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2856B1 - 응축수 배출을 위한 호스릴이 구비된 온실용 난방기 일체형 제습장치 - Google Patents

응축수 배출을 위한 호스릴이 구비된 온실용 난방기 일체형 제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2856B1
KR101912856B1 KR1020180112478A KR20180112478A KR101912856B1 KR 101912856 B1 KR101912856 B1 KR 101912856B1 KR 1020180112478 A KR1020180112478 A KR 1020180112478A KR 20180112478 A KR20180112478 A KR 20180112478A KR 101912856 B1 KR101912856 B1 KR 101912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ose
water
condensed water
green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2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승호
정선옥
배임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안그린테크
그린씨에스(주)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안그린테크, 그린씨에스(주),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안그린테크
Priority to KR1020180112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28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6Electric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0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in which the humidity of the air is exclusively affected by contact with the evaporator of a closed-circuit cooling system or heat pump circu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02A40/26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설 하우스 등의 온실에 설치되는 난방기 일체형 제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풍을 위한 송풍장치와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장치 및 난방장치를 일체로 구성하여 설비 구조를 단순화하고 난방부를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여 온실 내부의 온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제습 과정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호스릴을 구비하여 응축수를 바닥으로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응축수로 인한 고장과 오작동을 방지하고 응축수의 낙하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 응축수 배출을 위한 호스릴이 구비된 온실용 난방기 일체형 제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응축수 배출을 위한 호스릴이 구비된 온실용 난방기 일체형 제습장치{Dehumidifying Apparatus with Heater for Green House with Hose Reel for Condensition Water Drain}
본 발명은 시설 하우스 등의 온실에 설치되는 난방기 일체형 제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풍을 위한 송풍장치와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장치 및 난방장치를 일체로 구성하여 설비 구조를 단순화하고 난방부를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여 온실 내부의 온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제습 과정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호스릴을 구비하여 응축수를 바닥으로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응축수로 인한 고장과 오작동을 방지하고 응축수의 낙하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 응축수 배출을 위한 호스릴이 구비된 온실용 난방기 일체형 제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나 온실과 같은 시설 하우스(이하, '온실'이라 한다)에는 내부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환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환기구는 자연적인 바람의 흐름을 이용하여 온실 내부의 공기와 외부의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며, 환기구를 통한 공기의 순환에 의해 온실 내부의 온도와 습도가 조절되고 있다.
하지만, 환기구는 온실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단순한 개구부에 불과하여, 온실에 환기구를 설치하는 것만으로는 온실의 내부 환경을 원하는 대로 조성할 수 없다. 이에 따라, 환기구에 환풍장치를 연결하여 강제적으로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온실의 내부 환경을 적극적으로 조성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온실의 내부에는 습도 조절을 위한 제습장치와 난방장치가 설치되기도 한다. 보통, 작물 등을 재배하는 온실은 습도가 높은 경우가 많고, 이러한 높은 습도는 작물의 생육에 악영향을 미침은 물론 작물을 병충해에 취약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에 따라, 온실의 내부에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장치를 설치하여 습도를 조절하고 있으며, 이러한 온실의 제습장치에서는 사용 용도의 특성상 비교적 대용량의 제습이 요구된다.
그리고, 온실은 사용상의 특성상 제습과 함께 온도 조절이 상당히 중요한 요건으로 작용한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온실에서는 난방장치를 사용하여 난방하고 있으며, 난방장치로는 유류 난방기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유류 가격의 상승에 따라 경제적 손실을 감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온실에서는 환풍장치와 제습장치 및 난방장치가 별개로 구성된 경우가 많아, 비용이 증가할 뿐 아니라 이들 설비가 차지하는 공간으로 인해 작물 재배 면적이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습장치를 이용하여 온실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는 경우 대용량의 제습 과정에서 응축수가 다량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응축수가 제습장치의 내부에 남아 있게 되면 장치 내부의 전기장치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고장이 발생하거나 장치가 오작동하게 되는 다른 문제점이 있어 온실에서는 이를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 호스에 연결한 뒤 배출함에 따라 작업 능율이 낮고 작업자가 위험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1071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2908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2045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22796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869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80985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응축수 배출을 위한 호스릴이 구비된 온실용 난방기 일체형 제습장치는, 환풍장치와 제습장치 및 난방장치를 일체로 구성하여 설비 비용과 설비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여 작물의 재배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대용량 제습에 따라 발생한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호스릴을 구비하여 응축수가 호스릴을 통해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응축수에 의한 고장이나 오작동을 방지하고 응축수의 낙하에 따른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응축수 배출시 호스릴에 구비된 호스가 자동으로 풀리면서 응축수가 온실의 바닥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응축수가 바닥에 흡수되어 작물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다른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배출을 위한 호스릴이 구비된 온실용 난방기 일체형 제습장치는, 온실의 천장에 설치되어 공기를 송풍하며, 천장에 매달리는 형태로 설치되는 원통 형상의 하우징과, 회전을 통해 하우징의 출구측으로 바람을 송풍하는 송풍팬과,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하우징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구동모터를 지지하는 모터 홀더와, 하우징의 출구측에 설치되는 그릴과, 하우징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송풍부와; 하우징의 후방 내측에 구비되며, 하우징의 중간 부분에 설치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냉매를 기액 분리하여 기체 상태의 냉매만 공급되도록 하는 어큐물레이터와, 하우징의 후방부에 설치되고 냉매의 응축열을 이용하여 하우징으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콘덴서와, 냉매의 기화열을 이용하여 콘덴서를 통과한 공기를 냉각시킴과 아울러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도록 콘덴서의 전방에 설치되는 증발기와, 증발기의 하부에 설치되어 응축수를 포집하는 물받이를 포함하는 제습부와; 하우징의 전방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면상 발열체와,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면상 발열체를 지지하는 발열체 홀더와, 하우징의 전방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발열체 홀더를 지지하는 난방 하우징을 포함하는 난방부; 및 제습부의 물받이에 포집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응축수 배출부;를 포함하고
응축수 배출부는 물받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와, 응축수가 배출되도록 일단은 물받이에 연결되고 타단은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는 배출호스와, 물받이의 출구와 배출호스 사이에 구비되며 수위감지부의 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배출호스가 연결되는 회전축관이 구비되고 드럼에 일정 길이의 호스가 권취되어 이루어지며 물받이의 수위가 일정 이상인 경우 호스가 자동으로 풀려져 바닥면으로 배출시키도록 하우징의 하부에 구비되는 자동호스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자동호스릴은 호스가 권취되는 드럼과, 일측 단부는 배출호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호스에 연결되도록 드럼에 설치되어 드럼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축관과, 드럼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호스의 이탈을 방지하는 한 쌍의 휠과, 드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드럼지지대와, 회전축관과 반대쪽에서 드럼지지대에 설치되며 수위감지부의 신호에 따라 드럼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동호스릴의 드럼지지대는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된 호스릴 지지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자동호스릴의 호스 끝단에는 호스가 연직 방향으로 풀리도록 무게추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물받이는 하부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수위감지부는 경사진 하부면의 상단측에 구비되어 솔레노이드 밸브에 개방신호를 보내고 자동호스릴의 모터에 정회전 작동신호를 보내는 고수위 센서와, 배출호스가 연결된 경사진 하부면의 하단측에 구비되어 솔레노이드 밸브에 차단신호를 보내고 자동호스릴의 모터에 역회전 작동신호를 보내는 저수위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배출을 위한 호스릴이 구비된 온실용 난방기 일체형 제습장치는 온실의 내부를 순환시키는 송풍부와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부, 난방부 및 응축수 배출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설비 비용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하우징이 천장에 설치되어 온실의 하부 공간을 차지하지 않게 되므로 작물의 재배면적을 더 확보할 수 있게 되고, 자동호스릴이 구비된 응축수 배출부를 통해 제습부의 응축수가 온실이 바닥으로 배출되어 응축수로 인한 내부 장치의 고장 및 오작동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스부의 물받이에 구비된 수위감지부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와 자동호스릴의 모터가 제어되어 솔레노이드 밸브가 자동으로 개폐됨은 물론 응축수를 배출하는 경우에만 호스릴의 호스가 바닥으로 풀려나고 응축수를 배출하지 않는 경우에는 호스가 호스릴의 드럼에 권취되므로 호스의 늘어짐을 방지하면서도 온실의 바닥으로 응축수를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에 필터부재와 그릴이 설치됨에 따라 환기시 하우징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고 송풍팬이 회전되더라도 안전이 확보된다.
또한, 냉매를 순환시키는 제습부가 구비됨에 따라 냉매의 증발열을 이용하여 온실 내의 수분을 응축시켜 습도를 낮출 수 있음은 물론 냉각된 공기를 배출하여 온실 내부의 온도를 일정 이하로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자동호스릴이 구비된 응축수 배출부를 통해 응축수를 온실 바닥으로 배출하게 되어 하우징이나 자동호스릴에서 응축수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난방부에 복수 개의 면상 발열체가 구비됨에 따라 난방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난방 하우징이 송풍부의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난방부를 분리하여 냉방과 제습 및 응축수 배출 기능만 작용하도록 할 수도 있고, 겨울철에는 난방부를 결합시켜 제습과 난방 및 응축수 배출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배출을 위한 호스릴이 구비된 온실용 난방기 일체형 제습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배출을 위한 호스릴이 구비된 온실용 난방기 일체형 제습장치에서 난방부가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배출을 위한 호스릴이 구비된 온실용 난방기 일체형 제습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배출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배출을 위한 호스릴이 구비된 온실용 난방기 일체형 제습장치의 하우징 입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배출을 위한 호스릴이 구비된 온실용 난방기 일체형 제습장치의 제습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배출을 위한 호스릴이 구비된 온실용 난방기 일체형 제습장치에서 응축수가 배출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배출을 위한 호스릴이 구비된 온실용 난방기 일체형 제습장치에서 응축수가 배출될 때의 모습을 나타낸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배출을 위한 호스릴이 구비된 온실용 난방기 일체형 제습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배출을 위한 호스릴이 구비된 온실용 난방기 일체형 제습장치에서 난방부가 분리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배출을 위한 호스릴이 구비된 온실용 난방기 일체형 제습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배출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배출을 위한 호스릴이 구비된 온실용 난방기 일체형 제습장치의 하우징 입구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배출을 위한 호스릴이 구비된 온실용 난방기 일체형 제습장치의 제습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배출을 위한 호스릴이 구비된 온실용 난방기 일체형 제습장치에서 응축수가 배출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참고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배출을 위한 호스릴이 구비된 온실용 난방기 일체형 제습장치에서 응축수가 배출될 때의 모습을 나타낸 참고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배출을 위한 호스릴이 구비된 온실용 난방기 일체형 제습장치는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부(10)와, 제습부(20), 난방부(30) 및 자동호스릴(45)이 구비된 응축수 배출부(40)를 포함하며, 송풍부(10)의 작동에 따라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습부(20)에서 제거하여 배출하고, 제습과정에서 발생한 응축수는 응축수 배출부(40)의 자동호스릴(45)을 통해 온실의 바닥으로 배출하며, 필요에 따라 난방부(30)가 작동되어 공기를 가열함으로써 온실 내부를 난방하게 된다.
송풍부(10)는 온실의 천장에 설치되어 공기를 송풍하는 것으로, 천장에 매달리는 형태로 설치되는 원통 형상의 하우징(11)과, 회전을 통해 하우징(11)의 출구측으로 바람을 송풍하는 송풍팬(13)과, 송풍팬(13)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2)와, 하우징(11)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구동모터(12)를 지지하는 모터 홀더(14)와, 하우징(11)의 출구측에 설치되는 그릴(16)과, 하우징(11)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필터부재(15)와, 하우징(11)의 외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인양 고리(17)와, 하우징(11)의 하부에 설치되는 받침대(18)를 포함한다.
즉, 구동모터(12)에 의해 송풍팬(13)이 회전하면서 하우징(11)의 내부로 공기를 빨아들인 후 배출함으로써 온실 내부를 환기시키게 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의 후방에 필터부재(15)가 구비됨에 따라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되고, 도 5와 같이 하우징(11)의 입구측에 그릴(16)이 설치됨에 따라 기류가 분산되어 작물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또한, 하우징(11)에 구비된 인양 고리(17)를 통해 온실의 천장에 매달 수 있게 되어 작물의 재배영역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바닥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받침대(18)가 하우징(11)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제습부(20)는 하우징(11)의 후방 내측에 구비되어 송풍부(10)에서 흡입한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것으로, 도 3과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의 중간 부분에 설치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21)와, 냉매를 기액 분리하여 기체 상태의 냉매만 공급되도록 하는 어큐물레이터(22)와, 하우징(11)의 후방부에 설치되고 냉매의 응축열을 이용하여 하우징(11)으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콘덴서(23)와, 냉매의 기화열을 이용하여 콘덴서(23)를 통과한 공기를 냉각시킴과 아울러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도록 콘덴서(23)의 전방에 설치되는 증발기(24)와, 콘덴서(23)와 증발기(24) 사이에 구비되어 냉매의 압력을 낮춰주는 팽창밸브(도시 생략)와, 증발기(24)의 하부에 설치되어 응축수를 포집하는 물받이(25)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냉매가 압축기(21)에 의해 압축된 후 어큐물레이터(22)와 콘덴서(23) 및 증발기(24)를 통과하면서 하우징(11)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한 후 냉각시켜 배출하되, 증발기(24)에서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켜 제거함으로써 온실 내부의 습도를 낮추고 수분이 응축되어 형성된 응축수가 물받이(25)에 저장되도록 한다.
이때, 제습부(20)는 압축기(21)와 구동모터(12)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커패시터(26)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커패시터(26)는 브래킷(27)에 의해 압축기(21)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외부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커패시터(26)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압축기(21)와 구동모터(12)를 구동시킴으로써 환기와 제습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난방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의 전방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하우징(11)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온실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으로,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면상 발열체(31)와,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면상 발열체(31)를 지지하는 발열체 홀더(32)와, 하우징(11)의 전방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발열체 홀더(32)를 지지하는 난방 하우징을 포함한다. 이때, 난방 하우징은 발열체 홀더(32)가 설치되고 접촉 방지망(33)이 구비된 소직경의 출구부(34)와, 하우징(11)의 출구부에 끼움 결합되는 대직경의 결합부(36)와, 출구부(34)와 결합부(36)를 연결하는 테이퍼 형상의 연결부(35)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면상 발열체(31)를 이용하여 송풍팬(13)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함으로써 온실 내부를 난방할 수 있게 되고, 난방 하우징의 출구부(34)를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여 더 적은 전력으로도 난방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 난방부(30)를 하우징(11)의 출구 부분에 결합시키거나 분리할 수 있게 되어, 겨울철에는 난방부(30)를 결합시켜 온실 내부를 난방할 수 있고, 겨울철 이외의 계절에는 난방부(30)를 분리하여 환기와 제습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응축수 배출부(40)는 제습부(20)의 물받이(25)에 포집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받이(25)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41)와, 응축수가 배출되도록 일단은 물받이(25)에 연결되고 타단은 하우징(11)의 외부로 연장되는 배출호스(42)와, 물받이(25)의 출구와 배출호스(42) 사이에 구비되며 수위감지부(41)의 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43)와, 배출호스(42)가 연결되는 회전축관이 구비되고 드럼에 일정 길이의 호스(45a)가 권취되어 이루어지며 물받이(25)의 수위가 일정 이상인 경우 호스(45a)가 자동으로 풀려져 바닥면으로 배출시키도록 하우징(11)의 하부에 구비되는 자동호스릴(4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제습부(20)에 의해 제습공정이 진행되어 물받이(25)에 응축수가 모이게 되면, 수위감지부(41)가 솔레노이드 밸브(43)를 작동시켜 배출호스(42)와 자동호스릴(45)을 통해 물받이(25)의 응축수가 온실의 바닥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물받이(25)는 하부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수위감지부(41)는 경사진 하부면의 상단측에 구비되어 솔레노이드 밸브(43)에 개방신호를 보내고 자동호스릴(45)의 모터(45c)에 정회전 작동신호를 보내는 고수위 센서(41a)와, 배출호스(42)가 연결된 경사진 하부면의 하단측에 구비되어 솔레노이드 밸브(43)에 차단신호를 보내고 자동호스릴(45)의 모터(45c)에 역회전 작동신호를 보내는 저수위 센서(4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습부(20)의 제습작용에 따라 증발기(24)에서 응축된 후 물받이(25)에 저장되는 응축수의 수위가 높아지면 고수위 센서(41a)가 이를 감지하여 솔레노이드 밸브(43)에 개방신호를 보내고 자동호스릴(45)의 모터(45c)에 정회전 작동신호를 보냄으로써 솔레노이드 밸브(43)가 개방되어 물받이(25)의 응축수가 자동호스릴(45)을 통해 온실의 바닥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자동호스릴(45)의 모터(45c)는 고수위 센서(41a)의 정회전 작동신호에 따라 드럼을 정회전시켜 호스(45a)가 풀려나도록 함으로써 자동호스릴(45)로 공급된 응축수가 온실의 바닥쪽에 위치한 호스(45a)의 끝단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이후, 물받이(25)의 수위가 낮아지면 저수위 센서(41b)가 이를 감지하여 솔레노이드 밸브(43)에 차단신호를 보냄고 자동호스릴(45)의 모터(45c)에 역회전 작동신호를 보냄으로써 솔레노이드 밸브(43)가 차단되어 물받이(25)의 응축수가 더 이상 배출되지 않게 한다. 그리고 자동호스릴(45)의 모터(45c)는 저수위 센서(41b)의 역회전 작동신호에 따라 드럼을 역회전시켜 호스(45a)가 드럼에 권취되도록 한다.
따라서, 물받이(25)의 응축수가 넘치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응축수로 인한 내부 장치들의 고장 및 오작동이 방지되고, 하우징(11) 또는 자동호스릴(45)로부터 응축수가 떨어지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자동호스릴(45)은 공지의 호스릴과 마찬가지로 호스(45a), 드럼, 회전축관, 휠(45b) 및 드럼지지대(45d)를 포함하며, 수위감지센서(41)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모터(45c)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드럼에 호스(45a)가 권취됨과 아울러 드럼지지대(45d)의 외측으로 돌출된 회전축관에는 배출호스(42)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배출호스(42)가 연결된 회전축관의 반대쪽에서 모터(45c)가 드럼지지대(45d)에 설치된다. 그리고 자동호스릴(45)의 드럼지지대(45d)는 하우징(11)의 하부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지만, 드럼의 회전 등을 고려할 때 하우징(11)의 하부에 설치된 호스릴 지지프레임(44)에 드럼지지대(45d)가 고정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여기서, 모터(45c)는 수위감지부(41)의 신호에 따라 드럼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호스(45a)가 풀리거나 권취되도록 하는 것으로, 자동호스릴(45)의 설치 높이에 대응하여 호스(45a)가 풀리는 길이가 변화되도록 모터(45c)의 작동시간이 미리 설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이때, 자동호스릴(45)의 호스(45a) 끝단에는 호스(45a)가 연직 방향으로 풀리도록 무게추(46)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호스(45a)가 연직 방향을 따라 풀리거나 감기게 됨으로써 호스(45a)의 꼬임을 방지하고 이동거리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배출을 위한 호스릴이 구비된 온실용 난방기 일체형 제습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겨울철을 제외한 다른 계절에는 온실의 난방이 불필요하므로, 하우징(11)의 선단에 결합되는 난방부(30)를 분리하여 환기와 제습 및 응축수 배출 기능만 작용하도록 한다. 즉, 구동모터(12)를 이용하여 송풍팬(13)을 회전시킴으로써 온실 내부에서 공기가 순환하여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압축기(21)를 작동시켜 냉매가 회로를 따라 순환하도록 함으로써 증발기(24)에서 수분이 응축되어 제습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건조된 공기가 하우징(11)의 출구를 통해 배출되어 온실 내부의 습도를 낮출 수 있게 된다. 물론, 온실 내부의 습도가 높지 않은 경우에는 압축기(21)의 작동을 정지시켜 환기만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제습부(20)의 제습작용에 따라 증발기(24)에서 응축된 수분이 물받이에 저장되면, 물받이(25)에 구비된 수위감지부(41)가 응축수의 수위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43) 및 배수펌프(45)를 제어함으로써 응축수가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즉, 물받이(25)에 저장된 응축수의 수위가 높아지면 고수위 센서(41a)가 이를 감지하여 솔레노이드 밸브(43) 및 배수펌프(45)에 작동신호를 보내게 된다. 이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43)가 개방되어 물받이(25)의 응축수가 배출호스(42)를 따라 배출되고, 배수펌프(45)가 작동되어 응축수가 강제 배출된다. 배수펌프(45)에 의해 배출된 응축수는 배출호스(42)의 단부가 삽입된 지지파이프(50)의 내부로 유입된 후, 지지파이프(50)의 하단에 구비된 가이드(53)에 의해 안내되어 배출공(52)으로 빠져나온 후 응축수 용기(60)에 일시 저장된다. 물론, 응축수 용기(60)에 일시 저장된 응축수를 온실의 외부에 버림으로써 온실의 내부 습도가 다시 높아지지 않도록 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제습부(20)의 제습작용에 따라 증발기(24)에서 응축된 수분이 물받이(25)에 저장되면, 물받이(25)에 구비된 수위감지부(41)가 응축수의 수위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43)와 자동호스릴(45)의 모터(45c)를 제어함으로써 응축수가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즉, 물받이(25)에 저장된 응축수의 수위가 높아지면 고수위 센서(41a)가 이를 감지하여 솔레노이드 밸브(43)에 개방신호를 보내고 자동호스릴(45)의 모터(45c)에 정회전 작동신호를 보내게 된다. 이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43)가 개방되어 물받이(25)의 응축수가 배출호스(42)를 따라 자동호스릴(45)로 공급되고, 자동호스릴(45)의 모터(45c)가 일정 시간 동안 작동됨으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45a)의 끝단이 온실의 바닥쪽으로 늘어지게 한다. 따라서, 물받이(25)의 응축수가 배출호스(42)와 솔레노이드 밸브(43) 및 자동호스릴(45)의 호스(45a)를 거쳐 온실의 바닥으로 배출된다.
상기한 과정을 통해, 응축수가 배출되어 물받이(25)의 수위가 낮아지면 저수위 센서(41b)가 이를 감지하여 솔레노이드 밸브(43)에 차단신호를 보내고 자동호스릴(45)의 모터(45c)에는 역회전 작동신호를 보내게 된다. 따라서, 솔레노이드 밸브(43)가 차단되어 응축수가 더 이상 배출되지 않게 되고, 자동호스릴(45)의 모터(45c)에 의해 드럼이 역회전되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에 호스(45a)가 권취된다.
이와 같이, 제습과정에서 물받이(25)에 응축수가 포집되는 경우 물받이(25)에 구비된 수위감지부(41)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43)가 개방되고 자동호스릴(45)의 호스(45a)가 풀려 온실의 바닥으로 응축수를 배출하게 되므로, 물받이(25)의 응축수가 넘치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응축수로 인한 내부 장치들의 고장 및 오작동이 방지되고, 하우징(11)이나 자동호스릴(45)로부터 응축수가 떨어지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겨울철과 같이 온실의 난방이 필요한 경우에는, 하우징(11)의 출구에 난방부(30)를 결합시켜 온실 내부를 난방한다. 즉, 송풍팬(13)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난방부(30)의 면상 발열체(31)를 이용하여 가열한 후 난방 하우징의 출구부(34)를 통해 배출함으로써, 가열된 공기에 의해 온실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온실의 내부 습도에 따라 제습부(20)의 압축기(21)를 작동시켜 제습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응축수 배출부(40)를 통해 응축수를 배출시킬 수도 있고, 압축기(21)를 작동시키지 않고 송풍팬(13)만 회전시켜 공기를 순환시키기만 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송풍부 11: 하우징
12 : 구동모터 13 : 송풍팬
14 : 모터 홀더 15 : 필터
16 : 그릴 17 : 인양고리
18 : 받침대 20 : 제습부
21 : 압축기 22 : 어큐물레이터
23 : 콘덴서 24 : 증발기
25 : 물받이 26 : 커패시터
27 : 브래킷 30 : 난방부
31 : 면상 발열체 32 : 발열체 홀더
33 : 접촉 방지망 34 : 출구부
35 : 연결부 36 : 결합부
40 : 응축수 배출부 41 : 수위감지부
41a :고수위 센서 41b : 저수위 센서
42 : 배출호스 43 : 솔레노이드 밸브
44 : 호스릴 지지프레임 45 : 자동호스릴
45a : 호스 45b : 휠
45c : 모터 45b : 드럼 지지대
46 : 무게추

Claims (5)

  1. 온실의 천장에 설치되어 공기를 송풍하며, 천장에 매달리는 형태로 설치되는 원통 형상의 하우징과, 회전을 통해 하우징의 출구측으로 바람을 송풍하는 송풍팬과,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하우징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구동모터를 지지하는 모터 홀더와, 하우징의 출구측에 설치되는 그릴과, 하우징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송풍부와;
    하우징의 후방 내측에 구비되며, 하우징의 중간 부분에 설치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냉매를 기액 분리하여 기체 상태의 냉매만 공급되도록 하는 어큐물레이터와, 하우징의 후방부에 설치되고 냉매의 응축열을 이용하여 하우징으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콘덴서와, 냉매의 기화열을 이용하여 콘덴서를 통과한 공기를 냉각시킴과 아울러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도록 콘덴서의 전방에 설치되는 증발기와, 증발기의 하부에 설치되어 응축수를 포집하는 물받이를 포함하는 제습부와;
    하우징의 전방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면상 발열체와,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면상 발열체를 지지하는 발열체 홀더와, 하우징의 전방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발열체 홀더를 지지하는 난방 하우징을 포함하는 난방부; 및
    제습부의 물받이에 포집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응축수 배출부;를 포함하고
    응축수 배출부는 물받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와, 응축수가 배출되도록 일단은 물받이에 연결되고 타단은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는 배출호스와, 물받이의 출구와 배출호스 사이에 구비되며 수위감지부의 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배출호스가 연결되는 회전축관이 구비되고 드럼에 일정 길이의 호스가 권취되어 이루어지며 물받이의 수위가 일정 이상인 경우 호스가 자동으로 풀려져 바닥면으로 배출시키도록 하우징의 하부에 구비되는 자동호스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출을 위한 호스릴이 구비된 온실용 난방기 일체형 제습장치.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에 있어서,
    자동호스릴은,
    호스가 권취되는 드럼과, 일측 단부는 배출호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호스에 연결되도록 드럼에 설치되어 드럼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축관과, 드럼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호스의 이탈을 방지하는 한 쌍의 휠과, 드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드럼지지대와, 회전축관과 반대쪽에서 드럼지지대에 설치되며 수위감지부의 신호에 따라 드럼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출을 위한 호스릴이 구비된 온실용 난방기 일체형 제습장치.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2에 있어서,
    자동호스릴의 드럼지지대는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된 호스릴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출을 위한 호스릴이 구비된 온실용 난방기 일체형 제습장치.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2에 있어서,
    자동호스릴의 호스 끝단에는 호스가 연직 방향으로 풀리도록 무게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출을 위한 호스릴이 구비된 온실용 난방기 일체형 제습장치.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받이는 하부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수위감지부는 경사진 하부면의 상단측에 구비되어 솔레노이드 밸브에 개방신호를 보내고 자동호스릴의 모터에 정회전 작동신호를 보내는 고수위 센서와, 배출호스가 연결된 경사진 하부면의 하단측에 구비되어 솔레노이드 밸브에 차단신호를 보내고 자동호스릴의 모터에 역회전 작동신호를 보내는 저수위 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출을 위한 호스릴이 구비된 온실용 난방기 일체형 제습장치.
KR1020180112478A 2018-09-19 2018-09-19 응축수 배출을 위한 호스릴이 구비된 온실용 난방기 일체형 제습장치 KR101912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478A KR101912856B1 (ko) 2018-09-19 2018-09-19 응축수 배출을 위한 호스릴이 구비된 온실용 난방기 일체형 제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478A KR101912856B1 (ko) 2018-09-19 2018-09-19 응축수 배출을 위한 호스릴이 구비된 온실용 난방기 일체형 제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2856B1 true KR101912856B1 (ko) 2018-10-30

Family

ID=64100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2478A KR101912856B1 (ko) 2018-09-19 2018-09-19 응축수 배출을 위한 호스릴이 구비된 온실용 난방기 일체형 제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28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64167A (zh) * 2020-08-10 2020-11-20 冯艳丽 一种便于转轮机构排水的转轮除湿机
KR20210045638A (ko) * 2019-10-17 2021-04-27 주식회사 바이오라인 온실용 습도제어장치
US20230033427A1 (en) * 2020-01-06 2023-02-02 Lg Electronics Inc. Plant cultivation apparatu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772B1 (ko) * 2007-02-02 2007-09-03 (주)티이엔 배출수를 활용하는 농업용 제습기
JP2011101603A (ja) * 2009-11-10 2011-05-26 Hitachi Appliances Inc 施設園芸ハウス用ヒートポンプ式空気調和機及び施設園芸ハウスの空調方法
KR101511993B1 (ko) 2014-01-27 2015-04-14 김진재 축사 및 식물 재배용 송풍히터
KR101680985B1 (ko) * 2015-12-22 2016-12-1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착탈식 히팅장치를 구비한 시설하우스용 제습기
KR101786419B1 (ko) 2017-01-25 2017-10-1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제습기 겸용 히트펌프 타입 건조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772B1 (ko) * 2007-02-02 2007-09-03 (주)티이엔 배출수를 활용하는 농업용 제습기
JP2011101603A (ja) * 2009-11-10 2011-05-26 Hitachi Appliances Inc 施設園芸ハウス用ヒートポンプ式空気調和機及び施設園芸ハウスの空調方法
KR101511993B1 (ko) 2014-01-27 2015-04-14 김진재 축사 및 식물 재배용 송풍히터
KR101680985B1 (ko) * 2015-12-22 2016-12-1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착탈식 히팅장치를 구비한 시설하우스용 제습기
KR101786419B1 (ko) 2017-01-25 2017-10-1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제습기 겸용 히트펌프 타입 건조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5638A (ko) * 2019-10-17 2021-04-27 주식회사 바이오라인 온실용 습도제어장치
KR102340154B1 (ko) * 2019-10-17 2021-12-16 주식회사 바이오라인 온실용 습도제어장치
US20230033427A1 (en) * 2020-01-06 2023-02-02 Lg Electronics Inc. Plant cultivation apparatus
CN111964167A (zh) * 2020-08-10 2020-11-20 冯艳丽 一种便于转轮机构排水的转轮除湿机
CN111964167B (zh) * 2020-08-10 2022-04-22 广东英为拓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转轮机构排水的转轮除湿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2856B1 (ko) 응축수 배출을 위한 호스릴이 구비된 온실용 난방기 일체형 제습장치
US20080256826A1 (en) Drying cabinet with ventilation system
KR101525172B1 (ko) 실내 온습도 제어 장치
US20070193058A1 (en) Drying cabinet and ventilation system
BRPI0613961B1 (pt) Structure and process for curing tobacco
CN105402822B (zh) 除湿机及其控制方法
CN201542063U (zh) 一种多功能鞋柜
US20100293981A1 (en) Dehumidifier
KR101917238B1 (ko) 응축수가 자동으로 배출되는 온실용 난방기 일체형 제습장치
KR20170009044A (ko) 제습기
JP6630235B2 (ja) 加湿装置
CN210946175U (zh) 一种带有新风功能的除湿晾衣机
CN211657675U (zh) 一种智能衣柜
KR101185628B1 (ko) 폐열을 회수하는 축사의 환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기 방법
US20200173089A1 (en) Washing machine mold growth prevention
JP4584850B2 (ja) 除湿機
JP2014135954A (ja) 洗濯乾燥機
KR102351105B1 (ko) 제연구역 환기시스템
KR102450048B1 (ko) 공기처리장치
JPH11127703A (ja) 園芸用ハウス
KR20090018266A (ko)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처리장치
KR20150103909A (ko) 공기조화장치
CN106679006A (zh) 一种净化新风系统及其安装方法
JP6346102B2 (ja) ミスト発生装置
KR100865905B1 (ko) 습기제거장치가 부설된 농수산물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