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8115B1 - 선풍기 겸용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선풍기 겸용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8115B1
KR101398115B1 KR1020120134018A KR20120134018A KR101398115B1 KR 101398115 B1 KR101398115 B1 KR 101398115B1 KR 1020120134018 A KR1020120134018 A KR 1020120134018A KR 20120134018 A KR20120134018 A KR 20120134018A KR 101398115 B1 KR101398115 B1 KR 101398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ir
support
main body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4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철
Original Assignee
(주)리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닉스 filed Critical (주)리닉스
Priority to KR1020120134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81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8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8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8Ventilating systems
    • F21V33/0096Fans, e.g. ceilin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1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omprising a linear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Abstract

선풍기 겸용 조명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 겸용 조명장치는, 설치를 위한 지지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와 공기가 방출되는 공기 방출구가 마련되는 본체와,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며, 공기 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흡입된 공기를 공기 방출구로 방출하는 송풍유닛과, 본체에 결합되어 외부를 조명하는 조명유닛과, 조명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조명유닛의 조도를 조절하는 조도 조절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선풍기 겸용 조명장치{illumination device with fan}
본 발명은, 선풍기 겸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무실의 파티션 또는 책상과 같은 지지체에 설치되어 바람을 불어주는 동시에 빛을 발생시켜 조명의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는 선풍기 겸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이나 가정에는 여름이나 겨울에 실내온도를 쾌적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에어컨, 선풍기, 히터와 같은 냉난방기가 구비된다.
또한, 사무실이나 가정에는 특정 영역을 집중적으로 조명하기 위해 전기 스탠드와 같은 조명기기가 사용된다.
선풍기는 폭넓게 사용되는 냉난방기로서 통상 스탠드 타입으로 이루어져 사무실의 책상 위나 복도 등 적정위치에 세워놓고 사용한다.
또한, 전기 스탠드 역시 통상 사무실 또는 가정의 책상 위에 세워서 사용자가 원하는 조명영역을 조명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선풍기 및 전기 스탠드는 사무실 또는 가정의 책상 위에 개별로 배치되기 때문에 책상 위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책상 위 공간이 협소해 진다.
또한, 선풍기 및 전기 스탠드는 책상 위에 세워지는 형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책상 상면의 일부를 점유하게 되어 책상 위의 공간 활용도가 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공간 활용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풍기 및 전기 스탠드의 설치위치를 다변화하고 복합적인 기능을 갖는 제품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전기 스탠드 등의 조명기기는 적절한 조도(intensity of illumination)를 필요로 한다. 조명기기가 너무 어두우면 시각적으로 올바르게 인식하는데 많은 에너지가 소요되며, 조명기기가 너무 밝은 경우에는 눈부심이 발생된다.
이러한 조명기기의 사용 시 필요한 조도는, 조명기기의 설치 위치 및 사용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조명기기의 설치 위치 및 사용 환경에 따라 조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제품이 필요한 실정이다.
실용신안등록번호 KR 20-0414166 (김영학), 2006.04.10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무실의 파티션과 같은 지지체에 설치되고 바람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책상 위의 특정영역을 조명할 수 있으며, 조도를 조절할 수 있는 선풍기 겸용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설치를 위한 지지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와 상기 공기가 방출되는 공기 방출구가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공기 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흡입된 상기 공기를 상기 공기 방출구로 방출하는 송풍유닛;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외부를 조명하는 조명유닛; 및 상기 조명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조명유닛의 조도를 조절하는 조도 조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지지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조명유닛을 지지하는 지지체 결합유닛; 상기 공기를 상기 공기 방출구로 안내하며, 상기 송풍유닛을 지지하는 송풍유닛 지지유닛; 및 상기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체 결합유닛의 내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체 결합유닛과 상기 송풍유닛 지지유닛 각각에 결합되는 개폐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송풍유닛 지지유닛은, 상기 송풍유닛을 지지하는 송풍유닛 지지판; 및 상기 송풍유닛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공기 방출구에서 방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풍향 조절부에 연결되어 상기 풍향 조절부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풍향 조절 다이얼을 더 포함하는 선풍기 겸용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조도 조절유닛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조도 조절용 인쇄회로기판(PC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조도 조절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조도 조절유닛을 조작하는 조도 조작 다이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 결합유닛은, 상기 지지체에 연결되는 지지체판; 및 상기 지지체판에서 연장되어 마련되며, 상기 조명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명유닛 지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판은, 상기 지지체판의 내측벽에 마련되며, 상기 조도 조절유닛이 설치되는 조도 조절유닛 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판에는, 자성체가 장착되는 자성체 장착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체판은, 상기 자성체에 연결되어 상기 자성체를 지지하는 자성체 연결판; 및 상기 지지체판의 내측벽에 마련되며, 상기 자성체 연결판이 설치되는 연결판 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유닛 지지유닛은, 상기 송풍유닛 지지판에 연결되며, 상기 공기를 상기 공기 방출구로 안내하는 공기 방출용 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유닛 지지유닛은, 상기 송풍유닛 지지판에 연결되며, 상기 조도 조절유닛을 지지하는 조도 조절유닛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 프레임은, 프레임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 결합유닛의 내부를 폐쇄 시 상호 접촉되는 상기 지지체 결합유닛의 일단부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단부 중 어느 하나에는 제1 걸림돌기가 마련되며,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1 걸림돌기가 끼워지는 제1 걸림턱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지체 결합유닛의 내부를 폐쇄 시 상호 접촉되는 상기 송풍유닛 지지유닛의 일단부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타단부 중 어느 하나에는 제2 걸림돌기가 마련되며,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2 걸림돌기가 끼워지는 제2 걸림턱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조명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체 결합유닛 및 상기 송풍유닛 지지유닛에 결합되는 투광성 조명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유닛은 빛을 발산하는 엘이디(LED)를 포함하며, 상기 투광성 조명커버는, 상기 엘이디(LED)의 빛을 산란시키는 확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바람을 발생시키는 송풍유닛과 조명영역을 조명하는 조명유닛이 함께 구비됨으로써, 각각 별개로 설치되는 것에 비해 설치면적을 줄어들어 공간 활용도가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무실의 파티션과 같은 지지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사무실의 책상 위에 세워지는 형태로 설치되지 않아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할 수 있으며, 책상 상면의 공간을 점유하지 않아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조도 조절유닛이 조명유닛의 조도를 조절함으로써, 설치 위치 및 사용 환경에 따라 사용자에게 최적의 조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 겸용 조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후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선풍기 겸용 조명장치의 조명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선풍기 겸용 조명장치의 내부구조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9는 및 도 10은 도 8의 선풍기 겸용 조명장치의 동작상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 겸용 조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좌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우측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후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1의 선풍기 겸용 조명장치의 조명유닛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8은 도 1의 선풍기 겸용 조명장치의 내부구조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9는 및 도 10은 도 8의 선풍기 겸용 조명장치의 동작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 겸용 조명장치는, 설치를 위한 지지체(T)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I)와 공기가 방출되는 공기 방출구(E)가 마련되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내부에 마련되며, 공기 흡입구(I)로 공기를 흡입하여 흡입된 공기를 공기 방출구(E)로 방출하는 송풍유닛(120)과, 본체(110)에 결합되어 외부를 조명하는 조명유닛(130)과, 조명유닛(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조명유닛(130)의 조도를 조절하는 조도 조절유닛(14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체(T)는 사무실의 파티션으로 예시되지만, 지지체(T)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벽면, 책장, 책꽂이 등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 겸용 조명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 다양한 대상이 될 수 있다.
본체(110)는, 설치를 위한 지지체(T)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본체(110)에는,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I)와 공기가 방출되는 공기 방출구(E)가 형성된다.
여기서 공기 흡입구(I)는 본체(110)의 상단 영역에 형성되고 공기 방출구(E)는 본체(110)의 정면부 아래쪽에 형성된다.
즉 외부 공기는, 본체(110)의 상단 영역에 형성된 공기 흡입구(I)를 통해 흡입되어 본체(110)의 정면부 아래쪽에 형성된 공기 방출구(E)를 통해 방출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 겸용 조명장치는, 공기 흡입구(I)가 본체(110)의 상단 영역에 형성됨으로써, 대기압에 의해 공기 흡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방출구(E)를 통해 방출되는 공기의 풍량은, 공기 흡입구(I)가 본체(110)의 상단 영역에 형성되지 않은 경우보다 증가한다.
또한, 본체(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부의 최하단부에서 전면부의 최하단부를 연결하는 직선이 수평면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P)가 0 내지 10도 이내를 이루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범위를 넘어서는 경우, 예를 들어 20도인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되며, -10도인 경우에는 어두워 조명 효과가 떨어진다.
이러한 본체(110)에 대한 자세한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술한다.
한편, 송풍유닛(120)은, 본체(110)의 내부에 마련되며, 공기 흡입구(I)로 공기를 흡입하여 흡입된 공기를 공기 방출구(E)로 방출한다.
이러한 송풍유닛(120)은, 외주면에 복수개의 블레이드(122)가 돌출되어 마련되는 회전체(121)와, 회전체(121)와 결합되고 모터(미도시)와 연결되어 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체(121)를 회전시키는 회전축(123)과, 내부에 회전체(121) 및 회전축(123)이 설치되며 본체(110)에 결합되는 송풍유닛 케이스(124)를 포함한다.
회전체(121)는 길이가 긴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 마련되는 블레이드(122)가 회전체(121)와 함께 회전되어 공기를 송풍한다.
본 실시예에서 송풍유닛(120)은, 회전에 의해 공기를 유동시키는 횡류팬(cross flow fan)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조명유닛(130)은, 본체(110)에 결합되어 외부를 조명한다. 이러한 조명유닛(130)은 책상(미도시)의 상부면 등의 조명영역을 조명하기 위해 본체(110)의 하단부 영역에 마련된다.
본 실시에에서 조명유닛(130)은 빛을 발산하는 LED(Light Emitting Diode, 131)와 LED가 설치되는 LED용 PCB(Printed Circuit Board, 13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조명유닛(130)은, 발광원으로 LED(131)를 사용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형광등과 같은 다양한 발광원이 조명유닛(130)의 발광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조도 조절유닛(140)은, 조명유닛(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조명유닛(130)의 조도를 조절한다. 이러한 조도 조절유닛(140)은, 본체(1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조도 조절용 인쇄회로기판(PCB,141)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 겸용 조명장치는, 조도 조절유닛(140)에 연결되어 조도 조절유닛(140)을 조작하는 조도 조작 다이얼(D1)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조도 조작 다이얼(D1)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술한다.
한편 본체(110)는, 지지체(T)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조명유닛(130)을 지지하는 지지체 결합유닛(111)과, 공기를 공기 방출구(E)로 안내하며 송풍유닛(120)을 지지하는 송풍유닛 지지유닛(112)과, 공기 흡입구(I)가 형성되며 지지체 결합유닛(111)의 내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지지체 결합유닛(111)과 송풍유닛 지지유닛(112) 각각에 결합되는 개폐 프레임(113)을 포함한다.
지지체 결합유닛(111)은, 지지체(T)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조명유닛(130)을 지지한다.
이러한 지지체 결합유닛(111)은, 지지체(T)에 연결되는 지지체판(111a)과, 지지체판(111a)에서 연장되어 마련되며 조명유닛(13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명유닛 지지판(111b)을 포함한다.
지지체판(111a)은 지지체(T)에 연결된다. 이러한 지지체판(111a)은, 지지체판(111a)의 내측벽에 마련되며, 조도 조절유닛(140)이 설치되는 조도 조절유닛 브래킷(111c)을 포함한다.
즉 조도 조절용 인쇄회로기판(141)은, 일단부가 조도 조절유닛 브래킷(111c)에 끼워져 지지체판(111a)에 설치된다.
또한 지지체판(111a)에는, 자성체(Y)가 장착되는 자성체 장착홀(111d)이 형성된다.
이러한 자성체(Y)는, 지지체 결합유닛(111)과 지지체(T)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즉 지지체(T)의 적어도 일부분이 철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자성체(Y)를 통해 지지체 결합유닛(111)을 지지체(T)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지지체판(111a)은, 자성체(Y)에 연결되는 자성체 연결판(111e)과, 지지체판(111a)의 내측벽에 마련되며, 자성체 연결판(111e)이 설치되는 연결판 브래킷(111f)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자성체 연결판(111e)은 철판으로 마련됨으로써, 자성체(Y)가 자력에 의해 자성체 연결판(111e)에 부착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체 결합유닛(111)은, 자성체(Y)의 자력을 이용하는 방식 외에도, 접착제, 별도의 결합 브래킷(미도시) 등을 통해 지지체(T)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조명유닛 지지판(111b)은, 지지체판(111a)에서 연장되어 마련되며 조명유닛(13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조명유닛 지지판(111b)은 조명유닛(130)이 설치되는 조명유닛 브래킷(미도시)을 포함한다.
한편 송풍유닛 지지유닛(112)은, 공기를 공기 방출구(E)로 안내하며 송풍유닛(120)을 지지한다.
이러한 송풍유닛 지지유닛(112)은, 송풍유닛(120)을 지지하는 송풍유닛 지지판(112a)과, 송풍유닛 지지판(112a)에 연결되며, 공기를 공기 방출구(E)로 안내하는 공기 방출용 안내부(112b)를 포함한다.
송풍유닛 지지판(112a)은 송풍유닛(120)을 지지한다. 즉 송풍유닛 지지판(112a)은, 송풍유닛 케이스(124)에 연결되어 송풍유닛(120)을 지지한다.
이러한 송풍유닛 지지판(112a)에는 공기가 통과하는 공기 통과구(112c)가 형성된다.
공기 방출용 안내부(112b)는, 송풍유닛 지지판(112a)에 연결되며, 공기를 공기 방출구(E)로 안내한다. 이러한 공기 방출용 안내부(112b)는 공기의 원활한 유동을 위해 곡선형 단면을 갖는다.
또한 송풍유닛 지지유닛(112)은, 송풍유닛 지지판(112a)에 연결되며, 조도 조절유닛(140)을 지지하는 조도 조절유닛 지지부(112d)를 더 포함한다. 즉 즉 조도 조절용 인쇄회로기판(141)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조도 조절유닛 브래킷(111c)에 끼워지고, 타단부 영역이 조도 조절유닛 지지부(112d)에 지지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도 조절용 인쇄회로기판(141)은, 조도 조절유닛 지지부(112d)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더욱 안정적으로 본체(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송풍유닛 지지유닛(112)은, 송풍유닛 지지판(112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에 의해 공기 방출구(E)에서 방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 조절부(112e)를 더 포함한다.
즉 풍향 조절부(112e)는, 회전에 의해 자세가 변화되어 공기 방출구(E)에서 방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가변시킨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 겸용 조명장치는, 본체(110)의 외부에 배치되며, 풍향 조절부(112e)에 연결되어 풍향 조절부(112e)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풍향 조절 다이얼(D2)을 포함한다.
이러한 풍향 조절 다이얼(D2)은, 본체(110)의 제1 측벽(115)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풍향 조절부(112e)에 연결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에 풍향 조절부(112e)를 회전시킨다.
또한 이러한 풍향 조절 다이얼(D2)은, 풍향 조절부(112e)를 회전시킴으로써 공기 방출구(E)에서 방출되는 풍량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개폐 프레임(113)은, 공기 흡입구(I)가 형성되며, 지지체 결합유닛(111)의 내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지지체 결합유닛(111)과 송풍유닛 지지유닛(112) 각각에 결합된다. 이러한 개폐 프레임(113)은 프레임 본체(113a)를 포함한다.
지지체 결합유닛(111)의 내부를 폐쇄 시 상호 접촉되는 지지체 결합유닛(111)의 일단부와 프레임 본체(113a)의 일단부 중 어느 하나에는 제1 걸림돌기(G1)가 마련되며, 다른 하나에는 제1 걸림돌기(G1)가 끼워지는 제1 걸림턱(G2)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 본체(113a)의 일단부에는 제1 걸림돌기(G1)가 마련되며, 지지체판(111a)의 일단부에는 제1 걸림턱(G2)이 마련된다.
지지체 결합유닛(111)의 내부를 폐쇄 시 상호 접촉되는 송풍유닛 지지유닛(112)의 일단부와 프레임 본체(113a)의 타단부 중 어느 하나에는 제2 걸림돌기(G3)가 마련되며, 다른 하나에는 제2 걸림돌기(G3)가 끼워지는 제2 걸림턱(G4)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 본체(113a)의 타단부에는 제2 걸림돌기(G3)가 마련되며, 송풍유닛 지지판(112a)의 일단부에는 제2 걸림턱(G4)이 마련된다.
한편, 본체(110)는, 조명유닛(130)의 하부에 배치되며, 지지체 결합유닛(111) 및 송풍유닛 지지유닛(112)에 결합되는 투광성 조명커버(114)를 포함한다.
이러한 투광성 조명커버(114)는, 엘이디(LED)의 빛을 산란시키는 확산판(미도시)을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 겸용 조명장치는, 본체(110)의 외부에 배치되며, 조도 조절유닛(140)에 연결되어 조도 조절유닛(140)을 조작하는 조도 조작 다이얼(D1)을 포함한다.
이러한 조도 조작 다이얼(D1)은, 앞서 설명한 본체(110)의 제1 측벽(115)의 반대방향에 배치되는 제2 측벽(116)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조도 조절용 인쇄회로기판(141)에 기계적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조도 조절용 인쇄회로기판(141)에 조도 조절에 대한 신호를 전달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 겸용 조명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DC전원을 공급받는 파워 잭 커넥터(Q)을 포함한다.
이러한 파워 잭 커넥터(Q)에 DC 파워 잭(미도시)이 삽입됨으로써, 본 실시예의 선풍기 겸용 조명장치에 전원이 공급된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 겸용 조명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 기능을 갖는 선풍기는 책상 위에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파티션과 같은 지지체(T)에 결합된다. 송풍유닛(120)의 작동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공기 흡입구(I)를 통해 흡입되어 공기 방출구(E)롤 통해 방출된다.
즉, 본체(110)의 정면부 아래쪽에 형성된 공기 방출구(E)를 통해 공기가 방출되기 때문에 책상에 앉은 사용자는 시원한 바람을 맞게 된다.
본체(110)의 하단부 영역에 마련되는 조명유닛(130)은 책상 위의 조명영역을 조명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 겸용 조명장치는, 책상에 앉은 사용자쪽으로 바람을 불어줄 수 있는 송풍유닛(120) 및 책상 위의 조명영역을 조명하는 조명유닛(130)을 포함하며, 파티션과 같은 지지체(T)에 설치됨으로써, 설치면적을 줄일 수 있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 겸용 조명장치는, 책상 위에 세워져서 설치되는 형태가 아니라 파티션에 직접 결합되는 방식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책상 상면의 공간을 점유하지 않아 책상 상면을 넓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 겸용 조명장치는, 조도 조절유닛(140)이 조도를 조절함으로써, 설치 위치 및 사용 환경에 따라 사용자에게 최적의 조도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본체 111: 지지체 결합유닛
111a: 지지체판 111b: 조명유닛 지지판
111c: 조도 조절유닛 브래킷 111d: 자성체 장착홀
111e: 자성체 연결판 111f: 연결판 브래킷
112: 송풍유닛 지지유닛 112a: 송풍유닛 지지판
112b: 공기 방출용 안내부 112c: 공기 통과구
112d: 조도 조절유닛 지지부 112e: 풍향 조절부
113: 개폐 프레임 113a: 프레임 본체
114: 투광성 조명커버 115: 제1 측벽
116: 제2 측벽
120: 송풍유닛 121: 회전체
122: 블레이드 123: 회전축
124: 송풍유닛 케이스 130: 조명유닛
131: LED 132: LED용 PCB
140: 조도 조절유닛 141: 조도 조절용 인쇄회로기판
D1: 조도 조작 다이얼 D2: 풍향 조절 다이얼
Y: 자성체 G1: 제1 걸림돌기
G2: 제1 걸림턱 G3: 제2 걸림돌기
G4: 제2 걸림턱 1I: 공기 흡입구
E: 공기 방출구 Q: 파워 잭 커넥터

Claims (16)

  1. 설치를 위한 지지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와 상기 공기가 방출되는 공기 방출구가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공기 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흡입된 상기 공기를 상기 공기 방출구로 방출하는 송풍유닛;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외부를 조명하는 조명유닛; 및
    상기 조명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조명유닛의 조도를 조절하는 조도 조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지지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조명유닛을 지지하는 지지체 결합유닛;
    상기 공기를 상기 공기 방출구로 안내하며, 상기 송풍유닛을 지지하는 송풍유닛 지지유닛; 및
    상기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체 결합유닛의 내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체 결합유닛과 상기 송풍유닛 지지유닛 각각에 결합되는 개폐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송풍유닛 지지유닛은,
    상기 송풍유닛을 지지하는 송풍유닛 지지판; 및
    상기 송풍유닛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공기 방출구에서 방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풍향 조절부에 연결되어 상기 풍향 조절부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풍향 조절 다이얼을 더 포함하는 선풍기 겸용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도 조절유닛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조도 조절용 인쇄회로기판(PCB)을 포함하는 선풍기 겸용 조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조도 조절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조도 조절유닛을 조작하는 조도 조작 다이얼을 포함하는 선풍기 겸용 조명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결합유닛은,
    상기 지지체에 연결되는 지지체판; 및
    상기 지지체판에서 연장되어 마련되며, 상기 조명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명유닛 지지판을 포함하는 선풍기 겸용 조명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판은,
    상기 지지체판의 내측벽에 마련되며, 상기 조도 조절유닛이 설치되는 조도 조절유닛 브래킷을 포함하는 선풍기 겸용 조명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판에는, 자성체가 장착되는 자성체 장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겸용 조명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판은,
    상기 자성체에 연결되어 상기 자성체를 지지하는 자성체 연결판; 및
    상기 지지체판의 내측벽에 마련되며, 상기 자성체 연결판이 설치되는 연결판 브래킷을 포함하는 선풍기 겸용 조명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유닛 지지유닛은,
    상기 송풍유닛 지지판에 연결되며, 상기 공기를 상기 공기 방출구로 안내하는 공기 방출용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선풍기 겸용 조명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유닛 지지유닛은,
    상기 송풍유닛 지지판에 연결되며, 상기 조도 조절유닛을 지지하는 조도 조절유닛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선풍기 겸용 조명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프레임은, 프레임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 결합유닛의 내부를 폐쇄 시 상호 접촉되는 상기 지지체 결합유닛의 일단부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단부 중 어느 하나에는 제1 걸림돌기가 마련되며,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1 걸림돌기가 끼워지는 제1 걸림턱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겸용 조명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결합유닛의 내부를 폐쇄 시 상호 접촉되는 상기 송풍유닛 지지유닛의 일단부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타단부 중 어느 하나에는 제2 걸림돌기가 마련되며,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2 걸림돌기가 끼워지는 제2 걸림턱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겸용 조명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조명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체 결합유닛 및 상기 송풍유닛 지지유닛에 결합되는 투광성 조명커버를 더 포함하는 선풍기 겸용 조명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유닛은 빛을 발산하는 엘이디(LED)를 포함하며,
    상기 투광성 조명커버는,
    상기 엘이디(LED)의 빛을 산란시키는 확산판을 포함하는 선풍기 겸용 조명장치.
KR1020120134018A 2012-11-23 2012-11-23 선풍기 겸용 조명장치 KR101398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018A KR101398115B1 (ko) 2012-11-23 2012-11-23 선풍기 겸용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018A KR101398115B1 (ko) 2012-11-23 2012-11-23 선풍기 겸용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8115B1 true KR101398115B1 (ko) 2014-05-27

Family

ID=50894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4018A KR101398115B1 (ko) 2012-11-23 2012-11-23 선풍기 겸용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81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258Y1 (ko) 2020-05-15 2021-02-26 장성욱 천장고정형 조명 선풍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1384U (ja) * 2007-01-29 2007-05-10 肇 筒井 仏壇
KR20090003869A (ko) * 2007-07-05 2009-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1384U (ja) * 2007-01-29 2007-05-10 肇 筒井 仏壇
KR20090003869A (ko) * 2007-07-05 2009-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258Y1 (ko) 2020-05-15 2021-02-26 장성욱 천장고정형 조명 선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3689B1 (ko) 공기조화기
CA2487548C (en) Lighting and ventilating apparatus and method
KR102001868B1 (ko) 공기 조화기
KR102078274B1 (ko) 공기조화기
KR20120005436U (ko) 엘이디조명등부 브이에이브이 전동디퓨저
KR20090003869A (ko) 공기조화기
KR20140092952A (ko) 공기조화기
KR102033690B1 (ko) 공기조화기
CN101737869B (zh) 空调的室内机
KR101398115B1 (ko) 선풍기 겸용 조명장치
KR101715569B1 (ko) 조명등을 겸한 욕실용 환풍기
KR20180046070A (ko) 공기청정기
JP2004085022A (ja) 空気調和機
CN113482954A (zh) 一种新型吊顶风扇灯
KR20090043234A (ko) 공기조화기
KR20110005268U (ko) Led 조명램프를 구비하는 환기장치
KR100668062B1 (ko) 공기청정기
KR20170076446A (ko) 공기조화기
CN104613017B (zh) 换气扇
KR101454327B1 (ko) 조명부를 구비한 천장용 선풍기 및 천장용 선풍기 시스템
KR101507812B1 (ko) 공기조화기
KR101292950B1 (ko)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
KR200293012Y1 (ko) 에어컨
CN212252217U (zh) 可调出风风向的橱柜无叶风扇灯
CN215170951U (zh) 一种带有导风结构的风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