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665Y1 - 공기정화장치가 부설된 등기구 커버 - Google Patents

공기정화장치가 부설된 등기구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665Y1
KR200395665Y1 KR20-2005-0012335U KR20050012335U KR200395665Y1 KR 200395665 Y1 KR200395665 Y1 KR 200395665Y1 KR 20050012335 U KR20050012335 U KR 20050012335U KR 200395665 Y1 KR200395665 Y1 KR 2003956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door
air purifier
luminaire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23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현덕
Original Assignee
공현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현덕 filed Critical 공현덕
Priority to KR20-2005-00123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6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6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6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등의 커버에 공기정화장치를 설치하여 실내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게 한 공기정화장치가 부설된 등기구 커버에 관한 것이다.
실내 조명을 위해 천장에 설치되는 등기구(1) 하부에 조립되는 등기구 커버(3)에 있어서, 상기 등기구 커버(3)에 공기정화장치(4)를 결합 설치하여 구성되며, 상기 등기구 커버(3)에 공기의 유통을 위한 덕트(31)를 형성하고, 상기 덕트(31)의 중앙에 상기 덕트(31)와 연통되는 흡입구(32)를 형성하며, 상기 흡입구(32)의 내측에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팬(5)을 설치하고, 상기 송풍팬(5)의 전면에 흡입구(32)내로 흡입되는 공기로부터 먼지나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공기정화부(40)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공기정화장치(4)는, 자연적 대류현상에 의한 실내 공기의 흐름이 집중되는 최적의 위치 즉, 실내의 조명을 위해 설치되는 천장 중앙의 등기구 커버에 부설되어 있고 또 공기정화장치(4)에 의한 공기의 강제적 흐름방향이 자연적 대류에 의한 실내공기의 흐름과 일치함에 따라 실내 공기의 흐름을 가속화시켜 결국 전체 실내 공기의 순환을 활성화시키게 됨에 따라 실내 전체의 공기를 골고루 정화시킬 수 있으며 그로인하여 공기 정화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종래와 같이 실내의 바닥이나 벽쪽에 필요했던 공기 정화장치의 설치 공간이 전혀 필요치 않으므로 넓은 실내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또 확보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공기정화기가 등기구 커버에 설치됨에 따라 필터이 청소나 교체 등의 공기정화장치의 유지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기정화장치가 부설된 등기구 커버{Lamp cover have an air cleaner}
본 고안은 등기구 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등기구 커버에 공기정화장치를 설치하여 실내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게 한 공기정화장치가 부설된 등기구 커버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공기정화기는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의 전면 또는 후면에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필터를 구비하여 송풍팬의 흡입력에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를 통해 공기중에 포함된 각종 먼지나 유해물질을 걸러낸 후 다시 실내로 환원시켜 실내의 공기를 정화시키는 메커니즘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공기 정화기는 대부분 실내의 공간 확보를 위해 구석이나 벽면에 근접시켜 설치하게 되는데, 이는 결코 바람직한 설치방법이 아니다.
즉, 실내의 공기 대류현상에 의해 실내 바닥면을 거치면서 덥혀진 후 상승하고 냉각 후 하강하는 사이클을 가지며, 특히 상승 기류는 전체적 흐름을 볼 때 실내의 중앙부로 집중되어 상승한 후 천장에 머무르면서 냉각되고 이어서 각 벽체쪽으로 이동하여 벽체를 따라 바닥으로 하강하는 순환동작을 하게 된다.
그렇지만 종래의 공기 정화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실내의 구석이나 벽면과 같이 특정부위에 편재되게 설치됨에 따라 자연적 대류현상과는 무관하게 송풍팬에 의한 강제 순환식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시키게 되므로 고성능의 송풍팬을 장착하더라도 실내의 전체 공기를 순환시켜 정화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공기의 정화효율은 공기 정화기 부근에 그치고 있을 뿐 실내 전체의 공기를 정화시키기에는 역부족인 단점이 있다.
물론 상기한 단점들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기 정화기의 설치 위치는 실내의 공간활용이라는 측면을 고려할 그리고 실내 인테리어 측면을 고려할 때 그설치 위치가 현실적으로 실내의 중앙이 될 수 없고 벽이나 구석이 될 수밖에 없는 위치적 제한이 따르기 때문에 그 단점을 해소할 수가 없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대류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실내의 자연적 공기 순환 작용을 백분 활용하여 실내 전체의 공기를 효율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고, 또 설치공간이나 실내 인테리어적 미관에 전혀 영향을 주지않으면서도 설치가 가능한 고효율 공기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실내 조명을 위해 천장에 설치되는 등기구 하부에 조립되는 등기구 커버에 공기정화장치를 결합 설치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도 1 는 본 고안에 따른 전등을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요부인 전등의 커버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 배선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중앙부 천장에 조명을 위해 설치되는 등기구(1)는 램프(2)의 결합을 위한 소켓(11)과 안정기(12) 등이 설치되며, 그 하부에는 등기구(1)의 내부를 가려주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커버(3)가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고안은 상기 등기구 커버(3)에 공기정화장치(4)를 부설한 것으로써, 상기 등기구 커버(3)에 공기정화장치(4)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상기 커버(3)에 공기가 유통될 수 있게 하는 덕트(31)를 형성하고, 상기 덕트(31)의 중앙 일 측, 즉, 커버(3)를 등기구(1)에 부착했을 때 바닥면을 향하는 커버(3) 전면 측에 상기 덕트(31)와 연통되는 흡입구(32)를 형성하며, 상기 흡입구(32)의 내측에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팬(5)을 설치시키고, 송풍팬(5)의 전면에 흡입구(32)내로 흡입되는 공기로부터 불순물을 걸려내는 공기정화부(40)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공기정화장치(4)의 전원은 등기구(1)로부터 인출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전원선에 콘넥터를 설치하여 등기구커버(3)의 결합시 상기 콘넥터와 연결시킴으로 전원을 공급받는다. 그리고 상기 덕트(31)와 흡입구(32), 송풍팬(5) 및 공기정화부(40) 등은 등기구(1)의 구조 및 형상에 따라 램프의 빛을 발산하는데 지장이 없는 위치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공기정화부(40)를 구성함에 있어 본 고안의 도면에는 상기 공기정화부(40)가 필터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즉, 송풍팬(5)의 전면에 유해가스와 냄새를 제거하는 활성탄(카본)필터(43)와, 미세입자를 제거하는 헤파(HEPA) 필터(42)와, 공기 중의 굵은 먼지를 제거하는 프리필터(또는 미디엄필터)(41)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필터부를 설치하며, 필터부의 전면에 필터부를 흡입구(32)상에 고정 결합시키는 그릴(33)을 설치시켜 구성되는 것이다.(그릴(33)의 커버 결합은 영구자석을 이용한 자력부착, 스냅핀을이용한 스냅결합 또는 나사결합 등의 방식을 채택할 수 있음)
물론 상기 공기정화부(40)는 다양한 방식의 것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정전기를 이용하여 집진을 하는 전기집진방식 또는 맑은 산속이나 바닷가 ,계곡 등에 많이 분포되어 있는 음이온을 대량으로 방출해 공기를 정화시키는 음이온 발생방식 및 필터방식장점과 전기집진방식의 장점을 모두 활용할 수 있는 복합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3)에는 전등(2)과 공기정화장치(4)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판넬(35)이 설치되며, 이러한 제어판넬(35)에는 전등(2)과 공기정화장치(4)를 온/오프 시키는 스위치 및 각 장치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등과, 원격조정을 위한 적외선 수신부(일반적으로 널리 활용되는 각종 수신부를 통칭함) 상기 수신부에 입력된 신호에 따라 공기정화장치를 제어하는 콘트롤러 등이 구성된다.
미설명부호 t는 공기정화기(fan)전압트랜스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제어판넬(35)을 통하여 공기정화장치(4)를 동작시키게 되면 대류현상에 의해 상승되는 공기를 송풍팬(5)으로 흡입하고, 흡입된 오염공기는 공기정화부(40)를 구성하는 각각의 필터 즉, 공기 중의 굵은 먼지를 제거하는 프리필터(또는 미디엄필터)(41)와 미세입자를 제거하는 헤파(HEPA) 필터(42) 및 유해가스와 냄새를 제거하는 활성탄(카본)필터(43)를 거치면서 오염물질이 제거되며, 정화된 청정 공기는 덕트(31)를 거쳐 커버(3)의 양측으로 배출된다.
특히 본 고안 공기 정화장치의 설치위치상 송풍팬에 의해 강제적으로 순환되는 공기흐름 방향이 자연적 대류현상에 의해 진행되는 실내의 공기흐름 방향에 순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자연적 대류현상에 의한 실내 공기흐름을 가속화시켜 결국 실내공기의 순환이 활성화됨에 따라 실내 전체의 공기를 골고루 정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공기정화장치는, 자연적 대류현상에 의한 실내 공기의 흐름이 집중되는 최적의 위치 즉, 실내의 조명을 위해 설치되는 천장 중앙의 등기구 커버에 부설되어 있고 또 공기정화장치에 의한 공기의 강제적 흐름방향이 자연적 대류에 의한 실내공기의 흐름과 일치함에 따라 실내 공기의 흐름을 가속화시켜 결국 전체 실내 공기의 순환을 활성화시키게 됨에 따라 실내 전체의 공기를 골고루 정화시킬 수 있으며 그로인하여 공기 정화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종래와 같이 실내의 바닥이나 벽쪽에 필요했던 공기 정화장치의 설치 공간이 전혀 필요치 않으므로 넓은 실내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또 확보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공기정화기가 등기구 커버에 설치됨에 따라 필터이 청소나 교체 등의 공기정화장치의 유지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 는 본 고안에 따른 등기구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등기구 커버 요부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등기구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등기구 2 - 램프
3 - 커버 4 - 공기정화장치
11 - 소켓 12 - 안정기
31 - 덕트 32 - 흡입구
40 - 공기정화부

Claims (4)

  1. 실내 조명을 위해 천장에 설치되는 등기구(1) 하부에 조립되는 등기구 커버(3)에 있어서,
    상기 등기구 커버(3)에 공기정화장치(4)를 결합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가 부설된 등기구 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장치(4)는,
    상기 등기구 커버(3)의 저면에 흡입구(32)를 형성하고,
    상기 흡입구(32)와 연통되면서 상기 흡입구(32)로 유입된 공기를 측방으로 유통시키는 덕트(31)를 형성하고,
    상기 흡입구(32)의 내측에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팬(5)을 설치하고,
    상기 송풍팬(5)의 전방에 흡입구(32)내로 흡입되는 공기로부터 먼지나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공기정화부(40)를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가 부설된 등기구 커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부(40)는,
    유해가스와 냄새를 제거하는 활성탄(카본)필터(43)와,
    미세입자를 제거하는 헤파(HEPA) 필터(42)와,
    공기 중의 굵은 먼지를 제거하는 프리필터(또는 미디엄필터)(4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가 부설된 등기구 커버.
  4. 삭제
KR20-2005-0012335U 2005-05-02 2005-05-02 공기정화장치가 부설된 등기구 커버 KR2003956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335U KR200395665Y1 (ko) 2005-05-02 2005-05-02 공기정화장치가 부설된 등기구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335U KR200395665Y1 (ko) 2005-05-02 2005-05-02 공기정화장치가 부설된 등기구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665Y1 true KR200395665Y1 (ko) 2005-09-13

Family

ID=43696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2335U KR200395665Y1 (ko) 2005-05-02 2005-05-02 공기정화장치가 부설된 등기구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66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971B1 (ko) 2007-02-01 2007-05-18 (주)유진씨엔이 건축물의 천정에 설치되는 방향기능을 가진 전등
KR200454857Y1 (ko) * 2009-11-03 2011-08-01 중앙산업주식회사 공기조화기가 일체로 구비된 형광등 조립체
KR101355643B1 (ko) 2012-07-12 2014-01-29 (주)솔라루체 공기 청정 융합 led 램프 장치
KR20180017612A (ko) * 2016-08-10 2018-02-21 이희준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조명등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971B1 (ko) 2007-02-01 2007-05-18 (주)유진씨엔이 건축물의 천정에 설치되는 방향기능을 가진 전등
KR200454857Y1 (ko) * 2009-11-03 2011-08-01 중앙산업주식회사 공기조화기가 일체로 구비된 형광등 조립체
KR101355643B1 (ko) 2012-07-12 2014-01-29 (주)솔라루체 공기 청정 융합 led 램프 장치
KR20180017612A (ko) * 2016-08-10 2018-02-21 이희준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조명등
KR101980073B1 (ko) * 2016-08-10 2019-05-22 이희준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조명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2340B2 (en) Air purifier for removing particles or contaminants from air
KR101842003B1 (ko) 천정형 공기청정기
KR100601363B1 (ko) 대류현상을 이용한 실내부유먼지집진장치
KR200395665Y1 (ko) 공기정화장치가 부설된 등기구 커버
KR101178201B1 (ko)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
KR101185250B1 (ko) 공기청정기
CN108826490A (zh) 一种多功能家用空气净化装置
KR20080026466A (ko) 공기청정기
KR101880051B1 (ko) 자외선 엘이디가 구비된 공기청정기
KR101761383B1 (ko) 자외선 엘이디가 구비된 공기청정기
KR101090093B1 (ko)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
KR20210000954U (ko) 공기청정 조명등
KR101877911B1 (ko) 멀티 공기청정시스템
TWI816891B (zh) 空氣清淨裝置
KR100519301B1 (ko) 환기기능을 겸비한 벽걸이형 공기청정기
KR20030026797A (ko) 폭포형 데코레이션 기능을 갖는 공기 청정기
KR200318800Y1 (ko) 전등기구 일체형 천장부착 공기청정기
KR102667530B1 (ko) 공기청정기능을 가지는 천정 등기구
KR20150121031A (ko) 실내 공기 정화 장치
KR100669026B1 (ko) 공기정화장치
KR102402755B1 (ko) 천정형 공기청정기
KR100677722B1 (ko) 형광등기구
KR20240057684A (ko) 공기청정기능을 가지는 천정 등기구
KR100519300B1 (ko) 공기청정기
CN220750095U (zh) 一种具有等离子空气净化功能的台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