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7280B1 - 자동차의 클러치용 해제 베어링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클러치용 해제 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7280B1
KR102657280B1 KR1020207036237A KR20207036237A KR102657280B1 KR 102657280 B1 KR102657280 B1 KR 102657280B1 KR 1020207036237 A KR1020207036237 A KR 1020207036237A KR 20207036237 A KR20207036237 A KR 20207036237A KR 102657280 B1 KR102657280 B1 KR 102657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axial
end section
inner ring
rad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6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1860A (ko
Inventor
옌스 바우만
다니엘 크노이어
Original Assignee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210031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1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2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12Mechanical clutch-actuating mechanisms arranged outside the clutch as such
    • F16D23/14Clutch-actuating sleeves or bearings; Actuating members directly connected to clutch-actuating sleeves or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 F16C19/1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 F16C19/16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a single row of balls
    • F16C19/163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a single row of balls with angular conta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6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78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 F16C33/7869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mounted with a cylindrical portion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race and having a radial portion extending inward
    • F16C33/7873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mounted with a cylindrical portion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race and having a radial portion extending inward with a single sealing ring of generally L-shaped cross-section
    • F16C33/7876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mounted with a cylindrical portion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race and having a radial portion extending inward with a single sealing ring of generally L-shaped cross-section with sealing 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6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78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 F16C33/7869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mounted with a cylindrical portion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race and having a radial portion extending inward
    • F16C33/7879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mounted with a cylindrical portion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race and having a radial portion extending inward with a further sealing ring
    • F16C33/7883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mounted with a cylindrical portion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race and having a radial portion extending inward with a further sealing ring mounted to the inner race and of generally L-shape, the two sealing rings defining a sealing with box-shaped cross-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6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78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 F16C33/7886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mounted outside the gap between the inner and outer races, e.g. sealing rings mounted to an end face or outer surface of a r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6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80Labyrinth sealings
    • F16C33/805Labyrinth sealings in addition to other sealings, e.g. dirt guards to protect sealings with sealing 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61/00Apparatus or articles in engineering in general
    • F16C2361/43Clutches, e.g. disengaging b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00Special features for couplings or clutches
    • F16D2300/08Details or arrangements of seal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 F16D3/84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 링(12) 및 외부 링(16)을 갖는 해제 베어링(10)에 관한 것으로, 상기 링들 사이에는 구름체들(24)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내부링은 반경 방향으로 내향된 내부 링 플랜지(34)를 구비하고, 이러한 내부링 플랜지에는 슬리브형 스냅 링(36)이 할당되어 있다. 상기 내부 링의 다른 단부는 단부 섹션(38)을 구비하고, 이러한 단부 섹션에는 프리로드 스프링 홀더 링(40)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외부 링은 축 방향 단부 섹션(46)을 구비하고, 이러한 축 방향 단부 섹션은 상기 내부 링의 단부 섹션(38)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단부 섹션(46)의 반경 내부면(44)에는 링 형상의 밀봉 부재(50)가 고정되어 있고, 이 밀봉 부재의 밀봉 립(52)은 반경 방향으로 내부를 향하여 돌출하고, 상기 내부 링의 단부 섹션(38)의 반경 방향 외부면(56)에 인접한다. 상기 밀봉 부재(50)는 축 방향 레그(62) 및 반경 방향 레그(64)를 갖는 보강 부재(60)를 구비하여 제공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밀봉 부재의 반경 방향 레그(64)의 반경 방향 내부 단부 섹션(66)과 상기 내부 링(12)의 축 방향 단부 섹션(38)의 정면(68) 사이에 축 방향 갭(A)이 존재하고, 상기 반경 방향 레그(64)의 반경 방향 내부 단부 섹션(66)과 프리로드 스프링 홀더 링(40)의 축 방향으로 내향된 돌출부(80) 사이에 반경 방향 갭(R)이 존재하며, 상기 반경 방향 레그(64)의 반경 방향 내부 단부 섹션(66)은 상기 내부 링의 축 방향 단부 섹션(38)의 정면(68)을 반경 방향 내측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클러치용 해제 베어링
본 발명은 자동차의 클러치용 해제 베어링에 관한 것으로, 이 해제 베어링은 내부 링, 상기 해제 베어링의 길이방향 중심축 및 상기 내부 링을 동축으로 둘러싸는 외부 링 및 내부 링 궤도 와 외부 링 궤도 상에서 구르는 볼 형상의 구름체들을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내부 링은 반경 방향으로 내향되는 내부 링 플랜지를 가지며, 이 내부 링 플랜지에 슬리브형 스냅 링이 할당되어 있고, 상기 스냅 링은 클러치의 체결 및 해제를 위한 작동 장치와 상호 작용하며, 이 경우 상기 내부 링의 다른 축 방향 단부는 동축으로 정렬되는 단부 섹션을 갖고, 상기 단부 섹션에는 프리로드 스프링 홀더 링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외부 링은 반경 방향으로 상기 내부 링의 동축으로 정렬된 단부 섹션 상에 배치된 축 방향 단부 섹션을 갖고, 그리고 상기 외부 링의 축 방향 단부 섹션의 반경 방향 내부면에 링 형상의 밀봉 부재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 밀봉 부재의 밀봉 립은 반경 방향으로 내향하여 돌출하고, 상기 내부 링의 축 방향 단부 섹션의 반경 방향 외부면에 인접한다.
수동 변속기 또는 자동화된 기계식 수동 변속기를 갖는 자동차들에서 기계식 마찰 디스크 클러치들은 내연 기관과 변속기 간의 힘 흐름을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변속단 전환을 이용하여 변속기의 변속비를 자동차의 변경된 주행 상태에 적합하게 조정하기 위해서는, 힘 흐름을 중단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계식 클러치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이 기계식 클러치와 클러치 액추에이터 사이에 배치된 해제 베어링이 널리 사용된다. 이와 같은 해제 베어링은 직접적으로 풋페달을 이용하거나 간접적으로 유압식 또는 공압식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작동될 수 있다.
다수의 해제 베어링은 이러한 해제 베어링의 보관, 운반 및/또는 조립 시 해제 베어링의 분해를 방지하기 위해 분실 방지 수단들을 구비한다. 이 경우 분실 방지의 구현은 추가적인 구조적 부품들을 필요로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해제 베어링들의 내부 링과 외부 링이 분실 방지부로서 작은 궤도 돌출을 갖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궤도 융기부는 비교적 많은 제조 비용을 들여서만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과제는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으면서 추가적인 구조적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조립된 상태에서 분해가 방지되는 해제 베어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은 청구항 1의 특징들을 갖는 해제 베어링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개선 예들은 종속항들에 정의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차의 클러치용 해제 베어링으로부터 시작하며, 이 해제 베어링은 내부 링, 상기 해제 베어링의 길이방향 중심축 및 상기 내부 링을 동축으로 둘러싸는 외부 링 및 내부 링 궤도와 외부 링 궤도 상에서 구르는 볼 형상의 구름체들을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내부 링은 반경 방향으로 내향되는 내부 링 플랜지를 가지며, 이 내부 링 플랜지에 슬리브형 스냅 링이 할당되어 있고, 상기 스냅 링은 클러치의 체결 및 해제를 위한 작동 장치와 상호 작용하며, 이 경우 상기 내부 링의 다른 축 방향 단부는 동축으로 정렬되는 단부 섹션을 갖고, 상기 단부 섹션에는 프리로드 스프링 홀더 링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외부 링은 반경 방향으로 상기 내부 링의 동축으로 정렬된 단부 섹션 상에 배치된 축 방향 단부 섹션을 갖고, 그리고 상기 외부 링의 축 방향 단부 섹션의 반경 방향 내부면에 링 형상의 밀봉 부재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 밀봉 부재의 밀봉 립은 반경방향으로 내향하여 돌출하고, 상기 내부 링의 축 방향 단부 섹션의 반경 방향 외부면에 인접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밀봉 부재는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축 방향 레그 및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배향되는 반경 방향 레그를 갖는 프로파일형 보강 부재를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밀봉 부재의 반경 방향 레그의 반경 방향 내부 자유 단부 섹션과 내부 링의 축 방향 단부 섹션의 정면 사이에는 축 방향 갭이 존재하고, 이 경우 상기 밀봉 부재의 반경 방향 레그의 반경 방향 내부 자유 단부 섹션과 프리로드 스프링 홀더 링의 축 방향으로 내향된 슬리브형 돌출부 사이에 반경 방향 갭이 존재하며, 그리고 이 경우 상기 밀봉 부재의 반경 방향 레그의 반경 방향 내부 자유 단부 섹션은 내부 링과 외부 링 간의 축 방향 분실 방지를 보장하기 위해 상기 내부 링의 축 방향 단부 섹션의 정면을 반경 방향으로 내측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다.
이를 통해, 내부 링은 축 방향으로 외부 링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보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실 방지는 해제 베어링의 내부 공간을 밀봉하기 위해 어떠한 경우라도 제공되어야 할 밀봉 부재를 제외하고 추가 부품들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동일한 작용을 하는 분실 방지를 구현하기 위해 높은 비용 하에 궤도 연삭에 의해서만 제조되는 내부 링 궤도 및/또는 외부 링 궤도의 돌출이 생략될 수 있다. 다만 예컨대 폴리싱, 호닝 또는 래핑에 의한 궤도 가공은 여전히 필수적이다.
이러한 해제 베어링의 바람직한 개선 예에 따르면, 밀봉 부재의 밀봉 립은 적어도, 밀봉 부재의 보강 부재의 반경 방향 레그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뻗은 내부면의 영역 내에 형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밀봉 립의 신뢰할 수 있는 축 방향 지지와 해제 베어링의 내부 공간의 효과적인 밀봉이 제공된다. 반경 방향 레그는 기계적으로 최대한 하중을 수용할 수 있는 반경 방향 레그에 대한 밀봉 립의 연결을 달성하기 위해, 축 방향 리세스들 및/또는 통과부들 또는 관통부들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밀봉 부재의 보강 부재의 축 방향 레그는 외부 링의 축 방향 단부 섹션의 반경 방향으로 내향된 그리고 프리로드 스프링 홀더 링을 향해 축 방향으로 개방된 링 홈에 고정되고, 특히 압입될 수 있다. 그 결과, 밀봉 부재가 해제 베어링의 외부 링에 간단하고 신속하며 이와 동시에 기계적으로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 보장된다.
다른 바람직한 개선 예에 따르면, 밀봉 부재의 보강 부재의 축 방향 레그는 반경 방향으로 외부에 있고 적어도 국부적으로 형성된 코팅을 갖고 있다. 이러한 코팅에 의해서는, 한편으로 외부 링 내부에서 보강 부재의 기계적으로 견고한 안착이 보장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적인 코팅에 의해서는 해제 베어링의 외부 환경에 대한 해제 베어링의 내부 공간의 우수한 밀봉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코팅으로 인하여 유리한 진동 댐핑 효과가 얻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코팅은 보강 부재의 축 방향 레그의 축 방향 내향 단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싼다. 이를 통해, 코팅과 보강 부재의 축 방향 레그 사이에 탁월한 기계적 연결이 얻어진다.
추가의 형성 예에 따르면, 코팅은 축 방향 섹션과 반경 방향 섹션 사이에서 뻗은, 밀봉 부재의 보강 부재의 각 섹션까지 연장된다. 그 결과, 축 방향으로 설치 공간을 증대시키지 않고도 보강 부재의 축 방향 레그와 코팅 사이에 기계적 연결이 더욱 강화된다. 각 섹션의 영역 내에서 코팅은 바람직하게는 감소된 재료 두께를 갖는다.
바람직한 개선 예에 따르면, 밀봉 립 및/또는 보강 부재의 코팅은 각각 플라스틱, 예컨대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엘라스토머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된 엘라스토머 플라스틱의 탄력성에 의해 밀봉 부재의 뛰어난 밀봉 효과가 얻어진다. 이에 대안적으로, 특히 코팅은 열가소성 및/또는 열경화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플라스틱은 엘라스토머와 마찬가지로 적어도 국부적으로 선택적 섬유 보강물을 구비할 수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형성 예에 따르면, 코팅 및/또는 밀봉 립은 각각 내장형으로 보강 부재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밀봉 부재는 대량 생산에 적합하고, 높은 치수 정확도 및 비교적 낮은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 코팅 및 밀봉 립은 천연 고무, 고무 등과 같은 고무 재료를 보강 부재에 가황하여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징들을 갖는 해제 베어링의 또 다른 유리한 개선 예에 따르면, 프리로드 스프링 홀더 링의 슬리브형 돌출부는 축 방향으로 단부측에서 내부 링의 축 방향 단부 섹션의 반경 방향으로 내향된 그리고 원주형 내부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를 통해 해제 베어링의 내부 링에서 프리로드 스프링 홀더 링이 기계적으로 확실하게 안착됨과 동시에 제조 기술적으로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는 방식으로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밀봉 부재의 보강 부재는 금속으로 구성된다. 이로부터, 밀봉 부재 및 해제 베어링의 높은 기계적 안정성이 얻어지고, 밀봉 부재의 보강 부재가 판재 성형 부품으로서 제조 기술적으로 간단하고 비용 효과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성형 공정 이전 또는 이후에 예컨대, 절단 또는 천공과 같은 추가 작업 단계가 필수적이다.
후속해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제 베어링의 부분 종단면도이고,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컷 아웃 II를 상당히 확대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해제 베어링(10)은 자동차의 마찰 디스크 클러치(미도시)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해제 베어링은 내부 링(12) 및 이러한 내부 링을 둘러싸는 외부 링(16)을 구비하고, 이러한 2개의 링은 해제 베어링의 길이방향 중심축(14)에 대해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2개의 베어링 링(12, 16) 사이에는 케이지(22) 내에서 안내되는 볼 형상의 구름체들(24)이 배치되어 있고, 이러한 구름체들은 내부 링 궤도(18)와 외부 링 궤도(20) 상에서 구른다. 상기 궤도들(18, 20)은 거의 사분원 모양으로 그리고 요선 홈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부 링(16)의 반경 방향 내향 플랜지(28)의 대략 원형 링 형상의 정면(26)에는 자동차의 마찰 디스크 클러치(미도시)의 멤브레인 스프링(32)의 스프링 텅(30)이 인접한다.
반경 방향 내향 내부 링 플랜지(34)에는 슬리브형 스냅 링(36)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스냅 링은 추가로 스프링 텅과 이격되어 축 방향으로 내부 링 플랜지(34)에 인접한다. 스냅 링(36)은 예컨대, 유압식 또는 공압식 액추에이터와 같은 미도시된 작동 장치와 상호 작용하여, 클러치의 체결 및 해제를 가능하게 한다.
길이방향 중심축(14)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내부 링(12)의 축 방향 자유 단부 섹션(38)에는 추가로 프리로드 스프링 홀더 링(40)이 배치되어 있고, 이 프리로드 프링 홀더 링은 미도시된 프리로드 스프링을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프리로드 스프링은 공지된 방식으로 내부 링(12)을 구름체들(24)을 통하여 외부 링(16) 방향으로 가압한다.
마찬가지로 길이방향 중심축(14)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외부 링(16)의 축 방향 단부 섹션(46)의 반경 방향 내부면(44)에는 링 형상의 밀봉 부재(50)가 배치되어 있다. 밀봉 부재(50)는 밀봉 립(52)을 구비하고, 이 밀봉 립은 반경 방향으로 내부에서 단부측 밀봉 에지(54)를 갖는다. 상기 밀봉 에지(54)는 내부 링(12)의 축 방향 단부 섹션(38)의 원주형 외부면(56)에 인접한다. 밀봉 부재(50)에 의해서는 2개의 베어링 링(14, 16)에 의해 제한되는 해제 베어링(10)의 내부 공간(58)이 특히 프리로드 스프링 홀더 링(40)의 방향으로부터 작용하는 유체 및/또는 이물질에 대해 밀봉되어 있다.
밀봉 부재(50)는 거의 L형상의 횡단면 구조를 갖는 프로파일형 보강 부재(60)를 갖는다. 상기 보강 부재(60)의 축 방향 레그(62)는 길이방향 중심축(14)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반면, 반경 방향으로 내향된 반경 방향 레그(64)는 기본적으로 길이방향 중심축(14)에 대해 수직으로 배향되어 있다.
필수 부품 수와 관련하여 중립적인, 내부 링(12)과 외부 링(16) 간의 축 방향 분실 방지를 보장하기 위해, 보강 부재(60)의 반경 방향 레그(64)의 반경 방향 자유 단부 섹션(66)은 내부 링(12)의 축 방향 단부 섹션(38)의 축 방향 정면(68)을 적어도 국부적으로 덮거나, 상기 반경 방향 자유 단부 섹션은 반경 방향 내향으로 상기 정면(68)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상기 정면(68)은 길이방향 중심축(14)에 대해 수직 또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밀봉 부재(50)의 밀봉 립(52)은 적어도, 보강 부재(60)의 반경 방향 레그(64)의, 반경 방향으로 정렬된 내부면(70)의 영역 내에 형성되어 있다.
밀봉 부재(50)의 보강 부재(60)의 축 방향 레그(62)는, 축 방향으로 정렬되고 그리고 프리로드 스프링 홀더 링(40) 쪽으로 향하는 축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링 홈(76) 내에 고정되어 있으며, 특히 이러한 링 홈 내에 압입되어 있다. 적어도, 보강 부재(60)의 축 방향 레그(62)는 반경 방향 외부에서 그리고 적어도 국부적으로 코팅(78)을 갖는다. 이러한 코팅(78)은 열가소성 및/또는 열경화성 라스토머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다. 더 나아가 코팅(78)은 기계적 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해 섬유 보강물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코팅(78)은 고무, 천연 고무, 실리콘 등으로 구현되어 있다. 코팅(78)뿐만 아니라 밀봉 부재(50)도 바람직하게는 보강 부재(60)에 내장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예컨대 보강 부재(60)에 고무 혼합물을 가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보강 부재(60)는 바람직하게는 고체 금속(solid metal), 특히 적합한 치수를 갖는 시트 패널로부터 분리되어 적절하게 성형된 판재로 형성되어 있다.
프리로드 스프링 홀더 링(40)의 슬리브형 또는 거의 중공 실린더형 돌출부(80)는 단부측에서 내부 링(12)의 축 방향 단부 섹션(38)의 반경 내향된 그리고 원주형 내부면(82)에 고정되어 있고, 특히 이러한 내부면 상에 가압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컷 아웃 II를 상당히 확대한 도면을 도시한다. 해제 베어링(10)의 내부 공간(58)을 밀봉하기 위한 밀봉 부재(50)는 이러한 밀봉 부재의 축 방향 레그(62)에 의해 외부 링(16)의 축 방향 레그(46)의 링 홈(76) 내에 압입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밀봉 부재(50)는 전술한 탄성 밀봉 립(52)을 갖고, 이러한 밀봉 립의 밀봉 에지(54)는 내부 공간(58)을 밀봉하기 위해 해제 베어링(10)의 내부 링(12)의 축 방향 단부 섹션(38)의 원통형 외부면(56)에서 연삭 방식으로 지지된다. 밀봉 립(52)은 밀봉 부재(50)의 보강 부재(60)의 반경 방향 레그(64)의 반경 방향으로 배향된 내부면(7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가황되어 있다.
밀봉 부재(50)의 보강 부재(60)의 반경 방향 섹션(64)과 축 방향 섹션(62) 사이에는 직각으로 원호형으로 만곡된 각 섹션(90)이 형성됨으로써, 보강 부재(60)는 거의 L형상의 횡단면 구조를 갖는다.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외부에 있는, 밀봉 부재(50)의 보강 부재(60)의 코팅(78)은 축 방향 레그(62)의 축 방향 내향 단부(92)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보강 부재(60)의 각 섹션(90) 안까지 연장된다. 축 방향 레그(62)의 축 방향 내향 단부(92)는 코팅(78)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여 있는데, 더 정확히 말하면 코팅(78)이 전술한 축 방향 단부(92)를 적어도 국부적으로 오버랩하는 방식으로 덮여 있다.
프리로드 스프링 홀더 링(40)은 슬리브형 돌출부(80)를 이용하여 내부 링(12)의 축 방향 단부 섹션(38)의 원주형 반경 방향 내부면(82)에 특히 압입 또는 이와 유사한 방식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고정은 양측의 축 방향 맞물림에 의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반경 방향 레그(64)의 반경 방향 내부 자유 단부 섹션(66)과 프리로드 스프링 홀더 링(40)의 슬리브형 돌출부(80) 사이에는 좁은 반경 방향 갭(R)이 존재한다. 또한, 반경 방향 레그(64)의 자유 단부 섹션(66)과 내부 링(12)의 축 방향 단부 섹션(38)의 축 방향 정면(68) 사이에는 작은 축 방향 갭(A)이 존재한다. 이 경우 상기 축 방향 갭(A)과 반경 방향 갭(R)은 거의 동일한 폭을 갖는다. 이 경우 적어도 밀봉 부재(50)의 보강 부재(60)의 반경 방향 레그(64)의 재료 두께(M)는 실질적으로 축 방향 갭(A)과 반경 방향 갭(R)의 폭에 대응한다.
이로써 얻어진, 보강 부재(60)의 반경 방향 레그(64)와 내부 링(12)의 축 방향 단부 섹션(38)의 정면(68) 사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경 방향인 중첩(94)으로 인하여, 내부 링은 해제 베어링(10)의 외부 링(16)의 내부에서 분실 방지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를 위해서는 별도의 부품들이 필요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밀봉 부재(50)가 적어도 일 측에서 해제 베어링(10)의 내부 공간(58)을 프리로드 스프링 홀더 링(40)의 방향으로부터 유체 및/또는 이물질의 예기치 않은 유입을 방지하고 이와 동시에 내장형 분실 방지부로서 역할을 하는 이중 기능을 가지므로, 또 다른 추가적인 구조상의 부품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실 방지부는 축 방향으로 가급적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10 : 해제 베어링
12 : 내부 링
14 : 해제 베어링의 길이방향 중심축
16 : 외부 링
18 : 내부 링 궤도
20 : 외부 링 궤도
22 : 케이지
24 : 구름체
26 : 외부 링에 있는 반경 방향 플랜지의 정면
28 : 외부 링에 있는 반경 방향 플랜지
30 : 스프링 텅
32 : 멤브레인 스프링
34 : 내부 링 플랜지
36 : 슬리브형 스냅 링
38 : 내부 링의 축 방향 단부 섹션
40 : 프리로드 스프링 홀더 링
44 : 외부 링의 축 방향 단부 섹션의 내부면
46 : 외부 링의 축 방향 단부 섹션
50 : 밀봉 부재
52 : 밀봉 립
54 : 밀봉 에지
56 : 내부 링의 축 방향 단부 섹션의 외부면
58 : 해제 베어링의 내부 공간
60 : 보강 부재
62 : 보강 부재의 축 방향 레그
64 : 보강 부재의 반경 방향 레그
66 : 반경 방향 레그의 자유 단부 섹션
68 : 내부 링의 축 방향 단부 섹션의 정면
70 : 반경 방향 레그의 내부면
76 : 외부 링의 축 방향 단부 섹션에 있는 축방향으로 개방된 링 홈
78 : 코팅
80 : 프리로드 스프링 홀더 링의 슬리브형 돌출부
82 : 내부 링의 축 방향 단부 섹션의 내부면
90 : 보강 부재의 각 섹션
92 : 축 방향 레그의 축 방향 내향 단부
94 : 중첩, 중첩 영역
A 축 방향 갭
M 반경 방향 레그의 재료 두께
R 반경 방향 갭

Claims (10)

  1. 자동차의 클러치용 해제 베어링(10)으로서, 내부 링(12), 상기 해제 베어링(10)의 길이방향 중심축(14)과 내부링(12)을 동축으로 둘러싸는 외부 링(16), 및 내부 링 궤도(18)와 외부 링 궤도(20) 상에서 구르는 볼 형상의 구름체들(24)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링(12)은 반경 방향으로 내향된 내부 링 플랜지(34)를 구비하며, 상기 내부 링 플랜지에는 슬리브형 스냅 링(36)이 할당되어 있고, 상기 스냅 링은 상기 클러치의 체결 및 해제를 위한 작동 장치와 상호 작용하며, 상기 내부 링(12)의 다른 축 방향 단부는 동축으로 정렬된 단부 섹션(38)을 구비하고, 상기 동축으로 정렬된 단부 섹션(38)에 프리로드 스프링 홀더 링(40)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 링(16)은 축 방향 단부 섹션(46)을 구비하고, 상기 축 방향 단부 섹션은 상기 내부 링(12)의 동축으로 정렬된 단부 섹션(38) 위에서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외부 링(16)의 축 방향 단부 섹션(46)의 반경 방향 내부면(44)에는 링 형상의 밀봉 부재(50)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밀봉 부재의 밀봉 립(52)은 반경 방향으로 내부로 돌출하고, 상기 내부 링(12)의 축 방향 단부 섹션(38)의 반경 방향 외부면(56)에 인접하는, 해제 베어링(10)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50)는 상기 길이방향 중심축(14)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축 방향 레그(62) 및 상기 길이방향 중심축(14)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배향된 반경 방향 레그(64)를 갖는 프로파일형 보강 부재(60)를 구비하고, 상기 밀봉 부재(50)의 반경 방향 레그(64)의 반경 방향 내부 자유 단부 섹션(66)과 상기 내부 링(12)의 축 방향 단부 섹션(38)의 정면(68) 사이에 축 방향 갭(A)이 존재하며, 상기 밀봉 부재(50)의 반경 방향 레그(64)의 반경 방향 내부 자유 단부 섹션(66)과 상기 프리로드 스프링 홀더 링(40)의 축 방향으로 내향된 슬리브형 돌출부(80) 사이에 반경 방향 갭(R)이 존재하고, 그리고 상기 밀봉 부재(50)의 반경 방향 레그(64)의 반경 방향 내부 자유 단부 섹션(66)은 내부 링(12)과 외부 링(16) 사이에서 축 방향 분실 방지를 보장하기 위해 상기 내부 링(12)의 축 방향 단부 섹션(38)의 정면(68)을 반경 방향 내측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제 베어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50)의 밀봉 립(52)은 적어도 상기 밀봉 부재(50)의 보강 부재(60)의 반경 방향 레그(64)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내부면(70) 영역 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제 베어링.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50)의 보강 부재(60)의 축 방향 레그(62)는 상기 외부 링(16)의 축 방향 단부 섹션(46)의 반경 방향으로 내향된 그리고 상기 프리로드 스프링 홀더 링(40) 쪽으로 축 방향으로 개방된 링 홈(76)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제 베어링.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50)의 보강 부재(60)의 축 방향 레그(62)는 반경 방향으로 외부에 위치하고 적어도 국부적으로 형성된 코팅(7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제 베어링.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78)은 상기 밀봉 부재(50)의 보강 부재(60)의 축 방향 레그(62)의 축 방향으로 내향된 단부(9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제 베어링.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78)은 축 방향 섹션(62)과 반경 방향 섹션(64) 사이에 연장되는, 상기 밀봉 부재(50)의 보강 부재(60)의 각 섹션(90)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제 베어링.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50)의 보강 부재(60)의 코팅(78) 및/또는 상기 밀봉 립(52)은 각각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제 베어링.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78) 및/또는 상기 밀봉 립(52)은 각각 상기 보강 부재(60)에 각각 내장형으로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제 베어링.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로드 스프링 홀더 링(40)의 슬리브형 돌출부(80)는 축 방향으로 단부측에서 상기 내부 링(12)의 축 방향 단부 섹션(38)의 반경 방향으로 내향된 그리고 원주형 내부면(82)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제 베어링.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50)의 보강 부재(60)는 금속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제 베어링.
KR1020207036237A 2018-07-30 2019-04-17 자동차의 클러치용 해제 베어링 KR1026572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118317.8 2018-07-30
DE102018118317.8A DE102018118317A1 (de) 2018-07-30 2018-07-30 Ausrücklager für eine Kupplung eines Kraftfahrzeugs
PCT/DE2019/100354 WO2020025076A1 (de) 2018-07-30 2019-04-17 Ausrücklager für eine kupplung eines kraftfahrzeug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1860A KR20210031860A (ko) 2021-03-23
KR102657280B1 true KR102657280B1 (ko) 2024-04-16

Family

ID=66429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6237A KR102657280B1 (ko) 2018-07-30 2019-04-17 자동차의 클러치용 해제 베어링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2657280B1 (ko)
CN (1) CN112074667B (ko)
DE (1) DE102018118317A1 (ko)
WO (1) WO20200250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07326B1 (fr) * 2020-02-13 2022-03-11 Ntn Snr Roulements Butée d’embrayage pour véhicule automobi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09056B4 (de) 1997-03-06 2006-01-26 Ina-Schaeffler Kg Abdichtung für ein Kupplungsausrücklager
JP2010127353A (ja) 2008-11-26 2010-06-10 Ntn Corp クラッチレリーズ軸受装置用玉軸受
WO2010108776A1 (de) 2009-03-26 2010-09-30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Ausrücklager
JP2011144868A (ja) 2010-01-14 2011-07-28 Jtekt Corp クラッチレリーズ軸受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2217022A1 (en) * 2000-11-30 2002-06-11 Ina-Schaeffler Kg Seal for a clutch release bearing
DE10148388A1 (de) * 2001-09-29 2003-04-24 Ina Schaeffler Kg Abdichtung für ein Wälzlager
FR2856447B1 (fr) * 2003-06-18 2005-09-09 Skf Ab Butee de debrayage et procede de montage
FR2860847B1 (fr) * 2003-10-14 2006-03-31 Skf Ab Dispositif de butee de debrayage
JP2009047255A (ja) * 2007-08-21 2009-03-05 Ntn Corp クラッチレリーズ軸受
DE102007040459A1 (de) * 2007-08-28 2009-03-05 Schaeffler Kg Verliersicherungseinrichtung
DE102008017877A1 (de) * 2008-04-09 2009-10-15 Schaeffler Kg Wälzlager
DE102008039529A1 (de) * 2008-08-23 2010-02-25 Schaeffler Kg Kupplungsausrücklager
DE102008039489A1 (de) * 2008-08-23 2010-02-25 Schaeffler Kg Kupplungsausrücklagereinrichtung,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JP5103345B2 (ja) * 2008-10-01 2012-12-19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クラッチレリーズ軸受装置
CN101440840A (zh) * 2008-11-26 2009-05-27 瓦房店轴承集团有限责任公司 新型离合器轴承
FR2971825B1 (fr) * 2011-02-22 2013-03-15 Skf Ab Palier a roulement, notamment pour dispositif de butee de debrayage.
CN103470618B (zh) * 2013-09-01 2015-11-18 南通儒尚电动车科技有限公司 车用离合器轴承
CN108071708B (zh) * 2016-11-07 2021-02-02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分离轴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09056B4 (de) 1997-03-06 2006-01-26 Ina-Schaeffler Kg Abdichtung für ein Kupplungsausrücklager
JP2010127353A (ja) 2008-11-26 2010-06-10 Ntn Corp クラッチレリーズ軸受装置用玉軸受
WO2010108776A1 (de) 2009-03-26 2010-09-30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Ausrücklager
JP2011144868A (ja) 2010-01-14 2011-07-28 Jtekt Corp クラッチレリーズ軸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8118317A1 (de) 2020-01-30
WO2020025076A1 (de) 2020-02-06
CN112074667B (zh) 2022-06-03
KR20210031860A (ko) 2021-03-23
CN112074667A (zh) 2020-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61348C2 (ru) Электрическая машина с аксиальным пружинным элементом
JP5216084B2 (ja) リップタイプシール
GB2339000A (en) Disengagement device for vehicle clutch
US20160003197A1 (en) Drive arrangement for an assembly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exhaust-gas recirculation valve
US8584825B2 (en) Clutch bearing, a clutch drive device, and a motor vehicle equipped with such a bearing and with such a device
JP2509253B2 (ja) 軸受シ―ル
KR102657280B1 (ko) 자동차의 클러치용 해제 베어링
WO2015093376A1 (ja) レリーズ軸受及びクラッチレリーズ軸受装置
US4026398A (en) Clutch release bearing
JP5354196B2 (ja) センターベアリングサポート
JP5016423B2 (ja) リップタイプシール
CN111492161B (zh) 密封装置
US20020172442A1 (en) Bearing arrangement for a shaft bearing
JP4735825B2 (ja) オイルシール
CN109983262B (zh) 用于燃式发动机的可旋转轴的密封装置
JP5834968B2 (ja) 十字軸式自在継手
JP2008057553A (ja) ダンパ付プーリ
WO2009084355A1 (ja) クラッチレリーズ軸受およびこれを備えるクラッチレリーズ軸受装置
JP3000280U (ja) 軸受の密封装置
JP2008039095A (ja) 防振マウント
EP1686296B1 (en) Lip se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8025392A (ja) クランクシャフト用オイルシールの取り付け構造
JP6538454B2 (ja) 板金ハブ
KR20180003835A (ko) 컴팩트형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
WO2020129896A1 (ja) 液封ブッシ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