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7772B1 - 환풍장치 - Google Patents

환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7772B1
KR101967772B1 KR1020180113543A KR20180113543A KR101967772B1 KR 101967772 B1 KR101967772 B1 KR 101967772B1 KR 1020180113543 A KR1020180113543 A KR 1020180113543A KR 20180113543 A KR20180113543 A KR 20180113543A KR 101967772 B1 KR101967772 B1 KR 101967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let
pump chamber
suction port
fron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환
Original Assignee
오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환 filed Critical 오성환
Priority to KR1020180113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77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1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for guiding air around a cur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65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fan combined with single duct; mounting arrangements of a fan in a 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의 공기가 흡기되는 부위에서의 오염을 방지하여 미관을 해지치 않으면서 공기의 배기 효율을 극대화하도록;
외부에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흡입구와 상기 배출구의 사이에 공기를 펌프하도록 된 펌프실이 각각 구비된 본체와;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된 모터와; 상기 모터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인가받아 회전하며 상기 펌프실에 배치되는 환풍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환풍장치에 있어서; 실내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구와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상기 본체의 흡입구에 결속되고상기 흡입구와의 사이간격을 통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된 '판(板;plate)' 형상의 전면패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에서 상기 흡입구와 상기 펌프실의 사이에는,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펌프실로 유도하도록 된 '깔대기'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지는 유도관;이 결합되되; 상기 유도관의 내주면에는,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와류상으로 유도하도록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돌출된 다수의 유도편들이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형성된 환풍장치 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환풍장치{Ventilation device}
본 발명은,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환풍시키도록 된 환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의 공기가 흡기되는 부위에서의 오염을 방지하여 미관을 해지치 않으면서 공기의 배기 효율을 극대화하도록 된 환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 식품 저장실, 와인 창고 등과 같은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여 환풍하도록 된 환풍장치들은, 주로 실내의 천정에 배치되어 실내의 천정에 시설된 배기덕트를 통해 실내의 공기를 강제로 배기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환풍장치는, 실내의 천정이나 벽면에 고정되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배기덕트와 공간적으로 연결되어 배기하도록 된 배출구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내장되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하도록 된 모터의 회전력을 통해 회전하여 실내의 공기를 흡입구로 흡입한 후 배기구를 통해 펌프하여 배출시키는 환풍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흡입구에는 다수의 통공을 가지는 흡입그릴이 설치되며, 상기 배출구에는 팬의 구동시 배기되는 공기압의 진입여부에 따라 공간을 개폐하도록 된 댐퍼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환풍장치는, 상기 본체에 내장된 상기 환풍팬이 회전됨과 동시에 발생되는 상기 환풍팬의 흡입력과 토출력에 의하여 상기 흡입그릴을 통해 주변의 오염된 공기가 흡입되어지고, 흡입되어진 오염된 공기는 토출력에 의하여 상기 배출구 및 상기 댐퍼를 통해 배출되어지는 과정에서 실내의 환기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4-0018796호(명칭: 환풍기/2004.07.02.)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건물의 벽면 및/또는 천정에 매설되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건물의 외부로 배출하는 환풍기로서, 건물의 내부와 외부를 향해 개방 형성된 양 단부를 구비하고, 양 단부가 관통 형성되고, 건물의 내부를 향해 개방된 저면부의 내측으로 움푹 파인 형상으로 형성되며, 흡입된 실내 공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 케이싱 스크롤의 일면에 구비되며, 건물의 외부를 향해 개방 형성되는 배출구 및 개방된 저면부로부터 배출구에 이르는 케이싱 스크롤의 내부 측면인 안내면을 포함하는 케이싱 스크롤과, 케이싱 스크롤의 내부에 장착되며,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축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그리고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되어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실내 공기를 흡입 및 배출시키고, 구동모터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납작한 판 형상의 하부판 및 하부판의 저면에 제 1 단부가 장착되는 다수의 회전날개를 포함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고, 각 회전날개가, 회전축에 인접한 영역인 제 1 영역은 회전부재의 회전방향에 반대방향을 향해 꺾여 있는 후향깃으로 형성되고, 제 1 영역의 외부 영역인 제 2 영역은 회전부재의 회전방향을 향해 꺾여 있는 전향깃으로 형성되는 환풍기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4-7011274호(명칭: 분리가능한 전면 커버를 구비한 환풍기/2003.01.17.)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흡입측의 끝부분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그 테두리에 전면 커버가 조립되는 원통 형상의 케이스속에 전기모터와, 팬과, 조정기 및 제어수단을 내장하여 구성되는 유형의 분리 가능한 전면 커버를 구비하는 환풍기에 있어서, 상기 전기모터는 지지 케이스속에서 이 지지 케이스의 원통형 부분의 상측에 위치하는 컵부재로 이루어진 하우징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은 가동부에의 접근을 방지하도록 베인 형태의 복수개의 원호형상의 반경방향 돌출부들에 의해 지지 케이스의 원통형부분속에 유지되며, 상기 전면 커버에는 지지 케이스의 테두리에 대하여 고정 및 분리가능하게 테두리에 전면 커버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요소들이 제공되며, 상기 고정요소들은 지지 케이스의 테두리에 형성된 각각의 홀에 대응하여 전면 커버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복수개의 러그들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은 지지 케이스의 테두리 외측에 일체로 힌지연결되며 개방스프링이 제공된 힌지커버에 의해 개폐되는 환풍기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3-0011778호(명칭: 천정용 환풍기/2013.02.21.)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팬과; 상기 모터 및 팬을 내부에 포함하며, 공기 흡입구와 토출구가 각각 구비되어진 케이싱으로 구성되는 천정용 환풍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스파이럴관을 포함한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그 일측벽에는 상기 토출구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지되, 그 상부에는 벨마우스가 구비된 덕트가 결합되고, 상기 덕트에는 공기 흡입구가 구비된 전면패널이 결합된 환풍기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3-0105463호(명칭: 환풍기/2013.09.03.)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벨 마우스 개구부의 상부측을 이루며, 일단에 공기 취출구가 형성된 나선 원통형의 상부 팬 스크롤 케이스부와, 벨 마우스 개구부의 하부측을 이루며, 하단이 개구된 원통인 하부 팬 스크롤 케이스부를 포함하는 팬 스크롤 케이스와; 상기 상부 팬 스크롤 케이스부 내에 장착된 회전팬과; 상기 벨 마우스 개구단부와 거리를 두어 상기 벨 마우스 개구부 내에 상하방향으로 걸치도록 장착되어 상기 회전팬을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중앙에 볼트체결용 관통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평판부 및 이 평판부의 상면에서 이 평판부에 대해 수직하게 돌출하여 상기 하부 팬 스크롤 케이스의 원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부를 갖는 하부 막음케이스; 및 일단은 상기 구동모터의 저면 중앙에 장착되고, 자유단은 상기 하부 막음케이스의 볼트체결용 관통공을 통과하게 뻗는 볼트 및 이 볼트의 자유단에 체결되는 너트로 이루어진, 상기 하부 스크롤 케이스에 대한 상기 하부 막음케이스의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환풍기가 기재되어 있다.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4-0018796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4-7011274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3-0011778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3-0105463호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환풍장치들은, 흡입구측에 설치된 흡입그릴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됨에 따라 주변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여 미관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흡기그릴에 축적된 먼지 등을 세척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의 공기가 흡기되는 부위에서의 오염을 방지하여 미관을 해지치 않으면서 공기의 배기 효율을 극대화하도록 된 환풍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환풍장치는, 외부에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흡입구와 상기 배출구의 사이에 공기를 펌프하도록 된 펌프실이 각각 구비된 본체와;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된 모터와; 상기 모터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인가받아 회전하며 상기 펌프실에 배치되는 환풍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환풍장치에 있어서; 실내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구와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상기 본체의 흡입구에 결속되고상기 흡입구와의 사이간격을 통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된 '판(板;plate)' 형상의 전면패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에서 상기 흡입구와 상기 펌프실의 사이에는,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펌프실로 유도하도록 된 '깔대기'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지는 유도관;이 결합되되; 상기 유도관의 내주면에는,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와류상으로 유도하도록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돌출된 다수의 유도편들이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환풍장치는, 공기를 와류상으로 유도하여 흡입구로 공급하도록 된 유도관을 통해 실내 공기의 배기효율을 극대화함은 물론, 전면패널에 오염원이 축적되지 않아 미관을 해치지 않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환풍장치를 보인 개략 분리 단면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환풍장치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환풍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환풍장치를 구성하는 전면패널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환풍장치를 구성하는 배출구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환풍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환풍장치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환풍장치(1)는, 외부에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21)와, 배출되는 배출구(22)와, 상기 흡입구와 상기 배출구의 사이에 공기를 펌프하도록 된 펌프실(23)이 각각 구비된 본체(2)와;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된 모터(3)와; 상기 모터(3)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인가받아 회전하며 상기 펌프실(23)에 배치되는 환풍팬(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본체(2)에 내장된 상기 환풍팬(4)이 상기 모터(3)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됨과 동시에 발생되는 상기 환풍팬(4)의 흡입력과 토출력에 의하여 상기 흡입구(21)를 통해 주변의 실내 공기가 흡입되어지고, 흡입되어진 공기는 상기 펌프실(23)을 경유하면서 상기 배출구(22)로 펌프되어 배출된다.
상기에서 본체(2)는, 실내의 천정에 고정되되 상기 흡입구(21)가 실내측 방향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배출구(22)에는, 천정에 시설된 배기덕트(미도시됨)와 공간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기덕트를 통해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환풍장치(1)는, 실내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구(21)와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상기 본체(2)의 흡입구(21)에 결속되고, 상기 흡입구(21)와의 사이간격을 통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된 '판(板;plate)' 형상의 전면패널(5);을 더 가진다.
즉, 실내의 공기가 상기 본체(2)와 상기 전면패널(5)의 사이공간(상기 전면패널(5)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본체(2)와 상기 전면패널(5)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유입되어 외부로 펌프됨에 따라, 실내에서 외부로 배기되는 공기에 함유된 오염원이 상기 전면패널(5)의 노출된 표면에 축적되지 않아, 외부로 노출된 상기 전면패널(5)의 미관을 해치지 않게 된다.
아울러, 청소시에 상기 본체(2)에서 상기 전면패널(5)을 분리한 후, 상기 전면패널(5)과 상기 본체(2)의 내부공간을 안정적으로 청소할 수 있어,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본체(2)와 상기 전면패널(5)은, 나사결합을 통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미도시된 끼움결합요소들이 각각 구비되어 끼움결합될 수도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환풍장치(1)는, 상기 본체(2)에서 상기 흡입구(21)와 상기 펌프실(23)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2)에 결합되며, 상기 흡입구(21)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펌프실(23)로 유도하도록 된 '깔대기'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지는 유도관(6)을 더 가진다.
즉, 상기 본체(2)와 상기 전면패널(5)의 사이공간으로 유입된 실내공기가 상기 유도관(6)을 통해 상기 펌프실(23)로 안정적으로 유도되어 펌프됨에 따라, 실내공기의 배기효율이 향상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환풍장치(1)에서, 상기 유도관(6)의 내주면에는, 상기 흡입구(21)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와류상으로 유도하도록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돌출된 다수의 유도편(61)들이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유도편(61)을 통해 실내의 공기를 상기 펌프실로 유도할 때, 와류상으로 유도하여 실내 공기의 배기효율을 극대화하게 된다.
상기에서 유도편(61)들은, 상기 유도관(6)의 내측면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다수개가 갯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도되는 공기를 와류상으로 유도하도록 사용자의 의해 선택된 공지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환풍장치(1)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 의한 환풍장치(1)는, 욕실, 저장실, 창고 등과 같은 실내의 천정(또는 벽면)에 상기 본체와 상기 전면패널의 사이공간이 실내로 노출되어, 상기 본체(2)와 상기 전면패널(5)의 사이공간으로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시설되어 적용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환풍장치(1)를 통해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사용자의 선택(조작)에 의해 상기 모터(3)에 전원을 인가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면, 상기 펌프실(23)에 배치된 상기 환풍팬(4)이 회전하면서 상기 펌프실(23)의 공기를 상기 배출구(22)로 배기하면서 상기 펌프실(23)에 펌프압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흡입구(21)에서 실내의 공기가 유입된다.
이때, 실내의 공기는 상기 본체(2)와 상기 전면패널(5)의 사이공간을 통해 유입된 후, 상기 유도관(6)을 통해 상기 펌프실(23)로 유도됨과 아울러, 상기 유도편(61)들을 통해 와류상으로 유도된 후, 상기 환풍팬(4)을 통해 상기 배출구(22)로 펌프되어 배기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환풍장치(1)은, 상기 전면패널(5)에서 상기 흡입구(21)측 방향으로 대면하는 표면에는, 상기 본체(2)와 상기 전면패널(5)의 사이공간으로 유입된 실내의 공기를 와류상으로 유도하도록 된 다수의 와류편(51)들이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와류편(51)들을 통해 실내의 공기가 상기 유도관(6)으로 유도될 때, 와류상으로 유도하여 실내의 공기가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흡입되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환풍장치(1)를 구성하는 상기 전면패널(5)의 다른 예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환풍장치(1)는, 상기 전면패널(5)에서 상기 흡입구(21)측 방향으로 대면하는 표면에는, 외측단에서 상기 유도관(6)의 중앙측 방향으로 갈수록 돌출된 폭이 점차 증대하도록 된 경사돌부(52)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돌부(52)의 표면에 상기 와류편(51)들이 구비된다.
즉, 상기 전면패널(5)의 외측단에서 유입되는 실내의 공기가 상기 경사돌부(52)의 경사진 표면을 통해 상기 유도관(6)측방향으로 방향성을 가지면서 유도됨과 아울러, 상기 와류편(51)들을 통해 와류상의 공기흐름을 가지도록 됨에 따라, 실내공기의 안정적인 흡입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실내공기의 환풍효율이 극대화 된다.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환풍장치(1)를 구성하는 상기 배출구(22)의 다른 예를 보인 도면으로, 상기 배출구(22)는, 상기 본체(2)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관(管;pipe)'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배출구(22)의 내측면에는, 상기 펌프실(23)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와류상으로 유도하는 와류수단(24)이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상기 와류수단(24)을 통해 배기되는 공기를 와류상으로 배출하여 배출효율을 극대화하게 된다.
상기에서 화류수단(24)은, 상기 배출구(22)의 내측면에서, 경사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돌편' 또는 '요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환풍장치 2 : 본체
21 : 흡입구 22 : 배출구
23 : 펌프실 3 : 모터
4 : 환풍팬 5 : 전면패널
51 : 와류편 52 : 경사돌부
6 : 유도관 61 : 유도편

Claims (2)

  1. 외부에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21)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22)와, 상기 흡입구(21)와 상기 배출구(22)의 사이에 공기를 펌프하도록 된 펌프실(23)이 각각 구비된 본체(2)와;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된 모터(3)와; 상기 모터(3)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인가받아 회전하며 상기 펌프실(23)에 배치되는 환풍팬(4)과; 실내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구(21)와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상기 본체(2)의 흡입구(21)에 결속되고, 상기 흡입구(21)와의 사이간격을 통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된 '판(板;plate)' 형상의 전면패널(5)과; 상기 본체(2)에서 상기 흡입구(21)와 상기 펌프실(23)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흡입구(21)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펌프실(23)로 유도하도록 된 '깔대기'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지며 내주면에 상기 흡입구(21)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와류상으로 유도하도록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돌출된 다수의 유도편(61)들이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형성되는 유도관(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환풍장치(1)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5)에서 상기 흡입구(21)측 방향으로 대면하는 표면에는,
    상기 본체(2)와 상기 전면패널(5)의 사이공간으로 유입된 실내의 공기를 와류상으로 유도하도록 된 다수의 와류편(51)들이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장치.
  2. 삭제
KR1020180113543A 2018-09-21 2018-09-21 환풍장치 KR101967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543A KR101967772B1 (ko) 2018-09-21 2018-09-21 환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543A KR101967772B1 (ko) 2018-09-21 2018-09-21 환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7772B1 true KR101967772B1 (ko) 2019-04-10

Family

ID=66163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543A KR101967772B1 (ko) 2018-09-21 2018-09-21 환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777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0750A (ko) * 2019-09-10 2021-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및 스마트 월
KR20210030749A (ko) * 2019-09-10 2021-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및 스마트 월
CN112594838A (zh) * 2020-12-23 2021-04-02 盐城师范学院 外语语言教室新风机管道系统
KR102331409B1 (ko) * 2021-04-02 2021-12-01 아이엔지기술(주) 와류형 흡입 장치
WO2023062699A1 (ja) * 2021-10-11 2023-04-20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清浄機
KR102633618B1 (ko) * 2023-07-28 2024-02-05 주식회사 한성넥스 환풍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6989A (ko) * 2010-12-30 2012-07-10 (주)대교테크 환기용 덕트
KR20130011778A (ko) 2011-07-22 2013-01-30 박세훈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교육용 미생물 배양 키트
KR20130038609A (ko) * 2011-10-10 2013-04-18 주식회사 그렉스전자 환풍기 커버의 조립장치
KR20130105463A (ko) 2012-03-14 2013-09-25 최우영 끓는 느낌을 부여하기 위한 즉석식품용 기포 발생제 및 이를 이용한 즉석식품
KR20160004713A (ko) * 2014-07-04 2016-01-13 김범진 고효율 와류형 배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6989A (ko) * 2010-12-30 2012-07-10 (주)대교테크 환기용 덕트
KR20130011778A (ko) 2011-07-22 2013-01-30 박세훈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교육용 미생물 배양 키트
KR20130038609A (ko) * 2011-10-10 2013-04-18 주식회사 그렉스전자 환풍기 커버의 조립장치
KR20130105463A (ko) 2012-03-14 2013-09-25 최우영 끓는 느낌을 부여하기 위한 즉석식품용 기포 발생제 및 이를 이용한 즉석식품
KR20160004713A (ko) * 2014-07-04 2016-01-13 김범진 고효율 와류형 배기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0750A (ko) * 2019-09-10 2021-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및 스마트 월
KR20210030749A (ko) * 2019-09-10 2021-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및 스마트 월
KR102662310B1 (ko) * 2019-09-10 2024-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및 스마트 월
KR102662311B1 (ko) * 2019-09-10 2024-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및 스마트 월
CN112594838A (zh) * 2020-12-23 2021-04-02 盐城师范学院 外语语言教室新风机管道系统
KR102331409B1 (ko) * 2021-04-02 2021-12-01 아이엔지기술(주) 와류형 흡입 장치
WO2023062699A1 (ja) * 2021-10-11 2023-04-20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清浄機
KR102633618B1 (ko) * 2023-07-28 2024-02-05 주식회사 한성넥스 환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7772B1 (ko) 환풍장치
RU2511502C2 (ru) Вентилятор в сборе
RU2519886C2 (ru) Вентилятор
RU2489651C2 (ru) Вентилятор
RU2526135C2 (ru) Вентилятор
KR20180004084A (ko) 공기조화기
KR100367726B1 (ko) 조리장용의배기장치
US11839344B2 (en) Sound reducing vacuum cleaner
CN211060326U (zh) 风门内置型换气机
KR20160141990A (ko) 댐퍼 부착형 송풍기
KR101716356B1 (ko) 포집과 배출이 일체로 된 고효율 와류팬
JP2001082396A (ja) 送風機、送風システム、送風システムの送風方法
CN202012968U (zh) 一种侧吸式集成灶
KR20100034389A (ko) 주상복합건물용 기류 순환장치
KR102197205B1 (ko) 환풍장치
KR100676919B1 (ko) 복합식 환풍기
KR102163367B1 (ko) 환풍장치
KR20090022106A (ko) 공기조화기
KR20070100019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210717744U (zh) 吸油烟机及吸油烟机安装结构
JP2776735B2 (ja) 誘引換気装置
JP2007205636A (ja) 換気装置
KR102633617B1 (ko) 환풍기
KR102633618B1 (ko) 환풍기
WO2022156233A1 (zh) 空调室内机和空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