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9971B1 - 건축물의 천정에 설치되는 방향기능을 가진 전등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천정에 설치되는 방향기능을 가진 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9971B1
KR100719971B1 KR1020070010430A KR20070010430A KR100719971B1 KR 100719971 B1 KR100719971 B1 KR 100719971B1 KR 1020070010430 A KR1020070010430 A KR 1020070010430A KR 20070010430 A KR20070010430 A KR 20070010430A KR 100719971 B1 KR100719971 B1 KR 100719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body
fixed
hole
wall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0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철
Original Assignee
(주)유진씨엔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진씨엔이 filed Critical (주)유진씨엔이
Priority to KR1020070010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99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9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9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fa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21S9/03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the solar unit being separate from the lighting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3Ceiling bases, e.g. ceiling r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8Ventilat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등에 방향제를 놓을 수 있는 방향박스체를 설치하고, 방향박스체에서 전구의 불빛에 의하여 작동하는 팬이 동작하여 휘발된 방향제의 냄새를 전등 외부로 강제 송풍하여 천정에서 아래로 방향제의 냄새를 전달하게 하는 건축물의 천정에 설치되는 방향기능을 가진 전등에 관한 것이며, 건축물 천정에 고정되는 박스체(11)의 중앙에 전구설치공간부(12)가 형성되고, 전구설치공간부(12)의 양쪽으로 격벽(14)에 의하여 각각 방향박스체설치공간부(13)가 형성되며, 방향박스체설치공간부(13)가 형성되는 외측벽(18)에 다수개의 통공(15)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통공(15)의 일측에 손잡이홀(16)이 형성되며, 격벽(14)의 하단이 전구설치공간부(12)쪽으로 절곡되어 태양전지고정판(19)이 형성되고, 하부의 개방구에 전등커버(2)가 고정되는 하우징(10); 사각의 판체(21)에 통공(22)이 다수개 형성되고, 판체(21)의 일측단에 전방으로 돌출되는 손잡이(23)가 형성되어 손잡이홀(16)에 삽입되며, 통공(22)은 하우징(10)의 통공(15)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좌우 이동하면서 하우징(10)의 통공(15)을 개폐하는 개폐도어(20); 내부에 방향제수납공간(33)이 형성된 사각의 박스체(31)의 일측이 개방되어 도어(34)가 힌지로 고정되고, 외측벽(18)쪽에 있는 벽면에 다수개의 통공(32)이 형성되며, 반대편 벽면에 다수개의 공기유입홀(36)과 팬설치홀(37)이 형성되는 방향박스체(30); 몸체(40)의 일측단에 상하로 돌출되게 격벽고정부(42)가 형성되어 방향박스체설치공간부(13)에서 격벽(14)에 고정되고, 몸체(40)의 타단 하부가 수평으로 돌출되어 박스고정부(43)가 형성되며, 박스고정부(43)에 방향박스체(30)의 하부 일측이 고정되는 격벽측브라켓(40); 수직판부(51)의 일측면에 수평으로 수평판부(52)가 형성되고, 하우징(10)의 내측에서 외측벽(18)에 수직판부(51)가 고정되며, 수평판부(52)에 방향박스체(30)의 하부 타측이 고정되며, 수직판부(51)의 상단에 개폐도어(20)가 지지되는 외측벽측브라켓(50); 격벽측브라켓(40)의 몸체(41) 상면에 위치하여 격벽고정부(42)에 고정되고, 모터축(62)에 연결되는 팬(61)이 팬설치홀(37)을 통해 방향박스체(30)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60); 상하에 고정브라켓(72)이 형성되어 전구(1)에 수직되도록 기울어져 태양전지고정판(16)에 고정되고, 전선(71)으로 격벽(14)에 형성된 전선홀(17)을 통해 모터(60)에 연결되는 태양전지(70); 방향제수납공간(33)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방향제(8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방향제, 전등, 태양전지, 개폐도어, 모터

Description

건축물의 천정에 설치되는 방향기능을 가진 전등{An electric lamp have facalty of direction using houses}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물의 천정에 설치되는 방향기능을 가진 전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건축물의 천정에 설치되는 방향기능을 가진 전등에서 전등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건축물의 천정에 설치되는 방향기능을 가진 전등의 일부 절개된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건축물의 천정에 설치되는 방향기능을 가진 전등의 일부 절개된 상태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건축물의 천정에 설치되는 방향기능을 가진 전등의 방향박스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건축물의 천정에 설치되는 방향기능을 가진 전등의 방향박스체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건축물의 천정에 설치되는 방향기능을 가진 전등을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건축물의 천정에 설치되는 방향기능을 가진 전등을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건축물의 천정에 설치되는 방향기능을 가진 전등을 도시한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건축물의 천정에 설치되는 방향기능을 가진 전등에서 개폐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건축물의 천정에 설치되는 방향기능을 가진 전등을 도시한 도 10의 A부 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전구 2 : 전등커버
10 : 하우징 11 : 박스체
12 : 전구설치공간부 13 : 방향박스체설치공간부
14 : 격벽 15 : 통공
16 : 손잡이홀 17 : 전선홀
18 : 외측벽 19 : 태양전지고정판
20 : 개폐도어 21 : 판체
22 : 통공 23 : 손잡이
30 : 방향박스체 31 : 박스체
32 : 통공 33 : 방향제수납공간
34 : 도어 35 : 걸쇠
36 : 공기유입홀 37 : 팬설치홀
40 : 격벽측브라켓 41 : 몸체
42 : 격벽고정부 43 : 박스고정부
44 : 걸고리 50 : 외측벽측브라켓
51 : 수직판부 52 : 수평판부
60 : 모터 61 : 팬
62 : 모터축 70 : 태양전지
71 : 전선 72 : 고정브라켓
80 : 방향제
본 발명은 건축물의 천정에 설치되는 방향기능을 가진 전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등에 방향제를 놓을 수 있는 방향박스체를 설치하고, 방향박스체에서 전구의 불빛에 의하여 작동하는 팬이 동작하여 휘발된 방향제의 냄새를 전등 외부로 강제 송풍하여 천정에서 아래로 방향제의 냄새를 전달하게 하는 건축물의 천정에 설치되는 방향기능을 가진 전등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에는 야간에 조명을 위한 전등이 항상 설치되는 데, 이러한 전등은 단지 전등으로서만 기능을 할 뿐 별도의 기능이 제한되어 있다.
그리고 근래에는 실내에 발생하는 안좋은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방향제를 놓아두고 사용하는데, 방향제의 특성상 높은 곳에서 아래로 내려오는 것이 가장 바람 직하지만 일반적으로 탁자 위에 방향제 병을 놓아두고 자연 발생적으로 증발하는 향의 냄새를 집안에 퍼지게 하는 방식으로 사용한다.
통상적으로 건축물의 내부에는 주거하는 사람에 의한 다양한 냄새가 발생하고, 이러한 냄새는 주거하는 사람이나 방문하는 사람에게 불편함을 준다. 특히 야간에는 대부분 생활에 의한 냄새나 음식물 냄새가 건축물 내부를 채우기 때문에 쾌적한 환경을 위하여 집안에 다양한 향이 나는 방향제를 두고 사용한다.
이러한 향기는 정신을 맑게 하는 역할을 하거나, 심신을 안정시키는 등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향기를 이용하여 집안의 냄새를 없애거나 거주하는 사람의 심신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방향제 용기에 담아 탁자나 식탁등에 올려놓아 사용하지만 방향제 용기를 놓을만한 적당한 곳이 없고, 방향제의 냄새는 직접적으로 맡는 것보다 은은하게 퍼져서 나는 것이 효과적이지만 대부분 근접한 곳에서 방향되어 아래 방향으로 퍼져 없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효과적으로 방향이 되지 않고, 용기가 사람에 의하여 자주 간섭되어 깨지거나 아이들이 오인하여 먹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실내의 가장 높은 곳에 있는 전등에 방향제를 설치하고, 전등을 켜면 자동적으로 방향제가 실내에 퍼지게 하는 건축물의 천정에 설치되는 방향기능을 가진 전등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태양전지에 전구의 빛이 조사되면 자동으로 전기가 발생되어 모터를 돌리게 하여 방향제를 외부로 강제 송풍하게 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집안의 가장 높은 곳에 있는 전등에 설치하여 전등의 빛과 높은 곳에 있는 위치를 잘 조화시켜 이용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건축물 천정에 고정되는 박스체의 중앙에 전구설치공간부가 형성되고, 전구설치공간부의 양쪽으로 격벽에 의하여 각각 방향박스체설치공간부가 형성되며, 방향박스체설치공간부가 형성되는 외측벽에 다수개의 통공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통공의 일측에 손잡이홀이 형성되며, 격벽의 하단이 전구설치공간부쪽으로 절곡되어 태양전지고정판이 형성되고, 하부의 개방구에 전등커버가 고정되는 하우징; 사각의 판체에 통공이 다수개 형성되고, 판체의 일측단에 전방으로 돌출되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손잡이홀에 삽입되며, 통공은 하우징의 통공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좌우 이동하면서 하우징의 통공을 개폐하는 개폐도어; 내부에 방향제수납공간이 형성된 사각의 박스체의 일측이 개방되어 도어가 힌지로 고정되고, 외측벽쪽에 있는 벽면에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며, 반대편 벽면에 다수개의 공기유입홀과 팬설치홀이 형성되는 방향박스체; 몸체의 일측단에 상하로 돌출되게 격벽고정부가 형성되어 방향박스체설치공간부에서 격벽에 고정되고, 몸체의 타단 하부가 수평으로 돌출되어 박스고정부가 형성되며, 박스고정부에 방향박스체의 하부 일측이 고정되는 격벽측브라켓; 수직판부의 일측면에 수평으로 수평판부가 형성되고, 하우징의 내측에서 외측벽에 수직판부가 고정되며, 수평판부에 방향박스체의 하부 타측이 고정되며, 수직판부의 상단에 개폐도어가 지지되는 외측 벽측브라켓; 격벽측브라켓의 몸체 상면에 위치하여 격벽고정부에 고정되고, 모터축에 연결되는 팬이 팬설치홀을 통해 방향박스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 상하에 고정브라켓이 형성되어 전구에 수직되도록 기울어져 태양전지고정판에 고정되고, 전선으로 격벽에 형성된 전선홀을 통해 모터에 연결되는 태양전지; 방향제수납공간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방향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천정에 설치되는 방향기능을 가진 전등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되지 않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전구(1)가 설치되도록 천정에 고정되는 하우징(10) 양측으로 방향박스체설치공간부(13)를 형성하고, 하우징(10)의 외측벽(18)에 통공(15)을 형성하여 방향박스설치공간부(13)에 내장된 방향제(80)에서 발생되는 향기가 외부로 나오게 하며, 방향박스설치공간부(13)에 태장전지(70)와 연결된 모터(60)에 의해 돌아가는 팬(61)이 강제 송풍시키게 하는 것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하우징(10)은 건축물 천정에 고정되는 것으로, 사각의 박스체(11)의 중앙에 전구설치공간부(12)가 형성되고, 전구설치공간부(12)의 양쪽으로 격벽(14)에 의하 여 각각 방향박스체설치공간부(13)가 형성된다.
방향박스체설치공간부(13)가 형성되는 외측벽(18)에 다수개의 통공(15)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통공(15)의 일측에 손잡이홀(16)이 형성된다. 이러한 통공(15)은 수직으로 긴 장공으로 이루어져 통상 통공(15)의 폭만큼 이격되어 여러개 형성된다. 격벽(14)의 하단이 전구설치공간부(12)쪽으로 절곡되어 태양전지고정판(19)이 형성되고, 하부의 개방구에 전등커버(2)가 고정된다. 그리고 격벽(14)에는 태양전지(70)와 연결되는 전선(71)이 통과하기 위한 전선홀(17)이 형성된다.
개폐도어(20)는 사각의 판체(21)에 통공(22)이 다수개 형성되고, 판체(21)의 일측단에 전방으로 돌출되는 손잡이(23)가 형성되어 손잡이홀(16)에 삽입된다. 이 통공(22)은 하우징(10)의 통공(15)과 동일한 형상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개폐도어(20)가 수평이동할때, 하우징(10)의 통공(15)과 개폐도어(20)의 통공(22)이 일치되면 내부의 향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하우징(10)의 통공(15)을 개폐도어(20)의 통공(22) 사이 판체(21)가 막고 있으면 방향박스체(30) 내부의 향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한다.
그리고 개폐도어(20)는 후술할 외측벽측브라켓(50)의 수직판부(51) 상단에 지지되어 좌우 이동하게 된다.
방향박스체(30)는 내부에 방향제수납공간(33)이 형성된 사각의 박스체(31)의 일측이 개방되어 도어(34)가 힌지로 고정된다. 도어(34)의 일측은 힌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걸쇠(35)가 형성되어 도어(34)가 닫힌채로 고정할 수 있다.
하우징(10)의 외측벽(18)쪽에 있는 박스체(31) 벽면에 다수개의 통공(32)이 형성되고, 통공(32)은 전술한 하우징(10)과 개폐도어(20)에 형성된 통공(15)(22)과 동일 크기와 위치로 형성된다. 방향박스체(30)가 고정될때 하우징(10)의 통공(15)과 같은 위치에 통공(32)이 위치하도록 고정된다.
박스체(31)의 통공(32)과 대향되는 벽면에 다수개의 공기유입홀(36)이 형성되고, 그 하측으로 팬설치홀(37)이 형성된다. 공기유입홀(36)은 모터(60)에 의하여 팬(61)이 작동되었을 때, 외부로 보내지는 공기와 향기를 대신하여 내부에 공기를 채우기 위하여 형성되어 향기가 더욱 잘 송풍되게 한다.
방향박스체(30)는 격벽측브라켓(40)과 외측벽측브라켓(50)에 의하여 방향박스체설치공간부(13)에 고정된다.
격벽측브라켓(40)은 몸체(40)의 일측단에 상하로 돌출되게 격벽고정부(42)가 형성되어 방향박스체설치공간부(13)에서 격벽(14)에 고정되고, 몸체(40)의 타단 하부가 수평으로 돌출되어 박스고정부(43)가 형성된다. 박스고정부(43)에 방향박스체(30)의 하부 일측이 볼트 등으로 고정되고, 몸체(40)의 상면에 모터(60)가 놓여져 격벽고정부(42)에 모터(60)가 고정된다. 그리고 몸체(40)의 측단부에 걸고리(44)가 형성되어 도어(34)가 닫혔을 때 도어(34)의 걸쇠(35)가 걸리게 된다.
외측벽측브라켓(50)은 수직판부(51)의 일측면에 수평으로 수평판부(52)가 일체로 형성되고, 하우징(10)의 내측에서 외측벽(18)에 수직판부(51)가 고정된다.
수평판부(52)에 방향박스체(30)의 하부 타측이 고정되고, 수직판부(51)의 상단에 개폐도어(20)가 지지되게 된다.
모터(60)는 격벽측브라켓(40)의 몸체(41) 상면에 위치하여 격벽고정부(42)에 고정되고, 모터축(62)에 연결되는 팬(61)이 팬설치홀(37)을 통해 방향박스체(30)의 내부에 설치된다. 팬(61)은 모터(60)의 모터축(62)과 나사결합으로 고정되고, 이는 팬(61)을 먼저 방향박스체(30)의 내부에 삽입하여 팬설치홀(37)을 통해 모터축(62)과 고정한다.
태양전지(70)는 상하에 고정브라켓(72)이 형성되어 전구(1)에 수직되도록 기울어지게 태양전지고정판(16)에 고정된다. 태양전지(70)와 연결되는 전선(71)은 격벽(14)에 형성된 전선홀(17)을 통해 모터(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반도체에 빛이 입사하면 흡수되어 빛과 반도체를 구성하고 있는 물질과의 상호 작용이 일어난다. 그리고 (-) 전하와 (+) 전하를 띤 전자와 정공(전자가 빠져나간 것)이 발생하여 전류가 흐르거나 전기 그 자체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것을 반도체의 광전 효과라고 한다. 반도체에는 (-) 전하를 띤 전자를 끌어당기는 n형 반도체와 (+)전하를 띠는 정공을 끌어당기는 p형 반도체의 두 종류가 있는데, 태양전지(70)는 이 두 가지를 접합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에서 발생한 (-) 전하는 n형 반도체 쪽으로, (+) 전하는 p형 반도체 쪽으로 끌어당겨져 각각 양쪽의 전극부에 모여 마치 건전지와 같은 상태가 되는 것이다.
양쪽의 전극을 전선으로 연결하면 전기가 흐르므로 전력을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 전하와 (-) 전하는 결국 같은 수가 된다. 그러므로 빛이 있는 한 발전은 멈추지 않는다. 즉 빛을 받으면 pn 접합을 가진 반도체 속에서 빛과 물질의 상호 작용이 일어나 (+) 전하와 (-) 전하가 발생하고, 그 전하를 밖으로 방출함으로써 전기가 흐르고 그 에너지로 모터를 회전시키거나 전등을 켤 수 있다.
따라서 태양 전지는 태양의 빛뿐만 아니라 형광등의 빛도 전기로 바꿀 수 있다.
방향제(80)는 일반적인 용기에 담겨져 방향박스체(30)의 내부인 방향제수납공간(33)에 삽입되어 설치되는데, 다양한 종류의 향기를 담은 방향제를 사용하여 집안의 분위기를 바꿀 수 있다.
따라서 전등을 켜면 태양전지(70)가 발전하여 전기를 모터(60)로 보내 팬(61)이 회전되고, 회전되는 팬(61)에 의하여 방향박스체(30)의 내부에 자연 휘발된 향기가 통공을 통해 외부로 송풍되어 실내를 향기롭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방향제를 천정에 있는 전등에 설치하여 집안 전체에 퍼져 방향의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고, 전등이 켜질 때 강제 송풍되어 집안 전체에 기분좋은 냄새를 퍼지게 하는 효과가 있다.
강제 송풍을 전등에서 발생하는 빛에너지를 이용하기 때문에 별도로 건전지를 갈아야 하는 불편함이 없는 효과가 있다.
개폐도어에 의해 방향의 양을 조절할 수 있고, 전등이 켜지지 않는 낮동안은 자연적인 휘발에 의한 향기가 통공을 통해 내려와 은은한 방향이 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아이들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방향제가 설치되므로 아이가 방향제를 먹게 되는 문제를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건축물 천정에 고정되는 박스체(11)의 중앙에 전구설치공간부(12)가 형성되고, 전구설치공간부(12)의 양쪽으로 격벽(14)에 의하여 각각 방향박스체설치공간부(13)가 형성되며, 방향박스체설치공간부(13)가 형성되는 외측벽(18)에 다수개의 통공(15)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통공(15)의 일측에 손잡이홀(16)이 형성되며, 격벽(14)의 하단이 전구설치공간부(12)쪽으로 절곡되어 태양전지고정판(19)이 형성되고, 하부의 개방구에 전등커버(2)가 고정되는 하우징(10);
    사각의 판체(21)에 통공(22)이 다수개 형성되고, 판체(21)의 일측단에 전방으로 돌출되는 손잡이(23)가 형성되어 손잡이홀(16)에 삽입되며, 통공(22)은 하우징(10)의 통공(15)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좌우 이동하면서 하우징(10)의 통공(15)을 개폐하는 개폐도어(20);
    내부에 방향제수납공간(33)이 형성된 사각의 박스체(31)의 일측이 개방되어 도어(34)가 힌지로 고정되고, 외측벽(18)쪽에 있는 벽면에 다수개의 통공(32)이 형성되며, 반대편 벽면에 다수개의 공기유입홀(36)과 팬설치홀(37)이 형성되는 방향박스체(30);
    몸체(40)의 일측단에 상하로 돌출되게 격벽고정부(42)가 형성되어 방향박스체설치공간부(13)에서 격벽(14)에 고정되고, 몸체(40)의 타단 하부가 수평으로 돌출되어 박스고정부(43)가 형성되며, 박스고정부(43)에 방향박스체(30)의 하부 일측이 고정되는 격벽측브라켓(40);
    수직판부(51)의 일측면에 수평으로 수평판부(52)가 형성되고, 하우징(10)의 내측에서 외측벽(18)에 수직판부(51)가 고정되며, 수평판부(52)에 방향박스체(30)의 하부 타측이 고정되며, 수직판부(51)의 상단에 개폐도어(20)가 지지되는 외측벽측브라켓(50);
    격벽측브라켓(40)의 몸체(41) 상면에 위치하여 격벽고정부(42)에 고정되고, 모터축(62)에 연결되는 팬(61)이 팬설치홀(37)을 통해 방향박스체(30)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60);
    상하에 고정브라켓(72)이 형성되어 전구(1)에 수직되도록 기울어져 태양전지고정판(16)에 고정되고, 전선(71)으로 격벽(14)에 형성된 전선홀(17)을 통해 모터(60)에 연결되는 태양전지(70);
    방향제수납공간(33)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방향제(8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천정에 설치되는 방향기능을 가진 전등.
KR1020070010430A 2007-02-01 2007-02-01 건축물의 천정에 설치되는 방향기능을 가진 전등 KR100719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0430A KR100719971B1 (ko) 2007-02-01 2007-02-01 건축물의 천정에 설치되는 방향기능을 가진 전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0430A KR100719971B1 (ko) 2007-02-01 2007-02-01 건축물의 천정에 설치되는 방향기능을 가진 전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9971B1 true KR100719971B1 (ko) 2007-05-18

Family

ID=38277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0430A KR100719971B1 (ko) 2007-02-01 2007-02-01 건축물의 천정에 설치되는 방향기능을 가진 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997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29759A (zh) * 2014-02-12 2014-06-04 苏州金螳螂建筑装饰股份有限公司 新型一体式回光灯槽式窗帘盒
CN105401602A (zh) * 2015-12-15 2016-03-16 重庆亘宇园林景观工程有限公司 齿轮齿条式窨井盖
CN107062095A (zh) * 2017-06-15 2017-08-18 牛卜 海底世界幽蓝风铃夜灯
CN108968521A (zh) * 2018-07-09 2018-12-11 汤巧干 一种车展用方便多方位展示的汽车展示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0140A (ja) 1996-08-07 1998-02-20 Tec Corp 空気清浄機能付き照明器具
JPH11306853A (ja) 1998-04-24 1999-11-05 Hideo Suyama 天井取り付け空気清浄機付照明器具
KR200395665Y1 (ko) 2005-05-02 2005-09-13 공현덕 공기정화장치가 부설된 등기구 커버
KR20060082597A (ko) * 2005-01-13 2006-07-19 동 규 김 조명등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0140A (ja) 1996-08-07 1998-02-20 Tec Corp 空気清浄機能付き照明器具
JPH11306853A (ja) 1998-04-24 1999-11-05 Hideo Suyama 天井取り付け空気清浄機付照明器具
KR20060082597A (ko) * 2005-01-13 2006-07-19 동 규 김 조명등 조립체
KR200395665Y1 (ko) 2005-05-02 2005-09-13 공현덕 공기정화장치가 부설된 등기구 커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29759A (zh) * 2014-02-12 2014-06-04 苏州金螳螂建筑装饰股份有限公司 新型一体式回光灯槽式窗帘盒
CN105401602A (zh) * 2015-12-15 2016-03-16 重庆亘宇园林景观工程有限公司 齿轮齿条式窨井盖
CN107062095A (zh) * 2017-06-15 2017-08-18 牛卜 海底世界幽蓝风铃夜灯
CN108968521A (zh) * 2018-07-09 2018-12-11 汤巧干 一种车展用方便多方位展示的汽车展示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9971B1 (ko) 건축물의 천정에 설치되는 방향기능을 가진 전등
US4568521A (en) Solar-powered aroma generator
WO2018082134A1 (zh) 灭蚊虫灯
US6502347B1 (en) Lighted insect trap
CN101836624B (zh) 环保型灭蚊器
WO2018083625A1 (en) Lamp for eliminating insects
CN209898087U (zh) 防蚊驱蚊灯
CN210519888U (zh) 一种捕虫装置
CN206572480U (zh) 一种夜间使用的低亮光驱蚊灯具
JP2006230706A (ja) マイナスイオン発生器
CN105423223A (zh) 可驱蚊的太阳能灯具
KR20140036604A (ko) 에어 드랍 방식의 포충 장치
CN210076389U (zh) 一种多功能灭蚊灯
KR100766399B1 (ko) 가로등
KR101265473B1 (ko) 파리 박멸 기능을 갖는 쓰레기통 뚜껑
CN209926209U (zh) 一种带有捕虫器的太阳能路灯
KR200208577Y1 (ko) 살균 및 탈취를 위한 오존발생장치
CN102310976B (zh) 多功能垃圾箱
CN201674899U (zh) 无噪音多功能捕蚊灯
CN214178768U (zh) 一种灭蚊灯
CN110762469A (zh) 具有灭蚊虫功能的太阳能路灯
CN2883924Y (zh) 全自动型室外环保节能灯
CN214801842U (zh) 一种家用灭蚊灯
CN210406805U (zh) 一种太阳能杀虫照明两用灯
CN220981316U (zh) 一种具有防虫抗干扰的光伏灯控制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