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6283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46283A KR20140146283A KR1020130068565A KR20130068565A KR20140146283A KR 20140146283 A KR20140146283 A KR 20140146283A KR 1020130068565 A KR1020130068565 A KR 1020130068565A KR 20130068565 A KR20130068565 A KR 20130068565A KR 20140146283 A KR20140146283 A KR 2014014628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 light emitting
- light
- reflector
- ai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78—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08—Reflectors for light sources providing for indirect light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58—Reflectors for light sources adapted to cooperate with light sources of shapes different from point-like or linear, e.g. circular light sour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0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공기흡입구로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한 후 공기토출구로 토출하는 본체와; 본체에 설치된 조명패널을 포함하고, 조명패널은 조명패널 베이스와; 조명패널 베이스에 배치되는 제 1 커버와; 조명패널 베이스와 제 1 커버 사이에서 조명패널 베이스와 제 1 커버 사이 외측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기구와; 제 1 커버와 사이에 틈을 갖게 배치되는 제 2 커버와; 발광기구에서 조사된 광을 틈을 통해 제 1 커버의 전면으로 반사시키는 반사체를 포함하여, 발광기구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하면서 제 1 커버의 전면에 선명한 형상의 조명패턴이 표현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체에 조명패널이 설치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매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난방 시키거나 필터를 이용하여 공기를 정화시키는 기기이다.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구와 공기조화기의 내부에서 공조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토출구가 형성된다. 공기조화기는 내부에 냉매와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방이나 거실에 상시 설치되어 공간을 차지하면서 주로 냉방 및 난방만을 주 기능으로 사용되고, 타 가전제품에 비해서 그 실질적인 이용기간이 짧다.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의 일측에 투명부가 형성되고 조명등이 투명부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넓게 광을 방출하므로, 조명등의 오프시 조명등이 투명부를 통해 보일 수 있고, 조명등에서 방출된 광이 투명부의 전방으로 넓게 퍼지면서 특정 형상의 조명패턴을 선명하게 표현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흡입구로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한 후 공기토출구로 토출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된 조명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패널은 조명패널 베이스와; 상기 조명패널 베이스에 배치되는 제 1 커버와; 상기 조명패널 베이스와 제 1 커버 사이에서 상기 조명패널 베이스와 제 1 커버 사이 외측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기구와; 상기 제 1 커버와 사이에 틈을 갖는 제 2 커버와; 상기 발광기구에서 조사된 광을 상기 틈을 통해 상기 제 1 커버의 전면으로 반사시키는 반사체를 포함한다.
상기 반사체는 내측에 상기 발광기구가 위치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체는 상기 조명패널 베이스와 제 1 커버 사이를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체는 상기 제 1 커버의 외둘레를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체의 내경은 상기 제 1 커버의 외경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 1 커버는 전면의 일부만 상기 반사체를 마주볼 수 있다.
상기 제 1 커버의 전면은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반사체는 상기 제 1 커버의 전면을 향해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면을 갖을 수 있다.
상기 반사체는 상기 발광기구에서 조사된 광을 순차적으로 반사하는 복수개의 반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 반사면은 상기 발광기구에서 조사된 광을 전방 방향으로 반사하는 제 1 반사면과, 상기 제 1 반사면에서 반사된 광을 상기 제 1 커버의 전면을 향해 반사하는 제 2 반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커버는 상기 제 1 커버가 외부로 노출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 1 커버 보다 크기가 작을 수 있다.
상기 틈은 상기 제 1 커버의 전면과 상기 개구부의 주변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명패널은 상기 반사체에서 반사된 광이 투과하고 상기 반사체를 보호하는 광투과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기구는 복수개의 엘이디가 방사상으로 광을 조사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기구는 상기 제 1 커버의 전면에 형성되는 조명패턴의 크기와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복수개의 발광모드를 갖을 수 있다.
상기 발광기구는 복수개의 엘이디 중 온되는 엘이디의 개수가 상이한 복수개의 발광모드를 갖을 수 있다.
상기 발광기구는 복수개의 엘이디 중 온되는 엘이디의 위치가 상이한 복수개의 발광모드를 갖을 수 있다.
상기 발광기구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조명패턴의 형상이 가변되는 가변발광모드를 갖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흡입구로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한 후 공기토출구로 토출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된 조명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패널에는 상기 조명패널의 외면으로 조명패턴을 형성하는 발광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기구는 조명패턴의 크기와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복수개의 발광모드를 갖는다.
상기 복수개의 발광모드는 복수개의 엘이디 중 온되는 엘이디의 개수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발광모드는 복수개의 엘이디 중 온되는 엘이디의 위치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발광기구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조명패턴의 형상이 가변되는 가변발광모드를 더 갖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발광기구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하면서 제 1 커버의 전면에 선명한 형상의 조명패턴이 표현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 1 커버의 전면에 표현되는 조명패턴이 과도하게 넓게 퍼지지 않게 막을 수 있고, 원거리에서도 식별 가능한 선명한 조명패턴을 표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 1 커버의 전면에 표현되는 조명패턴의 크기 및 위치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보나 각종 정보를 외부에서 보기 쉽게 표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의 전면 디자인을 간결하게 하면서 조명패턴을 통해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보나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로 크기와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다양한 조명패턴을 표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부품수를 최소화하면서 원거리에서 식별이 용이한 조명패턴을 형성할 수 있고, 발광기구를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운전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정지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운전시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운전시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조명패널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1실시예의 조명패널의 일부가 확대 도시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조명패턴이 도시된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2실시예의 조명패널의 일부가 확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3실시예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4실시예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정지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운전시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운전시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조명패널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1실시예의 조명패널의 일부가 확대 도시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조명패턴이 도시된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2실시예의 조명패널의 일부가 확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3실시예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4실시예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운전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정지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는 공기흡입구로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한 후 공기토출구로 토출하는 본체(1)와, 본체(1)에 설치된 조명패널(2)을 포함한다.
본체(1)는 실내 공기가 본체(1)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흡입구가 형성된다. 본체(1)에는 본체(1)의 내부에서 공조된 공기가 본체(1)의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토출구가 형성된다. 본체(1)에는 공기토출구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는 리어 케이스(12)와, 리어 케이스(12) 전방에 설치된 프론트 케이스(13)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2)와 프론트 케이스(13)는 본체(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조명패널(2)은 본체(1)에 진퇴되게 배치될 수 있다. 조명패널(2)은 본체(1)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후퇴될 수 있고, 본체(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전진될 수 있다. 조명패널(2)은 전진시 본체(1)와 공기흡입유로(P)를 형성할 수 있다. 공기흡입유로(P)는 조명패널(2)과 본체(1)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공기흡입유로(P)가 상하 방향으로 개방될 경우, 공기흡입유로(P)는 상면 및 하면이 각각 개방될 수 있고, 조명패널(2)은 상면과 하면 및 배면이 각각 개방됨과 아울러 전면과 좌측면 및 우측면이 각각 막힌 형상일 수 있다. 조명패널(2)이 전진된 위치일 때, 실내의 공기는 공기흡입유로(P)의 하측에서 공기흡입유로(P)로 상승되어 공기흡입유로(P)로 흡입될 수 있고, 실내의 공기는 공기흡입유로(P)의 상측에서 공기흡입유로(P)로 하강되어 공기흡입유로(P)로 흡입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운전시 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운전시 종단면도이며,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조명패널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1실시예의 조명패널의 일부가 확대 도시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조명패턴이 도시된 도이다.
본체(1)는 전면에 공기흡입구(4)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1)는 전면 이외에 복수개 공기토출구(6)(8)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공기토출구(6)(8)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공기토출구(6)(8)는 본체(1)의 복수 위치에 분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체(1)는 좌측과 우측 중 적어도 일측에 사이드 공기토출구(6)가 형성될 수 있고, 하부에 로어 공기토출구(8)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1)는 본체(1)의 좌측과 우측 각각에 사이드 공기토출구(6)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1)는 좌측에 좌측 공기토출구(6A)가 형성될 수 있고, 우측에 우측 공기토출구(6B)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1)의 내부에서 공조된 공기는 좌측 공기토출구(6A)와 우측 공기토출구(6B)와 로어 공기토출구(8)를 통해 세 방향으로 분산 토출될 수 있다. 이하, 좌측 공기토출구(6A)와 우측 공기토출구(6B)의 각각을 구분하여 설명하는 경우에는 좌측 공기토출구(6A)와 우측 공기토출구(6B)로 칭하여 설명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좌측 공기토출구(6A)와 우측 공기토출구(6B)를 사이드 공기토출구(6)로 칭하여 설명한다. 본체(1)에는 송풍유닛(14)과 열교환기(15)가 설치될 수 있다. 송풍유닛(14)과 열교환기(15)는 리어 케이스(12)와 프론트 케이스(14)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2)는 공기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송풍유닛(14)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리어 케이스(12)에 안내되어 공기토출구로 유동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2)는 본체(1)의 배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2)는 본체(1)의 상,하,좌,우 네 둘레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2)는 좌측에 좌측 공기토출구(6A)가 형성될 수 있고, 우측에 우측 공기토출구(6B)가 형성될 수 있다. 좌측 공기토출구(6A)는 리어 케이스(12)의 좌측에 좌우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우측 공기토출구(6B)는 리어 케이스(12)의 우측에 좌우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2)는 하부에 로어 공기토출구(8)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로어 공기토출구(8)는 리어 케이스(12)의 하부에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3)는 본체(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3)에는 공기흡입구(4)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흡입구(4)는 프론트 케이스(13)에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3)에는 본체(1)의 내부를 보호하는 흡입 그릴(13a)이 형성될 수 있다. 흡입 그릴(13a)은 공기흡입구(4)에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흡입 그릴(13a)은 공기흡입구(4)를 가로지르게 형성될 수 있다.
송풍유닛(14)은 공기흡입구(4)로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기(15)를 통과시킨 후 공기토출구(6)(8)로 토출할 수 있다. 송풍유닛(14)은 전방의 공기를 흡입하여 둘레 방향으로 송풍하는 원심식 송풍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송풍유닛(14)은 리어 케이스(12)에 설치된 모터(16)와, 모터(16)의 회전축에 설치된 블로어(17)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유닛(14)은 블로어(17)로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터(16)는 회전축이 전방을 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블로어(17)는 그 전방의 공기를 흡인하여 둘레 방향으로 송풍하는 터보팬 등의 원심팬이 될 수 있다. 오리피스(18)는 리어 케이스(12)와 함께 블로어(17)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2)에는 블로어(17)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에어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2)는 모터(16) 및 블로어(17)를 둘러싸는 팬 하우징으로 기능할 수 있다. 오리피스(18)에는 공기가 통과하는 에어홀(19)이 형성될 수 있다. 에어홀(19)은 블로어(17)와 열교환기(15) 사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기(15)는 공기흡입구(4)와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15)는 프론트 케이스(13)와 오리피스(18)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15)는 프론트 케이스(13)와 오리피스(18) 중 적어도 하나에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기흡입구(4)로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2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20)는 프론트 케이스(13)의 전면에 좌우 슬라이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3)에는 필터(20)가 좌우 슬라이드 안내되는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1)는 사이드 공기토출구(6)로 토출된 공기를 조명패널(2) 옆으로 안내하는 사이드 토출베인(22)과, 로어 공기토출구(8)로 토출된 공기를 안내하는 로어 토출베인(24)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토출베인(22)은 좌측 공기토출구(6A)로 토출된 공기를 안내하는 좌측 토출베인(22A)과, 우측 공기토출구(6B)로 토출된 공기를 안내하는 우측 토출베인(22B)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 토출베인(22A)은 본체(1)의 좌측에 수직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될 수 있고, 본체(1)의 좌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회전되었을 때, 좌측 공기토출구(6A)로 토출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우측 토출베인(22B)은 본체(1)의 우측에 수직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될 수 있고, 본체(1)의 우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회전되었을 때, 우측 공기토출구(6B)로 토출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좌측 토출베인(22A)과 우측 토출베인(22B)은 공기조화기의 운전시 회전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회전 방향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동일할 수 있으며, 이하, 좌측 토출베인(22A)과 우측 토출베인(22B)의 각각을 구분하여 설명하는 경우에는 좌측 토출베인(22A)과 우측 토출베인(22B)으로 칭하여 설명하고, 그 이외의 공통된 구성에 대해서는 사이드 토출베인(22)으로 칭하여 설명한다.
로어 토출베인(24)은 수평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되면서 로어 공기토출구(8)로 토출된 공기의 상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로어 토출베인(24)은 수평 회전중심이 본체(1)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사이드 토출베인(22)을 회전시키는 사이드 토출베인 구동기구(26)와; 로어 토출베인(24)을 회전시키는 로어 토출베인 구동기구(28)를 포함한다.
사이드 토출베인 구동기구(26)는 본체(1)에 설치될 수 있고, 사이드 토출베인(22)은 사이드 토출베인 구동기구(26)에 연결될 수 있다. 사이드 토출베인 구동기구(26)는 본체(1)에 설치된 사이드 토출베인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토출베인 구동기구(26)는 좌측 토출베인(22A)를 회전시키는 좌측 토출베인 구동기구(26A)와, 우측 토출베인(22B)을 회전시키는 우측 토출베인 구동기구(26B)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좌측 토출베인 구동기구(26A)와 우측 토출베인 구동기구(26B)의 각각을 구분하여 설명하는 경우에는 좌측 토출베인 구동기구(26A)와 우측 토출베인 구동기구(26B)으로 칭하여 설명하고, 그 이외의 공통된 구성에 대해서는 사이드 토출베인 구동기구(26)로 칭하여 설명한다.
로어 토출베인 구동기구(28)는 본체(1)에 설치될 수 있고, 로어 토출베인(24)은 로어 토출베인 구동기구(28)에 연결될 수 있다. 로어 토출베인 구동기구(28)는 본체(1)에 설치된 로어 토출베인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패널(2)은 크기가 공기흡입구(4)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조명패널(2)은 공기흡입구(4)의 전방에 위치되어 공기흡입구(4)를 가릴 수 있고, 공기흡입구(4)는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다. 조명패널(2)은 공기조화기의 장식미를 높이기 위한 장식기구로 기능하거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로 기능할 수 있다. 조명패널(2)은 외부에서 보일 수 있는 조명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조명패널(2)은 링 형상의 조명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일측이 개구된 링 형상의 조명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점(스폿) 조명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일측이 개구된 링 형상은 ‘C' 자 형성과 같이, 개구된 영역의 각도가 90˚ 미만이 되는 것도 가능하고, 반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개구된 영역의 각도가 180˚ 초과이면서 270˚ 미만으로 개구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며, 고리 형상과 점 형상이 아닌 곡선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조명패널(2)을 진퇴시키는 조명패널 구동기구(4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패널 구동기구(40)는 모터(42)와, 피니언(44)과 랙(46)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패널 구동기구(40)는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고, 복수개의 조명패널 구동기구(40)는 조명패널(2)의 전체를 진퇴시킬 수 있다. 모터(42)가 본체(1)에 설치될 경우, 피니언(44)은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될 수 있으며, 랙(46)은 조명패널(2)에 설치될 수 있다. 모터(42)가 조명패널(2)에 설치될 경우, 피니언(44)이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될 수 있으며, 랙(46)은 본체(1)에 설치될 수 있다. 조명패널 구동기구(40)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시 조명패널(2)을 전방으로 무빙시킬 수 있다. 조명패널 구동기구(40)는 공기조화기의 정지시 조명패널(2)을 후방으로 무빙시킬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조명패널(2)과 송풍유닛(14)과 조명패널 구동기구(40)와 사이드 토출베인 구동기구(26) 및 로어 토출베인 구동기구(28)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시, 송풍유닛(14)을 구동시키고, 조명패널 구동기구(40)를 전진모드로 구동시키며, 사이드 토출베인 구동기구(26) 및 로어 토출베인 구동기구(28) 각각을 개방모드로 구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시, 조명패널(2)을 냉방운전이나 난방운전이나 제상운전 등의 운전 모드를 특정 조명패턴으로 표현하는 운전 표시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공기조화기의 정지시, 송풍유닛(14)을 정지시키고, 조명패널 구동기구(40)를 후퇴모드로 구동시키며, 사이드 토출베인 구동기구(26) 및 로어 토출베인 구동기구(28) 각각을 밀폐모드로 구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공기조화기의 정지시, 조명패널(2)을 공기조화기의 운전 모드와 무관한 정보를 특정 조명패턴으로 표현하는 정보 표시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조명패널(2)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조명패널(2)은 조명패널 베이스(50)와; 조명패널 베이스(50)에 배치된 제 1 커버(60)와; 조명패널 베이스(50)와 제 1 커버(60) 사이에서 조명패널 베이스(50)와 제 1 커버(60) 사이 외측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기구(70)와; 제 1 커버(60)와 사이에 틈(78)을 갖는 제 2 커버(80)와; 발광기구(60)에서 조사된 광을 틈(78)을 통해 제 1 커버(60)의 전면으로 반사시키는 반사체(90)를 포함한다. 발광기구(70)에서 광이 조사되면, 광은 조명패널 베이스(50)와 제 1 커버(60) 사이에서 반사체(90)로 조사될 수 있고, 반사체(90)에서 틈(78)을 향해 반사될 수 있다. 반사체(90)에서 틈(78)을 향해 반사된 광은 틈(78)을 통과한 후 제 1 커버(60)의 전면에 비춰질 수 있고, 제 1 커버(60)의 전면에는 조명패턴이 형성할 수 있다. 제 1 커버(60)의 후방에 위치하는 발광기구(70)에서 발생된 광은 제 1 커버(60)의 투과하지 않고 제 1 커버(60)의 전면(64)으로 조사될 수 있다.
조명패널 베이스(50)는 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조명패널 베이스(50)는 조명패널(2)의 배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조명패널 베이스(50)는 본체(1)의 외부에 위치되게 본체(1)에 연결될 수 있다. 조명패널 베이스(50)는 조명패널 구동기구(40)와 연결될 수 있고, 조명패널 구동기구(40)에 의해 무빙될 수 있다. 조명패널 베이스(50)에는 모터(42)와 랙(46) 중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조명패널 베이스(50)는 본체(1)의 전면과 공기흡입유로(P)를 형성할 수 있다. 조명패널 베이스(50)는 배면이 공기흡입안내면이 될 수 있다. 조명패널 베이스(50)는 전진시 본체(2)와 공기흡입유로(P)를 형성할 수 있고, 공기는 조명패널 베이스(50)의 배면과 본체(2)의 전면 사이를 통과해 공기흡입구(4)로 흡입될 수 있다. 조명패널 베이스(50)에는 발광기구(70)가 설치될 수 있다. 조명패널 베이스(50)에는 제 1 커버(60)가 설치될 수 있다. 조명패널 베이스(50)에는 제 2 커버(80)가 설치될 수 있다.
제 1 커버(60)는 조명패널 베이스(50)에 설치될 수 있다. 제 1 커버(60)는 조명패널(2)의 외부에서 보일 수 있고, 조명패널(2)의 전면측 외관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조명패널(2)은 제 1 커버(60)와 조명패널 베이스(50)의 사이에 발광기구(7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커버(60)는 외둘레(61)가 반사체(90)의 내둘레와 이격될 수 있다. 제 1 커버(60)는 전방을 향해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커버(60)는전면(64)이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 커버(60)는 전면(64)의 일부만 반사체(60)를 마주볼 수 있다. 제 1 커버(60)는 전면(64)의 일부 영역이 반사체(90)를 마주보고, 전면(64)의 다른 영역이 반사체(90)를 마주보지 않을 수 있다. 제 1 커버(60)의 전면(64)은 반사체(90)의 내둘레면을 좌우 방향으로 마주보는 제 1 영역과, 반사체(90)의 내둘레면을 좌우 방향으로 마주보지 않는 제 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커버(60)의 전면(64)은 조명패턴이 형성되는 조명패턴 형성부과, 조명패턴이 형성되지 않는 조명패턴 비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커버(60)의 전면(64) 중 반사체(90)와 마주 보는 일부 영역(제 1 영역)에는 반사체(90)에서 반사된 광이 비춰지고, 제 1 커버(60)의 전면(64)은 반사체(90)와 마주 보는 일부 영역(제 1 영역)에만 조명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커버(60)의 전면(64) 중 반사체(90)와 마주보지 않는 다른 영역(제 2 영역)에는 조명패턴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 1 커버(60)의 전면(64)에 형성되는 조명패턴은 제 1 커버(60)의 전면(64) 전체로 넓게 퍼지지 않으면서 주로 제 1 커버(60)의 전면(64) 중 반사체(90)와 마주 보는 일부 영역(제 1 영역)에 선명하게 보일 수 있다. 제 1 커버(60)는 배면(63)이 조명패널 베이스(50)를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다. 제 1 커버(60)는 배면(63)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 커버(60)는 전면(64)이 공기조화기의 전방을 향할 수 있다. 제 1 커버(60)의 전면(64)은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라운드질 수 있고, 제 1 커버(60)의 전면(64)에는 반사체(90)에서 반사된 광이 비춰질 수 있다. 제 1 커버(60)는 발광기구(70)의 온시 조명패턴이 형성되는 조명패턴 형성면이 될 수 있다. 제 1 커버(60)는 발광기구(70)의 전체 크기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발광기구(70)를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가리는 차폐부로 기능할 수 있다. 제 1 커버(60)는 조명패널(2)이 표시하고자 하는 조명패턴(L)이 표현되는 조명판으로 기능할 수 있다. 제 1 커버(60)는 불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고, 반사체(90)에서 반사된 광은 틈(78)을 통해 제 1 커버(60)의 전면(64)으로 조사될 수 있고, 제 1 커버(60)의 전면(64)으로 조사된 광은 제 1 커버(60)의 전면에 표현될 수 있다. 제 1 커버(60)에는 제 1 커버(60)가 조명패널 베이스(50)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제 1 커버 체결부(66)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커버 체결부(66)는 제 1 커버(60)의 배면(63)에 조명패널 베이스(50)를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커버 체결부(66)는 제 1 커버(6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보스부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커버(60)는 전면(64)에 힌색 색상일 수 있고, 반사체(60)에서 반사된 광의 색상에 따라 제 1 커버(60)의 전면(64)에 형성되는 조명패턴의 색상은 바뀔 수 있다.
발광기구(70)는 반사체(90)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S)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기구(70)는 제 1 커버(60)의 전면에 형성되는 조명패턴의 크기와 조명패턴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복수개의 모드를 갖을 수 있다.
발광기구(7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커버(60)의 전면에 형성되는 조명패턴의 크기가 상이한 적어도 2개의 발광모드를 갖을 수 있다. 발광기구(70)는 제 1 크기의 조명패턴을 형성하는 제 1 발광모드와, 제 1 크기 보다 크기가 작은 제 2 크기의 조명패턴을 형성하는 제 2 발광모드를 갖을 수 있다. 발광기구(70)는 2개의 발광모드에 한정되지 않고, 조명패턴의 크기에 따라 3개 이상의 발광모드(L1)(L2)(L3)를 갖을 수 있고, 조명패턴의 크기에 따른 다양한 발광모드를 갖을 수 있다. 발광기구(70)는 크기가 상이한 복수개의 조명패턴 중 특정 조명패턴을 소정시간 동안 유지시킬 수 있다.
발광기구(7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커버(60)의 전면에 형성되는 조명패턴의 위치가 상이한 적어도 2개의 발광모드를 갖을 수 있다. 발광기구(70)는 조명패턴의 영역(위치)에 따라 다양한 발광모드를 갖을 수 있다. 발광기구(70)는 제 1 커버(60)의 전면(64) 영역 중 제 1 영역에 조명패턴을 형성하는 제 1 발광모드와, 제 1 영역과 위치가 상이한 제 2 영역에 조명패턴을 형성하는 제 2 발광모드를 갖을 수 있다. 발광기구(70)는 일예로, 조명패널(2)의 수직 중앙선을 기준으로 좌측 영역에 조명패턴(L4)을 형성하는 제 1 발광모드와, 조명패널(2)의 수직 중앙선을 기준으로 우측 영역에 조명패턴(L5)을 형성하는 제 2 발광모드를 갖을 수 있다. 발광기구(70)는 조명패널(2)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 영역, 우측 영역, 상측 영역, 하측 영역의 4개의 영역에 각각 조명패턴(L4)(L5)(L6)(L7)을 형성하는 1,2,3,4 발광모드를 갖을 수 있다.
발광기구(70)는 조명패턴의 크기 및 조명패턴의 영역이 상이한 다양한 발광모드를 갖을 수 있고, 조명패턴의 크기 및 조명패턴의 영역의 조합에 의해 보다 다양한 발광모드를 갖을 수 있다.
발광기구(70)는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가 복수개의 조명패턴을 선택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하나의 엘이디는 색상 및 조도가 서로 상이한 다양한 광을 발광할 수 있고, 하나의 엘이디에서 발광되는 광의 색상 및 조도의 조합에 따라 색상과 조도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다양한 광을 발광할 수 있다. 발광기구(70)는 복수개의 엘이디(71)(72)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의 엘이디(71)(72)는 발광모드에 따라 함께 제어되거나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발광기구(70)는 엘이디가 설치되는 피시비(74)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기구(70)는 복수개의 피시비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의 엘이디(71)(72)는 복수개의 피시비에 분산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피시비(74)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발광기구(70)는 동일 피시비(74)에 적어도 2개의 엘이디가 함께 설치될 수 있다. 발광기구(70)는 복수개의 엘이디(71)(72)가 원형 가상선(O)을 따라 순차적으로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고, 방사상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발광기구(70)는 발광모드별로 제 1 커버(60)의 전면(64)에 상이한 조명패턴을 형성되게 할 수 있다. 발광기구(70)는 복수개의 피시비(74)가 설치되는 메인 피시비(7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피시비(74)는 메인 피시비(75)에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피시비(74)는 메인 피시비(75)에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피시비(74)는 그 각각의 일면이 반사체(90)의 내둘레를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다. 엘이디(71)(72)는 피시비(74)의 양면 중 반사체(90)를 마주보는 면에 설치될 수 있고, 엘이디(71)(72)의 각각은 반사체(90)의 내둘레를 향하는 방향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발광기구(70)는 복수개의 엘이디(71)(72)가 방사상으로 광을 조사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엘이디(71)(72)는 모두 함께 온되는 것이 가능하고, 일부가 온일 때 나머지가 오프되는 것이 가능하다. 발광기구(70)는 복수개의 엘이디(71)(72) 중 온되는 엘이디의 개수가 상이한 복수개의 발광모드를 갖을 수 있다. 발광기구(70)는 복수개의 엘이디(71)(72)가 모두 온되는 제 1 발광모드와 복수개의 엘이디(71)(72) 중 일부 엘이디가 온일 때 나머지 엘이디가 오프인 제 2 발광모드를 갖을 수 있다. 제 1 발광모드와 제 2 발광모드는 제 1 커버(60)의 전면(64)에 표현되는 조명패턴의 크기가 상이할 수 있다. 제 1 발광모드와 제 2 발광모드 중 어느 한 모드가 운전 모드 표시모드일 수 있고, 제 1 발광모드와 제 2 발광모드 중 다른 한 모드가 정보 표시모드일 수 있다. 여기서, 운전 모드 표시모드는 냉방운전, 난방운전, 제습운전, 청정운전 등의 공기조화기의 운전 모드를 각각 표현하는 모드일 수 있다. 그리고, 정보 표시모드는 아침이나 저녁과 같은 특정 시간대를 특정 조명패턴으로 표현하거나 온도,습도,청정도, 날씨 등의 정보를 특정 조명패턴으로 표현하는 모드일 수 있다.
발광기구(70)는 복수개의 엘이디(71)(72) 중 온되는 엘이디의 위치가 상이한 복수개의 발광모드를 갖을 수 있다. 발광기구(70)는 복수개의 엘이디(71)(72) 중 좌측에 위치하는 엘이디가 온되는 제 1 발광모드(도 8의 (d) 참조)와, 복수개의 엘이디(71)(72) 중 우측에 위치하는 엘이디가 온되는 제 2 발광모드(도 8의 (e)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기구(70)는 복수개의 엘이디(71)(72) 중 상측에 위치하는 엘이디가 온되는 제 3 발광모드(도 8의 (f) 참조)와, 복수개의 엘이디(71)(72) 중 하측에 위치하는 엘이디가 온되는 제 4 발광모드(도 8의 (g)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되는 엘이디의 위치가 상이한 복수개의 발광모드(도 8의 (d)(e)(f)(g) 참조)는 서로 상이한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발광기구(70)는 피시비(74)와, 피시비(74)에 설치된 복수개의 피시비(71)(72)가 하나의 발광 모듈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발광기구(70)는 복수개의 발광 모듈(A)(B)(C)(D)(E)(F)(G)(H)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 모듈(A)(B)(C)(D)(E)(F)(G)(H)은 함께 제어되는 것이 가능하고,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것이 가능하다. 복수개의 발광 모듈(A)(B)(C)(D)(E)(F)(G)(H)은 모두 함께 온될 때,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링 형상의 조명패턴(L1: 제 1 조명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 모듈(A)(B)(C)(D)(E)(F)(G)(H)은 2개 또는 3개가 온이고 나머지가 오프일 때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측이 개구된 링 형상의 조명패턴(L2: 제 2 조명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 모듈(A)(B)(C)(D)(E)(F)(G)(H)은 단수개가 온이고 나머지가 오프일 때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점(스폿) 조명패턴(L3: 제 3 조명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모듈(A)(B)(C)(D)(E)(F)(G)(H)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도 7의 (a),(b),(c)에 각각 도시된 링 형상의 조명패턴(L1)과 일측이 개구된 링 형상의 조명패턴(L2)과 점(스폿) 조명패턴(L3)을 변경하는 가변 조명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발광기구(70)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링 형상의 조명패턴(L1)과 일측이 개구된 링 형상의 조명(L2) 중 어느 하나를 표현하다가 다른 하나를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발광기구(70)는 링 형상의 조명패턴(L1)과 일측이 개구된 링 형상의 조명패턴(L2)을 교대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발광기구(70)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링 형상의 조명패턴(L1)과 일측이 개구된 링 형상의 조명패턴(L2)과 점(스폿) 조명패턴(L3)을 순차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발광기구(70)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링 형상의 조명패턴(L1)과 일측이 개구된 링 형상의 조명패턴(L2)과 점(스폿) 조명패턴(L3)의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고, 본 발명은 상기의 순서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복수개의 발광 모듈(A)(B)(C)(D)(E)(F)(G)(H)은 모두 동일 색상의 광을 발광하는 것이 가능하다. 복수개의 발광모듈(A)(B)(C)(D)(E)(F)(G)(H)은 일부 발광군이 다른 발광군과 상이한 색상의 광을 발광하는 것이 가능하다. 복수개의 발광 모듈(A)(B)(C)(D)(E)(F)(G)(H)은 모두 동일한 조도의 광을 발광하는 것이 가능하다. 복수개의 발광 모듈(A)(B)(C)(D)(E)(F)(G)(H)은 일부 발광군이 다른 발광군과 상이한 조도의 광을 발광하는 것이 가능하다. 복수개의 발광군(A)(B)(C)(D)(E)(F)(G)(H)은 시간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군(A)(B)(C)(D)(E)(F)(G)(H)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순차적으로 온되는 것이 가능하다. 복수개의 발광군(A)(B)(C)(D)(E)(F)(G)(H)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순차적으로 오프되는 것이 가능하다.
발광기구(7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조명패턴의 형상이 가변되는 가변 발광모드(h)(i)(j)를 갖을 수 있다. 발광기구(70)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크기가 변화되는 조명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발광기구(90)는 도 9의 (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크기의 조명 패턴(L8)을 형성한 후, 도 9의 (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크기의 조명 패턴(L8) 보다 크기가 작은 제 2 크기의 조명 패턴(L9)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후, 발광기구(90)는 도 9의 (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크기의 조명패턴(L9)을 형성한 후 도 9의 (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크기의 조명 패턴(L9) 보다 크기가 작은 제 3 크기의 조명 패턴(L10)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발광기구(90)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조명패턴의 크기가 점차 작아지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조명패턴의 크기가 점차 커지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발광기구(70)는 복수개의 가변 발광모드를 갖을 수 있고, 복수개의 가변 발광모드가 선택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복수개의 가변 발광모드는 조명패턴의 크기가 작아지는 위치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복수개의 가변 발광모드는 조명패컨의 크기가 커지는 위치가 상이할 수 있다.
복수개의 가변 발광모드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조명패턴의 크기가 점차 작아지되, 크기가 작아진 조명패턴의 영역이 조명패널(2)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측 영역인 가변 발광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가변 발광모드시 발광기구(70)는 발광 모드 초기에 크기가 큰 조명패턴을 형성하고, 가변 발광모드 후기에 조명패널(2)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측 영역에 크기가 작은 조명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개의 가변 발광모드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조명패턴의 크기가 점차 작아지되, 크기가 작아진 조명패턴의 영역이 조명패널(2)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측 영역인 가변 발광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가변 발광모드시 발광기구(70)는 발광 모드 초기에 크기가 큰 조명패턴을 형성하고, 가변 발광모드 후기에 조명패널(2)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측 영역에 크기가 작은 조명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개의 가변 발광모드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조명패턴의 크기가 점차 커지되, 크기가 커지는 조명패턴의 초기 영역이 조명패널(2)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측 영역인 가변 발광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가변 발광모드시 발광기구(70)는 발광 모드 초기에 조명패널(2)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측 영역에 크기가 작은 조명패턴을 형성하고, 가변 발광모드 후기에 크기가 큰 조명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개의 가변 발광모드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조명패턴의 크기가 점차 커지되, 크기가 커지는 조명패턴의 초기 영역이 조명패널(2)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측 영역인 가변 발광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가변 발광모드시 발광기구(70)는 발광 모드 초기에 조명패널(2)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측 영역에 크기가 작은 조명패턴을 형성하고, 가변 발광모드 후기에 크기가 큰 조명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발광기구(70)는 메인 피시비(75)가 설치되는 메인 피시비 홀더(7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광기구(70)는 조명패널 베이스(50)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발광기구 체결부(77)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기구 체결부(77)는 메인 피시비 홀더(76)에 형성될 수 있다. 발광기구 체결부(77)는 메인 피시비 홀더(76)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보스부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커버(80)는 제 1 커버(60)와 함께 조명패널(2)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제 2 커버(80)는 반사체(90)를 가리는 반사체 차폐부재로 기능할 수 있다. 제 2 커버(80)는 반사체(90)를 보호하는 반사체 보호부재로 기능할 수 있다. 제 2 커버(80)는 조명패널 베이스(50)에 설치될 수 있다. 제 2 커버(80)는 제 1 커버(60)가 외부로 노출되는 개구부(82)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82)는 제 1 커버(60) 보다 크기가 작을 수 있다. 제 1 커버(60)의 외둘레(61)는 제 2 커버(80)에 가려질 수 있다. 제 1 커버(60)는 개구부(82)의 주변부(83)가 제 1 커버(60)의 외둘레(61)를 가릴 수 있다. 제 2 커버(80)와 제 1 커버(60) 사이의 틈(78)은 제 1 커버(80)의 전면(64)과 개구부(82) 주변부(8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틈(78)은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 1 커버(80)의 전면(64) 중 반사체(90)를 마주보는 부분과 제 2 커버(80)의 개구부(82) 주변부(8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커버(80)는 개구부(82)가 형성된 프론트 바디(84)와,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바디(86)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바디(84)는 조명패널 베이스(50) 전방에 위치될 수 있고, 반사체(90)를 가릴 수 있다. 사이드 바디(86)는 조명패널 베이스(50)와 본체(1) 사이의 틈 일부를 차폐할 수 있다. 프론트 바디(84)는 본체(1)의 전방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사이드 바디(86)는 공기흡입유로(P)가 상하 방향으로 개방될 경우 좌측 바디(86A) 및 우측 바디(86B)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바디(86)가 좌측 바디(86A) 및 우측 바디(86B)를 포함할 경우, 공기흡입유로(P)는 조명패널(2)의 전진시 좌측 바디(86A)와 우측 바디(86B)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좌측 바디(86A)는 조명패널 베이스(50)와 본체(1) 사이의 좌측 틈(T1)을 차폐할 수 있다. 우측 바디(86B)는 조명패널 베이스(50)와 본체(1) 사이의 우측 틈(T2)을 차폐할 수 있다. 좌측 바디(86A) 및 우측 바디(86B)는 프론트 바디(84)의 측단에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좌측 바디(86A) 및 우측 바디(86B)는 프론트 바디(84)와 각각 직교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좌측 바디(86A)와 우측 바디(86B)의 각각을 구분하여 설명하는 경우에는 좌측 바디(86A)와 우측 바디(86B)로 칭하여 설명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좌측 바디(86A)와 우측 바디(86B)를 사이드 바디(86)로 칭하여 설명한다.
반사체(90)는 제 1 커버(60)의 외둘레(61)를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반사체(90)는 조명패널 베이스(50)와 제 1 커버(60) 사이를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반사체(90)는 링 형상일 수 있다. 반사체(90)는 제 1 커버(60)의 전방에 링 형상의 조명 띠(조명패턴)를 형성시킬 수 있다. 반사체(90)의 내경(D1)은 제 1 커버(60)의 외경(D2) 보다 클 수 있다. 반사체(90)는 제 1 커버(60)의 전면(64)을 향해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면(92)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기구(70)에서 조사된 광을 순차적으로 반사하는 복수개의 반사면(91)(9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 반사면(91)(92)은 발광기구(70)에서 조사된 광을 전방 방향으로 반사하는 제 1 반사면(91)과, 제 1 반사면(91)에서 반사된 광을 제 1 커버(60)의 전면(64)을 향해 반사하는 제 2 반사면(9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반사면(91)과 제 2 반사면(92)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비스듬히 형성될 수 있다. 제 1 반사면(91)과 제 2 반사면(92)은 반사체(90)의 내둘레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반사체(90)는 내둘레면에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고, 함몰부는 링형 공간(93)을 형성될 수 있다. 반사체(90)는 라운드 형상의 반사판(93)(94)(95)(96) 복수개가 링 형상으로 순차 배치될 수 있다. 반사체(90)는 제 1 반사면(91)과 제 2 반사면(92) 성형을 고려하여 복수개의 반사판(93)(94)(95)(96)이 결합되는 것에 의해 하나의 링 형상 반사체(90)로 조립될 수 있다. 반사체(90)는 복수개의 발광 모듈(A)(B)(C)(D)(E)(F)(G)(H)의 온 개수에 따라 상이한 형상의 조명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광투과 커버(10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광투과 커버(100)는 링 형상의 고리 판(102)을 포함할 수 있다. 광투과 커버(110)는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중공 통(104)을 포함할 수 있다. 고리 판(102)은 중공 통(104)의 선단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중공퉁(104)은 고리 판(102)과 직교하게 형성될 수 있다. 고리판(102)과 중공 통(104)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고리 판(102)은 반사체(90)와 제 2 커버(80)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중공 통(104)은 적어도 일부가 반사체(90)와 제 1 커버(60)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고리 판(102)은 반사체(90)와 제 2 커버(80)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중공 통(104)은 이물질이 제 1 커버(60)와 제 2 커버(80)의 사이로 침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반사체(90)에서 반사된 광은 중공 통(104)을 투과하여 제 1 커버(60)의 전면(64)으로 조사될 수 있다. 광 투과 커버(100)는 반사체(90)에서 반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판으로 기능할 수 있다. 광투과 커버(100)는 광을 확산시키는 광 확산층이 코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발광기구(70)는 복수개의 엘이디(71)(72)가 모두 온될 수 있고, 복수개의 발광 모듈(A)(B)(C)(D)(E)(F)(G)(H) 각각은 광이 조사될 수 있다. 발광기구(70)에서 조사된 광은 방사형으로 조사될 수 있고, 복수개의 발광 모듈(A)(B)(C)(D)(E)(F)(G)(H)에서 조사된 광은 조명패널 베이스(50)와 제 1 커버(60)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조명패널 베이스(50)와 제 1 커버(60)의 사이 외측 방향으로 조사될 수 있고, 조명패널 베이스(50)와 제 1 커버(60)의 사이에서는 방사형의 광이 조사될 수 있다. 방사형의 광은 반사체(90)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S)에서 반사체(90)의 제 1 반사면(91)으로 향할 수 있고, 제 1 반사면(91)에서 광 조사 방향이 전방 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제 2 반사면(92)으로 향할 수 있다. 제 2 반사면(92)은 광을 다시 반사체(90)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S)을 향하는 방향으로 조사할 수 있고, 제 2 반사면(92)에서 반사된 광은 제 1 커버(60)와 제 2 커버(80) 사이의 틈(78)을 통과해 제 1 커버(60)의 전면(64)으로 비춰질 수 있다. 제 1 커버(60)의 전면(64)에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의 조명패턴이 표현될 수 있다. 제 1 커버(60)의 전면(64)에 표현된 링 형상의 광은 반사체(90) 보다 크기 작을 수 있고,제 1 커버(60)와 제 2 커버(80) 사이의 틈(78)을 통해 제 1 커버(60)의 전면(64)으로 비춰지므로 선명한 링 형상으로 비춰질 수 있다.
한편, 발광기구(70)는 복수개의 엘이디(71)(72)의 일부가 온되고 나머지가 오프일 수 있다. 발광기구(70)는 복수개의 엘이디(71)(72) 일부가 온될 때, 인접하는 2개 이상의 발광모듈에 설치된 엘이디가 온되는 것이 가능하다. 발광기구(70)는 복수개의 엘이디(71)(72) 일부가 온될 때, 하나의 발광모듈에 설치된 엘이디 모두가 온되거나 하나의 엘이디에 설치된 엘이디들 중 하나의 엘이디만 온되는 것이 가능하다. 온인 엘이디가 설치된 발광 모듈에서는 광이 조사될 수 있고, 오프인 엘이디만 설치된 발광 모듈에서는 광이 조사되지 않을 수 있다. 온인 엘이디가 설치된 발광 모듈에서 조사된 광은 조명패널 베이스(50)와 제 1 커버(60)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조명패널 베이스(50)와 제 1 커버(60)의 사이 외측 방향으로 조사될 수 있다. 조명패널 베이스(50)와 제 1 커버(60)의 사이 외측 방향으로 조사된 광은 복수개의 엘이디(71)(72)가 모두 온인 경우와 같이, 광을 순차적으로 반사될 수 있고, 이때, 반사체(90)는 둘레방향으로 그 전체가 광을 조사하지 않고, 온인 엘이디가 설치된 발광모듈을 마주보는 일부 영역만 광을 반사할 수 있다. 한편, 반사체(90)에서 반사된 광은 제 1 커버(60)와 제 2 커버(80) 사이의 틈(78)을 통과해 제 1 커버(60)의 전면으로 비춰질 수 있는데, 제 1 커버(60)의 전면(64)에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구된 링 형상의 조명패턴이 표현되거나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스폿) 형상의 조명패턴이 표현될 수 있다. 발광기구(70)는 복수개의 엘이디(71)(72)의 일부만 온될 경우 그 온되는 엘이디의 개수를 상이하게 할 수 있고, 온된 엘이디의 개수가 3개 이상일 때 인접한 3개 이상의 엘이디가 함께 온될 때 일측이 개구된 링 형상의 조명패턴이 표현되게 할 수 있고, 온된 엘이디의 1~2개일 때 점(스폿) 형상의 조명패턴이 표현되게 할 수 있다. 제 1 커버(60)의 전면(64)에 표현된 일측이 개구된 링 형상의 조명패턴 또는 점(스폿) 형상의 조명패턴은 링 형상의 조명패턴 보다 크기가 작을 수 있다. 제 1 커버(60)의 전면(64)에 표현된 일측이 개구된 링 형상의 조명패턴 또는 점(스폿) 형상의 조명패턴 제 1 커버(60)와 제 2 커버(80) 사이의 틈(78)을 통해 제 1 커버(60)의 전면(64)으로 비춰지므로 선명하면서 표현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운전 표시모드와 정보 표시모드 중 어느 한 모드시 링 형상의 선명한 광을 표현할 수 있고, 운전 표시모드와 정보 표시모드 중 다른 모드시 일측이 개구된 링 형상 또는 점 형상의 선명한 광을 표현할 수 있다.
사용자 등은 제 1 커버(60)의 전면에 표현된 조명패턴의 형상 및 조명패턴의 위치를 보고, 원거리에서도 현재의 표시모드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보나 각종 정보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2실시예의 조명패널의 일부가 확대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반사체(90')가 바디부(98)와, 바디부(98)에 형성된 광 확산부(99)를 포함할 수 있고, 반사체(90')가 바디부(98)와 광 확산부(99)를 포함하는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1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바디부(98)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반사체(90)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재질은 합성수지나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사체(90')는 본 발명 제1실시예와 같이 복수개의 반사면(91)(92)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의 반사면(91)(92)은 광 확산부(99)에 형성될 수 있다. 광 확산부(99)는 바디부(98)에 코팅된 힌색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3실시예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기구(70)에서 조사된 광을 안내하는 도광판(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광판(130)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부로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광판(130)은 광 조사 방향으로 발광기구(70)와 반사체(9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도광판(130)은 광의 산란이나 감소를 최소화하면서 광을 반사체(90)로 전달할 수 있다. 도광판(130)은 중공된 원판 형상 또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광판(130)은 발광기구(60)에서 조사된 광을 반사체(90)로 안내하는 것으로서, 내둘레가 발광기구(60)를 마주보고, 외둘레가 반사체(90)를 마주볼 수 있다. 도광판(130)은 중공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공부(132)는 발광기구(60)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발광기구(60)의 외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도광판(130)은 외경(D3)이 반사체(90)의 내경(D1) 보다 작을 수 있다. 도광판(130)은 내경(D4)이 발광기구(60)의 외경(D5)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발광기구(60)에서 광이 조사되면, 광은 도광판(130)의 내둘레를 통해 도광판(130)으로 조사될 수 있고, 도광판(130)을 투과한 후 도광판(130)의 외둘레를 통해 조사될 수 있다. 도광판(130)의 외둘레를 투과한 광은 반사체(90)의 내둘레에서 반사되어, 제 1 커버(60)와 제 2 커버(80) 사이의 틈(78)을 통과해 제 1 커버(60)의 전면으로 비춰질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4실시예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커버(60)가 이너 바디부(68)와, 내측부(68) 주변에 경사지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된 아우터 바디부(69)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커버(60)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 중 하나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너 바디부(68)와 아우터 바디부(69)는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바디부(69)는 이너 바디부(68)의 외둘레에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너 바디부(68)는 제 2 커버(80)의 개구부(82)에 위치될 수 있고, 아우터 바디부(69)는 이너 바디부(68)의 외둘레에서 반사체(90)의 내둘레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바디부(69)는 이너 바디부(68)에서 후방 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커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너 바디부(68)는 원판부로 구성될 수 있고, 아우터 바디부(69)는 원판부 주변에 형성되고 후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커지는 원통부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커버(60)는 아우터 바디부(69) 전면 일부가 반사체(90)를 마주볼 수 있고, 제 1 커버(60)의 이너 바디부(68) 전면이 반사체(90)를 마주보지 않을 수 있으며, 반사체(90)에서 반사된 광은 아우터 바디부(69)의 전면에 조명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반사체(90)에서 반사된 광은 이너 바디부(68)의 전면으로 넓게 퍼지면서 확장되지 않고, 제 1 커버(60)의 아우터 바디부(69) 전면에 제한될 수 있다. 이너 바디부(68)는 조명패턴이 형성되지 않는 조명패턴 비형성부가 될 수 있고, 아우터 바디부(69)는 조명패턴이 형성되는 조명패턴 형성부가 될 수 있으며, 제 1 커버(60)의 전면 일부에 형성되는 조명패턴은 아우터 바디부(69) 전방 위치에 색상 및 형상이 선명하게 표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 본체 2: 조명패널
4: 공기흡입구 6,8: 공기토출구
50: 조명패널 베이스 60: 제 1 커버
64: 제 1 커버의 전면 70: 발광기구
78: 틈 80: 제 2 커버
82: 개구부 90: 반사체
91,92: 반사면 93,94,95,96: 반사판
99: 광 확산부 100: 광투과 커버
S: 공간 D1: 반사체의 내경
D2: 제 1 커버의 외경
4: 공기흡입구 6,8: 공기토출구
50: 조명패널 베이스 60: 제 1 커버
64: 제 1 커버의 전면 70: 발광기구
78: 틈 80: 제 2 커버
82: 개구부 90: 반사체
91,92: 반사면 93,94,95,96: 반사판
99: 광 확산부 100: 광투과 커버
S: 공간 D1: 반사체의 내경
D2: 제 1 커버의 외경
Claims (22)
- 공기흡입구로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한 후 공기토출구로 토출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된 조명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패널은
조명패널 베이스와;
상기 조명패널 베이스에 배치되는 제 1 커버와;
상기 조명패널 베이스와 제 1 커버 사이에서 상기 조명패널 베이스와 제 1 커버 사이 외측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기구와;
상기 제 1 커버와 사이에 틈을 갖는 제 2 커버와;
상기 발광기구에서 조사된 광을 상기 틈을 통해 상기 제 1 커버의 전면으로 반사시키는 반사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체는 내측에 상기 발광기구가 위치되는 공간이 형성된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체는 상기 조명패널 베이스와 제 1 커버 사이를 둘러싸게 배치된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체는 상기 제 1 커버의 외둘레를 둘러싸게 배치된 공기조화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체의 내경은 상기 제 1 커버의 외경 보다 큰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버는 전면의 일부만 상기 반사체를 마주보는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버의 전면은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반사체는 상기 제 1 커버의 전면을 향해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면을 갖는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체는 상기 발광기구에서 조사된 광을 순차적으로 반사하는 복수개의 반사면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반사면은
상기 발광기구에서 조사된 광을 전방 방향으로 반사하는 제 1 반사면과,
상기 제 1 반사면에서 반사된 광을 상기 제 1 커버의 전면을 향해 반사하는 제 2 반사면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버는 상기 제 1 커버가 외부로 노출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 1 커버 보다 크기가 작은 공기조화기.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틈은 상기 제 1 커버의 전면과 상기 개구부의 주변부 사이에 형성된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패널은 상기 반사체에서 반사된 광이 투과하고 상기 반사체를 보호하는 광투과 커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기구는 복수개의 엘이디가 방사상으로 광을 조사하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기구는 상기 제 1 커버의 전면에 형성되는 조명패턴의 크기와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복수개의 발광모드를 갖는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기구는 복수개의 엘이디 중 온되는 엘이디의 개수가 상이한 복수개의 발광모드를 갖는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기구는 복수개의 엘이디 중 온되는 엘이디의 위치가 상이한 복수개의 발광모드를 갖는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기구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조명패턴의 형상이 가변되는 가변발광모드를 갖는 공기조화기. - 공기흡입구로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한 후 공기토출구로 토출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된 조명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패널에는 상기 조명패널의 외면으로 조명패턴을 형성하는 발광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기구는 조명패턴의 크기와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복수개의 발광모드를 갖는 공기조화기.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발광모드는 복수개의 엘이디 중 온되는 엘이디의 개수가 상이한 공기조화기.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발광모드는 복수개의 엘이디 중 온되는 엘이디의 위치가 상이한 공기조화기.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기구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조명패턴의 형상이 가변되는 가변발광모드를 더 갖는 공기조화기.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68565A KR102053144B1 (ko) | 2013-06-14 | 2013-06-14 | 공기조화기 |
EP14152133.6A EP2813768B1 (en) | 2013-06-14 | 2014-01-22 | Air conditioner with illumination |
CN201410038793.6A CN104236049B (zh) | 2013-06-14 | 2014-01-27 | 空气调节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68565A KR102053144B1 (ko) | 2013-06-14 | 2013-06-14 | 공기조화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46283A true KR20140146283A (ko) | 2014-12-26 |
KR102053144B1 KR102053144B1 (ko) | 2019-12-06 |
Family
ID=49958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68565A KR102053144B1 (ko) | 2013-06-14 | 2013-06-14 | 공기조화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EP (1) | EP2813768B1 (ko) |
KR (1) | KR102053144B1 (ko) |
CN (1) | CN104236049B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578319B2 (en) | 2015-10-01 | 2020-03-0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ir conditioner |
KR102589571B1 (ko) * | 2022-09-29 | 2023-10-17 |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 전면 토출부 조명장치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613017B (zh) * | 2015-01-28 | 2017-09-15 | 浙江美尔凯特集成吊顶有限公司 | 换气扇 |
CN104896731B (zh) * | 2015-06-23 | 2018-05-04 | 浙江美尔凯特集成吊顶有限公司 | 暖风机取暖器 |
CN105163422B (zh) * | 2015-08-04 | 2017-10-10 | 南京思飞捷软件科技有限公司 | 一种远程调光器及调光照明管理系统及管理方法 |
CN105135537B (zh) * | 2015-10-14 | 2019-04-30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空调室内机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57361A (ko) | 2004-11-23 | 2006-05-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조명 기능을 갖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JP2009243737A (ja) * | 2008-03-31 | 2009-10-22 | Fujitsu General Ltd | 空気調和機 |
JP2010107089A (ja) * | 2008-10-29 | 2010-05-13 | Fujitsu General Ltd |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
KR20100051963A (ko) * | 2008-11-10 | 2010-05-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KR101203540B1 (ko) * | 2011-12-20 | 2012-11-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651692B2 (en) * | 2009-06-18 | 2014-02-18 | Intematix Corporation | LED based lamp and light emitting signage |
CN102588307A (zh) * | 2011-01-06 | 2012-07-18 | 广东松下环境系统有限公司 | 带照明顶棚埋入式换气扇 |
JP2012189249A (ja) * | 2011-03-10 | 2012-10-04 | Hitachi Appliances Inc | 空気調和機 |
CN102493616A (zh) * | 2011-11-16 | 2012-06-13 | 广州市设计院 | 带高效照明结构的弧形冷辐射天花一体化装置 |
KR101240536B1 (ko) * | 2011-12-08 | 2013-03-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CN103759342B (zh) * | 2011-12-20 | 2017-04-12 | Lg电子株式会社 | 空气调节器 |
-
2013
- 2013-06-14 KR KR1020130068565A patent/KR10205314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
- 2014-01-22 EP EP14152133.6A patent/EP2813768B1/en active Active
- 2014-01-27 CN CN201410038793.6A patent/CN104236049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57361A (ko) | 2004-11-23 | 2006-05-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조명 기능을 갖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JP2009243737A (ja) * | 2008-03-31 | 2009-10-22 | Fujitsu General Ltd | 空気調和機 |
JP2010107089A (ja) * | 2008-10-29 | 2010-05-13 | Fujitsu General Ltd |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
KR20100051963A (ko) * | 2008-11-10 | 2010-05-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KR101203540B1 (ko) * | 2011-12-20 | 2012-11-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578319B2 (en) | 2015-10-01 | 2020-03-0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ir conditioner |
KR102589571B1 (ko) * | 2022-09-29 | 2023-10-17 |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 전면 토출부 조명장치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4236049A (zh) | 2014-12-24 |
EP2813768A1 (en) | 2014-12-17 |
EP2813768B1 (en) | 2016-04-27 |
CN104236049B (zh) | 2017-04-26 |
KR102053144B1 (ko) | 2019-12-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33689B1 (ko) | 공기조화기 | |
KR20140146283A (ko) | 공기조화기 | |
KR102134611B1 (ko) | 공기조화기 | |
CN105570786B (zh) | 用于车辆内部的多功能灯 | |
KR102078274B1 (ko) | 공기조화기 | |
KR101953178B1 (ko) | 장식용 조명거울 | |
US20170097162A1 (en) | Air conditioner | |
KR101559582B1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102033690B1 (ko) | 공기조화기 | |
KR101365216B1 (ko) | 공기조화기 | |
KR20100055910A (ko) | 백라이팅유닛 및 이를 갖는 공기조화기 | |
JP2009243737A (ja) | 空気調和機 | |
JP2004085022A (ja) | 空気調和機 | |
JP2013170787A (ja) | 空気調和機の室内機 | |
KR100942549B1 (ko)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102080513B1 (ko) | 공기조화기 | |
KR102155556B1 (ko) | 공기조화기 | |
KR20090098517A (ko) | 공기조화기 | |
KR102152732B1 (ko) | 공기조화기 | |
KR102134610B1 (ko) | 공기조화기 | |
CN215170951U (zh) | 一种带有导风结构的风扇 | |
CN221442893U (zh) | 一种风扇灯 | |
CN216693742U (zh) | 空调室内机和空调 | |
GB2465338A (en) | Combined light and ventilation device | |
KR200489680Y1 (ko) | 간접조명수단을 구비한 스포트라이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