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5668B1 - 기류 증폭 장치 - Google Patents

기류 증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5668B1
KR101955668B1 KR1020150129714A KR20150129714A KR101955668B1 KR 101955668 B1 KR101955668 B1 KR 101955668B1 KR 1020150129714 A KR1020150129714 A KR 1020150129714A KR 20150129714 A KR20150129714 A KR 20150129714A KR 101955668 B1 KR101955668 B1 KR 101955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pace
airflow
ai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9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2006A (ko
Inventor
하성우
Original Assignee
하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성우 filed Critical 하성우
Priority to KR1020150129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5668B1/ko
Publication of KR20170032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2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류 증폭 장치는 상면과 하면이 상하 간격을 두고 마주보도록 설치되고, 상기 상면과 하면의 사이 공간 양측에 각각 경사를 갖는 기류안내벽을 상호 대칭되게 설치하여 한 쌍의 기류안내벽 사이에 안내공간을 형성시킨 케이스와, 상기 안내공간의 입구 양측에 각각 회전수단을 설치하여 모터를 통해 상호 역회전하여 안내공간으로 공기를 흐름시키도록 하는 회전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기류 증폭 장치{Air flow amplifier}
본 발명은 기류 증폭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2열로 마주보게 배치한 회전수단을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기류의 양력의 증가에 따른 유효 송풍 거리의 증가 효과를 갖도록 하는 동시에 회전수단의 둘레가 외부 공간과 연통시켜 회전수단의 기류 발생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기류 증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생활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가정용 공기 흐름 발생장치는 선풍기, 실링팬, 주방용 후드, 환풍기 및 공조기 시스템 등에 적용된다.
먼저, 선풍기와 실링팬은 통상적으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탑재된 날개 또는 베인(vane)의 세트 및 이러한 날개 세트를 회전시켜 공기 흐름을 생성하는 구동 장치를 포함한다. 공기 흐름의 이동 및 순환에 의해 "풍냉(wind chill)" 또는 미풍이 발생되며, 그 결과 대류 및 증발을 통해 열이 발산됨에 따라 사용자는 냉각 효과를 갖는다.
선풍기는 종류에 따라 구분되는데, 보통 실내 천정에 설치되는 장치는 실링팬이라 한다.
상기 실링팬은 실내에 공기를 환기시키는 환풍기나 실내용 선풍기, 혹은 천정에 장착하여 공기의 흐름을 유발시키는 것이다.
상기 실링팬은 천정에 고정하는 프레임에 모우터을 고정하고 모우터축에 의해 회전하는 실링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모우터의 회전으로 실링팬이 회전하면서 실내의 공기를 불어주어 온도를 저하시킨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환풍기는 내부 공기가 외부의 공기보다 높을 경우가 일반적이기에 통상적으로 사람 손이 닿지 않는 높은 위치나 구석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특정 시간동안 작동시키는 경우보다 24 시간 작동시키는 경우가 많았으며, 따라서 불필요하게 환풍기를 작동시킴으로써 그 사용 수명이 짧아지고, 외부공기의 연속적인 주입으로 온도의 보존이 필요한 경우 실내공기를 불필요하게 냉각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방용 후드는 선풍기의 원리를 반대로 이용하여 음식의 조리 시 발생되는 연기나 수증기 및 냄새 등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주방용 후드는 통상적으로 내부에 설치된 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조리 용기로부터 발생되는 연기나 수증기 및 냄새 등에 의해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와 연결된 덕트(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실외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러나 각종 음식의 조리 시 발생되는 연기나 수증기 및 냄새 등은 조리 용기로부터 수직으로 상승한다기보다는 넓게 주방으로 퍼지게 됨으로써 종래의 고정된 주방용 후드를 통해서는 넓게 퍼지는 오염된 공기를 효율적으로 외부로 배출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통상적인 주방용 후드는 단순히 고정된 상태로 싱크대에 설치됨으로써, 주방용 후드와 가스레인지에 올려지는 조리용기와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주방용 후드의 근처에 퍼진 오염된 공기만을 외부로 배출할 따름이지, 조리용기로 부터 넓게 확산된 오염된 공기는 전혀 외부로 배출할 수 없으며, 주방용 후드를 장시간 가동하더라도 조리용기로 부터 넓게 확산된 오염된 공기는 전혀 외부로 배출하지 못하므로, 음식의 조리 후에는 주방과 거실 등에 항상 음식 냄새가 잔존하게 되어 불쾌감을 준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방용 후드와 가스레인지 사이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주방용 후드의 팬(도시되지 않음)을 작동시키기 위한 회전 모터(도시되지 않음)의 용량이 커야 함으로써 주방용 후드를 작동시킬 시에 매우 큰 소음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환풍기란,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켜 환기시키는 장치로서 공장이나 식당, 빌딩, 주차장, 목욕탕, 축사 등에 광범위하게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환풍기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 공기가 유입되는 수용공간 11,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유도하는 안내면 12 및 배출구 13를 구비하는 케이싱 스크롤 10, 케이싱 스크롤의 내부에 장착되는 구동모터 20, 구동모터의 회전축 21에 장착되고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실내 공기를 유입시켜 배출하는 회전부재 30, 회전부재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덮개 40 및 케이싱 스크롤 10의 저면에 장착되며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 51가 형성된 그릴 50을 포함하였다.
특히, 종래의 환풍기는 회전부재 30의 날개 31로, 구동모터 20로 인한 회전부재의 회전방향을 향해 꺾여서 형성되는 전향깃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회전부재 30는 실내의 공기를 유입시켜 감싸 안으며 배출구 13로 배출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환풍기는 회전부재 30의 전향깃 31이 바람을 회전만 시키게 되므로 효율이 떨어지고 소음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전향깃 31의 회전으로 인한 풍량 및 풍압 구조가 현실에 맞지 않아 구동모터 20의 동력 또한 소형의 저용량으로 제한을 받는 문제점이 있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형깃을 사용하는 경우 풍압은 증가하는 반면 풍압에 따른 효율이 떨어지므로 일정량의 풍량을 발생시키기 위하여는 회전부재를 고속으로 회전시켜야 하므로 소음이 증가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전향깃 31이 흡입한 실내의 공기를 감싸 안으며 배출구 13로 이동시킴으로 인해 전향깃이 회전할 때 양력 저항이 발생하고, 전향력에서 양력저항이 빠진 풍동력이 외부로 배출되므로 풍량과 풍압이 떨어져 기기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고속으로 회전시에 소음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100274 (2011.09.09)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8-0044264 (1998.09.05)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류 증폭 장치는 2열로 마주보게 배치한 회전수단을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기류의 양력의 증가에 따른 유효 송풍 거리의 증가 효과를 갖도록 하는 동시에 회전수단의 둘레가 외부 공간과 연통시켜 회전수단의 기류 발생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수단을 2열로 마주보게 설치한 다음 상호 반대로 회전하되, 2개의 회전수단에 의해 발생하는 기류가 한 쌍의 회전수단 사이에 형성된 경사진 안내공간으로 흐름될 때 안내공간 외부의 공기를 끌여 당겨 기류에 합류시킴으로서 풍량 및 풍속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안내공간으로 흐름되는 기류가 경사진 다단의 안내면을 통해 기류의 압력변화를 꾀하여 보다 향상된 풍속 및 풍량을 배가시키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힌지수단을 통해 한 쌍의 제2안내면의 각도를 자유롭게 각각 조절이 가능함으로서, 상기 제2안내면의 각도 위치로 바람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고, 또는 상기 제2안내면의 각도 변화를 통해 안내공간 출구 쪽 면적을 넓히거나 또는 좁힐 수 있어 바람의 세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기류 증폭 장치는 상면과 하면이 상하 간격을 두고 마주보도록 설치되고, 상기 상면과 하면의 사이 공간 양측에 각각 경사를 갖는 기류안내벽을 상호 대칭되게 설치하여 한 쌍의 기류안내벽 사이에 안내공간을 형성시킨 케이스와, 상기 안내공간의 입구 양측에 각각 한 쌍의 회전수단을 설치하여 모터를 통해 상호 역회전하여 안내공간으로 공기를 흐름시키도록 하는 회전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는 하면과, 상기 하면과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면과, 상기 상면과 하면의 양측면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되, 상면과 하면의 양측에서 상기 회전부가 설치될 공간을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에 설치되되, 상기 안내공간의 내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안내면을 형성하여 상기 안내면 사이에 안내공간을 형성하여 회전부의 회전을 통해 발생하는 기류가 안내공간의 입구에서 출구방향으로 흐름되면서 안내공간 이외의 외부 공기를 끌여 당겨 기류에 합류시키는 기류안내벽으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회전수단은 안내공간의 입구에 설치되되, 상기 회전수단을 중심으로 전방에 위치한 기류안내벽을 제외한 회전수단의 둘레가 외부 공간에 노출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회전부는 한 쌍의 회전수단의 회전수를 각각 달리 적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안내면은 상기 회전부 전방에 위치되어 안내공간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안내면과, 상기 제1안내면과 이음되어 측벽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안내공간의 각도를 확개시키는 제2안내면으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안내면과 이음되어 제2안내면의 각도 보다 큰 각도를 갖는 제3안내면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회전수단의 둘레가 외부공간에 노출된 부위에 메쉬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안내면과 제2안내면의 연결부위에 힌지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힌지수단을 통해 한 쌍의 제2안내면의 각도를 각각 조절 가능하도록 하여 안내공간의 압력 및 방향 변화를 꾀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힌지수단을 기준으로 한 쌍의 제2안내면은 수평인 상태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힌지수단을 기준으로 한 쌍의 제2안내면은 상호 대칭되게 각도를 변화시켜 안내공간의 출구 쪽 면적을 넓히거나 또는 좁힐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힌지수단을 기준으로 한 쌍의 제2안내면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각도 변화를 꾀하면서 안내공간 출구 쪽 면적을 넓히거나 또는 좁힐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류 증폭 장치는 상면과 하면이 상하 간격을 두고 마주보도록 설치되고, 상기 상면과 하면의 사이 공간 양측에 각각 경사를 갖는 기류안내벽을 상호 대칭되게 설치하여 한 쌍의 기류안내벽 사이에 안내공간을 형성시킨 케이스와, 상기 안내공간의 입구 양측에 각각 회전수단을 설치하여 상호 역회전에 의해 안내공간으로 외부 공기를 흐름시키도록 하는 회전부로 이루어져 2열로 마주보게 배치한 회전수단을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기류의 양력의 증가에 따른 유효 송풍 거리의 증가 효과를 갖도록 하는 동시에 회전수단의 둘레가 외부 공간과 연통시켜 회전수단의 기류 발생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류 증폭 장치는 회전수단을 2열로 마주보게 설치한 다음 상호 반대로 회전하되, 2개의 회전수단에 의해 발생하는 기류가 한 쌍의 회전수단 사이에 형성된 경사진 안내공간으로 흐름될 때 안내공간 외부의 공기를 끌여 당겨 기류에 합류시킴으로서 풍량 및 풍속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류 증폭 장치는 안내공간으로 흐름되는 기류가 경사진 다단의 안내면을 통해 기류의 압력변화를 꾀하여 보다 향상된 풍속 및 풍량을 배가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힌지수단을 통해 한 쌍의 제2안내면의 각도를 자유롭게 각각 조절이 가능함으로서, 상기 제2안내면의 각도 위치로 바람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고, 또는 상기 제2안내면의 각도 변화를 통해 안내공간 출구 쪽 면적을 넓히거나 또는 좁힐 수 있어 바람의 세기를 변화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류 증폭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류 증폭 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류 증폭 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류 증폭 장치의 제1실시예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류 증폭 장치에 메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기류 증폭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종래기술의 환풍기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류 증폭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기류 증폭 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기류 증폭 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기류 증폭 장치의 제1실시예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기류 증폭 장치에 메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기류 증폭장치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류 증폭 장치의 제1실시예는 케이스 100와 회전부 200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 100는 상면 110과 하면 120이 상하 간격을 두고 마주보도록 설치되고, 상기 상면 110과 하면 120의 사이 공간 양측에 각각 경사를 갖는 기류안내벽 140을 상호 대칭되게 설치하여 한 쌍의 기류안내벽 140 사이에 안내공간 150을 형성시킨다.
상기 케이스 100는 상면 110과 하면 120이 평면을 갖는 평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면 110과 하면 120은 각각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면 110과 하면 120 사이의 양측에 각각 수직으로 기류안내벽 140을 설치하여 상면 110과 하면 120 및 기류안내벽 140을 통해 케이스 100가 틀 형상을 갖고, 한 쌍의 기류안내벽 140 사이에 측방향으로 개구된 안내공간 150이 형성된다.
이때, 기류안내벽 140은 상면 110과 하면 120의 양측에서 상기 회전부 200가 설치될 공간을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에 설치되되, 상기 안내공간 150의 내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안내면 141을 형성하여 상기 안내면 141 사이에 안내공간 150을 형성하여 회전부 200의 회전을 통해 발생하는 기류가 안내공간 150의 입구에서 출구방향으로 흐름되면서 안내공간 150 이외의 외부 공기를 끌여 당겨 기류에 합류시켜 기류의 향상된 풍속 및 풍량을 갖도록 한다.
즉, 상면 110과 하면 120 사이의 안내공간 150 중 일측을 제외한 중간부에서 타측까지 기류안내벽 140을 설치하여 안내공간 150 일측에 회전부 20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 200는 상기 안내공간 150의 입구 양측에 각각 회전수단 210을 설치하여 모터 160를 통해 상호 역회전하여 안내공간 150으로 공기를 흐름시키도록 한다.
특히, 회전수단 210은 길이를 갖는 축(미부호)의 외주연에 방사형태로 날개(미부호)가 복수개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수단 210에는 상부에 모터 160가 각기 설치되어 직접 동력방법으로 모터 160의 회전축(미부호)과 회전수단 210의 축(미부호)이 이음되어 모터 160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통해 날개를 회전시켜 기류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모터 160의 회전수를 결정하는 제어부 170가 상면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2열로 마주보게 배치한 회전수단 210을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기류의 양력의 증가에 따른 유효 송풍 거리의 증가 효과를 갖도록 하는 동시에 회전수단 210의 둘레가 외부 공간과 연통시켜 회전수단 210의 기류 발생 효율을 향상시킨다.
여기서, 회전수단 210의 둘레를 외부 공간과 연통시킴으로서, 보다 효과적인 기류 발생을 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회전수단 210의 둘레가 외부공간에 노출된 부위에 메쉬 18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회전수단 210을 통해 발생되는 기류는 후술 될 안내면 141을 따라 압력 변화를 꾀하여 기류의 향상된 풍속과 풍량을 갖도록 한다.
상기 안내면 141은 상기 회전부 200 전방에 위치되어 안내공간 150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안내면 142과, 상기 제1안내면 142과 이음되어 측벽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안내공간 150의 각도를 확개시키는 제2안내면 143과, 상기 제2안내면 143과 이음되어 제2안내면 143의 각도 보다 큰 각도를 갖는 제3안내면 14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부 200를 통해 기류가 발생하여 안내공간 150 입구에서 출구 방향으로 흐름될 때 제1안내면 142을 통해 제2안내면 143의 안내공간 150으로 기류를 흐름시킨다.
이때, 제1안내면 142과 제2안내면 143은 각기 다른 경사진 각도를 갖아 제1안내면 142의 안내공간 150 보다 제2안내면 143의 안내공간 150의 용적을 축소시켜 기류의 공기압 변화를 꾀하여 향상된 풍속 및 풍량을 갖도록 한다.
또한, 제2안내면 143과 제3안내면 144은 각기 다른 경사진 각도를 갖아 제2안내면 143의 안내공간 150 보다 제3안내면 144의 안내공간 150의 용적을 증가시켜 기류의 공기압 변화를 꾀하여 향상된 풍속 및 풍량을 갖도록 한다.
즉, 공기의 속도가 빠른 제1안내면 142의 안내공간 150 측은 기압이 낮아지고 상대적으로 제2안내면 143의 안내공간 150에 기압이 높아진다.
결국, 공기의 힘은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 작용하므로 안내공간 150을 통과하는 빠른 속도를 갖는 공기가 외부의 공기를 같이 통과시켜 일정하고 강한 기류를 형성시킴으로써 바람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를 통해, 기류 증폭 장치 10는 회전부 200로 이루어져 2열로 마주보게 배치한 회전수단 210을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기류의 양력의 증가에 따른 유효 송풍 거리의 증가 효과를 갖도록 하는 동시에 회전수단 210의 둘레가 외부 공간과 연통시켜 회전수단 210의 기류 발생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류 증폭 장치 10는 회전수단 210을 2열로 마주보게 설치한 다음 상호 반대로 회전하되, 2개의 회전수단 210에 의해 발생하는 기류가 한 쌍의 회전수단 210 사이에 형성된 경사진 안내공간 150으로 흐름될 때 안내공간 150 외부의 공기를 끌여 당겨 기류에 합류시킴으로서 풍량 및 풍속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류 증폭 장치 10는 안내공간 150으로 흐름되는 기류가 경사진 다단의 안내면 141을 통해 기류의 압력변화를 꾀하여 보다 향상된 풍속 및 풍량을 배가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1실시예에서 기재된 케이스 100와 회전부 200의 구성에서 한 쌍의 회전수단 210의 회전수가 모터 160를 통해 회전수를 각각 달리 적용할 수 있다.
이는, 한 쌍의 회전수단 210 중 일측에 위치한 회전수단 210 보다 타측에 위치한 회전수단 210의 회전수를 높여 상기 회전수단 210의 회전수를 각각 달리 적용함으로서, 바람의 세기와 방향을 가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6 내지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류 증폭 장치의 제2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상기 제1실시예에서 기재된 케이스 100와 회전부 200의 구성에서 상기 제1안내면 142과 제2안내면 143의 연결부위에 힌지수단 145을 설치하여 상기 힌지수단 145을 통해 한 쌍의 제2안내면 143의 각도를 각각 조절 가능하도록 하여 안내공간150의 압력 및 방향 변화를 꾀할 수 있다.
즉, 상기 힌지수단 145을 통해 한 쌍의 제2안내면 143의 각도를 자유롭게 각각 조절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상기 힌지수단 145을 기준으로 한 쌍의 제2안내면 143은 수평인 상태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힌지수단 145을 기준으로 한 쌍의 제2안내면 143은 상호 대칭되게 각도를 변화시켜 안내공간 150의 출구 쪽 면적을 넓히거나 또는 좁힐 수 있다.
또는, 상기 힌지수단 145을 기준으로 한 쌍의 제2안내면 143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각도 변화를 꾀하면서 안내공간 150 출구 쪽 면적을 넓히거나 또는 좁힐 수 있다.
이를 통해, 바람의 세기, 방향을 제2안내면 143의 각도를 통해 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 : 기류 증폭 장치 100 : 케이스
110 : 상면 120 : 하면
130 : 측면 140 : 기류안내벽
141 : 안내면 142 : 제1안내면
143 : 제2안내면 144 : 제3안내면
145 : 힌지수단 150 : 안내공간
160 : 모터 170 : 제어부
180 : 메쉬 200 : 회전부
210 : 회전수단

Claims (11)

  1. 상면과 하면이 상하 간격을 두고 마주보도록 설치되고, 상기 상면과 하면의 사이 공간 양측에 각각 경사를 갖는 기류안내벽을 상호 대칭되게 설치하여 한 쌍의 기류안내벽 사이에 안내공간을 형성시킨 케이스와, 상기 안내공간의 입구 양측에 각각 한 쌍의 회전수단을 설치하여 모터를 통해 상호 역회전하여 안내공간으로 공기를 흐름시키도록 하는 회전부로 이루어진 기류 증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하면과, 상기 하면과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면과, 상기 상면과 하면의 양측면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되, 상면과 하면의 양측에서 상기 회전부가 설치될 공간을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에 설치되되 상기 안내공간의 내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안내면을 형성하여 상기 안내면 사이에 안내공간을 형성하여 회전부의 회전을 통해 발생하는 기류가 안내공간의 입구에서 출구방향으로 흐름되면서 안내공간 이외의 외부 공기를 끌여 당겨 기류에 합류시키는 기류안내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부는 한 쌍의 회전수단의 회전수를 각각 달리 적용하고 상기 회전수단의 둘레가 외부공간에 노출된 부위에 메쉬가 설치되는 동시에 회전수단은 안내공간의 입구에 설치되되, 상기 회전수단을 중심으로 전방에 위치한 기류안내벽을 제외한 회전수단의 둘레가 외부 공간에 노출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안내면은 상기 회전부 전방에 위치되어 안내공간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안내면과, 상기 제1안내면과 이음되어 측벽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안내공간의 각도를 확개시키는 제2안내면으로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제1안내면과 제2안내면의 연결부위에 힌지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힌지수단을 통해 한 쌍의 제2안내면의 각도를 각각 조절 가능하도록 하여 안내공간의 압력 및 방향 변화를 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류 증폭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수단을 기준으로 한 쌍의 제2안내면은 평행인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류 증폭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수단을 기준으로 한 쌍의 제2안내면은 상호 대칭되게 각도를 변화시켜 안내공간의 출구 쪽 면적을 넓히거나 또는 좁힐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류 증폭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수단을 기준으로 한 쌍의 제2안내면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각도 변화를 꾀하면서 안내공간 출구 쪽 면적을 넓히거나 또는 좁힐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류 증폭 장치.
KR1020150129714A 2015-09-14 2015-09-14 기류 증폭 장치 KR101955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714A KR101955668B1 (ko) 2015-09-14 2015-09-14 기류 증폭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714A KR101955668B1 (ko) 2015-09-14 2015-09-14 기류 증폭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006A KR20170032006A (ko) 2017-03-22
KR101955668B1 true KR101955668B1 (ko) 2019-03-08

Family

ID=58497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9714A KR101955668B1 (ko) 2015-09-14 2015-09-14 기류 증폭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5668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4264U (ko) 1996-12-26 1998-09-25 박병재 공회전시 엔진온도에 의한 엔진 동작제어장치
RU2567345C2 (ru) 2009-03-04 2015-11-10 Дайсон Текнолоджи Лимитед Вентилятор
KR20150042510A (ko) * 2013-10-11 2015-04-21 하성우 주방용 후드
KR20150051515A (ko) * 2013-11-04 2015-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006A (ko) 201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2119B1 (ko) 공기조화기
JP6360167B2 (ja) 家庭用空気流発生装置
IL214536A (en) Fan assembly
JP2015512504A (ja) 回転体内蔵型フードシステム
US9335059B2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KR102058064B1 (ko) 공기조화기
JP2007010184A (ja) エアーカーテン
JP6429204B2 (ja) 空気調和機
KR20180128282A (ko) 무선 기류 증폭 장치
KR102136879B1 (ko) 터보팬 및 이를 사용한 천정형 공기조화기
CA2857459A1 (en) Bladeless fan
KR102111328B1 (ko) 배기 장치
KR101955668B1 (ko) 기류 증폭 장치
KR102556968B1 (ko) 와류형 국소배기장치
JP2004361069A (ja) 加熱調理器
KR101667407B1 (ko) 선풍기
KR20150042510A (ko) 주방용 후드
JP2015158318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06308208A (ja) クリーンルーム装置
JP2010112600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およ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KR20180128285A (ko) 무선 충전 기류 증폭 장치
KR20180128739A (ko) 휴대용 해충퇴치 기류 증폭 장치
JP2016130606A (ja) 空気調和機
KR20180128736A (ko) 고효율 무선 충전 기류 증폭 장치
JP2016132991A (ja) 送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