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0008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0008B1
KR102190008B1 KR1020190175136A KR20190175136A KR102190008B1 KR 102190008 B1 KR102190008 B1 KR 102190008B1 KR 1020190175136 A KR1020190175136 A KR 1020190175136A KR 20190175136 A KR20190175136 A KR 20190175136A KR 102190008 B1 KR102190008 B1 KR 102190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inner guide
discharge
air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5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749A (ko
Inventor
송성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5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008B1/ko
Publication of KR20200002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26R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Abstract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토출 가이드가 형성된 본체와; 토출 가이드 내측에 위치되어 토출 가이드와 공기 토출 통로를 형성하는 이너 가이드와; 이너 가이드를 무빙시키는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를 포함하여, 수평 풍향조절부재나 수직 풍향 조절부재로 풍향을 조절하는 경우 보다 다양한 토출 방향을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가 토출 안내되는 토출 가이드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온도와 습도와 청정도을 변화시킨 후 실내로 다시 토출하여 실내를 공조시키는 장치이다.
공기조화기는 용도로 구분하면, 실내를 냉방시키는 냉방기와, 실내를 난방시키는 난방기와, 실내를 제습하는 제습기와, 실내를 가습하는 가습기와, 실내를 청정시키는 정정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본체에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고, 본체에는 공기를 변화시키는 공조유닛과, 실내 공기를 공기 흡입구로 흡입하여 공조유닛을 통과시킨 후 공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송풍유닛이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기 토출구에 풍향을 조절하는 판상의 풍향조절부재를 설치할 수 있고, 공기 토출구에 수평하게 배치된 상하 풍향조절부재를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하 풍향을 조절할 수 있으며, 공기 토출구에 수직하게 배치된 수직 풍향조절부재를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좌우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종래기술로 KR10-2005-0118948을 제시한다. 종래기술은 공기토출구에 배치된 프론트패널을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개시하며, 프론트패널이 이동하여 공기토출방향이 가변하는 발명이다.
하지만, 종래기술이 개시하는 프론트패널 이동부재에 의하면, 프론트패널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1방향으로만 이동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2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프론트패널을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추가적인 이동부재의 설치가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양한 토출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풍향조절부재를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토출 가이드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토출 가이드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토출 가이드와 공기 토출 통로를 형성하는 이너 가이드와; 상기 이너 가이드를 무빙시키는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이너가이드 무빙기구는 토출가이드에 고정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일 측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고정케이스를 구비한다. 또한, 고정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를 구비한다. 또한, 일 측에 돌출 형성된 연결부를 구비하여, 이너가이드와 연결되는 이너가이드 커넥터를 포함한다. 또한, 모터의 구동력을 이너가이드 커넥터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한다. 고정케이스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모터의 구동시 이너가이드 커넥터를 안내하는 무빙가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는 상기 공기 토출 통로의 형상이 가변되게 상기 이너 가이드를 무빙시킬 수 있다.
상기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는 상기 이너 가이드를 상기 토출 가이드 내둘레면을 따라 무빙시킬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된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과 치합되고 상기 이너 가이드 커넥터에 설치된 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 가이드 커넥터는 상기 무빙 가이드에 안내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무빙 가이드는 상기 돌출부가 안내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돌출부가 안내되는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와 연결되고 상기 돌출부가 안내되는 곡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선부는 상기 직선부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직선부는 상기 돌출부를 승강 안내하고 상부에 상기 곡선부가 연결되는 수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선부는 상기 승강부의 하부와 상기 곡선부를 연결하는 경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고정 케이스를 향하는 면에 함몰 형성된 가이드 홈부를 갖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수평 풍향조절부재나 수직 풍향 조절부재를 회전시켜 풍향을 조절하는 경우 보다 다양한 토출 방향을 형성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한 이점이 있다.
또한, 수평 풍향조절부재나 수직 풍향 조절부재가 풍향 조절하기 곤란한 전방 경사 방향의 집중 풍향을 간단한 구조 및 제어로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너 가이드의 무빙시 공기가 토출 가이드의 전방으로 고루 토출되다가 특정 방향으로 집중 토출되어 보다 입체적인 기류 형성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이너 가이드로 복수 방향의 풍향을 결정할 수 있어 부품수가 최소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너 가이드의 무빙시 원거리에서도 현재 공기조화기가 운전 중임을 확인할 수 있고, 수평 풍향조절부재나 수직 풍향 조절부재가 회전되는 경우보다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너 가이드 및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이너 가이드가 무빙될 때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의 내부가 도시된 배면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이너 가이드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무빙되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된 정면도,
도 8은 도 6에서 하나의 이너 가이드 커넥터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단면도이다.
공기조화기는 본체(2)에 공기 흡입구(4)가 형성되고 토출 가이드(6)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토출 가이드(6) 내측에 위치되어 토출 가이드(6)와 공기 토출 통로(P)를 형성하는 이너 가이드(8)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이너 가이드(8)를 무빙시키는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를 포함한다.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는 공기 토출 통로(P)의 형상이 가변되게 이너 가이드(8)를 무빙시킬 수 있다.
본체(2)는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2)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2)는 배면에 공기 흡입구(4)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2)는 케이스(12)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 흡입구(4)로 흡입된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16)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는 적어도 하나의 송풍유닛(18)(2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2)에는 실내로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24)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 토출구(24)는 토출 가이드(6)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잇고, 열교환기(16)에서 열교환된 공기는 토출 가이드(6)와 공기 토출구(24)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공기 토출구(24)는 케이스(12)에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공기 토출구(24)는 케이스(12)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 토출구(24)는 케이스(12)의 좌,우 중 적어도 일측에서 옆이나 옆의 전방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본체(2)는 공기 토출구(24)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풍향조절기구는 케이스(12)에 설치될 수 있다. 풍향조절기구는 공기가 안내되는 풍향조절부재(26)와, 풍향조절부재(26)를 동작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풍향조절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풍향조절부재(26)는 케이스(12)에 공기 토출구(24)를 여닫게 설치될 수 있다. 풍향조절모터는 케이스(12)에 설치되어 풍향조절부재(26)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열교환기(16)는 공기 흡입구(4)로 흡입된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킬 수 있다. 열교환기(16)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공기 흡입구(4)와 송풍기(18)(2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송풍유닛(18)(20)은 케이스(12) 내부에 단수개 또는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송풍유닛(18)(20)은 복수개 설치될 경우, 2개 또는 3개가 설치될 수 있다. 송풍유닛(18)(20)은 실내 공기를 공기 흡입구(4)로 흡입하여 열교환기(16)를 통과시키고 이후 토출구 유닛(8)으로 송풍하거나 토출구 유닛(8)과 공기 토출구(24)로 송풍하는 상부 송풍유닛(18)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2)는 열교환기(16)를 통과한 공기를 상부 송풍유닛(18) 및 하부 송풍유닛(20)으로 안내하는 오리피스(35)를 포함할 수 있다. 오리피스(35)는 열교환기(16)의 전방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오리피스(35)에는 상부 송풍유닛(18)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 1 흡입홀(35A)이 형성될 수 있다. 오리피스(35)에는 하부 송풍유닛(20)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 2 흡입홀(35B)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송풍유닛(18)은 열교환기(16)의 상부 전방에 위치되는 상부 송풍팬(36)과, 상부 송풍팬(36)을 회전시키는 상부 송풍모터(37)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유닛(18)(20)은 실내 공기를 공기 흡입구(4)로 흡입하여 열교환기(16)를 통과시키고 이후 공기 토출구(24)로 송풍하는 하부 송풍유닛(2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송풍유닛(20)은 열교환기(16)의 하부 전방에 위치되는 하부 송풍팬(38)과, 하부 송풍팬(38)을 회전시키는 하부 송풍모터(39)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2)는 베이스(41)와, 흡입 패널(42)과, 프론트 패널(43)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 패널(42)은 베이스(41)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흡입 패널(42)에는 공기 흡입구(4)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 패널(42)은 상면이 개방될 수 있다. 프론트 패널(43)은 흡입 패널(42)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프론트 패널(43)은 좌측판과 우측판 중 적어도 하나에 공기 토출구(24)가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패널(43)은 상면이 개방될 수 있다.
케이스(12)는 케이스(12)의 내측 상부로 송풍된 공기를 안내하는 토출 바디(44)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 바디(44)는 흡입 패널(42)과 프론트 패널(42)의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프론트 패널(43)과 흡입 패널(42) 중 적어도 하나의 상측으로 송풍된 공기는 토출 바디(44)로 유입될 수 있다. 토출 바디(44)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게 저면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 바디(44)는 토출 가이드(6)의 외둘레면 일부를 둘러싸도록 좌측면과 상면과 우측면이 막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 바디(44)는 배면이 막힌 형상일 수 있다. 케이스(12)는 프론트 커버(45)와, 사이드 커버(46)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45)는 프론트 패널(43)의 전면 및 베이스(41)의 전면과 토출 바디(44)의 일부를 함께 덮을 수 있다. 프론트 커버(45)에는 토출 가이드(6)의 선단 보다 큰 개구홀(47)이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커버(46)는 베이스(41)의 측면 일부와, 프론트 패널(43)의 측면과 토출 바디(44)의 측면을 덮게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 커버(46)는 프론트 패널(43)의 측면 중 공기 토출구(24) 이외를 덮을 수 있다.
토출 가이드(6)는 케이스(12) 내부에 배치되어 열교환기(16)와 열교환된 공기를 케이스(12) 외부로 토출 안내할 수 있다. 토출 가이드(6)는 토출 바디(44) 내측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토출 가이드(6)는 토출 바디(44)로 유동된 공기를 토출 가이드(6)의 전방으로 안내할 수 있다. 토출 가이드(6)는 전면이 개방 형성될 수 있다. 토출 가이드(6)는 공기가 안내되는 통체(52)를 포함할 수 있고, 통체(52)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전방으로 갈수록 공간이 확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토출 가이드(6)는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가 설치되는 무빙기구 설치부(58)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 가이드(6)는 통체(52)와 무빙기구 설치부(58) 중 적어도 하나가 케이스(12)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장착될 수 있다. 통체(52)의 외둘레에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가 통과하는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고, 토출 바디(44)에는 통체(52)의 체결부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8)는 전면과 배면과 외둘레면 중 외둘레면(9)이 토출 가이드(6)의 내둘레면(7)과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8)는 외둘레면(9)이 토출 가이드(6)의 내둘레면(7)과 공기 토출 통로(P)를 형성할 수 있다. 이너 가이드(8)의 외둘레면(9)은 공기 토출 통로(P)의 이너 가이드면이 될 수 있고, 토출 가이드(6)의 내둘레면(7)은 공기 토출 통로(P)의 아우터 가이드면이 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는 전면과 배면과 외둘레면 중 외둘레면(11)이 토출 가이드(6)의 내둘레면(7)과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는 외둘레면(11)이 토출 가이드(6)의 내둘레면(7)과 공기 토출 통로(P)를 형성할 수 있다.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의 외둘레면(11)은 공기 토출 통로(P)의 이너 가이드면이 될 수 있다.
토출 가이드(8)로 유입되는 공기는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의 외둘레면(11)에 먼저 안내되고, 이후 이너 가이드(8)의 외둘레면(9)에 안내될 수 있으며,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의 외둘레면(11)과 이너 가이드(8)의 외둘레면(9)은 함께 공기 토출 통로(P)의 이너 가이드면을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너 가이드 및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이너 가이드가 무빙될 때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의 내부가 도시된 배면도이고,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이너 가이드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무빙되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된 정면도이다.
통체(52)는 전방으로 갈수록 크기가 커지는 나팔관부(51)가 형성될 수 있다.
통체(52)는 전면에 전면 개구부(53)가 형성되고, 배면에 배면 개구부(54)가 형성될 수 있다. 통체(52)는 선단(55)이 후단(56)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통체(52)는 전면 개구부(53)가 배면 개구부(54)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나팔관부(51)는 통체(52)의 선단(55)과 후단(56)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무빙기구 설치부(58)는 통체(52) 내부에 위치되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통체(52)의 외부에 위치되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무빙기구 설치부(58)는 통체(52)의 후방부에 형성될 수 있다. 무빙기구 설치부(58)는 통체(52)의 공간 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되는 장착부(59)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59)는 폐루프 형상의 판 또는 원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59)에는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가 장착될 수 있다. 무빙기구 설치부(58)는 통체(52)와 장착부(59)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다리(6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59)는 통체(52)의 공간 후방에 위치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지지다리(60)는 통체(52)와 장착부(59)를 연결할 수 있다.
이너 가이드(8)는 전방으로 갈수록 크기가 커지는 나팔관부(6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8)의 나팔관부(61)는 토출 가이드(6)의 나팔관부(51) 보다 작을 수 있다. 이너 가이드(8)의 나팔관부(61)는 토출 가이드(6)의 나팔관부(51)와 마주볼 수 있다. 이너 가이드(8)의 전면 크기는 통체(52)의 배면 개구부(54) 크기 보다 클 수 있다.
이너 가이드(8)는 둘레부(64)와, 후판부(65)와, 전판부(6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가이드(8)의 둘레부(64)는 토출 가이드(6)의 통체(52)와 마주볼 수 있다. 이너 가이드(8)의 둘레부(64)는 토출 가이드(6)의 통체(52)와 이격되고, 이너 가이드(8)의 둘레부(64)와 토출 가이드(6)의 통체(52) 사이에는 공기 토출 통로(P)가 형성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8)의 후판부(65)는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를 마주 볼 수 있다. 이너 가이드(8)의 전판부(66)는 공기조화기의 전방을 향할 수 있다. 이너 가이드(8)는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67)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67)은 전판부(66)와 후판부(65) 사이에 설치되어 전방으로 정보를 표시하는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너 가이드(8)는 공기 토출 통로(P)에 조명을 형성하는 조명 모듈(68)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 모듈(68)은 둘레부(64) 내측에 위치되어 둘레부(64)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조명 모듈(68)은 방사형으로 광을 발광할 수 있고, 조명 모듈(68)에서 방사형으로 발광된 광은 이너 가이드(8)의 둘레부(64)를 통과할 수 있다. 이너 가이드(8)의 둘레부(64)를 통과한 광은 토출 가이드(6)의 내둘레면(7)을 비추면서 공기 토출 통로(P)를 조명할 수 있다. 이너 가이드(8)는 후판부(65)와 둘레부(64)가 일체 형성될 수 있고, 전판부(66)가 둘레부(64)와 별도로 형성된 전면판을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둘레부(64)는 조명 모듈(68)에서 조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판으로 기능할 수 있다. 둘레부(64)는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고, 그 내둘레면 또는 외둘레면에는 조명 모듈(68)에서 조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광 확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전판부(66)는 디스플레이 모듈(67)의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창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너 가이드(8)에는 디스플레이 모듈(68)이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설치판(69)이 설치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모듈 설치판(69)은 전판부(66)와 후판부(65)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 설치판(69)은 디스플레이 모듈(67)에서 조사된 광이 투과되는 광 투과홀(70)이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 설치판(69)은 조명 모듈(68)에서 조사된 광이 전판부(66)로 조사되지 않게 막는 차폐판으로 기능할 수 있고, 조명 모듈(68)의 전방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 설치판(69)은 후판부(65)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체결부(7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는 이너 가이드(8)를 토출 가이드(6)의 내둘레면(7)을 따라 곡선형 궤적으로 무빙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곡선형 궤적은 원형 궤적이 되거나 원형에 가까운 호형 궤적이 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는 공기 토출 통로(P)의 단면 형상이 폐루프 형상에서 초승달 형상으로 변화된 후 다시 폐루프 형상으로 변화되게 이너 가이드(8)를 무빙시킬 수 있다.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는 이너 가이드(8)의 외둘레면(9) 일부분(9')이 토출 가이드(6)의 내둘레면(7)과 가까워지고 토출 가이드(6)의 내둘레면(7)과 가까워지는 일부분(9')의 반대편 부분(9")이 토출 가이드(6)의 내둘레면(7)과 멀어지게 이너 가이드(8)를 무빙시킬 수 있다.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는 이너 가이드(8)를 상승시킨 후 토출 가이드(6) 내둘레면(7)를 따라 곡선형 궤적(O)으로 무빙시킬 수 있다.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는 이너 가이드(8)를 곡선형 궤적(O)으로 무빙시킨 후 하강시킬 수 있다.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는 이너 가이드(8)를 토출 가이드(6)의 내측 중앙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는 공기조화기의 운전 개시시 이너 가이드(8)를 무빙시킨 후 토출 가이드(6)의 내측 중앙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다.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는 토출 가이드(6)에 고정된 고정 케이스(100)와; 고정 케이스(100)에 설치된 모터(110)와; 이너 가이드(8)와 연결된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와; 모터(110)의 구동력을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130)(132)와; 고정 케이스(100)에 설치되어 모터(110)의 구동시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를 안내하는 무빙 가이드(14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케이스(100)는 후판부(102)와, 둘레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케이스(100)의 후판부(102)는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의 배면을 형성할 수 있다. 고정 케이스(100)의 후판부(102)는 무빙기구 설치부(58)를 마주 볼 수 있고, 무빙기구 설치부(58) 특히 장착부(59)에 설치될 수 있으며,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장착부(59)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 고정 케이스(100)의 둘레부(104)는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의 둘레면을 형성할 수 있다. 고정 케이스(100)의 후판부(102)에는 무빙 가이드(140)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 있는 후판부 체결보스(103)가 돌출될 수 있다.
고정 케이스(100)의 둘레부(104)는 토출 가이드(6)의 통체(52)와 마주볼 수 있고, 토출 가이드(6)의 통체(52)와 이격될 수 있으며, 토출 가이드(6)의 통체(52)와 공기 토출 통로(P)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케이스(100)의 둘레부(104) 내측에는 모터(110)가 수용될 수 있는 모터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케이스(100)의 둘레부(104)는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커지는 나팔관부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케이스(100)의 둘레부(104)에는 무빙 가이드(140)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 있는 둘레부 체결보스(105)가 돌출될 수 있다.
고정 케이스(100)에는 모터(110)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 있는 모터 체결보스(106)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모터(110)는 회전축(112)이 전방을 향해 돌출되게 고정 케이스(100)에 설치될 수 있다. 모터(110)는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 및 동력전달부재(130)(132)와 함께 하나의 구동 셋트를 구성할 수 있고,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는 모터(110)와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 및 동력전달부재(130)(132)로 구성된 구동 셋트가 적어도 두 셋트 설치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는 모터(110)의 구동시 무빙 가이드(140)에 안내되면서 이너 가이드(8)를 무빙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를 참조하면, 모터(110)의 전방에 돌출된 회전축(112)에는 이너가이드 커넥터(12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너가이드 커넥터(120)는 모터(110)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병진운동 및 회전운동을 할 수 있다.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는 이너 가이드(8)에 연결되는 연결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21)는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의 전면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21)는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의 전면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연결부(121)의 후단은 이너가이드 커넥터(120)와 일체로 형성되고, 연결부(121)의 전단은 이너가이드의 후판부(65)와 고정되는 바, 이너가이드 커넥터(120)가 이동하는 것에 대응하여 이너가이드(8)도 함께 이동한다.
연결부(121)에는 이너 가이드(8)의 후판부(65)에 형성된 지지축(65a)을 관통할 수 있다. 지지축(65a)은 중공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21)에는 지지축(65a)에서 임의 탈거되지 않게 연결부 홀더(122)와 체결될 수 있다. 연결부(121)에는 연결부 홀더(122)가 고정되는 연결부 홀더 고정홀(121a)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 홀더(122)는 이너 가이드(8) 내측에서 연결부(121)에 나사 결합되어 연결부(121)가 임의 탈거되지 않고 하고, 연결부(121)은 지지축(65a)을 지지하는 것에 의해 이너 가이드(8)을 지지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이너가이드 커넥터(120)는 무빙가이드(140)를 사이에 두고 이너가이드(8)와 체결된다. 연결부(121)는 무빙가이드(140)에 형성된 연결부 관통공(141)을 관통하여 이너가이드(8)와 체결된다. 연결부(121)는 연결부 관통공(141) 내부를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이너가이드(8)가 이동한다. 무빙가이드는 고정케이스에 체결되어 고정되며, 고정케이스를 사이에 두고, 후방의 이너가이드 커넥터와 전방의 이너가이드는 이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연결부(121)는 연결부 관통공(141)의 내부에서 연결부 관통공(141)과 이격된 상태로 이동할 것이나, 특수한 경우에 연결부(121)는 연결부 관통공(141)의 내둘레면을 따라 접촉한 채 이동하며 이너가이드(8)를 안내할 수도 있다.
모터(110)의 구동시 연결부(121)은 그 위치가 가변될 수 있고, 연결부(121)의 위치에 따라 이너 가이드(8)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이너가이드의 후판부(65)의 배면에는 정면으로 함몰된 후판부 함몰부(65b)가 형성될 수 있고, 지지축(65a)은 상기 후판부 함몰부(65b)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121)는 이너가이드의 후판부 함몰부에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부(142)는 적어도 일부가 후판부 함몰부(65b)에 인입될 수 있다. 가이드부(142)의 외둘레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후판부 함몰부(65b)의 내둘레면도 가이드부(142)의 외둘레면에 매칭되도록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후판부 함몰부(65b)의 넓이는 가이드부의 넓이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후판부 함몰부(65b)는 가이드부(142)의 외측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후판부 함몰부(65b)의 내둘레면은 가이드부의 곡선부(144)의 외둘레면에 이격된 상태로 이동할 것이나. 특수한 경우에 후판부 함몰부(65b)의 내둘레면은 곡선부(144)의 외둘레면에 접촉한 채 이동할 수 있다.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는 무빙 가이드(140)에 안내되는 돌출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23)는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의 전면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23)는 연결부(121)와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고, 돌출부(123)는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의 전면 중앙 이외에 위치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부재(130)(132)가 위치되는 동력전달부재 수용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재 수용부(124)는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동력전달부재(130,132) 중 적어도 하나가 수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동력전달부재 수용부(124)는 이너가이드 커넥터(120)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재 수용부(124)는 배면이 개방됨과 아울러 상,하,좌,우측면 네면이 막힌 형상일 수 있고, 동력전달부재(130,132)은 그 전부가 동력전달부재 수용부(124) 내측에 위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동력전달부재 수용부(124)는 상,하,좌,우측면 중 한 면과 배면이 개방됨과 아울러 상,하,좌,우측면 중 세 면이 막힌 형상일 수 있고, 동력전달부재(130,132) 중 어느 하나가 동력전달부재 수용부(124) 내측에 위치되고, 동력전달부재(130,132) 중 다른 하나가 동력전달부재 수용부(124)의 개방된 일면을 막는 것이 가능하다.
동력전달부재 수용부(124)에서 바깥쪽 측면을 외둘레면(124a)으로 정의하고 안쪽 측면을 형성하는 내둘레면(124b)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 동력전달부재 수용부의 외둘레면(124a)은 이너가이드 커넥터의 측면과 동일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재(130)(132)는 모터(110)의 회전축(112)에 설치된 피니언(130)과, 피니언(130)과 치합되고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에 설치된 랙(132)을 포함할 수 있다.
피니언(130)은 모터의 회전축(112)에 결합되고, 모터(110)의 구동력을 랙(132)으로 전달할 수 있다. 피니언(130)은 동력전달부재 수용부(124)와 랙(132)이 형성하는 공간(S)에 위치될 수 있다. 피니언(130)은 동력전달부재 수용부의 내둘레면(124b)의 안쪽에 형성된 공간(S)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피니언(130)은 동력전달부재 수용부의 내둘레면(124b)에 형성된 랙(132)에 치합되며, 피니언(130)이 회전시 랙(132)이 이동하고, 이에 따라 이너가이드 커넥터(120)가 이동한다.
랙(132)은 이너가이드 커넥터(120)에 설치되고, 피니언(130)이 회전시 이너가이드 커넥터(120)를 이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랙(132)은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설치될 수 있다. 랙(132)은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와 별도로 제작된 후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에 삽입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랙(132)은 피니언(130)의 회전시 승강되는 것이 가능하고, 더 이상 상승되지 않는 위치에 도달하면 피니언(130)에 치합된 상태에서 피니언(130)을 회전 중심으로 피니언(13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랙(132)은 동력전달부재 수용부의 내둘레면(124b)에 형성될 수 있다. 피니언(130)이 회전시 랙(132)은 이동하고, 이에 따라 이너가이드 커넥터(120)가 이동한다. 예를 들어, 이너가이드 커넥터(120)는 도 6a 및 도 6b처럼 승강할 수 있고, 도 6c 내지 도 6e처럼 회전할 수 있다.
랙은 공기토출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공기가 전방으로 토출될 때, 랙은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모터의 회전축은 공기토출방향과 평행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공기가 전방으로 토출될 때, 모터의 회전축은 전방을 향할 수 있고, 피니언은 모터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랙은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랙(132)은 이너가이드 커넥터(120)의 측면 또는 동력전달부재 수용부(124)의 측면이 상,하,좌,우로 4개의 면으로 형성될 때, 하나의 측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랙(132)은 동력전달부재 수용부의 내둘레면(124b)의 4개의 면 중 하나의 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랙(132)은 동력전달부재 수용부(124b)의 좌측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피니언(130)이 회전하면 랙(132)은 피니언(130)을 따라 승강하고, 이너가이드 커넥터(120)와 이너가이드(8)는 승강할 수 있다. 도 6c 내지 도 6e를 참조하면, 이너가이드 커넥터(120)가 최대로 승강하였을 때 피니언(130)이 회전하면, 랙(132)은 피니언(130)을 따라 더 이상 승강할 수 없지만 피니언(130)을 따라 회전할 수 있고, 이너가이드 커넥터(120)와 이너가이드(8)도 회전한다.
무빙 가이드(140)는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무빙 가이드(140)는 이너 가이드(8)를 마주 보게 설치될 수 있다. 무빙 가이드(140)는 고정 케이스(100)의 전면을 덮게 설치될 수 있다. 무빙 가이드(140)는 고정 케이스(100)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 있다.
무빙 가이드(140)에는 연결부(121)가 관통되는 연결부 관통공(141)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21)는 연결부 관통공(141) 내부에서 궤적을 그리며 이동할 수 있다. 연결부 관통공(141)은 연결부(121)의 곡선형 궤적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무빙 가이드(140)는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에 형성된 돌출부(123)가 안내되는 가이드부(142)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42)는 전면과 배면 중 고정 케이스(100)를 향하는 면에 가이드 홈부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무빙 가이드(140)는 전체적으로 판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부(142)는 전방으로 단턱지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42)는 돌출부(123)가 안내되는 직선부(143)와, 직선부(143)와 연결되고 돌출부(123)가 안내되는 곡선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23)는 직선부(143)에서 직선 안내되다가 곡선부(144)로 진입되어 곡선부(144)를 따라 안내될 수 있고, 곡선부(144)를 따라 안내되다가 다시 직선부(143)로 진입되어 직선부(143)에 안내될 수 있다.
직선부(143)의 길이가 길수록 이너 가이드(8)는 토출 가이드(6) 내측에서 큰 폭으로 직선 이동될 수 있다.
곡선부(144)는 폐루프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직선부(143)에 의해 연결되는 루프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곡선부(144)의 반경이 클수록 이너 가이드(8)는 큰 곡선형 궤적으로 무빙될 수 있다.
곡선부(144)는 연결부 관통공(141)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직선부(143)는 무빙 가이드(140)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거나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거나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 사이의 경사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직선부(143)는 돌출부(123)를 승강 안내하고 상부에 곡선부(144)가 연결되는 수직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직선부(143)는 수직부(145)의 하부와 곡선부(144)를 연결하는 경사부(1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23)는 수직부(145)를 따라 안내된 후 곡선부(144)로 진입되어 곡선부(144)에 곡선형 궤적으로 안내될 수 있다. 곡선형 궤적으로 안대되던 돌출부(123)는 곡선부(144)에서 경사부(146)로 진입되어 경사부(146)로 안내될 수 있으며, 경사부(145)에 안내된 후 직선부(143)로 하부로 안내될 수 있다.
가이드부(142)는 직선부(143)가 경사부(146)를 포함하지 않고, 수직부(145)나 수평부(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와 곡선부(144)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수직부(145)를 따라 승강 안내되던 돌출부(123)는 곡선부(144)를 따라 원형 궤적으로 안내된 후 수직부(145)를 따라 다시 승강 안내되는 것이 가능하다. 수평부를 따라 수평 이동 안내되던 돌출부(123)는 곡선부(144)를 따라 원형 궤적으로 안내된 후 수평부(145)를 따라 다시 반대 방향으로 수평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 등이 원격조작기나 공기조화기에 설치된 컨트롤 패널 등의 입력부(미도시)로 운전 명령을 입력하면, 공기조화기는 입력된 운전 명령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냉방 모드와, 제습 모드와, 절전 모드와, 공기청정 모드와, 쾌속 냉방 모드 등의 운전 모드를 갖을 수 있고, 사용자가 이들 중 하나를 입력하면, 공기조화기는 입력된 운전 모드로 운전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공기조화기의 전방 방향으로 고르게 토출하는 일반 토출 모드와, 공기를 특정 방향으로 집중 토출하는 집중 토출모드와, 일반 토출 모드와 집중 토출 모드가 혼합된 혼합 토출 모드 등을 갖을 수 있다.
집중 토출 모드는 풍향이 고정된 상태에서 집중 토출되는 풍향 고정 집중 토출 모드와, 풍향이 연속하여 변화되는 풍향 가변 집중 토출 모드를 갖을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운전시, 송풍유닛(18)(20)의 구동은 구동될 수 있고, 실내의 공기가 공기 흡입구(2)로 흡입되어 열교환기(18)을 통과할 수 있다. 열교환기(18)을 통과한 공기는 송풍유닛(18)(20)에 의해 토출 가이드(6)와 공기 토출구(24) 중 적어도 하나로 송풍될 수 있다. 공기 토출구(24)로 토출된 공기는 케이스(12)에서 옆 방향으로 토출되거나 및 케이스(12)의 전방 옆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토출 가이드(6)로 송풍된 공기는 토출 가이드(6)와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와 토출 가이드(6) 사이를 먼저 통과한 후 이너 가이드(8)와 토출 가이드(6) 사이로 유동되고, 이후 이너 가이드(8)의 외둘레면(9)와 토출 가이드(6)의 내둘레면(7)의 안내를 받으면서 공기 토출 통로(P)의 전방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일반 토출 모드시, 도 7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 가이드(8)가 토출 가이드(10)의 내측 중앙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운전될 수 있다. 이때, 이너 가이드(8)는 외둘레가 토출 가이드(10)의 내둘레면과 동일 간격(L1)만큼 이격될 수 있고, 공기 토출 통로(P)는 전체적으로 단면 형상이 폐루프 형상일 수 있다. 실내의 공기는 단면이 폐루프 형상인 공기 토출 통로(P)를 통해 전방으로 고르게 토출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집중 토출 모드시, 도 7의 (나)와 도 7의 (다)와 도 7의 (라) 및 도 7의 (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 가이드(8)의 일부분(9')이 토출 가이드(10)에 근접하고 토출 가이드(10)에 근접한 일부분(8')의 반대편 부분(9")이 토출 가이드(10)와 멀어진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이너 가이드(8)는 토출 가이드(10)에 근접한 일부분(8')의 반대편 부분(9")이 일반 토출 모드시 보다 먼 거리(L2)만큼 이격될 수 있고, 공기 토출 통로(P)는 전체적으로 단면 형상이 초승달 형상일 수 있다. 실내의 공기는 단면이 초승달 형상인 공기 토출 통로(P)를 통해 집중 토출될 수 있다.
도 7의 (나)와 같이 이너 가이드(8)의 상부가 토출 가이드(6)에 가깝고, 이너 가이드(8)의 하부가 토출 가이드(6)와 멀 경우, 전방 좌측과 전방 하측과 전방 우측으로 주로 토출되되 전방 하측 방향으로 집중 토출될 수 있다.
도 7의 (다)와 같이 이너 가이드(8)의 좌측부가 토출 가이드(6)에 가깝고 이너 가이드(8)의 우측부가 토출 가이드(6)와 멀 경우, 공기는 전방 상측과 전방 우측과 전방 하측으로 주로 토출되되 전방 우측 방향으로 집중 토출될 수 있다.
도 7의 (라)와 같이 이너 가이드(8)의 하부가 토출 가이드(6)에 가깝고, 이너 가이드(8)의 상부가 토출 가이드(6)와 멀 경우, 전방 좌측과 전방 상측과 전방 우측으로 주로 토출되되 전방 상측 방향으로 집중 토출될 수 있다.
도 7의 (마)와 같이 이너 가이드(8)의 우측부가 토출 가이드(6)에 가깝고 이너 가이드(8)의 좌측부가 토출 가이드(6)와 멀 경우, 공기는 전방 상측과 전방 좌측과 전방 하측으로 주로 토출되되 전방 좌측 방향으로 집중 토출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풍향 고정 집중 토출 모드이면, 도 7의 (나),(다),(라),(마)와 같이, 이너 가이드(8)를 토출 가이드(6) 내부 특정 위치로 무빙시킨 후 고정시킬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풍향 가변 집중 토출 모드이면, 이너 가이드(8)를 토출 가이드(6) 내부 특정 위치로 고정시키지 않고 이너 가이드(8)를 토출 가이드(6) 내부에서 계속하여 무빙시킬 수 있다.
풍향 가변 집중 토출 모드시, 이너 가이드(8)는 토출 가이드(6)의 내부 상측에서 시계 방향으로 곡선형 궤적을 그리면서 내부 좌측, 내부 하측, 내부 우측, 내부 상측으로 무빙되거나 토출 가이드(6)의 내부 상측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곡선형 궤적을 그리면서 내부 우측, 내부 하측, 내부 좌측, 내부 상측으로 무빙될 수 있다. 집중 토출 모드 중 풍향 가변 모드는 공기의 집중 토출 방향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이 연속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혼합 토출 모드시, 공기조화기는 일반 토출 모드 -> 풍향 가변 집중 토출 모드-> 일반 토출 모드를 순차적으로 실시할 수 있고, 공기는 일반 토출 모드인 동안 폐루프 형상인 공기 토출 통로(P)를 통해 전방으로 고르게 토출되다가, 풍향 가변 집중 토출 모드인 동안 공기의 집중 토출 방향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며, 이후 다시 일반 토출 모드인 동안 폐루프 형상인 공기 토출 통로(P)를 통해 전방으로 고르게 토출될 수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니언(130)이 랙(132)의 상부에 치합된 상태일 때, 이너 가이드(8)는 도 7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 가이드(6)의 내둘레면과 일정한 간격(L1)을 유지할 수 있다.
이너 가이드(8)의 외둘레면이 토출 가이드(6)의 내둘레면과 일정한 간격(L1)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모터(110)가 구동되면 피니언(130)은 회전될 수 있고, 돌출부(123)는 수직부(145)의 안내를 받을 수 있으며, 랙(132)은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와 함께 상승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의 상승시 이너 가이드(8)는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에 의해 상승될 수 있고, 이너 가이드(8)는 도 7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토출 가이드(6)의 내둘레면에 근접함과 아울러 하부가 토출 가이드(6)의 내둘레면과 멀어질 수 있으며, 공기 토출 통로(P)의 형상은 상부가 개방된 초승달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고, 공기 토출 통로(P)로 토출되는 공기는 상부가 개방된 초승달 형상의 공기 토출 통로(P)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한편, 공기조화기가 하부 집중 토출 모드이면, 모터(110)는 정지될 수 있다.
모터(110)가 정지되지 않고 피니언(130)을 계속 회전시키면, 돌출부(123)는 수직부(145)에서 곡선부(144)로 진입되어 곡선부(144)의 안내를 받을 수 있으며, 랙(132)은 피니언(130)을 회전중심으로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는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니언(130)을 회전중심으로 대략 수평하게 회전되고, 이너 가이드(8)는 도 7의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부가 토출 가이드(6)의 내둘레면에 근접함과 아울러 우측부가 토출 가이드(6)의 내둘레면과 멀어질 수 있으며, 공기 토출 통로(P)의 형상은 좌측부가 개방된 초승달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고, 공기는 좌측부가 개방된 초승달 형상의 공기 토출 통로(P)를 통해 전방 우측으로 집중 토출 될 수 있다. 한편, 공기조화기가 우측 집중 토출 모드이면, 모터(110)는 정지될 수 있다.
모터(110)가 정지되지 않고 피니언(130)을 계속 회전시키면, 돌출부(123)는 곡선부(144)를 따라 계속 안내될 수 있고, 랙(132)은 피니언(130)을 회전중심으로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와 함께 계속하여 회전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는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니언(130)을 회전중심으로 대략 수직하게 회전되고, 이너 가이드(8)는 도 7의 (라)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토출 가이드(6)의 내둘레면에 근접함과 아울러 상부가 토출 가이드(6)의 내둘레면과 멀어질 수 있으며, 공기 토출 통로(P)의 형상은 하부가 개방된 초승달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고, 공기는 히부가 개방된 초승달 형상의 공기 토출 통로(P)를 통해 전방 상측으로 집중 토출 될 수 있다. 한편, 공기조화기가 상측 집중 토출 모드이면, 모터(110)는 정지될 수 있다.
모터(110)가 정지되지 않고 피니언(130)을 계속 회전시키면, 돌출부(123)는 곡선부(144)를 따라 계속 안내될 수 있고, 랙(132)은 피니언(130)을 회전중심으로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는 도 6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니언(130)을 회전중심으로 대략 수평하게 회전되고, 이너 가이드(8)는 도 7의 (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부가 토출 가이드(6)의 내둘레면에 근접함과 아울러 좌측부가 토출 가이드(6)의 내둘레면과 멀어질 수 있으며, 공기 토출 통로(P)의 형상은 우측부가 개방된 초승달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고, 공기는 우측부가 개방된 초승달 형상의 공기 토출 통로(P)를 통해 전방 좌측으로 집중 토출 될 수 있다. 한편, 공기조화기가 좌측 집중 토출 모드이면, 모터(110)는 정지될 수 있다.
모터(110)가 정지되지 않고 피니언(130)을 계속 회전시키면, 돌출부(123)는 곡선부(144)에서 경사부(146)로 진입될 수 있고, 모터(110)는 피니언(130)을 소정 시간 역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123)가 곡선부(144)를 따라 안내될 때의 회전방향이 시계방향이면, 돌출부(123)가 경사부(146)를 따라 안내될 때의 회전방향은 반시계 방향일 수 있다. 피니언(130)의 역회전시 돌출부(123)는 경사부(146)를 따라 경사지게 안내되어 수직부(145)의 하부로 진입될 수 있다. 돌출부(123)가 경사부(146)를 따라 경사지게 안내되는 동안 이너 가이드(8)는 도 7의 (바)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 가이드(6)의 내측 중앙을 향해 무빙되고, 돌출부(123)가 수직부(145)의 하부로 진입되면, 이너 가이드(8)는 도 7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 가이드(6)의 내측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모터(110)는 피니언(130)을 소정 시간 역회전시킨 후 다시 피니언(130)을 역회전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123)가 경사부(146)를 따라 안내될 때의 회전방향이 반시계 방향일 경우, 돌출부(123)가 수직부(145)의 하부에 도달된 이후의 회전방향은 시계 방향일 수 있다. 피니언(130)이 상기와 같이 회전되면, 랙(132)은 피니언(130)을 회전중심으로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는 피니언(130)을 회전중심으로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수직하게 회전되고, 이너 가이드(8)는 도 7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 가이드(6)의 내둘레면과 일정한 간격(L1)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너 가이드(8)가 무빙되는 동안 공기는 집중 토출 방향이 연속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상기와 같은 이너 가이드(8)의 무빙을 1회만 실시한 후 이너 가이드(8)를 토출 가이드(6)의 내측 중앙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계속 운전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와 같은 이너 가이드(8)의 무빙을 복수회 반복하면서 계속 운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곡선부(144)가 하나의 수직부(145) 상부에 연결되어 이너 가이드(8)가 상승된 후 적어도 2회 이상 원형 궤적으로 무빙된 후 마지막에 하강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곡선부(144)가 직선부(143)의 하부에 연결되어 이너 가이드(8)가 하강된 후 원형 궤적으로 무빙된 후 상승되는 것도 가능하며, 직선부(143)의 위치나 형성 방향에 따라 이너 가이드(8)의 다양한 동작 구현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2: 본체 4: 공기 흡입구
6: 토출 가이드 8: 이너 가이드
9: 이너가이드의 외둘레면
10: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 65: 후판부
100: 고정 케이스 101: 개구부
110: 모터
120: 이너 가이드 커넥터 121: 연결부
123: 돌출부 124: 동력전달부재 수용부
130: 랙 132: 피니언
140: 무빙 가이드 141: 연결부 관통공
142: 가이드부
143: 직선부 144: 곡선부
145: 수직부 146: 경사부
P: 공기 토출 통로

Claims (17)

  1. 공기흡입구가 형성되고 토출가이드가 형성된 본체;
    상기 토출가이드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토출가이드와 공기토출통로를 형성하는 이너가이드; 및
    상기 이너가이드와 상기 토출가이드를 연결하고, 상기 이너가이드를 무빙시키는 이너가이드 무빙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가이드 무빙기구는,
    상기 토출가이드에 고정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일 측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고정케이스;
    상기 고정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
    일 측에 돌출 형성된 연결부를 구비하여 상기 이너가이드와 연결되는 이너가이드 커넥터;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이너가이드 커넥터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
    상기 고정케이스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시 상기 이너가이드 커넥터를 안내하는 무빙가이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된 피니언과, 상기 이너가이드 커넥터에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과 치합되는 랙;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랙은 상기 이너가이드 커넥터의 측면에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랙은 공기토출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가이드 커넥터는 배면에서 후방으로 돌출하여 상기 피니언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동력전달부재 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랙은 상기 동력전달부재 수용부의 내둘레면에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가이드는 후면에서 전방으로 함몰되는 이너가이드의 후판부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이너가이드의 후판부 함몰부에 연결되는 공기조화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가이드는 상기 연결부가 관통되는 연결부 관통공이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관통공은 상기 연결부가 이동하는 범위보다 크게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가이드는 후면에서 전방으로 함몰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너가이드 커넥터는 상기 가이드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연결부 관통공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공기조화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돌출부가 안내되는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와 연결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연결부 관통공의 둘레를 따라 안내되는 곡선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부는 상기 직선부의 상부에 연결되는 공기조화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부는 상기 돌출부를 승강 안내하고 상부에 상기 곡선부가 연결되는 수직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부는 상기 수직부의 하부와 상기 곡선부를 연결하는 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5. 공기흡입구가 형성되고 토출가이드가 형성된 본체;
    상기 토출가이드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토출가이드와 공기토출통로를 형성하는 이너가이드; 및
    상기 이너가이드와 상기 토출가이드를 연결하고, 상기 이너가이드를 무빙시키는 이너가이드 무빙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가이드 무빙기구는,
    상기 토출가이드에 고정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일 측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고정케이스;
    상기 고정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일 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이너가이드와 고정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모터가 작동시 상기 이너가이드와 함께 이동하는 이너가이드 커넥터;
    상기 고정케이스의 개구부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가 관통되는 연결부 관통공이 형성되는 무빙가이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된 피니언; 및
    상기 이너가이드 커넥터에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과 치합되는 랙;을 더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가이드는 후면에서 전방으로 함몰되는 이너가이드의 후판부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무빙가이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이너가이드의 후판부 함몰부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KR1020190175136A 2019-12-26 2019-12-26 공기조화기 KR102190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136A KR102190008B1 (ko) 2019-12-26 2019-12-26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136A KR102190008B1 (ko) 2019-12-26 2019-12-26 공기조화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0343A Division KR102064218B1 (ko) 2013-01-02 2013-01-02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749A KR20200002749A (ko) 2020-01-08
KR102190008B1 true KR102190008B1 (ko) 2020-12-11

Family

ID=69154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5136A KR102190008B1 (ko) 2019-12-26 2019-12-26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00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7657B1 (ko) 2021-06-07 2022-11-16 구대현 컴퓨터 마우스용 높이조절 손목받침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8920A (ja) 2004-02-25 2005-09-08 Fuji Heavy Ind Ltd 車両用空気吹出グリル装置
KR100815484B1 (ko) 2006-12-11 2008-03-21 (주)로드닉스 풍향 및 풍량 조절 라인 디퓨져
CN101888594A (zh) 2009-05-15 2010-11-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多播广播数据通道的释放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8948A (ko) * 2004-06-15 2005-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체형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8920A (ja) 2004-02-25 2005-09-08 Fuji Heavy Ind Ltd 車両用空気吹出グリル装置
KR100815484B1 (ko) 2006-12-11 2008-03-21 (주)로드닉스 풍향 및 풍량 조절 라인 디퓨져
CN101888594A (zh) 2009-05-15 2010-11-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多播广播数据通道的释放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749A (ko) 2020-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4218B1 (ko) 공기조화기
KR102033689B1 (ko) 공기조화기
EP3040627B1 (en) Air conditioner
EP2602563B1 (en) Air conditioner
JP4110863B2 (ja) 空気調和機
KR102078274B1 (ko) 공기조화기
KR0168255B1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KR102110530B1 (ko) 공기조화기
KR20090043232A (ko) 공기조화기
US11022325B2 (en) Air conditioner
KR102190008B1 (ko) 공기조화기
JP2000283544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101991955B1 (ko) 공기 조화기
KR102033690B1 (ko) 공기조화기
KR20180046070A (ko) 공기청정기
KR101611327B1 (ko) 스텐드형 공기조화기
KR101345265B1 (ko) 공기조화기
KR101463158B1 (ko) 공기조화기
KR20130043989A (ko) 공기조화기
KR102445746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2008151477A (ja) 床置型空気調和機
WO2020052482A1 (zh) 横摆叶及具有该横摆叶的柜式空调室内机
JP2005156090A (ja) 空気調和機
KR102104436B1 (ko) 공기조화기
WO2022151800A1 (zh) 立式空调室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