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040B1 -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040B1
KR102348040B1 KR1020170121410A KR20170121410A KR102348040B1 KR 102348040 B1 KR102348040 B1 KR 102348040B1 KR 1020170121410 A KR1020170121410 A KR 1020170121410A KR 20170121410 A KR20170121410 A KR 20170121410A KR 102348040 B1 KR102348040 B1 KR 102348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d water
height
link
water level
v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2942A (ko
Inventor
엄민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1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040B1/ko
Publication of KR20190032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30Condensation of water from cooled air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가 기동되는 단계(S10); 상기 압축기의 운전시간을 판단하는 단계(S20); 상기 S2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응축수저장부에 배치된 수위센서를 통해 응축수의 수위가 제 1 높이(H1)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30); 상기 S3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수위센서를 통해 응축수의 수위가 상기 제 1 높이보다 큰 제 2 높이(H2)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40); 상기 S4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수위센서를 통해 응축수의 수위가 제 상기 제 2 높이보다 큰 3 높이(H3)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60); 상기 S6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압축기를 오프하는 단계(S70); 상기 S6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를 운전시켜 상기 제 1 높이 미만으로 형성시키는 단계(S8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수위센서를 통해 응축수의 수위를 다단 감지하고, 수위레벨 A에서 수위레벨 B까지 응축수가 상승되는 감지시간에 따라 드레인펌프의 구동률을 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of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형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팽창기로 구성되고, 공기조화 사이클을 이용하여 건물 또는 방에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한다.
공기조화기는 구조적으로 압축기가 실외에 배치된 분리형과, 압축기가 일체로 제작된 일체형으로 구분된다.
분리형은 실내기에 실내 열교환기를 설치하고, 실외기에 실외 열교환기와 압축기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두 장치를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다.
일체형은 실내 열교환기, 실외 열교환기 및 압축기를 하나의 케이스 안에 설치한 것이다. 일체형 공기조화기로는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와, 흡입덕트와 토출덕트를 연결하여 실내 외측에 설치하는 덕트형 공기조화기 등이 있다.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의 설치 형태에 따라 구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실내기가 실내 공간에 수직하게 세워져 설치되는 것을 스탠드형 공기조화기라 하고, 실내기가 실내의 벽에 설치되는 것을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라 하고, 실내기가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것을 천장형 실내기라 한다.
또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한 종류로서, 복수개의 공간에 공기조화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에어컨이 있다.
시스템에어컨의 경우, 복수개의 실내기를 구비하여 실내를 공기조화하는 타입과, 덕트를 통해 각 공간에 공기조화된 공기를 공급하는 타입이 있다.
시스템에어컨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실내기는 스탠드형, 벽걸이형 또는 천장형 등 어느 것이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천장형 실내기의 경우, 실내열교환기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케이스 내부에 저장될 수 있다.
종래의 천장형 실내기에 설치되는 드레인펌프는 플로트센서를 사용하고 응축수가 일정 수위이상일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를 작동시키기 때문에, 소음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 플로트센서를 사용하는 드레인펌프가 펌프의 끝단과 응축수 표면이 맞닿을 때 작동되는 경우, 최초 흡입소음이 과다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79838 B1
본 발명은 드레인펌프의 작동 시 응축수 흡입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응축수의 생성속도에 따라 드레임펌프의 구동률을 조절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응축수의 수위에 따라 압축기를 정지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응축수가 제 1 높이에서 제 2 높이까지 상승되는 시간에 따라 드레인펌프의 구동률을 결정하고, 이를 통해 실내기가 설치된 공간의 습도에 따라 드레인펌프의 구동률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압축기가 기동되는 단계(S10); 상기 압축기의 운전시간을 판단하는 단계(S20); 상기 S2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응축수저장부에 배치된 수위센서를 통해 응축수의 수위가 제 1 높이(H1)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30); 상기 S3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수위센서를 통해 응축수의 수위가 상기 제 1 높이보다 큰 제 2 높이(H2)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40); 상기 S4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수위센서를 통해 응축수의 수위가 제 상기 제 2 높이보다 큰 3 높이(H3)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60); 상기 S6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압축기를 오프하는 단계(S70); 상기 S6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를 운전시켜 상기 제 1 높이 미만으로 형성시키는 단계(S80);를 포함한다.
상기 S3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를 오프하거나 오프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S60 단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를 제 4 구동률로 운전시킬 수 있다.
상기 S40 단계를 불만족하는 경우, 상기 응축수가 상기 제 1 높이에서 상기 제 2 높이(H2)에 도달하는 감지시간에 따라 상기 드레인펌프의 구동률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S40 단계를 불만족하는 경우, 제 1 감지시간 중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 1 감지시간 내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까지 도달한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를 제 1 구동률로 구동시키고, 또는 상기 제 1 감지시간보다 긴 제 2 감지시간 중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 2 감지시간 내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까지 도달한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를 제 2 구동률로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구동률이 상기 제 2 구동률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S40 단계를 불만족하는 경우, 제 1 감지시간 중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 1 감지시간 내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까지 도달한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를 제 1 구동률로 구동시키고, 또는 상기 제 1 감지시간보다 긴 제 2 감지시간 중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 2 감지시간 내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까지 도달한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를 제 2 구동률로 구동시키고, 또는 상기 제 2 감지시간보다 긴 제 3 감지시간 중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 3 감지시간 내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까지 도달한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를 제 3 구동률로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구동률이 상기 제 2 구동률보다 크고, 상기 제 2 구동률이 상기 제 3 구동률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압축기가 기동되는 단계(S10); 상기 압축기의 운전시간을 판단하는 단계(S20); 상기 S2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응축수저장부에 배치된 수위센서를 통해 응축수의 수위가 제 1 높이(H1)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30); 상기 S3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수위센서를 통해 응축수의 수위가 상기 제 1 높이보다 큰 제 2 높이(H2)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40); 상기 S40 단계를 불만족하는 경우, 상기 응축수가 상기 제 1 높이에서 상기 제 2 높이(H2)에 도달하는 감지시간에 따라 상기 드레인펌프의 구동률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S40 단계를 불만족하는 경우, 제 1 감지시간 중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 1 감지시간 내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까지 도달한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를 제 1 구동률로 구동시키고, 또는 상기 제 1 감지시간보다 긴 제 2 감지시간 중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 2 감지시간 내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까지 도달한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를 제 2 구동률로 구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수위센서를 통해 응축수의 수위를 다단 감지하고, 수위레벨 A에서 수위레벨 B까지 응축수가 상승되는 감지시간에 따라 드레인펌프의 구동률을 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응축수의 생성속도에 따라 드레인펌프의 구동률을 강, 중, 약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압축기의 초기기동 시, 수위레벨 A, 수위레벨 B, 수위레벨 C가 모두 감지되는 경우, 응축수의 수위넘침 위험구간으로 판단하고, 압축기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압축기의 초기 기동 시, 판단된 드레인펌프의 구동률을 실내기의 운전이 정지될 때까지 계속 적용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드레인패널의 저면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응축수저장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자외선살균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자외선살균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윈도우커버의 내측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토출베인의 제 1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토출베인의 다른 각도의 제 2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관절링크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관절링크의 작동 예시도들이다.
도 14는 도 8에 도시된 토출베인의 작동 예시도들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배출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배출장치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절개 사시도이다.
<실내기의 구성>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가 형성된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되는 실내열교환기(130)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실내송풍팬(140)을 포함한다.
<케이스의 구성>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100)는 실내의 천장에 고정되고, 하측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케이스하우징(110)과, 상기 케이스하우징(110)의 개구된 면을 커버하고 실내에 노출되며,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가 형성된 커버패널(120)과, 상기 케이스하우징(110) 및 커버패널(120) 사이에 배치되고, 실내열교환기(130)가 거치되는 드레인패널(150)을 포함한다.
상기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커버패널(120)은 케이스하우징(110)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측이 개구되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케이스(100)는 제작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케이스(100)의 구성이 본 발명의 사상을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흡입구(101)가 커버패널(120)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102)는 상기 흡입구(101)의 주변에 배치된다. 상기 흡입구(101)의 개수 또는 토출구(102)의 개수는 본 발명의 사상과 무관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구(101)는 1개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102)는 복수개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구(101)는 저면에서 보았을 때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102)는 상기 흡입구(101)의 각 가장자리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4개가 배치된다.
상기 커버패널(120)은 상기 흡입구(101)를 커버하는 흡입그릴(122)을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그릴(122)은 상기 커버패널(120)에서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흡입그릴(122)의 상측에 프리필터(124)가 배치되고, 상기 프리필터(124)는 상기 케이스(100)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여과한다.
상기 토출구(102)는 긴 슬릿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102)를 개폐하는 토출베인(200)이 배치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배출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드레인패널의 구성>
본 실시예에서 상기 드레인패널(150)은 상기 케이스하우징(110)에 고정되고, 상기 커버패널(120)은 상기 드레인패널(150)에 고정된다.
상기 드레인패널(150)의 상측에 상기 실내열교환기(130) 및 실내송풍팬(140)이 배치된다. 특히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상기 드레인패널(150)에 거치되어 지지된다.
상기 드레인패널(150)은 상기 흡입구(101)와 연통되는 패널흡입구(151) 및 토출구(102)와 연통되는 패널토출구(152)가 형성된 패널바디(170)와, 상기 패널바디(170)에 형성되고,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실내열교환기(130)가 거치되는 거치부(154)와, 상기 거치부(154)와 연결되고, 상기 거치부(154)의 응축수를 모아 저장하는 응축수저장부(160)와, 상기 응축수저장부(160)에 배치되고 저장된 응축수를 펌핑하여 배출시키는 응축수배수장치(300)를 포함한다.
상기 실내기는 상기 응축수저장부(160)와 접하는 상기 패널바디(170)에 배치되고 상기 응축수저장부(160)에 저장된 응축수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응축수를 살균하는 자외선발생장치(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응축수저장부(160)는 상기 패널바디(170)와 일체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드레인패널(150)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드레인패널(150)의 평면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흡입구(151)의 하측에 상기 흡입구(101)가 배치된다. 상기 패널토출구(152)의 하측에 상기 토출구(102)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구(102) 및 패널토출구(152)는 각 측부에 배치되는 바 4개소가 형성된다.
상기 패널토출구(152)는 상기 패널흡입구(151)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패널흡입구(151)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배치된다.
상기 패널바디(170)에 상기 패널흡입구(151) 및 패널토출구(152)가 형성된다. 상기 패널바디(170)는 상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거치부(154)는 패널바디(170)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거치부(154) 내측에는 상기 거치공간(155)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공간(155)에 상기 실내열교환기(130)의 하단이 삽입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상기 거치공간(155)에 삽입되고, 상기 거치부(154)에 거치되어 지지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상기 거치부(154)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드레인패널(150)에 체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154)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패널흡입구(151)를 감싸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상기 거치부(154)에 삽입되고, 수직하게 세워진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상기 거치부(154)의 평면 형상을 따라 평면에서 보았을 때, 사각형 형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거치부(154) 내부에는 응축수를 응축수저장부(160)로 안내하기 위한 경사가 형성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30)에서 생성되는 응축수는 상기 거치부(154)로 흘려내린다. 상기 거치부(154)의 응축수는 상기 거치부(154)의 경사를 따라 상기 응축수저장부(160) 측으로 유동된다.
상기 응축수저장부(160)는 상기 패널바디(170)의 상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응축수저장부(160)는 상기 거치부(154)와 연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154)의 응축수를 제공받는다.
상기 응축수저장부(160)의 저면(161)은 상기 거치공간(155)의 저면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154)의 물은 자중에 의해 상기 응축수저장부(160)로 유동된다.
상기 응축수저장부(160)는 상기 드레인패널(150)에 다수개소에 배치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1개소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응축수저장부(160)는 2개의 패널토출구(152)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응축수저장부(160)의 상면(164)은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응축수배수장치(300)는 상기 응축수저장부(160) 저면(161)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응축수배수장치(300)는 상기 응축수저장부(16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저면(161)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응축수배수장치(300)는 상기 응축수저장부(160)의 응축수를 흡입한 후, 외부로 배수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저면(161)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드레인펌프 설치부(163)가 형성된다.
상기 드레인펌프 설치부(163)는 상기 저면(161) 보다 낮게 위치된다.
상기 응축수저장부(160)는 내측면(165)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개구된 내측면(165)을 통해 상기 응축수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내측면(165)의 전방 측에 다수개의 돌기(166)가 배치되고, 상기 돌기(166)는 패널바디(170)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다수개의 돌기(166)들은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응축수저장부(160)의 내측면을 둘러싸게 배치된다.
상기 응축수에 포함된 이물질은 상기 돌기(166)들 사이에 걸리게 된다.
한편, 상기 응축수저장부(160)와 접하는 위치에 상기 자외선발생장치(180)가 배치된다.
<응축수배수장치의 구성>
상기 응축수배수장치(300)는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설치되고, 응축수를 펌핑하는 드레인펌프(310)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설치되고, 응축수저장부(160)에 저장된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3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드레인펌프(310) 및 수위센서(320)는 드레인패널(150)에 설치된다.
상기 드레인펌프(310)는 응축수가 흡입되는 펌프흡입구(311)가 구비된다. 상기 펌프흡입구(311)는 응축수저장부(160) 내에 위치된다. 상기 펌프흡입구(311)는 상기 응축수저장부(160)의 저면(161) 보다 높게 위치된다.
상기 드레인펌프(310)는 DC 모터가 사용된다. 상기 DC 모터는 운전률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저면(161) 및 펌프흡입구(311) 사이는 소정간격(S) 이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위센서(320)는 플로트센서가 아닌 디지털수위센서가 사용된다. 상기 디지털수위센서는 응축수의 수위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디지털수위센서는 3단계로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디지털수위센서는 제 1 감지부(321), 제 2 감지부(322) 및 제 3 감지부(323)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감지부(321), 제 2 감지부(322) 및 제 3 감지부(323)는 서로 다른 높이의 수위를 감지한다.
상기 제 1 감지부(321), 제 2 감지부(322) 및 제 3 감지부(323)는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비접촉 방식으로 수위를 감지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응축수와 직접 접촉되어 수위를 감지하는 접촉 방식이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감지부(321)에서 제 3 감지부(323)로 갈수록 길이가 짧아지게 형성되고, 제 1 감지부(321)가 저수위의 응축수를 감지하고, 제 2 감지부(322)가 중수위의 응축수를 감지하고, 제 3 감지부(323)이 고수위의 응축수를 감지한다.
상기 제 1 감지부(321), 제 2 감지부(322) 및 제 3 감지부(323)는 모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제 1 감지부(321)의 끝단이 가장 낮게 위치되고, 제 3 감지부(323)의 끝단이 가장 높게 위치된다.
상기 응축수저장부(160)의 저면(161)부터 상기 제 1 감지부(321)의 하측단까지의 높이를 제 1 감지높이(H1)로 정의하고, 상기 응축수저장부(160)의 저면(161)부터 상기 제 2 감지부(322)의 하측단까지의 높이를 제 2 감지높이(H2)로 정의하고, 상기 응축수저장부(160)의 저면(161)부터 상기 제 3 감지부(323)의 하측단까지의 높이를 제 3 감지높이(H3)로 정의한다.
상기 제 1 감지높이(H1)는 상기 펌프흡입구(311) 보다 높게 위치된다. 상기 펌프흡입구(311) 및 제 1 감지높이(H1)는 소정간격(G) 이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펌프흡입구(311) 및 제 1 감지높이(H1)는 3mm 이격된다.
상기 소정간격(G)은 상기 펌프흡입구(311)의 흡입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설정된다. 상기 펌프흡입구(311)와 응축수의 표면이 맞닿는 경우, 응축수의 흡입과정에서 다량의 공기가 드레인펌프(3310)로 흡입되면서 흡입소음이 발생된다.
상기 펌프흡입구(311)가 응축수에 잠긴상태에서, 상기 드레인펌프(310)를 구동하여 공기가 상기 펌프흡입구(311)로 흡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흡입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소정간격(G)은 응축수의 표면장력을 고려한 높이다.
<자외선발생장치의 구성>
상기 자외선발생장치(180)는 패널바디(170)에 조립된다. 상기 자외선발생장치(180)의 적어도 1면은 상기 응축수저장부(160)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자외선발생장치(180)는 상기 응축수저장부(160)에 저장되는 응축수와 직접 접촉되게 배치된다.
상기 패널바디(170)에는 상기 자외선발생장치(180)가 설치되는 설치홈(175)이 형성된다. 상기 자외선발생장치(180)는 상기 설치홈(175)에 삽입되고, 상기 패널(170)와 결합된다.
상기 자외선발생장치(180)는 상기 패널바디(170)에 결합되어 상기 설치홈(175)을 차폐시키는 하우징(182)과, 상기 설치홈(175) 내부에 배치되고,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자외선램프(184)와, 상기 하우징(182)에 배치되고,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자외선램프(184)에서 발생된 자외선을 투과시키는 윈도우(186)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82)은 상기 응축수저장부(160)에 적어도 일부가 노출된다. 상기 하우징(182)은 전체면이 밀폐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설치홈(175)과 결합될 때, 상기 설치홈(175)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커버형태로 제작된다.
상기 설치홈(175)은 상측면 및 응축수저장부(160)와 접하는 면(본 실시예에서는 설치홈의 정면이라 정의한다.)은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82)은 상부커버(181) 및 정면커버(183)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커버(181)는 밀폐되게 형성된다. 상기 정면커버(183)의 적어도 일부는 투과홀(185)이 형성된다. 상기 투과홀(185)는 상기 응축수저장부(160)를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투과홀(185)을 통해 상기 설치홈(175) 내부로 응축수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윈도우(186) 가장자리는 패킹 또는 실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윈도우(186)를 통해 상기 투과홀(185)이 밀폐되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투과홀(185)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가 하우징(182) 내부로 유입되지 않을 정도의 단을 형성할 경우, 상기 투과홀(185)에 윈도우(186)를 설치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윈도우(186)를 설치하여 상기 하우징(182) 내부로 먼지, 응추수 및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구성은 윈도우(186)를 통해 상기 투과홀(185)을 차폐시키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하우징(182)이 자외선을 투과시킬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별도의 투과홀(185) 및 윈도우(186)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 정면커버(183)에 상기 윈도우(186)가 설치되고, 상기 윈도우(186)는 상기 투과홀(185)을 커버한다.
상기 정면커버(183)의 하단은 상기 패널바디(170)에 억지끼움 형태로 조립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정면커버(183) 및 패널바디(170)는 요철형상을 통해 억지끼움된다. 상기 정면커버(183)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커버돌출부(189)가 형성되고, 상기 패널바디(170)에는 상기 커버돌출부(189)가 억지끼움되는 커버끼움부(179)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돌출부(189) 및 커버끼움부(179)는 상기 설치홈(175) 내부로 응축수가 침투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커버돌출부(189) 및 커버끼움부(179)는 억지끼움되어 응축수의 침투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커버(181) 역시 상기 패널바디(170)에 억지끼움 형태로 조립된다. 상기 상부커버(181)의 단측에는 커버끼움홈(181a)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175)을 형성하는 모서리와 억지끼움 형태로 조립된다.
상기 하우징(182)은 자외선이 투과될 수 없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82)은 자외선이 외부로 방사되는 것을 차단하고, 자외선이 상기 윈도우(186)로만 투사되게 한다.
자외선이 주변으로 투사되는 경우, 인체에 해로울 수 있다.
상기 자외선램프(184)는 플레이트 형태이고, 면 발광을 통해 자외선을 생성한다. 상기 자외선램프(184)는 인가된 전원을 통해 자외선을 발생시킨다. 상기 자외선램프(184)는 인쇄회로기판이 결합된 형태이고, 상기 자외선램프(184)에 전원 및 제어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미도시된 전선이 배치된다.
상기 자외선램프(184)는 상기 하우징(182)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응축수와 비접촉된다. 상기 자외선램프(184)는 응축수와 비접촉되고, 이를 통해 누전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발생장치(180)는 자외선램프(184)와 응축수의 접촉을 차단한 상태에서 자외선을 투사하여 살균을 실시한다.
상기 자외선램프(184)에 전선이 연결되기 위해 상기 설치홈(175)과 연통되는 전선홀(188)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설치홈(175)을 형성하는 패널바디(170)를 관통하여 상기 전선홀(188)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홈(175)에는 상기 자외선램프(184)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가 배치된다. 상기 자외선램프(184)는 응축수가 고여있는 곳을 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응축수는 응축수저장부(160)의 하측에 고이기 때문에, 상기 자외선램프(184)는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지게 배치된 상기 자외선램프(184)를 고정하기 위해 제 1 고정부(191) 및 제 2 고정부(192)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고정부(191)는 상기 자외선램프(184)의 상단을 지지하고, 상기 제 2 고정부(192)는 상기 자외선램프(184)의 하단을 지지한다.
상기 제 1 고정부(191)는 상기 패널바디(170)에 형성된다. 상기 제 1 고정부(191)는 설치홈(175)을 형성하는 상기 패널바디(170)에서 상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1 고정부(191)는 상기 자외선램프(184)에서 발생된 자외선을 가리지 않도록 자외선램프(184)의 측부에 위치된다.
상기 제 1 고정부(191)는 "ㄱ"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측단이 자외선램프(184) 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2 고정부(192)는 상기 자외선램프(184)의 하측을 지지한다. 상기 제 2 고정부(192)는 상기 삽입홈(175)을 형성하는 상기 패널바디(170)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1 고정부(191) 및 상기 제 2 고정부(192) 사이에 상기 자외선램프(184)가 위치된다.
상기 자외선램프(184)는 하단이 상기 제 2 고정부(192)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단이 상기 제 1 고정부(191)에 지지되고, 상기 응축수저장부(160)를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윈도우(186)를 통해 응축수저장부(160)로 투사되는 자외선은 응축수저장부(160)에 저장된 응축수를 살균할 뿐만 아니라 상기 응축수저장부(160)를 통과하는 공기를 살균할 수 있다.
상기 응축수저장부(160)의 내측면(165)을 통해 유입되어 상면(164)을 통해 유동되는 공기에 대해 상기 자외선램프(184)는 살균을 실시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윈도우(186)의 일부만이 상기 응축수에 잠기기 때문에 가능하다.
<실내열교환기의 구성>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상기 케이스(100) 내부를 구획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본 실시예에서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상기 실내송풍팬(140)에서 토출된 공기가 수직하게 진입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드레인팬(132)이 설치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드레인팬(132)에 거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30)에서 생성된 응축수는 상기 드레인팬(132)으로 유동된 후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팬(132)에는 모인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펌프(미도시)가 배치된다.
상기 드레인팬(132)은 실내열교환기(130)에서 흘러내린 응축수를 한쪽으로 모아 저장하기 위해 방향성을 갖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실내송풍팬의 구성>
상기 실내송풍팬(140)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흡입구(101)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실내송풍팬(140)은 중앙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원심송풍기가 사용된다.
상기 실내송풍팬(140)은 벨마우스(142), 팬(144) 및 팬모터(146)를 포함한다.
상기 벨마우스(142)는 흡입그릴(122)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그릴(122)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팬(144)으로 안내한다.
상기 팬모터(146)는 상기 팬(144)을 회전시킨다.
<유로의 구성>
상기 실내열교환기(130)에 대해 실내송풍팬(140) 측 공간을 흡입유로(103)로 정의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130)에 대해 외측 공간(실내열교환기(130) 및 케이스하우징(110) 사이)를 토출유로(104)로 정의한다.
상기 흡입유로(103)는 흡입구(101)과 연통되고, 상기 토출유로(104)는 토출구(103)와 연통된다.
공기는 상기 흡입유로(103)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되고, 토출유로(104)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유동된다.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는 커버패널(120)의 같은 면에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는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는 실내의 바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커버패널(120)에 굴곡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토출구(102)가 약간의 측면경사를 갖게 형성될 수 있지만, 토출유로(104)와 연결된 토출구(102)는 하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10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토출베인(200)이 배치된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토출베인의 제 1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토출베인의 다른 각도의 제 2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관절링크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분해 사시도이다.
<토출베인의 구성>
상기 토출베인(200)은 토출유로(104)에 설치되고, 상기 토출구(10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제어한다.
상기 토출베인(200)은 공기의 유동방향을 안내하는 베인(210)과, 상기 케이스(100)에 설치되고, 상기 베인(210)의 각도조절을 위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베인모터(220)와, 상기 베인(210) 및 케이스(100)를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고, 상기 베인모터(220)의 구동력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베인(210)을 회전시키는 리지드링크(310, rigid link) 및 관절링크(320)를 포함한다.
상기 리지드링크(310) 및 관절링크(320)는 상기 케이스(100)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토출유로(104) 상에 배치되는 모터케이스(105)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관절링크(320)는 리지드링크(310)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모터케이스(105)는 공기의 토출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모터케이스(105)는 토출유로(104)를 형성하는 상기 커버패널(120) 또는 케이스하우징(110)에 내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모터케이스(105)는 상기 커버패널(120) 또는 케이스하우징(110)의 토출유로(104)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모터케이스(105)는 상기 베인(210)의 길이방향과 교차 또는 직교되게 배치된다. 상기 모터케이스(105)는 상기 베인(210)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측단 및 타측단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케이스(105)는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베인(210)은 상기 베인(2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상기 모터케이스(105)와 소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베인(210)은 상기 토출구(102)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모터케이스(105)의 외측(베인모터 측)에는 베인모터(220)가 조립되는 베인모터설치부(106)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베인모터설치부(106)에 상기 베인모터(220)가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리지드링크(310) 및 관절링크(320)는 상기 베인(210)의 일측단 및 타측단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베인모터(220)는 상기 베인(210)의 일측단 또는 타측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인모터(220)는 상기 베인(210)의 일측단 또는 타측단 중 어느 하나에만 설치된다.
상기 베인모터(220)는 상기 모터케이스(105)를 기준으로 상기 베인(210)의 반대편에 배치된다. 그래서 상기 베인모터(220)의 구동력은 상기 모터케이스(105)를 관통하여 상기 리지드링크(310) 및 관절링크(320)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된다.
상기 모터케이스(105)의 내측(베인 측)에는 링크가 설치되기 위한 보스가 형성된다. 상기 보스(230)는 내측(베인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리지드링크(310) 또는 관절링크(320)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보스(230)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설치된 링크는 상기 보스(230)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리지드링크(310)가 상기 보스(230)와 결합되고, 상기 보스(230)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베인모터(220)는 상기 보스(230)에 결합된 링크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스(230)를 관통하여 설치된 리지드링크(310)에 베인모터(220)의 회전력이 제공되고, 상기 베인모터(2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리지드링크(310)가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인모터(220)는 스텝모터가 사용된다.
상기 보스(230)는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결합구조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회전반경을 제한하는 스토퍼의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보스(230)는 내부가 빈 중공(236)으로 형성된다. 상기 보스(230)의 중공(236)을 관통하여 상기 리지드링크(310)가 모터케이스(105)를 관통하게 배치된다.
상기 보스(230)는 원기둥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베인(210) 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보스(230)는 상기 베인(210) 측으로 더 돌출된 보스스토퍼(232)가 형성된다. 상기 보스스토퍼(232)는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회전 시 상호 걸림을 형성하고,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회전을 제한한다.
상기 보스스토퍼(232)는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시계방향 회전 및 반시계방향 회전에 대해 각각 회전각도를 제한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스스토퍼(232)는 대략 270도 회전가능하게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회전각도를 제한한다.
상기 보스스토퍼(232)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상기 보스(230)와 연속된 면을 형성한다. 상기 보스스토퍼(232)는 일측단(233) 및 타측단(234)이 리지드링크(310)와 상호 간섭된다.
상기 일측단(233)은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시계방향 회전 시 접촉되고,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회전을 제한하는 부분이다. 상기 타측단(234)는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반시계방향 회전 시 접촉되고,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회전을 제한하는 부분이다. 상기 일측단(233) 및 타측단(234)의 위치는 설계에 따라 반대로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보스스토퍼(232)는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회전평면 상에 위치되고, 상기 리지드링크(310)가 회전될 때, 상기 일측단(233) 또는 타측단(234)과 접촉되어 회전이 정지된다.
상기 리지드링크(31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형성되는 가상의 평면을 회전평면으로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개의 링크가 회전되는 바, 각 링크들은 각각의 고유한 회전평면을 형성한다.
<베인의 구성>
설명을 위해 상기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한다. 또한 천장 측을 상측으로 정의하고, 바닥을 하측으로 정의한다. 또한 토출베인에서 베인모터가 설치된 측을 일측(우측)으로 정의하고 반대쪽은 타측(좌측)으로 정의한다.
상기 베인(210)은 상기 토출구(102)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베인바디(212)와, 상기 베인바디(212)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리지드링크(310) 및 관절링크(320)가 결합되는 결합플랜지(214)를 포함한다.
상기 베인바디(212)는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인바디(212)는 상기 토출유로(104)를 따라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한다.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베인바디(212)의 상측면에 부딪혀 유동방향이 안내된다.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과 상기 베인바디(212)의 길이방향은 직교 또는 교차된다.
상기 베인바디(212)의 상측면에는 다수개의 그루브(213)가 형성된다. 상기 그루브(213)는 상기 베인바디(212)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그루브(213)는 복수개의 상기 결합플랜지(214)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결합플랜지(214)는 상기 리지드링크(310) 및 관절링크(320)의 결합을 위한 설치구조이다. 상기 결합플랜지(214)는 상기 토출베인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결합플랜지(214)는 상기 베인바디(212)의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플랜지(214)는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 결합플랜지(214)는 상기 베인바디(212)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 또는 교차되게 배치된다.
상기 결합플랜지(214)는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 측(전방)이 낮고, 공기가 진입되는 방향 측(후방)이 높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플랜지(214)는 상기 리지드링크(310)가 결합되는 측이 높고 관절링크(320)이 결합되는 측이 낮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플랜지(214)의 후방 측 단(214a)은 베인바디(212)의 후방 측 단(212a)을 벗어나 더 후방측에 위치된다. 즉, 상기 결합플랜지(214)의 후방 측 단(214a)은 베인바디(212)의 후방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플랜지(214)는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타측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베인결합부(216)와, 상기 관절링크(320)의 타측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베인결합부(217)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베인결합부(216) 및 제 2 베인결합부(217)는 상기 결합플랜지(214)를 관통하는 홀의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베인결합부(216) 및 제 2 베인결합부(217)는 축결합 또는 힌지결합이 가능한 구조면 무방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베인결합부(216) 및 제 2 베인결합부(217)는 상기 보스(230)와 같은 형태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일측단은 상기 모터케이스(105)에 결합되고,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보스(230)에 결합된다. 상기 관절링크(320)의 일측단은 상기 모터케이스(105)에 결합된다. 즉, 상기 모터케이스(105)에는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일측단 및 관절링크(320)의 일측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모터케이스(105)에는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일측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스와, 상기 관절링크(320)의 일측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관절링크결합부(237)가 형성된다.
상기 관절링크결합부(237)는 홀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베인결합부(216)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베인바디(212)의 후방 측 단(212a)을 벗어나 더 후방 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베인결합부(217)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베인바디(212) 상에 위치된다.
상기 제 1 베인결합부(216)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2 베인결합부(217) 보다 높게 위치된다.
그래서 상기 제 1 베인결합부(216) 및 제 2 베인결합부(217)는 상기 베인바디(212)에 대해 소정의 링크결합부 사이각(A)을 형성한다. 상기 링크결합부 경사각(a)은 상기 베인(210)의 선회 운동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구조이다.
<링크의 구성>
상기 리지드링크(310)는 상기 관절링크(320)에 비해 후방 측에 배치된다.
상기 리지드링크(310)는 상기 관절링크(320)에 비해 타측에 배치된다. 그래서 상기 리지드링크(310) 및 관절링크(320)는 서로 다른 회전평면 상에서 회전되고, 이를 통해 회전 시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리지드링크(310)는 리지드링크바디(315)와, 상기 리지드링크바디(315)에서 타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1 베인결합부(216)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리지드링크축(311)과, 상기 리지드링크바디(315)에서 일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보스(3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리지드링크축(312)과, 상기 리지드링크바디(315)의 회전평면 상으로 돌출되고, 소정각도 회전 시 보스스토퍼(232)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링크스토퍼(31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리지드링크축(311)은 상기 리지드링크바디(315)와 베인(210)이 상대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리지드링크축(311)은 상기 리지드링크바디(315)와 일체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리지드링크축(311)은 상기 베인(210) 또는 결합플랜지(214)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제 2 리지드링크축(312)은 상기 리지드링크바디(315)와 모터케이스(105)가 상대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리지드링크축(312)은 상기 리지드링크바디(315)와 일체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2 리지드링크축(312)은 상기 모터케이스(105), 커버패널(120) 또는 케이스(10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링크스토퍼(314)는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회전평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시계회전될 때, 상기 링크스토퍼(314)는 보스스토퍼(232)의 일측단(233)에 접촉되고, 회전이 정지된다.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반시계방향 회전될 때, 상기 링크스토퍼(314) 또는 리지드링크바디(315)는 상기 보스스토퍼(232)의 타측단(234) 접촉되고, 회전이 정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링크스토퍼(314)는 상기 리지드링크바디(315)에 대하여 관절링크(320)의 반대편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관절링크(320)는 특정 위치에서 관절형태로 벤딩될 수 있다.
상기 관절링크(320)는 상기 케이스(10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관절링크(330)와, 상기 베인(21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1 관절링크(330)와도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관절링크(340)와, 상기 제 1 관절링크(330) 또는 제 2 관절링크(3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관절링크(330) 및 제 2 관절링크(340)의 상대 회전 시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관절스토퍼(350)를 포함한다.
상기 관절링크(320)의 회전평면은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회전평면과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상기 관절링크(320) 및 리지드링크(310)의 회전평면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작동 시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관절링크(330)는 상기 케이스(100) 및 제 2 관절링크(340)와 각각 상대회전되는 제 1 관절링크바디(335)와, 상기 제 1 관절링크바디(335)에서 일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케이스(10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관절링크축(331)과, 상기 제 1 관절링크바디(335)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관절링크(34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커넥트링크부(336)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관절링크바디(335)는 상측이 케이스(10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하측은 상기 제 2 관절링크(34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 1 관절링크바디(335)의 회전평면은 공기의 토출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제 1 관절링크바디(335)의 회전평면은 베인(210)의 길이 방향과 직교된다.
상기 제 1 관절링크축(331)은 상기 제 1 관절링크바디(335)에서 일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 관절링크축(331)은 관절링크결합부(237)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관절링크바디(335)가 회전될 수 있는 회전중심을 형성한다. 상기 관절링크결합부(237)는 홀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관절링크축(331)은 홀에 삽입될 수 있는 원통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관절링크축(331)은 상기 관절링크결합부(237)에 삽입된 후, 분리가 차단되도록 후크구조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관절링크(331)는 복수개의 제 1 링크축바디(332)와 상기 제 1 링크축바디(332)의 단에 각각 배치된 제 1 링크후크(333)를 포함한다.
제 1 링크축바디(332)는 원통형상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링크후크(333)는 제 1 링크축바디(332)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 1 링크후크(333)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링크축바디(332)는 4개가 배치되고, 이들이 모여 원통형상을 형성한다. 각 제 1 링크축바디(332)는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이를 통해 휨변형이 가능한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관절링크축(331)은 재질에 의한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제 1 관절링크축(331)은 상기 관절링크결합부(237)를 관통하고, 상기 제 1 링크후크(333)는 모터케이스(105)와 상호 걸림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관절링크축(331)은 상기 제 1 링크축바디(332)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축플랜지(338)가 형성된다. 상기 축플랜지(338)는 상기 모터케이스(105)의 타측면에 밀착된다.
상기 제 1 커넥트링크부(336)는 상기 제 1 관절링크바디(335)에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1 커넥트링크부(336)는 상기 제 1 관절링크바디(335)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1 커넥트링크부(336)와 후술하는 제 2 커넥트링크부(346)는 암수 형상으로 조립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커넥트링크부(336)는 암형상이고 상기 제 2 커넥트링크부(346)는 수형상이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암수 형상은 반대로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 1 커넥트링크부(336) 및 제 2 커넥트링크부(346)는 제 1 관절링크(330)의 회전평면 상에서 서로 상대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커넥트링크부(336)는 제 1 커넥트바디(335)의 일측 및 타측에서 각각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일측 링크부바디(337) 및 타측 링크부바디(337)와, 상기 일측 링크부바디(337) 및 타측 링크부바디(337)에 각각 형성된 관절축홀(339)을 포함한다.
상기 일측 링크부바디(337) 및 타측 링크부바디(337) 사이에는 링크삽입공간(334)이 형성된다.
상기 일측 링크부바디(337) 및 타측 링크부바디(337)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각 관절축홀(339) 역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제 2 관절링크(340)는 상기 베인(210) 및 제 1 관절링크(330)와 각각 상대회전되는 제 2 관절링크바디(345)와, 상기 제 2 관절링크바디(345)에서 타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베인(21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관절링크축(341)과, 상기 제 2 관절링크바디(345)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관절링크(33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커넥트링크부(346)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관절링크바디(345)는 상기 제 1 관절링크바디(335)보다 길게 형성된다. 제 2 관절링크바디(345)는 제 1 관절링크바디(335)와 같은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2 관절링크바디(345)는 제 1 관절링크바디(335)와 함께 상기 관절링크의 회전평면을 형성한다. 상기 관절링크(320)가 형성하는 회전평면은 상기 리지드링크(310)가 형성하는 회전평면과 평행하다.
상기 제 2 관절링크축(341)은 상기 제 1 관절링크축(331)과 동일한 구성이다. 다만 상기 제 2 관절링크축(341)은 상기 제 1 관절링크축(331)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2 관절링크축(341)은 제 2 링크축바디(342) 및 제 2 링크후크(343)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관절링크축(341)은 상기 제 2 링크축바디(342)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축플랜지(348)가 형성된다. 상기 축플랜지(348)는 상기 결합플랜지(214)의 일측면에 에 밀착된다.
상기 제 2 커넥트링크부(346)는 제 2 커넥트바디(345)의 일측 및 타측에서 각각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일측 링크부바디(347) 및 타측 링크부바디(347)와, 상기 일측 링크부바디(347) 및 타측 링크부바디(347)에 각각 형성된 관절축(349)과, 상기 일측 링크부바디(347) 및 타측 링크부바디(347) 사이에 형성된 사이공간(343)을 포함한다.
상기 일측 링크부바디(347)에 형성된 관절축(349)은 일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타측 링크부바디(347)에 형성된 관절축(349)는 타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관절축(349)은 상기 제 1 관절링크(330) 또는 제 2 관절링크(3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1 관절링크(330) 및 제 2 관절링크(340)를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상기 일측 링크부바디(347) 및 타측 링크부바디(347)는 재질의 탄성에 의해 휨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제 2 커넥트링크부(346)가 상기 링크삽입공간(334)으로 삽입되어 제 커넥트링크부(336)과 결합될 때, 상기 일측 링크부바디(347) 및 타측 링크부바디(347)는 상기 사이공간(344)으로 휨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제 2 관절링크(340)의 관절축(349)은 제 1 관절링크(330)의 관절축홀(339)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상기 제 1 관절링크(330) 및 제 2 관절링크(340)는 서로 상대회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절스토퍼(350)는 상기 제 1 관절링크(330) 및 제 2 관절링크(340)의 상대회전 각도를 제한한다.
상기 관절스토퍼(350)를 통해 상기 제 1 관절링크(330) 및 제 2 관절링크(340)의 사이각을 제한하기 때문에, 상기 베인(210)을 보다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관절스토퍼(350)는 상기 관절링크(320)의 시계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제 1 관절스토퍼(352)와, 상기 관절링크(320)의 반시계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제 2 관절스토퍼(35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관절스토퍼(352)는 제 1 관절링크(330) 또는 제 2 관절링크(3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방 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관절스토퍼(354)는 제 1 관절링크(330) 또는 제 2 관절링크(3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후방 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관절스토퍼(352)는 상기 제 2 관절링크바디(345)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2 관절스토퍼(354)는 상기 제 2 관절링크바디(345)의 후방 측 면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제작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2 관절스토퍼(354)도 돌출되게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제 1 관절스토퍼(352) 및 제 2 관절스토퍼(354)는 제한하려는 상대회전각도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관절스토퍼(352)는 제 1 관절링크바디(335)의 전방 측 외측면(351)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 2 관절스토퍼(354)는 상기 제 1 관절링크바디(335)의 후방 측 외측면(353)에 지지될 수 있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관절링크의 작동 예시도들이고, 도 14는 도 8에 도시된 토출베인의 작동 예시도들이다.
<관절링크의 작동 설명>
도 13을 참조하여 관절링크(320)의 작동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베인모터(220)가 상기 리지드링크(310)를 시계방향으로 최대 회전시켰을 때, 관절링크(320)는 도 13의 (a)와 같은 상태를 형성한다.
도 13의 (a) 상태에서 상기 리지드링크(31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관절링크(320)는 도 13의 (b)와 같은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베인모터(220)가 상기 리지드링크(310)를 반시계방향으로 최대 회전시켰을 때, 관절링크(320)는 도 13의 (c)와 같은 상태를 형성한다.
도 13의 (a) 상태일 때, 상기 제 1 관절스토퍼(352)는 제 1 관절링크바디(335)의 전방 측 외측면(351)에 지지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 2 관절링크(340)는 반시계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될 수 없다.
도 13의 (c) 상태일 때, 상기 제 2 관절스토퍼(354)는 상기 제 1 관절링크바디(335)의 후방 측 외측면(353)에 지지된 상태이다. 도 13의 (a) 상태에서 상기 제 2 관절링크(340)가 관절축(349)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 2 관절스토퍼(354)에 의해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할 때, 도 13의 (c)와 같은 상태를 형성한다.
<리지드링크 및 관절링크의 작동 설명>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리지드링크 및 관절링크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의 (a) 및 도 14의 (a) 상태일 때, 토출베인(200)은 작동하지 않는 상태이다. 실내기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토출베인(200)은 도 13의 (a) 및 도 14의 (a)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고, 베인모터(220)는 리지드링크(310)를 시계방향으로 최대 회전시킨다. 이때, 링크스토퍼(314)는 보스스토퍼(232)의 일측단(233)에 지지된 상태이다.
상기 제 1 관절스토퍼(352)는 제 1 관절링크바디(335)의 전방 측 외측면(351)에 지지된 상태이다. 상기 관절링크(320)는 사이각을 형성하지 않고, 직선으로 펴진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리지드링크(310)는 제 2 리지드링크축(312)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관절링크(320)는 제 1 관절링크축(331)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베인(210)은 상기 리지드링크(310) 및 관절링크(320)에 구속된 상태로 회전되고, 상기 토출구(102) 내에 위치된다. 상기 베인(210)의 하측면은 상기 커버패널(120)과 연속된 면을 형성한다.
도 14의 (b) 상태일 때, 상기 토출베인(200)은 수평풍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수평풍은 상기 토출구(102)에서 토출된 공기가 베인(210)에 의해 안내되어 천장 또는 지면과 수평방향으로 유동되는 상태로 정의한다. 토출공기를 수평풍으로 유동시키는 경우, 공기의 유동거리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4의 (a) 상태에서 상기 베인모터(220)가 리지드링크(31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도 14의 (b)의 상태를 형성시킨다. 관절링크(320)는 제 1 관절링크축(331)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수평풍을 토출하도록 베인(210)이 배치될 때, 제 2 관절링크축(341)은 제 1 리지드링크축(311)보다 낮게 위치된다.
상기 수평풍으로 공기가 토출될 때, 상기 베인(210)은 상기 토출구(102)보다 하측에 위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베인(210)이 도 14의 (a)와 같은 높이에서 회전되는 경우, 토출공기와의 간섭으로 인해 베인(210)에 안내되는 공기의 양이 줄어든다.
본 실시예의 도 14의 (b)와 같이, 베인(210)이 토출구(102) 하측으로 하강된 후, 수평방향으로 정렬되어야 토출공기의 대부분을 수평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리지드링크(310) 및 관절링크(320)의 회동을 통해 베인(210)을 토출구(102)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베인(210)의 방향도 수평으로 형성킬 수 있다. 종래 실내기의 베인은 제자리에서 회전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본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구현할 수 없다.
상기 리지드링크(310) 및 관절링크(320)를 통해 수평풍을 형성할 때, 베인(210)이 토출구(102)의 하측에 위치되게 하고, 이를 통해 보다 많은 양의 토출공기를 수평풍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베인(210)이 수평하게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102)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수평풍으로 형성할 때, 상기 베인(210)은 상기 토출구(102)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베인(210)이 수평하게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102)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수평풍으로 형성할 때, 상기 베인(210)은 상기 케이스(100)의 저면(본 실시예에서는 커버패널(120)의 저면)과 소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커버패널(120)의 저면보다 더 하측에 위치된다.
수평풍을 형성하는 도 14의 (b)의 상태에서 베인(210)은 상기 리지드링크(310) 및 관절링크(320)에 의해 지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토출구(102)에서 토출된 공기가 베인(210)에 부딪혀 발생되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4의 (b) 상태에서 베인모터(220)를 통해 리지드링크(310)를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도 14의 (c)와 같은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4의 (c)의 토출베인(200)은 토출공기를 수직 및 수평 사이의 경사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경사풍으로 정의한다.
도 14의 (c)의 상태에서 제 2 리지드링크축(312), 제 1 리지드링크축(311) 및 제 2 관절링크축(341)은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리지드링크축(312), 제 1 리지드링크축(311) 및 제 2 관절링크축(341)이 일렬로 배치될 때, 상기 제 1 관절링크축(331), 관절축(349) 및 제 2 관절링크축(341)도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리지드링크축(312), 제 1 리지드링크축(311) 및 제 2 관절링크축(341)이 일렬로 배치된 상태 이후로, 상기 베인모터(220)를 통해 리지드링크(310)를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상기 관절링크축(341)을 통해 제 1 관절링크(330) 및 제 2 관절링크(340)가 상대회전되기 시작한다.
도 14의 (c)의 상태에서 리지드링크(310) 및 관절링크(320)는 소정이 사이각(B)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사이각(B)은 0도 초과 90도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각(B)은 리지드링크 및 관절링크의 길이 또는 회전축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4의 (c)의 상태에서 상기 리지드링크(310)를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도 14의 (d)와 같은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4의 (c) 상태에서 상기 리지드링크(310)가 반시계방향으로 좀 더 회전되는 경우, 상기 베인(21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도 14의 (d)와 같은 상태일 때, 토출베인(200)은 수직풍을 형성시킬 수 있다. 토출구(102)를 통해 토출된 공기가 베인(210)에 의해 안내되어 수직방향 하측으로 유동되는 상태를 수직풍으로 정의한다.
상기 베인(210)이 수직풍을 형성할 때, 상기 베인은 천장 또는 지면과 교차 또는 직교되고,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풍은 상기 리지드링크(310)가 반시계방향으로 최대회전되었을 때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베인(210)은 천장 또는 지면에 거의 수직하게 배치된다.
도 14의 (c) 상태에서 도 14의 (d)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베인(210)은 도 14의 (b), 도 14의 (c) 상태로 변경될 때와 달리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도 14의 (c) 상태에서 상기 베인(210)이 수직한 방향으로 변경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베인(21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야 한다.
상기 도 14의 (d) 상태에서 상기 제 2 관절스토퍼(354)는 제 1 관절링크바디(335)의 후방 측 외측면(353)에 지지되고, 더 이상 회전될 수 없다. 또한, 상기 리지드링크(310)는 보스스토퍼(232)의 타측단(234)와 상호 간섭되어 지지되고, 상기 리지드링크(310)는 더 이상 회전될 수 없다.
상기 제 1 관절링크축(331), 관절축(349) 및 제 2 관절링크축(341)이 일렬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관절축(349)이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되어 수직풍을 형성할 수 있는 도 14의 (d) 상태를 형성시킨다.
상기 관절축(349)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베인(210)은 제 2 관절링크축(34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회전된다.
수직풍을 형성하는 도 14의 (d)의 상태에서 상기 제 2 리지드링크축(312), 제 1 리지드링크축(311) 및 제 2 관절링크축(341)는 소정의 사이각(C)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사이각(C)은 90도 이상 180도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각(C)은 둔각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사이각(D)은 상기 제 2 리지드링크축(312), 제 1 리지드링크축(311) 또는 제 2 관절링크축(341)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수직풍을 형성하는 도 14의 (d)의 상태에서 제 1 관절링크(330) 및 제 2 관절링크(340)는 소정의 사이각(D)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사이각(D)은 90도 이상 180도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각(D)은 둔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각(D)은 제 1 관절링크 및 제 2 관절링크의 길이 또는 회전축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수직풍을 형성하는 도 14의 (d)의 상태에서 제 1 리지드링크축(311) 및 제 2 관절링크축(341)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수직풍을 형성하는 도 14의 (d)의 상태에서 제 1 리지드링크축(311), 제 2 관절링크축(341) 및 제 1 관절링크축(331)은 일렬 또는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수직풍을 형성하는 도 14의 (d)의 상태에서 리지드링크(310)는 보스스토퍼(232)에 지지된 상태이고, 관절링크(320)는 관절스토퍼(350)에 지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토출되는 공기가 베인(210)에 부딪혀 발생되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베인(200)이 수직풍을 형성할 때, 리지드링크(310)는 보스스토퍼(232)에 지지된 상태이고, 관절링크(320)는 관절스토퍼(350)에 지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베인(210)에 가해진 외력을 리지드링크(310) 및 관절링크(320)로 분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제 1 관절링크(330) 및 제 2 관절링크(340)가 관절축(349)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180도 이하의 상기 사이각(D)을 형성하기 때문에, 베인바디(212)의 후방측 단(212a)을 보다 토출구 측으로 근접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베인바디(212)의 후방측 단(212a)이 상승되어 모터케이스(105)가 있는 높이까지 상승되고, 이를 통해 토출구(102)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직방향 하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리지드링크(310) 및 관절링크(320)를 통해 수직풍을 형성할 때, 베인(210)의 일부를 토출구(102) 측에 밀착 또는 삽입시키고, 이를 통해 보다 많은 양의 토출공기를 수직풍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베인(210)의 일부가 토출구(102)에 밀착 또는 삽입되지 않는 경우, 일부 공기가 수직풍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지드링크(310)의 제 1 관절링크축(311)을 관절축(349)과 유사한 높이까지 상승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베인바디(212)의 후방측 단(212a)을 보다 토출구(102) 측으로 근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관절링크(330) 및 제 2 관절링크(340)는 관절축(349)을 중심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관절링크(320) 및 리지드링크(310)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배출장치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응축수배수장치의 제어방법>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제어방법은 압축기가 기동되는 단계(S10)와, 상기 압축기의 운전시간을 판단하는 단계(S20)와, 상기 S2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수위센서(320)를 통해 응축수의 수위가 제 1 높이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30)와, 상기 S3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수위센서(320)를 통해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40)와, 상기 S4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수위센서(320)를 통해 응축수의 수위가 제 3 높이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60)와, 상기 S6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압축기를 오프하는 단계(S70)와, 상기 S70 단계 이후에 상기 드레인펌프(310)를 운전시켜 상기 제 1 높이 미만으로 형성시키는 단계(S80)를 포함한다.
상기 응축수의 수위가 제 1 높이 이상인 경우를 수위레벨 A로 정의한다. 상기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 이상인 경우를 수위레벨 B로 정의한다. 상기 응축수의 수위가 제 3 높이 이상인 경우를 수위레벨 C로 정의한다.
상기 드레인펌프(310)는 수위레벨 A(응축수가 제 1 높이) 이상일 때 구동된다. 상기 수위레벨 A 미만일 경우, 펌프흡입구(311)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기 때문에 흡입소음이 발생된다.
상기 수위레벨 A 미만인 경우, 상기 제 1 감지부(321)를 통해 응축수가 감지되지 않는 상태이다. 즉 상기 제 1 감지부(321)에서 응축수가 감지될 때가 드레인펌프(310)를 구동시킬 수 있는 최소조건이다.
상기 S30 단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드레인펌프(310)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S3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310)는 온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S30 단계를 만족하더라도 상기 드레인펌프(310)를 구동시키지 않는다. 상기 수위레벨 A일 때 드레인펌프(310)를 가동시키면 잔류된 응축수를 즉시 배수시킬 수 있지만, 드레인펌프(310) 작동에 의한 작동소음이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위레벨 A 또는 수위레벨 B이상일 때 드레인펌프(310)를 작동시킨다. 즉, 응축수가 제 1 높이(H1) 이상이거나 제 2 높이(H2) 이상일 때 드레인펌프(310)가 작동될 수 있다.
상기 S30 단계 및 S4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응축수저장부(160)에 다량의 응축수가 저장되어 있는 상태이고, 상기 S60 단계를 통해 응축수의 수위가 제 3 높이(H3)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S60 단계는 만족하는 것은 압축기의 초기 기동임에도 불구하고, 응축수가 제 3 높이(H3) 이상으로 형성된 경우이다. 이 경우, 압축기의 기동을 중지시키고 응축수의 생성을 차단해야 한다.
상기 S60 단계는 응축수의 넘침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직전 구동 시, 드레인펌프의 이상 또는 배수호스의 막힘 등으로 인해 응축수가 배출되지 않았을 수 있다. 또는 비정상적인 실내기 정지로 인해 응축수의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았을 수 있다.
다양한 이유로 인해 응축수저장부(160)의 응축수가 배출되지 않았을 수 있고, 상기 S60 단계는 이를 판단한다.
그래서 제어부는 S60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S70 단계에서 압축기를 오프시키고, S80 단계에서 드레인펌프(310)를 구동시킨다.
상기 S80 단계는 응축수의 수위가 수위레벨 A 미만(제 1 높이(H1)) 미만이 될때까지 드레인펌프(310)를 계속 구동시킨다. 상기 S80 단계에서 제어부는 에러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S80 단계에서 상기 드레인펌프(310)는 100%의 구동률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가 정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100% 미만의 구동률로 작동하여도 무방하고, 100% 미만인 경우 응축수를 배수하는 시간이 더 소요된다.
상기 S80 단계의 드레인펌프(310) 구동률을 제 4 구동률로 정의한다.
상기 S80 단계의 작동시간이 사용자의 수면시간인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310)의 구동률을 낮게 형성하여 작동소음을 작게 형성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면시간은 오후 10시부터 새벽 6시일 수 있다.
한편, S40 단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응축수의 수위는 제 1 높이(H1) 이상 제 2 높이(H2) 미만으로 형성된 상태이다. 이 경우 시간경과에 따른 응축수의 생성속도를 판단하고, 이를 통해 드레인펌프(310)의 구동률을 결정한다.
상기 S30 단계를 만족하고 S40 단계를 불만족하는 경우, 제 1 감지시간(예를 들어 "0~5"분) 중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제 1 감지시간 내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까지 도달하는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310)를 제 1 구동률(예를 들어 70%)로 구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S30 단계를 만족하고 S40 단계를 불만족하는 경우, 제 2 감지시간(예를 들어 "5~10"분) 중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제 2 감지시간 내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까지 도달하는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310)를 제 2 구동률(예를 들어 50%)로 구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S30 단계를 만족하고 S40 단계를 불만족하는 경우, 제 3 감지시간(예를 들어 "10"분 초과) 중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제 3 감지시간 내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까지 도달하는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310)를 제 3 구동률(예를 들어 30%)로 구동시킨다.
상기 제 1 감지시간 중에 수위레벨 B까지 응축수가 도달하는 경우, 제어부는 응축수의 생성속도가 정상범위 초과이고, 수분의 응축량이 과다 발생되는 장소라고 판단한다. 이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310)를 제 1 구동률(예를 들어 70%)로 작동시킨다. (S51)
그리고 상기 제 2 감지시간 중에 수위레벨 B까지 응축수가 도달하는 경우, 제어부는 응축수의 생성속도가 정상범위이고, 수분의 응축량이 일반적인 장소라고 판단한다. 이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310)를 제 2 구동률(예를 들어 50%)로 작동시킨다. (S52)
그리고 상기 제 3 감지시간 중에 수위레벨 B까지 응축수가 도달하는 경우, 제어부는 응축수의 생성속도가 정상범위 이하이고, 수분의 응축량이 적은 장소라고 판단한다. 이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310)를 제 3 구동률(예를 들어 30%)로 작동시킨다. (S53)
이와 같이 제어부는 감지시간에 따라 드레인펌프의 구동률을 판단하는 장점이 있다.
공기 중의 습도가 과다한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310)의 구동률을 "강"으로 설정하여 다소간의 소음이 발생되더라도 응축수의 물넘침을 방지할 수 있다.
공기 중의 습도가 정상범위인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310)의 구동률을 "중"으로 설정하여 드레인펌프의 작동에 따른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 중의 습도가 정상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310)의 구동률을 "약"으로 설정하여 드레인펌프의 작동에 따른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실내기의 운전 중에, 드레인펌프(310)의 작동에 의해 수위가 제 1 높이(H1) 미만으로 낮아지더라도 상기 S50 단계에서 판단된 드레인펌프(310)의 구동률은 계속 유지된다.
공기 중이 수분변화는 급변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S50 단계의 구동률을 다시 판단할 필요는 없고, 상기 S50 단계에서 판단된 드레인펌프(310)의 구동률을 계속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내기의 운전 중에 실내의 냉방부하를 만족시키는 경우, 압축기는 오프될 수 있다. 이후, 다시 냉방부하가 요구되는 경우, 상기 압축기가 다시 재기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운전 중 압축기가 기동되는 경우에는 드레인펌프(310)의 구동률을 다시 판단할 필요가 없다.
다만, 상기 실내기가 오프된 후, 다시 온되어 압축기가 기동되는 경우, 상술한 응축수배수장치의 제어방법을 다시 수행하고, 상기 드레인펌프(310)의 구동률을 다시 판단해야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케이스 101 : 흡입구
102 : 토출구 103 : 흡입유로
104 : 토출유로 110 : 케이스하우징
120 : 커버패널 130 : 실내열교환기
140 : 실내송풍팬 150 : 드레인패널
160 : 응축수저장부 170 : 패널바디
180 : 자외선발생장치 200 : 토출베인
210 : 베인 220 : 베인모터
230 : 보스 232 : 보스스토퍼
310 : 리지드링크 311 : 제 1 리지드링크축
312 : 제 2 리지드링크축 314 : 링크스토퍼
315 : 리지드링크바디 320 : 관절링크
330 : 제 1 관절링크 331 : 제 1 관절링크축
340 : 제 2 관절링크 341 : 제 2 관절링크축
349 : 관절축 350 : 관절스토퍼
352 : 제 1 관절스토퍼 354 : 제 2 관절스토퍼

Claims (10)

  1. 천장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압축기가 기동되는 단계(S10);
    상기 압축기의 운전시간을 판단하는 단계(S20);
    상기 S2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응축수저장부에 배치된 수위센서를 통해 응축수의 수위가 제 1 높이(H1)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30);
    상기 S3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수위센서를 통해 응축수의 수위가 상기 제 1 높이보다 큰 제 2 높이(H2)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40);
    상기 S4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수위센서를 통해 응축수의 수위가 제 상기 제 2 높이보다 큰 3 높이(H3)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60);
    상기 S6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압축기를 오프하는 단계(S70);
    상기 S6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를 운전시켜 상기 제 1 높이 미만으로 형성시키는 단계(S80);를 포함하고,
    상기 S40 단계를 불만족하는 경우, 상기 응축수가 상기 제 1 높이에서 상기 제 2 높이(H2)까지 상승되는 감지시간에 따라 상기 드레인펌프의 구동률을 결정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S3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를 오프하거나 오프상태로 유지시키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제어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S60 단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를 제 4 구동률로 운전시키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제어방법.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S40 단계를 불만족하는 경우,
    제 1 감지시간 중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까지 상승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 1 감지시간 내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까지 상승되는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를 제 1 구동률로 구동시키고, 또는
    상기 제 1 감지시간보다 긴 제 2 감지시간 중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까지 상승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 2 감지시간 내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까지 상승되는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를 제 2 구동률로 구동시키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제어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률이 상기 제 2 구동률보다 크게 설정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제어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S40 단계를 불만족하는 경우,
    제 1 감지시간 중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까지 상승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 1 감지시간 내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까지 상승되는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를 제 1 구동률로 구동시키고, 또는
    상기 제 1 감지시간보다 긴 제 2 감지시간 중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까지 상승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 2 감지시간 내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까지 상승되는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를 제 2 구동률로 구동시키고, 또는
    상기 제 2 감지시간보다 긴 제 3 감지시간 중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까지 상승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 3 감지시간 내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까지 상승되는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를 제 3 구동률로 구동시키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제어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률이 상기 제 2 구동률보다 크고, 상기 제 2 구동률이 상기 제 3 구동률보다 크게 설정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제어방법.
  9. 천장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압축기가 기동되는 단계(S10);
    상기 압축기의 운전시간을 판단하는 단계(S20);
    상기 S2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응축수저장부에 배치된 수위센서를 통해 응축수의 수위가 제 1 높이(H1)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30);
    상기 S3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수위센서를 통해 응축수의 수위가 상기 제 1 높이보다 큰 제 2 높이(H2)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40);
    상기 S40 단계를 불만족하는 경우,
    상기 응축수가 상기 제 1 높이에서 상기 제 2 높이(H2)에 도달하는 감지시간에 따라 상기 드레인펌프의 구동률을 결정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제어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S40 단계를 불만족하는 경우,
    제 1 감지시간 중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 1 감지시간 내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까지 도달한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를 제 1 구동률로 구동시키고, 또는
    상기 제 1 감지시간보다 긴 제 2 감지시간 중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 2 감지시간 내에 응축수의 수위가 제 2 높이(H2)까지 도달한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를 제 2 구동률로 구동시키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제어방법.
KR1020170121410A 2017-09-20 2017-09-20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제어방법 KR102348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410A KR102348040B1 (ko) 2017-09-20 2017-09-20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410A KR102348040B1 (ko) 2017-09-20 2017-09-20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942A KR20190032942A (ko) 2019-03-28
KR102348040B1 true KR102348040B1 (ko) 2022-01-05

Family

ID=65908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410A KR102348040B1 (ko) 2017-09-20 2017-09-20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0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73853B (zh) * 2019-05-28 2021-09-14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水泵控制方法、水泵控制电路和空调器
CN114704927B (zh) * 2021-12-31 2023-08-25 海信空调有限公司 一种空调器和空调器室内机水泵控制方法
CN115264862A (zh) * 2022-07-07 2022-11-0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除湿器控制方法、装置、设备和除湿器
CN115654666A (zh) * 2022-09-30 2023-01-31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空调防吹水的控制方法、控制装置及空调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5635A (ja) * 1994-10-05 1996-04-23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JPH1047732A (ja) * 1996-08-02 1998-02-20 Matsushita Refrig Co Ltd 空気調和機のドレンポンプ制御装置
KR100679838B1 (ko) 2005-10-05 2007-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942A (ko) 201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8040B1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제어방법
EP1884718A2 (en) Air Conditioner
KR102168584B1 (ko) 천장형 에어컨 실내기
KR20190027348A (ko)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KR102186677B1 (ko) 응축수 건조 기능을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 및 응축수 건조 제어방법
US11971070B2 (en) In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JP2017015324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KR20100007259A (ko) 공기조화기
KR101727413B1 (ko) 공기 조화기의 에어가이드
KR10141705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425866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20140079108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CN111868451B (zh) 空调设备的室内机
KR10239295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361294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107403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131968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425867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58054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US11112142B2 (en) Cover assembly for an opening in a bulkhead of an air conditioner unit
KR102451312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5470419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0925718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H08312985A (ja) 空気調和機
JP7086615B2 (ja) 天井埋込み型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