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7660A -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7660A
KR20170077660A KR1020150187789A KR20150187789A KR20170077660A KR 20170077660 A KR20170077660 A KR 20170077660A KR 1020150187789 A KR1020150187789 A KR 1020150187789A KR 20150187789 A KR20150187789 A KR 20150187789A KR 20170077660 A KR20170077660 A KR 20170077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ischarge port
air discharge
housing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7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상우
배준형
백인규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7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7660A/ko
Publication of KR20170077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76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24F11/02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11/0017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하우징의 내부의 구비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에 의해 유동하는 하우징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통로를 구성하는 제1 공기토출구 및 제2 공기토출구; 및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가 상기 제1 공기토출구 및 상기 제2 공기토출구를 통해 번갈아 토출되도록 상기 제1 공기토출구 및 제2 공기토출구를 개폐하는 유로전환부;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장치{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장치는 제품의 정면 또는 상단에 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로 개구된 토출구를 통해 공기를 송풍시키는 구조이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장치는 토출구의 넓은 개구 면적으로 인해 단위시간당 풍량은 많을 수 있으나, 토출되는 공기의 유속이 느려서 실내공기를 순환시키는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고, 유속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팬의 회전수를 높여야 하는데, 팬의 회전수를 높임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토출구의 면적을 좁게 하는 경우에는 풍량이 적고 공기가 좁은 면적으로 토출되기 때문에 오히려 실내공기 순환 속도가 더 낮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두 개의 공기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기토출구로 공기를 토출하여, 공기 토출량을 증가하면서도 빠른 유속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운전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하우징의 내부의 구비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에 의해 유동하는 하우징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통로를 구성하는 제1 공기토출구 및 제2 공기토출구; 및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가 상기 제1 공기토출구 및 상기 제2 공기토출구를 통해 번갈아 토출되도록 상기 제1 공기토출구 및 제2 공기토출구를 개폐하는 유로전환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하우징의 내부의 구비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에 의해 유동하는 하우징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통로를 구성하는 제1 공기토출구 및 제2 공기토출구; 및 상기 상기 제1 공기토출구 및 상기 제2 공기토출구를 중 적어도 하나를 개방하는 유로전환부; 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전환부는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공기토출구를 개방하고, 제2 모드에서 상기 제2 공기토출구를 개방하고, 제3 모드에서 상기 제1 공기토출구 및 제2 공기토출구를 번갈아 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두 개의 공기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기토출구로 공기를 토출하여, 공기 토출량을 증가하면서도 빠른 유속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상태를 표시하여 토출방향을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에 포함되는 유로전환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운전 상태 표시 방식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00)는 하우징(110), 송풍팬(130), 가이드프레임(140), 공기처리부(150), 제1 공기토출구(165), 제2 공기토출구(175) 및 유로전환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00)의 외관을 구성하며, 송풍팬(130), 가이드프레임(140), 공기처리부(150) 및 유로전환부(180)가 설치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커버(112) 및 후면커버(1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전면커버(112)와 후면커버(114)가 서로 합형되어 송풍팬(130), 가이드프레임(140), 공기처리부(150) 및 유로전환부(180)가 설치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에는 외부공기가 하우징(110)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흡입부(117)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기흡입부(117)는 하우징(110)의 후면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10)의 외면에는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오염도센서(120)가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10)의 전면 커버(110)에는 공기조화장치(100)의 운전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0)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여, 공기조화장치(100)의 운전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300)의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는 제1 공기토출구(165)의 외주부를 둘러싸는 환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관통홀(168)을 덮는 원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130)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작동시 외부공기가 하우징(110)의 내부로 흡입된 후 후술할 공기처리부(150)를 지나고 제1 공기토출구(165) 및 제2 공기토출구(175)를 통해 다시 외부로 토출되도록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풍팬(130)은 환형 토출유로(160) 및 제2 공기토출구(175)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방으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송풍팬(1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환형 토출유로(160)의 직하방에 배치될 수 있고, 이때, 후술할 공기처리부(150)는 제2 공기토출구(175)의 직하방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송풍팬(130)은 높은 흡입 정압 및 풍량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원심팬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송풍팬(130)은 공기를 양방향으로 흡입 가능한 양흡입 타입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공기를 한 방향으로 흡입 가능한 단흡입 타입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프레임(140)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격벽 형태로 구비되며, 송풍팬(130)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제1 공기토출구(165) 및 제2 공기토출구(175)로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프레임(140)은 송풍팬(130)의 둘레를 둘러싸는 스크롤부(141)와, 상기 스크롤부(141)의 상단에 구비되며 환형 토출유로(160)와 제2 공기토출구(175)를 구획하는 구획부(144)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크롤부(141)는 송풍팬(130)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구성되어, 송풍팬(130)의 원주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스크롤부(141)의 상단에는 스크롤부(141)에 의해 가이드된 공기가 구획부(144) 방향으로 송풍되는 송풍구(14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스크롤부(141)의 일면에는 송풍팬(130)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143)가 구비될 수 있으며, 공기유입구(143)의 중앙에 송풍팬(130)을 회전시키기 위한 팬모터(135)가 구비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구획부(144)는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에서 후술할 환형 토출유로(160)를 형성하는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프레임(145)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격벽프레임(145)에는 후술할 에어가이드(167)가 관통 결합되는 관통개구(146)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격벽프레임(145)에는 관통개구(146)의 둘레에 형성되며 격벽프레임(145)의 일면에 돌출되어 후술할 환형 토출유로(160)를 형성하는 인클로저(14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클로저(147)는 관통개구(146)의 둘레 중에서 환형 토출유로(160)의 공기유입단(161)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둘러싸는 내측공간에 환형 토출유로(16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공기처리부(15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공기정화, 제습 및 가습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처리부(150)는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하는 경우 집진, 탈취 및 바이러스 제거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공기정화필터를 포함할 수 있고, 제습 기능을 구비하는 경우 제습필터 또는 열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습 기능을 구비하는 경우 가습필터, 초음파식 가습유닛 또는 가열식 가습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처리부(150)는 공기정화필터와 가습필터 또는 공기정화필터와 열교환기를 함께 구비하여 공기정화기능, 제습 및 가습 중 복수의 기능을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처리장치는 채용되는 공기처리부(150)에 따라, 공기청정기, 제습기, 가습기, 제습청정기, 가습청정기 등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기처리부(150)는 송풍팬(130)의 공기흡입측에 배치되어, 송풍팬(130)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처리할 수 있다.
일 예로, 공기처리부(150)는 가이드프레임(140)의 스크롤부(141)에 형성된 공기유입구(143)와 하우징(110)의 공기흡입부(117)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공기토출구(165)는 송풍팬(130)에 의해 유동하는 하우징(1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통로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공기토출구(165)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공기토출구(165)는 하우징(11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공기토출구(165)를 형성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환형 토출유로(16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환형 토출유로(160)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측 끝단이 제1 공기토출구(165)를 구성하고, 제1 공기토출구(165)가 하우징(110)의 일면에 배치되도록 하우징(11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환형 토출유로(160)는 제1 공기토출구(165)가 하우징(110)의 전면커버(112)에 배치되도록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평방향 또는 하우징(110)의 전방을 향해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환형 토출유로(160)는 전체적으로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평하거나 경사지게 누운 원통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공기토출구(165)는 환형 토출유로(160)의 끝단 형상에 따라 하우징(110)의 전면커버(112)에 환형으로 형성되게 된다.
한편, 이러한 환형 토출유로(160)는 도 4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제1 공기토출구(165)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에어가이드(16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167)는 하우징(110)의 내부로 연장되어 환형 토출유로(160)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10)의 일면에는 원형으로 개구된 토출개구(113)가 형성될 수 있고, 에어가이드(167)는 일단이 토출개구(113)의 중앙에 배치되고 타단이 하우징(110)의 내부로 연장되어 환형 토출유로(160)의 내경(內徑, 내측 직경)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에어가이드(167)의 일단의 테두리와 상기 토출개구(113) 사이의 간격이 환형 토출유로(160)의 제1 공기토출구(165)을 구성하게 된다.
또한, 에어가이드(167)의 외측면과 가이드프레임(140)의 구획부(144)에 구비된 인클로저(147) 사이의 공간이 환형 토출유로(160)를 구성하게 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에어가이드(167)는 가이드프레임(140)의 구획부(144)의 격벽프레임(145)에 형성된 관통개구(146)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환형 토출유로(160)는 에어가이드(167), 인클로저(147) 및 격벽프레임(145)으로 둘러싸인 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환형 토출유로(160)의 하단에는 스크롤부(141)의 송풍구(142)에 연통되는 공기유입단(161)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스크롤부(141)의 송풍구(142)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공기유입단(161)을 통해 환형 토출유로(160)로 유입된 후 제1 공기토출구(165)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환형 토출유로(160)의 단면적이 제1 공기토출구(165)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를 형성하기 위해, 일 예로서, 에어가이드(167)는 타단에서 일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에어가이드(167)는 환형 토출유로(160)를 제1 공기토출구(165) 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게 형성한다면 어떠한 형태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에어가이드(167)가 양단의 직경이 동일한 원통형태로 구성되고 인클로저(147)의 형상이 제1 공기토출구(165) 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될 수도 있고, 에어가이드(167)가 제1 공기토출구(165) 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형태로 구성되고 인클로저(147)의 형상이 제1 공기토출구(165) 측으로 갈수록 에어가이드(167)의 외경의 변화량보다 더 큰 변화량으로 작아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에어가이드(167)는 하우징(110)의 일면에서 타면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중공의 나팔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10)의 타면에는 에어가이드(167)의 타단의 중공에 대응하는 개구부(11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에어가이드(167)의 타단은 개구부(115)의 테두리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하우징(110)에는 에어가이드(167)를 매개로 일면에서 타면까지 관통된 관통홀(168)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공기토출구(165) 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환형 토출유로(160) 구조에서, 환형 토출유로(160)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제1 공기토출구(165) 측으로 유동할수록 유속이 증가하게 되어 빠른 유속으로 제1 공기토출구(165)에서 토출되게 된다. 참고로, 공기가 좁은 단면적의 유로를 통과할 때 유속이 증가하는 점은 베르누이의 정리를 통해 알 수 있다.
또한, 제1 공기토출구(165)에서 빠른 유속으로 토출되는 공기가 관통홀(168)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와 제1 공기토출구(165)의 외곽에 존재하는 공기에 유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제1 공기토출구(165)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이 증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 공기토출구(165)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빠른 유속으로 인해 주변공기 즉, 관통홀(168) 내부의 공기와 제1 공기토출구(165) 외곽의 공기보다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으므로, 관통홀(168) 내부의 공기와 제1 공기토출구(165) 외곽의 공기가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은 토출공기 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제2 공기토출구(175)는 송풍팬(130)에 의해 유동하는 하우징(1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통로를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공기토출구(175)는 하우징(110)의 상단에 형성되어, 송풍팬(130)에서 상향 토출되는 공기가 거의 직선 유동하여 하우징(110)의 상단으로 토출되는 경로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유로전환부(18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송풍팬(130)이 토출하는 공기를 제1 공기토출구(165) 및 제2 공기토출구(175) 중 적어도 하나로 안내할 수 있다. 즉, 유로전환부(18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공기의 유동경로를 전환시켜서 공기가 제1 공기토출구(165) 또는 제2 공기토출구(175)로 토출되도록 할 수도 있고, 제1 공기토출구(165)와 제2 공기토출구(175)로 동시에 토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유로전환부(180)는 환형 토출유로(160)의 공기유입단(161) 및 제2 공기토출구(175)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로전환부(180)는 개폐도어(182) 및 모터부재(18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도어(182)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회전하여 환형 토출유로(160)의 공기유입단(161)과 제2 공기토출구(175)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폐도어(182)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토출유로(160)의 공기유입단(161)과 제2 공기토출구(175) 측 유로의 분기점에 구비되는 만곡된 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부재(186)는 개폐도어(182)의 회전축(222)에 결합되어 개폐도어(182)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개폐도어(182)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토출유로(160)의 공기유입단(161)을 차폐하는 경우, 송풍팬(130)에서 송풍되는 공기는 오직 제2 공기토출구(175)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개폐도어(182)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토출유로(160)의 공기유입단(161)을 개방하고 제2 공기토출구(175) 측 유로를 차폐하는 경우, 송풍팬(130)에서 송풍되는 공기는 환형 토출유로(160)로 유입되어 오직 제1 공기토출구(165)로 토출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도어(182)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토출유로(160)의 공기유입단(161)과 제2 공기토출구(175) 측 유로를 모두 개방하는 위치로 회전된 경우, 송풍팬(130)에서 송풍되는 공기는 일부가 제1 공기토출구(165)로 토출되고 나머지 일부가 제2 공기토출구(175)로 토출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00)는 유로의 단면적이 좁아지는 환형의 제1 공기토출구(165)를 통해 토출공기의 빠른 유속 성능과 많은 풍량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00)는 유로전환부(180)를 통해 제1 공기토출구(165)와 제2 공기토출구(175)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일 예로, 공기조화장치(100)는 제1 모드에서 제1 공기토출구(165)로 공기를 토출하여 좁은 범위에 공기를 집중 송풍하고, 제2 모드에서 제2 공기토출구(175)로 공기를 토출하여 전체적인 공기를 순환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장치(100)는 제3 모드에서 제1 공기토출구(165)와 제2 공기토출구(175)를 번갈아 개방할 수 있다.
일 예로, 공기조화장치(100)의 유로전환부(180)는 오염도센서(120)에서 측정된 오염도가 기준치 보다 높은 경우에는 제1 공기토출구(165)의 개방 시구간을 제2 공기 토출구(175)의 개방 시구간보다 길게 조절할 수 있다. 제1 공기토출구(165)의 공기 토출로 공기조화장치(100)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곳에 위치하는 공기를 공기조화장치(100)와 상대적으로 가까운 곳으로 유동시키고, 이 후에 제2 공기토출구(175)의 공기 토출로 전환하여 공기조화장치(100)의 주변 공기를 빠르게 정화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공기조화장치(100)의 유로전환부(180)는 오염도센서(120)에서 측정된 오염도가 기준치 보다 낮은 경우에는 제1 공기토출구(165)의 개방 시구간을 제2 공기 토출구(175)의 개방 시구간보다 짧게 조절할 수 있다. 제2 공기토출구(175)의 공기 토출로 공기조화장치(100)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공기를 정화하고, 이 후에 제1 공기토출구(165)의 공기 토출로 전환하여 정화한 공기를 공기조화장치(100)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곳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전면 커버(110)에는 공기조화장치(100)의 운전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0)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시간 및 색상을 변경하여, 공기조화장치(100)의 운전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운전 상태 표시 방식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공기조화장치(100)는 제1 공기토출구(165) 및 제2 공기토출구(175)의 두 개의 토출구를 구비하는데, 사용자는 토출 방향을 인식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300)에서 공기조화장치(100)의 운전 상태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공기조화장치(100)의 운전 상태를 통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0)는 상술한 제1 모드 내지 제3 모드를 표시할 수 있고, 또한, 제1 모드 내지 제3 모드에서의 공기 토출량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0)의 환형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는 기 설정된 모양을 표시하고, 표시된 모양의 점멸 시간 또는 색상의 변경을 통하여 상기 제1 모드 내지 제3 모드를 구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00)의 환형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는 표시된 모양의 길이, 크기 또는 개수를 늘리는 방식으로 토출량을 구분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부(300)의 환형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표시하는 모양은 화살표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300)는 제1 모드 및 제1 모드에서의 공기 토출량의 증가를 도 8(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0)는 제1 모드를 화살표를 지속적으로 표시하여 나타낼 수 있고, 제1 모드에서의 공기 토출량의 증가를 도 8(a)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의 길이를 늘려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00)는 제2 모드 및 제2 모드에서의 공기 토출량의 증가를 도 8(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0)는 제2 모드를 화살표를 깜빡여서 나타낼 수 있고, 제2 모드에서의 공기 토출량의 증가를 도 8(b)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의 개수를 증가하여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00)는 제3 모드 및 제3 모드에서의 공기 토출량의 증가를 도 8(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0)는 제3 모드를 화살표의 색상을 점차적으로 변화하여 나타낼 수 있고, 제3 모드에서의 공기 토출량의 증가를 도 8(c)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의 개수를 증가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측정된 오염도가 기준치보다 높은 경우에는 화살표의 시점 보다 종점의 색상이 진할 수 있고, 오염도가 기준치보다 낮은 경우에는 화살표의 시점 보다 종점의 색상이 옅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공기조화장치 110: 하우징
112: 전면커버 113: 토출개구
114: 후면커버 115: 개구부
117: 공기흡입부 120: 오염도센서
130: 송풍팬 135: 팬모터
140: 가이드프레임 141: 스크롤부
142: 송풍구 143: 공기유입구
144: 구획부 145: 격벽프레임
146: 관통개구 147: 인클로저
150: 공기처리부 160: 환형 토출유로
161: 공기유입단 165: 제1 공기토출구
167: 에어가이드 168: 관통홀
175: 제2 공기토출구 180: 유로전환부
182: 개폐도어 186: 모터부재

Claims (12)

  1. 하우징의 내부의 구비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에 의해 유동하는 하우징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통로를 구성하는 제1 공기토출구 및 제2 공기토출구; 및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가 상기 제1 공기토출구 및 상기 제2 공기토출구를 통해 번갈아 토출되도록 상기 제1 공기토출구 및 제2 공기토출구를 개폐하는 유로전환부; 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오염도센서;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유로전환부는 상기 오염도센서에서 측정된 오염도에 따라 상기 제1 공기토출구 및 상기 제2 공기토출구의 개방하는 공기조화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부는,
    상기 오염도센서에서 측정된 오염도에 따라 상기 제1 공기토출구 및 상기 제2 공기토출구의 개방하는 시구간을 조절하는 공기조화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토출구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공기토출구는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형성되는 공기조화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부는,
    상기 오염도가 기준치보다 높은 경우, 제1 공기토출구의 개방 시구간을 제2 공기토출구의 개방 시구간보다 길게 조절하는 공기조화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부는,
    상기 오염도가 기준치보다 낮은 경우, 제1 공기토출구의 개방 시구간을 제2 공기토출구의 개방 시구간보다 짧게 조절하는 공기조화장치.
  7. 하우징의 내부의 구비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에 의해 유동하는 하우징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통로를 구성하는 제1 공기토출구 및 제2 공기토출구; 및
    상기 상기 제1 공기토출구 및 상기 제2 공기토출구를 중 적어도 하나를 개방하는 유로전환부; 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전환부는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공기토출구를 개방하고, 제2 모드에서 상기 제2 공기토출구를 개방하고, 제3 모드에서 상기 제1 공기토출구 및 제2 공기토출구를 번갈아 개방하는 공기조화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 내지 제3 모드 중 하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 공기토출구 및 상기 제2 공기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량을 표시하는 공기조화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환형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는 기 설정된 모양을 표시하는 공기조화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모양의 점멸 시간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상기 제1 모드 내지 제3 모드 중 하나를 표시하는 공기조화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모양의 길이, 크기 또는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상기 제1 공기토출구 및 상기 제2 공기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량을 표시하는 공기조화장치.



KR1020150187789A 2015-12-28 2015-12-28 공기조화장치 KR201700776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789A KR20170077660A (ko) 2015-12-28 2015-12-28 공기조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789A KR20170077660A (ko) 2015-12-28 2015-12-28 공기조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7660A true KR20170077660A (ko) 2017-07-06

Family

ID=59354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7789A KR20170077660A (ko) 2015-12-28 2015-12-28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766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7610A1 (en) * 2017-07-21 2019-0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CN109974092A (zh) * 2017-12-27 2019-07-05 三星电子株式会社 空调
CN111854107A (zh) * 2019-04-24 2020-10-30 杭州萤石软件有限公司 空气净化器的智能控制方法、装置及空气净化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7610A1 (en) * 2017-07-21 2019-0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US10591170B2 (en) 2017-07-21 2020-03-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CN109974092A (zh) * 2017-12-27 2019-07-05 三星电子株式会社 空调
CN109974092B (zh) * 2017-12-27 2021-11-30 三星电子株式会社 空调
CN111854107A (zh) * 2019-04-24 2020-10-30 杭州萤石软件有限公司 空气净化器的智能控制方法、装置及空气净化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55186B2 (ja) 空気清浄機
US10900671B2 (en) Slim-type air processing device
KR101837621B1 (ko) 공기조화장치
KR102502550B1 (ko) 송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US20160186761A1 (en) Air conditioner
KR20120016900A (ko) 벽걸이용 공기청정기
KR20160038678A (ko) 공기조화기
KR20140105972A (ko) 주방용 레인지 후드
KR101916887B1 (ko)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JP2009024595A (ja) 遠心ファン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KR102100890B1 (ko) 공기청정기
KR20170077660A (ko) 공기조화장치
KR101856986B1 (ko) 공기조화장치
KR20160034058A (ko) 공기조화기
KR20150077776A (ko) 제습기
KR20160077359A (ko) 급속 순환 공기조화기
KR20160000486A (ko) 토출방향 가변형 제습장치
KR20140141775A (ko) 공기청정기
KR101139560B1 (ko) 공기청정기
KR102535912B1 (ko) 공기 조화 시스템
KR101990836B1 (ko) 분리 환기형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정화방법
KR102492957B1 (ko) 공기청정기
KR20170039344A (ko) 공기처리장치
US11913658B2 (en) Air purifier
JP2020002944A (ja) 送風手段および空気清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