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542B1 - 가습청정기 - Google Patents

가습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7542B1
KR102267542B1 KR1020170042958A KR20170042958A KR102267542B1 KR 102267542 B1 KR102267542 B1 KR 102267542B1 KR 1020170042958 A KR1020170042958 A KR 1020170042958A KR 20170042958 A KR20170042958 A KR 20170042958A KR 102267542 B1 KR102267542 B1 KR 102267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an
hole
humidifying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2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0162A (ko
Inventor
배세환
김기혁
현진수
장윤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09499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20214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2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542B1/ko
Publication of KR20170040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0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18Rotors
    • F04D29/181Axial flow 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18Rotors
    • F04D29/22Rotors specially for centrifugal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4Grilles, registers or guards with mounting arrangements, e.g. snap fasteners for mounting to the wall or 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24F6/043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with self-sucking action, e.g. wi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에 제1공기흡입구가 형성되고 둘레에 제1공기토출구가 형성되며 상부에 상부 개구부가 형성된 메인 바디와; 메인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1공기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메인 바디의 상부로 송풍하는 제1팬과; 제1팬의 상측에 설치된 가습유닛과; 상부 개구부에 틸팅 가능하게 배치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제2공기흡입구와 제2공기토출구가 형성된 틸팅 바디와; 틸팅바디에 설치되어 제2공기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공간을 통과시킨 후 제2공기토출구로 토출하는 제2팬을 포함하여, 제1팬과 제2팬의 모두 구동시 고풍량의 가습공기를 실내로 토출할 수 있고, 제2팬의 틸팅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송풍되는 가습 공기의 풍향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가습청정기{Humidifier}
본 발명은 가습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개 팬을 갖는 가습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기는 실내의 습도를 변화시키는 것으로서, 수분을 실내로 공급하는 가습 기구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가습기는, 초음파식 가습기와, 가열식 가습기와, 복합식 가습기, 기화식 가습기 등이 있다.
초음파식 가습기는 물을 넣은 용기의 밑부분에서 초음파를 발생시켜 물을 작은 입자로 쪼개서 내뿜는 방식으로서, 가습기에서 나오는 증기는 차가운 수증기이다.
가열식 가습기는 가습기 안의 물을 끓여 수증기로 뿜어주는 방식으로서, 가습기에서 나오는 증기는 뜨거운 증기이다.
복합식 가습기는 초음파식과 가열식의 방법을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가열식과 초음파식의 장점을 살린 것으로서, 먼저 가열관에서 물 온도를 올려 살균시킨 뒤 초음파를 이용해서 뿜어주는 방식이고, 상황에 따라 `따뜻한 수증기' `차가운 수증기'를 선택할 수 있다.
기화식 가습기는 송풍팬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가습 필터를 통과시킬 수 있고, 공기는 가습 필터를 통과하면서 무화된 후 외부로 토출될 수 있는 자연식 가습기일 수 있다. 기화식 가습기는 공기가 가습 필터를 통과하면서 공기 중의 이물질이 가습 필터에 걸러질 수 있고, 가습과 청정 기능을 겸하는 가습청정기일 수 있다.
KR 10-2012-0076284 (2012년07월09일)
종래 기술에 따른 가습청정기는 가습된 공기를 상측의 한 방향으로만 토출할 수 있어 가습된 공기의 토출 방향을 다양화하지 못하고, 여러 방향 중 희망하는 방향의 선택적 토출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고풍량의 가습 공기를 토출할 수 있는 가습청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는 하부에 공기흡입구가 형성되고 상부에 상부 개구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공기가 통과하는 통로가 형성된 메인 바디와; 통로에 배치되어 공기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부 개구부로 송풍하는 팬과; 공기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유닛과; 통로에 상기 팬 보다 높게 배치된 가습유닛을 포함하고, 가습유닛은 상면이 개방되고 외둘레에 팬에서 송풍된 공기가 통과하는 통공이 형성된 물통과, 물통의 내부에 위치하고 일부가 통공을 마주보는 가습 필터를 포함한다.
가습필터는 중공 통체 형상일 수 있고, 가습필터는 내부에 물이 물통으로 급수되는 급수통로를 형성하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수조의 개방된 상면은 상부 개구부를 상하 방향으로 마주볼 수 있다.
가습청정기는 팬에서 유동된 공기를 수조로 안내하는 에어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 가이드는 수조가 안착되는 수조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가습청정기는 가습유닛과 메인 바디의 사이를 막고 팬에서 유동된 공기를 수조의 외둘레로 안내하는 이너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너 가이드는 가습필터에 의해 가습된 공기가 통과하고 물통으로 급수되는 통과하는 이너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예는 공기흡입구가 형성된 베이스와; 상부 개구부이 형성된 아우터 케이스와; 공기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부 개구부로 송풍하는 팬과; 베이스와 팬의 사이에 배치되어 공기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유닛과; 팬의 상측에 팬 보다 높게 배치된 가습유닛을 포함하고, 가습유닛은 상면이 개방되고 외둘레에 팬에서 송풍된 공기가 통과하는 통공이 형성된 물통과; 물통의 내부에 위치하고 일부가 통공을 마주보는 가습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습필터는 중공 통체 형상일 수 있고, 가습필터는 내부에 물이 물통으로 급수되는 급수통로를 형성하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수조의 개방된 상면은 상기 상부 개구부를 상하 방향으로 마주볼 수 있다.
본 발명은 고풍량의 가습공기를 실내로 토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청정기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틸팅 바디가 틸팅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틸팅 바디가 메인 바디에서 분리되었을 때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청정기 일실시예의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틸팅 바디가 제1방향으로 틸팅된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틸팅 바디가 제2방향으로 틸팅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청정기 일실시예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청정기 일실시예의 제1팬이 구동이고, 제2팬이 정지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청정기 일실시예의 제1팬이 구동이고, 제2팬이 구동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청정기 일실시예의 제1팬이 구동이고, 제2팬이 구동이며, 틸팅 바디가 틸팅되었을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청정기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틸팅 바디가 틸팅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틸팅 바디가 메인 바디에서 분리되었을 때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청정기 일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틸팅 바디가 제1방향으로 틸팅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틸팅 바디가 제2방향으로 틸팅된 단면도이다.
가습청정기는 하부에 제1공기흡입구(2)가 형성되고 둘레에 제1공기토출구(4)(6)가 형성되며 상부에 상부 개구부(8)가 형성된 메인 바디(1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습청정기는 메인 바디(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1공기흡입구(2)로 공기를 흡입하여 메인 바디(10)의 상부로 송풍하는 제1팬(2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습청정기는 제1팬(20)의 상측에 설치된 가습유닛(3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습청정기는 상부 개구부(8)에 틸팅 가능하게 배치된 틸팅 바디(4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습청정기는 틸팅 바디(40)에 설치된 제2팬(50)을 포함할 수 있다. 틸팅바디(40)는 내부에 공간(S1)이 형성되고 제2공기흡입구(42)와 제2공기토출구(44)가 형성될 수 있다. 제2팬(50)은 제2공기흡입구(42)로 공기를 흡입하여 공간(S1)을 통과시킨 후 제2공기토출구(44)로 토출할 수 있다. 틸팅 바디(40)와 제2팬(50)은 메인 바디(10)의 상부로 송풍된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고, 고풍량 송풍을 가능하게 하는 풍향조절 송풍유닛이 될 수 있다.
메인 바디(10)는 가습청정기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메인 바디(1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바디(10)는 그 내부에 공기가 통과하는 통로(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공기흡입구(2)는 메인 바디(10) 외부의 공기가 메인 바디(10)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흡입구일 수 있다.
메인 바디(10)는 둘레 중 상부에 제1공기토출구(4)(6)가 형성될 수 있다. 제1공기토출구(4)(6)는 메인 바디(10)의 둘레 중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제1공기토출구(4)(6)는 메인 바디(10)의 둘레를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공기토출구(4)(6)는 개구 방향이 상이한 복수개 토출구(4)(6)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토출구(4)(6)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토출구(4)(6)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토출구(4)(6)는 메인 바디(10)의 일측에 수평 방향으로 개방된 제1토출구(4)와, 메인 바디(10) 중 제1토출구(4)를 마주보는 반대편에 수평 방향으로 개방된 제2토출구(6)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토출구(4)가 메인 바디(10)의 좌측에 좌측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경우, 제2토출구(6)는 메인 바디(10)의 우측에 우측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메인 바디(10)에 형성된 제1공기토출구는 적어도 3개의 토출구가 메인 바디(10)의 외둘레를 따라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며, 그 개수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메인 바디(10)는 복수개 토출구(4)(6) 사이에 빈 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 토출구(4)(6) 사이의 빈 공간(S2)은 공기가 통과하는 통로로 기능할 수 있다. 복수개의 토출구(4)(6) 각각과 상부 개구부(8)는 복수개 토출구(4)(6) 사이의 빈 공간(S2)과 연통될 수 있다. 메인 바디(10)는 상부에' ㅗ ' 자형 토출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토출구(4)(6)가 2개의 토출구를 포함할 경우, 빈 공간(S2)의 공기는 복수개 토출구(4)(6)의 두 방향과 틸팅 바디(40)가 안내하는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고, 메인 바디(10)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세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메인 바디(10)는 메인 바디(10)의 내부 상측 방향으로 송풍된 공기가 제1토출구(4)로 토출되는 제1토출유로를 갖을 수 있다. 메인 바디(10)는 메인 바디(10)의 내부 상측 방향으로 송풍된 공기가 제2토출구(6)로 토출되는 제2토출유로를 갖을 수 있다. 메인 바디(10)는 메인 바디(10)의 내부 상측 방향으로 송풍된 공기가 상부 개구부(8)를 통해 토출되는 제3토출유로를 갖을 수 있다.
메인 바디(10)의 빈 공간(S2)으로 유동된 공기는 복수개의 토출구(4)(6)로 분산되어 토출될 수 있다. 메인 바디(10)의 빈 공간(S2)으로 유동된 공기는 틸팅 바디(40)의 제2공기흡입구(42), 공간(S1), 제2공기토출구(44)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틸팅 바디(40)가 안내하는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상부 개구부(8)는 메인 바디(10)의 상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 개구부(8)는 상면 개방면(8A)이 하면 개방면(8B) 보다 클 수 있다. 상부 개구부(8)의 상면 개방면(8A)은 상측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고, 상부 개구부(8)의 하면 개방면(8B)은 복수개 토출구(4)(6) 사이의 빈 공간(S2)을 마주볼 수 있다. 복수개 토출구(4)(6) 사이의 빈 공간(S2) 으로 유동된 공기는 상부 개구부(8)의 하면 개방면(8B)을 통과하여 틸팅 바디(40)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메인 바디(10)는 가습청정기의 하중을 지지하는 베이스(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공기흡입구(2)는 베이스(12)에 형성될 수 있다. 제1공기흡입구(2)는 베이스(12)의 수평방향과 수직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2)는 가습청정기 외부의 공기가 가습청정기 내부로 흡입되는 흡입바디가 될 수 있다.
메인 바디(10)는 가습청정기의 둘레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14)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14)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14)는 상하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14)는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14)는 베이스(12)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베이스(12)와 별도로 형성된 후 베이스(12) 상측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공기토출구(4)(6)는 아우터 케이스(14)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공기토출구(4)(6)는 아우터 케이스(14)의 둘레를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14)는 일측에 제1토출구(4)가 개구 형성될 수 있고, 제1토출구(4)의 맞은편에 제2토출구(6)가 개구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14)는 상면에 개방면이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바디(10)는 상부 개구부(8)가 형성되고 틸팅 바디(40)의 틸팅을 안내하는 틸팅 가이드(16)를 포함한다. 상부 개구부(8)는 틸팅 가이드(16)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 개구부(8)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그 개구면적이 일정하지 않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개구부(8)는 상부로 갈수록 개구된 면적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틸팅 바디(40)와 틸팅 가이드(16) 중 어느 하나에는 안내돌기(41)가 돌출되고, 틸팅 바디(40)와 틸팅 가이드(16) 중 다른 하나에는 안내돌기(41)가 슬라이딩 안내되는 가이드 레일(17)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7)은 함몰 형성된 홈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7)은 안내돌기(41)를 안내하는 방향으로 일단과 타단 각각이 막힌 형상일 수 있고, 안내돌기(41)은 가이드 레일(17)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7)은 하부를 향해 볼록한 호 형상인 홈부일 수 있다.
메인 바디(10)는 가습유닛(30) 상단과 아우터 케이스(14) 사이를 막는 이너 가이드(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너 가이드(18)는 아우터 케이스(14)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18)는 아우터 케이스(14)의 내둘레와 가습유닛(30) 외둘레 사이의 공기가 가습유닛(30)으로 유동되게 둘 사이의 틈 상측을 막을 수 있다. 이너 가이드(18)에는 가습유닛(30)을 통과하면서 가습된 공기가 복수개 토출구(4)(6) 사이의 빈 공간(S2)으로 유동되기 위해 통과하는 이너 통공(18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18)에는 이너 통공(18A) 하측을 보호하는 이너 그릴(19)이 배치될 수 있다. 이너 그릴(19)은 이너 통공(18A)에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너 그릴(19)은 틸팅 바디(40)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이너 그릴(19)은 가습유닛(30)으로 물을 급수하는 급수통로가 될 수 있다.
제1팬(20)은 공기를 상향 흡인하여 메인 바디(10)의 내둘레면을 향해 송풍하는 원심팬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팬(20)은 아우터 케이스(14)의 내부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고, 아우터 케이스(14)의 내둘레면을 향해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제1팬(20)은 통로(11)에 배치된 모터(22)와; 모터(22)에 연결된 블로워(23)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로워(23)는 모터(22)의 회전축이 연결되는 허브(24)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로워(23)는 허브(24)에 배치된 복수개의 블레이드(25)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로워(23)는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연결하는 쉬라우드(26)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로워(23)는 수직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블로워(23)는 원심팬 특히 터보팬으로 구성될 수 있고, 하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원심 방향으로 송풍할 수 있고, 블로워(23)에서 원심방향으로 송풍된 공기는 메인 바디(10)의 내둘레에 안내될 수 있다. 제1팬(20)은 블로워(23)를 향해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27)를 포함할 수 있다. 오리피스(27)는 메인 바디(10) 특히 아우터 케이스(14)에 장착될 수 있다.
가습청정기는 메인 바디(10)의 내부에 설치된 에어 가이드(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 가이드(28)는 제1팬(20)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가습유닛(30)으로 안내하게 설치될 수 있다. 에어 가이드(28)는 아우터 케이스(14)의 내둘레에 형성된 돌기에 안착되고 가습유닛(30)이 장착되는 제1에어가이드(28A)와, 제1에어가이드(28A)에 설치되고 제1팬(20)의 모터(22)가 장착되는 제2에어 가이드(28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에어 가이드(28A)는 제1팬(20)에서 송풍된 공기가 통과하는 통공(28C)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에어 가이드(28B)는 제1에어 가이드(28A)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2에어 가이드(28B)는 아우터 케이스(14)의 내둘레와 이격될 수 있다.
가습청정기는 제1팬(20)을 향해 유동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유닛(2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정화유닛(29)은 통로(11)에 배치될 수 있다. 정화유닛(29)은 제1공기흡입구(2)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필터일 수 있다. 정화유닛(29)은 프리필터와, 헤파필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정화유닛(29)은 공기 유동방향으로 제1공기흡입구(2)와 제1팬(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정화유닛(29)은 베이스(1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가습유닛(30)은 통로(11)에 배치되고 물이 담겨지는 물통(32)과; 물통(30)에 배치되고 물통(30)의 물이 흡수되는 가습필터(34)를 포함할 수 있다.
물통(32)은 상면이 개방될 수 있다. 물통(32)은 가습필터(34)로 공급하기 위한 물이 담겨지는 물 수용체일 수 있다. 물통(32)은 복수개 토출구(4)(6) 사이의 빈 공간(S2)과 제1팬(20)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물통(32)은 복수개 토출구(4)(6) 사이의 빈 공간(S2)과 제1팬(20)의 사이에 위치하는 에어 가이드(28)에 안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물통(32)에는 물통(32) 외부의 공기가 물통(32)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통공(33)이 형성될 수 있다. 통공(33)은 물통(32)의 상부에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물통(32)은 외둘레면의 적어도 일부가 메인 바디(10)의 내둘레면과 이격될 수 있고, 제1팬(20)에서 송풍된 공기는 물통(32)과 메인 바디(10)의 내둘레면 사이를 통과한 후 통공(33)을 통과할 수 있고, 물통(32)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가습필터(34)는 물통(32)의 물을 흡수하여 함수하는 필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습필터(34)는 필터부재를 지지하는 필터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습필터(34)는 물통(32)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고, 일부가 물통(32)의 통공(33)을 마주볼 수 있다. 가습필터(34)는 중공 통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습필터(34)는 내부에 빈 필터 공간(S3)이 형성될 수 있다. 가습필터(34)의 필터 공간(S3)은 물이 물통(32)로 급수되는 급수통로가 될 수 있다. 가습필터(34)의 필터 공간(S3)은 적어도 일부가 복수개 토출구(4)(6) 사이의 빈 공간(S2)을 마주볼 수 있고, 물은 메인 바디(10)의 빈 공간(S2)과 가습필터(34)의 필터 공간(S3)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물통(32)의 내부에 담겨질 수 있다. 한편, 공기는 가습필터(34)의 외부에서 가습필터(34)를 투과하여 가습필터(34)의 필터 공간(S3)으로 유동될 수 있고, 이후 복수개 토출구(4)(6) 사이의 빈 공간(S2)로 유동될 수 있다.
틸팅 바디(40)는 메인 바디(10)의 상부에 틸팅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틸팅 바디(40)는 안내돌기(41)가 가이드 레일(17)의 중앙에 위치할 때, 공기를 상방향(U)으로 토출할 수 있다. 틸팅 바디(40)는 안내돌기(41)가 가이드 레일(17)의 일단에 가까울 경우 그 중심축이 경사지게 위치될 수 있고, 공기를 수직선에 대해 경사진 제1방향(V)으로 토출할 수 있다. 틸팅 바디(40)는 안내돌기(41)가 가이드 레일(17)의 타단에 가까울 경우 그 중심축이 경사지게 위치될 수 있고, 공기를 수직선에 대해 경사진 제2방향(W)으로 토출할 수 있다.
제2공기흡입구(42)는 틸팅 바디(40)에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공기흡입구(42)는 일부가 틸팅 가이드(16)를 마주볼 수 있고, 나머지가 빈 공간(S2)을 마주볼 수 있다. 제2공기흡입구(42)는 상부가 틸팅 가이드(16)를 마주볼 수 있다. 제2공기흡입구(42)는 하부가 빈 공간(S2)을 마주볼 수 있다.
틸팅 바디(40)는 하부가 빈 공간(S2)으로 돌출될 수 있다. 틸팅 바디(40)는 제2팬(50)의 정지시 공기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1공기토출구(4)(6)로 안내할 수 있고, 틸팅 바디(40) 중 빈 공간(S2)으로 돌출된 부분은 공기를 제1공기토출구(4)(6)로 안내하는 에어가이드부(G)로 기능할 수 있다. 즉, 틸팅 바디(40)는 복수개 토출구(4)(6) 사이에 위치된 에어가이드부(G)를 포함할 수 있다.
틸팅 바디(40)는 제2공기토출구(44)가 형성된 어퍼 바디(46)와, 어퍼 바디(46) 하측에 배치되고 제2공기흡입구(42)가 형성된 로어 바디(48)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바디(46)는 틸팅 바디(40)에 의해 안내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틸팅 토출 바디일 수 있다. 로어 바디(48)는 틸팅 바디(40)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틸팅 흡입 바디일 수 있다. 안내돌기(41)가 틸팅 바디(40)에 형성될 경우, 안내돌기(41)는 로어 바디(48)에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7)이 틸팅 바디(40)에 형성될 경우 가이드 레일(17)은 로어 바디(48)에 형성될 수 있다.
어퍼 바디(46)와 로어 바디(48) 사이에 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 어퍼 바디(46)와 로어 바디(48) 사이의 공간(S1)은 메인 바디(10)의 빈 공간(S2)에서 틸팅 바디(40)로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공간일 수 있다. 어퍼 바디(46)와 로어 바디(48) 사이의 공간(S1)은 후술하는 축류팬(56)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공간일 수 있다.
제2팬(50)은 로어 바디(48)에 설치된 모터 커버(52)와; 모터 커버(52)에 설치되고 공간(S1)에 블로워(54)가 회전 가능하게 위치된 축류팬(56)을 포함한다. 축류팬(56)은 공기를 상향 흡인하여 상측 방향으로 송풍할 수 있다. 축류팬(56)은 모터 커버(52)에 설치된 모터(55)와, 모터의 회전축(56)에 설치된 프로팰러 블로워(54)를 포함할 수 있다. 축류팬(56)은 모터(55) 주변을 둘러싸는 모터 하우징(5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바디(48)는 축류팬(56)이 관통되는 축류팬 관통공(49)이 형성될 수 있다. 축류팬(56)은 모터 하우징(57)이 축류팬 관통공(49)에 관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모터 커버(52)는 둘레면 적어도 일부가 제1공기토출구(4)(6)를 마주볼 수 있다. 모터 커버(52)는 하면이 하측 방향으로 볼록할 수 있다. 모터 커버(52)는 빈 공간(S2)으로 유입된 공기를 안내하는 이너 에어 가이드로 기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청정기 일실시예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청정기 일실시예의 제1팬이 구동이고 제2팬이 정지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청정기 일실시예의 제1팬이 구동이고 제2팬이 구동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청정기 일실시예의 제1팬이 구동이고 제2팬이 구동이며 틸팅 바디가 틸팅되었을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가습청정기는 가습청정기의 각종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80)와, 제1팬(20)과 제2팬(50)을 제어하는 제어부(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제1팬(20)과 제2팬(50) 중 제1팬(20)만을 구동시키는 제1모드와, 제1팬(20)과 제2팬(50)을 모두 구동시키는 제2모드를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입력부(80)는 제1팬(20)을 조작하는 제1팬 조작부와, 제2팬(50)을 조작하는 제2팬 조작부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제1팬 조작부를 조작하면, 제어부(90)는 제1팬(20)을 구동,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제2팬 조작부를 조작하면, 제어부(90)는 제2팬(50)을 구동,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입력부(80)는 제1모드를 입력할 수 있는 제1모드 입력부와, 제2모드를 입력할 수 있는 제2모드 입력부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제1모드 입력부와 제2모드 입력부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면, 제어부(90)는 입력된 모드에 따라 제1팬(20)과 제2팬(50)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제1모드시 가습청정기 내부에서 가습된 공기가 토출되는 경우로서, 제2팬(50)이 정지이고, 제1팬(20)의 구동시, 가습청정기 내부에서 정화됨과 아울러 가습된 공기(A)는 제1공기토출구(4)(6)을 통해 가습청정기의 주변으로 토출될 수 있다.
도 9는 제2모드시 가습청정기 내부에서 가습된 공기가 토출되는 경우로서, 제1팬(20)과 제2팬(50)의 모두 구동시, 가습청정기 내부에서 정화됨과 아울러 가습된 공기(A)는 틸팅 바디(40)를 통과하여 틸팅 바디(40)의 상측 방향(U)으로 토출될 수 있다.
도 10은 제2모드이고 틸팅 바디(50)가 틸팅된 상태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경우로서, 가습청정기 내부에서 정화됨과 아울러 가습된 공기(A)는 틸팅 바디(40)를 통과하여 상측 경사 방향(V)으로 풍향 조절되어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90)는 제1팬(20)이 정지이고, 제2팬(50)이 구동인 제3모드를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3모드시 실내의 공기는 제1공기토출구(4)(6)로 흡입되어 제2팬(50)을 통과한 후 외부로 토출될 수 있고, 제2팬(50)이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서큘레이터로 기능할 수 있다.
삭제
삭제

Claims (17)

  1. 내부에 공기가 상방향으로 통과하는 통로가 형성되며 하부에 형성되는 공기흡입구 및 상부에 수평하게 개방되는 바디 토출구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와;
    상기 통로에 배치되며 상기 공기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유닛과;
    상기 통로에 상기 정화 유닛보다 높게 배치되어 상기 정화유닛을 통과한 공기를 흡입하며, 상기 메인 바디의 내주면을 향해 원심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원심 팬과;
    상기 통로에 상기 원심팬 보다 높게 배치되는 가습유닛과;
    상기 가습유닛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가습유닛을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이너 통공이 형성되는 이너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가습유닛은,
    상면이 개방되고 외주면이 상기 메인 바디의 내주면과 이격되며, 상기 외주면에 상기 원심팬을 통과한 공기가 통과하는 통공이 형성된 물통과,
    상기 물통의 내부에 수용되고 일부가 상기 통공을 마주보는 가습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 가이드는, 상기 메인 바디의 내주면과 상기 물통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의 상측을 커버하여 상기 원심팬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물통의 외주면으로 가이드 하고,
    상기 이너 통공은, 상기 물통의 개방된 상면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바디 토출구를 통해 상기 물통으로 급수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 토출구와 연통되는 가습청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필터는 중공 통체 형상이고,
    상기 가습필터의 내부에는 물이 상기 물통으로 급수되는 급수통로를 형성하는 빈 공간이 형성되는 가습청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의 개방된 상면의 내경은, 상기 이너 통공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가습청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팬과 상기 물통의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원심팬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물통으로 안내하는 에어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 가이드에는, 상기 물통이 안착되는 물통 안착부가 형성되는 가습청정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가이드에는, 상기 원심팬을 통과한 공기가 통과하는 통공이 형성되는 가습청정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가이드의 통공은, 상기 물통 안착부보다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가습청정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가이드는, 상기 이너 통공에 설치되는 이너 그릴을 더 포함하는 가습청정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토출구는 상기 메인 바디의 측면을 따라 형성되며, 복수 개로 구비되는 가습청정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바디 토출구의 사이에는 상기 이너 통공과 마주보는 공간이 형성되는 가습청정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의 상측에 틸팅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방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 방향을 전환하는 틸팅 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틸팅 바디는 상기 공간의 상측에 위치하는 가습청정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 바디의 내부에는, 축류팬이 설치되고,
    상기 축류팬의 구동 시 상기 이너 통공을 통해 상기 공간으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축류팬으로 흡입되어 상방으로 토출되는 가습청정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 바디의 하부는 상기 공간으로 돌출되어 상기 축류팬의 정지 시 상기 이너 통공을 통해 배출된 공기를 상기 바디 토출구로 가이드 하도록 형성되는 가습청정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축류팬의 구동 시 상기 틸팅 바디의 틸팅에 따라, 공기는 직상방 또는 경사진 상방으로 토출되는 가습청정기.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통공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바디 토출구를 통해 수평하게 토출되는 제1토출유로 및 상기 틸팅 바디를 통해 상방으로 배출되는 제2토출유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토출되는 가습청정기.
  15. 공기흡입구가 형성된 베이스와;
    상부에 수평하게 개방되는 바디 토출구가 형성되는 아우터 케이스와;
    상기 공기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방향으로 공기를 송풍하며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내주면을 향하여 원심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원심팬과;
    상기 베이스와 상기 원심팬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유닛과;
    상기 원심팬의 상측에 상기 원심팬 보다 높게 배치되는 가습유닛과;
    상기 가습유닛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가습유닛을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이너 통공이 형성되는 이너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가습유닛은
    상면이 개방되고 외주면이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내주면과 이격되며, 상기 외주면에 상기 원심팬을 통과한 공기가 통과하는 통공이 형성되는 물통과,
    상기 물통의 내부에 수용되고 일부가 상기 통공을 마주보는 가습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 가이드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내주면과 상기 물통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의 상측을 커버하여 상기 원심팬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물통의 외주면으로 가이드 하고,
    상기 이너 통공은, 상기 물통의 개방된 상면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바디 토출구를 통해 상기 물통으로 급수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 토출구와 연통되는 가습청정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필터는 중공 통체 형상이고,
    상기 가습필터의 내부에는 물이 상기 물통으로 급수되는 급수통로를 형성하는 빈 공간이 형성되는 가습청정기.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에는, 상기 바디 토출구보다 상측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상부 개구부가 구비되고,
    상기 물통의 개방된 상면은 상기 상부 개구부를 상하 방향으로 마주보는 가습청정기.
KR1020170042958A 2014-07-25 2017-04-03 가습청정기 KR102267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958A KR102267542B1 (ko) 2014-07-25 2017-04-03 가습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996A KR102220214B1 (ko) 2014-07-25 2014-07-25 공기 청정기
KR1020170042958A KR102267542B1 (ko) 2014-07-25 2017-04-03 가습청정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4996A Division KR102220214B1 (ko) 2014-07-25 2014-07-25 공기 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0162A KR20170040162A (ko) 2017-04-12
KR102267542B1 true KR102267542B1 (ko) 2021-06-22

Family

ID=58580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2958A KR102267542B1 (ko) 2014-07-25 2017-04-03 가습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75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4374B1 (ko) * 2021-11-03 2023-10-27 (주)헤드라인 탁상용 공기청정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7327A (ja) * 2002-04-17 2003-10-31 Rabi:Kk 陰イオン発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6284A (ko) 2010-12-29 2012-07-0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가습 장치
KR20120113027A (ko) * 2011-04-04 2012-10-1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가습필터 및 가습필터를 구비한 가습장치
KR20120113028A (ko) * 2011-04-04 2012-10-1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가습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7327A (ja) * 2002-04-17 2003-10-31 Rabi:Kk 陰イオン発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0162A (ko) 2017-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0214B1 (ko) 공기 청정기
KR102425844B1 (ko) 청정기
KR102320677B1 (ko) 공기조화기
KR102069767B1 (ko) 공기청정기
KR20120076284A (ko) 가습 장치
JP2013535333A (ja) 壁掛け式の空気清浄機
KR102267526B1 (ko) 가습청정기
KR102361033B1 (ko) 가습공기 청정기
KR101916886B1 (ko) 가습기
KR20160034058A (ko) 공기조화기
KR102396592B1 (ko) 급속 순환 공기조화기
KR102267542B1 (ko) 가습청정기
KR102301589B1 (ko) 청정기
KR20180054193A (ko) 물을 이용한 에어 케어 장치가 구비된 주방후드
JP3984223B2 (ja) 加湿装置及び空気調和機
KR200421625Y1 (ko) 공기조화기의 가습장치
KR20190014348A (ko) 주방용 공기처리장치
KR100537738B1 (ko) 주방용 후드 및 이를 이용한 고층 공동주택의 환기 시스템
KR102552843B1 (ko) 공기조화장치
KR10263977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413580B1 (ko) 공기 가열에 의한 멸균 기능을 갖는 에어컨
KR102612823B1 (ko) 가습청정장치
KR102038280B1 (ko) 가습청정장치
JP2018124032A (ja) ミスト発生装置
KR102038278B1 (ko) 가습청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