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0874B1 - 천장 매립형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천장 매립형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0874B1
KR100430874B1 KR1019960045579A KR19960045579A KR100430874B1 KR 100430874 B1 KR100430874 B1 KR 100430874B1 KR 1019960045579 A KR1019960045579 A KR 1019960045579A KR 19960045579 A KR19960045579 A KR 19960045579A KR 100430874 B1 KR100430874 B1 KR 100430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grille
suction
air conditioner
ceiling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5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7311A (ko
Inventor
가즈아끼 사까이노
가즈노부 오까와
유끼또 나와따
데이이찌 후꾸시마
아쯔시 니이자또
고오지 아라이
신이찌 오스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92075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50760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51085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523736B2/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47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7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0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08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입 그릴 승강용 모터로의 전원 공급 상태를 절환 조작할 수 있는 조작 스위치와, 흡입 그릴의 상한 위치 및 하한 위치를 각각 검출하는 상한 및 하한 위치 검출기와, 흡입 그릴의 강제적인 정지를 검출하는 강제 정지 검출기와, 상기 상한 위치 검출기가 동작하고 나서 소정 시간을 계수하는 타이머와, 상기 흡입 그릴이 상한 위치까지 상승하여 상기 타이머가 소정 시간을 계수한 후에 상기 흡입 그릴 승강용 모터를 정지시키고 강제 정지 검출기에 의해 강제 정지가 검출되었을 때 흡입 그릴의 정지를 유지하는 제어 수단이 설치된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 {In-Ceiling Mount Typ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천장에 설치되는 유닛 본체를 갖는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의 흡입 그릴 부착 구조 및 흡입 그릴의 승강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장 설치형 마감 패널에 흡입 그릴을 설치하고, 이 흡입 그릴에는 필터를 설치한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는 공지되어 있다 (일본 특개평2-233920호). 이러한 종류의 공기 조화기에서는 마감 패널로부터 흡입 그릴을 떼어냄으로써 필터를 떼어낼 수 있어서 그 이전의 것에 비해 필터 청소시에 이 필터를 착탈하는 작업이나 새로운 필터로 교환하는 등의 보수 유지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마감 패널이나 흡입 그릴은 당연히 천장에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에 설명한 흡입 그릴을 떼어내는 작업은 높은 위치에서의 작업이 되므로 필터의 착탈이 간단하다고 해도 상기 필터의 교환이 그다지 행하여지지 않아서 공기 조화기의 성능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 채로 운전이 계속되는 사태가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마감 패널의 하면에 대하여 승강용 모터를 사용하여 흡입 그릴을 승강가능하게 지지한 것이 고안되었다. 이렇게 하면 필터 교환시에는 상기 흡입 그릴을 낮은 위치로 하강시킬 수 있어서 낮은 위치에서 필터를 교환할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흡입 그릴 승강용의 조작계(제어계)가 필요하게 된다. 조작계는 흡입 그릴의 승강, 임의의 위치에서의 정지를 행할 수 있도록 하지 않으면 안된다. 흡입 그릴을 복수개의 현수 끈 등으로 승강가능하게 지지한 경우 등에는 상기 현수 끈 길이의 불균형에 기인하여 흡입 그릴의 상한 위치에서 흡입 그릴이 경사진 채로 되어 마감 패널과 흡입 그릴과의 사이에 간격이 생기는 등의 우려가 있다.
또한, 복수개의 공기 조화기를 천장에 설치하도록 한 경우에는 복수개의 흡입 그릴을 시간차를 두고 거의 동시에 하강시켜서 복수개의 필터의 교환을 동시에 행하도록 한 것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예를 들어 어느 흡입 그릴 바로 아래에 장애물로서의 가구(서랍장) 등이 위치하면 별도의 흡입 그릴을 하강 동작시킬 때 이 흡입 그릴이 하강을 계속하여 바로 아래에 있는 가구(서랍장)에 닿아서 강제적으로 정지되게 된다. 조작자가 이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 흡입 그릴의 하강 동작이 계속되면 현수 끈이 느슨해져서 꼬이게 되어 다시 상승시키려고 할 때 상승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생긴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상기에 설명한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임의의 위치에서 흡입 그릴을 정지시킬 수 있으며 흡입 그릴의 상한 위치에서 마감 패널과 흡입 그릴과의 사이에 간격이 생기지 않고, 흡입 그릴에 연결되는 현수 끈에 느슨함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를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모터가 과부하에서 회전을 계속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의해서 모터의 과부하 운전을 실용 수준까지 줄일 수 있는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를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하강시에 현수 끈의 느슨함 방지 리미트 스위치가 연속하여 동작하지 않도록 하여 한번 정지한 경우에는 조작 스위치를 다시 조작하지 않으면 동작되지 않는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를 마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4목적은 항상 모터 구동용 릴레이를 먼저 복귀시켜서 잠시라도 단락되지 않는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를 마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5목적은 정지중에 릴레이의 코일이 통전 상태에 있지 않는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를 마련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르면, 흡입 그릴의 승강용 모터를 거쳐서 이 흡입 그릴을 승강가능하게 지지한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 그릴 승강용 모터로의 전원 공급 상태를 절환 조작할 수 있는 조작 스위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에서, 상기 조작 스위치는 로터리식 풀((pull) 스위치이고, 스위치를 당김 조작할 때마다 상기 흡입 그릴은 하강·정지·상승·정지를 순서대로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에서, 상기 흡입 그릴의 하강중에 이 하강 동작이 강제적으로 정지되었을 때에는 승강용 모터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정지 수단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에서, 상기 흡입 그릴은 현수 끈에 의해 천장에 지지되고, 승강용 모터의 회전 동작에 의해 현수 끈의 반복적인 발출/권취 동작이 행하여지고 이에 의해 상기 흡입 그릴의 승강 동작이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에서, 상기 흡입 그릴의 하강중에 상기 현수 끈이 느슨해졌을 때에는 이 현수 끈의 느슨함을 검출하여 상기 승강용 모터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정지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에서, 상기 흡입 그릴이 상승 위치의 상한에 도달하였을 때 현수 끈의 권취 동작을 소정 시간 계속하는 타이머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제2양태에 따르면, 흡입 그릴에 현수 끈의 일단을 고정하고 이 현수 끈의 타단을 풀리에 권취하고, 상기 풀리를 소정 이상의 부하가 걸리면 공회전하는 클러치 스위치를 거쳐 축에 연결하고, 이 축에 흡입 그릴 승강용 모터를 연결하고 이 승강용 모터를 동작시켜서 상기 현수 끈을 반복해서 발출/권취하여 상기 흡입 그릴을 승강시키는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 그릴 승강용 모터로의 전원 공급 상태를 절환 조작할 수 있는 조작 스위치와, 상기 흡입 그릴의 상한 위치를 검출하는 상한 위치 검출 수단과, 이 상한 위치 검출 수단이 동작한 이후의 소정 시간을 계수하는 타이머와, 상기 흡입 그릴이 상한 위치까지 상승하여 상기 타이머가 소정 시간을 계수한 후에 상기 흡입 그릴 승강용 모터를 정지시키는 제어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에서, 상기 승강용 모터의 운전 전압을 감시하는 감시회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에서, 상기 감시회로에 의해 검출된 상기 승강용 모터의 운전 전압이 소정치 이상인 경우에는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승강용 모터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에서, 상기 흡입 그릴의 승강 동작이 한번 정지하면 상기 조작 스위치를 재조작할 때까지 상기 정지 상태를 유지하는 정지 유지회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에서, 상기 승강용 모터의 승강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개의 릴레이로 이루어지는 릴레이 회로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용 모터의 구동용 릴레이가 먼저 복귀하고 다른 릴레이가 나중에 복귀하도록 릴레이회로에 지연회로가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에서, 상기 승강용 모터의 승강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개의 릴레이로 이루어진 릴레이회로가 설치되고, 상기 흡입 그릴이 상한 위치에 정지하였을 때 상기 릴레이회로 내의 전체 릴레이가 복귀 상태로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의 제1실시예의 종단면도.
도2는 도1의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의 사시도.
도3은 도1의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의 흡입 그릴을 떼어낸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4A는 흡입 그릴을 현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4B는 도4A의 흡입 그릴의 후크의 확대도.
도5는 제1실시예의 처리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
도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도3에 상당하는 도면으로 느슨함 검지 센서를 설치한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를 도시한 개략도.
도7은 도6의 실시예의 흡입 그릴과 이의 느슨함 검지 센서를 포함하는 주변기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8은 도1의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에서의 흡입 그릴 승강용 모터의 제어회로의 회로도.
도9는 도8의 흡입 그릴 승강용 모터의 제어부를 개량한 것의 회로도.
도10A 및 도10B는 흡입 그릴의 하강 동작 및 상승 동작에 대한 흐름도.
도11은 도9의 제어부에서의 제어회로의 동작 기능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12는 도9의 제어부에서의 구동회로의 동작 기능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유닛 본체
3: 흡입구
4: 취출구
7: 마감 패널
9: 흡입 그릴
11: 터보 팬
15: 드레인 팬
16: 열교환기
17: 단열재
24: 필터
31: 현수 끈
51: 풀 스위치
65: 센서
100A, 100B: 풀리
140: 승강용 모터
143: 타이머
151: 지지판
153, 154: 기어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1은 일반적인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의 일 실시예의 종단면도이고, 이 도면에서 부호 50은 공기 조화기를 나타낸다. 이 공기 조화기(50)는 천장 내부(1)에 수납되는 판금제의 유닛 본체(2)와, 중앙에는 흡입구(3)를 외주부의 4개의 변에는 취출구(4)를 갖고 천장 구멍(5)을 막도록 천장면(6)에 설치되는 마감 패널(7)과, 중앙에 흡기구(8)를 갖는 흡입 그릴(9)로 구성되어 있다.
10은 터보 팬(11)과 천장판(12)에 부착된 팬용 모터(13)로 이루어진 송풍기, 14는 흡기구(8)로부터의 실내 공기를 터보 팬(11)에 안내하는 노즐구, 15는 내측 직립부(15a)와 외측 직립부(15b)를 갖고 각도 넓은 환형상으로 발포 스티롤로 형성된 드레인 팬, 16은 터보 팬(11)의 토출측에 이 팬을 둘러싸도록 환형으로 배치된 플레이트 핀형 열교환기이다. 그리고, 17은 유닛 본체(2)의 주연면에 감긴 단열재, 21은 열교환기(16)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취출구(4)에 안내하는 도풍부, 22는 유닛 본체(2)를 현수구로 천장 기둥에 현수하기 위한 현수 볼트, 24는 흡입 그릴(9) 하류측에 부착된 필터이다.
다음에, 도2 및 도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요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2는 도1의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의 사시도이고, 도3은 도1의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의 흡입 그릴을 떼어낸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4A는 흡입 그릴을 현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B는 흡입 그릴의 후크의 확대도이다. 흡입 그릴(9)은 4개의 현수 끈(31)을 거쳐 승강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4개의 현수 끈(31)에는 수지 와이어 또는 금속 와이어의 외주연에 비닐 코팅을 한 것이 사용되지만, 다이얼 코드로 해도 좋다. 4개의 현수 끈(31)의 일단(31a)은 도4A 및 도4B에 도시된 것처럼 흡입 그릴 보강 부재(90)의 후크(90a)에 연결되고, 4개의 현수 끈(31)중 안쪽의 2개의 현수 끈(31)의 타단(31b)은 주 풀리(100A)에 각각 권취되고, 나머지 2개의 현수 끈(31)의 타단(31c)은 로프 가이드(200) 또는 보조 풀리(도시 생략)를 거쳐서 주 풀리(100B)에 각각 권취된다.
흡입 그릴 보강 부재(90)의 후크(90a)에 대하여 현수 끈(31)의 일단(31a)을 연결하는 데에는 도4B에 도시된 것처럼 현수 끈(31)의 일단(31a)을 결속구(91)에 고정하여 두고 현수 끈(31)의 걸림부(31d)를 후크(90a)에 건 후에 현수 끈(31)을 화살표 방향으로 가볍게 묶으면 좋다.
이 흡입 그릴 보강 부재(90)는 흡입 그릴(9)의 두개의 변에 나사 등으로 고정되어, 상기에 설명한 것처럼 4개의 현수 끈(31)의 후크(31)로서 기능하는 외에 흡입 그릴(9)의 보강, 또한 흡입 그릴(9)의 흡입면에 장착되는 필터(24, 도1)의 어긋남 방지 등도 겸하고 있다.
총 4개인 주 풀리(100A, 100B)는 도3에 도시된 것처럼 축(110)의 양단부에 한쌍씩 연결되어 있다. 각 주 풀리(100A, 100B)에는 구멍이 개방되고, 이 구멍을 통해서 각 주 풀리(100A, 100B)는 축(100)에 대하여 공회전가능하게 유격을 갖고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축(110)의 축부에는 복수개의 나사 등을 거쳐서 고정부(120)가 고정되고, 이 고정부(120)와 주 풀리(100A, 100B)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 판 스프링, 전자석 등의 회전력 전달 수단(130; 이하, "코일 스프링"이라 함)이 개재되어 있다. 또한, 125는 자유 회전하는 링이고, 4개의 현수 끈(31)에 흡입 그릴(9)의 자중이 걸리는 정도에서는 코일 스프링(130)을 거쳐서 고정부(120)와 주 풀리(100A, 100B) 및 링(125)이 일체로 되고, 축(110)의 회전과 함께 4개의 현수 끈(31)의 반복 발출/권취가 행하여진다. 그리고, 4개의 현수 끈(31)에 과대한 부하가 걸리면 코일 스프링(130)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주 풀리(100A, 100B)는공회전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의하면 흡입 그릴(9)을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계(150), 즉 상기에 설명한 주 풀리(100A, 100B), 축(110), 회전력 전달 수단(130)을 포함하는 클러치, 후술하는 흡입 그릴 승강용 모터(140) 등으로 이루어지는 구동계(150)는 도2에 도시한 것처럼 유닛 본체(2)의 개구부 내에 연장되는 지지판(151) 위에 전체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지지판(151)은 도3에 도시한 것처럼 마감 패널(7)에 고정되고 상기에 설명한 구동계(150)는 이 마감 패널(7) 측에 고정된다. 이 지지판(151)과 대향하도록 유닛 본체(2)의 개구부 내에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전기 장치 박스(160)가 연장된다. 이 전기 장치 박스(160)와 지지판(151)은 유닛 본체(2)의 소위 공기 취입용 개구부 내로 연장된다. 즉, 지지판(151)은 구역(190A)으로 연장되고, 전기 장치 박스(160)는 구역(190B)으로 연장되지만, 이들의 존재는 공기 취입 기능을 소외하는 것은 아니다. 나머지 공간(170)에서는 충분한 공기를 취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 설명한 구동계(150)가 마감 패널(7)에 고정되는 것에 비하여 전기 장치 박스(160)는 유닛 본체(2)에 고정되어 있다.
구동계(15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축(110)은 지지판(151) 위에 2개의 베어링(152)을 거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축(110)의 축부의 거의 중앙에는 기어(153)가 고정되고 이 기어(153)에는 기어(154)가 치합되고, 이 기어(154)는 상기에 설명한 흡입 그릴 승강용 모터(140)의 출력축에 고정되어 있다. 부호 141은 모터용 콘덴서, 143은 타이머(수정용)이다.
흡입 그릴(9)을 승강시키기 위해서, 도2를 참조하면 풀 스위치(조작 스위치, 51)가 설치되고, 또 도3을 참조하면 상한 위치 검출 센서(52)와 하한 위치 검출 센서(53)가 설치되어 있다. 이 하한 위치 검출 센서(53)는 흡입 그릴(9)의 하한 위치를 현수 끈(31)의 발출 길이에 의해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이 현수 끈(31)의 발출 길이는 주 풀리(100B)에 권취된 현수 끈(31)의 권취수(높이)로 검출한다.
또한, 조작 스위치는 풀 스위치(51)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벽걸이식 등의 고정식 스위치로 하여 이 고정식 스위치를 승강용 모터(140)에 케이블 접속하여도 좋고, 또 원격 제어 장치(리모콘)에 내장해도 좋다.
다음에는 도5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이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하방 연장봉 등을 임의로 하여 이를 사용하여 풀 스위치(51)를 당기면(당김 조작한다, S1), 흡입 그릴 승강용 모터(140)가 정회전하여 구동계(150)가 구동되고 현수 끈(31)을 거쳐 흡입 그릴(9)이 하강을 개시한다(S2). 또한, 풀 스위치(51)를 당기면(S3) 흡입 그릴(9)이 하강을 정지하고(S4), 풀 스위치(51)를 당기면(S5) 흡입 그릴 승강용 모터(140)가 이번에는 역회전하여 흡입 그릴(9)이 상승으로 바뀐다(S6). 또한, 풀 스위치(51)에는 로터리식 풀 스위치가 채용되어 있어서 반복해서 스위치를 조작하면 흡입 그릴 승강용 모터(140)는 정회전·정지·역회전·정지를 반복하고, 흡입 그릴(9)은 하강·정지·상승·정지의 동작을 순서대로 반복하도록 되어 있다.
S6에서, 흡입 그릴(9)이 상승으로 바뀐 후에 이 흡입 그릴(9)이 상한 위치에 도달하면, 상한 위치 검출 센서(52)가 동작하고 이와 동시에 타이머(143)가 동작하여 X초(예를 들어 0.3 내지 2초) 경과한 후에(S7) 흡입 그릴 승강용 모터(140)의 역회전이 정지되어 흡입 그릴(9)의 상승이 정지된다(S8).
현수 끈(31)에 의해 흡입 그릴(9)의 상승시에는 반드시 4개의 현수 끈(31)의 길이가 같게 되지 않는 것에 기인하여 경우에 따라서는 흡입 그릴(9)이 경사진 상태로 상승되기도 한다.
그리고, 이 실시 형태에 의하면 흡입 그릴(9)이 경사진 상태에서 상승되더라도 상한 위치 검출 센서(52)가 동작하고 나서 소정 시간(X초) 경과한 후에 흡입 그릴 승강용 모터(140)의 역회전이 정지되기 때문에 그때까지의 사이에는 전체 현수 끈(31)이 완전히 권취될 때까지 주 풀리(100A, 100B)의 회전이 계속되므로 흡입 그릴(9)은 수평으로 될 때까지 완전히 상승되고 마감 패널(7)에 완전히 밀착한다. 이 경우에, 4개의 현수 끈(31)중 현수 끈(31)이 이미 권취되어 있는 주 풀리(100A, 100B)에서는 상기에 설명한 것처럼 축(110)의 축부 위를 공회전한다.
이 흡입 그릴(9)의 하강 과정에서는 상기에 설명한 풀 스위치(51)를 당김에 의해(S3) 흡입 그릴(9)이 하강을 정지하므로(S4) 임의의 위치에서 흡입 그릴(9)의 일시 정지가 가능하다. 도2에는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흡입 그릴(9)의 상부에는 공기 청정용 필터(24, 도1)가 장착되어 있어서, 도시된 것처럼 흡입 그릴(9)을 천장면(6)으로부터 하방으로 당겨서 도중에서 일시 정지시켰을 때는 필터(24)의 교환, 청소 등의 작업을 낮은 위치에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위치에서 작업하는 경우에 비해 작업이 간단하게 될 뿐 아니라 작업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승한 흡입 그릴(9)은 도시하지 않은 흡입 그릴 로크 수단을 거쳐서 마감 패널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 로크 수단은 필수적인 것이 아니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생략되어 있다. 또한, 간단한 흡입 그릴 로크 수단으로서 도2를 참조하면 마감 패널(7)에 마그네트(43)를 설치하고 이 마그네트(43)로 흡입 그릴(9)을 로크하는 것이 가능하다.
요약하면, 이 실시예에 따르면 풀 스위치(51)를 당김 조작하여 흡입 그릴 승강용 모터(140)를 구동함에 의해 축(110)이 회전하고, 이 축(110)에 클러치를 거쳐 연결된 주 풀리(100A, 100B)가 회전하고, 이 주 풀리(100A, 100B)에 권취된 현수 끈(31)이 반복 발출/권취되어 이에 의해 흡입 그릴(9)이 자동적으로 승강되므로 공기 청정용 필터(24)를 보수할 때에는 이를 낮은 위치(또는 임의의 위치)로 끌어내려서 보수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로터리식 풀 스위치의 당김 조작에 의해 흡입 그릴은 하강·정지·상승·정지를 반복하므로 간단한 조작으로 흡입 그릴을 임의의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흡입 그릴 승강용 모터(140)는 하나만 설치해도 좋으므로 비용 증대를 적게 하고, 흡입 그릴 승강용 모터(140)를 복수개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구조가 간단해서 고장이 적어진다. 또한, 흡입 그릴에 과대한 부하가 걸린 경우에는 클러치가 동작하여 주 풀리(100A, 100B)가 공회전하므로 흡입 그릴 승강용 모터(140)의손상이 방지된다. 또한, 현수 끈(31)의 권취시에 예를 들어 4개인 현수 끈(31)의 길이에 불균형이 생겨도 흡입 그릴(9)의 최종 권취시에는 주 풀리(100A, 100B)의 공회전에 의해 현수 끈(31)의 길이 불균형이 흡수되므로 흡입 그릴(9)은 마감 패널(7)에 완전히 밀착하여 이곳에 간격이 생기지 않는다.
도6 및 도7은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1 내지 도5의 실시예에서는 현수 끈(31)이 완전히 발출되어 흡입 그릴(9)이 다시 하한 위치(예를 들어 천장으로부터 2 m인 위치)에 도달하거나 또는 하강 도중에 풀 스위치(51)가 당겨져서 흡입 그릴(9)이 도중에 정지하지 않는 한 흡입 그릴 승강용 모터(14)의 운전은 계속되므로 흡입 그릴(9)의 하강 동작이 도중에 정지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흡입 그릴(9)의 바로 아래에 장해물로서 서랍장(80) 등의 가구(도7)가 위치하는 경우에 이 흡입 그릴(9)이 하강을 계속하여 바로 아래의 서랍장(80)에 닿아서 흡입 그릴(9)의 하강이 강제적으로 정지되어도 조작자가 이에 주의를 기울여 풀 스위치(51)를 당기지 않는 한 흡입 그릴(9)의 하강 동작은 계속되므로 그에 따라 현수 끈(31)이 느슨해져서 꼬이게 되어 흡입 그릴(9)을 다시 상승시키려고 할 때 등에 상승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도6 및 도7의 실시예에 의하면, 현수 끈(31)이 점선으로 도시한 것처럼 느슨해졌을 때 이 느슨함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65)가 더 설치되어 있다.
이 센서(65)가 동작하면 흡입 그릴 승강용 모터(140)의 운전이 정지된다. 이 센서(65)는 도7에 도시한 것처럼 스프링(67)을 갖고, 스프링(67)의 선단(67a)은현수 끈(31c)에 걸린다. 스프링(67)은 점선으로 도시한 것처럼 하방으로 가해지고, 선단(67a)이 현수 끈(31c)에 걸리면 이 현수 끈(31c)의 장력에 의해 실선으로 도시한 것처럼 상방으로 가해진다. 즉, 스프링(67)은 현수 끈(31c)의 장력에 의해 항상 상방으로 가해지고, 현수 끈(31c)이 느슨해지면 스프링(67)은 점선으로 도시한 것처럼 하방으로 가해지고 이것이 하방으로 가해지면 예를 들어 리미트 스위치(69)의 접점이 열려서 흡입 그릴 승강용 모터(140)의 운전이 정지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예를 들어 흡입 그릴(9)이 서랍장(80)에 닿아서(도7) 현수 끈(31)이 점선으로 도시한 것처럼 느슨해지면 센서(65)가 이를 검지하여 흡입 그릴 승강용 모터(140)의 운전이 정지하므로 더 이상 흡입 그릴(9)이 계속해서 하강하지 않게 됨에 따라 현수 끈(31)이 느슨해져서 꼬이지 않게 되며 흡입 그릴 승강시의 안전성이 확보된다.
여기서, 도8은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흡입 그릴 승강용 모터의 제어회로도이다. 도8의 제어회로에서, 201은 조작 스위치에 접속된 로터리 스위치, 202는 릴레이 구동용 전원, 203은 상기에 설명한 상한 위치 검출 센서(52)에 대응하는 상한 리미트 스위치, 204는 상기에 설명한 타이머(143)에 대응하는 타이머, 205는 릴레이, 206은 상기에 설명한 하한 위치 검출 센서(53)에 대응하는 하한 리미트 스위치, 207은 상기에 설명한 느슨함 검출 센서(65)에 대응하는 느슨함 검출용 리미트 스위치, 208은 회생(제동) 저항, 209, 210, 211 및 212는 릴레이, 140은 승강용 모터, 214는 모터 구동용 전원, 214a는 상승용 스위치, 214b는 하강용 스위치이다.
다음에, 도8의 제어회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승시에는 먼저 풀 스위치(51)의 조작에 따라 로터리 스위치(201)가 상승 상태로 되면, 릴레이(209)가 통전되어 접점이 폐쇄되고 계속해서 릴레이(211)가 도통되어 접점이 폐쇄되고, 상승용 스위치(214a)가 폐쇄되고 모터 구동용 전원(214)에 의해 승강용 모터(140)가 회전한다. 흡입 그릴(9)이 상한 위치까지 상승하면 흡입 그릴(9)이 리미트 스위치(203)를 폐쇄하여 타이머(204)가 통전된다. 타이머(204)는 통전 후에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릴레이(205)의 코일에 전류를 흘려서 접점을 개방하여 모터(140)를 정지시키게 된다.
다음에, 하강시에는 릴레이(210) 및 릴레이(212)가 순차적으로 도통함으로써 하강용 스위치(214b)가 폐쇄되고, 모터(140)가 상승시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에 그릴(9)이 하한까지 내려가면 리미트 스위치(7)가 개방되어 모터(140)가 정지한다. 또한, 흡입 그릴(9)이 하강중에 물체에 닿으면 그릴(9)을 현수하고 있는 현수 끈의 느슨함을 스위치(206)로 검출하여 모터가 정지된다.
상기에 설명한 승강 동작에서, 흡입 그릴(9)이 상한 위치까지 상승하였을 때 어떠한 원인에 의해 리미트 스위치(203)가 동작하지 않은 경우에 모터(140)는 정지하지 않고 로터리 스위치(220)를 조작할 때까지 운전을 계속하게 된다. 흡입 그릴(9)이 상한 위치에 도달하고 나서 타이머(204)로 정지할 때까지 사이의 상승 운전이 계속되면 모터(140)에는 과부하로 되고 소정 시간(예를 들어 0.3 내지 4.0초)을 크게 초과하여 회전시키면 모터(140)가 고장날 우려가 있다 (문제점 1). 또한, 하강시에는 스위치(206 및 207)의 동작 범위가 좁기 때문에 진동 등으로 접점이 폐쇄되기도 하고, 예를 들어 그릴이 사람에 닿아서 정지한 경우 등에 그 사람이 이동하면 다시 하강을 시작하지만 그릴의 하강 방향으로 약간 허리를 내려서 접촉을 피한 위치에서는 곧 다시 닿게 되어 정지해버린다. 그 때문에, 모터(140)는 단시간 사이에 온/오프 동작이 반복되게 된다. 이러한 모터(140)의 온/오프 동작의 반복은 모터(140)를 노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문제점 2).
또한, 운전 상태로부터 정지 상태로 될 때에 릴레이의 복귀 시간(절환 시간)의 차이에 의해 단락 전류가 흐른다. 이는 예를 들어 흡입 그릴이 하강중에 정지한 경우(즉, 도8의 릴레이(210)가 점선 위치로부터 실선 위치로 바뀌어서 하강용 스위치(214b)가 점선 위치로부터 실선 위치로 바뀐 경우), 릴레이(210)와 릴레이(211; 214b)가 해제되어 모터(140)가 정지하게 되지만 이들 2개의 릴레이(210, 212; 214b)에는 제조 오차 등에 기인하여 턴 오프 시간에 오차가 생기고 동시에 온 상태로 되기 때문이다. 즉, 릴레이(210)가 실선 위치에 있고 하강용 스위치(214b)가 점선 위치로 되는 상태가 존재하게 된다. 실제로는 릴레이(212) 쪽이 복귀 시간이 길기 때문에 전류는 전원(213)으로부터 하강용 스위치(214b)의 한쪽 접점을 통하고, 먼저 복귀한(절환된) 릴레이(210)의 접점과 0.5 Ω 정도의 회생 저항(208)을 통하고, 또 하강용 스위치(214b)의 다른 접점을 통해서 전원(214)으로 흐른다. 전류가 흐르는 시간은 수 msec이지만, 회로의 임피던스(회생 저항(208)의 저항 등)가 작으므로 큰 전류로 되어 전원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문제점 3).
게다가, 상한 위치에서 타이머(204)에 의해 정지한 후에 릴레이(205)가 통전된 채로 되기도 한다. 릴레이(205)를 장시간 통전된 채로 해두면 코일의 온도 상승에 의해 릴레이(205)가 가열되어 접점의 부식이 가속된다. 실제 사용 상태에서는 그릴이 수납되면 사용자는 스위치 조작을 하지 않는 것이라고 상상한다. 그러면, 다음에 그릴을 하강시켜서 그릴에 수납된 필터를 제거할 때까지의 기간(수 일 내지 수 개월) 릴레이(5)가 통전된 채로 된다 (문제점 4).
이하, 제1 및 제2 실시예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9는 본 발명의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에서의 흡입 그릴 승강용 모터의 제어부를 도시한다.
도9에서, 220은 로터리식 풀 스위치로서 1회 당길 때 정지→하강→정지→상승 접점에 순서대로 절환된다.
제어회로(225)는 로터리 스위치(220), 상한 리미트 스위치(221), 하한 리미트 스위치(222), 현수 끈 느슨함 검지 스위치(223) 및 모터 동작 전압 검출회로(240)로부터 입력을 받아 릴레이 구동회로(229/234)에 출력한다.
하강 동작중에 하한 위치로 되면 하한 리미트 스위치(222)가 움직여서 흡입 그릴(9)이 정지한다. 또한, 흡입 그릴(9)이 물체에 닿음 등에 의해 현수 끈(31)이 느슨해지면 검지 스위치(223)가 움직여서 정지한다. 제어회로(225)에는 이 정지 상태를 유지하는 정지 유지 기능이 있다. 로터리 스위치(220)를 조작하지 않으면 흡입 그릴(9)은 움직이지 않는다.
상승 동작중에 그릴(9)이 상한 리미트 스위치(221)에 닿으면 상기에 설명한것처럼 제어회로(225)의 타이머가 작동하여 소정 시간 경과한 후에 정지한다.
모터 동작 전압 검출회로(240)는 모터(140)가 운전하고 있을 때의 전압을 감시하고, 모터(140)의 부하 전류가 정상 범위 내에 있는지를 검지한다. 만약, 모터(140)의 부하 전류가 모터의 정격에 의해 정해진 수치(예를 들어 600 mA)를 초과하였을 때에는 정지시키게 된다. 이에 의해 제1 및 제2 실시예의 문제점 2가 해결되게 된다.
제동 저항(227)은 정지 상태에서 흡입 그릴(9)의 자중에 의해 모터(140)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들어 있고, 정지중에 모터(140)에 직렬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릴레이(228/233)는 이 제동 저항(227)을 운전중에 떼어내기 위한 것이다.
릴레이 구동회로(229/234)는 제어회로(225)의 제어 하에 릴레이(228/231; 상승용) 및 릴레이(233/236; 하강용)를 구동하지만, 그 내부에 지연회로가 내장되어 있고 최초 모터 구동 릴레이(231(231a)/236(236b))를 제동 저항(227)으로부터 떼어내고 릴레이(228/233)의 접점 입력을 받은 후에 릴레이(228/233)를 동작시켜, 정지시에는 이들 릴레이를 늦게 복귀시킨다. 따라서, 전원(239)과 직접 제동 저항(277)이 단락되지 않아서 제1 및 제2 실시예의 문제점 3이 해결되게 된다.
릴레이의 구동을 위하여, 여기서는 트랜지스터(230/232; 상승용, 235/237; 하강용)를 사용하였으나, 그 외의 간편한 방법이 있으면 트랜지스터를 사용할 필요는 없다.
전원은 릴레이/제어회로용(226)과 모터 구동용(239)으로 나뉘어지지만, 이는모터(140)의 부하가 상승시와 하강시에 크게 다르고 전원 전압의 변동이 크게 되고 모터의 동작 전압을 검출하는 기준이 되는 전압이 정해지지 않게 하기 위하고 제어 회로(225)의 안정 동작을 위한 것이다.
모터 동작 전압 검출 회로(240)는 모터(140)가 회전을 개시하고 나서 소정 시간(예를 들어 50 내지 300 ms) 경과한 후에 전압의 감시를 시작한다. 이는 모터(140)에는 회로 개방시에 돌입 전류가 흘러서 이를 과부하로 검출하지 않기 위한 것이다.
또한, 부호 231a 및 236b는 각각 상승용 스위치 및 하강용 스위치이다.
다음에, 도9의 제어부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로터리 스위치(220)의 조작으로 정지 상태로부터 하강 상태로 되면, 제어회로(225)는 하한 리미트 스위치(222), 느슨함 검지 스위치(223), 모터 동작 전압 검출회로(240)로부터의 입력이 없으면 하강용 릴레이 구동회로(234)를 흡입 그릴(9)을 하강시키도록 동작시킨다. 하강용 릴레이 구동회로((234), 트랜지스터(235)를 온시켜서 릴레이(233)를 동작시킨다. 릴레이(233)는 한쪽의 접점을 개방하여 제동 저항(227)을 모터(140)로부터 떼어내서 한쪽의 접점을 곧 폐쇄한다. 릴레이 구동회로(234)는 이 접점에서의 입력을 받으면 트랜지스터(237)를 온시켜 릴레이(236)를 동작시킨다. 이에 의해 하강용 스위치(236b)가 폐쇄되므로 모터(140)에는 도9의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전류가 흘러서 흡입 그릴(9)이 하강하는 쪽으로 회전한다.
하강 동작중에 하한 리미트 스위치(222) 또는 느슨함 검지 스위치(223)가 움직여서 접점이 폐쇄되면 제어회로(225)는 릴레이 구동회로(234)로의 출력을 멈춘다. 이 상태에서 스위치(222/223)의 접점이 개방되어도 릴레이 구동회로(234)에는 출력되지 않는 채로 정지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이에 의해서 제1 및 제2 실시예의 문제점 1이 해결되게 된다. 이 정지 상태의 유지는 로터리 스위치(220)를 조작하는 것으로 해소된다.
제어회로(225)로부터의 출력이 없어지면 릴레이 구동회로(234)는 먼저 트랜지스터(237)를 오프시키고 릴레이(236)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여 하강용 릴레이(236b)를 개방함에 의해 모터(14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모터(140)를 정지시킨다. 그 후에 내부의 지연회로에서 예를 들어 5 내지 20 ms 경과 후에 트랜지스터(235)를 오프시켜서 제동 저항(227)이 모터(140)에 접속된다.
로터리 스위치(220)의 조작으로 그 접점이 상승 상태로 절환되면, 상승용 릴레이 구동회로(229)는 흡입 그릴(9)을 상승시키도록 동작시킨다. 상승용 릴레이 구동회로(229)는 먼저 트랜지스터(230)를 온시켜서 릴레이(228)를 구동시킨다. 릴레이(228)는 한쪽의 접점을 개방시켜 제동 저항(227)을 모터(140)로부터 떼어내서 다른 한쪽의 접점을 곧 폐쇄한다. 릴레이 구동회로(234)는 이 접점에서의 입력을 받으면 트랜지스터(232)를 온시켜서 릴레이(231)를 동작시킨다. 이에 의해서 상승용 스위치(231)가 폐쇄되므로 모터(140)에는 도9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전류가 흘러서 흡입 그릴(9)이 하강하는 쪽으로 회전한다.
상승시의 동작은 전류가 흐르는 방향이 하강시와는 역으로 된다. 상승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은 상한 리미트 스위치(221)와 모터 동작 전압 검출 회로(240)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들의 입력이 있으면 제어회로(225)는 소정 시간 경과한 후에 릴레이 구동회로(229)의 출력을 멈춘다. 릴레이 구동회로(229)는 제어회로(225)로부터의 입력이 정지되면 트랜지스터(232)를 오프시켜서 릴레이(231)로의 전류를 차단한다. 이에 의해서 상승용 스위치(231a)가 개방되고 모터(140)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모터(140)는 회전을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는 로터리 스위치에 의해 제1 및 제2 실시예의 문제점 4가 해결되게 된다. 흡입 그릴(9)을 하강시키는 데에는 로터리 스위치(220)를 2회 조작한다.
이상, 설명한 흡입 그릴(9)의 하강 동작 및 상승 동작을 도10A 및 도10B의 흐름도에 도시하였다 (도10A는 하강 동작, 도10B는 상승 동작).
도10A의 하강 동작에 있어서, 스텝(300)에서 하강 온으로 되고 스텝(302)에서 하강 리미트 스위치(222)가 온되지 않으면 스텝(304)으로 진행하고, 스텝(304)에서 느슨함 방지 스위치(223)가 온되지 않으면 스텝(306)으로 진행한다. 스텝(306)에서 릴레이(233)가 온되고 스텝(308)에서 릴레이(236)가 온되고 스텝(309)에서 100 ms 경과하면 스텝(310)으로 진행한다. 스텝(310)에서 모터의 과부하를 검출회로(240)에서 검출하면 스텝(312)에서 4 sec 경과한 후에 스텝(318)으로 진행하지만, 상기 스텝(310)에서 모터의 과부하를 검출회로(240)에서 검출하지 않으면 스텝(314)으로 진행한다. 스텝(314)에서 하한 스위치(222)와 느슨함 스위치(2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온이면 스텝(318)으로 진행하지만 스텝(314)에서 스위치(222, 223)중 어느 것도 온이 아니면 스텝(316)으로 진행한다. 스텝(316)에서 스위치(220)가 오프가 아니면(즉, 온이면) 스텝(310)으로 복귀하지만 스텝(316)에서 스위치(220)가 오프이면 스텝(318)에서 릴레이(236)가 오프로 되고 스텝(320)에서 20 ms 경과한 후에 스텝(322)에서 릴레이(233)가 오프로 되고 스텝(324)에서 정지한다.
또한, 도10B의 상승 동작(스텝(400 내지 424))에 대해서는 동작 소자가 상이한 것 외에는 하강 동작과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11 및 도12에는 각각 상기 도9의 제어부에서의 제어회로(225) 및 릴레이 구동회로(229(234))에 의해 흡입 그릴의 각 동작중의 각종 입력 신호에 대한 각각의 동작 기능과 출력 결과를 도시하였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 스위치를 절환함으로써 흡입 그릴 승강용 모터로의 전원 공급 상태가 절환되므로 전원 공급 상태에 따라 흡입 그릴 승강용 모터는 정회전/역회전을 반복하고, 이에 의해 흡입 그릴을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조작 스위치의 절환에 의해 흡입 그릴을 임의의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어서 예를 들어 공기 조화기의 설치 상태에 따라서는 흡입 그릴을 낮추고 싶은 경우와 반대로 흡입 그릴을 그다지 낮추고 싶지 않은 경우 등 여러 경우를 생각할 수 있으나, 중요한 것은 어느 경우에 대해서도 흡입 그릴을 적절한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어서 최종적인 목적으로서의 필터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흡입 그릴을 복수개의 현수 끈 등으로 승강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나 현수 끈의 길이 불균형에 기인하여 흡입 그릴의 상한 위치에서 흡입 그릴이 경사져도 타이머가 소정 시간을 계수할 때까지 승강용 모터가 동작을 계속하므로그 사이에는 길이가 짧은 현수 끈이 권취된 풀리가 상한 위치에서 공회전하는 등으로 해서 길이가 긴 현수 끈이 완전히 권취될 때까지 현수 끈의 권취가 계속되므로 흡입 그릴의 경사가 해소되고, 흡입 그릴의 상한 위치에서 마감 패널과 흡입 그릴 사이에 간격이 생기지 않는다.
한편, 로터리식 풀 스위치의 당김 조작에 의해 흡입 그릴은 하강·정지·상승·정지를 순서대로 반복하므로 간단한 조작으로 흡입 그릴을 임의의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천장에 매립된 흡입 그릴의 하강중에 예를 들어 서랍장 등의 장해물에 닿으면 흡입 그릴의 하강 동작이 강제적으로 정지되도록 된 경우에 승강용 모터의 운전이 정지되므로 그 장소에서 흡입 그릴이 정지하여 안전성이 확보된다. 또한, 흡입 그릴에 현수 끈을 연결한 것에서는 도중에 현수 끈의 느슨함이 검출되어 그 이상은 승강용 모터의 운전이 정지되므로 그 장소에서 흡입 그릴이 정지하며, 따라서 현수 끈이 꼬이지 않게 되어 안전성이 확보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에 의하면 모터가 과부하에서 회전을 계속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모터의 운전 전압을 감시하는 회로를 부가했으므로 모터의 과부하 운전을 실용 수준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하강시에 현수 끈의 느슨함 방지 리미트 스위치가 계속해서 동작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어회로에 정지 유지 회로를 부가했으므로 일단 정지한 경우에는 조작 스위치를 다시 조작하지 않으면 동작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릴레이 구동회로에는 지연회로를 설치하여 항상 모터 구동용 릴레이를먼저 복귀시키므로 잠시라도 단락되는 일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릴레이를 복귀시킴으로써 상한에서의 정지를 행하기 때문에 정지중에 릴레이의 코일이 통전 상태로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Claims (11)

  1. 흡입 그릴 승강용 모터를 거쳐서 흡입 그릴을 승강가능하게 지지한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 그릴 승강용 모터로의 전원 공급 상태를 절환 조작할 수 있는 조작 스위치를 설치하고,
    상기 흡입 그릴의 하강중에 이 하강 동작이 강제적으로 정지되었을 때에는 승강용 모터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정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스위치는 로터리식 풀 스위치이고, 스위치를 당길 때마다 상기 흡입 그릴이 하강·정지·상승·정지를 순서대로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그릴은 현수 끈에 의해 지지되고, 승강용 모터의 회전에 의해 현수 끈의 발출/권취 동작이 행하여지고 이에 의해 상기 흡입 그릴의 승강 동작이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그릴의 하강중에 상기 현수 끈이 느슨해졌을 때에는 이 현수 끈의 느슨함을 검출하여 상기 승강용 모터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정지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그릴이 상승 위치의 상한에 도달하였을 때 다시 현수 끈의 권취 동작을 소정 시간 계속하는 타이머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용 모터의 운전 전압을 감시하는 감시회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회로에 의해 검출된 승강용 모터의 운전 전압이 소정치 이상인 경우에는 소정 시간 경과한 후에 승강용 모터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그릴의 승강 동작이 일단 정지하였을 때에는 상기 조작 스위치를 재조작할 때까지 정지 상태를 유지하는 정지 유지 회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용 모터의 승강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개의 릴레이로 이루어진 릴레이 회로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용 모터 구동용 릴레이가 먼저 복귀하고 다른 릴레이가 늦게 복귀하도록 릴레이 회로에 지연회로가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용 모터의 승강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개의 릴레이로 이루어진 릴레이 회로가 설치되고, 상기 흡입 그릴이 그 상한 위치에서 정지하였을 때 상기 릴레이 회로 내의 전체 릴레이가 복귀 상태로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
  11. 천장에 매립된 상태로 부착되고, 실내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실내의 공기 조화를 행하는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공기 흡입용 흡입 그릴과,
    상기 흡입 그릴에 일단이 고정된 현수 끈과,
    상기 현수 끈의 타단이 권취된 풀리와,
    상기 풀리를 소정 이상의 부하가 걸리면 공회전시키는 클러치와,
    상기 클러치를 거쳐서 상기 풀리에 연결된 축과,
    상기 축에 연결되어 그 회전 동작에 의해 풀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현수 끈을 발출/권취하여 흡입 그릴을 승강시키는 승강용 모터와,
    상기 흡입 그릴 승강용 모터로의 전원 공급 상태를 절환 조작할 수 있는 조작 스위치와,
    상기 흡입 그릴의 상한 위치를 검출하는 상한 위치 검출 수단과,
    상기 상한 위치 검출 수단이 동작하고 나서 소정 시간을 계수하는 타이머와,
    상기 흡입 그릴이 상한 위치까지 상승하여 상기 타이머가 소정 시간을 계수한 후에 흡입 그릴 승강용 모터를 정지시키는 제어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
KR1019960045579A 1995-10-13 1996-10-12 천장 매립형 공기조화기 KR1004308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207595A JP3507601B2 (ja) 1995-07-04 1995-10-13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95-292075 1995-10-13
JP35108595A JP3523736B2 (ja) 1995-12-25 1995-12-25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95-351085 1995-1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7311A KR970047311A (ko) 1997-07-26
KR100430874B1 true KR100430874B1 (ko) 2004-07-16

Family

ID=26558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5579A KR100430874B1 (ko) 1995-10-13 1996-10-12 천장 매립형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768500B1 (ko)
KR (1) KR100430874B1 (ko)
CN (2) CN1111686C (ko)
DE (1) DE69630091T2 (ko)
ES (1) ES2207662T3 (ko)
PT (1) PT768500E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816B1 (ko) 2006-07-10 2007-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80165B1 (ko) * 2006-04-17 2007-11-27 신정훈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그릴 승강기
KR100787774B1 (ko) * 2007-03-22 2007-12-24 신정훈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그릴과 후크 연결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14187C (zh) * 2003-10-30 2008-08-27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吊顶式空调机的室内机
JP4359124B2 (ja) * 2003-11-20 2009-11-04 三洋電機株式会社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EP1701099B1 (en) * 2003-11-30 2017-10-18 Toshiba Carrier Corporatio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for air conditioner
CN100432548C (zh) * 2004-09-24 2008-11-12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吸顶式空调机的室内机
CN1888691B (zh) * 2005-06-30 2010-08-25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调器升降格栅的控制装置及控制方法
JP3960348B1 (ja) * 2006-02-03 2007-08-1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KR101111728B1 (ko) * 2006-11-20 2012-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0776001B1 (ko) * 2007-01-25 2007-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시스템 에어컨 및 그 제어방법
KR100946652B1 (ko) * 2008-01-21 2010-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4433076B2 (ja) * 2008-02-05 2010-03-1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室内機
JP4433059B2 (ja) * 2008-02-05 2010-03-1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CN101592361B (zh) * 2008-05-26 2013-02-06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调器室内机
JP4488107B2 (ja) * 2008-07-18 2010-06-2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室内機
JP5493495B2 (ja) * 2009-06-23 2014-05-1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CN102734871B (zh) * 2012-07-03 2017-12-26 海尔集团公司 暗藏式空调室内机
CN102920179B (zh) * 2012-11-21 2014-07-02 徐广顺 吊顶柜
CN104566908B (zh) * 2013-10-29 2017-11-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天井机面板
CN104891363A (zh) * 2014-03-05 2015-09-0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升降轮、升降装置以及吸顶式空调器
CN105318501B (zh) * 2015-10-16 2018-08-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天井机回风框的控制方法和装置
CN105864996B (zh) * 2016-04-15 2019-10-01 合肥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空调器、空调器的回风板组件及其控制方法
CN106931616A (zh) * 2017-04-14 2017-07-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面板组件及具有其的空调器
CN107420976B (zh) * 2017-05-10 2023-09-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升降面板用安全装置、升降面板及空调器
CN111365768B (zh) * 2020-04-02 2021-09-03 保定丰和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辅助吸顶式空调安装设备
CN113899031A (zh) * 2021-10-02 2022-01-07 武汉奇人制冷技术有限公司 一种大型中央空调进风口消杀监控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33920A (ja) * 1989-03-03 1990-09-17 Sanyo Electric Co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ユニット
JP3043141B2 (ja) * 1991-11-15 2000-05-22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3051892B2 (ja) * 1995-02-28 2000-06-12 三洋電機株式会社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165B1 (ko) * 2006-04-17 2007-11-27 신정훈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그릴 승강기
KR100725816B1 (ko) 2006-07-10 2007-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87774B1 (ko) * 2007-03-22 2007-12-24 신정훈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그릴과 후크 연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7311A (ko) 1997-07-26
EP0768500A2 (en) 1997-04-16
DE69630091T2 (de) 2004-06-17
DE69630091D1 (de) 2003-10-30
CN1111686C (zh) 2003-06-18
CN1389674A (zh) 2003-01-08
EP0768500A3 (en) 2000-04-05
CN1161435A (zh) 1997-10-08
CN1223805C (zh) 2005-10-19
ES2207662T3 (es) 2004-06-01
EP0768500B1 (en) 2003-09-24
PT768500E (pt) 200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0874B1 (ko) 천장 매립형 공기조화기
EP0947784B1 (en) Controller for air conditioner
KR100458541B1 (ko) 승강패널의승강운동용제어장치및이를구비한천정매립식공기조화기
JP2000161767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CN2365555Y (zh) 进风栅可升降的嵌入式空调器
JP3523736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3507601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3507268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3760449B2 (ja) 空気調和機
CN214478926U (zh) 一种具有温度调节功能的电控柜
JPH102578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3780121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3087740B2 (ja) 天井設置型送風装置のグリル装置
JPH10122592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100725816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H0921545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3034825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H0921546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H06129705A (ja) 昇降式空調用グリル
JP3625593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2001153395A (ja) 空気調和装置
CN210399181U (zh) 一种升降式空调室内机
JP4543497B2 (ja) 電動式シャッター装置
JP2001235213A (ja) 空気調和システム
JPH11159796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