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2950B1 -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 - Google Patents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2950B1
KR101292950B1 KR1020110092789A KR20110092789A KR101292950B1 KR 101292950 B1 KR101292950 B1 KR 101292950B1 KR 1020110092789 A KR1020110092789 A KR 1020110092789A KR 20110092789 A KR20110092789 A KR 20110092789A KR 101292950 B1 KR101292950 B1 KR 101292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unit
fan
suppor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2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9508A (ko
Inventor
이명철
공찬식
Original Assignee
(주)리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닉스 filed Critical (주)리닉스
Priority to KR1020110092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2950B1/ko
Publication of KR20130029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9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2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2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6Fan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8Ventilating systems
    • F21V33/0096Fans, e.g. ceilin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6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adding oxy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24H3/0411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fo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는, 설치를 위한 지지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와 공기가 방출되는 공기 방출구가 마련되는 본체와,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며, 공기 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흡입된 공기를 공기 방출구로 방출하는 송풍유닛과, 본체에 마련되어 외부를 조명하는 조명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fan with illumination device}
본 발명은,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무실의 파티션 또는 책상과 같은 지지체에 설치되어 바람을 불어주는 동시에 빛을 발생시켜 조명의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는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이나 가정에는 여름이나 겨울에 실내온도를 쾌적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에어컨, 선풍기, 히터와 같은 냉난방기가 구비된다.
또한, 사무실이나 가정에는 특정 영역을 집중적으로 조명하기 위해 전기 스탠드와 같은 조명기기가 사용된다.
선풍기는 폭넓게 사용되는 냉난방기로서 통상 스탠드 타입으로 이루어져 사무실의 책상 위나 복도 등 적정위치에 세워놓고 사용한다.
또한, 전기 스탠드 역시 통상 사무실 또는 가정의 책상 위에 세워서 사용자가 원하는 조명영역을 조명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선풍기 및 전기 스탠드는 사무실 또는 가정의 책상 위에 개별로 배치되기 때문에 책상 위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책상 위 공간이 협소해 진다.
또한, 선풍기 및 전기 스탠드는 책상 위에 세워지는 형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책상 상면의 일부를 점유하게 되어 책상 위의 공간 활용도가 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공간 활용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풍기 및 전기 스탠드의 설치위치를 다변화하고 복합적인 기능을 갖는 제품이 필요한 실정이다.
실용신안등록번호 KR 20-0414166 (김영학), 2006.04.10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무실의 파티션과 같은 지지체에 설치되고 바람을 발생시키며 책상 위의 특정영역을 조명할 수 있는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설치를 위한 지지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와 상기 공기가 방출되는 공기 방출구가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공기 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흡입된 상기 공기를 상기 공기 방출구로 방출하는 송풍유닛과,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외부를 조명하는 조명유닛을 포함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지지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조명유닛를 지지하는 지지체 결합유닛과, 상기 공기 흡입구와 상기 공기 방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체 결합유닛의 내부를 개폐가능하도록 상기 지지체 결합유닛에 결합되는 개폐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는, 상기 지지체 결합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체에 걸림결합되는 걸림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 결합유닛은, 상기 지지체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지지체판과, 상기 지지체판의 길이방향의 가로로 연장되어 마련되며, 상기 조명유닛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조명유닛 지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유닛 지지판의 하부벽에는, 상기 조명유닛이 설치되는 조명유닛 브래킷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지체 결합유닛은, 상기 조명유닛 지지판에 결합되어 상기 조명유닛에서 발광되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유닛 지지판의 상부벽에는, 상기 조명유닛의 발열을 방열하는 방열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지체판의 내벽에는, 상기 송풍유닛에 결합되는 송풍유닛 브래킷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개폐 프레임은 상기 지지체판에 상대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개폐 프레임은, 프레임 본체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 영역의 내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는 돌출판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 결합유닛의 내부를 폐쇄 시 상호 접촉되는 조명유닛 지지판의 자유단부와 상기 돌출판의 자유단부 중 어느 하나에는 걸림돌기가 마련되며, 다른 하나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끼워지는 걸림턱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조명유닛의 하부에서 상기 지지체판 및 상기 개폐 프레임에 결합되는 투광성 조명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유닛은 빛을 발산하는 LED를 포함하며, 상기 투광성 조명커버는 상기 LED의 빛을 산란시키는 확산판일 수 있다.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흡입되는 상기 공기와 반응하여 정화공기를 생성하는 공기정화유닛을 더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정화유닛은, 상기 흡입되는 공기와 반응하여 산소를 발생시키며, 상온에서 고체상태이고, 상기 공기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지도록 복수개의 과립형태로 마련되는 산소발생재일 수 있다.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흡입되는 상기 공기를 가열하는 히팅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송풍유닛은 회전에 의해 공기를 유동시키는 횡류팬(cross flow fan)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바람을 발생시키는 송풍유닛과 조명영역을 조명하는 조명유닛이 함께 구비됨으로써, 각각 별개로 설치되는 것에 비해 설치면적을 줄어들어 공간 활용도가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무실의 파티션과 같은 지지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사무실의 책상 위에 세워지는 형태로 설치되지 않아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할 수 있으며, 책상 상면을 점유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의 내부구조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지지체 결합유닛의 내부가 개방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에서 조명유닛이 조명유닛 브래킷에 설치되는 과정을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의 걸림결합부(Y)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의 내부구조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의 내부구조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의 내부구조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의 내부구조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서 지지체 결합유닛의 내부가 개방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에서 조명유닛이 조명유닛 브래킷에 설치되는 과정을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는, 설치를 위한 지지체(T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I)와 공기가 방출되는 공기 방출구(E)가 마련되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내부에 마련되며, 공기 흡입구(I)로 공기를 흡입하여 흡입된 공기를 공기 방출구(E)로 방출하는 송풍유닛(120)과, 본체(110)에 마련되어 외부를 조명하는 조명유닛(1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체(T1)는 사무실의 파티션으로 설명되지만, 지지체(T1)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벽면, 책장, 책꽂이 등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가 설치될 수 있는 다양한 대상이 될 수 있다.
공기 흡입구(I)는 본체(110)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공기 방출구(E)는 본체(110)의 정면부에 형성됨으로써, 송풍유닛(120)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본체(110)의 정면으로 공기를 방출한다.
송풍유닛(120)은 회전에 의해 공기를 유동시키는 횡류팬(cross flow fan)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송풍유닛(120)은, 외주면에 복수개의 블레이드(122)가 돌출되어 마련되는 회전체(121)와, 회전체(121)와 결합되고 모터(미도시)와 연결되어 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체(121)를 회전시키는 회전축(123)과, 내부에 회전체(121) 및 회전축(123)이 설치되며 본체(110)에 결합되는 송풍유닛 케이스(124)를 포함한다.
회전체(121)는 길이가 긴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 마련되는 블레이드(122)가 회전체(121)와 함께 회전되어 공기를 송풍한다.
조명유닛(130)은 책상(미도시)의 상부면 등의 조명영역을 조명하기 위해 본체(110)의 하단부에 마련된다.
조명유닛(130)은 빛을 발산하는 LED(Light Emitting Diode, 131)와 LED(131)가 설치되는 PCB(Printed Circuit Board, 13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조명유닛(130)을 LED(131)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형광등과 같은 다양한 발광원을 사용할 수 있다.
본체(110)는, 지지체(T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조명유닛(130)를 지지하는 지지체 결합유닛(111)과, 공기 흡입구(I)와 공기 방출구(E)가 형성되며, 지지체 결합유닛(111)의 내부를 개폐가능하도록 지지체 결합유닛(111)에 결합되는 개폐 프레임(112)을 포함한다.
지지체 결합유닛(111)이 지지체(T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본체(110)가 지지체(T1)에 지지된다.
개폐 프레임(112)은, 개폐 프레임(112)의 작동에 의해 지지체 결합유닛(111)의 내부가 개폐되도록, 지지체 결합유닛(111)에 상대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개폐 프레임(112)에는 공기 흡입구(I)와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며, 공기 배출구에는 공기의 배출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그릴(G)이 끼워진다. 이러한 개폐 프레임(112)의 자세한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술한다.
지지체 결합유닛(111)은, 지지체(T1)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지지체판(113)과, 지지체판(113)의 길이방향의 가로로 연장되어 마련되며, 조명유닛(13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조명유닛 지지판(114)을 포함한다.
지지체판(113)은 볼트(미도시) 등에 의해 지지체(T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지지체판(113)에는 볼트결합용 결합홀(미도시)가 형성된다.
또한, 지체판(113)의 내벽에는, 송풍유닛(120)이 결합되는 송풍유닛 브래킷(117)이 마련된다. 송풍유닛 케이스(124)가 송풍유닛 브래킷(117)에 결합됨으로써, 송풍유닛(120)이 지지체판(113)에 지지된다.
조명유닛 지지판(114)은 지지체판(113)의 내벽에서 지지체판(113)의 길이방향의 가로로 연장되어 마련되며, 조명유닛(130)과 송풍유닛(120)이 발열에 의한 영향를 받지 않도록 조명유닛 지지판(114)과 송풍유닛(120)은 소정간격 이격된다.
이러한 조명유닛 지지판(114)의 하부벽에는, 조명유닛(130)이 설치되는 조명유닛 브래킷(115)이 마련된다.
조명유닛(1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된 조명유닛 브래킷(115)의 측면을 통해 조명유닛 브래킷(115)에 끼워져 설치된다.
조명유닛 지지판(114)의 상부벽에는, 조명유닛(130)의 발열을 방열하는 방열돌기(P)가 마련된다.
이러한 방열돌기(P)가 조명유닛 지지판(114)의 상부벽에 복수개 마련됨으로써 조명유닛(130)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시킬 수 있다.
한편, 지지체 결합유닛(111)은, 조명유닛 지지판(114)에 결합되어 조명유닛(130)에서 발광되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116)을 포함한다.
반사판(116)은 조명유닛 지지판(114)의 하부벽에 결합되어 조명유닛(130)에 발생된 빛을 조명영역으로 모아준다.
개폐 프레임(112)은, 프레임 본체(118)와, 프레임 본체(118)의 일 영역의 내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는 돌출판(119)을 포함한다.
프레임 본체(118)에는 상술한 공기 흡입구(I) 및 공기 방출구(E)가 마련된다. 프레임 본체(118)의 일측은, 프레임 본체(118)의 회동에 의해 지지체 결합유닛(111)의 내부가 개폐되도록, 지지체판(113)에 상대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지지체 결합유닛(111)의 내부를 폐쇄 시 상호 접촉되는 조명유닛 지지판(114)의 자유단부와 돌출판(119)의 자유단부 중 어느 하나에는 걸림돌기(L)가 마련되며, 다른 하나에는 걸림돌기(L)가 끼워지는 걸림턱(M)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돌출판(119)의 자유단부 중 어느 하나에는 걸림돌기(L)가 마련되고, 조명유닛 지지판(114)의 자유단부에 걸림턱(M)이 마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반대의 경우도 무방하다.
지지체 결합유닛(111)의 내부가 폐쇄되는 경우, 걸림돌기(L)가 걸림턱(M)에 끼워져 개폐 프레임(112)의 회동이 제한된다.
지지체 결합유닛(111)의 내부가 개방되는 것이 필요한 경우에는, 작업자가 소정의 힘으로 개폐 프레임(112)을 당긴다. 이러한 작업자가 가하는 소정의 힘에 의해 걸림돌기(L)가 걸림턱(M)에서 빠져나오게 되고, 계속하여 작업자에 의해 개폐 프레임(112)이 회동되어 지지체 결합유닛(111)의 내부가 개방된다.
한편, 본체(110)는, 조명유닛(130)의 하부에서 지지체판(113) 및 개폐 프레임(112)에 결합되는 투광성 조명커버(140)를 포함한다.
이러한 투광성 조명커버(140)를 지지하기 위해 지지체판(113) 및 프레임 본체(118)의 말단부에는 투광성 조명커버(140)의 가장자리를 파지하는 그립부(S)가 마련될 수 있다.
투광성 조명커버(140)는 LED(131)의 빛을 산란시키는 확산판으로 이루어진다. LED(131)의 빛은 직진성이 강하기 때문에, 확산판을 통해 LED(131)의 빛을 산란시켜 조명영역이 균일한 조도를 갖도록 한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 기능을 갖는 선풍기는 책상 위에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파티션과 같은 지지체(T1)에 결합된다.
송풍유닛(120)의 작동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공기 흡입구(I)를 통해 흡입되어 공기 방출구(E)롤 통해 방출된다.
본체(110)의 정면부의 형성된 공기 방출구(E)를 통해 공기가 방출되기 때문에 책상에 앉은 작업자는 시원한 바람을 맞게 된다.
본체(110)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조명유닛(130)은 책상 위의 조명영역을 조명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는, 책상에 앉은 작업자쪽으로 바람을 불어줄 수 있는 송풍유닛(120) 및 책상 위의 조명영역을 조명하는 조명유닛(130)이 마련되고, 파티션과 같은 지지체(T1)의 결합되어 설치됨으로써, 설치면적을 줄일 수 있어 공간 활용도가 높아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는, 책상 위에 세워져서 설치되는 형태가 아니라 파티션에 설치되기 때문에 책상 상면의 공간을 점유하지 않아 책상 상면을 넓게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의 걸림결합부(Y)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할 때에 걸림결합부(Y)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6의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걸림결합부(Y)의 구성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에서 본체(110)는, 지지체 결합유닛(111)에 결합되어 지지체(T2)에 걸림결합되는 걸림결합부(Y)를 더 포함한다.
걸림결합부(Y)는 지체판(113)에 결합되는데, 걸림결합부(Y)와 지지체판(113)의 사이에 지지체(T2)의 상단부가 끼워져서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가 지지체(T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실시예에서 볼트 등을 이용하여 본체(110)를 지지체(T1)에 결합하는 것과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걸림결합부(Y)를 통해 본체(110)를 지지체(T2)의 상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본체(110)가 볼트와 같은 결합수단 없이 지지체(T2)에 결합됨으로써 본체의 착탈과정이 용이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의 내부구조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할 때에 공기정화유닛(150)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6의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공기정화유닛(150)의 구성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는, 본체(110)에 결합되어 흡입되는 공기와 반응하여 정화공기를 생성하는 공기정화유닛(150)을 더 포함한다.
공기정화유닛(150)은 공기 흡입구(I)와 송풍유닛(120)의 사이에 배치되어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킨다.
이러한 공기정화유닛(150)은, 흡입되는 공기와 반응하여 산소를 발생시키며, 상온(섭씨 15 ~ 30도)에서 고체상태이고, 공기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지도록 복수개의 과립형태로 마련되는 산소발생재(151)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산소발생제는, 과산화칼슘(calcium peroxide), 과산화마그네슘(magnecium peroxide) 또는 과탄산나트륨(sodium percarbonate)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1 물질과, 염화제1철(FeCl2), 염화제2철(FeCl3), 황산제1철(Ferrous sulfate), 황산제2철(Ferric sulfate), 초산제1철(Ferrous acetate), 개미산제2철(Ferric formate), 글루콘산제1철(Ferrous gluconate), 페릭글리코포스페이트(Ferric glycophosphate), 질산제2철(Ferric nitrate), 옥살산제2철(Ferric oxalate), 구연산제2철(Ferric citrate), 페릭올쏘포스페이트(Ferric orthophosphate), 요오드화제1철(Ferrous iodide), 젖산제1철(Ferrous lactate) 또는 카토센(catocene)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2 물질을 포함한다. 또한, 제1 물질의 중량비는 95~99.9%이며, 제2 물질의 중량비는 0.1~5%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산소발생재(151)의 성분을 상술한 제1 물질과 제2 물질로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온에서 고체상태이며,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 질소산화물, 황산화물과 반응하여 산소를 발생시키는 물질은 본 실시예의 산소발생재(151)에 해당된다.
산소발생재(151)는 다수의 홀(미도시)이 형성된 산소발생재 케이스(152)에 수납된다. 산소발생재 케이스(152)의 홀을 통해 공기가 유입 및 유출되며, 산소발생재 케이스(152)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산소발생재(151)와 반응하여 산소가 발생된다.
발생된 산소는 송풍유닛(120)에 의해 공기 방출구(E)로 방출된다.
한편, 산소발생재(151)은 일정주기로 교체된다. 산소발생재(151)의 교체 시 개폐 프레임(112)을 회동시켜 산소발생재(151)를 노출시킨 후, 새로운 산소발생재(151)로 교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는, 공기정화유닛(150)이 유입된 공기와 반응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동시에 산소를 발생시키고, 송풍유닛(120)은 발생된 산소는 공기 방출구(E)를 통해 외부로 송풍함으로써, 책상에 앉은 작업자에게 산소가 많이 함유된 정화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의 내부구조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제3 실시예와 비교할 때에 히팅유닛(160)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9의 제3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히팅유닛(160)의 구성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본체(110)에 결합되어 흡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팅유닛(160)을 더 포함한다.
히팅유닛(160)은 히팅코일,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or) 등의 전기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는, 히팅유닛(160)이 유입된 공기를 가열시킴으로써, 공기 방출구(E)에서 방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높일 수 있어 겨울철에 온풍기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의 내부구조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제4 실시예와 비교할 때에 방향제(170)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10의 제4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방향제(170)의 구성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본체(110)에 결합되어 방출되는 공기로 휘산되는 방향제(17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방향제(170)는, 송풍유닛(120)과 공기 방출구(E) 사이에 배치되어 정화공기로 휘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는 정화공기로 휘산되는 방향제(170)가 마련되기 때문에, 공기 방출구(E)를 통해 방출되는 공기에는 방향성분(aroma component)까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책상에 앉은 작업자는 더욱 상쾌한 감정을 느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본체 111: 지지체 결합유닛
112: 개폐 프레임 113: 지지체판
114: 조명유닛 지지판 115: 조명유닛 브래킷
116: 반사판 117: 송풍유닛 브래킷
118: 프레임 본체 119: 돌출판
120: 송풍유닛 121: 회전체
122: 블레이드 123: 회전축
124: 송풍유닛 케이스 130: 조명유닛
131: LED 140: 투광성 조명커버
150: 공기정화유닛 151: 산소발생재
152: 산소발생재 케이스 160: 히팅유닛
170: 방향제 T1,T2: 지지체
I: 공기 흡입구 E: 공기 방출구

Claims (14)

  1. 설치를 위한 지지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와 상기 공기가 방출되는 공기 방출구가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공기 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흡입된 상기 공기를 상기 공기 방출구로 방출하는 송풍유닛; 및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외부를 조명하는 조명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지지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조명유닛를 지지하는 지지체 결합유닛; 및
    상기 공기 흡입구와 상기 공기 방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체 결합유닛의 내부를 개폐가능하도록 상기 지지체 결합유닛에 결합되는 개폐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 결합유닛은,
    상기 지지체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지지체판; 및
    상기 지지체판의 길이방향의 가로로 연장되어 마련되며, 상기 조명유닛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조명유닛 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 프레임은 상기 지지체판에 상대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개폐 프레임은,
    프레임 본체; 및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 영역의 내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는 돌출판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 결합유닛의 내부를 폐쇄 시 상호 접촉되는 조명유닛 지지판의 자유단부와 상기 돌출판의 자유단부 중 어느 하나에는 걸림돌기가 마련되며, 다른 하나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끼워지는 걸림턱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본체는,
    상기 지지체 결합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체에 걸림결합되는 걸림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유닛 지지판의 하부벽에는,
    상기 조명유닛이 설치되는 조명유닛 브래킷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결합유닛은,
    상기 조명유닛 지지판에 결합되어 상기 조명유닛에서 발광되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유닛 지지판의 상부벽에는,
    상기 조명유닛의 발열을 방열하는 방열돌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판의 내벽에는,
    상기 송풍유닛에 결합되는 송풍유닛 브래킷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조명유닛의 하부에서 상기 지지체판 및 상기 개폐 프레임에 결합되는 투광성 조명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유닛은 빛을 발산하는 LED를 포함하며,
    상기 투광성 조명커버는 상기 LED의 빛을 산란시키는 확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흡입되는 상기 공기와 반응하여 정화공기를 생성하는 공기정화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유닛은,
    상기 흡입되는 공기와 반응하여 산소를 발생시키며,
    상온에서 고체상태이고, 상기 공기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지도록 복수개의 과립형태로 마련되는 산소발생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흡입되는 상기 공기를 가열하는 히팅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송풍유닛은 회전에 의해 공기를 유동시키는 횡류팬(cross flow fa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
KR1020110092789A 2011-09-15 2011-09-15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 KR101292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789A KR101292950B1 (ko) 2011-09-15 2011-09-15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789A KR101292950B1 (ko) 2011-09-15 2011-09-15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508A KR20130029508A (ko) 2013-03-25
KR101292950B1 true KR101292950B1 (ko) 2013-08-02

Family

ID=48179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2789A KR101292950B1 (ko) 2011-09-15 2011-09-15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29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327B1 (ko) * 2013-12-18 2014-10-28 잘만테크 주식회사 조명부를 구비한 천장용 선풍기 및 천장용 선풍기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317U (ja) * 1993-09-03 1995-03-31 株式会社エービーシー商会 照明装置
KR19990022967U (ko) * 1997-12-02 1999-07-05 우덕행 산소를 공급할수 있는 선풍기
KR20090003869A (ko) * 2007-07-05 2009-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10049620A (ko) * 2009-11-05 2011-05-12 주식회사 아모럭스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317U (ja) * 1993-09-03 1995-03-31 株式会社エービーシー商会 照明装置
KR19990022967U (ko) * 1997-12-02 1999-07-05 우덕행 산소를 공급할수 있는 선풍기
KR20090003869A (ko) * 2007-07-05 2009-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10049620A (ko) * 2009-11-05 2011-05-12 주식회사 아모럭스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508A (ko) 2013-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9624B2 (en) Ceiling tile with built-in air flow mechanism
CA2636643C (en) Exhaust vent fa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8961895B2 (en) Air treatment system
KR101320703B1 (ko) 다기능 공기순환기
BR102013027038B1 (pt) Ventilador de teto e módulo acessório para ventilador de teto
KR101292950B1 (ko) 조명기능을 갖는 선풍기
KR101308030B1 (ko) 가습 기능을 가진 다기능 온풍기
JP2013072626A (ja) 照明器具付き空気調和装置
KR20110005268U (ko) Led 조명램프를 구비하는 환기장치
US20230067989A1 (en) Wall-mounted air purifier
KR101398115B1 (ko) 선풍기 겸용 조명장치
JP3231389U (ja) 照明装置
JP2010029552A (ja) イオン発生ユニット及び照明装置
JP6476409B2 (ja) 換気装置
CN221055098U (zh) 具有双风机的暖风机
TWM346111U (en) LED lighting device
KR20180052299A (ko) 전구열을 이용한 온풍 가습기
CN211599047U (zh) 一种带氛围光的换气扇
CN220186931U (zh) 一种新型取暖器
JP4626287B2 (ja) 空気調和機
CN212744427U (zh) 一种基于自然风的抗菌风扇
CN219036781U (zh) 送风装置
JP2010029553A (ja) イオン発生ユニット及び照明装置
WO2020032066A1 (ja) 空気通路構造、空気処理装置、および空気処理システム
WO2024033798A1 (en) A smart sustainable dual zone bladeless airflow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