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9344A - 공기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9344A
KR20170039344A KR1020150138341A KR20150138341A KR20170039344A KR 20170039344 A KR20170039344 A KR 20170039344A KR 1020150138341 A KR1020150138341 A KR 1020150138341A KR 20150138341 A KR20150138341 A KR 20150138341A KR 20170039344 A KR20170039344 A KR 20170039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lowing fan
fan
suction unit
auxiliary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8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원
이진욱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8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9344A/ko
Publication of KR20170039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3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24F3/160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개시되는 공기처리장치는 공기흡입부와 공기토출부를 구비하고, 내부에 공기가 상기 공기흡입부에서 상기 공기토출부로 유동하는 공기유로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처리하는 공기처리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유로에 배치되는 제1 송풍팬; 상기 공기유로에서 상기 제1 송풍팬의 전단에 배치되는 제2 송풍팬; 및 상기 하우징에 상기 공기유로와 연결되도록 구비되되 외부공기가 상기 제1 송풍팬으로 직접 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송풍팬과 상기 제2 송풍팬 사이에 구비되며, 개폐가능한 보조흡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송풍팬은 사류팬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공기처리장치에 의하면, 직렬 2단 송풍팬 구조를 통해, 소음이 적고 높은 압력 및 많은 풍량의 송풍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처리장치{AIR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공기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단 송풍팬을 사용하여 송풍성능이 향상된 공기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 제습기, 가습기와 같은 공기처리장치는 실내 공기를 처리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다양한 형태의 제품들이 나와있다.
이러한 공기처리장치 제품들은 하나의 송풍팬을 사용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하나의 송풍팬을 사용하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공기처리장치는 장치에 채용된 송풍팬의 종류에 따라 송풍 특성이 달라서 실내에 사용될 때 요구되는 다양한 조건들을 만족시키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축류팬이 채용된 공기처리장치의 경우, 축류팬은 원심팬에 비하여 압력이 낮고 풍량이 많다. 그러나, 공기를 필터를 통과시키기 위해서는 필터 차압을 극복할 정도의 압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축류팬의 경우는 필터 차압을 극복하기 위해 고속으로 회전되어야 하나, 소음 규정 제한으로 인해 가정용으로 사용하기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원심팬이 채용된 공기처리장치의 경우, 원심팬은 축류팬에 비하여 압력이 높고 풍량이 낮으므로, 넓고 복잡한 실내공간에 순환기류를 형성하기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 실내공간에는 공기처리장치에서 토출된 공기의 유동이 미치지 않는 데드존(Dead Zone)이 발생하게 되고, 데드존에는 공기가 정화되지 않고 정체된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으로서, 소음이 낮고 압력이 높으며 높은 풍량을 발생시켜, 실내 공기처리에 요구되는 소음규정, 순환기류 형성 등의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공기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중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공기흡입부와 공기토출부를 구비하고, 내부에 공기가 상기 공기흡입부에서 상기 공기토출부로 유동하는 공기유로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처리하는 공기처리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유로에 배치되는 제1 송풍팬; 상기 공기유로에서 상기 제1 송풍팬의 전단에 배치되는 제2 송풍팬; 및 상기 하우징에 상기 공기유로와 연결되도록 구비되되 외부공기가 상기 제1 송풍팬으로 직접 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송풍팬과 상기 제2 송풍팬 사이에 구비되며, 개폐가능한 보조흡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송풍팬은 사류팬인 공기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송풍팬과 상기 제2 송풍팬은 상기 공기유로 상에 직렬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송풍팬은 상기 제1 송풍팬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원심팬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송풍팬은 상기 제1 송풍팬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사류팬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처리부는 공기정화, 탈취, 제습 및 가습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송풍팬과 상기 제2 송풍팬은 상기 보조흡입부의 개폐여부와 무관하게 동시에 구동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송풍팬과 상기 제2 송풍팬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처리장치는 상기 보조흡입부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실내의 분진농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오염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처리부는 공기정화필터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염도 센서에서 측정한 측정분진농도에 따라 상기 보조흡입부를 개폐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분진농도가 미리 설정된 분진농도 이상인 경우에 상기 보조흡입부를 차폐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송풍팬 및 제2 송풍팬이 가동되는 중에 단위시간당 상기 측정분진농도의 변화량이 커지는 경우 상기 보조흡입부를 차폐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직렬 2단 송풍팬 구조를 통해, 소음이 적고 높은 압력 및 많은 풍량의 송풍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처리장치의 보조흡입부가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공기처리장치의 보조흡입부가 차폐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처리장치의 보조흡입부가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공기처리장치의 보조흡입부가 차폐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일반적인 팬 구조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처리장치에 포함되는 직렬 2단 팬 구조의 대략적인 성능 곡선을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도 7은 1개의 원심팬, 1개의 사류팬 및 직렬 2단 사류팬의 성능 곡선을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도 8은 1개의 원심팬 및 원심팬-사류팬 조합의 공기정화성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처리장치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처리장치(100)는 하우징(110), 공기처리부(150), 제1 송풍팬(120), 제2 송풍팬(130) 및 보조흡입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처리장치(100)의 외관을 구성하며, 상기 공기처리부(150), 제1 송풍팬(120) 및 제2 송풍팬(130)이 설치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구비한다.
이러한 하우징(110)에는 외부공기가 하우징(110)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흡입부(112)와, 하우징(1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토출부(114)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기흡입부(112)는 하우징(110)의 하단 측면에 구비될 수 있고, 공기토출부(114)는 하우징(110)의 상단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공기가 공기흡입부(112)에서 공기토출부(114)로 유동하는 공기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처리부(15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공기흡입부(112)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처리부(150)는 공기정화, 탈취, 제습 및 가습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처리부(150)는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하는 경우 공기정화필터를 포함할 수 있고, 탈취 기능을 구비하는 경우 탈취필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습기능을 구비하는 경우 제습유닛 그리고, 가습기능을 구비하는 경우 가습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습유닛 및 가습유닛은 공기를 제습 및 가습할 수 있는 공지된 다양한 방식의 장치 또는 기구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2 및 도 3에는 공기처리부(150)가 공기정화필터로 구성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 송풍팬(120)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공기유로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송풍팬(120)은 구동시 공기를 공기흡입부(112) 및 후술할 보조흡입부(140)를 통해 하우징(110) 내부로 흡입시킨 후 다시 공기토출부(114)로 토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제1 송풍팬(120)은 사류팬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류팬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축의 사선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원심팬과 축류팬의 중간형태로 공기를 유동시킨다.
이러한 사류팬은 회전성이 강한 회오리 바람을 토출시키는 특성상 동력의 변화가 적은 이점 때문에 국소통풍용으로 효과적이다.
일 실시예에서, 사류팬으로 이루어진 제1 송풍팬(120)은 토출측이 하우징(110)의 공기토출부(114)를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송풍팬(130)은 공기유로에서 제1 송풍팬(120)의 전단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송풍팬(120)의 전단에 배치된다는 것은 제1 송풍팬(120)의 흡입측이 제2 송풍팬(130)의 토출측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송풍팬(120)과 제2 송풍팬(130)은 공기유로 상에 직렬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직렬로 배치된다는 것은 제2 송풍팬(130)이 토출한 공기가 공기유로를 따라 직선방향으로 유동하여 제1 송풍팬(120)에 직접 흡입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일 예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송풍팬(130)은 토출측이 상향 배치되고, 제1 송풍팬(120)은 제2 송풍팬(130)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1 송풍팬(120)과 제2 송풍팬(130)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회전수로 구동될 수도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제2 송풍팬(130)은 공기를 축방향으로 흡입하여 원주방향으로 토출시키는 원심팬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원심팬으로 이루어진 제2 송풍팬(130)은 일측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단흡입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많은 풍량을 확보하기 위해 양측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양흡입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송풍팬(130)이 양흡입 형태의 원심팬으로 이루어진 경우, 하우징(110)에는 제2 송풍팬(130)의 흡입측에 대향하도록 양면에 공기흡입부(112)가 구비될 수 있고, 제2 송풍팬(130)의 양 흡입측 각각에는 공기처리부(150)가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보조흡입부(140)는 하우징(110)에 공기유로와 연결되도록 구비되되 외부공기가 제1 송풍팬(120)으로 직접 흡입될 수 있도록 제1 송풍팬(120)과 제2 송풍팬(13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흡입부(140)는 하우징(110)에 구비되는 개폐부재(145)를 통해 개폐될 수 있다. 여기서, 개폐부재(145)의 형태 및 보조흡입부(140)를 개폐하는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선택적으로 보조흡입부(140)를 개방하거나 기밀하게 차폐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보조흡입부(140)는 하우징(110)의 일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많은 풍량을 확보하기 위해 하우징(110)의 여러방향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흡입부(140)가 개방된 경우, 제1 송풍팬(120)의 일부 흡입력에 의해 외부공기가 보조흡입부(140)를 통해 공기유로에 혼입될 수 있다.
반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흡입부(140)가 차폐된 경우에는 외부공기가 공기흡입부(112)로만 흡입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송풍팬(120)과 제2 송풍팬(130)은 보조흡입부(140)의 개폐여부와 무관하게 동시에 구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보조흡입부(140)가 차폐된 경우에도 제1 송풍팬(120)이 구동될 수 있으며, 이때, 제1 송풍팬(120)의 전체 흡입력은 제2 송풍팬(130)과 함께 공기흡입부(112)로 흡입되는 공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처리장치(100)의 보조흡입부(140)의 개폐에 따른 송풍성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흡입부(140)가 개방되고 제1 송풍팬(120) 및 제2 송풍팬(130)이 구동되면, 공기흡입부(112)와 보조흡입부(140)를 외부공기가 하우징(110)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토출부(114)에서 토출되는 풍량이 증대되어, 실내공간 전체의 공기 순환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흡입부(140)가 차폐되고 제1 송풍팬(120) 및 제2 송풍팬(130)이 구동되면, 외부공기가 공기흡입부(112)로만 하우징(110)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흡입부(112)의 흡입유량이 증대되어 공기처리부(150)를 지나는 공기의 양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므로, 순간 공기처리능력(집진력, 탈취력, 제습력, 가습력 등)이 향상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처리장치(100-1)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처리장치(100-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처리장치(100)와 달리 제2 송풍팬(130)이 사류팬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처리장치(100-1)는 2개의 사류팬이 직렬로 배치된 구조를 가진다.
2 개의 사류팬이 직렬로 배치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처리장치(100-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처리장치(100)에 비해, 공기흡입부(112) 측의 흡입력은 낮을 수 있으나, 공기토출부(114) 측 토출 풍량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처리장치(100-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처리장치(100)와 마찬가지로, 보조흡입부(140)의 개폐에 따라 실내 공기 순환효율이 향상되고 순간 공기처리능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처리장치(100, 100-1)의 풍량 성능 향상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도 6은 일반적인 팬 구조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처리장치(100, 100-1)에 포함되는 직렬 2단 팬 구조의 대략적인 성능 곡선을 비교하는 그래프이고, 도 7은 1개의 원심팬, 1개의 사류팬 및 직렬 2단 사류팬의 성능 곡선을 비교하는 그래프이며, 도 8은 원심팬 및 원심팬-사류팬 조합의 공기정화성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6을 보면, 1개의 원심팬은 압력의 최대값이 가장 높으나, 다른 팬 구조들에 비해 일정압력에서 풍량이 가장 적다. 따라서, 1개의 원심팬은 필터 또는 공기처리유닛을 통과하기에 충분한 압력을 확보할 수 있으나, 풍량이 적어서 실내 공기 순환효율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1개의 축류팬은 다른 팬 구조들에 비해 풍량이 적은 반면에 압력이 매우 낮아서, 필터 또는 공기처리유닛을 통과하기에 충분한 압력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1개의 사류팬은 1개의 원심팬과 1개의 축류팬의 중간 성능을 발휘할 수 있으나, 원심팬에 비해 높은 압력을 구현하기 어려우며 축류팬에 비해 유량도 높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된 원심팬-사류팬 조합의 직렬 2단 팬 구조 및 사류팬-사류팬 조합의 직렬 2단 팬 구조는 다른 팬 구조들에 비해 높은 압력에서 많은 풍량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도 6을 보면, 동일한 압력을 발생시키는 조건에서 원심팬-사류팬 조합이 사류팬-사류팬 조합보다 상대적으로 유량이 더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7에는 1개의 원심팬, 1개의 사류팬 및 사류팬-사류팬 조합의 직렬 2단 팬 구조의 송풍성능을 공기정화필터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팬의 압력이 필터저항보다 높거나 같아야 공기가 공기정화필터를 통과하여 실내로 토출될 수 있고, 팬의 압력이 필터저항보다 낮은 경우에는 공기가 공기정화필터를 통과할 수 없다.
도 7을 보면, 제1 필터저항을 가지는 공기정화필터를 대상으로 실험한 경우, 1개의 원심팬은 압력이 약 7 mmAq이고 풍량이 5 CMM일 때 제1 필터저항과 교차점을 가지므로, 최대 5 CMM의 풍량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1개의 사류팬은 압력이 약 4.7 mmAq이고 풍량이 약 3 CMM일 때 제1 필터저항과 교차점을 가지므로, 최대 3 CMM정도의 풍량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류팬-사류팬 조합의 직렬 2단 팬 구조는 압력이 약 7 mmAq이고 풍량이 5 CMM일 때 제1 필터저항과 교차점을 가지므로, 최대 5 CMM의 풍량을 발생시킬 수 있다.
결론적으로, 제1 필터저항을 가지는 공기정화필터를 대상으로 실험한 경우, 사류팬-사류팬 조합의 직렬 2단 팬 구조는 1개의 원심팬과 거의 동일한 송풍성능을 발휘할 수 있고, 1개의 사류팬은 사류팬-사류팬 조합의 직렬 2단 팬 구조는 1개의 원심팬에 비해 낮은 송풍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제2 필터저항을 가지는 공기정화필터를 대상으로 실험한 경우, 1개의 원심팬은 압력이 약 4 mmAq이고 풍량이 6 CMM일 때 제2 필터저항과 교차점을 가지므로, 최대 6 CMM의 풍량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1개의 사류팬은 압력이 약 3.8 mmAq이고 풍량이 약 5.2 CMM일 때 제2 필터저항과 교차점을 가지므로, 최대 5.2 CMM의 풍량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류팬-사류팬 조합의 직렬 2단 팬 구조는 압력이 약 5.2 mmAq이고 풍량이 약 7.1 CMM일 때 제2 필터저항과 교차점을 가지므로, 최대 7.1 CMM의 풍량을 발생시킬 수 있다.
결론적으로, 제2 필터저항을 가지는 공기정화필터를 대상으로 실험한 경우, 사류팬-사류팬 조합의 직렬 2단 팬 구조는 1 개의 원심팬 및 1개의 사류팬에 비해 높은 송풍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채용되는 사류팬-사류팬 조합의 직렬 2단 팬 구조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송풍팬 구조보다 많은 풍량과 높은 압력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는 1개의 원심팬 및 원심팬-사류팬 조합의 직렬 2단 팬 구조의 공기정화성능을 비교한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도 8에 도시된 그래프는 1개의 원심팬과 직렬 2단 팬 구조에 포함되는 원심팬의 풍량(6.8 CMM)을 동일하게 맞춘 조건에서 얻어진 그래프이다. 또한, 원심팬-사류팬 조합의 직렬 2단 팬 구조가 채용된 공기청정기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처리장치(100)와 같이 보조흡입부(140)를 구비하며 보조흡입부(140)가 개방되어 보조흡입부(140)를 통해 외부공기가 혼입 가능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도 8을 보면, 장치가 약 430초 동안 작동된 경우, 원심팬-사류팬 조합의 직렬 2단 팬 구조가 채용된 공기청정기가 1개의 원심팬이 채용된 공기청정기보다 분진 농도를 2.6% 낮추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동일한 분진 농도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1개의 원심팬이 채용된 공기청정기가 원심팬-사류팬 조합의 직렬 2단 팬 구조가 채용된 공기청정기보다 5.2% 정도 더 오래 작동되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원심팬-사류팬 조합의 직렬 2단 팬 구조가 채용된 공기청정기의 원심팬은 1개의 원심팬이 채용된 공기청정기의 원심팬과 동일한 풍량을 발생시키므로, 상기 2가지 실험대상의 공기청정기에서 공기정화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은 서로 동일하다. 단, 원심팬-사류팬 조합의 직렬 2단 팬 구조가 채용된 공기청정기는 보조흡입부(140)를 통해 혼입되는 외부공기로 인해 2.8 CMM 정도의 풍량이 추가되므로 실내 공기 순환효율이 향상되어 실내 분진을 더 빨리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원심팬-사류팬 조합의 직렬 2단 팬 구조가 채용된 공기청정기에서 보조흡입부(140)를 차폐하는 경우에는 사류팬의 흡입력이 공기흡입부(112)의 흡입력에 영향을 미처 장치의 전체 풍량이 증대되므로, 공기정화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 자체가 많아지게 되어, 1개의 원심팬이 채용된 공기청정기에 비해 공기정화성능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공기처리부(150)가 공기정화필터로 구성된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처리장치(100, 100-1)는 보조흡입부(140)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 및 실내의 분진농도를 측정하는 오염도 센서(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염도 센서는 측정한 측정분진농도를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제어부는 오염도 센서에서 측정한 측정분진농도에 따라 보조흡입부를 개폐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는 오염도 센서에서 측정한 측정분진농도가 미리 설정된 분진농도 이상인 경우에 제1 송풍팬(120)과 제2 송풍팬(130)을 가동시키고, 개폐부재(145)를 작동하여 보조흡입부(140)를 차폐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는 실내에 분진이 많은 경우에 보조흡입부(140)를 차폐하고, 공기흡입부(112)로 흡입되어 공기정화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이 증대되도록 함으로써, 빠른 시간 내에 실내 공기가 정화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예로, 제어부는 제1 송풍팬(120) 및 제2 송풍팬(130)이 가동되는 중에 단위시간당 측정분진농도의 변화량(도 8에 도시된 그래프의 기울기) 커지는 경우 보조흡입부(140)를 차폐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처리장치(100, 100-1)가 가동되는 중에 분진 유입이나 다른 원인으로 인해 시간이 지날수록 실내 분진농도가 증가하거나 분진농도가 감소되는 속도가 저하되면, 제어부는 보조흡입부(140)를 차폐하고, 공기흡입부(112)로 흡입되어 공기정화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이 증대되도록 함으로써, 빠른 시간 내에 실내 공기가 정화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분진농도가 감소되는 속도의 기준은 표준 시험 결과 또는 누적 운전 데이터를 기초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100-1: 공기처리장치
110: 하우징
112: 공기흡입부
114: 공기토출부
120: 제1 송풍팬
130: 제2 송풍팬
140: 보조흡입부
145: 개폐부재
150: 공기처리부

Claims (10)

  1. 공기흡입부와 공기토출부를 구비하고, 내부에 공기가 상기 공기흡입부에서 상기 공기토출부로 유동하는 공기유로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처리하는 공기처리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유로에 배치되는 제1 송풍팬;
    상기 공기유로에서 상기 제1 송풍팬의 전단에 배치되는 제2 송풍팬; 및
    상기 하우징에 상기 공기유로와 연결되도록 구비되되 외부공기가 상기 제1 송풍팬으로 직접 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송풍팬과 상기 제2 송풍팬 사이에 구비되며, 개폐가능한 보조흡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송풍팬은 사류팬인 공기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풍팬과 상기 제2 송풍팬은 상기 공기유로 상에 직렬로 배치되는 공기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풍팬은 상기 제1 송풍팬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원심팬인 공기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풍팬은 상기 제1 송풍팬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사류팬인 공기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처리부는 공기정화, 탈취, 제습 및 가습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공기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풍팬과 상기 제2 송풍팬은 상기 보조흡입부의 개폐여부와 무관하게 동시에 구동 가능한 공기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풍팬과 상기 제2 송풍팬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 가능한 공기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흡입부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실내의 분진농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오염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처리부는 공기정화필터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염도 센서에서 측정한 측정분진농도에 따라 상기 보조흡입부를 개폐시키는 공기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분진농도가 미리 설정된 분진농도 이상인 경우에 상기 보조흡입부를 차폐시키는 공기처리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송풍팬 및 제2 송풍팬이 가동되는 중에 단위시간당 상기 측정분진농도의 변화량이 커지는 경우 상기 보조흡입부를 차폐시키는 공기처리장치.
KR1020150138341A 2015-10-01 2015-10-01 공기처리장치 KR201700393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341A KR20170039344A (ko) 2015-10-01 2015-10-01 공기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341A KR20170039344A (ko) 2015-10-01 2015-10-01 공기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344A true KR20170039344A (ko) 2017-04-11

Family

ID=58580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8341A KR20170039344A (ko) 2015-10-01 2015-10-01 공기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934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39635A (ja) * 2017-08-28 2019-03-14 ダイニチ工業株式会社 加湿装置
KR20190132005A (ko) * 2018-05-18 2019-11-27 주식회사 보국전자 서큘레이팅이 가능한 사이클론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39635A (ja) * 2017-08-28 2019-03-14 ダイニチ工業株式会社 加湿装置
KR20190132005A (ko) * 2018-05-18 2019-11-27 주식회사 보국전자 서큘레이팅이 가능한 사이클론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0459B1 (ko) 고성능 공기정화 장치 및 정화 방법
US10900671B2 (en) Slim-type air processing device
JP2019501358A (ja) 空気清浄機
KR102502550B1 (ko) 송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KR101874419B1 (ko) 공기정화장치
KR102302110B1 (ko) 비말 및 미세먼지 제거 보건용 공조환기조화기
JP6272489B2 (ja) 除湿機
US20140238243A1 (en) Apparatus for filtering air
KR20120016900A (ko) 벽걸이용 공기청정기
JPWO2015063868A1 (ja) 空気清浄機
TWI572829B (zh) 空氣清淨機
JP2009024595A (ja) 遠心ファン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KR20110057562A (ko) 양흡입 원심형 송풍기 및 이를 적용한 공기 청정기
KR101990836B1 (ko) 분리 환기형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정화방법
KR20170039344A (ko) 공기처리장치
KR101817092B1 (ko) 공기청정기
KR101433437B1 (ko) 창호용 환기장치
CN215001910U (zh) 空调器室内机
CN106482276A (zh) 除尘杀菌负离子空气幕墙
JP2007196183A (ja) 空気清浄機
CN109237699A (zh) 风冷热泵测试系统
CN108072147A (zh) 自动化空调监控系统
JP2007236470A (ja) 空気清浄装置
KR100563527B1 (ko) 공기청정시스템의 운전방법
CN109269000A (zh) 除尘杀菌负离子空气幕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