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4610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4610B1
KR102134610B1 KR1020130083761A KR20130083761A KR102134610B1 KR 102134610 B1 KR102134610 B1 KR 102134610B1 KR 1020130083761 A KR1020130083761 A KR 1020130083761A KR 20130083761 A KR20130083761 A KR 20130083761A KR 102134610 B1 KR102134610 B1 KR 102134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time
lighting device
air conditione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3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9363A (ko
Inventor
김정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3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4610B1/ko
Publication of KR20150009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9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4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4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8Ventil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0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운전을 예약할 시각인 예약시각을 입력하는 입력장치; 복수개의 광원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예약시각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예약시각이 입력되었음을 표시하고, 현재시각으로부터 예약시각까지 남은 정도를 복수개의 광원 중 발광하는 광원의 비율로 나타내는 발광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체에 조명장치가 설치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서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된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된 실외기로 분리되어 제어되며, 압축기 또는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함으로서 동작된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에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가 연결될 수 있으며, 요청되는 운전 상태에 따라,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여, 냉방 또는 난방모드로 운전된다.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방이나 거실에 상시 설치되어 공간을 차지하면서 주로 냉방 및 난방만을 주 기능으로 사용되고, 타 가전제품에 비해서 그 실질적인 이용기간이 짧은 단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설치된 조명장치나 디스플레이 장치가 공기조화기의 운전상태를 문자 등을 표시하거나, 운전상태와는 무관하게 조명장식으로만 사용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조명장치가 운전상태를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광패턴을 제공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운전을 예약할 시각인 예약시각을 입력하는 입력장치; 복수개의 광원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예약시각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예약시각이 입력되었음을 표시하고, 현재시각으로부터 예약시각까지 남은 정도를 복수개의 광원 중 발광하는 광원의 비율로 나타내는 발광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조명장치는 폐곡선 형태의 광패턴을 출력한다.
상기 조명장치는 폐곡선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채우며 발광한 정도로 현재시각으로부터 예약시각까지 남은 정도를 표시한다.
상기 조명장치는 남은시간에 대응하는 부분마다 색상이 다르다
상기 조명장치는 현재시각으로부터 예약시각까지 남은 정도에 따라서, 방출하는 빛의 색상을 달리한다.
상기 조명장치는 폐곡선 형태의 광패턴을 표시하고, 열두시 방향으로부터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발광한 정도로 남은 시간을 표시한다.
상기 발광 제어부는 예약시각이 가까워질수록 상기 복수개의 광원 중 발광하는 광원의 개수를 조절한다.
상기 조명장치는 현재시각으로부터 예약시각까지 남은 시간이 일정시간 이하인 경우, 점멸한다.
상기 조명장치는 현재시각으로부터 예약시각까지 남은 시간을 점멸하는 횟수로 표시한다.
상기 조명장치는 예약시각이 도달하는 경우, 폐곡선을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광패턴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조명장치가 폐곡선형태의 광패턴을 형성하여, 공기조화기의 예약운전을 시작할 시각까지 남은시간을 효과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예약시각까지 남은 정도를 복수개의 광원 중 발광하는 광원의 비율로 나타내어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남은 시간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조명장치가 폐곡선 형태의 광패턴을 표시하여 남은 시간을 표시하여, 표시되는 광패턴의 각도범위에 따라 남은 시간을 쉽게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예약시각까지 남은 정도에 따라서, 조명장치가 출력하는 광패턴의 색상을 달리하여, 사용자가 직감적으로 남은 시간을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남은 시간이 일정 수준 이하가 되는 경우, 점멸하여, 곧 예약운전이 시작될 것임을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폐곡선을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예약운전이 시작됨을 표시하는 광패턴을 표시하여, 심미적인 효과를 불러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시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정지시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횡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종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조명장치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조명장치의 일부가 확대 도시된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를 위한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
도 8 및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조명장치의 광패턴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양한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제1, 제2 등의 용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요소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한 요소를 다른 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제1 접촉이 제2 접촉이라고 칭해질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제2 접촉이 제1 접촉이라고 칭해질 수 있고, 상기 제1 접촉 및 제2 접촉은 둘 모두 접촉이지만, 동일한 접촉은 아닐 수 있다.
발명의 설명에서 이용되는 용어들은 오직 특정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을 제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다. 발명의 설명 및 첨부된 청구항에서 이용될 때, 단수 형태는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나타나지 않는 한은 복수 형태도 물론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표시의 사용은 그 용어의 단수 용법 또는 복수 형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를 나타낼 수 있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 및/ 또는" 이라는 용어는 나열된 관련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참조하며 그들을 포괄하는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의 "포함한다 (comprises)" 및 /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이라는 용어는 명시된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및 또는 컴포넌트들의 존재를 지정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컴포넌트들 및 / 또는 그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음을 더 이해할 것이다.
"~는 경우(if)"라는 용어는 "~할 때(when)" 또는 "~ 시(upon)", 또는 문맥에 따라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in response to determining)" 또는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결정된 경우" 또는 "[명시된 조건 또는 이벤트가] 검출된 경우"라는 구문은 문맥에 따라, "결정시" 또는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또는 "[명시된 조건 또는 이벤트의] 검출 시", 또는 "[명시된 조건 또는 이벤트를]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컴퓨팅 장치들, 그러한 장치들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및 그러한 장치들을 이용하기 위한 관련 프로세스 들의 실시예들이 설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시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정지시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는 공기흡입구로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한 후 공기토출구로 토출하는 본체(1)와, 본체(1)에 설치된 조명장치(2)를 포함한다.
본체(1)는 실내 공기가 본체(1)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흡입구가 형성된다. 본체(1)에는 본체(1)의 내부에서 공조된 공기가 본체(1)의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토출구가 형성된다. 본체(1)에는 공기토출구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는 리어 케이스(12)와, 리어 케이스(12) 전방에 설치된 프론트 케이스(13)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2)와 프론트 케이스(13)는 본체(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조명장치(2)는 본체(1)에 진퇴되게 배치될 수 있다. 조명장치(2)는 본체(1)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후퇴될 수 있고, 본체(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전진될 수 있다. 조명장치(2)는 전진시 본체(1)와 공기흡입유로(P)를 형성할 수 있다. 공기흡입유로(P)는 조명장치(2)와 본체(1)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공기흡입유로(P)가 상하 방향으로 개방될 경우, 공기흡입유로(P)는 상면 및 하면이 각각 개방될 수 있고, 조명장치(2)는 상면과 하면 및 배면이 각각 개방됨과 아울러 전면과 좌측면 및 우측면이 각각 막힌 형상일 수 있다. 조명장치(2)가 전진된 위치일 때, 실내의 공기는 공기흡입유로(P)의 하측에서 공기흡입유로(P)로 상승되어 공기흡입유로(P)로 흡입될 수 있고, 실내의 공기는 공기흡입유로(P)의 상측에서 공기흡입유로(P)로 하강되어 공기흡입유로(P)로 흡입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횡단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종단면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조명장치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조명장치의 일부가 확대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체(1)는 전면에 공기흡입구(4)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1)는 전면 이외에 복수개 공기토출구(6)(8)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공기토출구(6)(8)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공기토출구(6)(8)는 본체(1)의 복수 위치에 분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체(1)는 좌측과 우측 중 적어도 일측에 사이드 공기토출구(6)가 형성될 수 있고, 하부에 로어 공기토출구(8)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1)는 본체(1)의 좌측과 우측 각각에 사이드 공기토출구(6)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1)는 좌측에 좌측 공기토출구(6A)가 형성될 수 있고, 우측에 우측 공기토출구(6B)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1)의 내부에서 공조된 공기는 좌측 공기토출구(6A)와 우측 공기토출구(6B)와 로어 공기토출구(8)를 통해 세 방향으로 분산 토출될 수 있다.
이하, 좌측 공기토출구(6A)와 우측 공기토출구(6B)의 각각을 구분하여 설명하는 경우에는 좌측 공기토출구(6A)와 우측 공기토출구(6B)로 칭하여 설명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좌측 공기토출구(6A)와 우측 공기토출구(6B)를 사이드 공기토출구(6)로 칭하여 설명한다.
본체(1)에는 송풍유닛(14)과 열교환기(15)가 설치될 수 있다. 송풍유닛(14)과 열교환기(15)는 리어 케이스(12)와 프론트 케이스(13)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2)는 공기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송풍유닛(14)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리어 케이스(12)에 안내되어 공기토출구로 유동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2)는 본체(1)의 배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2)는 본체(1)의 상,하,좌,우 네 둘레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2)는 좌측에 좌측 공기토출구(6A)가 형성될 수 있고, 우측에 우측 공기토출구(6B)가 형성될 수 있다. 좌측 공기토출구(6A)는 리어 케이스(12)의 좌측에 좌우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우측 공기토출구(6B)는 리어 케이스(12)의 우측에 좌우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2)는 하부에 로어 공기토출구(8)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로어 공기토출구(8)는 리어 케이스(12)의 하부에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3)는 본체(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3)에는 공기흡입구(4)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흡입구(4)는 프론트 케이스(13)에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3)에는 본체(1)의 내부를 보호하는 흡입 그릴(13a)이 형성될 수 있다. 흡입 그릴(13a)은 공기흡입구(4)에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흡입 그릴(13a)은 공기흡입구(4)를 가로지르게 형성될 수 있다.
송풍유닛(14)은 공기흡입구(4)로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기(15)를 통과시킨 후 공기토출구(6)(8)로 토출할 수 있다. 송풍유닛(14)은 전방의 공기를 흡입하여 둘레 방향으로 송풍하는 원심식 송풍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송풍유닛(14)은 리어 케이스(12)에 설치된 모터(16)와, 모터(16)의 회전축에 설치된 블로어(17)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유닛(14)은 블로어(17)로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터(16)는 회전축이 전방을 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블로어(17)는 그 전방의 공기를 흡인하여 둘레 방향으로 송풍하는 터보팬 등의 원심팬이 될 수 있다. 오리피스(18)는 리어 케이스(12)와 함께 블로어(17)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2)에는 블로어(17)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에어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2)는 모터(16) 및 블로어(17)를 둘러싸는 팬 하우징으로 기능할 수 있다. 오리피스(18)에는 공기가 통과하는 에어홀(19)이 형성될 수 있다. 에어홀(19)은 블로어(17)와 열교환기(15) 사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기(15)는 공기흡입구(4)와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15)는 프론트 케이스(13)와 오리피스(18)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15)는 프론트 케이스(13)와 오리피스(18) 중 적어도 하나에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기흡입구(4)로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2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20)는 프론트 케이스(13)의 전면에 좌우 슬라이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3)에는 필터(20)가 좌우 슬라이드 안내되는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1)는 사이드 공기토출구(6)로 토출된 공기를 조명장치(2) 옆으로 안내하는 사이드 토출베인(22)과, 로어 공기토출구(8)로 토출된 공기를 안내하는 로어 토출베인(24)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토출베인(22)은 좌측 공기토출구(6A)로 토출된 공기를 안내하는 좌측 토출베인(22A)과, 우측 공기토출구(6B)로 토출된 공기를 안내하는 우측 토출베인(22B)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 토출베인(22A)은 본체(1)의 좌측에 수직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될 수 있고, 본체(1)의 좌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회전되었을 때, 좌측 공기토출구(6A)로 토출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우측 토출베인(22B)은 본체(1)의 우측에 수직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될 수 있고, 본체(1)의 우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회전되었을 때, 우측 공기토출구(6B)로 토출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좌측 토출베인(22A)과 우측 토출베인(22B)은 공기조화기의 운전시 회전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회전 방향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동일할 수 있으며, 이하, 좌측 토출베인(22A)과 우측 토출베인(22B)의 각각을 구분하여 설명하는 경우에는 좌측 토출베인(22A)과 우측 토출베인(22B)으로 칭하여 설명하고, 그 이외의 공통된 구성에 대해서는 사이드 토출베인(22)으로 칭하여 설명한다.
로어 토출베인(24)은 수평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되면서 로어 공기토출구(8)로 토출된 공기의 상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로어 토출베인(24)은 수평 회전중심이 본체(1)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사이드 토출베인(22)을 회전시키는 사이드 토출베인 구동기구(26)와; 로어 토출베인(24)을 회전시키는 로어 토출베인 구동기구(28)를 포함한다.
사이드 토출베인 구동기구(26)는 본체(1)에 설치될 수 있고, 사이드 토출베인(22)은 사이드 토출베인 구동기구(26)에 연결될 수 있다. 사이드 토출베인 구동기구(26)는 본체(1)에 설치된 사이드 토출베인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토출베인 구동기구(26)는 좌측 토출베인(22A)을 회전시키는 좌측 토출베인 구동기구(26A)와, 우측 토출베인(22B)을 회전시키는 우측 토출베인 구동기구(26B)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좌측 토출베인 구동기구(26A)와 우측 토출베인 구동기구(26B)의 각각을 구분하여 설명하는 경우에는 좌측 토출베인 구동기구(26A)와 우측 토출베인 구동기구(26B)으로 칭하여 설명하고, 그 이외의 공통된 구성에 대해서는 사이드 토출베인 구동기구(26)로 칭하여 설명한다.
로어 토출베인 구동기구(28)는 본체(1)에 설치될 수 있고, 로어 토출베인(24)은 로어 토출베인 구동기구(28)에 연결될 수 있다. 로어 토출베인 구동기구(28)는 본체(1)에 설치된 로어 토출베인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장치(2)는 크기가 공기흡입구(4)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조명장치(2)는 공기흡입구(4)의 전방에 위치되어 공기흡입구(4)를 가릴 수 있고, 공기흡입구(4)는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다. 조명장치(2)는 공기조화기의 장식미를 높이기 위한 장식기구로 기능하거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로 기능할 수 있다. 조명장치(2)는 외부에서 보일 수 있는 조명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조명장치(2)는 링 형상의 조명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일측이 개구된 링 형상의 조명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점(스폿) 조명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일측이 개구된 링 형상은, 개구된 영역의 각도가 90˚ 미만이 되는 것도 가능하고, 반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개구된 영역의 각도가 180˚ 초과이면서 270˚ 미만으로 개구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며, 고리 형상과 점 형상이 아닌 곡선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조명장치(2)를 진퇴시키는 조명장치 구동기구(4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장치 구동기구(40)는 모터(42)와, 피니언(44)과 랙(46)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장치 구동기구(40)는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고, 복수개의 조명장치 구동기구(40)는 조명장치(2)의 전체를 진퇴시킬 수 있다. 모터(42)가 본체(1)에 설치될 경우, 피니언(44)은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될 수 있으며, 랙(46)은 조명장치(2)에 설치될 수 있다. 모터(42)가 조명장치(2)에 설치될 경우, 피니언(44)이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될 수 있으며, 랙(46)은 본체(1)에 설치될 수 있다. 조명장치 구동기구(40)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시 조명장치(2)를 전방으로 무빙시킬 수 있다. 조명장치 구동기구(40)는 공기조화기의 정지시 조명장치(2)를 후방으로 무빙시킬 수 있다.
이하, 조명장치(2)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조명장치(2)는 조명장치 베이스(50)와; 조명장치 베이스(50)에 배치된 제 1 커버(60)와; 조명장치 베이스(50)와 제 1 커버(60) 사이에서 조명장치 베이스(50)와 제 1 커버(60) 사이 외측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기구(70)와; 제 1 커버(60)와 사이에 틈(78)을 갖는 제 2 커버(80)와; 발광기구(70)에서 조사된 광을 틈(78)을 통해 제 1 커버(60)의 전면으로 반사시키는 반사체(90)를 포함한다. 발광기구(70)에서 광이 조사되면, 광은 조명장치 베이스(50)와 제 1 커버(60) 사이에서 반사체(90)로 조사될 수 있고, 반사체(90)에서 틈(78)을 향해 반사될 수 있다. 반사체(90)에서 틈(78)을 향해 반사된 광은 틈(78)을 통과한 후 제 1 커버(60)의 전면에 비춰질 수 있고, 제 1 커버(60)의 전면에는 조명패턴이 형성할 수 있다. 제 1 커버(60)의 후방에 위치하는 발광기구(70)에서 발생된 광은 제 1 커버(60)의 투과하지 않고 제 1 커버(60)의 전면(64)으로 조사될 수 있다.
조명장치 베이스(50)는 본체(1)에 설치될 수 있다. 조명장치 베이스(50)는 조명장치(2)의 배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조명장치 베이스(50)는 본체(1)의 외부에 위치되게 본체(1)에 연결될 수 있다. 조명장치 베이스(50)는 조명장치 구동기구(40)와 연결될 수 있고, 조명장치 구동기구(40)에 의해 무빙될 수 있다. 조명장치 베이스(50)에는 모터(42)와 랙(46) 중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조명장치 베이스(50)는 본체(1)의 전면과 공기흡입유로(P)를 형성할 수 있다. 조명장치 베이스(50)는 배면이 공기흡입안내면이 될 수 있다. 조명장치 베이스(50)는 전진시 본체(1)와 공기흡입유로(P)를 형성할 수 있고, 공기는 조명장치 베이스(50)의 배면과 본체(1)의 전면 사이를 통과해 공기흡입구(4)로 흡입될 수 있다. 조명장치 베이스(50)에는 발광기구(70)가 설치될 수 있다. 조명장치 베이스(50)에는 제 1 커버(60)가 설치될 수 있다. 조명장치 베이스(50)에는 제 2 커버(80)가 설치될 수 있다.
제 1 커버(60)는 조명장치 베이스(50)에 설치될 수 있다. 제 1 커버(60)는 조명장치(2)의 외부에서 보일 수 있고, 조명장치(2)의 전면측 외관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조명장치(2)는 제 1 커버(60)와 조명장치 베이스(50)의 사이에 발광기구(7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커버(60)는 외둘레(61)가 반사체(90)의 내둘레와 이격될 수 있다. 제 1 커버(60)는 전방을 향해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커버(60)는 전면(64)이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 커버(60)는 전면(64)의 일부만 반사체(90)를 마주볼 수 있다. 제 1 커버(60)는 전면(64)의 일부 영역이 반사체(90)를 마주보고, 전면(64)의 다른 영역이 반사체(90)를 마주보지 않을 수 있다. 제 1 커버(60)의 전면(64)은 반사체(90)의 내둘레면을 좌우 방향으로 마주보는 제 1 영역과, 반사체(90)의 내둘레면을 좌우 방향으로 마주보지 않는 제 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커버(60)의 전면(64)은 조명패턴이 형성되는 조명패턴 형성부과, 조명패턴이 형성되지 않는 조명패턴 비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커버(60)의 전면(64) 중 반사체(90)와 마주 보는 일부 영역(제 1 영역)에는 반사체(90)에서 반사된 광이 비춰지고, 제 1 커버(60)의 전면(64)은 반사체(90)와 마주 보는 일부 영역(제 1 영역)에만 조명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커버(60)의 전면(64) 중 반사체(90)와 마주보지 않는 다른 영역(제 2 영역)에는 조명패턴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 1 커버(60)의 전면(64)에 형성되는 조명패턴은 제 1 커버(60)의 전면(64) 전체로 넓게 퍼지지 않으면서 주로 제 1 커버(60)의 전면(64) 중 반사체(90)와 마주 보는 일부 영역(제 1 영역)에 선명하게 보일 수 있다. 제 1 커버(60)는 배면(63)이 조명장치 베이스(50)를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다. 제 1 커버(60)는 배면(63)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 커버(60)는 전면(64)이 공기조화기의 전방을 향할 수 있다. 제 1 커버(60)의 전면(64)은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라운드질 수 있고, 제 1 커버(60)의 전면(64)에는 반사체(90)에서 반사된 광이 비춰질 수 있다. 제 1 커버(60)는 발광기구(70)의 온시 조명패턴이 형성되는 조명패턴 형성면이 될 수 있다. 제 1 커버(60)는 발광기구(70)의 전체 크기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발광기구(70)를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가리는 차폐부로 기능할 수 있다. 제 1 커버(60)는 조명장치(2)가 표시하고자 하는 조명패턴(L)이 표현되는 조명판으로 기능할 수 있다. 제 1 커버(60)는 불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고, 반사체(90)에서 반사된 광은 틈(78)을 통해 제 1 커버(60)의 전면(64)으로 조사될 수 있고, 제 1 커버(60)의 전면(64)으로 조사된 광은 제 1 커버(60)의 전면에 표현될 수 있다. 제 1 커버(60)에는 제 1 커버(60)가 조명장치 베이스(50)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제 1 커버 체결부(66)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커버 체결부(66)는 제 1 커버(60)의 배면(63)에 조명장치 베이스(50)를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커버 체결부(66)는 제 1 커버(6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보스부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커버(60)는 전면(64)에 흰색 색상일 수 있고, 반사체(90)에서 반사된 광의 색상에 따라 제 1 커버(60)의 전면(64)에 형성되는 조명패턴의 색상은 바뀔 수 있다.
발광기구(70)는 반사체(90)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S)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기구(70)는 제 1 커버(60)의 전면에 형성되는 조명패턴의 크기와 조명패턴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복수개의 모드를 가질 수 있다.
발광기구(70)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이 복수개의 조명패턴을 선택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하나의 광원은 색상 및 조도가 서로 상이한 다양한 광을 발광할 수 있고, 하나의 광원이 발광하는 광의 색상 및 조도의 조합에 따라 색상과 조도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다양한 광을 발광할 수 있다. 발광기구(70)는 복수개의 광원(71)(72)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의 광원(71)(72)은 발광모드에 따라 함께 제어되거나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발광기구(70)는 광원이 설치되는 회로기판(74)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기구(70)는 복수개의 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의 광원(71)(72)은 복수개의 회로기판에 분산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회로기판(74)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발광기구(70)는 동일 회로기판(74)에 적어도 2개의 광원이 함께 설치될 수 있다.
발광기구(70)는 복수개의 광원(71)(72)이 원형 가상선(O)을 따라 순차적으로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고, 방사상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발광기구(70)는 발광모드별로 제 1 커버(60)의 전면(64)에 상이한 조명패턴을 형성되게 할 수 있다. 발광기구(70)는 복수개의 회로기판(74)이 설치되는 메인 회로기판(75)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회로기판(74)은 메인 회로기판(75)에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회로기판(74)은 메인 회로기판(75)에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회로기판(74)은 그 각각의 일면이 반사체(90)의 내둘레를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다. 광원(71)(72)은 회로기판(74)의 양면 중 반사체(90)를 마주보는 면에 설치될 수 있고, 광원(71)(72)의 각각은 반사체(90)의 내둘레를 향하는 방향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발광기구(70)는 복수개의 광원(71)(72)이 방사상으로 광을 조사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광원(71)(72)은 모두 함께 온되는 것이 가능하고, 일부가 온일 때 나머지가 오프되는 것이 가능하다. 발광기구(70)는 복수개의 광원(71)(72) 중 온되는 광원의 개수가 상이한 복수개의 광패턴을 가질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를 위한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 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는 각종 신호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하는 제어부(210), 제어부(210)와 연동하여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220), 제어부(210)와 신호를 교환하는 발광 제어부(230), 발광 제어부(23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광을 방출하는 조명장치(240), 공기를 송풍하는 팬(250), 입력장치(2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운전을 예약할 시각인 예약시각을 입력하는 입력장치(260), 복수개의 광원을 포함하는 조명장치(240), 예약시각을 저장하는 메모리(220) 및 예약시각이 입력되었음을 표시하고, 현재시각으로부터 예약시각까지 남은 정도를 복수개의 광원 중 발광하는 광원의 비율로 나타내는 발광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공기조화기를 위해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메모리(220) 내에 저장된 다양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 및/또는 명령어들의 집합들을 실행 또는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메모리(220)에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여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메모리(2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장치 등에 실내온도, 시작온도, 절전온도, 예약운전 예약여부, 현재 수행중인 운전의 종류 등을 표시하거나, 상기 운전의 종류나 상태 등에 따라서, 발광 제어부(230)에 광패턴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메모리(220)로부터 광패턴정보를 불러올 수 있다. 제어부(210)는 입력장치(260)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가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에 대응하는 운전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팬(250)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운전모드에 기초하여, 발광 제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입력장치(260)는 유선 또는 무선의 리모컨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입력장치(260)가 리모컨인 경우, 입력장치(260)와 제어부(210)를 연결하는 통신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메모리(220)로부터 광패턴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사용자가 입력한 운전모드에 대응되는 광패턴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자연풍모드가 입력된 경우, 그에 대응하는 광패턴정보를 메모리(220)로부터 로딩하여, 그를 발광 제어부(230)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입력장치(260)로 운전을 예약하는 입력이 입력되는 경우, 메모리(220)에 예약운전의 종류 또는 예약시각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입력장치에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계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입력장치(260)에 입력이 있는 경우, 발광 제어부(230)에 조명장치(240)를 발광하도록 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입력장치(260)가 받은 입력이 어떤 것을 지시하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입력장치(260)가 받은 입력이 지시하는 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입력장치(260)가 받은 입력이 냉방인 경우, 냉방운전을 수행할 수 있고, 제습인 경우, 제습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광패턴정보로부터 입력된 운전에 대응하는 광패턴을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입력된 운전에 대응하는 광패턴에 관한 정보를 발광 제어부(230)에 송신할 수 있다. 발광 제어부(230)는 제어부(210)로부터 입력장치(260)에 입력된 운전에 대응하는 광패턴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발광 제어부(230)는 수신한 광패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조명장치(240)가 발광하는 광패턴의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발광 제어부(230)는 입력장치(260)에 운전입력이 있음을 표시하기 위하여, 조명장치(240)의 광패턴을 변화시킬 수 있다. 발광 제어부(230)는 조명장치(240)가 광패턴정보에 기초하여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발광 제어부(230)는 예약시각이 입력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발광 제어부(230)는 운전이 예약되었음을 나타내는 광패턴을 표시할 수 있다. 발광 제어부(230)는 제어부(210)로부터 광패턴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발광 제어부(230)는 광패턴정보에 기초하여, 조명장치(24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발광 제어부(230)는 조명장치(240)가 폐곡선형태의 광패턴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발광 제어부(230)는 조명장치(240)가 폐곡선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채우며 발광할 수 있다. 발광 제어부(230)는 조명장치(240)가 폐곡선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채운 정도로 현재시각으로부터 예약시각까지 남은 정도를 표시할 수 있다.
발광 제어부(230)는 조명장치(240)가 발광하는 빛의 색상이 부분별로 다르게 할 수 있다. 발광 제어부(230)는 조명장치(240)가 현재시각으로부터 예약시각까지 남은 정도를 표시하는 광패턴의 부분 별로 색상이 다르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제어부(230)는 남은 시간을 표시하는 광패턴을 한 시간 단위로 색상이 다르도록 할 수 있으나, 그 시간범위에는 한정하지 아니한다.
다른 실시예의 경우, 발광 제어부(230)는 예약시각까지 남은 시간의 정도에 따라서, 조명장치(240)가 표시하는 광패턴의 색상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발광 제어부(230)는 조명장치(240)가 열두시 방향으로부터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발광한 정도로 남은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발광 제어부(230)는 예약시각이 가까워질수록 조명장치(240) 내부의 복수개의 광원 중 발광하는 광원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광원은 폐곡선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광원은 폐곡선의 내부에서, 폐곡선의 바깥쪽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제어부(230)는 현재시각으로부터 예약시각까지 남은 시간에 따라서, 조명장치(240)의 광량이 변화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발광 제어부(230)는 현재시각으로부터 예약시각까지 남은 시간이 일정시간 이하인 경우, 조명장치(240)가 광패턴을 점멸하도록 할 수 있다. 발광 제어부(230)는 조명장치(240)가 점멸하는 횟수로, 현재시각으로부터 예약시각까지 남은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발광 제어부(230)는 예약시각이 도래한 경우, 조명장치(240)가 폐곡선을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광패턴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발광 제어부(230)는 예약시각이 도래한 경우, 조명장치(240)가 출력하는 광패턴의 파장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조명장치(240)는 폐곡선을 형성하는 반사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명장치(240)는 복수개의 광원이 상기 폐곡선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광원은 반사체를 향해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조명장치(240)는 폐곡선 형태의 광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조명장치(240)는 폐곡선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채우며 발광한 정도로 현재시각으로부터 예약시각까지 남은 정도를 표시할 수 있다. 조명장치(240)는 남은시간에 대응하는 부분마다 색상이 다르도록 발광할 수 있다. 조명장치(240)는 현재시각으로부터 예약시각까지 남은 정도에 따라서, 방출하는 빛의 색상을 달리할 수 있다.
조명장치(240)는 폐곡선 형태의 광패턴을 표시하고, 열두시 방향으로부터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발광한 정도로 남은 시간을 표시한다. 조명장치(240)는 예약시각이 가까워질수록 복수개의 광원 중 발광하는 광원의 개수를 조절한다.
조명장치(240)는 현재시각으로부터 예약시각까지 남은 시간이 일정시간 이하인 경우, 광패턴을 점멸할 수 있다. 조명장치(240)는 현재시각으로부터 예약시각까지 남은 시간을 점멸하는 횟수로 표시할 수 있다. 조명장치(240)는 예약시각이 도달하는 경우, 폐곡선을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광패턴을 표시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상 메모리 장치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20)는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EEP-ROM 은 제어부(210)의 동작 중, 제어부(210)에 의해 정보의 기입 및 소거가 행해질 수 있다. EEP-ROM은 공기조화기의 전원이 오프되어 전력 공급이 정지되어도, 내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가 소거되지 않고 유지되는 기억 디바이스일 수 있다.
메모리(220)는 조명장치(240)가 발광하는 방식인 광패턴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20)는 복수개의 광원이 설정된 운전에 따라서 발광하는 방식인 광패턴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제어부(210)가 요청하는 경우, 광패턴정보를 제어부(210)에 제공할 수 있다. 광패턴정보는 공기조화기의 복수의 운전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광패턴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패턴정보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조명장치(240)가 특정한 형태의 광패턴 및 색상으로 표시하는 방법을 정한 정보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출력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장치(미도시)는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또는 빛을 방출하여 시각적인 표시를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장치(260)는 물리적 버튼, 다이얼, 슬라이더 스위치, 클릭 휠 등의 외부로부터 입력을 받아들일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장치(미도시)는 LPD(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출력장치(미도시)는 공기를 조화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장치(미도시)는 냉방, 난방, 제습 또는 공기청정 등의 운전모드를 표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제어를 위해 필요한 광의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출력장치(미도시)는 터치 감지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감지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출력을 디스플레이하고, 촉각 접촉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받아들일 수 있다.
상기 시각적인 출력은 그래픽, 텍스트, 아이콘, 비디오 및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시각적인 출력의 일부 또는 전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체들에 대응할 수 있다.
터치 감지 터치 스크린은 그 위에 있는 접촉을 검출하고, 검출된 접촉을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 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체들과 대응하여 변환될 수 있다.
발광 제어부(230)는 제어부(21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발광 제어부(230)는 제어부(210)로부터 광패턴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발광 제어부(230)는 제어부(21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복수개의 광원의 광패턴의 변화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조명장치(240)는 복수개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장치(240)는 발광 제어부(230)로부터 신호를 받아 광원을 발광할 수 있다. 발광 제어부(230)는 광패턴정보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광원을 인접한 순서로 연속적으로 발광할 수 있다. 발광 제어부(230)는 조명장치(240)의 복수개의 광원을 인접한 순서로 광량이 점진적으로 변화하도록 할 수 있다.
조명장치(240)는 가상의 폐곡선의 적어도 일 영역을 발광할 수 있다. 조명장치(240)는 폐곡선을 형성하는 반사체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장치(240)는 복수개의 광원이 폐곡선의 내부에 배치되는 형태일 수 있다. 복수개의 광원은 폐곡선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광원은 상기 반사체를 향해 광을 조사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폐곡선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폐곡선을 형성하는 이보다 더 많은 형태들일 수 있다.
도 8 및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조명장치의 광패턴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을 참조하면, 조명장치(2)는 현재시각으로부터 예약시각까지 남은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장치(2)는 원형 테 형태의 광패턴(L1)을 표시할 수 있다. 조명장치(2)는 원형 테의 적어도 일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조명장치(2)는 12시 부분(A)으로부터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광패턴을 표시한 정도로 남은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의 중앙과 12시 방향을 잇는 가상의 선과 원의 중앙과 광패턴이 연장된 위치(B)를 잇는 가상의 선이 이루는 각도(C)는 현재시각으로부터 예약시각까지 남은 정도를 표시할 수 있다.
조명장치(2)는 운전이 예약된 경우, 원형 테 형태의 광패턴을 표시할 수 있다. 조명장치(2)는 예약시각에 가까워질수록 광패턴의 면적이 줄어들도록 할 수 있다.
도 9 를 참조하면, 조명장치(2)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광패턴의 면적을 조절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 의 (a)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는 조명장치(2)가 예약운전이 시작되기까지 남은 시간에 대응하는 광패턴(L1)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경우, 조명장치(2)는 심미적인 효과를 가지는 조명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도 9 의 (b) 및 도 9 의 (c)를 참조하면, 조명장치(2)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광패턴의 크기가 변화할 수 있다(L2, L3). 조명장치(2)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광패턴의 광량 또는 색상이 변화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조명장치(2)는 현재시각으로부터 예약시각까지 남은 시간이 일정한 수준 이하인 경우, 광패턴을 점멸할 수 있다. 조명장치(2)는 광패턴을 점멸하여, 예약운전이 시작됨이 임박했음을 표시할 수 있다.
조명장치(2)는 기설정된 단위의 시간대별로 조명의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장치(2)는 한시간 단위로 광패턴의 광량을 최대가 되게 할 수 있다. 조명장치(2)는 광패턴의 광량을 최대치로 올린 상태에서 남은 시간에 대응하도록 광패턴을 점멸할 수 있다.
조명장치(2)는 광패턴을 기설정된 각도로 등분하여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장치(2)는 광패턴을 한 시간당 15도로 표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조명장치(2)는 남은 시간에 따라서 광패턴의 색상을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장치(2)는 2시간 이상이 남은 경우, 초록색, 1시간 이상 남은 경우, 노란색, 1시간 미만이 남은 경우, 빨간색으로 광패턴을 표시할 수 있으나, 그 색상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도 10 을 참조하면, 조명장치(2)는 예약시각이 도래한 경우, 폐곡선을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광패턴을 표시할 수 있다.
조명장치(2)는 폐곡선을 회전하는 광패턴으로 발광할 수 있다. 도 10 의 (a), (b), (c), (d)는 폐곡선을 회전하는 광패턴의 변화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하고 있다. 도 10 의 (a)에서 조명장치(2)는 6시 방향에서 처음으로 광을 방출하여 광패턴(L1)을 형성할 수 있으나, 그 시작하는 지점에는 한정하지 아니하고, 12시 방향에서도 시작할 수 있다.
도 10 의 (b)에서, 조명장치(2)는 광패턴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L2). 광패턴은 회전하는 반대방향인 반시계방향으로 꼬리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0 의 (c), (d)는 계속적으로 광패턴이 회전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L3, L4).
조명장치(2)는 예약시각이 도래한 경우, 출력하는 광패턴의 파장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조명장치(2)는 예약시간이 도래한 경우, 광패턴의 색상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장치(2)는 빨강색, 주황색, 노랑색, 초록색, 파랑색, 남색, 보라색 순 또는 그 역순으로 광패턴의 색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조명장치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을 참조하면, 조명장치(2)는 가상의 폐곡선의 적어도 일 영역을 발광할 수 있다. 조명장치(2)는 폐곡선을 형성하는 반사체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장치(2)는 복수개의 광원이 폐곡선의 내부에 배치되는 형태일 수 있다. 복수개의 광원은 폐곡선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광원은 상기 반사체를 향해 광을 조사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폐곡선은 삼각형, 사각형(a), 오각형(b), 육각형(c), 원형 또는 타원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폐곡선을 형성하는 이보다 더 많은 형태들일 수 있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운전을 예약하는 단계(S410), 남은 시간을 표시하는 단계(S420), 남은 시간에 따라서 광패턴을 변화시키는 단계(S430) 및 예약시각에 도달하는 경우, 예약 운전을 시작하는 단계(S440)를 포함할 수 있다.
운전을 예약하는 단계(S410)는, 사용자로부터 예약운전을 입력받을 수 있다. 운전을 예약받는 경우, 예약하는 운전 또는 예약하는 시각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운전을 예약받은 경우, 예약시각을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운전을 예약받은 경우, 공기조화기는 예약시각 또는 예약시각까지 남은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S420)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는 조명장치로, 폐곡선의 일영역을 발광하여 예약시각까지 남은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남은 시간에 따라서 광패턴을 변화시킬 수 있다(S430). 공기조화기는 조명장치로 폐곡선에서 발광시킨 영역의 비율로 남은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조명장치의 발광시킨 영역을 줄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예약시각이 도래한 경우, 예약운전을 시작할 수 있다(S440). 공기조화기는 예약시각이 도래한 경우, 예약운전이 시작됨을 광패턴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장치는 폐곡선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광패턴을 표시하여 예약운전이 시작함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경우, 조명장치는 광패턴을 색상을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예약운전이 시작됨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실시예에 따라서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나,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복수의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본체 2: 조명패널
4: 공기흡입구 6,8: 공기토출구
50: 조명패널 베이스 60: 제 1 커버
64: 제 1 커버의 전면 70: 발광기구
78: 틈 80: 제 2 커버
82: 개구부 90: 반사체
91,92: 반사면 93,94,95,96: 반사판
99: 광 확산부 100: 광투과 커버
S: 공간 D1: 반사체의 내경
D2: 제 1 커버의 외경

Claims (13)

  1. 운전을 예약할 시각인 예약시각을 입력하는 입력장치;
    복수개의 광원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상기 예약시각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예약시각이 입력되었음을 표시하고, 현재시각으로부터 예약시각까지 남은 정도를 상기 복수개의 광원 중 발광하는 광원의 비율로 나타내는 발광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 제어부는 상기 조명장치가 폐곡선 형태의 광패턴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조명장치는 현재시각으로부터 예약시각까지 남은 시간이 일정시간 이하인 경우, 점멸하고, 예약시각이 도래한 경우, 출력하는 상기 광패턴의 파장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공기조화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폐곡선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채우며 발광한 정도로 현재시각으로부터 예약시각까지 남은 정도를 표시하는 공기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남은 시간에 대응하는 부분마다 색상이 다른 공기조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현재시각으로부터 예약시각까지 남은 정도에 따라서, 방출하는 빛의 색상을 달리하는 공기조화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열두시 방향으로부터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발광한 정도로 남은 시간을 표시하는 공기조화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제어부는 예약시각이 가까워질수록 상기 복수개의 광원 중 발광하는 광원의 개수를 조절하는 공기조화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제어부는 현재시각으로부터 예약시각까지 남은 시간에 따라서 광량을 조절하는 공기조화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기설정된 단위의 시간대마다, 조명의 광량을 최대로 하고, 남은 시간에 대응하도록 광패턴을 점멸하는 공기조화기.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현재시각으로부터 예약시각까지 남은 시간을 점멸하는 횟수로 표시하는 공기조화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예약시각이 도래한 경우, 폐곡선을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광패턴을 표시하는 공기조화기.
  13. 삭제
KR1020130083761A 2013-07-16 2013-07-16 공기조화기 KR102134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761A KR102134610B1 (ko) 2013-07-16 2013-07-16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761A KR102134610B1 (ko) 2013-07-16 2013-07-16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363A KR20150009363A (ko) 2015-01-26
KR102134610B1 true KR102134610B1 (ko) 2020-07-16

Family

ID=52572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3761A KR102134610B1 (ko) 2013-07-16 2013-07-16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46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732Y1 (ko) * 2015-05-06 2016-07-04 주식회사 아바더스트콜렉터 집진기 상태 표시용 회전 디스플레이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88952B2 (en) 1998-11-17 2002-05-14 Joo-Sul Kim Programmable time switch
JP3852375B2 (ja) 2002-06-24 2006-11-29 マックス株式会社 機器操作用の表示機能付リモコン
KR101013336B1 (ko) * 2008-12-27 2011-02-14 한원흠 다중 색 발광다이오드 신호등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2045A (ja) * 1997-02-20 1998-09-02 Toshiba Corp 集中形空気調和装置
KR20050097602A (ko) * 2004-04-01 2005-10-1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에어컨 전면부 전체에 감성 정보를 표시하는 에어컨 표시장치
KR20060005687A (ko) * 2004-07-14 2006-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예약시간 표시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88952B2 (en) 1998-11-17 2002-05-14 Joo-Sul Kim Programmable time switch
JP3852375B2 (ja) 2002-06-24 2006-11-29 マックス株式会社 機器操作用の表示機能付リモコン
KR101013336B1 (ko) * 2008-12-27 2011-02-14 한원흠 다중 색 발광다이오드 신호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363A (ko) 2015-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4611B1 (ko) 공기조화기
KR101994478B1 (ko)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JP7343267B2 (ja) バニティミラー
CN110546445B (zh) 在制冷器具上的信息显示
JP2016179173A (ja) バニティミラー
KR102053144B1 (ko) 공기조화기
CN107120728B (zh) 一种分区控制风速的空调及控制方法
JP2002013795A (ja) 空気調和機およびそれに用いる表示パネル並びに光表示方法
CN106766074B (zh) 一种空调及该空调的显示方法
KR102134610B1 (ko) 공기조화기
KR102033690B1 (ko) 공기조화기
CN101545655B (zh) 空调机
KR102152732B1 (ko) 공기조화기
KR102155556B1 (ko) 공기조화기
KR20080065127A (ko) 공기조화기
KR102080513B1 (ko) 공기조화기
KR100942549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14248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CN102116505A (zh) 空调机
KR20140056908A (ko) 가전기기의 디스플레이 구조
CN216693742U (zh) 空调室内机和空调
US20230152504A1 (en) Home appliance
KR101994477B1 (ko)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03906359U (zh) 具有背光折射结构的风扇装置
KR20090125542A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