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1232B1 - 자기접합 메모리 장치 및 자기접합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리드 방법 - Google Patents

자기접합 메모리 장치 및 자기접합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리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1232B1
KR102651232B1 KR1020190086740A KR20190086740A KR102651232B1 KR 102651232 B1 KR102651232 B1 KR 102651232B1 KR 1020190086740 A KR1020190086740 A KR 1020190086740A KR 20190086740 A KR20190086740 A KR 20190086740A KR 102651232 B1 KR102651232 B1 KR 102651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cell
voltage
self
transistor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9763A (ko
Inventor
김찬경
이은지
김지연
김태성
주재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6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1232B1/ko
Priority to US16/798,615 priority patent/US11515357B2/en
Priority to CN202010636192.0A priority patent/CN112242158A/zh
Publication of KR20210009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763A/ko
Priority to US17/975,242 priority patent/US1188970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2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1/00Magnetic memory devices, e.g. magnetoresistive RAM [MRAM] devices
    • H10B61/20Magnetic memory devices, e.g. magnetoresistive RAM [MRAM] devices comprising components having three or more electrodes, e.g. transist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 G11C11/16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using elements in which the storage effect is based on magnetic spin effec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 G11C11/16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using elements in which the storage effect is based on magnetic spin effect
    • G11C11/165Auxiliary circuits
    • G11C11/1673Reading or sensing circuits or metho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 G11C11/16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using elements in which the storage effect is based on magnetic spin effect
    • G11C11/16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using elements in which the storage effect is based on magnetic spin effect details concerning the memory cell structure, e.g. the layers of the ferromagnetic memory cel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 G11C11/16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using elements in which the storage effect is based on magnetic spin effect
    • G11C11/165Auxiliary circuits
    • G11C11/1659Cell acces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 G11C11/16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using elements in which the storage effect is based on magnetic spin effect
    • G11C11/165Auxiliary circuits
    • G11C11/1697Power supply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7Voltage reference generators, voltage or current regulators; Internally lowered supply levels; Compensation for voltage drop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1/00Magnetic memory devices, e.g. magnetoresistive RAM [MRAM] devices
    • H10B61/20Magnetic memory devices, e.g. magnetoresistive RAM [MRAM] devices comprising components having three or more electrodes, e.g. transistors
    • H10B61/22Magnetic memory devices, e.g. magnetoresistive RAM [MRAM] devices comprising components having three or more electrodes, e.g. transistors of the field-effect transistor [FET] typ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50/00Galvanomagnetic devices
    • H10N50/10Magnetoresis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ram Or Spin Memory Techniques (AREA)
  • Hall/Mr Elements (AREA)

Abstract

자기접합 메모리 장치 및 자기접합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리드 방법이 제공된다. 자기접합 메모리 장치는, 자기접합 메모리 셀의 저항에 따라 트랜지스터의 일단에 접속된 센싱 노드의 전압이 변경되는 센싱 회로, 레퍼런스 저항과 기준 전압을 이용하여 트랜지스터의 게이팅 전압을 생성하는 게이팅 전압 생성회로, 및 기준 전압과 센싱 노드의 전압을 이용하여 자기접합 메모리 셀의 데이터를 리드하는 리드 회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기접합 메모리 장치 및 자기접합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리드 방법{Magnetic junction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reading data from the memory device}
자기접합 메모리 장치 및 자기접합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리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전원이 제거될 때마다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잃는 반면에, 비휘발성 메모리는 전원이 메모리로부터 제거되는 때에도 비휘발성 메모리 내의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의 일종인 STT-MRAM(Spin Torque Transfer-Magnetic Random Access Memory)은 자기 터널 접합(Magnetic Tunneling Juntion, MTJ)의 저항 상태를 센싱함으로써, 메모리 셀에 저장된 데이터를 판독한다. 이렇게 메모리 셀에 저장된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해 다양한 리드 회로가 많이 제안되었지만, 센싱 동작의 특성에 따라 불가피하게 메모리 셀 어레이의 크기가 커지거나, 리드 레이턴시(read latency)가 증가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이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메모리 셀 어레이의 크기를 줄이면서도 리드 동작 시 리드 레이턴시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자기접합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메모리 셀 어레이의 크기를 줄이면서도 리드 동작 시 리드 레이턴시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자기접합 메모리 장치의 리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몇몇 실시예에 따른 자기접합 메모리 장치는, 자기접합 메모리 셀의 저항에 따라 트랜지스터의 일단에 접속된 센싱 노드의 전압이 변경되는 센싱 회로, 레퍼런스 저항과 기준 전압을 이용하여 트랜지스터의 게이팅 전압을 생성하는 게이팅 전압 생성회로, 및 기준 전압과 센싱 노드의 전압을 이용하여 자기접합 메모리 셀의 데이터를 리드하는 리드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몇몇 실시예에 따른 자기접합 메모리 장치는, 복수의 서브 메모리셀 어레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셀 어레이로서, 각각의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에는 복수의 자기접합 메모리 셀이 배치된 메모리 셀 어레이,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 외부에 배치된 레퍼런스 메모리 셀 어레이, 및 레퍼런스 메모리 셀 어레이를 이용하여 생성된 게이팅 전압을 제공받아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에 배치된 자기접합 메모리 셀의 데이터를 리드하는 센싱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몇몇 실시예에 따른 자기접합 메모리 장치는, 복수의 서브 메모리셀 어레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셀 어레이로서, 각각의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에는 복수의 자기접합 메모리 셀이 배치된 메모리 셀 어레이,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의 에지부에 배치되고, 제1 저항 소자 그룹과 제2 저항 소자 그룹을 포함하는 레퍼런스 메모리 셀 어레이,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에 배치된 자기접합 메모리 셀의 저항에 따라 트랜지스터의 일단에 접속된 센싱 노드의 전압이 변경되는 센싱 회로, 제1 및 제2 저항 소자 그룹의 제1 및 제 레퍼런스 저항과 기준 전압을 이용하여 트랜지스터의 게이팅 전압을 생성하는 게이팅 전압 생성회로, 및 기준 전압과 센싱 노드의 전압을 이용하여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에 배치된 자기접합 메모리 셀의 데이터를 리드하는 리드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몇몇 실시예에 따른 자기접합 메모리 장치는, 게이팅 전압으로 게이팅되고 일단이 제1 센싱 노드에 접속된 제1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되, 제1 센싱 노드의 전압을 제1 레퍼런스 저항에 리드 전류를 인가하여 결정하는 제1 싱글 트랜지스터 커먼 게이트 증폭회로, 게이팅 전압으로 게이팅되고 일단이 제2 센싱 노드에 접속된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되, 제2 센싱 노드의 전압을 제1 레퍼런스 저항과 다른 저항 값을 갖는 제2 레퍼런스 저항에 리드 전류를 인가하여 결정하는 제2 싱글 트랜지스터 커먼 게이트 증폭회로, 게이팅 전압으로 게이팅되고 일단이 제3 센싱 노드에 접속된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되, 제3 센싱 노드의 전압을 자기접합 메모리 셀에 리드 전류를 인가하여 결정하는 제3 싱글 트랜지스터 커먼 게이트 증폭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몇몇 실시예에 따른 자기접합 메모리 장치의 리드 방법은, 제1 및 제2 레퍼런스 저항을 이용하여 생성된 게이팅 전압을 제공받고, 트랜지스터의 일단에 접속되고 자기접합 메모리 셀의 저항에 따라 변하는 센싱 노드의 전압 레벨과 기준 전압을 이용하여, 자기접합 메모리 셀의 데이터를 리드하는 센싱 회로를 포함하는 자기접합 메모리 장치의 리드 방법으로, 제1 구간 동안, 제1 출력 노드의 전압 레벨을 센싱 노드의 전압 레벨에 따라 디벨롭시키고, 제2 출력 노드의 전압 레벨을 기준 전압 레벨로 유지시키고, 제1 구간에 후속하는 제2 구간 동안, 제1 및 제2 출력 노드의 전압 레벨을 센싱 노드의 전압 레벨에 따라 디벨롭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셀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메모리 셀의 자화 방향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셀의 기준 저항 값을 설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개념적인 배치도이다.
도 7은 도 6의 배치도 중 일부 구성에 대한 회로도이다.
도 8은 싱글 트랜지스터 커먼 게이트 증폭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회로를 재구성한 회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리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들이다.
도 12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리드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13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개념적인 배치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의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100)는 호스트(200)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를 리드 또는 라이트(write)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100)는 호스트(200)로부터 커맨드(CMD) 및 어드레스(ADDR)를 수신할 수 있다. 커맨드(CMD)는 리드 커맨드, 라이트 커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호스트(200)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100)에 리드 커맨드를 전송한 경우,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100)는 메모리 셀 어레이(110)에서 리드한 데이터(DATA)를 호스트(200)에 제공할 수 있다.
호스트(200)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100)에 라이트 커맨드 및 라이트할 데이터(DATA)를 전송한 경우,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100)는 호스트(200)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DATA)를 메모리 셀 어레이(110)에 라이트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100)는, 메모리 셀 어레이(110), 어드레스 디코더 회로(120), 비트 라인 선택 회로(130), 라이트 드라이버 회로(140), 감지 증폭 회로(150), 데이터 입출력 회로(160) 및 제어 로직(180)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구성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구체적인 구현 목적에 따라 일부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새로운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도 있다.
메모리 셀 어레이(110)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복수의 비휘발성 메모리 셀(MC)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셀(MC)은 저장된 데이터의 값에 대응하는 저항 값을 갖는 가변 저항 소자, 예컨대 자기 터널 접합(magnetic tunnel junction, MTJ)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에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100)는 저항성 메모리 장치, RRAM(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또는 ReRAM) 장치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100)의 메모리 셀 어레이(110)는 PRAM(Phase Change Random Access Memory), FRAM(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은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고, STT-MRAM(Spin-Transfer Torque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Spin-RAM(Spin Torque Transfer Magnetization Switching RAM) 및 SMT-RAM(Spin Momentum Transfer) 등과 같은 MRAM(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100)가 MRAM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할 것이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메모리 셀 어레이(110)는 데이터가 기록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셀(MC)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 셀 어레이(110)는 복수의 워드 라인(WL)과 복수의 비트 라인(BL)이 대응하는 지점에 배치된 메모리 셀(MC)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 셀의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메모리 셀 어레이(110)는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일정 수의 메모리 셀(MC)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일정 수의 메모리 셀(MC)과 메모리 셀(MC)을 컨트롤하기 위한 워드 라인(WL) 및 비트 라인(BL)이 배치된 복수의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가 모여, 도시된 메모리 셀 어레이(110)를 구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이러한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는 호스트(200)로부터 데이터(DATA)를 리드하거나 라이트하는 단위로 이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100)는 4개의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 단위(예를 들어, 메모리 뱅크(memory bank) 단위)로 데이터를 라이트하거나 리드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이는 얼마든지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어드레스 디코더 회로(120)는 어드레스(ADDR)를 입력받아 행 어드레스(raw address) 및 열 어드레스(column address)로 디코딩 할 수 있다. 어드레스 디코더 회로(120)는 행 어드레스에 따라 복수의 워드 라인(WL) 중 하나의 워드 라인(WL)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어드레스 디코더 회로(120)는 열 어드레스를 비트 라인 선택 회로(130)에 전달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어드레스 디코더(120)는 행 디코더, 열 디코더, 어드레스 버퍼 등과 같은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비트 라인 선택 회로(130)는 비트 라인들을 통해 메모리 셀 어레이(110)에 접속되고, 라이트 드라이버 회로(140) 및 감지 증폭 회로(150)에 접속될 수 있다. 비트 라인 선택 회로(130)는 제어 로직(180)의 제어에 응답하여 동작할 수 있다. 비트 라인 선택 회로(130)는 어드레스 디코더 회로(120)로부터 디코딩된 열 어드레스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비트 라인 선택 회로(130)는 디코딩된 열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비트 라인들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트 동작 시, 비트 라인 선택 회로(130)는 선택된 비트 라인들(BL)을 데이터 라인들(DL)에 연결함으로써 라이트 드라이버 회로(140)에 연결시킬 수 있다. 리드 동작 시, 비트 라인 선택 회로(130)는 선택된 비트 라인들을 감지 증폭 회로(150)와 연결할 수 있다.
라이트 드라이버 회로(140)는 제어 로직(18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라이트 드라이버 회로(140)는 비트 라인 선택 회로(130)에 의해 선택된 비트 라인들(BL)과 어드레스 디코더 회로(120)에 의해 선택된 워드 라인(WL)에 연결된 메모리 셀(MC)을 프로그램할 수 있다. 라이트 드라이버 회로(140)는 데이터 입출력 회로(16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따라 전류 또는 전압을 발생하여, 선택된 비트 라인들(BL)에 출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라이트 드라이버 회로(140)는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에 포함된 메모리 셀(MC)에 데이터를 라이트하기 위한 로컬 라이트 드라이버와, 로컬 라이트 드라이버에 라이트 제어 신호 및/또는 라이트 데이터를 제공하는 글로벌 라이트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 증폭 회로(150)는 제어 로직(18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감지 증폭 회로(150)는 비트 라인 선택 회로(130)에 의해 선택된 비트 라인들(BL)과 어드레스 디코더 회로(120)에 의해 선택된 워드 라인에 연결된 메모리 셀(MC)을 감지하는 리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리드 회로는 선택된 비트 라인들(BL)을 통해 흐르는 전류 또는 선택된 비트 라인들(BL)에 인가된 전압을 감지하여 메모리 셀(MC)을 리드할 수 있다. 감지 증폭 회로(150)는 리드한 데이터를 데이터 입출력 회로(160)에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 입출력 회로(160)는 제어 로직(18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데이터 입출력 회로(16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라이트 드라이버 회로(140)로 전달하고, 감지 증폭 회로(15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 로직(180)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로직(180)은 어드레스 디코더 회로(120), 비트 라인 선택 회로(130), 라이트 드라이버 회로(140), 감지 증폭 회로(150), 데이터 입출력 회로(160) 등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 로직(180)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명령 혹은 제어 신호들에 응답하여 동작할 수 있다.
도 2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셀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메모리 셀의 자화 방향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메모리 셀(MC)은 가변 저항 소자(MTJ) 및 셀 트랜지스터(CT)를 포함할 수 있다. 셀 트랜지스터(CT)의 게이트는 워드 라인(WL)에 접속될 수 있다. 셀 트랜지스터(CT)의 일 전극은 가변 저항 소자(MTJ)를 통해 비트 라인(BL)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셀 트랜지스터(CT)의 다른 전극은 소스 라인(SL)에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워드 라인(WL)의 연장 방향과 소스 라인(SL)의 연장 방향은 서로 동일할 수 있으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워드 라인(WL)의 연장 방향과 비트 라인(BL)의 연장 반향은 서로 직각일 수 있으나, 역시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가변 저항 소자(MTJ)는 자유층(free layer, L1), 고정층(fixed layer, L3) 및 이들 사이에 위치되는 장벽층(barrier layer, L2)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층(L3)의 자화 방향은 고정되어 있으며, 자유층(L1)의 자화 방향은 조건에 따라 고정층(L3)의 자화 방향과 같거나 역방향이 될 수 있다. 고정층(L3)의 자화 방향을 고정시켜 주기 위하여, 가변 저항 소자(MTJ)는 반강자성층(anti-ferromagnetic layer)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자유층(L1)은 변화 가능한 자화 방향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유층(L1)의 자화 방향은 메모리 셀(MC)의 외부 또는 내부에서 제공되는 전기적 요인 또는 자기적 요인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자유 층(L1)은 코발트(Co), 철(Fe) 및 니켈(N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강자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유 층(L1)은 FeB, Fe, Co, Ni, Gd, Dy, CoFe, NiFe, MnAs, MnBi, MnSb, CrO2, MnOFe2O3, FeOFe2O3, NiOFe2O3, CuOFe2O3, MgOFe2O3, EuO 및 Y3Fe5O12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장벽층(L2)은 스핀 확산 길이(spin diffusion distance) 보다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장벽층(L2)은 비자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장벽층(L2)은 마그네슘(Mg), 티타늄(Ti), 알루미늄(Al), 마그네슘-아연(MgZn) 및 마그네슘-붕소(MgB)의 산화물, 그리고 티타늄(Ti) 및 바나듐(V)의 질화물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고정층(L3)은 반강자성층에 의해 고정된 자화 방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고정층(L3)은 강자성 물질(ferromagnetic material)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층(L3)은 CoFeB, Fe, Co, Ni, Gd, Dy, CoFe, NiFe, MnAs, MnBi, MnSb, CrO2, MnOFe2O3, FeOFe2O3, NiOFe2O3, CuOFe2O3, MgOFe2O3, EuO 및 Y3Fe5O12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반강자성층은 반 강자성 물질(anti-ferromagnetic material)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강자성층은 PtMn, IrMn, MnO, MnS, MnTe, MnF2, FeCl2, FeO, CoCl2, CoO, NiCl2, NiO 및 Cr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셀(MC)에 대한 리드 동작시, 워드 라인(WL)에 하이 레벨(예를 들어, 로직 하이 레벨)의 전압이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워드 라인(WL) 전압에 응답하여 셀 트랜지스터(CT)가 턴 온 될 수 있다. 또한, 가변 저항 소자(MTJ)의 저항 값을 측정하기 위하여 비트 라인(BL)으로부터 소스 라인(SL) 방향으로, 또는 소스 라인(SL)으로부터 비트 라인(BL) 방향으로 리드 전류(IREAD)가 제공될 수 있다. 측정되는 저항 값에 따라 가변 저항 소자(MTJ)에 저장된 데이터가 판별될 수 있다.
한편, 가변 저항 소자(MTJ)의 저항 값은 자유층(L1)의 자화 방향에 따라 달라진다. 가변 저항 소자(MTJ)에 리드 전류(IREAD)를 제공하면, 가변 저항 소자(MTJ)의 저항 값에 따른 데이터 전압이 출력된다. 리드 전류(IREAD)의 세기는 라이트 전류의 세기보다 매우 작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리드 전류(IREAD)로 인해 자유층(L1)의 자화 방향이 변화되지 않는다.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가변 저항 소자(MTJ)의 자유층(L1)의 자화 방향과 고정층(L3)의 자화 방향이 평행(parallel, p)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가변 저항 소자(MTJ)는 낮은 저항 값(Rp)을 가진다. 이 경우 데이터는, 예를 들어, '0'으로 판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가변 저항 소자(MTJ)의 자유층(L1)의 자화 방향은 고정층(L3)의 자화 방향과 반 평행(anti-parallel, ap)으로 배치된다. 이 경우, 가변 저항 소자(MTJ)는 높은 저항 값(Rap)을 가진다. 이 경우 데이터는, 예를 들어, '1'로 판별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가변 저항 소자(MTJ)의 자유층(L1)과 고정층(L3)을 수평 자기 소자로 도시하였으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자유층(L1)과 고정층(L3)은 수직 자기 소자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5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셀의 기준 저항 값을 설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저항 값(Rp)과 제2 저항 값(Rap) 사이에서 데이터 "0"과 데이터 "1"을 판별하기 위한 기준 저항 값(reference)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저항 값(Rp)은 가변 저항 소자(MTJ)에서 자유층(L1)의 자화 방향과 고정층(L3)의 자화 방향이 평행(parallel, p)할 때 메모리 셀(MC)의 저항 값에 해당하고, 제2 저항 값(Rap)은 가변 저항 소자(MTJ)의 자유층(L1)의 자화 방향이 고정층(L3)의 자화 방향과 반 평행(anti-parallel, ap)일 때의 저항 값에 해당한다. 메모리 셀에 저장된 데이터를 판별할 사용되는 기준 전압 또는 기준 전류가 이러한 기준 저항 값을 잘 반영하도록 설계해야 메모리 셀에 저장된 데이터를 신뢰성있게 리드할 수 있다.
도 6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개념적인 배치도이다. 도 7은 도 6의 배치도 중 일부 구성에 대한 회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100)는 복수의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1, SMCA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1, SMCA2)는 앞서 설명한 메모리 셀 어레이(도 1의 110)를 구성하는 구성 단위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메모리 셀 어레이(도 1의 110)는 복수의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1, SMCA2) 단위로 나뉘어 구성될 수 있다. 비록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2개의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1, SMCA2)만 도시하였으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을 참조하면,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1)는 복수의 메모리 셀(MC)을 포함할 수 있다. 비록 도 7에서는 도 6의 구성 중 일부 구성에 대한 회로도를 도시하였으나,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도 6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도 동일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복수의 메모리 셀(MC)은 각각 복수의 셀 트랜지스터(CT)에 접속될 수 있다. 셀 트랜지스터(CT)의 게이트단은 워드 라인(WL)에 접속되고, 메모리 셀(MC)에 접속되지 않은 셀 트랜지스터(CT)의 일단은 소스 라인(SL)에 접속될 수 있다. 한편, 메모리 셀(MC)은 비트 라인(BL)에 접속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소스 라인(SL)과 비트 라인(BL)은 메모리 셀(MC)의 라이트 동작에 이용되는 라이트 어시스트 회로(WA)에 접속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레퍼런스 메모리 셀 어레이(RC1, RC2)는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1, SMCA2)에 배치된 메모리 셀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드하는데 필요한 레퍼런스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레퍼런스 메모리 셀 어레이(RC1)는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1)와 거의 유사하게 구성되되, 레퍼런스 메모리 셀 어레이(RC1) 내에는 메모리 셀(MC)이 배치되지 않을 있다. 그리고, 레퍼런스 메모리 셀 어레이(RC1)는 제1 저항 값(Rp)을 갖는 제1 저항 소자 그룹에 접속된 비트 라인(BL)과 제2 저항 값(Rap)을 갖는 제2 저항 소자 그룹에 접속된 비트 라인(BL)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이러한 제1 및 제2 저항 소자 그룹은 레퍼런스 메모리 셀 어레이(RC1) 내에 배치될 수 있으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필요에 따라, 제1 및 제2 저항 소자 그룹은 레퍼런스 메모리 셀 어레이(RC1) 외부의 소정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레퍼런스 메모리 셀 어레이(RC1) 내에 배치된 셀 트랜지스터(CT)는 도시된 것과 같이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1) 내에 배치된 셀 트랜지스터(CT)와 워드 라인(WL)을 공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저항 값(Rp)을 갖는 제1 저항 소자 그룹에 접속된 셀 트랜지스터(CT1)와, 제2 저항 값(Rap)을 갖는 제2 저항 소자 그룹에 접속된 셀 트랜지스터(CT2)와, 메모리 셀(MC)에 접속된 셀 트랜지스터(CT3)가 서로 워드 라인(WL)을 공유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2 저항 값(Rap)은 제1 저항 값(Rp)보다 클 수 있다.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레퍼런스 메모리 셀 어레이(RC1, RC2)는 도시된 것과 같이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1, SMCA2)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퍼런스 메모리 셀 어레이(RC1)는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1)의 에지(edge)부에 배치되고, 레퍼런스 메모리 셀 어레이(RC2)는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2)의 에지부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1)와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2)는, 도시된 것과 같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1)와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2) 사이에는 레퍼런스 메모리 셀 어레이(RC1, RC2)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레퍼런스 메모리 셀 어레이(RC1, RC2)가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1)와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2)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레퍼런스 메모리 셀 어레이(RC1, RC2)가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1, SMCA2) 내부에는 배치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1)와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2) 내부에는, 메모리 셀(MC)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드하는데 필요한 레퍼런스 저항이 배치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1)와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2) 내부에 레퍼런스 저항 또는 레퍼런스 메모리 셀이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전체 메모리 셀 어레이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비트 라인 먹스(BLM1, BLM2)는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1, SMCA2)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비트 라인 먹스(BLM1)는, 소정 제어신호에 의해, 레퍼런스 메모리 셀 어레이(RC1) 내에 배치된 소스 라인(SL) 및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1) 내에 배치된 소스 라인(SL)을 선택하는 제1 선택 소자(SD1)와, 레퍼런스 메모리 셀 어레이(RC1) 내에 배치된 비트 라인(BL) 및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1) 내에 배치된 비트 라인(BL)을 선택하는 제2 선택 소자(SD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비트 라인 먹스(BLM1, BLM2)에 인접하여 커먼 모드 피드백 증폭회로(common mode feedback amplifier)(CMF1, CMF2), 센싱 회로(SA1, SA2), 라이트 드라이버(WD1, WD2) 및 컬럼 디코더(CDEC1, CDEC2)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들이 도시된 배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을 참조하면, 커먼 모드 피드백 증폭회로(CMF1)는 커먼 모드 피드백 블록(CMFB)과 증폭회로(A1, A2)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커먼 모드 피드백 증폭회로(CMF1)는, 레퍼런스 메모리 셀 어레이(RC1) 내에 배치된 소스 라인(SL)에 접속된 싱글 트랜지스터 커먼 게이트 증폭회로(SCGA1, 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커먼 모드 피드백 증폭회로(CMF1)의 구체적인 동작은 후술한다.
센싱 회로(SA1)는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1) 내에 배치된 소스 라인(SL) 마다 별개의 센싱 회로(SA1)가 배치될 수 있다. 센싱 회로(SA1)는 싱글 트랜지스터 커먼 게이트 증폭회로와, 프리차지 회로와, 크로스 커플드 래치(cross coupled latch)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싱 회로(SA1)의 구체적인 동작도 후술한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커먼 모드 피드백 증폭회로(CMF1)와 센싱 회로(SA1)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싱글 트랜지스터 커먼 게이트 증폭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싱글 트랜지스터 커먼 게이트 증폭회로(SCGA)는 트랜지스터(N4)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N4)는 게이팅 전압(VBIASN)에 게이팅(gating)되어, 일단의 정전류 소스(constant current source)로부터 제공되는 리드 전류(Iread)를 타단의 저항 소자에 흘려보낼 수 있다. 만약, 저항 소자의 저항이 낮다면(예를 들어, Rp), 리드 전류(Iread)가 트랜지스터(N4)로 흐를 때, 트랜지스터(N4)의 Vgs가 커지게되고, 이로 인해 센싱 노드(S1)의 전압이 낮아진다. 반대로, 저항 소자의 저항이 높다면(예를 들어, Rap), 리드 전류(Iread)가 트랜지스터(N4)로 흐를 때, 트랜지스터(N4)의 Vgs가 작아지게되고, 이로 인해 센싱 노드(S1)의 전압이 높아진다. 즉, 센싱 노드(S1)의 전압을 관찰하면, 저항 소자의 저항이 높은지 낮은지를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자기접합 메모리 셀에 프로그램된 데이터를 리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싱글 트랜지스터 커먼 게이트 증폭회로(SCGA)를 이용하여, 자기접합 메모리 셀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드할 수 있다. 이하 도 7과 함께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회로를 재구성한 회로도이다.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 싱글 트랜지스터 커먼 게이트 증폭회로(SCGA1)는 트랜지스터(N5)가 게이팅 전압(VBIASN)에 게이팅되어, 일단의 정전류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리드 전류(Iread)를 타단의 저항 소자에 흘려보낼 수 있다. 여기서, 타단은 레퍼런스 메모리 셀 어레이(RC1)의 제2 저항 값(Rap)을 갖는 제2 저항 소자 그룹에 접속되므로, 리드 전류(Iread)는 제2 저항 값(Rap)을 갖는 제2 저항 소자 그룹에 흐른다.
한편, 제2 싱글 트랜지스터 커먼 게이트 증폭회로(SCGA2)는 트랜지스터(N6)가 게이팅 전압(VBIASN)에 게이팅되어, 일단의 정전류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리드 전류(Iread)를 타단의 저항 소자에 흘려보낼 수 있다. 여기서, 타단은 레퍼런스 메모리 셀 어레이(RC1)의 제1 저항 값(Rp)을 갖는 제1 저항 소자 그룹에 접속되므로, 리드 전류(Iread)는 제1 저항 값(Rp)을 갖는 제2 저항 소자 그룹에 흐른다.
제2 저항 값(Rap)이 제1 저항 값(Rp)보다 크므로, 센싱 노드(M1)의 전압이 센싱 노드(M2)의 전압보다 상대적으로 커진다.
커먼 모드 피드백 증폭회로(CMF1)는, 제1 분배 저항(RA)과 제2 분배 저항(RB)을 포함하는 전압 분배 회로와, 제1 및 제2 입력단을 갖는 증폭기(A1)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 노드(M1)의 전압과 센싱 노드(M2)의 전압 차이는 전압 분배 회로를 통해 증폭기(A1)의 제1 입력단에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분배 저항(RA)과 제2 분배 저항(RB)의 저항 값에 따라 증폭기(A1)의 제1 입력단에 제공되는 전압 레벨이 달라질 수 있다. 증폭기(A1)의 제2 입력단에는 기준 전압(VPRE)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기준 전압(VPRE)은 후술할 센싱 회로(SA1)에서 메모리 셀(MC)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드하는데 사용된다.
증폭기(A1)의 출력인 게이팅 전압(VBIASN)은 다시 트랜지스터(N5)의 게이트 단과 트랜지스터(N6)의 게이트 단에 피드백되고, 설명한 과정이 반복된다. 이러한 피드백 루프가 진행됨에 따라 센싱 회로(SA1)에서 사용될 게이팅 전압(VBIASN)이 결정된다. 즉, 센싱 회로(SA1)의 리드 전류(Iread)가 메모리 셀(MC)의 제1 저항 값(Rp)와 제2 저항값(Rap) 사이의 전류로 셋팅될 수 있게 게이팅 전압(VBIASN)의 전압 레벨이 조정된다. 즉, 레퍼런스 셀의 제1 저항 값(Rp) 산포와 제2 저항 값(Rap) 산포를 반영하여 게이팅 전압(VBIASN)이 결정된다. 이에 따라, 기준 전압(VPRE)을 이용하여 메모리 셀(MC)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드하는 경우 신뢰성 있는 센싱 마진이 확보될 수 있다.
센싱 회로(SA1)는 제3 싱글 트랜지스터 커먼 게이트 증폭회로(SCGA3)와, 프리차지 회로(PCC) 및 크로스 커플드 래치(cross coupled latch)(CCL)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싱글 트랜지스터 커먼 게이트 증폭회로(SCGA3)의 트랜지스터(N4)는 커먼 모드 피드백 증폭회로(CMF1)로부터 출력된 게이팅 전압(VBIASN)에 게이팅되어, 일단의 정전류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리드 전류(Iread)를 타단에 접속된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1) 내의 메모리 셀(MC)로 흘려보낸다. 메모리 셀(MC)에 저장된 데이터에 따라 센싱 노드(S1)의 전압 레벨이 변경된다. 예를 들어, 메모리 셀(MC)이 제1 저항 값(Rp)을 갖는 경우 센싱 노드(S1)의 전압 레벨은 낮아지고, 메모리 셀(MC)이 제2 저항 값(Rap)을 갖는 경우 센싱 노드(S1)의 전압 레벨은 높아질 수 있다.
프리차지 회로(PCC)는 제1 출력 노드(S2)와 제2 출력 노드(S3)를 기준 전압(VPRE)으로 프리차지 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리차지 회로(PCC)는 제1 프리차지 신호(PRECH)에 게이팅되는 트랜지스터들(P3, P5)과, 제2 프리차지 신호(PRECHD)에 게이팅되는 트랜지스터(P4)를 포함할 수 있다.
크로스 커플드 래치(CCL)는 제1 및 제2 출력 노드(S2, S3)의 전압 레벨을 센싱 노드(S1)의 전압 레벨에 따라 디벨롭(develop)시키고, 디벨롭된 제1 및 제2 출력 노드(S2, S3)의 전압 레벨을 바탕으로 메모리 셀(MC)에 저장된 데이터를 래치할 수 있다. 크로스 커플드 래치(CCL)는, 제1 출력 노드(S2)의 전압 레벨에 게이팅되어 제2 출력 노드(S3)를 풀업시키는 트랜지스터(P1)와, 제1 출력 노드(S2)의 전압 레벨에 게이팅되어 제2 출력 노드(S3)를 풀다운시키는 트랜지스터(N2)와, 제2 출력 노드(S3)의 전압 레벨에 게이팅되어 제1 출력 노드(S2)를 풀업시키는 트랜지스터(P2)와, 제2 출력 노드(S3)의 전압 레벨에 게이팅되어 제1 출력 노드(S2)를 풀다운시키는 트랜지스터(N3)와, 제3 프리차지 신호(PRECHB)에 게이팅되어 트랜지스터들(N2, N3)의 일단을 접지 전압에 접속시키는 트랜지스터(N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리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들이다.
도 10은 메모리 셀(MC)이 저항 값(Rap)을 갖는 경우,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리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고, 도 11은 메모리 셀(MC)이 저항 값(Rp)을 갖는 경우,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리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먼저, 도 10을 참조하면, 제1 동작 구간(T1)에서, 제1 내지 제3 프리차지 신호(PRECH, PRECHD, PRECHB)가 비활성화 상태에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출력 노드(S2, S3)가 기준 전압(VPRE)으로 프리차지된다. 센싱 노드(S1)에는 리드 전류(Iread)가 제공되지 않으므로, 센싱 노드(S1)도 기준 전압(VPRE)으로 프리차지된다.
제2 동작 구간(T2)에서, 제2 및 제3 프리차지 신호(PRECHD, PRECHB)는 여전히 비활성화 상태에 있으나, 제1 프리차지 신호(PRECH)가 활성화된다. 이에 따라, 센싱 노드(S1)에 리드 전류(Iread)가 제공되고, 센싱 노드(S1)의 전압 레벨이 메모리 셀(MC)의 저항 값(Rap)에 의해 상승한다.
한편, 제1 출력 노드(S2)에는 더 이상 기준 전압(VPRE)이 제공되지 않으므로 제1 출력 노드(S2)의 전압 레벨이 센싱 노드(S2)의 전압 레벨을 따라 상승한다. 제2 출력 노드(S3)에는 기준 전압(VPRE)이 지속적으로 제공되므로, 제2 출력 노드(S3)의 전압 레벨은 기준 전압(VPRE) 레벨을 유지한다.
제3 동작 구간(T3)에서, 제2 및 제3 프리차지 신호(PRECHD, PRECHB)가 활성화된다. 이에 따라, 센싱 노드(S1)에 리드 전류(Iread)가 제공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2 출력 노드(S3)에 기준 전압(VPRE)이 더 이상 제공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출력 노드(S2)의 전압 레벨과 제2 출력 노드(S3)의 전압 레벨은 트랜지스터들(P1, P2, N1, N2, N3)에 의해 증폭된다. 즉, 제1 출력 노드(S2)의 전압 레벨은 상승하도록 디벨롭되고, 제2 출력 노드(S3)의 전압 레벨은 하강하도록 디벨롭된다.
제4 동작 구간(T4)에서, 래치 신호(LAT)가 인에이블되면 제1 및 제2 출력 노드(S2, S3)의 전압 레벨에 따라 메모리 셀(MC)의 데이터가 래치된다. 여기서는 제1 출력 노드(S2)의 전압 레벨이 제2 출력 노드(S3)의 전압 레벨보다 크므로, 예를 들어 1을 래치한다.
다음 도 11을 참조하면, 제1 동작 구간(T1)에서, 제1 내지 제3 프리차지 신호(PRECH, PRECHD, PRECHB)가 비활성화 상태에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출력 노드(S2, S3)가 기준 전압(VPRE)으로 프리차지된다. 센싱 노드(S1)에는 리드 전류(Iread)가 제공되지 않으므로, 센싱 노드(S1)도 기준 전압(VPRE)으로 프리차지된다.
제2 동작 구간(T2)에서, 제2 및 제3 프리차지 신호(PRECHD, PRECHB)는 여전히 비활성화 상태에 있으나, 제1 프리차지 신호(PRECH)가 활성화된다. 이에 따라, 센싱 노드(S1)에 리드 전류(Iread)가 제공되고, 센싱 노드(S1)의 전압 레벨이 메모리 셀(MC)의 저항 값(Rp)에 의해 하강한다.
한편, 제1 출력 노드(S2)에는 더 이상 기준 전압(VPRE)이 제공되지 않으므로 제1 출력 노드(S2)의 전압 레벨이 센싱 노드(S2)의 전압 레벨을 따라 하강한다. 제2 출력 노드(S3)에는 기준 전압(VPRE)이 지속적으로 제공되므로, 제2 출력 노드(S3)의 전압 레벨은 기준 전압(VPRE) 레벨을 유지한다.
제3 동작 구간(T3)에서, 제2 및 제3 프리차지 신호(PRECHD, PRECHB)가 활성화된다. 이에 따라, 센싱 노드(S1)에 리드 전류(Iread)가 제공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2 출력 노드(S3)에 기준 전압(VPRE)이 더 이상 제공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출력 노드(S2)의 전압 레벨과 제2 출력 노드(S3)의 전압 레벨은 트랜지스터들(P1, P2, N1, N2, N3)에 의해 증폭된다. 즉, 제1 출력 노드(S2)의 전압 레벨은 하강하도록 디벨롭되고, 제2 출력 노드(S3)의 전압 레벨은 상승하도록 디벨롭된다.
제4 동작 구간(T4)에서, 래치 신호(LAT)가 인에이블되면 제1 및 제2 출력 노드(S2, S3)의 전압 레벨에 따라 메모리 셀(MC)의 데이터가 래치된다. 여기서는 제1 출력 노드(S2)의 전압 레벨이 제2 출력 노드(S3)의 전압 레벨보다 작으므로, 예를 들어 0을 래치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는,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도 6의 SMCA1, SMCA2)내부에 레퍼런스 저항 또는 레퍼런스 메모리 셀이 배치되지 않아 전체 메모리 셀 어레이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으면서, 작은 리드 레이턴시로 메모리 셀에 프로그램된 데이터를 리드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리드 전류(Iread)가 메모리 셀(MC)의 제1 저항 값(Rp)와 제2 저항값(Rap) 사이의 전류로 셋팅될 수 있게 게이팅 전압(VBIASN)의 전압 레벨을 조정한다. 그리고, 메모리 셀(MC)의 제1 저항 값(Rp)와 제2 저항값(Rap)에 따라 센싱 노드(S1)의 전압 레벨이 변경되어 메모리 셀(MC)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드할 수 있다.
그런데, 제1 저항 값(Rp)와 제2 저항값(Rap)이 작은 상태에서는 확보 할수 있는 센싱 마진의 여유가 작아, 리드 전류(Iread)를 결정하는데 메모리 셀(MC)의 실제 산포를 고려해야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셀(MC)의 저항의 상태를 센싱하기 위해서는 메모리 셀(MC)에 직접 리드 전류(Iread)를 흘려야하므로, 메모리 셀(MC)이 프로그램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충분한 센싱 마진을 확보할 수 있는 리드 전류(Iread) 값을 선택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이러한 상황에서 실시할 수 있는 데이터 리드 회로의 일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리드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데이터 리드 회로는, 센싱 노드(S1, M1, M2)에 흐르는 리드 전류(Iread)의 크기와 메모리 셀(MC)에 인가되는 리드 전류(Iread)의 크기를 다르게 하는 커런트 미러 회로(CMCGA)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셀(MC)에 리드 전류(Iread)를 인가하는 구조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커런트 미러 회로(CMCGA)를 이용하여 메모리 셀(MC)에 실제 인가되는 리드 전류(Iread)의 크기와 메모리 셀(MC)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드하는데 이용되는 리드 전류(Iread)의 크기를 1:M(M은 2이상의 자연수)으로 다르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모리 셀(MC)에 리드 전류(Iread)를 인가할 때 발생할 수 있는 RDR(Read Disturb Rate) 이슈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실제 메모리 셀(MC)에 인가되는 리드 전류(Iread)보다 큰 크기를 갖는 리드 전류(Iread)를 이용하여 메모리 셀(MC)의 데이터 리드를 수행함으로써 리드 레이턴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3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개념적인 배치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의 회로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100)는 복수의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1~16)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1~16)의 일 측에는 복수의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1~16) 내에 배치된 워드 라인(WL)을 선택하는 로우 디코더(RD)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1~16)의 다른 일 측에는 복수의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1~16) 각각에 배치된 메모리 셀(MC)을 라이트하기 위한 로컬 라이트 드라이버(LWD1~LWD16)가 배치될 수 있다. 즉, 각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1~16)에는 1개의 로컬 라이트 드라이버(LWD1~LWD16)가 할당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로컬 라이트 드라이버(WD1)는 비트 라인 먹스(BLM1), 라이트 래치(WD_Latch1) 및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 선택 소자(SASD1-1, SASD1-2)를 포함할 수 있다. 로컬 라이트 드라이버(WD1)에 대한 설명은 나머지 로컬 라이트 드라이버(WD2~16)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비트 라인 먹스(BLM1)는 소정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1)의 로컬 소스 라인(LSL)과 로컬 비트 라인(LBL)을 선택할 수 있다. 즉, 비트 라인 먹스(BLM1)는 데이터가 라이트(write)되어야할 메모리 셀(MC)에 접속된 로컬 소스 라인(LSL)과 로컬 비트 라인(LBL)을 선택하여, 메모리 셀(MC)에 데이터가 라이트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비트 라인 먹스(BLM1)는 데이터가 리드(read)되어야할 메모리 셀(MC)에 접속된 로컬 소스 라인(LSL)과 로컬 비트 라인(LBL)을 선택하여, 메모리 셀(MC)에 저장된 데이터가 리드되게 할 수 있다.
라이트 래치(WD_Latch1)는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1)에 포함된 메모리 셀(MC)에 라이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라이트 래치(WD_Latch1)는 글로벌 라이트 드라이버(도 13의 GWD1)로부터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1)에 포함된 메모리 셀(MC)에 라이트되어야할 데이터를 제공받고 이를 저장할 수 있다. 나아가, 라이트 래치(WD_Latch1)는 소정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1)에 포함된 메모리 셀(MC)에 라이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라이트 래치(WD_Latch1)는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소정의 컨트롤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 선택 소자(SASD1-1)는 뱅크 선택 제어 신호(WCSLd)에 응답하여, 글로벌 소스 라인(GSL)과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1)에 배치된 로컬 소스 라인(LSL)을 접속시킬 수 있다.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 선택 소자(SASD1-2)는 뱅크 선택 제어 신호(WCSLd)에 응답하여, 글로벌 비트 라인(GBL)과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1)에 배치된 로컬 비트 라인(LBL)을 접속시킬 수 있다.
한편, 뱅크 선택 제어 신호(WCSLa~d)는 순차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뱅크 선택 제어 신호(WCSLd)가 제1 시점에서 활성화된 후, 뱅크 선택 제어 신호(WCSLc)가 제1 시점보다 늦은 제2 시점에서 활성화되고, 뱅크 선택 제어 신호(WCSLb)가 제2 시점보다 늦은 제3 시점에서 활성화된 후, 뱅크 선택 제어 신호(WCSLa)가 제3 시점보다 늦은 제4 시점에서 활성화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뱅크 선택 제어 신호(WCSLa~d)가 활성화되는 시점은 이와 반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3을 참조하면, 로컬 컨트롤 블록(CTRL)은 복수의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1~16)에 수행되는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로컬 컨트롤 블록(CTRL)은 복수의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1~16)에서 수행되는 각종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컬럼 디코더(CD1~4), 글로벌 라이트 드라이버(GWD1~GWD4), 센싱 회로(SA1~SA4) 및 글로벌 컨트롤 블록(GCTRL)은 복수의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1~16)의 외곽에 배치될 수 있다. 비록 도면에서는, 컬럼 디코더(CD1~4), 글로벌 라이트 드라이버(GWD1~GWD4), 센싱 회로(SA1~SA4) 및 글로벌 컨트롤 블록(GCTRL)이 복수의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1~16)의 아래에 배치된 것이 예시되어 있으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같은 로우(row)에 배치된 복수의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1~16)는 하나의 메모리 뱅크(BANK A~D)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뱅크(BANK A)는 4개의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1~4)를 포함하고, 메모리 뱅크(BANK B)는 4개의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5~8)를 포함하고, 메모리 뱅크(BANK C)는 4개의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9~12)를 포함하고, 메모리 뱅크(BANK D)는 4개의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13~16)를 포함할 수 있다.
호스트(도 1의 200)로부터 라이트 코맨드(write command)를 수신받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100)는 메모리 뱅크(BANK A~D) 단위로 라이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4 데이터를 라이트해야 되는 경우,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100)는, 제1 라이트 주기에서, 제1 데이터를 메모리 뱅크(BANK A)에 포함된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1)에 배치된 메모리 셀(MC)에 라이트하고, 제2 라이트 주기에서, 제2 데이터를 메모리 뱅크(BANK B)에 포함된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5)에 배치된 메모리 셀(MC)에 라이트하고, 제3 라이트 주기에서, 제3 데이터를 메모리 뱅크(BANK C)에 포함된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9)에 배치된 메모리 셀(MC)에 라이트하고, 제4 라이트 주기에서, 제4 데이터를 메모리 뱅크(BANK D)에 포함된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13)에 배치된 메모리 셀(MC)에 라이트할 수 있다.
글로벌 라이트 드라이버(GWD1)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100)의 이러한 라이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글로벌 라이트 드라이버(GWD1)는, 제1 라이트 주기에서, 제1 데이터를 로컬 라이트 드라이버(LWD1)의 라이트 래치(WD_Latch1)에 제공하여, 로컬 라이트 드라이버(LWD1)가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1)에 배치된 메모리 셀(MC)에 제1 데이터를 라이트하도록 하고, 제2 라이트 주기에서, 제2 데이터를 로컬 라이트 드라이버(LWD5)의 라이트 래치(WD_Latch5)에 제공하여, 로컬 라이트 드라이버(LWD5)가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5)에 배치된 메모리 셀(MC)에 제2 데이터를 라이트하도록 하고, 제3 라이트 주기에서, 제3 데이터를 로컬 라이트 드라이버(LWD9)의 라이트 래치(WD_Latch9)에 제공하여, 로컬 라이트 드라이버(LWD9)가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9)에 배치된 메모리 셀(MC)에 제3 데이터를 라이트하도록 하고, 제4 라이트 주기에서, 제4 데이터를 로컬 라이트 드라이버(LWD13)의 라이트 래치(WD_Latch13)에 제공하여, 로컬 라이트 드라이버(LWD13)가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13)에 배치된 메모리 셀(MC)에 제4 데이터를 라이트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글로벌 라이트 드라이버(GWD1)는 글로벌 소스 라인(GSL) 또는 글로벌 비트 라인(GBL)을 통해 제1 내지 제4 데이터를 라이트 래치(WD_Latch 1, 5, 9, 13)에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데이터를 제공받은 로컬 라이트 드라이버(LWD1, 5, 9, 13)는 로컬 소스 라인(LSL)과 로컬 비트 라인(LBL)을 이용하여 메모리 셀(MC)에 데이터를 라이트할 수 있다.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 선택 소자(SASD1-1, 5-1. 9-1. 13-1)는 제어 신호(WCSLa~d)에 의해 로컬 소스 라인(LSL)과 글로벌 소스 라인(GSL)을 접속시키고,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 선택 소자(SASD1-2, 5-2. 9-2. 13-2)는 제어 신호(WCSLa~d)에 의해 로컬 비트 라인(LBL)과 글로벌 비트 라인(GBL)을 접속시킬 수 있다.
센싱 회로(SA1~SA4)에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리드 회로(예를 들어, 도 7의 리드 회로 또는 도 12의 리드 회로)가 채용될 수 있다. 이 때, 몇몇 실시예에서, 글로벌 컨트롤 블록(GCTRL)에는 도 7에 도시된 커먼 모드 피드백 증폭회로(CMF1), 제1 저항 값(Rp)을 갖는 제1 저항 소자 그룹, 제2 저항 값(Rap)을 갖는 제2 저항 소자 그룹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1~16) 내에 리드 동작에 필요한 레퍼런스 저항이 배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메모리 셀 어레이의 크기가 소형화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센싱 회로(SA1~SA4)는 글로벌 소스 라인(GSL)을 통해 메모리 셀(MC)에 접속될 수 있다. 도 9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트랜지스터(N4)가 도 14에 도시된 글로벌 소스 라인(GSL)과 로컬 소스 라인(LSL)을 통해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1~16) 내에 배치된 메모리 셀(MC)에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싱 회로(SA1)는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1, 5, 9, 13)에 배치된 메모리 셀(MC)의 데이터를 리드하고, 센싱 회로(SA2)는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2, 6, 10, 14)에 배치된 메모리 셀(MC)의 데이터를 리드하고, 센싱 회로(SA3)는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3, 7, 11, 15)에 배치된 메모리 셀(MC)의 데이터를 리드하고, 센싱 회로(SA4)는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MCA4, 8, 12, 16)에 배치된 메모리 셀(MC)의 데이터를 리드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110: 메모리 셀 어레이
SA: 센싱 회로
MC: 메모리 셀

Claims (20)

  1. 자기접합 메모리 셀의 저항에 따라 트랜지스터의 일단에 접속된 센싱 노드의 전압이 변경되는 센싱 회로;
    레퍼런스 저항과 기준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트랜지스터의 게이팅 전압을 생성하는 게이팅 전압 생성회로; 및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센싱 노드의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자기접합 메모리 셀의 데이터를 리드하는 리드 회로를 포함하는 자기접합 메모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회로는, 정전류 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자기접합 메모리 셀의 저항에 따라 상기 센싱 노드의 전압을 변경시키는 싱글 트랜지스터 커먼 게이트 증폭회로(single transistor common gate amplifier)를 포함하는 자기접합 메모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회로의 트랜지스터는,
    상기 일단에 정전류 소스로부터 정전류가 제공되고,
    타단이 소스 라인을 통해 상기 자기접합 메모리 셀에 접속되고,
    게이트단에 상기 게이팅 전압이 제공되는 자기접합 메모리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라인은,
    제1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에 배치되는 제1 로컬 소스 라인과,
    제2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로컬 소스 라인과 접속되지 않는 제2 로컬 소스 라인과,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 선택 소자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로컬 소스 라인과 접속되는 글로벌 소스 라인을 포함하는 자기접합 메모리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팅 전압 생성회로는,
    제1 레퍼런스 저항을 이용하여 생성된 제1 전압과, 상기 제1 레퍼런스 저항과 다른 저항 값을 갖는 제2 레퍼런스 저항을 이용하여 생성된 제2 전압으로부터 피드백 루프를 통해 상기 트랜지스터의 게이팅 전압을 생성하는 커먼 모드 피드백 증폭회로(common mode feedback amplifier)를 포함하는 자기접합 메모리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팅 전압 생성회로는,
    상기 제1 레퍼런스 저항으로부터 생성된 제1 트랜지스터의 일단에 접속된 제1 센싱 노드의 전압을 상기 제1 전압으로 출력하는 제1 센싱 회로와,
    상기 제2 레퍼런스 저항으로부터 생성된 제2 트랜지스터의 일단에 접속된 제2 센싱 노드의 전압을 상기 제2 전압으로 출력하는 제2 센싱 회로를 포함하는 자기접합 메모리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팅 전압 생성회로는, 제1 입력단과 제2 입력단을 포함하는 증폭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입력단에는 상기 제1 전압과 상기 제2 전압의 차이가 전압 분배 회로를 통해 제공되고,
    상기 제2 입력단에는 상기 기준 전압이 제공되는 자기접합 메모리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회로는,
    제1 및 제2 출력 노드의 전압을 상기 기준 전압으로 프리차지 시키는 프리차지 회로와,
    상기 제1 및 제2 출력 노드의 전압 레벨을 상기 센싱 노드의 전압 레벨에 따라 디벨롭시키고, 상기 디벨롭된 제1 및 제2 출력 노드의 전압 레벨을 바탕으로 상기 자기접합 메모리 셀에 저장된 데이터를 래치하는 래치를 포함하는 자기접합 메모리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차지 회로는,
    제1 구간 동안, 상기 제1 출력 노드의 전압 레벨을 상기 센싱 노드의 전압 레벨에 따라 디벨롭시키고, 상기 제2 출력 노드의 전압 레벨을 상기 기준 전압 레벨로 유지시키고,
    상기 제1 구간에 후속하는 제2 구간 동안, 상기 제1 및 제2 출력 노드의 전압 레벨을 상기 센싱 노드의 전압 레벨에 따라 디벨롭시키는 자기접합 메모리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회로는, 상기 센싱 노드에 흐르는 리드 전류의 크기와 상기 자기접합 메모리 셀에 인가되는 리드 전류의 크기를 다르게 하는 커런트 미러 회로를 포함하는 자기접합 메모리 장치.
  11. 복수의 서브 메모리셀 어레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셀 어레이로서, 상기 각각의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에는 복수의 자기접합 메모리 셀이 배치된 메모리 셀 어레이;
    상기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 외부에 배치된 레퍼런스 메모리 셀 어레이; 및
    상기 레퍼런스 메모리 셀 어레이를 이용하여 생성된 게이팅 전압을 제공받아 상기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에 배치된 자기접합 메모리 셀의 데이터를 리드하는 센싱 회로를 포함하는 자기접합 메모리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레퍼런스 메모리 셀 어레이는, 상기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의 에지(edge)부에 배치되는 자기접합 메모리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레퍼런스 메모리 셀 어레이는, 제1 셀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셀 트랜지스터는 상기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에 배치되고 상기 자기접합 메모리 셀에 접속된 제2 셀 트랜지스터와 워드 라인을 공유하는 자기접합 메모리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레퍼런스 메모리 셀 어레이는, 상기 제1 셀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셀 트랜지스터와 상기 워드 라인을 공유하는 제3 셀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셀 트랜지스터는 제1 저항 값을 갖는 제1 저항 소자 그룹에 접속되고,
    상기 제3 셀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저항 값과 다른 제2 저항 값을 갖는 제2 저항 소자 그룹에 접속되는 자기접합 메모리 장치.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회로는,
    상기 레퍼런스 메모리 셀 어레이를 이용하여 상기 게이팅 전압을 생성하는 게이팅 전압 생성 회로와,
    트랜지스터에 상기 게이팅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트랜지스터의 일단에 접속된 센싱 노드의 전압 레벨을 센싱하여 상기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에 배치된 자기접합 메모리 셀의 데이터를 리드하는 리드 회로를 포함하는 자기접합 메모리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회로는, 정전류 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자기접합 메모리 셀의 저항에 따라 상기 센싱 노드의 전압을 변경시키는 싱글 트랜지스터 커먼 게이트 증폭회로를 포함하는 자기접합 메모리 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팅 전압 생성 회로는,
    상기 레퍼런스 메모리 셀 어레이의 제1 레퍼런스 저항을 이용하여 생성된 제1 전압과, 상기 제1 레퍼런스 저항과 다른 저항 값을 갖는 상기 레퍼런스 메모리 셀 어레이의 제2 레퍼런스 저항을 이용하여 생성된 제2 전압으로부터 피드백 루프를 통해 상기 게이팅 전압을 생성하는 커먼 모드 피드백 증폭회로를 포함하는 자기접합 메모리 장치.
  18. 복수의 서브 메모리셀 어레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셀 어레이로서, 상기 각각의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에는 복수의 자기접합 메모리 셀이 배치된 메모리 셀 어레이;
    상기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의 에지부에 배치되고, 제1 저항 소자 그룹과 제2 저항 소자 그룹을 포함하는 레퍼런스 메모리 셀 어레이;
    상기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에 배치된 자기접합 메모리 셀의 저항에 따라 트랜지스터의 일단에 접속된 센싱 노드의 전압이 변경되는 센싱 회로;
    상기 제1 및 제2 저항 소자 그룹의 제1 및 제2 레퍼런스 저항과 기준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트랜지스터의 게이팅 전압을 생성하는 게이팅 전압 생성회로; 및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센싱 노드의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에 배치된 자기접합 메모리 셀의 데이터를 리드하는 리드 회로를 포함하는 자기접합 메모리 장치.
  19. 게이팅 전압으로 게이팅되고 일단이 제1 센싱 노드에 접속된 제1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센싱 노드의 전압을 제1 레퍼런스 저항에 리드 전류를 인가하여 결정하는 제1 싱글 트랜지스터 커먼 게이트 증폭회로;
    상기 게이팅 전압으로 게이팅되고 일단이 제2 센싱 노드에 접속된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센싱 노드의 전압을 상기 제1 레퍼런스 저항과 다른 저항 값을 갖는 제2 레퍼런스 저항에 리드 전류를 인가하여 결정하는 제2 싱글 트랜지스터 커먼 게이트 증폭회로;
    상기 게이팅 전압으로 게이팅되고 일단이 제3 센싱 노드에 접속된 제3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되, 상기 제3 센싱 노드의 전압을 자기접합 메모리 셀에 리드 전류를 인가하여 결정하는 제3 싱글 트랜지스터 커먼 게이트 증폭회로를 포함하는 자기접합 메모리 장치.
  20. 제1 및 제2 레퍼런스 저항을 이용하여 생성된 게이팅 전압을 제공받고, 트랜지스터의 일단에 접속되고 자기접합 메모리 셀의 저항에 따라 변하는 센싱 노드의 전압 레벨과 기준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자기접합 메모리 셀의 데이터를 리드하는 센싱 회로를 포함하는 자기접합 메모리 장치의 리드 방법으로,
    제1 구간 동안, 제1 출력 노드의 전압 레벨을 상기 센싱 노드의 전압 레벨에 따라 디벨롭시키고, 제2 출력 노드의 전압 레벨을 상기 기준 전압 레벨로 유지시키고,
    상기 제1 구간에 후속하는 제2 구간 동안, 상기 제1 및 제2 출력 노드의 전압 레벨을 상기 센싱 노드의 전압 레벨에 따라 디벨롭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자기접합 메모리 장치의 리드 방법.
KR1020190086740A 2019-07-18 2019-07-18 자기접합 메모리 장치 및 자기접합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리드 방법 KR102651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740A KR102651232B1 (ko) 2019-07-18 2019-07-18 자기접합 메모리 장치 및 자기접합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리드 방법
US16/798,615 US11515357B2 (en) 2019-07-18 2020-02-24 Magnetic junction memory device and reading method thereof
CN202010636192.0A CN112242158A (zh) 2019-07-18 2020-07-03 磁结存储装置及其读取方法
US17/975,242 US11889703B2 (en) 2019-07-18 2022-10-27 Magnetic junction memory device and read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740A KR102651232B1 (ko) 2019-07-18 2019-07-18 자기접합 메모리 장치 및 자기접합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리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763A KR20210009763A (ko) 2021-01-27
KR102651232B1 true KR102651232B1 (ko) 2024-03-25

Family

ID=74170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740A KR102651232B1 (ko) 2019-07-18 2019-07-18 자기접합 메모리 장치 및 자기접합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리드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1515357B2 (ko)
KR (1) KR102651232B1 (ko)
CN (1) CN11224215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027214B2 (en) * 2021-12-16 2024-07-02 Ememory Technology Inc. Sensing device for non-volatile memory
TWI767875B (zh) * 2021-12-29 2022-06-11 旺宏電子股份有限公司 記憶體裝置及其操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0571A (en) * 1995-08-16 1998-06-02 Signal Restoration Technologies I Limited Partnership Power supply damping circuit and method
US6625057B2 (en) * 2000-11-17 2003-09-23 Kabushiki Kaisha Toshiba Magnetoresistive memory device
JP4553620B2 (ja) 2004-04-06 2010-09-29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薄膜磁性体記憶装置
KR100827448B1 (ko) 2007-02-16 2008-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저항체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KR100887061B1 (ko) 2007-07-24 2009-03-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상 변화 메모리 장치
JP2009117006A (ja) 2007-11-09 2009-05-28 Toshiba Corp 抵抗変化メモリ装置
JP5194302B2 (ja) * 2008-02-20 2013-05-08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信号処理装置
US8315090B2 (en) 2010-06-07 2012-11-20 Grandis, Inc. Pseudo page mode memory architecture and method
US8385106B2 (en) 2009-09-11 2013-02-26 Grandis,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hierarchical data path for spin transfer torque random access memory
US8587994B2 (en) 2010-09-08 2013-11-1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shared sensing MRAM
KR101224259B1 (ko) 2010-12-30 2013-01-2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속 감지 증폭기 및 고속 감지 증폭기의 동작 방법
US8593173B2 (en) * 2011-09-26 2013-11-26 Qualcomm Incorporated Programmable logic sensing in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CN103456356A (zh) 2012-05-31 2013-12-18 三星电子株式会社 半导体存储器装置和相关的操作方法
US9202543B2 (en) 2012-11-30 2015-12-01 Intel Deutschland Gmbh System and methods using a multiplexed reference for sense amplifiers
KR102043723B1 (ko) 2013-02-28 2019-12-02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세서와 시스템
KR102020975B1 (ko) * 2013-07-30 2019-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전류 센스앰프 회로
KR102173441B1 (ko) * 2014-02-04 2020-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저항체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EP2963435B1 (en) * 2014-07-01 2017-01-25 Nxp B.V. Differential lateral magnetic field sensor system with offset cancelling and implemented using silicon-on-insulator technology
US9799385B2 (en) 2014-09-08 2017-10-24 Toshiba Memory Corporation Resistance change memory
US9691462B2 (en) * 2014-09-27 2017-06-27 Qualcomm Incorporated Latch offset cancelation for magneto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US9343131B1 (en) * 2015-02-24 2016-05-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ismatch and noise insensitive sense amplifier circuit for STT MRAM
JP6495853B2 (ja) * 2016-03-16 2019-04-03 株式会社東芝 データ生成装置、電子デバイスおよび認証システム
US20170345496A1 (en) 2016-05-25 2017-11-30 Intel Corporation Asymmetrical write driver for resistive memory
US10867652B2 (en) * 2018-10-29 2020-12-15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Read circuit for magnetic tunnel junction (MTJ) memory
US10734056B2 (en) * 2018-11-16 2020-08-04 Arm Limited Amplifier circuit devices and methods
US11139012B2 (en) * 2019-03-28 2021-10-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sistive memory device having read currents for a memory cell and a reference cell in opposite directions
KR102651229B1 (ko) * 2019-07-22 2024-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접합 메모리 장치 및 자기접합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라이트 방법
US11120857B2 (en) * 2019-12-19 2021-09-14 Globalfoundries U.S. Inc. Low variability reference parameter generation for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20692A1 (en) 2021-01-21
US20230051494A1 (en) 2023-02-16
KR20210009763A (ko) 2021-01-27
CN112242158A (zh) 2021-01-19
US11515357B2 (en) 2022-11-29
US11889703B2 (en) 2024-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6429B1 (en) High speed sensing amplifier for an MRAM cell
KR102049306B1 (ko) 메모리 셀의 리드 또는 라이트 동작 방법 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JP2004164766A (ja) 不揮発性記憶装置
US11889703B2 (en) Magnetic junction memory device and reading method thereof
KR20150144037A (ko) 저항성 메모리 장치의 메모리 코어, 이를 포함하는 저항성 메모리 장치 및 저항성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감지 방법
JP2002197853A (ja) 磁気ランダムアクセスメモリ
US9047967B2 (en) Data-masked analog and digital read for resistive memories
US9502106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20140169069A1 (en) Resistive Memory Device,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Reading Data in the Same
US10192604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N111755050A (zh) 非易失性存储器件
JP2013196717A (ja) 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2002367364A (ja) 磁気メモリ装置
US12014763B2 (en) Magnetic junction memory device and writing method thereof
JP2011204287A (ja) 記憶装置
CN106256004B (zh) 半导体存储设备
US11798621B2 (en) Resistive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reading data in the resistive memory device
KR102666047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JP6557488B2 (ja) 不揮発性メモリ装置及びそれを含む格納装置、それの書込み方法及び読出し方法
KR100772797B1 (ko) 자기저항램과 그의 셀 및 셀 어레이
TW201735029A (zh) 半導體記憶裝置
JP2009117034A (ja) 差動増幅回路
JP2012133849A (ja) 半導体記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