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5402B1 - 주방용 환기시스템 - Google Patents

주방용 환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5402B1
KR100445402B1 KR10-2002-0031838A KR20020031838A KR100445402B1 KR 100445402 B1 KR100445402 B1 KR 100445402B1 KR 20020031838 A KR20020031838 A KR 20020031838A KR 100445402 B1 KR100445402 B1 KR 100445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let
kitchen
ventilation system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1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4616A (ko
Inventor
이수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벤토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벤토피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벤토피아
Priority to KR10-2002-0031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5402B1/ko
Publication of KR20030094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4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5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54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1Removing cooking fumes mounting of cooking ho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27Ducting arrangements using parts of the building, e.g. air ducts inside the floor, walls or ceiling of a bui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3Ventilation in combination with air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1Ventilation with exhausting air ducts
    • F24F2007/002Junction box, e.g. for ducts from kitchen, toilet or bathro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용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내공기를 급기시켜, 이를 취기와 함께 배기시키는 주방용 환기시스템을 개선하여 천장에 위치한 송출부 및 유입부를 통하여 실내의 취기를 포집하여 주방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의 천장(600)에 위치하여 일측으로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이를 타측 천장(600) 하측면에 연접하는 방향으로 송출시키는 송출부(100)와; 상부 일측면에 에어필터(211)를 구비한 흡입구(212)가 형성되어 수직하게 위치한 유입덕트(210)와, 상기 유입덕트(210)의 중단에 구비된 유입팬(220)으로 이루어져, 상기 송출부(100)로부터 송출된 공기를 상기 흡입구(212)로 흡입하여 하측으로 유동시키는 유입부(200)와; 상기 유입부(200)의 하측에 연통 설치되며 격벽(310)에 의하여 분리 형성된 덕트형태로 하단 일측에 유입된 공기를 하측방향으로 송출시키는 급기구(320)와, 타측에 유입된 공기를 일측으로 송출시키는 수평취출구(330)로 이루어진 급기부(300)와; 오일필터(410) 및 오일드레인(420)을 구비하여 벽면측에 위치하며, 상기 급기부(300)의 수평취출구(330)로부터 송출된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부(400)와; 상기 흡입부(400)의 상측에 수직하게 연통 설치되며, 중단에 배기팬(510)을 구비하여 상기 흡입부(400)에서 흡입한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배기덕트(500)로 구성되어, 실내공기를 급기로 사용하여 외기의 흡입 없이 주방의 환기를 수행함으로써, 설치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설치 및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천장 상부에 형성된 열기와 취기를 송출부 및 유입부를 통하여 포집하여 주방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주방용 환기시스템 {Ventilation system for kitchen}
본 발명은 주방용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내공기를 급기시켜, 이를 취기와 함께 배기시키는 주방용 환기시스템을 개선하여 천장에 위치한 송출부 및 유입부를 통하여 실내의 취기를 포집하여 주방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로써, 실내공기를 급기로 사용하여 외기의 흡입 없이 주방의 환기를 수행함으로써, 설치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설치 및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천장 상부에 형성된 열기와 취기를 송출부 및 유입부를 통하여 포집하여 주방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음식점이나 호텔 또는 주택의 실내공기의 주 오염원은 주방에서 취사시 발생하는 발열과 냄새 및 기름증기 등의 각종 오염물질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오염물질은 열적부력(Thermal Force)에 의하여 상승하여 천장면을 타고 부유하여 주방 또는 실내 전체에 확산된다.
또한, 주방에서의 발열은 대부분 불순물을 포함한 대류열과 복사열의 형태로 발생되는데, 이러한 열량은 장비, 표면온도, 및 보온정도에 따라 다르며, 상기와 같은 발열에 의하여 공기가 가벼워져 불순물과 함께 상승하여 확산되어 실내를 오염시키게 된다.
특히, 최근에 건설되고 있는 고층 아파트 같은 경우에는 창문(커튼월방식) 등이 밀폐되도록 시공되고 있어, 상기와 같은 고층 아파트의 주방 환기 문제는 더욱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주방용 환기시스템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건물에서는 주방의 조리대(1) 상부에 후드(2)를 설치하여, 조리시에 상기 조리대(1)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상기 후드(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후드(2)는 포집효율이 낮아 오염물질의 배출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더욱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상기 후드(2)에는 조리시 발생하는 기름증기에 의하여 기름때가 축적되어 오염물질을 배출시키는 효율이 점차적으로 감소하게 됨으로써, 이와 같이 실외로 배출되지 않고 실내에 잔존하는 오염물질은 열로 인하여 상승하여 집의 천장을 타고 거실이나 방 등의 집의 다른 곳으로 확산되어 집 전체를 오염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후드(2)는 실제로 배기 및 공기 정화의 효과는 매우 적을 뿐 아니라, 오히려 기름증기에 의한 기름때의 축적으로 인한 막힘 현상으로 팬 소음이 한층 더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후드를 개량하여 실내공기를 급기하여 오염물질을 함께 배출시키는 형태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형태의 종래의 주방용 환기시스템은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234034호에 의하여 공개되어 있다.
도 2는 종래의 주방용 환기시스템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3은 종래의 주방용 환기시스템을 도시하는 요부확대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주방용 환기시스템은, 벽면측에 대하여 하측 사선방향으로 설치된 흡입부(10)와; 상기 흡입부(10)의 상측에 설치되고 배기팬(21)이 구성되어 상기 흡입부(10)에서 흡입한 실내공기를 배출하는 배기덕트(20)와; 상기 흡입부(10)의 상부 측면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유입하는 유입팬(31)이 구성되는 실내공기유입부(30)와; 상기 실내공기유입부(30)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부(10)로 유입된 실내공기를 토출하는 급기노즐(41)로 이루어지는 급기부(4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주방용 환기시스템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부(10)를 통하여 취사시 발생한 오염물질을 흡입함과 동시에, 주방의 실내공기를 상기 실내공기유입부(30)로 유입한 후, 상기 급기노즐(41)로 토출시켜, 상기 흡입부(10)에서는 오염물질이 포함된 실내공기를 포집하여배기덕트(20) 내에 설치된 배기팬(21)의 작용에 의하여 실외로 배출시키게 됨으로써, 주방 및 주거공간에 열 부하 및 오염물질이 다른 공간으로 확산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주방용 환기시스템은, 조리대 보다 적은 규격의 후드가 설치되었을 때, 후드는 조리대에서 발생한 오염물질의 대략 70% 정도만을 배출시키게 되고, 조리대 보다 큰 규격의 후드가 설치되었을 때, 후드는 대략 85% 정도만의 오염물질을 배출시키게 됨으로써, 주방의 배기후드에 의하여 배출되지 않은 나머지 15%이상의 오염물질은 열적부력으로 인하여 상승하여 집의 천장을 타고 거실이나 방 등의 집의 다른 곳으로 확산되어 집 전체를 오염시키게 된다는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보다 자세히 종래의 주방용 환기시스템에 대한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정용 주방 배기후드는 최대 부하시 배기량이 700m3/h가 되어야만 조리시 발생하는 열과 취기를 실외로 완전히 배출시킬 수가 있으나, 700m3/h의 배기량을 충족시키려면 주방 배기후드 내부의 팬, 배기후드 포집표면 등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여야 함으로, 주방 배기후드는 전반적으로 확대되어야만 한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설치의 제약 뿐 아니라, 배기관로가 증대되어 건축구조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기존의 규격 내에서 700m3/h의 배기효과를 유지하기 위하여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는, 주방 배기후드 구조의 개선과 필터의 개선이 주목되고 있으며,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3749호가 공개되었으나, 하부면이 편평한 일자형으로 이루어지고 필터가 개선되지 않아, 재래식 배기후드에 비하여 환기성능은 향상되었으나, 포집효율과 배기효율은 개선되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일정한 사용기간이 경과 후, 필터의 막힘 현상으로 배기효율이 현저하게 떨어지게 되면서, 상대적으로 소음은 크게 증가하게 되어 실내환경의 개선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와 더불어, 국내공개특허공보 제2001-0103253호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3749호를 개선시켜 보완하였으나, 구조적인 결함과 필터를 개선하지 못하여 포집효율이 저조한 관계로 실내로의 취기와 열기의 확산을 방지하지 못한다는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실내공기를 급기로 사용하여 외기의 흡입 없이 주방의 환기를 수행함으로써, 설치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설치 및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천장 상부에 형성된 열기와 취기를 송출부 및 유입부를 통하여 포집하여 주방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주방용 환기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건물의 천장에 위치하여 일측으로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이를 타측 천장 하측면에 연접하는 방향으로 송출시키는 송출부와; 상부 일측면에 에어필터를 구비한 흡입구가 형성되어 수직하게 위치한 유입덕트와, 상기 유입덕트의중단에 구비된 유입팬으로 이루어져, 상기 송출부로부터 송출된 공기를 상기 흡입구로 흡입하여 하측으로 유동시키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의 하측에 연통 설치되며 격벽에 의하여 분리 형성된 덕트형태로 하단 일측에 유입된 공기를 하측방향으로 송출시키는 급기구와, 타측에 유입된 공기를 일측으로 송출시키는 수평취출구로 이루어진 급기부와; 오일필터 및 오일드레인을 구비하여 벽면측에 위치하며, 상기 급기부의 수평취출구로부터 송출된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의 상측에 수직하게 연통 설치되며, 중단에 배기팬을 구비하여 상기 흡입부에서 흡입한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배기덕트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주방용 환기시스템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주방용 환기시스템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주방용 환기시스템을 도시하는 요부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방용 환기시스템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주방용 환기시스템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주방용 환기시스템에 대한 송출부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주방용 환기시스템에 대한 송출부를 도시하는 저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주방용 환기시스템에 대한 일부를 도시하는 확대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주방용 환기시스템에 대한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A-A선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주방용 환기시스템에 대한 오일필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송출부 110 : 흡기구 120 : 송출팬
121 : 급기전동기 122 : 급기날개 131 : 안내벽
131a : 송출구 132 : 부압발생단 200 : 유입부
210 : 유입덕트 211 : 에어필터 212 : 흡입구
220 : 유입팬 300 : 급기부 310 : 격벽
320 : 급기구 330 : 수평취출구 400 : 흡입부
410 : 오일필터 411 : 댐퍼판 412 : 안내판
413 : 손잡이 414 : 흡음재 420 : 오일드레인
500 : 배기덕트 510 : 배기팬 520 : 흡음재
600 : 천장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주방용 환기시스템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주방용 환기시스템을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주방용 환기시스템에 대한 송출부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주방용 환기시스템에 대한 송출부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이와 동시에, 도 8은 본 발명의 주방용 환기시스템에 대한 일부를 도시하는 확대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주방용 환기시스템에 대한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A-A선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의 주방용 환기시스템에 대한 오일필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방용 환기시스템은, 건물의 천장(600)에 위치하여 일측으로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이를 타측 천장(600) 하측면에 연접하는 방향으로 송출시키는 송출부(100)와; 상부 일측면에 에어필터(211)를 구비한 흡입구(212)가 형성되어 수직하게 위치한 유입덕트(210)와, 상기 유입덕트(210)의 중단에 구비된 유입팬(220)으로 이루어져, 상기 송출부(100)로부터 송출된 공기를 상기 흡입구(212)로 흡입하여 하측으로 유동시키는 유입부(200)와; 상기 유입부(200)의 하측에 연통 설치되며 격벽(310)에 의하여 분리 형성된 덕트형태로 하단 일측에 유입된 공기를 하측방향으로 송출시키는 급기구(320)와, 타측에 유입된 공기를 일측으로 송출시키는 수평취출구(330)로 이루어진 급기부(300)와; 오일필터(410) 및 오일드레인(420)을 구비하여 벽면측에 위치하며, 상기 급기부(300)의 수평취출구(330)로부터 송출된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부(400)와; 상기 흡입부(400)의 상측에 수직하게 연통 설치되며, 중단에 배기팬(510)을 구비하여 상기 흡입부(400)에서 흡입한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배기덕트(500)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송출부(10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형성된 흡기구(110)와; 상기 흡기구(110)와 연통 설치된 송출팬(120)과; 송출구(131a)가 점차적으로 협소해지도록 변경되는 곡률반경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성형된 안내벽(131)과; 상기 송출구의 일측 단부가 일부 절곡 형성된 부압발생단(132)으로 구성되어, 토출공기가 천장면을 따라 송출되어 코안다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송출부(100)는 상기 급기부(300)로부터 상기 천장까지의 높이의 0.75배 길이 만큼 상기 급기부(300)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있으며, 상기 수평취출구(330)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양은 배기팬(510) 용량의 8∼15%범위 이내로 하여 배기효과를 극대화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오일필터(41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및 일측이 개구된 사각기둥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댐퍼판(411)과; 상기 댐퍼판(411)의 일측에 절곡 형성되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댐퍼판(411)의 내부에서 와류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다수개의 안내판(412)과; 양측에 위치한 상기 안내판(412)에 고정 체결된 손잡이(413)와; 상기 댐퍼판(411)의 양측면 및 배면에 면상으로 위치하는 흡음재(414)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오일드레인(420)은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오일드레인(420)에 저류된 오일의 양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도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주방용 환기시스템은 도 4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600)의 내부에 구비된 송출부(100)가 조리대에서 발생한 오염물질을 포함한 취기를 상기 천장(600)에 연접하도록, 코안다 효과를 이용하여 일측 방향으로 토출시키게 되며, 이와 같이 일측으로 유동하는 취기는 주방의 상측에 위치한 주변의 오염된 공기와 함께 유입부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유입부(200)의 흡입구(212)로 유입되어, 유입덕트(210)의 내부에 구비된 유입팬(220)에 의하여 상기 유입덕트(210)를 통과하여 급기부(300)로 송출된다.
이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의 주방용 환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출부(100)의 설치위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기부(300)로부터 상기 천장(600)까지 높이(H)의 0.75배 길이 만큼 상기 급기부(300)로부터 이격되어위치하도록 하며, 이는 상기 급기부(300)에 의하여 상기 흡입부(400)로 유입되는 취기 중 일부가 상기 급기부(300)의 외측으로 확산되었을 때, 상기 급기부(300)의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약 30°의 각도로 퍼져나가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상기 급기부(300) 외측으로 확산되는 취기를 포집하기 위하여, 상기 급기부(300)로부터 천장(600)까지의 길이(H)에 대하여 tan30°배에 해당하는 위치, 즉, 상기 급기부(300)로부터 대략 0.75배 이격시켜 상기 송출부(100)를 위치시키게 된다.
이후, 상기 급기부(300)로 유입된 취기는 상기 급기부(300)에 형성된 급기구(320)와 수평취출구(330)를 통하여 토출되며, 특히, 상기 수평취출구(330)를 통하여 토출된 취기는 조리대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과 함께 흡입부(400)로 흡입되어, 배기팬(510)의 회전에 의하여 배기덕트(500)를 통과하여 실외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송출부(100)는 주방의 상측에 위치한 천장(600) 주변의 취기를 흡입하여 상기 천장(600)에 연접하는 방향으로 토출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로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출부(100)는 크게 흡기구(110), 송출팬(120), 송출구(131a)로 이루어지며, 상기 송출부(100)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송출팬(120)에 의하여 상기 흡기구(110)를 통하여 주방의 상측에 위치한 취기가 송출부(100)의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송출부(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송출팬(120)을 통과하여 송출구(131a)를 통하여 토출된다.
이때, 상기 송출부(100)에 형성된 안내벽(131)의 단면 형상에 따라 상기 송출구(131a)를 통하여 송출되는 실내공기의 송풍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동시에,상기 송출구(131a)의 일측에 형성된 부압발생단(132)에 의하여 상기 송출구(131a)에서는 코안다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어, 상기 송출구(131a)에서는 송출부(100)에서 송출되는 공기와, 상기 부압발생단(132)의 주변에 위치한 실내공기에 대한 송출방향을 천장 하측면에 연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기팬(120)은 중앙에 위치한 급기전동기(121)와, 상기 급기전동기(121)의 양측에 체결된 원통형상의 급기날개(122)로 이루어져, 상기 급기전동기(121)에 의하여 상기 급기날개(122)가 양측에서 회전하도록 하여, 상기 급기팬(120)이 편심된 상태로 장시간 작동하여 발생하는 부가적인 문제점을 예방할 수도 있다.
이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출부(100)의 일측에 위치한 유입부(200)에는 수직하게 위치한 유입덕트(210)의 내부 중단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유입팬(220)에 의하여, 상기 유입덕트(210)의 상측에 형성된 흡입구(212)를 통하여 상기 송출부(100)에서 토출된 취기와 주방의 상측에 위치한 취기가 함께 유입되어 상기 유입덕트(210)를 통과한 후, 급기부(300)로 보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유입덕트(210)의 흡입구(212)에는 에어필터(211)가 구비되어 있어, 취기에 포함된 기타 오염물질을 1차적으로 여과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급기부(300)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급기부(300)에 형성된 급기구(320)와 수평취출구(330)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되며, 상기 급기부(300)는 격벽(310)에 의하여 두 개의 분리된 덕트를 형성하여, 이와 같이 분리된 덕트의 일측은 상기 급기구(320)에 공기를 공급하게 되며, 타측은 상기 수평취출구(330)에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급기구(320)와 수평취출구(330)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되는 풍량은 대략 3:1 비율을 이루게 되어, 상기 급기구(320)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에 비하여 상기 수평취출구(330)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는 약 1/3정도 적은 공기가 토출된다.
이때, 상기 수평취출구(330)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양은 배기팬(510) 용량의 8∼15%범위 이내로 하여 배기효과를 극대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급기구(320)를 통하여 하측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조리대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상승과 실내 확산을 방지하는 동시에 이를 희석시키는 역할을 하게되며, 상기 수평취출구(330)를 통하여 일측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조리대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상기 흡입부(400)에서 포집할 수 있도록 취기를 유인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급기부(300)의 수평취출구(330)는, 상기 급기부(300)로 유입된 공기를 일측방향으로 원활하게 토출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취출구(330)는 원형으로 관통 형성되어 하부가 외측을 돌출 되도록 굴곡 성형되어 상기 흡입부(400)측으로 고속의 공기를 토출시킴으로써, 조리대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상기 흡입부(400)가 효과적으로 유인하여 포집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작용은, 상기 급기부(300)의 수평취출구(330)에서 토출된 공기가 조리대의 상측을 가로질러 이동하면서, 조리대에서 발생하는 상승열과 기름증기 등과 같은 오염물질을 포함한 공기를 상기 흡입부(400) 측으로 신속하게 유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흡입부(400)는 상기 급기구(320)로부터 토출되어 오염물질의 확산을 방지하는 동시에 이러한 오염물질을 희석시킨 공기는 물론, 상기 수평취출구(330)로부터 토출되어 조리대로부터 발생하는 오염물질과 함께 유입되는 공기를 원활하게 포집하여 흡입하기 위하여 가능하다면 넓은 면적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이후, 상기 흡입부(400)로 유입되는 취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부(400)에 구비된 오일필터(410)에 의하여 취기에 포함된 기름때가 2차적으로 여과된 후, 배기덕트(500)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오일필터(410)는 취기 중에 포함된 기름때와 같은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여과시킬 수 있는 동시에, 누적된 오염물질에 의하여 여과효과가 저감되지 않아야 하며, 또한, 이러한 오염물질이 많이 누적되었을 때, 용이하게 누적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구조를 적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오일필터(410)에 대한 적절한 실시예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및 일측이 개구된 사각기둥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댐퍼판(411)과; 상기 댐퍼판(411)의 일측에 절곡 형성되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댐퍼판(411)의 내부에서 와류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다수개의 안내판(412)과; 양측에 위치한 상기 안내판(412)에 고정 체결된 손잡이(413)와; 상기 댐퍼판(411)의 양측면 및 배면에 면상으로 위치하는 흡음재(414)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오일필터(410)는 기름때 및 기타 오염물질을 함유한 취기가 내부로 유입되면서, 전면에 위치한 다수개의 안내판(412)에 의하여 좁은 틈을 따라 빠른 속도로 오염물질을 포함한 취기가 상기 댐퍼판(411)의 내부로 유입되며, 이후, 오염물질을 포함한 취기는 댐퍼판(411)에 이르러 회전하게 되면서 속도가 느려지게 되어, 취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은 상기 댐퍼판(411)의 내면 흡착되면서 분리되고, 여과된 공기는 상기 댐퍼판(411)의 상하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따라 배기됨으로써, 많은 오염물질을 포함한 취기가 상기 오일필터(410)에 의하여 여과되어도, 상기 오일필터(410)가 오염물질에 의하여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따라서, 상기 댐퍼판(411)의 내면에 흡착되면서 분리된 기름때 등의 오염물질은 상기 댐퍼판(411)의 내면을 타고 흘러내려, 상기 오일필터(410)의 하측에 형성된 오일드레인(420)으로 저류되며, 상기 오일드레인(420)에 많은 양의 기름때 등의 오염물질이 저류되었을 때, 사용자는 상기 오일드레인(420)을 손쉽게 탈착시켜 오염물질을 청소해 줌으로써 환기의 효율이 감소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일드레인(420)은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오일드레인(420)에 저류된 오일의 양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오일드레인(420)에 저류된 오염물질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오일필터(410)의 전면에 체결되어 있는 손잡이(413)를 이용하여 상기 오일필터(410)를 상기 흡입부(400)에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오일필터(410)의 양측면 및 배면에는 흡음재질로 이루어진 흡음재(414)가 면상으로 부착되어 있어, 상기 배기덕트(500)의 중단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배기팬(510)의 소음이나 기타 실외의 소음이 상기 배기덕트(500)를 통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흡입부(400)에서 여과된 공기는 상기 배기덕트(500)의 중단에 위치한 배기팬(51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배기덕트(500)에 안내되어 실외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배기덕트(500)의 내측면에는 흡음재(520)를 추가로 형성하여 상기 배기덕트(500) 내에 마련된 배기팬(510)에 의한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방용 환기시스템은 조리대에서 발생하는 취기를 상기 급기부(300)의 수평취출구(330)를 통하여 토출된 공기를 통하여 상기 흡입부(400)로 흡입시키는 동시에, 상기 급기부(300) 외측으로 확산되는 취기를 상기 송출부(100)가 일측으로 토출시켜 상기 유입부(200)를 통하여 다시 상기 급기부(300)로 공급함으로써, 주방의 조리대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포함한 취기를 효과적으로 포집하여 실외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실내공기를 급기로 사용하여 외기의 흡입 없이 주방의 환기를 수행함으로써, 설치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설치 및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천장 상부에 형성된 열기와 취기를 송출부 및 유입부를 통하여 포집하여 주방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6)

  1. 건물의 천장에 위치하여 일측으로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이를 타측 천장 하측면에 연접하는 방향으로 송출시키는 송출부와;
    상부 일측면에 에어필터를 구비한 흡입구가 형성되어 수직하게 위치한 유입덕트와, 상기 유입덕트의 중단에 구비된 유입팬으로 이루어져, 상기 송출부로부터 송출된 공기를 상기 흡입구로 흡입하여 하측으로 유동시키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의 하측에 연통 설치되며 격벽에 의하여 분리 형성된 덕트형태로 하단 일측에 유입된 공기를 하측방향으로 송출시키는 급기구와, 타측에 유입된 공기를 일측으로 송출시키는 수평취출구로 이루어진 급기부와;
    오일필터 및 오일드레인을 구비하여 벽면측에 위치하며, 상기 급기부의 수평취출구로부터 송출된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의 상측에 수직하게 연통 설치되며, 중단에 배기팬을 구비하여 상기 흡입부에서 흡입한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배기덕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환기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부는 일측에 형성된 흡기구와;
    상기 흡기구와 연통 설치된 송출팬과;
    송출구가 점차적으로 협소해지도록 변경되는 곡률반경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성형된 안내벽과;
    상기 송출구의 일측 단부가 일부 절곡 형성된 부압발생단으로 구성되어, 토출공기가 천장면을 따라 송출되어 코안다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환기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부는 상기 급기부로부터 상기 천장까지의 높이의 0.75배 길이 만큼 상기 급기부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환기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취출구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양은 배기팬 용량의 8∼15%범위 이내로 하여 배기효과를 극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환기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드레인은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오일드레인에 저류된 오일의 양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환기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필터는 상하 및 일측이 개구된 사각기둥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댐퍼판과;
    상기 댐퍼판의 일측에 절곡 형성되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댐퍼판의 내부에서 와류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다수개의 안내판과;
    양측에 위치한 상기 안내판에 고정 체결된 손잡이와;
    상기 댐퍼판의 양측면 및 배면에 면상으로 위치하는 흡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환기시스템.
KR10-2002-0031838A 2002-06-07 2002-06-07 주방용 환기시스템 KR100445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1838A KR100445402B1 (ko) 2002-06-07 2002-06-07 주방용 환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1838A KR100445402B1 (ko) 2002-06-07 2002-06-07 주방용 환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4616A KR20030094616A (ko) 2003-12-18
KR100445402B1 true KR100445402B1 (ko) 2004-08-21

Family

ID=32386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1838A KR100445402B1 (ko) 2002-06-07 2002-06-07 주방용 환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54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606B1 (ko) 2006-06-12 2007-03-02 이재천 열교환장치를 이용한 통합 환기 시스템
KR100994162B1 (ko) * 2008-06-11 2010-11-15 주식회사 신화공조 냄새 역류방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9540B1 (ko) * 2004-05-06 2006-06-14 주식회사 벤토피아 정풍량 변정압 팬이 적용된 주방배기시스템
KR100600731B1 (ko) * 2004-12-15 2006-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기후드
KR100969566B1 (ko) * 2008-05-27 2010-07-12 정정훈 아이티오 필름 원단 절단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13936A (en) * 1980-02-14 1981-09-08 Kazuyoshi Oshita Double hood
KR20000017710A (ko) * 1999-07-24 2000-04-06 이성환 주방 환기설비 시스템
JP2000329387A (ja) * 1999-05-19 2000-11-30 Hitachi Taga Technol Co Ltd レンジ用フードファン
KR100329326B1 (ko) * 1999-09-03 2002-03-20 천영신 통합 냉방 및 환기시스템
KR20020027119A (ko) * 2000-10-06 2002-04-13 이성한 실내 주방의 환기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13936A (en) * 1980-02-14 1981-09-08 Kazuyoshi Oshita Double hood
JP2000329387A (ja) * 1999-05-19 2000-11-30 Hitachi Taga Technol Co Ltd レンジ用フードファン
KR20000017710A (ko) * 1999-07-24 2000-04-06 이성환 주방 환기설비 시스템
KR100329326B1 (ko) * 1999-09-03 2002-03-20 천영신 통합 냉방 및 환기시스템
KR20020027119A (ko) * 2000-10-06 2002-04-13 이성한 실내 주방의 환기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606B1 (ko) 2006-06-12 2007-03-02 이재천 열교환장치를 이용한 통합 환기 시스템
KR100994162B1 (ko) * 2008-06-11 2010-11-15 주식회사 신화공조 냄새 역류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4616A (ko) 200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7626B1 (en) Ventilation system for a kitchen
CN201233046Y (zh) 一种防滴油的吸油烟机
WO2022012633A1 (zh) 一种空调的室内机及空调
KR102171046B1 (ko) 매시망을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
CN101249353A (zh) 油烟净化装置
KR20120040689A (ko) 캐노피 후드 배기장치
CN208907648U (zh) 拢烟装置及吸油烟机
KR100384700B1 (ko) 주방용 배기 후드
KR100445402B1 (ko) 주방용 환기시스템
KR20180054193A (ko) 물을 이용한 에어 케어 장치가 구비된 주방후드
CN108061321B (zh) 一种厨房制冷吸油烟机
KR100393475B1 (ko) 주방용 배기 후드
KR100608704B1 (ko) 주방용 후드의 월제트 배기장치
CN215863620U (zh) 一种双环型高效油烟净化机
KR100556835B1 (ko) 주방용 배기후드
KR100537738B1 (ko) 주방용 후드 및 이를 이용한 고층 공동주택의 환기 시스템
KR20050031721A (ko) 주방용 레인지후드의 배기 증대 장치
CN220083132U (zh) 一种湿式油烟净化器
CN218993480U (zh) 基于湿式离心的厨房抽油烟机
CN2180920Y (zh) 同轴轴流风罩式排油烟机
CN217274361U (zh) 一种排烟装置
KR100619734B1 (ko) 주방용 배기후드
JP2007064517A (ja) レンジフード装置、排気装置および局所換気装置
CN220083179U (zh) 风管式空调机
KR200234034Y1 (ko) 주방용 배기 후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