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4696B1 -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4696B1
KR100814696B1 KR1020080006213A KR20080006213A KR100814696B1 KR 100814696 B1 KR100814696 B1 KR 100814696B1 KR 1020080006213 A KR1020080006213 A KR 1020080006213A KR 20080006213 A KR20080006213 A KR 20080006213A KR 100814696 B1 KR100814696 B1 KR 100814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ceiling
ropes
suction gril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6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준동
박용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KR1020080006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46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4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4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개의 릴이 형성된 풀리와 같은 회전 몸체와 로프 풀림/엉킴 방지 캡을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함으로써, 복수개의 로프의 풀림이나 엉킴을 방지할 수 있는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는, 열교환기와 송풍장치를 수용하며 천장에 장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흡입그릴과, 상기 흡입그릴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포함하는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흡입그릴의 상호 이격된 위치에 연결되는 복수의 로프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로프 중 두 개의 로프를 함께 감거나 풀어주도록 두 개의 릴이 형성된 복수의 회전몸체와, 상기 복수의 회전몸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두 개의 릴에 감겨진 두 개의 로프의 풀림이나 엉킴을 방지하도록 상기 각 회전몸체와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되는 로프 풀림/엉킴 방지 캡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기 조화기, 천장, 풀리, 롤러, 풀림 엉킴 방지 캡, 포토커플러, 웨이트

Description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Ceiling Embedded Type Air 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의 저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의 승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고정형 공기 조화기의 승강장치 중 회전몸체와 로프 풀림/엉킴 방지 캡의 분리도 및 결합 상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고정형 공기 조화기의 PBA(Print Board Assembly) 기판에 센서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b 및 도 7c는 도 7a의 개의 센서에 의해 정방향으로 회전하는지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지를 사이클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천장 고정형 공기 조화기의 PBA(Print Board Assembly) 기판의 조립구조를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고정형 공기 조화기의 본체에 임시 수용되는 로프 임시 권치용 웨이트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12: 송풍장치
13: 열교환기 20: 천장패널
21: 흡입구 22: 토출구
23: 공기정화필터 24: 흡입그릴
25a, 25b: 로프 고정부 26: 스프링
27: 연결구 28: 고정핀
30: 승강장치 31a,31b: 제1 및 제2로프
32a,32b: 제1 및 제2롤러 40: 회전 몸체
41: 구동 모터 50: 프레임
60: 웨이트 70: 로프 풀림/엉킴 방지 캡
80: PBA
본 발명은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 개의 릴이 형성된 회전몸체와 로프 풀림/엉킴 방지 캡을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함으로써, 복수개의 로프의 풀림이나 엉킴을 방지할 수 있는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는 실내열교환기와 송풍장치를 내장한 상태로 천장의 내부공간으로 진입 설치되는 본체와, 이 본체의 하면 및 천장의 개구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천장패널을 구비하고 있다. 또 이러한 공기 조화기는 실내공기의 흡입 및 토출을 위해 천장패널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흡입구와, 천장패널의 흡입구 외곽 쪽에 형성되는 다수의 토출구를 구비하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도록 천장패널의 흡입구 내측에 설치되는 공기정화필터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는 사용자가 공기정화필터를 분리할 수 있도록 천장패널의 중앙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흡입그릴과, 이 흡입그릴을 상하로 승강시킴으로써 사용자가 공기정화필터를 손쉽게 교체하거나 세척할 수 있게 하는 승강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공기정화필터는 흡입그릴을 하강시킬 때 함께 하강할 수 있도록 통상 흡입그릴의 내면(상면)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승강장치는 흡입그릴의 사방 모서리부에 각각 연결되는 로프들과, 이 로프들을 동시에 감거나 풀어줌으로써 흡입그릴의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고, 구동장치는 각 로프들을 감거나 풀어주는 복수의 릴(Reel)과, 이들 릴을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승강장치의 동작에 의해 흡입그릴의 상승이 이루어질 때 로프들을 감아주는 각 릴 감김이 불균일해지거나 장기간 사용에 의해 로프가 늘어나 각 로프의 길이들이 달라질 경우 흡입그릴의 닫힘이 정확 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릴에 의해 로프의 권취가 완료된 후에 로프가 풀리거나 엉켜져 흡입 그릴의 높이 균일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두 개의 릴이 형성된 풀리와 같은 회전몸체와 로프 풀림/엉킴 방지 캡을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함으로써, 복수개의 로프의 풀림이나 엉킴을 방지할 수 있는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천장 고정형 공기 조화기를 전체적 및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PBA를 간단히 천장 고정형 공기 조화기에 보호/조립 고정함으로써 PBA를 화재 및 전기적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음과 아울러, 수리 시에는 간단히 분리할 수 있어 수리가 용이한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PBA에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몸체(풀리)에 인접한 상하로 형성된 두 개의 센서(종래 어떠한 센서라도 사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기는, 포토 커플러)가 설치되어 있어 로프의 승하강 높이와 구동 모터의 정역회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천장 고정형 공기 조화기의 본체에 아령 형태의 웨이트(weight)를 임시적으로 수용함으로써 흡입 그릴의 교환이나 천장 고정형 공기 조화기의 수리 시에 로프 일단의 고정핀를 사용하여 상기 웨이트의 중앙부를 걸 어 자중에 의해 권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는, 열교환기와 송풍장치를 수용하며 천장에 장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흡입그릴과, 상기 흡입그릴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포함하는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흡입그릴의 상호 이격된 위치에 연결되는 복수의 로프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로프 중 두 개의 로프를 함께 감거나 풀어주도록 두 개의 릴이 형성된 복수의 회전몸체와, 상기 복수의 풀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두 개의 릴에 감겨진 두 개의 로프의 풀림이나 엉킴을 방지하도록 상기 각 회전몸체와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되는 로프 풀림/엉킴 방지 캡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로프 풀림/엉킴 방지 캡에는 그 측부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두 개의 로프가 상기 홈을 통해 감기거나 풀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흡입그릴에 상기 각 로프가 연결되는 위치들과 각각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본체 하부에 상기 각 로프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롤러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회전몸체는 상기 본체 하부의 천장 패널의 내측의 일변 양측에 프레임에 의해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4개의 코너부가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돌출 형성된 네 개의 고정핀에 삽입되고,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고정 케이스와 이에 끼움 방식에 의해 체결되는 커버에 의해 보호 조립되는 직사각판 형상의 PBA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PBA에는 상기 회전몸체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여 상하로 형성된 두 개의 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로프의 승하강 높이와 구동 모터의 정역회전 방향을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입그릴의 4개의 모서리 쪽 상면에는 각각 로프 고정부가 설치되어 스프링을 개재하여 상기 복수개의 로프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아령 형태의 홈이 형성되어 있어 아령 형태의 웨이트(weight)가 임시적으로 삽입 고정되어 수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로프의 일단에는 고정핀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상기 흡입 그릴의 교환이나 상기 천장 고정형 공기 조화기의 수리 시에 상기 각 고정핀을 사용하여 상기 웨이트의 중앙부를 걸어 자중에 의해 권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의 저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의 승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편의상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는, 천장(1)의 개구부(2)를 통하여 천장(1) 내부로 진입 설치되며 그 하면이 개방된 상자형의 본체(10)와, 본체(10)의 하면 개방부(11) 및 천장(1)의 개구부(2)를 덮도록 본체(10)의 하단에 장착되는 천장패널(20)을 구비한다.
본체(10)의 내부에는 중앙에 실내공기의 송풍을 위한 송풍장치(12)가 설치되고, 송풍장치(12)의 외곽 쪽에 공기를 냉각시키거나 가열시키는 열교환기(13)가 설치된다. 그리고 천장패널(20)에는 중앙에 흡입구(21)가 형성되고, 흡입구(21)의 외곽 쪽 사방에 토출구(22)가 형성된다.
송풍장치(12)는 하부의 흡입구(21) 쪽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 외곽으로 토출 시키는 원심형 터보팬(12a)과, 이 터보팬(12a)을 구동하도록 본체(10)의 내측 상면에 고정되는 구동모터(12b)를 포함한다. 열교환기(13)는 터보팬(12a)의 동작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통과하면서 열교환될 수 있도록 터보팬(12a) 외곽의 사방 둘레에 설치된다. 또 열교환기(13)는 열교환기(13)로부터 흘러내리는 응축수를 모아서 배출시키도록 본체(1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부재(14)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지지부재(14)에는 터보팬(12a)의 입구 쪽과 터보팬(12a)의 출구 쪽 공간을 구획하여 공기흐름이 원활하도록 하는 공기안내판(15)이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본체(10) 내부의 송풍장치(12)가 동작할 때 흡입구(21)를 통하여 본체(1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기(13)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후 토출구(22)를 통하여 다시 실내공간으로 공급됨으로써 실내공간의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는 흡입구(21)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흡입구(21) 쪽에 설치되는 공기정화필터(23)와, 사용자가 공기정화필터(23)를 분리할 수 있도록 천장패널(20)의 흡입구(21)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평판형태의 흡입그릴(24)을 구비한다. 이때 흡입그릴(24)에는 공기의 흡입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통기공(24a)이 형성된다. 그리고 공기정화필터(23)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흡입그릴(24)을 분리할 때 함께 분리될 수 있도록 흡입그릴(24)의 내면에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천장(1)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로부터 사용자가 공기정화필터(23)를 손쉽게 분리하여 교환하거나 청소할 수 있도록 흡입그릴(24)을 승하강 시키는 승강장치(30)를 구비한다.
이러한 승강장치(3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그릴(24)을 양측에서 동시에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도록 본체(10) 하부의 천장패널(20) 내측의 일변 양측에 프레임(50)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는 두 개의 풀리와 같은 회전몸체(40)가 형성된다.
각 회전몸체(4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그릴(24)의 두 모서리 쪽 상면의 로프 고정부(25a)에 연결구(27) 및 스프링(26)을 개재하여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로프(31a,31b)와, 두 로프(31a,31b)를 감거나 풀어줌으로써 흡입그릴(24)의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두 개의 회전몸체(40)에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하는 구동 모터(41)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로프(31a, 31b)의 단부에는 고정핀(28)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스프링(26)의 고리(도면번호 미부여)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고정핀(28)의 형성에 의해 흡입그릴(24)을 손쉽게 분리할 수 있고, 분리 후에 교환하거나 청소하는 경우에 후술하는 별도 구비된 웨이트(60)에 쉽게 걸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승강장치(30)는 흡입그릴(24)에 제1 및 제2 로프(31a,31b)가 연결되는 위치들과 각각 대응하는 본체(10)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롤러(32a,32b)를 포함한다.
따라서, 승강장치(30)의 구동 모터(41) 및 회전몸체(40)가 동작할 때 제1 및 제2로프(31a,31b)가 제1및 제2롤러(32a,32b)에 의해 안내되면서 감기거나 풀림으로써 흡입그릴(24)의 승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상기 회전몸체(40)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5의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고정형 공기 조화기의 승강장치 중 회전몸체와 로프 풀림/엉킴 방지 캡의 분리도 및 결합 상태도로서 편의상 함께 설명하기 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로프(31a, 31b)를 함께 감거나 풀어주도록 두 개의 릴(40a)(40b)이 형성된 회전몸체(40)는 두 개의 로프(31a,31b)의 풀림이나 엉킴을 방지하도록 회전몸체(40)와 로프 풀림/엉킴 방지 캡(70)이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즉, 일단이 오픈 되고 큰 홈(도면 번호 미부여)이 형성된 로프 풀림/엉킴 방지 캡(70)이 회전몸체(40)와 원터치 방식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두 개의 로프(31a)(31b)가 상기 홈을 통해 자연스럽게 풀림이나 엉킴이 방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천장 고정형 공기 조화기의 PBA(Print Board Assembly) 기판의 조립구조를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장 고정형 공기 조화기를 전체적 및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직사각판 형상의 PBA(80)의 네 모서리는 상기 두 개의 회전몸체(40)중 어느 하나에 인접한 프레임(50)의 내측에서 돌출 형성된 네 개의 고정핀(51)에 삽입된 후에 상기 프레임(50)에 고정된 고정 케이스(52)와 이에 스크류(82)를 통해 끼움 방식에 의해 나사 체결되는 커버(81)에 보호 조립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조립 구조를 통해 PBA(80)는 화재 및 전기적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음과 아울러, 수리 시에는 간단히 고정 케이스(52)와 커버(81)를 분리할 수 있어 수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한편,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PBA(80)에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두 개의 릴(40a)(40b)이 형성된 회전몸체(40)에 인접한 상하로 형성된 두 개의 센서(83)(84)가 설치되어 있어 제1 및 제2로프(31a,31b)의 승하강 높이와 구동 모터(41)의 정역회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의 종류로는 포토커플러(photo coupler)가 가장 바람직하나,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그 종류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도시된 예에서는 두 개의 상하부 센서(83)(84)가 PBA(80)에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프레임(50)에 바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회전몸체(40)의 회전량을 검출하여 그 회전수에 따른 로프의 전체길이 를 측정하여 로프의 승하강 높이 측정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하로 위치한 두 개의 센서(83)(84)에 의해 정방향으로 회전하는지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지가 하나의 사이클로서 감지가 가능하게 되므로 구동 모터(41)의 회전 방향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7b 및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몸체(40)가 회전되는 경우에는 두 개의 릴(4a)(40b)의 기준 위치에 상관없이 상부 센서(83)에 먼저 센싱되면 바로 하부 센서(84)에 센싱되고, 하부 센서(84)에 먼저 센싱되면 거의 1회 회전에 가까운 시간 후에 상부 센서(83)에 센싱되는 사이클이 반복되어 진다(도 7b 참조). 반면, 역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몸체(40)가 회전되는 경우에는 두 개의 릴(4a)(40b)의 기준 위치에 상관없이 상부 센서(83)에 먼저 센싱되면 거의 1회 회전에 가까운 시간 후에 하부 센서(84)에 센싱되고, 하부 센서(84)에 먼저 센싱되면 바로 상부 센서(83)에 센싱되는 사이클이 반복되어 진다(도 7c 참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고정형 공기 조화기의 본체에 임시 수용되는 로프 임시 권치용 웨이트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장 고정형 공기 조화기의 프레임(50) 또는 본체(10)에는 아령 형태의 홈(52)이 형성되어 있어 아령 형태의 웨이트(weight)(60)가 임시적으로 삽입 고정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아령 형태의 웨이트(60)는 흡입 그릴(24)의 교환이나 천장 고정형 공기 조화기의 수리 시에 제1 및 제2로프(31a,31b)의 고정핀(28)을 사용하여 웨이 트(60)의 중앙부를 걸어 자중에 의해 권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에 의하면, 두 개의 릴이 형성된 회전몸체와 로프 풀림/엉킴 방지 캡을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함으로써, 복수개의 로프의 풀림이나 엉킴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천장 고정형 공기 조화기를 전체적 및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PBA를 간단히 천장 고정형 공기 조화기에 보호/조립 고정함으로써 PBA를 화재 및 전기적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음과 아울러, 수리 시에는 간단히 분리할 수 있어 수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PBA에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몸체에 인접한 상하로 형성된 두 개의 포토커플러(photo coupler)와 같은 센서가 설치되어 있어 로프의 승하강 높이와 구동 모터의 정역회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천장 고정형 공기 조화기의 본체에 아령 형태의 웨이트(weight)를 임시적으로 수용함으로써 흡입 그릴의 교환이나 천장 고정형 공기 조화기의 수리 시에 로프 일단의 고정핀를 사용하여 상기 웨이트의 중앙부를 걸어 자중에 의해 권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열교환기와 송풍장치를 수용하며 천장에 장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흡입그릴과, 상기 흡입그릴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포함하는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흡입그릴의 상호 이격된 위치에 연결되는 복수의 로프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로프 중 두 개의 로프를 함께 감거나 풀어주도록 두 개의 릴이 형성된 복수의 회전몸체와, 상기 본체에 임시적으로 삽입고정되는 아령 형태의 웨이트(weight)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로프의 일단에는 고정핀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상기 흡입 그릴의 교환이나 상기 천장 고정형 공기 조화기의 수리 시에 상기 각 고정핀을 사용하여 상기 웨이트의 중앙부를 걸어 자중에 의해 권취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
KR1020080006213A 2008-01-21 2008-01-21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 KR100814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213A KR100814696B1 (ko) 2008-01-21 2008-01-21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213A KR100814696B1 (ko) 2008-01-21 2008-01-21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5733A Division KR100814697B1 (ko) 2007-02-15 2007-02-15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4696B1 true KR100814696B1 (ko) 2008-03-18

Family

ID=39410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6213A KR100814696B1 (ko) 2008-01-21 2008-01-21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46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94869A (zh) * 2016-11-29 2017-04-26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室内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5847A (ja) * 2004-06-21 2006-01-05 Sanyo Electric Co Ltd 地上デジタル放送受信用携帯端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5847A (ja) * 2004-06-21 2006-01-05 Sanyo Electric Co Ltd 地上デジタル放送受信用携帯端末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2006-5847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94869A (zh) * 2016-11-29 2017-04-26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室内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0714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CN108369138B (zh) 传感器单元及具备该传感器单元的空气调节机的室内机
US20090077987A1 (en) Air conditioner
JP2007285629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KR100814697B1 (ko)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
KR101116210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100096921A (ko)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
JP2006071136A (ja) 天井埋込型式空気調和装置
KR100814696B1 (ko)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
KR100814695B1 (ko)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
JP3087736B2 (ja) 空気調和機
KR20210012241A (ko) 공기조화기
JP5422576B2 (ja) 送風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CN110793121A (zh) 空调烘干卷帘系统
JP4319487B2 (ja) 天吊型空気調和装置
JP2015052410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KR101139672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2001324166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100725816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5016932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JP4417103B2 (ja) 空気調和装置
JP4434706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KR101111728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JP4131738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H1038309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