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9018A - 급,배기 장치 - Google Patents

급,배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9018A
KR20110109018A KR1020100028553A KR20100028553A KR20110109018A KR 20110109018 A KR20110109018 A KR 20110109018A KR 1020100028553 A KR1020100028553 A KR 1020100028553A KR 20100028553 A KR20100028553 A KR 20100028553A KR 20110109018 A KR20110109018 A KR 20110109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air
air supply
fixed
bellows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8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명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근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근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근옥
Priority to KR1020100028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9018A/ko
Publication of KR20110109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90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65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fan combined with single duct; mounting arrangements of a fan in a 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2Roof ventilation
    • F24F7/025Roof venti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by means of a built-in ventil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기장치와 배기장치로 사용하는 급배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내 공기의 배출이나 외부공기의 급기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팬이 설치된 팬고정구가 하부에 결합되고 높낮이 조절되는 자바라관의 상측으로 지붕으로 돌출되게 바디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자바라관의 하측에 결합되는 팬고정구의 내부에 고정되는 팬의 방향을 바꾸어 고정되게 하고, 상기 팬고정구의 하부에는 측면으로 급기구멍이 형성된 원반형의 급기통을 체결하며, 상기 바디에는 실내측에 환기구멍의 개폐를 조절하는 개폐조절판을 결합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급,배기 장치{Air Distribution System For Ventilation}
본 발명은 급기장치와 배기장치로 사용하는 급배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내 공기의 배출이나 외부공기의 급기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실내 공기의 배출이나 외부 공기의 유입을 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실내공기의 배출을 전담하는 배출팬을 설치하는 한편 외부공기의 유입을 전담하는 급기팬을 별도로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축사나 계사 등에서는 실내공기의 배기를 위한 배출팬과, 외부공기의 급기를 위한 급기팬을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고, 각각의 급기팬과 배출팬은 동시에 운용하지 않고 별도로 운용하게 되는 것으로, 각각의 급기팬과 배출팬을 설치하는 경우 설치비용의 증가와 함께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게 된다.
실내공기의 배출을 위하여 배출팬을 설치하고, 외부공기의 유입을 위하여 급기팬을 설치하는 경우 환기를 위하여 두 개의 팬을 필요로 하게 되는 것으로, 통상 배출팬을 구동시키는 경우는 급기팬을 작동시키지 않고, 급기팬을 구동시키는 경우는 배출팬을 작동시키기 않는 등 급기팬과 배출팬을 동시에 작동시키지 않는 점을 이용하여 급기와 배기가 하나의 급배기 장치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급기팬과 배출팬을 동시에 설치하여야 하는 경우의 공간 활용도 감소와 설치비용의 증가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팬이 설치된 팬고정구가 하부에 결합되고 높낮이 조절되는 자바라관의 상측으로 지붕으로 돌출되게 바디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자바라관의 하측에 결합되는 팬고정구의 내부에 고정되는 팬의 방향을 바꾸어 고정되게 하고, 상기 팬고정구의 하부에는 측면으로 급기구멍이 형성된 원반형의 급기통을 체결하며, 상기 바디에는 실내측에 환기구멍의 개폐를 조절하는 개폐조절판을 결합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급기와 배기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팬고정구의 내부에 고정되는 팬의 방향을 바꾸어 급기와 배기로 선택하여 사용하지 않고 팬고정구의 방향을 바꾸어 결합시킴으로써 급기와 배기로 선택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내 급기와 실내 배기가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것으로, 급기장치와 배기장치를 별도로 구성하지 않아 설치비용을 줄이는 한편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급기팬으로 사용시 설치 상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을 배기팬으로 사용시 설치 상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환기구멍 막음 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환기구멍 열음 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자바라관 길이 조절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을 급기로 사용시 팬고정구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을 배기로 사용시 팬고정구 단면도
본 발명은 실내 공기의 배출과 외부 공기의 유입이 필요한 돈사와 축사 등에 있어서, 급기와 배기를 선택적으로 할 수 있는 급배기 장치를 이용하여 실내 조건에 따라 급기장치로 사용하거나 배기장치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팬의 방향을 어느 쪽으로 향하게 고정시키느냐에 따라 급기팬으로 사용하거나 배기팬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양계장에서 육추일 때에는 급기가 주로 이루어지도록 급기장치로 사용하고, 육계로 자란 후에는 배기가 주로 이루어지도록 배기장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급기장치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외부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도록 팬의 방향을 고려하여 팬고정구에 고정시키고, 배기장치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팬의 방향을 고려하여 팬고정구에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팬의 방향을 변환시켜 급기장치 또는 배기장치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 상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은 대략적으로 원통형의 바디(10)를 지붕(20)에 설치하되 바디(10)가 지붕(20)의 내외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고정 설치하고, 상기 바디(10)의 상부에는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고 배기가 용이하도록 캡(11)을 씌워 고정시키되 바디(10)의 상부와 캡(11)과는 일정거리가 이격되게 하며, 상기 바디(10)에는 실내측으로 환기구멍(12)을 형성하되 상기 환기구멍(12)은 환기개폐판(30)으로 개폐되게 하고, 상기 바디(10)의 하부에는 자바라관(40)을 끼워 고정하며, 상기 자라바관(40)의 하부에는 팬고정구(50)를 끼워 고정시키되 상기 팬고정구(50)의 내측에는 상하 방향 전환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팬(60)이 고정되게 하고, 상기 팬고정구(50)의 하측으로 원반형의 급기통(70)을 설치하되 상기 급기통(70)에는 외측으로 급기구멍(71)이 형성되게 한다.
본 발명에서 바디(10)는 원통형상을 갖고 지붕(20)의 내외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고정하게 되는 것으로, 지붕(20)과 수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지붕(20)의 상측에서 고정이 이루어지게 하거나 지붕(20)의 하측에서 줄을 이용하여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바디(10)의 설치와 고정 상태는 기존의 배기팬과 설치 구조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디(10)에는 상측으로 캡(11)을 설치하는 한편 하부 실내측에는 환기구멍(12)을 설치하되 상기 환기구멍(12)은 환기개폐판(30)이 씌워져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환기개폐판(30)에는 개폐조절끈(32)을 고정하는 한편 복귀용 스프링(33)을 설치함으로써, 바닥에서 개폐조절끈(32)을 이용하여 환기개폐판(30)을 당길 수 있도록 하고, 개폐조절끈(32)은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개폐조절끈(32)을 당기게 되면 스프링(33)이 늘어나면서 개폐조절판(30)이 환기구멍(12)을 많이 열어주게 되고, 개폐조절끈(32)을 놓게 되면 스프링(33)의 복원력에 의해 개폐조절판(30)이 환기구멍(12)을 닫아주게 되므로, 개폐조절끈(32)으로 환기구멍(12)의 개폐 여부와 개폐정도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환기개폐판(30)은 전후로 2 개를 설치하여 양쪽으로 천정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지게 한다.
본 발명에서 환기구멍(12)을 형성한 이유는 겨울철과 같은 경우 외부공기의 유입시 실내공기의 급격한 하강 현상이 발생하므로, 천정 쪽에 몰려있는 뜨거운 공기를 환기구멍(12)으로 흡입하여 외부공기와 혼합시킴으로써 외부공기의 유입으로 인한 실내온도 하강을 최대한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외부공기만을 흡입하는 경우 실내공기가 하락되고, 실내의 더운공기는 천정에 몰려 있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외부 공기의 유입시 천정에 몰려있는 더운공기를 순환시켜 실내온도 하강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환기구멍(12)의 열림 정도를 환기개폐판(30)으로 조절하는 이유는 실내공기와 외부공기의 혼합량을 조절하여 실내온도 하강은 최소화시키면서 외부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환기구멍(12)은 외부온도가 상승하는 계절에는 사용하지 않으므로 환기개폐판(30)으로 닫아주어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디(10)에는 하측으로 자바라관(40)이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자바라관(40)의 하부에는 팬고정구(50)가 끼워져 고정되게 되며, 상기 자바라관(40)의 하부에는 높낮이 조절끈(41)을 고정한 후 자바라관(40)의 상부에 고정된 링(42)에 끼워 하부에서 당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높낮이 조절끈(41)을 당기게 되면 자바라관(40)의 하부를 상부로 당겨주어 하부 높이를 높여주고, 높낮이 조절끈(41)을 놓게 되면 자바라관(40)이 하부로 늘어나면서 하부 높이를 낮추어주게 된다.
여기서 높낮이조절끈(41)은 양쪽으로 두 개를 설치하여 대칭적으로 당겨주어야만 자바라관(40)이 용이하게 접히거나 펼쳐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 바디(10)에 끼워져 결합되는 자바라관(40)과, 팬고정구(50)에 끼워져 고정되는 자바라관(40)에는 외측으로 고정링(80)을 끼워 고정시킴으로써 고정링(80)을 풀을 경우 바디(10)에서 자바라관(40)을 분리시킬 수 있음은 물론 자바라관(40)에서 팬고정구(50)를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팬고정구(50)에는 모터(61)로 구동되는 팬(60)이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팬(60)은 나사를 풀어 간단히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으며, 팬(60)의 방향을 바꾸어가며 나사를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즉, 팬고정구(50)의 팬(60)은 하부로 공기가 흐르게 고정하거나, 상부로 공기가 흐르게 고정할 수 있는 것으로, 급기 또는 배기의 필요에 따라 팬(60)의 방향을 바꾸어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팬고정구(50)에 끼워져 고정된 팬(60)의 방향을 전환시킴으로써 바람의 방향을 바꾸어줄 수 있는 것으로, 이와는 달리 팬(60)의 방향을 전환시켜 고정하지 않고, 팬(60)은 고정시킨 상태에서 팬고정구(50)의 방향을 바꾸어 줌으로써 급기와 배기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팬고정구(5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팬(60)의 방향을 바꾸어 고정시킴으로써 급기와 배기를 선택하여 사용하거나, 팬(60)은 고정시킨 상태에서 팬고정구(50)의 방향을 바꾸어 끼움으로써 급기와 배기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팬고정구(50)의 하부에는 원반형의 급기통(70)을 설치하여 급기장치로 사용하는 경우 팬(60)에 의해 급기통(70)으로 유입된 공기가 급기통(70)의 외측에 형성된 급기구멍(71)을 통하여 실내에 골고루 급기로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급기통(70)은 배기장치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거시키는 것이 배기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급기통(70)의 중앙에는 급기시 발생된 결로 현상에 의한 이슬을 모아줄 수 있는 저장조(72)를 형성하며, 상기 저장조(72)에 모아진 물은 필요에 따라 외부에서 빼 낼 수 있도록 하거나 스스로 증발하여 사라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급기장치로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살펴본다.
이때에는 팬고정구(50)의 팬(60)이 하부를 향함으로써 외부 공기가 바디(10)와 자바라관(40)을 통한 후 급기통(70)에서 급기구멍(71)을 통하여 실내로 공급되게 하고, 자바라관(4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최적의 위치에서 급기가 이루어지게 한다.
이때 환기구멍(12)을 막아주는 정도에 따라 천정에 모아져 있는 뜨거운 공기가 바디(10)의 내부로 흡입되어 실외공기와 혼합되게 함으로써 실외공기의 유입으로 인한 온도 하락을 막아주게 되며, 환기구멍(12)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사용자가 환기개폐판(30)을 이용하여 적절히 조절하게 된다.
본 발명을 배기장치로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살펴본다.
이때에는 팬고정구(50)의 팬(60)이 상부를 향함으로써 실내 공기가 자바라관(40)과 바디(10)를 통한 후 외부로 배출되게 되며, 급기통(70)은 장착한 상태로 사용하거나 필요에 따라 제거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팬(60)의 방향을 바꾸어 고정하거나, 팬고정구(50)의 방향을 바꾸어 고정시킴으로써 급기와 배기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10 : 바디 12 : 환기구멍
30 : 환기개폐판 33 : 스프링
40 : 자바라관 50 : 팬고정구
60 : 팬 70 : 급기통
80 : 고정링

Claims (4)

  1. 실내공기를 배출하고 실외공기를 급기하는 원통형의 바디(10)를 실내와 실외에 걸쳐서 설치하고, 상기 바디(10)의 하측으로 높낮이가 조절되게 길이가 조절되는 자바라관(40)을 결합하며, 상기 자바라관(40)의 하측으로 팬고정구(50)를 고정시키되 상기 팬고정구(50)의 내부에 고정된 팬(60)은 방향을 바꿔서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배기 장치.
  2. 실내공기를 배출하고 실외공기를 급기하는 원통형의 바디(10)를 실내와 실외에 걸쳐서 설치하고, 상기 바디(10)의 하측으로 높낮이가 조절되게 길이가 조절되는 자바라관(40)을 결합하며, 상기 자바라관(40)의 하측으로 팬고정구(50)를 고정시키되 상기 팬고정구(50)는 상하 방향을 바꿔서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배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바디(10)의 실내측에는 환기구멍(12)을 설치하되 상기 환기구멍(12)의 입구는 환기개폐판(30)으로 막아주고, 상기 환기개폐판(30)은 개폐조절끈(32)으로 당겨지게 하되 상기 환기개폐판(30)에는 복귀용 스프링(33)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배기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팬고정구(50)의 하측으로 원반형의 급기통(70)을 설치하되 상기 급기통(70)의 측면에는 급기구멍(71)을 형성하고, 상기 급기통(70)의 바닥에는 저장조(72)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배기 장치.
KR1020100028553A 2010-03-30 2010-03-30 급,배기 장치 KR201101090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553A KR20110109018A (ko) 2010-03-30 2010-03-30 급,배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553A KR20110109018A (ko) 2010-03-30 2010-03-30 급,배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018A true KR20110109018A (ko) 2011-10-06

Family

ID=45026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8553A KR20110109018A (ko) 2010-03-30 2010-03-30 급,배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901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276B1 (ko) * 2012-11-27 2013-12-09 고상수 축사용 급기 장치
KR20180054303A (ko) 2016-11-15 2018-05-24 주식회사 근옥 공기 배출장치
KR102015579B1 (ko) 2019-01-28 2019-08-28 고명근 축사용 배기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276B1 (ko) * 2012-11-27 2013-12-09 고상수 축사용 급기 장치
KR20180054303A (ko) 2016-11-15 2018-05-24 주식회사 근옥 공기 배출장치
KR102015579B1 (ko) 2019-01-28 2019-08-28 고명근 축사용 배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9475B1 (ko) 공기청정기겸 환기장치의 고정장치
KR102002567B1 (ko) 양돈시설 환기시스템
US11821651B1 (en) Air cooling system for a building structure
KR200413942Y1 (ko) 배전반의 환기 장치
CN101403526B (zh) 无人值守机房或基站控温空调的节电方法改进
CN114531835B (zh) 一种具有温控调节机构的户外网络机柜
KR200431228Y1 (ko) 공기순환장치
KR101378135B1 (ko) 공기청정기겸 환기장치
KR20110109018A (ko) 급,배기 장치
KR101159249B1 (ko) 천장형 제트공조장치
KR101141721B1 (ko) 배기를 선택하는 벽면 배기팬
US20060085898A1 (en) Toilet ventilation system
KR101338276B1 (ko) 축사용 급기 장치
US6021953A (en) Year-round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method
JP2010104300A (ja) 畜舎の換気装置および畜舎の換気方法
KR200471731Y1 (ko) 공기 순환장치
KR101131466B1 (ko) 이동식 화장실
KR101060263B1 (ko) 다기능 급기장치
KR101636959B1 (ko) 빌트인 제습기
KR101264200B1 (ko) 무인국사의 외기공급장치
KR200386342Y1 (ko) 공기 순환 장치
CA2974573A1 (en) Hybrid heat recovery system with energy recovery and use thereof
KR102058286B1 (ko) 건물의 실내 환기장치
CN208124547U (zh) 单风口新风机
CN207962809U (zh) 一种对流式电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