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2196A - 램프 - Google Patents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2196A
KR20130082196A KR1020120003243A KR20120003243A KR20130082196A KR 20130082196 A KR20130082196 A KR 20130082196A KR 1020120003243 A KR1020120003243 A KR 1020120003243A KR 20120003243 A KR20120003243 A KR 20120003243A KR 20130082196 A KR20130082196 A KR 20130082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lamp
housing
heat dissipation
dissipa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3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9486B1 (ko
Inventor
밍-충 리
이-레 팡
Original Assignee
선온웰스 일렉트릭 머신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온웰스 일렉트릭 머신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선온웰스 일렉트릭 머신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120003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9486B1/ko
Publication of KR20130082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2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9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9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2Drawers or underpants for men, with or without inserted crotch or seat parts
    • A41B9/023Drawers or underpants for men, with or without inserted crotch or seat parts with separate spaces for genit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2Drawers or underpants for men, with or without inserted crotch or seat parts
    • A41B9/026Drawers or underpants for men, with or without inserted crotch or seat parts characterized by th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0Suspensory band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1Devices for promoting penis e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20Air permeability; Ventil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램프는 하우징, 팬, 열발산판 및 발열기구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개구부가 있는 격실을 구비한다.
팬은 하우징의 격실내에 탑재되고,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내에 탑재된 임펠러를 구비한다.
제1공기채널은 프레임의 주변면과 하우징의 내측 주변면 사이에 형성된다.
열발산판은 팬과 결합되고, 제1표면과 제2표면을 구비한다.
열발산판의 제1표면은 임펠러와 마주한다.
제2공기채널은 열발산판의 외측 주변과 프레임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된다.
발열기구는 열발산판의 제2표면상에 실장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의 램프는 구조가 간소화되고, 사용 부품이 감소하여 조립이 용이하다.

Description

램프{Lamp}
본 발명은 램프(Lamp)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방열을 위해 공기흐름을 일으키는 팬(Fan)을 사용하고, 실내 또는 실외 조명이 가능한 램프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국특허 제7,575,346호에서는 하우징(81), 열발산판(82), 발열기구(83) 및 냉각팬(84)을 포함하는 종래의 램프를 게재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81)은 제1케이스(811)와 제2케이스(812)를 구비하고, 상기 제1케이스(811)는 공기배출구 부분(811a)과 투명부분(811b)을 구비하고, 상기 제2케이스(812)는 공기유입구 부분(812a)을 구비한다.
상기 열발산판(82), 발열기구(83) 및 냉각팬(84)들은 모두 하우징(81) 내에 실장되어 진다.
상기 열발산판(82)은 발열기구(83)와 냉각팬(84)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발열기구(83)는 투명부분(811b)과 마주한다.
이와 같은 배열에 의해, 냉각팬(84)이 작동하면 발열기구(83)에 의해 발생된 열을 방출할 수 있도록 공기유입구 부분(812a)으로부터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열발산판(82)를 통과한 후 공기배출구 부분(811a)을 통해 밖으로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 램프의 하우징(81)은 제1케이스(811) 및 제2케이스(812)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부품 개수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종래 램프의 전체 구조도 복잡해 진다.
게다가, 열발산판(82), 발열기구(83) 및 냉각팬(84)들 모두가 하우징(81)내에 실장되기 때문에 공기유입구 부분(812a) 및 공기배출구 부분(811a)을 위해 다수개의 구멍을 천공해야 한다. 그로 인해 대량생산이 불리해 진다.
또한, 상기의 종래 램프가 천장과는 떨어져 있는 가상 천장(False ceiling)내에 삽입되었을 때, 다시 말해 종래 램프가 상기 천장과 가상의 천장 사이에 형성된 밀폐된 격실 내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공기유입구 부분(812a)과 공기배출구 부분(811a)들은 장식미를 고려하여 가상 천장의 상부면 위에 고정되며 상기 투명부분(811b)만 가상 천장의 아래에 위치한다.
그러나, 가상 천장위의 밀폐된 격실은 공기 순환이 나쁘기 때문에 발열효과도 나빠지게 된다.
이와 같은 결과로 방열이 어렵게 되어 램프의 수명도 감소하게 된다.
대만특허 제M346745호에서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우징(91), 열발산판(92), 팬(93) 및 LED 조립체(94)을 포함하는 또 다른 종래 LED 램프를 게재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91)는 상단 하우징(911)과 하단 하우징(912)으로 구성된다. 상단 하우징(911)은 다수개의 통풍구(911a)를 구비하고, 하단 하우징(912)는 관통구(912a)를 구비한다.
상기 열발산판(92)은 하우징(91)내에 실장되어, 하단 하우징(912)의 관통구(912a)와 열발산판(92)을 연결하는 공기경로(95)가 형성된다.
상기 팬(93) 역시 하우징(91)내에 실장되어 열발산판(92)과 결합된다. 상기 LED 조립체(94)은 열발산판(92)과 결합되어 관통구(912a)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냉각팬(93)이 작동하면, 외부공기는 통풍구(911a)를 통해 종래 LED 램프 내로 흡입되어 공기경로(95)를 따라 흘러 관통구(912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의해 LED 조립체(94)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방출되어 진다.
그러나, 종래 LED 램프의 하우징(91) 역시 2개의 케이스, 다시 말해 상단 하우징(911) 및 하단 하우징(912)로 형성되기 때문에 구조가 더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종래 LED 램프는 열발산판(92)과 관통구(912a) 사이에 공기경로(95)가 제공됨에도 불구하고 상단 하우징(911)에 여전히 통풍구(911a)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그로 인해, 종래 LED 램프는 여전히 제조가 용이하지 못하였다.
게다가, 종래 램프가 상기 가상 천장 내에 삽입되었을 때 관통구(912a)들이 외부공기와 접촉되게 만들어 졌음에도 불구하고, 통풍구(911a)들이 아직 가상 천장의 상부면 위에 있는 밀폐 공간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램프의 냉각효율이 아직 제한되었다.
이로 인해, 종래 램프는 방열효과 및 공기순환이 아직도 부족하고, 램프의 사용수명도 효과적으로 연장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제1과제는 램프의 하우징에 어떤 공기흡입구 또는 공기배출구들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도록 하우징과 팬의 열발산판 사이에 제1공기안내경로 및 제2공기안내경로가 형성된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과제는 램프가 설치된 상태라도 상기 제1공기경로 및 제2공기경로들이 막히지 않는, 다시 말해 차단되지 않는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ⅰ) 개구부가 있는 격실을 구비하는 하우징; (ⅱ) 하우징의 격실 내에 실장되고, 프레임 내에 탑재된 임펠러를 구비하고, 프레임의 주변면과 하우징의 내측 주변면 사이에 형성된 제1공기채널을 구비하는 팬; (ⅲ) 팬과 결합되어 있으며 제1표면과 제2표면을 갖고, 상기 제1표면은 임펠러와 마주하고, 제2공기안내채널이 형성되도록 외측 주변부가 프레임의 내측 주변면과 떨어져 있는 열발산판; 및 (ⅳ) 열발산판의 제2표면상에 실장되어 있는 발광기구로 구성된 램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후술하는 상세 기재에 의해 명료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들을 예시한 것 뿐이고, 당업자가 본 발명에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구현예들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램프의 하우징에 어떠한 공기유입구나 공기배출구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서, 구조가 간소하고,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램프가 설치된 상태에서도 제1공기경로 및 제2공기경로가 막힌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방열효과가 크게 증진됨과 동시에 램프의 사용 수명도 획기적으로 연장된다.
도 1은 미국 특허 7,575,346에 게재된 종래 램프의 단면도.
도 2는 대만특허 M346745에 게재된 종래 램프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구현예에 따른 램프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구현예에 따른 램프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구현예에 따른 램프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구현예에 따른 램프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구현예에 따른 램프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구현예에 따른 램프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구현예에 따른 램프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6구현예에 따른 램프의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구현예에 따른 램프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 팬(Fan :2), 열발산판(Heat sink : 3) 및 발광기구(4)를 포함하고, 상기 팬(2), 열발산판(3) 및 발광기구(4)들은 하우징(1)내에 수용된다.
상기 하우징(1)은 격실(11)을 구비하고, 상기 격실(11)은 격실(11)의 말단부에 개구부(12)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의 내부 주변면은 다수개의 지지기구(13)를 추가로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기구(13)은 리브(Rib) 또는 지지축이거나, 돌출된 기둥(Piller), 블록(Block) 또는 조각(Slice) 형태 등이다.
상기 팬(2)은 프레임(Flame : 21)과 임펠러(Impeller : 22)를 구비한다. 상기 프레임(21)은 서로 연통하는 제1공기경로(211) 및 제2공기경로(212)를 포함한다.
상기 임펠러(22)는 프레임(21)내 제1공기경로(211)와 제2공기경로(212) 사이에 실장된다.
이와 같은 배열에 의해, 공기는 제1공기경로(211) 및 제2공기경로(212)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흡입되어 제1공기경로(211) 및 제2공기경로(212)중 나머지 하나에 의해 배출되며, 이때 공기흐름의 방향은 임펠러(22)의 회전방향에 따르게 된다.
상기 팬(2)은 하우징(1)의 격실(11) 내에 실장되며, 프레임(21)의 주변면은 공기흡입 또는 배출을 위한 제1공기채널(R1)이 형성되도록 하우징(1)의 내부 주변면과 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공기채널(R)을 통해서 격실(11)내 공기는 하우징(1) 밖 공기와 연통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구현예에서, 제1공기경로(211)는 격실(11) 내에 실장되고 제2공기경로(212)는 하우징(1) 외부에 배열되게 하도록 상기 프레임은 개구부(12)를 통해 하우징(1)의 격실(11)로부터 하우징(1)의 밖으로 연장된다.
제2공기경로(212)와 하우징(1)의 개구부(12) 사이에는 개구부(12) 넘어로 연장된 프레임(21)의 돌출부에 의해 세로 방향의 거리(H)가 존재한다.
그로 인해, 흡입공기와 배출공기의 상호작용에 의해 야기되는 공기난류가 방지된다.
프레임(21)은 다수개의 제1조립부(213)과 제2조립부(214)을 추가로 더 포함한다.
상기 제1조립부(213) 각각은 지지기구(13) 각각과 일렬로 배열되어 고정구(6)에 의해 하우징(1)과 프레임(21)이 일체로 결합되도록 한다.
지지기구(13)가 돌출된 기둥, 블록 또는 조각이기 때문에, 지지기구(13)는 제1공기채널(R1)을 제한하지 않도록 하우징(1)의 내측주변면과 프레임(21)의 주변면 사이에 직립될 수 있다.
열발산판(3)은 팬(2)과 결합될 수 있는 어떤 구조라도 좋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구현예에 따르면, 둥근형태의 열발산판(3)이 일례로 사용된다.
열발산판(3)은 임펠러(22)와 마주하는 제1표면(31)과 상기 제1표면(31)의 반대편에 있는 제2표면(32)을 구비한다.
제1표면(31) 및 제2표면(32)에 연결된 열발산판의 외측 주변부는 프레임(21) 내측 외주면과 떨어져서 공기유입 또는 공기배출을 위한 제2공기채널(R2)을 형성한다.
상기 제2공기채널(R2)에 의해 격실(11)은 역시 하우징(1) 외측과 연통되어 진다.
또한, 제1공기채널(R1)의 기능과 제2공기채널(R2)의 기능들은 (ⅰ) 공기가 흡입되어 제1공기채널(R1), 격실(11) 및 제2공기채널(R2)들을 차례로 통과하도록 맞춰져 있거나, (ⅱ) 공기가 흡입되어 제2공기채널(R2), 격실(11) 및 제1공기채널(R1)들을 차례로 통과하도록 맞춰져 있다.
상기 제1구현예에서, 열발산판(3)은 프레임(21)의 제2공기경로(212)를 가로질러 실장되어 있다.
상기 제1표면(31)은 열발산판(3)의 방열 지역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돌출부(311)와 다수개의 냉각핀(312)들을 추가로 더 구비한다.
상기 열발산판(3)의 외측 주변부는 돌출된 다수개의 고정부(33)를 추가로 더 구비한다.
상기 고정부(33) 각각은 프레임(21)의 제2조립부(214)와 결합될 수 있는 어떤 구조적 형태라도 무관하다. 제1구현예에서는 고정부(33)의 구조가 귓볼(Lug)형태이고, 고정구(33) 각각은 프레임(21)의 제2조립부(214) 와 일렬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상기 열발산판(3)은 고정구(6)에 의해 프레임(21)에 결합된다.
상기 발열기구(4)는 열발산판(3)의 제2표면(32) 상에 실장된다.
본 발명의 제1구현예에서, 발열기구(4)는 다수개의 발광체(42)들을 갖는 기저판(41)을 구비한다.
상기 발광체(42)들은 발광 다이오드이고, 기저판(41)은 고정구(6)에 의해 제2표면(32)에 실장,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구현예에 따른 램프는 투광성 소재로 만들어져 발광기구(4)를 덮어 씌우는 덮개(5)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덮개(5)는 접착방식, 스크류 고정방식 또는 죔쇠방식(Bucking methods) 등에 의해 열발산판(3)의 제2표면(32)에 실장, 고정된다.
본 발명의 제1구현예에서, 덮개(5)의 주변 가장자리(51)는 열발산판(3)의 고정부(33)와 일렬로 배열된 조립구멍(511)을 구비하여, 고정구(6)가 상기 조립구멍(511)과 고정부(33)를 관통함에 의해서 덮개(5), 프레임(21) 및 열발산판(3)이 결합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덮개의 주변 가장자리(51)는 공기 순환을 위해서 공기안내채널(R2)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통풍구(Vents : 512)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구현예에 따른 램프를 실제로 사용시에는, 하우징(1)의 개구부(12)만 가상천장(False ceiling) 아래에 위치하고 하우징(1)의 나머지 부분들은 가상 천장위에 설치된다.
팬(2)의 임펠러(22)가 화전할 때, 발열기구(4)에 의해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발열하기 위해서 제1공기안내채널(R1) 및 제2공기안내채널(R2)들 중 하나로부터 격실(11)로 공기가 유입된 후 제1공기안내채널(R1) 및 제2공기채널(R2)들 중 나머지 하나를 통해 공기가 밖으로 배출된다.
이때, 공기순환의 방향은 임펠러(2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조절된다.
구체적으로, 임펠러(22)가 제1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공기가 제1공기안내채널(R1)로부터 격실(11)내로 유입된 후 프레임(21)은 관통한 다음 제2공기안내채널(R2)을 통해 밖으로 배출된다.
한편, 임펠러(22)가 제2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공기가 제2공기안내채널(R2)로 부터 격실(11)내로 유입된 후 프레임(21)을 관통한 다음 제1공기안내채널(R2)을 통해 밖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하우징(1)상 공기유입구 또는 공기배출구를 추가로 형성할 필요가 없어서 램프의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램프가 가상 천장에 설치될 때 팬(2)가 떨어져 있는 제1공기안내채널(R1) 및 제2공기안내채널(R2)의 말단부들 모두는 외부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되도록 천장의 바닥면 아래에 위치한다.
그로 인해, 공기순환이 어떤 방향이라도 방열효과가 현저하게 개선된다.
본 발명의 제2구현예에 따른 램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 팬(2'), 열발산판(3), 발열기구(4) 및 덮개(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구현예에 포함된 하우징(1), 열발산판(3), 발열기구(4) 및 덮개(5)의 구조는 본 발명의 제1구현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상세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2구현예에는 앞에서 설명한 제1구현예와 비교시 제1구현예의 제1조립부(213)를 구비하지 않는 대신에 제2공기경로(212)의 둘레(Circumference)를 구비하는 차이점이 있다.
상기 제2공기경로(212)의 둘레는 방사상 방향으로 밖으로 연장되어 확장부(23')를 형성한다.
상기 확장부(23')는 다수개의 연결부(231')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231')들은 고정구(6)를 사용해 하우징(1)과 프레임(21)을 결합할 수 있도록 지지기구(13)과 서로 마주보게 위치한다.
팬(2')의 확장부(23')는 가열된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공기채널(R1)내 공기흐름 방향을 팬(2')의 방사상 방향으로, 다시 말해 제2공기경로(212)내 공기흐름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유도 및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구현예에 따른 램프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 팬(2), 열발산판(3), 발열기구(4) 및 덮개(5')를 포함한다.
제2구현예에서는 팬(2)의 프레임(21)에 확장부(23')가 형성된 반면, 상기 제3구현예에는 제2구현예와 비교시 덮개(5')의 주변 가장자리(51)를 구비하고, 상기 주변 가장자리(51)는 외부로 연장되어 확장부(52')를 형성하는 차이점이 있다.
상기 확장부(52')는 다수개의 연결부(521')들을 구비하고, 연결부(521')각각은 하우징(1)의 지지기구(13) 각각과 마주보게 위치하여, 고정구(6)에 의해 하우징(1)이 덮개(5')에 결합되도록 한다.
덮개(5')의 확장부(52')는 더워진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공기안내채널(R1)내 공기흐름 방향을 제2공기안내채널(R2)내 공기흐름 방향과 상이하게 유도 및 조절할 수 있다.
게다가, 확장부(52')가 덮개(5')로부터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팬(2)의 프레임(21) 구조가 간소화되어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4구현예에 따른 램프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 팬(2'), 열발산판(3'), 발열기구(4) 및 덮개(5'')를 포함한다.
하우징(1'), 팬(2'), 발열기구(4) 및 덮개(5'')들의 구조는 제2구현예와 동일하나 외관 및 형태만 조금 상이하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제4구현예의 열발산판(3')은 프레임(21)의 내부 주변면과 공간을 두고 떨어져 있는 제2공기안내채널(R2)를 여전히 구비한다.
그러나, 제2구현예의 열발산판(3)과의 주요 차이점은, 상기 제4구현예의 열발산판(3')이 제1표면(31) 및 제2표면(32)과 연결된 외부 주변부(Outer periphery)를 구비하는 점이다.
열발산판(3')의 외부 주변부는 밖으로 연장되어 팬(2')의 확장부(23')와 틈새(G)를 형성하도록 상기 팬(2')의 확장부(23')로부터 공간을 두고 떨어져 있다.
따라서, 제2공기안내채널(R2)의 공기흐름 방향을 방사상 방향으로 조절가능하여 어떤 형태의 램프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제4구현예의 덮개(5'')는 죔쇠 방식에 의해 열발산판(3')의 제2표면(32)에 실장된다.
본 발명의 제5구현예에 따른 램프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 팬(2), 열발산판(7), 발광기구(4) 및 덮개(5)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 팬(2), 발광기구(4) 및 덮개(5)들 각각의 구조는 앞에서 설명한 제1구현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들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구현예의 열발산판(3)과 제5구현예의 열발산판(7)은 주요 차이점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제5구현예의 열발산판(7)은 본체(Substance : 71)와 환상벽(72)을 구비한다. 상기 본체(71)는 제1표면(711)과 제2표면(712)을 구비한다. 상기 제1표면(711)은 본체(711)의 방열지역을 넓히기 위해 돌출부(711a)와 다수개의 핀(711b)들을 구비한다.
상기 환상벽(72)은 본체(71)의 둘레를 따라 실장되고, 환상벽(72)의 내측 주변면은 제2공기채널(R2)이 형성되도록 본체(71)의 주변 가장자리로부터 떨어져 있다.
제2공기안내채널(R2)의 말단들은 하우징(1)의 개구부(12) 넘어로 돌출된다.
상기 열발산판(7)은 본체(71)의 주변 가장자리 및 환상벽(72)의 내측 주변면 각각과 접촉되는 다수개의 리브(Rib)들은 추가로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열발산판(7)의 환상벽(72) 양말단중 고정되지 않은 일측 말단은 프레임(21)의 바닥 가장자리에 인접하며, 그로 인해 팬(2)의 제2공기경로(212)와 제2공기채널(R2)이 서로 연통된다.
열발산판(7)의 제1표면(711)은 임펠러(22)와 마주한다.
발열기구(4) 및 덮개(5')들은 열발산판(7)의 제2표면(712)에 실장된다.
열발산판(7)내 환상벽(72)의 주변면은 확장부(721)를 형성하도록 팬(2)의 방사상 방향으로 더 연장된다.
상기 확장부(721)는 가열된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제1공기안내채널(R1)의 흡입공기 방향 또는 배출공기 방향을 팬(2)의 방사상 방향으로, 다시 말해 제2공기경로(212)에 의해 흡입공기방향 또는 배출공기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유도 및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구현예에 따른 램프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 팬(2), 열발산판(7'), 발열기구(4) 및 덮개(5')를 구비한다. 상기 제6구현예 역시 확장부를 구비하고, 제6구현예를 구성과는 하우징(1), 팬(2) 및 발광기구(4) 각각의 구조들은 앞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5구현예와 동일하다.
상기 제6구현예와 제5구현예의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제5구현예에서는 열발산판(7')내 환상벽(72)의 외측 주변면에 확장부를 형성하는 반면에, 제6구현예에서는 덮개(5')가 확장부(52')를 형성하도록 밖으로 연장된 주변 가장자리(51)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주변 가장자리(51)는 공기 순환을 위해서 제2공기안내채널(R2)과 마주하는 다수개의 통풍구(512)를 구비한다.
상기 제6구현예의 확장부(52') 역시 가열된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제1공기안내채널(R1)의 공기흐름 방향을 제2공기안내채널(R2)의 공기흐름 방향과 다르게 유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열발산판(7')의 구조는 간소화되어 제조가 용이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램프는 하우징(1)의 내측 주변면과 팬(2,2')을 구성하는 프레임(21)의 주변면 사이에 제1공기안내채널(R1)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프레임(21)의 내측 주변면과 열발산판(3,7,7')의 외부 주변 사이에 제2공기안내채널(R2)을 구비한다.
제1공기안내채널(R1) 및 제2공기안내채널(R2) 모두는 하우징(1)의 격실(11)과 통하며, 그로 인해 제1공기안내채널(R1) 및 제2공기안내채널(R2)를 통해 격실(11)내 공기와 하우징(1) 밖 공기가 서로 순환된다.
본 발명의 램프는 팬(2,2'), 열발산판(3,7,7') 및 발열기구(4)를 수용하기 위한 한개의 하우징(1) 부품만 필요하다. 게다가 어떠한 공기유입구 또는 공기배출구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서 구조가 간소화되고, 제조도 용이하고 조립도 편리해 진다.
본 발명의 램프를 사용시 비록 램프가 가상천장내에 설치된 경우라도 원활한 외부 공기의 순환을 위해 제1공기안내채널(R1) 및 제2공기안내채널(R2)이 천장의 바닥면 아래에 위치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램프는 냉각효과가 우수하다.
그로 인해 방열효과가 향상됨과 동시에 램프의 사용수명도 연장된다.
비록 본 발명의 현재로서 바람직한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기본개념을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한 변형 구현예를 실시할 수 있다.
1,1' : 하우징 2.2' : 팬
3,3',7,7' : 열발산판 4 : 발열기구
5,5',5'' : 덮개 51 : 덮개의 주변 가장자리
11 : 격실 12 : 개구부
13 : 지지기구 21 : 프레임
22 : 임펠러 211 : 제1공기경로
212 : 제2공기경로 R1 : 제1공기채널
R2 : 제2공기채널 H : 세로방향 거리
213 : 제1조립부 214 : 제2조립부
6 : 고정구 311 : 돌출부
31 : 열발산판의 제1표면 32 : 열발산판의 제2표면
312 : 냉각팬 33 : 고정부
41 : 발열기구의 기저판 42 : 발광체
511 : 조립구멍 512 : 통풍구
23' : 팬(2')의 확장부 521',231' : 연결부
52' : 덮개의 확장부 71 : 열발산판의 본체
72 : 열발산판의 환상벽 711 : 본체의 제1표면
712 : 본체의 제2표면 711a : 본체의 돌출부
711b : 본체의 판 712 : 환상벽의 확장부
81,91 : 하우징 82,92 : 열발산판
83 : 발열기구 84 : 냉각팬
811 : 하우징의 제1케이스 812 :하우징의 제2케이스
811a : 공기배출구 부분 811b : 투명부분
812a : 공기유입구 부분
93 : 팬 94 : LED 조립체
911 : 상단 하우징 912 : 하단 하우징
911a : 통풍구 912a : 관통구
95 : 공기경로

Claims (17)

  1. (ⅰ) 개구부가 있는 격실을 구비하는 하우징;
    (ⅱ) 하우징의 격실내에 실장되고, 프레임내에 탑재된 임펠러를 구비하고, 프레임의 주변면과 하우징의 내측 주변면 사이에 형성된 제1공기안내채널을 구비하는 팬;
    (ⅲ) 팬과 결합되고, 제1표면과 제2표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표면은 임펠러와 마주하고, 제2공기안내채널이 형성되도록 열발산판의 외측 주변부가 프레임의 내측 주변면과 떨어져 있는 열발산판; 및
    (ⅳ) 열발산판의 제2표면상에 실장되어 있는 발광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팬의 프레임은 서로 연통하는 제1공기경로 및 제2공기경로를 갖고, 임펠러는 제1공기경로 및 제2공기경로 사이에 탑재되고, 제1공기경로는 하우징의 격실내에 실장되고, 열발산판은 제2공기경로를 가로질러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3. 제2항에 있어서, 제2공기경로는 하우징의 개구부 밖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4. 제3항에 있어서, 프레임의 제2공기경로 둘레는 방사상방향으로 밖으로 연장되어 확장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5. 제1항에 있어서, 발열기구를 덮도록 열발산판의 제2표면상에 실장된 덮개를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6. 제5항에 있어서, 덮개의 주변 가장자리는 제2공기채널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통풍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7. 제6항에 있어서, 덮개의 주변 가장자리는 밖으로 더 연장되어 확장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8. 제4항에 있어서, 열발산판의 외측 주변부가 확장부로부터 떨어져 틈새(Gap)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9. 제1항에 있어서, 열발산판의 제1표면은 돌출부와 다수개의 냉각핀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10. (ⅰ) 개구부가 있는 격실을 구비하는 하우징;
    (ⅱ) 하우징의 격실내에 실장되고, 프레임내에 탑재된 임펠러를 구비하고, 프레임의 주변면과 하우징의 내측 주변면 사이에 형성된 제1공기안내채널을 구비하는 팬;
    (ⅲ) 제1표면과 제2표면을 갖는 본체를 구비하고, 환상벽 내에 탑재되고, 제2공기안내채널이 형성되도록 환상벽의 내측 주변면이 본체의 주변 가장자리와 떨어져 있고, 환상벽의 양말단 중 고정되지 않은 일측 말단은 프레임의 바닥 가장자리에 인접하고, 본체의 제1표면은 임펠러와 마주보는 열발산판; 및
    (ⅳ) 열발산판의 제2표면상에 실장되어 있는 발광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11. 제10항에 있어서, 팬의 프레임은 서로 연통하는 제1공기경로 및 제2공기경로를 갖고, 임펠러는 제1공기경로 및 제2공기경로 사이에 탑재되고, 제1공기경로는 하우징의 격실내에 실장되고, 제2공기경로는 제1공기채널과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12. 제11항에 있어서, 제2공기채널의 말단이 하우징의 개구부 넘어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13. 제12항에 있어서, 열발산판에 있는 환상벽의 주변면이 방사상 방향으로 밖으로 연장되어 확장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14. 제10항에 있어서, 발열기구를 덮도록 열발산판의 제2표면 상에 실장된 덮개를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15. 제12항에 있어서, 발열기구를 덮도록 열발산판의 제2표면 상에 실장된 덮개를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16. 제15항에 있어서, 덮개의 주변 가장자리는 제2공기채널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통풍구를 구비하고, 덮개의 주변 가장자리는 밖으로 더 연장되어 확장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17. 제1항에 있어서, 열발산판의 제1표면은 돌출부와 다수개의 냉각핀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KR1020120003243A 2012-01-11 2012-01-11 램프 KR101319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243A KR101319486B1 (ko) 2012-01-11 2012-01-11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243A KR101319486B1 (ko) 2012-01-11 2012-01-11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2196A true KR20130082196A (ko) 2013-07-19
KR101319486B1 KR101319486B1 (ko) 2013-10-17

Family

ID=48993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243A KR101319486B1 (ko) 2012-01-11 2012-01-11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948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2792A (ko) * 2016-11-21 2019-07-10 저지앙 리 성 포토일렉트릭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Led 방열 구조 및 해당 방열 구조가 포함된 led 등기구
CN110553180A (zh) * 2019-09-30 2019-12-10 广州市浩洋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舞台灯的可变风道散热系统
KR102488316B1 (ko) * 2021-07-14 2023-01-13 주식회사 알토 공기청정기 일체형 조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55722B2 (ja) * 2009-09-23 2013-11-27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照明デバイス
TWI376481B (en) 2009-10-13 2012-11-11 Sunonwealth Electr Mach Ind Co Lamp
TWI408311B (zh) * 2010-05-25 2013-09-11 Sunonwealth Electr Mach Ind Co 燈具及其散熱器
JP4860006B1 (ja) 2011-05-09 2012-01-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照明装置用送風ユニッ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2792A (ko) * 2016-11-21 2019-07-10 저지앙 리 성 포토일렉트릭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Led 방열 구조 및 해당 방열 구조가 포함된 led 등기구
CN110553180A (zh) * 2019-09-30 2019-12-10 广州市浩洋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舞台灯的可变风道散热系统
KR102488316B1 (ko) * 2021-07-14 2023-01-13 주식회사 알토 공기청정기 일체형 조명 장치
WO2023286949A1 (ko) * 2021-07-14 2023-01-19 주식회사 알토 공기청정기 일체형 조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9486B1 (ko) 201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57518B (zh) 燈具
KR101451728B1 (ko) Led 램프
KR101311398B1 (ko) 램프
JP5156071B2 (ja) 灯具とその放熱器
US9243792B2 (en) Lamp
JP5355722B2 (ja) 照明デバイス
JP2011086621A (ja) 灯具
JP2012195273A (ja) 灯具
TWI414722B (zh) 燈具
TWI414721B (zh) 燈具
US8920000B2 (en) Lamp
KR101319486B1 (ko) 램프
KR101452267B1 (ko) 매립형 조명 기구
CN103423676B (zh) 灯具
JP6057675B2 (ja) 照明器具
KR20170062195A (ko) 방열 장치 및 이 방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KR101199844B1 (ko)
JP6116194B2 (ja) 照明器具
JP2012248524A (ja) 照明装置
JP2017103255A (ja) 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