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4606B1 - 공기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4606B1
KR102454606B1 KR1020150151602A KR20150151602A KR102454606B1 KR 102454606 B1 KR102454606 B1 KR 102454606B1 KR 1020150151602 A KR1020150151602 A KR 1020150151602A KR 20150151602 A KR20150151602 A KR 20150151602A KR 102454606 B1 KR102454606 B1 KR 102454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direction
direction control
air
control member
devic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1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0261A (ko
Inventor
강상우
배준형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1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4606B1/ko
Publication of KR20170050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0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4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0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Abstract

내부 공간을 가지는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도록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는 송풍팬부와, 상기 장치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 경로를 제공함과 동시에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부재와, 상기 풍향조절부재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풍향조절부재 구동부 및 상기 풍향조절부재에 설치되되 상기 장치 본체의 외부에서 위치 확인 가능하게 배치되는 표시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처리장치{Air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공기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처리장치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정화, 냉각, 가습 중 어느 하나의 과정을 통해 처리시켜 토출하여 실내의 공기상태 및 습도를 조절하는 장치이다.
한편, 빨래, 신발과 같은 대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해 건조공기가 대상물로 토출되도록 공기처리장치가 구성될 수 있다. 즉, 종래의 공기처리장치, 일예로서 제습기에는 공기토출부에 풍향 전환용 루버가 설치되거나 주름관 호스가 연결되어 건조공기가 대상물로 토출되도록 하였다.
그런데, 루버를 채용한 종래의 제습기는 풍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토출하기 위해 루버를 꺾어야 하기 때문에 공기의 유로가 급격하게 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토출되는 건조공기의 유량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주름관 호스가 연결된 종래의 제습기는 제습기에 설치된 압축기의 과부하로 인하여 바이패스되는 공기의 양이 많아서 건조대상물에 공급되는 풍량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기토출부가 회전되도록 하는 발명이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었으나, 이 발명은 유량 손실로 인하여 공기토출부로 토출되는 풍량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높은 구동토크를 발생시키는 구동원이 필요하여 장치의 크기가 커지는 동시에 진동 및 소음의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더불어, 사용자가 공기 토출 방향 및 구동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77777호
사용자가 공기 토출 방향 및 구동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공기처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처리장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도록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는 송풍팬부와, 상기 장치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 경로를 제공함과 동시에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부재와, 상기 풍향조절부재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풍향조절부재 구동부 및 상기 풍향조절부재에 설치되되 상기 장치 본체의 외부에서 위치 확인 가능하게 배치되는 표시등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등은 상기 풍향조절부재에 구비되는 덮개의 전면 가장자리에 배치되며, 상기 덮개의 전면에는 상기 표시등에 연결되는 연결선이 삽입되어 상기 덮개의 중심으로 안내되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치본체는 상기 덮개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그릴을 구비하며, 상기 그릴의 그릴판 중앙에는 상기 연결선이 관통되는 연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그릴판에는 상기 연결홀에 연결되며 연결선의 고정을 위한 고정리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등은 상기 풍향조절부재의 회전 시 점멸되고 상기 풍향조절부재의 정지 시 점등되거나, 상기 풍향조절부재의 회전 시 점등되고 상기 풍향조절부재의 정지 시 점멸될 수 있다.
상기 표시등은 복수개의 색을 발광시킬 수 있는 LED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공기처리장치는 상기 장치본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공기의 유동 경로 상 송풍팬부의 전단에 배치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처리하는 공기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등은 제어부에 연결되며, 오염도에 따른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별도의 색을 발광할 수 있다.
상기 표시등은 제어부에 연결되며, 상기 공기처리부의 구동 상태에 따라 별도의 색을 발광할 수 있다.
사용자가 공기 토출 방향 및 구동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처리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처리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처리장치의 장치본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장치본체의 송풍팬 설치판 및 실링부재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처리장치의 송풍팬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처리장치의 풍향조절부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처리장치의 풍향조절부재 구동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처리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처리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처리장치(100)는 장치본체(120), 송풍팬부(140), 풍향조절부재(160), 풍향조절부재 구동부(170) 및 공기처리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장치본체(120)는 공기처리장치(100)의 외형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 3에 보다 자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120)는 베이스(122), 송풍팬 설치판(124), 그릴(126), 전단커버(128) 및 후단 케이싱(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122)는 받침대(122a)와, 받침대(122a)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결대(122b)를 구비할 수 있다.
받침대(122a)는 공기처리장치(100)가 바닥에 놓여질 수 있도록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연결대(122b)는 받침대(122a)로부터 상부로 연장 형성되어 송풍팬 설치판(124)에 연결된다.
송풍팬 설치판(124)은 대략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다. 한편, 송풍팬 설치판(124)의 전면에는 도 4에 보다 자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팬부(140)의 설치를 위한 설치부(124a)가 형성된다. 그리고, 설치부(124a)의 주위에는 공기의 유동 경로를 제공하는 통기구(124b)가 형성된다.
또한, 송풍팬 설치판(124)의 전면에는 실링을 위한 실링부재(180)가 삽입 설치되는 실링홈(124c)이 형성된다.
더하여, 송풍팬 설치판(124)에는 풍향조절유닛(14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회전롤러(132)가 설치된다. 회전롤러(132)는 송풍팬 설치판(124)의 저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 배치된다.
회전롤러(132)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기로 한다.
그릴(126)은 송풍팬 설치판(124)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며, 원통 형상을 가진다. 즉, 그릴(126)은 측면을 통해 공기가 토출될 수 있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풍향조절유닛(140)이 내부에 배치되는 크기를 가진다. 그리고, 그릴(126)에는 그릴(126)의 일측을 폐쇄하는 그릴판(126a)이 형성되며, 그릴판(126a)에는 연결선이 관통되는 연결홀(126b)이 형성되며, 연결홀(126b)에 연결되어 연결선을 고정시키는 고정리브(126c)가 형성될 수 있다.
전단커버(128)는 그릴(126)에 고정 설치된다. 한편, 전단커버(128)에는 풍향조절유닛(140)의 회전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홀(128a)이 형성된다.
후단 케이스(130)는 베이스(122)와 송풍팬 설치판(124)의 후단에 조립된다. 한편, 후단 케이스(130)와 송풍팬 설치판(124)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공기처리부(미도시)가 설치되며, 후단 케이스(130)의 후방으로 유입된 공기는 공기처리부를 통과한 후 송풍팬 설치판(124) 측으로 유동된다.
송풍팬부(140)는 송풍팬 설치판(124)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유입하여 토출하도록 공기를 유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송풍팬부(140)는 도 5에 보다 자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팬 설치판(124)에 고정 설치되는 송풍팬용 모터(142) 및 송풍팬용 모터(142)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원심송풍팬(144)을 구비할 수 있다.
송풍팬용 모터(142)는 송풍팬 설치판(124)의 설치부(124a)에 삽입 설치되며, 설치부(124a)에 의해 외부면이 지지되어 송풍팬용 모터(142)가 설치부(124a)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원심송풍팬(144)은 송풍팬용 모터(142)에 의해 회전되어 송풍팬 설치판(124)의 통기구(124b)를 통해 공기를 유입시킨 후 반경 방향 또는 원주 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한다.
풍향조절부재(160)는 장치본체(120)에 설치되어 공기의 토출 방향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풍향조절부재(1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향조절판(162), 덮개(16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풍향조절판(162)은 송풍팬 설치판(12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풍향조절판(162)은 중공의 원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풍향조절판(162)의 가장자리에는 후술할 풍향조절판 구동기어(176)에 결합되는 종동기어부(162a)가 구비된다.
즉, 풍향조절판(162)은 풍향조절판 구동기어(176)에 의해 회전된다. 한편, 풍향조절판(162)의 종동기어부(162a)와 풍향조절판 구동기어(176)의 기어비는 일예로서 10 : 1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풍향조절판(162)의 회전 각도 정밀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나아가, 작은 구동력으로도 풍향조절판(162)을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풍향조절판(162)의 가장자리는 송풍팬 설치판(124)에 구비되는 회전롤러(132)에 의해 지지되어 송풍팬 설치판(12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풍향조절판(162)에는 회전롤러(132)에 지지될 수 있도록 단턱부(162b)가 풍향조절판(162)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롤러(132)는 도 4에 보다 자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풍향조절판(162)의 가장자리를 지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턱(132a)을 구비할 수 있다. 일예로서, 회전롤러(132)의 단면 형상은 'T'자 형상 또는 역삼각형 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회전롤러(132)는 송풍팬 설치판(12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단턱부(162b)에 지지될 수 있는 어떠한 형상으로도 변경 가능할 것이다.
다시 말해, 회전롤러(132)는 풍향조절판(16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회전부재인 풍향조절판(162)이 고정부재인 장치본체(12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어떠한 형상으로도 변경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이, 회전롤러(132)에 의해 풍향조절판(162)이 지지되어 풍향조절판(162)이 송풍팬 설치판(124)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송풍팬 설치판(124)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풍향조절판(162)을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회전롤러(132)를 송풍팬 설치판(124)으로부터 분리하는 것만으로 쉽게 송풍팬 설치판(124)으로부터 풍향조절판(162)을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풍향조절판(162)에는 덮개(164)와 함께 공기의 유동 경로를 안내하는 안내리브(162c)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유동되는 공기는 안내리브(162c)를 따라 유동될 수 있다.
더하여, 풍향조절판(162)의 뒷면에는 공기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재(180)가 설치되는 장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상기한 바와 같이, 송풍팬 설치판(124)의 전면에는 실링을 위한 실링부재(180)가 삽입 설치되는 실링홈(124c)이 형성된다.
그리고, 송풍팬 설치판(124)의 전면에 대향 배치되는 풍향조절판(162)의 뒷면에는 실링홈(124c)에 대응되는 장착홈이 형성된다.
또한, 실링부재(18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홈(124c)에 삽입 배치되는 제1 실링부재(182)와, 송풍팬 설치판(124)의 장착홈에 삽입 배치되는 제2 실링부재(184)를 구비할 수 있다. 일예로서, 제1,2 실링부재(182,184)는 원형의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실링부재(182)는 제2 실링부재(184)와 접촉되도록 중앙부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리브(182a)를 구비하며, 제2 실링부재(184)에는 제1 실링부재(182)와 접촉되도록 가장자리에 띠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2열을 가지는 접촉리브(184a)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실링부재(182)와 제2 실링부재(184)가 돌출리브(182a)와 접촉리브(184a)를 통해 접촉되므로, 풍향조절판(162)이 보다 매끄럽게 회전되도록 함과 동시에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제1 실링부재(182)와 제2 실링부재(184)의 접촉면적을 감소시켜 회전을 보다 매끄럽게 수행되도록 하는 동시에 회전부재와 고정부재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공기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실링부재(182)에 돌출리브(182a)가 구비되며, 제2 실링부재(184)에 2열의 접촉리브(184a)가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일예로서, 제1 실링부재(182)에만 돌출리브(182a)가 형성되고 제2 실링부재(184)는 평평한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돌출리브(182a) 및 접촉리브(184a)의 형상 또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할 것이다.
덮개(164)는 풍향조절판(162)에 조립되며, 풍향조절판(162)의 안내리브(162c)에 대응되는 대응리브(164a)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덮개(164)는 풍향조절판(162)과 함께 회전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안내리브(162c)와 대응리브(164a)는 유동하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65)를 형성한다. 즉, 안내리브(162c)와 대응리브(164a)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토출구(165)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그리고, 덮개(164)의 전면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시 회전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등(164b)이 설치될 수 있다. 나아가, 덮개(164)의 전면에는 표시등(164b)에 연결되는 연결선이 고정되는 고정홈(164c)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선은 고정홈(164c)을 따라 안내되어 덮개(164)의 중심에 고정된 후 상기한 그릴판(126a)의 연결홀(126b)을 통해 그릴판(126a)을 통과한다. 즉, 연결선은 연결홀(126b)을 통해 그릴(126)의 외부로 인출된다. 이후 연결선은 고정리브(126c)에 의해 고정되어 연결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선이 덮개(164)의 중심에서 고정된 후 그릴(126)을 통과하므로, 덮개(164)의 회전에 따라 연결선이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표시등(164b)은 제어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일예로서, 표시등(164b)은 풍향조절판(162)이 회전 중에는 점멸되고, 풍향조절판(162)이 정지 시에 점등되어 풍향조절판(162)에 의한 공기 토출 방향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표시등(164b)은 복수개의 색으로 점등되는 LED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표시등(164b)을 통한 공기의 오염도 표시가 가능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다른 예로서 공기처리부의 공기 처리 상태에 따라 표시등(164b)의 색을 변경하여 공기의 처리 상태를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가습모드에서는 표시등(164b)이 파란색을 표시하도록 하고, 제습모드에서는 표시등(164b)이 초록색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풍향조절부재 구동부(17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 설치브라켓(172), 구동모터(174) 및 풍향조절판 구동기어(17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동모터 설치브라켓(172)은 베이스(122)에 고정 설치된다. 일예로서, 구동모터 설치브라켓(172)은 장치본체(120)의 송풍팬 설치판(124)에 설치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구동모터 설치브라켓(172)은 베이스(122)의 연결대(122b)에 고정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구동모터 설치브라켓(172)은 풍향조절판(162)으로의 진동전달을 완화시키기 위해 장치본체(120)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구동모터 설치브라켓(172)에는 구동모터(174)의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진동흡수판(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진동흡수판은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서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모터(174)는 상기한 구동모터 설치브라켓(172)에 고정 설치되어 풍향조절판(162)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풍향조절판 구동기어(176)는 구동모터(174)에 설치되어 구동모터(174)에 의해 회전된다. 나아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풍향조절판 구동기어(176)와 풍향조절판(162)의 종동기어부(162a)와의 기어비는 일예로서 10:1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풍향조절판 구동기어(176)와 풍향조절판(162)의 종동기어부(162a)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하므로, 낮은 토크를 발생시키는 모터에 의해서도 풍향조절판(162)이 원환하게 구동될 수 있는 것이다.
공기처리부(190)는 공기 유동 경로 상 송풍팬부(140)의 전단에 배치되어 장치본체(12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상태를 변경시켜 송풍팬부(140) 측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공기처리부는 공기정화장치, 가습장치, 제습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서, 공기처리부가 제습장치로 구성되는 경우 공기처리부는 증발기와 응축기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냉매의 증발작용을 통해 외면에 접촉되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와, 냉매의 응축작용을 통해 외면에 접촉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응축기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공기처리부가 제습장치로 구성되는 경우 공기처리부에는 증발기로부터 생성되는 응축수를 저장하기 위한 제습탱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공기처리부가 공기정화장치를 구비하는 경우 복수개의 필터가 공기처리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공기처리부가 가습장치를 구비하는 경우 가습을 위한 수조 및 공기가 통과되어 가습되도록 하는 가습필터를 공기처리부가 구비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기어를 통해 동력이 전달되어 풍향조절판(162)과 덮개(164)가 회전되므로, 작은 토크를 발생키는 모터를 통해서도 구동될 수 있다.
나아가, 풍향조절판(162)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종동기어부(162a)에 구동기어(176)가 결합되어 동력이 전달되므로, 회전 각도 정밀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한편, 풍향조절판(162)이 회전롤러(132)를 통해 지지되어 회전되므로, 풍향조절판(162)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풍향조절판(162)이 보다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나아가, 실링부재(180)를 통해 풍향조절판(162)과 송풍팬 설치판(124)의 사이 공간을 밀폐함으로써, 외부로 토출되는 풍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즉, 회전부재인 풍향조절판(162)과 고정부재인 송풍팬 설치판(124)의 사이 공간을 실링부재(180)를 통해 밀폐하여 공기의 유동 경로를 송풍팬 설치판(124)의 통기구(124b)로 단일화함으로써 풍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2 실링부재(182,184)로 구성되는 실링부재(180)를 통해 기밀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풍향조절판(162)의 매끄러운 회전을 구현할 수 있다.
더하여, 구동모터(174)가 구동모터 설치브라켓(166)에 설치되므로, 구동모터(174)의 구동 시 발생되는 진동의 전달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구동모터 설치브라켓(172)에 구비되는 진동흡수판을 통해 구동모터(174)의 구동 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함으로써 진동전달에 의한 소음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나아가, 구동모터 설치브라켓(172)이 장치본체(120)에 설치되므로, 풍향조절유닛(160)으로의 진동 전달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덮개(164)에 설치되는 표시등(164b)을 통해 사용자가 용이하게 공기 토출 방향을 인지할 수 있다.
나아가, 표시등(164b)에 연결되는 연결선을 덮개(164)의 중심에 고정시킨 후 그릴(126)의 외부로 인출시켜 그릴판(126a)의 고정리브(126c)에 고정시킨 후 연결단자에 연결함으로써 연결선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제어부에 연결된 표시등(164b)을 통해 공기처리장치(100)의 작동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 공기처리장치
120 : 장치본체
140 : 송풍팬부
160 : 풍향조절부재
170 : 풍향조절부재 구동부
180 : 실링부재

Claims (8)

  1. 내부 공간을 가지는 장치 본체;
    상기 장치 본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도록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는 송풍팬부;
    상기 장치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 경로를 제공함과 동시에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부재;
    상기 풍향조절부재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풍향조절부재 구동부; 및
    상기 풍향조절부재에 설치되되 상기 장치 본체의 외부에서 위치 확인 가능하게 배치되는 표시등;
    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 본체는 상기 풍향조절부재에 구비되는 덮개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그릴을 구비하며,
    상기 그릴의 그릴판 중앙에는 상기 표시등에 연결되는 연결선이 관통되는 연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그릴판에는 상기 연결홀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선의 고정을 위한 고정리브가 구비되는 공기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등은 상기 덮개의 전면 가장자리에 배치되며,
    상기 덮개의 전면에는 상기 연결선이 삽입되어 상기 덮개의 중심으로 안내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공기처리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등은 상기 풍향조절부재의 회전 시 점멸되고 상기 풍향조절부재의 정지 시 점등되거나, 상기 풍향조절부재의 회전 시 점등되고 상기 풍향조절부재의 정지 시 점멸되는 공기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등은 복수개의 색을 발광시킬 수 있는 LED로 이루어지는 공기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공기의 유동 경로 상 송풍팬부의 전단에 배치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처리하는 공기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처리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등은 제어부에 연결되며, 오염도에 따른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별도의 색을 발광하는 공기처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등은 제어부에 연결되며, 상기 공기처리부의 구동 상태에 따라 별도의 색을 발광하는 공기처리장치.
KR1020150151602A 2015-10-30 2015-10-30 공기처리장치 KR102454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602A KR102454606B1 (ko) 2015-10-30 2015-10-30 공기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602A KR102454606B1 (ko) 2015-10-30 2015-10-30 공기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261A KR20170050261A (ko) 2017-05-11
KR102454606B1 true KR102454606B1 (ko) 2022-10-14

Family

ID=58741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1602A KR102454606B1 (ko) 2015-10-30 2015-10-30 공기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460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6863A (ja) * 2001-08-10 2003-02-26 Fujitsu General Ltd 除湿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2122B1 (ko) * 1996-01-15 1999-05-01 윤종용 풍향표시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풍향표시방법
KR20000004320U (ko) * 1998-08-04 2000-03-06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풍향조절장치
KR100755139B1 (ko) * 2005-10-05 2007-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102134611B1 (ko) * 2013-07-16 2020-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283317B1 (ko) 2013-12-30 2021-07-30 코웨이 주식회사 제습기
KR20150112698A (ko) * 2014-03-28 2015-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6863A (ja) * 2001-08-10 2003-02-26 Fujitsu General Ltd 除湿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261A (ko)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4607B1 (ko) 공기처리장치
KR20160028292A (ko) 에어 워셔
US11971070B2 (en) In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KR20150144895A (ko) 조명부를 구비한 천장용 선풍기 및 천장용 선풍기 시스템
JP7185392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JP2018004122A (ja) 加湿装置
JP6157407B2 (ja) 空気調和機の風向調整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KR102450048B1 (ko) 공기처리장치
KR102348040B1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제어방법
KR20160000486A (ko) 토출방향 가변형 제습장치
KR101912856B1 (ko) 응축수 배출을 위한 호스릴이 구비된 온실용 난방기 일체형 제습장치
KR102454606B1 (ko) 공기처리장치
JP2006234251A (ja) 一体型空気調和機
KR101335145B1 (ko) 가습기
KR102266571B1 (ko) 가습장치
KR20210012241A (ko) 공기조화기
KR20170077660A (ko) 공기조화장치
JP2009097767A (ja) 加湿装置
KR102267542B1 (ko) 가습청정기
JP2021055898A (ja) 加湿装置
KR20150146314A (ko) 가습청정기
KR20160047856A (ko) 가습 공기청정기
KR102371162B1 (ko) 제가습 장치
KR102268850B1 (ko) 360도 회전식 공기청정기
JP5262162B2 (ja) 除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