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274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274B1
KR102078274B1 KR1020130000711A KR20130000711A KR102078274B1 KR 102078274 B1 KR102078274 B1 KR 102078274B1 KR 1020130000711 A KR1020130000711 A KR 1020130000711A KR 20130000711 A KR20130000711 A KR 20130000711A KR 102078274 B1 KR102078274 B1 KR 102078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inner guide
discharge
discharge guid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0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9068A (ko
Inventor
윤주협
임태형
송성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0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274B1/ko
Publication of KR20140089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9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78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8Ventil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0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토출 가이드가 형성된 본체와; 토출 가이드 내측에 무빙 가능하게 위치되고 토출 가이드와 공기 토출 통로를 형성하는 이너 가이드와; 본체 또는 이너 가이드에 설치되어 토출 가이드를 조명하는 광 모듈을 포함하여, 공기조화기의 전방에서 공기조화기를 볼 때 눈부심이 최소화될 수 있고, 사용자에게 편안한 느낌의 조명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 토출부를 조명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온도와 습도와 청정도을 변화시킨 후 실내로 다시 토출하여 실내를 공조시키는 장치이다.
공기조화기는 용도로 구분하면, 실내를 냉방시키는 냉방기와, 실내를 난방시키는 난방기와, 실내를 제습하는 제습기와, 실내를 가습하는 가습기와, 실내를 청정시키는 정정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본체에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고, 본체에는 공기를 변화시키는 공조유닛과, 실내 공기를 공기 흡입구로 흡입하여 공조유닛을 통과시킨 후 공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송풍유닛이 배치될 수 있다.
특허문헌 001 10-2010-0025329 (2010.03.09)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기구의 광 조사 방향이 전방 방향이고, 조명기구에 의해 형성된 조명 색상이 프론트 패널에 형성된 광 투과부를 통해 전방 방향으로 투과되므로, 전방에서 공기조화기를 볼 때 눈부심이 발생될 수 있고, 원거리에서 토출 가이드의 위치를 쉽게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토출 가이드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토출 가이드 내측에 무빙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토출 가이드와 공기 토출 통로를 형성하는 이너 가이드와; 상기 본체 또는 이너 가이드에 설치되어 상기 토출 가이드를조명하는 광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이너 가이드는 상기 토출 가이드와 공기 토출 통로를 형성하는 조명 커버와, 상기 조명 커버의 전면을 막는 전면판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광 모듈은 상기 조명 커버와 전면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너 가이드를 무빙시키는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는 상기 이너 가이드를 상기 토출 가이드 내측에서 무빙시킬 수 있다.
상기 토출 가이드의 내측 영역 중 상기 이너 가이드를 제외한 영역에 조명 띠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는 상기 조명 띠의 형상이 가변되게 상기 이너 가이드를 무빙시킬 수 있다.
상기 광 모듈은 상기 토출 가이드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광 모듈은 공기조화기의 운전 모드별 상이한 색상의 광을 발광할 수 있다.
상기 광 모듈은 계절별 상이한 색상의 광을 발광할 수 있다.
상기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는 상기 이너 가이드를 상기 토출 가이드 내측에서 승강시키는 승강 모드를 갖을 수 있다.
상기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는 상기 이너 가이드를 상기 토출 가이드의 내둘레면을 따라 곡선형 궤적으로 무빙시키는 무빙 모드를 갖을 수 있다.
상기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는 폐루프 형상의 조명 띠를 초승달 형상의 조명 띠로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는 상기 이너 가이드의 중심축이 상기 토출 가이드의 중심축에 불일치되게 상기 이너 가이드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광 모듈 전방에 배치되는 광 차폐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모듈은 상기 조명 커버에 설치된 제 1 피시비와, 상기 제 1 피시비에 설치된 복수개의 제 2 피시비와, 상기 제 2 피시비에 상기 둘레부를 향해 돌출되게 설치된 발광원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토출 가이드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토출 가이드 내측에 무빙 가능하게 위치되어 상기 토출 가이드와 공기 토출 통로를 형성하는 이너 가이드와; 상기 본체 또는 이너 가이드에 설치되어 상기 토출 가이드로 조명을 형성하는 광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 가이드의 내측 영역 중 상기 이너 가이드를 제외한 영역에 조명 띠가 형성된다.
상기 조명 띠의 형상이 가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광 모듈의 광 조사 방향이 토출 가이드이므로 공기조화기의 전방에서 공기조화기를 볼 때 눈부심이 최소화될 수 있고, 사용자에게 편안한 느낌의 조명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토출 가이드와 이너 가이드 사이에 형성되는 조명의 형상이 가변되어 원거리에서도 토출 가이드의 위치를 쉽게 확인 할 수 있고, 이너 가이드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간단한 제어로 조명 효과의 고급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토출 가이드에 의해 조명 띠가 너무 넓게 퍼지는 것이 제한되어 원거리에서도 조명 띠의 유무 및 조명 띠의 색상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형상이 가변되는 조명 띠에 의해 공기조화기 외관의 고급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이너 가이드가 토출 가이드로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면서 공기를 넓게 분산시키는 에어 가이드로 기능함과 아울러 광 모듈을 보호할 수 있어, 부품수가 최소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이너 가이드 및 무빙기구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이너 가이드가 무빙될 때 무빙기구의 내부가 도시된 배면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이너 가이드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무빙되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된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부 확대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이너 가이드 및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이너 가이드가 무빙될 때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의 내부가 도시된 배면도이며,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이너 가이드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무빙되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된 정면도이다.
공기조화기는 본체(2)에 공기 흡입구(4)가 형성되고 토출 가이드(6)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토출 가이드(6) 내측에 무빙 가능하게 위치되고 토출 가이드(6)와 공기 토출 통로를 형성하는 이너 가이드(8)와; 본체(2) 또는 이너 가이드(8)에 설치되어 토출 가이드(6)를 조명하는 광 모듈(68)을 포함한다. 광 모듈(68)은 토출 가이드(6)에 설치되어 토출 가이드(6)를 조명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너 가이드(8)에 설치되어 토출 가이드(6)를 조명하는 것이 가능하다. 광 모듈(68)이 이너 가이드(8)에 설치될 경우, 이너 가이드(8)와 광 모듈(68)은 토출 가이드(6)를 향해 광을 조사하여 이너 가이드(8)와 토출 가이드(6)와 사이에 조명 띠(LB)를 형성하는 조명기구로 기능할 수 있다. 조명 띠(LB)는 토출 가이드(6)의 내측 영역 중 이너 가이드(8)를 제외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조명 띠(LB)의 형상은 가변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8)가 위치 고정이면, 조명 띠(LB)의 형상은 일정하나, 이너 가이드(8)가 위치 가변되면, 이너 가이드(8)의 위치 가변에 따라 조명 띠(LB)의 형상은 가변된다.
본체(2)는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2)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2)는 배면에 공기 흡입구(4)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2)는 케이스(12)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 흡입구(4)로 흡입된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16)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는 적어도 하나의 송풍유닛(18)(2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2)에는 실내로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24)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 토출구(24)는 토출 가이드(6)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잇고, 열교환기(16)에서 열교환된 공기는 토출 가이드(6)와 공기 토출구(24)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공기 토출구(24)는 케이스(12)에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공기 토출구(24)는 케이스(12)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 토출구(24)는 케이스(12)의 좌,우 중 적어도 일측에서 옆이나 옆의 전방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본체(2)는 공기 토출구(24)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풍향조절기구는 케이스(12)에 설치될 수 있다. 풍향조절기구는 공기가 안내되는 풍향조절부재(26)와, 풍향조절부재(26)를 동작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풍향조절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풍향조절부재(26)는 케이스(12)에 공기 토출구(24)를 여닫게 설치될 수 있다. 풍향조절모터는 케이스(12)에 설치되어 풍향조절부재(26)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열교환기(16)는 공기 흡입구(4)로 흡입된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킬 수 있다. 열교환기(16)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공기 흡입구(4)와 송풍기(18)(2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송풍유닛(18)(20)은 케이스(12) 내부에 단수개 또는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송풍유닛(18)(20)은 복수개 설치될 경우, 2개 또는 3개가 설치될 수 있다. 송풍유닛(18)(20)은 실내 공기를 공기 흡입구(4)로 흡입하여 열교환기(14)를 통과시키고 이후 토출구 유닛(8)으로 송풍하거나 토출구 유닛(8)과 공기 토출구(24)로 송풍하는 상부 송풍유닛(18)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2)는 열교환기(14)를 통과한 공기를 상부 송풍유닛(18) 및 하부 송풍유닛(20)으로 안내하는 오리피스(35)를 포함할 수 있다. 오리피스(35)는 열교환기(14)의 전방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오리피스(35)에는 상부 송풍유닛(18)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 1 흡입홀(35A)이 형성될 수 있다. 오리피스(35)에는 하부 송풍유닛(20)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 2 흡입홀(35B)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송풍유닛(18)은 열교환기(14)의 상부 전방에 위치되는 상부 송풍팬(36)과, 상부 송풍팬(36)을 회전시키는 상부 송풍모터(37)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유닛(18)(20)은 실내 공기를 공기 흡입구(4)로 흡입하여 열교환기(14)를 통과시키고 이후 공기 토출구(24)로 송풍하는 하부 송풍유닛(2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송풍유닛(20)은 열교환기(14)의 하부 전방에 위치되는 하부 송풍팬(38)과, 하부 송풍팬(38)을 회전시키는 하부 송풍모터(39)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2)는 베이스(41)와, 흡입 패널(42)과, 프론트 패널(43)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 패널(42)은 베이스(41)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흡입 패널(42)에는 공기 흡입구(4)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 패널(42)은 상면이 개방될 수 있다. 프론트 패널(43)은 흡입 패널(42)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프론트 패널(43)은 좌측판과 우측판 중 적어도 하나에 공기 토출구(24)가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패널(43)은 상면이 개방될 수 있다.
케이스(12)는 케이스(12)의 내측 상부로 송풍된 공기를 안내하는 토출 바디(44)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 바디(44)는 흡입 패널(42)과 프론트 패널(43)의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프론트 패널(43)과 흡입 패널(42) 중 적어도 하나의 상측으로 송풍된 공기는 토출 바디(44)로 유입될 수 있다. 토출 바디(44)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게 저면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 바디(44)는 토출 가이드(6)의 외둘레면 일부를 둘러싸도록 좌측면과 상면과 우측면이 막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 바디(44)는 배면이 막힌 형상일 수 있다. 케이스(12)는 프론트 커버(45)와, 사이드 커버(46)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45)는 프론트 패널(43)의 전면 및 베이스(41)의 전면과 토출 바디(44)의 일부를 함께 덮을 수 있다. 프론트 커버(45)에는 토출 가이드(6)의 선단 보다 큰 개구홀(47)이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커버(46)는 베이스(41)의 측면 일부와, 프론트 패널(43)의 측면과 토출 바디(44)의 측면을 덮게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 커버(46)는 프론트 패널(43)의 측면 중 공기 토출구(24) 이외를 덮을 수 있다.
토출 가이드(6)는 케이스(12) 내부에 배치되어 열교환기(16)와 열교환된 공기를 케이스(12) 외부로 토출 안내할 수 있다. 토출 가이드(6)는 토출 바디(44) 내측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토출 가이드(6)는 토출 바디(44)로 유동된 공기를 토출 가이드(6)의 전방으로 안내할 수 있다. 토출 가이드(6)는 전면이 개방 형성될 수 있다. 토출 가이드(6)는 공기가 안내되는 통체(52)를 포함할 수 있고, 통체(52)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전방으로 갈수록 공간이 확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토출 가이드(6)는 후술하는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가 설치되는 무빙기구 설치부(58)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 가이드(6)는 통체(52)와 무빙기구 설치부(58) 중 적어도 하나가 케이스(12)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장착될 수 있다. 통체(52)의 외둘레에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가 통과하는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고, 토출 바디(44)에는 통체(52)의 체결부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8)는 전면과 배면과 외둘레면 중 외둘레면(9)이 토출 가이드(6)의 내둘레면(7)과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광 모듈(68)이 이너 가이드(8)에 설치될 경우, 이너 가이드(8)의 외둘레면(9)과 토출 가이드(6)의 내둘레면(7) 사이는 조명 공간(LS)이 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8)의 외둘레면(9)은 조명 공간(LS)을 향해 조사하는 광이 투과되는 광 투과면이 될 수 있고, 토출 가이드(6)의 내둘레면(7)은 광 모듈(68)의 광이 조사되는 광 조사면이 될 수 있고, 조명 공간(LS)을 최대 크기를 제한할 수 있다. 광 모듈(68)이 이너 가이드(8)에 설치될 경우, 이너 가이드(8)를 투과한 광은 토출 가이드(6)의 내둘레면으로 조사될 수 있고, 토출 가이드(6)의 내측 영역 중 이너 가이드(8)가 위치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조명 띠(LB)가 형성될 수 있다. 조명 띠(LB)는 외부에서 볼 때, 토출 가이드(6)의 내둘레면에 외측 테두리 라인이 형성될 수 있고, 이너 가이드(8)의 외둘레면에 내측 테두리 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이너 가이드(8)를 무빙시키는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는 이너 가이드(8)를 토출 가이드(6) 내측에서 무빙시킬 수 있다.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는 조명 띠(LB)의 형상이 가변되게 이너 가이드(8)를 무빙시킬 수 있다.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는 전면과 배면과 외둘레면 중 외둘레면(11)이 토출 가이드(6)의 내둘레면(7)과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는 외둘레면(11)이 토출 가이드(6)의 내둘레면(7)과 공기 토출 통로(P)를 형성할 수 있다. 토출 가이드(6)로 송풍된 공기는 공기 토출 통로(P)와 조명 공간(LS)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조명 공간(LS)의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토출 가이드(6)로 유입되는 공기는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의 외둘레면(11)에 먼저 안내되고, 이후 이너 가이드(8)의 외둘레면(9)에 안내될 수 있으며,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의 외둘레면(11)과 이너 가이드(8)의 외둘레면(9)은 함께 이너 가이드면을 구성할 수 있다. 토출 가이드(6)의 내둘레면(7)은 아우터 가이드면을 구성할 수 있다.
이하, 토출 가이드(6)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체(52)는 전면에 전면 개구부(53)가 형성되고, 배면에 배면 개구부(54)가 형성될 수 있다. 통체(52)는 전면 개구부(53)가 배면 개구부(54)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무빙기구 설치부(58)는 통체(52) 내부에 위치되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통체(52)의 외부에 위치되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무빙기구 설치부(58)는 통체(52)의 후방부에 형성될 수 있다. 무빙기구 설치부(58)는 통체(52)의 공간 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되는 장착부(59)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59)는 폐루프 형상의 판 또는 원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59)에는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가 장착될 수 있다. 무빙기구 설치부(58)는 통체(52)와 장착부(59)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다리(6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59)는 통체(52)의 공간 후방에 위치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지지다리(60)는 통체(52)와 장착부(59)를 연결할 수 있다.
이하, 이너 가이드(8)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너 가이드(8)는 전면 크기가 통체(52)의 배면 개구부(54) 크기 보다 클 수 있다.
이너 가이드(8)는 토출 가이드(6)와 공기 토출 통로(P)를 형성하는 조명 커버(63)와, 조명 커버(63)의 전면을 막는 전면판(66)을 포함할 수 있고, 광 모듈(68)은 조명 커버(63)와 전면판(6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조명 커버(63)는 둘레부(64)와, 후판부(65)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 커버(63)의 둘레부(64)는 토출 가이드(6)의 통체(52)와 마주볼 수 있다. 조명 커버(63)의 둘레부(64)는 토출 가이드(6)와 공기 토출 통로(P)를 형성할 수 있다. 조명 커버(63)의 둘레부(64)에는 광확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조명 커버(63)의 둘레부(64)는 토출 가이드(6)의 통체(52)와 이격되고, 조명 커버(63)의 둘레부(64)와 토출 가이드(6)의 통체(52) 사이에는 조명 공간(LS)이 형성될 수 있다. 조명 커버(63)는 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광확산부는 조명 커버(63)의 둘레부(64)의 외면 또는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둘레부(64)는 광 모듈(68)에서 조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판으로 기능할 수 있다. 조명 커버(63)의 후판부(65)는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를 마주 볼 수 있다. 조명 커버(63)의 후판부(65)는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에 연결될 수 있다.
전면판(66)은 공기조화기의 전방을 향할 수 있다. 전면판(66)은 이너 가이드(8)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외부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67)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67)은 엘시디 패널이나 엘이디 패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67)은 전면판(66)과 후판부(65) 사이에 설치되어 전방으로 정보를 표시하는 광을 조사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모듈(67)에서 조사된 광은 전면판(66)을 통해서 외부에서 보일 수 있다. 전면판(66)은 디스플레이 모듈(67)의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표시창으로 기능할 수 있다.
광 모듈(68)은 이너 가이드(8)의 내부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고, 이너 가이드(8)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광 모듈(68)은 조명 커버(63)의 둘레부(64) 내측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고, 둘레부(64)를 향해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광 모듈(68)은 방사형으로 광을 발광할 수 있고, 광 모듈(68)에서 방사형으로 발광된 광은 조명 커버(63)의 둘레부(64)를 통과할 수 있다. 조명 커버(63)의 둘레부(64)를 통과한 광은 토출 가이드(6)의 내둘레면(7)을 비추면서 조명 공간(LS)을 조명할 수 있다.
광 모듈(68)은 조명 커버(63)에 설치된 제 1 피시비(70)와, 제 1 피시비(70)에 설치된 복수개의 제 2 피시비(72)와, 제 2 피시비(72)에 둘레부(64)를 향해 돌출되게 설치된 발광원(74)을 포함한다. 발광원(74)은 엘이디구성될수 있다. 엘이디는 복수개의 색상 중 특정 색상을 발광하는 있는 다색 엘이디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 모듈(68)은 하나의 제 2 피시비(72)에 적어도 2개의 발광원(74)이 설치될 수 있다. 광 모듈(68)은 복수개의 발광원이 함께 제어되는 것이 가능하다. 광 모듈(68)은 복수개의 발광원이 복수개의 발광군으로 구분될 수 있다. 광 모듈(68)은 복수개의 발광원 모두가 동일 색상으로 발광될 수 있다. 광 모듈(68)은 복수개의 발광군이 함께 발광되되, 각각의 발광군이 타 발광군과 상이한 색상을 발광될 수 있다.
광 모듈(68)은 공기조화기의 운전 모드별 상이한 색상의 광을 발광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의 운전 모드 별로 상이한 색상의 조명 띠가 조명 공간(LS)에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 모드를 표시하는 색상은 블루 색상(blue), 바이올렛 색상(violet), 연두 색상(yellowgreen), 연한 청록 색상(aquamarine), 힌색 색상(white)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광 모듈(66)은 냉방 모드시 블루 색상(blue)을 발광할 수 있고, 제습 모드시 바이올렛 색상(violet)을 발광할 수 있고, 절전 모드시 연두 색상(yellowgreen)을 발광할 수 있으며, 공기청정 모드시 연한 청록 색상(aquamarine)을 발광할 수 있고, 쾌속난방 모드시 힌색 색상(white)을 발광할 수 있다. 광 모듈(66)은 운전 모드를 각각 별도의 색상으로 표현할 때,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복수개의 발광원(74) 모두 동일 색상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조명 공간(LS)에는 동일 색상이면서 폐루프 형상인 조명 띠가 형성될 수 있다.
광 모듈(68)는 계절별 상이한 색상의 광을 발광할 수 있다. 광 모듈(68)는 봄,여름,가을,겨울과 같이 네 계절별로 각각 상이한 색상을 조명 공간(LS)에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고, 건기,우기와 같이 2계절별로 각각 상이한 색상을 조명 공간(LS)에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광 모듈(66)은 계절별로 상이한 색상을 발광할 때 조명 공간(LS)으로 폐루프 형상의 조명 띠를 형성하거나 조명 공간(LS)의 일부에만 스폿 조명을 형성할 수 있다.
광 모듈(66)은 조명 공간(LS)으로 광을 발광할 때 적어도 2가지 색상의 광을 조명 공간(LS)으로 분산하여 발광하는 것이 가능하고, 단일 색상의 광을 조명 공간(LS) 전체로 발광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어도 2가지 색상의 광이 조명 공간(LS)으로 발광되는 경우, 조명 공간(LS)의 일부 영역으로 발광되는 광의 색상과, 조명 공간(LS)의 다른 영역으로 발광되는 광의 색상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봄, 여름, 가을, 겨울과 같이 총 4계절로 구분될 경우, 복수개의 발광원(74)은 4 계절 중 일부 계절에 총 3개의 발광군으로 제어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원(74)은 제 1 계절에 연분홍 색상과, 올리브 그린 색상(olive green), 개나리 색상이 하나의 폐루프 형상 조명 띠를 형성하면서 조명 공간(LS)을 분산 조명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원(74)은 제 2 계절에 블루 색상(blue)과, 스카이 블루 색상(sky blue), 딥 블루 색상(deep blue)이 하나의 폐루프 형상 조명 띠를 형성하면서 조명 공간(LS)을 분산 조명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발광원(74)은 제 3 계절에 노란 단풍 색상과, 단풍 색상과, 붉은 단풍 색상이 하나의 폐루프 형상 조명 띠를 형성하면서 조명 공간(LS)을 분산 조명할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발광원(74)은 제 4 계절에 힌색 색상의 스폿 조명을 형성하면서 조명 공간(LS)의 일부만을 조명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광 모듈(68)의 전방에 배치되는 광 차폐판(69)을 더 포함한다. 광 차폐판(69)은 광 모듈(68)에서 조사된 광이 전면판(66)으로 향하지 않고 둘레부(64)로 향하게 광을 막을 수 있다. 광 차폐판(69)은 전면판(66)과 광 모듈(68)의 사이에 위치되게 배치될 수 있고, 광 모듈(68)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광 차폐판(69)에는 디스플레이 모듈(67)에서 조사된 광이 투과되는 광투과홀(69')이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67)은 광 차폐판(68)에 설치되되, 정보를 표시하는 광을 조사하는 부분이 광 투과홀(69') 후방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는 이너 가이드(8)를 토출 가이드(6)에 이격되게 지지할 수 있고, 이너 가이드(8)는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가 이너 가이드(8)를 무빙시키지 않을 때, 외둘레면(9)이 토출 가이드(6)의 내둘레면(7)과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는 이너 가이드(8)를 토출 가이드(6) 내측에서 승강시키는 승강 모드를 갖을 수 있다.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는 이너 가이드(8)를 토출 가이드(6)의 내둘레면(7)을 따라 곡선형 궤적으로 무빙시키는 무빙 모드를 갖을 수 있다. 여기서, 곡선형 궤적은 원형 궤적이 되거나 원형에 가까운 호형 궤적이 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8)와 토출 가이드(6) 사이에는 조명 띠(LB1)(LB2)를 형성할 수 있다. 광 모듈(68)의 온시, 조명 띠는 반경 방향의 폭(T1)이 일정한 폐루프 단면 형상의 조명 띠(LB1)일 수 있다.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는 폐루프 형상의 조명 띠(LB1)를 초승달 형상의 조명 띠(LB2)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는 이너 가이드(8)의 외둘레면(9) 일부분(9')이 토출 가이드(6)의 내둘레면(7)과 가까워지고 토출 가이드(6)의 내둘레면(7)과 가까워지는 일부분(9')의 반대편 부분(9")이 토출 가이드(6)의 내둘레면(7)과 멀어지게 이너 가이드(8)를 무빙시킬 수 있다.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는 조명 띠가 반경 방향의 폭이 짧은 영역(T2)과 반경 방향의 폭이 넓은 영역(T3)을 함께 갖게 이너 가이드(8)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는 이너 가이드(8)를 무빙시킬 때, 폐루프 형상의 조명 띠(LB1)를 양단이 뾰족하고 중앙이 두툼한 형상의 조명 띠(LB2)로 변경시킬 수 있다.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는 조명 공간(LS)의 단면 형상이 폐루프 형상에서 초승달 형상으로 변화된 후 다시 폐루프 형상으로 변화되게 이너 가이드(8)를 무빙시킬 수 있다.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는 이너 가이드(8)의 중심축(Y)이 토출 가이드(6)의 중심축(X)에 불일치되게 이너 가이드(8)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너 가이드(8)의 중심축(Y)이 토출 가이드(6)의 중심축(X)과 일치될 때, 조명 공간(LS)에 형성된 조명 띠는 폭이 일정한 폐루프 형상일 수 있고, 이너 가이드(8)가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에 의해 무빙되어 이너 가이드(8)의 중심축(Y)이 토출 가이드(6)의 중심축(X)과 일치되지 않을 때, 조명 공간(LS)에 형성된 조명 띠는 초승달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는 이너 가이드(8)를 토출 가이드(6)의 내측 중앙 위치에서 상승시킨 후 토출 가이드(6) 내둘레면(7)을 따라 곡선형 궤적으로 무빙시킬 수 있다.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는 곡선형 궤적으로 무빙된 이너 가이드(8)를 토출 가이드(6)의 내측 중앙으로 무빙시킬 수 있다.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는 공기조화기의 운전 개시시 이너 가이드(8)를 무빙시킨 후 이너 가이드(8)를 토출 가이드(6)의 내측 중앙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다.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는 특정 운전 모드를 표현하기 위해 이너 가이드(8)를 적어도 1회 무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냉방 운전시 광 모듈(68)는 조명 공간(LS)에 블루 색상(blue)의 조명 띠을 형성할 수 있고, 이때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는 이너 가이드(8)를 무빙시키는 것에 의해 폐루프 형상의 블루 색상 조명 띠(LB1)와, 초승달 형상의 블루 색상 조명 띠(LB2)가 교대로 보이게 할 수 있다. 제습 모드시 광 모듈(68)은 조명 공간(LS)에 바이올렛 색상(violet)의 조명 띠를 형성할 수 있고, 이때,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는 이너 가이드(8)을 무빙시키는 것에 의해 폐루프 형상의 바이올렛 색상 조명 띠(LB1)와, 초승달 형상의 바이올렛 색상 조명 띠(LB2)가 교대로 보이게 할 수 있다.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는 절전 모드나 공기청정 모드나 쾌속난방 모드 등의 경우에도 이너 가이드(8)을 무빙시켜 각각 상기와 같이 폐루프 형상의 조명 띠와, 초승달 형상의 조명 띠가 교대로 보이게 할 수 있다.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는 토출 가이드(6)에 고정된 고정 케이스(100)와; 고정 케이스(100)에 설치된 모터(110)와; 이너 가이드(8)와 연결된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와; 모터(110)의 구동력을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130)(132)와; 고정 케이스(100)에 설치되어 모터(110)의 구동시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를 안내하는 무빙 가이드(14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케이스(100)는 후판부(102)와, 둘레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케이스(100)의 후판부(102)는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의 배면을 형성할 수 있다. 고정 케이스(100)의 후판부(102)는 무빙기구 설치부(58)를 마주 볼 수 있고, 무빙기구 설치부(58) 특히 장착부(59)에 설치될 수 있으며,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장착부(59)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 고정 케이스(100)의 둘레부(104)는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의 둘레면을 형성할 수 있다. 고정 케이스(100)의 후판부(102)에는 무빙 가이드(140)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 있는 후판부 체결보스(103)가 돌출될 수 있다.
고정 케이스(100)의 둘레부(104)는 토출 가이드(6)의 통체(52)와 마주볼 수 있고, 토출 가이드(6)의 통체(52)와 이격될 수 있다. 고정 케이스(100)의 둘레부(104) 내측에는 모터(110)가 수용될 수 있는 모터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케이스(100)의 둘레부(104)에는 무빙 가이드(140)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 있는 둘레부 체결보스(105)가 돌출될 수 있다.
고정 케이스(100)에는 모터(110)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 있는 모터 체결보스(106)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모터(110)는 회전축(112)이 전방을 향해 돌출되게 고정 케이스(100)에 설치될 수 있다. 모터(110)는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 및 동력전달부재(130)(132)와 함께 하나의 구동 셋트를 구성할 수 있고,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는 모터(110)와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 및 동력전달부재(130)(132)로 구성된 구동 셋트가 적어도 두 셋트 설치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는 모터(110)의 구동시 무빙 가이드(140)에 안내되면서 이너 가이드(8)를 무빙시킬 수 있다.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는 이너 가이드(8)에 연결되는 연결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21)는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의 전면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21)는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의 전면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연결부(121)에는 이너 가이드(8)의 후판부(65)에 형성된 지지축(65a)을 관통할 수 있다. 지지축(65a)은 중공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21)에는 지지축(65a)에서 임의 탈거되지 않게 연결부 홀더(122)와 체결될 수 있다. 연결부(121)에는 연결부 홀더(122)가 고정되는 연결부 홀더 고정홀(121a)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 홀더(122)는 이너 가이드(8) 내측에서 연결부(121)에 나사 결합되어 연결부(121)가 임의 탈거되지 않고 하고, 연결부(121)은 지지축(65a)을 지지하는 것에 의해 이너 가이드(8)을 지지할 수 있다. 모터(110)의 구동시 연결부(121)는 그 위치가 가변될 수 있고, 연결부(121)의 위치에 따라 이너 가이드(8)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는 무빙 가이드(140)에 안내되는 돌출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23)는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의 전면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23)는 연결부(121)와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고, 돌출부(123)는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의 전면 중앙 이외에 위치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부재(130)(132)가 위치되는 동력전달부재 수용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재 수용부(124)는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동력전달부재(130(132) 중 적어도 하나가 수용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재 수용부(124)는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의 배면에 후방으로 돌출 형성될 판부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재 수용부(124)는 배면이 개방됨과 아울러 상,하,좌,우측면 네면이 막힌 형상일 수 있고, 동력전달부재(130(132)은 그 전부가 동력전달부재 수용부(124) 내측에 위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동력전달부재 수용부(124)는 상,하,좌,우측면 중 한 면과 배면이 개방됨과 아울러 상,하,좌,우측면 중 세 면이 막힌 형상일 수 있고, 동력전달부재(130(132) 중 어느 하나가 동력전달부재 수용부(124) 내측에 위치되고, 동력전달부재(130(132) 중 다른 하나가 동력전달부재 수용부(124)의 개방된 일면을 막는 것이 가능하다.
동력전달부재(130)(132)는 모터(110)의 회전축(112)에 설치된 피니언(130)과, 피니언(130)과 치합되고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에 설치된 랙(132)을 포함할 수 있다.
피니언(130)은 모터(110)의 구동력을 랙(132)으로 전달할 수 있다. 피니언(130)은 동력전달부재 수용부(124)와 랙(132)이 형성하는 공간(S)에 위치될 수 있다.
랙(132)은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설치될 수 있다. 랙(132)은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와 별도로 제작된 후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에 삽입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랙(132)은 피니언(130)의 회전시 승강되는 것이 가능하고, 더 이상 상승되지 않는 위치에 도달하면 피니언(130)에 치합된 상태에서 피니언(130)을 회전 중심으로 피니언(13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무빙 가이드(140)는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무빙 가이드(140)는 이너 가이드(8)를 마주 보게 설치될 수 있다. 무깅 가이드(140)는 고정 케이스(100)의 전면을 덮게 설치될 수 있다. 무빙 가이드(140)는 고정 케이스(100)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 있다. 무빙 가이드(140)에는 연결부(121)가 관통되는 연결부 관통공(141)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 관통공(141)은 연결부(121)의 곡선형 궤적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무빙 가이드(140)는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에 형성된 돌출부(123)가 안내되는 가이드부(142)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42)는 전면과 배면 중 고정 케이스(100)를 향하는 면에 가이드 홈부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무빙 가이드(140)는 전체적으로 판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부(142)는 전방으로 단턱지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42)는 돌출부(123)가 안내되는 직선부(143)와, 직선부(143)와 연결되고 돌출부(123)가 안내되는 곡선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23)는 직선부(143)에서 직선 안내되다가 곡선부(144)로 진입되어 곡선부(144)를 따라 안내될 수 있고, 곡선부(144)를 따라 안내되다가 다시 직선부(143)로 진입되어 직선부(143)에 안내될 수 있다.
직선부(143)의 길이가 길수록 이너 가이드(8)는 토출 가이드(6) 내측에서 큰 폭으로 직선 이동될 수 있다.
곡선부(144)는 폐루프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직선부(143)에 의해 연결되는 루프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곡선부(144)의 반경이 클수록 이너 가이드(8)는 큰 곡선형 궤적으로 무빙될 수 있다.
직선부(143)는 무빙 가이드(140)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거나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거나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 사이의 경사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직선부(143)는 돌출부(123)를 승강 안내하고 상부에 곡선부(144)가 연결되는 수직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직선부(143)는 수직부(145)의 하부와 곡선부(144)를 연결하는 경사부(1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23)는 수직부(145)를 따라 안내된 후 곡선부(144)로 진입되어 곡선부(144)에 곡선형 궤적으로 안내될 수 있다. 곡선형 궤적으로 안대되던 돌출부(123)는 곡선부(144)에서 경사부(146)로 진입되어 경사부(146)로 안내될 수 있으며, 경사부(145)에 안내된 후 직선부(143)로 하부로 안내될 수 있다.
가이드부(142)는 직선부(143)가 경사부(146)를 포함하지 않고, 수직부(145)나 수평부(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와 곡선부(144)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수직부(145)를 따라 승강 안내되던 돌출부(123)는 곡선부(144)를 따라 원형 궤적으로 안내된 후 수직부(145)를 따라 다시 승강 안내되는 것이 가능하다. 수평부를 따라 수평 이동 안내되던 돌출부(123)는 곡선부(144)를 따라 원형 궤적으로 안내된 후 수평부(145)를 따라 다시 반대 방향으로 수평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 등이 원격조작기나 공기조화기에 설치된 컨트롤 패널 등의 입력부(미도시)로 운전 명령을 입력하면, 공기조화기는 입력된 운전 명령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냉방 모드와, 제습 모드와, 절전 모드와, 공기청정 모드와, 쾌속 냉방 모드 등의 운전 모드를 갖을 수 있고, 사용자가 이들 중 하나를 입력하면, 공기조화기는 입력된 운전 모드로 운전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도 7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 가이드(8)가 토출 가이드(10)의 내측 중앙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운전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운전시, 송풍유닛(18)(20)의 구동은 구동될 수 있고, 실내의 공기가 공기 흡입구(2)로 흡입되어 열교환기(18)을 통과할 수 있다. 열교환기(18)을 통과한 공기는 송풍유닛(18)(20)에 의해 토출 가이드(6)와 공기 토출구(24) 중 적어도 하나로 송풍될 수 있다. 공기 토출구(24)로 토출된 공기는 케이스(12)에서 옆 방향으로 토출되거나 및 케이스(12)의 전방 옆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토출 가이드(6)로 송풍된 공기는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와 토출 가이드(6) 사이를 먼저 통과한 후 이너 가이드(8)와 토출 가이드(6) 사이로 유동되고, 이후 이너 가이드(8)의 외둘레면(9)과 토출 가이드(6)의 내둘레면(7)의 안내를 받으면서 조명 공간(LS)의 전방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광 모듈(68)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시, 그 운전 모드에 대응되는 색상 및 제어 모드로 조명 공간(LS)을 조명하거나 계절별로 설정된 색상 및 제어 모드로 조명 공간(LS)을 조명할 수 있다.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시, 광 모듈(68)에 의해 형성된 조명의 형상이 가변되게 이너 가이드(8)를 무빙시킬 수 있다.
먼저,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니언(130)이 랙(132)의 상부에 치합된 상태일 때, 이너 가이드(8)는 도 7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 가이드(6)의 내둘레면과 일정한 간격(T1)을 유지할 수 있다.
이너 가이드(8)의 외둘레면이 토출 가이드(6)의 내둘레면과 일정한 간격(T1)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모터(110)가 구동되면 피니언(130)은 회전될 수 있고, 돌출부(123)는 수직부(145)의 안내를 받을 수 있으며, 랙(132)은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와 함께 상승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의 상승시 이너 가이드(8)는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에 의해 상승될 수 있고, 이너 가이드(8)는 도 7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토출 가이드(6)의 내둘레면에 근접함과 아울러 하부가 토출 가이드(6)의 내둘레면과 멀어질 수 있으며, 조명 공간(LS)에 형성된 조명 띠는 폐루프 단면 형상에서 상부가 개방된 초승달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모터(110)가 피니언(130)을 계속 회전시키면, 돌출부(123)는 수직부(145)에서 곡선부(144)로 진입되어 곡선부(144)의 안내를 받을 수 있으며, 랙(132)은 피니언(130)을 회전중심으로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는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니언(130)을 회전중심으로 대략 수평하게 회전되고, 이너 가이드(8)는 도 7의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부가 토출 가이드(6)의 내둘레면에 근접함과 아울러 우측부가 토출 가이드(6)의 내둘레면과 멀어질 수 있으며, 조명 공간(LS)에 형성된 조명 띠는 상부가 개방된 초승달 형상에서 좌측부가 개방된 초승달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모터(110)가 피니언(130)을 계속 회전시키면, 돌출부(123)는 곡선부(144)를 따라 계속 안내될 수 있고, 랙(132)은 피니언(130)을 회전중심으로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와 함께 계속하여 회전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는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니언(130)을 회전중심으로 대략 수직하게 회전되고, 이너 가이드(8)는 도 7의 (라)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토출 가이드(6)의 내둘레면에 근접함과 아울러 상부가 토출 가이드(6)의 내둘레면과 멀어질 수 있으며, 조명 공간(LS)에 형성된 조명 띠는 좌측부가 개방된 초승달 형상에서 하부가 개방된 초승달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모터(110)가 피니언(130)을 계속 회전시키면, 돌출부(123)는 곡선부(144)를 따라 계속 안내될 수 있고, 랙(132)은 피니언(130)을 회전중심으로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는 도 6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니언(130)을 회전중심으로 대략 수평하게 회전되고, 이너 가이드(8)는 도 7의 (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부가 토출 가이드(6)의 내둘레면에 근접함과 아울러 좌측부가 토출 가이드(6)의 내둘레면과 멀어질 수 있으며, 조명 공간(LS)에 형성된 조명 띠는 하부가 개방된 초승달 형상에서 우측부가 개방된 초승달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모터(110)가 피니언(130)을 계속 회전시키면, 돌출부(123)는 곡선부(144)에서 경사부(146)로 진입될 수 있고, 모터(110)는 피니언(130)을 소정 시간 역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123)가 곡선부(144)를 따라 안내될 때의 회전방향이 시계방향이면, 돌출부(123)가 경사부(146)를 따라 안내될 때의 회전방향은 반시계 방향일 수 있다. 피니언(130)의 역회전시 돌출부(123)는 경사부(146)를 따라 경사지게 안내되어 수직부(145)의 하부로 진입될 수 있다. 돌출부(123)가 경사부(146)를 따라 경사지게 안내되는 동안 이너 가이드(8)는 도 7의 (바)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 가이드(6)의 내측 중앙을 향해 무빙되고, 돌출부(123)가 수직부(145)의 하부로 진입되면, 이너 가이드(8)는 도 7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 가이드(6)의 내측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모터(110)는 피니언(130)을 소정 시간 역회전시킨 후 다시 피니언(130)을 역회전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123)가 경사부(146)를 따라 안내될 때의 회전방향이 반시계 방향일 경우, 돌출부(123)가 수직부(145)의 하부에 도달된 이후의 회전방향은 시계 방향일 수 있다. 피니언(130)이 상기와 같이 회전되면, 랙(132)은 피니언(130)을 회전중심으로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 커넥터(120)는 피니언(130)을 회전중심으로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수직하게 회전되고, 이너 가이드(8)는 도 7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 가이드(6)의 내둘레면과 일정한 간격(T1)을 유지할 수 있다.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10)가 이너 가이드(8)를 무빙시키는 동안, 조명 띠의 형상은 연속적으로 바뀌변서 초승달 형상의 조명 띠 형상이 연속적으로 바뀌고, 사용자는 원거리에서도 현재의 운전 모드를 쉽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공기조화기는 상기와 같은 이너 가이드(8)의 무빙을 1회만 실시한 후 이너 가이드(8)를 토출 가이드(6)의 내측 중앙에 위치 고정시킨 상태에서, 계속 운전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와 같은 동일 운전 모드의 동안 이너 가이드(8)의 무빙을 복수회 반복하면서 계속 운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곡선부(144)가 하나의 수직부(145) 상부에 연결되어 이너 가이드(8)가 상승된 후 적어도 2회 이상 원형 궤적으로 무빙된 후 마지막에 하강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곡선부(144)가 직선부(143)의 하부에 연결되어 이너 가이드(8)가 하강된 후 원형 궤적으로 무빙된 후 상승되는 것도 가능하며, 직선부(143)의 위치나 형성 방향에 따라 이너 가이드(8)의 다양한 동작 구현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2: 본체 4: 공기 흡입구
6: 토출 가이드 8: 이너 가이드
10: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 63: 조명 커버
64: 둘레부 66: 전면판
68: 광 모듈 69: 차폐판
70: 제 1 피시비 72: 제 2 피시비
74: 발광원 100: 고정 케이스
110: 모터 120: 이너 가이드 커넥터
130: 랙 132: 피니언
140: 무빙 가이드 LS: 조명 공간

Claims (17)

  1.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토출 가이드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토출 가이드 내측에 무빙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토출 가이드와 공기 토출 통로를 형성하는 이너 가이드와;
    상기 이너 가이드에 설치되어 상기 토출 가이드를 조명하는 광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이너 가이드를 무빙시키는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는 상기 이너 가이드를 상기 토출 가이드 내측에서 무빙시키고,
    상기 토출 가이드의 내측 영역 중 상기 이너 가이드를 제외한 영역에 조명 띠가 형성되고,
    상기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는 상기 조명 띠의 형상이 가변되게 상기 이너 가이드를 무빙시키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가이드는
    상기 토출 가이드와 공기 토출 통로를 형성하는 조명 커버와,
    상기 조명 커버의 전면을 막는 전면판을 포함하고,
    상기 광 모듈은 상기 조명 커버와 전면판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모듈은 상기 토출 가이드에 설치된 공기조화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모듈은 공기조화기의 운전 모드별 상이한 색상의 광을 발광하는 공기조화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모듈은 계절별 상이한 색상의 광을 발광하는 공기조화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는 상기 이너 가이드를 상기 토출 가이드 내측에서 승강시키는 승강 모드를 갖는 공기조화기.
  11.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토출 가이드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토출 가이드 내측에 무빙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토출 가이드와 공기 토출 통로를 형성하는 이너 가이드와;
    상기 이너 가이드에 설치되어 상기 토출 가이드를 조명하는 광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이너 가이드를 무빙시키는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는 상기 이너 가이드를 상기 토출 가이드의 내둘레면을 따라 곡선형 궤적으로 무빙시키는 무빙 모드를 갖는 공기조화기.
  12.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토출 가이드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토출 가이드 내측에 무빙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토출 가이드와 공기 토출 통로를 형성하는 이너 가이드와;
    상기 이너 가이드에 설치되어 상기 토출 가이드를 조명하는 광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이너 가이드를 무빙시키는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는 상기 이너 가이드를 상기 토출 가이드 내측에서 무빙시키고,
    상기 토출 가이드의 내측 영역 중 상기 이너 가이드를 제외한 영역에 조명 띠가 형성되고,
    상기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는 폐루프 형상의 조명 띠를 초승달 형상의 조명 띠로 변화시키는 공기조화기.
  13.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토출 가이드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토출 가이드 내측에 무빙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토출 가이드와 공기 토출 통로를 형성하는 이너 가이드와;
    상기 이너 가이드에 설치되어 상기 토출 가이드를 조명하는 광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이너 가이드를 무빙시키는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너 가이드 무빙기구는 상기 이너 가이드의 중심축이 상기 토출 가이드의 중심축에 불일치되게 상기 이너 가이드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공기조화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모듈 전방에 배치되는 광 차폐판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모듈은 상기 조명 커버에 설치된 제 1 피시비와,
    상기 제 1 피시비에 설치된 복수개의 제 2 피시비와,
    상기 제 2 피시비에 상기 조명 커버를 향해 돌출되게 설치된 발광원은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6.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토출 가이드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토출 가이드 내측에 무빙 가능하게 위치되어 상기 토출 가이드와 공기 토출 통로를 형성하는 이너 가이드와;
    상기 이너 가이드에 설치되어 상기 토출 가이드로 조명을 형성하는 광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광 모듈 전방에 배치되는 광 차폐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 가이드의 내측 영역 중 상기 이너 가이드를 제외한 영역에 조명 띠가 형성되고,
    상기 조명 띠의 형상이 가변되는 공기조화기.
  17. 삭제
KR1020130000711A 2013-01-03 2013-01-03 공기조화기 KR102078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711A KR102078274B1 (ko) 2013-01-03 2013-01-03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711A KR102078274B1 (ko) 2013-01-03 2013-01-03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068A KR20140089068A (ko) 2014-07-14
KR102078274B1 true KR102078274B1 (ko) 2020-02-17

Family

ID=51737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0711A KR102078274B1 (ko) 2013-01-03 2013-01-03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2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15134B (zh) * 2015-09-11 2018-10-1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气调节装置顶盖组件及空气调节装置
US10578319B2 (en) * 2015-10-01 2020-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KR102535912B1 (ko) * 2015-12-28 2023-05-24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 조화 시스템
CN109996999B (zh) * 2016-12-07 2021-11-26 豪威株式会社 风向可调的空气净化器
KR102643397B1 (ko) * 2017-02-02 2024-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278637B1 (ko) * 2017-04-07 2021-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279011B1 (ko) * 2017-04-07 2021-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482636B1 (ko) * 2018-01-03 2022-12-29 주식회사 위니아 에어컨 무빙커버 덮개 장착 구조
KR102339585B1 (ko) * 2020-01-08 2021-12-17 주식회사 조은바람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KR102108950B1 (ko) * 2020-03-10 2020-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484B1 (ko) * 2006-12-11 2008-03-21 (주)로드닉스 풍향 및 풍량 조절 라인 디퓨져
KR101203540B1 (ko) * 2011-12-20 2012-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5329A (ko) 2008-08-27 2010-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표시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484B1 (ko) * 2006-12-11 2008-03-21 (주)로드닉스 풍향 및 풍량 조절 라인 디퓨져
KR101203540B1 (ko) * 2011-12-20 2012-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068A (ko) 2014-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8274B1 (ko) 공기조화기
KR102033689B1 (ko) 공기조화기
KR102064218B1 (ko) 공기조화기
KR102001868B1 (ko) 공기 조화기
KR101203540B1 (ko) 공기조화기
KR102110530B1 (ko) 공기조화기
EP2602563B1 (en) Air conditioner
KR20150009362A (ko) 공기조화기
KR102053144B1 (ko) 공기조화기
KR101953178B1 (ko) 장식용 조명거울
JP2003308708A (ja) 異なった色彩を発光する発光器
KR102033690B1 (ko) 공기조화기
KR102104435B1 (ko) 공기조화기
JP2006194563A (ja) 空気調和機
KR20100055910A (ko) 백라이팅유닛 및 이를 갖는 공기조화기
KR102080513B1 (ko) 공기조화기
CN203927461U (zh) 一种带通风兼风扇功能的灯具
KR101399080B1 (ko) 공기조화기
JP2013170787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2190008B1 (ko) 공기조화기
CN210688480U (zh) 空调室内机和具有其的空调器
KR101385288B1 (ko) 공기조화기
KR102104436B1 (ko) 공기조화기
KR102152732B1 (ko) 공기조화기
KR101398115B1 (ko) 선풍기 겸용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