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4193A - 물을 이용한 에어 케어 장치가 구비된 주방후드 - Google Patents

물을 이용한 에어 케어 장치가 구비된 주방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4193A
KR20180054193A KR1020160151825A KR20160151825A KR20180054193A KR 20180054193 A KR20180054193 A KR 20180054193A KR 1020160151825 A KR1020160151825 A KR 1020160151825A KR 20160151825 A KR20160151825 A KR 20160151825A KR 20180054193 A KR20180054193 A KR 20180054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ater
suction
spac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1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철
김원태
정의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1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4193A/ko
Publication of KR20180054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41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1Removing cooking fumes mounting of cooking ho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24F2003/161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케어 장치가 구비된 주방후드에는, 배기를 위한 공기 덕트,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팬 어셈블리, 조리기기에서 발생하는 오염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가이드가 기본적으로 구비되고, 실내의 천정부근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흡입부, 공기정화를 수행하는 에어 케어 장치, 정화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부가 형성됨으로써, 주방의 오염공기를 배기와 동시에 정화하여 다시 주방으로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물을 이용한 에어 케어 장치가 구비된 주방후드 {A kitchen hood equipped with air care apparatus using water}
본 발명은 물을 이용하여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는 에어 케어 장치가 구비된 주방후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염된 공기를 소용돌이치는 물에 강제로 흡입시켜 오염된 공기와 물의 효율적인 혼합을 통해 공기가 정화되는 에어 케어 장치가 구비된 주방후드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실내공기를 오염시키는 원인은 크게 실외 오염원과 실내 오염원으로 나눌 수 있다. 실외 오염원은 외부로부터 유입된 실외 공기에 포함되는 각종 미세먼지, 분진, 대기 오염물질 등이 있으며, 실내 오염원은 실내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 악취, 세균, 새집 증후군과 같이 내장재로부터 유출되는 각종 유해물질 등이 있다.
위와 같은 오염원에 의하여 실내 공기의 오염도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환기를 통하여 실내에 신선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하고 관리해야 한다.
그러나, 최근 미세 먼지 증가, 대기 오염, 냉방, 난방 등의 이유로 출입문과 창문을 닫아 실내를 밀폐하는 생활이 잦아지고 있으므로 실내 공기가 오염되기 쉬운 환경에 노출되어 있다.
특히, 주방 공간은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증기, 악취, 열기 등의 원인으로 실내 공기 오염도가 다른 실내공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욱 높다. 이에 주방 공간의 실내 공기(이하, ‘주방 공기’ 라고 한다.)를 정화하기 위한 여러 종류의 제품이 공개되어 있다. 예를 들어, 공기청정기, 레인지 후드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종래 제품은 주방의 어느 한 곳에 배치되어 국소적인 장소의 공기정화 및 환기를 이룬다.
주방용 후드는 조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기 및 냄새 등으로 높아지는 주방 공기의 오염도를 낮추기 위해서,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킨다. 그러나, 조리과정에서 사방으로 배출되는 오염물질들은 상기 주방용 후드의 흡입 팬으로 전부 흡입되지 않고, 일부는 공기 중에 확산되어 주방 및 다른 실내공간에 퍼지게 된다. 이에 의하여, 주방 공기뿐만 아니라 건축물 내부 공간의 오염도가 증가할 수 있다.
한편, 종래 공기청정기는 활성탄소, 미세공 부직포, 고체 또는 액체의 중화제 등을 이용한 필터를 사용하여 공기를 정화시킨다. 하지만, 상기의 종래 공기청정기 필터는 연기, 냄새 등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주방 공기를 케어(care)하기에 부적합하다. 상세히, 종래 필터는 지속적으로 필터를 교체해야 하므로 관리 및 효율성 면에서 주방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로 부적합하며, 비경제적이다.
최근 연기, 냄새, 먼지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또 다른 방식의 필터로 물을 이용하는 기술이 공개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문헌 정보는 아래와 같다.
1. 공개번호: 20-2009-0007597 (공개일자: 2009.07.28. )
발명의 명칭: 물 필터 후드
상기 선행문헌에 공개된 종래 기술은 송풍기를 장착한 밀폐된 물통에 물을 담고 여기에 구멍이 뚫린 납작한 원통을 잠기게 한 다음 상기 원통에 배관을 연결하여 공기 중의 이물질을 흡입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은 수조 안의 고여있는 물에 오염된 공기를 접촉시키는 경우, 오염된 공기와 물 상호간의 접촉 면적이 적으므로 정화 능력이 떨어진다. 또한, 공기 정화가 끝난 후 오염된 수조 안의 물은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교체해 주어야 하고, 세균 번식을 막기 위해 수조의 청소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므로 유지 관리 및 사용자 편의성이 크게 떨어진다.
이와 관련하여 또 다른 종래 기술에는, 흡입되는 오염된 공기에 물을 분무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방식이 존재한다. 그러나 상기 분무 방식은 흡입되는 공기의 양이 늘어나는 경우 정화 능력이 급격히 떨어지며, 오염된 공기와 물이 골고루 혼합되지 않아 먼지등에 대한 여과 효율이 낮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 오염원에 의한 실내 공기 오염도의 증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에어 케어 장치가 구비된 주방후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방 및 다른 실내 공간으로 확산되는 오염 공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주방 공기를 집중적, 종합적으로 정화할 수 있는 에어 케어 장치가 구비된 주방후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방에서 발생하는 오염 공기에 포함된 냄새 등으로 인하여 겨울철과 같은 추운 날씨에 실내 공간을 장시간의 환기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에어 케어 장치가 구비된 주방후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방 공간은 물을 공급하는 상수도관 및 쓰여진 오수를 배출하는 하수관이 설치되는 공간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주방 환경에 설치가 적합한 에어 케어 장치가 구비된 주방후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여 있는 물에 오염된 공기가 접촉되어 공기와 물의 상호간 접촉면적이 적어 공기 정화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에어 케어 장치가 구비된 주방후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직접 사용된 물을 버리고 깨끗한 물을 채워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없는 에어 케어 장치가 구비된 주방후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방 공간에 별도의 공기 청정기, 제습기 등의 제품을 설치하여 공간활용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에어 케어 장치가 구비된 주방후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방의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배기능력이 강화된 주방후드 제시하며, 공기정화와 배기동작을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에어 케어 장치가 구비된 주방후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케어 장치가 구비된 주방후드에는, 공기 정화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에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관과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관이 연결되고, 상기 본체 내부에는 물을 회전시킬 수 있는 블레이드와 물 속으로 오염공기를 토출시키는 급기관을 구비함으로써, 실내 오염원을 정화하여 실내 공기 오염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케어 장치가 구비된 주방후드에는, 배기를 위한 공기 덕트,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팬 어셈블리, 조리기기에서 발생하는 오염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가이드가 기본적으로 구비되고, 실내의 천정부근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흡입부, 공기정화를 수행하는 에어 케어 장치, 정화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부가 형성됨으로써, 주방의 오염공기를 배기와 동시에 정화하여 다시 주방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주방에 별도의 공기청정기, 제습기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에어 케어 장치가 주방에 설치되는 주방후드와 일체로 구비되기 때문에 주방 공기를 종합적, 집중적으로 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케어 장치가 구비된 주방후드에는, 급수장치와 연결되어 정화공간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 배수장치와 연결되어 정화공간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관을 구비되며, 상기 급수장치와 배수장치는 주방에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상수도관과 하수도관이므로 주방 환경에 설치가 매우 용이하며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케어 장치가 구비된 주방후드에는, 가이드배관과 배기관을 연결하는 제 1 연결유로, 배기관과 토출부를 연결하는 제 2 연결유로, 제 1 연결유로에 설치되는 제 1 밸브와 제 2 연결유로에 설치되는 제 2 밸브가 구비됨으로써, 주방의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배기능력을 강화시킬 수 있고, 공기정화와 배기동작을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오염 공기에 포함된 냄새 등으로 인하여 겨울철과 같은 추운 날씨에 실내 공간을 장시간의 환기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케어 장치가 구비된 주방후드에는, 후드케이싱 내부에 정화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가 위치하며, 상기 정화공간에 회정 가능하게 설치되는 블레이드가 구비되어 정화공간으로 급수된 물을 회전시켜 소용돌이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소용돌이 물 속으로 급기관이 삽입되어 오염공기를 토출시키기 때문에, 고여 있는 물에 오염된 공기가 접촉되어 공기와 물의 상호간 접촉면적이 적어 공기 정화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케어 장치가 구비된 주방후드에는, 케이스에 연결되는 급수관과 배수관에 의해 사용하는 물을 상시 공급하고 배수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직접 사용된 물을 버리고 깨끗한 물을 채워주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된 공기를 배기함으로써 쾌적한 실내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물을 이용하여 공기를 정화함으로써 신속하게 수용성 냄새를 제거 할 수 있다. 따라서, 주방 공기 질을 신속하게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급수와 배수가 용이한 제품과 에어 케어 장치가 일체로 설치되므로, 주방 공간에 존재하는 오염된 공기를 종합적이고 집중적으로 정화할 수 있기 때문에 쾌적한 주방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의 급수관 및 배수관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별도의 청소를 할 필요가 없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에어 케어 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은 회전하며 소용돌이를 형성하고 그 소용돌이 안에 오염된 공기를 공급하여 정화함으로써, 오염된 공기와 물의 접촉면적이 늘어나고 혼합이 골고루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정화 능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염된 공기와 물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고 상호 혼합을 용이하게 하므로 오염 물질을 여과하는 능력을 상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별도의 공기청정기, 제습기, 에어컨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주방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주방 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에어 케어 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선택성, 부가성 및 편의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연결유로와 제 2 연결유로에 설치된 복수의 밸브를 조작함으로써, 주방후드의 배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동시에 선택적으로 주방 공기의 배기 또는 정화를 이를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케어 장치가 구비된 주방후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케어 장치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케어 장치의 본체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A-A'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케어 장치의 공기 정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케어 장치가 구비된 주방후드의 제 1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케어 장치가 구비된 주방후드의 제 2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케어 장치가 구비된 주방후드의 제 3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케어 장치가 구비된 주방후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에어 케어 장치가 구비된 후드(500)는, 오염 공기의 원활한 배기가 필요한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후드(500)는 주방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드(500)는 주방후드라 이름할 수 있다.
주방에는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기기(50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조리기기(505)에 의해서 음식물이 조리되는 과정에서 조리기기(505) 주변의 공기가 오염될 수 있다. 이렇게 오염된 공기는 주변의 다른 공기에 비하여 온도가 높으므로 상기 조리기기(505)의 상방으로 상승하게 된다.
만약, 오염 공기가 상승하여 조리기기(505)가 놓인 주방에서 정체되어 있는 경우, 주방의 쾌적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오염 공기에 포함된 냄새가 주방에 배어 장시간의 환기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리기기(505)에 의해서 음식물이 조리되는 과정에서 발생된 오염 공기를 주방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후드(500)는 상기 조리기기(505)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505)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주방의 벽과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리기기(505)에 의해서 음식물이 조리되는 과정에서 발생된 오염 공기를 효과적으로 배기하기 위하여, 상기 후드(500)는 주방의 벽(W)에 설치되거나 상기 주방의 벽(W)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주방의 구조에 따라서, 상기 후드(50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수납장이 존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주방의 벽(W) 또는 수납장의 벽을 통칭하여 "벽"이라 이름하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후드(500)는, 흡입된 오염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하는 후드 케이싱(510, 5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드 케이싱(510, 512)은, 상기 조리기기(505)의 상방으로 유동하는 오염 공기의 상승을 차단하고, 상기 후드 케이싱 내부로 오염 공기로 흡입되도록 하기 위한 흡입 가이드(510)와, 상기 흡입 가이드(510)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공기 덕트(5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오염 공기의 차단 효과가 크도록 상기 공기 덕트(512)의 수평 단면적 보다 상기 흡입 가이드(510)의 수평 단면적이 클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후드(500)를 기준으로, 조리기기(505)를 향하는 방향을 하방, 실내 천장을 향하는 방향을 상방, 벽(W)을 향하는 방향을 후방, 사용자가 조리기기를 사용하기 위해 위치하는 실내방향을 전방으로 방향 기준을 설정한다.
상기 흡입 가이드(510)의 하면에는 개구된 흡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흡입구는 조리기기(505)의 상방에서 마주보도록 대응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흡입구는 오염 공기가 상기 후드케이싱 내부로 흡입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오염공기는 상기 공기 덕트(512)를 거쳐 외부로 배기된다.
상기 흡입가이드(510)는 와류를 형성하기 위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는 유동홀(미도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 가이드(510)의 유동홀은 상기 조리기기(505)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 덕트(512)는 상기 흡입가이드(510)로 흡입되는 오염 공기를 실외로 배기되도록 안내하는 유로를 제공한다.
상기 후드(500)는, 오염 공기의 흡입을 위한 흡입팬 어셈블리(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팬 어셈블리(520)는 후드케이싱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구로 오염 공기가 흡입되도록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흡입팬 어셈블리(520)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공기 덕트(512)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팬 어셈블리(520)는, 흡입팬(미도시)과, 상기 흡입팬을 회전시키기 위한 흡입 모터(미도시)와, 상기 흡입팬을 수용하며 상기 흡입팬의 회전 시 공기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팬 하우징(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팬 어셈블리(520)의 흡입팬이 동작함으로써, 상기 흡입가이드(510)로 실내의 오염공기가 흡입될 수 있으며, 흡입된 오염공기는 공기덕트(512)를 통과하여 실외 공간으로 배기할 수 있다.
상기 후드(500)는, 상기 후드(500)의 하방에서 와류를 형성하기 위한 와류 형성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류 형성장치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흡입 가이드(51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와류 형성장치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스월러(swirler)와, 상기 스월러의 회전 과정에서 유동하는 공기를 하방으로 안내하는 유동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는 상기 스월러가 위치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후드(500)는 흡입되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흡입 필터(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 필터(540)는 일례로, 사각형의 그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흡입 가이드(5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 필터(540)는 헤파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 가이드(510)에는 상기 흡입 필터(54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입 필터(540)는 오염 공기가 통과하는 제1필터부(미도시)와, 와류를 형성하기 위한 공기가 통과하는 제2필터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드(500)는 천장 근처의 오염된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560), 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키는 토출부(570), 흡입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에어 케어 장치(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에어 케어 장치(1)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케어 장치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케어 장치(1)는 물을 이용하여 공기 정화 동작을 수행하는 본체(10),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본체에 공급하는 급기부(60), 본체(10)에서 정화된 공기를 장치의 외부로 토출시키는 배기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물을 담을 수 있고 오염된 공기를 유입하여 공기 정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는 공기 정화 동작을 수행하는 내부 공간을 둘러싸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구형(sphere), 육면체형(hexahedron)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본체(10)는 상면과 하면이 서로 평행하고 합동인 원으로 이루어진 원기둥(cylinder) 형상으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외형이 원기둥 형상인 경우, 후술할 공기 정화 동작에서 물의 회전을 효율적이고 용이하게 발생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본체(10)가 원기둥 형상인 것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본체(10)는 다른 표현으로 본체부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외관의 일 면을 형성하는 상판(11), 상기 상판(11)으로부터 대칭되도록 이격 배치되어 외관의 다른 일 면을 형성하는 하판(12), 상기 상판(11)의 둘레에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판(12)의 둘레와 연결되는 케이스(13,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3,16)에 의하여, 상기 본체(10)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판(11)과 하판(12)의 둘레부는 상기 케이스(13,16)와 맞닿아 모서리를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13,16)는 외관의 둘레 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판(11)은 외관의 상부 면을 형성하며, 상기 하판(12)은 외관의 하부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11)과 하판(12)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13,16)는 상기 상판(11)의 원주로부터 상기 하판(12)의 원주까지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외기와 연통하는 급기부(60) 및 배기부(70)와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급기부(60) 및 배기부(70)는 상기 상판(11)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급기부(60)와 연결할 수 있고, 내부의 정화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상기 배기부(70)와 연결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본체(10)의 내부공간은, 에어 케어 장치(1)의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본체(10)로 급기시키는 급기부(60) 및 상기 본체(10)를 통하여 정화된 깨끗한 공기를 장치의 외부 공간으로 토출시키는 배기부(7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내부가 보이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본체(10)는 강화 유리 등의 투명 재질로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내부가 보이는 경우, 사용자는 장치의 작동을 확인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고장이 발생한 경우 수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상기 급기부(60)는 외부의 공기, 즉, 상기 에어 케어 장치(1)가 설치된 실내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68), 상기 흡입구(68)로부터 흡입된 공기의 통로를 제공하는 흡입관(66),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팬(67), 흡입된 공기를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공급하기 위한 유동경로를 제공하는 급기관(6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팬(67)은 에어 케어 장치(1)의 외부의 오염된 공기를 상기 흡입구(68)를 통해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력을 제공한다. 일례로, 상기 흡입팬(67)은 상기 흡입관(66)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관(66)으로 외부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시킬 수 있다.
상기 흡입관(66)의 일단은 상기 흡입구(68)와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급기관(61)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68)를 통해 흡입된 외부의 오염 공기는 상기 흡입관(66)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상기 흡입관(66)은 흡입된 오염된 공기 유동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유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흡입관(66)은 절곡, 연장 등의 변형을 이루어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흡입관(66)으로 흡입된 외부의 오염 공기를 ‘흡입 공기’라 이름한다.
상기 흡입구(68)는 상기 흡입관(66)의 일 단부가 개방되는 것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흡입관(66)과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흡입구(68)는 외부의 오염된 공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흡입구(68)는 상기 흡입관(6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상기 흡입관(60)의 단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흡입구(68)는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이 상기 흡입관(66)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1차적으로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는 그릴의 형태로 형성되거나, 상기 그릴을 흡입구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관(66)에는 상기 흡입구(68)를 통과한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이 2차적으로 여과될 수 있도록 공기 필터가 더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공기 필터는 그물 망의 형태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공기 필터는 헤파 필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68)와 흡입관(66)을 통과한 흡입 공기는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급기관(61)의 일단은 상기 본체(10)와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흡입관(66)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기관(61)의 일단은 상기 본체(10)를 관통하여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 공기는 상기 흡입관(66)에서 상기 급기관(61)으로 유동하고, 상기 급기관(61)을 통해 상기 본체(10)로 유입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급기관(61)과 흡입관(66)은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배관을 통하여,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에 상기 급기관(61)이 연결 또는 관통되는 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보다 효율적인 급기 및 공기 정화를 위하여 상기 급기관(61)은 상기 상판(11)의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 이다. 일례로, 상기 상판(11)이 원형인 경우, 상기 급기관(61)은 상기 원형 상판(11)의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하판(12)의 방향으로 길게 연장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급기관(61)은 흡입공기를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존재하는 물 속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급기부(60)는 상기 본체(10)로 급기되는 흡입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급기 밸브(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기 밸브(65)는 상기 급기관(61)에 설치할 수 있으며, 밸브의 개폐 동작을 통하여 급기되는 흡입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급기 밸브(65)는 전자 밸브(solenoid valve)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전자 밸브를 통하여 원격 조작이나 자동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급기부(60)는 흡입 공기를 상기 본체(10)로 보다 효과적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힘을 제공하는 급기 펌프(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팬(67)이 제공하는 흡입력만으로는, 후술할 공기정화 과정에서 물속에 공기를 넣어주는 힘(이하, ‘급기력’이라 한다.)이 부족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급기력이 부족한 경우,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기 때문에 이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급기 펌프(63)를 설치하여 상기 급기관(61)을 따라 유동하는 외기에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급기 펌프(63)는 상기 급기관(61)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급기 펌프(63)는 상기 흡입공기가 본체(10)의 내부공간에 존재하는 물 속으로 토출하도록 토출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기 펌프(63)는 상기 급기관(61)과 흡입관(66)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 공기가 연통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흡입 공기는, 상기 흡입관(66)을 통해 상기 급기 펌프(63)로 유입된 후, 상기 급기 펌프(63)로부터 급기력을 제공받아 상기 급기관(61)으로 토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급기펌프(63)의 입구단에는 흡입관(66)이 연결되며, 출구단에는 급기관(61)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기펌프(63)의 동작을 통하여, 상기 급기관(61)으로 유동하는 공기에 압력을 가해 줄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급기관(61)을 따라 본체(10) 내부로 토출되는 흡입 공기는 충분한 힘을 받아 물속에 급기될 수 있다.
한편, 급기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으로, 상기 흡입팬(67)이 흡입할 수 있는 유동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모터 등의 스펙을 상향하여 설치하는 방법도 있다. 이 경우, 유동량 증가에 따라 상기 급기력을 더욱 강화시킬 수도 있다.
상기 배기부(70)는 정화된 공기의 배기 통로를 제공하는 배기관(71)과 정화된 공기가 배기관을 유동하여 장치의 외부 공간으로 토출되도록 출구를 형성하는 배기구(7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기관(71)은 상기 본체(10)에서 정화과정을 마친 공기를 유입하여 장치의 외부 공간, 예를 들어, 상기 에어 케어 장치(1)가 설치된 실내 공간으로 배기할 수 있도록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관(71)은 케이스와 연결되어 케이스 내부 공간의 물 속을 통과한 공기가 배기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배기관(71)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배기관(71)은 절곡, 연장 등의 변형을 이루어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배기관(71)의 일단은 상기 배기구(78)와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본체(10) 내부의 정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와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관(71)은 상기 본체(10)를 관통하여 본체의 내부공간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에 상기 배기관(71)이 연결 또는 관통되는 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후술할 공기 정화 과정으로 정화된 공기는 상기 배기관(71)에 유입되어 자연 배기하므로, 연결 또는 관통지점은 상기 상판(11)에 형성되어야 바람직할 것이다. 일례로, 상기 배기관(71)은 상기 상판(11)의 일 지점을 관통하여 상기 하판(12)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배기구(78)는 상기 배기관(71)의 일 단부가 개방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배기관(71)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배기구(78)는 정화된 공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토출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배기구(78)는 상기 배기관(7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상기 배기관(71)의 단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배기부(70)는 배기 밸브(미도시) 또는 배기 도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기 밸브는 개폐 동작을 통해 장치의 외부 공간으로 배기되는 정화된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배기 밸브는 전자 밸브(solenoid valve)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전자 밸브를 통하여 원격조작이나 자동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배기 도움수단은 배기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배기관 내측에 배기팬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배기팬의 동작으로 본체 내부에 존재하는 정화된 공기의 유입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정화된 공기의 유입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배기팬의 설치는 상기 배기관(71)으로 정화된 공기의 유입을 용이하게 하며, 장치의 외부 공간으로의 배기를 수월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에어 케어 장치(1)는 본체(1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40)와 본체(10)내부의 물을 배출하는 배수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40)는 급수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상기 본체(10)로 유동하도록 유로를 제공하는 급수관(41)과 급수량을 조절하기 위한 급수 밸브(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관(41)의 일단은 물을 공급하는 급수 장치(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급수관(41)의 타단은 상기 본체(1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장치(미도시)는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장치로 이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급수 장치는 압력 펌프, 저수조, 컴프레서, 수도관 등으로 구성되어 가정마다 상시 물을 제공할 수 있는 상수도 시설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가정에 지하수를 상시 제공할 수 있는 지하수 시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급수관(41)은 지하수 또는 상수도 시설의 수도관과 연결되어 상시 물을 상기 본체(10)로 유동시킬 수 있다.
상기 급수 밸브(45)는 상기 급수관(41)에 설치되어 상기 급수 장치로부터 유입되어 급수관을 유동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급수 밸브(45)의 개폐동작에 따라 상기 본체(10)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급수 밸브(45)는 전자 밸브(solenoid valve)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전자 밸브를 통하여 원격조작이나 자동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 밸브(45)는 후술할 수위 센서(14)와 연동되어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에 상기 급수관(41)이 연결되는 지점인 급수 연결 지점은 제한이 없다. 다만, 물이 중력을 받아 상기 본체(10)로 용이하게 급수될 수 있는 상기 상판(11)에 상기 급수 연결지점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일례로, 상기 급수관(41)은 상기 상판(11)의 일 지점과 연결 또는 관통되어 물을 상기 본체(10)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급수관(41)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으로 물이 유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즉, 상기 급수관(41)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은 후술할 정화공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배수부(50)는 물을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10)로부터 배수 장치로 유로를 제공하는 배수관(51)과 배수량을 조절하기 위한 배수 밸브(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관(51)은 일단은 물을 배출하는 배수 장치(미도시)와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본체(1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수관(51)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의 물이 외부로 유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즉, 상기 배수관(51)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존재하는 물을 배출하는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배수 장치는 물을 배출할 수 있는 장치로 이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배수 장치는 가정에서 사용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하수관 등을 구비하는 하수 시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수관(51)은 상기 하수 시설의 하수관과 연결되어 상시 물을 상기 본체(10)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상기 배수 밸브(55)는 상기 배수관(51)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 장치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수 밸브(55)의 개폐 동작에 따라 상기 본체(10)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배수 밸브(55)는 전자 밸브(solenoid valve)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전자 밸브를 통하여 원격조작이나 자동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에 상기 배수관(51)이 연결되는 지점인 배수 연결 지점은 제한이 없다. 다만, 물이 중력을 받아 상기 본체(10)로부터 용이하게 배출되기 위해서는 상기 하판(12) 또는 후술할 하부 케이스(16)에 상기 배수 연결 지점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일례로, 상기 배수관(51)은 상기 하판(12)의 일 지점과 연결 및/또는 관통되어 상기 본체(10)내부로부터 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관(51)은 상기 하부 케이스(16)의 일 지점과 연결 및/또는 관통되어 상기 본체(10) 내부로부터 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에어 케어 장치(1)는, 상기 급기부(60), 배기부(70), 급수부(40), 배수부(50) 및 본체부(10)의 동작을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작부와, 동작 정보 또는 환경 정보 등을 알려주는 표시부,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 케어 장치(1)가 자동 알고리즘을 통하여 사용자의 관여가 없이 상기 급기부(60), 배기부(70), 급수부(40), 배수부(50) 및 회전부, 구동부, 수위센서 등을 구비하는 본체부(10)룰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관여도를 낮추므로 편의성이 향상되며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가 원하는 공기 청정 모드, 습도 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를 조작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공기 청정 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에어 케어 장치(1)가 설치된 공간의 현재 공기 질과 사용자가 설정한 공기 질을 비교하여 상기 에어 케어 장치(1)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설정한 공기 질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표시부는 사용자의 선택 및 정화 정도 등을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 편의성 및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조작부 및 표시부는 상기 후드(500)를 조작하는 조작부 및 표시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후드(500)의 작동상태와 에어 케어 장치(1)의 작동상태를 함께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필요한 입력을 조작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케어 장치의 본체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A-A’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10)는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판인 베이스(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5)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상기 하판(12)으로부터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이격되어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5)는, 급수되는 물을 담아 공기 정화 과정이 수행되도록 하는 정화공간(18)의 바닥, 또는 수조의 밑바닥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5)는 배수관(51)으로 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개방된 구멍인 배수 입구(53)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배수 입구(53)는 상기 배수관(51)의 일 단부와 상기 베이스(15)가 연결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수 입구(53)는 물의 배출 통로인 상기 배수관(51)으로 상기 본체(10)내부에 존재하는 물이 유입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5)에 상기 배수 입구(53)가 형성되는 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다. 일례로, 상기 배수 입구(53)는 공기 정화 과정에서 물의 용이한 회전 유동을 위해 상기 베이스(15)의 중심으로부터 최대한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수관(51)은 상기 하판(12) 및/또는 하부 케이스(16)의 일 지점을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15)에 형성된 상기 배수 입구(53)와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3,16)는 상기 베이스(15)에 의해 구획된 일 공간을 둘러싸는 상부 케이스(13)와 나머지 공간을 둘러싸는 하부 케이스(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3)는 상기 베이스(15)의 상측 공간을 둘러싸며, 하부 케이스(16)는 상기 베이스(15)의 하측 공간을 둘러싸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상부 케이스(13)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 하부케이스(16)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5)에 의해 구획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13)에 의해 둘러싸이는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은 정화공간(18)으로 이름하며, 상기 하부케이스(16)에 의해 둘러싸이는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은 설치 공간(19)으로 이름한다. 즉, 상기 정화공간(18)은 상기 상판(11), 상부 케이스(13) 및 베이스(15)가 형성하는 공간을 의미하며, 상기 설치 공간(19)은 상기 베이스(15), 하부 케이스(16) 및 하판(12)이 형성하는 공간을 의미한다.
상기 설치 공간(19)은 모터 등의 부품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정화 공간(18)은 물과 공기가 혼합되어 공기정화를 이루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정화공간(18)에서는 후술할 공기 정화 과정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화공간(18)은 급수부(40)를 통해 물이 유입되어 채워지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10)는 상기 정화공간(18)을 통하여 물을 담을 수 있고,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정화 공간(18)에 채워진 물은 상기 배수부(50)를 통해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정화 공간(18)을 둘러싸는 상기 상부 케이스(13) 및 베이스(15)의 상면은 물을 담을 수 있는 수조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정화 공간(18)은 상기 설치 공간(19)보다 부피가 크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치 공간(19)은 상기 정화 공간(19)의 아래에 형성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상판(11) 또는 상부 케이스(13)에는, 상기 급수관(41)과 연결되어 상기 정화 공간(18)으로 물을 유입하기 위한 개구된 급수 출구(4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출구(43)는 상기 급수관(41)의 일 단부와 상기 본체(10)가 연결되는 연결위치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급수 출구(43)를 통해 상기 급수관(41)을 따라 유동한 물은 상기 정화 공간(18)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급수된 물의 회전을 발생시키는 회전부(20)와 상기 회전부(20)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동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0)는 상기 하판(12)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설치 공간(19)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0)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35)와 상기 모터(35)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회전부(20)에 전달하는 구동축(3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축(36)은 상기 베이스(15)를 관통하여 상기 회전부(20)와 연결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모터(35)와 연결되는 구동축(36)은 상기 베이스(15)에 수직으로 상기 베이스(15)의 중심을 관통하여 회전부(20)와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20)의 회전으로 형성되는 원의 중심(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회전 원의 중심’이라 한다)은, 상기 구동축(36)의 축 방향으로 그어지는 가상의 연장 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5)의 중심을 관통한 상기 구동축(36)은 상기 회전부(20)와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회전부(20)는 상기 모터(25)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정화 공간(18)에 급수된 물은 회전부(20)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 유동을 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0)는 모터 계측 장치(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측 장치(38)는 상기 에어 케어 장치(1)의 제어부와 연동되어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조작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계측 장치(38)는 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이머는 모터(35)가 작동하는 시간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일정 시간이 흐른 뒤 상기 제어부로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모터(35)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부(30)는, 상기 베이스(15)를 관통하는 구동축(36)에 의해 상기 정화 공간(18)에 존재하는 물이 상기 구동부(30)로 유입되어 영향을 주거나, 상기 설치 공간(19)에 새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링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20)는 상기 구동축(36)과 결합하여 회전하는 블레이드(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21)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21)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급수되는 물을 회전시켜 소용돌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2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수 개로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블레이드(21)는 3개의 블레이드로 베이스(15)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21)는 상호간에 일정한 각도를 이루어 방사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21)는 하나의 공통되는 중심 축에서부터 상호 중첩되지 않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나의 공통되는 중심 축은 상기 회전 원의 중심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의 공통되는 중심 축은 상기 구동축(36)과 상기 회전부(20)가 연결되는 위치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21)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제한 없이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블레이드(21)는 급수된 물에 회전을 일으켜 소용돌이를 발생시켜야 하므로 소용돌이가 잘 일어나기 위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블레이드(21)는, 상기 구동축(36)과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15)와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 날개(22)와, 상기 수평 날개(22)로부터 일정 경사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는 경사 날개(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 날개(23)와 상기 수평 날개(22)가 이루는 경사의 각도는 제한이 없으나, 상판(11)을 향하는 상방으로 경사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경사 날개(23)는 상기 수평 날개(22)에서 상기 베이스(15)의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수평날개(22)와 일정 각도를 이루는 경사를 갖도록 연장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경사날개(23)는 상기 수평 날개(22)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21)가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수평날개(22)의 중심에는 구동축(36)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수평날개(22)가 이루는 중심은 상기 블레이드(21)가 형성하는 중심과 동일하므로, 상기 중심 위치에 상기 구동축(36)이 연결되어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21)의 회전운동 통하여, 상기 급수부(40)로부터 유입된 물은 회전하며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상기 급수부(40)로부터 유입된 물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수위센서(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위센서(14)는 상부케이스(13)의 일 측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수위센서(14)는 상기 급수 밸브(45)와 연동되어, 상기 정화 공간(18)에 유입되는 물이 일정 수위에 도달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급수 밸브(45)를 자동으로 닫아 물의 유입을 막을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급기관(61)은 상기 본체(10)에 연결 및/또는 관통하여 형성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상기 급기관(61)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급기관(61)은 상기 본체(10)의 중심 축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급기관(61)은 상기 상판(11)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10)의 중심 축 선상을 따라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어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급기관(61)은 상기 상부케이스(13)의 중심 축을 따라 정화공간(18)으로 삽입 연장되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기관(61)은 블레이드(21)의 회전으로 형성되는 회전 원의 중심을 향하여, 상기 정화 공간(18)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회전원의 중심, 즉, 회전부(20)의 회전이 만드는 원의 중심은 복수 개의 블레이드(21)가 이루는 중심 축에 위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급기관(61)은, 상기 상판(11)의 중심과 상기 블레이드(21)의 회전으로 만드는 회전 원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연장선을 중심 축으로 하여, 상기 가상의 연장선을 따라 상기 베이스(15)가 형성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급기관(61)은 상기 회전 원의 중심 또는 복수개의 블레이드가 이루는 중심축의 상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일정 거리 떨어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급기관(61)이 상기 블레이드(21)의 중심축의 상단부로부터 이격되는 일 지점까지만 연장되도록 형성하는 이유는, 상기 흡입공기가 물 속으로 급기될 때 토출을 위한 일정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상기 정화공간(18)에 채워진 물 속으로 상기 흡입 공기를 토출하는 급기관(61)의 개구된 일 단부가 상기 회전부(20)와 맞닿도록 형성되면, 흡입공기의 토출 유로가 막히므로 이를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급기관(61)의 개구된 일 단부는 상기 블레이드(21)가 이루는 중심 축의 상단부로부터 이격되어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후술할 급기관(61)의 급기출구(63)는 블레이드(21)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21)가 이루는 중심 축의 상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는 일 지점은, 상기 가상의 연장선과 상기 블레이드(21)가 만나는 교차점으로부터 상기 상판(10)방향으로 이격되는 일 지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급기관(61)은 상기 본체(10)의 중심축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회전부(20)와 맞닿지 않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본체(10)가 원기둥 형상인 경우, 상기 급기관(61)은 원기둥의 중심축을 따라 상기 정화 공간(18)에 연장되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정화 공간(18)으로 연장되는 급기관(61)의 연장 길이는 다양한 길이로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최소한의 연장 길이는, 바람직한 공기 정화 과정을 위해, 상기 급기관(61)이 정화공간(18)에 채워진 물 속으로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는 지점까지의 길이가 될 것이다.
상기 급기관(61)은 상기 흡입 공기를 상기 정화 공간(18)으로 토출하는 급기 출구(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기 출구(63)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급기 출구(63)는 상기 정화 공간(18)으로 연장된 상기 급기관(61)의 개구된 일 단부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급기 출구(63)는 상기 회전부(20)로부터 상방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급기 출구(63)는 상기 블레이드(21)가 이루는 중심 축의 상단부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급기 출구(63)는 상기 베이스(15)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급기 출구(63)는 상기 회전부(20)와 일정 거리 떨어져있으므로, 상기 흡입 공기는 상기 급기 출구(63)를 통해 상기 정화공간(18)에 존재하는 물 속으로 토출되어 효율적인 공기 정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상기 급수관(41)을 통해 상기 정화공간(18)으로 공급되는 물 속으로 상기 급기 출구(63)가 위치하므로, 상기 수위센서(14)는 상기 급기 출구(63)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부 케이스(13)에 설치되는 수위센서(14)는 상기 급기 출구(63)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급수된 물의 수위는 항상 상기 급기 출구(63)의 위치보다 높다. 즉, 급수되는 물은 급기 출구(63)의 위치보다 높게 차오르기 때문에, 급기관(61)을 유동하는 흡입 공기는 상기 급기 출구(63)를 통해 물 속으로 토출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에 상기 배기관(71)이 연결 및/또는 관통되는 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데, 이하에서는 상기 배기관(71)으로 정화된 공기가 유입되는 구조와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배기관(71)은 상기 정화 공간(18)의 정화된 공기를 유입하는 배기 입구(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기 입구(73)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배기 입구(73)는 상기 정화 공간(18)을 향하는 상기 배기관(73)의 일 단부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배기관(71)은 상기 상판(11)의 일 지점을 관통하여 상기 하판(12)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배기관(71)이 상기 상판(11)의 일 지점을 관통하여 상기 정화 공간(18)으로 연장되는 경우, 상기 배기관의 연장 길이는 상기 수위 센서(14)가 설치된 위치까지의 거리를 한계 길이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배기관(71)은, 상기 정화 공간(18)에 존재하는 정화된 공기를 유입해야 하므로 물속에 삽입되지 않기 위해, 상기 상부 케이스(13)에서 상기 수위 센서(14)가 설치된 위치에서 수평하게 그어지는 가상의 수평선에 접하는 길이까지를 최대 연장 길이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기관(71)은 수면과 맞닿지 않는다.
상기 상판(11)을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15)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배기관(71)은 상기 정화 공간(18)에서 측 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배기 입구(73)는 상기 베이스(15)의 방향이 아닌 상기 상부 케이스(13)를 향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배기관(71)을 절곡하여 형성함으로써, 공기 정화 과정에서 수분의 비산으로 인하여 장치의 외부로 수분이 배출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분의 비산으로 실내 공간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배기부(70)는 건식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정화 과정을 거친 깨끗한 공기만이 상기 배기 입구(73)로 유입되어 상기 배기관(51)을 따라 장치의 외부, 즉 에어 케어 장치(1)가 설치된 실내 공간으로 자연 배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케어 장치의 공기 정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공기 정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에어 케어 장치(1)의 공기정화동작을 위해, 사용자는 조작부를 이용하여 원하는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공기 청정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에어 케어 장치(1)의 공기 정화 과정을 시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 정화 과정이 시작되면, 배수 밸브(55) 및 급기 밸브(65)는 오프(off)상태로 유지되며, 급수 밸브(45)는 오프(off)상태에서 온(on)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급수 밸브(45)의 온(on)상태로 전환 되면서, 급수관(41)은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관(41)이 개방되면, 급수 장치로부터 상기 급수관(41)으로 유입된 물은 정화 공간(18)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급수관(41)을 통해 상기 정화 공간(18)으로 유입되는 물이 설정된 수위만큼 도달하는 경우, 수위 센서(14)가 작동하여 물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수위 센서(14)에 의하여 물이 설정된 수위에 도달한 것이 감지되면, 상기 급수 밸브(45)는 오프(off)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 때, 회전부(20)는 회전을 시작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화 공간(18)에 일정 수위의 물이 차오른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30)의 모터(35)가 구동한다.
상기 모터(35)의 구동으로 상기 구동축(36)이 회전하며, 상기 회전부(20)는 상기 구동축(36)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블레이드(21)는 회전을 시작한다.
제어부는 모터(35)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블레이드(21)의 회전속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21)가 고속으로 회전하면, 상기 정화 공간(18)에 급수된 물도 회전 유동을 할 수 있다.
회전하는 물은, 위치에 따른 회전 속도의 차이에 의하여 반경방향의 바깥쪽과 안쪽의 수위가 달라진다. 즉, 회전하는 물은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수위가 높아진다. 동시에, 물의 회전 속도의 차이에 기인하여 소용돌이를 형성한다.
이 때, 수두 차에 의해 원심방향으로 갈수록 낮은 수압이 걸리게 되며, 물의 회전이 이루는 중심 축 상에 가장 낮은 수압이 걸리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21)가 회전을 시작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급수된 물은 반경방향으로 수위 차가 존재하는 소용돌이 형상을 이루게 되며, 상기 소용돌이 형상이 일어나는 시간에 대한 정보는 메모리 등을 통하여 미리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정화공간(18)에서 물이 소용돌이를 형성하면, 급기부(60)를 통하여 외부의 오염된 공기를 에어 케어 장치(1)로 흡입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입팬(67)이 작동함으로써 오염 공기를 흡입한다.
상기 흡입팬(67)이 구동되면, 흡입관(66)에는 음압이 걸리기 때문에 장치 외부의 오염된 공기는 압력에 의해 상기 흡입관(66)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 때, 급기 밸브(65)는 온(on)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관(66)으로 유입된 외부의 오염된 공기, 즉, 흡입 공기는 상기 급기관(61)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20)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 상기 급기관(61)은 회전하는 물이 이루는 중심 축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한 것과 마찬가지로 이해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하는 물이 이루는 중심축에는 가장 낮은 수압이 걸리기 때문에, 상기 급기관(61)을 통해 급기되는 흡입 공기는 상대적으로 작은 에너지만으로도 물 속으로 토출될 수 있다.
정리하면, 소용돌이 물이 형성하는 중심을 따라 연장 형성된 상기 급기관(61)은, 가장 낮은 수압이 걸리는 원심방향의 물 속에 흡입 공기를 급기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급기 에너지를 최소한으로 소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에너지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상기 물 속으로 급기된 공기는 소용돌이를 이루는 물의 회전을 따라 회전하며 상승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물과 급기된 공기는 상호 접촉되고 혼합되며 상승한다. 구체적으로, 물 속으로 강제로 급기된 흡입 공기는 수중을 통과하면서 공기 방울 형태로 상승하고, 물과 접촉하며 정화 단계를 거치게 된다. 공기의 밀도는 물보다 매우 낮아 물 속에서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가장 낮은 수압이 걸리는 원심방향의 물 속에 흡입 공기를 급기하면, 상기 물속의 흡입 공기는 수중을 통과하면서 공기 방울 형태로 상승하게 되는데, 이 때, 소용돌이 형상을 만들며 돌고 있는 물과 접촉하게 되고, 물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승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는 소용돌이를 따라 돌고 있는 물과 접촉하기 때문에, 혼합 접촉 면적이 늘어날 수 있다. 상기 흡입공기와 물의 혼합 접촉 면적이 늘어날수록 오염물질이 물에 효율적으로 흡착되어 여과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흡입 공기는 소용돌이를 형성하는 물 속에 급기되기 때문에 물과의 혼합 접촉 면적이 상대적으로 늘어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여과 작용을 수행할 수 있고 결국, 공기 정화 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소용돌이를 따라 상승한 공기는 물에 의해 오염물질이 여과되어 깨끗한 공기가 된다. 즉, 정화된 공기가 정화공간(18)의 수면 위로 토출된다.
상기 정화 공간(18)의 수면 위의 공간으로 배출된 깨끗한 공기는 배기관(71)을 통해 장치의 외부로, 즉, 상기 에어 케어 장치(1)가 설치된 실내 공간으로 배기된다.
한편, 상기 급기관(61)에서 토출되는 상기 흡입 공기는, 상기 급기 펌프(63)나 상기 흡입팬(67) 등으로 인하여 상기 정화 공간(18)의 물 속에 상대적으로 높은 급기 압력을 가지고 토출할 수 있다.
상기 높은 급기 압력에 의하여 정화공간(18)의 수면 위 공간으로 배출되는 상기 깨끗한 공기는, 외부와 연통되어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이 형성되는 상기 배기관(71)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배기관(71)에 형성되는 음압에 의하여 상기 깨끗한 공기는 배기관(71)을 거쳐 실내 공간으로 자연 배기될 수 있다. 물론, 별도의 배기팬이 상기 배기관(71)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케어 장치가 구비된 주방후드의 제 1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후드(500)는 천장 근처의 오염된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560), 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키는 토출부(570), 흡입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에어 케어 장치(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40)는 조리기기, 싱크대 등의 급수관이나 상수도관에 연결할 수 있다. 즉, 상기 급수관(41)은 주방에 제공되는 상수 시설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배수부(50)는 조리기기, 싱크대 등의 배수관이나 하수도관에 연결할 수 있다. 즉, 상기 배수관(51)은 주방에 제공되는 배수시설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에어 케어 장치(1)를 구비하는 후드(500)는 급수 및 배수가 별도의 과정 없이 자동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따라서, 반영구적인 에어 케어 장치의 사용이 가능하며, 관리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상기 급기부(60)는 상기 흡입부(560)와 연결할 수 있다. 즉, 상기 흡입관(66)은 상기 흡입부(560)와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주방의 상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정화공간(18)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상기 배기부(70)는 상기 토출부(570)와 연결할 수 있다. 즉, 상기 배기관(71)은 상기 토출부(570)와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정화공간(18)에 존재하는 정화된 공기는 배기관(71)을 따라 다시 주방으로 배기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560)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정화공간(18)의 소용돌이 물 속으로 토출되고, 소용돌이를 따라 물과 혼합되며 정화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부(570)를 통해 다시 실내(주방) 공간으로 토출되어 실내 공기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흡입부(560)는 상기 후드케이싱에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흡입부(560)의 형성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다. 일례로, 상기 흡입부(560)는 후드케이싱의 전방에 형성할 수 있다. 즉, 후드케이싱의 전면에 흡입부(560)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부(560)의 크기는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흡입부(560)는 상기 공기 덕트(512)의 전면부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560)는 상기 공기덕트(512)의 전면에 설치됨으로써 실내의 천장부근으로 확산된 오염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상기 후드(500)는 흡입가이드(510)에 형성되는 흡입구와 후드케이싱의 전면에 설치되는 흡입부(560)를 포함하므로, 상기 다른 두 방향에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가이드(510)에 형성되는 흡입구는 제 1 흡입구라 이름하고, 상기 흡입부(560)를 제 2 흡입구라 이름할 수 있다.
조리과정에서 발생한 유증기 등은 불규칙적으로 확산되어 실내 공간에 골고루 퍼질 수 있으며, 종래의 주방 후드로는 국소적인 부분의 배기만을 이룰 수 있었다. 따라서, 실내 천장부근 등에서 부유하는 오염 공기의 배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상기 공기덕트(512)에 설치되는 흡입부(560)에 의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상기 토출부(570)는 상기 후드케이싱에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토출부(570)의 형성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다. 일례로, 상기 토출부(570)는 상기 후드케이싱의 전면에서 하단에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토출부(570)는 상기 흡입가이드(510)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면부, 또는 전면과 하면이 형성하는 모서리에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부(570)의 크기는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흡입가이드의 하면에 형성되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는 상기 토출부(570)와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토출부(570)가 상기 흡입구와 이격되어 흡입가이드(510)의 전면에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정화된 공기로 송풍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열기로 인하여 느껴지는 더위를 식혀줄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부(570)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흡입가이드(510)의 흡입구로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율이 상승되도록 에어커튼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드케이싱의 정면부 하단에 형성되는 토출부(570)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정화된 공기를 제공하므로 실내 공기의 질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토출부(570)는 복수 개의 베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베인은 토출부(570)를 통하여 토출되는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후드(500)는 흡입가이드(510)로 유입된 흡입 공기를 흡입필터(540)를 거쳐 흡입팬 어셈블리(520)로 유동시키기 위한 가이드배관(5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배관(550)은 상기 흡입구와 흡입팬 어셈블리(520)를 연결해주는 유로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후드(500)는, 상기 가이드배관(550)과 상기 배기관(71)을 연결하는 제 1 연결유로(551)와, 상기 토출부(570)와 상기 배기관(71)을 연결하는 제 2 연결유로(5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연결유로(551), 상기 제 2 연결유로(552) 및 상기 에어 케어 장치의 배기관(71)은 하나의 노드(node)에서 만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유로(551)에는 공기의 유동을 조절할 수 있는 제 1 밸브(554)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연결유로(552)에도 공기의 유동을 조절할 수 있는 제 2 밸브(555)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에어 케어 장치(1)의 공기정화기능과 상기 후드(500)의 배기기능은 독립적으로 이루어 질 수도 있고 상호 보완되어 기능이 강화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조작부를 통하여, 상기 후드(500) 또는 에어 케어 장치(1)를 독립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기를 위한 후드(500)와 공기 정화를 위한 에어 케어 장치(1)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도 있다.
상기 흡입팬 어셈블리(520)가 작동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밸브(554)가 개방(open)되고 제 2 밸브(555)가 폐쇄(closed)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흡입부(560)를 통해 상기 정화공간(18)의 물 속으로 급기되어 공기 정화를 거친 정화된(clean)공기는 상기 배기관(71)을 거쳐 상기 제 1 연결유로(551)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유로(551)를 통과한 정화된 공기는 흡입팬 어셈블리(520)를 통해 밖으로 배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드(500)의 배기 기능에 의하여, 상기 흡입가이드(510)로 유입되어 흡입필터(540)를 거친 흡입 공기는 상기 제 1 연결유로(551)를 통과한 상기 정화된 공기와 합류하여, 함께 흡입팬 어셈블리(520)를 통해 밖으로 배기 될 수 있다.
상기 정화된 공기와 흡입필터(540)를 거친 흡입공기가 합류하는 이유는 상기 흡입팬 어셈블리(520)의 작동으로 흡입팬 유로에 음압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제 1 밸브(554)를 개방하는 경우 실내 공간의 배기량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제 1 밸브(554)가 폐쇄(closed)되고 제 2 밸브(555)가 개방(open)되면, 상기 후드(500)가 작동하는 경우, 공기정화와 배기가 동시에 이루어지며, 상기 후드(500)가 정지한 경우, 실내 공기정화만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후드(500)는 상기 제 1 연결유로(551), 제 2 연결유로(552), 제 1 밸브(554) 및 제 2 밸브(555)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주방 공기의 관리에 대한 선택성(배기 및/또는 정화)을 높여주며, 주방 공기의 환기를 위한 배기능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에어 케어 장치(1)의 동작으로 주방 공기의 송풍, 공기청정 등을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는 주방 공간에 별도의 공기청정기, 제습기, 에어컨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공간 활용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케어 장치가 구비된 주방후드의 제 2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후드의 제 2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후드(500)는 에어 케어 장치(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에어 케어 장치(1)의 유로와 후드 흡입 공기의 유로가 연결되지 않는 점이다.
즉, 상기 에어 케어 장치(1)를 통한 주방 공기의 정화 동작과 상기 후드(500)를 통한 주방 공기의 배기 동작은 분리되어 진행될 수 있다.
본 제 2 실시예에서는 상기 토출부(57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에어 커튼 기능으로 후드(500)의 흡입능력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주방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케어 장치가 구비된 주방후드의 제 3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 3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제 1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 제 3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흡입필터(540)대신 상기 에어 케어 장치(1)가 구비되는 점이다. 즉, 상기 에어 케어 장치(1)가 필터부를 대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어 케어 장치(1)의 급기부(60)는 상기 흡입가이드(510)와 연통되도록 유동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가이드(510)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에어 케어 장치(1)로 급기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흡입관(66)은 상기 흡입가이드(510)의 흡입구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에어 케어 장치(1)의 배기부(70)는 상기 흡입팬 어셈블리(520)와 연통되도록 유동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에어 케어 장치(1)의 공기 정화 과정을 거친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배기 될 수 있다.
즉, 상기 배기관(71)은 상기 흡입팬 어셈블리(52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3 실시예를 따르는 후드(500)는, 대형 식당과 같이 오염공기의 농도가 높은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 그 효용성이 높다.
상기 에어 케어 장치(1)를 통해 수용성 냄새, 먼지 등을 걸러내어 외부로 배기하기 때문에, 오염농도가 낮아진 공기의 배기로 대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후드(500)는 상기 흡입가이드(510)와 상기 에어 케어 장치(1)의 급기부(70)를 연결하는 유로에 설치되는 흡입필터(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필터(540)는 1차적으로 입자가 큰 먼지, 유증기 등을 걸러줄 수 있고, 2차적으로 에어 케어 장치(1)가 악취를 일으키는 수용성 오염 물질과 입자가 작은 먼지 등을 정화시킬 수 있으므로 오염 공기의 여과능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 본체 20 : 회전부
30 : 구동부 40 : 급수부
50 : 배수부 60 : 급기부
70 : 배기부 500 : 후드

Claims (10)

  1. 후드케이싱;
    상기 후드케이싱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면에 제 1 흡입구가 형성되는 흡입가이드;
    상기 흡입가이드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공기를 실외로 안내하는 공기 덕트;
    상기 후드케이싱 내부에 설치되며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팬 어셈블리;
    상기 후드케이싱의 전면에 형성되는 제 2 흡입구;
    상기 후드케이싱 내부에 위치하며, 정화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제 2 흡입구와 연결되어 상기 정화공간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가이드하는 급기관;
    상기 정화공간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급수관;
    상기 정화공간의 물이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수관;
    상기 정화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블레이드;
    상기 흡입가이드의 전면에 형성되는 토출부; 및
    상기 토출부와 연결되어 상기 정화공간의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관을 포함하는 에어 케어 장치가 구비된 주방후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와 상기 흡입팬 어셈블리를 연결하여 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배관; 및
    상기 흡입가이드에 설치되어 공기를 여과해주는 흡입 필터를 더 포함하는 에어 케어 장치가 구비된 주방후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배관과 상기 배기관을 연결하는 제 1 연결유로; 및
    상기 토출부와 상기 배기관을 연결하는 제 2 연결유로를 더 포함하는 에어 케어 장치가 구비된 주방후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유로를 개폐하는 제 1 밸브; 및
    상기 제 2 연결유로를 개폐하는 제 2 밸브를 더 포함하는 에어 케어 장치가 구비된 주방후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풍향을 조절하는 복수 개의 베인을 포함하는 에어 케어 장치가 구비된 주방후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정화공간으로 급수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급기관은,
    상기 케이스의 중심축을 따라 상기 수위센서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케어 장치가 구비된 주방후드.
  7. 오염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가이드, 상기 흡입가이드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오염공기를 실외 공간으로 안내하는 공기 덕트, 상기 공기 덕트 내부에 위치하여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팬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주방후드에 있어서,
    상기 주방후드 내부에 위치하며, 물을 담는 정화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정화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블레이드;
    상기 오염공기를 상기 정화공간으로 토출시키도록 안내하는 급기관; 및
    상기 정화공간의 공기가 배기되도록 안내하는 배기관을 포함하는 에어 케어 장치가 구비된 주방후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공간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급수장치와 연결되는 급수관; 및
    상기 정화공간의 물을 배출하도록 배수장치와 연결되는 배수관을 더 포함하는 에어 케어 장치가 구비된 주방후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관은 상기 흡입가이드와 연결되며, 상기 배기관은 상기 공기덕트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케어 장치가 구비된 주방후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가이드에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흡입 필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케어 장치가 구비된 주방후드.
KR1020160151825A 2016-11-15 2016-11-15 물을 이용한 에어 케어 장치가 구비된 주방후드 KR201800541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825A KR20180054193A (ko) 2016-11-15 2016-11-15 물을 이용한 에어 케어 장치가 구비된 주방후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825A KR20180054193A (ko) 2016-11-15 2016-11-15 물을 이용한 에어 케어 장치가 구비된 주방후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4193A true KR20180054193A (ko) 2018-05-24

Family

ID=62297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1825A KR20180054193A (ko) 2016-11-15 2016-11-15 물을 이용한 에어 케어 장치가 구비된 주방후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419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0571B1 (ko) * 2020-07-30 2021-02-24 주계영 환기 성능 향상을 위한 주방용 후드 시공 방법
CN114768448A (zh) * 2022-04-13 2022-07-22 陕西竹园嘉原矿业有限公司 一种煤矿生产气体净化装置
CN115949449A (zh) * 2023-03-15 2023-04-11 太原理工大学 一种矿用高效喷雾降尘装置及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0571B1 (ko) * 2020-07-30 2021-02-24 주계영 환기 성능 향상을 위한 주방용 후드 시공 방법
CN114768448A (zh) * 2022-04-13 2022-07-22 陕西竹园嘉原矿业有限公司 一种煤矿生产气体净化装置
CN114768448B (zh) * 2022-04-13 2024-01-23 陕西竹园嘉原矿业有限公司 一种煤矿生产气体净化装置
CN115949449A (zh) * 2023-03-15 2023-04-11 太原理工大学 一种矿用高效喷雾降尘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4271B1 (ko) 환기 청정 장치
RU2013143995A (ru) Варочная панель с центральным отсосом кухонных паров вниз
KR100908464B1 (ko) 실내공기 청정기
KR102302110B1 (ko) 비말 및 미세먼지 제거 보건용 공조환기조화기
KR100577254B1 (ko) 공기청정 겸용 환기시스템
KR100686024B1 (ko) 공기청정 겸용 환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운전방법
KR20180054193A (ko) 물을 이용한 에어 케어 장치가 구비된 주방후드
KR100617081B1 (ko) 공기청정겸용 환기시스템
KR20120040689A (ko) 캐노피 후드 배기장치
KR20170129484A (ko) 욕실 환기팬을 이용한 환기시스템
KR100577206B1 (ko) 환기시스템
KR102256209B1 (ko) 실내 공기 정화장치
KR20200065454A (ko) 공기 청정기 및 이를 갖는 실내 공기 정화 시스템
TW201314140A (zh) 空氣清淨機
KR20180054192A (ko) 물을 이용한 에어 케어 장치
CN113007843A (zh) 空气处理装置及空调器
KR20180054196A (ko) 물을 이용한 에어 케어 장치 및 그 방법
CN113310160A (zh) 空气处理装置及空调器
KR20190029984A (ko) 분리 환기형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정화방법
KR102168453B1 (ko) 공기 청정기 및 이를 갖는 실내 공기 청정 시스템
KR100538715B1 (ko) 주방 환기시스템
KR100445402B1 (ko) 주방용 환기시스템
JP3126576U (ja) 換気扇の改良構造
KR100537738B1 (ko) 주방용 후드 및 이를 이용한 고층 공동주택의 환기 시스템
KR20050118784A (ko) 창문형 환기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