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0093B1 -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0093B1
KR101090093B1 KR1020090016015A KR20090016015A KR101090093B1 KR 101090093 B1 KR101090093 B1 KR 101090093B1 KR 1020090016015 A KR1020090016015 A KR 1020090016015A KR 20090016015 A KR20090016015 A KR 20090016015A KR 101090093 B1 KR101090093 B1 KR 101090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unit
lighting
lamp
ball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6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6922A (ko
Inventor
박병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에스.라이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에스.라이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에스.라이팅
Priority to KR1020090016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0093B1/ko
Publication of KR20100096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6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0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009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에 설치되는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에 있어서,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을 수용하며 공기흡입구 및 공기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덕트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공기필터를 가지고 공기의 유동 경로상에 배치되는 필터부재를 갖는 공기정화유니트와; 상기 공기정화유니트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어 조명등이 장착되는 조명등장착부와, 상기 조명등장착부와 상기 천정 사이에 마련되어 안정기가 장착되는 안정기수용부를 갖는 조명유니트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안정기의 교체 및 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안정기를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게 하여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조명, 공기, 정화

Description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COMPOUND DEVICE FOR LIGHTING AND AIR-CLEANING}
본 발명은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정기의 교체 및 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안정기를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게 하여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장치는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되어 어둠을 밝혀주며 조도를 조절해준다. 조명장치는 설치되는 장소의 크기와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일반적인 조명장치는 조명등과, 실내의 천정에 고정되어 조명등을 지지하는 조명등지지부재를 갖는다.
그러나, 종래의 조명장치는 조명지지부재가 천정에 고정되거나 매입되어 설치되므로, 안정기의 교체나 수리시 조명장치를 천정으로부터 분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외관을 미려하게 하거나 조명등의 조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조명등의 하부에 조명등커버를 장착한 고급스러운 조명장치가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명장치는 안정기가 조명등지지부재와 조명등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서, 반투명한 조명등커버를 통하여 안정기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고급스러운 외관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정기의 교체 및 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안정기를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게 하여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천정에 설치되는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에 있어서,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을 수용하며 공기흡입구 및 공기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덕트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공기필터를 가지고 공기의 유동 경로상에 배치되는 필터부재를 갖는 공기정화유니트와; 상기 공기정화유니트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어 조명등이 장착되는 조명등장착부와, 상기 조명등장착부와 상기 천정 사이에 마련되어 안정기가 장착되는 안정기수용부를 갖는 조명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안정기수용부는 상기 조명등장착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정기수용부는 상기 조명등장착부에 대하여 슬라이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덕트부재의 하부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공기흡입구는 상기 덕트부재의 하부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토출구는 상기 덕트부재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토출구는 상기 덕트부재의 양측면에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정화유니트는 상기 공기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여 토출 거리를 연장하도록 상기 덕트부재의 측면에 결합되는 연장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덕트는 상기 공기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가 유선형의 유동경로를 가지도록 마련되는 굴곡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정기수용부는 공기의 토출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상기 연장덕트의 양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토출구는 상기 조명등장착부와 상기 천정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안정기수용부는 상기 조명등장착부의 모서리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명등은 상기 공기정화유니트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조명유니트는 상기 조명등장착부의 하부에 마련된 조명등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재와 상기 조명등커버 중 적어도 하나를 승강시키는 승강유니트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천정에 설치되는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에 있어서,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을 수용하며 하부영역의 공기를 흡입하여 측방으로 토출하는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공기필터를 가지고 상기 유로상에 배치되는 필터부재를 갖는 공기정화유니트와; 상기 공기정화유니트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어 조명등이 장착되는 조명등장착부와, 상기 조명등장착부와 상기 천정 사이에 마련되어 안정기가 장착되는 안정기수용부를 갖는 조명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정기의 교체 및 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안정기를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게 하여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1)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1)는 천정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정화유니트(100)와, 공기정화유니트(100)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는 조명유니트(200)를 포함한다.
공기정화유니트(100)는 송풍팬(105)과, 천정에 설치되어 송풍팬(105)을 수용하며 공기흡입구(112) 및 공기토출구(113)가 형성되어 있는 덕트부재(110)와, 적어도 하나의 공기필터(160)를 가지고 공기의 유동 경로상에 배치되는 필터부재(1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정화유니트(100)가 사각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고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삼각형, 오각형 등의 다각형 또는 원형의 단면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도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덕트부재(110)는 사각통형상으로 마련되며, 내부에는 송풍팬수용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덕트부재(110)의 하부면에는 공기흡입구(112)가 관통되어 있으며, 측면에는 공기토출구(113)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송풍팬(105)은 송풍팬수용부(111)에 수용되며, 원심팬으로 마련되어 공기흡입구(112)로 흡입된 공기를 공기토출구(113)로 송풍한다. 이에, 덕트부재(110)의 하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양측으로 토출하는 공기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공기토출구(113)는 덕트부재(110)의 양 측면에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송풍팬수용부(111)는 양측이 공기토출구(113)와 연통되어 있으며, 다른 측면은 송풍팬(105)을 감싸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에, 유동하는 공기를 공기를 공기토출구(113)를 통하여 멀리 토출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공기토출구(113)는 공기를 방사상으로 토출하도록 덕트부재(110)의 사방 측면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덕트부재(110)의 상부영역에는 덕트부재(110)를 커버하며, 덕트부재(110)를 천정에 대하여 지지하는 덕트지지부(115)가 마련되어 있다. 덕트지지부(115)는 덕트부재(110)를 커버하는 덕트커버(115a)와, 덕트커버(115a)와 천정에 상호 체결되어 덕트부재(110)를 천정에 대하여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15b)을 포함한다.
덕트부재(110)의 하부 판면에는 필터부재(120)가 장착되는 필터부재장착 부(117)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필터부재장착부(117)에는 필터부재(120)가 수용 및 이탈된다. 필터부재장착부(117)는 덕트부재(110)의 하부판면으로부터 돌출된다. 필터부재장착부(117)의 외측에는 후술하는 조명지지부재(210)가 결합된다.
필터부재(120)는 공기흡입구(112)와 연통된 공기유입구(132)가 형성되어 있는 필터커버(130)와, 필터커버(13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공기필터(16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필터프레임(150)을 더 포함한다.
공기필터(160)는 필터프레임(150)의 하부영역에 배치되는 제1필터(161)와, 제1필터(161)의 상부영역에 배치되는 제2필터(16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필터는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비교적 큰 먼지를 제거하는 프리필터로 마련되며, 제2필터(165)는 제1필터(161)의 상부영역에 장착되어 각종 부가기능을 하는 기능필터로 마련된다.
기능필터는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필터와, 전기적 작용으로 먼지를 모으는 집진필터와, 동에 의해 공기를 살균하는 동필터, 은나노 효과를 이용하여 먼지를 정화하는 은나노필터,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헤파필터, 카본필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필터(165)는 2가지 이상의 기능필터로 마련될 수도 있다.
공기정화유니트(100)는 공기토출구(113)로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여 토출 거리를 연장하도록 덕트부재(110)의 측면에 결합되는 연장덕트(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장덕트(180)는 공기토출구(113)와 연통되는 통형상으로 마련된다.
연장덕트(180)는 공기토출구(113)로 토출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개구(181)와, 유입개구(181)로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개구(183)를 갖는 다.
연장덕트(180)는 공기토출구(113)로 토출되는 공기가 유선형의 유동경로를 가지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덕트(180)는 공기토출구(113)로 토출되는 공기 중 상부영역의 공기를 하부로 안내하도록 유선형의 굴곡부(185)를 갖는다. 이러한 연장덕트(180)는 공기토출구(113)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 거리를 연장하여 공기를 더욱 멀리 토출할 수 있게 한다. 이에, 실내의 공기순환 경로를 크게 하여 실내 전체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굴곡부에 의하여 토출개구의 높이가 유입개구 보다 낮게 마련되므로, 굴곡부(185)까지 천정에 매입할 수 있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조명유니트(200)는 공기정화유니트(100)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어 조명등(221)을 지지하는 조명지지부재(210)를 포함한다. 조명유니트(200)는 조명지지부재(210)의 하부에 마련되는 조명등커버(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명지지부재(210)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등(221)이 장착되는 조명등장착부(220)와, 조명등장착부(220)와 천정 사이에 마련되어 안정기(235)가 장착되는 안정기수용부(230)를 갖는다.
조명등장착부(220)는 중앙영역에 공기정화유니트(100)가 배치되는 관통부(223)를 갖는 사각판 형상으로 마련된다. 조명등장착부(220)는 덕트부재(110)와 필터부재(120) 사이의 높이에 배치된다. 조명등장착부(220)는 덕트부재(110)의 하부영역에 결합된다. 여기서, 관통부(223)의 크기는 덕트부재(110)에 비하여 작으며, 필터부재(120)에 비하여 크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덕트부재(110) 에 마련된 필터부재장착부(117)를 조명등장착부(220)의 관통부(223)에 관통시켜 덕트부재(110)와 조명등장착부(220)를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덕트부재(110)와 조명등장착부(220)는 스크루, 리벳, 핀 등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호 체결된다. 그러나, 조명등장착부(220)는 별도의 장착프레임(미도시)에 의하여 천정에 결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조명등장착부(220)에는 공기정화유니트(100)의 둘레를 따라 4개의 조명등이 장착되도록 4개의 조명등결합부(225)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조명등결합부(225)의 개수는 3개 이하 또는 5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조명등(221)은 조명등장착부(220)의 하부영역에 배치된다.
조명등장착부(220)의 상부영역에는 연장덕트(180)가 배치되는 연장덕트수용부(227)가 형성되어 있으며, 연장덕트수용부(227)의 양측에는 안정기수용부(230)가 장착되는 안정기장착부(229)가 형성되어 있다. 즉, 안정기수용부(230)는 공기의 토출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연장덕트(180)의 양측에 배치된다. 여기서, 안정기장착부(229)는 조명등장착부(220)의 각 모서리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안정기(235)를 조명등장착부(220)의 상부에 배치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연장덕트(180)에는 연장덕트수용부(227)에 형성된 결합홈(228)에 끼움결합되도록 결합돌기(187)가 마련되어 있다.
안정기수용부(230)는 안정기(235)를 수용하도록 상측이 개구된 통형상으로 마련되며, 안정기수용부(230)에 수용된 안정기(235)는 조명등장착부(220)를 사이에 두고 조명등(2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안정기수용부(230)는 조명등장착 부(22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안정기수용부(230)는 안정기장착부(229)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마련하였다. 그러나, 안정기수용부(230)는 안정기장착부(229)에 나사, 핀, 리벳 등에 의하여 체결될 수도 있다. 이에, 조명유니트(100)를 분해하지 않고, 안정기수용부(230)만을 조명등장착부(220)로부터 분리하여 안정기(235)를 교체하거나 수리할 수 있게 된다.
조명유니트(200)는 안정기수용부(230)의 상부영역을 커버하는 안정기커버(237)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1)는 승강유니트(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유니트(300)는 필터부재(120)와 조명등커버(240) 중 적어도 하나를 승강시킨다.
승강유니트(300)는 덕트부재(110)와 필터부재(120)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제1승강부(310)와, 조명지지부재(210)와 조명등커버(240)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제2승강부(350)를 갖는다. 그러나, 승강유니트(300)는 제1승강부(310)와 제2승강부(350) 중 어느 하나로만 마련될 수도 있다.
제1승강부(310)와 제2승강부(350)는 일반적으로 천정에 장착되어 승강하는 프로젝터의 승강구조, 와이어와 구동모터 구조, '자바라'라는 용어로 통칭되는 절첩식 구조, 실린더 구조, 웜과 웜기어 구조, 래크와 피니언 구조, 벨트와 벨트풀리 구조 등 다양한 구조를 적용하여 마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정기(235)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안정기(235)를 조명지지부재(210)와 천정 사이에 장착시킴으로써, 외 관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안정기(235)를 천정에 매입하지 않음으로써, 안정기(235)의 교체 및 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안정기(235)의 교체 및 수리시 조명등장착부(220)로부터 안정기수용부(230)만을 분리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필터부재(120)를 승강 가능하게 마련함으로써 공기필터(160)의 청소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조명등커버(240)를 승강 가능하게 마련함으로써 조명등(221)의 청소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의 조명유니트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의 조명유니트와 공기정화유니트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결합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의 제1승강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의 제2승강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 105 : 송풍팬
110 : 덕트부재 120 : 필터부재
130 : 필터커버 150 : 필터프레임
160 : 공기필터 180 : 연장덕트
200 : 조명유니트 210 : 조명지지부재
220 : 조명등장착부 230 : 안정기수용부
240 : 조명등커버 300 : 승강유니트
310 : 제1승강부 350 : 제2승강부

Claims (12)

  1. 천정에 설치되는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에 있어서,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을 수용하며 공기흡입구 및 공기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덕트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공기필터를 가지고 공기의 유동 경로상에 배치되는 필터부재를 갖는 공기정화유니트와;
    상기 공기정화유니트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어 조명등이 장착되는 조명등장착부와, 상기 조명등장착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조명등장착부와 상기 천정 사이에 마련되어 안정기가 장착되는 안정기수용부를 갖는 조명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기수용부는 상기 조명등장착부에 대하여 슬라이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덕트부재의 하부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공기흡입구는 상기 덕트부재의 하부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토출구는 상기 덕트부재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토출구는 상기 덕트부재의 양측면에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유니트는 상기 공기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여 토출 거리를 연장하도록 상기 덕트부재의 측면에 결합되는 연장덕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덕트는 상기 공기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가 유선형의 유동경로를 가지도록 마련되는 굴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기수용부는 공기의 토출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상기 연장덕트의 양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
  9. 제1항,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토출구는 상기 조명등장착부와 상기 천정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안정기수용부는 상기 조명등장착부의 모서리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은 상기 공기정화유니트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
  11. 제1항,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유니트는 상기 조명등장착부의 하부에 마련된 조명등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재와 상기 조명등커버 중 적어도 하나를 승강시키는 승강유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
  12. 천정에 설치되는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에 있어서,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을 수용하며 하부영역의 공기를 흡입하여 측방으로 토출하는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공기필터를 가지고 상기 유로상에 배치되는 필터부재를 갖는 공기정화유니트와;
    상기 공기정화유니트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어 조명등이 장착되는 조명등장착부와, 상기 조명등장착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조명등장착부와 상기 천정 사이에 마련되어 안정기가 장착되는 안정기수용부를 갖는 조명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
KR1020090016015A 2009-02-25 2009-02-25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 KR101090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015A KR101090093B1 (ko) 2009-02-25 2009-02-25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015A KR101090093B1 (ko) 2009-02-25 2009-02-25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6922A KR20100096922A (ko) 2010-09-02
KR101090093B1 true KR101090093B1 (ko) 2011-12-09

Family

ID=43004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6015A KR101090093B1 (ko) 2009-02-25 2009-02-25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00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240B1 (ko) * 2018-12-05 2019-05-22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조명일체 천정형 공기청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44459A (zh) * 2014-03-03 2015-02-11 百思美净化技术(上海)有限公司 一种吊顶式空气净化器
CN104214862A (zh) * 2014-09-03 2014-12-17 苏州艾尔新净化科技有限公司 一种吸顶照明空气净化一体机
CN104154621A (zh) * 2014-09-03 2014-11-19 苏州艾尔新净化科技有限公司 一种烟气过滤型吸顶照明空气净化一体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7411Y1 (ko) 2002-12-23 2003-03-15 만도공조 주식회사 조명장치가 장착된 천장형 에어컨
KR100458541B1 (ko) 1996-08-08 2005-06-13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승강패널의승강운동용제어장치및이를구비한천정매립식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541B1 (ko) 1996-08-08 2005-06-13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승강패널의승강운동용제어장치및이를구비한천정매립식공기조화기
KR200307411Y1 (ko) 2002-12-23 2003-03-15 만도공조 주식회사 조명장치가 장착된 천장형 에어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240B1 (ko) * 2018-12-05 2019-05-22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조명일체 천정형 공기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6922A (ko) 2010-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11729B2 (ja) 空気清浄機
KR101842003B1 (ko) 천정형 공기청정기
CN100350193C (zh) 通风和空气净化装置
KR101176565B1 (ko) Led 조명 기능이 구비된 천장 부착형 공기청정기
KR101178201B1 (ko)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
KR101090093B1 (ko)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
KR101035010B1 (ko)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
KR102382238B1 (ko) 자외선램프와 기능성 필터가 내장된 공기 살균정화기
CN108826490A (zh) 一种多功能家用空气净化装置
KR20170040498A (ko) 360도 전방향 공기순환 및 밀폐성능을 구현한 공기청정기
KR200395665Y1 (ko) 공기정화장치가 부설된 등기구 커버
KR101981240B1 (ko) 조명일체 천정형 공기청정기
KR200318800Y1 (ko) 전등기구 일체형 천장부착 공기청정기
CN210035228U (zh) 具有空气净化结构的照明灯具
CN101078540A (zh) 空调器的室内机
KR20060082597A (ko) 조명등 조립체
CN205878389U (zh) 一种净化暖风一体机
KR20150121031A (ko) 실내 공기 정화 장치
KR102381515B1 (ko) 천정형 공기청정기
KR102667530B1 (ko) 공기청정기능을 가지는 천정 등기구
KR102402755B1 (ko) 천정형 공기청정기
CN205402955U (zh) 层叠式新风净化机
CN219976353U (zh) 一种具备过滤功能的风扇灯
CN219827282U (zh) 净化风扇
KR20230060219A (ko) 실내공기 정화 및 살균기능을 갖는 등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