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2241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2241A
KR20210012241A KR1020190089612A KR20190089612A KR20210012241A KR 20210012241 A KR20210012241 A KR 20210012241A KR 1020190089612 A KR1020190089612 A KR 1020190089612A KR 20190089612 A KR20190089612 A KR 20190089612A KR 20210012241 A KR20210012241 A KR 202100122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on drum
wires
air conditioner
wire
comm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9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하
권희재
백승호
정순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9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2241A/ko
Publication of KR20210012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22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천장에 설치되는 본체와; 본체의 하부에 배치된 로어 바디와; 로어 바디에 배치된 정화유닛과; 로어 바디에 각각 연결된 복수개 와이어와, 복수개 와이어가 각각 연결되고 복수개 와이어가 함께 감기거나 함께 풀리는 공통 드럼과, 공통 드럼을 회전시키는 공통 드럼 회전기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터 등의 정화유닛을 갖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공기의 온도나 습도나 청정도 등을 변화시킨 후 실내로 토출하는 기기이다.
공기조화기에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등의 정화유닛이 배치될 수 있고, 실내의 공기는 공기조화기에 배치된 정화유닛을 통과할 수 있으며, 공기 중의 먼지 등 이물질은 정화유닛에 걸러질 수 있다.
필터 등의 정화유닛(이하, 정화유닛이라 칭함)은 실내의 공기가 공기조화기로 흡입되는 흡입그릴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정화유닛의 청소나 서비스시 흡입그릴은 공기조화기와 분리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그 설치위치에 따라 스텐드형 공기조화기와,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와, 천장형 공기조화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통상적으로 사용자의 손이 잘 미치지 않는 높이에 설치될 수 있고,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정화유닛의 청소나 서비스가 용이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815381(2018년01월08일 공고)에는 흡입그릴을 승강시키는 한 쌍의 흡입그릴 승강기구가 설치된 천장형 공기조화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흡입그릴 승강기구 각각은 와이어와, 모터와,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와이어가 감기는 와이어 드럼과, 와이어가 연결된 와이어 커넥터와, 와이어 커넥터에 힌지축으로 연결된 한 쌍의 링크와, 한 쌍의 링크 중 어느 하나와 상기 흡입그릴에 연결된 제1레버와, 한 쌍의 링크 중 다른 하나와 상기 흡입그릴에 연결된 제2레버을 포함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815381(2018년01월08일 공고)에 개시된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흡입그릴을 승강시키기 위해, 2개의 와이어와 2개의 와이어 드럼이 필요한데, 상기 2개의 와이어 드럼 중 어느 하나의 회전속도가 다른 하나의 회전속도 보다 빠르거나, 상기 2개의 와이어 드럼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 보다 먼저 회전되기 시작하거나 먼저 정지될 수 있고, 이 경우, 흡입그릴은 좌우 중 일측으로 비스듬하게 기울여질 수 있고, 흡입그릴이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승강되지 못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815381(2018년01월08일 공고)
본 발명은 와이어가 감기는 드럼의 개수를 최소화할 수 있고, 복수개 와이어가 신뢰성 높게 감기거나 풀릴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정화유닛이 기울여지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안정감 높게 승강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천장에 설치되는 본체와; 본체의 하부에 배치된 로어 바디와; 로어 바디에 배치된 정화유닛과; 로어 바디에 각각 연결된 복수개 와이어와; 복수개 와이어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복수개 와이어가 함께 감기거나 함께 풀리는 공통 드럼과; 공통 드럼을 회전시키는 공통 드럼 회전기구를 포함한다.
공통 드럼은 본체에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 와이어는 서로 높이차를 갖게 공통 드럼에 연결된 연결단을 갖을 수 있다.
공통 드럼은 외둘레에 와이어의 일부가 수용되고 와이어가 안내되는 복수개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 그루브의 높이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복수개 와이어는 복수개 그루브와 1:1 대응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통 드럼의 주변에 공통 드럼과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개 이너 롤러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 이너 롤러기구 각각은 와이어가 안내되는 이너 롤러 및 이너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너 롤러 서포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 이너 롤러기구는 롤러의 높이는 상이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통 드럼과 이격되게 배치되고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개 아우터 롤러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 아우터 롤러기구는 와이어가 하측으로 꺽이게 안내하는 아우터 롤러와, 아우터 롤러를 지지하는 아우터 롤러 서포터를 포함할 수 있다.
공통롤러 및 공통 드럼 회전기구는 본체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공통 드럼 회전기구는 공통 드럼의 회전축에 연결된 종동기어와; 종동기어에 치합된 구동기어와; 구동기어에 연결된 모터와; 모터가 장착되는 어퍼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어퍼 하우징은 공통 드럼과 종동기어와 구동기어를 감쌀 수 있다. 어퍼 하우지에는 와이어가 관통되는 복수개 와이어 관통부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어퍼 하우징은 본체에 세워지고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 둘레 바디와, 복수개 둘레 바디의 상부에 형성되고 공통 드럼과 종동기어와 구동기어의 위에서 공통 드럼과 종동기어와 구동기어를 덮는 어퍼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 둘레 바디 중 인접한 둘레 바디 사이에 와이어가 관통되는 와이어 관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모터는 어퍼 바디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어퍼 바디에는 모터의 구동력을 종동기어로 전달하는 회전축이 관통되는 회전축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천장에 설치되는 본체와; 본체의 하부에 배치된 로어 바디와; 로어 바디에 배치된 정화유닛과; 본체에 설치되고 로어 바디에 연결되어 로어 바디 및 정화유닛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를 포함할 수 있고, 승강기구는 로어 바디에 각각 연결된 복수개 와이어와; 복수개 와이어가 연결되고 복수개 와이어가 함께 감기거나 함께 풀리는 하나의 공통 드럼과; 공통 드럼의 회전축에 연결된 종동기어와; 종동기어에 치합된 적어도 하나의 구동기어와; 구동기어에 치합된 모터와; 모터가 장착되는 어퍼 하우징를 포함할 수 있고, 모터의 개수는 와이어의 개수 보다 적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의 공통 드럼에 복수개의 와이어가 연결되어 감기거나 풀리므로, 복수개의 와이어가 시간차를 두고 감기거나 풀릴 때 발생될 수 있는 로어 바디의 기울어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 와이어가 공통 드럼의 서로 다른 높이에 연결되므로, 복수개 와이어가 공통 드럼 주변에서 엉키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 와이어가 복수개 그루브에 분산되어 수용되므로, 와이어가 인접한 타 와이어와 간섭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고, 와이어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 그루브의 높이는 서로 상이하여, 복수개 와이어의 엉킴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공통 드럼의 주변에 공통 드럼과 이격되게 배치되고 와이어가 안내되는 이너 롤러를 갖는 복수개 이너 롤러기구에 의해 와이어 중 공통 드럼 주변으로 연장된 부분의 쳐짐을 방지할 수 있고, 와이어를 이용하여 로어 바디의 높이를 신뢰성 높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이너 롤러의 높이는 상이하여, 높이차를 갖는 복수개 그루브에 맞춰 복수개 와이어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와이어 중 와이어 중 공통 드럼 주변으로 연장된 부분의 꺽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너 롤러가 와이어를 신뢰성 높게 받칠 수 있다.
또한, 공통 드럼과 이격되게 배치되고 와이어가 하측으로 꺽이게 안내하는 아우터 롤러를 갖는 복수개 아우터 롤러기구에 의해 와이어가 하측 방향으로 부드럽게 꺽일 수 있고, 와이어나 본체의 마모가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공통롤러 및 공통 드럼 회전기구가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어, 본체 내부의 공간 활용도가 높고, 본체 내부의 유로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본체의 컴팩트화가 가능하다.
또한, 공통 드럼 회전기구의 모터가 장착되는 어퍼 하우징이 공통 드럼과 종동기어와 구동기어를 감싸서 보호할 수 있고, 부품수를 최소화하면서 공통 드럼과 종동기어와 구동기어를 신뢰성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모터의 개수가 와이어의 개수 보다 적어, 부품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컴팩트화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로어 바디가 하강되었을 때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통 드럼 및 공통 드럼 회전기구가 도시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로어 바디를 하강시켰을 때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공통 드럼 및 이너 롤러기구가 확대 도시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측면도이고, 도 2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로어 바디가 하강되었을 때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통 드럼 및 공통 드럼 회전기구가 도시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이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로어 바디를 하강시켰을 때의 사시도이며,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공통 드럼 및 이너 롤러기구가 확대 도시된 사시도이다.
공기조화기는 본체(1)와, 로어 바디(2)와, 정화유닛(3) 및 승강기구(4)를 포함한다.
본체(1)는 천장(C)에 설치될 수 있다. 본체(1)는 천장(C)에 볼트 등의 체결부재로 장착되거나 천장(C)에 설치된 와이어 유닛에서 연장된 와이어에 매달리게 장착될 수 있다.
본체(1)는 천장(C) 아래에 위치하는 천장 텍스(T)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천장 텍스(T)에 은닉되게 천장(C)이나 천장 텍스(T)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체(1)는 천장(C)과 본체(1) 사이에 소정의 틈(G)이 형성되게 천장(C)이나 천장 텍스(T)에 장착될 수 있다.
본체(1)는 공기 토출구(13)가 실내에 노출되게 그 전부 또는 일부가 실내에 노출되게 설치될 수 있고, 이 경우, 본체(1)의 상면은 천장(C) 또는 천장 텍스(T)를 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체(1)는 아우터 케이스(11)와,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유닛(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는 공기를 흡입한 후 실내로 다시 토출하는 토출 모듈 또는 송풍 모듈일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11)는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11)는 그 상면 및 둘레면이 막힌 형상일 수 있으며, 하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11)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11)는 공기 토출구(13)가 형성된 토출 바디(14)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11)의 일 예는 토출 바디(14)의 내부에 송풍유닛(12)이 수용되는 공간(S1)이 형성될 수 있고, 토출 바디(14)는 송풍유닛(12)의 외둘레를 둘러싸게 배치되어 송풍유닛(12)을 보호할 수 있다.
토출 바디(14)는 내부가 빈 중공 통체 형상일 수 있고, 아우터 케이스(11)의 외둘레를 구성할 수 있다.
토출 바디(14)는 어퍼 토출 바디(14A)와, 로어 토출 바디(14B)를 포함할 수 있고, 어퍼 토출 바디(14A)와, 로어 토출 바디(14B)의 사이에 공기 토출구(13)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 토출구(13)는 토출 바디(14)를 따라 물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 바디(14)는 어퍼 토출 바디(14A)와 로어 토출 바디(14B)를 잇는 복수개의 브릿지(14C)를 더 포함할 수 잇다. 복수개 브릿지(14C)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11)의 다른 예는 내부에 송풍유닛(12)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아우터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고, 토출 바디(14)는 아우터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어 아우터 하우징에서 유동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는 로어 토출 바디일 수 있다.
이 경우, 토출 바디(14)는 로어 바디(2)의 외둘레를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아우터 케이스(11)은 공간(S1)의 위에서 공간(S1)을 덮는 탑 커버(15)를 포함할 수 있다.
탑 커버(15)는 아우터 하우징이나 토출 바디(14)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아우터 하우징이나 토출 바디(14)와 별도로 제조된 후, 아우터 하우징이나 토출 바디(14)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우터 케이스(11)는 천장(C)이나 천장 텍스(T)에 볼트 등의 체결부재(H)로 장착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11)는 체결부재(H)가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운터(16)를 포함할 수 있다.
마운터(16)는 토출 바디(14)와 탑 커버(15) 중 적어도 하나와 체결될 수 있다. 마운터(16)는 토출 바디(14)나 탑 커버(15)의 일부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송풍유닛(12)은 공간(S1)에 수용되게 탑 커버(15)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유닛(12)은 하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 바디(14)로 송풍할 수 있다. 송풍유닛(12)의 일예는 그 아래에 위치하는 공기를 흡입하여 원심 방향으로 토출하는 원심식 송풍유닛일 수 있다.
송풍유닛(12)은 송풍유닛(12)은 공간(S1)에 수용되도록 아우터 케이스(11)에 설치될 수 있다.
송풍유닛(12)은 아우터 케이스(11) 특히, 탑 커버(15)에 설치된 모터(12A)와, 모터(12A)의 회전축에 연결된 블로워(12B 또는 임펠러)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송풍유닛(12)과 토출 바디(14)의 사이에 위치하는 열교환기 등의 공조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공조유닛의 일 예는 냉동사이클 장치의 열교환기로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공기조화기는 실내를 냉방시키는 냉방기로 기능하거나 실내를 제습하는 제습기로 기능하거나 실내를 난방하는 난방기로 기능할 수 있다.
공조유닛의 다른 예는 물에 초음파를 인가하거나 물을 가열하여 물입자를 생성하는 가습모듈로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공기조화기는 가습기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공조유닛은 실내에서 흡입한 공기의 온도나, 습도나 청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면, 그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로어 바디(2)는 본체(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공기조화기 외부의 공기가 본체(1)의 내부로 흡입되게 안내할 수 있다.
로어 바디(2)의 일 예는 실내의 공기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흡입공이 형성된 흡입 패널 또는 흡입 그릴일 수 있다.
로어 바디(2)의 다른 예는 본체(1)와 함께 공기 흡입유로(P)를 형성하는 인렛 가이드일 수 있다. 이 경우, 로어 바디(2)의 상면(21)은 본체(1)에 형성된 이너 가이드(19)와 이격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19)는 토출 바디(14)에 일체로 형성되어 토출 바디(14)의 일부를 구성하거나. 토출 바디(14)의 내측에 배치되어 토출 바디(14)와 함께 공기의 흡입을 안내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 외부의 공기는 본체(1)의 내부로 흡입되기 위해 공기 흡입유로(P)를 통과할 수 있고, 공기 흡입유로(P)는 로어 바디(2)의 상면(21)과 토출 바디(14)의 하면 사이에 형성되거나 로어 바디(2)의 상면(21)과 이너 가이드(19)의 사이에는 형성될 수 있다.
로어 바디(2)의 하면(22)은 실내를 향할 수 있다.
로어 바디(2)는 단순히 공기를 흡입 안내하는 기능에 한하지 않고, 실내를 조명하는 조명기구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로어 바디(2)는 백열등이나 형광등이나 엘이디 어셈블리 등의 광원(24)과, 광원(24)에서 조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판(25)을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바디(2)는 확산판(25)의 위에서 광원(24)을 보호하는 어퍼 커버(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퍼 커버(26)는 로어 바디(2)의 상면(21)을 형성할 수 있고, 확산판(25)은 로어 바디(2)의 하면(22)을 형성할 수 있고, 어퍼 커버(26)와 확산판(25)의 사이에는 광원(24)이 수용되는 공간(S2)가 형성될 수 있다.
정화유닛(3)은 실내에서 공기조화기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정화유닛(3)은 그 청소나 서비스를 위해 사용자나 서비스업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화유닛(3)은 로어 바디(2)에 배치될 수 있고, 로어 바디(2)의 하강이나 회전시 로어 바디(2)와 함께 하강되거나 회전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정화유닛(3)은 로어 바디(2)의 상면(21)에 배치될 수 있다.
로어 바디(2)에는 정화유닛(3)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정화유닛 착탈부(23)가 형성될 수 있다.
정화유닛 착탈부(23)는 로어 바디(2)가 상승되었을 때, 외부에서 잘 안 보이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화유닛 착탈부(23)는 로어 바디(2)의 상면(21)에 배치될 수 있다.
정화유닛(3)은 공기가 통과하면서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거를 수 있는 필터(31)와, 필터(31)를 지지하는 필터 프레임(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화유닛(3)의 다양한 예들 중 일예는 헤파 필터 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정화유닛(3)의 종류에 한정되지 ?方?, 정화유닛(3)이 전기집진필터 등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구성이면, 그 종류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필터 프레임(32)은 정화유닛 착탈부(23)에 스탭 핏 방식으로 장착되거나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장착될 수 있다.
정화유닛(3)은 송풍유닛(2)의 아래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송풍유닛(2)의 외둘레를 둘러싸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정화유닛(3)이 송풍유닛(2)의 외둘레를 둘러싸게 배치될 경우, 정화유닛(3)에는 송풍유닛(2)이 수용되는 송풍유닛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정화유닛(3)은 전체적으로 중공 통체 형상이거나 일단과 타단 사이가 이격된 호 형상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로어 바디(2)를 승강시키기 위해 로어 바디(2)에 각각 연결된 복수개의 와이어(4)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복수개 와이어(4)가 함께 감기거나 함께 풀리는 공통 드럼(5)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통 드럼(5)을 회전시키는 공통 드럼 회전기구(6)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본체(1)에 설치되고 로어 바디(2)에 연결되어 로어 바디(2) 및 정화유닛(3)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 와이어(4)와, 공통 드럼(5)와, 공통 드럼 회전기구(6)는 이러한 승강기구를 구성할 수 있다.
복수개 와이어(4)의 각각은 로어 바디(2)에 직접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의 와이어 커넥터를 통해 로어 바디(2)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복수개 와이어(4)가 로어 바디(2)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와 복수개 와이어(4)가 별도의 커넥터를 통해 로어 바디(2)에 연결되는 경우 각각은 복수개 와이어(4)가 로어 바디(2)에 연결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와이어(4)는 하나의 공통 드럼(5)에 연결되고, 공통 드럼(5)의 회전시 하나의 공통 드럼(5)에 함께 감기거나 하나의 공통 드럼(5)에서 함께 풀릴 수 있다.
하나의 공통 드럼(5)에 의해 복수개 와이어(4)가 감기거나 풀릴 경우, 복수개 와이어(4)는 그 감기거나 풀리는 속도가 동일할 수 있고, 공통 드럼(5)에 감기기 시작하는 시각이나 공통 드럼(5)에서 풀리기 시작하는 시각이 동일할 수 있다.
공통 드럼(5)은 본체(1)에 수직축(VX)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배치될 수 있고,
수직축(V)의 회전 방향에 따라 복수개 와이어(4)가 함께 공통 드럼(5)에 감기거나 함께 공통 드럼(5)에서 풀릴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적어도 2개의 와이어가 설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개 또는 4개 설치될 수 있다.
2개의 와이어가 설치될 경우, 2개의 와이어 각각은 로어 바디(2)를 안정적으로 승강시키기 위해 로어 바디(2)에 커넥터나 링크나 레버 등의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반면에, 3개 또는 4개의 와이어가 설치될 경우, 3개 또는 4개의 와이어 각각은 로어 바디(2)에 직접 연결되거나 연결부재의 개수를 최소화하면서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3개의 와이어(4A)(4B)(4C)가 설치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와이어(4A)(4B)(4C)의 개수가 3개로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고, 3개의 와이어(4A)(4B)(4C)의 공통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와이어(4)로 칭하여 설명하고, 3개의 와이어를 구분하여 설명할 경우에는 제1와이어(4A), 제2와이어(4B), 제3와이어(4C)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복수개 와이어(4)는 서로 높이차를 갖게 공통 드럼(5)에 연결된 연결단을 갖을 수 있다.
공통 드럼(5)에는 와이어(4)가 연결되는 어퍼 연결부가 제공될 수 있고, 어퍼 연결부는 공통 드럼(5)에 복수개 제공될 수 있으며, 공통 드럼(5)은 복수개 어퍼 연결부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 어퍼 연결부는 복수개 와이어(4)와 1:1 대응될 수 있고, 공기조화기가 3개의 와이어(4)를 포함할 경우, 3개의 어퍼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 어퍼 연결부는 높이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와이어(4) 중 공통 드럼(5)에 연결된 연결단은 서로 높이차를 갖게 위치될 수 있다.
제1와이어(4A)의 연결단은 복수개 어퍼 연결부 중 가장 높이가 높은 제1 어퍼 연결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와이어(4B)의 연결단은 제1 어퍼 연결부 중 보다 낮은 높이에 형성된 제2 어퍼 연결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3와이어(4C)의 연결단은 복수개 어퍼 연결부 중 가장 높이가 낮은 제3 어퍼 연결부에 연결될 수 있다.
만약, 복수개 어퍼 연결부의 높이가 모두 동일하고, 복수개 와이어(4)의 연결단의 높이가 모두 동일할 경우, 복수개 와이어(4)는 공통 드럼(5)에 감기거나 공통 드럼(5)에서 풀릴 때 서로 엉킬 수 있다.
반면에, 상기와 같이, 와이어(4) 중 공통 드럼(5)에 연결되는 연결단의 높이가 서로 높이차를 갖을 경우, 복수개 와이어(4)가 공통 드럼(5)이나 그 주변에서 서로 엉키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공통 드럼(5)은 복수개 와이어(4)가 최대한 엉키지 않게 복수개 와이어(5)를 함께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통 드럼은 외둘레에 와이어(4)의 일부가 수용되고 와이어(4)가 안내되는 복수개 그루브(G1)(G2)(G3)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 그루브(G1)(G2)(G3) 각각은 단면 형상이 고리 형상일 수 있다.
공통 드럼(5)의 그루브(G1)(G2)(G3)는 와이어(4)가 공통 드럼(5)에 감길 때, 와이어(4)가 수용되는 와이어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복수개 그루브(G1)(G2)(G3)의 높이(H1)(H2)(H3)는 서로 상이할 수 있고, 복수개 와이어(4)는 복수개 그루브(G1)(G2)(G3)와 1:1 대응될 수 있다.
복수개 그루브(G1)(G2)(G3)는 복수개 리브(52)(53)(54)(55)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 리브(52)(53)(54)(55)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개 리브(52)(53)(54)(55) 개수는 복수개 그루브(G1)(G2)(G3)의 개수 보다 1개 더 많을 수 있고, 그루브는 인접한 한 쌍의 리브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3개의 와이어(4A)(4B)(4C)가 공통 드럼(5)에 연결될 경우, 공통 드럼(5)의 외둘레에는 3개의 그루브(G1)(G2)(G3)가 형성될 수 있고, 3개의 그루브(G1)(G2)(G3)는 제1높이(H1)에 형성된 제1그루브(G1)와, 제1높이(H1) 보다 낮은 제2높이(H2)에 형성된 제2그루브(G2)와, 제2높이(H2) 보다 낮은 제3높이(H3)에 형성된 제3그루브(G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와이어(4A)는 최상측에 위치하는 제1그루브(G1)에 그 일부가 수용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와이어(4B)는 제1그루브(G1) 아래의 위치하는 제2그루브(G2)에 그 일부가 수용되게 연결될 수 있다. 제3와이어(4C)는 제2그루브(G2) 아래에 위치하는 제3그루브(G3)에 그 일부가 수용되게 연결될 수 있다.
공통 드럼(5) 및 공통 드럼 회전기구(6)는 본체(1)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공통 드럼(5) 및 공통 드럼 회전기구(6)는 본체(1)의 공간(S1)에 위치되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본체(1)는 공통 드럼(5) 및 공통 드럼 회전기구(6)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크게 형성되어야 하고, 공통 드럼(5) 및 공통 드럼 회전기구(6)는 본체(1)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의 저항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한편, 공통 드럼(5) 및 공통 드럼 회전기구(6)는 본체(1)의 상면에 배치될 경우, 본체(1)의 내부에는 공통 드럼(5) 및 공통 드럼 회전기구(6)를 수용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지 않고, 본체(1)는 컴팩트하게 구성될 수 있다.
공통 드럼(5)의 회전축(51)은 아우터 케이스(11)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수직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통 드럼(5)과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개 아우터 롤러기구(8)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 아우터 롤러기구(8)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고, 그 각각은 공통 드럼(5)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개 아우터 롤러기구(8) 각각은 와이어(5)가 하측으로 꺽이게 안내하는 아우터 롤러(81)와, 아우터 롤러(81)를 지지하는 아우터 롤러 서포터(82)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롤러(81)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아우터 롤러 서포터(82)에 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아우터 롤러 서포터(82)는 본체(1)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고, 탑 커버(15)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 롤러 서포터(82)에는 아우터 롤러(81)의 외둘레 일부를 둘러싸는 와이어가 하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1) 특히 아우터 케이스(11)에는 아우터 롤러(81)에 안내된 와이어가 수직방향으로 관통될 수 있는 와이어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관통공은 아우터 케이스(11) 중 로어 바디(2)를 상하 방향으로 향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탑 커버(15)에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의 개수는 와이어(4)의 개수와 일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가 3개의 와이어(4)를 포함할 경우, 아우터 케이스(11)에는 와이어가 관통되는 3개의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통 드럼(5)의 주변에 공통 드럼(5)과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개 이너 롤러기구(9)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 이너 롤러기구(9) 각각은 와이어(5)가 안내되는 이너 롤러(91) 및 이너 롤러(9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너 롤러 서포터(9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롤러(91)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이너 롤러 서포터(92)에 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복수개 이너 롤러기구(9)는 이너 롤러(71)의 높이가 서로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복수개 이너 롤러기구(9)는 공통 드럼(5)에 감긴 와이어가 공통 드럼(5)의 주변에서 쳐지지 않도록 받쳐주게 배치될 수 있고, 아우터 케이스(11)의 상면 특히, 탑 커버(15)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 롤러기구(9)는 와이어(4)와 1:1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고, 공기조화기가 3개의 와이어(4)를 포함할 경우, 3개의 이너 롤러기구(9)가 배치될 수 있다.
3개의 이너 롤러기구(9)는 제1와이어(4A)의 일부가 안착되는 제1이너 롤러기구(9A)와, 제2와이어(4B)의 일부가 안착되는 제2이너 롤러기구(9B)와, 제3와이어(4B)의 일부가 안착되는 제3이너 롤러기구(9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너 롤러기구(9A)와, 제2 이너 롤러기구(9B)와, 제3 이너 롤러기구(9C)는 이너 롤러(91)의 높이가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1와이어(4A)의 일부가 제1그루브(G1)에 수용될 경우, 제1이너 롤러기구(9A)의 이너 롤러(91) 높이는 제2 이너 롤러기구(9B)의 이너 롤러(91) 높이 보다 높을 수 있다.
제2와이어(4B)의 일부가 제2그루브(G2)에 수용될 경우, 제2이너 롤러기구(9B)의 이너 롤러(91) 높이는 제3 이너 롤러기구(9C)의 이너 롤러(91) 높이 보다 높을 수 있다.
제3와이어(4C)의 일부가 제3그루브(G3)에 수용될 경우, 제3이너 롤러기구(9C)의 이너 롤러(91) 높이는 인접한 타 이너 롤러기구(9A)(9B)의 이너 롤러(91) 높이 보다 낮을 수 있다.
공통 드럼 회전기구(6)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원(64)과, 구동원(64)의 구동력을 공통 드럼(5)로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원(64)의 개수는 와이어(4)의 개수 보다 적을 수 있고, 이 경우, 공기조화기는 부품수를 최소화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할 수 있다.
공통 드럼 회전기구(6)의 일예는 공통 드럼(5)의 회전축(51)에 연결된 종동기어(61)와, 종동기어(61)에 치합된 구동기어(62)와, 구동기어(62)에 연결되어 구동기어(62)를 회전시키는 모터(64)와, 모터(64)가 장착되는 어퍼 하우징(66)을 포함할 수 있다.
어퍼 하우징(66)은 공통 드럼(5)과 종동기어(61)와 구동기어(62)를 감싸고, 와이어(5)가 관통되는 복수개 와이어 관통부(67)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어퍼 하우징(66)은 복수개 둘레 바디(68)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 둘레 바디(68)는 본체(1)에 세워지고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와이어(4)가 관통되는 와이어 관통부(67)는 복수개 둘레 바디(68) 중 인접한 한 쌍의 둘레 바디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어퍼 하우징(66)은 어퍼 바디(69)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바디(69)는 복수개 둘레 바디(68)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어퍼 바디(69)는 공통 드럼(5)과 종동기어(61)와 구동기어(62)의 위에서 공통 드럼(5)과 종동기어(61)와 구동기어(62)를 덮을 수 있다.
모터(64)의 개수는 와이어(4)의 개수 보다 적을 수 있다.
공통 드럼 회전기구(6)의 일 예는 종동기어(61)에 하나의 구동기어(62)가 치합되고, 하나의 모터(64)가 하나의 구동기어(62)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공통 드럼 회전기구(6)는 구동기어(62)와 모터(64)의 조립체를 1개 포함할 수 있다.
공통 드럼 회전기구(6)의 다른 예는 종동기어(61)에 복수개 구동기어, 예를 들면, 한 쌍의 구동기어(62)가 치합될 수 있고, 2개의 모터(64)가 2개의 구동기어(62)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공통 드럼 회전기구(6)는 구동기어(62)와 모터(64)의 조립체를 2개 포함할 수 있다.
모터(64)는 어퍼 바디(69)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어퍼 바디(69)에는 모터(64)의 구동력을 종동기어(61)로 전달하는 회전축(51)이 관통되는 회전축 관통공(70)이 형성될 수 있다.
공통 드럼(5)와 공통 드럼 회전기구(6)는 본체(1)가 천장(C)이나 천장 텍스(T)에 장착되었을 때, 천장(C)과 천장 텍스(T) 사이의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본체 2: 로어 바디
3: 정화유닛 4: 와이어
5: 공통 드럼 6: 공통 드럼 회전기구

Claims (14)

  1. 천장에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된 로어 바디와;
    상기 로어 바디에 배치된 정화유닛과;
    상기 로어 바디에 각각 연결된 복수개 와이어와,
    상기 복수개 와이어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복수개 와이어가 함께 감기거나 함께 풀리는 공통 드럼과,
    상기 공통 드럼을 회전시키는 공통 드럼 회전기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드럼은 상기 본체에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배치된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와이어는 서로 높이차를 갖게 상기 공통 드럼에 연결된 연결단을 갖는 공기조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드럼은 외둘레에 상기 와이어의 일부가 수용되고 상기 와이어가 안내되는 복수개 그루브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그루브의 높이는 서로 상이하고, 복수개 와이어는 상기 복수개 그루브와 1:1 대응되는 공기조화기.
  6. 제 3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드럼의 주변에 상기 공통 드럼과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개 이너 롤러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 이너 롤러기구 각각은 상기 와이어가 안내되는 이너 롤러 및 이너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너 롤러 서포터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 이너 롤러기구는 상기 이너 롤러의 높이가 상이한 공기조화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드럼과 이격되게 배치되고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개 아우터롤러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 아우터 롤러기구는 상기 와이어가 하측으로 꺽이게 안내하는 아우터 롤러와,
    상기 아우터 롤러를 지지하는 아우터 롤러 서포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롤러 및 공통 드럼 회전기구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 배치된 공기조화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드럼 회전기구는
    상기 공통 드럼의 회전축에 연결된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에 치합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에 연결된 모터와,
    상기 모터가 장착되는 어퍼 하우징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하우징은 상기 공통 드럼과 종동기어와 구동기어를 감싸고,
    상기 어퍼 하우징에는 상기 와이어가 관통되는 복수개 와이어 관통부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공기조화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하우징은
    상기 본체에 세워지고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 둘레 바디와,
    상기 복수개 둘레 바디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공통 드럼과 종동기어와 구동기어의 위에서 상기 공통 드럼과 종동기어와 구동기어를 덮는 어퍼 바디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둘레 바디 중 인접한 둘레 바디 사이에 상기 와이어가 관통되는 와이어 관통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어퍼 바디 위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 바디에는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종동기어로 전달하는 회전축이 관통되는 회전축 관통공이 형성된 공기조화기.
  14. 천장에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된 로어 바디와;
    상기 로어 바디에 배치된 정화유닛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로어 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로어 바디 및 정화유닛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기구는
    상기 로어 바디에 각각 연결된 복수개 와이어와;
    상기 복수개 와이어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복수개 와이어가 함께 감기거나 함께 풀리는 하나의 공통 드럼과;
    상기 공통 드럼의 회전축에 연결된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에 치합된 적어도 하나의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된 모터와;
    상기 모터가 장착되는 어퍼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의 개수는 상기 와이어의 개수 보다 적은 공기조화기.
KR1020190089612A 2019-07-24 2019-07-24 공기조화기 KR202100122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612A KR20210012241A (ko) 2019-07-24 2019-07-24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612A KR20210012241A (ko) 2019-07-24 2019-07-24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241A true KR20210012241A (ko) 2021-02-03

Family

ID=74572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612A KR20210012241A (ko) 2019-07-24 2019-07-24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224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8850B1 (ko) * 2022-04-27 2022-11-21 주식회사 퓨어웨이 공기의 유동방향 전환이 가능한 필터모듈을 갖는 공기필터시스템
KR102488316B1 (ko) * 2021-07-14 2023-01-13 주식회사 알토 공기청정기 일체형 조명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5381B1 (ko) 2016-06-21 2018-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5381B1 (ko) 2016-06-21 2018-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8316B1 (ko) * 2021-07-14 2023-01-13 주식회사 알토 공기청정기 일체형 조명 장치
WO2023286949A1 (ko) * 2021-07-14 2023-01-19 주식회사 알토 공기청정기 일체형 조명 장치
KR102468850B1 (ko) * 2022-04-27 2022-11-21 주식회사 퓨어웨이 공기의 유동방향 전환이 가능한 필터모듈을 갖는 공기필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0512B1 (ko)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AU2018388754B2 (en) Ceiling-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210012241A (ko) 공기조화기
US20060199520A1 (en) Ventilation system and pressure intensifying apparatus
KR101140714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210127577A (ko) 공기순환장치, 공기정화기 및 공기가습기
JP4109771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102454607B1 (ko) 공기처리장치
KR10081371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814697B1 (ko)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
KR102450048B1 (ko) 공기처리장치
RU2673606C1 (ru) Внутренний блок кондиционера
JP2001324166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102521296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814696B1 (ko)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
KR100713295B1 (ko) 환기 청정 장치
JP3294123B2 (ja) 空気調和機
JP2004218988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JP4131738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20090043687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4601372B2 (ja) グリル昇降装置および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KR100814695B1 (ko)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
KR102454606B1 (ko) 공기처리장치
KR102290718B1 (ko) 필터 승강장치가 내장된 led 조명등 제조방법
KR100765569B1 (ko) 환기 청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