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6296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6296B1
KR101466296B1 KR1020080027055A KR20080027055A KR101466296B1 KR 101466296 B1 KR101466296 B1 KR 101466296B1 KR 1020080027055 A KR1020080027055 A KR 1020080027055A KR 20080027055 A KR20080027055 A KR 20080027055A KR 101466296 B1 KR101466296 B1 KR 101466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light
air conditioner
uni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7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1736A (ko
Inventor
김강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7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6296B1/ko
Priority to CN2010105695776A priority patent/CN102116505A/zh
Priority to CN2008101112992A priority patent/CN101545655B/zh
Publication of KR20090101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1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가 흡입되어 공조된 후 토출되는 공조부와; 상기 공조부 전방에 배치된 프론트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패널은, 프론트 프레임과; 상기 프론트 프레임 전방에 설치되고 광확산부가 형성된 프론트 커버와; 상기 광확산부 후방에 위치되게 상기 프론트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광확산부로 광을 조사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내용을 확인하기 위한 별도의 표시창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구조가 간단하고, 공기조화기의 전면이 일체감을 줄 수 있어 미관의 고급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공조부, 프론트 패널, 프론트 프레임, 광확산부, 프론트 커버, 디스플레이

Description

공기조화기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조화기의 전면 외관을 구성하는 프론트 커버에 광확산부가 형성되고, 디스플레이가 광확산부 후방에 설치되어 광확산부에 정보를 표시하거나 광확산부에 의해 가려져 은늑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매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난방 시키거나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으로, 크게 분리형과 일체형으로 구분된다.
상기한 분리형과 일체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분리형은 실내기에 냉각/방열 장치를 설치하고 실외기에 방열/냉각 및 압축 장치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실내기와 실외기를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고, 일체형은 냉각 방열의 기능을 일체화하여 가옥의 벽에 구멍을 뚫거나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한 것이다.
도 14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정면도이다.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501)와, 상기 베이스(501)의 후방부 상측에 배치되고 전면이 개방된 캐비닛(502)과, 상기 베이스(501)의 전방부 상측에 배치되고, 전면 상부에 전면 공기 토출구(504a)가 형성되며, 경사진 양측면부에 좌,우 공기 토출구(504b,104c)가 형성된 전면 상부 패널(504)과, 상기 전면 패널(504)의 전면부와 상기 베이스(51)의 사이에 배치된 전면 하부 패널(505)과, 상기 전면 패널(504)의 좌,우 양측면부와 상기 베이스(501)의 사이에 배치된 좌,우 흡입 그릴(506)(507)을 포함한다.
상기 전면 상부 패널(504)에는 상기 전면 공기 토출구(504a)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전방 캐비닛(504)의 전면에 상하 구동 패널(510)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상하 구동 패널(510)의 상승시 전방 캐비닛(504)과 상하 구동 패널(510)의 단차를 해소할 수 있도록 상기 전방 캐비닛(504)의 전면에 전후 구동 패널(512)이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좌,우 공기 토출구(504b,104c)를 개폐함과 아울러 좌,우 공기 토출구(504b,104c)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전면 상부 패널(504)의 양측 상부에 좌,우 베인(514,116)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기의 대략 전면부 중앙측인 상기 전면 하부 패널(505)의 상측에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517)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517)는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창(518a) 과, 공기조화기를 운전 조작하기 위한 버튼(518b)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518)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18)의 표시창(518a) 후방에 설치된 엘이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표시창(518a)과 디스플레이 패널(518) 사이 및 버튼(518b)과 디스플레이 패널(518) 사이에 틈(518c)(518d)이 있으므로 공기조화기의 미사용시 상기 틈으로 먼지가 끼여서 청결성이 떨어지거나 물 등이 침투되어 안전성이 떨어지고, 디스플레이 패널(518) 및 표시창(518a)이 공기조화기의 전방측에 항상 노출됨과 아울러 표시창(518a)과 디스플레이 패널(518)이 서로 분리된 느낌을 주어 공기조화기의 전면 미감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공기조화기의 전면에 디스플레이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창이 설치될 필요가 없고 공기조화기의 전면 자체가 디스플레이의 정보를 표시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표시창이 필요없어 비용이 저렴하고 외관의 고급화가 가능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가 흡입되어 공조된 후 토출되는 공조부와; 상기 공조부 전방에 배치된 프론트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패널은, 프론트 프레임과; 상기 프론트 프레임 전방에 설치되고 광확산부가 형성된 프론트 커버와; 상기 광확산부 후방에 위치되게 상기 프론트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광확산부로 광을 조사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 커버는 투명하게 형성된 투명부재와, 상기 투명부재의 배면에 형성된 장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확산부는 상기 장식부에 형성된다.
상기 광확산부는 상기 장식부의 배면 중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방에만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광확산부 후방에 배치된 엘이디 피시비 어셈블리이다.
상기 엘이디 어셈블리는 복수개의 엘이디가 회로 기판상에 세로 및 가로로 복수열 배열된 도트 매트릭스이고, 상기 광확산부는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각각의 전방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광확산부 후방에 배치된 엘시디 패널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광확산부 후방에 배치된 그래픽 디스플레이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프론트 커버에 광학산부가 형성되고, 디스플레이가 광확산부 후방에 설치되어 광확산부로 정보를 표시하므로, 디스플레이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별도의 표시창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구조가 간단하며, 디스플레이가 광확산부에 의해 가려지므로 공기조화기의 전면 외관이 전체적으로 일체감을 줄 수 있어 미관의 고급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프론트 커버가 투명부재와 장식부를 포함하고, 광확산부가 장식부에 형성되며, 디스플레이의 온시 광확산부가 밝게 변함에 따라 광확산부에 나타난 표시 정보가 장식부를 통해 외부에 보이므로, 디스플레이의 표시 정보가 은은하고 차분한 느낌을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광확산부는 상기 장식부의 배면 중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방에만 형성되어, 비용이 저렴한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정지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공조부(2)에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부(6)가 형성되고, 공조부(2)의 내부에서 가열되거나 냉각되거나 정화된 공조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부(10)가 형성된다.
공조부(2)는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나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나 천장형 공기조화기 등의 어느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나, 이하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를 예로 들어 설 명한다.
공조부(2)는 하부에 공기 흡입부(6)가 형성되고, 상부에 공기 토출부(10)가 형성되어 하부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내부에서 공조한 후 상부를 통해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는 유로 구조를 갖고, 베이스(12)와, 캐비닛(20)과, 흡입 패널(40)과, 토출 패널(50)을 포함한다.
베이스(12)는 캐비닛(20)과 흡입 패널(40)을 지지한다.
캐비닛(20)은 공조부(2)의 후방부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베이스(12)의 후방부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흡입 패널(40)은 캐비닛(20)의 하부 전방 좌,우 위치인 베이스(12)의 전방부 좌,우 상측에 각각 배치되게 설치된다.
토출 패널(50)은 캐비닛(20)의 전방 상부에 배치되고, 좌,우측에 공기 토출부(10)가 각각 형성된다.
공조부(2)는 공기 토출구(78)가 형성된 토출구 유닛(80)이 공조부(2)의 내측 상부에서 공조부(2)의 위로 상승되고, 공조부(2)의 위에서 공조부(2)의 내측 상부로 하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토출구 유닛(80)은 공조부(2)의 상측 위치로 상승되어 공기 토출구(78)가 개방/노출되거나 공조부(2)의 내부로 하강되어 공조부(2)의 상면을 덮으면서 공기 토출구(78)가 밀폐/은닉된다.
공조부(2)에는 공기 흡입부(6)와 공기 토출부(10)를 함께 여닫음과 아울러 공기를 안내하는 베인(90)(100)이 설치된다.
이하, 베인(90)(100)은 공기 흡입부(6)와 공기 토출부(10)를 동시에 함께 여닫음과 아울러 흡입 공기와 토출 공기 모두를 안내하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즉, 베인(90)(100)은 하부가 공기 흡입부(6)를 여닫음과 아울러 공기 흡입부(6)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흡입 도어 및 흡입 베인의 역할을 하고, 상부가 공기 토출부(10)를 여닫음과 아울러 공기 토출부(10)로 토출된 공기를 안내하는 토출 도어 및 토출 베인의 역할을 하며,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공조부(2)의 전방에는 공기조화기의 전면측 외관을 구성하는 프론트 패널(150)이 배치된다.
프론트 패널(150)은 공조부(2)의 전면 전체의 전방에 배치되거나, 공조부(2)의 전면 하부 전방에 배치되거나, 공조부(2)의 전면 상부 전방에 배치되고, 이하 공조부(2)의 전면 전체의 전방에 배치되어 공조부(2)의 전면을 덮는 것으로 설명한다.
프론트 패널(150)은 공조부(2)의 전방에 고정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좌,우 중 일측으로 중심으로 옆으로 회전되도록 공조부(2)에 회동되게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며, 공조부(2)의 전방에서 전후 방향으로 진퇴되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등의 서비스를 위해 공조부(2)에 좌,우 중 일측으로 중심으로 옆으로 회전되게 연결된 것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프론트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 에 도시된 A-A 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B-B 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운전일 때의 주요부 정면도이다.
프론트 패널(150)은 공조부(2)의 전방에 배치된 프론트 프레임(152)과, 프론트 프레임(152)에 설치된 디스플레이(154)와, 프론트 프레임(152)의 전방에 배치된 프론트 커버(160)와, 프론트 커버(160)를 프론트 프레임(150)과 고정시키는 프론트 홀더(170)를 포함한다.
프론트 패널(150)은 프론트 프레임(152)이 프론트 패널(150)의 배면 외관을 형성하고, 프론트 커버(160)가 프론트 패널(15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며, 프론트 홀더(170)가 프론트 패널(150)의 테두리 외관을 형성하고, 프론트 프레임(152)과 프론트 커버(160)와 프론트 홀더(170) 중 하나에 공조부(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된다.
프론트 프레임(152)에는 디스플레이(154)가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설치부(153)가 형성되고, 디스플레이 설치부(153)에는 디스플레이(154)에서 조사된 광이 통과하는 개구부(153a)가 개구 형성된다.
프론트 커버(160)는 투명하게 형성된 투명부재(161)와, 투명부재(160)의 전면과 배면 중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장식부(162)를 포함한다.
장식부(162)는 투명부재(161)의 배면에 형성될 경우 프론트 패널(150)의 전방에서 볼 때 투명부재(161)를 통해 보이면서 공기조화기의 전면측 장식미가 표현한다.
장식부(162)는 프론트 패널(150)의 전면 미감을 높이도록 특정 디자인을 표 현하는 문양과 투명하지 않는 색상 등을 갖는다.
장식부(162)는 투명부재(161)의 배면에 스크린 인쇄 등에 의해 일체 형성된 인쇄부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투명부재(161)의 배면에 부착된 필름이나 시트나 판체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장식부(162)는 투명부재(160)를 통해 장식미를 표현함과 아울러 디스플레이(154)의 오프시 디스플레이(154)를 가리는 것으로서, 디스플레이(154)의 전방과 디스플레이(154)의 전방 주변의 디자인이 일체감을 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154) 보다 크게 형성되고 디스플레이(154)의 전방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154)의 전방 주변에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프론트 패널(150) 특히 프론트 커버(160)는 디스플레이(154)에서 조사된 광이 확산되는 광확산부(164)를 포함한다.
광확산부(164)는 디스플레이(154)에서 조사된 광이 퍼지면서 전체적으로 고르게 보이도록 광을 확산시키는 부분으로서, 밝은 색 계열 특히 힌색으로 형성된다.
광확산부(164)는 디스플레이(154)의 정보를 표시하는 일종의 스크린으로서, 사각형이나 원형 등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그 중 적어도 하나에 공조부의 운전 상태 등을 표현하는 아바타나 그림 등의 특정 문양(165)이 양각 형성되어 광확산부(164)가 전체적으로 밝게 보이면서 특정 문양(165)이 어둡게 보이는 것도 가능하다.
광확산부(164)는 디스플레이(154)에서 광이 조사되지 않으면 장식부(162)에 의해 잘 보이지 않고, 디스플레이(154)에서 광이 조사되면 조사된 광에 의해 밝아져서 장식부(162)를 통해 보이도록 장식부(162)에 형성된다.
광확산부(164)는 장식부(162)의 배면에 장식부(162)와 전후 위치되게 형성된다.
디스플레이(154)는 광확산부(164)로 광을 조사하도록 광확산부(164) 후방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디스플레이(154)는 공조부(2)의 미작동시 오프되어 장식부(162) 및 광확산부(164)에 은닉되고, 공조부(2)의 작동시 온되어 광확산부(164)로 숫자와 기호와 문자와 도형과 그림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며, 공조부(2)의 운전과 공조 상황 등에 따라 숫자와 기호와 문자와 도형과 그림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하여 표시한다.
즉, 디스플레이(154)는 공조부(2)의 정지시 장식부(162) 및 광확산부(164)에 가려져서 프론트 패널(150)의 전방에서 보이지 않고, 공조부(2)의 운전시 광확산부(164)의 후방에서 광확산부(164)로 백 라이팅하여 광확산부(164)에 숫자와 기호와 문자와 도형과 그림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표시되게 하며, 공조부(2)의 운전과 공조 상황 등이 바뀌면 광확산부(164)에 표시되는 숫자와 기호와 문자와 도형과 그림 중 적어도 하나가 가변되게 한다.
디스플레이(154)는 상기와 같은 숫자와 기호와 문자와 도형과 그림(이하, ‘숫자 등’으로 칭하여 설명한다.)의 표시를 위해 엘이디 피시비 어셈블리나 그래픽 디스플레이(graphic display) 등으로 구성되고, 이하, 엘이디(155)가 회로기판(156) 상에 가로와 세로로 복수열 배치된 도트 매트릭스로 구성된 것으로 설명한 다.
한편, 광확산부(164)는 디스플레이(154)의 전방에 단수개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엘이디(155) 각각의 전방에 엘이디(155) 각각과 대응되게 복수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복수개가 엘이디(155) 각각의 전방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즉, 프론트 패널(150)은 디스플레이(154)에서 광이 조사되면, 광확산부(164)가 조사된 광에 의해 밝아져서 장식부(162)를 통해 보이면서 숫자 등이 장식부(162) 상에 음각으로 표시된다.
디스플레이(154)는 상기와 같은 음각 표시를 위해 복수개의 엘이디(155) 중 숫자 등과 전후 대응되는 엘이디(155A)가 복수개 온되고, 기타의 엘이디(155B)가 오프된다.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154)의 제어시, 광확산부(164)는 온된 엘이디(155A)의 전방에 위치하는 광확산부(164A)에만 엘이디(155A)의 광이 조사되어 밝게 보이고, 오프인 엘이디(155B)의 전방에 위치하는 광확산부(164B)는 장식부(162)에 가려지며, 프론트 패널(150)에는 밝게 보이는 광확산부(164A)의 조합에 의해 숫자 등이 음각으로 표현된다.
즉, 프론트 패널(150)은 디스플레이(154)가 온되면, 광확산부(164) 중 디스플레이(154)에 의해 밝게 보이는 부분(164A)과 주변에 위치하는 장식부(162)의 명암 대비에 의해 숫자 등이 표시되고, 장식부(162)는 숫자 등의 주변에서 장식미를 표현하게 된다.
한편, 디스플레이(154) 중 온/오프되는 엘이디(155A)(155B)가 변경되면, 광확산부(164)는 밝게 보이는 부분(164A)이 바뀌면서 숫자 등이 가변되어 표시된다.
즉, 프론트 패널(150)은 엘이디(155)가 온/오프 제어될 때, 디스플레이(154)에서 조사된 광이 광확산부(164)에 조사되고, 광확산부(164) 중 광이 조사된 부분(164A)은 장식부(162)를 통해 보이면서 숫자 등을 표시하며, 이때, 장식부(162)는 광확산부(164)가 밝을 때 광확산부(164)가 보이고, 광확산부(164)가 어두울 때 광확산부(164)가 보이지 않게 하는 반투명부로 기능을 한다.
한편, 프론트 패널(150)은 광확산부(164)로 조사되는 광의 색상이 가변될 경우, 광확산부(164)에 표시되는 숫자 등의 색상이 가변되는 바, 디스플레이(154)를 구성하는 엘이디(155)가 색상이 가변되는 엘이디로 구성된다.
프론트 패널(150)은 광확산부(164)로 조사되는 광의 밝기가 가변될 경우, 광확산부(164)에 표시되는 숫자 등의 밝기가 가변되는 바, 디스플레이(154)를 구성하는 엘이디(155)는 밝기가 가변되는 엘이디로 구성된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참조 부호 158은 디스플레이 설치부(153)를 덮고 디스플레이(154)를 보호하는 디스플레이 커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제어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정지와, 희망온도와, 냉방/난방/제습/송풍 등의 운전 모드와, 바람세기 등을 조작하는 조작부(240)와, 조 작부(240)의 조작 등에 따라 공기조화기 특히 공조부(2)를 제어하고, 디스플레이(154)를 제어하는 제어부(250)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250)는 조작부(240)를 통해 공기조화기의 운전이 입력되면, 희망온도와 운전 모드와 바람 세기 등에 따라 디스플레이(154) 중 일부의 엘이디(155a)를 온시키고, 이후 사용자의 조작 등에 의해 희망온도와 운전 모드와 바람 세기 등이 변경되면, 디스플레이(154) 중 온/오프되는 엘이디(155)를 변경한다.
프론트 패널(150)은 복수개의 엘이디(155) 중 온되는 엘이디(155A)들의 위치 즉, 온되는 엘이디(155A)들의 가로/세로 배열 조절에 따라 광확산부(164)에 표시되는 숫자 등이 가변된다.
또한, 제어부(250)는 냉방과 난방 등의 운전 모드에 따라 광확산부(164)로 조사하는 광의 색상이 가변되도록 디스플레이(154)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부(240)를 통해 조작된 운전 모드가 냉방 운전인 경우 제어부(250)는 엘이디(155) 중 온되는 엘이디(155A)가 청색 광을 광확산부(164)로 조사하도록 디스플레이(154)를 제어하고, 조작부(240)를 통해 조작된 운전 모드가 난방 운전인 경우 제어부(250)는 엘이디(155) 중 온되는 엘이디(155A)가 적색 광을 광확산부(164)로 조사하도록 디스플레이(154)를 제어하고, 조작부(240)를 통해 조작된 운전 모드가 청정 운전인 경우 제어부(250)는 엘이디(155) 중 온되는 엘이디(155A)가 백색 광을 광확산부(164)로 조사하도록 디스플레이(154)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50)는 송풍세기나 실내 온도 등에 따라 장식부(162)로 조사하는 광의 밝기가 가변되도록 디스플레이(154)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풍세기가 강풍인 경우 제어부(250)는 엘이디(155) 중 온되는 엘이디(155A)가 상한 설정 조도의 광을 광확산부(164)로 조사하도록 디스플레이(154)를 제어하고, 송풍세기가 약풍인 경우 제어부(250)는 엘이디(155) 중 온되는 엘이디(155A)가 하한 설정 조도의 광을 광확산부(164)로 조사하도록 디스플레이(154)를 제어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중 온/오프되는 엘이디가 변경될 경우를 도시한 디스플레이의 정면도이며, 도 9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중 온/오프되는 엘이디가 변경될 경우를 도시한 프론트 패널의 정면도이다.
먼저, 디스플레이(154)는 공조부(2)의 정지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엘이디(155) 모두가 오프이고, 광확산부(164)는 장식부(162)에 가려져 보이지 않으며, 사용자 등은 프론트 패널(150)의 전방에서 장식부(162)의 장식미를 느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부(2)의 운전시 복수개의 엘이디(155) 중 온되는 엘이디(155A)들이 회로기판(156) 상에 전체적으로 ‘25’ 모양으로 위치되게 디스플레이(154)를 제어하면, 광확산부(164)는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된 엘이디(155A)의 전방 부분만 밝게 보이고, 사용자 등은 프론트 패널(150)의 전방에서 장식부(162)를 통해 보이는‘25’를 확인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엘이 디(155) 중 일부 엘이디의 온/오프를 변경하여 온되는 엘이디(155A)들이 회로기판(156) 상에 전체적으로 ‘24’ 모양으로 위치되게 디스플레이(154)를 제어하면, 광확산부(164)는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밝게 보이는 부분이 일부 변경되고 사용자 등은 프론트 패널(150)의 전방에서 장식부(162)를 통해 보이는‘24’를 확인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가 정지일 때의 주요부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가 운전일 때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광확산부(164′)가 프론트 패널(150)의 전방에서 볼 때 장식부(162)와 함께 보이도록 장식부(162)에 둘러싸이도록 형성되고, 기타의 구성은 본 발명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프론트 패널(150)은 광확산부(164′)가 투명부재(161) 배면에 직접 형성되고, 광확산부(164′) 테두리 주변에 장식부(162)가 광확산부(164′)를 에워싸는 구조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디스플레이(154)의 온/오프와 무관하게 광확산부(164′)가 프론트 패널(150)의 전방에서 보이는 구조이나, 디스플레이(154)가 오프인 동안 즉, 공조부(2)의 오프시 광확산부(164′)가 장식부(162)의 장식미에 의해 선명하게 보이지 않다가 디스플레이(154) 온시 즉, 공조부(2)의 온시 디스 플레이(154)에서 조사된 광에 의해 밝아져서 선명하게 보이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또 다른 실시예가 정지일 때의 주요부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또 다른 실시예가 운전일 때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디스플레이가 엘시디 패널(154′)로 이루어지고, 광확산부(164″)가 엘시디 패널(154′)의 전방에 단수개 형성된다.
광확산부(164″)는 엘시디 패널(154′) 보다 크게 형성되고, 전방에서 볼 때 엘시디 패널(154′)과 전후 겹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엘시디 패널(154′)이 제어되어 숫자 등을 표시할 경우, 엘시디 패널(154′)에 표시된 숫자 등은 광확산부(164″)에 그대로 비춰지고, 사용자 등은 광확산부(164″)에 비춰지는 숫자 등을 확인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정지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시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프론트 패널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A-A 선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B-B 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운전일 때의 주요부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제어 블록도,
도 8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중 온/오프되는 엘이디가 변경될 경우를 도시한 디스플레이의 정면도,
도 9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중 온/오프되는 엘이디가 변경될 경우를 도시한 프론트 패널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가 정지일 때의 주요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가 운전일 때의 주요부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또 다른 실시예가 정지일 때의 주요부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또 다른 실시예가 운전일 때의 주요부 단면도,
도 14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15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 공조부 150: 프론트 패널
152: 프론트 프레임 154,154′: 디스플레이
155: 엘이디 155A: 온인 엘이디
155B: 오프인 엘이디 156: 회로기판
160: 프론트 161: 투명부재
162: 장식부 164,164′,164″: 광확산부
170: 프론트 홀더 240: 조작부
250: 제어부

Claims (8)

  1. 실내 공기가 흡입되어 공조된 후 토출되는 공조부와;
    상기 공조부 전방에 배치된 프론트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패널은
    프론트 프레임과;
    투명하게 형성된 투명부재와, 상기 투명부재의 배면에 형성된 장식부와, 상기 장식부의 배면에 형성된 광확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프레임 전방에 설치된 프론트 커버와;
    상기 광확산부 후방에 위치되게 상기 프론트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광확산부로 광을 조사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광확산부는 상기 장식부의 배면 중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방에만 형성된 공기조화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광확산부 후방에 배치된 엘이디 피시비 어셈블리인 공기조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 피시비 어셈블리는 복수개의 엘이디가 회로 기판상에 세로 및 가로로 복수열 배열된 도트 매트릭스이고,
    상기 광확산부는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 각각의 전방에 각각 형성된 공기조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광확산부 후방에 배치된 엘시디 패널인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광확산부 후방에 배치된 그래픽 디스플레이인 공기조화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오프시 상기 장식부에 가려져서 보이지 않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온시 상기 광확산부 중 광이 조사된 부분이 상기 장식부를 통해 밝게 보이는 공기조화기.
KR1020080027055A 2008-03-24 2008-03-24 공기조화기 KR101466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055A KR101466296B1 (ko) 2008-03-24 2008-03-24 공기조화기
CN2010105695776A CN102116505A (zh) 2008-03-24 2008-06-13 空调机
CN2008101112992A CN101545655B (zh) 2008-03-24 2008-06-13 空调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055A KR101466296B1 (ko) 2008-03-24 2008-03-24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1736A KR20090101736A (ko) 2009-09-29
KR101466296B1 true KR101466296B1 (ko) 2014-11-27

Family

ID=41192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7055A KR101466296B1 (ko) 2008-03-24 2008-03-24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66296B1 (ko)
CN (1) CN10154565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74616B (zh) * 2010-08-24 2016-01-20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一种空调机的面板显示装置及控制方法
CN102865659B (zh) * 2011-07-05 2014-12-1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器面板及空调器
CN111735129B (zh) * 2014-05-06 2023-02-17 捷通国际有限公司 空气处理系统
CN108458445B (zh) * 2018-02-06 2024-02-2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的显示部件及空调器
CN108895537B (zh) * 2018-05-03 2024-03-05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
CN208936355U (zh) * 2018-09-05 2019-06-04 广东美的环境电器制造有限公司 空气净化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806U (ko) * 1989-07-25 1991-03-19
KR20050087667A (ko) * 2004-02-27 2005-08-3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전면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20060081998A (ko) * 2005-01-11 2006-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20060093986A (ko) * 2005-02-23 2006-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27648B2 (ja) * 2004-09-27 2011-02-09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この表示装置を用いた空気調和機
CN200961925Y (zh) * 2006-10-13 2007-10-1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的隐藏式显示操控面板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806U (ko) * 1989-07-25 1991-03-19
KR20050087667A (ko) * 2004-02-27 2005-08-3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전면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20060081998A (ko) * 2005-01-11 2006-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20060093986A (ko) * 2005-02-23 2006-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45655A (zh) 2009-09-30
KR20090101736A (ko) 2009-09-29
CN101545655B (zh) 201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1868B1 (ko) 공기 조화기
KR101466296B1 (ko) 공기조화기
KR20100055910A (ko) 백라이팅유닛 및 이를 갖는 공기조화기
CN101881503A (zh) 壁挂式空调室内机
JP4045147B2 (ja) 空気調和機
JP2009243737A (ja) 空気調和機
KR20090076092A (ko) 공기조화기
KR101611325B1 (ko) 공기조화기
KR101482106B1 (ko) 공기조화기
KR101533315B1 (ko) 공기조화기
KR100902930B1 (ko) 공기조화기
KR20090125543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25329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표시 방법
CN101520209B (zh) 空调机
KR101482107B1 (ko) 공기조화기
CN102116505A (zh) 空调机
KR2013014248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1666452B1 (ko) 공기조화기
KR101482105B1 (ko) 공기조화기
JP2003223125A (ja) 表示装置
KR100958394B1 (ko) 공기조화기
KR101507812B1 (ko) 공기조화기
WO2012156871A1 (en) A device for displaying graphical symbols
CN201724358U (zh) 壁挂式空调室内机
KR100906184B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