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4327B1 - 조명부를 구비한 천장용 선풍기 및 천장용 선풍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조명부를 구비한 천장용 선풍기 및 천장용 선풍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4327B1
KR101454327B1 KR1020130158627A KR20130158627A KR101454327B1 KR 101454327 B1 KR101454327 B1 KR 101454327B1 KR 1020130158627 A KR1020130158627 A KR 1020130158627A KR 20130158627 A KR20130158627 A KR 20130158627A KR 101454327 B1 KR101454327 B1 KR 101454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se
air
propeller
dri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8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웅
박상일
이서행
이현우
Original Assignee
잘만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잘만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잘만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8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43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4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4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088Ceilin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D27/004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by varying driving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D27/007Conjoint control of two or more different fun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3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1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703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specially for fans, e.g. fan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8Ventilating systems
    • F21V33/0096Fans, e.g. ceiling f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 H02H7/08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against excessive load
    • H02H7/085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against excessive load directly responsive to abnormal temperature by using a temperature sen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용 선풍기 및 천자용 선풍기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천장에 설치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하면의 중앙부분에는 공기가 흡입되도록 제 1 공기통풍구가 형성되며, 측면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부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고정되는 구동부와, 원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며, 회전하여 하측의 공기를 흡입하여 측면으로 유동시키는 제 1 프로펠러와, 상기 제 1 프로펠러의 회전에 따라 공기가 흡입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프로펠러와 수직배열로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 설치되는 조명부와, 상기 케이스 또는 상기 케이스가 설치되는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의 온도 및 외부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센서부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상기 케이스 내부의 온도 또는 외부의 온도 중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조명부와 상기 구동부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명부를 구비한 천장용 선풍기 및 천장용 선풍기 시스템{Ceiling fan including ight part and ceiling fan system}
본 발명은 선풍기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부를 구비한 천장용 선풍기 및 천장용 선풍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선풍기는 프로펠러의 회전에 따라 기류를 형성하여 프로펠러의 후면의 공기를 전면으로 유동시킴으로써 공기의 흐름을 형성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선풍기는 설치 장소, 설치 방법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선풍기를 지면에 놓는 경우 스탠드형 선풍기, 천장에 설치하는 경우 천장용 선풍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천장용 선풍기는 천장에 설치되어 천장 주위의 공기를 순환시키거나 천장으로부터 바닥으로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천장용 선풍기는 축류형 프로펠러와 구동부를 구비하여 구동부의 작동에 따라 축류형 프로펠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와 같은 공기의 유동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천장용 선풍기는 축류형 프로펠러를 외부로 완전히 노출시킨 상태에서 사용하거나 천장에 개방된 상태로 설치하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축류형 프로펠러를 사용하는 천장용 선풍기의 경우 공기의 충분한 유동 경로를 확보하여야만 효과적으로 공기를 유동을 시킬 수 있다. 이때, 천장용 선풍기는 천장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이격시켜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치 공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천장용 선풍기는 천장의 중앙 부분에 설치되나 천장의 중앙 부분에 조명 등이 설치되는 경우 간섭 등으로 인하여 다른 위치에 설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조명부를 구비한 천장용 선풍기 및 천장용 선풍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천장에 설치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하면의 중앙부분에는 공기가 흡입되도록 제 1 공기통풍구가 형성되며, 측면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부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고정되는 구동부와, 원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며, 회전하여 하측의 공기를 흡입하여 측면으로 유동시키는 제 1 프로펠러와, 상기 제 1 프로펠러의 회전에 따라 공기가 흡입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프로펠러와 수직배열로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 설치되는 조명부와, 상기 케이스 또는 상기 케이스가 설치되는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의 온도 및 외부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센서부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상기 케이스 내부의 온도 또는 외부의 온도 중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조명부와 상기 구동부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천장용 선풍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내부의 온도 및 상기 외부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설정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가 작동되거나 상기 구동부의 회전속도가 증가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설정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중지시키거나 상기 구동부의 회전속도를 감소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공기통풍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 1 프로펠러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공기토출부로 유동하는 공기 유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조명부 및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조명부에 전류를 공급하는 컨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상에 설치되어 상기 조명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시키는 방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흡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포집하도록 상기 케이스 하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먼지집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천장에 상기 케이스를 고정시키는 멀티 프레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멀티 프레임부는 결합부재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구멍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프로펠러의 지름과 상이한 지름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프로펠러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2 프로펠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프로펠러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가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배출부 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공기가 토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토출홀이 형성된 그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그릴부와 연결되며, 상기 그릴부를 상기 조명부의 측면을 따라 회전시키는 그릴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천장용 선풍기와, 상기 천장용 선풍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조명부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제어신호입력부를 포함하는 천장용 선풍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어신호입력부를 통하여 조작이 가능하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슬림한 구조를 통하여 천장에 설치 가능하므로 다양한 장소에 설치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용 선풍기 시스템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천장용 선풍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천장용 선풍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천장용 선풍기의 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천장용 선풍기 시스템의 제어흐름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천장용 선풍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 1 프로펠러, 제 2 프로펠러와 제 1 케이스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용 선풍기 시스템(10)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천장용 선풍기 시스템(10)은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용 선풍기(100)와, 천장용 선풍기(100)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제어신호입력부(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신호입력부(1)는 후술할 조명부(140)와 구동부(120)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제어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어신호입력부(1)는 조명부(140)와 구동부(120)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천장용 선풍기(100)에 송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천장용 선풍기(100)는 제어신호입력부(1)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받거나 제어신호입력부(1)로 신호를 송출하는 제 1 송수신부(1a)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어신호입력부(1)는 제 1 송수신부(1a)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제 2 송수신부(111a)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제 1 송수신부(1a) 및 제 2 송수신부(111a)는 일반적인 근거리 통신을 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으며, 케이블로 연결된 경우 신호를 입력받는 장치일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제어신호입력부(1)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천장용 선풍기(100)와 제어신호입력부(1)가 유선 형태로 연결되는 경우 제어신호입력부(1)는 건물 등에 설치되는 스위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스위치는 일반적인 온/오프 스위치일 수 있으며, 조그셔틀(Jog&shuttle) 형태의 스위치 등일 수 있다.
반면, 천장용 선풍기(100)와 제어신호입력부(1)가 무선 형태로 연결되는 경우 제어신호입력부(1)는 리모콘, 휴대용 단말기 또는 휴대전화 등일 수 있다. 이때, 제어신호입력부(1)에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입력 버튼(1b) 등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작동하는 천장용 선풍기(100)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천장용 선풍기(100)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천장용 선풍기(100)는 천장에 설치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케이스(110)는 천장에 설치되는 제 1 케이스(11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10)는 제 1 케이스(111)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며, 제 1 케이스(111)와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 2 케이스(112)를 구비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제 1 케이스(111)와 제 2 케이스(112)의 사이에 설치되며, 제 1 케이스(111)와 제 2 케이스(112)를 연결시키는 연결리브(11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연결리브(113)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리브(113)는 제 1 케이스(111)와 제 2 케이스(112) 사이에 배치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제 1 케이스(111)와 제 2 케이스(112)의 측면에 각각 배치되어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연결리브(113)는 서로 대향하는 제 1 케이스(111)의 측면과 제 2 케이스(112)의 측면에 설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연결리브(113)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연결리브(113)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각 연결리브(113)는 제 1 케이스(111)와 제 2 케이스(112) 중 적어도 하나와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 연결리브(113)는 상기의 경우 이외에도 제 1 케이스(111)와 제 2 케이스(112)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결합함으로써 제 1 케이스(111)와 제 2 케이스(112)를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연결리브(113)가 제 1 케이스(111)와 제 2 케이스(112)에 각각 결합되어 제 1 케이스(111)와 제 2 케이스(112)를 연결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제 1 케이스(111)는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케이스(111)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타원의 일부 형상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케이스(111)의 중앙 부분은 천장과 인접하고, 제 1 케이스(111)의 외곽 부분은 중앙 부분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천장과의 사이가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케이스(111)의 중앙 부분은 후술할 멀티 프레임부(180)와 접촉하여 지지력이 향상되도록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 2 케이스(112)는 제 1 케이스(111)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 2 케이스(112)에는 하면으로부터 흡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제 1 공기통풍구(112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케이스(112)는 제 1 공기통풍구(112a)의 주변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제 1 공기통풍구(112a)로 공기를 안내하는 안내리브(112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 2 케이스(112)는 제 1 케이스(111)와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 2 케이스(112)의 측면과 제 1 케이스(111)의 측면은 공기토출부(114)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공기토출부(114)는 제 1 케이스(111)와 제 2 케이스(112)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공기의 토출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 케이스(112)는 대체적으로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공기토출부(114)를 형성하는 제 2 케이스(112) 부분은 평평한 부분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제 1 케이스(111)의 측면과 제 2 케이스(112)의 측면으로 인하여 공기토출부(114)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 방향은 후술할 제 1 프로펠러(130)의 회전중심과 일정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공기토출부(114)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 방향은 제 2 케이스(112)의 하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천장용 선풍기(100)는 케이스(110) 내부에 배치되어 케이스(110) 상면에 고정되는 구동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구동부(120)는 모터 형태일 수 있으며, 일부가 제 1 케이스(111)에 삽입되거나 볼트, 나사 등과 같은 별도의 부재에 의하여 제 1 케이스(111)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구동부(120)는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샤프트(121)가 후술할 제 1 프로펠러(130)에 연결될 수 있다.
천장용 선풍기(100)는 구동부(120)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 1 프로펠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프로펠러(130)는 원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 1 프로펠러(130)는 회전 시 중심부분으로 공기가 흡입되어 측면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 1 프로펠러(130)는 구동부(120)의 샤프트(121)에 연결되는 제 1 프로펠러바디부(131)와, 제 1 프로펠러바디부(131)에 설치되어 제 1 프로펠러바디부(131)의 회전 시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제 1 날개부(132) 및 제 1 프로펠러바디부(131)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복수개의 제 1 날개부(132)를 연결하여 각 제 1 날개부(132) 사이의 거리를 유지시키는 제 1 지지링(133)을 구비할 수 있다.
천장용 선풍기(100)는 제 1 프로펠러(130)의 회전에 따라 공기가 흡입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제 1 프로펠러(130)와 수직배열로 배치되도록 케이스(110) 하면에 설치되는 조명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조명부(140)는 제 1 프로펠러(130)의 하측면에 배치되도록 케이스(11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명부(140)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명부(140)는 형광등, 백열전구 또는 삼파장 전구를 구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조명부(140)는 복수개의 엘이디 전구(141)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엘이디 전구(141)가 설치되는 설치플레이트(142)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조명부(140)는 상기와 같은 경우 이외에도 복수개의 엘이디 전구(141)를 구비하며, 복수개의 엘이디 전구(141)는 제 2 케이스(112)에 삽입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조명부(140)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로 빛을 방출하는 모든 장치 및 모든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조명부(140)는 복수개의 엘이디 전구(141) 및 설치플레이트(142)를 구비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천장용 선풍기(100)는 케이스(110) 또는 케이스(110)가 설치되는 공간에 설치되어 케이스(110) 내부의 온도 및 외부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센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부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케이스(112)에 설치되어 조명부(140)의 배면에 위치하는 제 2 케이스(112)의 온도를 측정하거나 후술할 상기 방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제 1 케이스(111)에 설치되어 비접촉 형태로 조명부(140)의 배면 온도를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센서부는 적외선 센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센서부가 제 2 케이스(111)의 배면에 위치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천장용 선풍기(10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 상기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케이스(110) 내부의 온도 또는 외부의 온도 중 하나에 근거하여 조명부(140)와 구동부(120)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다양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는 케이스(11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케이스(110)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는 피씨비(PCB, Printed circuit board)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칩(Chip)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어부는 케이스(110)의 외부에 설치되는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는 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피씨비 형태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상기 제어부는 구동부(120) 및 조명부(140)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구동부(120)만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조명부(140)만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부(120)와 조명부(140)가 각각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이외에도 상기 제어부는 케이스(110) 내부의 온도 또는 외부의 온도에 따라 구동부(12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설정온도와 케이스(110) 내부의 온도 또는 외부의 온도를 비교하여 구동부(12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천장용 선풍기(100)는 제 1 공기통풍구(112a)로 유입된 공기가 제 1 프로펠러(130)의 회전에 따라 공기토출부(114)로 유동하는 공기 유로(미도시) 상에 배치되는 컨버터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컨버터부(150)는 케이스(11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버터부(150)는 제 2 케이스(112)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컨버터부(150)는 조명부(140) 및 외부 전원(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컨버터부(150)는 상기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류를 인가 받아 조명부(140)에 대응하도록 전류를 변환하여 조명부(140)로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한편, 천장용 선풍기(100)는 케이스(110) 상에 설치되어 조명부(14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시키는 방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열부는 조명부(140)와 대향하도록 제 2 케이스(112)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방열부는 조명부(140)와 서로 접촉할 수 있으며, 서로 이격되어 조명부(140)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상기 방열부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방열부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핀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방열부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명부(140)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모든 장치 및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기 방열부는 조명부(140)에서 발생하는 열을 제 1 케이스(111)와 제 2 케이스(112)가 형성하는 상기 공기 유로 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열부는 제 1 프로펠러(130)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공기 유동에 의하여 조명부(140)의 열을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천장용 선풍기(100)는 흡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포집하도록 케이스(110) 하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먼지집진부(17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먼지집진부(171)는 제 1 공기통풍구(112a)에 설치되어 제 1 공기통풍구(112a)로 유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먼지집진부(171)는 메쉬(Mesh)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스펀지와 같이 다공성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천장용 선풍기(100)는 천장에 케이스(110)를 고정시키는 멀티 프레임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멀티 프레임부(180)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천장과 제 1 케이스(111)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특히 멀티 프레임부(180)는 볼트, 나사 등의 결합부재(미도시)가 삽입되도록 복수개의 구멍(18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복수개의 구멍(181)은 서로 상이한 크기,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구멍(181)을 통하여 사용자는 원하는 위치 또는 원하는 크기의 제 1 케이스(111)를 하나의 멀티 프레임부(180)를 통하여 시공이 가능하다.
한편, 천장용 선풍기(100)는 제 1 프로펠러(130)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케이스(110) 내부에 설치되는 가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열부(190)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히터일 수 있다. 또한, 가열부(190)는 코일 형태의 히터일 수 있다. 특히 가열부(190)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로 열을 방출하는 모든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가열부(190)가 플레이트 형태의 히터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가열부(190)는 제 1 프로펠러(130)를 감싸도록 제 1 케이스(111)와 제 2 케이스(11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 1 프로펠러(130)는 다공성으로 형성되거나 제 1 케이스(111) 및 제 2 케이스(112)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제 1 프로펠러(130)의 운동에 따른 공기 유동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천장용 선풍기(100)는 공기토출부(114) 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공기가 토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토출홀(172b)이 형성된 그릴부(172)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릴부(172)는 제 1 케이스(111)와 제 2 케이스(112)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그릴부(172)에 형성된 공기토출홀(172b)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공기토출홀(172b) 중 적어도 2개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공기토출홀(172b) 중 하나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은 조명부(140)의 하측방향일 수 있으며, 복수개의 공기토출홀(172b) 중 다른 하나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은 제 2 케이스(112)의 하면으로부터 일정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그릴부(17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토출홀(172b)을 구비하는 그릴바디부(172a)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그릴부(172)는 복수개의 공기토출홀(172b) 중 적어도 하나를 가리도록 형성되는 그릴마개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그릴바디부(172a) 및 상기 그릴마개부 중 적어도 하나는 그릴구동부(173)에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특히 그릴구동부(173)는 케이스(110)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그릴구동부(173)는 제 1 케이스(111) 또는 제 2 케이스(112)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기어유닛을 구비하고, 기어유닛은 모터 및 그릴바디부(172a) 또는 상기 그릴마개부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릴구동부(173)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길이가 가변하도록 제 1 케이스(111) 또는 제 2 케이스(112)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실린더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실린더는 그릴바디부(172a) 또는 상기 그릴마개부에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경우 그릴바디부(172a) 또는 상기 그릴마개부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실린더의 길이 가변에 따라 제 1 케이스(111) 또는 제 2 케이스(112)에서 회전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릴구동부(173)가 제 1 케이스(111) 또는 제 2 케이스(112)에 설치되는 실린더를 구비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그릴구동부(173)는 그릴바디부(172a) 및 상기 그릴마개부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토출홀(172b)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그릴구동부(173)는 공기토출홀(172b)을 통하여 이동하는 공기의 방향 또는 양 등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아히에서는 천장용 선풍기(100)의 작동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천장용 선풍기(100)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천장용 선풍기(100)의 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천장용 선풍기 시스템(10)의 제어흐름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천장용 선풍기 시스템(10)은 사용자가 제어신호입력부(1)를 통하여 제어신호를 입력함으로써 작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입력버튼(1b)을 통하여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버튼(1b)을 통하여 구동부(1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 1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부(120)만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입력버튼(1b)을 통하여 조명부(1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 2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조명부(140)만 작동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입력버튼(1b)을 통하여 상기 제 1 제어신호와 상기 제 2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구동부(120) 및 조명부(140)가 동시에 작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입력버튼(1b)을 통하여 상기 제 1 제어신호 및 상기 제 2 제어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입력되는 경우 구동부(120)와 조명부(140)는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 1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구동부(120)가 작동하면서 제 1 프로펠러(1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제 1 제어신호는 구동부(120)의 속도, 구동부(120)의 회전 방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제 1 프로펠러(130)는 회전하면서 공기를 제 1 공기통풍구(112a)를 통하여 흡입한 후 제 1 날개부(132)를 통하여 제 1 케이스(111)와 제 2 케이스(112) 사이의 공간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 1 공기통풍구(112a)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먼지집진부(171)에 의하여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제 1 케이스(111)와 제 2 케이스(112)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유동하는 공기는 제 1 케이스(111)와 제 2 케이스(112) 사이의 공기 유로(115)를 유동하여 공기토출부(114)로 토출될 수 있다. 이때, 공기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정 각도를 형성하면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공기는 공기토출부(114)에 설치된 그릴부(172)를 통과하면서 분사 각도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는 그릴부(172)의 공기토출홀(172b)을 통과하면서 조명부(140)의 하면으로 토출되거나 일부는 조명부(140)와 일정 각도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동안 입력버튼(1b)을 통하여 그릴구동부(173)를 작동시키도록 제 3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3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그릴구동부(173)가 작동하여 공기토출홀(172b)을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양, 공기의 방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동안, 조명부(140)는 상기 제 2 제어신호에 따라서 작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제어신호는 조명부(140)의 밝기, 켜지는 전구의 개수 등을 제어하는 신호일 수 있다.
조명부(140)가 작동하는 경우 조명부(140)에서는 열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열은 조명부(140)의 후면, 즉 제 2 케이스(112)의 후면으로 방출될 수 있다.
이때, 방열부(160)는 제 2 케이스(112)로 방출되는 열을 흡수하여 제 1 케이스(111)와 제 2 케이스(112) 사이의 공기 유로(115)로 방출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경우 공기 유로(115) 상에서는 제 1 프로펠러(130)에 의하여 형성된 공기 유동으로 인하여 방열부(160)와 공기 사이의 열교환을 증대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경우 이외에도 천장용 선풍기(100)는 따뜻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버튼(1b)을 통하여 가열부(190)를 작동시키는 제 4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경우 가열부(190)가 작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4 제어신호는 가열부(190)의 작동 시간, 가열부(190)에서 발생시키는 열의 양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가열부(190)가 작동하는 경우 가열부(190)에서 발생한 열은 구동부(120)의 작동에 따라 유동하는 공기에 가해짐으로써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공기는 구동부(120)의 지속적인 구동에 따라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천장용 선풍기(100)는 외부로 온풍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천장용 선풍기 시스템(10) 및 천장용 선풍기(100)는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냉방이나 난방을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명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천장용 선풍기 시스템(10) 및 천장용 선풍기(100)는 공기의 흐름을 통하여 조명부(140)의 열을 외부로 신속하게 방출함으로써 조명부(140)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
천장용 선풍기 시스템(10) 및 천장용 선풍기(100)는 케이스(110)의 하측면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케이스(110)의 측면으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킴으로써 방과 같은 폐쇄적인 공간의 공기흐름을 원활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어되는 것 이외에도 천장용 선풍기 시스템(10) 및 천장용 선풍기(100)는 다양하게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 1 제어신호에는 제 2 설정온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제어신호가 제 2 송수신부(111a)를 통하여 제어부(191)으로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 2 설정온도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 2 설정온도가 저장되면, 센서부(192)에서 측정된 외기의 온도를 전송 받을 수 있다. 이때, 센서부(192)는 조명부(120)의 배면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 1 센서부(192a)와, 케이스(110)의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 2 센서부(192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2 센서부(192b)에서 측정된 외부의 온도가 상기 제 2 설정온도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91)는 구동부(120)를 작동시키거나 구동부(120)의 회전속도가 증가하도록 구동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91)는 상기 제 1 제어신호가 입력된 후 구동부(120)가 계속해서 작동하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이 제 1 센서부(192a)로부터 외부 온도를 지속적으로 피드백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이외에도 제 1 센서부(192a)로부터 피드백 받은 외부 온도가 상기의 제 2 설정온도 미만인 경우 제어부(191)는 구동부(120)의 작동을 중지시키거나 구동부(120)의 회전속도를 감속하도록 구동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천장용 선풍기 시스템(10) 및 천장용 선풍기(100)는 사용자가 설정한 제 2 설정온도에 대응되도록 구동부(120)를 제어함으로써 천장용 선풍기(100)가 설치된 내부 공간의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천장용 선풍기 시스템(10) 및 천장용 선풍기(100)는 구동부(120)가 계속해서 작동함으로써 사용자의 생체 온도가 낮아져 발생할 수 있는 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경우 이외에도 제어부(191)는 제 2 센서부(192a)에서 측정되는 조명부(120)의 배면의 온도를 피드백받을 수 있다.
이때, 제어부(191)에는 조명부(120)의 작동온도에 대해서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91)에는 조명부(120)의 작동 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조명부(120)의 수명이 단축되거나 오작동, 고장 등이 발생할 수 있는 제 1 설정온도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설정온도는 제품의 생산 시 조명부(120)의 수명, 작동 환경 등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191)는 제 2 센서부(192b)에서 측정된 조명부(120)의 배면의 온도가 상기 제 1 설정온도와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조명부(120)의 배면의 온도가 상기 제 1 설정온도 이하인 경우 제어부(191)는 현재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91)는 조명부(120)만 작동하는 경우 구동부(140)을 정지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조명부(120)와 구동부(140)가 동시에 작동하는 경우 제어부(191)는 구동부(140)의 회전속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반면, 조명부(120)의 배면의 온도가 상기 제 1 설정온도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91)는 구동부(120)를 작동시키거나 구동부(120)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91)는 조명부(140)만 작동하고 있는 경우, 구동부(120)를 작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91)는 제 2 센서부(192b)에서 측정된 케이스(110) 내부의 온도가 상기 제 2 설정온도 이하가 될 때까지 구동부(120)를 작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91)는 구동부(120)의 회전속도를 일정하게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구동부(120)의 회전속도가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91)는 조명부(140)과 구동부(120)이 동시에 작동하는 경우, 구동부(120)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도록 구동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제 1 회전속도로 작동하는 구동부(120)를 상기 제 1 회전속도보다 큰 제 2 회전속도로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구동부(120)의 회전속도가 상기 제 1 회전속도에서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구동부(120)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와 같이 구동부(120)가 작동하여 제 2 센서부(192b)에서 측정된 조명부(120)의 배면의 온도가 상기 제 1 설정온도 이하로 형성되는 경우, 제어부(191)는 구동부(120)의 작동을 중지하거나 구동부(120)의 회전속도를 상기 제 1 회전속도가 되도록 구동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4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91)는 상기 제 4 제어신호에 따라서 가열부(19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가열부(190)는 상기 제 4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외부의 온도에 따라서 작동하거나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의 온도가 제어부(191)에 기 설정된 제 3 설정온도 미만인 경우 제어부(191)는 가열부(190)를 작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91)는 구동부(120)를 작동시키도록 제어하여 가열부(190)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온도가 상기 제 3 설정온도를 초과한 경우 제어부(191)는 가열부(190) 및 구동부(120)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경우 이외에도 입력버튼(1b)을 통하여 입력되는 상기 제어신호는 그릴구동부(173)을 제어하도록 하는 제 5 제어신호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5 제어신호는 그릴구동부(173)의 작동 여부, 작동 시간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5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91)는 그릴구동부(173)의 작동을 상기 제 5 제어신호에 대응되도록 그릴구동부(173)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5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91)는 그릴구동부(173)을 작동시켜 그릴부(172)를 회전시킴으로써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때, 그릴구동부(173)이 모터를 구비하는 경우 그릴부(172)는 완전히 회전함으로써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지속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천장용 선풍기 시스템(10) 및 천장용 선풍기(100)는 상기와 같이 제어부(191)가 구동부(120)를 제어함으로써 조명부(140)의 작동 과열로 인하여 조명부(140)가 파손되거나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천장용 선풍기(100)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 1 프로펠러(230a), 제 2 프로펠러(230b)와 제 1 케이스(211)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천장용 선풍기 시스템(미도시)는 천장용 선풍기(200)와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제어신호입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신호입력부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천장용 선풍기(200)는 케이스(210), 구동부(220), 제 1 프로펠러(230a), 엘어디 조명부(240), 컨버터부(250), 방열부(미도시), 먼지집진부(271), 그릴부(272), 그릴구동부(273), 멀티 프레임부(280), 가열부(290), 센서부(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210)는 제 1 케이스(211), 제 2 케이스(212) 및 연결리브(21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 2 케이스(212) 및 연결리브(213)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1 케이스(211)에는 제 1 케이스(211) 상면의 공기가 흡입되는 제 2 공기통풍구(21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2 공기통풍구(216)는 제 1 케이스(211)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프로펠러(230a)의 회전에 따라 천장으로부터 제 1 프로펠러(230a) 측으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한편, 구동부(220)는 샤프트(221)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엘어디 조명부(240)는 엘어디 전구(241) 및 설치 플레이트(24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 1 프로펠러(230a)는 제 1 프로펠러바디부(미표기), 제 1 날개부(미표기) 및 제 1 지지링(미표기)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방열부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먼지집진부(271)는 메쉬 형태 또는 다공성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릴부(272)는 공기토출홀(272b)이 형성되는 그릴바디부(272a) 및 공기토출홀(272b)의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그릴마개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그릴구동부(273)는 실린더를 구비하거나 모터 및 기어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가열부(290)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플레이트 또는 코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구동부(220), 제 1 프로펠러(230a), 엘어디 조명부(240), 상기 방열부, 먼지집진부(271), 그릴부(272), 그릴구동부(273), 가열부(290), 상기 센서부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멀티 프레임부(280)는 천장에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28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멀티 프레임부(280)는 지지 프레임(283)와 일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연결되며, 볼트, 나상 등과 같은 결합부재(미도시)가 삽입되는 구멍(281)이 형성되는 연결 프레임(28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지지 프레임(283)은 제 1 케이스(211)를 천장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시킬 수 있다. 특히 지지 프레임(283)는 제 2 공기통풍구(216)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도록 제 1 케이스(211)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천장용 선풍기(200)는 구동부(220)의 샤프트(221)에 연결되는 제 2 프로펠러(23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프로펠러(230b)는 제 1 프로펠러(230a)의 내부에 삽입되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 프로펠러(230b)는 제 1 프로펠러(230a)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 2 프로펠러(230b)는 제 1 프로펠러(230a)와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부(220)가 작동하는 경우 제 1 프로펠러(230a)는 제 1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제 2 프로펠러(230b)는 제 1 방향과 상이한 제 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방향이 시계방향인 경우 상기 제 2 방향은 반시계방향일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상기 제 1 방향이 반시계방향인 경우 상기 제 2 방향은 시계방향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회전하는 제 1 프로펠러(230a) 및 제 2 프로펠러(230b)는 유동하는 공기의 양을 풍풍하게 해주며, 공기토출부(214)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속도가 너무 강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상기 천장용 선풍기 시스템의 작동을 살펴보면,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신호입력부를 통하여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구동부(220) 및 엘어디 조명부(240) 중 적어도 하나가 작동할 수 있다. 이때, 구동부(220) 및 엘어디 조명부(240)의 작동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동부(220)가 제어되는 경우 제 1 프로펠러(230a)와 제 2 프로펠러(230b)는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 1 프로펠러(230a)와 제 2 프로펠러(230b)의 회전 방향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로 상이한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입력부를 통하여 제어 가능한 구성요소는 구동부(220) 및 엘어디 조명부(240) 이외에도 그릴구동부(273) 및 가열부(290)도 제어될 수 있다. 이때, 그릴구동부(273) 및 가열부(290)의 구동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 1 프로펠러(230a) 및 제 2 프로펠러(230b)가 작동하는 동안 실내에는 냉방이 수행되거나 난방이 수행될 수 있다. 특히 냉방이 수행되는 동안 엘어디 조명부(240)에서 방출되는 열은 상기 방열부를 통하여 공기 유로(미도시)를 유동하는 공기로 배출될 수 있으며, 컨버터부(250)에서 방출되는 열은 상기 공기 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로 직접 배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상기 천장용 선풍기 시스템 및 천장용 선풍기(200)의 작동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 천장용 선풍기 시스템 및 천장용 선풍기(200)는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냉방이나 난방을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명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장용 선풍기 시스템 및 천장용 선풍기(200)는 공기의 흐름을 통하여 엘어디 조명부(240)의 열을 외부로 신속하게 방출함으로써 엘어디 조명부(240)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천장용 선풍기 시스템 및 천장용 선풍기(200)는 케이스(210)의 하측면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케이스(210)의 측면으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킴으로써 방과 같은 폐쇄적인 공간의 공기흐름을 원활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제어신호입력부
10 : 천장용 선풍기 시스템
100, 200 : 천장용 선풍기
110, 210 : 케이스
111, 211 : 제 1 케이스
112, 212 : 제 2 케이스
113, 213 : 연결리브
120, 220 : 구동부
130, 230 : 제 1 프로펠러
140, 240 : 조명부
150, 250 : 컨버터부
160, 260 : 방열부
171, 271 : 먼지집진부
172, 272 : 그릴부
173, 273 : 그릴구동부
180, 280 : 멀티 프레임부
190, 290 : 가열부

Claims (12)

  1. 천장에 설치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하면의 중앙부분에는 공기가 흡입되도록 제 1 공기통풍구가 형성되며, 측면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고정되는 구동부;
    원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며, 회전하여 하측의 공기를 흡입하여 측면으로 유동시키는 제 1 프로펠러;
    상기 제 1 프로펠러의 회전에 따라 공기가 흡입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프로펠러와 수직배열로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 설치되는 조명부;
    상기 케이스 또는 상기 케이스가 설치되는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의 온도 및 외부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센서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상기 케이스 내부의 온도 또는 외부의 온도 중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조명부와 상기 구동부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 1 프로펠러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천장용 선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부의 온도 및 상기 외부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설정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가 작동되거나 상기 구동부의 회전속도가 증가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천장용 선풍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설정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중지시키거나 상기 구동부의 회전속도를 감소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천장용 선풍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공기통풍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 1 프로펠러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공기토출부로 유동하는 공기 유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조명부 및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조명부에 전류를 공급하는 컨버터부;를 더 포함하는 천장용 선풍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상에 설치되어 상기 조명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시키는 방열부;를 더 포함하는 천장용 선풍기.
  6. 제 1 항에 있어서,
    흡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포집하도록 상기 케이스 하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먼지집진부;를 더 포함하는 천장용 선풍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천장에 상기 케이스를 고정시키는 멀티 프레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멀티 프레임부는 결합부재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구멍을 구비하는 천장용 선풍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로펠러의 지름과 상이한 지름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프로펠러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2 프로펠러;를 구비하는 천장용 선풍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토출부 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공기가 토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토출홀이 형성된 그릴부;를 더 포함하는 천장용 선풍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그릴부와 연결되며, 상기 그릴부를 상기 조명부의 측면을 따라 회전시키는 그릴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천장용 선풍기.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하나의 천장용 선풍기; 및
    상기 천장용 선풍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조명부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제어신호입력부;를 포함하는 천장용 선풍기 시스템.
  12. 삭제
KR1020130158627A 2013-12-18 2013-12-18 조명부를 구비한 천장용 선풍기 및 천장용 선풍기 시스템 KR101454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627A KR101454327B1 (ko) 2013-12-18 2013-12-18 조명부를 구비한 천장용 선풍기 및 천장용 선풍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627A KR101454327B1 (ko) 2013-12-18 2013-12-18 조명부를 구비한 천장용 선풍기 및 천장용 선풍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4327B1 true KR101454327B1 (ko) 2014-10-28

Family

ID=51998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8627A KR101454327B1 (ko) 2013-12-18 2013-12-18 조명부를 구비한 천장용 선풍기 및 천장용 선풍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43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5443B1 (ko) * 2018-06-15 2018-10-08 주식회사 파미르 동일 중심축에 이종 프로펠러를 장착한 추진력 발생 장치
WO2021227979A1 (zh) * 2020-05-14 2021-11-18 中山市鸿茂节能科技有限公司 吊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0186A (ja) * 2000-10-27 2002-05-09 Mitsubishi Electric Corp 循環送風機
KR20130029508A (ko) * 2011-09-15 2013-03-25 (주)리닉스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0186A (ja) * 2000-10-27 2002-05-09 Mitsubishi Electric Corp 循環送風機
KR20130029508A (ko) * 2011-09-15 2013-03-25 (주)리닉스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5443B1 (ko) * 2018-06-15 2018-10-08 주식회사 파미르 동일 중심축에 이종 프로펠러를 장착한 추진력 발생 장치
WO2021227979A1 (zh) * 2020-05-14 2021-11-18 中山市鸿茂节能科技有限公司 吊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0649B2 (en) Ceiling fan with rotary blade surface light
US9303859B2 (en) Illuminating ventilator
US8485696B2 (en) Lighting and ventilating system and method
US9605867B2 (en) Lighting and ventilating system and method
KR101632418B1 (ko) 조명부를 구비한 천장용 선풍기 및 천장용 선풍기 시스템
US20080158878A1 (en) Flow-Through LED Lighting System
JP2010153198A (ja) 照明器具
US20120086340A1 (en) Air-cooling illumination apparatus
KR102078274B1 (ko) 공기조화기
KR20170085909A (ko) 공기조화기
KR101390285B1 (ko) 조명부를 구비한 천장용 선풍기 및 천장용 선풍기 시스템
KR101454327B1 (ko) 조명부를 구비한 천장용 선풍기 및 천장용 선풍기 시스템
CN201281256Y (zh) Led室内灯具以及使用该灯具的通风装置
JP2012069340A (ja) 空調照明器具
KR20100102929A (ko) Led 비상등
CN203927461U (zh) 一种带通风兼风扇功能的灯具
JP2010097837A (ja) 還流ファン付照明装置
CA2969988C (en) Ceiling mounted airway device with illumination
KR20110005268U (ko) Led 조명램프를 구비하는 환기장치
CN113432062A (zh) 照明设备及照明系统
KR200293012Y1 (ko) 에어컨
CN218064791U (zh) 一种风扇灯
CN111412513A (zh) 取暖器
KR200307411Y1 (ko) 조명장치가 장착된 천장형 에어컨
KR101398115B1 (ko) 선풍기 겸용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