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7726B1 - 조리장용의배기장치 - Google Patents

조리장용의배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7726B1
KR100367726B1 KR1019970706137A KR19970706137A KR100367726B1 KR 100367726 B1 KR100367726 B1 KR 100367726B1 KR 1019970706137 A KR1019970706137 A KR 1019970706137A KR 19970706137 A KR19970706137 A KR 19970706137A KR 100367726 B1 KR100367726 B1 KR 100367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box
range hood
duct
exhaust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6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702730A (ko
Inventor
요시히로 야마다
Original Assignee
요시히로 야마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히로 야마다 filed Critical 요시히로 야마다
Publication of KR19980702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2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7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7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5/00Gas separation
    • Y10S55/36Kitchen h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인지 후드를 사용한 배기방법의 장점을 충분히 살리면서, 소음 발생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배기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조리기의 주위에서 발생한 배기가스 등을 레인지 후드에 의해 확실하게 흡인하는 동시에, 흡인 도중 및 배기 도중에 흡인 손실을 초래하는 일이 없이 소음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배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배기장치(100)에서는 , 특히, 레인지 후드(11)내 또는 이것에 연통하는 수납상자(10)내에 배치되어 배기 덕트(40)에 접속되는 통기상자(20)를, 그 배기 덕트(40)측에 접속되어 배기 덕트(40)로 향하여 작은 직경을 이루는 접속상자(20a)를 가진 것으로 하고, 통기상자(20)의 대략 중앙부내에는, 배기 덕트(40)의 대략 중심으로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22)을 가진 좌우 한 쌍의 격벽(21)을 배치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리장용의 배기장치{EXHAUST SYSTEM FOR KITCHENS}
부엌이나 조리장에서는, 조리기에 의해 취사를 하기 때문에, 가스 연소에 의한 배기가스나, 유연(油煙)이나 냄새를 함유한 증기 등이 방출된다. 이들 배기가스 등은 이를 즉시 옥외로 배출하지 않으면 연소 효과를 저하시키거나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는 산소 결핍 상태가 되고, 특히 유연의 경우에는 즉시 배출하지 않으면 실내를 오염시키게 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이들 배기가스 등을, 예를 들어, 일본국 공개특허공고 평3-274325호 공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환풍기에 의해 직접 흡인하여 배출하거나, 또는 조리기의 위쪽에 배치한 레인지 후드를 통해 흡인 하여 송풍기에 의해 배기 덕트로부터 배출하고 있다.
특히, 레이지 후드를 이용하는 배기방법은, 환풍기를 사용하는 것과 비교하면, 레인지 후드에 의해 배기가스 등을 효율적으로 안내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소위 시스템 키친(system kitchen)에서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레인지 후드를 배기가스 등의 발생장소, 즉, 조리기에 근접시키면, 배기가스 등의 포집(捕集) 및 배출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배기방법으로서는 장점이 큰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레인지 후드를 사용한 종래의 배기방법에 있어서는, 그의 작동 중에 소음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아직 해소되어 있지 않다. 즉, 레인지 후드는 조리기의 주위를 둘러싸고 배기가스를 확실하게 포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충분한 크기를 가지는데 반하여, 이것으로부터 흡인된 배기가스 등을 배출하기 위한 배기 덕트는 가옥의 벽 등을 통하여 옥외로 배출시켜야 하기 때문에 직경이 약 15cm로 제한된 크기밖에 가질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배기가스 등을 옥외로 배출하기 위해, 송풍기를 소음을 일으키기 쉬운 대형의 것으로 해야 할 뿐만 아니라, 배기를 위한 통로가 복잡하게 될 수밖에 없으며, 이 복잡한 통기로의 여러 장소에 배기가스 등이 닿아 소음을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배기가스 등을 흡인기에 의해 흡인하는 경우, 배기가스 등의 통로에 복잡한 장해물이 있으면, 이것에 의해 흡인저항이 크게 되어 배기효율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소음의 발생원인이 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배기 덕트의 구경은, 이것을 벽이나 천정의 뒷면 등으로 인도하여 옥외로 개구(開口)시켜야 하므로, 레인지 후드의 개구 면적에 비하여 상당히 작게 해야만 하는 것이고, 이 구경이 작은 배기 덕트로 향하여 배기가스 등을 장해 없이 흡인하여 배출하기 위해서는, 얼마간의 연구가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배기장치와는 별도의 급기장치가 설치되는 부엌 등에서는, 배기가스만 배출이라면 400 ㎥/h 정도의 능력을 가진 배기장치로 충분하지만, 유연도 배출하고자 한다면, 500 ㎥/h 정도의 능력이 요구된다. 그러나, 급기장치를 별도로 설치하고 있는 부엌 등은 적기 때문에, 유연의 배출까지 충분히 행할 수 있는 배기장치로 하려면, 최대 700 ㎥/h 정도의 능력을 가지는 것으로 해야만 한다. 이러한 능력이 큰 배기장치에 의해 직경이 15 cm 정도인 배기 덕트로부터 배기를 행하려면, 아무래도 소음의 발생은 불가피한 것이다.
따라서, 배기량의 크고 소음이 적은 장치로서, 소위 시로코 팬(sirocco fan)을 채용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으나, 일반적인 시로코 팬은 그의 케이싱도 포함하면 상당히 큰 용적을 가지는 것으로 되어 있어, 이것을 용적이 작은 레인지 후드가 설치되는 시스템 키친 전체의 디자인 구성을 크게 변경해야만 한다. 그러나, 레인지 후드 등의 용적 변경을 포함한 디자인 변경은, 제한된 부엌 공간에서는 실질적으로 거의 불가능하고, 결과적으로 능력이 높은 시로코 팬일지라도, 그 대로는 사용 또는 채용할 수 없는 것이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레인지 후드를 사용한 배기방법의 장점을 충분히 살리면서 소음발생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배기장치를 만들기 위해서는 어떻게 하면 좋을 것인가에 대해 다양한 검토를 거듭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엌이나 조리장(調理場)에서 발생한 배기가스나 냄새를 함유한 증기 등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를 채용한 시스템 키친의 부분 정면도,
도 2는 레인지 후드 내에 설치된 때의 본 발명에 따른 배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장치를 구성하는 통기상자의 정면도,
도 4는 내부에 흡인기를 구비한 상태의 통기상자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배기장치를 구성하는 흡인기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이 채택한 수단은, 후술하는 「실시예」란에서 사용하는 부호를 붙여 설명하면,
부엌이나 조리장에 배치되어 있는 조리기(210)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 등을 레인지 후드(11)를 통하여 흡인하여 배기 덕트(40)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장치(100)로서, 이 배기장치(100)가, 레인지 후드(11)내에 직접 설치되거나 또는 그 레인지 후드와 연통하도록 그 레인지 후드에 연결된 수납상자(10)내에 설치되어 배기 덕트(40)에 접속되는 통기(通氣)상자(20)와, 이 통기상자(20)내에 수납되는 흡인기(30)로 구성되고, 상기 통기상자(20)는 그의 상부에, 상기 배기 덕트 (40)쪽으로 갈수록 좁아져 그 배기 덕트(40)에 접속되는 접속상자(20a)를 가지고 있고, 상기 통기상자(20)내의 중앙부에는, 배기 덕트(40)의 개구의 중심으로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22)을 각각 가진 한 쌍의 격벽(21)이 배치되어, 상기 접속상자 (20a)의 측벽과 함께, 배기 덕트(40)쪽으로 향하여 경사지면서 좁아지는 한 쌍의 통기로(23)를 제공하고, 또한, 상기 흡인기(30)는, 각각의 격벽(21)을 통과하여 각각의 통기로(23)측으로 각각 돌출하는 한 쌍의 구동축(32)을 가진 구동모터(31)와, 이 구동모터의 각 구동축(32)에 각각 부착되어 각 통기로(23)내에 각각 수납되고, 상기 통기상자(20)의 흡기구(24)측으로부터 구동모터(31)쪽으로 모아지도록 경사져 배치된 블레이드(33a)들을 가지는 한쌍의 시로코 팬(3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장치(100)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배기장치(100)는, 구동모터(31)에 의해 구동되는 각 시로코 팬(33)의 블레이드(33a)들을 흡기구측으로부터 구동모터(31)쪽으로 모아지도록 경사지게 배치하여 흡인기(30)를 구성하고, 이 흡인기(30)를, 옥외로 개구하는 배기 덕트(40)에 접속되는 통기상자(20)내에 수납하는 동시에, 이 통기상자(20)를 레인지 후드(11)내에 직접 수납하거나(도 1에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또는 이 통기상자(20)를 수납하는 수납상자(10)를 레인지 후드(11) 위에 배치한(도 6에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것이다. 그리고, 통기상자(20)내의 각 통기로(23)를 접속상자(20a)의 측벽과 격벽(21)의 경사면(22)에 의해 배기 덕트(40)쪽으로 향하여 경사지면서 좁아지도록 형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본 발명에 따른 배기장치(100)의 작용을, 이 장치에 의해 레인지 후드(11) 아래로부터 흡인되는 배기가스 등의 흐름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 배기장치(10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시스템 키친(200)을 구성하고 있는 조리기(210)의 위쪽에 배치되는 레인지 후드(11)내에 설치되는 것이고, 시스템 키친(200)의 전체 디자인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것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납상자(10)를 레인지 후드(11) 위에 접속하고 이 수납상자(10)내에 배기장치(100)를 수납한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이다. 즉, 이경우의 배기장치(100)는 레인지 후드(11)와 함께 일체적인 디자인을 이루고 있는 수납상자(10)내에 완전히 수납되므로, 특히 레인지 후드(11)의 디자인을 크게 변경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디자인을 변경함에 있어서도 그의 수납공간에 제한을 받지 않고 행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레인지 후드 (11) 그 자체, 또는 이것을 하나의 설비로 하는 시스템 키친(200)의 전체 디자인을 세련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시스템 키친(200)의 조리기(210)에서 다양한 조리가 이루어지면, 배기가스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조리에 의해 유연이나 냄새를 함유한 수증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들 배기가스 등은 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승하여, 그의 위쪽에서 개구하고 있는 레인지 후드(11)에 의해 받아내어지는 것이다. 이때, 배기장치(100)를 구성하는 흡인기(30)가 작동하고 있으면, 배기가스 등은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각각의 화살표를 따라 흡인되어, 통기상자(20)에 접속되어 있는 배기 덕트 (40)를 통하여 옥외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배기가스 등의 흐름은 흡인기(30)에 의한 구동에 의해 초래된다는 것은 당연하지만, 이 흡인기(30)에 의한 작동을, 이것에 의해 흡인되는 배기가스 등의 흐름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흡인기(30)의 구동모터(31)가 회전구동하면, 그 구동모터의 각 구동축(32)에 연결되어 있는 시로코 팬(33)이 회전하게 되고, 각 시로코 팬(33)을 구성하고 있는 각 블레이드(33a)는 각 시로코 팬(33) 내측의 기체를 가르면서 그 블레이드들 사이의 틈을 통해 외측으로 배출하는 것이다. 이 흡인기(3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측벽에 흡기구(24)를 가지고 있고 상면에 배기구(25)를 가진 통기상자(20)내에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각 시로코 팬(33)의 회전에 의해, 통기상자(20) 밖의 기체가 도 2 및 도 3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흡기구(24)를 통해 통기상자(20) 내로 흡인되고 배기구(25)를 통해 배기 덕트(40)내로 배출되는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각 시로코 팬(33)을 구성하고 있는 블레이드(33a)들이 통기상자(20)의 흡기구(24)측으로부터 구동모터(31)쪽으로 모아지도록 경사져 있다는 것인데, 이것에 의해, 블레이드(33a)들 사이의 틈으로부터 각 통기로(23)내로 배출되는 기체의 흐름이 격벽(21)에 가까운 통기로(23)의 부분(내측)에서는 빠르고, 통기상자(20)의 측벽에 가까운 통기로(23)의 부분(외측)에서는 느리게 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배기 덕트(40)가 접속되는 배기구(25)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기상자(20)의 본체보다 좁게 되어 있기 때문에, 흡기구(24)로부터 통기상자(20)의 측벽을 따라 배기구(25)에 이르는 외측 흐름 경로는 구동모터(31)에 근접한 부분으로부터 격벽(21)을 따라 배기구(25)에 이르는 내측 흐름 경로에 비하면 짧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의 배기장치(100)의 각 통기로(23)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을 고찰하여 보면, 각 통기로(23)내의 내측 흐름 경로에 따른 흐름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각 통기로(23)내의 외측 흐름 경로에 따른 흐름보다 빠르게 되어 있기 때문에, 각 시로코 팬(33)을 통해 배기구(25)로 보내지는 기체는 각 통기로(23)의 어느 부분에서도 급격한 압력변화나 난류를 수반하지 않고 원활하게 흐르게 되는 것이다.
또 다른 중요한 것은, 배기 덕트(40)쪽으로 갈수록 좁아져 배기 덕트(40)에 접속되는 접속상자(20a)가 통기상자(20)의 상부에 제공되어 있고, 구동모터(31)를 수납하고 있는 통기상자(20)내에는 좌우의 통기로(23)를 형성하기 위한 한 쌍의 격벽(21)이 배치되어 있고, 이 격벽(21)은 배기구(25)에 접속되는 배기 덕트(40)의 개구의 중심으로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22)을 가진 것으로 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각 통기로(23)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흡기구(24)로부터 배기구(25)로 자연스럽게 향하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게 되므로, 각 시로코 팬(33)에 의해 배기 덕트(40)측으로 송출되는 기체를 무리 없이 안내하게 된다.
따라서, 이상으로부터 흡인기(30)의 구동모터(31)의 작동에 의해 각 시로코 팬(33)이 회전하여, 각 흡기구(24)로부터 흡인한 배기가스 등을 배기구(25)로 향하여 송출함에 있어, 배기가스 등의 흐름에 저항이 되는 것이 통기상자(20)내에는 거의 없게 되어 있고, 그 결과, 구동모터(31)의 회전구동이 공회전하는 일 없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소음이 발생하는 일도 거의 없는 것이다. 또한, 이 흡인기(30)에 있어서는, 구동모터(31)의 양쪽 구동축(32)이 좌우로 돌출하여 있고, 각 구동축(32)에 각각 시로코 팬(33)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모터(31)에 대한 균형이 좋고, 각 시로코 팬(33)에 의한 흡기 및 배기가 장해도 저항도 없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물론, 이상과 같은 흡인기(30)를 수납한 통기상자(2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레인지 후드(11)내에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레인지 후드(11)에서 받아낸 배기가스 등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기상자(20)의 각 흡기구(24)로부터 직접 거둬들여지는 것이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통기상자(20)는 수납상자(10)내에 수납되어 있고, 이 수납상자(10)는 레인지 후드(11)의 상단에 연통하는 상태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레인지 후드(11)에서 받아낸 배기가스 등은, 도 6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수납상자(10)내로 거둬들여지는 것이다. 그리고, 이 수납상자(10)내에는 통기상자(20)측의 각 흡기구(24)가 개구하여 있고, 이 통기상자(20)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배기구(25)에는 배기 덕트(40)의 하단이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레인지 후드(11)에 의해 받아낸 배기가스 등은 배기 덕트(40)로부터 옥외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본 발명에 따른 배기장치(100)에 의하면, 조리기에서 발생한 배기가스 등을 레인지 후드(11)에 의해 확실하게 흡인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배기가스 등의 흡인 도중 및 배기 도중에 흡인 손실을 초래하자 않고, 또한,소음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배기장치(100)에 의하면, 급기장치를 가지고 있지 않은 부엌 등에 대해서도, 저소음으로 700㎥/h 정도의 배기를 충분히 행할 수 있는 것이고, 레인지 후드(11)의 용적 및 디자인에 관계없이 설치할 수 있어, 유용성이 높은 것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 도면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배기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장치(100)를 채용한 시스템 키친(200)의 부분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시스템 키친(200)에서는, 중앙부에 다양한 취사를 행하는 가스레인지와 같은 조리기(210)가 배치되어 있고, 이 조리기(210) 상방에는 그 조리기로부터 발생한 배기가스 등을 받아내기 위한 레인지 후드(11)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레인지 후드(11)내에는, 본 발명의 배기장치(100)를 구성하는 통기상자(20)가 수납되어 설치되고, 이 통기상자(20)의 상면에는, 배기 덕트(40)의 하단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통기상자(20)는, 도 6에 나타낸 실시예와 같이, 레인지 후드(11)의 위쪽에 수납상자(10)를 일체로 설치하고, 이 수납상자(10)의 상단부를 천정 등에 부착하는 동시에, 이 수납상자(10)내에 배기가스 등을 옥외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 덕트(40)를 수납하면서, 이 수납상자(10)내에 통기상자(20)가 수납 되도록 실시해도 좋은 것이다.
통기상자(20)는 도 2~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자 형상의 것으로, 그의 상면측에 접속한 접속상자(20a)의 배기구(25), 및 좌우 양측에 형성한 흡기구(24)를 제외하면, 전체를 기밀(氣密)적으로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이 통기상자(20)내에는, 특히 도 3 및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통기상자(20)내에 동일한 크기의 통기로(23)를 좌우로 형성하기 위한 좌우 한 쌍의 격벽(21)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이 통기상자(20)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인지 후드(11)의 위쪽에 설치한 수납상자(10)내에 수납하는 경우에는, 이 수납상자(10)내에 통기공간 (12)을 사이에 두고 그 통기상자(20)를 수납 ·지지하고, 이 통기상자(20)의 상면에, 배기 덕트(40)측에 배치되고 이 배기 덕트(40)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접속상자(20a)를 접속하면 좋다. 그리고, 이 접속상자(20a)의 상면에 형성한 배기구(25)에 배기 덕트(40)의 하단을 접속하는 것이다.
격벽(21)은, 그의 좌우에 통기로(23)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흡인기(30)의 구동모터(31)를 지지하는 부분도 되고 있다. 또한 이 격벽(21)의 상단에는, 배기 덕트(40)의 개구의 중심으로 향하여 경사진 좌우 한 쌍의 경사면(22)이 형성되어 있어, 이들 각 경사면(22) 및 상기 접속상자(20a)의 측벽에 의해 배기가스 등을 배기 덕트(40)로 향하여 무리 없이 안내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격벽(21)의 대략 중앙부분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인기(30)의 구동모터(31)가 지지되어 있고, 이 구동모터(31)의 구동축(32)들이 격벽(21)을 통과하여 각 통기로(23)내로 좌우로 수평으로 돌출하여 있는 것이다.
흡인기(30)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구동모터(31)와, 이 구동모터(31)의 각 구동축(32)에 일체화한 한 쌍의 시로코 팬(33)을 가지고 있는 것이고, 각 시로코 팬(33)은 통기상자(20)내의 각 통기로(23)에 수납 ·배치되어 있다. 각 시로코 팬(33)은 다수의 블레이드(33a)를 가지고 있고, 이들 블레이드 사이로부터 기체를 외측으로 향하여 배출하는 것인데, 각 블레이드(33a)는 그 시로코 팬의 전체 형상이 통기상자(20)의 흡기구(24)로부터 구동모터(31)쪽으로 갈 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을 이루도록 경사져 있다. 이 각 블레이드(33a)의 경사에 의해, 각 시로코 팬(33)에 의해 흡인된 배기가스 등의 통기로(23)내에서의 배출이 그의 흐름에 혼란을 일으키지 않고 행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배기가스 등의 흡기구(24)를 통기상자(20)의 양측에, 또한 배기 덕트(40)에 접속시키는 배기구(25)를 통기상자(20)의 상면에 형성하도록 하여, 각각의 부재를 이들에 맞춘 위치에 배치한 것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예를 들어, 구동모터(31)의 각 구동축(32)을 통기상자(20)의 전후로 돌출하도록 하여 실시해도 좋고, 배기 덕트(40)를 통기상자(20)의 한쪽 면에 부착하도록 실시해도 좋은 것이다.

Claims (1)

  1. 부엌이나 조리장에 배치되어 있는 조리기(210)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레인지 후드(11)를 통하여 흡인하여 배기 덕트(40)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장치 (100)로서,
    이 배기장치(100)가, 상기 레인지 후드(11) 내에 설치되거나 또는 그 레인지 후드와 연통하도록 그 레인지 후드에 연결된 수납상자(10)내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 덕트(40)에 접속되는 통기상자(20)와, 이 통기상자(20)내에 수납되는 흡인기(30)로 구성되고,
    상기 통기상자(20)는 그의 상부에, 상기 배기 덕트(40)쪽으로 갈수록 좁아져 상기 배기 덕트(40)에 접속되는 접속상자(20a)를 가지고 있고,
    상기 통기상자(20)내의 중앙부에는, 상기 배기 덕트(40)의 개구의 중심으로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22)을 각각 가진 한 쌍의 격벽(21)이 배치되어, 상기 접속상자(20a)의 측벽과 함게, 상기 배기 덕트(40)쪽으로 향하여 경사지면서 좁아지는 한 쌍의 통기로(30)를 제공하며,
    상기 흡인기(30)는, 각각의 상기 격벽(21)을 통과하여 각각의 상기 통기로 (23)측으로 각각 돌출하는 한 쌍의 구동축(32)를 가진 구동모터(31)와, 이 구동모터의 각 구동축(32)에 각각 부착되어 각각의 상기 통기로(23)내에 각각 수납되고, 상기 통기상자(20)의 흡기구(24)측으로부터 상기 구동모터(31)쪽으로 모아지도록 경사져 배치된 블레이드(33a)들을 가지는 한 쌍의 시로코 팬(3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장치.
KR1019970706137A 1995-03-08 1996-02-29 조리장용의배기장치 KR1003677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048295A JP2609208B2 (ja) 1995-03-08 1995-03-08 調理場用の排気装置
JP7-48295 1995-03-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2730A KR19980702730A (ko) 1998-08-05
KR100367726B1 true KR100367726B1 (ko) 2003-04-23

Family

ID=12799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6137A KR100367726B1 (ko) 1995-03-08 1996-02-29 조리장용의배기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890484A (ko)
EP (1) EP0833112B1 (ko)
JP (1) JP2609208B2 (ko)
KR (1) KR100367726B1 (ko)
CN (1) CN1120334C (ko)
DE (1) DE69605796T2 (ko)
TW (1) TW376974U (ko)
WO (1) WO19960277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70920A1 (en) * 1999-07-20 2001-01-24 L.N. 2 S.r.l. Suction unit for a cooker hood
DE10064328A1 (de) * 2000-12-22 2002-06-27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Dunstabzugshaube
ITMI20020096U1 (it) 2002-02-26 2003-08-26 Faber Spa Cappa domestica o industriale con dispositivo di fisaggio rapido di un ventilatore centrifugo
US6569008B1 (en) * 2002-09-30 2003-05-27 Li-Lin Chang Network for an oil-smoke exhausting device
US20040077303A1 (en) * 2002-10-21 2004-04-22 Masser Leslie D. Ventilation system for removal of hair spray fumes
US20040194776A1 (en) * 2003-04-03 2004-10-07 Silentium Ltd. Method for reducing noise of a cooking hood and a cooking hood based on such method
US7191616B2 (en) * 2003-04-23 2007-03-20 Lg Electronics Inc. Front suction/discharge type outdoor unit for air-conditioner and outdoor unit installation system using it
US7513248B2 (en) * 2004-08-09 2009-04-07 General Electric Company Appliance exhaust duct cover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US20060249142A1 (en) * 2005-02-22 2006-11-09 Andre Bibaud Pipe coupling for a venting system
US7699051B2 (en) * 2005-06-08 2010-04-20 Westen Industries, Inc. Range hood
US20070099558A1 (en) * 2005-10-31 2007-05-03 Oagley Howard J Hood assembly
US20100000512A1 (en) * 2008-07-07 2010-01-07 Rong Fung Huang Pollutant Removing Device and Dual-Air Curtain Range Hood Using the Device
DE102009003957B4 (de) * 2008-09-18 2020-12-17 Berling Aero IP UG (haftungsbeschränkt) Dunstabzugshaube
US20100095949A1 (en) * 2008-10-17 2010-04-22 Rong Fung Huang Pollutant removing device and oblique single air curtain range hood using the device
US9623506B2 (en) 2011-02-01 2017-04-18 Illinois Tool Works Inc. Fume extractor for welding applications
CN102954514B (zh) * 2011-08-27 2016-08-17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抽油烟机及其龙卷风产生装置
US9821351B2 (en) 2011-11-11 2017-11-21 Illinois Tool Works Inc. Welding fume extractor
CN102563736A (zh) * 2012-01-17 2012-07-11 浙江欧意电器有限公司 一种便于拆洗维修的吸油烟机
US9498805B2 (en) 2012-03-16 2016-11-22 Illinois Tool Works Inc. Airborne component extractor with improved flow paths
CN102913974B (zh) * 2012-11-09 2015-05-13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油烟机进风口的锁定装置
US9839948B2 (en) * 2013-01-29 2017-12-12 Illinois Tool Works Inc. Fume evacuation system
US9272237B2 (en) 2013-06-28 2016-03-01 Illinois Tool Works Inc. Three-phase portable airborne component extractor with rotational direction control
US10808953B2 (en) 2013-06-28 2020-10-20 Illinois Tool Works Inc. Airborne component extractor with baffled debris collection
US10242317B2 (en) 2014-11-25 2019-03-26 Illinois Tool Works Inc. System for estimating the amount and content of fumes
EP3037673B1 (en) * 2014-12-22 2019-09-11 Whirlpool EMEA S.p.A Suction device for a hood
US11014132B2 (en) 2015-07-16 2021-05-25 Illinois Tool Works Inc. Extractor with end-mounted positive pressure system
US11530826B2 (en) 2015-07-16 2022-12-20 Illinois Tool Works Inc. Extractor with segmented positive pressure airflow system
JP7004279B2 (ja) * 2016-08-31 2022-01-21 富士工業株式会社 レンジフー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28683A (en) * 1955-04-11 1958-04-01 Anthony B Joseph Ventilating apparatus
US2825500A (en) * 1956-03-09 1958-03-04 Wallace W Mclean Ventilating apparatus
US2886124A (en) * 1956-07-13 1959-05-12 Duct Less Hood Co Inc Kitchen conditioner
US3496704A (en) * 1966-12-07 1970-02-24 Broan Mfg Co Inc Convertible hood for console range
US4418261A (en) * 1982-01-15 1983-11-29 Amana Refrigeration, Inc. Microwave oven and ventilator system
JPS58145415U (ja) * 1982-03-24 1983-09-30 三菱電機株式会社 換気機能付きガス台
JPH03274325A (ja) 1990-03-23 1991-12-05 Shoichi Hirokawa 調理煮焼き排煙促進装置
DE9016767U1 (ko) * 1990-12-12 1991-02-28 Ebm Elektrobau Mulfingen Gmbh & Co, 7119 Mulfingen, 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605796D1 (de) 2000-01-27
EP0833112B1 (en) 1999-12-22
JP2609208B2 (ja) 1997-05-14
WO1996027768A1 (fr) 1996-09-12
CN1178004A (zh) 1998-04-01
US5890484A (en) 1999-04-06
EP0833112A4 (en) 1999-02-24
JPH08247518A (ja) 1996-09-27
TW376974U (en) 1999-12-11
DE69605796T2 (de) 2000-06-29
KR19980702730A (ko) 1998-08-05
CN1120334C (zh) 2003-09-03
EP0833112A1 (en) 1998-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7726B1 (ko) 조리장용의배기장치
JP3866779B2 (ja) ブロワの防音装置
JP3720452B2 (ja) レンジフードファン
KR20140105972A (ko) 주방용 레인지 후드
KR20020057150A (ko) 전자레인지의 구조
JP2007107751A (ja) レンジフード
JPWO2004051152A1 (ja) 給排気型レンジフード
KR101985797B1 (ko) 환기 장치와 이를 포함한 환기 시스템
EP3399194B1 (en) Local ventilation equipment and blower therein
JP3131731B2 (ja) 調理場用の排気装置
JP2003240262A (ja) 二重管用給排気装置
JPH11257698A (ja) 換気装置
JP4861524B1 (ja) パッケージ型の回転ポンプユニット
KR100420322B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KR20000060555A (ko) 벽걸이형 전자렌지
JP2002340357A (ja) 空気調和機
JPH05180463A (ja) 一体形空気調和機の室外送風構造
KR200234091Y1 (ko) 레인지 후드
KR102476778B1 (ko) 후드
JP2004211945A (ja) レンジフードのための給排気管接続ボックス
JP2008093574A (ja) 空気調和機
KR20030059877A (ko) 배기모터를 이용한 가열실 배기구조
JP3599455B2 (ja) 強制給排気式レンジフードファン
JPH10122619A (ja) 排気装置
KR20050090092A (ko) 급배기형 렌지 후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