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4162B1 - 냄새 역류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냄새 역류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4162B1
KR100994162B1 KR1020080054625A KR20080054625A KR100994162B1 KR 100994162 B1 KR100994162 B1 KR 100994162B1 KR 1020080054625 A KR1020080054625 A KR 1020080054625A KR 20080054625 A KR20080054625 A KR 20080054625A KR 100994162 B1 KR100994162 B1 KR 100994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dor
discharge
air
discharge unit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4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8727A (ko
Inventor
정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화공조
주식회사 인텔리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화공조, 주식회사 인텔리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화공조
Priority to KR1020080054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4162B1/ko
Publication of KR20090128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8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4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4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냄새 역류방지 장치가 개시된다. 그러한 냄새 역류방지 장치는 실내 천정에 배치되며, 후드, 흡기팬, 배기관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냄새를 제거하는 냄새 배출부와, 상기 냄새 배출부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실내 천정에 배치되며,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어, 회전시 상기 흡입구 및 토출구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 및 배출시키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모터 조립체; 그리고 상기 토출구에 연결되어 공기를 안내하는 곡선 플레이트와, 상기 곡선 플레이트의 단부에 연장형성되는 연결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 플레이트와 상기 곡선 플레이트의 접선이 이루는 내각의 각도가 둔각을 이루어 공기를 상기 천정을 따라 상기 냄새 배출부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주방, 냄새, 역류, 방지, 가이드부

Description

냄새 역류방지 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SMELL FROM FLOWING BACKWARD}
본 발명은 냄새 역류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횡류팬을 배치하여 냄새 배출부로부터 역류하는 냄새가 실내로 퍼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냄새 역류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에는 음식 조리시 발생하는 냄새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냄새 배출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냄새 배출장치는 통상 레인지(Range)의 일정 거리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냄새 배출장치는 냄새가 함유된 공기(이하, 냄새)를 흡입하기 위한 후드와, 흡입력을 발생하는 흡기팬과,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관을 포함한다.
따라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경우, 상기 냄새 배출장치를 작동시킴으로써 후드를 통하여 냄새를 흡입한 후, 배기관을 통하여 냄새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냄새 배출장치는 주방으로부터 발생하는 냄새를 완전히 흡입하여 배출시키기가 어려워, 일부 냄새가 주방의 천정을 타고 실내로 역류되어 전체 실내 공간으로 퍼지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횡류팬을 이용하여 냄새 배출부로부터 흡입되지 못한 일부 냄새가 실내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냄새 역류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실내 천정에 배치되며, 후드, 흡기팬, 배기관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냄새를 제거하는 냄새 배출부; 상기 냄새 배출부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실내 천정에 배치되며,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어, 회전시 상기 흡입구 및 토출구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 및 배출시키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모터 조립체; 그리고 상기 토출구에 연결되어 공기를 안내하는 곡선 플레이트와, 상기 곡선 플레이트의 단부에 연장형성되는 연결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 플레이트와 상기 곡선 플레이트의 접선이 이루는 내각의 각도가 둔각을 이루어 공기를 상기 천정을 따라 상기 냄새 배출부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냄새 역류방지 장치가 포함하는 것으로 되어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냄새 역류방지 장치는 주방 천정에 가이드부가 구비된 횡류팬(Tangential Fan)을 설치하여 후드로부터 흡입되지 못하여 실내로 역류하는 냄새를 재차 냄새 배출부로 복귀시킴으로써 냄새를 실내로부터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냄새 역류방지 장치의 구조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냄새 역류방지 장치가 주방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냄새 역류방지 장치의 횡류팬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밑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냄새 역류방지 장치는 주방 등에 설치되어 냄새를 제거하는 냄새 배출부(1)와, 상기 냄새 배출부(1)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천정(C)에 설치되어 상기 냄새 배출부(1)로부터 흡입되지 못하여 실내로 역류되는 냄새를 상기 냄새 배출부(1)로 복귀시켜서 배출시키는 횡류팬(3)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냄새 역류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냄새 배출부(1)는 통상적인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냄새 배출부(1)는 후드(5) 및 배기관(9)과, 흡기팬(7)을 구비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흡기팬(7)이 구동됨으로써 공기가 외부로 배기되어 주방의 냄새가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횡류팬(3)은 상기 냄새 배출부(1)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배치되며, 흡입구(11) 및 토출구(13)가 형성되는 하우징(Housing;15)과; 상기 하우징(15)의 내측에 회전구동가능하게 구비되어, 회전시 공기를 흡입 및 배출시키는 임펠러(Impeller;17)와; 상기 임펠러(17)를 회전시키는 모터 조립체(19)와; 상기 토출구(13)에 연장형성되며, 공기 토출방향으로 둔각(θ1)을 이루어 공기를 상기 냄새 배출부(1)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Guide portion;21)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5)의 내부에는 일정 공간이 형성되며, 그 저면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1)와, 토출구(13)가 형성된다.
이러한 흡입구(11) 및 토출구(13)는 서로 일정 거리 떨어지도록 배치됨으로써 공기의 흡입 및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임펠러(17)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5)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축(23)과, 이 축(23)상에 배치되어 횡단면이 원호형상인 다수개의 블레이드(Blade;25)와, 상기 다수개의 블레이드(25)를 축(23)상에 고정시키는 다수개의 러너 플레이트(Runner plate;27)를 포함한다.
상기 축(23)의 일측은 상기 하우징(15)의 내측에 장착된 베어링(Bearing;B)에 지지되며, 타측은 상기 모터 조립체(19)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 조립체(19)가 구동하는 경우, 상기 축(23)이 회전함으로써 다수개의 블레이드(25)도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블레이드(25)는 그 횡단면의 형상이 회전방향에 대하여 앞을 향하여 경사지는 원호형상을 이룬다.
따라서, 다수개의 블레이드(25)가 회전하는 경우, 공기가 블레이드(25) 사이를 통과할 때 블레이드(25)로부터 에너지를 받아 토출구(13)에서는 공기의 압력과 속도가 증가한 상태로 배출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하우징(15)의 내부에는 압력구배가 형성됨으로써 하우징(15)의 흡입구(11)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임펠러(17)를 거쳐서 토출구(13)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배출되는 공기는 일정 속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m/s 범위를 유지함으로써 냄새 배출부(1)로부터 실내 방향으로 유입시 냄새가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의 속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난 경우, 공기가 냄새를 사방으로 퍼트림으로써 냄새가 오히려 실내로 유입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부(21)는 상기 토출구(13)에 제공되어 토출되는 공기를 일정 각도로 토출시킴으로써 천정(C)을 타고 역류하는 냄새를 차단하여 냄새 배출부(1) 방향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21)는 상기 하우징(15)의 토출구(13)에 연결되어 공기를 안내하는 곡선 플레이트(29)와, 상기 곡선 플레이트(29)의 단부에 연장형성되어 천정(C)에 연결되는 연결 플레이트(3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곡선 플레이트(29)와 연결 플레이트(31)는 일정 각도(θ1), 바람직하게는 둔각을 이룬다. 즉, 상기 연결 플레이트(31)의 연장선과 상기 곡선 플레이트(29)의 접선이 이루는 내각의 각도(θ1)가 150도 내지 170도 범위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21)는 냄새의 역류를 방지하고,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냄새 배출부(1) 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토출구(13)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둔각상태의 가이드부(21)를 따라 토출됨으로써 천정(C)의 인접구역을 따라 흐르게 되고, 천정(C)으로부터 멀리 떨어 진 공간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천정(C)을 따라 흐른 공기는 냄새 배출부(1)에 도달함으로써 횡류팬(3)과 냄새 배출부(1) 사이 구간에는 공기가 흐르는 분위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토출된 공기는 주위의 공기를 최대로 유인하여 흐르게 되며, 또한, 이 공기는 약 1 내지 4m/s 의 속도로 흐름으로써 역류하는 냄새를 흐트리지 않고 냄새 배출부(1)방향으로 흐르게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 플레이트(31)의 연장선과 상기 곡선 플레이트(29)의 접선이 이루는 내각의 각도(θ1)가 150도 내지 170도 범위를 벗어난 경우, 토출되는 공기가 사방으로 분산됨으로써 냄새 배출부 방향으로 복귀되기가 어렵다.
결과적으로, 가이드부(21)에 의하여 형성된 이러한 공기의 흐름은 공기를 냄새 배출부(1)방향으로 복귀시킴으로써 실내로 역류하는 냄새를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냄새 배출부(1)로 복귀한 냄새는 냄새 배출부(1)의 후드(5) 및 배기관(9)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 5에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냄새 배출부(30)의 배기관(32) 상부에 배출홀(34)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즉, 배출홀(34)이 생략된 경우에는, 냄새 배출부(30)의 배기관(32)을 통하여 공기를 배출하는 경우, 공기가 천정(C)에서 후드(31)의 입구까지 하강한 후 배출되므로 시간이 지연될 수 있다.
반면에, 냄새 배출부(30)의 배기관(32) 상부에 배출홀(34)을 더 형성한 경우, 천정(C)과 배출홀(34) 사이의 거리가 짧아서 공기가 하강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음으로 신속하게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홀(34)은 냄새 배출부의 사양에 따라 직경이 가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냄새 역류방지 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냄새 배출부(40)의 배기관(42)에 배기팬(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배기팬(44)은 냄새 배출부(40)의 배기관(42)에 별도로 장착되어 독립적으로 구동함으로써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즉, 냄새 배출부(4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 배기팬(44)만을 구동시킴으로써 배기할 수 있다. 그리고, 냄새 배출부(40)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냄새 배출부(40)의 흡기팬(46)과 이 배기팬(44)을 같이 구동시킴으로써 냄새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냄새 역류방지 장치를 냄새 배출부(1)와 연동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냄새 배출부(1)를 생략하고 횡류팬(3)만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횡류팬(3)만을 구동시켜 냄새를 냄새 배출부(1)가 아닌 창문 혹은 단순한 관체형상의 배기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도 있다.
또한, 냄새 역류방지 장치를 천정(C)에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벽체, 바닥 등 천정(C) 이외의 개소에도 설치가능하다.
또한, 상기에서는 음식물 냄새를 배출하는 것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폐기물, 화학약품 등 각종 냄새를 배출시키는 분야에는 적용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냄새 역류방지 장치의 작동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지(r)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경우, 냄새가 냄새 배출부(1)로 흡입된다. 그리고, 냄새 배출부(1)로 흡입된 냄새는 배기관(19)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나, 일부 냄새는 천정(C)까지 상승한 후 천정(C)면을 따라 실내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이때, 상기 냄새 역류방지 장치의 횡류팬(3)을 구동시킴으로써 실내 방향으로 흐르는 냄새를 차단하고, 다시 냄새 배출부(1) 방향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즉, 횡류팬(3)의 전원을 온(ON)시키면, 모터 조립체(19)의 구동에 의하여 임펠러(17)가 회전하게 된다. 임펠러(17)가 회전함에 따라 블레이드(25)의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어 블레이드(25)로부터 에너지를 받아 토출구(13)에서는 공기의 압력과 속도가 증가한 상태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토출된 공기는 둔각상태의 곡선 및 연결 플레이트(29,31)를 따라 천정(C)으로 흐르게 되고, 천정(C)을 따라 흐른 공기는 냄새 배출부(1)에 도달함으로써 횡류팬(3)과 냄새 배출부(1) 사이에는 공기가 흐르는 분위기가 형성된다. 이때, 천정(C)의 저면에는 냄새가 실내방향으로 흐르는 상태이다.
따라서, 실내방향으로 역류하는 냄새는 냄새 역류방지 장치에 의하여 형성된 분위기에 의하여 실내 방향으로 진행하지 못하고 냄새 배출부(1) 방향으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횡류팬(3)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속도는 약 1 내지 4m/s 의 속도로 흐름으로써 역류하는 냄새가 배출되는 공기에 의하여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국, 냄새 배출부(1)로 복귀한 냄새는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실내에 냄새가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냄새 배출부(30)의 배기관(32)에 배출홀(34)을 더 형성한 경우에는, 천정(C)의 냄새가 냄새 배출부(30)에 도달하기 전에 배출홀(34)을 통하여 우선적으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냄새가 신속하게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냄새 배출부(40)의 배기관(42)에 별도의 배기팬(44)이 설치된 경우에는 배기팬(44)이 냄새 배출부(40)의 흡입팬(46)과 같이 연동하여 구동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냄새를 배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냄새 배출부(40)를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배기팬(44)만을 구동시킴으로써 냄새를 배출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냄새 역류방지 장치가 주방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냄새 역류방지 장치의 역류팬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임펠러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냄새 역류방지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냄새 역류방지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Claims (6)

  1. 실내 천정에 배치되며, 후드, 흡기팬, 배기관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냄새를 제거하는 냄새 배출부;
    상기 냄새 배출부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배치되는 횡류팬을 포함하며,
    상기 횡류팬은 실내 천정에 배치되며,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어, 회전시 상기 흡입구 및 토출구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 및 배출시키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모터 조립체; 그리고
    상기 토출구에 연결되어 공기를 안내하는 곡선 플레이트와, 상기 곡선 플레이트의 단부에 연장형성되는 연결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 플레이트와 상기 곡선 플레이트의 접선이 이루는 내각의 각도가 둔각을 이루어 공기를 상기 천정을 따라 상기 냄새 배출부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둔각은 150도 내지 170도 범위이고,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속도는 1 내지 4m/s 범위 이내이고,
    상기 냄새 배출부의 배기관에는 배기홀 및 배기팬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흡기팬과 연동하여 냄새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냄새 역류방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80054625A 2008-06-11 2008-06-11 냄새 역류방지 장치 KR100994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625A KR100994162B1 (ko) 2008-06-11 2008-06-11 냄새 역류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625A KR100994162B1 (ko) 2008-06-11 2008-06-11 냄새 역류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8727A KR20090128727A (ko) 2009-12-16
KR100994162B1 true KR100994162B1 (ko) 2010-11-15

Family

ID=41688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4625A KR100994162B1 (ko) 2008-06-11 2008-06-11 냄새 역류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41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23126B (zh) * 2016-08-09 2022-01-2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室内机及具有其的空调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402B1 (ko) * 2002-06-07 2004-08-21 주식회사 벤토피아 주방용 환기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402B1 (ko) * 2002-06-07 2004-08-21 주식회사 벤토피아 주방용 환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8727A (ko) 200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5662B1 (ko) 회전체 내장형 후드 시스템
KR101392784B1 (ko) 원심형 송풍기
KR101967772B1 (ko) 환풍장치
EP3779284B1 (en) Local exhaust device
KR100657528B1 (ko) 환기장치용 원심팬
KR101716356B1 (ko) 포집과 배출이 일체로 된 고효율 와류팬
KR20130090048A (ko) 와류형 국소배기장치
KR100994162B1 (ko) 냄새 역류방지 장치
EP1618821A3 (en) Centrifugal fan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centrifugal fan
JP2009103454A (ja) レンジフード
KR20100104870A (ko) 송풍기 및 이러한 송풍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20100034389A (ko) 주상복합건물용 기류 순환장치
JP5381365B2 (ja) 送風装置
KR20180128282A (ko) 무선 기류 증폭 장치
CA2442046C (en) Bathroom ventilation fan
KR100764284B1 (ko) 후드
KR20120026705A (ko) 와류를 이용한 배기장치
KR200332249Y1 (ko) 소음이 줄어드는 고효율 원심송풍기
KR101955668B1 (ko) 기류 증폭 장치
KR200360096Y1 (ko) 관류형 송풍팬의 와류방지구조
KR100764285B1 (ko) 후드
US20120308361A1 (en) Centrifugal electric pump for suction of aeriform fluids with silencing device
JP2001087201A (ja) 食器洗浄機および食器乾燥機
US20110142706A1 (en) Noiseless pressure blower
KR100402691B1 (ko) 송풍장치용 임펠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