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0092A - 급배기형 렌지 후드 - Google Patents

급배기형 렌지 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0092A
KR20050090092A KR1020047018201A KR20047018201A KR20050090092A KR 20050090092 A KR20050090092 A KR 20050090092A KR 1020047018201 A KR1020047018201 A KR 1020047018201A KR 20047018201 A KR20047018201 A KR 20047018201A KR 20050090092 A KR20050090092 A KR 20050090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tment
air supply
air
hood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8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히로 야마다
Original Assignee
요시히로 야마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히로 야마다 filed Critical 요시히로 야마다
Priority to KR1020047018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0092A/ko
Publication of KR20050090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0092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27Ducting arrangements using parts of the building, e.g. air ducts inside the floor, walls or ceiling of a bui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이 급배기형(級俳氣型) 렌지 후드(100)는 후드 본체(10)의 상부 내에 상하 방향으로 구획되어 서로 인접하는 제 1 구획함(20) 및 제 2 구획함(30)를 배치하고, 제 1 구획함(20)에 후드 본체(10) 내로 개구하는 흡인구(21)와 덕트(53)가 접속되는 배출구(23)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제 1 구획함(20) 내에 흡인구(21)로부터 흡인한 배기를 각 후드(22a)의 사이로부터 배출하는 시로코 팬(sirocco fan)(22)을 마련하고, 제 2 구획함(30)에 옥외 또는 실내의 공기를 흡인하는 급기 덕트(54)에 접속되는 급기구(31)와 흡인한 공기를 후드 본체(10) 내측 또는 외측으로 급기하는 토출구(32)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제 2 구획함(30) 내에 상기 공기를 토출구(32)를 향하여 내보내는 급기 팬(33)을 마련하고, 이 급기 팬(33) 및 시로코 팬(22)을 하나의 구동 모터(40)에 의해 동축적으로 구동하도록 한 것이고, 이것에 의해 주방 내의 조리기(70)로부터 발생한 유연(油煙)을 포함하는 배기의 배출을 급기 팬(33)에 의한 외기의 도입이라는 도움을 빌어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로코 팬(22)과 급기 팬(33)을 하나의 구동 모터(40)에 동축적으로 연결하도록 하였으므로, 매우 콤팩트화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급배기형 렌지 후드{Air supply and exhaust type range hood}
본 발명은 가열 장치 위의 냄비나 프라이팬 등의 조리기로부터 발생하는 유연(油煙)이나 수증기를 포함한 배기를 포집(抱集)하여 옥외로 배출하는 렌지 후드, 특히 스스로 외기(外氣)나 실내 공기를 흡인하면서 배기를 행하도록 한 급배기형(給俳氣型) 렌지 후드에 관한 것이다.
주방의 전자 조리기나 가스 풍로 등의 가열 장치에 의해, 예를 들면 프라이팬으로 조리를 하면, 그 조리에 사용한 기름이 유연이 되어 증발하고, 이 유연이 조리 재료의 수분에 의한 수증기와 함께 상승한다. 이 유연 등의 배기는 그대로 주방 내로 방산시키면 벽이나 가구를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그 안의 냄새에 의해 주방 내의 공기를 오염시키기도 한다. 이 때문에 종래부터 주방의 조리기 위에 설치되는 다양한 렌지 후드가 제안되고 있으며, 이 렌지 후드에 내장되어 있는 팬의 작용에 의해 배기를 포집하여 옥외로 배출하도록 되어 온 것이다.
한편 최근의 가옥에 있어서 살펴보면,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집합 주택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방의 기밀성이 매우 높아졌기 때문에 렌지 후드가 설치되어 있는 주방도 기밀성이 높아지게 되었다.
이 기밀성이 높은 주방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렌지 후드를 작동시키더라도, 배기의 배기량에 맞는 공기의 공급이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충분한 배기가 행해질 수 없다. 창을 열어 외기를 도입하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지만, 겨울에는 차가운 공기를 방 안으로 도입하게 되어, 모처럼의 렌지 후드도 충분히 사용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많다. 그 결과, 여전히 조리할 때마다 방의 공기가 오염되고, 유연이 벽이나 방에 부착되게 된다.
또한 최근의 집합 주택은 고층화하고 있기 때문에, 약 20 미터 이상의 방에서는 바람에 의한 영향 때문에, 충분한 급기(給氣)를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 첫번째 이유는 창측에서부터 바람이 들어오기 어렵게 되어 있어, 직접 외기를 취하기 어렵기 때문이고, 두번째 이유는 고층이 되면 될수록 창측에 바람에 의한 부압(負壓)이 발생하기 때문에 외기의 도입이 어렵게 되기 때문이다. 즉, 바람이 들어오는 측에는 반대측 방의 외면에 대하여 바람이 빠져나가는 것에 의한 부압이 발생하기 때문에, 만약 벽에 통기구(通氣口)를 열었다고 하더라도 그곳으로부터 외기가 들어오는 것이 어렵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렌지 후드에서는 계절이나 창의 상태에 상관없이, 조리 직후에 팬 정지를 행하는 경우에도, 유연을 포함하는 배기가 조리기로부터 상승하여, 이 배기에 의해서도 주방 내의 공기나 벽이 오염되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출원인은 일본국 특허 제 3131731호 등에 있어서, 배기 기능을 충분히 높인 렌지 후드용의 배기 장치를 제안하여 오고 있는데, 이 일본국 특허 제 3131731 호의 고안을 좀더 발전시켜, 급기도 스스로 행하도록 하려면 어떻게 하면 좋을지에 대하여 다양한 조사를 거듭해 온 결과, 도 9에 도시하는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평05-196268호에 제안되어 있는 「동시 급배기형 렌지 후드(200)」를, 또한 도 10에 도시하는 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 평07-260227호 공보에 제안되어 있는 「급배기식 렌지 후드(300)의 팬」, 또는 도 11에 도시하는 카탈로그(도쿄도 츄오쿠 핫쵸보리 4-1-3 소재의 단레이 코교 카부시키가이샤 발행, 2001년 11월 현재 내용을 나타내는 것, 그 제 38 항)에 기재되어 있는 「렌지 후드(400)」에 눈을 돌리기 시작한 것이다.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평05-196268호에 제안되어 있는 「동시 급배기형 렌지 후드(200)」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선 화살표로 도시한 배기의 흐름을 점선 화살표로 도시한 급기의 흐름에 의해 둘러싸고, 배기를 후드 본체(206) 내로 완전히 보내도록 한 것이다.
이 도 9에 도시한 렌지 후드(200)에서는 상기 공보의 단락(0019)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급기 팬(201)은 급기용 전동기(202)로 구동되고, 배기 팬(203)은 배기용 전동기(204)로 구동되고, 이들 급기용 및 배기용 전동기(202, 204)는 팬 인버터(205)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다.
바꿔 말하면, 도 9에 도시한 종래의 렌지 후드(200)에서는 급기 및 배기의 양팬(201, 203)이 별개로 배치되어 있고, 각각 전동기(202, 204)를 필요로 하고 있으므로, 이들을 수납하기 위해, 후드 본체(206)에 큰 공간이 필요하게 되어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한 렌지 후드(300)에 관하여 살펴보면, 이 렌지 후드(300)도 도면 내의 검은 화살표로 표시한 배기의 흐름을 흰 화살표로 도시한 급기의 흐름으로 둘러싸고, 배기를 후드 본체(301) 내로 완전히 내보내도록 한 것이지만, 이 렌지 후드(300)에서도, 상술한 도 9의 렌지 후드(200)와 마찬가지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즉, 이 도 10의 렌지 후드(300)는 상기 공보의 단락(0009)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먼저 하면을 개방한 상자 모양으로 형성한 후드 본체(301) 내에 케이싱(302), 모터(303) 및 팬(304)으로 구성되는 배기 장치(310)를 배치한 것으로, 이 배기 장치(310)는 천판부(天板部)(320)의 하면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 렌지 후드(300)는 단락(0013)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천판부(320)의 상면에 외기 급기 장치(330)를 배치한 것으로, 이 외기 급기 장치(330)는 천판부(320) 상면에 부착된 케이싱 내부에 급기 팬(331)을 수납하고, 천판부(320) 하면에 부착된 모터(332)에 의해 구동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이 도 10에 도시한 렌지 후드(300)도 급기 및 배기 팬(331, 302)이 천판부(320)에 상하 별개로 배치되어 있어, 각각 모터(332, 303)를 필요로 하고, 이들을 수납하기 위해 후드 본체(301) 내에 큰 공간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도 11에 도시한 「렌지 후드(400)」에서는 배기 팬(401) 및 급기 팬(402)을 하나의 구동 모터(403)로 구동하도록 하여, 배기 팬(401)에 의한 배기를 배기 덕트(404)에서, 또한 급기 팬(402)에 의한 급기를 급기 덕트(405)에서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도 9나 도 10에서 도시한 렌지 후드(200, 300)에서의 배기 팬 및 급기 팬의 각각을 개별로 구동하는 불필요한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이 도 11에 도시한 렌지 후드(400)에서는 배기 팬(401) 및 급기 팬(402)이 후드 본체(406) 내의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각 팬이 회전하여 배기나 공기의 흐름을 만들기 위해서는 횡 방향으로 상당히 큰 공간이 필요하게 되고, 후드 본체(406)의 상부가 커지게 되어 해당 렌지 후드(400)의 수납이나 장착을 곤란하게 할 뿐만 아니라, 디자인 상으로 보았을 때도 적당하지 않다고 생각된다. 또한 상하 방향에 대한 공간도 충분히 큰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조리기와 천장과의 사이의 공간이 별로 없는 일반 주택에 있어서, 설치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즉, 이러한 종류의 렌지 후드는 도 9 및 도 10에도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자 조리기 등의 가열 장치 위의 조리기의 상방에 배치된 것으로, 조리기와 천장과의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하 방향에 대해서는 그 정도로 크게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 개인 주택에 있어서는 주방의 천장은 낮고, 도 9 ∼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되는 종래의 렌지 후드는 설치하기 어려운 것이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배기의 배출은 물론, 배기를 둘러싸는 에어 커튼 등을 발생시키기 위한 급기도 행하고, 게다가 천장이 낮은 일반 주택에 있어서도 설치할 수 있는 렌지 후드로 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하면 좋을지에 대하여 다양한 검토를 거듭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의 경위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급기와 배기를 동시에 행하도록 하여, 실내의 공기나 벽 등을 더럽히지 않도록 함은 물론, 전체를 콤팩트화함으로써, 설치 공간을 작게 하여 어떠한 주방에도 적용할 수 있는 렌지 후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기를 둘러싸기 전의 급기에 기인하는 에어 커튼에 의해 후드 본체가 더러워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급배기형 렌지 후드의 종단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1-1선을 따라 본 횡단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2-2선을 따라 본 종단 우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3-3선을 따라 본 종단 좌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급배기형 렌지 후드의 종단 정면도이고,
도 6은 상기 급배기형 렌지 후드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 종단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4-4선을 따라 본 종단 우측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5-5선을 따라 본 종단 좌측면도이고,
도 9는 종래의 기술을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이고,
도 10은 종래의 다른 기술을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이고,
도 11은 종래의 또 다른 기술을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0 - 급배기형 렌지 후드 10 - 후드 본체
11 - 필터 12 - 급기구
20 - 제 1 구획함 21 - 흡인구
22 - 시로코 팬 22a - 블레이드
23 - 배출구 24 - 댐퍼(damper)
30 - 제 2 구획함 31 - 급기구
32 - 토출구 33 - 급기 팬
34 - 구획판 35 - 급기 통로
40 - 구동 모터 50 - 덕트 접속 박스
51 - 슬래브(slab) 52 - 천장
53 - 배기 덕트 54 - 급기 덕트
60 - 구획통 61 - 격리판
62 - 연결 구멍 63 - 급기 통로
64 - 개구(開口) 70 - 조리기
80 - 가열 장치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청구항 1에 관하여 발명이 채택한 수단은 후술하는 최량의 형태의 설명 중에 있어서 사용하는 부호를 붙여 설명하면,
"주방의 조리기(70) 위에 설치되어 적어도 조리기(70)로부터 발생하는 유연이나 수증기를 포함한 배기를 후드 본체(10)에서 포집하고 나서 배기 덕트(53)를 통하여 옥외로 배출하는 급배기형 렌지후드(100)로서,
후드 본체(10)의 상부 내에 상하 방향으로 구획되어 서로 인접하는 제 1 구획함(20) 및 제 2 구획함(30)을 배치하고,
제 1 구획함(20)에 후드 본체(10) 내로 개구하는 흡인구(21)와 덕트(53)가 접속되는 배출구(23)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제 1 구획함(20) 내에 흡인구(21)로부터 흡인한 배기를 각 블레이드(22a)의 사이로부터 배출하는 시로코 팬(22)을 설치하고,
제 2 구획함(30)에 옥외 또는 실내의 공기를 흡인하는 급기 덕트(54)에 접속되는 급기구(31)와, 흡인한 공기를 후드 본체(10)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급기하는 토출구(32)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제 2 구획함(30) 내에 상기 공기를 토출구(32)를 향하여 내보내는 급기 팬(33)을 설치하고,
이 급기 팬(33) 및 시로코 팬(22)을 하나의 구동 모터(40)에 의해 동축적(同軸的)으로 구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배기형 렌지 후드(100)"이다.
즉, 이 청구항 1의 급배기형 렌지 후드(100)는 후술하는 두 개의 최량의 형태의 양쪽을 포함하는 상위 개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제 1 구획함(20)과 제 2 구획함(30)을 후드 본체(10)의 상부에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제 1 구획함(20) 내에는 시로코 팬(22)을 부착하고, 제 2 구획함(30) 내에는 급기 팬(33)(크로스 팬이라고 불려지는 타입의 것)을 부착하여, 이들 시로코 팬(22) 및 급기 팬(33)을 그 중심에 배치한 하나의 구동 모터(40)에 의해 동축적으로 구동하도록 한 것이다.
특히, 이 급배기형 렌지 후드(100)에서는 그 후드 본체(10) 내에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제 1 구획함(20)과 제 2 구획함(30)을 형성하고, 각각의 내에 시로코 팬(22)과 급기 팬(33)을 마련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후드 본체(10)라는 좁은 공간 내에 상하 방향의 배기 및 공기 통로가 효율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시로코 팬(22)과 급기 팬(33)에 의한 각 송기(送氣)를 제한된 공간 내에서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이 청구항 1에 관한 급배기형 렌지 후드(100)는 후드 본체(10)가 콤팩트하게 되어,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종래의 렌지 후드와 비교하여 작게 되어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도 1 내지 도 8 중 검은 화살표로 도시하는 배기의 유로와, 흰 화살표로 도시하는 급기의 유로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들 각 유로는 서로 인접하는 제 1 구획함(20)과 제 2 구획함(30)에 의해 서로 혼합되는 일 없이 보내지게 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최량의 형태에서는 후드 본체(10) 내에 필터(11)를 배치하고 있으며, 이 필터(11)의 존재에 의해 유연의 일부가 제거되기 때문에, 유연이 어느 정도 제거된 배기는 도 1 내지 도 8에 해칭(hatching)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은 유로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들 3 종류의 유로에 대하여 해당 급배기형 렌지 후드(100)의 각 구성 부재와의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배기를 행하기 위한 시로코 팬(22)을 수납하고 있는 제 1 구획함(20)은 그 하부측 방향으로 개구하고 있는 흡인구(21)에서 후드 본체(10) 내로 연통(連通)하고, 이 제 1 구획함(20)은 도시 방향의 배기 덕트(53)에 이어져 있으므로, 구동 모터(40)에 의해 시로코 팬(22)이 구동되면, 후드 본체(10) 내의 배기 등은 제 1 구획함(20)의 흡인구(21)에서 흡인되어 배기 덕트(53)로부터 배출되는 것이다. 이 때, 아래의 최량의 형태에 관한 급배기형 렌지 후드(100)에서는 후드 본체(10) 내에 필터(11)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리기(70)로부터 발생한 유연이나 수증기를 포함하는 배기는 각 도면 중의 검은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필터(11)를 통과하고, 이 때 이 필터(11)에 의해 유연의 대부분이 액화되어, 각 도면의 해칭 화살표로 도시하는 유연이 적어진 배기가 된다.
그 후, 해칭 화살표로 도시한 배기는 도 4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구획함(20)의 흡인구(21)로부터 시로코 팬(22) 내로 거두어 들여지고, 이 시로코 팬(22)을 구성하고 있는 각 블레이드(22a)로부터 제 1 구획함(20)의 상방을 향하여 보내진다. 이 제 1 구획함(20)에는 배기 덕트(53)가 접속되어 있으므로, 어느 정도 남아 있는 유연과 수증기를 포함하는 배기 덕트(53)를 통하여 옥외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상의 시로코 팬(22)에 의한 배기가 이루어지는 것뿐이라면, 당연히 해당 급배기형 렌지 후드(100)를 설치한 주방 내(內)는 약간 부압이 되어 배기가 잘 되지 않게 되지만, 본 발명의 급배기형 렌지 후드(100)에서는 제 2 구획함(30) 내의 급기 팬(33)에 의해, 외기 또는 천장(52) 뒤의 공기의 공급이 다음과 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배기 가스의 배출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급기 팬(33)을 수납하고 있는 제 2 구획함(30)은 시로코 팬(22)을 수납하고 있는 제 1 구획함(20)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그 상단에 형성한 급기구(31)는 옥외 등으로 개구하고 있는 급기 덕트(54)에 접속되어 있으며, 또한 이 제 2 구획함(30)의 하부에 형성한 토출구(32)는 후드 본체(10) 내로 개구되어 있다. 따라서, 시로코 팬(22)을 구동하고 있는 구동 모터(40)에 의해 해당 급기 팬(33)이 구동되면 이 급기 팬(33)은 외기 등을 후드 본체(10) 내로 보내고, 시로코 팬(22)에 의한 배기의 배출 작용에 적당한 정도의 외기의 도입을 행하게 된다.
따라서, 이 청구항 1의 급배기형 렌지 후드(100)는, 주방 내의 조리기(70)로부터 발생한 유연을 포함하는 배기의 배출을 급기 팬(33)에 의한 외기의 도입이라는 도움을 빌어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로코 팬(22)과 급기 팬(33)을 하나의 구동 모터(40)에 동축적으로 연결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종래의 급배기형 렌지 후드에 비교하여 매우 소형화(콤팩트화)되어 있고, 조리기(70)와 천장(52)과의 사이의 공간이 작은 일반 주택에 있어서도 충분히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이 채용한 수단은 상기 청구항 1의 그것에 대하여,
"후드 본체(10)의 내측으로, 제 1 및 제 2 구획함(20, 30)의 하측에 구획판(34)을 마련하고, 이 구획판(34)과 제 1 및 제 2 구획함(20, 30)과의 사이에 상기 공기를 위한 급기 통로(35)를 형성하고, 이 급기 통로(35)에 제 2 구획함(30)의 토출구(32)를 개구시킴과 동시에, 이 급기 통로(35)를 후드 본체(10)의 내측으로 개구시켜,
급기 덕트(54)로부터의 공기를 후드 본체(10)의 내면으로 토출시킴으로써, 조리기(70)로부터 배기를 둘러싸는 에어 커튼을 발생시키도록 한 것"이다.
즉, 이 청구항 2의 급배기형 렌지 후드(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최량의 형태에 대한 것으로, 제 1 구획함(20) 및 제 2 구획함(30)의 하방에, 급기된 공기의 급기 통로(35)를 형성하는 구획판(34)을 가진 것이다.
이 구획판(34)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해칭 화살표로 도시한 배기를 제 1 구획함(20)에 형성하고 있는 시로코 팬(22)을 위한 흡인구(21)로 안내함과 동시에, 제 2 구획함(30)의 하단으로 개구되어 있는 토출구(32)로부터의 공기를 후드 본체(10)의 내면을 향하여 안내하는 것이다. 즉, 이 구획판(34)은 해칭 화살표의 배기와, 흰 화살표로 표시된 급기된 공기를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특히 공기를 후드 본체(10)의 내면을 향하여 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획함(34)을 가짐으로써, 후드 본체(10) 내로 급기된 공기는 도 1, 도 3 및 도 4 중의 흰 화살표로 표시되도록, 후드 본체(10)의 내면을 따라 「층류풍(層流風) 효과」, 즉 유연이 직접 후드 본체(10)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이 층류풍은 조리기(70)로부터 직접 상승해 오는 배기의 주위를 둘러싸는 에어 커튼도 되는 것으로, 배기가 주방 내에 퍼지지 않도록 후드 본체(10)에 의한 배기의 포집을 확실하게 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청구항 2의 급배기형 렌지 후드(100)는 상기 청구항 1의 그것과 같은 기능을 발휘하는 외에, 후드 본체(10)의 내면에 대한 층류풍 효과를 발휘함과 동시에, 배기를 둘러싸는 공기에 의한 에어 커튼을 구획판(34)에 의해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이 채택한 수단은 상기 청구항 1의 급배기형 렌지 후드(100)에 대하여,
"제 1 및 제 2 구획함(20, 30)의 주위에 구획통(60)을 부착함과 동시에, 이 구획통(60)의 하단에, 제 1 구획함(20)의 흡인구(21)만을 후드 본체(10)내에 연통시키는 연결 구멍(62)을 가지는 격리판(61)을 부착하고,
이 격리판(61)과 구획통(63) 및 후드 본체(10)와의 사이에 급기 통로(63)를 형성하고, 이 급기 통로(63)내에 대하여, 제 2 구획함(30)의 토출구(32), 구획통(60)의 개구(64), 및 후드 본체(10)의 상부에 형성한 급기구(12)를 통하여 제 2 구획함(30) 내를 연통시키고,
급기 덕트(54)로부터의 공기를 후드 본체(10)의 외면(外面)으로 토출시킴으로써, 이 후드 본체(10)의 상면(1)에 유적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조리기(70)로부터의 배기를 둘러싸는 에어 커튼을 발생시키도록 한 것"이다.
즉, 이 청구항 3에 관한 급배기형 렌지 후드(100)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것으로, 상기 청구항 2에 관한 급배기형 렌지 후드(100)와는 달리, 제 1 구획함(20) 및 제 2 구획함(30)의 하부 주위에 구획통(60)을 마련함으로써, 이 구획통(60)과 후드 본체(10)의 상부와의 사이에, 급기 팬(33)에 의해 흡인된 외기의 급기 통로(63)를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그 때문에, 이 청구항 3의 급배기형 렌지 후드(100)에 있어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구획함(30) 내에 급기된 공기를 후드 본체(10)내로 토출하는 토출구(32)는 급기 팬(33)을 흡수하고 있는 제 2 구획함(30)의 하단에는 형성하지 않고, 제 2 구획함(30)의 측부에 형성하고, 이 제 2 구획함(30)을 후드 본체(10) 밖으로 연통시키기 위한 격리판(61)을 구획통(60)의 하단에 마련한 것이다.
구획통(60)은 상술한대로, 제 1 구획함(20) 및 제 2 구획함(30)의 하부 외주를 둘러싸는 것으로, 그 상단을 제 1 구획함(20) 및 제 2 구획함(30)에 부착함과 동시에, 그 하단 개구 및 이것과 후드 본체(10)의 내면과의 사이를 격리판(61)에 의해 막은 것이다. 이것에 의해, 이 구획통(60)과 후드 본체(10)의 내면과의 사이에 제 1 구획함(20) 및 제 2 구획함(30)의 주위를 둘러싸게 되는 급기 통로(63)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구획통(60) 내에 격리판(61)에 형성한 연결 구멍(62)만으로 후드 본체(10) 내로 연통하게 되는 배기 포집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급기 통로(63)에 관하여 살펴보면, 이 급기 통로(63)는 후드 본체(10)의 상부측면에 형성한 다수의 급기구(12)에 의해 후드 본체(10) 밖으로 개구하고 있지만, 이 급기 통로(63)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격리판(61)의 측면에 형성한 개구(64)와 그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제 2 구획함(60)의 토출구(32)에 의해, 급기 팬(33)을 수납하고 있는 제 2 구획함(30) 내에 연통하고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급기 통로(63)를 구성한 결과, 급기 팬(33)에 의해 제 2 구획함(30) 내에 흡인된 외기 등의 공기는 이 급기 팬(33)의 작용에 의해 제 2 구획함(30)의 토출구(32), 구획통(60)의 개구(64), 및 후드 본체(10)의 급기구(12)에 의해 해당 급배기형 렌지 후드(100) 밖으로 토출되는 것이다. 토출된 공기는 도 5 내지 도 8의 흰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로코 팬(22)의 배기 작용에 의해 후드 본체(10)의 상면 위를 층류풍을 형성하면서 유하(流下)하여 후드 본체(10) 내에 하방으로부터 들어가도록 하는 것으로, 이것에 의해, 상술한 층류풍 효과를 발휘함과 동시에, 조리기(70)로부터 상승하고 있는 배기의 주위를 둘러싸는 에어 커튼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 에어 커튼은 도 5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연을 포함하는 배기가 주방 내에 확산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시로코 팬(22)에 의한 배기의 배출을 효과적으로 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때, 에어 커튼을 만들기 전의 공기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드 본체(10)의 상면을 흐르는 층류풍이 되기 때문에, 이 후드 본체(10) 위에 내려와 쌓이는 먼지 등의 제거도 행하게 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후드 본체(10) 상면이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하는 층류풍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청구항 3에 관한 급배기형 렌지 후드(100)도, 상기 청구항 1의 그것과 같은 기능을 발휘하는 것 외에, 급기류(給氣流)에 의한 층류풍 효과를 발휘함과 동시에, 구획통(60) 및 격리판(61)에 의해 형성되는 급기 통로(63)에 의해 배기를 둘러싸는 에어 커튼을 형성하는 것으로, 배기의 배출을 효과적으로 행함과 동시에, 후드 본체(10)의 외면이 유연에 의해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를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실시예 1과,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실시예 2에 따라 설명하면, 이 경우, 실시예 1은 청구항 1 및 청구항 2의 발명을 실질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실시예 2는 청구항 1 및 청구항 3의 발명을 실질적으로 포함하는 것이다.
(실시예 1)
도 1에는 본 실시예에 관한 급배기형 렌지 후드(100)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냄비 등의 조리기(70) 상방에서 주방의 천장(52)에 부착한 상태의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이 급배기형 렌지 후드(100)에는 조리기(70)의 더욱 위가 되는 슬래브(51) 하면에 부착한 덕트 접속 박스(50)를 통하여 배기 덕트(53) 및 급기 덕트(54)가 각각 접속하고 있다.
이 급배기형 렌지 후드(100)는 도 3에 도시한 가열 장치(80) 위의 조리기(70)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덮어 쓴 형상의 후드 본체(10)와 이 후드 본체(10) 내에 조립되어, 서로 상하 방향으로 위치하여 인접하는 제 1 구획함(20) 및 제 2 구획함(30)과 이들 제 1 구획함(20) 및 제 2 구획함(30) 내에 각각 마련된 시로코 팬(22) 및 급기 팬(33)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후드 본체(10) 내에는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리기(70)로부터 상승한 유연이나 수증기 등을 포함하는 배기 중에서부터, 유연의 대부분을 유적화(油滴化)하여 포집하는 필터(1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 필터(11)로 보수(補修)된 유적은 도 1에 도시한 기름 저장소(油貯)(11a)에 일정량 저장하여 두는 것이다. 또한 이 실시예 1의 후드 본체(10) 상부에는 실시예 2의 급기구(12)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 후드 본체(10) 내에는 도 1의 도시 좌측 부분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구획함(20)이 수납하여 부착되어 있고, 이 제 1 구획함(2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구(23)는 상술한 덕트 접속 박스(50) 내로 인도되고 있는 배기 덕트(53)에 접속하고 있다. 또한 이 제 1 구획함(20)의 하부 측방으로는 흡인구(21)가 형성되어 있고, 이 흡인구(21)를 통하여 제 1 구획함(20) 내와 후드 본체(10) 내를 연통시키고 있다.
이 제 1 구획함(20) 내의 저부(底部)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블레이드(22a)를 가지는 시로코 팬(22)이 마련되어 있고, 그 중심 개구는 제 1 구획함(20)의 흡인구(21)에 대향시키고 있다. 이 시로코 팬(22)은 제 1 구획함(20)과 후술하는 제 2 구획함(30)의 접합 부분에 마련된 하나의 구동 모터(40)에 의해 회전 구동시키는 것이고, 후드 본체(10) 내의 배기를 흡인구(21)로부터 흡인하여, 각 블레이드(22a) 사이로부터 배기 덕트(53)를 향하여 배출하는 것이다.
또한 이 제 1 구획함(20) 내에서 시로코 팬(22)의 후류측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댐퍼(damper)(24)가 마련되어 있다. 이 댐퍼(24)는 해당 급배기형 렌지 후드(100)를 작동시킬 때에만 제 1 구획함(20) 내의 통로를 개방하고, 급배기형 렌지 후드(100)의 정지 시에는 이 제 1 구획함(20) 내를 닫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급배기형 렌지 후드(100)를 사용하고 있지 않을 때, 배기 덕트(53)를 통하여 외기가 도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 것이다.
이 제 1 구획함(20)에 인접하는 제 2 구획함(30)은 그 상단에 형성한 급기구(31)에 의해 덕트 접속 박스(50) 내로 인도되고 있는 급기 덕트(54)에 접속되는 것으로, 이 실시예 1의 제 2 구획함(30)에 있어서는 그 저부에 토출구(3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제 2 구획함(30)의 저부 내에는 크로스팬이라 불리는 타입의 급기 팬(33)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급기 팬(33)은 제 1 구획함(20) 내에 마련되어 있는 시로코 팬(22)과 동축적으로 상술한 하나의 구동 모터(40)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급기 팬(33)은 상기 시로코 팬(22)과는 달리 크로스팬 타입의 것으로 그 다수의 블레이드의 외면(外面)에 의해 바람을 보내는 것이다.
이 제 2 구획함(30)의 하방에는 급기 통로(35)를 형성하기 위해, 소정 간격을 두고 구획판(34)이 배치되어 있고, 이 구획판(34)의 일단(一端)(도 1 중의 도시 좌단)은 제 1 구획함(20)에 연결되어 있고, 그 도 1에 도시한 우단은 후드 본체(10)의 내면에 대향시키고 있다. 즉, 이 구획판(34)은 후드 본체(10)내의 필터(11)를 통하여 흡인된 배기를 제 1 구획함(20)의 측방에 형성하고 있는 흡인구(21)를 향하여 안내하는 것으로, 제 2 구획함(30)의 하방에 형성한 토출구(32)로부터 보내온 공기를 후드 본체(10)의 내면측으로 분출시키는 것이다.
바꿔 말하면, 제 2 구획함(30) 내의 급기 팬(33)은 급기 덕트(54)를 통하여 흡인한 공기를 제 2 구획함(30)의 저부에 형성한 토출구(32)로부터 급기 통로(35) 내로 보내어, 이 급기 통로(35)를 구성하고 있는 구획판(34)에 의해 후드 본체(10)의 내면을 향하여 공기를 내보내도록 한 것이다.
이 급기 팬(33)에 의해 공기를 후드 본체(10) 내면으로 보낸다는 것은, 구동 모터(40)가 구동되어 제 1 구획함(20) 내의 시로코 팬(22)도 구동된다는 것이므로,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리기(70)로부터의 배기가 후드 본체(10) 내를 향하여 흐르기 때문에, 급기 팬(33)에 의해 공기를 내보냄으로써, 이 배기의 주위를 둘러싸는 에어 커튼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급배기형 렌지 후드(100)에 대하여, 열선 풍속계를 사용하여 배기 덕트(53)측, 및 급기 덕트(54)의 각 부분에 있어서의 풍속 및 풍량을 측정한 결과, 다음의 표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회전수(rpm) 전류(A) 전력(W) 흡기측 배기측
평균풍속(m/sec) 풍량(m3/h) 평균풍속(m/sec) 풍량(m3/h)
50Hz TOP 1130 1.04 93.6 9.8 338 14.6 574
918 0.82 81.5 7.8 271 13.0 511
590 0.60 60.6 4.8 166 8.4 328
60Hz TOP 1160 1.15 110.3 10.0 345 15.0 590
878 0.87 87.1 7.5 259 12.5 492
550 0.60 59.2 4.5 155 7.8 307
(실시예 2)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급배기형 렌지 후드(100)에 있어서는 아래의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의 급배기형 렌지 후드(100)와 공통하는 부재를 많이 포함하기 때문에, 공통 부재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8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급배기형 렌지 후드(100)의 실시예 1의 그것과 다른 점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구획판(34)을 생략하고, 제 1 구획함(20) 및 제 2 구획함(30)의 하부 외주를 둘러싸는 구획통(60)을 채용한 것으로, 이것에 의해, 구획통(60)과 후드 본체(10)와의 사이에 제 1 구획함(20)과 제 2 구획함(30)을 둘러싸는 통 모양의 급기 통로(63)를 형성한 것이다. 이 배출구(23)내에 급기 팬(33)에 의해 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토출구(32)는 제 2 구획함(30)의 저부에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구획함(30)의 측부에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이 토출구(32)로부터 구획통(60) 내로 보낸 공기는 이 구획통(60)에 형성한 개구(64)를 통하여 급기 통로(63)내로 보내지도록 하고 있고, 이 급기 통로(63) 내로 유입된 공기는 후드 본체(10)의 상방 측부에 다수 형성하고 있는 각 급기구(12)로부터 외방으로 내보내지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급배기형 렌지 후드(100)에 있어서는 제 1 구획함(20)내의 시로코 팬(22)에 의해 후드 본체(10) 내로 흡인된 배기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리판(61)의 도시 좌측 부분에 형성한 연결 구멍(62)을 통하여, 제 1 구획함(20)의 흡인구(21) 내로 들어간다. 이 배기의 흡인 시에는 구동 모터(40)에 의해 급기 팬(33)도 구동되고 있으므로, 배기의 주위에는 도 5 내지 도 8 중 흰색 화살표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급기된 외기에 의한 에어 커튼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외기가 에어 커튼을 형성하는 전단계에 있어서는 이 외기는 도 5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드 본체(10) 상을 유하(流下)하여 먼지나 유적(油滴)의 부착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대로, 먼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는,
"주방의 조리기(70) 위에 설치되어, 적어도 조리기(70)로부터 발생하는 유연(油煙)이나 수증기를 포함한 배기를 후드 본체(10)에 포집하고 나서 배기 덕트(53)를 통하여 옥외로 배출하는 급배기형 렌지 후드(100)로서,
후드 본체(10)의 상부 내에 상하 방향으로 구획되어 서로 인접하는 제 1 구획함(20) 및 제 2 구획함(30)을 배치하고,
제 1 구획함(20)에 후드 본체(10) 내로 개구하는 흡인구(21)와 덕트(53)가 접속되는 배출구(23)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제 1 구획함(20) 내에 흡인구(21)로부터 흡인한 배기를 각 블레이드(22a)의 사이로부터 배출하는 시로코 팬(22)을 설치하고,
제 2 구획함(30)에 옥외 또는 실내의 공기를 흡인하는 급기 덕트(54)에 접속되는 급기구(31)와 흡인한 공기를 후드 본체(10)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급기하는 토출구(32)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제 2 구획함(30) 내에 상기 공기를 토출구(32)를 향하여 내보내는 급기 팬(33)을 설치하고,
이 급기 팬(33) 및 시로코 팬(22)을 하나의 구동 모터(40)에 의해 동축적으로 구동하도록 한 것"에 그 구성 상의 특징이 있고, 이것에 의해 주방 내의 조리기(70)로부터 발생한 유연을 포함하는 배기의 배출을 급기 팬(33)에 의한 외기의 도입이라는 도움을 빌어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로코 팬(22)과 급기 팬(33)을 하나의 구동 모터(40)에 동축적으로 연결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종래의 급배기형 렌지 후드와 비교하여 매우 소형화(콤팩트화)되어 있고, 조리기(70)와 천장(52)과의 사이의 공간이 작은 일반 주택에 있어서도 충분히 설치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이 청구항 1에 관한 급배기형 렌지 후드(100)는 제 1 구획함(20) 및 제 2 구획함(30) 내에 각각 수납한 시로코 팬(22) 및 급기 팬(33)을 하나의 구동 모터(40)에 대하여 동축적으로 접속하였기 때문에, 종래의 기술에 비교하여 전체의 콤팩트화를 달성하고 있는 것으로, 천장(2)이 낮은 일반 주택의 주방에도 충분히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이 청구항 1의 급배기형 렌지 후드(100)에서는 그 후드 본체(10) 내에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제 1 구획함(20)과 제 2 구획함(30)을 형성하고, 각각의 안에 시로코 팬(22)과 급기 팬(33)을 마련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후드 본체(10)라는 좁은 공간 내에 상하 방향의 배기 및 공기 통로가 효율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시로코 팬(22)과 급기 팬(33)에 의한 각 송기(送氣)를 제한된 공간 내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이 청구항 1에 관한 급배기형 렌지 후드(100)는 후드 본체(10)를 콤팩트한 것으로 할 수 있고,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종래의 렌지 후드에 비교하여 작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2의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청구항 1의 급배기형 렌지 후드(10)에 대하여,
"후드 본체(10)의 내측으로, 제 1 및 제 2 구획함(20, 30)의 하측에 구획판(34)을 마련하고, 이 구획판(34)과 제 1 및 제 2 구획함(20, 30)과의 사이에 상기 공기를 위한 급기 통로(35)를 형성하고, 이 급기 통로(35)에 제 2 구획함(30)의 토출구(32)를 개구시킴과 동시에, 이 급기 통로(35)를 후드 본체(10)의 내측으로 개구시켜,
급기 덕트(54)로부터의 공기를 후드 본체(10)의 내면으로 토출시킴으로써, 조리기(70)로부터의 배기를 둘러싸는 에어 커튼을 발생시키도록 한 것"에 그 구성 상의 특징이 있고, 이것에 의해 상기 청구항 1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 외에, 배기를 둘러싸는 공기에 의한 에어 커튼을 구획판(34)에 의해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청구항 1의 급배기형 렌지 후드(100)에 관하여,
"제 1 및 제 2 구획함(20, 30)의 주위에 구획통(60)을 부착함과 동시에, 이 구획통(60)의 하단에, 제 1 구획함(20)의 흡인구(21)만을 후드 본체(10) 내로 연통시키는 연결 구멍(62)을 가진 격리판(61)을 부착하고,
이 격리판(61)과, 구획통(63) 및 후드 본체(10)와의 사이에 급기 통로(63)를 형성하고, 이 급기 통로(63) 내에 대하여, 제 2 구획함(30)의 토출구(32), 구획통(60)의 개구(64), 및 후드 본체(10) 상부에 형성한 급기구(12)를 통하여 제 2 구획함(30) 내를 연통시키고,
급기 덕트(54)로부터의 공기를 후드 본체(10)의 외면(外面)으로 토출시킴으로써, 이 후드 본체(10)의 상면(1)에 유적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조리기(70)로부터의 배기를 둘러싸는 에어 커튼을 발생시키도록 한 것"에 그 구성 상의 특징이 있고, 이것에 의해 청구항 1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 외에, 구획통(60) 및 격리판(61)에 의해 형성되는 급기 통로(63)에 의해 배기를 둘러싸는 에어 커튼을 형성하며, 배기의 배출을 효과적으로 수행함과 동시에 후드 본체(10)의 외면이 유연에 의해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3)

  1. 주방의 조리기(70) 위에 설치되어, 적어도 조리기(70)로부터 발생하는 유연(油煙)이나 수증기를 포함한 배기를 후드 본체(10)에 포집하고 나서 배기 덕트(53)를 통하여 옥외로 배출하는 급배기형 렌지 후드(100)로서,
    후드 본체(10)의 상부 내에 상하 방향으로 구획되어 서로 인접하는 제 1 구획함(20) 및 제 2 구획함(30)을 배치하고,
    제 1 구획함(20)에 후드 본체(10) 내로 개구하는 흡인구(21)와 덕트(53)가 접속되는 배출구(23)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제 1 구획함(20) 내에 흡인구(21)로부터 흡인한 배기를 각 블레이드(22a)의 사이로부터 배출하는 시로코 팬(22)을 설치하고,
    제 2 구획함(30)에 옥외 또는 실내의 공기를 흡인하는 급기 덕트(54)에 접속되는 급기구(31)와 흡인한 공기를 후드 본체(10)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급기하는 토출구(32)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제 2 구획함(30) 내에 상기 공기를 토출구(32)를 향하여 내보내는 급기 팬(33)을 설치하고,
    이 급기 팬(33) 및 시로코 팬(22)을 하나의 구동 모터(40)에 의해 동축적으로 구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배기형 렌지 후드(100).
  2. 제 1 항에 있어서, 후드 본체(10)의 내측으로, 제 1 및 제 2 구획함(20, 30)의 하측에 구획판(34)을 마련하고, 이 구획판(34)과 제 1 및 제 2 구획함(20, 30)과의 사이에 상기 공기를 위한 급기 통로(35)를 형성하고, 이 급기 통로(35)에 제 2 구획함(30)의 토출구(32)를 개구시킴과 동시에, 이 급기 통로(35)를 후드 본체(10)의 내측으로 개구시켜,
    급기 덕트(54)로부터의 공기를 후드 본체(10)의 내면으로 토출시킴으로써, 조리기(70)로부터의 배기를 둘러싸는 에어 커튼을 발생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배기형 렌지 후드(100).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구획함(20, 30)의 주위에 구획통(60)을 부착함과 동시에, 이 구획통(60)의 하단에, 제 1 구획함(20)의 흡인구(21)만을 후드 본체(10) 내로 연통시키는 연결 구멍(62)을 가진 격리판(61)을 부착하고,
    이 격리판(61)과, 구획통(63) 및 후드 본체(10)와의 사이에 급기 통로(63)를 형성하고, 이 급기 통로(63) 내에 대하여, 제 2 구획함(30)의 토출구(32), 구획통(60)의 개구(64), 및 후드 본체(10) 상부에 형성한 급기구(12)를 통하여 제 2 구획함(30) 내를 연통시키고,
    급기 덕트(54)로부터의 공기를 후드 본체(10)의 외면(外面)으로 토출시킴으로써, 이 후드 본체(10)의 상면(1)에 유적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조리기(70)로부터의 배기를 둘러싸는 에어 커튼을 발생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배기형 렌지 후드.
KR1020047018201A 2004-11-11 2002-11-29 급배기형 렌지 후드 KR200500900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7018201A KR20050090092A (ko) 2004-11-11 2002-11-29 급배기형 렌지 후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7018201A KR20050090092A (ko) 2004-11-11 2002-11-29 급배기형 렌지 후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092A true KR20050090092A (ko) 2005-09-12

Family

ID=37272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8201A KR20050090092A (ko) 2004-11-11 2002-11-29 급배기형 렌지 후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009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811B1 (ko) * 2009-10-15 2010-09-27 고승대 급식실용 에어닥트 시스템
CN106439962A (zh) * 2016-09-23 2017-02-22 羊丁 一种智能抽油烟机
KR102427224B1 (ko) * 2021-03-25 2022-07-28 임재학 후드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811B1 (ko) * 2009-10-15 2010-09-27 고승대 급식실용 에어닥트 시스템
CN106439962A (zh) * 2016-09-23 2017-02-22 羊丁 一种智能抽油烟机
KR102427224B1 (ko) * 2021-03-25 2022-07-28 임재학 후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7726B1 (ko) 조리장용의배기장치
US6018885A (en) Fire and rescue equipment dryer system and method
US20060154590A1 (en) Method and device for local ventilation by buiding airflow and separating airflow
CN102132102B (zh) 加热烹调器
US4564746A (en) Steam humidifier cabinet construction
JPWO2004051152A1 (ja) 給排気型レンジフード
KR20050090092A (ko) 급배기형 렌지 후드
JP6454868B2 (ja) レンジフード
JPH09280622A (ja) 遊煙通路を備えたレンヂフード
JP5780986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及びこの室内機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H04292735A (ja) レンジフード
JPH0979638A (ja) レンジフード
JPH11257698A (ja) 換気装置
JP2004211945A (ja) レンジフードのための給排気管接続ボックス
JP2873424B2 (ja) トイレ室の換気構造
JP2920517B2 (ja) 厨房の給排気装置
JP6463657B2 (ja) 空気調和機
JPH0742988A (ja) 同時給排形レンジフード
JP2004183954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3737851B2 (ja) 強制給排気式レンジフードファン
JP4970906B2 (ja) レンジフード
JPH018905Y2 (ko)
JPH1163615A (ja) 調理場用の排気装置
JP4038909B2 (ja) 換気空調装置
JP3599455B2 (ja) 強制給排気式レンジフードファ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