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8517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8517A
KR20090098517A KR1020080023955A KR20080023955A KR20090098517A KR 20090098517 A KR20090098517 A KR 20090098517A KR 1020080023955 A KR1020080023955 A KR 1020080023955A KR 20080023955 A KR20080023955 A KR 20080023955A KR 20090098517 A KR20090098517 A KR 20090098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unit
air conditioner
decorativ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3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2106B1 (ko
Inventor
김세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23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2106B1/ko
Publication of KR20090098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8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2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2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0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한 후 토출하는 공조부와; 상기 공조부 전방에 설치된 프론트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패널은 표시부를 갖는 프론트 커버와; 상기 표시부를 통해 보이도록 상기 표시부 후방에 설치된 장식부와; 상기 장식부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장식부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재가 복수개 설치된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를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재 중 일부가 온되는 제 1 발광모드로 제어하거나, 상기 제 1 발광모드 보다 온되는 발광부재의 개수가 많은 제 2 발광 모드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장식부의 장식미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고, 장식부의 고급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공조부, 프론트 패널, 프론트 커버, 표시부, 장식부, 발광부, 제어부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조화기에 설치된 장식부의 조명 면적이 다단으로 조절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를 공조시키는 것으로서, 최근에는 공기조화기의 전면 미감 향상이나 고급화 등을 위해 장식 커버 등을 공기조화기의 전면에 배치시키는 추세이다.
공개특허공보 10-2006-0057361호에는 개구홀이 형성된 실내기와; 상기 개구홀을 통해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실내기에 설치된 조명등과; 상기 조명등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조명등의 광이 통과하도록 이루어진 장식패널을 포함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조명기능을 갖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조명등으로 전원이 입력되면, 조명등은 광을 조사하고, 조명등에서 조사된 광은 개구홀을 통과한 후 장식 패널을 투과하고,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전방으로 조사된다.
그러나, 공개특허공보 10-2006-0057361호에 개시된 공기조화기는 조명등의 온시 실내기의 전방을 조명하고, 조명등의 오프시 실내기의 전방을 조명하지 않으 며, 조명등에 의한 다양한 조명 기능을 수행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하나의 발광부가 장식부의 미감 향상의 기능 뿐만 아니라 간접 조명 등의 조명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한 후 토출하는 공조부와; 상기 공조부 전방에 설치된 프론트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패널은 표시부를 갖는 프론트 커버와; 상기 표시부를 통해 보이도록 상기 표시부 후방에 설치된 장식부와; 상기 장식부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장식부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재가 복수개 설치된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를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재 중 일부가 온되는 제 1 발광모드로 제어하거나, 상기 제 1 발광모드 보다 온되는 발광부재의 개수가 많은 제 2 발광 모드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장식부는 상기 표시부의 후방에 상기 표시부와 이격되게 배치된 장식판과, 상기 표시부와 장식판 사이에 배치된 복수개의 장식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장식판은 투명한 판체와, 상기 판체의 전면과 배면 중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색상부을 포함한다.
상기 색상부는 백색 계열이다.
상기 복수개의 장식부재는 상기 표시부와 장식판의 사이 중 일부 공간에만 배치된다.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재는 상기 복수개의 장식부재가 배치되는 공간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재를 포함하는 제 1 발광부재 군과, 상기 복수개의 장식부재가 배치되지 않는 공간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재를 포함하는 제 2 발광부재 군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발광부재 군의 발광부재로 전원을 입력하는 제 1 전원 공급라인과,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제 1 발광부재 군의 발광부재로 입력되는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제 1 발광부재 군 조절 스위치와, 상기 제 2 발광부재 군의 발광부재로 전원을 입력하는 제 2 전원 공급라인과,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제 2 발광부재 군의 발광부재로 입력되는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제 2 발광부재 군 조절 스위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발광모드시, 상기 복수개의 장식부재가 배치되지 않는 공간을 향해 광을 조사하도록 설치된 발광부재를 온시키고, 상기 제 2 발광모드시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재 모두를 온시킨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도록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장식 모드가 조작되면, 상기 발광부를 제 1 발광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조작부를 통해 조명 모드가 조작되면, 상기 발광부를 제 2 발광모드로 제어한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도록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시마다 제 1 발광모드와 제 2 발광모드와 발광해제 모드를 순차적으로 반복 실시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발광모드시, 상기 복수개의 장식부재 중 일부를 임의 선택하여 발광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발광부가 장식부의 후방에서 장식부로 광을 조사하므로 장식부의 장식미가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발광부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발광부재 중 온되는 발광부재의 개수가 상위하도록 발광부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장식부 중 발광부에 의해 조명되는 영역의 면적이 다양하게 가변되므로, 장식부의 장식미가 다양하게 표현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장식부가 장식판과, 장식판 전방의 복수개의 장식부재를 포함하여, 발광부에서 장식부로 조명된 광이 장식부재를 부각시키면서 장식부재의 장식미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장식판이 투명한 판체와, 판체의 전면과 배면 중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색상부로 이루어져, 발광부에서 조사된 광이 색상부를 밝게 조명하므로, 장식판이 색상부의 색상으로 밝게 보이면서 장식판 자체가 장식부재와 별도로 장식미를 갖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색상부가 백색 계열로 이루어져, 발광부의 광이 투과되면서 확산되어 장식부가 밝기가 밝고, 장식부가 주변보다 부각되어 보이면서 미감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복수개의 장식부재가 표시부와 장식판의 사이 중 일부 공간에만 배치되어 복수개의 장식부재가 전체적으로 특정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고, 장식부재에 의한 장식 효과가 극대화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복수개의 발광 부재 중 일부만이 온되는 경우 발광부에서 발광된 광이 장식부재 주변을 밝게 하므로, 장식부재가 표시부를 통해 잘 보일 뿐만 아니라 장식부재의 장식미가 강조되고, 복수개의 발광부재 모두가 온되는 경우 발광부에서 발광된 광이 장식부 전체를 밝게 하면서 장식부 전체가 간접 조명 등의 조명 기능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공조부(2)에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부(6)가 형성되고, 공조부(2)의 내부에서 가열되거나 냉각되거나 정화된 공조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부(10)가 형성된다.
공조부(2)는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나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나 천장형 공기조화 기 등의 어느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나, 이하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공조부(2)는 하부에 공기 흡입부(6)가 형성되고, 상부에 공기 토출부(10)가 형성되어 하부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내부에서 공조한 후 상부를 통해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는 유로 구조를 갖고, 베이스(12)와, 캐비닛(20)과, 흡입 패널(40)과, 토출 패널(50)을 포함한다.
베이스(12)는 캐비닛(20)과 흡입 패널(40)을 지지한다.
캐비닛(20)은 공조부(2)의 후방부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베이스(12)의 후방부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흡입 패널(40)은 캐비닛(20)의 하부 전방 좌,우 위치인 베이스(12)의 전방부 좌,우 상측에 각각 배치되게 설치된다.
토출 패널(50)은 캐비닛(20)의 전방 상부에 배치되고, 좌,우측에 공기 토출부(10)가 각각 형성된다.
공조부(2)는 공기 토출구(78)가 형성된 토출구 유닛(80)이 공조부(2)의 내측 상부에서 공조부(2)의 위로 상승되고, 공조부(2)의 위에서 공조부(2)의 내측 상부로 하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토출구 유닛(80)은 공조부(2)의 상측 위치로 상승되어 공기 토출구(78)가 개방/노출되거나 공조부(2)의 내부로 하강되어 공조부(2)의 상면을 덮으면서 공기 토출구(78)가 밀폐/은닉된다.
공조부(2)에는 공기 흡입부(6)와 공기 토출부(10)를 함께 여닫음과 아울러 공기를 안내하는 베인(90)(100)이 설치된다.
이하, 베인(90)(100)은 공기 흡입부(6)와 공기 토출부(10)를 동시에 함께 여닫음과 아울러 흡입 공기와 토출 공기 모두를 안내하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즉, 베인(90)(100)은 하부가 공기 흡입부(6)를 여닫음과 아울러 공기 흡입부(6)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흡입 도어 및 흡입 베인의 역할을 하고, 상부가 공기 토출부(10)를 여닫음과 아울러 공기 토출부(10)로 토출된 공기를 안내하는 토출 도어 및 토출 베인의 역할을 하며,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공조부(2)의 전방에는 공기조화기의 외관 특히 전면측의 외관를 구성하는 프론트 패널(150)이 배치된다.
프론트 패널(150)은 공조부(2)의 전면 전체의 전방에 배치되거나, 공조부(2)의 전면 하부 전방에 배치되거나, 공조부(2)의 전면 상부 전방에 배치되고, 이하 공조부(2)의 전면 전체의 전방에 배치되어 공조부(2)의 전면을 덮는 것으로 설명한다.
프론트 패널(150)은 공조부(2)의 전방에 고정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좌,우 중 일측으로 중심으로 옆으로 회전되도록 공조부(2)에 회동되게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며, 공조부(2)의 전방에서 전후 방향으로 진퇴되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후술하는 발광부 등의 서비스를 위해 공조부(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것으로 설명한다.
프론트 패널(150)은 프론트 프레임(152)과, 프론트 프레임(152)의 전방에 배 치된 프론트 커버(160)와, 프론트 커버(160)를 프론트 프레임(150)과 고정시키는 프론트 홀더(170)를 포함하고, 프론트 프레임(152)과 프론트 커버(160)와 프론트 홀더(170) 중 하나에는 공조부(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론트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장식 모드일 때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조명 모드일 때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장식 모드일 때의 프론트 패널 주요부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조명 모드일 때의 프론트 패널 주요부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발광부의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제어 블록도이다.
프론트 커버(160)는 표시부(162)와 불투명부(164)를 갖고, 표시부(162)와 불투명부(164)를 갖기 위해 프론트 프레임(152)의 전방에 배치되고 투명하게 형성된 투명부재(166)와, 투명부재(166)의 전면과 후면 중 일면의 일부에만 형성된 장식물(168)을 포함하거나, 개구부가 형성된 장식물(168)과, 개구부에 배치된 투명부재(166)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투명부재(162)는 투명하게 형성된 강화유리로 이루어지거나 투명하게 형성된 합성수지판으로 이루어진다.
장식물(168)은 프론트 커버(160)의 미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서, 투명부재(166) 중 후술하는 장식부(190)의 전방에는 형성되지 않고, 장식부(190)의 전방 이외에만 형성된다.
즉, 프론트 커버(160)는 장식물(168)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이 표시부(162)가 되고, 장식물(168)이 형성된 부분이 불투명부(164)가 된다.
장식물(168)은 투명부재(166)에 부착되고 특정 색상이나 문양을 갖는 장식시트나 장식판체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코팅, 프린트, 도포 등에 의해 투명부재(166)의 일면에 형성된 장식층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장식물(168)은 고급화를 위해 금속재나 가죽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투명부재(166)의 배면에 배치될 경우 비용 저감 등을 위해 장식시트나 장식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투명부재(166)의 전면에 배치될 경우 촉감이나 손상을 고려하여 금속재나 가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하 외관의 고급화 및 촉감 등을 위해 금속재(172)와 가죽(174)이 부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장식물(168)은 금속재(172)가 부착되는 영역과 가죽(174)이 부착되는 영역이 구분되어 금속재(172)와 가죽(174)이 투명부재(166)의 전면에 분할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가죽(174)이 투명부재(166)의 전면에 배치되고 금속재(172)가 가죽(174)의 전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장식물(168)은 금속재(172)와 가죽(174)이 분할 배치될 경우 재료비를 최소화할 수 있고, 금속재(172)가 가죽(174)의 전면에 겹치게 배치될 경우 그 부착 작업이 손쉬운 이점이 있다.
장식물(168)은 금속재(172)에 의한 질감이나 미감 향상을 위해 금속재(172) 의 전면에 세로 혹은 가로 방향으로 헤어라인이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다.
장식물(168)에는 공기조화기 혹은 프론트 패널(150)의 미관을 디자인한 작가의 이름이나 로고 등을 표식하는 표식부(169)가 형성될 수 있고, 표식부(169)는 금속재(172)의 일부에 에칭 등의 공법으로 형성된다.
한편, 프론트 패널(150)은 표시부(162)를 통해 보이도록 표시부(162) 후방에 배치된 장식부(190)와, 장식부(190) 후방에 배치되고 장식부(190)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재(206)가 복수개 설치된 발광부(200)와, 발광부(200)를 보호하는 발광부 커버(202)를 더 포함한다.
즉, 프론트 패널(150)은, 그 전방에서 볼 때 장식물(168)이 보이면서 표시부(162)를 통해 장식부(190)가 보이고, 발광부(200)가 장식부(190)로 광을 조사하면, 발광부(200)에서 조사된 광은 장식부(190)를 조명한다.
장식부(190)는 표시부(162) 후방에 표시부(162)와 이격되게 배치된 장식판(192)과, 표시부(162)와 장식판(192) 사이에 배치된 복수개의 장식 부재(198)를 포함한다.
장식판(192)은 투명한 유리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판체(194)와, 판체(194)의 전면과 배면 중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색상부(196)를 포함한다.
장식판(192)은 발광부(200)의 광이 색상부(196)를 투과하면서 장식판(192)이 밝게 보이도록 색상부(196)가 백색 계열로 이루어지고, 이하, 장식판(192)은 백색 아크릴판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한다.
장식판(192)은 발광부(200)와 접착수단이나 걸이수단이나 체결수단으로 고정 되어 발광부(200)와 일체화되는 것도 가능하고, 후술하는 발광부 설치부(155)와 접착수단이나 걸이수단이나 체결수단으로 고정되어 발광부 설치부(155)와 일체화되는 것도 가능하다.
복수개의 장식부재(198)는 장식판(192)의 전방 일부 영역에만 배치된 장식물로서, 스와로브스키와 같은 크리스털 글래스나 보석 형상의 투명 합성수지물이나 금속재 등으로 형성된다.
복수개의 장식부재(198)는 프론트 커버(160)의 투명부재(166) 배면에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장식판(192)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프론트 커버(160)의 투명부재(166) 배면과 장식판(192)의 전면 중 하나에 접착재 등의 접착수단(199)으로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복수개의 장식부재(198)는 장식판(192)의 전방 공간(S1)에 일정 간격으로 규칙적으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나, 장식부(190)의 심미감 향상을 위해 전체적으로 특정 디자인을 나타내도록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전체적으로 특정 디자인을 나타내는 것으로 설명한다.
복수개의 장식부재(198)는 표시부(162)와 장식판(192)의 사이 공간(S1) 중 일부 공간(S2)에만 배치되고, 표시부(162)와 장식판(192) 사이의 공간(S1)은 복수개의 장식부재(198)가 배치되는 공간(S2)과, 복수개의 장식부재(198)가 배치되지 않는 공간(S3)으로 구분된다.
발광부(200)는 장식부(190)로 광을 조사하는 것으로서, 피시비(204)와, 피시비(194)에 설치된 복수개의 발광부재(206)를 포함한다.
발광부(200)는 발광부재(206)가 형광등이나 백열등과 같은 조명등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다양한 색상 변경이나 밝기의 조절이 쉽고 온/오프에 대한 응답성이 빠르도록 발광부재(206)가 엘이디로 이루어진다.
발광부(200)는 프론트 프레임(150)과, 프론트 커버(160)와, 장식부(190)와, 발광부 커버(202) 중 하나에 설치될 수 있고, 이하 프론트 프레임(152)에 발광부(200)가 삽입되는 발광부 설치부(155)가 형성되고, 발광부(200)는 프론트 프레임(150)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발광부 설치부(155)는 후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프론트 프레임(152)에 전방으로 단턱지게 돌출 형성되며, 발광부(200)는 프론트 프레임(152) 특히 발광부 설치부(155)의 후방에서 발광부 설치부(155) 내부로 그 전부 혹은 일부가 삽입되어 배치된다.
발광부 설치부(155)는 전판부(155a)와 둘레부(155b) 중 전판부(155a)에 발광부용 개구부(154)가 형성되어, 발광부(200)에서 조사된 광이 발광부용 개구부(154)를 통과하거나 발광부(200)의 일부가 관통되게 배치된다.
발광부 설치부(155)는 전판부(155a) 중 발광부용 개구부(154) 주변에 발광부(200)의 가장자리가 전방으로 걸리는 구조로 형성된다.
발광부 커버(202)는 프론트 패널(150)을 옆으로 회전시켜 프론트 패널(150)의 배면이 개방되었을 때 발광부(2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발광부(200)의 배면을 덮는 것으로서, 전면이 개방된 박스체로 이루어진다.
프론트 패널(150)은 발광부(200)가 발광부 설치부(155)에 삽입되게 배치되 고, 발광부 커버(202)가 발광부 설치부(155) 및 발광부(200)의 후방을 덮으면서 프론트 프레임(152)에 체결볼트 등의 체결수단이나 후크 등의 걸림수단으로 장착되며, 발광부(200)가 프론트 프레임(152) 특히 발광부 설치부(155)와 발광부 커버(202) 중 하나에 체결볼트 등의 체결수단이나 후크 등의 걸림수단으로 장착된다.
한편, 발광부(200)는 피시비(204)나 발광부 커버(202)에 설치되어 발광부재(206)의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212)을 더 포함한다.
반사판(212)은 복수개의 발광부재(206)를 보호함과 아울러 복수개의 발광부재(206)의 광이 주변으로 퍼지지 않고 장식부(190)로 반사되게 하는 것으로서, 피시비(204)나 발광부 커버(202)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발광부(200)는 반사판(212)이 복수개의 발광부재(206) 주변에 ‘한’ 형상과 같이 복수개의 발광부재(206)를 둘러싸듯이 배치되고, 반사판(212)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측에 설치된 복수개의 발광부재(206)에서 반사판(212)으로 조사된 광은 반사판(212)에 반사되어 복수개의 발광부재(206) 전방 방향으로 조사된다.
발광부(20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발광부재(206) 중 온되는 발광부재(206)의 개수가 다단으로 조절되게 구성된다.
즉, 발광부(200)는 장식부(190) 중 발광부(200)에 의해 조명되는 영역을 조절할 수 있는 가변 발광부로서, 복수의 발광모드를 갖고,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두 단계의 발광 모드를 갖는 것으로 설명한다.
발광부(20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발광부재(206) 중 일부만 온되는 제 1 발광모드로 작동되거나,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발광모드 보다 온되는 발광부재(206)의 개수가 많은 제 2 발광모드로 작동된다.
이하, 발광부(200)는 복수개의 발광부재(206)의 개수가 N개 일 경우, 제 1 발광모드가 N-M개의 발광부재(206)가 발광되는 일부 발광모드이고, 제 2 발광모드가 N개의 발광부재(206) 모두가 발광되는 전부 발광모드인 것으로 설명한다.
아울러, 제 1 발광모드는 발광부(200)의 광이 복수개의 장식부재(198)를 부각시키는 장식 모드이고, 제 2 발광모드는 발광부(200)의 광이 제 1 발광모드 보다 장식부(190)로 넓게 조사되어 장식부(190)가 전체적으로 제 1 발광 모드 보다 밝게 보이는 조명 모드인 것으로 설명한다.
발광부(200)는 상기와 같은 다단 발광을 위해 복수개의 발광부재(206)가 복수개의 장식부재(198)가 배치되는 공간(S2)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재(208)를 포함하는 제 1 발광부재 군(A)과, 복수개의 장식부재(198)가 배치되지 않는 공간(S3)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재(210)를 포함하는 제 2 발광부재 군(B)으로 구성된다.
발광부(200)는 제 1 발광부재 군(A)의 발광부재(208)로 전원을 입력하는 전원 공급선과 피시비(204)의 회로 등을 포함하는 제 1 전원 공급라인과, 제 2 발광부재 군(B)의 발광부재(210)로 전원을 입력하는 전원 공급선과 피시비(204)의 회로 등을 포함하는 제 2 전원 공급라인이 독립적으로 구성된다.
제 1 전원 공급라인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제어부(230)에 의해 제어되어 제 1 발광부재 군(A)의 발광부재(208)로 입력되는 전원을 온/오프시 키는 제 1 발광부재 군 조절 스위치(220)가 설치된다.
제 2 전원 공급라인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제어부(230)에 의해 제어되어 제 2 발광부재 군(B)의 발광부재(210)로 입력되는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제 2 발광부재 군 조절 스위치(230)가 설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방/송풍/제습/청정 등의 운전 명령이나 발광부(200)의 운전 명령 등을 조작하는 조작부(240)와, 조작부(240)의 조작 등에 따라 공기조화기 특히 공조부(2)를 제어하고, 발광부(200)를 제어하는 제어부(250)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250)는 발광부(200)의 제어시 제 1 발광부재 군 조절 스위치(220)와 제 2 발광부재 군 조절 스위치(230)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조작부(240)를 통해 장식 모드와 발광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제어부(250)가 조작부(240)의 조작에 따라 발광부(200)를 장식 모드와 조명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공기조화기의 운전시 제어부(250)가 발광부(200)를 조명 모드로 제어하고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지시 제어부(250)가 발광부(200)를 장식 모드로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냉방/송풍/제습/청정 등의 각종 운전 중 일부 운전 예를 들면, 냉방/제습과 같이 온도/습도 조절과 관련된 운전시 제어부(250)가 발광부(200)를 조명 모드로 제어하고, 다른 운전 예를 들면, 송풍/청정과 같은 온도/습도 조절과 무관한 운전시 제어부(250)가 발광부(200)를 장식 모드로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발광부(200)의 제어 이외에, 실내 온도나 토출 공기의 온도나 송풍 세기나 실내 조도 등에 따라 발광부(200)를 장식 모드와 조명 모드로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하 제어부(250)는 조작부(240)의 조작에 따라 발광부(2)를 장식 모드와 조명 모드와 발광 해제 모드로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발광부의 제어와 그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일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먼저, 조작부(240)를 통해 장식모드(즉, 제 1 발광모드)가 조작되면, 제어부(250)는 제 2 발광부재 군 조절 스위치(230)를 온시키고, 제 1 발광부재 군 조절 스위치(220)를 오프시킨다.(S1)(S2)
상기와 같은 제어시, 발광부(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발광부재 군(A)의 발광부재(208)에서 광이 조사되지 않고, 제 2 발광부재 군(B)의 발광부재(210)에서 광이 조사된다.
이때, 장식부(19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발광부재 군(B)의 전방이 밝게 조명되고, 제 1 발광부재 군(A)의 전방이 상대적으로 어둡게 되며, 상기와 같은 장식부(190)의 명암시 복수개의 장식부재(198)는 제 2 발광부재 군(B) 전방의 밝기에 의해 그 디자인이 부각되면서 표시부(162)를 통해 시각적으로 선명하게 보인다.
한편, 조작부(240)를 통해 조명모드(즉, 제 2 발광모드)가 조작되면, 제어 부(250)는 제 2 발광부재 군 조절 스위치(230)를 온시키고, 제 1 발광부재 군 조절 스위치(220)를 온시킨다.(S3)(S4)
상기와 같은 제어시, 발광부(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발광부재 군(A)의 발광부재(208)에서 광이 조사되고, 제 2 발광부재 군(B)의 발광부재(210)에서 광이 조사된다.
이때, 장식부(19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발광부재 군(B)의 전방 뿐만 아니라 제 1 발광부재 군(A)의 전방이 모두 밝게 조명되고, 장식부(190)는 장식 모드의 경우 보다 조명된 면적이 전체적으로 넓으며, 상기와 같은 장식부(190) 전체의 조명시 장식부(190)는 전체적으로 밝게 보이면서 실내의 간접 조명 역할을 한다.
한편, 조작부(240)를 통해 발광 해제 모드가 조작되면, 제어부(250)는 제 1 발광부재 군 조절 스위치(220)와 제 2 발광부재 군 조절 스위치(230)를 모두 오프시킨다.(S5)(S6)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조작부(240)의 조작시마다 발광부(200)가 장식모드(즉, 제 1 발광모드)와 조명모드(즉, 제 2 발광모드)와 발광 해제모드를 순차적으로 반복 실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등이 조작부(240)를 조작하여 조작 부(240)로 신호가 최초 입력되면, 제어부(250)는 제 2 발광부재 군 조절 스위치(230)를 온시키고, 제 1 발광부재 군 조절 스위치(220)를 오프시킨다.(S1′)(S2′)
상기와 같은 제어시, 제 2 발광부재 군(B)의 전방이 밝게 조명되고, 제 1 발광부재 군(A)의 전방이 상대적으로 어둡게 되며, 복수개의 장식부재(198)는 제 2 발광부재 군(B) 전방의 밝기에 의해 그 디자인이 부각되면서 표시부(162)를 통해 시각적으로 선명하게 보인다.
공기조화기는 상기와 같은 장식모드의 도중에, 사용자 등이 조작부(240)를 다시 조작하여 조작부(240)로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250)는 제어부(250)는 제 2 발광부재 군 조절 스위치(230) 및 제 1 발광부재 군 조절 스위치(220)를 모두 온시킨다.(S3′)(S4′)
상기와 같은 제어시, 제 2 발광부재 군(B)의 전방 뿐만 아니라 제 1 발광부재 군(A)의 전방이 모두 밝게 조명되고, 장식부(190)는 전체적으로 밝게 보이면서 실내의 간접 조명 역할을 한다.
공기조화기는 상기와 같은 조명모드의 도중에, 사용자 등이 조작부(240)를 다시 조작하여 조작부(240)로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250)는 제어부(250)는 제 2 발광부재 군 조절 스위치(230) 및 제 1 발광부재 군 조절 스위치(220)를 모두 오프시킨다.(S5′)(S6′)
상기와 같은 제어시, 제 2 발광부재 군(B)의 전방 뿐만 아니라 제 1 발광부재 군(A)의 전방이 모두 조명되지 않는다.
공기조화기는 상기와 같은 발광 해제모드의 도중에, 사용자 등이 조작부(240)를 다시 조작하여 조작부(240)로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250)는 제어부(250)는 제 2 발광부재 군 조절 스위치(230)를 온시키고, 제 1 발광부재 군 조절 스위치(220)를 오프시킨다.(S1′)(S2′)
즉, 공기조화기는 사용자 등이 조작부(240)를 조작할 때마다 장식모드->조명모드->발광 해제모드 순서로 바뀌고, 발광 해제모드 이후에는 다시 장식모드와 그 이후를 순차적으로 실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장식모드(즉, 제 1 발광모드)시 복수개의 장식부재(206) 중 일부를 임의 선택하여 발광하고, 조명모드(즉, 제 2 발광모드)시 복수개의 장식부재(206) 전부를 발광시킨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등이 조작부(240)를 통해 장식모드(즉, 제 1 발광모드)를 조작하면, 제어부(250)는 복수개의 장식부재(206) 중 일부를 임의 선택하여 전원을 입력한다.(S1)(S2″)
상기와 같은 제어시, 장식부(190)는 일부만 밝게 보이고, 나머지가 어둡게 보이며, 장식부(190)는 장식 모드시마다 다른 장식미를 표현한다.
즉, 장식 모드의 조작시마다 발광부재(206) 중 온되는 발광부재는 상위하고, 장식부(190) 중 밝게 보이는 부분은 장식 모드가 선택될 때마다 상위하게 된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발광부재(206) 중 복수개의 장식부재(198)가 배치되지 않는 공간(S3)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재(210)가 주로 온되고, 복수개의 장식부재(198)가 배치되는 공간(S2)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재(208)가 주로 오프인 경우에는 장식부재(198)의 디자인이 부각되고, 반대로, 복수개의 발광부재(206) 중 복수개의 장식부재(198)가 배치되는 공간(S2)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재(208)가 주로 온되고, 복수개의 장식부재(198)가 배치되지 않는 공간(S3)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재(210)가 주로 오프인 경우에는 장식부재(198)의 디자인이 그 후방에서 조사된 광에 의해 잘 안보이면서 장식부(190)의 장식미가 바뀐다.
한편, 사용자 등이 조작부(240)를 통해 조명모드(즉, 제 2 발광모드)를 조작하면, 제어부(250)는 복수개의 발광부재(206) 모두를 온시키고, 장식부(190)는 전체적으로 밝게 보이면서 실내의 간접 조명 역할을 한다.(S3)(S4″)
한편, 사용자 등이 조작부(240)를 통해 발광 해제 모드를 조작하면, 제어부(250)는 복수개의 발광부재(206) 모두를 오프시킨다.(S5)(S6″)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 에 도시된 프론트 패널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장식 모드일 때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조명 모드일 때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장식 모드일 때의 프론트 패널 주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조명 모드일 때의 프론트 패널 주요부 단면도,
도 7은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발광부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제어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일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2: 공조부 150: 프론트 패널
160: 프론트 커버 162: 표시부
164: 불투명부 166: 투명부재
168: 장식물 174: 금속재
174: 가죽 190: 장식부
192: 장식판 194: 판체
196: 색상부 200: 발광부
202: 발광부 커버 204: 피시비
206,208,210: 발광부재
220: 제 1 발광부재 군 조절 스위치
230: 제 2 발광부재 군 조절 스위치
240: 조작부 250: 제어부
A: 제 1 발광부재의 군 B: 제 2 발광부재의 군
S1: 표시부와 장식판 사이의 공간
S2: 복수개의 장식부재가 배치되는 공간
S3: 복수개의 장식부재가 배치되지 않는 공간

Claims (11)

  1.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한 후 토출하는 공조부와; 상기 공조부 전방에 설치된 프론트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패널은 표시부를 갖는 프론트 커버와;
    상기 표시부를 통해 보이도록 상기 표시부 후방에 설치된 장식부와;
    상기 장식부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장식부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재가 복수개 설치된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를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재 중 일부가 온되는 제 1 발광모드로 제어하거나, 상기 제 1 발광모드 보다 온되는 발광부재의 개수가 많은 제 2 발광 모드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는 상기 표시부의 후방에 상기 표시부와 이격되게 배치된 장식판과,
    상기 표시부와 장식판 사이에 배치된 복수개의 장식 부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판은 투명한 판체와, 상기 판체의 전면과 배면 중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색상부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부는 백색 계열인 공기조화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장식부재는 상기 표시부와 장식판의 사이 중 일부 공간에만 배치된 공기조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재는 상기 복수개의 장식부재가 배치되는 공간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재를 포함하는 제 1 발광부재 군과,
    상기 복수개의 장식부재가 배치되지 않는 공간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재를 포함하는 제 2 발광부재 군으로 구성된 공기조화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발광부재 군의 발광부재로 전원을 입력하는 제 1 전원 공급라인과,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제 1 발광부재 군의 발광부재로 입력되는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제 1 발광부재 군 조절 스위치와, 상기 제 2 발광부재 군의 발광부재로 전원을 입력하는 제 2 전원 공급라인과,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제 2 발광부재 군의 발광부재로 입력되는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제 2 발광부재 군 조절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발광모드시, 상기 복수개의 장식부재가 배치되지 않는 공간을 향해 광을 조사하도록 설치된 발광부재를 온시키고,
    상기 제 2 발광모드시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재 모두를 온시키는 공기조화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도록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장식 모드가 조작되면, 상기 발광부를 제 1 발광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조작부를 통해 조명 모드가 조작되면, 상기 발광부를 제 2 발광모드로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도록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시마다 제 1 발광모드와 제 2 발광모드와 발광해제 모드를 순차적으로 반복 실시하는 공기조화기.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발광모드시, 상기 복수개의 장식부재 중 일부를 임의 선택하여 발광하는 공기조화기.
KR20080023955A 2008-03-14 2008-03-14 공기조화기 KR101482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23955A KR101482106B1 (ko) 2008-03-14 2008-03-14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23955A KR101482106B1 (ko) 2008-03-14 2008-03-14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517A true KR20090098517A (ko) 2009-09-17
KR101482106B1 KR101482106B1 (ko) 2015-01-13

Family

ID=41357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23955A KR101482106B1 (ko) 2008-03-14 2008-03-14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210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3985A (ko) * 2011-10-21 2013-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3868217A (zh) * 2012-12-11 2014-06-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
KR20140092955A (ko) * 2013-01-03 2014-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90046737A (ko) * 2019-04-26 2019-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7361A (ko) * 2004-11-23 2006-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 기능을 갖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434956Y1 (ko) * 2006-09-29 2007-01-02 박상인 아크릴 조명 액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3985A (ko) * 2011-10-21 2013-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3868217A (zh) * 2012-12-11 2014-06-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
KR20140092955A (ko) * 2013-01-03 2014-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90046737A (ko) * 2019-04-26 2019-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2106B1 (ko) 2015-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1868B1 (ko) 공기 조화기
US20090080178A1 (en) Kitchen Appliance
KR101466296B1 (ko) 공기조화기
EP2813768B1 (en) Air conditioner with illumination
KR101365216B1 (ko) 공기조화기
JP2009243737A (ja) 空気調和機
KR20090098517A (ko) 공기조화기
KR20100055910A (ko) 백라이팅유닛 및 이를 갖는 공기조화기
JP4045147B2 (ja) 空気調和機
KR101611325B1 (ko) 공기조화기
KR100902930B1 (ko) 공기조화기
CN101786399A (zh) 装饰面板及具有该面板的空调机
KR100942549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482105B1 (ko) 공기조화기
KR101476296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668062B1 (ko) 공기청정기
KR101666452B1 (ko) 공기조화기
KR20100025329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표시 방법
KR100906184B1 (ko) 공기조화기
JP3226469U (ja) 有機el照明付加飾パネル
KR101507812B1 (ko) 공기조화기
KR100958394B1 (ko) 공기조화기
AU2022271422B2 (en) Home Appliance
KR101482107B1 (ko) 공기조화기
CN209146880U (zh) 空调室内机的灯组件及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