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3540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3540B1
KR101203540B1 KR1020120052587A KR20120052587A KR101203540B1 KR 101203540 B1 KR101203540 B1 KR 101203540B1 KR 1020120052587 A KR1020120052587 A KR 1020120052587A KR 20120052587 A KR20120052587 A KR 20120052587A KR 101203540 B1 KR101203540 B1 KR 101203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air
light emitting
air conditioner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2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태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2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3540B1/ko
Priority to CN201410045850.3A priority patent/CN103759342B/zh
Priority to CN2012203261688U priority patent/CN202675472U/zh
Priority to CN201210234518.2A priority patent/CN102829511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3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3540B1/ko
Priority to EP12194241.1A priority patent/EP26077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78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8Ventil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F21V9/4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with provision for controlling spectral properties, e.g. colour, or intens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본체; 및 본체에 구비된 공기 토출부;를 포함하고, 공기 토출부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는 발광부 및 상기 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 토출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본체; 및 본체에 구비된 공기 토출부;를 포함하고, 공기 토출부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는 발광부 및 상기 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 토출구를 포함하고, 운전상태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발광부의 설정을 가변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N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실내의 공기를 조화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공기 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온도, 습도 또는 공기청정도 등을 변화시킨 후, 그 공기를 공기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토출하여, 실내를 쾌적한 환경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내부에 냉매와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기로 송풍시킨 후 외부로 토출하는 송풍기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의 형상이나 개구 방향이나 개수 등에 따라 실내에 다양한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최근에는 안전성과 고급화를 위해 공기흡입구와 공기 토출구를 최대한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으면서 최대한 넓은 면적으로 공기를 토출하게 하는 추세이다.
공기조화기는 실내에 있는 이용자에게 공기를 조화하여 쾌적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디자인 및 조명을 이용하여 심적인 쾌적함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운전상태 및 사용자의 선택을 고려한 조명의 제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육체적 쾌적함 및 심적인 쾌적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본체; 및 본체에 구비된 공기 토출부;를 포함하고, 공기 토출부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는 발광부 및 상기 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 토출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본체; 및 본체에 구비된 공기 토출부;를 포함하고, 공기 토출부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는 발광부 및 상기 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 토출구를 포함하고, 운전상태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발광부의 설정을 가변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공기 토출구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발광부를 형성하여 조화된 공기가 토출되는 영역을 확인하는 것이 용이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사용자가 선택한 색상군에 따라 빛을 조절하여 사용자에게 심적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운전상태의 변화에 따라 발광부가 빛의 색상을 변화시켜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평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발광부를 온(on)할 때보다 발광부를 오프(off)할 때 빛의 강도를 더 빨리 감소시켜 사용자에게 심적인 쾌적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빛의 색상을 변화시킬 때 빛의 강도는 일정하게 유지하여 사용자의 시각적 피로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운전상태에 따라 빛의 색상을 달리하여 사용자가 운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운전상태와는 독립적으로 조명으로 활용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공기 수용부와 발광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발광부의 광원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종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4 는 도 1 에 도시된 일 실시예인 공기조화기의 공기 토출부의 종단면도,
도 5 는 도 4 에 도시된 일 실시예인 공기조화기의 공기 토출부의 사시도,
도 6 은 복수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공기 토출부의 복수의 형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발광부가 발광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블록도,
도 10 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1 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발광부가 생성하는 빛의 강도를 도시한 그래프,
도 12 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발광부가 생성하는 빛의 강도 및 색상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도 13 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발광부가 생성하는 빛의 강도를 도시한 그래프,
도 14 내지 도 17 은 복수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동작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 실시예의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는 공기 흡입구(2)가 형성된 본체(4)와; 본체(4) 내부에 설치된 열교환기(6)와; 본체(4) 상부에 설치되고 열교환기(6)를 통과한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부(8)와; 공기 흡입구(2)로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기(6)를 통과시킨 후 공기 토출부(8)로 송풍시키는 송풍유닛(10)을 포함한다. 공기 토출부(8)는 내측에 공간(G)이 형성된다. 공기 토출부(8)는 공간(G)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 토출구(L)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4) 외부의 공기는 공기 흡입구(2)를 통해 본체(4)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공기 흡입구(2)는 본체(4)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본체(4) 외부의 공기는 본체(4)의 후방 위치에서 공기 흡입구(2)를 통과하여 본체(4)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본체(4)는 본체(4) 내부의 공기가 공기 토출구(L)와 별도로 토출될 수 있는 측방 공기 토출구(12)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 흡입구(2)로 흡입된 공기는 일부가 본체(4)의 내부에서 공기 토출부(8)로 유동된 후 공기 토출부(8)의 공간(G)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공기 흡입구(2)로 흡입된 공기는 일부가 본체(4)의 내부에서 측방 공기 토출구(12)를 통해 본체(4)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본체(4)는 공기 흡입구(2)가 형성되고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흡입 패널(13)과, 흡입 패널(13)의 전방에 배치되고 측방 공기 토출구(12)가 형성된 토출 패널(14)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 패널(13)과 토출 패널(14)은 상면이 개방될 수 있다. 측방 공기 토출구(12)는 토출 패널(14)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4)는 흡입 패널(13)과 토출 패널(14)이 올려지는 베이스(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베이스(24)의 후방부 상측에 흡입 패널(13)이 설치될 수 있고, 베이스(24)의 전방부 상측에 토출 패널(14)이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24)는 전면이 개방될 수 있다.
열교환기(6)는 공기 흡입구(2)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6)는 흡입 패널(13)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공기 토출부(8)는 흡입 패널(13)의 상측과 토출 패널(14)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 토출부(8)는 저면에 송풍유닛(10)에서 상측으로 송풍된 공기가 공기 토출부(8)로 유입되는 개구부(30)가 형성될 수 있다. 공간(G)은 공기 토출부(8)의 전방으로 개구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공간(G)은 공기 토출부(8)의 전후방이 관통하는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공기 토출부(8)는 내측에 공간(G)이 형성된 발광부(32)와, 공간(G)으로 선단이 삽입되고 공기 토출구(L)를 형성하는 이너 바디(34)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토출부(8)는 본체(4)의 상측에 설치되고 발광부(32)와 이너 바디(34)를 수용하는 아우터 케이스(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너 바디(34)는 선단이 발광부(32)의 공간(G)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너 바디(34)는 공간(G) 방향으로 공기 토출구(L)를 형성할 수 있으나, 결합관계는 다양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아우터 케이스(38)는 공기 토출부(8)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38)는 이너 바디(34)와 발광부(32)를 보호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38)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 형성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아우터 케이스(38)는 본체(4)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38)는 저면에 개구부(30)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4)에서 송풍된 공기는 아우터 케이스(38)의 저면에 형성된 개구부(30)를 통해 아우터 케이스(38)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38)는 흡입 패널(13)의 상측과 토출 패널(14)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개구부(30)는 흡입 패널(13)과 토출 패널(14)의 사이와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38)는 리어 아우터 케이스(39)와, 리어 아우터 케이스(39)의 전방에 배치된 프론트 아우터 케이스(40)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 아우터 케이스(39)는 아우터 케이스(38)의 후방부를 구성할 수 있다. 리어 아우터 케이스(39)는 흡입 패널(13)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리어 아우터 케이스(39)는 흡입 패널(13)의 상부에 올려지고 흡입 패널(13)의 상부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 있다.
프론트 아우터 케이스(40)는 아우터 케이스(38)의 전방부를 구성할 수 있다. 프론트 아우터 케이스(40)는 토출 패널(14)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프론트 아우터 케이스(40)는 토출 패널(14)의 상부에 올려지고 토출 패널(14)의 상부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 있다.
송풍유닛(10)은 열교환기(6)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송풍유닛(10)은 후방의 공기를 흡입하여 둘레 방향으로 송풍시키는 원심식 송풍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송풍유닛(10)은 토출 패널(14)에 설치되어 공기를 측방 공기 토출구(12)와 공기 토출부(8)로 송풍할 수 있다.
송풍유닛(10)은 공기 흡입구(2)로 공기를 흡입하여 측방 공기 토출구(12)와 공기 토출부(8)로 송풍시키는 상부 송풍유닛(41)과; 공기 흡입구(2)로 공기를 흡입하여 측방 공기 토출구(12)으로 송풍시키는 하부 송풍유닛(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송풍유닛(41)은 열교환유닛(40)의 상부 전방에 위치되게 토출 패널(14)에 설치된 상부 모터(43)와, 상부 모터(43)에 회전축이 연결되고 후방의 공기를 흡입하여 둘레 방향으로 송풍시키는 상부 터보 팬(44)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송풍유닛(42)은 열교환기(6)의 하부 전방에 위치되게 토출 패널(20)에 설치된 하부 모터(45)와, 하부 모터(45)에 회전축이 연결되고 후방의 공기를 흡입하여 둘레 방향으로 송풍시키는 하부 터보 팬(46)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4)의 내부에는 상부 송풍유닛(41)의 유로와 하부 송풍유닛(42)의 유로를 구획하고 공기를 안내하는 구획 가이드(47)가 배치될 수 있다. 구획 가이드(47)는 그 상면이 상부 송풍유닛(41)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를 안내하고, 그 하면이 하부 송풍유닛(42)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를 안내한다.
송풍유닛(10)은 열교환기(6)를 통과한 공기를 송풍유닛(10)으로 안내하는 오리피스(48)를 포함할 수 있다. 오리피스(48)는 열교환기(6)의 상부를 통과한 공기를 상부 송풍유닛(41)으로 안내하는 상부 가이드 홀(49)이 형성될 수 있다. 오리피스(48)는 열교환기(6)의 하부를 통과한 공기를 하부 송풍유닛(42)으로 안내하는 하부 가이드 홀(50)이 형성될 수 있다.
송풍유닛(10)은 공기 토출부(8)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송풍유닛(10)가 송풍한 공기는 공기 토출부(8)의 공기 수용부(P)에 수용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측방 공기 토출구(12)와 연통되는 공기 토출홀(미도시)이 형성되고 토출 패널(14)의 측면과 공기 토출부(8)의 전방부 측면을 함께 덮는 측면 커버(60)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 커버(60)는 토출 패널(14)의 측면과 공기 토출부(8)의 전방부 측면 사이의 경계를 커버할 수 있다. 측면 커버(6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24)의 전방부 측면을 토출 패널(14)의 측면 및 공기 토출부(8)의 전방부 측면과 함께 커버할 수 있다.
토출 패널(14)과 측면 커버(60) 중 하나에는 풍향조절부재(67)와, 풍향조절 모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풍향조절부재(67)는 측방 공기 토출구(12)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풍향조절부재(67)는 측방 공기 토출구(12)를 여닫을 수 있다. 풍향조절 모터는 풍향조절부재(67)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고, 측방 공기 토출구(12)를 여닫을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기 토출구(L) 보다 큰 개구홀(68)이 형성되고 토출 패널(14)의 전면과 공기 토출부(8)의 전면을 함께 덮는 프론트 커버(7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70)는 토출 패널(14)의 전면과 공기 토출부(8)의 전면 사이의 경계를 커버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70)는 전방의 외관을 형성하고, 개구홀이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7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24)의 전면을 토출 패널(14)의 전면 및 공기 토출부(8)의 전면과 함께 커버할 수 있다. 개구홀(68)은 발광부(32)의 선단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70)는 공기 토출부(8) 중 발광부(32)의 선단 이외를 덮게 설치될 수 있다.
도 4 는 도 1에 도시된 공기 토출부의 종단면도이고, 도 5 는 도 4 에 도시된 공기 토출부의 사시도이고, 도 6 은 복수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공기 토출부의 복수의 형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7 은 일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발광부가 발광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 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공기 토출부(8)는 상기 본체의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L)와, 공기 토출구(L)의 형상에 대응되는 발광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토출부(8)는 본체(4)에서 상측으로 송풍된 공기가 수용되는 공기 수용부(P)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 토출부(8)는 공기 토출구(L)가 공기 수용부(P)와 공간(G)을 연통시키게 형성될 수 있다. 공기 토출부(8)는 본체(4)에서 상측으로 송풍된 공기를 공기 토출부(8)의 전방 방향으로 토출 안내하는 토출 통로를 갖을 수 있다. 토출 통로는 공기 수용부(P)와 공기 토출구(L)와 공간(G)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발광부(32)는 공기 토출구(L)의 전방에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발광부(32)는 일 영역이 원주 방향으로 곡률을 형성하고, 전후 방향으로 직선일 수 있다. 발광부(32)는 외부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 토출구(L)를 형성할 수 있다. 발광부(32)는 이너 바디(34)와 함께 공기 토출구(L)를 형성할 수 있다.
발광부(32)는 그 내경(D1)이 이너 바디(34)의 선단 직경(D2)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발광부(32)의 내경(D1)이 이너 바디(34)의 선단 직경(D2) 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 토출구(L)를 통과한 공기는 발광부(32)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G)를 통과할 수 있다.
공기 토출구(L)는 발광부(32)의 둘레에서 발광부(32) 내부에 형성된 공간(G)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공기 토출구(L)에서 토출된 공기는 공간(G)을 통과하여 공기조화기의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발광부(32)는 선단의 일 영역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개구 면적이 증대될 수 있다. 발광부(32)는 선단에서 곡률을 형성할 수 있다. 발광부(32)는 선단의 일 영역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크고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발광부(32)는 선단이 도 1 에 도시된 프론트 커버(70)의 개구홀(68)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발광부(32)는 내부 공간(V)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04)는 발광부(32)의 외관을 형성하며, 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발광부(32)는 가이드부(104)를 향해 광을 조사하는 광원(112)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112)의 가이드부(104)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V)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부(32)는 공기 토출구(L)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발광부(32)는 공기 토출구(L)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태의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발광부(32)는 공기 토출구(L)의 둘레에 위치하며, 공기 토출구(L)의 둘레에서 발광할 수 있다.
도 6 은 복수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공기 토출부의 복수의 형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 을 참조하면, 공기 토출부(8)의 형태는 복수개의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토출부(8)는 발광부(32)의 형태가 다양할 수 있다. 도 6 에 도시된 내용에 근거하여 설명하면, 일 실시예의 공기조화기(a)의 공기 토출부(8)는 발광부(32)의 형태가 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사각형의 형태는 정사각형 뿐만 아니라 직사각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 토출구(L)의 형태는 발광부(32)의 형태에 대응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정면에서 바라봤을 때, 발광부(32)의 형태가 사각형 형태인 경우, 공기 토출구(L)의 형태는 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공기 토출구(L)는 발광부(32)가 형성하는 공간(G)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b)는 공기 토출부(8)의 발광부(32)의 형태가 장공형태일 수 있다. 상기 장공형태란 양측부분은 상하방향으로 직선형태로 형성되고, 위아래부분은 곡률을 가지고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형태를 말한다. 상기 타원 형태는 그 곡률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그 크기에도 한정하지 아니한다.
공기 토출구(L)의 형태는 타원형인 발광부(32)의 형태에 대응하여, 장공형태일 수 있다. 공기 토출구(L)는 발광부(32)의 형태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발광부(32)가 형성하는 공간(G)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c)는 공기 토출부(8)의 발광부(32)의 형태가 원형일 수 있다. 공기 토출구(L)는 발광부(32)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토출구(L)는 발광부(32)의 외측에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도 7 을 참조하면, 발광부(32)는 링형으로 형성된 공기 토출구(L)의 형상에 대응하여 링형으로 빛을 발광하고 있다. 발광부(32)는 공기 토출구(L)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상이 변화될 수 있으므로, 도 7 에 도시된 형태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발광부(32)는 폐곡선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발광부(32)는 공기 토출구(L)가 폐곡선형태로 형성된 경우, 그에 대응하도록 폐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발광부(32)는 공기 토출구(L)의 전방에 위치하여 폐곡선 형태의 빛을 발광할 수 있다.
발광부(32)는 빛을 발광하는 광원(112) 및 광원(112)에서 발생한 빛을 면광원으로 변화시키는 가이드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112)은 가이드부(104)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V)에 위치할 수 있다. 광원(112)는 가이드부(104)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광원(112)는 기판과, 기판에 설치된 엘이디(LED :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빛을 발광하는 다른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은 내부 공간(V)에 링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엘이디는 기판의 전면에 복수개가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104)는 광원(112)에서 나온 빛을 투과시키는 반투명재질 일 수 있다. 가이드부(104)는 광원(112)에서 나온 빛을 면광원으로 변환하여 발광면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부(104)는 굴곡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04)는 일 영역이 둔각(θ)을 갖도록 굴곡될 수 있다.
가이드부(104)는 공기 토출구(L)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부(140)는 이너 바디(34)와 함께 공기 토출구(L)를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부(140)의 후단과 이너 바디(34)의 선단은 공기 토출구(L)를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부(140)는 이너 바디(34)의 공기 토출구(L)와 연결되어 공기 토출구(L)를 연장할 수 있다.
가이드부(104)는 공기 토출구(L)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104)는 내부에 공기 토출구(L)에서 토출된 공기가 통과하는 공간(G)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부(104)는 공기 토출구(L)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04)는 발광부(32)에서 조사된 빛을 공기 토출구(L)에 대응하는 형태의 면광원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가이드부(104)는 공기 토출구(L)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104)는 공기 토출구(L)의 둘레에서 빛을 발광할 수 있다. 가이드부(104)는 공기 토출구(L)의 주변에 폐곡선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04)는 내부에 공기 토출구(L)에서 토출된 공기가 통과하는 공간(G)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104)는 폐곡선형태 또는 링(ring)형태로 형성될 수 있어, 내부에 공간(G)이 형성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발광부(32)에 대한 내용은 하나의 실시예일 수 있으며, 발광부(32)는 실시예에 따라서, 자체적으로 면광원으로 발광하는 가이드부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32)는 유기전계발광소자(OLED)를 포함하여, 공기 토출부(8)의 외관을 형성하는 일면이 발광하도록 할 수 있다.
발광부(32)는 아우터 케이스(38)의 전방부에 연결될 수 있고, 이너 바디(34)가 아우터 케이스(38)의 후방부에 연결될 수 있다. 발광부(32)는 프론트 아우터 케이스(40)에 연결됨과 아울러 프론트 아우터 케이스(40)에 수용될 수 있으나, 그 연결관계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이너 바디(34)는 리어 아우터 케이스(39)에 연결됨과 아울러 리어 아우터 케이스(39)에 수용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38)는 이너 바디(34)와 공기 수용부(P)를 형성할 수 있다. 공기 수용부(P)는 개구부(30)를 통해 아우터 케이스(38)로 흡입된 공기가 분산될 수 있는 분산 통로로 기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발광부(32)는 공기 수용부(P)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발광부(32)는 공기 수용부(P)와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발광부(32)는 후단이 고정부(80)의 원판부(84)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아우터 케이스(38)는 발광부(32)의 일부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고정부(80)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80)는 아우터 케이스(38) 전판에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고정부(80)는 아우터 케이스(38) 전판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원통부(82)와, 원통부(82) 후단에 형성된 원판부(84)를 포함할 수 있다. 원판부(84)는 원통부(82)의 후단에 직교하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80)는 발광부(32)와 공기 수용부(P)를 이격시킬 수 있다 고정부(80)는 발광부(32)와 공기 수용부(P)를 이격시켜 빛이 공기 수용부(P) 방향으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다.
발광부(32)는 아우터 케이스(38)에 형성된 고정부(80)에 삽입될 수 있다. 발광부(32)는 고정부(80)에 연결될 수 있다. 발광부(32)는 그 후단이 고정부(80)에 연결될 수 있다. 발광부(32)는 그 선단이 아우터 케이스(110)의 전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단, 실시예에 따라, 고정부(80)는 생략될 수 있으며, 발광부(32)는 일부분이 아우터 케이스(38)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에서 발광부(32)는 공기 수용부(P)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발광부(32)는 공기 수용부(P)의 일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발광부(32)는 공기 수용부(P)의 일측의 커버가 될 수 있다. 발광부(32)는 공기 수용부(P)와 일체로 형성된 경우, 광원(112)에서 발생된 열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용이해 질 수 있어, 발광부(32)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발광부(32)는 면광원을 형성할 수 있다. 발광부(32)는 공간(G)을 형성하는 면이 발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32)는 면광원으로 발광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OLED)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이너 바디(34)는 내측에 발광부(32)의 공간(G)과 전후 방향으로 연통되는 리어 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이너 바디(34)는 선단이 발광부(32)의 공간(G)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너 바디(34)는 후단이 아우터 케이스(38)에 연결될 수 있다.
이너 바디(34)는 공기 토출구(L)를 형성하고 공기 수용부(P)의 공기를 공기 토출구(L)로 안내할 수 있다. 이너 바디(34)는 실시예에 따라 폐곡선형 또는 링형의 공기 토출구(L)를 형성할 수 있다. 이너 바디(34)는 공기 토출구의 전방에 발광부(32)가 위치할 수 있다.
이너 바디(34)는 선단이 발광부(32)의 공간(G)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너 바디(34)는 뒷부분이 리어 아우터 케이스(39)와 공기 수용부(P)를 형성할 수 있다.
이너 바디(34)는 리어 아우터 케이스(39)에 체결될 수 있다. 이너 바디(34)는 후단이 리어 아우터 케이스(39)에 연결될 수 있다. 이너 바디(34)는 내측에 리어 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이너 바디(34)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너 바디(34)는 외부에서 볼 때 리어 공간(S)을 통해 내주면이 보일 수 있다.
이하, 아우터 케이스(38)에 대해서 설명한다.
아우터 케이스(38)는 리어 아우터 케이스(39)에 이너 바디(34)를 수용하는 리어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프론트 아우터 케이스(40)에 발광부(32)를 수용하는 프론트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리어 아우터 케이스(39)는 전면이 개방될 수 있다. 리어 아우터 케이스(39)는 저면에 개구부(30)가 형성될 수 있다. 리어 아우터 케이스(39)는 이너 바디(34)와의 사이에 공기 수용부(P)를 형성할 수 있다. 리어 아우터 케이스(39)는 후방에 리어 개구홀(145)이 형성될 수 있다. 리어 개구홀(145)은 전후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리어 개구홀(145)은 이너 바디(34)의 리어 공간(S)과 전후 방향으로 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단,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리어 아우터 케이스(39)는 후방이 막혀있을 수도 있어, 한정하지 아니한다.
프론트 아우터 케이스(40)는 배면이 개방될 수 있다. 프론트 아우터 케이스(40)는 저면에 개구부(30)가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아우터 케이스(40)는 는 고정부(80)와의 사이에 공기 수용부(P)를 형성할 수 있다. 고정부(80)는 발광부(32)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발광부(32)는 고정부(8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송풍유닛(10)의 구동시, 실내의 공기는 공기 흡입구(2)의 후방에서 공기 흡입구(2)로 흡인되고, 공기 흡입구(2)를 통과해 본체(4) 내부로 흡입된다. 본체(4)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열교환기(6)를 전후 방향으로 통과하면서 냉매와 열교환되고, 이후 송풍유닛(10)으로 흡인된다. 송풍유닛(10)으로 흡인된 공기는 송풍유닛(10)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송풍된다. 송풍유닛(10)의 둘레 방향으로 송풍된 공기 중 일부는 흡입 패널(13)과 토출 패널(14)의 사이 상측으로 송풍되고, 개구부(30)를 통해 공기 토출부(8)로 내부로 흡입된다. 공기 토출부(8)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아우터 케이스(38)와 이너 바디(34) 사이에서 넓게 퍼지면서 공기 수용부(P)로 분산되고, 이후 공기 토출구(L)를 통과해 공간(G)으로 토출된다. 공간(G)으로 토출된 공기는 공간(G)을 통과하여 공간(G)의 전방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송풍유닛(10)의 둘레 방향으로 송풍된 공기 중 일부는 송풍유닛(10)의 옆으로 송풍되어 측방 공기 토출구(14)로 유동되고 측방 공기 토출구(14)를 통과하여 본체(4)의 외부로 토출된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가 발광하는 빛의 색상의 변화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 을 참조하면, 발광부(32)는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광할 수 있다.
발광부(32)는 광원(112)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112)은 엘이디(LED :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전기에너지를 빛에너지로 변환하는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엘이디는 복수개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엘이디는 PWM Duty 비를 조절하여 백색빛을 낼 수 있도록, 빨간색, 녹색, 파란색의 빛을 발생시키는 복수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발광부(32)는 복수개의 엘이디가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색상의 빛을 조합하여 여러가지 색상의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발광부(32)는 운전상태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발광부(32) 설정이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부(32)의 설정은 빛의 색상 또는 강도를 가변할 수 있다. 발광부(32)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색상의 빛을 생성할 수 있다. 발광부(32)는 운전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빛의 색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도 8 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경우, 발광부(32)는 입력에 따라서 특정한 색상의 빛을 발광할 수 있다(a). 발광부(32)는 복수의 색상의 빛을 일정 주기에 따라 교대로 변환하며 발광할 수 있다. 발광부(32)는 특정한 색상의 빛을 발광하고 일정한 시간이 도과하면, 빛의 색상을 가변할 수 있다(b). 발광부(32)는 운전상태가 변화한 경우, 변화된 운전상태에 대응하도록 빛의 색상을 변환할 수 있다(c).
발광부(32)는 복수의 모드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모드는 입력에 따라서 서로 교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32)는 조명모드 및 운전상태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32)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a)에서와 같이 특정한 색상의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b)에서, 발광부(32)가 변환하는 빛의 복수의 색상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색상군일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한 색상군은 복수일 수 있으며, 그 색상의 개수는 가변될 수 있다. 이하에서 이를 '조명모드'로 설명한다.
발광부(33)는 운전상태가 변화되는 경우, 상기 (c)와 같이 변화된 운전상태에 해당하는 색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발광부(32)는 운전상태에 대응하는 색상의 빛을 발광하고, 일정한 시간이 도과된 경우, 기존에 발광하던 색상으로 빛의 색상을 역변환할 수 있다. 이하에서 이를 '운전상태모드'로 설명한다.
운전상태에 해당하는 색상은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색상군과 다를 수 있다. 운전상태에 해당하는 색상은 상기 색상군과 차별화되어, 운전상태 표시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발광부(32)는 입력에 따라 빛의 패턴이 가변될 수 있다. 상기 빛의 패턴은 복수의 색상이 가변되는 것 또는 빛의 강도가 가변하는 것 일 수 있다. 발광부(32)는 빛의 색상이 가변되는 조명모드 및 빛의 색상으로 운전상태를 나타내는 운전상태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발광부(32)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조명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발광부(32)는 조명모드를 수행하는 경우, 주기적으로 빛의 색상이 변화하도록 할 수 있다. 발광부(32)는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도록 빛의 색상 또는 변화하는 빛의 색상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32)는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엘이디의 빛을 조절하여 특정한 색상의 빛을 발광할 수 있다.
발광부(32)가 조명모드를 수행하는 경우의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10 에 대한 설명 부분에서 언급하도록 한다.
발광부(32)는 공기조화기의 전원이 켜지거나, 운전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운전상태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발광부(32)는 운전상태모드를 수행하는 경우, 공기조화기의 운전상태에 따라 다른 색상의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운전상태는 실내공기를 조화하는 복수의 방법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운전상태는 냉방, 제습, 공기청정 및 풍향조절 중에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운전상태 중, 냉방은 파란색, 공기청정은 옥색, 제습은 보라색, 풍향조절은 녹색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발광부(32)는 운전상태가 냉방인 경우 파란색, 운전상태가 제습인 경우 보라색, 운전상태가 공기청정인 경우 옥색, 운전상태가 풍향조절인 경우 녹색의 색상의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운전상태에 따른 빛의 색상은 설정에 따라서 가변적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가변될 수도 있다.
발광부(32)는 위에서 설명한 운전상태 이외의 다른 기능이 동작중인 경우에도 그에 대응하는 색상의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32)는, 풍속 및 풍향을 다양하게 변화시키는 기능이 동작 중인 경우, 그에 대응하여 초록색 계통의 빛을 발생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발광부(32)는 운전상태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운전상태에 해당하는 색상의 빛의 강도를 목표치까지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발광부(32)는 운전상태모드가 종료되는 경우, 빛의 강도를 목표치까지 점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1 의 그래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 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블록도이고, 도 10 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 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입력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80)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상태 또는 온도변화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조작부(182)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80)는 발광부(32)의 조명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부(185)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80)는 제어부(160)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입력부(180)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부(160)에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공기조화기의 각종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상부 송풍유닛(41) 및 하부 송풍유닛(42)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송풍유닛(1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풍향조절부재(67)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상부 송풍유닛(41), 하부 송풍유닛(42) 또는 회전기구(188)를 제어하는 본체 제어부(148)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제어부(148)는 입력부(18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대응하여 상부 송풍유닛(41) 및 하부 송풍유닛(42)의 속도 및 동작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송풍유닛(41) 및 하부 송풍유닛(42)은 운전모드 또는 실내온도에 따라 회전속도 또는 동작여부가 결정될 수 있으며, 상부 송풍유닛(41) 및 하부 송풍유닛(42)은 상호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운전상태 변경시, 발광부(32)가 운전상태모드에 진입하여, 운전상태에 해당하는 색상의 빛을 일정한 시간 동안 발생시키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디스플레이 제어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부(143)는 디스플레이부(189)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부(143)는 발광부(32)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부(143)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상태가 변화하거나, 조명모드가 선택된 경우, 그에 대응하여 발광부(32)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디스플레이부(189)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9)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상태, 목표온도 또는 실내온도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9)는 전면 커버(70)의 일 영역에 위치할 수 있으나, 위치관계에는 한정하지 않고 여러가지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부(143)는 운전상태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발광부(32)의 설정을 가변시킬 수 있다. 상기 설정은 빛의 색상 또는 강도를 가변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부(143)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또는 사용자의 조명모드 입력 등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광부(32)에 송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부(143)는 운전상태모드 또는 조명모드에서 발광부(32)가 발생시키는 빛의 색상 및 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부(143)는 발광부(32)가 운전상태모드와 조명모드를 교차 수행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부(143)는 조명모드에 따라 발광부(32)의 설정을 가변시킬 수 있다. 발광부(32)의 제어에 대해서는 밑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 토출부(8)가 본체(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공기 토출부(8)는 본체(4)에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거나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기 토출부(8)를 회전시키는 회전기구(188)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기구(188)는 모터(미도시)와, 모터에 설치된 피니언 및 피니언이 치합되는 랙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는 본체(4)에 설치될 수 있고, 피니언은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될 수 있으며, 랙은 공기 토출부(8)에 설치될 수 있다. 랙은 공기 토출부(8)에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모터의 구동시, 피니언은 회전되고, 랙은 피니언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본체 제어부(148)는 공기 토출부(8)를 회전제어할 수 있다. 본체 제어부(148)는 입력부(180)에 소정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여 공기 토출부(8)를 회전하도록 하여, 광원부(32)가 좌우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1 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발광부(32)가 생성하는 빛의 강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1 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이 빛을 내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발광부(32)가 운전상태에 따라 빛의 패턴을 가변할 수 있다. 상기 빛의 패턴은 복수의 색상이 가변되는 것 또는 빛의 강도를 가변하는 것 일 수 있다.
발광부(32)는 빛의 색상이 변화하도록 발광하여 운전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운전상태는 실내공기를 조화하는 복수의 방법일 수 있다. 발광부(32)는 전원이 온(on) 되거나, 운전 중 운전상태가 변환되는 경우, 빛의 패턴을 가변하여 그를 표시할 수 있다.
발광부(32)는 전원이 온 되거나, 운전 중 운전상태가 변화되는 경우, 빛의 강도를 점진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이를 도 9 에서 증가구간(A)으로 설명한다.
발광부(32)는 운전상태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빛의 강도가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증가구간(A)이 시작될 수 있다. 발광부(32)는 증가구간(A)에서 운전상태에 해당하는 색상의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발광부(32)는 증가구간(A)에서 빛의 강도를 목표치까지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목표치는 일정한 값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설정한 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발광부(32)는 증가구간(A)에서 빛의 강도를 점진적으로 상승시켜 사용자의 눈의 피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발광부(32)는 발생시키는 빛의 강도가 목표치에 도달한 경우, 유지구간(B)에 진입할 수 있다. 발광부(32)는 유지구간(B)에서 운전상태에 해당하는 색상의 빛의 강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발광부(32)는 운전상태에 해당하는 색상의 빛을 발생시키고 일정시간이 도과하면 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32)는 유지구간(B)에 진입한 이후 일정시간이 도과한 경우, 빛의 강도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감소구간(C)으로 설명한다. 발광부(32)는 감소구간(C)에서 운전상태에 대응하는 색상의 빛의 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발광부(32)는 증가구간(A)이 감소구간(C)보다 길 수 있다. 발광부(32)는 감소구간(C)에서 빛의 강도의 감소되는 기울기가 증가구간(A)에서 빛의 강도가 증가하는 기울기보다 급격하도록 할 수 있다.
발광부(32)는 유지구간(B)이 증가구간(A) 또는 감소구간(C)보다 길도록 할 수 있다. 발광부(32)는 운전상태의 변화를 사용자가 확실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32)는 증가구간(A)이 3초이고 감소구간(C)은 증가구간(A)의 절반인 1.5초일 수 있고, 유지구간(B)은 10.5초 일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발광부(32)가 운전상태모드를 수행하는 중 공기조화기의 운전상태가 변화되는 경우, 발광부(32)는 변화되는 운전상태에 대응하도록 빛의 색상을 변환할 수 있다.
발광부(32)는 유지구간(B) 중 공기조화기의 운전상태가 변환된 경우, 운전상태 변환시점에서 빛의 색상을 변환시킬 수 있다. 발광부(32)는 빛의 색상을 점진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32)는 빛의 색상을 시간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발광부(32)는 변화된 운전상태에 대응하는 색상으로 변화시킨 시점으로부터 일정한 시간이 도과되면, 감속구간에 진입하여 빛의 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발광부(32)는 빛의 강도가 증가하는 구간에서 운전상태가 변환하는 경우, 빛의 색상이 변화된 운전상태에 대응하도록 변화되는 시점과, 빛의 강도가 목표값에 도달한 시점 중 늦은 시점으로부터 일정한 시간이 도과되면, 감속구간에 진입하여 빛의 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2 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발광부가 생성하는 빛의 강도 및 색상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발광부(32)는 조명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발광부(32)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조명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발광부(32)는 조명모드를 수행하는 경우, 공기조화기의 운전상태와는 무관하게 사용자가 입력한 색상군에 따라 빛의 색상을 조절할 수 있다. 발광부(32)는 사용자가 선택한 색상군에 대응하도록 빛의 색상을 일정주기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다. 발광부(32)는 빛의 색상을 점진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32)는 빛의 색상을 시간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색상군에는 복수의 색상의 빛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색상군은 복수개일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개의 색상군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제1 색상군의 경우, 푸른색 계열의 두가지 색상에 대응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푸른색 계열의 두가지 색상은 파란색 및 하늘색일 수 있다.
제2 색상군은 오렌지 계열의 두가지 색상에 대응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오렌지 계열의 두가지 색상은 노란색과, 오렌지색일 수 있다.
제3 색상군은 서로 다른 여섯가지의 색상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색상군은 보라색, 파란색, 녹색, 연두색, 노란색, 오렌지색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32)는 각각의 색상군에 대응하여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발광부(32)는 복수의 색상의 빛을 일정주기에 따라 교대로 변환하며 발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제1 색상군을 선택한 경우, 발광부(32)는 파란색과 하늘색의 빛을 번갈아 가며 발광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제3 색상군 을 선택한 경우, 발광부(32)는 보라색, 파란색, 녹색, 연두색, 노란색, 오렌지색의 빛을 번갈아 가면서 발생시킬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세가지 색상군에 대응한 빛의 색상들은 복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빛의 색상 및 개수는 다양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도 12 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발광부(32)는 사용자가 조명모드를 입력한 경우 증가구간(D)에 진입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사용자가 선택한 조명모드의 색상군은 상기 제1 색상군 일 수 있다. 따라서, 발광부(32)가 방출하는 빛은 파란색 및 하늘색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그 색상 및 색상의 숫자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증가구간(D)에서 발광부(32)는 빛의 강도를 점진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발광부(32)는 증가구간(D)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색상군에 해당하는 색상의 빛 중에 하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한 색상군이 상기 제1 색상군 인 경우, 발광부(32)가 발생시키는 빛은 파란색 또는 하늘색일 수 있으나, 여기서는 파란색을 발생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발광부(32)는 증가구간(D)에서 빛의 강도를 목표치까지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는 증가구간(D)에서 빛의 강도를 목표치까지 시간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목표치는 일정한 값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설정한 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9 에서는 목표치를 퍼센트(%)를 단위로 설명하고 있다. 발광부(32)는 증가구간(D)에서 빛의 강도를 점진적으로 상승시켜 사용자의 눈의 피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발광부(32)는 발생시키는 빛의 강도가 목표치에 도달한 경우, 제1 유지구간(E)에 진입할 수 있다. 발광부(32)는 제1 유지구간(E)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색상군에 해당하는 색상의 빛의 강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색상군을 선택한 경우, 발광부(32)는 제1 유지구간(E)에서 파란색 빛을 낼 수 있다.
발광부(32)는 일정주기에 따라 빛의 색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발광부(32)는 제1 유지구간(E)에 진입한 이후 기 설정된 시간이 도과한 경우, 색상변화구간(F)에 진입할 수 있다. 발광부(32)는 색상변화구간(F)에서 빛의 색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발광부(32)는 색상변화구간(F)에서 빛의 강도는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발광부(32)는 색상변화구간 내에서 빛의 색상을 변화 전 색상에서 변화 후 색상까지 점진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색상군을 선택한 경우, 발광부(32)는 파란색에서 하늘색으로 빛의 파장을 시간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발광부(32)는 빨강, 파랑, 초록의 광원들의 세기를 조절하여 빛의 색상을 가변시킬 수 있다.
발광부(32)는 파란색에서 하늘색으로 빛의 색상을 변화시키면, 제2 유지구간(G)에 진입할 수 있다. 제2 유지구간(G)에서 발광부(32)는 빛의 강도 및 색상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발광부(32)는 일정 주기에 따라 빛의 색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발광부(32)는 제2 유지 구간(G)에서 일정한 시간이 도과한 경우 다시 색상변화구간(I)으로 들어갈 수 있다. 발광부(32)는 발생시키는 빛의 색상을 점진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발광부(32)는 빛의 색상을 다시 파란색으로 변환한 경우, 재차 제1 유지구간(E)으로 들어갈 수 있다.
발광부(32)는 유지구간 또는 색상 변화 구간에서 공기조화기의 전원이 꺼지거나 조명모드가 오프(off)되는 경우 감소구간(I)에 진입할 수 있다.
발광부(32)는 감소구간(I)에서 빛의 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발광부(32)는 감소구간(I)에서 빛의 색상은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감소구간(I)에서 발광부(32)가 발생시키는 빛의 색상은 공기조화기의 전원 또는 조명모드가 오프되는 시점에 발광부가 발광부(32)는 감소구간(I)에서 빛의 강도를 목표치까지 점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감소구간(I)에서 빛의 강도의 목표치는 0% 일 수 있다.
발광부(32)가 조명모드로 돌입하는 경우 빛의 강도를 목표치까지 올리는 시간보다, 발광부(32)가 조명모드를 오프하는 경우 빛의 강도를 목표치까지 감소시키는 시간이 더 짧을 수 있다. 발광부(32)는 증가구간(D)이 감소구간(I)보다 길 수 있다. 발광부(32)는 감소구간(I)에서 빛의 강도의 감소되는 기울기가 증가구간(A)에서 빛의 강도가 증가하는 기울기보다 급격하도록 할 수 있다.
발광부(32)는 제1 유지구간 및 제2 유지구간(E, G)이 증가구간(D) 또는 감소구간(I)보다 길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32)는 증가구간(D)이 3초이고 감소구간(I)은 증가구간(D)의 절반인 1.5초일 수 있고, 제1 유지구간 및 제2 유지구간(E, G)은 8초 일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도 12 에서 복수의 색상변화구간(F, H)은 증가구간(D)과 같은 시간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발광부(32)는 조명모드를 수행하는 도중 공기조화기의 운전상태에 변화가 있는 경우, 운전상태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발광부(32)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상태가 변화된 시점에서부터 빛의 색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발광부(32)는 운전상태의 변화에 따라 빛의 색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발광부(32)는 변화된 운전상태에 대응하도록 빛의 색상을 낸 시점부터 일정시간 동안 빛의 색상 및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발광부(32)는 운전상태에 대응하도록 빛의 색상 및 강도를 유지시키고, 일정한 시간이 도과하는 경우 빛의 색상을 조명모드에 대응하도록 변화시킬 수 있다.
도 12 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발광부가 생성하는 빛의 강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3 를 참조하면, 발광부(32)는 공기조화기의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 이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발광부(32)는 조명모드가 실행되지 않았거나, 조명모드가 종료된 이후에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 전원오프에 대응하는 색상의 빛의 강도를 목표치까지 점진적으로 증가시켰다가, 상기 목표치에 도달하면 점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32)는 공기조화기의 전원이 오프된 경우 백색 색상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발광부(32)는 공기조화기의 전원이 오프된 경우 빛의 강도값을 증가시키는 구간(J)과 감소시키는 구간(K)의 길이가 동일할 수 있다. 발광부(32)는 공기조화기의 전원이 오프된 경우 빛의 강도값의 증가기울기와 감소기울기가 동일할 수 있다. 단,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다양한 실시예를 포괄할 수 있다.
발광부(32)가 오프된 이후에 공기 토출부(8)가 초기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도 11 내지 13 의 그래프는 발광부(32)가 발광하는 형태에 대한 복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복수의 실시예는 각각이 독립적일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7 는 복수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동작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4 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은 조명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동작방법은 조명모드를 온(on)하는 단계(S310), 발광부를 온(on)하는 단계(S320), 빛의 색상을 변환하는 단계(S330) 및 발광부를 오프(off)하는 단계(S34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명모드를 온(on)시킬 수 있다(S310). 사용자는 조명모드를 온(on)시키고 원하는 색상군을 선택할 수 있다.
조명모드가 온(on) 된 경우, 발광부가 온(on)될 수 있다(S320). 발광부가 온 되는 경우, 발광부는 빛의 강도를 목표치까지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발광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색상군에 대응하는 색상의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발광부는 목표치까지 빛의 강도를 상승시킨 시점으로부터 일정한 시간이 도과하면 빛의 색상을 변환할 수 있다(S330). 사용자가 선택한 색상군은 그에 해당하는 복수의 색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는 일정 주기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도록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일정 주기는 기 설정된 것일 수 있다. 발광부는 빛의 색상을 변환하는 구간에서 빛의 강도는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가 조명모드를 오프하거나 전원을 오프한 경우, 발광부는 오프될 수 있다(S340). 발광부는 조명모드가 오프되거나 전원이 오프된 경우, 빛의 강도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는 빛의 강도를 선형적으로 감소시켜 꺼질 수 있다. 발광부는 조명모드가 온 되어서 빛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증가기울기보다 조명모드가 오프되어서 빛의 강도를 감소시키는 감소기울기가 더 급격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 은 운전상태모드를 수행하는 공기조화기 동작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15 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은 운전상태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운전상태모드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상태를 발광부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공기조화기의 전원을 켤 수 있다(S410). 사용자가 공기조화기의 전원을 켜는 경우, 공기조화기는 초기설정된 운전상태로 돌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는 전원이 온 된 경우, 공기조화기는 냉방모드를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설정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전원이 온 된 경우(S410), 발광부는 온(on) 될 수 있다(S420). 발광부가 온 된 경우 빛의 강도를 목표치까지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발광부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상태에 대응하는 색상의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빛의 강도가 목표치에 도달한 경우, 발광부는 빛의 강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빛의 강도가 목표치에 도달한 이후 일정한 시간이 도과한 경우 발광부는 빛의 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S430). 예를 들어, 발광부는 빛의 강도를 선형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공기조화기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S440). 사용자에 의해서 공기조화기의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된 경우(S440), 그에 대응하여 발광부는 특정한 색상의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S450). 예를 들어, 발광부는 전원 오프에 대응하여 백색 색상의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발광부는 특정한 색상의 빛의 강도를 목표치까지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발광부는 빛의 강도가 목표치에 도달한 경우, 빛의 강도를 다시 감소시킬 수 있다(S460). 빛의 강도가 0% 가 되는 경우 발광부는 오프될 수 있다. 발광부가 오프된 시점에서 공기조화기의 전원은 꺼질 수 있고, 제품의 기능을 초기화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도 16 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은 운전상태모드 중 운전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는 공기조화기의 전원을 켤 수 있다(S510). 사용자가 공기조화기의 전원을 켜는 경우, 공기조화기는 기 설정된 운전상태로 돌입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전원이 온 된 경우(S510), 발광부는 온(on) 될 수 있다(S520). 발광부가 온 된 경우 빛의 강도를 목표치까지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발광부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상태에 대응하는 색상의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발광부는 변화된 운전상태에 대응하여 빛의 색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S530). 빛의 색상이 운전상태에 대응하도록 변화된 시점과 빛의 강도가 목표치에 도달한 시점 중에 늦은 시점으로부터 일정한 시간이 도과된 경우 발광부는 빛의 강도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S550).
도 17 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은 조명모드 중 운전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동작방법은 발생시키는 빛의 색상이 가변되는 조명모드를 온(On)하는 단계, 실내 공기를 조화하는 복수의 방법인 운전상태가 변경되는 단계, 변경된 운전상태에 대응하도록 빛의 색상을 변환하는 단계, 일정시간이 도과한 경우 빛의 색상을 조명모드에 대응하도록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공기조화기의 조명모드를 온(On) 시킬 수 있다(S610). 조명모드는 발광부가 발생시키는 빛의 색상이 일정한 주기에 따라 가변되도록 하는 상태일 수 있다. 사용자는 조명모드의 색상군을 선택할 수 있다.
조명모드가 온 된 경우, 발광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색상군에 대응하는 색상의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발광부는 빛의 강도를 목표치까지 점진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발광부는 빛의 강도가 목표치에 도달한 경우,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빛의 색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조명모드를 수행하는 중 공기조화기의 운전상태가 변화될 수 있다(S630). 운전상태가 변화하는 경우, 발광부는 상기 운전상태에 대응하도록 빛의 색상을 변환시킬 수 있다(S640). 발광부는 시간에 따라 점진적으로 빛의 색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빛의 강도가 목표치에 도달한 이후에 운전상태가 변경된 경우, 발광부는 빛의 강도는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빛의 색상을 변환할 수 있다.
빛의 강도가 목표치에 도달하기 전에 운전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발광부는 빛의 강도를 목표치까지 증가시키면서 빛의 색상을 변환할 수 있다.
빛의 색상이 운전상태에 대응하도록 변화된 시점과 빛의 강도가 목표치에 도달한 시점 중에 늦은 시점으로부터 일정시간이 도과된 경우, 발광부는 조명모드로 돌아갈 수 있다(S650). 발광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색상군에 대응하도록 빛의 색상을 역변환할 수 있다. 발광부는 빛의 색상을 시간에 따라 점진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동작방법은 조명모드가 오프되거나, 조명모드가 수행되는 중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 빛의 강도를 점진적으로 감소시켜 발광부를 끄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명모드를 종료시킬 수 있다(S660). 사용자가 조명모드를 종료시킨 경우, 발광부는 빛의 강도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공기조화기의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다. 발광부가 조명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공기조화기의 전원이 오프된 경우, 발광부는 빛의 강도를 점진적으로 감소시켜 조명을 끌 수 있다.
발광부는 빛의 강도를 서서히 감소시키고, 빛의 강도가 0%가 되면 오프될 수 있다(S670).
조명모드가 오프된 이후에 공기조화기의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 특정한 색상의 빛을 목표 강도값까지 점진적으로 증가시켰다가, 목표 강도값에 도달하면 빛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색상의 빛은 백색 색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동작방법은 조명모드가 온 된 경우 상기 빛의 강도를 목표치까지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단계 및 조명모드가 오프되는 경우, 상기 빛의 강도를 점진적으로 감소시켜 발광부를 끄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빛의 강도를 감소시키는 기울기는 빛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기울기보다 급격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2: 공기 흡입구 4: 본체
6: 열교환기 8: 공기 토출부
10: 송풍유닛 12: 측방 공기 토출구
13: 흡입 패널 14: 토출 패널
30: 개구부 32: 발광부
34: 이너 바디 38: 아우터 케이스
68: 개구홀 70: 전면 커버
G: 공간 L: 공기 토출구

Claims (30)

  1.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된 공기 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토출부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는 발광부 및 상기 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 토출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빛을 발광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에서 발생된 빛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토출부는 내부에 위치하는 이너 바디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의 후단과 상기 이너 바디의 선단이 상기 공기 토출구를 형성하는 공기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내부에 공기가 통과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발광부의 내경은 상기 이너 바디의 선단의 직경보다 큰 공기조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공기 토출부의 일측의 외관을 형성하여 빛을 발광하는 공기조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전방의 외관을 형성하고, 개구홀이 형성되는 프론트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구홀은 상기 발광부의 선단보다 크게 형성된 공기조화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내부에 공기가 통과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 토출구는 상기 발광부의 둘레에서 상기 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여,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공기조화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토출부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유닛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토출부는, 상기 송풍유닛이 송풍한 공기가 수용되는 공기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공기 수용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운전상태 또는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2.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된 공기 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토출부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는 발광부 및 상기 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 토출구를 포함하고,
    운전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발광부의 설정을 가변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의 설정은 빛의 색상 또는 강도를 가변시키는 공기조화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상태를 표시하는 운전상태모드 및 빛의 색상을 가변하는 조명모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상태는 냉방, 공기청정, 제습 및 풍향조절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운전상태에 따라 다른 색상의 빛을 발생시키는 공기조화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상태 중,
    상기 냉방은 파란색, 상기 공기청정은 옥색, 상기 제습은 보라색, 상기 풍향조절은 녹색에 대응하는 공기조화기.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모드는 복수의 색상의 빛을 일정주기에 따라 교대로 변환하며 발광하는 공기조화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색상은 사용자가 입력한 색상군에 포함되는 공기조화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군은 복수개일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색상군은 푸른색 계열의 두가지 색상, 오렌지 계열의 두가지 색상, 또는 서로 다른 여섯가지 색상에 각각 대응하는 공기조화기.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운전상태가 변환되는 경우,
    상기 운전상태에 해당하는 색상으로 변환하는 공기조화기.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운전상태에 해당하는 색상의 빛을 발생시키고 일정시간이 도과하면 꺼지는 공기조화기.
  2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운전상태에 해당하는 색상의 빛을 발생시키고 일정시간이 도과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색상의 빛으로 변환하는 공기조화기.
  2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모드에서,
    상기 발광부는 빛의 강도를 일정치까지 점진적으로 증가시키고,
    빛의 색상을 입력된 색상군에 따라 가변하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빛의 강도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공기조화기.
  2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모드와 상기 운전상태모드는 상호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공기조화기.
  26. 제12항에 있어서,
    전원이 온(On)되는 경우,
    상기 발광부는 빛의 강도를 점진적으로 상승시키는 공기조화기.
  27. 제12항에 있어서,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
    상기 발광부는 상기 전원오프에 대응하는 색상의 빛의 강도를 목표치까지 점진적으로 증가시켰다가, 상기 목표치에 도달하면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공기조화기.
  2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선택된 색상의 빛의 강도를 점진적으로 상승시키는 공기조화기.
  2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 및
    상기 공기 토출부를 회전 제어하는 본체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30.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된 공기 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토출부는 외부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 토출구를 형성하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20052587A 2011-12-20 2012-05-17 공기조화기 KR101203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587A KR101203540B1 (ko) 2011-12-20 2012-05-17 공기조화기
CN201410045850.3A CN103759342B (zh) 2011-12-20 2012-07-06 空气调节器
CN2012203261688U CN202675472U (zh) 2011-12-20 2012-07-06 空气调节器
CN201210234518.2A CN102829511B (zh) 2011-12-20 2012-07-06 空气调节器
EP12194241.1A EP2607799B1 (en) 2011-12-20 2012-11-26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operating an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8505 2011-12-20
KR1020110138503 2011-12-20
KR1020120052587A KR101203540B1 (ko) 2011-12-20 2012-05-17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3540B1 true KR101203540B1 (ko) 2012-11-21

Family

ID=47565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2587A KR101203540B1 (ko) 2011-12-20 2012-05-17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3540B1 (ko)

Cited B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288B1 (ko) 2014-01-13 2014-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40089068A (ko) * 2013-01-03 2014-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40092955A (ko) * 2013-01-03 2014-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40092956A (ko) * 2013-01-04 2014-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40092953A (ko) * 2013-01-02 2014-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40093158A (ko) * 2013-07-03 2014-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40094414A (ko) * 2013-07-03 2014-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WO2014194765A1 (zh) * 2013-06-03 2014-12-11 海尔集团公司 设有气流分配组件的空调送风装置
KR20140146283A (ko) * 2013-06-14 2014-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50009362A (ko) * 2013-07-16 2015-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50009359A (ko) * 2013-07-16 2015-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50009361A (ko) * 2013-07-16 2015-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50049012A (ko) * 2013-10-29 2015-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기
CN104807076A (zh) * 2014-08-29 2015-07-2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室内机
CN104807078A (zh) * 2014-08-29 2015-07-2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壁挂式空调器室内机
CN105299748A (zh) * 2014-06-26 2016-02-03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空调器室内机
WO2016029678A1 (zh) * 2014-08-29 2016-03-03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壁挂式空调器室内机
CN105485762A (zh) * 2014-09-18 2016-04-13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分体壁挂式空调器
CN105485761A (zh) * 2014-09-18 2016-04-13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分体壁挂式空调器
CN105627427A (zh) * 2014-11-03 2016-06-0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壁挂式空调器
CN105627428A (zh) * 2014-11-03 2016-06-0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壁挂式空调器室内机
CN105627426A (zh) * 2014-11-03 2016-06-0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壁挂式空调器室内机
EP2988072A4 (en) * 2013-04-17 2016-12-21 Haier Group Corp AIR DELIVERY METHOD OF VERTICAL AIR CONDITIONING
CN106482213A (zh) * 2015-08-27 2017-03-08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一种混流空调
EP3006838A4 (en) * 2013-06-03 2017-03-15 Haier Group Corporation Vertical air conditioner and air supply device thereof
US11346575B2 (en) 2015-07-17 2022-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Cited B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2953A (ko) * 2013-01-02 2014-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110530B1 (ko) * 2013-01-02 2020-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078274B1 (ko) * 2013-01-03 2020-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40089068A (ko) * 2013-01-03 2014-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40092955A (ko) * 2013-01-03 2014-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080513B1 (ko) * 2013-01-03 2020-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033690B1 (ko) 2013-01-04 2019-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40092956A (ko) * 2013-01-04 2014-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EP2988072A4 (en) * 2013-04-17 2016-12-21 Haier Group Corp AIR DELIVERY METHOD OF VERTICAL AIR CONDITIONING
WO2014194765A1 (zh) * 2013-06-03 2014-12-11 海尔集团公司 设有气流分配组件的空调送风装置
EP3006852A4 (en) * 2013-06-03 2017-03-15 Haier Group Corporation Air-conditioner air supply apparatus with airflow distribution assembly
EP3006838A4 (en) * 2013-06-03 2017-03-15 Haier Group Corporation Vertical air conditioner and air supply device thereof
KR20140146283A (ko) * 2013-06-14 2014-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053144B1 (ko) * 2013-06-14 2019-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104435B1 (ko) * 2013-07-03 2020-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40094414A (ko) * 2013-07-03 2014-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40093158A (ko) * 2013-07-03 2014-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033689B1 (ko) 2013-07-03 2019-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50009361A (ko) * 2013-07-16 2015-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50009359A (ko) * 2013-07-16 2015-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155556B1 (ko) * 2013-07-16 2020-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152732B1 (ko) * 2013-07-16 2020-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134611B1 (ko) * 2013-07-16 2020-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50009362A (ko) * 2013-07-16 2015-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50049012A (ko) * 2013-10-29 2015-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기
KR102101482B1 (ko) * 2013-10-29 2020-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기
KR101385288B1 (ko) 2014-01-13 2014-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5299748A (zh) * 2014-06-26 2016-02-03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空调器室内机
CN104807078A (zh) * 2014-08-29 2015-07-2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壁挂式空调器室内机
CN104807076A (zh) * 2014-08-29 2015-07-2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室内机
WO2016029678A1 (zh) * 2014-08-29 2016-03-03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壁挂式空调器室内机
CN104807076B (zh) * 2014-08-29 2017-08-0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室内机
CN105485762A (zh) * 2014-09-18 2016-04-13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分体壁挂式空调器
CN105485761A (zh) * 2014-09-18 2016-04-13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分体壁挂式空调器
CN105627428A (zh) * 2014-11-03 2016-06-0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壁挂式空调器室内机
CN105627427B (zh) * 2014-11-03 2018-12-18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壁挂式空调器
CN105627426A (zh) * 2014-11-03 2016-06-0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壁挂式空调器室内机
CN105627427A (zh) * 2014-11-03 2016-06-0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壁挂式空调器
US11346575B2 (en) 2015-07-17 2022-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US11346576B2 (en) 2015-07-17 2022-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US11346577B2 (en) 2015-07-17 2022-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US11674713B2 (en) 2015-07-17 2023-06-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CN106482213A (zh) * 2015-08-27 2017-03-08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一种混流空调
CN106482213B (zh) * 2015-08-27 2020-10-02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一种混流空调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3540B1 (ko) 공기조화기
EP2607799B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operating an air conditioner
EP2602563B1 (en) Air conditioner
KR102110530B1 (ko) 공기조화기
KR101595869B1 (ko) 팬 조립체
KR102033689B1 (ko) 공기조화기
KR102078274B1 (ko) 공기조화기
KR102104435B1 (ko) 공기조화기
US20160215782A1 (en) Bladeless Cooling Light
WO2011129073A1 (ja) 天井扇
US20150044040A1 (en) Air blower
KR20140092952A (ko) 공기조화기
WO2013140739A1 (ja) 送風装置
KR20100055910A (ko) 백라이팅유닛 및 이를 갖는 공기조화기
KR102033690B1 (ko) 공기조화기
JP5132466B2 (ja) イオン発生装置
KR102080513B1 (ko) 공기조화기
KR20150143012A (ko) 날개없는 선풍기
JP2013170787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CN107013979B (zh) 空调室内壁挂机及其控制方法
CN210688480U (zh) 空调室内机和具有其的空调器
KR20200002749A (ko) 공기조화기
CN210463283U (zh) 加湿装置及空调器
CN110056970A (zh) 壁挂式空调器室内机
CN102135293A (zh) 空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