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0536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0536B1
KR101240536B1 KR1020120052588A KR20120052588A KR101240536B1 KR 101240536 B1 KR101240536 B1 KR 101240536B1 KR 1020120052588 A KR1020120052588 A KR 1020120052588A KR 20120052588 A KR20120052588 A KR 20120052588A KR 101240536 B1 KR101240536 B1 KR 101240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ischarge
space
housing
discharg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2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용
윤주협
송성우
손상혁
손민수
김정훈
황순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2102359344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2840627B/zh
Priority to CN2012203283920U priority patent/CN202692257U/zh
Priority to EP12194257.7A priority patent/EP260256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8Ventil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78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2Centrifugal or rad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5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formed as cylindrical or spherical bodies which are rota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6Arrangements for air-circulation by means of induction, e.g. by fluid coupling or thermal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0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Abstract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공간에 배치된 토출 바디를 포함하고, 토출 바디는 토출 공간이 형성된 개구부와, 개구부의 둘레에서 토출 공간으로 공기를 토출 안내하는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며, 토출 바디는 토출 공간이 형성되는 제 1 바디와, 제 1 바디와 공기 토출구를 형성하고 본체에서 송풍된 공기가 공기 토출구로 분산되게 안내하는 제 2 바디를 포함하여, 토출 바디가 간결하게 보일 수 있고, 토출 공간이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n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공기 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온도나 습도나 청정도 등을 변화시킨 후 공기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토출하여 실내를 쾌적한 환경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내부에 냉매와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기로 송풍시킨 후 외부로 토출하는 송풍기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의 형상이나 개구 방향이나 개수 등에 따라 실내에 다양한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최근에는 안전성과 고급화를 위해 공기흡입구와 공기토출구를 최대한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으면서 최대한 넓은 면적으로 공기를 토출하게 하는 추세이다.
본 발명은 공기를 넓게 분산 토출할 수 있고 토출 바디가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공간에 배치된 토출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 바디는 토출 공간과, 상기 토출 공간으로 공기를 토출 안내하는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토출 바디는 상기 토출 공간이 형성된 제 1 바디와, 상기 제 1 바디와 상기 공기 토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에서 송풍된 공기를 상기 공기 토출구로 안내하는 제 2 바디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 토출구는 단면 형상이 폐루프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는 상기 공기조화기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토출 바디를 보호하고 내부에 상기 공간이 형성된 토출 바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 바디 하우징은 상기 토출 바디의 좌측과 우측과 상측을 둘러쌀 수 있다.
상기 토출 바디 하우징과 상기 토출 바디 사이에는 공기 안내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 바디 하우징은 상기 토출 바디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공기를 상측으로 송풍하는 송풍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토출 바디 하우징은 저면에 흡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는 송풍기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리어 패널과, 상기 리어 패널의 전방에 설치된 프론트 패널과; 상기 리어 패널과 프론트 패널 사이에 설치된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공간으로 송풍하는 송풍기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 바디 하우징은 상기 리어 패널 상측과 프론트 패널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는 상기 제 2 바디와 함께 상기 공기 토출구를 형성하는 리어 확장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2 바디의 선단과 상기 토출 공간의 중심축 사이의 최단거리는 상기 리어 확장부의 선단과 상기 토출 공간의 중심축 사이의 최단거리 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본체는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간으로 송풍하는 송풍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송풍기는 회전축이 상기 토출 바디의 중심축과 평행할 수 있다.
상기 토출 바디는 공기가 유입되는 복수개의 공기 유입구가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공기 유입구는 상기 토출 바디의 외둘레 상부에 형성된 상부 공기 유입구와, 상기 토출 바디의 외둘레 하부에 형성된 하부 공기 유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토출 바디를 둘러싸는 토출 바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토출 바디 하우징과 상기 토출 바디의 사이에는 상기 상부 공기 유입구로 공기를 안내하는 공기 안내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 바디는 상기 복수개의 공기 유입구를 중심축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토출 바디에는 상기 공기 토출구가 연통되는 공기 분산 유로와, 공기가 상기 공기 분산 유로로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본체와 토출 바디의 사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입구로 공기를 안내하는 공기 안내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토출구는 선단이 상기 토출 공간을 통해 보일 수 있다.
상기 토출 공간의 외둘레 위치에서 폐루프 형상으로 발광되는 발광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 바디를 회전시키는 회전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 바디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토출 바디가 간결하게 보일 수 있고, 토출 바디의 토출 공간이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토출 바디가 토출 바디 하우징에 의해 보호되어 토출 바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토출 바디가 회전되면서 공기가 입체 기류를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의 전후 방향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공기 토출구의 전체로 공기를 분산시킬 수 있고, 토출 공간의 특정 영역으로 공기가 집중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발광기구가 공기조화기의 공기 토출 영역을 외부로 알릴 수 있으고, 토출 바디의 공기 토출 및 토출 바디의 입체 토출을 가시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 바디를 본체와 분리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공기 토출 유닛이 도시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공기 토출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공기 토출 유닛이 도시된 종단면도,
도 9는 도 6에 도시된 공기 토출 유닛의 일부 절결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발광기구가 확대 도시된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발광기구가 도시된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토출 바디가 전방으로 공기를 토출할 때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토출 바디가 전방 우측으로 공기를 토출할 때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토출 바디가 전방 좌측으로 공기를 토출할 때의 사시도,
도 15은 도 12에 도시된 공기 토출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16은 도 12에 도시된 공기 토출 유닛의 종단면도,
도 17은 도 12에 도시된 공기 토출 유닛의 일부 절결 사시도,
도 18은 도 12에 도시된 공기 토출 유닛의 정단면도이고,
도 19는 도 12에 도시된 공기 토출 유닛의 저면도이며,
도 20은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토출 바디가 회전될 때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 바디를 본체와 분리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공기 흡입구(2)가 형성되고 공간(3)이 형성된 본체(4)와; 공간(3)에 배치된 토출 바디(5)를 포함한다. 공기는 공기 흡입구(2)로 흡입되어 본체(4)를 통과하고, 토출 바디(5)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공간(3)은 본체(4)를 관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공간(3)은 본체(4)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간(3)은 그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일면이 막히게 형성될 수 있다. 공간(3)은 전면이 개방되고 후면이 막히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공간(3)은 전면이 막히고 후면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공간(3)은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는 것이 가능하다. 공간(3)은 토출 바디(5)가 수용되는 토출 바디 수용 공간이 될 수 있고, 공기를 토출 바디(5)로 안내하는 공기 안내 유로로 기능할 수 있다.
본체(4)는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고, 토출 바디(5)를 보호할 수 있다. 본체(4)는 공기를 토출 바디(5)로 안내할 수 있다. 본체(4)는 상하 방향으로 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 바디(5)는 토출 공간(G)과, 토출 공간(G)으로 공기를 토출 안내하는 공기 토출구(L)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 바디(5)는 본체(4)에 위치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본체(4)에 회전되게 설치되거나 무빙되게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토출 바디(5)는 토출 공간(G)이 내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 공간(G)은 빈 공간이 될 수 있다. 공기 토출구(L)는 개구부의 둘레에서 토출 공간(G)으로 공기를 토출 안내할 수 있다. 공기 토출구(L)는 개구부의 선단과 후단 사이로 공기를 토출하게 형성될 수 있고, 공기 토출구(L)는 개구부의 대략 중앙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는 토출 바디(5)를 관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는 토출 바디(5)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게 개구될 수 있다. 개구부는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한면이 개방될 수 있다. 개구부의 전면과 후면이 개방될 경우, 공기 토출구(L)에서 토출 공간(G)로 토출된 공기는 토출 공간(G)의 전방과 후방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개구부의 전면이 개방되고 개구부의 후면이 막힐 경우, 공기 토출구(L)에서 토출 공간(G)로 토출된 공기는 토출 공간(G)의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개구부의 후면이 개방되고 개구부의 전면이 막힌 경우, 공기 토출구(L)에서 토출 공간(G)로 토출된 공기는 토출 공간(G)의 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개구부는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는 전후 방향으로 개방된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 공간(G)은 중심축(C)이 수평할 수 있다.
공기 토출구(L)는 공기를 토출 공간(G)으로 토출 안내하는 공기 토출 유로로서, 개구부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공기 토출구(L)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직선 구간을 갖을 수 있다. 공기 토출구(L)는 개구부의 개구 방향과 예각의 경사각을 갖는 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공기 토출구(L)는 그 전체 형상이 원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 토출구(L)는 단면 형상이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 토출구(L)는 단면 형상이 원형 폐루프 형상, 사각형 폐루프 형상, 타원형 페루프 형상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폐루프 형상의 일부가 라운드진 영역과 직선 영역을 함께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토출 바디(5)는 공기 토출구(L)의 개구 방향에 따라 전방 토출과 후방 토출을 결정할 수 있다. 공기 토출구(L)가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는 형상일 경우 공기 토출구(L)에서 토출 공간(G)으로 토출된 공기는 토출 공간(G)의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공기 토출구(L)가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는 형상일 경우 공기 토출구(L)에서 토출 공간(G)로 토출된 공기는 토출 공간(G)의 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공간(3)의 공기는 공기 토출구(L)를 따라 안내되어 토출 공간(G)로 유동될 수 있고, 이후 토출 공간(G)를 통과하여 토출 공간(G)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공기 토출구(L)는 선단이 토출 공간(G)을 통해 보이게 형성될 수 있다.
토출 바디(5)는 토출 공간(G)이 형성된 제 1 바디(6)와, 제 1 바디(6)와 공기 토출구(L)를 형성하고 본체(4)에서 송풍된 공기를 공기 토출구(L)로 안내하는 제 2 바디(7)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바디(6)와 제 2 바디(7)는 함께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고, 공기 토출구(L)는 제 1 바디(6)와 제 2 바디(7)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바디(6)는 공기조화기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제 2 바디(7)는 본체(4)에서 송풍된 공기가 공기 토출구(L)로 분산되게 안내할 수 있다. 제 1 바디(6)는 제 2 바디(7)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제 2 바디(7)는 제 1 바디(6)의 후방 위치에서 토출 공간(G)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토출 공간(G)은 전후방이 개방될 수 있다. 제 1 바디(6)는 선단과 후단 사이가 전후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제 2 바디(7)는 선단이 토출 공간(G)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하, 제 1 바디(6)를 프론트 바디(6)로 칭하고, 제 2 바디(7)를 리어 바디(7)로 칭하여 설명한다.
본체(4)는 공기 흡입구(2)로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거나 냉각시키는 열교환기(8)와; 공기를 흡입하여 공간(3)으로 송풍시키는 송풍기(10)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10)는 공기를 상측으로 송풍할 수 있다. 송풍기(10)는 공기 흡입구(2)로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기(8)를 통과시킨 후 공간(3)으로 송풍시킬 수 있다. 본체(4)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1)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1)에는 공기 흡입구(2)가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기(8)와 송풍기(10)는 케이싱(11)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케이싱(11)은 토출 바디(5)를 보호할 수 있다.
본체(4) 외부의 공기는 공기 흡입구(2)를 통해 본체(4)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공기 흡입구(2)는 케이싱(11)의 후방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체(4) 외부의 공기는 케이싱(11)의 후방 위치에서 공기 흡입구(2)를 통과하여 케이싱(11)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본체(4)는 케이싱(11) 내부의 공기가 공기 토출구(L)와 별도로 토출될 수 있는 본체 토출구(12)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 토출구(12)는 케이싱(11)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 흡입구(2)로 흡입된 공기는 일부가 본체(4)의 내부에서 토출 바디(5)로 유동된 후 토출 바디(5)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공기 흡입구(2)로 흡입된 공기는 나머지가 본체(4)의 내부에서 본체 토출구(12)를 통해 본체(4)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본체(4)는 리어 패널(13)과, 리어 패널(13)의 전방에 설치된 프론트 패널(14)을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8)는 리어 패널(13)과 프론트 패널 사이(14)에 설치될 수 있고, 송풍기(10)는 열교환기(8)와 프론트 패널(14)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송풍기(10)는 열교환기(8)를 통과한 공기를 공간(3)으로 송풍할 수 있다.
리어 패널(13)은 공기 흡입구(2)가 형성된 흡입 패널이 될 수 있다. 리어 패널(13)은 상면이 개방될 수 있다. 리어 패널(13)은 후판(15)과, 후판(15)의 좌측부에 형성된 좌측판(16)과, 후판(15)의 우측부에 형성된 우측판(17)을 포함할 수 있다. 리어 패널(13)은 후판(15)에 공기 흡입구(2)가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리어 패널(13)은 좌측판(16)과 우측판(17)의 사이에 열교환기(8)가 수용되는 열교환기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리어 패널(13)은 열교환기(8)가 올려지는 하판(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리어 패널(13)에는 공기 흡입구(2)로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유닛이 설치될 수 있다. 정화유닛은 리어 패널(13)의 배면에 설치되는 흡입 그릴(19)과, 흡입 그릴(19)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패널(14)은 본체 토출구(12)가 형성된 토출 패널이 될 수 있다. 프론트 패널(14)은 상면이 개방될 수 있다. 프론트 패널(14)은 전판(21)과, 전판(21)의 좌측부에서 형성된 좌측판(22)과, 전판(21)의 우측부에서 형성된 우측판(23)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패널(14)은 하면이 막힐 수 있다. 프론트 패널(14)은 좌측판(22)과 우측판(23) 중 적어도 하나에 본체 토출구(12)가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패널(14)은 좌측판(22)과 우측판(23) 각각에 본체 토출구(1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 토출구(12)는 프론트 패널(14)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4)는 리어 패널(13)과 프론트 패널(14)이 올려지는 베이스(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어 패널(13)은 베이스(24)의 후방부 상측에 이 설치될 수 있다. 프론트 패널(14)은 베이스(24)의 전방부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24)는 전면이 개방될 수 있다.
열교환기(8)는 공기 흡입구(2)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8)는 리어 패널(13)의 하판(18)에 올려질 수 있고, 리어 패널(13)의 좌측판(16)과 우측판(17) 사이 위치에 수직하게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본체(4)는 토출 바디(5)를 보호하는 토출 바디 하우징(38)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 바디 하우징(38)은 토출 바디(5)와 함께 공기 토출 유닛을 구성할 수 있다. 토출 바디 하우징(38)은 내부에 공간(3)이 형성될 수 있고, 토출 바디(5)는 토출 바디 하우징(38)의 공간(3)에 위치될 수 있다. 토출 바디 하우징(38)은 토출 바디(5)를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토출 바디 하우징(38)은 토출 바디(5)의 일부를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토출 바디 하우징(38)은 토출 바디(5)의 좌측과 우측과 상측을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토출 바디 하우징(38)은 토출 바디(5)가 공간(3)에 배치될 경우 토출 바디(5)와 공기 안내 유로(P)를 형성할 수 있다. 토출 바디 하우징(38)은 리어 패널(13)의 상측과 프론트 패널(14)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토출 바디 하우징(38)은 저면에 흡입구(30)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30)는 송풍기(10)와 연통될 수 있다. 송풍기(10)에서 상측으로 송풍된 공기는 흡입구(30)를 통과해 토출 바디 하우징(38)의 공간(3)으로 유입될 수 있다. 토출 바디(5)는 토출 바디 하우징(38)에 고정될 수 있다. 프론트 바디(6)는 토출 바디 하우징(38)의 전방부에 고정될 수 있고, 리어 바디(7)는 토출 바디 하우징(38)의 후방부에 고정될 수 있다. 토출 바디 하우징(38)은 저면에 흡입구(30)가 형성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 바디 하우징(38)은 리어 하우징(39)과, 리어 하우징(39) 전방에 배치된 프론트 하우징(40)을 포함할 수 있다. 리어 하우징(39)은 리어 패널(13)의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프론트 하우징(40)은 프론트 패널(14)의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송풍기(10)는 열교환기(8)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송풍기(10)는 회전축(O)이 토출 공간(G)의 중심축(C)과 평행할 수 있다. 송풍기(10)의 회전축(O)은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고, 토출 공간(G)의 중심축(C)은 수평할 수 있다. 송풍기(10)는 모터와, 송풍팬 포함할 수 있고, 송풍팬은 공기를 전후 방향으로 흡입하여 둘레 방향으로 송풍하는 원심식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10)는 프론트 패널(14)에 설치되어 공기를 본체 토출구(12)와 공간(3)으로 송풍할 수 있다. 송풍기(10)는 복수개가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송풍기(10)는 본 실시예에서 2개가 이격되게 설치되고, 실시예에 따라 3개 이상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송풍기는 어느 하나가 토출 바디(5)와 더 가깝게 설치될 수 있고, 다른 하나가 토출 바디(5)와 더 멀게 설치될 수 있다. 토출 바디(5)와 더 가까운 송풍기는 본체 토출구(12)와 공간(3)으로 공기를 송풍하게 설치될 수 있고, 토출 바디(5)와 더 먼 송풍기는 본체 토출구(12)로 공기를 송풍하게 설치될 수 있다. 송풍기(10)는 토출 바디(5)와 더 가까운 상부 송풍기(41)와, 토출 바디(5)와 더 먼 하부 송풍기(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송풍기(41)는 공간(3)의 하측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고, 하부 송풍기(42)는 상부 송풍기(41)의 하측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부 송풍기(41)는 상부 모터(43)와, 상부 모터(43)에 회전축이 연결되고 후방의 공기를 흡입하여 둘레 방향으로 송풍시키는 상부 원심식 송풍팬(44)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모터(43)는 열교환기(8)의 상부 전방에 위치되게 프론트 패널(14)에 설치될 수 있다. 하부 송풍기(42)는 프론트 패널(14)에 설치된 하부 모터(45)와, 하부 모터(45)에 회전축이 연결되고 후방의 공기를 흡입하여 둘레 방향으로 송풍시키는 하부 원심식 송풍팬(46)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모터(45)는 열교환기(8)의 하부 전방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본체(4)의 내부에는 상부 송풍기(41)의 유로와 하부 송풍기(42)의 유로를 구획하고 공기를 안내하는 구획 가이드(47)가 배치될 수 있다. 구획 가이드(47)는 그 상면이 상부 송풍기(41)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를 안내하고, 그 하면이 하부 송풍기(42)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를 안내한다. 구획 가이드(47)는 프론트 패널(14)의 좌측판(22)과 우측판(2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송풍기(10)는 열교환기(8)를 통과한 공기를 상부 원심식 송풍팬(44) 및 하부 원심식 송풍팬(46)으로 안내하는 오리피스(48)를 포함할 수 있다. 오리피스(48)는 열교환기(8)의 상부를 통과한 공기를 상부 원심식 송풍팬(44)으로 안내하는 상부 가이드 홀(49)이 형성될 수 있다. 오리피스(48)는 열교환기(8)의 하부를 통과한 공기를 하부 원심식 송풍팬(46)으로 안내하는 하부 가이드 홀(50)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프론트 패널(14)의 측면과 토출 바디 하우징(38)의 전방부 측면을 함께 덮는 측면 커버(60)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 커버(60)는 프론트 패널(14)의 측면과 토출 바디 하우징(38)의 전방부 측면 사이의 경계를 커버할 수 있다. 측면 커버(60)는 본체 토출구(12)와 연통되는 공기 토출홀(58)이 형성될 수 있다. 측면 커버(6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24)의 전방부 측면을 프론트 패널(14)의 측면 및 토출 바디 하우징(38)의 전방부 측면과 함께 커버할 수 있다. 측면 커버(60)는 상하로 길게 형성된 수직판(62)과, 수직판(62)의 상부에서 절곡된 수평부(64)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판(62)은 베이스(24)의 전방부 측면과, 프론트 패널(14)의 측면과, 토출 바디 하우징(38)의 전방부 측면을 함께 덮을 수 있다. 수평부(64)는 토출 바디 하우징(38)의 상면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측면 커버(60)는 본체 토출구(12)와 대응되는 위치에 공기 토출홀(58)이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패널(14)과 측면 커버(60) 중 하나에는 풍향조절부재(67)와, 풍향조절 모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풍향조절부재(67)는 본체 토출구(12)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풍향조절부재(67)는 본체 토출구(12)를 여닫을 수 있다. 풍향조절 모터는 풍향조절부재(67)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고, 본체 토출구(12)를 여닫을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토출 바디(5)의 공기 토출구(L) 보다 큰 개구홀(68)이 형성되고 프론트 패널(14)의 전면과 토출 바디 하우징(38)의 전면을 함께 덮는 전면 커버(7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커버(70)는 프론트 패널(14)의 전면과 토출 바디 하우징(38)의 전면 사이의 경계를 커버할 수 있다. 전면 커버(7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24)의 전면을 프론트 패널(14)의 전면 및 토출 바디 하우징(38)의 전면과 함께 커버할 수 있다. 전면 커버(70)는 토출 바디(5)의 선단 이외를 덮게 설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공기 토출 유닛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공기 토출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된 공기 토출 유닛이 도시된 종단면도이고, 도 9는 도 6에 도시된 공기 토출 유닛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공기조화기는 본체(4)의 내부에서 공조된 공기가 토출 공간(G)의 전방 방향으로 토출되는 토출 통로를 갖을 수 있다. 토출 통로는 공기 안내 유로(P)와 공기 토출구(L)와 토출 공간(G)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공기 토출구(L)는 공기 안내 유로(P)와 토출 공간(G)를 연통시키게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바디(6)는 프론트 하우징(40)에 연결됨과 아울러 프론트 하우징(40)에 수용될 수 있다.
리어 바디(7)는 리어 하우징(39)에 연결됨과 아울러 리어 하우징(39)에 수용될 수 있다. 리어 바디(7)는 공기 토출구(L)를 사이에 두고 프론트 바디(6)와 전후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토출 바디 하우징(38)은 프론트 바디(6) 및 리어 바디(7)와 공기 안내 유로(P)를 형성할 수 있다. 공기 안내 유로(P)는 흡입구(30)를 통과해 토출 바디 하우징(38)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토출 바디(5)와 토출 바디 하우징(38)의 사이에서 분산시키는 분산 통로로 기능할 수 있다. 토출 바디 하우징(38)은 프론트 바디(6)의 일부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부(80)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80)는 토출 바디 하우징(38) 전판에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수용부(80)는 토출 바디 하우징(38) 전판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원통부(82)와, 원통부(82) 후단에 형성된 원판부(84)를 포함할 수 있다. 원판부(84)는 원통부(82)의 후단에 직교하게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80)는 원판부(84)에 프론트 개구홀(86)이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개구홀(86)은 전후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프론트 개구홀(86)은 리어 바디(7)의 선단(131)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프론트 바디(6)에 대해서 설명한다.
프론트 바디(6)는 토출 바디 하우징(38)에 형성된 수용부(80)에 삽입될 수 있다. 프론트 바디(6)는 수용부(80)에 연결될 수 있다. 프론트 바디(6)는 그 후단이 수용부(80)에 연결될 수 있다. 프론트 바디(6)는 그 선단이 토출 바디 하우징(38)의 전면 보다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프론트 바디(6)는 리어 바디(7)와 공기 토출구(L)를 형성하는 프론트 토출 바디(103)와, 프론트 토출 바디(103)에 연결되는 프론트 커버(10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토출 바디(103)는 프론트 원통부(105)와, 프론트 원통부(105)의 후단에 형성되는 프론트 원판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원통부(105)는 수용부(80)의 원통부(82)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원판부(106)는 수용부(80)의 원판부(84)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원판부(106)는 프론트 원통부(105)의 후단에 직교하게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바디(6)는 리어 바디(7)와 함께 공기 토출구(L)를 형성하는 리어 확장부(107)가 형성될 수 있다. 리어 확장부(107)는 후방으로 갈수록 개구 면적이 증대되게 형성될 수 있다. 리어 확장부(107)는 프론트 토출 바디(103)에 형성될 수 있다. 리어 확장부(107)는 후단이 선단 보다 크게 형성된 중공 원통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리어 확장부(107)는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고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리어 확장부(107)는 후단이 수용부(80)의 원판부(84)에 연결될 수 있다. 리어 확장부(107)는 내면이 리어 바디(7)와 함께 공기 토출구(L)를 형성하는 공기 토출 유로부로 기능할 수 있다.
프론트 바디(6)는 공기 토출구(L)의 전방에 위치되는 전방 연장부(108)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 연장부(108)는 그 내경(D1)이 리어 바디(7)의 선단(131) 직경(D2)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전방 연장부(108)는 전후 방향으로 개방된 중공 원통부로 이루어질 수 있고, 공기 토출구(L)를 통과한 공기는 전방 연장부(108)의 내부를 통과하여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전방 연장부(108)는 후단이 리어 확장부(107)에 연결될 수 있다. 전방 연장부(108)는 리어 확장부(107)와 둔각(θ)을 갖게 리어 확장부(107)와 연결될 수 있다. 전방 연장부(108)는 후단이 리어 확장부(107)의 선단과 접촉되는 것이 가능하다. 전방 연장부(108)는 후단이 리어 확장부(107)의 선단과 끼움되어 결합되거나 접착재로 결합될 수 있다.
프론트 바디(6)는 전방 연장부(108)의 선단에 전방으로 갈수록 개구 면적이 증대되는 프론트 확장부(109)가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확장부(109)는 선단이 후단 보다 크게 형성된 중공 원통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론트 확장부(109)는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크고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확장부(109)는 후단이 전방 연장부(108)의 선단에서 절곡될 수 있다. 프론트 확장부(109)는 전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론트 확장부(109)는 선단이 도 1에 도시된 전면 커버(70)의 개구홀(68)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바디(6)는 전방 연장부(108)와 프론트 확장부(109)가 프론트 커버(104)를 구성할 수 있다. 프론트 바디(6)는 리어 확장부(107)가 프론트 원통부(105) 및 프론트 원판부(106)와 함께 프론트 토출 바디(103)를 구성할 수 있다.
프론트 바디(6)와 토출 바디 하우징(38)에는 프론트 바디(6)를 토출 바디 하우징(38)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 있는 프론트 바디 체결부(110A)(110B)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는 프론트 토출 바디(103)와 프론트 커버(104)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프론트 바디 체결부(110A)를 관통한 후 프론트 하우징(40)에 형성된 프론트 바디 체결부(110B)에 체결되어 프론트 바디(6)를 토출 바디 하우징(38)에 체결할 수 있다.
프론트 토출 바디(103)와 프론트 커버(104)에는 프론트 토출 바디(103)와 프론트 커버(104)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결합될 수 있는 프론트 바디 결합부(111A)(111B)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는 프론트 커버(104)에 형성된 프론트 바디 결합부(111A)를 관통한 후 프론트 토출 바디(103)에 형성된 프론트 바디 결합부(111B)에 체결되어 프론트 커버(104)와 프론트 토출 바디(103)를 결합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발광기구(112)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기구(112)는 토출 바디(5)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발광기구(112)는 토출 공간(G)의 외둘레에 위치될 수 있다. 발광기구(112)는 개구부의 외둘레에 위치될 수 있다. 발광기구(112)는 공기 토출구(L)와 대응되는 광을 발광할 수 있다. 발광기구(112)는 공기 토출구(L)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광을 발광할 수 있다. 발광기구(112)는 공기 토출구(L) 선단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광을 발광할 수 있다. 발광기구(112)는 폐루프 형상으로 발광할 수 있다. 발광기구(112)는 원형 폐루프 형상으로 발광하거나, 사각형 폐루프 형상으로 발광하거나, 타원형 페루프 형상으로 발광하는 것이 가능하다. 발광기구(112)는 라운드진 형상의 광과 직선인 광을 함께 발광하는 것이 가능하다. 발광기구(112)는 공기 토출구(L)의 선단 보다 크기가 크고 공기 토출구(L)의 선단과 형상이 동일한 광을 발광할 수 있다. 발광기구(112)는 프론트 바디(6)에 설치될 수 있다. 프론트 바디(6)는 프론트 토출 바디(103)와 프론트 커버(104)의 사이에 발광 공간(V)이 형성될 수 있다. 발광 공간(V)은 프론트 토출 바디(103)와 프론트 커버(104)의 사이에 중공 원통 형상이나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발광 공간(V)은 개구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토출 공간(G)과 구획될 수 있다. 발광 공간(V)은 개구부의 외측 둘레에 개구부를 둘러싸게 위치될 수 있다. 발광기구(112)는 발광 공간(V)에 폐루프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발광기구(112)는 발광 공간(V)에 설치될 수 있다. 발광기구(112)는 프론트 토출 바디(103)와 프론트 커버(104)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발광기구(112)는 토출 바디(5)의 전방 방향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발광기구(112)는 프론트 커버(104)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발광기구(112)는 프론트 토출 바디(103)에 설치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04)는 발광기구(112)의 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04)는 발광기구(112)의 광이 확산될 수 있는 확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기구(112)가 온되면, 발광기구(112)에서 조사된 광은 프론트 커버(104)로 조사되고, 프론트 커버(104)는 밝게 보이면서 실내를 조명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04)에는 공기 토출구(L) 보다 크기가 크고 공기 토출구(L)와 형상이 동일한 광이 표현될 수 있다. 토출 바디(5)는 토출 공간(G)의 주변에서 밝게 보이거나 토출공간(G)의 주변에서 색상이 보일 수 있고, 토출 공간(G)를 통한 공기 토출을 가시화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04)는 발광기구(112)를 보호하면서 동시에 광을 안내하는 광 가이드로 기능하거나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판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하, 리어 바디(7)에 대해서 설명한다.
리어 바디(7)는 외주면이 토출 바디 하우징(38)과 공기 안내 유로(P)를 형성할 수 있다. 리어 바디(7)는 내측에 프론트 바디(6)의 토출 공간(G)과 전후 방향으로 연통되는 리어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 토출 바디(5)는 프론트 바디(6)의 토출 공간(G)과 리어 바디(7)의 리어 공간이 개구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빈 공간이 될 수 있다. 리어 바디(7)는 선단(131)이 프론트 바디(6)의 토출 공간(G)으로 삽입될 수 있다.
리어 바디(7)의 선단(131)과 토출 공간(G)의 중심축(C) 사이의 최단거리는 리어 확장부(107)의 선단과 토출 공간(G)의 중심축(C) 사이의 최단거리 보다 짧을 수 있다. 리어 바디(7)는 선단(131)의 직경(D2)이 프론트 바디(6)의 리어 확장부(107) 선단 직경 보다 작을 수 있다. 공기 토출구(L)의 선단은 토출 공간을 통해 보일 수 있다. 리어 바디(7)는 후단(132)이 토출 바디 하우징(38)에 연결될 수 있다. 리어 바디(7)는 프론트 바디(6)의 리어 확장부(107)와 대향되는 부분이 리어 바디(7)와 함께 공기 토출구(L)를 형성하는 공기 토출 유로부로 기능할 수 있다.
리어 바디(7)는 리어 에어 가이드(133)(134)와, 리어 이너 커버(135)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 에어 가이드(133)(134)는 프론트 바디(6)와 공기 토출구(L)를 형성하고 공기 안내 유로(P)의 공기를 공기 토출구(L)로 안내할 수 있다.
리어 에어 가이드(133)(134)는 앞부분이 프론트 바디(6)와 대향되면서 프론트 바디(6)와 공기 토출구(L)를 형성할 수 있다. 리어 에어 가이드(133)(134)는 선단이 프론트 바디(6)의 토출 공간(G)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리어 에어 가이드(133)(134)는 뒷부분이 리어 하우징(39)과 공기 안내 유로(P)를 형성할 수 있다. 리어 에어 가이드(133)(134)는 리어 이너 커버(135)의 좌측 외주에 배치되는 좌측 리어 에어 가이드(133)와, 리어 이너 커버(135)의 우측 외주에 배치되는 우측 리어 에어 가이드(134)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 에어 가이드(133)(134)는 좌측 리어 에어 가이드(133)와 우측 리어 에어 가이드(134)가 리어 이너 커버(135)에 설치되었을 때 외주면이 토출 바디 하우징(38)을 향할 수 있고, 내주면이 리어 이너 커버(135)에 향할 수 있다.
리어 이너 커버(135)는 리어 에어 가이드(133)(134)와 결합될 수 있고, 리어 에어 가이드(133)(134)는 리어 이너 커버(135)에 설치될 수 있다. 리어 이너 커버(135)는 토출 바디 하우징(38)에 연결될 수 있다. 리어 이너 커버(135)는 후단이 리어 하우징(39)에 연결될 수 있다. 리어 이너 커버(135)는 내측에 리어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리어 이너 커버(135)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리어 바디(7)는 외부에서 볼 때 리어 이너 커버(135)의 리어 공간을 통해 리어 이너 커버(135)의 내주면이 보일 수 있다. 리어 이너 커버(135)는 리어 에어 가이드(133)(134)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하는 리어 커버로 기능할 수 있다. 리어 이너 커버(135)는 공기 안내 유로(P)의 공기가 리어 에어 가이드(133)(134)와 토출 바디 하우징(38) 사이의 틈으로 유출되는 것을 막는 실링부재로 기능할 수 있다. 리어 에어 가이드(133)(134)는 공기 안내 유로(P)의 공기를 안내하므로 공기 유동을 고려하여 형상이 복잡할 수 있다. 반면에 리어 이너 커버(135)는 공기 안내 유로(P)의 공기를 직접 안내하지 않기 때문에 리어 에어 가이드(133)(134) 보다 형상이 단순화 될 수 있다. 리어 바디(7)는 리어 이너 커버(135)에 의해 리어 에어 가이드(133)(134)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고, 고급화가 가능할 수 있다.
리어 바디(7)와 토출 바디 하우징(38)에는 리어 바디(7)를 토출 바디 하우징(38)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 있는 리어 바디 체결부(136A)(136B)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는 리어 에어 가이드(133)(134)와 리어 이너 커버(135)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리어 바디 체결부(136A)를 관통한 후 리어 하우징(39)에 형성된 리어 바디 체결부(136B)에 체결되어 리어 바디(7)를 토출 바디 하우징(38)에 체결할 수 있다.
리어 에어 가이드(133)(134)는 좌측 리어 에어 가이드(133)와 우측 리어 에어 가이드(134)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 있는 리어 에어 가이드 결합부(137A)(137B)가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는 좌측 리어 에어 가이드(133)에 형성된 리어 에어 가이드 결합부(137A)를 관통한 후 우측 리어 에어 가이드(134)에 형성된 리어 에어 가이드 결합부(137B)에 체결되어 좌측 리어 에어 가이드(133)와 우측 리어 에어 가이드(134)를 결합할 수 있다.
리어 에어 가이드(133)(134)와 리어 이너 커버(135)에는 리어 에어 가이드(133)(134)와 리어 이너 커버(135)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 있는 리어 바디 결합부(138A)(138B)가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는 리어 에어 가이드(133)(134)에 형성된 리어 바디 결합부(138A)를 관통한 후 리어 이너 커버(135)에 형성된 리어 바디 결합부(138B)에 체결되어 리어 에어 가이드(133)(134)와 리어 이너 커버(135)를 결합할 수 있다.
이하, 토출 바디 하우징(38)에 대해서 설명한다.
토출 바디 하우징(38)은 리어 하우징(39)에 리어 바디(7)를 수용하는 리어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프론트 하우징(40)에 프론트 바디(6)를 수용하는 프론트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리어 하우징(39)은 좌측판(141)과 우측판(142)과, 상측판(143)과 후판(144)을 포함할 수 있다. 리어 하우징(39)은 전면이 개방될 수 있다. 리어 하우징(39)은 저면에 흡입구(30)가 형성될 수 있다. 리어 하우징(39)은 좌측판(141)과 리어 바디(7)의 사이와, 우측판(122)과 리어 바디(7)의 사이와, 상측판(123)과 리어 바디(7)의 사이와, 흡입구(30)와 리어 바디(7)의 사이 각각이 공기 안내 유로(P)를 형성할 수 있다. 리어 하우징(39)은 후판(144)에 리어 개구홀(145)이 형성될 수 있다. 리어 개구홀(145)은 전후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리어 개구홀(145)은 리어 바디(7)의 리어 공간과 전후 방향으로 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하우징(40)은 좌측판(151)과 우측판(152)과 상측판(153)과 전판(154)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하우징(40)은 배면이 개방될 수 있다. 프론트 하우징(40)은 저면에 흡입구(30)가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하우징(40)은 좌측판(151)과 수용부(80)의 사이와, 우측판(152)과 수용부(80)의 사이와, 상측판(153)과 수용부(80)의 사이와, 흡입구(30)와 수용부(80)의 사이 각각이 공기 안내 유로(P)를 형성할 수 있다. 프론트 하우징(40)은 전판(154)에 수용부(80)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80)는 프론트 바디(6)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바디(6)는 수용부(8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발광기구가 확대 도시된 종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발광기구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발광기구(112)는 기판(113)과, 기판(113)에 설치된 광원(114)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3)은 발광 공간(V)에 단수개 또는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기판(113)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광원(114)은 엘이디로 구성될 수 있다. 광원(114)은 하나가 복수 색상의 광을 선택적으로 발광할 수 있는 다색 엘이디로 구성될 수 있다. 광원(114)은 삼색 엘이디로 구성될 수 있다. 광원(114)은 복수개가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광원(114)은 하나의 기판(113)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복수개의 광원(114)은 복수개의 기판(113)에 분산되어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복수개의 광원(114)은 폐루프 형상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광원(114)은 발광 공간(V) 내부에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광원(114)은 원형선 등의 폐루프 가상선(I) 상에 폐루프 가상선(I)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광원(114)은 함께 발광될 때, 전체적으로 폐루프 형상의 광을 발광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광원(114)은 폐루프 형상의 광 발생 영역에 함께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광원(114)는 폐루프의 길이 방향으로 등간격 또는 비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고, 함께 발광될 때 전체적으로 폐루프 형상의 광을 발광할 수 있다.
발광기구(112)는 기판(113)이 설치되는 피시비 케이스(115)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기구(112)는 하나의 피시비 케이스(115)에 하나의 기판(113)이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하나의 피시비 케이스(115)에 복수개의 기판(113)이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피시비 케이스(115)는 전면이 개방되고 상면과 하면과 후면이 막힌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피시브 케이스(115)는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피시비 케이스(115)와 프론트 바디(6) 중 어느 하나에는 후크(116)가 돌출되고, 다른 하나에는 후크(117)가 삽입되어 걸리는 후크홀(118)이 형성될 수 있다. 후크(117)는 피시비 케이스(115)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후크홀(118)은 프론트 바디(6)에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후크홀(118)은 프론트 토출 바디(103)에 형성될 수 있다. 후크홀(118)은 프론트 토출 바디(103) 중 프론트 원판부(106)에 형성될 수 있다.
발광기구(112)는 복수개의 발광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 모듈(112A)(112B)(112C)(112D)은 발광 공간(V)에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복수개의 발광 모듈(112A)(112B)(112C)(112D)은 동일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어 부품 공용화가 가능하고, 복수개 중 일부의 고장시 고장난 발광 모듈만이 서비스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 모듈(112A)(112B)(112C)(112D)은 그 각각이 기판(113)과 복수개의 광원(114)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 모듈(112A)(112B)(112C)(112D)은 폐루프 형상의 피시비 케이스(115)에 함께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복수개의 발광 모듈(112A)(112B)(112C)(112D)은 그 각각이 기판(113)과 복수개의 광원(114)과 피시비 케이스(115)를 포함할 수 있다. 피시비 케이스(114)는 발광 공간(V)에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복수개의 발광 모듈(112A)(112B)(112C)(112D)은 어느 하나(112A)가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전선(112E)으로 연결될 수 있고, 각 발광 모듈(112A)(112B)(112C)(112D)은 타 전선 모듈과 전선(112F)(112G)(112H)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발광 모듈이 설치된 경우, 제 1 발광 모듈(112A)은 제어부와 제 1 전선(112E)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 2 발광 모듈(112B)는 제 1 발광 모듈(112A)과 제 2 전선(112F)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 3 발광 모듈(112C)은 제 2 발광 모듈(112B)와 제 3 전선(112G)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 4 발광 모듈(112D)은 제 3 발광 모듈(112C)과 제 4 전선(112H)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송풍기(10)의 구동시, 실내의 공기는 공기 흡입구(2)의 후방에서 공기 흡입구(2)로 흡인되고, 공기 흡입구(2)를 통과해 본체(4)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본체(4)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열교환기(8)를 전후 방향으로 통과하면서 냉매와 열교환되고, 이후 송풍기(10)로 흡인된다. 송풍기(10)로 흡인된 공기는 송풍기(10)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송풍된다. 송풍기(10)의 둘레 방향으로 송풍된 공기 중 일부는 리어 패널(13)과 프론트 패널(14)의 사이 상측으로 송풍되고, 흡입구(30)를 통해 토출 바디 하우징(38)으로 내부로 흡입된다. 토출 바디 하우징(38)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토출 바디 하우징(38)과 토출 바디(5)의 사이에서 넓게 퍼지면서 공기 안내 유로(P)로 분산될 수 있다. 흡입구(30)를 통과한 공기는 리어 바디(7)의 외면의 안내를 받으면서 공기 안내 유로(P)의 좌우로 분산될 수 있고, 공기 안내 유로(P)로 분산된 공기는 공기 토출구(L)를 통과해 토출 공간(G)로 토출된다. 토출 공간(G)로 토출된 공기는 토출 공간(G)을 통과한 후 토출 공간(G)의 전방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송풍기(10)의 둘레 방향으로 송풍된 공기 중 나머지는 송풍기(10)의 옆으로 송풍되어 본체 토출구(12)로 유동되고 본체 토출구(12)를 통과하여 본체(4)의 외부로 토출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토출 바디가 전방으로 공기를 토출할 때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토출 바디가 전방 우측으로 공기를 토출할 때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토출 바디가 전방 좌측으로 공기를 토출할 때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토출 바디(5)가 본체(4)의 공간(3)에 회전되게 배치될 수 있다. 토출 바디(5)는 본 발명 일실시예와 같이 토출 공간(G)와 공기 토출구(L)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 바디(5)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프론트 바디(6)와 리어 바디(7)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 바디(5)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수직축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토출 바디(5)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될 때 좌우 입체 기류를 형성할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하 입체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본체(4)는 본 발명 일실시예와 같이 토출 바디(5)를 보호하는 토출 바디 하우징(38)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 바디(5)는 토출 바디 하우징(38)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토출 바디 하우징(38)은 토출 바디(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토출 바디 하우징(38)은 리어 하우징(230)과, 리어 하우징(39) 전방에 배치된 프론트 하우징(2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토출 바디(5)와 토출 바디 하우징(38)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이 본 발명 일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고, 동일 부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본체(4) 및 발광기구(112) 등이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15은 도 12에 도시된 공기 토출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2에 도시된 공기 토출 유닛의 종단면도이며, 도 17은 도 12에 도시된 공기 토출 유닛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2에 도시된 공기 토출 유닛의 정단면도이며, 도 19는 도 12에 도시된 공기 토출 유닛의 저면도이다.
토출 바디(5)는 프론트 바디(6)와 리어 바디(7)를 수용하는 아우터 바디(20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바디(200)는 토출 바디(5)의 외둘레를 구성할 수 있고, 프론트 바디(6)와 리어 바디(7)는 토출 바디(5)의 내둘레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아우터 바디(200)는 프론트 바디(6) 및 리어 바디(7)와 함께 토출 바디(5)를 구성할 수 있다. 아우터 바디(200)는 프론트 바디(6) 및 리어 바디(7)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아우터 바디(200)는 프론트 바디(6) 및 리어 바디(7)와 함께 회전 토출 유닛이 될 수 있다.
토출 바디 하우징(38)은 아우터 바디(2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에 의해 토출 바디(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토출 바디(5)는 수직축(V)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토출 바디(5)에는 공기 토출구(L)가 연통되는 공기 분산 유로(P2)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202)(204)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는 공기 유입구(202)(204)를 통해 토출 바디(5)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토출 바디(5)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공기 분산 유로(P2) 및 공기 토출구(L)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토출 공간(G)으로 토출될 수 있다.
공기 분산 유로(P2)는 프론트 바디(6)와 아우터 바디(200)의 사이에 형성되거나 리어 바디(7)와 아우터 바디(200)의 사이에 형성되거나 프론트 바디(6)와 아우터 바디(200)의 사이 및 리어 바디(7)와 아우터 바디(20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 분산 유로(P2)는 프론트 바디(6)와 아우터 바디(200)의 사이 및 리어 바디(7)와 아우터 바디(200)의 사이에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단면이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유입구(202)(204)는 토출 바디(5)에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유입구(202)(204)는 본 실시예에서 2개가 이격되게 형성되고, 실시예에 따라 3개 이상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공기 유입구(202)(204)는 아우터 바디(200)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유입구(202)(204)는 복수개가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토출 바디(5)는 공기 유입구(202)(204)의 복수개가 이격 형성될 경우, 공기 토출구(L)를 향해 유동되는 공기가 상하 고르게 분산될 수 있고, 공기는 공기 토출구(L) 중 특정 영역에 집중되지 않고, 전체적으로 고르게 개구부(G)로 토출될 수 있다. 복수개의 공기 유입구(202)(204)는 토출 바디(5)의 회전시 공기조화기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공기 유입구(202)(204)는 토출 바디(5)에 원주 방향으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공기 유입구(202)(204)는 토출 바디(5)의 외둘레 상부에 형성된 상부 공기 유입구(202)와, 토출 바디(5)의 외둘레 하부에 형성된 하부 공기 유입구(204)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4)와 토출 바디(5)의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입구로 공기를 안내하는 공기 안내 유로(P1)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안내 유로(P1)는 토출 바디 하우징(38)과 토출 바디(5)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부 공기 유입구(202)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프론트 바디(6)는 아우터 바디(200)의 전방부에 연결될 수 있다. 프론트 바디(6)는 그 선단이 아우터 바디(200) 보다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프론트 바디(6)는 본 발명 일실시예와 같이, 프론트 토출 바디(103)와, 프론트 커버(10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토출 바디(103)와, 프론트 커버(104)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프론트 바디(6)와 아우터 바디(200)는 둘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끼움홈부에 다른 하나가 끼움되어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고,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리어 바디(7)는 아우터 바디(200)의 후방부에 연결될 수 있다. 리어 바디(7)는 아우터 바디(200)와 공기 분산 유로(P2)를 형성할 수 있다. 리어 바디(7)는 프론트 바디(6)와 공기 토출구(L)를 형성할 수 있다. 리어 바디(7)는 외주면이 아우터 바디(200)와 공기 분산 유로(P2)를 형성할 수 있다. 리어 바디(7)는 내측에 리어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리어 바디(7)는 선단(131)이 프론트 바디(6)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리어 바디(7)는 후단(132)이 아우터 바디(200)에 연결될 수 있다. 리어 바디(30)는 본 발명 일실시예와 같이, 리어 에어 가이드(133)(134)와 리어 이너 커버(135)를 포함할 수 있고, 리어 에어 가이드(133)(134)와 리어 이너 커버(135)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리어 에어 가이드(133)(134)는 선단이 프론트 바디(6)의 내측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리어 에어 가이드(133)(134)는 뒷부분이 아우터 바디(200)와 공기 분산 유로(P2)를 형성할 수 있다. 리어 에어 가이드(133)(134)는 리어 이너 커버(135)에 설치되었을 때 외주면이 아우터 바디(200)를 향할 수 있고, 내주면이 리어 이너 커버(135)에 향할 수 있다. 리어 바디(7)와 아우터 바디(200)는 둘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끼움홈부에 다른 하나가 끼움되어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고,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우터 바디(200)는 토출 바디(5)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아우터 바디(200)는 프론트 바디(6) 및 리어 바디(7)를 보호할 수 있다. 아우터 바디(200)는 프론트 바디(6) 및 리어 바디(7)의 둘레면을 둘러싸게 배치되어 프론트 바디(6) 및 리어 바디(7)를 보호할 수 있다. 아우터 바디(200)는 전체적으로 전면과 배면이 개방된 볼 형상 또는 도넛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공기 유입구(202)는 아우터 바디(200)의 상부에 공기가 하측 방향으로 통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 공기 유입구(204)는 아우터 바디(200)의 하부에 공기가 상측 방향으로 통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바디(200)는 공기 분산 유로(P2)로 공기를 안내하는 에어 가이드(206)(208)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가이드(206)(208)는 상부 공기 유입구(202)가 형성된 상부 에어 가이드(206)와, 하부 공기 유입구(204)가 형성된 하부 에어 가이드(208)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에어 가이드(206)와 하부 에어 가이드(208)는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어 공기 유입구를 형성하는 중공 통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에어 가이드(206)와 하부 에어 가이드(208) 내부에는 공기를 분산시키는 분산 리브(210)(212)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바디(200)는 리어 바디(7)의 좌측과 프론트 바디(6)의 좌측을 둘러싸는 좌측 아우터 바디(214)와, 리어 바디(7)의 우측과 프론트 바디(6)의 우측을 둘러싸는 우측 아우터 바디(216)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아우터 바디(214)는 상부 에어 가이드(206)의 좌측과 하부 에어 가이드(208)의 좌측을 연결하고 좌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좌측 아우터 바디(214)는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우측 아우터 바디(216)는 상부 에어 가이드(206)의 우측과 하부 에어 가이드(208)의 우측을 연결하고 우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우측 아우터 바디(216)는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바디(200)는 원주 방향으로 좌측 아우터 바디(214)와 상부 에어 가이드(206)와 우측 아우터 바디(216)와 하부 에어 가이드(208)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토출 바디 하우징(38)은 토출 바디(5)의 아우터 바디(200)를 보호할 수 있다. 토출 바디 하우징(38)은 내부에 토출 바디(5)의 외면을 회전 가능하게 안내할 수 있는 안내부(222)(224)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 바디 하우징(38)은 저면에 공기가 토출 바디 하우징(38)으로 흡입되게 통과하는 흡입구(30)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 바디 하우징(38)은 토출 바디(5)의 좌측과 상측과 우측을 보호할 수 있다. 본체(4)에서 송풍된 공기는 토출 바디 하우징(38)의 저면에 형성된 흡입구(30)를 통해 토출 바디 하우징(38)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토출 바디 하우징(38)은 저면에 흡입구(30)가 형성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 바디 하우징(38)는 내부에 아우터 바디(200)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공간(3)이 형성될 수 있다.
리어 하우징(230)은 토출 바디 하우징(38)의 후방부를 구성할 수 있다. 리어 하우징(230)은 전면이 개방될 수 있다. 리어 하우징(230)은 저면에 흡입구(30)가 형성될 수 있다. 리어 하우징(230)은 좌측판(231)과 우측판(232)과, 상측판(233)과 후판(234)을 포함할 수 있다. 리어 하우징(230)은 후판(234)에 리어 개구부(235)가 형성될 수 있다. 리어 개구부(235)는 전후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리어 개구부(235)는 리어 바디(7)의 리어 공간과 전후 방향으로 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리어 개구부(235)는 토출 바디(5)의 회전시 토출 바디(5)의 후방부가 리어 하우징(230)에 구속되지 않게 할 수 있다. 토출 바디(5)은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될 때 그 후방부 일부가 리어 개구부(235)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프론트 하우징(240)은 토출 바디 하우징(38)의 전방부를 구성할 수 있다. 프론트 하우징(240)은 리어 하우징(230)의 전방에 결합되고 배면이 개방될 수 있다. 프론트 하우징(240)은 저면에 흡입구(30)가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하우징(240)은 아우터 바디(200)의 외면을 안내하고 토출 바디(5)에서 토출된 공기가 공기 안내 통로(P1)로 역류되지 않게 막는 프론트 안내부(222)가 형성될 수 있고, 하부에 하부 에어 가이드(208)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론트 서포터(242)가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하우징(240)은 전면에 프론트 개구부(245)가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개구부(245)는 전후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프론트 개구부(245)는 토출 바디(5)의 회전시 토출 바디(5)의 전방부가 프론트 하우징(240)에 구속되지 않게 할 수 있다. 토출 바디(5)는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될 때 그 전방부 일부가 프론트 개구부(245)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토출 바디 하우징(38)은 아우터 바디(2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아우터 가이드(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가이드(250)는 리어 하우징(230)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아우터 가이드(250)는 프론트 하우징(240)과 함께 아우터 바디(2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아우터 가이드(250)는 아우터 바디(200)의 외면을 안내하고 공기가 공기 안내 통로(P1)로 역류되지 않게 막을 수 있는 리어 안내부(224)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가이드(250)는 상부에 상부 에어 가이드(206)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리어 상부 서포터(252)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가이드(250)는 하부에 하부 에어 가이드(208)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리어 하부 서포터(254)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가이드(250)는 후방부에 리어 하우징(230)의 리어 개구부(235)와 전후 방향으로 통하는 이너 개구부(25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너 개구부(255)는 토출 바디(5)의 회전시 토출 바디(5)의 후방부가 아우터 가이드(250)에 구속되지 않게 할 수 있다. 토출 바디(5)는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될 때 그 후방부 일부가 이너 개구부(255)의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토출 바디 하우징(38)은 토출 바디 하우징(38)의 흡입구(30)를 통해 토출 바디 하우징(38) 내부로 유동된 공기가 안내되는 공기 안내 통로(P1)를 갖을 수 있다. 토출 바디 하우징(38)의 공기 안내 통로(P1)는 흡입구(30)를 통해 유동된 공기가 공기 유입구(202)(204)를 통해 공기 분산 통로(P2)로 유입되게 형성될 수 있다. 토출 바디 하우징(38)의 공기 안내 통로(P1)는 리어 하우징(230)과 아우터 가이드(25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토출 바디 하우징(38)은 공기 안내 통로(P1)로 유동된 공기가 프론트 하우징(240)과 아우터 바디(200) 사이의 틈으로 유출되지 않게 막는 차폐부(258)가 형성될 수 있다. 차폐부(258)는 아우터 가이드(250)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토출 바디(5)를 회전시키는 회전기구(260)(2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토출 바디(5)는 복수개의 공기 유입구(202)(204)를 중심축(X)으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기구(260)(262)는 복수개의 공기 유입구(202)(204)를 중심축(X)으로 토출 바디(5)를 회전시킬 수 있다. 토출 바디(5)는 복수개의 공기 유입구(202)(204)를 중심축(X)으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기구(260)(262)는 토출 바디 하우징(38)에 설치될 수 있다. 회전기구(260(262)는 복수개가 토출 바디(5)를 함께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기구(260)(262)는 토출 바디(5)의 상부를 회전시키는 상부 회전기구(260)와, 토출 바디(5)의 하부를 회전시키는 하부 회전기구(262)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 바디(5)는 상부가 상부 회전기구(26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토출 바디(5)는 하부가 하부 회전기구(262)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토출 바디(5)는 상하 전체가 안정감 있게 회전될 수 있다.
회전기구(260)(262)는 모터(264)와, 모터(264)에 설치된 피니언(266)과, 피니언(266)이 치합되는 랙(268)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264)는 토출 바디 하우징(38)에 설치될 수 있다. 랙(268)은 토출 바디(5)에 형성될 수 있다. 랙(268)은 아우터 바디(200)에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랙(268)은 아우터 바디(200) 중 에어 가이드(206)(208)의 외주면에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회전기구(260)의 랙(268)은 상부 에어 가이드(206)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고, 하부 회전기구(262)의 랙(268)은 하부 에어 가이드(208)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송풍기(10)의 구동시, 실내의 공기는 공기 흡입구(2)와 열교환기(8)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고, 이후 송풍기(10)에 의해 토출 바디 하우징(38)으로 송풍될 수 있다. 토출 바디 하우징(38)으로 송풍된 공기는 흡입구(30)를 통해 토출 바디 하우징(38)으로 내부로 흡입된다. 토출 바디 하우징(38)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일부가 하부 에어 가이드(208)의 하부 공기 유입구(204)를 통과하여 공기 분산 유로(P2) 내측 하부로 유입되고, 나머지가 공기 안내 유로(P1)로 좌우 분산된 후 상부 에어 가이드(206)의 상부 공기 유입구(202)를 통과하여 공기 분산 유로(P2) 내측 상부로 유입된다.
공기 분산 유로(P2) 내측 하부로 유입된 공기는 좌우 분산되면서 공기 토출구(L) 중 하부 영역을 통과하고, 공기 분산 유로(P2) 내측 상부로 유입된 공기는 좌우 분산되면서 공기 토출구(L) 중 상부 영역을 통과한다. 공기 토출구(L)를 통과한 공기는 토출 공간(G)를 통과하고, 토출 공간(G)의 전방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한편, 회전기구(260)(262)는 토출 바디(5)를 좌,우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회전기구(260)(262)는 토출 바디(5)를 좌우 방향으로 계속 스윙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회전기구(260)(262)의 모터(264)가 구동되면, 피니언(266)은 회전되고, 랙(268)이 형성된 상부 에어 가이드(206)와 랙(268)이 형성된 하부 에어 가이드(208)는 함께 회전된다. 상부 에어 가이드(206)와 하부 에어 가이드(208)의 회전시, 좌측 아우터 바디(214)와 우측 아우터 바디(216)는 상부 에어 가이드(206) 및 하부 에어 가이드(208)와 함께 회전된다. 그리고, 프론트 바디(6)와, 리어 바디(7)는 아우터 바디(200)와 함께 회전된다. 토출 바디(5)는 프론트 바디(6)와 리어 바디(7) 및 아우터 바디(200)가 함께 회전되는 도중, 공기가 상부 에어 가이드(206)에 형성된 상부 공기 유입구(202)와 하부 에어 가이드(208)에 형성된 하부 공기 유입구(204)를 통해 분산 유입되고, 공기 분산 유로(P2)에서 공기 토출구(L)를 통해 토출 공간(G)으로 토출된다. 토출 공간(G)으로 토출된 공기는 토출 공간(G)을 통과하여 토출 공간(G)이 향하는 방향으로 토출된다.
한편, 회전기구(260)(262)에 의한 토출 바디(5)의 회전시, 발광기구(112)는 발광될 수 있고, 발광기구(112)는 토출 바디(5)와 함께 회전되면서 토출 바디(5)의 전방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즉, 공기조화기는 토출 바디(5)가 실내에 입체 기류를 형성할 때, 토출 바디(5)에서 표현되는 광도 토출 바디(5)와 함께 회전되고, 토출 바디(5)의 입체 토출은 토출 바디(5)에서 표현되는 광에 의해 가시화될 수 있다.
도 20은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토출 바디가 회전될 때의 평면도이다.
토출 바디(5)의 회전시, 토출 바디(5)는 토출 바디 하우징(3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토출 공간(G)의 전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도 20의 (a)는 토출 바디의 토출 공간 전면이 전방을 향할 때의 평면도로서, 토출 바디(5)는 공기조화기의 전방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도 20의 (b)는 토출 바디의 토출 공간 전면이 전방 우측을 향할 때의 평면도로서, 토출 바디(5)는 공기조화기의 전방 우측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도 20의 (c)는 토출 바디의 토출 공간 전면이 전방 좌측을 향할 때의 평면도로서, 토출 바디(5)는 공기조화기의 전방 좌측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토출 바디(5)는 좌우로 스윙 회전하면, 토출 바디(5)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토출 바디 하우징(38)의 전방 좌우로 넓게 토출할 수 있고, 실내에는 좌우 입체 기류가 형성될 수 있다.
2: 공기 흡입구 3: 공간
4: 본체 5: 토출 바디
6: 프론트 바디 7: 리어 바디
8: 열교환기 10: 송풍기
13: 리어 패널 14: 프론트 패널
38: 토출 바디 하우징 112: 발광기구
202,204: 공기 유입구 206,208: 에어 가이드
260,262: 회전기구 C: 토출 공간의 중심축
G: 개구부 L: 공기 토출구
O: 송풍기의 회전축 V: 발광 공간

Claims (20)

  1.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공간에 배치된 토출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공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상기 토출 바디를 보호하고 내부에 상기 공간이 형성된 토출 바디 하우징과;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공간으로 송풍시키는 송풍기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 바디는
    개방된 토출 공간이 내측에 형성된 제 1 바디와;
    상기 제 1 바디와 이격되어 상기 제 1 바디와 사이에 상기 토출 공간으로 공기를 토출 안내하는 공기 토출구를 형성하며 상기 공간으로 송풍된 공기를 상기 공기 토출구로 안내하는 제 2 바디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토출구는 단면 형상이 폐루프 형상인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디는 상기 공기조화기 외부로 노출되는 공기조화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바디 하우징은 상기 토출 바디의 좌측과 우측과 상측을 둘러싸는 공기조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바디 하우징과 상기 토출 바디 사이에는 공기 안내 유로가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바디 하우징은 상기 토출 바디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공기조화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바디 하우징은 저면에 흡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는 상기 송풍기와 연통되는 공기조화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리어 패널과,
    상기 리어 패널의 전방에 설치된 프론트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리어 패널과 프론트 패널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토출 바디 하우징은 상기 리어 패널 상측과 프론트 패널 상측에 위치된 공기조화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디는 상기 제 2 바디와 함께 상기 공기 토출구를 형성하는 리어 확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바디의 선단과 상기 토출 공간의 중심축 사이의 최단거리는 상기 리어 확장부의 선단과 상기 토출 공간의 중심축 사이의 최단거리 보다 짧은 공기조화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는 회전축이 상기 토출 바디의 중심축과 평행한 공기조화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바디는 공기가 유입되는 복수개의 공기 유입구가 이격 형성된 아우터 바디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공기 유입구는 상기 아우터 바디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공기 유입구와, 상기 아우터 바디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바디 하우징과 상기 토출 바디의 사이에는 상기 상부 공기 유입구로 공기를 안내하는 공기 안내 유로가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바디는 상기 복수개의 공기 유입구를 중심축으로 회전되는 공기조화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바디에는 상기 공기 토출구가 연통되는 공기 분산 유로와, 공기가 상기 공기 분산 유로로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와 토출 바디의 사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입구로 공기를 안내하는 공기 안내 유로가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토출구는 선단이 상기 토출 공간을 통해 보이는 공기조화기.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공간의 외둘레 위치에서 폐루프 형상으로 발광되는 발광기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바디를 회전시키는 회전기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바디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기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20052588A 2011-12-08 2012-05-17 공기조화기 KR101240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102359344A CN102840627B (zh) 2011-12-08 2012-07-06 空气调节器
CN2012203283920U CN202692257U (zh) 2011-12-08 2012-07-06 空气调节器
EP12194257.7A EP2602563B1 (en) 2011-12-08 2012-11-26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30826 2011-12-08
KR1020110130826 2011-12-08
KR20110138505 2011-12-20
KR1020110138503 2011-12-20
KR20110138503 2011-12-20
KR1020110138505 2011-12-2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1502A Division KR101902886B1 (ko) 2012-10-30 2012-10-30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0536B1 true KR101240536B1 (ko) 2013-03-11

Family

ID=48181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2588A KR101240536B1 (ko) 2011-12-08 2012-05-17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2602563B1 (ko)
KR (1) KR101240536B1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21631A (zh) * 2014-06-30 2014-10-29 美的集团武汉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室内机
KR20150049210A (ko) * 2013-10-29 2015-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6369672A (zh) * 2016-08-31 2017-02-01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导风装置、空调柜机及其送风方法
WO2017095007A1 (ko) * 2015-12-02 2017-06-08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170064778A (ko) * 2015-12-02 2017-06-12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170064784A (ko) * 2015-12-02 2017-06-12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170064786A (ko) * 2015-12-02 2017-06-12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EP3006854A4 (en) * 2013-06-03 2017-08-30 Haier Group Corporation Air-conditioner air supply apparatus in vertical air-conditioner
KR101837621B1 (ko) * 2015-12-04 2018-03-13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KR101856986B1 (ko) * 2018-02-07 2018-05-15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WO2018106032A1 (ko) * 2016-12-07 2018-06-14 코웨이 주식회사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KR101904188B1 (ko) 2014-08-29 2018-11-13 칭다오 하이얼 에어 컨디셔너 제너럴 코퍼레이션 리미티드 벽걸이형 에어컨
RU2688382C1 (ru) * 2015-07-17 2019-05-21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Кондиционер
WO2019194638A1 (ko) * 2018-04-06 2019-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팬어셈블리 및 공기조화기
KR20190117068A (ko) * 2018-04-06 2019-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팬어셈블리 및 공기조화기
US20200096228A1 (en) * 2015-10-23 2020-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US10684024B2 (en) 2015-07-17 2020-06-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144B1 (ko) * 2013-06-14 2019-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134611B1 (ko) * 2013-07-16 2020-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6297474B2 (ja) * 2014-11-14 2018-03-20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送風装置
KR101554722B1 (ko) * 2015-01-23 2015-09-21 황용희 풍량 가변장치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CN109996999B (zh) * 2016-12-07 2021-11-26 豪威株式会社 风向可调的空气净化器
KR102313787B1 (ko) * 2019-11-22 2021-10-20 주식회사 미로 이중 공기 배출구조의 공기 청정기
EP4350228A1 (en) * 2021-06-07 2024-04-10 Midea Group Co., Lt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3285A (ko) * 2003-10-06 2005-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090130589A (ko) * 2008-06-16 2009-12-2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KR20090130590A (ko) * 2008-06-16 2009-12-2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20110086875A (ko) * 2009-03-04 2011-08-01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선풍기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9451A (en) * 1988-09-12 1991-07-09 Mitsubishi Jukogyo Kabushiki Kaisha Air conditioning apparatus
AU2002314574A1 (en) * 2001-06-19 2003-01-02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EP1804004A3 (en) * 2005-12-29 2007-08-22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for ceiling installation
KR101012397B1 (ko) * 2010-03-04 2011-02-09 주식회사 스윙공조 증속호퍼와 회전식 토출구를 갖춘 천장 4방향 냉난방 실내기
KR101039768B1 (ko) * 2010-10-16 2011-06-09 허만승 기류전환용 호퍼와 스윙그릴을 부착한 천장 4방향 에어콘의 실내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3285A (ko) * 2003-10-06 2005-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090130589A (ko) * 2008-06-16 2009-12-2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KR20090130590A (ko) * 2008-06-16 2009-12-2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20110086875A (ko) * 2009-03-04 2011-08-01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선풍기 조립체

Cited B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06854A4 (en) * 2013-06-03 2017-08-30 Haier Group Corporation Air-conditioner air supply apparatus in vertical air-conditioner
KR102278182B1 (ko) * 2013-10-29 2021-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50049210A (ko) * 2013-10-29 2015-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4121631A (zh) * 2014-06-30 2014-10-29 美的集团武汉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室内机
KR101904188B1 (ko) 2014-08-29 2018-11-13 칭다오 하이얼 에어 컨디셔너 제너럴 코퍼레이션 리미티드 벽걸이형 에어컨
RU2688382C1 (ru) * 2015-07-17 2019-05-21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Кондиционер
US10684024B2 (en) 2015-07-17 2020-06-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US11118792B2 (en) 2015-07-17 2021-09-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US11629881B2 (en) * 2015-10-23 2023-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US20200096228A1 (en) * 2015-10-23 2020-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US10837659B2 (en) 2015-12-02 2020-11-17 Coway Co., Ltd. Air purifier
KR20170064784A (ko) * 2015-12-02 2017-06-12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JP2019501358A (ja) * 2015-12-02 2019-01-17 コーウェ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Coway Co., Ltd. 空気清浄機
WO2017095007A1 (ko) * 2015-12-02 2017-06-08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102552844B1 (ko) * 2015-12-02 2023-07-07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170064778A (ko) * 2015-12-02 2017-06-12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102492957B1 (ko) * 2015-12-02 2023-01-30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102100890B1 (ko) * 2015-12-02 2020-05-15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170064786A (ko) * 2015-12-02 2017-06-12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101837621B1 (ko) * 2015-12-04 2018-03-13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CN106369672B (zh) * 2016-08-31 2022-04-12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导风装置、空调柜机及其送风方法
CN106369672A (zh) * 2016-08-31 2017-02-01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导风装置、空调柜机及其送风方法
WO2018106032A1 (ko) * 2016-12-07 2018-06-14 코웨이 주식회사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US11480362B2 (en) 2016-12-07 2022-10-25 Coway Co., Ltd. Air purifier capable of adjusting wind direction
KR101856986B1 (ko) * 2018-02-07 2018-05-15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KR20190117068A (ko) * 2018-04-06 2019-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팬어셈블리 및 공기조화기
KR102077571B1 (ko) * 2018-04-06 2020-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팬어셈블리 및 공기조화기
WO2019194638A1 (ko) * 2018-04-06 2019-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팬어셈블리 및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02563A1 (en) 2013-06-12
EP2602563B1 (en) 2018-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0536B1 (ko) 공기조화기
KR101234065B1 (ko) 공기조화기
KR101902886B1 (ko) 공기조화기
CN102840627B (zh) 空气调节器
KR101516365B1 (ko) 공기조화기
KR101500501B1 (ko) 공기조화기
KR20140094414A (ko) 공기조화기
ES2442006T3 (es) Humidificador
KR101500506B1 (ko) 공기조화기
ES2776188T3 (es) Unidad interior para acondicionador de aire
KR101912634B1 (ko) 공기조화기
KR20140089068A (ko) 공기조화기
KR20140092952A (ko) 공기조화기
KR101542123B1 (ko) 토출유닛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KR20070060501A (ko) 공기조화기
KR102033690B1 (ko) 공기조화기
KR101399080B1 (ko) 공기조화기
KR101868371B1 (ko) 스텐드형 공기조화기
KR102104436B1 (ko) 공기조화기
KR20200002749A (ko) 공기조화기
KR101781039B1 (ko) 공기조화기
KR101385288B1 (ko) 공기조화기
KR101880481B1 (ko) 공기 토출 유닛
KR101975023B1 (ko) 공기조화기
KR20100122142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