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8316B1 - 공기청정기 일체형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일체형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8316B1
KR102488316B1 KR1020210092203A KR20210092203A KR102488316B1 KR 102488316 B1 KR102488316 B1 KR 102488316B1 KR 1020210092203 A KR1020210092203 A KR 1020210092203A KR 20210092203 A KR20210092203 A KR 20210092203A KR 102488316 B1 KR102488316 B1 KR 102488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housing
outer housing
lighting device
hous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윤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토
Priority to KR1020210092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316B1/ko
Priority to PCT/KR2021/018911 priority patent/WO202328694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8Ventilating systems
    • F21V33/0092Ventilating systems with heating or coo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ceiling or like overhead structure, e.g. suspended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96Magnetic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 일체형 조명 장치는, 천장에 매립되는 외부 하우징;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 하우징; 상기 내부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는 조명 유닛; 상기 내부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의 일측에 배치되는 팬 유닛; 및 상기 팬 유닛의 상류측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하우징은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 일체형 조명 장치{AIR PURIFIER INTEGRATED 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 일체형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관리가 용이한 공기청정기 일체형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내의 주거 공간에는 다양한 조명기구가 설치되는데, 천장에 매립되는 다운라이트 형태의 조명기구가 사용되기도 한다.
최근 미세먼지, 초미세먼지로 인한 유해성이 문제되고, 실내로 유입되는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공기청정기의 구비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기청정기의 경우, 실내에 노출되도록 구비되어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인테리어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 실내 공간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조명기구와 공기청정기의 결합을 시도하고 있는데, 공기청정기를 조명기구와 함께 천장에 매립하는 경우 필터 교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관리가 용이한 공기청정기 일체형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 일체형 조명 장치는, 천장에 매립되는 외부 하우징;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 하우징; 상기 내부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는 조명 유닛; 상기 내부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의 일측에 배치되는 팬 유닛; 및 상기 팬 유닛의 상류측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하우징은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 하우징은, 상기 내부 하우징의 상부 구간이 상기 외부 하우징의 상부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1위치 및 상기 내부 하우징의 상부 구간이 상기 외부 하우징의 하부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 하우징의 측판부 및 상기 내부 하우징의 측벽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내부 하우징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외부 하우징의 측판부의 내주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 홈 및 상기 상기 가이드 홈에 수용되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내부 하우징의 측벽부의 외주면으부터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 하우징을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외부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고정 유닛은, 상기 내부 하우징의 상부 또는 상기 외부 하우징의 상부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자력 제공 부재; 상기 내부 하우징의 상부 또는 상기 외부 하우징의 상부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자력 제공 부재와 결합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자력 제공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는 자력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 홈의 하단부 일측에는 상기 외부 하우징의 하단부보다 높은 위치에서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의 하방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 하우징은, 상기 외부 하우징의 측판부와 마주하게 형성되는 측벽부, 상기 제1 고정 유닛이 배치되는 상벽부 및 상기 조명 유닛이 배치되는 격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격판부와 상기 상벽부 사이에서 상기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로의 상기 팬 유닛의 상류측에는, 상기 격판부가 상기 조명 유닛의 방열부와 인접하도록 절곡 형성되는 열교환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로의 상기 팬 유닛의 하류측에는, 상기 상벽부와 상기 측벽부가 만나는 위치에 배치되고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절곡 형성되는 절곡벽부가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 하우징의 상기 측벽부의 일측에는 상기 필터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반경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 하우징의 하단부 둘레에는 측판부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단턱지게 형성되는 천장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천장 결합부와 상기 내부 하우징의 하단부 사이에서 상기 유로의 상류측과 연통되는 공기 유입부 및 상기 유로의 하류측과 연통되는 공기 유출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 일체형 조명 장치는 필터가 구비되는 내부 하우징을 천장에 매립되는 외부 하우징으로부터 슬라이딩 되어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함으로써 필터의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내부 하우징을 자력을 이용해 외부 하우징에 고정함으로써 인출 및 고정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유로의 상류 측에 열교환부를 형성함으로써 원활한 공기의 유입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유로의 하류 측에 절곡부를 구비하여 공기의 원활한 유출을 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 일체형 조명 장치를 아래쪽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에서 내부 하우징이 제2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에서 내부 하우징이 제2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 일체형 조명 장치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를 통한 공기의 흐름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공기의 유입부 및 유출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 6의 공기청정기 일체형 조명 장치를 아래쪽에서 바라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 일체형 조명 장치의 고정 브라켓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내부 하우징이 제2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필터의 탈거 방향을 개념적으로 설명하는 단면도.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또는 '결합'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외부 하우징(100)이 매립되어 천장보다 위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상측으로 설명하고, 조명 유닛(400)이 노출되어 빛이 방출되는 방향을 하측으로 설명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X축 방향을 가로 방향, Y축 방향을 세로 방향, Z축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설명할 수 있다. 또한, 도 7과 같이 아래쪽에서 보았을 때 중심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반경 방향 외측으로 설명하고, 중심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을 반경 방향 내측으로 설명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 일체형 조명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 일체형 조명 장치를 아래쪽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도에서 내부 하우징(200)이 제2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B-B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단면도에서 내부 하우징(200)이 제2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제1 고정 유닛(300)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 일체형 조명 장치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P)를 통한 공기의 흐름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공기의 유입부 및 유출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 6의 공기청정기 일체형 조명 장치를 아래쪽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 일체형 조명 장치의 고정 브라켓(160)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내부 하우징(200)이 제2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필터(600)의 탈거 방향을 개념적으로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 일체형 조명 장치(이하, 조명 장치)는, 외부 하우징(100), 내부 하우징(200), 조명 유닛(400), 팬 유닛(500) 및 필터(60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하우징(100)은 본 발명의 조명 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천장에 매립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외부 하우징(100)이 천장에 매립됨으로써 내부에 구비되는 조명 유닛(400), 팬 유닛(500) 및 필터(600) 등의 구성 요소들이 실내 공간을 차지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 하우징(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되 하단이 개방된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1과 같이 가로 방향이 세로 방향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과 같이 가로 방향이 세로 방향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외부 하우징(100)의 형상이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외부 하우징(10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측판부(110) 및 상단부를 커버하는 상판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하우징(100)은 하단은 내부 하우징(200)이 결합되도록 개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측판부(110)는 가로 방향 양측에 배치되는 가로 측판부(110a) 및 각각 세로 방향 양측에 배치되는 세로 측판부(110b)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다만, 가로 측판부(110a) 및 세로 측판부(110b)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것이 아니라 개념적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측판부(110)의 하단에는 둘레를 따라 측판부(110)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단턱지게 형성되는 천장 결합부(140)가 배치될 수 있다. 천장 결합부(140)의 일부 구간을 통해 후술하는 공기 유입부(191) 및 공기 유출부(193)가 형성될 수 있다.
외부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내부 하우징(200)이 배치될 수 있다. 외부 하우징(100)의 측판부(110)는 내부 하우징(200)의 측벽부(210)의 적어도 일부 구간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내부 하우징(200)이 외부 하우징(100)의 내측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 하우징(100)의 측판부(110) 및 내부 하우징(200)의 측벽부(210) 중 적어도 하나에는 내부 하우징(20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170)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부재(170)는 내부 하우징(200)의 측벽부(210)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돌기(178)와 상기 가이드 돌기(178)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외부 하우징(100)의 측판부(11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171)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홈(171)의 하단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가이드 돌기(178)의 하방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180)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180)은 외부 하우징(100)의 하단부 보다 소정의 높이만큼 높은 위치에 형성되기 때문에, 내부 하우징(200)은 제2 위치의 높이에서 상하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제2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가이드 돌기(178)가 외부 하우징(100)의 측판부(110)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가이드 홈(171)이 내부 하우징(200)의 측벽부(210) 외부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걸림턱(180) 역시 내부 하우징(200)의 측벽부(210)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내부 하우징(200)의 하방 이동을 제한하는 제2 고정 유닛(미도시)이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다. 내부 하우징(200)의 측벽부(210)의 외주면 상부 일측에는 제2 위치에서 외부 하우징(100)에 고정되기 위한 제2 고정 유닛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고정 유닛은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고정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 돌기는 외부 하우징(100)에 형성되는 슬롯에 삽입되어 슬롯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슬롯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측판부(110)의 하단부보다는 높은 위치까지만 형성되기 때문에, 내부 하우징(200)은 제2 위치의 높이에서 상하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제2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외부 하우징(100)의 상판부(130)는 측판부(110)의 상단을 커버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판부(130)의 일측에는 내부 하우징(200)을 제1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 유닛(300)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고정 유닛(300)은 내부 하우징(2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자력 제공 부재(310) 및 외부 하우징(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자력 제공 부재(310)의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고정 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1 고정 유닛(300)은 상기 내부 하우징(200)의 상부 또는 상기 외부 하우징(100)의 상부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자력 제공 부재(310), 상기 내부 하우징(200)의 상부 또는 상기 외부 하우징(100)의 상부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자력 제공 부재(310)와 결합되는 고정 부재(330)를 포함하고, 상기 자력 제공 부재(310)와 상기 고정 부재(330)는 자력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력 제공 부재(310)는 영구 자석을 포함할 수 있고, 고정 부재(330)는 자석에 결합 가능한 금속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고정 부재(330) 역시 자력 제공 부재(310)를 포함하여 인력에 의해 상호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고정 유닛(300)과 인접하도록 전원 연결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원 연결부는 외부 하우징(100)에 배치되는 암 단자 및 내부 하우징(200)에 배치되는 수 단자를 포함하여, 제1 고정 유닛(300)의 자력 제공 부재(310)와 고정 부재(330)가 상호 결합됨으로써 암 단자와 수 단자가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전원 연결부는 제1 고정 유닛(300)의 자력 제공 부재(310)와 고정 부재(330)가 상호 결합됨으로써 암 단자와 수 단자가 결합되어, 외부에 배치되는 전원 공급장치(미도시)로부터 조명 유닛(400) 및 팬 유닛(5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외부 하우징(100)의 측판부(110)에는 반경 방향으로 관통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슬롯은 측판부(110)의 상단으로부터 하단부보다 높은 소정의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슬롯에는 후술하는 내부 하우징(200)의 위치 고정 돌기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슬롯이 측판부(110)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까지만 형성되기 때문에 고정 돌기가 슬롯의 하단까지만 이동가능 하게 된다. 즉, 슬롯의 하단 높이로 인해 고정 돌기의 이동 높이가 제한되고, 고정 돌기가 슬롯의 하단까지 이동한 위치가 후술하는 제2 위치가 될 수 있다.
내부 하우징(200)은 외부 하우징(100)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내부 하우징(200)은 내부 하우징(200)의 상부 구간이 상기 외부 하우징(100)의 상부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1위치 및 상기 내부 하우징(200)의 상부 구간이 상기 외부 하우징(100)의 하부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내부 하우징(200)이 제1위치로 이동되면 제1 고정 유닛(300)에 의해 외부 하우징(100)에 고정됨과 동시에 전원이 연결되어 조명 유닛(400) 및 팬 유닛(500)이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내부 하우징(200)이 제2위치로 이동되면 제2 고정 유닛에 의해 하측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내부 하우징(200)이 천장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인출되어 필터(600)가 탈거될 수 있다.
내부 하우징(200)은 외부 하우징(100)의 상판부(130)와 대향되는 상벽부(230), 외부 하우징(100)의 측판부(110)와 대향되는 측벽부(210)를 포함하여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부 하우징(200)의 내부 공간의 하부 일측에는 유로(P)를 형성하기 위한 격판부(2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벽부(230)는 내부 하우징(200)의 상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벽부(230)의 일측에는 자력에 의해 외부 하우징(100)과 결합될 수 있는 제1 고정 유닛(300)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벽부(230)의 일측에는 제1 고정 유닛(300)의 고정 부재(330)가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벽부(230)의 일측에는 제1 고정 유닛(300)의 자력 제공 부재(310)가 배치될 수 있다.
측벽부(210)는 내부 하우징(200)의 상벽부(230)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내측에 유로(P)를 형성할 수 있다.
측벽부(210)의 내측에는 조명 유닛(400)을 수용하여 설치하기 위한 격판부(25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격판부(250)를 따라 내부 하우징(200)에 유로(P)가 형성될 수 있다. 유로(P)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하우징(100)의 하단부 및 내부 하우징(200)의 하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 유입부(191) 및 공기 유출부(193)와 연통되어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7과 같이 공기 유입부(191) 및 공기 유출부(193)는 외부 하우징(100)의 가로 측판부(110)와 내부 하우징(200) 사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외부 하우징(100)의 세로 측판부(110)와 내부 하우징(200)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로(P)의 일측에는 유로(P)를 통과하는 공기의 살균을 위한 자외선 발광부(700)가 배치될 수 있다. 자외선 발광부(700)는 UV-A 또는 UV-C를 방출하는 LED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외선 발광부(700)는 필터(600)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필터(600)를 통과한 공기에 대해 추가적인 살균을 진행할 수 있다.
측벽부(210) 중에서 후술하는 필터(600)가 배치되는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의 일측에는 소정의 넓이로 반경 방향으로 개방되는 개구부(280)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내부 하우징(200)이 제2 위치로 이동되어, 외부 하우징(100)으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필터(600)가 개구부(280)를 통해 탈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유로(P)의 일측에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결정하는 팬 유닛(500)이 배치될 수 있다. 팬 유닛(500)은 유로(P)의 대체로 중앙측에 배치되어 공기 유입부(191)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공기 유출부(193)를 통해 배출한다. 일 실시예에서 팬 유닛(5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크로스 플로우 팬(cross flow fan)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고, 길이에 따라 풍속 기류의 분포가 균일하게 형성되어 저소음 운전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이경우 공기의 유동 과정에서 와류 발생이 적어 배출되는 기류가 집중됨으로써 풍량이 많아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팬 유닛(500)을 중심으로 공기가 팬 유닛(500)으로 유입되는 부분을 상류측, 팬 유닛(500)으로부터 배출되는 부분을 하류측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팬 유닛(500)의 상류측에는 필터(600)가 배치되어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유해성분을 거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필터(600)는 헤파(HEPA)필터(600)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4등급 이상의 헤파 필터(6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필터(600)는 마그네트(미도시)를 통해 팬 유닛(500)의 상류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격판부(250)는 대체로 위쪽으로 오목한 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오목하게 형성되는 내부에는 조명 유닛(400)이 설치될 수 있다.
조명 유닛(400)은 하측을 향해 빛을 방출하는 다운 라이트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조명 유닛(400)은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410) 및 발광부(41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는 방열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격판부(250)의 상부 일측에는 후술하는 조명 유닛(400)의 방열부(430)와 인접하도록 조명 유닛(400)을 향해 절곡 형성되는 열교환부(26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열교환부(260)는 외부 하우징(100)과 내부 하우징(200)의 하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 유입부(191)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유입부(19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열교환부(260)를 통해 전달되는 열을 통해 데워질 수 있어, 유입되는 공기가 자연스럽게 대류하도록 유도될 수 있다. 또한 열교환부(260)는 공기 유입부(19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방열부(430)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전달되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방열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열교환부(26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60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외부 하우징(100)이 제2 위치로 인출되면, 사용자는 필터(600)를 열교환부(260)를 향해 아래쪽으로 끌어내린 후 개구부(280)를 통해 탈거할 수 있게 됨으로써, 필터(600)의 용이한 교체가 가능한 것이다. 열교환부(260)는 격판부(250)에서 필터(600)의 아래쪽에서 수직하게 배치되어 필터(600)의 수직 하방 이동이 안내되는 수직부(261) 및 수직부(261)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 배치되어 개구부(280)를 통해 필터(600)의 배출을 안내하는 수평부(263)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하우징(200)에 형성되는 공기 유로(P)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부 하우징(200)과 외부 하우징(100)의 하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 유입부(191)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격판부(250)를 따라 위쪽으로 이동된 후, 팬 유닛(500)을 통과하여 다시 격판부(250) 및 측벽부(210) 사이를 통해 아래쪽으로 이동되어, 내부 하우징(200)과 외부 하우징(100)의 하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 유출부(193)로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유로(P)의 하류측에는 팬 유닛(500)을 지난 공기가 다시 아래쪽으로 이동됨에 있어, 원활한 방향 전환을 위해 절곡벽부(27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절곡벽부(270)는 내부 하우징(200)의 상벽부(230) 및 측벽부(210)가 만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절곡벽부(270)는 상벽부(230) 및 측벽부(210) 사이에서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위쪽으로 절곡 형성되어 공기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아래쪽을 향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절곡벽부(270)는 상벽부(230) 일측으로부터 측벽부(210)에 가까워질수록 아래쪽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본원 발명에서는 공기청정기를 구성하는 공기의 유로(P)에 있어서, 상류측에서는 공기의 흐름이 상승기류로 형성되기 때문에, 공기 유입부(191)보다 위쪽으로 열교환부(260)를 구비함으로써 대류현상을 이용하여 공기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하류측에서는 공기의 흐름이 하강기류로 형성되기 때문에, 절곡벽부(270)를 구비하여 공기의 흐름이 자연스럽게 아래쪽을 향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외부 하우징(100)의 측판부(110) 외주면 하단부에는 천장 결합부(140)고정 브라켓(160)이 구비될 수 있다. 천장 결합부(140)고정 브라켓(160)은 외부 하우징(100)의 하단부 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천장 결합부(140)고정 브라켓(160)은 하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165)를 구비함으로써 탄성력을 이용하여 외부 하우징(100)을 천장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천장 결합부(140)고정 브라켓(160)은 조명 장치를 천장에 결합시키기 위한 공지의 결합 수단이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 일체형 조명 장치는 필터(600)가 구비되는 내부 하우징(200)을 천장에 매립되는 외부 하우징(100)으로부터 슬라이딩 되어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함으로써 필터(600)의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내부 하우징(200)을 자력을 이용해 외부 하우징(100)에 고정함으로써 인출 및 고정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유로(P)의 상류 측에 열교환부(260)를 형성함으로써 원활한 공기의 유입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유로(P)의 하류 측에 절곡부를 구비하여 공기의 원활한 유출을 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외부 하우징
110: 측판부
130: 상판부
140: 천장 결합부
160: 고정 브라켓
165: 탄성체
170: 가이드 부재
171: 가이드 홈
178: 가이드 돌기
180: 걸림턱
191: 공기 유입부
193: 공기 유출부
200: 내부 하우징
210: 측벽부
230: 상벽부
250: 격판부
260: 열교환부
261: 수직부
263: 수평부
270: 절곡벽부
280: 개구부
300: 제1 고정 유닛
310: 자력 제공 부재
330: 고정 부재
P: 유로
400: 조명 유닛
410: 발광부
430: 방열부
500: 팬 유닛
600: 필터
700: LED 모듈

Claims (12)

  1. 천장에 매립되는 외부 하우징;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 하우징;
    상기 내부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는 조명 유닛;
    상기 내부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의 일측에 배치되는 팬 유닛; 및
    상기 팬 유닛의 상류측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하우징은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내부 하우징은,
    상기 외부 하우징의 측판부와 마주하게 형성되는 측벽부, 상기 내부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벽부 및 상기 조명 유닛이 배치되는 격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격판부와 상기 상벽부 사이에서 상기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 하우징의 상기 측벽부의 일측에는 상기 필터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반경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일체형 조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하우징은, 상기 내부 하우징의 상부 구간이 상기 외부 하우징의 상부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1위치 및 상기 내부 하우징의 상부 구간이 상기 외부 하우징의 하부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공기청정기 일체형 조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하우징의 측판부 및 상기 내부 하우징의 측벽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내부 하우징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가 배치되는 공기청정기 일체형 조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외부 하우징의 측판부의 내주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 홈 및 상기 상기 가이드 홈에 수용되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내부 하우징의 측벽부의 외주면으부터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일체형 조명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하우징을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외부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 유닛을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일체형 조명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유닛은,
    상기 내부 하우징의 상부 또는 상기 외부 하우징의 상부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자력 제공 부재;
    상기 내부 하우징의 상부 또는 상기 외부 하우징의 상부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자력 제공 부재와 결합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자력 제공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는 자력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공기청정기 일체형 조명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의 하단부 일측에는 상기 외부 하우징의 하단부보다 높은 위치에서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의 하방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일체형 조명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의 상기 팬 유닛의 상류측에는, 상기 격판부가 상기 조명 유닛의 방열부와 인접하도록 절곡 형성되는 열교환부가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일체형 조명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의 상기 팬 유닛의 하류측에는, 상기 상벽부와 상기 측벽부가 만나는 위치에 배치되고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절곡 형성되는 절곡벽부가 배치되는 공기청정기 일체형 조명 장치.
  11. 삭제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하우징의 하단부 둘레에는 측판부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단턱지게 형성되는 천장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천장 결합부와 상기 내부 하우징의 하단부 사이에서 상기 유로의 상류측과 연통되는 공기 유입부 및 상기 유로의 하류측과 연통되는 공기 유출부가 각각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일체형 조명 장치.

KR1020210092203A 2021-07-14 2021-07-14 공기청정기 일체형 조명 장치 KR102488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203A KR102488316B1 (ko) 2021-07-14 2021-07-14 공기청정기 일체형 조명 장치
PCT/KR2021/018911 WO2023286949A1 (ko) 2021-07-14 2021-12-13 공기청정기 일체형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203A KR102488316B1 (ko) 2021-07-14 2021-07-14 공기청정기 일체형 조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8316B1 true KR102488316B1 (ko) 2023-01-13

Family

ID=84900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203A KR102488316B1 (ko) 2021-07-14 2021-07-14 공기청정기 일체형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88316B1 (ko)
WO (1) WO2023286949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3216Y2 (ja) * 1989-05-25 1995-12-06 スターテング工業株式会社 照明器具等の昇降装置
JP2000111089A (ja) * 1998-09-30 2000-04-18 Fujitsu General Ltd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KR20130082196A (ko) * 2012-01-11 2013-07-19 선온웰스 일렉트릭 머신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램프
KR20210012241A (ko) * 2019-07-24 2021-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1643B1 (ko) * 2016-01-15 2023-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3216Y2 (ja) * 1989-05-25 1995-12-06 スターテング工業株式会社 照明器具等の昇降装置
JP2000111089A (ja) * 1998-09-30 2000-04-18 Fujitsu General Ltd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KR20130082196A (ko) * 2012-01-11 2013-07-19 선온웰스 일렉트릭 머신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램프
KR20210012241A (ko) * 2019-07-24 2021-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86949A1 (ko) 2023-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1398B1 (ko) 램프
US8926132B2 (en) Lamp
CN107348928B (zh) 排风系统及包括其的洗碗机
WO2011158770A1 (ja) イオン発生装置及び空気浄化装置
JP5879502B2 (ja) 涼風機
KR102488316B1 (ko) 공기청정기 일체형 조명 장치
CN105546690B (zh) 空调室内机
JP2009019811A (ja) 天井据付け型空気調和機のねじカバー装置
JP5916114B2 (ja) 送風装置
CN113757142B (zh) 空气调节器用风扇装置
KR102067814B1 (ko) 공기 청정기
DE59905717D1 (de) Gargerät mit gekühlter Leuchte
CN103562646A (zh) 空气调节机
KR101319486B1 (ko) 램프
CN113757190B (zh) 空气调节器用风扇装置
CN106968971B (zh) 送风装置
US20220008855A1 (en) Air cleaner
JP2000199636A (ja) 同時循環排気型換気扇
CN211116806U (zh) 排气扇出风口安装结构和排气扇
CA2969988C (en) Ceiling mounted airway device with illumination
CN206846956U (zh) 吸顶式过滤箱以及新风系统
CN209644705U (zh) 电磁感应饭煲及其底座
CN101004256A (zh) 灯具之散热装置
CN110779101B (zh) 空调室内机
WO2022224751A1 (ja) 手乾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