기 토출홀(53)을 통해 토출된 공기를 공기 토출 공간(S)의 전방으로 토출할 수 있다.
가시화 모듈(70)은 프론트 커버(50)의 배면(52)을 막고 공기 토출 공간(S)을 통해 보인다.
가시화 모듈(70)은 그 전면이 공기 토출 공간(S)의 배면을 형성하면서 공기 토출 공간(S)을 통해 보인다.
가시화 모듈(70)은 프론트 커버(50)에 결합되는 리어 커버(72)와; 리어 커버(72)에 장착된 리어 장식판(80)과; 리어 장식판(80)의 전방에 위치되는 프론트 장식판(90)과; 리어 커버(72)에 설치되고 리어 장식판(80)과 프론트 장식판(90)의 사이로 광을 조사하는 광기구(100)를 포함한다.
프론트 장식판(90)은 가시화 모듈(70)의 전면을 구성하고, 프론트 커버(50)의 배면(52)을 막으며, 공기 토출 공간(S)을 통해 보인다.
즉, 토출 패널 어셈블리(4)는 공기조화기의 전방에서 볼 때, 프론트 장식판(90)이 공기 토출 공간(S)을 통해 보이면서 장식미를 높이고, 공기 토출 공간(S)으로 유동된 공기는 프론트 장식판(90)에 막혀 광기구(100)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50)는 프론트 장식판(90)과 함께 공기토출홀(53)을 통과한 공기를 전방으로 안내하는 공기 토출 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공기토출홀(53)과 공기 토출 공간(S)은 열교환기(18)에서 열교환된 공기의 토출 통로로 기능할 수 있다.
공기토출홀(53)과 공기 토출 공간(S)은 공기조화기가 풍향조절부재(47)를 포함할 경우 풍향조절부재(47)가 간섭 없이 회전될 수 있는 빈 공간으로 기능할 수 있고, 토출 패널 어셈블리(4)는 풍향조절부재(47)를 보호하는 보호부로 기능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50)는 상면에 공기 토출홀(53)이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50)는 상면에 공기 토출홀(53)이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S1)이 형성된 리어 공간부(54)와, 리어 공간부(54)의 전방에 경사지게 형성되고 리어 공간부의 공간(S1) 보다 큰 공간(S2)이 형성된 프론트 공간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 공간부(54)는 좌판부(56)와 우판부(57)와 하판부(58)를 포함할 수 있고, 좌판부(56)의 상단과 우판부(57)의 상단 사이에 공기 토출홀(5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좌판부(56)와 우판부(57)와 하판부(58)는 프론트 장식판(90)과 함께 공간(S1)을 형성할 수 있다.
프론트 공간부(55)는 전방 상측을 향해 경사지는 상측 경사부(61)와, 전방 좌측을 향해 경사지는 좌측 경사부(62)와, 전방 우측을 향해 경사지는 우측 경사부(63)와, 전방 하측을 향해 경사지는 하측 경사부(6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공간부(52)는 상측 경사부(61)와 좌측 경사부(62)와 우측 경사부(63)와 하측 경사부(64)의 사이에 리어 공간부의 공간(S1) 보다 큰 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52)는 후단에 리어 커버(72)와 결합되는 리어 커버 결합부(65)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리어 커버 결합부(65)는 리어 공간부(54)의 후단에 돌출 형성될 수 있고, 리어 공간부(54)의 좌판부(56)와 우판부(57)와 하판부(58)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상단이 상하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리어 커버 결합부(65)는 좌판부(56)와 우판부(57)와 하판부(58)에서 직교하게 돌출된 제 1 돌출부(66)와, 제 1 돌출부(66)에서 후방으로 직교하게 돌출된 제 2 돌출부(67)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50)는 프론트 공간부(55)의 상측 경사부(61)에 송풍유닛(20)과 후크 결합되어 장착되거나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장착될 수 있는 상부 결합부(68)가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50)는 프론트 공간부(55)의 하측 경사부(64) 베이스(32)와 후크 결합되어 장착되거나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장착될 수 있는 하부 결합부(69)가 형성될 수 있다.
리어 커버(72)는 전면이 개방된 박스체로 형성될 수 있어 리어 장식판(80)과 프론트 장식판(90)과 광기구(100)를 보호할 수 있다.
리어 커버(72)는 그 테두리부(73)(74)(75)(76) 중 좌측 테두리부(73)와 우측 테두리부(74)와 하측 테두리부(75)가 프론트 커버(52)의 리어 커버 결합부(65)와 밀착될 수 있고, 좌측 테두리부(73)와 우측 테두리부(74)와 하측 테두리부(75) 중 적어도 하나가 프론트 커버(52)의 리어 커버 결합부(65)와 후크 결합되어 장착되거나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커버(72)는 상측 테두리부(76)가 프론트 커버(52)에 형성된 리어 커버 결합부(65)의 상단을 덮을 수 있다.
리어 장식판(80)은 리어 커버(72)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고, 광기구(100)에서 조사된 광을 프론트 장식판(90)으로 반사시킬 수 있는 반사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프론트 장식판(90)의 후방 위치에서 프론트 장식판(90)으로 광을 반사시키는 리어 반사판으로 기능할 수 있다.
리어 장식판(80)은 프론트 장식판(90)의 투명도에 따라 프론트 장식판(90)을 통해 보이는 것이 가능하고, 그 전면에는 장식부가 코팅 형성되거나 인쇄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장식판(90)은 광이 투과되는 재질일 수 있고, 리어 장식판(80)과의 사이에 공간(S3)이 형성되게 설치될 수 있다. 프론트 장식판(90)은 프론트 커버(50)의 배면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리어 장식판(80)과 함께 리어 커버(72)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광기구(100)는 프론트 커버(50)의 전면을 통해 공기가 토출될 때 온될 수 있다.
광기구(100)는 엘이디나 각종 램프로 이루어질 수 잇고,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광기구(100)의 온시, 가시화모듈(70)은 프론트 장식판(90)이 밝게 보일 수 있고, 사용자는 공기 토출 공간(S)을 통해 프론트 장식판(90)이 밝게 보이는 것에 의해 프론트 커버(50)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는 것을 알수 있고, 이때, 프론트 장식판(90)는 공기 토출 공간(S)을 통해 밝게 보이면서 공기조화기의 장식미를 높이고 고급화할 수 있다.
광기구(100)는 공기 토출 공간(S)의 후방에 위치되어 전방으로 광을 직접 조사하는 것도 가능하고, 공기 토출 공간(S)의 후방 이외에 위치되어 프론트 장식판(90)과 리어 장식판(80)의 사이로 광을 간접 조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시화모듈(70)은 프론트 장식판(90)과 리어 장식판(80)의 사이 위치에, 광기구(100)에서 조사된 광에 의해 밝게 보이는 장식부재가 설치될 수 잇고, 광기구(100)가 장식부재로 광을 조사하면 장식부재가 광에 의해 밝게 빛나면서 장식미와 고급화를 높일 수 있다.
광기구(100)는 공기토출홀(53)이 프론트 커버(50)의 상부에 형성될 경우, 가시화 모듈(7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고, 공기토출홀(53)이 프론트 커버(50)의 하부에 형성될 경우, 가시화 모듈(7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광기구(100)는 공기토출홀(53)이 프론트 커버(50)의 상부에 형성될 경우, 프론트 장식판(90)의 하부와 리어 장식판(80)의 하부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광기구(100)는 리어 커버 결합부(65)의 후방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기조화기는 운전시, 송풍유닛(20)이 구동될 수 있고, 송풍유닛(20)의 구동시 광기구(100)가 온될 수 있다.
실내의 공기는 공기 흡입구(12)로 흡입되어 열교환기(18)에서 열교환된 후 공기 토출홀(52)로 토출될 수 있고, 공기 토출홀(52)로 토출된 공기는 공기 토출 공간(S)을 통해 공기 토출 공간(S)의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공기 토출홀(52)에서 공기 토출 공간(S)으로 토출된 공기는 리어 공간부(54)이 공간(S1)과 프론트 공간부의 공간(S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프론트 토출 공간(S)의 전방으로 토출되고, 이때, 광기구(100)에서 조사된 광은 프론트 장식판(90)과 리어 장식판(80)의 사이로 조사된다.
사용자는 공기조화기의 전방 위치에서 공기 토출 공간(S)을 통해 프론트 장식판(90)이 밝게 보이는 것을 식별할 수 있고, 사용자는 프론트 커버(50)를 통한 공기의 토출과 공기의 토출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론트 장식판(90)은 공기 토출 공간(S)을 통해 보이고 공기조화기의 내부가 보이지 않게 하면서 공기 토출 공간(S)을 고급화한다.
50: 프론트 커버 53: 공기 토출홀
54: 리어 공간부 55: 프론트 공간부
61: 상측 경사부 62: 좌측 경사부
63: 우측 경사부 64: 하측 경사부
65: 리어 커버 결합부 72: 리어 커버
80: 리어 장식판 90: 프론트 장식판
100; 광기구 S; 공기 토출 공간
54: 리어 공간부 55: 프론트 공간부
61: 상측 경사부 62: 좌측 경사부
63: 우측 경사부 64: 하측 경사부
65: 리어 커버 결합부 72: 리어 커버
80: 리어 장식판 90: 프론트 장식판
100; 광기구 S; 공기 토출 공간
Claims (13)
-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후판과, 상기 후판의 좌측에 형성된 좌측판과, 상기 후판의 우측에 형성된 우측판과, 상기 좌측판과 우측판 사이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판을 포함하는 흡입패널;
상기 공기 흡입구의 전방 및 상기 좌측판과 우측판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하판에 의하여 지지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의 전방에 배치되고, 공기를 상기 공기 흡입구로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시킨 후 토출시키는 송풍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흡입패널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송풍유닛은,
상기 열교환기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복수의 송풍팬; 및
상기 복수의 송풍팬과 상기 열교환기 사이에 배치되는 오리피스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송풍팬은 상기 열교환기와 나란한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오리피스는,
상단이 상기 열교환기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하고, 하단이 상기 열교환기의 하단보다 낮게 위치하는 전방면; 및
상기 전방면의 상기 복수의 송풍팬과 각각 대향하는 위치에서부터 상기 송풍팬측으로 돌출되어 내측에 홀을 형성하는 복수의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송풍팬측 단부의 내측 폭이 상기 열교환기측 단부의 내측 폭보다 작은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유닛은 상기 복수의 송풍팬 각각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모터는 구동축이 상기 열교환기와 수직하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좌우 방향의 길이보다 상하 방향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송풍팬은,
상기 열교환기의 상부 전방에 배치되는 상부 송풍팬; 및
상기 열교환기의 하부 전방에 배치되는 하부 송풍팬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후방의 공기를 흡입하여 둘레 방향으로 송풍시키는 원심팬이고,
상기 테두리부의 상기 송풍팬측 단부는 상기 송풍팬의 후단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는 상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열교환기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면을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의 하단부는 상기 하판의 전단부와 접하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유닛은,
상기 흡입패널의 전방에 배치되고,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고, 후면이 개방된 팬 하우징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송풍팬은,
상기 열교환기의 상부 전방에 배치된 상부 원심팬; 및
상기 열교환기의 하부 전방에 배치된 하부 원심팬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팬 하우징은, 상기 상부 원심팬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 유로와 상기 하부 원심팬에 의해 형성되는 하부 유로를 구획하는 구획판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팬 하우징은, 좌측에 좌측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고, 우측에 우측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팬 하우징은 하측면이 개방된 공기조화기.
- 제 11 항에 있어서,
상측에 상기 흡입패널이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팬 하우징의 전방에 배치되는 상부 커버;
상기 베이스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커버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하부 커버; 및
상기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팬 하우징의 개방된 하측면과 연통되어 전방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 패널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의 상기 송풍팬측 단부는 상기 송풍팬의 후단의 내측에 위치하는 공기조화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9086A KR102104436B1 (ko) | 2019-04-26 | 2019-04-26 | 공기조화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9086A KR102104436B1 (ko) | 2019-04-26 | 2019-04-26 | 공기조화기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08209A Division KR101975023B1 (ko) | 2011-10-21 | 2011-10-21 | 공기조화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46737A KR20190046737A (ko) | 2019-05-07 |
KR102104436B1 true KR102104436B1 (ko) | 2020-04-24 |
Family
ID=66655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49086A KR102104436B1 (ko) | 2019-04-26 | 2019-04-26 | 공기조화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04436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308381A (ja) * | 2004-04-20 | 2005-11-04 | Lg Electron Inc | 空調機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147721U (ko) * | 1989-05-15 | 1990-12-14 | ||
JPH1163628A (ja) * | 1997-08-07 | 1999-03-05 | Toshiba Corp | 空気調和機 |
KR100310367B1 (ko) * | 1998-05-07 | 2001-12-17 | 윤종용 | 분리형공기조화기및그제어방법 |
KR20040092905A (ko) * | 2003-04-29 | 2004-11-04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보조 크로스 플로우 팬을 구비한 분리형 에어컨의 실내기 |
KR100541476B1 (ko) * | 2003-10-08 | 2006-01-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일체형 공기조화기 |
KR20050047623A (ko) * | 2003-11-18 | 2005-05-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일체형 공기조화기 |
KR20060017010A (ko) * | 2004-08-19 | 2006-02-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일체형 공기조화기 |
KR20070078253A (ko) * | 2006-01-26 | 2007-07-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KR20070113909A (ko) * | 2006-05-26 | 2007-11-29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공기조화기의 슬림형 실내기 |
KR20080027679A (ko) * | 2006-09-25 | 2008-03-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KR20090043234A (ko) | 2007-10-29 | 2009-05-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KR101482106B1 (ko) * | 2008-03-14 | 2015-01-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
2019
- 2019-04-26 KR KR1020190049086A patent/KR10210443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308381A (ja) * | 2004-04-20 | 2005-11-04 | Lg Electron Inc | 空調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46737A (ko) | 2019-05-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602563B1 (en) | Air conditioner | |
KR101315427B1 (ko) | 공기조화기 | |
KR20140094414A (ko) | 공기조화기 | |
KR20140089068A (ko) | 공기조화기 | |
KR101902886B1 (ko) | 공기조화기 | |
KR20140092952A (ko) | 공기조화기 | |
KR102053144B1 (ko) | 공기조화기 | |
KR20090076092A (ko) | 공기조화기 | |
KR101447755B1 (ko)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
JP6507654B2 (ja) | 空気調和機 | |
KR102104436B1 (ko) | 공기조화기 | |
KR20140092956A (ko) | 공기조화기 | |
KR20040003730A (ko) | 공기조화기 | |
KR102587027B1 (ko) | 공기처리장치 | |
JP2016130606A (ja) | 空気調和機 | |
KR102190008B1 (ko) | 공기조화기 | |
KR100884047B1 (ko) | 공기조화기 | |
KR101385288B1 (ko) | 공기조화기 | |
KR101781039B1 (ko) | 공기조화기 | |
KR101868371B1 (ko) | 스텐드형 공기조화기 | |
KR101975023B1 (ko) | 공기조화기 | |
KR100389428B1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설치구조 | |
KR101046513B1 (ko) | 분리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풍향조절장치 | |
KR20100122142A (ko)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
CN220061924U (zh) | 柜式空调室内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